KR101098088B1 -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088B1
KR101098088B1 KR1020090063024A KR20090063024A KR101098088B1 KR 101098088 B1 KR101098088 B1 KR 101098088B1 KR 1020090063024 A KR1020090063024 A KR 1020090063024A KR 20090063024 A KR20090063024 A KR 20090063024A KR 101098088 B1 KR101098088 B1 KR 10109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widgets
screen
subtitl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56A (ko
Inventor
이주환
박희원
안성준
성항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088B1/ko
Priority to EP09014250.6A priority patent/EP2275912B1/en
Priority to US12/634,561 priority patent/US8648966B2/en
Publication of KR2011000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방송 자막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상기 방송 자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위젯들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FOR A BROADCAS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젯을 제공하는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이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형식의 방송 규격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등의 방송 시스템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송 규격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용 단말기는 화면 상에 날씨 정보, 증권 정보, 시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젯(widget)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방송 자막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상기 방송 자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위젯들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는, 방송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자막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UI 오브젝트는 위젯(widget)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 내에는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자막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에 기 설정된 범위의 색상 변화가 발생되면,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UI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 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막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이동 전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와 오버랩 표시된 자막이 식별되도록 상기 UI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막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상기 변경 전의 투명도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막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UI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 중단 전의 위치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되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가 HD용 방송신호이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16:9의 비율로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용 방송신호이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4:3의 비율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방송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단계와; 자막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방송 화면 상에 방송 자막이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표시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방송 자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방송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송용 단말기에는 방송 수신 및 재생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센터(300)와, 방송 센터(3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 송용 단말기(100)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방송 센터(300)는 자막과, 영상 및 음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센터(300)는 자막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생성할 경우, 방송용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상기 자막이 표시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방송 신호에 더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방송 센터(300)는 자막 및 상기 자막의 방송 화면 상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센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 즉, 위젯(widget)들을 포함한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방송용 단말기(100)는 방송 센터(300)에서 송출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자막, 영상 및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역 다중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역 다중화된 자막,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또한, 방송용 단말기(100)는 방송 센터(300)로부터 위젯들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젯들을 방송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음향 출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방송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방송용 단말기(100)와 방송 센터(300) 또는 방송용 단말기(100)와 외부 인터넷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인터넷 모듈(112) 및 이동통신 모듈(113)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방송 센터(300)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역 다중화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11)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센터(300)로부터 자막 및 상기 자막이 방송 화면 상에 표시될 위치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방송 센터(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들을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113)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방송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모듈(112)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방송 센터(300)로부터 IPTV 규격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모듈(112)은 방송 센터(300) 또는 외부의 인터넷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3)은 외부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방송용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 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방송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방송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방송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 포트, 유선 인터넷 연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B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0)은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수신 된 방송 신호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방송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방송용 단말기(100)가 방송 수신 모드이면, 방송 화면에 상기 방송과 관련된 UI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I 오브젝트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위젯들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위젯들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6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6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6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방송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 재생, 데이터 통신, 동영상 재생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방송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방송 자막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상기 방송 자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위젯들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60) 화면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송 화면 상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위젯들을 표시한다[S111].
상기 위젯들은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로써, 일 예로, 날씨 정보 제공 위젯, 증권 정보 제공 위젯, 시간 정보 제공 위젯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젯들은 상기 방송 화면 상의 테두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폴트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부(120)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젯들은 메모리(140)에 최초 디폴트 구비된 것이거나, 또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것이 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위젯들을 방송 화면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자막이 포함된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112], 상기 자막이 방송 화면 상에 표시될 위치를 확인한다[S113].
이때, S112 단계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내에는 자막 이외에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자막이 표시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자막이 표시될 위치에 상기 위젯들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170)는 S112 단계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자막의 표시 위치에 상기 위젯들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자막의 기 설정된 표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자막의 기 설정된 표시 위치에 상기 위젯들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 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이 수신되면,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기 설정된 범위의 색상이 변화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색상값이 변화되면,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자막이 표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신된 자막의 배경색이 청색(Blue)이고, 제어부(170)는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적색(R):0~3, 녹색(G):0~88, 및 청색(B):255의 범위의 색상이 변화되면,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상기 청색 배경의 자막이 표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자막을 표시할 위치에 상기 위젯들이 존재하면[S114], 상기 수신된 자막이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식별되도록 상기 위젯들의 표시 동작을 제어한 후[S115], 상기 수신된 자막을 표시한다[S116].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어부(170)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을 통해 수신된 방송을 화면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방송 화면(10a) 상에 위젯들(21, 22)을 표시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위젯들(21, 22)을 상기 방송 화면(10a)의 기 설정된 영역(20)에 표시한다.
도 4에서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젯(21) 및 증권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위젯(22)이 상기 방송 화면(10a)의 테두리 영역 중 하단 영역(20)에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위젯(21, 2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송 화면(10a)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최초 표시될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방송 화면(10a)의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위젯(21, 22)은 상기 방송 화면(10a) 상에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방송 화면(10a) 상에 오버랩 및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변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위젯(21, 2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인터넷 모듈(112)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과 연계된 외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위젯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방송 화면(10a) 상에 표시할 수 있고,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을 통해 자막("장거리 로켓 사진 첫 공개")(30a)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자막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자막(30a)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 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이하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자막(30a)을 상기 방송 화면(10a)의 하단 영역(20)에 표시하고,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상기 방송 화면(10a) 상에서 하단 영역(2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자막(30a)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진행되는 스크롤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정지 영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의 (a)는 제어부(170)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상기 방송 화면(10a)의 상단 영역(40)으로 이동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a)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영역(40)으로 이동된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최초의 하단 영역(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의 (a)는 제어부(170)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상기 방송 화면(10a)의 좌측 영역(50)으로 이동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a)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영역(50)으로 이동된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최초의 하단 영역(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의 (a)는 제어부(170)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상기 방송 화면(10a)의 우측 영역(60)으로 이동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a)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영역(60)으로 이동된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최초의 하단 영역(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기 수신된 자막(30a)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이하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자막(30a)을 상기 방송 화면(10a)의 하단 영역(20)에 표시하고,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표시를 상기 자막(30a)의 표시가 완료될 때까지 중단시킬 수 있다.
도 8의 (a)는 제어부(170)가 최초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에 상기 수신된 자막(30a)을 표시하고,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표시를 중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a)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중단된 제1 및 제2 위젯(21, 22)을 하단 영역(2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기 수신된 자막(30a)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이하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자막(30a)과, 제1 및 제2 위젯(21, 22)을 상기 하단 영역(20)에 같이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대신에 상기 자막(30a)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제어부(170)가 상기 자막(30a)과, 제1 및 제2 위젯(21, 22)을 하단 영역(20)에 같이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대신에 사용자가 자막(30a)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를 기 설정된 레벨로 하향 변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 라 가변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a)의 폰트 속성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자막(30a) 식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막(30a)의 배경에 기 설정된 색상을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자막(30a)을 굵은 글씨체로 변경하거나, 상기 자막(30a)을 블링킹(blinking)시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a)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를 최초 자막(30a)이 표시되기 이전의 투명도로 복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동영상 자막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 자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위젯들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방송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모리(140)에 저장된 자막이 포함된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동영상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 상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위젯들을 표시한다[S211].
제어부(170)는 상기 위젯들을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에 자막이 표시될 예정이면[S212], 상기 자막이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될 위치를 확인한다[S213].
즉, 제어부(170)는 S212 단계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자막의 기 설정된 표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자막의 기 설정된 표시 위치에 상기 위젯들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S212 단계에서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기 설정된 범위의 색상값이 변화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색상값이 변화되면, 상기 위젯들이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자막이 표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막을 표시할 위치에 상기 위젯들이 존재하면[S214], 상기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자막이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서 식별되도록 상기 위젯들의 표시 동작을 제어한 후[S215], 상기 자막을 표시한다[S216].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어부(170)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 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 상에 위젯들(21, 22)을 표시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위젯들(21, 22)을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의 기 설정된 영역(20)에 표시한다.
도 11에서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젯(21) 및 증권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위젯(22)이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의 테두리 영역 중 하단 영역(20)에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위젯(21, 2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영상 재생 화면(10b)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최초 표시될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동영상 재생 화면(10b)의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위젯(21, 22)은 상기 동영상 화면(10b) 상에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 상에 오버랩 및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변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위젯(21, 2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인터넷 모듈(112)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위젯과 연계된 외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위젯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다운로 드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 상에 표시할 수 있고,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현재의 동영상 재생 화면(10b)에 자막("나는 배트맨이다.")(30b)이 표시될 예정이면, 상기 자막(30b)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자막(30b)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이하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b)을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의 하단 영역(20)에 표시하고,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 상에서 하단 영역(2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자막(30b)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진행되는 스크롤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정지 영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의 (a)는 제어부(170)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의 상단 영역(40)으로 이동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b)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영역(40)으로 이동된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최초의 하단 영역(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자막(30b)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서 상기 자막(30b)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이하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b)을 상기 동영상 재생 화면(10b)의 하단 영역(20)에 표시하고,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표시를 상기 자막(30b)의 표시가 완료될 때까지 중단시킬 수 있다.
도 13의 (a)는 제어부(170)가 최초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에 상기 자막(30b)을 표시하고,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표시를 중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b)의 표시가 완료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중단된 제1 및 제2 위젯(21, 22)을 하단 영역(2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상기 자막(30b)의 표시 위치가 제1 및 제2 위젯(21, 22)이 표시된 하단 영역(20)이면, 이하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b)과, 제1 및 제2 위젯(21, 22)을 상기 하단 영역(20)에 같이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대신에 상기 자막(30b)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제어부(170)가 상기 자막(30b)과, 제1 및 제2 위젯(21, 22)을 하단 영역(20)에 같이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대신에 사용자가 자막(30b)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를 기 설정된 레벨로 하향 변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위젯(21, 22)의 투명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변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자막(30b)의 폰트 속성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자 막(30b) 식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막(30b)의 배경에 기 설정된 색상을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자막(30b)을 굵은 글씨체로 변경하거나, 상기 자막(30a)을 블링킹(blinking)시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방송 재생 중 위젯들이 상기 방송 화면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경우, 상기 위젯들을 방송 화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표시하고, 상기 위젯들을 포함한 방송 화면의 사이즈를 최초 위젯들이 표시되기 이전의 사이즈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방송 화면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화면 사이즈 조정을 위한 제어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화면 사이즈 조정을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방송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을 통해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311], 상기 수신된 방송을 디스플레이부(160) 화면 상에 재생한다[S312].
이때,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S313], 상기 재생 중인 방송의 화질을 검사한다[S314].
상기 위젯들은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로써, 일 예로, 날씨 정보 제공 위젯, 증권 정보 제공 위젯, 시간 정보 제공 위젯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젯들은 메모리(140)에 최초 디폴트 구비된 것이거나, 또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것이 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방송 화면의 화질이 16:9 비율의 HD 방송이면[S315],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을 상기 위젯들의 표시를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방송 표시를 위한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위젯들을 표시한다[S316].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제2 영역의 화면 비율을 HD 방송 화면 비율인 16:9로 조정한 후[S317], 상기 16:9의 화면 비율로 조정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방송을 표시한다[S318].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방송 화면의 화질이 4:3 비율의 아날로그 방송이면[S319],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을 상기 위젯들의 표시를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방송 표시를 위한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위젯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화면 비율을 아날로그 방송 화면 비율인 4:3으로 조정한 후[S320], 상기 4:3의 화면 비율로 조정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방송을 표시한다.
또한,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의 S115 단계에서 자막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자막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UI 오브젝트가 이동되면, 제어부(170)는 S314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화질을 검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상기 자막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된 방송 신호의 화질이 HD 방송이면, S317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16:9의 비율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상기 자막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된 방송 신호의 화질이 아날로그 방송이면, S320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4:3의 비율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위젯들의 포함된 방송 재생 화면을 방송 화질에 따라 리사이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위젯들이 포함된 방송 재생 화면을 4:3의 비율로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16의 (a)는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수신된 4:3 비율의 아날로그 방송이 재생되는 방송 재생 화면(4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위젯들(21, 22) 표시를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을 위젯들(21, 22) 표시를 위한 제1 영역(20) 및 제2 영역(40)으로 분할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영역(20)에 상기 위젯들(21, 22)을 표시하고, 제2 영역(40)을 4:3 비율로 조정한 후, 상기 4:3 비율로 조정된 제2 영역(40) 내에 방 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표시한다.
도 17은 위젯들이 포함된 방송 재생 화면을 16:9의 비율로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17의 (a)는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수신된 16:9 비율의 HD 방송이 재생되는 방송 재생 화면(4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위젯들(21, 22) 표시를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을 위젯들(21, 22) 표시를 위한 제1 영역(20) 및 제2 영역(40)으로 분할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영역(20)에 상기 위젯들(21, 22)을 표시하고, 제2 영역(40)을 16:9의 비율로 조정한 후, 상기 16:9 비율로 조정된 제2 영역(40) 내에 방송 수신 모듈(111) 또는 인터넷 모듈(112)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표시한다.
이때,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9 비율로 조정된 제2 영역(40)의 상단 및 하단의 남는 영역은 블랙으로 처리된다.
또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영역(20)에 위젯들(21, 22)을 표시하고, 제2 영역(40)을 16:9 비율로 조정 시에, 상기 제2 영역(40)의 좌측 일부를 제1 영역(20)과 오버랩하고, 제2 영역의 우측 일부를 잘라내어 제2 영역(40)을 16:9의 비율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 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방송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위젯 표시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화면 사이즈 조정을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6은 위젯들이 포함된 방송 재생 화면을 4:3의 비율로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7은 위젯들이 포함된 방송 재생 화면을 16:9의 비율로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Claims (15)

  1. 방송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자막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I 오브젝트는, 위젯(widg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내에는,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자막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에 기 설정된 범위의 색상 변화가 발생되면,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막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이동 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와 오버랩 표시된 자막이 식별되도록, 상기 UI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막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상기 변경 전의 투명도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I 오브젝트의 표시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막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UI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 중단 전의 위치에 다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되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가 HD용 방송신호이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16:9의 비율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용 방송신호이면, 상기 방송 화면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가 이동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4:3의 비율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5. 방송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단계;
    자막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 화면 상에서 상기 UI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UI 오브젝트 위치와 상기 수신된 자막의 위치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63024A 2009-07-10 2009-07-10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9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24A KR101098088B1 (ko) 2009-07-10 2009-07-10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09014250.6A EP2275912B1 (en) 2009-07-10 2009-11-13 Terminal for broadcas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2/634,561 US8648966B2 (en) 2009-07-10 2009-12-09 Terminal for broadcas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24A KR101098088B1 (ko) 2009-07-10 2009-07-10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56A KR20110005456A (ko) 2011-01-18
KR101098088B1 true KR101098088B1 (ko) 2011-12-26

Family

ID=4140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024A KR101098088B1 (ko) 2009-07-10 2009-07-10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48966B2 (ko)
EP (1) EP2275912B1 (ko)
KR (1) KR101098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9230B2 (en) * 2007-05-25 2017-02-14 Nokia Technologies Oy Network entity, terminal,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including advertisements for associated widgets
CN102763406A (zh) * 2009-12-04 2012-10-3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屏上显示的方法和设备
CN101833873A (zh) * 2010-05-19 2010-09-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分屏显示功能的电子书
KR20120066846A (ko) * 2010-12-15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KR101828342B1 (ko) 2011-08-10 2018-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방송신호 관련 연관정보 제공방법 및 서버
KR101873364B1 (ko) 2011-09-27 2018-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방송신호 관련 연관정보 제공방법
CN102769795B (zh) * 2012-07-11 2015-01-28 深圳乐投卡尔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Android平台及其播放CMMB的方法
AT513943B1 (de) * 2013-02-08 2018-04-15 Frequenti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Aufbereitung von sicherheitskritischen Informationen
KR101847074B1 (ko) * 2013-08-26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US10089120B2 (en) * 2015-09-25 2018-10-02 Entit Software Llc Widgets in digital dashboards
CN110515511A (zh) * 2019-08-20 2019-11-29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操作应用程序图标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330B2 (ja) * 1999-01-25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00046988A2 (en) * 1999-02-08 2000-08-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support for rich program content
US7028264B2 (en) * 1999-10-29 2006-04-11 Surf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US7987431B2 (en) * 1999-10-29 2011-07-26 Surf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WO2002093901A2 (en) * 2001-05-11 2002-11-21 Scientific-Atlanta, Inc. Managing time shift buffers
US6778224B2 (en) * 2001-06-25 2004-08-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aptive overlay element placement in video
JP2003091347A (ja) * 2001-09-18 2003-03-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並びに画面表示方法、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面表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580245B1 (ko) * 2003-06-26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60020904A1 (en) * 2004-07-09 2006-01-26 Antti Aaltonen Stripe user interface
US7760269B2 (en) * 2005-08-22 2010-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izing an image on a display
KR20080023891A (ko)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젯형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JP5093557B2 (ja) * 2006-10-10 2012-1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45159B2 (en) * 2007-04-16 2013-01-01 Caption Colorado L.L.C. Captioning evaluation system
US20090093300A1 (en) * 2007-10-05 2009-04-09 Lutnick Howard W Game of chance processing apparatus
US10176272B2 (en) 2007-09-28 2019-01-08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izing and adapting a widget to available space
KR100946824B1 (ko) 2007-10-31 2010-03-09 (주)피엑스디 디지털 방송 위젯 시스템 및 위젯 출력 방법
US20090327893A1 (en) * 2008-06-25 2009-12-31 Paul Terry Coordinated video present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8462123B1 (en) * 2008-10-21 2013-06-11 Google Inc. Constrained keyboard organization
KR20100052203A (ko)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4297A (ko) 2008-11-14 201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8117564B2 (en) * 2009-04-10 2012-02-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multiple perspective vie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7212A1 (en) 2011-01-13
KR20110005456A (ko) 2011-01-18
EP2275912B1 (en) 2020-01-01
US8648966B2 (en) 2014-02-11
EP2275912A1 (en)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088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963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screen
EP244781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5916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electronic tag, mobile device, and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nd display device of the same
US8612740B2 (en) Mobile terminal with a dedicated screen of a first operating system (OS) with at least an icon to touch for execution in a second OS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8260373B2 (en) Mobile terminal with variable display control
EP3029945A1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479123B2 (en) Accessing feature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US2014029825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097952B (zh) 一种终端显示屏分辨率调整方法和终端
CN105306983A (zh) 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EP289486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119685A1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995433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8396412B2 (e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71612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03103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4071164A (ja) 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4071163A (ja) 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CN106227418A (zh)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US886318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hannel selection method
KR101139688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402295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3378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