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737B1 -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737B1
KR101075737B1 KR1020040060303A KR20040060303A KR101075737B1 KR 101075737 B1 KR101075737 B1 KR 101075737B1 KR 1020040060303 A KR1020040060303 A KR 1020040060303A KR 20040060303 A KR20040060303 A KR 20040060303A KR 101075737 B1 KR101075737 B1 KR 10107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1452A (en
Inventor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737B1/en
Publication of KR2006001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키와 키패드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이드키 입력 신호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중인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모드이면 상기 키패드의 LED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동영상 출력 모드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모드 시와 같이 키패드상의 키 사용이 거의 필요없는 경우 사이드키가 눌려지더라도 키패드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keypad LED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 mobile terminal having a side key and a keypad,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ide key input signal and the mobile terminal currently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de key input signal. Determining a mode; and controlling the LED of the keypad to maintain an off state when the multimedia function is performed to output multimedia dat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battery consumption by keeping the keypad LED off even when the side key is pressed when the use of the keys on the keypad is almost unnecessary, such as in a multimedia mode such as digital broadcasting or video output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 LED, 사이드키Mobile terminal, keypad LED, side ke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keypad L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온/오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keypad LED on / off contro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LED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별 키패드 LED 온/오프 상태를 나타낸 테이블 일예도
5 is a table illustrating a keypad LED on / off state for each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pad LED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digital broadcasting, video, and the like.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기능(예컨대, 카메라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 등)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기능을 탑재한 멀티미디어 장치 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폰 및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등이 그것이다. 특히 디.엠.비(DMB) 폰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점차로 고조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ultimedia function (eg, a camera function, a video function,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function, etc.) or a multimedia device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camera phones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s. In particular, D.M.B. (DMB) phones are devices designed to receive digital broadcast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ttention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at they can watch digital broadcasts on the go.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및 통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제어부와, 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통화 기능 제어부를 따로 가지며, 사용자에 의한 통화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통화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ypical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forming both the multimedia function and the call function have a multimedia func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function and a call func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ll function, and request a call function or a multimedia function request by a user. It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performs a call function or a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pressed by the user.

키입력부는 사이드키와 키패드로 구분될 수 있는데, 사이드키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기 측면부에 구비되며 볼륨 업/다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볼륨 업/다운키, 또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키, 무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음 키 등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키패드는 단말기 전면부에 구비되며 숫자, 문자 등이 새겨져 있고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또는 숫자키 등을 포함한다. 사 이드키는 측면부에 별도로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손 감촉만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인식될 수 있지만, 키패드 상의 키들은 사이드키와 달리 키 각각에 숫자 문자, 아이콘 등이 새겨져 있으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기 힘들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에 백라이트 조명을 비추기 위한 키패드 LED를 함께 구비한다. 이러한 키패드 LED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시마다 온되어 키패드에 백라이트 조명을 비춤으로써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도 일반키들에 새겨진 숫자, 문자, 아이콘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키패드 LED는 사이드키 또는 일반키들 중 어떤 키가 입력되든지 항상 온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키가 입력되든지 간에 키패드 LED가 무조건 자동적으로 온되기 때문에 키패드 상의 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키패드 LED가 온 되어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키패드 LED는 VOD 또는 DMB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기능 이용 시 볼륨 조절을 위해 사이드키 입력만 필요할 뿐 키패드 상의 키 입력이 필요치 않을 때에도 점등되어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The key input unit may be divided into a side key and a keypad. The side key is mainly provided at a 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lume up / down key for performing a volume up / down function, a camera key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and a silence Used as a silent key to perform a function. The keypad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and is engraved with numbers, letters, etc., and includes a letter key or a numeric key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Side keys are separately provided on the side, so they can be easily recognized even in the dark with only the user's hand.However, unlike the side keys, keys on the keypad are engraved with numeric characters and icons on each key, so they are recognized by the user in the dark. It's hard to be.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keypad LED for illuminating a backlight on the keypad. The keypad LED is turned on every key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backlight is illuminated on the keypa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numbers, letters, and icons engraved on the general keys even in the dark. By the way, the keypad L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be always on, regardless of which side key or general key is input. Therefore, since the keypad LED is automatically turned on regardless of which key is input, the keypad LED is turned on even when a key on the keypad is not used, causing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For example, when the keypad LED is used for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VOD or DMB, only the side key input is required for volume control, and the keypad LED is turned on even when no key input is required on the keypad, causing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상의 키를 이용하지 않는 모드에서는 키패드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of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by keeping the keypad LED off in a mode that does not use a key on the key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상의 키입력이 필요없는 디지털 방송,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모드 시에는 사이드키가 눌려지더라도 키패드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by keeping the keypad LED off even when the side key is pressed in the multimedia data output mode such as digital broadcasting, video, etc. that do not require key input on the key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사이드키와 키패드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이드키 입력 신호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중인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모드이면 상기 키패드의 LED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LED control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de key and a keypa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ide key input signal, and the side key input signal Determining a mod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ecuting; and controlling the LED of the keypad to maintain an off state if the mobile terminal is in a multimedia function execution mode that outputs multimedia dat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폰-모듈(110)과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될 것이나, 폰-모듈(110)과 멀티미디어 모듈(120)의 모두 또는 일부를 하나의 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과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 신과 CDM(Code Division Multiplex) 방식을 사용하는 DMB의 경우 하나의 통합된 칩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하나의 칩 내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수신과 처리를 수행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폰-모듈에, DMB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DMB 모듈에 해당하게 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휴대전화기능을 제어하는 휴대전화기능 모듈(일명, 폰 모듈)(110)과, 방송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일명, 멀티미디어 모듈)(120)을 포함한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phone-module 110 and the multimedia module 120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are physically separated, but all or part of the phone-module 110 and the multimedia module 120 are in one chip.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For example, a portion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ortion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data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hip, in particula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a code division multiplex (CDM). In the case of using the DMB metho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ingle integrated chip.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part of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ne chip corresponds to the phon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rt of receiving and processing DMB data corresponds to the DMB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re must be taken.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function module (aka, phone module) 110 for controlling a mobile phone function as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nd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ultimedia module (also called a multimedia module) 120 for controlling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 multimedia function.

폰 모듈(110)은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폰 제어부(111)(도 2의 예에서는 MSM(Mobile Station Modem) 칩으로 구현됨)와, 상기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의 전반적인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112)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제어 명령을 MSM(111)으로 입력하는 키입력부(113)와, 오디오(audio)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Mic.)(114)와, 휴대전화기능 수행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115)와,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의 전반적인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116)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스피커(115)는 수화기(receiver)로서 동작하는 장치이다. The phone module 110 includes a phone controller 111 (implemented as an MSM (Mobile Station Modem) chip in the example of FIG. 2) for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cellular phone function, and the cellular phone function. A first liquid crystal display (LCD) 112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 input unit 113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by a user operation to the MSM 111, and audio ( audio (Mic.) 114 for inputting a signal, the first speaker 115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phone func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mobile phone function And a first storage unit 116 for storing. At this time, the first speaker 115 is a device that operates as a receiver.

한편,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122)와, 상기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로 출력하는 부제어부(121)와, 상기 부제어부(121)에서 출력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123)와, 상기 부제어부(121)에서 출력된 오디오(audio)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124)와, DMB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125)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스피커(124)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테레오(stereo) 기능이 구현된다. 또한 제2 표시부(123)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 스피커(124)와 제2 표시부(123)는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한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디지털 방송의 형태에 따라 스피커와 표시부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의 경우에는 스피커만으로 출력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다. 한편 제1 스피커(115)와 제2 스피커(124), 제1 표시부(112)와 제2 표시부(123)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스피커와 하나의 LCD 자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ultimedia module 120 includes a DMB receiver 122 for receiving DMB data, a sub-control unit 121 for decoding the DMB data and outputt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or providing to a user, and in the sub-control unit 121. A second display unit 123 for displaying the output image information, a second speaker 124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ub-control unit 121,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providing a DMB service; 2 storage unit (125). In this case, the second speaker 124 is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media information, and a stereo function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23 i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media information. The second speaker 12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3 constitute an output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digital broadcasting. The output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of only one of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orm of digital broadcast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gital audio broadcasting, an output interface unit is formed of only a speaker. Meanwhile, the first speaker 115, the second speaker 124, the first display unit 11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3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in hardware, or may include one speaker and one LCD itself. have.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바디(20), 메인바디(20)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타입 서브바디(40)로 구성된다. 메인바디(20)에는 제1 표시부(112), 키입력부(113), 마이크(114), 제1 스피커(115)가 구비되며 주로 휴대전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되고, 서브바디(40)에는 제2 표시부(123), 제2 스피커(124)가 구비되며 주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3)를 통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휴대전화 기능을 수 행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 and a rotation type subbody 4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he main body 2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2, a key input unit 113, a microphone 114, and a first speaker 115, and is mainly used to perform a mobile phone func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23 and the second speaker 124 are provided and mainly used to perform a multimedia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a control command by a user opera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3 to perform a mobile phone function or to perform a multimedia function.

도 2를 통해 키입력부(113)를 상세히 설명하면, 키입력부(113)는 사이드키(113-1)와 키패드(113-2)를 포함한다. 사이드키(113-1)는 메인바디(20)의 측면부에 구비되며 볼륨 업/다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볼륨 업/다운키, 또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키, 무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음 키 등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사이드키(113-1)는 메인바디(20)측면부에 별도로 구비되며 돌출 정도가 커서 사용자의 손 감촉만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키패드(113-2)는 메인바디(2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숫자, 문자, 아이콘 등이 새겨져 있고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또는 숫자키 또는 각종 키능키 등을 포함한다.2, the key input unit 1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key input unit 113 includes a side key 113-1 and a keypad 113-2. The side key 113-1 is provided at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d has a volume up / down key for performing a volume up / down function, a camera key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and a silence for performing a silent function. It is used as a key. The side key 113-1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protrusion of the side key 113-1 may be easily recognized even in a dark place only by the user's hand. On the other hand, the keypad 113-2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d is engraved with numbers, letters, icons, etc., and includes a letter key or numeric keys or various key function keys for entering letters or numbers. .

이러한 키패드(113-2)의 각 키들은 사이드키(113-1)와 달리 돌출 정도도 작고, 여러 개의 키가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촉만으로는 인식하기 힘들다.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키 각각에 새겨진 문자, 숫자 또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인식하기 힘들다. 따라서 키입력부(113)는 키패드(113-2)에 백라이트 조명을 비추기 위한 키패드 LED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키패드 LED는 키패드(113-2)에 백라이트 조명을 비춤으로써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도 키패드(113-2)의 각 키들에 새겨진 숫자, 문자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Unlike the side keys 113-1, the keys of the keypad 113-2 are also less protruded, and because a plurality of keys are protruded to the same degre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only the touch. Especially in dark places, the letters, numbers or icons engraved on each key can be hard to recognize. Therefore, the key input unit 113 further includes a keypad LED for illuminating the backlight on the keypad 113-2. The keypad LED illuminates the backlight 113 on the keypad 113-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numbers, letters, etc. engraved on the keys of the keypad 113-2 even in a dark place.

그런데 상기 키패드 LED는 일반적으로 사이드키(131-1) 또는 키패드(132-1)의 각 키들 중 어떠한 키가 눌려져도 항상 온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시 볼륨 조절 기능 수행, 무음 기능 수행 등과 같이 사이드키(113-1)만을 이용하는 경우 키패드(113-2)의 키들을 이용하지 않는데도 키패드 LED가 온되어 불필요한 전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모드로 동작 시와 같이 키패드(132-2)의 키 입력이 필요치 않은 경우 사이드키(113-1)가 눌려지더라도 키패드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By the way, the keypad LED is generally always turned on even when any of the keys of the side key 131-1 or the keypad 132-1 is pressed. Therefore, when using only the side keys 113-1, such as perform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a silent function, etc. when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the keypad LED is turned on even though the keys of the keypad 113-2 are not used, which wastes unnecessary power. There is this.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key input of the keypad 132-2, such as when operating in a multimedia mode, even if the side key 113-1 is pressed. Keep it of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 LED 온/오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키(113-1)는 사용자 누름에 따른 사이드키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키패드(113-2)는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키패드 LED(113-3)는 발광 다이오드로서 소정 제어 하에 온/오프된다. 주제어부(111)는 사이드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현재 모드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모드이면 키패드 LED(113-3)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모드가 아니면 키패드 LED(113-3)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LED on / off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side key 113-1 outputs a sid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 press. The keypad 113-2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text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a user. The keypad LED 113-3 i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is turned on / off under predetermined control. The main control unit 111 determines the current mode when the side key input signal is received, and controls the keypad LED 113-3 to remain off in the multimedia mode when the current mode is determined, and the keypad LED 113-when not in the multimedia mode. 3) is turned 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별 키패드 LED 온/오프 상태를 나타낸 테이블 일예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keypad 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keypad LED on / off mode for each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table showing a stat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 LED 온/오프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keypad LED on / off control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4를 참조하면, 주제어부(111)는 4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사이드키 (113-1) 누름에 따른 사이드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404단계에서 현재 모드를 판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는 예컨대 대기모드, 통화 모드, 메뉴 선택 모드, 멀티미디어 모드 등과 같이 각종 기능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아무 기능도 수행 하지 않고 있는 대기 상태를 말한다. 통화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메뉴 선택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자 요구에 따라 메뉴를 표시하고,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멀티미디어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VOD 또는 DM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상태를 말한다.Referring to FIG. 4, in operation 402, the main control unit 111 receives a sid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ide key 113-1 press by a user. In operation 404, the current mode is determined. Referring to FIG. 5,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a mode indicating a stat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tandby mode, a call mode, a menu selection mode, a multimedia mode, and the like. The standby mode refers to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no function. The call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a call function. The menu selection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nd selecting a menu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multimedia mode refers to a multimedia function execution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multimedia data such as VOD or DMB.

주제어부(111)는 현재 모드 판단 결과, 406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멀티미디어 모드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주제어부(111)는 만약 멀티미디어 모드이면 408단계에서 키패드 LED(113-3)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11)는 만약 멀티미디어 모드가 아니면 키패드 LED(113-3)를 온 시킨다. 그리고 나서 주제어부(111)는 412단계에서 사이드키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기 모드, 통화 모드, 메뉴선택 모드 등과 같이 키패드(113-2)의 이용 빈도가 높은 모드에서는 사이드키(113-1) 입력이 있더라도 키패드 LED(113-3)를 온시켜 키패드(113-2) 상의 키들에 대한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멀티미디어 모드 시와 같이 키패드(113-2) 상의 키들을 거의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이드키(113-1) 입력이 있더라도 키패드 LED(113-3)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current mode, the main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mode is the multimedia mode in step 406. The main control unit 111 keeps the keypad LED 113-3 off in step 408 in the multimedia mode. The main control unit 111 turns on the keypad LED 113-3 if it is not the multimedia mode. In operation 412, the main control unit 111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ide key input signal.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LED 113-3 is turned on even if the side key 113-1 is input in a mode where the keypad 113-2 is frequently used, such as a standby mode, a call mode, a menu selection mode, and the like. When the keys on the keypad 113-2 are rarely used, such as in the multimedia mode, and the side keys 113-1 are input, the keypad LEDs 113-3 can be easily recognized. Keep it off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drai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거의 이용하지 않는 모드에서는 키패드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동영상 출력 모드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모드 시와 같이 키패드상의 키 사용이 거의 필요없는 경우 사이드키가 눌려지더라도 키패드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by keeping the keypad LED off in a mode in which the keypad is rarel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battery consumption by keeping the keypad LED off even when the side key is pressed when the key on the keypad is hardly needed, such as in a multimedia mode such as digital broadcasting or video output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works.

Claims (5)

사이드키와 키패드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keypad LE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a side key and the keypad, 상기 사이드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side key input signal; 상기 사이드키 입력 신호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중인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mode currently being execu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ide key input signal; 상기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모드이면 상기 키패드의 LED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he LEDs of the keypad to be in an off state when the multimedia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multimedia function output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미디어 기능 수행 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media function execution mode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The method of controlling a keypad 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de for outputt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미디어 기능 수행 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media function execution mode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VOD(Video On Demand)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The method of controlling a keypad 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de for outputting video on demand (VOD) data.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사이드키는 볼륨 업/다운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The side key is a keypad LED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up / down key.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사이드키는 무음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LED 제어 방법.The side key is a keypad LED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lent key.
KR1020040060303A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KR101075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03A KR101075737B1 (en)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03A KR101075737B1 (en)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452A KR20060011452A (en) 2006-02-03
KR101075737B1 true KR101075737B1 (en) 2011-10-21

Family

ID=3712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303A KR101075737B1 (en)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7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62B1 (en) * 2006-04-25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291A (en) 2001-07-04 2003-01-1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Mobile telephone s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291A (en) 2001-07-04 2003-01-1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Mobile telephone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452A (en)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US9037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154521B2 (en) Mobile terminal
US6829494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0388213C (en) Application programe switch-over method and system
CN210041884U (en) Terminal device
EP2284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KR201100680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KR100699806B1 (en)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nd dynamic image
JP3658182B2 (en) Mobile phone terminal
KR10107573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emitteing diode of keypad in mobile terminal
KR10142644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273163A (en) Portable terminal
KR10066351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nabling other functions although output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rough external apparatus
US2008006833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keypad assembly
JP2010278689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07900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a wireless terminal
KR20050079475A (en) Method for changing power saving mode using power saving mode key in mobile phone
KR100856071B1 (en)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08981B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broad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60078883A (en) Method for directly performing a hotkey function appointed by a portable terminal user
KR100606077B1 (en)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0501078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JP3614846B2 (en) Mobile phone terminal
KR20050070542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