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340B1 -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340B1
KR101075340B1 KR1020090027842A KR20090027842A KR101075340B1 KR 101075340 B1 KR101075340 B1 KR 101075340B1 KR 1020090027842 A KR1020090027842 A KR 1020090027842A KR 20090027842 A KR20090027842 A KR 20090027842A KR 101075340 B1 KR101075340 B1 KR 10107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ath
unit
calcula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9289A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09002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340B1/en
Publication of KR2010010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천정 및 벽면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청소영역의 상태를 로봇몸체로 무선송신하여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여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실내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의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와;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상기 실내의 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해당 세부영역별 이물질 존재 여부 및 오염도 상태를 판단하여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27842

로봇 청소기, 오염도, 이물질, 경로이탈, 경로설정, 실시간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wirelessly transmitting a state of a cleaning area detected by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on a ceiling and a wall of a room to a robot body to reduce contamination of foreign sub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perform cleaning by calculating and calculating an optimal cleaning path based on the calcula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 ceiling of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room; The state of the room is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d the subdivided into subdivided areas, and the optimum cleaning path is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pollution level of the subdivided areas, and clea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Robot body to per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cleaning efficiently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performing the cleaning more simply and effectively.

Figure R1020090027842

Robot Cleaner, Pollution Degree, Foreign Material, Deviation, Routing, Real Time

Description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Robot cleaner with real-time cleaning detection and its control method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본 발명은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천정 및 벽면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청소영역의 상태를 로봇몸체로 무선송신하여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여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eign body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state of a cleaning area detected by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on a ceiling and a wall of a room to a robot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apable of effectively cleaning by calculating a pollution degree and calculating an optimum cleaning path based on the contamination lev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인 가정용 기기는 홈오토메이션의 구현을 위하여 자동화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면, 청소기의 경우도 자동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로봇이 등장하였다. In general, home appliances are being automated to implement home auto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leaner, a cleaning robot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has emerged.

이러한 청소로봇은 사용자가 미리 인식된 패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인식된 패턴은 청소작업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 청소작업 영역은 실내 환경, 즉, 아파트의 설계 구조나 평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므로, 청소영역의 인식은 청소로봇의 자동화를 위한 중요한 기술로서 이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The cleaning robot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while the user moves along a previously recognized pattern, where the recognized pattern means information on the cleaning work area. Since the cleaning work area has a wide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indoor environment, that is, the design structure or the number of floors, the recognition of the cleaning area is an important technology for the automation of the cleaning robot.

청소로봇의 청소영역 인식기술은 로봇몸체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하여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일정 패턴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The cleaning area recognition technology of the cleaning robot is a general method to recognize the position in the area through various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robot body and to move it by a predetermined pattern based on thi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를 해야할 곳의 상태와 상관없이 청소영역 전체를 일률적으로 청소하므로 불필요한 동작이 수행되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uniformly cleans the entire cleaning area irrespective of the state of the place to be cleaned, so unnecessary operations are performed and thus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만 청소를 수행하여 수동적이며, 청소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이 고려되지 않아 능동적으로 청소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is only performed by the user's setting and is passi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eaning is not actively performed because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cleaning state is not 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청소할 영역의 상태를 무선송신하는 감지부를 구비하고 실시간으로 로봇본체에 전송하여 실내의 종합적인 상태정보에 기초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detection unit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state of the area to be cleaned and transmits to the robot body in real time to effectively clean according to the optimal cleaning path based on the comprehensive state information of the roo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 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와;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상기 실내의 상태를 무선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실내 상태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 및 오염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산출된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와, 상기 세분영역 정보, 상기 최적 청소경로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영상처리부 및 경로산출부의 결과에 따라 청소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loor of the ro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indoor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on walls and ceilings of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indoor state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ubdividing the indoor area into sub-regions based on the received indoor state image, and calculating the presence and contamination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A path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optimal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based on the calculated pollution degree, a storage unit storing the subdivision area information, the optimal cleaning pa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informa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path And a robot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는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와; 상기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 및 오염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산출된 결과를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영상처리부 및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주 감지부와, 상기 주 감지부로부터 상기 실내의 상태를 무선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산출된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와, 상기 세분영역 정보, 상기 최적 청소경로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경로산출부의 결과에 따라 청소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 floor of a ro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on the walls and the ceiling of the room;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loor of the room,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ubdividing the room into sub-areas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nd calculating the presence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a communication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ain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receiving the state of the room from the main sensing unit, and the calculation A path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 optimum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on the basis of the pollution level, a storage unit storing the subdivision area information, the optimum cleaning pa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cl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ath calculat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감지부의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세부영역을 연속 감지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of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may control the photographing unit to periodically detect the subregions periodically or according to a set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봇본체는 상기 세부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청소영역을 입력받는 터치패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obot body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for displaying the detail area and receiving a cleaning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세부영역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애물 및 상기 이물질 존재여부와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a detailed area based on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d calculate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and the foreign matter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산출부는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인 세부영역의 최단 이동경로, 상기 오염도 순서에 따른 최단 이동경로, 설정된 청소시간에 대응하는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의 최단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를 최적 청소경로로 산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th calculation unit may select any one of the shortest moving path of the detailed area in which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shortest moving path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rder, and the shortest moving path of the detailed area having an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set cleaning time. The optimal cleaning path can be calcul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실내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를 판별하고, 움직임이 일정시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로봇본체의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른 청소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mag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room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movemen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of the robot main body controls the cleaning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can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봇본체의 제어부는 상기 로봇본체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경로이탈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경로산 출부가 현재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main body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main body is driv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h is off, the path calculation unit determines the optimal cleaning path based on the current state. Can be recalculated.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청소영역 및 청소모드 설정을 상기 로봇본체로 무선송신하는 리모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leaning area and the cleaning mode setting input by the user to the robot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정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로봇본체로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키입력부 및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mote controller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to which setting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robot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key input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로봇본체가 다수의 감지부에서 감지된 실내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는 세분화 단계와; 상기 세부영역별로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상기 로봇본체가 청소를 수행하는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a subdividing step of receiving a state of a room detected by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d subdividing the room into detailed areas;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for each of the sub-regions, and calculating a pollution degree of the foreign substances; Calculating an optimum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based o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foreign matter; And performing the cleaning by the robot main bod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세부영역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애물 및 상기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는 오염도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and the foreign object by generat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detailed area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 It may include a pollution degre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erial based on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세부영역을 연속 감지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termining may periodically detect the detail area according to continuous detection or a set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인 영 역을 산출하는 영역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된 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 또는 오염도 순서에 따른 최단 이동경로를 최적 청소경로로 산출하는 제 1 경로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lculating step includes calculating an area in which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calculating the shortest moving path or the shortest moving path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rder for the calculated area as the optimum cleaning path. A first path calculation step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 단계는, 설정된 청소시간에 대응하는 적정오염도를 산출하는 기준산출 단계와,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가 상기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최적 청소경로로 산출하는 제 2 경로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lculating step includes a referenc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 appropriate pollu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set cleaning time, and a second path for calculating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the detailed area having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equal to or more than the optimum pollution degree as the optimum cleaning path. The calculating step may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소 단계는 상기 실내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leaning step may perform clean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if the movement of the room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소 단계는 상기 로봇본체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정상적으로 주행중인지를 감지하는 경로이탈감지 단계와, 상기 로봇본체가 최적 청소경로를 이탈한 경우 현재의 상태를 기초로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하는 재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leaning step includes a path devia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robot main body is normally drive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and an optimal cleaning based on a current state when the robot main body deviates from the optimum cleaning path. It may include a retrieval step of retrieving a route.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은 청소를 수행하기 전에 청소할 영역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청소할 영역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robot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ehensively determine the state of the area to be cleaned and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area to be cleaned before performing the cleaning to calculate the optimum cleaning path, thereby cleaning the cleaning. By doing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청소영역에 대한 청소 상태의 변동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갑자기 이물질이 발생된 영역만 부분적으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청소할 영역의 위치를 로봇본체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부분을 우선 청소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changes in the cleaning state of the cleaning area in real time to clean only the area in which the foreign matter suddenly occurred, quickly and simply,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using a portable transmission device robot By first cleaning the portion that the user wants to clean by transmitting to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leaning more simply and effectively,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로봇 청소기(10)는 실내의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100)와, 다수의 감지부(100)로부터 상기 실내의 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청소영역을 인식하고, 영역별 상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본체(200)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청소영역을 설정하는 리모컨(300)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 recognizes the cleaning area by wirelessly receiving the state of the room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100 and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100 that detect the state of the room, and optimally according to the state of each area. The robot main body 200 performs the cleaning by calculating the cleaning path, and the remote control 300 sets the cleaning area by the user's input.

청소영역의 실시간 감지Real time detection of cleaning area

감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되며, 청소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와 무선통신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로봇본체(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3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detector 100 is installed on a wall and a ceiling of the room, and captures an image for a cleaning area, a photographing unit 110, a photographing unit 11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main body 200.

촬영부(110)는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예를 들면 3D 스캔 카메라일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10)는 청소영역에 대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10 acquires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floor of the room, and may be, for example, a 3D scan camera. Here,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capture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of the cleaning area.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청소영역에 대한 상태 정보로서 무선통신부(130)를 통하여 로봇본체(200)로 전송한다.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to the robot main body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s state information on the cleaning area.

또한,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의 감지동작을 제어하는데, 청소영역을 연속 감지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지적으로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10, and controls to detect the cleaning area continuously or to detect the cleaning area in accordance with a preset time by the user.

무선통신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 즉 상태정보를 로봇본체(200)로 무선송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wirelessly transmits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that is,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robot main body 200.

이물질 판단 및 오염도와 최적 청소경로 산출Determination of foreign substance and calculation of pollution level and optimal cleaning path

로봇본체(200)는 감지부(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210)와,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220)와, 경로산출부(250)에서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청소영역을 세분화하여 세부영역별 이물질 존재 여부 및 오염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240)와, 영상처리부(240)의 처리결과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250)와, 청소영역에 대한 정보의 표시 및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는 터치패드(260)와, 사용자에 의한 설정정보 및 영상처리부(240)와 경로산출부(250)의 산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The robot main body 200 may be cleaned according to the optimal cleaning path calcul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for communicating with the detection unit 100, the sensor unit 220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The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the image processing unit 240 for subdividing the cleaning area to calculate the presence and contamination of foreign matter by sub-area, and the path for calculating the optimal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240. The calculator 250, the touch pad 260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cleaning area and the user setting are input, the setting information by the user, and the calcul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processor 240 and the path calculator 250 are stored. The storage unit 270 is included.

무선통신부(210)는 다수의 감지부(100)로부터 실내의 상태를 무선수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wirelessly receives a state of the room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100.

센서부(220)는 로봇본체(200)의 청소 주행시 최적 청소경로상의 장애물을 감지한다.The sensor unit 220 detects an obstacle on an optimum cleaning path when the robot main body 200 runs for cleaning.

제어부(230)는 영상처리부(240) 및 경로산출부(250)의 처리결과에 따라 청소 수행을 제어한다. 즉, 영상처리부(240)에서 아무런 움직임이 일정시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 동안 사람 또는 애완동물 등 청소에 방해가 되는 물체가 이동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30)는 경로산출부(250)에 의해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자동으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30 controls cleaning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image processor 240 and the path calculator 250. That is, when no movement is detected in the image processor 240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an object that obstructs cleaning such as a person or a pet does not move for a set time, the controller 230 calculates a path. The clean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timum cleaning path calculated by 250.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즉, 청소영역이 리모컨(300)에 의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거나, 터치패드(260)를 통하여 입력되는지를 감지하고, 설정된 영역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directly sets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controller 230 detects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input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or detects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input through the touch pad 260, Control to perform cleaning accordingly.

또한, 제어부(230)는 로봇본체(200)가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경로이탈로 판단하는 경우 또는 장애물에 의해 주행이 방해된 경우, 경로산출부(250)로 최적 청소경로의 수정을 요청하여 재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main body 200 is travel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h is off or the vehicle is disturbed by the obstacle,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is optimal. By requesting the correction of the cleaning path, it is controlled to drive according to the optimal cleaning path.

영상처리부(240)는 감지부(100)에서 수신된 실내 상태의 영상을 기초로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는데, 청소할 영역에 대한 다수의 영상을 청소가 용이한 정도로 수십 개의 세부영역으로 나누어서 각 세부영역의 정보를 획득한다. The image processor 240 subdivides the room into sub-areas based on the image of the indoor state received by the sensor 100, and divides the plurality of images of the area to be cleaned into dozens of sub-areas to the extent that it is easy to clean. Obtain information of the area.

또한, 영상처리부(240)는 획득된 영상에 의해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처리부(240)는 다수의 감지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와 이전 정보를 비교하여 세부영역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정보, 예를 들면, 명도, 채도, 무게중심, 윤곽, 외관모양, 크기, 높이, 면적, 부피를 산출하고, 각 세부영역에서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청소대상인 이물질인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40 determines whether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exist based on the acquired image. That is, the image processor 240 compares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00 with prev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a detailed area, for example, brightness, saturation, center of gravity, outline, Appearance shape, size, height, area, volume are calcula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detected in each detail area is an obstacle or a foreign object to be cleaned.

또한, 영상처리부(240)는 이물질의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이물질에 대한 오염도를 산출하는데, 상기 산출된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이물질에 대한 오염도를 설정된 단계에 따라 수치화하고, 제어부(230)에 의해 그 결과를 저장부(270)에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40 calculates the pollution degree for the foreign mat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matter exists, and quantifies the pollution degree for th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the set step by using the calculated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230. The resul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또한, 영상처리부(240)는 로봇본체(200)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감지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기초로 실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the robot main body 200 performs the cleaning, the image processor 24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motion in the room based on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ensor 100,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230. .

경로산출부(250)는 영상처리부(240)에서 산출된 오염도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데, 청소모드가 최적경로 모드인 경우, 이물질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인 세부영역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calculates an optimal cleaning path according to a cleaning mod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pollution degree calculated by the image processor 240. When the cleaning mode is the optimum path mode, the detail area whose contamination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set. Bay is extracted and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the extracted area is calculated.

또한, 청소모드가 오염도 순서 모드인 경우, 경로산출부(250)는 산출된 오염도의 순서를 정렬하여 오염도가 높은 영역부터 낮은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 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mode is the pollution degree order mode, the route calculation unit 250 calculates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arranging the calculated pollution degree to move from the region of high pollution degree to the region of low pollution degree.

또한, 청소모드가 시간 설정모드인 경우, 경로산출부(250)는 설정된 청소시간, 예를 들면, 5분 청소, 10분 청소, 20분 청소, 30분 청소, 45분 청소 및 1시간 청소 등 설정된 단계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 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mode is the time setting mode, the route calculation unit 250 sets the cleaning time, for example, 5 minutes cleaning, 10 minutes cleaning, 20 minutes cleaning, 30 minutes cleaning, 45 minutes cleaning, 1 hour cleaning,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et steps,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the detailed area corresponding to the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or more is calculated.

여기서, 급속청소 모드, 즉, 청소를 단시간 내에 완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동청소 모드의 설정값보다 높게 설정된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완전청소 모드, 즉, 장시간이 소요되지만 완 전 청소를 원하는 경우에는 자동청소 모드의 설정값보다 낮게 설정된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 In this case, when the rapid cleaning mode, that is, the cleaning is to be completed within a short time, the detail region having the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higher than the set value of the automatic cleaning mode is extracted and the shortest moving path is calculated. However, if complete cleaning is desired, the shortest moving path is calculated by extracting the detailed area that is higher than the proper pollution level set lower than the setting value of the automatic cleaning mode.

또한, 경로산출부(250)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영역을 선택한 정보를 제어부(230)를 통하여 터치패드(260) 또는 리모컨(300)으로부터 수신하면, 설정된 청소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path calculator 250 calculates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the set cleaning area when the user directly receives the information on which the cleaning area is selected from the touch pad 260 or the remote controller 300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또한, 경로산출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로봇본체(200)의 경로이탈에 대한 수정을 요청받으면, 현재의 실내 상태를 기초로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한다. In addition, when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receives a request for the correction of the path deviation of the robot main body 200 from the control unit 230,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recalculates the optimal cleaning path based on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터치패드(260)는 영상처리부(240)에 의해 세분화된 세부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특정 청소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세부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된다.The touch pad 260 displays the subdivided area subdivided by the image processor 240.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set a specific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a user selection for the displayed detail area is input.

저장부(270)는 실내의 세분화된 세부영역에 대한 영역정보(272)와, 청소모드에 따라 경로산출부(250)에서 산출된 경로정보(274)와, 청소모드 및 청소기준 오염도 등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276)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270 provides the user with the area information 272 for the subdivided detailed area of the room, the path information 274 calculated by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the cleaning mode and the cleaning standard pollution degree. The setting information 276 set by this is stored.

리모컨(300)은 리모컨(300)은 사용자가 직접 청소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청소영역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데, 키입력부(330)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정보를 로봇본체(200)로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310)와, 무선통신부(310) 및 키입력부(330)를 제어하는 제어부(320)와, 청소영역 및 청소모드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이 입력되는 키입력부(330)를 포함한다. When the user wants to directly set the cleaning area, the remote controller 3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area,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30 to the robot main body 2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key input unit 330, and a key input unit 330 to which the user's settings, such as cleaning area and cleaning mode is inpu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가 감지기능을 갖는 로봇 청소기(10)는 로봇본체(200)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된 감지부(100)로부터 실내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청소 영역의 크기와 청소를 해야 하는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각 세부영역에 대한 오염도를 실시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단위로 주기적으로 감지한다. 이때, 로봇본체(200)는 세부영역의 오염도와 장애물의 정보와 사용자의 청소 설정을 기초로 청소하기 전에 청소할 영역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다.The robot cleaner 10 having th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om from the sensing unit 100 in which the robot main body 2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and uses the same. It is subdivided into the size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detail area to be cleaned, and the pollution level of each detail area is detect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y user set time. At this time, the robot main body 200 comprehensively determines the state of the area to be cleaned before cleaning based on the pollution degree and obstacle information of the detailed area and the cleaning setting of the user.

로봇본체(200)는 설정에 의한 청소할 영역의 우선순위를 기초로 최적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며, 청소할 영역에 대한 청소 상태의 변동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갑자기 이물질이 발생된 청소 영역만 부분적으로 긴급하게 청소를 수행한다. The robot main body 200 calculates the optimum movement path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area to be cleaned by setting and performs the cleaning accordingly, and detects the change of the cleaning state for the area to be cleaned in real time and cleans the foreign substance suddenly. Only areas are urgently cleaned.

또한, 리모컨(300) 및 터치패드(26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청소영역 설정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청소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area setting is received by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300 and the touch pad 260, the shortest movement path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area is calculated, and the cleaning is performed accordingly.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영상처리부를 제외한 구성이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20)는 로봇본체(500)에 영상처리부를 구비하지 않고, 영상처리부(422)를 구비한 주 감지부(4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주 감지부(400)는 다수의 감지부(100)와 유사하게, 촬영부(410)와, 제어부(420)와, 무선통신부(430)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 및 오염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422) 를 포함한다. The robot clean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n image processor in the robot body 500, and further includes a main sensor 400 having an image processor 422. That is, the main sensing unit 400,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00, together with the photographing unit 410, the control unit 4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detail the room based on the captured im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422 is divided into regions and calculates the presence and contamination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여기서, 로봇본체(500)는 다수의 감지부(100)와는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주 감지부(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오염도 정보와 함께 청소를 수행하여야 할 위치정보를 수신한다.Here, the robot main body 500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00, but communicates with the main sensing unit 400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to be cleaned together with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having a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 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로봇본체(200)가 다수의 감지부(100)에서 수신된 실내의 상태에 따라 청소영역을 세분화하는 세분화 단계(단계 S301)와, 세부영역별로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는 판단 단계(단계 S302)와, 산출된 이물질의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단계 S303)와,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로봇본체(200)가 청소를 수행하는 수행 단계(단계 S304)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dividing step (step S301) in which the robot body 200 subdivides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om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00,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for each subregion and debris. Determination step (step S302) of calculat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step, calculation step (step S303) of calculating the optimum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based o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and the robot main bod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um cleaning path ( 200 includes a performing step (step S304) of performing cleaning.

영역 세분화Zone segmentation

먼저, 청소영역 세분화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청소영역 세분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rst, a specific method of subdividing the cleaning area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area segmentation method of FIG. 4.

천장 및 벽면 등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100)로부터 청소대상 영역의 상태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401). 여기서, 감지부(100)는 청소대상 영역에 대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촬영한다.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i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00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wall (step S401). Here, the detection unit 100 captures a video and a still image of the cleaning target area.

로봇본체(200)의 영상처리부(240)는 촬영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감지된 전체 영역을 청소가 용이한 정도의 수십개의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한다(단계 S402).The image processing unit 240 of the robot main body 200 subdivides the entire detected area based o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to dozens of detailed areas of easy cleaning (step S402).

영상처리부(240)가 전체 영역에 대한 세부영역정보를 제어부(230)에 의해 저장부(270)에 저장한다(단계 S403). The image processor 240 stores the detailed region information of the entire area in the storage unit 270 by the controller 230 (step S403).

이물질 감지 및 오염도 산출Foreign object detection and pollution calculation

도 6은 도 4의 감지 및 판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nsing and determining method of FIG. 4.

먼저, 설정에 따라 청소영역의 감지를 수행한다(단계 S501).First, the cleaning area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setting (step S501).

여기서, 감지부(100)는 세부영역을 연속감지하거나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unit 100 may continuously detect the detailed area or periodically according to a set time.

영상처리부(240)가 감지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와 이전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세부영역별로 변경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502),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변경정보가 이물질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03).The image processor 240 compare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detector 100 with previous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change information for each subregion (step S502), and if the change information exists, the corresponding change information is displaye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due to foreign matter (step S503).

즉, 영상처리부(240)는 다수의 감지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세부영역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정보, 예를 들면, 명도, 채도, 무게중심, 윤곽, 외관모양, 크기, 높이, 면적, 부피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장애물인지 이물질인지를 판단하여 이물질이라고 판단한 경우, 생성된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기초로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한다(단계 S504).That is, the image processor 240 may us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area, for example, brightness, saturation, center of gravity, outline, and appearance by us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00. , Size, height, area, volume are genera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matter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an obstacle or foreign matte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oreign matt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generated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tep S504).

이때 산출되는 오염도는 이물질에 대한 오염의 정도를 설정된 단계에 따라 수치화하여 산출한다. The pollution degree calculated at this time is calculated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 set step.

이와 같이 산출된 상태 정보 및 오염도가 저장부(270)에 저장된다(단계 S505).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pollution degre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step S505).

한편, 단계 S502에서, 해당영역에 변경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세부영역에 대하여 변경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고, 단계 S503의 판단결과, 변경정보가 이물질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변경정보가 장애물인 경우, 단계 S502로 복귀하여 다른 세부영역에 대한 판별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502, if there is no chang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are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change information for other subregions,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3 that the change information is not foreign matter, for example, If the information is an obstacl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02 to determine other subregions.

다음으로 모든 영역에 대한 판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506), 모든 영역에 대한 판별이 완료된 경우에는 단계 S501과 동일하게 설정에 따라 청소영역의 감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ation of all the regions is completed (step S506). When the determination of all the regions is completed, the cleaning region is repeatedly detect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501.

단계 S606의 판단결과 모든 영역에 대한 판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02로 복귀하여 다른 세부영역에 대한 판별을 수행한다. If the determination of step S606 does not complete the determination of all the region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02 to determine the other subregions.

최적 청소경로 산출Optimal cleaning path output

도 7은 도 4의 최적 청소경로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최적 청소경로 산출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mal cleaning path of FIG. 4,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mal cleaning path of FIG. 7.

경로산출부(250)가 저장부(270)에 저장된 세부영역별 오염도를 독출하여 확인한다(단계 S601).The route calculation unit 250 reads and confirms the pollution degree for each subreg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step S601).

현재의 청소모드가 자동청소 모드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602), 자동청소 모드인 경우, 경로산출부(250)는 이물질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인 영역을 산출한다(단계 S603).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cleaning mode is the automatic cleaning mode (step S602), and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cleaning mode, the route calculation unit 250 calculates an area where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value (step S603).

다음, 경로산출부(250)는 산출된 영역에 대한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한다(단 계 S604).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모드가 최적경로 모드인 경우, 로봇본체(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산출된 영역(오염도 5이상)에 대하여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오염도 순서 모드인 경우, 오염도가 높은 영역에서부터 낮은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 Next,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calculates an optimal cleaning path for the calculated area (step S604). He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etting mode is the optimum path mode, the shortest movement path is calculated for the area (pollution degree 5 or mor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obot main body 200, and the pollution degree order mode is used. In this case,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moving from the high pollution area to the low area is calculated.

단계 S602의 판단별과, 현재의 청소모드가 자동청소 모드가 아닌 경우,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사용자 모드로서, 예를 들면, 리모컨(300) 또는 터치패드(260)로부터 청소시간이 설정된 경우, 경로산출부(250)는 설정된 청소시간을 확인하고 설정된 청소시간에 대응하는 적정오염도를 산출한다(단계 S605). When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2 and the current cleaning mode is not the automatic cleaning mode, that is, as a user mode by the user's setting, for example, when the cleaning time is set from the remote control 300 or the touch pad 260. The route calculating unit 250 checks the set cleaning time and calculates an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set cleaning time (step S605).

예를 들면, 청소소요 시간에 따라 5분 청소, 10분 청소, 20분 청소, 30분 청소, 45분 청소, 1시간 청소 등의 설정된 단계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오염도 수준을 적정오염도로 산출한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cleaning time, the corresponding pollution level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t level of 5 minutes cleaning, 10 minutes cleaning, 20 minutes cleaning, 30 minutes cleaning, 45 minutes cleaning, 1 hour cleaning and the like.

여기서, 급속청소 모드, 즉, 청소를 단시간 내에 완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동청소 모드의 설정값보다 높게 적정오염도를 산출하고, 완전청소 모드, 즉, 장시간이 소요되지만 완전 청소를 원하는 경우에는 자동청소 모드의 설정값보다 낮게 적정오염도를 산출한다. Here, the rapid cleaning mode, that is, when the cleaning is to be completed within a short time, the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is calculated higher than the setting value of the automatic cleaning mode, and the complete cleaning mode, that is, it takes a long time, but when the complete cleaning is desired, the automatic cleaning mode. Calculate the appropriate contamination level below the set value of.

다음, 경로산출부(250)는 이물질의 오염도가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한다(단계 S606).Next, the path calculation unit 250 calculates the shortest movement path for the detailed area in which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is more than the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step S606).

청소수행Cleaning

도 9는 도 4의 청소수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eaning performing method of FIG. 4.

먼저, 로봇본체(200)의 제어부(230)는 설정된 청소모드를 확인한다(단계 S801).First, the control unit 230 of the robot main body 200 checks the set cleaning mode (step S801).

현재의 청소모드가 자동청소 모드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802), 자동청소 모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영상처리부(240)에서 실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803), 실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04).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cleaning mode is the automatic cleaning mode (step S802), and in the automatic cleaning mode,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of the room is detected by the image processor 240 (step S803). If it is determined that no motion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804).

단계 S803 및 단계 S804의 판단결과, 움직임이 감지되었거나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03으로 복귀하여 계속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3 and step S804, if the motion is detected or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803 to continuously detect the motion.

단계 S804의 판단결과,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예를 들면, 사람 또는 애완동물 등 청소에 방해가 되는 물체의 움직임이 일정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은 경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한다(단계 S8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of an object that obstructs cleaning such as a person or a pe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clea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Step S805).

단계 S802의 판단결과, 현재의 모드가 자동청소 모드가 아닌 경우,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806), 사용자의 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지를 감지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2, if the current mode is not the automatic cleaning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user setting (step S806), and if there is no user setting, it is continuously detected whether there is a user setting.

단계 S806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 경우, 즉,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300) 또는 터치패드(260)를 통하여 청소영역이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청소영역에 대하여 최단 이동경로를 산출하여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한다(단계 S8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6, when there is a user setting, that is, when the cleaning area is set by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300 or the touch pad 260, the shortest moving path is calculated for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The optimal cleaning path is recalculated (step S807).

다음으로, 단계 S805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재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한다. Next, the flow advances to step S805 to perform cl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optimal cleaning path re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designation.

한편, 이와 같이 최적 청소경로에 의해 청소가 수행되는 도중 로봇본체(200) 가 최적 청소경로를 이탈하거나 장애물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의 청소수행 방법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leaning is performed by the optimum cleaning path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how to perform the cleaning when the robot main body 200 is out of the optimum cleaning path or obstructed by obstacles.

도 10은 도 4의 청소수행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leaning method of FIG. 4.

먼저, 로봇본체(200)가 청소모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경로산출부(250)에서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한다(단계 S901).First, the robot main body 200 performs cleaning according to the optimum cleaning path calculated by the path calculating unit 250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or the user setting (step S901).

제어부(230)는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로봇본체(200)가 정상적으로 주행중인지를 감지하여 정상 주행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902), 정상 주행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주행상태를 감지한다.The controller 230 detects whether the robot main body 200 is driving normall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step S90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is normal, continuously detects the driving state.

단계 S902의 판단결과, 로봇본체(200)가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주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예를 들면, 로봇본체(200)가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를 이탈하거나, 최적 청소경로상의 장애물에 의해 정상주행이 되지 않는 경우, 경로산출부(250)는 현재의 상태를 기초로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한다(단계 S90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90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bot main body 200 does not travel according to the optimum cleaning path, for example, the robot main body 200 deviates from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or is normal due to an obstacle on the optimum cleaning path. If the vehicle is not running, the route calculating unit 250 recalculates the optimum cleaning route based on the current state (step S903).

예를 들면, 기산출된 최적 청소경로 상의 다음위치로 이동하도록 최적 청소경로를 변경하거나, 장애물을 우회하는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하고 다시 청소를 수행한다.For example, the optimum cleaning path may be changed to move to the next position on the previously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or the optimal cleaning path bypassing the obstacle may be recalculated and the cleaning may be performed again.

제어부(230)는 로봇본체(200)가 청소를 종료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904),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02로 진행하여 최적 청소경로에 따른 주행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청소를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 로봇본체(200)를 원래의 위치 또는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청소수행을 종료한다.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main body 200 has finished cleaning (step S904). If not,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S902 and continuously detects the driving state according to the optimum cleaning path, and ends the cleaning. When it is determined, the robot body 200 is controlled to move to the original position or the set position, and the cleaning operation is finish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청소영역 세분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area segmentation method of FIG. 4;

도 6은 도 4의 감지 및 판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ec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FIG. 4.

도 7은 도 4의 최적 청소경로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mal cleaning path of FIG. 4.

도 8은 도 7의 최적 청소경로 산출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alculating an optimal cleaning path of FIG. 7.

도 9는 도 4의 청소수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9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cleaning method of Figure 4,

도 10은 도 4의 청소수행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leaning method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로봇 청소기 100 : 감지부10: robot cleaner 100: detector

110: 촬영부 200 : 로봇본체110: photographing unit 200: the robot body

240 : 영상처리부 250 : 경로연산부240: image processing unit 250: path computing unit

260 : 터치패드 300 : 리모컨 260: touch pad 300: remote control

Claims (19)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loor of the ro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in the wall and ceiling of the room; ;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상기 실내의 상태를 무선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실내 상태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 및 오염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산출된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와, 상기 세분영역 정보, 상기 최적 청소경로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영상처리부 및 경로산출부의 결과에 따라 청소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본체;를 포함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indoor state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ubdividing the indoor area into sub-regions based on the received indoor state image, and calculating the presence and contamination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A path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optimal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based on the calculated pollution degree, a storage unit storing the subdivision area information, the optimal cleaning pa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informa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path Robot cleaner compris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a; the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loor of the ro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in the wall and ceiling of the room; ; 상기 실내의 바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 및 오염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산출된 결과를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영상처리부 및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주 감지부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loor of the room,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ubdividing the room into sub-areas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nd calculating the presence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A main sensing unit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상기 주 감지부 및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상기 실내의 상태를 무선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산출된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경로산출부와, 상기 세분영역 정보, 상기 최적 청소경로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경로산출부의 결과에 따라 청소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본체;를 포함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indoor state from the main sens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 path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n optimal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based on the calculated pollution degree, and the subdivision area information A robot body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ptimum cleaning pa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operation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path calculating unit, and performing clean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다수의 감지부의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세부영역을 연속 감지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control unit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 is a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unit to detect the sub-region periodically or in accordance with a set tim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로봇본체는 상기 세부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청소영역을 입력받는 터치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robot main body includes a touch pad for displaying the detailed area and receiving a cleaning area, wherein the robot cleaner has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세부영역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애물 및 상기 이물질 존재여부와 오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a detailed area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d calculates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and the foreign substance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Robot cleaner equipped with.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경로산출부는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인 세부영역의 최단 이동경로, 상기 오염도 순서에 따른 최단 이동경로, 설정된 청소시간에 대응하는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의 최단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를 최적 청소경로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path calculating unit may be any one of the shortest moving path of the detailed area whos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shortest moving path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rder, and the shortest moving path of the detailed area having an appropriate pollution degree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set cleaning time.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by.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실내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를 판별하고, 움직임이 일정시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로봇본체의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른 청소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imag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room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movemen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of the robot main body controls to perform clean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Robot cleaner with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로봇본체의 제어부는 상기 로봇본체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경로이탈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경로산출부가 현재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controller of the robot main body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main body is runn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robot is out of the path, recalculating the optimal cleaning path based on the current state. Robot cleaner with real-time cleaning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청소영역 및 청소모드 설정을 상기 로봇본체로 무선송신하는 리모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And a remote contro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leaning area and the cleaning mode setting input by the user to the robot main body.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정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로봇본체로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키입력부 및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key input unit to which setting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robot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key input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obot cleaner equipped. 로봇본체가 다수의 감지부에서 감지된 실내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를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는 세분화 단계와;A subdividing step of subdividing the room into sub-areas by receiving a state of the room detected by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by the robot main body; 상기 세부영역별로 장애물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는 판단 단계와;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foreign substances for each of the sub-regions, and calculating a pollution degree of the foreign substances;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를 기초로 설정된 청소모드에 따라 최적 청소경로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Calculating an optimum cleaning path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set based o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foreign matter;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상기 로봇본체가 청소를 수행하는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And a step of performing the cleaning by the robot main bod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다수의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세부영역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애물 및 상기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2차원 및 3차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를 산출하는 오염도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The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obstacle and the foreign object by generat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a detailed area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d the two-dimensional and And a pollution degre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pollu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on the basis of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세부영역을 연속 감지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The determining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sub-region periodically or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인 영역을 산출하는 영역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된 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 또는 오염도 순서에 따른 최단 이동경로를 최적 청소경로로 산출하는 제 1 경로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The calculating step may include an are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 area in which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nd a first path calculation of calculating the shortest moving path or the shortest moving path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rder for the calculated area as an optimum cleaning path.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the step.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산출 단계는, 설정된 청소시간에 대응하는 적정오염도를 산출하는 기준산출 단계와, 상기 이물질의 오염도가 상기 적정오염도 이상인 세부영역에 대한 최단 이동경로를 최적 청소경로로 산출하는 제 2 경로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The calculating step may include a referenc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proper pollution level corresponding to a set cleaning time, and a second path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hortest moving path for a detailed region in which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oreign mat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ptimal pollution degree.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having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a.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청소 단계는 상기 실내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 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The cleaning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cleaning path if the movement of the room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청소 단계는 상기 로봇본체가 상기 산출된 최적 청소경로에 따라 정상적으로 주행중인지를 감지하는 경로이탈감지 단계와, 상기 로봇본체가 최적 청소경로를 이탈한 경우 현재의 상태를 기초로 최적 청소경로를 재산출하는 재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The cleaning step includes a path devia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robot main body is normally drive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um cleaning path, and an optimal cleaning path based on a current state when the robot main body deviates from the optimum cleaning path. Shipp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with a real-time cleaning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the step of reloading.
KR1020090027842A 2009-03-31 2009-03-31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KR101075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842A KR101075340B1 (en) 2009-03-31 2009-03-31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842A KR101075340B1 (en) 2009-03-31 2009-03-31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289A KR20100109289A (en) 2010-10-08
KR101075340B1 true KR101075340B1 (en) 2011-10-19

Family

ID=4313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842A KR101075340B1 (en) 2009-03-31 2009-03-31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3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87B1 (en) * 2012-05-04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hull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37906B1 (en) * 2014-12-11 2016-07-20 시아오미 아이엔씨. Methods, device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learing garb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32B1 (en) * 2011-03-31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sustem
KR101856502B1 (en) * 2011-04-07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1534005B1 (en) * 2013-07-16 2015-07-06 주식회사 유진로봇 System for cleaning user defined area using cleaning robot and method thereof
KR102093710B1 (en) * 2013-08-23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KR102351062B1 (en) * 2015-04-01 2022-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KR101697557B1 (en) 2015-07-28 2017-01-18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Dust measurement apparatus and robot cleaner included the apparatus
DE102016215525A1 (en) * 2016-08-18 2018-02-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KR101759275B1 (en) 2017-01-09 2017-07-17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US11471016B2 (en) * 2018-05-11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leaning operation
US11457788B2 (en) 2018-05-1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leaning operation
KR20190135394A (en) * 2018-05-11 2019-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leaning operation
WO2020055125A1 (en) * 2018-09-10 2020-03-19 주식회사 미로 Cleaner capable of distinguishing cleaned area
CN109288455B (en) * 2018-09-21 2022-03-04 北京智行者科技有限公司 Garbage cleaning method and device
KR102224638B1 (en) * 2019-07-31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494B1 (en) * 1997-07-10 1999-08-02 최진호 Vacuum cleaner controller
JP2005205028A (en) * 2004-01-23 2005-08-04 Sharp Corp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494B1 (en) * 1997-07-10 1999-08-02 최진호 Vacuum cleaner controller
JP2005205028A (en) * 2004-01-23 2005-08-04 Sharp Corp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87B1 (en) * 2012-05-04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hull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37906B1 (en) * 2014-12-11 2016-07-20 시아오미 아이엔씨. Methods, device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learing garbage
US9862098B2 (en) 2014-12-11 2018-01-09 Xiaomi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leaning garb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289A (en)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340B1 (en)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WO2018087951A1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RU2220643C2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automatic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system (versions)
US9597804B2 (en) Auto-cleaning system,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leaning robot
KR102021833B1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843139B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11402850B2 (en) Robotic cleaning device with operating speed variation based on environment
EP3432107A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75176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JP5805841B1 (en) Autonomous mobile body and autonomous mobile body system
KR101753361B1 (en) Smart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cleaning robot
GB2394795A (en) Robot cleaner
KR20130029852A (en) Cleaning robot for enabling set up data of cleaning area and verification of after cleaning real cleaning area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938642B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20230123512A1 (en) Robotic cleaning device with dynamic area coverage
KR20190089794A (en) Moving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75639A (en) Collaborative robotic control system
JP2007317112A (en) Self-propelled device and self-propelled cleaner
US11137769B2 (en) Autonomous traveler and travel control method i'hereof
JP7173846B2 (en) Vacuum cleaner control system, autonomous vacuum cleaner, cleaning system, and vacuum cleaner control method
JP2008276731A (en) Routing apparatus for autonomous mobile unit
EP232571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vement of robotic device using video signal
US20210191415A1 (en) Area profile map learning for robotic device
KR20230115158A (en)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7915817A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