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077B1 -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077B1
KR100606077B1 KR1020050041354A KR20050041354A KR100606077B1 KR 100606077 B1 KR100606077 B1 KR 100606077B1 KR 1020050041354 A KR1020050041354 A KR 1020050041354A KR 20050041354 A KR20050041354 A KR 20050041354A KR 100606077 B1 KR100606077 B1 KR 10060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multimedia
transmission path
data transmission
volum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호착신에 의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통화 종료에 따라 다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재설정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 볼륨값에 따라 출력 볼륨값을 결정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 output volume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wherein a call connection is made by a call reception whil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Whe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gain at the end of the call, the output volum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ume value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outpu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is outpu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 기준 볼륨값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reference volume value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dio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 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 output volume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다수의 음원을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통신 수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핸즈프리 연결부, 이동 통신 단말의 벨소리 또는 MP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와 같은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통화 수화음 또는 음원등을 출력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은 각 음원 출력 수단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는 각각 출력 볼륨 값을 설정할 수 있는 볼륨 조절기를 구비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은 음원 데이터를 현재 설정된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응되는 볼륨 조절기에 설정된 볼륨값에 따라 출력한다. Generally,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For example, a receiv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handset, a hands-free connection unit,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such as a ringtone or an MP3 or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arphone connection unit for outputting the call receiver or sound source, etc. have. Accordingly,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output means, and each of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s has a volume controller for setting an output volume valu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a volume value set in a volum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through a currently set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상기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과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고, 출력할 음원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어폰 연결부를 통해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으면, 이어폰 연결부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가 설정된다. 그리고 어떤 외부 장치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수화음을 출력해야하는 경우에는 리시버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가 설정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출력해야하는 경우에는 스피커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 전송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볼륨값의 설정은 키조작등을 통한 사용자 요구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때문에, 각 음원 출력 장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볼륨값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may be set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o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source to be output. For example, when an earphone is connected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part,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earphone connection part is set. When it is necessary to output a communication tone when no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s set, and when it is necessary to outpu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is set. The setting of the volume value is made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through key operation or the like. Therefore, the volume value set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output device may have a different value. Accordingly, the following problem occur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있는 중이라면, 사용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화면을 보기 위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호가 착신되어 통화 연결을 하게 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이 출력될 수 있는 전송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통화를 하기 위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을 귀에 밀착시킨다. 이후, 통화가 종료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은 통신 수화음의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귀에 밀착했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려 한다. 그런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통화가 종료되자마자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을 귀에서 충분히 떨어뜨리기 전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설정된 볼륨값이 큰 경우에 사용자는 갑작스런 큰 소리에 놀라게 되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I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t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the user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view the scree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when a call is received and the call is connecte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and sets a transmission path through which a communication tone can be output. And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to make a call. Thereafter, when the call is terminate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mmunication sign tone and set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And the user tries to keep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However, sinc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established as soon as the call is terminate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before the user sufficiently drop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ear. At this time, when the volume value set i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large, the user may be surprised by a sudden loud sound and may feel uncomfortable.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서 안정적인 볼륨값으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with a stable volume valu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호연결 요구가 있으면 호를 연결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 이상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setting method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ing a broadcast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handset data transmission path, and when the connected call ends, blocking the communication handset data transmission path and resett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nd setting an output volume valu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s a reference volume value when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One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은 통신 제어부(10), 디지털 멀티미디 어 방송 처리부(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30), 키입력부(40), 베이스밴드처리부(50), 무선부(60), 오디오 처리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rst,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unit 30, a key input unit 40, a baseband processing unit 50, It comprises a wireless unit 60, an audio processing unit 70.

상기 통신 제어부(10)는 이동 통신 수행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키입력부(40)로부터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로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0)는 베이스밴드처리부(50)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와, 메모리(미도시 함)에 저장된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또는 벨소리 출력 등에 따른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and outputs the key input data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40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utputs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50 and digital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reproduction or ring tone output of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3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로 전달한다.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30 receiv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transmit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6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디코딩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미도시 함.)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80)로 출력한다.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decod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put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key data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0.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outputs image data included in the decod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80.

상기 무선부(60)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50)를 통해 통신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50)를 통해 통신 제어부(10)에 제공한다. The radio unit 6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The radio unit 60 modulat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hrough a baseband processor 50 into a radio signal and through an antenna. And demodulates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e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0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50.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50)는 무선부(60)과 통신 제어부(10)간에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를 한다.The baseband processing unit 50 performs baseband signal processing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adio unit 60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상기 키 입력부(40)는 0 ~ 9의 숫자 키들과, *, #키,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0)에 제공한다.The key input unit 40 is a menu, selection, call, clear, power / en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keys 0 to 9, *, # key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volume, shooting, and the like, and provi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with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상기 오디오처리부(70)는 출력 오디오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음원 출력 수단과 마이크와 접속하여,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0)로 출력하고, 통신 제어부(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에서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음원 출력 수단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 오디오부(80)는 상기 통신 제어부(10)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의 제어에 따라 내부적으로 음원 데이터 전송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통신 제어부(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에서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연결된 다수의 음원 출력 수단 중 설정된 전송경로에 대응하는 음원 출력 수단으로 출력한다.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상기 통신 제어부(10)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에 의해 설정된다. 즉, 전송 경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서만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의 제어에 의해서만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통신 제어부(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 모두의 제어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 부(20)의 제어에 의해서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동작에 따라 설정되어야할 전송경로와 관련하여 통신 제어부(10)에서 발생하는 제어 신호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로 입력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음원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출력될 음원 데이터의 종류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음원 데이터 출력을 위한 외부 장치의 연결 유무에 따라 결정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적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통화 호가 착신되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경로는 차단되고, 현재 조건에 따라 통신 수화음 전송경로가 설정된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설정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호착신에 의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통화 종료에 따라 다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재설정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 볼륨값에 따라 출력 볼륨값을 결정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경로에 대응하여 이전에 설정되어있는 출력 볼륨값과 상기 기준 볼륨값을 비교하여, 기준 볼륨값보다 크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상기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고, 기준 볼륨값보다 작으면 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경로에 대응하여 이전에 설정되어있는 출력 볼륨값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기준 볼륨값은 사용자의 청감에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값으로 정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제어부(1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The audio processing unit 70 includes an output audio unit 8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ound source output means and a microphone, and outputs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 And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re output to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output means. The output audio unit 80 internally sets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r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thu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the set transmission path among a plurality of connected sound source output mean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ound source data is set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r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That is, the transmission path may be configured to be set only by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r may be configured to be set only by the control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can be set under control of bo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being set by the control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s an example, and thus, in connection with the transmission path to be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at occurs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0 is input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sets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ound source dat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source data to be output and the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sponding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For example, if a call is received whil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nd a call connection is mad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blocked, and a communication tone transmission path is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condition. When the call end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set ag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connection is established by a call reception whil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gain at the end of the call, The output volum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volume value to outpu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hat is, the output volume value of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ume value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et output volume value with the reference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set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Set to the reference volume value, and if less than the reference volume value, and output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output volume value previously se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he reference volume value is determined as a value that does not cause discomfort to the user's hearing, and may be stor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r may be stored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출력 오디오부(80)의 구성을 도2에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오디오부(8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출력 오디오부(80)는 제어모듈(81)과, 집음부(83)와 다수의 입력 스위치(85,87)와, 다수의 출력 스위치(89, 91, 93, 95)와, 다수의 볼륨조절기(97, 99, 101, 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audio unit 80 is shown i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put audio unit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audio unit 80 includes a control module 81, a sound collecting unit 83, a plurality of input switches 85, 87, a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89, 91, 93, 95, and a plurality of volumes. Regulators 97, 99, 101, and 103.

상기 제어모듈(81)은 상기 통신 제어부(10)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입력 스위치(85,87)와, 다수의 출력 스위치(89, 91, 93, 95)의 on/off와, 다수의 볼륨조절기(97, 99, 101, 103)의 볼륨값을 제어하여, 음원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의 제어하에 음원 데이터 전송경로를 설정한다. The control module 81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input switches 85 and 87 and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89, 91, 93, and 95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r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 On / off and volume values of the plurality of volume controllers 97, 99, 101, and 103 to control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ound source dat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is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상기 다수의 입력 스위치(85,87)는 상기 제어 모듈(81)의 제어에 따라 on/off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제어부(10)와 집음부(83)를 연결하는 제1입력 스위치(85)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와 집음부(83)를 연결하는 제2입력 스위치(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입력 스위치(85)를 통해 통신 수화음 데이터와,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집음부(83)로 입력되 고, 상기 제2입력 스위치(87)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가 집음부(83)로 입력된다. 상기 디지털 음원 데이터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MP3 또는 벨소리와 같은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에 따라 생성되는 음원 데이터,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원 데이터등을 의미한다.The plurality of input switches 85 and 87 are turned on /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81, and connec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put switch 85 and a second input switch 87 connec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Accordingly, communication tone data and digital sound source data are input to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rough the first input switch 85,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switch 87. It is input to the note 83.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refers to sound source data generated by playing a music file or video file such as an MP3 or a ringtone stored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und source data generated by performing a multi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like.

상기 집음부(83)는 상기 다수의 입력 스위치(85,87)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연결된 다수의 볼륨 조절기(97, 99, 101, 103)로 출력한다.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outputs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input switches 85 and 87 to the plurality of volume controllers 97, 99, 101, and 103 connected thereto.

상기 다수의 볼륨 조절기(97, 99, 101, 103)는 상기 제어 모듈(80)의 제어에 따라 볼륨값을 설정하고, 다수의 출력 스위치(89, 91, 93, 95)에 대응되며, 상기 집음부(83)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설정된 볼륨값에 따라 대응되는 출력 스위치(89, 91, 93, 95)로 출력한다. 상기 다수의 볼륨 조절기(97, 99, 101, 103)의 볼륨값은 해당 볼륨 조절기가 현재 설정된 음원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포함될때, 사용자의 볼륨키 조작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상기 다수의 볼륨 조절기(97, 99, 101, 10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라 제1볼륨 조절기(97), 제2볼륨 조절기(99), 제3볼륨 조절기(101), 제4볼륨 조절기(103)로 이루어진다. The plurality of volume controllers 97, 99, 101, and 103 set volume valu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80, and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89, 91, 93, and 95.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sound unit 83 is output to the corresponding output switches 89, 91, 93, 95 according to the set volume value. The volume values of the plurality of volume controllers 97, 99, 101, and 103 are set in response to a user's volume key operation when the volume controller is included in a transmission path of currently set sound source data. The plurality of volume controllers 97, 99, 101, and 103 are the first volume controller 97,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the fourth volum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103.

상기 다수의 출력 스위치(89, 91, 93, 95)는 상기 제어모듈(81)의 제어에 따라 on/off되며, 상기 다수의 볼륨 조절기(97, 99, 101, 103)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연결된 음원 출력 수단으로 출력한다. 다수의 출력 스위치(89, 91, 93, 9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볼륨 조절기(97)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리시버(105)로 출력하는 제1출력 스위치(89)와, 제2볼륨 조절기(99)로부 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스피커(107)로 출력하는 제2출력 스위치(91)와, 제3볼륨 조절기(101)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이어폰 연결부(109)로 출력하는 제3출력 스위치(93)와, 제4볼륨 조절기(103)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핸즈프리연결부(111)로 출력하는 제4출력 스위치(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89, 91, 93, 95) is turned on /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81, and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volume controllers (97, 99, 101, 103) Output to the connected sound source output means. A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89, 91, 93, 95) and the first output switch 89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first volume regulator 97 to the receiver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utput switch 91 outputs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to the speaker 107 and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And a fourth output switch 95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fourth volume controller 103 to the hands-free connection unit 111.

상기와 같은 구조의 오디오 출력부(80)에서 음원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입출력될 음원 데이터의 종류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적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음원 데이터 출력과 관계되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한다. 즉, 이어폰 연결부(109) 또는 핸즈프리 연결부(111)에 이어폰 또는 핸즈프리가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한다. 그리고 현재 출력해야할 음원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한다. 만약, 이어폰이 이어폰 연결부(109)에 연결되어 있고, 이동 통신 연결에 따른 통신 수화음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음원 데이터의 경로 설정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이어폰이 이어폰 연결부(109)에 연결되어 있음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모듈(81)로 출력한다. 제어모듈(81)은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3출력 스위치(93)를 on 시킨다. 그리고 이동 통신에 따른 통화 상태가 설정됨에 따라 통신 제어부(10)는 이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로 통보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제어모듈(81)을 통해 제1입력 스위치(85)를 on 시킨다. 이에 따라 통신 수화음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통신 제어부(10), 제1입력 스위치(85), 집음부(83), 제3볼륨 조절기(101), 제3출력 스위치(95), 이어폰 연결부(109)로 설정된다. 상기 제3볼륨 조절기(101)의 볼륨값은 이때,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와 같은 음원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제3볼륨 조절기(101)를 포함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키를 조작하면, 키입력부(40)는 그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10)는 입력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로 출력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제어모듈(81)을 통해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볼륨 조절기(101)의 볼륨값을 설정한다. In the audio output unit 8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ound source dat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source data to be input / output and the type of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ly se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determines whether an external device related to sound source data output is connect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arphone or the handsfre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or the hands free connection unit 111. And it grasps the kind of sound source data to output currently. If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and outputs the communication tone data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path setting of the sound source data is as follow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determines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ng unit 109,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module 81. The control module 81 turns on the third output switch 93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As the call state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is se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notifi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receives the first input switch 85 through the control module 81. On).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mmunication sound signal data i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he first input switch 85,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the third output switch 95, and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Is set to). The volume value of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is determined at this time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volume key whil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ound source data is set to include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the key input unit 4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key input data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Will outpu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utputs the input key input data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controls the third volum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data through the control module 81. 101) to set the volume value.

상기와 유사한 과정으로 이어폰이 이어폰 연결부(109)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설정된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이어폰 연결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출력이라는 조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어모듈(81)로 출력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제2입력스위치(87), 집음부(83), 제3볼륨조절기(101), 제3출력 스위치(93), 이어폰 연결부(109)로 이루어지는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In a process similar to the abov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is set. That i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arphone connection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output to the control module 81, and receiv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input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The data transmission path sets a transmission path composed of the second input switch 87,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the third output switch 93, and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다른 예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음원 데이터 출력을 위한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통신 수화음의 전송 경로는 제1입력 스위치(85), 집음부(83), 제1볼륨 조절기(90), 제1출력 스위치(89)로 설정되고, 통신 수화음은 리시버(105)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음원 데이터 출력을 위한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디지털 멀티미 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제2 입력 스위치(87), 집음부(83), 제2볼륨 조절기(99), 제2출력 스위치(91)로 설정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107)를 통해 출력된다. As another example, when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is not connect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mmunication receiver sound may include a first input switch 85, a sound collector 83, and a first volume controller 90. ), The first output switch 89 is set, and the communication tone is output through the receiver 105. When the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is not connect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may include a second input switch 87, a sound collecting unit 83, and a second volume controller. 99, the second output switch 91 is set,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7.

상기 다른 예에서와 같이 설정되는 음원 데이터의 전송경로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통화 호가 착신되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경로는 차단되고, 현재 조건에 따라 통신 수화음 전송경로가 설정된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설정된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출력에 따라, 제2 입력 스위치(87), 집음부(83), 제2볼륨 조절기(99), 제2출력 스위치(91), 스피커(107)로 이어어지는 경로를 가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경로는 통화 연결에 따라 차단된다. 그리고 제1입력 스위치(85), 집음부(83), 제1볼륨 조절기(90), 제1출력 스위치(89), 리시버(105)로 이루어지는 통화 수화음 전송경로가 설정된다. 이후,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 수화음 전송경로는 차단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재설정된다. 이때, 재설정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는 전송경로 설정 조건에 변화가 없다면, 통화 연결 이전에 설정된 전송 경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지만, 전송경로 설정 조건에 변화가 생기면, 그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경로가 설정된다. 즉, 전송경로 설정 조건에 변화가 없다면, 제2 입력 스위치(87), 집음부(83), 제2볼륨 조절기(99), 제2출력 스위치(91), 스피커(107)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 송경로가 재설정되고, 이어폰 연결 등으로 인한 전송경로 설정 조건이 변화된다면, 제2입력스위치(87), 집음부(83), 제3볼륨조절기(101), 제3출력 스위치(93), 이어폰 연결부(109)로 이루어지는 전송 경로가 재설정된다.  I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ound source data set as in the other example, if the call is received while the call is received whil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being output,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is blocked, depending on the current condition. A communication tone transmission path is set. When the call end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set again. That i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t has a path leading to the second input switch 87, the sound collector 83,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the second output switch 91, the speaker 107.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blocked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Then, a call back tone transmission path including the first input switch 85,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e first volume controller 90, the first output switch 89, and the receiver 105 is set. Then, when the call ends, the call back tone transmission path is blocked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t this tim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to be rese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path set before the call connectio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transmission path setting condition. The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set. That is,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transmission path setting conditio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sisting of the second input switch 87,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the second output switch 91, and the speaker 107 If the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nd the transmission path setting condition is changed due to earphone connection, the second input switch 87,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e third volume controller 101, and the third output switch 93 ), The transmission path consisting of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109 is reset.

그리고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경로의 출력 볼륨값은 상기 기준 볼륨값과의 비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2입력 스위치(87), 집음부(83), 제2볼륨 조절기(99), 제2출력 스위치(91), 스피커(107)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경로가 재설정된다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과 상기 제2볼륨 조절기(99)에 설정된 볼륨값을 비교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상기 제2볼륨 조절기(99)에 설정된 볼륨값이 기준 볼륨값보다 크면, 상기 제2볼륨 조절기(99)의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는 기준 볼륨값에 따라 출력된다. 만약, 상기 제2볼륨 조절기(99)에 설정된 볼륨값이 기준 볼륨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볼륨 조절기(99)에 설정된 볼륨값을 유지한다. The output volume value of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olume value. For example, i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consisting of the second input switch 87, the sound collecting unit 83,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the second output switch 91, and the speaker 107 is rese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volume value with the volume value set in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When the volume value set in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ume valu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or 20 sets the volume value of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as the reference volume value, and accordingly, the digital multimedia The broadcast audio data is output according to the reference volume value. If the volume value set in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ume value, the volume value set in the second volume controller 99 is maintain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볼륨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201단계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203단계에서 호착신이 있으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통신 제어부(10)로부터 호착신이 있음을 통보받아, 호착신이 있음을 감지하고 205단계로 진 행한다. 2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호 연결 요구가 있으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207단계로 진행한다. 207단계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로를 설정하고 209단계로 진행한다. 209단계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호가 종료되면 211단계로 진행한다. 211단계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고 213단계로 진행한다. 213단계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과 기준 볼륨값을 비교하여, 출력 볼륨값이 기준 볼륨값 이상이면 215단계로 진행하고, 출력 볼륨값이 기준 볼륨값보다 작으면 217단계로 진행한다. 215단계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201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217단계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20)는 연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볼륨값을 유지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201단계로 리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setting the volume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d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output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 step 201. Thereafter, if the call is received in step 203,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is notified of the call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detects the call and proceeds to step 205. If there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in step 205,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proceeds to step 207. In step 207,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block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sets a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and proceeds to step 209. In step 209, if the call end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proceeds to step 211. In step 211,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blocks the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reset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nd proceeds to step 213. In step 213,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compares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with the reference volume value, and proceeds to step 215 when the output volum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ume value. If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ume value, the flow proceeds to step 217. In step 215,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sets the output volume value of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s the reference volume value, output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and returns to step 201. In operation 217,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20 maintains the volume value set in the connect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to outpu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and returns to step 20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호착신에 의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통화 종료에 따라 다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재설정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 볼륨값에 따라 출력 볼륨값을 결정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connection is made by a call reception whil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gain at the end of the call, The output volum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ume value to outpu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호착신에 의한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통화 종료에 따라 다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가 재설정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 볼륨값에 따라 출력 볼륨값을 결정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connection is made by a call reception whil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gain at the end of the call, By output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by determining an output volume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ume valu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signal is stably output.

Claims (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volume setting method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호연결 요구가 있으면 호를 연결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while outputt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onnecting a call, cutting of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nd setting a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상기 연결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는 과정과, When the connected call is terminated, blocking the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and reset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 이상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setting an output volume valu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s a reference volume value when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Way.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volume setting method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호가 착신되고 사용자로부터 호연결 요구가 있으면 호를 연결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and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the call is connecte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disconnected, and a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is set; 상기 연결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는 과정과, When the connected call is terminated, blocking the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and reset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과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볼륨값보다 크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omparing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with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volume value, and setting the output volume valu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as a reference volume value when i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olume value. Method comprising a proce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보다 작으면 상기 출력 볼륨값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maintaining the output volume value when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장치에 있어서, In the volume setting devic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오디오 처리부로 출력할 음원 데이터의 종류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연결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장치의 종류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적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결정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호연결 요구가 있으면 호를 연결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연결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 이상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와, The sound source data is correspondingly corresponding to a type of sound source data to be output to an audio processor, a type of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connect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 a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onnect a call if there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while output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block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set a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When the signal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sound signal data transmission path is blocke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nd if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DMB processing unit for setting the output volume of the hair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based on the volume value, and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의 제에 따라 내부적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 전송경로와 해당 전송 경로의 볼륨값을 설정하여,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연결된 다수의 음원 출력 수단 중 설정된 전송경로에 대응하는 음원 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Set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and the volume value of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ath internally accor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ing unit, and output the input sound source data to the sound sourc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the set transmission path among a plurality of connected sound source output means. And an audio process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처리부는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보다 작으면 상기 출력 볼륨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cessor maintains the output volume value when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장치에 있어서, In the volume setting devic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오디오 처리부로 출력할 음원 데이터의 종류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에 연결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장치의 종류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적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결정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호연결 요구가 있으면 호를 연결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 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연결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통신 수화음 데이터 전송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 이상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의 출력 볼륨값을 기준 볼륨값으로 설정하는 통신 제어부와, The sound source data is correspondingly corresponding to a type of sound source data to be output to an audio processor, a type of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connect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 a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onnect a call if there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while output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block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set a communication tone data transmission path, When the call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tone signal data transmission path is interrupte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reset, and if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D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for setting the output volume of the hair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based on the volume value, 상기 통신 제어부의 제에 따라 내부적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 전송경로를 설정하여,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연결된 다수의 음원 출력 수단 중 설정된 전송경로에 대응하는 음원 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nd an audio processor configured to internally set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output the input sound source data to a sound sourc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a set transmission path among a plurality of connected sound source output means.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설정된 출력 볼륨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 볼륨값보다 작으면 상기 출력 볼륨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maintains the output volume value when the output volume value set in the res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dio data transmission path is smaller than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volume value.
KR1020050041354A 2005-05-17 2005-05-17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06060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354A KR100606077B1 (en) 2005-05-17 2005-05-17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354A KR100606077B1 (en) 2005-05-17 2005-05-17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077B1 true KR100606077B1 (en) 2006-07-28

Family

ID=3718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354A KR100606077B1 (en) 2005-05-17 2005-05-17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07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2009026407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lume adjusting method for audio device
MX2007010781A (en) Integration of fixed wireless terminal with broadcast radio receiving devices.
US8532312B2 (en) Mobile device having acoustic shock prevention circuit and related operation method
KR100677186B1 (en)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call while operating multimedia job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06077B1 (en) Method for setting volume in digital multimedi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060005240A (en) (a) cell phone for having function of brodacasting display and method of contorlling the same
KR1007365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90099B1 (en) Method for performing back ground music communication service in wireless termina
US200602869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mike sens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51402B1 (en) Method for blocking arrival of the signal
KR1007626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lume controlling in a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937405B1 (en)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file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2006009580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 mode control function used gps and method of auto control mode
KR20020001345A (en) Method for displaying reception
KR100474183B1 (en) A mobile radio for mobile wireles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87973B1 (en) Method For Control of Speaker Operater On/Off in Mobile Phone
KR100606002B1 (en) Method for receiving of broadcast radio frequency in mobile phone
KR200199010Y1 (en) A potable telephone having radio receiving function
KR20060028910A (en) System for muting auto of audio/video devi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uting auto thereof
KR20040093244A (en) Wireless terminal and its method for changing mode by being connected with audio device
KR1015003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te function
KR2007008260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pan call of landscape view mode and the method
KR100762661B1 (en) Method for studying in wireless telephone
KR20000040558A (en) Method for receiving radio broadcasting in portable phone inserting radio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