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842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842A
KR20050107842A KR1020040032582A KR20040032582A KR20050107842A KR 20050107842 A KR20050107842 A KR 20050107842A KR 1020040032582 A KR1020040032582 A KR 1020040032582A KR 20040032582 A KR20040032582 A KR 20040032582A KR 20050107842 A KR20050107842 A KR 20050107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ersonal informatio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민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842A/en
Publication of KR2005010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84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통화 기능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가 통화불능 지역에서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모드전환에 의해, 본래의 무선 이동통신 기능과는 별도의 정보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불능 지역에서의 모드전환에 따라 무선통신 신호의 처리동작이 중지되는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과, 통신불능 지역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모드전환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에 대한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 수단, 이동통신 단말모드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개인정보 단말모드에 따른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불능 지역 진입에 따라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여 상기 전원 단속 수단을 제어함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메모리 수단의 개인정보 단말모드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한 개인정보 입력 및 조회 기능만이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device separate from the original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by changing the mode to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in which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a voice call func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input and inquire personal information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Provided are a functional mode control apparatus for a wireless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which enable application to a wireless network.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for stopping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in the communication reg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by mode switch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region A power storage means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battery power to the processing means, a related software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associated software program for input and inquiry of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interruption means by switching to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n incommunicable area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and ente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of the memory means. Only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inquiry function by related software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a microprocessor which enables line.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Function mod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wireles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의 본래 기능인 무선 이동통신 기능과는 별도로 개인정보의 활용을 위한 정보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mode of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to an information device for utilizing personal information separately from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is an original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It relates to a functional mode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주지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무선 단말기로서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휴대형 기기로서, 이는 해당 단말기의 고유 기능인 음성통화 기능 및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구비함과 더불어, 각종 개인정보의 생성과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개인정보 기기로서의 기능도 아울러 갖추고 있다. As is well know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as a representative wireless terminal is a user portable device for performing a wireless voice call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which is a voice call function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are inherent functions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o having a function as a personal informatio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inputting and inquiring of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음성통화 기능과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의 구현을 위해, 이동 통신망과의 통신 채널 형성에 의해 무선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무선모뎀 장치와, 이동 전화번호 및 문자메시지를 위한 문자/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음성통화의 진행을 위한 이동 전화번호의 입력상태와 문자메시지의 입력 및 수신 상태, 단말기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의 실행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박형 액정표시소자가 적용된 표시부, 음성 통화에 따른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implement the wireless voice call function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by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modem device, and a letter / number for a mobile phone number and a text message. Keypad for input, display unit with a th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visually display the input state of mobile phone number, the input and reception state of text message, and the execution state of various functions applied to the terminal for voice call, voice call It consists of a speaker for voice output, a microphone for voice inpu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 기능인 무선 음성통화 기능 및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과 연동이 가능하거나, 해당 무선통신 기능과는 별도로 갖추어진 개인정보 기기의 구현을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여 동영상이나 정지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입력 및 편집 기능과, 주소록 관리 기능, 메모 기능, 게임 기능, 계산기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추고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a wireless voice call function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are inherent functions, or to implement a personal information device equipped with a separat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t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multimedia information input and editing function, and address book management function, memo function, game function, calculator function, etc., to capture a video.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역이나 공간의 특성상 무선 음성통화나 무선 데이터통신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는 통화불능 지역에 위치하거나, 로밍이 허용되지 않는 외국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기능의 실행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과의 무선접속 채널을 찾기 위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역방향 채널을 통해 전송함에 의한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의 소모가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a wireless voice call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allow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r space, or is located in a foreign country where roaming is not allowed,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turned off. In the on state, the wireless battery call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are maintained, while the unnecessary battery by continuously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the reverse channel to find the wireless access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s cau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통화 기능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가 통화불능 지역에서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모드전환에 의해, 본래의 무선 이동통신 기능과는 별도의 정보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ituation, and an object thereof is a mode of a personal terminal mode in which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a voice call func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input and inquire personal information in an area where no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mode control apparatus for a wireless terminal and a method for enabling application to an information device separate from the original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통신불능 지역에서의 모드전환에 따라 무선통신 신호의 처리동작이 중지되는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함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모드에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모드전환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에 대한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 수단, 이동통신 단말모드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개인정보 단말모드에 따른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 및,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불능 지역 진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모드로부터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여 상기 전원 단속 수단을 제어함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메모리 수단의 개인정보 단말모드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한 개인정보 입력 및 조회 기능만이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to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stopped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in the communication region Means and a power intermittent means for intercepting the supply of battery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by changing the mod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incommunicable area; Memory means that stores a related software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and a related software program for inputting and inquiring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nd moves according to entry into an incommunicable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rupt the power by switching from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nd controlling the mean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and configured to execute only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inquiry function by a software program rela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of the memory means. Provided is a function mode control apparatus for a wireless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모드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하면, 이동통신 단말모드에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여 무선통신 관련 회로부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기능을 제외한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기능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단말모드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진입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진입하면, 개인정보 단말모드로부터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norm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uncommunicable are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If it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it is impossible, only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mod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o cut off the battery power supplied to the circuit part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putting and inquiring personal information except for the related func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Enabling the use,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state,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normal operation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nsisting of mode switch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It provides the function mod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That is,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nction mode control apparatus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 장치는, 키입력부(10)와, 표시부(12), 프로그램 메모리(14), 데이터 메모리(16), 마이크로 프로세서(18), 디지털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20), 디지털 카메라(22), 베이스밴드 변환부(24), 스피커(26), 마이크로폰(28), RF신호 처리부(30), 전원 배터리(32), 전원 회로부(34), 스위칭부(36)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mode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display unit 12, a program memory 14, a data memory 16, a microprocessor 18, and a digital signal.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20, Digital Camera 22, Baseband Converter 24, Speaker 26, Microphone 28, RF Signal Processor 30, Power Battery 32, Power Source The circuit part 34 and the switching part 36 are comprised.

상기 키입력부(10)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해당 무선 단말기의 통화불능 지역 진입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자동 전환시에 통화가능 지역으로의 진입에 따른 무선 음성통화 또는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확인 기능버튼을 포함한다.The key input unit 10 is provided with a number button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 character button displaying a character for inputting text data,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menu, etc. And a communication confirmation function button for confirming whether the wireless voice call o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is available according to the entry into the callable area at the time of automatic switch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ccording to the area entry.

상기 표시부(12)는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해당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이는 통화가능 지역에서 적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모드 하에서의 무선 음성통화 또는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포함한 일반적인 기능실행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통화불능 지역에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의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제외한 개인정보 입력 및 조회 기능의 실행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The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he degree of use of the power,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 the date and the time, and this is the wireless voice call und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applicable to a callable area. In addition, it displays the execution status of general functions including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execution statu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inquiry function except the wireless voice call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which is automatically switched in the non-call area. Will be displayed.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14)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각종 데이터 정보의 송수신과, 단문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해 구동되는 통신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무선통신 기능과는 별도로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다양한 기능(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기능, 메모 기능, 게임 기능, 계산기 기능, 시계 기능, 주소록 관리 기능 등)의 수행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program memory 14 allows a telephone call to be made to the other party wirelessl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s a communication software program that is driven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information and to transmit and receive short and voice messages. In addi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ere is an application software program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e.g., digital camera function, memo function, game function, calculator function, clock function, address book management function, etc.) that can input and search personal information. It is stored.

상기 데이터 메모리(16)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연산동작에 따라 수행되는 이동통신 단말 모드 하에서의 실행 가능한 기능이나,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에 관련된 연산데이터를 갱신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The data memory 16 is for storing the operational data related to the function execut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or the function executable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8. .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키입력부(10)의 키입력에 의한 호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그 호 접속 요구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22)로 전달하여 상대방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TX DATA),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의 수행에 따라 패킷 데이터의 무선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산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바, 이는 상기 RF신호 처리부(30)에 의한 무선 접속 채널의 탐색 기능에 따라 해당 단말기가 통화불능 지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이동통신 단말 모드로부터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자동적으로 모드를 전환시켜서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제외하고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만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스위칭부(36)를 제어하여 개인정보 단말 모드에 따라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에 관련된 회로부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command by the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0 is input, the microprocessor 18 transmit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data to the baseband conversion unit 22 so that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is possible. (TX DATA), and performs a calculation process for enabling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wireless access channel by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30.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for more than a certain time, th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mobile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except for the wireless voice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to only input and inquiry, the control unit 36 controls the wireless voice call and wireless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he power supply to the circuit part rela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function so that block.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단말기의 모드가 전환된 상태에서, 해당 단말기가 통화가능 지역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키입력부(10)의 통신 확인 키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스위칭부(36)를 제어하여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통신 기능에 관련된 회로부에 배터리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일정 시간동안 무선접속 채널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무선접속 채널의 탐색 결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의 무선접속 채널의 통신이 가능한 통화가능 지역이면 이동통신 단말모드로의 자동적인 모드전환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the mode of th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he microprocessor 18 switches the communication confirmation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0 for confirm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has entered the callable area. The unit 36 controls the wireless access channel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it portion related to the wireless voice call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If the available communication area of the wireless access channel of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mobile terminal mode is automatically performed.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20)는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24)와 송수신하는 오디오 데이터(SPEECH)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 performs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encoding or decoding audio data SPEECH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aseband converter 24, and removes noise of a multipat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performs an equalization function for perform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on the moving image or still image data captured by the digital camera 22.

상기 디지털 카메라(22)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장착되고서, 단말기 주변 영상을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20)에 제공한다. The digital camera 22 is additionally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hotographs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terminal as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and provide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24)는 상기 스피커(26), 마이크로폰(28) 및 RF신호 처리부(30)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하여 RF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하거나, 해당 RF신호 처리부(30)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하여 디지털신호 처리부(20)로 출력한다. The baseband converter 24 converts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with the speaker 26, the microphone 28, and the RF signal processor 30 into a baseband signal, and performs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analog-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And converts the transmission message data TX DATA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18 into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TXIQ and outputs it to the RF signal processor 30 or from the RF signal processor 30. The received received message signal RXIQ is converted into received message data RX DATA and outpu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

상기 RF신호 처리부(30)는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출력하거나, 그 안테나로부터 인가된 RF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4)로 출력한다.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30 converts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outputs it to an antenna, or converts an RF signal applied from the antenna into a reception message signal (RXIQ) and converts it into a baseband conversion unit 24. Will output

한편,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24)와 RF신호 처리부(30)를 포함한 단말기의 무선통신 관련 회로부는 스위칭부(36)를 통해서 전원 회로부(34)로부터의 동작전원 인가 여부를 단속받도록 되어 있는 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모드에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위칭부(36)가 스위칭 오프됨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어 작동이 중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related circuit portion of the terminal including the baseband converter 24 and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30 is to be intercepted whether the opera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unit 34 through the switching unit 36 is intermittent. When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s the switching unit 36 is switched off, the operation power is not supplied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상기 전원 회로부(34)는 상기 전원 배터리(32)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해당 무선 단말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회로부와,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관련 회로부에 사용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The power circuit unit 34 converts and supplies the batter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battery 32 into an available circuit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and a voltage usable in the related circuit unit for input and inquiry of personal information. do.

상기 스위칭부(36)는 상기 전원 회로부(34)로부터의 동작 전원을 베이스밴드 변환부(24)와 RF신호 처리부(30)를 포함한 무선통신을 위한 곤련 회로부에 공급하는 상태를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서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모드로부터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면 스위칭 오프되어 무선통신 관련 회로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switching unit 36 supplies a state of supplying opera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unit 34 to the training circu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the baseband converter 24 and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30.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rough the microprocessor 18, when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18, the switching is turned off to block the operation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circuit unit.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모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통화 기능과, 단문메시지 기능, 음성메시지 기능, 무선인터넷 기능과 같이 무선통신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능이 수행 가능하고, 디지털카메라 기능과, 메모 기능, 게임 기능, 계산기 기능, 시계 기능, 주소록 관리기능 등과 같이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능도 수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as shown in Figure 2, a voice call function, a short message function, a voice message function, such as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can perform a software function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digital camera function, Software functions such as memo function, game function, calculator function, clock function, address book management function, etc.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개인정보 단말모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을 위한 기능을 제외한 여타의 기능 즉, 디지털카메라 기능과, 메모 기능, 게임 기능, 계산기 기능, 시계 기능, 주소록 관리기능 등과 같이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능만이 수행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s shown in Figure 2, other functions except for the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digital camera function, memo function, game function, calculator function, clock function, address book management function, etc. Only software functions capable of inputting and inquiring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 상기 표시부(12) 상에 표시되는 기능 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 시계보기, 주소록 관리, 메모, 게임, 계산기 등과 같이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기능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표시되고, 개인정보 단말모드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무선접속 채널의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 확인 기능도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un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is for inputting and inquir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digital camera, a clock view, address book management, a memo, a game, a calculator, and the like. The function is displayed to enable the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firmation function for enabling the search of the radio access channel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state is also displayed.

한편, 상기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 일정 시간동안의 무선접속 채널 탐색결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의 무선접속 채널의 통신이 가능한 통화가능 지역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모드로의 자동적인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2) 상에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모드로 복귀합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if the area where the radio access channel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s a result of the radio access channel search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icroprocessor 18 automatically ente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While the in-mode switch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4, a message such as "return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모드 상태에서 대기중인 경우에(단계 S10),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안테나와 RF신호 처리부(30)를 통한 이동 통신망의 무선접속 채널에 대한 탐색 결과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Firs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ait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state (step S10), the microprocessor 18 moves to the search result for the radio access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nd the RF signal processor 3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communicable area (step S1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이동 통신망의 무선접속 채널에 대한 탐색 결과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모드를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자동적으로 모드전환을 시켜서 스위칭부(36)를 스위칭 오프시킴에 따라(단계 S12), 무선통신을 위한 음성통화 기능과, 단문메시지 기능, 음성메시지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을 제외한 개인 정보의 입력 및 조회 기능에 해당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과, 메모 기능, 게임 기능, 계산기 기능, 시계 기능, 주소록 관리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uncommunicable region as a result of the search for the wireless access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icroprocessor 18 automatically switch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By switching off and switching off the switching unit 36 (step S12), it corresponds to a voice call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short message function, a voice message function, and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inquiry function except the wireless Internet function. The digital camera function, the memo function, the game function, the calculator function, the clock function, and the address book management function can be used only (step S13).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 키입력부(10)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키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36)를 일정시간동안 스위칭 온시키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4)와 RF신호 처리부(30)의 무선통신 관련 회로부에 대한 동작을 인에이블시켜서 통신불능이 해제되는 조건에 해당되는 무선접속 채널이 탐색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4).In the meantime, the microprocessor 18 performs a key input for confirm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 communication area by a user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0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 radio access channel corresponding to a condition in which communication is canceled by switching on the unit 36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unit rela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band converter 24 and the RF signal processor 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is is searched (step S1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이동 통신망의 무선접속 채널 탐색 결과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서 통신불능 해제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개인정보 단말모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모드로 모드전환을 수행하여 상기 스위칭부(36)가 스위칭 온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회로부에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무선통신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icroprocessor 18 moves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communicable area and meets the communication disabl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radio access channel sear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switching unit 36 maintains the switching on state by performing the mode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he operating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relevant circuit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various software func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re performed. Is activated (step S1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s, bu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substitutions or additions are common in the art Those who have knowledge will easily understand.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replacement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불능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단말기의 모드를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기능을 제외한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만이 가능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PDA 기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통화불능 지역에서의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무선통신에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개인정보 기기로서의 기기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the PDA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hat can only input and inquire personal information except related func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PDA By enabling the use of functions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a call-free area, and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ing the device as a personal information device even if the function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used. It will have the effect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nction mode control apparatus for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전환 상태를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mode switching state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불능 지역에서의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전환상태에 따른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in the area where the call is unavail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mode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키입력부, 12:표시부,10: key input unit, 12: display unit,

14:프로그램 메모리, 16:데이터 메모리,14: program memory, 16: data memory,

18:마이크로 프로세서, 20:디지털신호 처리부,18: microprocessor, 20: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디지털 카메라, 24:베이스밴드 변환부,22: digital camera, 24: baseband conversion unit,

26:스피커, 26:마이크로폰, 26: speaker, 26: microphone,

30:RF신호 처리부, 32:전원 배터리,30: RF signal processing unit, 32: power battery,

34:전원 회로부, 36:스위칭부. 34: power supply circuit section, 36: switching section.

Claims (7)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통신불능 지역에서의 모드전환에 따라 무선통신 신호의 처리동작이 중지되는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과,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process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pping process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mode change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함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모드에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의 모드전환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에 대한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 수단, Pow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battery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by changing the mod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incommunicable area; 이동통신 단말모드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개인정보 단말모드에 따른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 및, Memory means for storing a related software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and a related software program for inputting and inquiring personal information in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불능 지역 진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모드로부터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여 상기 전원 단속 수단을 제어함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메모리 수단의 개인정보 단말모드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한 개인정보 입력 및 조회 기능만이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n incommunicable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by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means,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memory means. And a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only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inquiry functions by a software program related to the terminal mo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모드전환되는 개인정보 단말모드는 음성통화 기능과, 단문메시지 기능, 음성메시지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의 무선통신에 관련된 기능을 제외한 모든 개인정보입력 및 조회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hat is switched mode in the microprocessor is configured to perform all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inquiry functions except the voice call function, the short message function, the voice message function, and the function rela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function. A functional mode control apparatus for a wireless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능 지역 진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갖춘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It further comprises a key input unit having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a key input for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callable area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부의 통신가능 지역 확인 키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전원 단속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신호 처리수단에서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통신망의 무선접속 채널을 탐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The microprocessor controls the power interruption means to search for a wireless access channe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receiving the battery power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when there is a communication possible region confirmation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Functional mode control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모드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In a norm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incommunicable are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불능 지역에 위치하면, 이동통신 단말모드에서 개인정보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여 무선통신 관련 회로부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무선통신을 위한 관련 기능을 제외한 개인정보의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한 기능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제 2단계,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incommunicable area,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mobile terminal m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o cut off the battery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related circuit unit and input personal information except for the related func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step of making only the functions that can be queried available; 상기 개인정보 단말모드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진입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 및,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communication area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진입하면, 개인정보 단말모드로부터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모드로 모드전환하는 제 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방법.And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mode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to the norm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개인정보 단말모드 하에서 제외되는 무선통신을 위한 기능은, 음성통화 기능과, 단문메시지 기능, 음성메시지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방법.In the second step, the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excluded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mode, corresponds to a voice call function, a short message function, a voice message function, and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Way.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3단계는, 사용자의 통신가능 지역 확인을 위한 키입력 조작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가능 지역에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방법.The third step is a function mode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by a key input operation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3단계에서, 이동 통신망의 무선접속 채널 탐색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가능 지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방법.In the third step,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 mode of th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by the search of the wireless access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20040032582A 2004-05-10 2004-05-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KR200501078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82A KR20050107842A (en) 2004-05-10 2004-05-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82A KR20050107842A (en) 2004-05-10 2004-05-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842A true KR20050107842A (en) 2005-11-16

Family

ID=3728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582A KR20050107842A (en) 2004-05-10 2004-05-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84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68B1 (en) * 2006-05-11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0797485B1 (en) * 2007-01-09 2008-01-23 엄성욱 Cellular phone which has a pause function for the meeting ti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68B1 (en) * 2006-05-11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0797485B1 (en) * 2007-01-09 2008-01-23 엄성욱 Cellular phone which has a pause function for the meeting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286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telephone calling emergency call
JP4101213B2 (en) Voice call method, voice call program, and voice call device
JP4024444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US20060142052A1 (en) Dual-mode GSM/PHS mobile phone adopting a single antenna
JP424091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52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Annunci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055272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phone
KR200501078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KR20070001625A (en) Method for searching usage log of data service and voice communic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448266B1 (en) Method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memo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39131A (en)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1196997A (en) Portable phone
KR1004136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jecting a receiving call and method thereof,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receiving call reject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JP2011061846A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ellular phone terminal
KR10062175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phone number list and its method
KR20020014587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the Function of Interface with Other Devices
KR1005944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WiFi type having a voltage sourc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40099636A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KR20040033685A (en) Control method for LCD display in mobile
JP200219076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system
KR20050070542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KR20090091928A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user interface module comprised in the terminal device,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for the terminal device
KR101394278B1 (en) Method for execut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KR1008346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ring phone book data
KR10045213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mo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