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275B1 -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275B1
KR101759275B1 KR1020170002903A KR20170002903A KR101759275B1 KR 101759275 B1 KR101759275 B1 KR 101759275B1 KR 1020170002903 A KR1020170002903 A KR 1020170002903A KR 20170002903 A KR20170002903 A KR 20170002903A KR 101759275 B1 KR101759275 B1 KR 10175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rface
robot cleaner
dust
amoun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3955A (en
Inventor
허주표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17000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275B1/en
Publication of KR2017001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염도를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청소 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 본체와, 상기 충전장치 본체 하우징의 상부 면에 노출되어 있는 윈도우 면과,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 수납되어 상기 윈도우 면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출력인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 면의 상부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여 전송하거나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개시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염도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생성된 청소개시명령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capable of autonomously starting cleaning by judging a degree of contamination, comprising: a charging apparatus main body for charging a robot cleaner;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urface,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light, which is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based on the intensity 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dust, The amount of dust is transferred to the robot cleaner, or the cleaning start command 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fer to the robot cleaner.

Description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염도를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청소 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capable of autonomously starting cleaning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진공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Generally, a vacuum cleaner is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matter afte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by driving a suction device that generates an air suction force. Such a vacuum cleaner is classified into a manual vacuum cleaner directly operated by a user and a robot cleaner performing a self cleaning without user's operation.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로서 일정 구역의 청소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는 코드리스 방식을 취하므로 구동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필요한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충전장치와 로봇 청소기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제조 판매되고 있다.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in the area to be cleaned by itself, and automatically performs cleaning of a certain area. Such a robot cleaner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necessary for receiving a driving power because it takes a cordless system, and a recharging device for re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s required. 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and the robot cleaner are manufactured and sold as one system.

충전장치와 로봇 청소기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청소 로봇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청소명령에 따라 혹은 지정된 시간에 로봇 청소기가 정해진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청소 수행한다. 즉, 청소가 필요하다는 사용자의 판단이 있을 경우에 사용자 명령에 의해 청소 개시되므로, 사용자의 판단에 의존하게 되는 수동적인 시스템의 한계를 가진다. 비록 지정 시간에 자율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굳이 청소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불필요하게 청소 개시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이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이용상 불편함을 수반하게 된다.In a general cleaning robot system composed of a charging device and a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user's cleaning command or at a designated time. That is, since the cleaning is started by a user command when there is a user's judgment that cleaning is necessary, there is a limitation of a passive system that depends on the judgment of the user. Although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autonomously at a designated time, the cleaning can be started unnecessarily even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is not necessary, and this also inconveniences the user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따라서, 청소 공간 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청소 개시가 이루어진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씽크대 주변에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 머물 경우 설거지에 의해 바닥면이 오염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에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여 오염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자동 청소하는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이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the pollution degree in the cleaning space is measured and self-cleaning is initiated without user interventio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maximized. Further, if the user stays around the sin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also possible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if a system is developed that automatically detects areas where contamination is likely to occur by detecting user location because it is dens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928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928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도를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청소 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capable of autonomous cleaning initiation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 본체와;A charging device main body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상기 충전장치 본체 하우징의 상부 면에 노출되어 있는 윈도우 면과,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 수납되어 상기 윈도우 면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출력인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 면의 상부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여 전송하거나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개시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염도 감지센서와;A light emitt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urface,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urface,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based on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which is an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dust;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생성된 청소개시명령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controller to the robot cleaner or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dust to the robot cleaner.

더 나아가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Further,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of the external light. The controller compensates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Thereby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상기 윈도우 면은 윈도우 면 내부에서 윈도우 면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 외부에 쌓이는 먼지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surface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that light emitted to the window surface inside the window surface is refracted outward due to dust accumulat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surface or reflected inside the window surface, and the window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It is another feature.

상술한 기술적 해결 수단에 따르면,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는 주기적으로 오염도 감지센서의 윈도우 면에 쌓이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고 이를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여 자율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거주자 혹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자동 청소 수행하기 때문에, 청소기 사용자들에게 보다 진보한 형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solution, the charging device for the robot cleaner including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periodically detects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of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and transmits the detected amount of dust to the robot cleaner, Since the automatic cleaning is carried out autonomousl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resident or a us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ore advanced form of convenience to the users of the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의 구성 조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제어 흐름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combination example of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utonomous cleaning control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의 구성 조합을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로봇 청소기 본체(100), 충전장치(200), 리모컨(260), 오염 측정장치(270)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 청소기(100) 본체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충전장치(200)가 로봇 청소기(100) 본체와 함께 하나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리모컨(260)과 로봇 청소기(100) 본체가 하나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고, 오염 측정장치(270)와 로봇 청소기(100) 본체, 충전장치(200)가 하나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충전장치(200) 본체 하우징의 상부 면에 오염도 감지센서의 윈도우 면(250)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오염도 감지센서의 윈도우 면은 로봇 청소기(100) 본체의 하우징 상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예시한 조합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1, the robot cleaner main body 100, the charging device 200, the remote controller 260, and the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are all shown, but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can b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m. For example, the robot cleaner 100 may include a contamination leve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itute on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nd a charging device 200 including a contamination level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robot cleaner 100. [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may be constitu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of the robot cleaner 100 or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constitute on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The main body 100 and the charging device 200 may constitute on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1, the window surface 250 of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charging device 200. However, the window surface of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robot cleaner 100 . Hereinafte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having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도 1에서 로봇 청소기(100) 본체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한다. 로봇 청소기(100) 본체 하부에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회동함으로써 본체가 청소영역을 주행하도록 하는 휠(11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휠(110)과 휠 구동모터 및 본체(100) 주행과 관련된 기술적 구성들을 하기에서는 주행 구동부(도 3의 151)라 명명하기로 한다.1, a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incorporated in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foreign materials on the bottom surface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A lower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provided with a wheel 110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to allow the main body to travel in a cleaning area. Technical constructions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wheel 110, the wheel driving motor, and the main body 100 will be referred to as a driving unit (151 in FIG. 3)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한편 로봇 청소기(100) 본체의 전방 상부에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 검출부(120)가 구비되며, 충전장치(200)에서 보내진 소정의 신호를 수용하여 충전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충전장치 감지부(130)가 구비된다.An obstacle detection unit 12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is provided at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robot cleaner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sent from the charging apparatus 200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A charging device sensing unit 130 is provided.

도 1에서 충전장치(200)는 설명의 편의상 직육면체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충전장치(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200)는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충전장치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 본체가 충전을 위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20) 내에는 충전단자(230)가 위치한다. 필요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 본체를 유도하기 위한 복귀유도센서(210)가 구비될 수도 있다.1, the filling apparatus 2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shape of the filling apparatus 200 may be variously modified. However, the charg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part 220 which can be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charging, like the charging device of a general robot cleaner, The charging terminal 230 is located. A return induction sensor 210 for guiding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provided.

이러한 로봇 청소기(100)와 충전장치(200)의 일반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의 조합을 세분해 보면,When the combination of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divided based on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charging device 200,

1. 충전장치(200)에 오염도 감지센서가 포함되어 로봇 청소기(100)와 함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시예.1.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sensor is included in the charging device 200 to constitute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together with the robot cleaner 100. [

이러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로봇 청소기(10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200)와,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includes a charging device 200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100,

상기 충전장치(200)와의 결합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자동 주행 청소 가능한 로봇 청소기(100);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장치(200)는,And a robot cleaner (100) which is charg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by coupling with the charging device (200) and is capable of automatic traveling cleaning, the charging device (200)

충전장치(200)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250)에 쌓이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와,A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50 exposed outside the housing of the charging device 200,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하거나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개시명령을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the robot cleaner 100 or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to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dust.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의 구성을 부연 설명하면,Referring to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pollution degree detecting sensor will be further described.

충전장치(200) 본체 하우징의 상부 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도 감지센서의 윈도우 면(272, 도 1에서는 250에 해당)이 노출되어 있으며, 윈도우 면(272) 하부에는 윈도우 면(272)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273)와, 상기 윈도우 면(272)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275)가 위치하며,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 면(272)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는 제어부(277)가 오염도 감지센서를 구성한다.2, a window surface 272 (corresponding to 250 in FIG. 1) of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and a window surface 272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275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window surface 272. The light receiving portion 275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window surface 272, The control unit 277 detects the amount of the pollutants.

상기 윈도우 면(272)은 윈도우 면(272) 내부에서 윈도우 면(272)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272) 외부에 쌓이는 먼지(C)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272)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272)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surface 272 may be bent outwardly by the presence of dust C accumulat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surface 272 inside the window surface 272, And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that the window surface 272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더 나아가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27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77)는 상기 조도 감지센서(278)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278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external light. The controller 277 may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78, And the amount of dust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compensated received light intensity.

이와 같이 충전장치(200) 본체에 오염도 측정을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시키고, 그 오염도 감지센서에서 얻어진 먼지 양에 따라 충전장치(200)에 결합된 로봇 청소기(100)에게 자율 청소 명령을 전파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는 정해진 주행방식에 따라 자율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By including the contamination degree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in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and transmitting the automatic cleaning command to the robot cleaner 100 coupled to the charg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btained from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 The robot cleaner 100 can perform autonomous clean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riving method.

실내 거주자의 소정 행위에 의해 바닥면 오염이 빈번히 일어나는 장소(씽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실내 거주자 유무를 감지하여 통신부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 본체로 전송하는 거주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는 거주자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거주자 감지신호가 규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거주자 감지센서 설치 장소로 이동하여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한다.The occupant detec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occupa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place (around the sink) where floor contamination frequently occurs due to a predetermined action of a resident occupant, detecting presence / absence of a resident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ccupant to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leaner 100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when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atisfies the specified condition, and performs the self-cleaning.

참고적으로 상기 및 후술할 거주자 감지센서는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열감지방식, 적외선방식, 초음파방식, 정전용량 센서, 카메라 영상의 움직임 검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거주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로봇 청소기(100) 본체와의 통신에 의해 위치추적을 위한 신호를 계속적으로 발신할 수도 있다. 아울러 거주자 감지센서는 독립된 크래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below can use various sensors such as a thermal sensor, infrared sensor, ultrasound sensor, capacitive sensor, motion detection of a camera image, And can continuously transmit a signal for position tracking by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In addition,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cradle type.

한편,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광을 이용하여 윈도우 면에 쌓인 먼지를 감지하였으나, 영상을 이용하여 윈도우 면에 쌓인 먼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senses the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using light, but it can also detect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using the image.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면(272) 하부에 위치하는 발광부(273)와 수광부(275) 위치에 CCD 이미지 센서를 위치시켜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주기(소비전력 절감)에 윈도우 면(272)을 촬상하여 얻어진 소정 영역의 영상 밝기를 제어부(277)가 분석(표준 영상의 밝기와 비교, 혹은 표준영상의 중앙영역 밝기와 비교하는 방식)하면 윈도우 면(272)에 쌓인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적외선 발신부를 추가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촬영시 제어부(277)가 윈도우 면(272)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영상 획득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먼지의 적층여부 판단을 위한 영상을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CD image sensor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273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275 located under the window surface 272, and the window surface (power saving) 272) is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277 (a method of comparing the brightness of the standard image with the brightness of the standard image or the brightness of the center area of the standard image),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72 Can be detected. An infrared transmitter may be added to obtain a more accurate image. That is, the control unit 277 irradiates infrared rays on the window surface 272 to capture an image during image capturing, so that an image for judging whether dust is stacked can be normally obtained even in a dark environment.

2. 오염도 감지센서가 로봇 청소기(100) 본체에 포함되어 하나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시예.2. An embodiment in which a contamination level sensor is included in the robot cleaner 100 so as to constitute on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이러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크게 로봇 청소기(100) 본체와,Such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mainly includes a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도시하지 않았음)에 쌓이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와,A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a window surface (not show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의 분석에 의한 먼지의 양에 따라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f-clean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by analyz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 면(272)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273)와, 윈도우 면(272)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275)를 포함한다. 앞서 1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오염도 감지센서는 제어부를 포함하나, 로봇 청소기(100) 본체에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3의 147)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오염도 감지센서에서 제어부를 제외한다.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273 for emitting light to the window surface 272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275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window surface 272, as shown in FIG.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However, when the pollution level detection sensor is included in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control unit (147 of FIG. 3)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used The controller is excluded from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아울러 로봇 청소기(100) 본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윈도우 면 역시 도 2에서 설명한 윈도우 면과 같이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window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robot cleaner 100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FIG. 2, and the window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오염도 감지센서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278)를 더 포함하며, 로봇 청소기(100) 본체의 제어부(147)는 상기 조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7)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영상신호의 분석에 의한 먼지의 양에 따라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한다.The controller 147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compensates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l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 And the amount of dust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compensated received light intensity. Of course, as mentioned above, a CCD image sensor can also be us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7 performs autonomous cleaning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by analyzing the image signal detected by the image sensor.

로봇 청소기(100) 본체에 오염도 측정을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시킬 경우 제어부(147)는 오염도 감지센서에서 얻어진 먼지 양에 따라 자율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is included in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control unit 147 can perform the self-clean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btained from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로봇 청소기 본체(100)와 충전장치(200)가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되, 로봇 청소기 본체(100) 혹은 충전장치(200) 어느 하나에 상술한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시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로봇 청소기 본체(100)와 충전장치(200) 모두에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in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main body 100 and the charging device 200 constitute a robot system. In the robot cleaner main body 100 or the charging device 200,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can be constructed by including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course, both the robot cleaner main body 100 and the charging device 200 may include a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또한 실내 거주자의 소정 행위에 의해 바닥면 오염이 빈번히 일어나는 장소(씽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실내 거주자 유무를 감지하여 통신부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 본체로 전송하는 거주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는 거주자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거주자 감지신호가 규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거주자 감지센서 설치 장소로 이동하여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한다.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occupa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place (around the sink) in which floor contamination frequently occurs due to a predetermined action of a resident occupant,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resident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ccupant to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You can also build a system.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leaner 100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when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atisfies the specified condition, and performs the self-cleaning.

한편, 로봇 청소기(100) 본체와 충전장치(200) 어느 하나에 오염도 감지센서를 포함시키지 않고서도 변형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오염 측정장치(270)를 구비하되, 로봇 청소기 본체(100) 혹은 충전장치(200)와 오염도 관련 정보를 상호 송수신해야 한다.Alternatively,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may be modified without including a contamination level sensor in any one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charging device 200.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have a separate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and transmit and receive pollution related information to / from the robot cleaner main body 100 or the charging device 200.

3. 별도의 오염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로봇 청소기(100)와 함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시예.3. An embodiment in which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is constructed together with the robot cleaner 100 by having a separate pollution measuring device.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오염 측정장치(27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To this end, the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shown in FIG. 1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즉, 오염 측정장치는 본체(270)와, 상기 본체(270)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272)에 쌓이는 먼지(C)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충전장치(200) 본체 혹은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279)와,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That is, the contamination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body 270, a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C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72 exposed outside the housing 270, A communication unit 279 for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to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or the robot cleaner 100,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상기 윈도우 면(272)에 광을 방출(A)하는 발광부(273)와, 상기 윈도우 면(272)에서 반사된 광(B)을 수신하는 수광부(275)와,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 면(272)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는 제어부(277)를 포함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오염도 감지센서는 발광부(273)와 수광부(275) 대신에 CCD 이미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발신부를 추가할 수 있다.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273 for emitting light A to the window surface 272, a light receiving portion 275 for receiving the light B reflected from the window surface 272, And a control unit 277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72 based on the intensity.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may use a CCD image sensor in pla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27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75, and may add an infrared ray emitting unit.

상기 윈도우 면(27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면(272) 내부에서 윈도우 면(272)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272) 외부에 쌓이는 먼지(C)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272)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272)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surface 272 may be bent outwardly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C accumulat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surface 272 as the light emitted to the window surface 272 inside the window surface 272 as shown in FIG. And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be reflected inside the window surface 272, and the window surface 272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이러한 윈도우 면(272)의 특징은 상술한 오염도 감지센서의 윈도우 면(250)과 동일하다.The characteristic of the window surface 272 is the same as the window surface 250 of 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오염 측정장치(270)의 오염도 감지센서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27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77)는 상기 조도 감지센서(278)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도 있다.The contamination degree sensor of the pollution measuring apparatus 27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278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external light. The controller 277 may control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78,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light may be compensated for and the amount of dust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compensated received light intensity.

아울러 오염 측정장치(270)의 제어부(277)는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하되, 로봇 청소기(100)를 유도하기 위한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실내 공간에 오염 측정장치(270)가 복수 개 존재할 경우 청소구역을 식별하여 찾아가기 위함이다.The control unit 277 of the pollution measuring apparatus 270 transmit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to the robot cleaner 10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packet. This is for identifying the cleaning area when a plurality of pollution measuring devices 270 exist in the indoor space.

이와 같이 독립된 오염 측정장치(270)에서 수평 면에 쌓이는 먼지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먼지 양을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해 줌으로써, 로봇 청소기(100)는 자율 청소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해당 오염 측정장치(270)가 설치된 곳 혹은 지정된 지역으로 이동하여 자율 청소 수행할 수 있다.By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horizontal surface in the independent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amount of dust to the robot cleaner 100, the robot clean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self-cleaning is necessary, The device 270 can be moved to a place where the device 270 is installed or a designated area, and self-cleaning can be performed.

위에서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오염 측정장치(27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충전장치(200)가 오염도 감지센서를 수용함으로써 이 또한 오염 측정장치로 불리울 수도 있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independently used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the charging device 200 may also be called a pollution measuring device by receiving the pollution degree detecting sensor.

4. 충전장치(200)가 오염도 감지센서를 수용하여 하나의 독립된 오염 측정측정장치로 사용되고 로봇 청소기(100)와 함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시예.4.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arging device 200 receives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and is used as one independent contamination measurement measuring device and constitutes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together with the robot cleaner 100. [

이러한 오염 측정장치는 로봇 청소기(10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200) 본체와, 상기 충전장치(200) 본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250)에 쌓이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윈도우 면 하부에 위치)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상기 충전장치(200) 본체에 결합된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거나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개시명령을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상기 윈도우 면(250)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윈도우 면(250)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 면(250)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contamination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200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100 and a sensor 230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50 expos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device 200 A sensor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surface), and an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is transmitted to a robot cleaner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or a cleaning star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pollution degree detecting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to the window surface 250,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window surface 250,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50.

충전장치(200) 본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250)은 윈도우 면(250) 내부에서 윈도우 면(250)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250) 외부에 쌓이는 먼지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250)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surface 2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is refracted outward due to the presence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250 outside the window surface 250 in the window surface 250 And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be reflected inside the window surface 250, and the window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충전장치(200) 본체에 수용되는 오염도 감지센서 역시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도 있다.The contamination degree sensor included in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of the external light. The controller may compensate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based on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충전장치(200)에 오염도 감지센서를 수용함으로써, 하나의 오염 측정장치로 사용 가능하며, 오염도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먼지 양을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해 줌으로써, 로봇 청소기(100) 역시 자율 청소 수행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can also be used as one contamination measuring device by receiving the pollution degree detecting sensor in the charging device 200. By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pollution degree detecting sensor to the robot cleaner 100, Can be performed.

이러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에서도 실내 거주자의 소정 행위에 의해 바닥면 오염이 빈번히 일어나는 장소(씽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실내 거주자 유무를 감지하여 통신부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 본체로 전송하는 거주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In such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 resident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n occupant in the room where the floor surface is frequently polluted (around the sink area) due to a predetermined action of the resident occupant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ccupant to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n autonomous cleaning robotic system including.

5. 독립된 오염 측정장치에 거주자 감지센서를 부가하여 로봇 청소기(100)와 함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독립된 오염 측정장치와 거주자 감지센서를5. An occupant detection sensor is added to the independent pollution measuring device to construct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together with the robot cleaner 100, or an independent pollution measuring device and a resident sensor 로봇 청소기(100)와 함께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시예.An embodiment constituting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together with the robot cleaner (100).

이러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씽크대와 같이 거주자가 일정 시간 머무르며 하는 행위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경우(씽크대 주변 바닥에 물과 음식물이 떨어져 오염됨)를 가정하여 일정시간 동안 거주자가 머무른 후 이동하게 되면 로봇 청소기(100)가 그 지역으로 이동해 자율적으로 청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Such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is a robot system in which when a resident stay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ssuming that the residents stay in the sin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ollutes the surroundings (water and food are separated from the floor around the sink) So that the cleaner 100 moves to the area and performs self-cleaning.

이를 위해서는 상기 4에서 설명한 오염 측정장치(270)에 거주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74)를 부가하여 씽크대 주변에 설치하거나, 씽크대 주변에 거주자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 구현 가능하다. 물론 거주자 감지센서 혹은 거주자 감지센서(274)가 포함된 오염 측정장치(270)는 로봇 청소기(100) 본체와 통신 가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47)는 거주자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거주자 감지신호가 규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거주자 감지센서 설치 장소로 이동하여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거주자 감지센서 역시 상술한 오염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installing a sensor 274 for detecting a resident in the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described above in the vicinity of the sink, or installing a resident sensor in the vicinity of the sink. Of course, the pollution measuring device 270 including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or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274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7 of the robot cleaner 100 moves to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nstallation position and performs self-cleaning when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or referenc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ay further include 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described above.

6. 리모컨(260)과 로봇 청소기(100)가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시예.6.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260 and the robot cleaner 100 constitute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이러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로봇 청소기(100)를 무선 호출하고 자율 청소 지시하기 위한 리모컨(260)과, 상기 리모컨(260)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호출명령과 자율 청소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45)를 통해 호출명령 수신시 호출명령 발신된 리모컨(260) 위치로 로봇 청소기(100)를 이동시키고 자율 청소 명령 수신에 응답하여 규정된 주행방식으로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147)를 포함한다. 이는 국지적으로 바닥면이 오염되어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편리하게 리모컨(260)을 통해 로봇 청소기(100)를 호출하여 자율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260 for calling the robot cleaner 100 and instructing the robot cleaner 100 to autonomously clean the robot cleaner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145 for receiving a call command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60 and an autonomous cleaning command And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100 to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260 which has issued a paging command when receiving a paging comm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5 and controlling the self- (147). This is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lean the robot cleaner 100 by calling the remote controller 260 convenient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loor is contaminated locally.

이하 상술한 여러 실시예들에서 사용 가능한 로봇 청소기(100)의 구성과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that can be used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제어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로봇 청소기(100)가 오염도 감지센서(155)를 구비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으로 동작 가능한 로봇 청소기이다.FIG. 3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illustrate a flowchart of an autonomous cleaning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3 is a robot cleaner 100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as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by providing a contamination level sensor 155.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으로 동작 가능한 로봇 청소기(100)는 도 1에 도시된 충전장치(200)의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250)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 본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에 쌓이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감지센서(155)와, 상기 감지센서(155)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147)를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0, which can operate as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includes a window surface 250 exposed outside the housing of the charging device 200 shown in FIG. 1, and a window surface 2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A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55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to be accumulated and a control unit 147 for controlling the self-clean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5.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155)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 면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윈도우 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본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윈도우 면은 윈도우 면 내부에서 윈도우 면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 외부에 쌓이는 먼지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155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on a window surface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window surface, The window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so that light emitted to the window surface inside the surface is refracted outward due to the presence of dust accumulated outside the window surface o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be reflected inside the window surface.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으로 동작 가능한 로봇 청소기(100)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7)는 조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오염도 감지센서(155)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which can operate as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157 for sensing illuminance of external ligh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7 compensates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received through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155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and detects the amount of dust based on the compensated received light intensity.

더 나아가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리모컨(260)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명령 등을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 수신부(161)는 외부 장치와 통신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로 명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receiver 161 for receiving a call command or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60.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61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도 3에서 미설명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1)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과, 로봇 청소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구비된 키 버튼을 조작을 통해 로봇 청소기를 동작 혹은 동작 정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행방식을 선택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동작 모드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는 로봇 청소기의 현재 동작상태는 물론 주행방식에 따른 이동궤적이 실시간 혹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I / F) 141 described in FIG. 3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user command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obot cleaner. The user can operate or stop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rovided key button, select and change the traveling mode as required, and can also select and input various operation modes. The display unit can display the movement trajectory according to the traveling mode as well a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real time or user's command.

장애물 검출부(143)는 로봇 청소기의 주행방향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들 혹은 카메라를 포함하며, 이들 센서들 혹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처리하여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회로들을 포함한다. 물론 센서들 혹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47)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장애물을 검출할 수도 있다.The obstacle detecting unit 143 includes a sensor (ultrasonic wave type, infrared ray type, etc.) or a camera for detecting an obstacl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obstacle detecting unit 143 processes signals obtained from the sensors or the camera, And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for detection. Of course,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sensors or the camera may be detected by software in a control unit 147 to be described later.

통신부(145)는 로봇 청소기(100)의 구현 방식에 맞게 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장치로 사용 가능한 무선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함은 물론, 충전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해 비콘 등이 설치된 경우라면 이들 비콘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로봇 청소기(100)에 오염도 감지센서(155)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면, 하나 이상의 오염도 측정장치 혹은 하나 이상의 거주자 감지센서 혹은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45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example,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terminal available as a remote control device, as well as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device 200. [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beacon if the beacon is installed to guide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If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155 is not included in the robot cleaner 100,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packet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pollution level measurement devices or one or more occupancy detection sensors or a remote control.

제어부(147)는 저장부(149)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47)는 조도 감지센서(157)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으며, 통신부(145)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신호 패킷을 분석하여 자율 청소 여부를 판단하고, 자율 청소 필요시 상기 전송신호 패킷을 전송한 오염도 측정장치 혹은 거주자 감지센서 혹은 리모컨으로 이동하도록 주행 구동부(151)를 제어한 후 청소부(153)를 제어하여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on the basis of the control program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9.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7 may compensate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57, detect the amount of dust based on the compensated received light intensity, and transmit the communication unit 145 And controls the travel driving unit 151 to move to the pollution measuring device or the resident detecting sensor or the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packet when the self-cleaning is required, 153) so as to perform self-cleaning cleaning control.

저장부(149)는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는 물론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 주행방식 정보, 오염도 측정장치 혹은 거주자 감지센서의 설치 위치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9 may store not only control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but also data generated during a control operation, traveling mode information,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a pollution measuring device or a resident sensor, and the like.

그리고 일반 로봇 청소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구동부(151), 흡입장치 혹은 물걸레 청소부 중 하나를 이용하여 오염지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부(153)를 포함한다. 청소부(153)는 일반 로봇 청소기와 같이 하면에 위치하며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흡수한다. 이러한 청소부는 모델에 따라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물걸레 청소를 위한 클리너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 부착부에는 걸레 등과 같은 면 형태의 클리너가 부착될 수 있으며, 물과 같은 세정제 공급을 위해 세정제 공급부(15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세정제 공급부(159)는 제어부(147)의 제어에 따라 세정제 공급량을 달리하여 클리너 부착부로 공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여 청소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And a cleaning unit 153 for cleaning the contaminated area using one of a traveling drive unit 151 for running the robot cleaner 100, a suction device, or a wet-cloth cleaning unit, as in a general robot cleaner. The cleaning unit 153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and absorbs contaminants in a manner of sucking in air.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air sucked according to the model, and may further include a cleaner attaching unit for cleaning the wet cloth. The cleaner attach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urface type cleaner such as a mop or the like and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agent supplying portion 159 for supplying a detergent such as water.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9 supplies the cleaning agent to the cleaner attachment unit by vary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leaning ag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7. Although not show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o supply opera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으로서의 로봇 청소기(100) 동작을 부연 설명하면,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s 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shown in FIG. 3 will be further described.

우선 제어부(147)는 정해진 광 방출 주기인가를 체크(S10단계)하여 정해진 주기에 도달하면 오염도 감지센서(155)의 발광부를 제어하여 윈도우 면으로 광을 방출(S12단계)한다. 정해진 주기는 오전 9시와 오후 5시와 같이 1일 2회 체크하는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거주자인 사용자가 타이머 설정하는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47 checks whether the light emission period is a predetermined light emission period (step S10). When the predetermined period is reached, the control unit 147 controls the light emission unit of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55 to emit light to the window surface (step S12). The fixed cycle can be set to check twice a day, such as 9:00 am and 5:00 pm, and can be set in such a manner that a user who is a resident sets a timer.

윈도우 면으로 광 방출이 이루어지면, 방출된 광은 윈도우 면에 쌓인 먼지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되고, 수광부로 입사된 반사광의 세기값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47)에 수신(S14단계)된다. 이에 제어부(147)는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윈도우 면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S16단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ight is emitted to the window surface,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by the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intensity value of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and received by the controller 147 )do. Accordingly, the controller 147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based on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step S16).

S16단계에서 먼지 양을 검출한 제어부(147)는 검출된 먼지 양을 기초로 자율 청소가 필요한가를 판단(S18단계)하고, 판단결과 자율 청소가 필요하면 정해진 주행방식으로 주행하면서 청소 수행(S20단계)한다.The control unit 147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step S16 and determines whether self-clean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dust in step S18. If the self-cleaning is necessary, )do.

자율 청소가 필요치 않다고 판단되면 S10단계 내지 S18단계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자율 청소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nomous cleaning is not necessary, the steps S10 to S18 are repeated periodic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autonomous cleaning is necessary.

이와 같이 오염도 감지센서(155)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100)는 주기적으로 오염도 감지센서(155)의 윈도우 면에 쌓이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여 자율 청소가 필요한 경우 거주자 혹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자동 청소 수행함으로써, 청소기 사용자들에게 진보한 형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ing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55 periodically detects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of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55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of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55, By performing clea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ced form of convenience to the users of the vacuum cleaner.

본 실시예에서는 오염도 감지센서(155)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100)의 자율 청소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오염도 감지센서가 로봇 청소기(100)가 아닌 충전장치(200) 혹은 독립된 오염 측정장치에 포함될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통신부(145)를 통해 충전장치(200) 혹은 독립된 오염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송신호 패킷을 분석하여 자율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전송신호 패킷에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단순히 자율 청소 수행명령이 포함될 수도 있고, 수신광 세기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 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됨으로서 로봇 청소기(100)에게 위치정보를 함께 제공해 줄 수도 있다.Although the automatic cleaning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including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155 i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contamination level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charging apparatus 200 or the independent pollution measuring apparatus, not the robot cleaner 100 The robot cleaner 100 can perform self-cleaning by analyzing the transmission signal packet received from the charging device 200 or the independent pollution measur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145. The received transmission signal packet may include an autonomous cleaning execution command or received light inten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robot cleaner 100 may also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You can give it.

한편,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100)는 상술한 자율 청소 방법 외에 오염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찾아서 자율 청소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로봇 청소기(100)가 거주자 감지센서와 같은 부속장치들과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야 한다.Meanwhile, the robot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autonomous cleaning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elf-cleaning method. For this purpose, the robot cleaner 10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ccessory devices such as occupant detection sensors.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7)는 우선 통신부(145)를 통해 거주자 감지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S30단계)한다. 거주자 감지신호는 거주자 감지센서에 의해 발생되어 전송되는데, 이러한 거주자 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바닥면 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씽크대 주변에 위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47 checks whether a residen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5 (step S30).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which can be located, for example, around the sink where frequent floor contamination occurs.

거주자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47)는 S32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부(149)에 감지시간을 누적 저장한다. 그리고 누적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는지 재차 검사(S34단계)하는 방식으로 S30단계 내지 S3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If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the controller 147 proceeds to step S32 and accumulates the sensing time in the storage unit 149. [ Then, steps S30 to S34 are repeatedly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umulative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step S34).

보통 씽크대 주변에서 설거지를 수행하면 거주자 감지시간이 일정시간 동안 누적될 것이며, 설령 설거지중 일시적으로 자리를 뜨러다로 설거지 종료전까지 다시 회귀하므로, 설저지 수행여부 판단은 감지시간 누적치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dishwashing is performed around the sink area, residents' detection time will accumul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dishwasher temporarily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dishwashing operation is finished, .

만약 거주자 감지 누적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제어부(147)는 재차 S36단계로 진행하여 씽크대 주변에서 거주자가 감지되는가를 체크한다. 계속적으로 거주자가 감지되고 있다면 S34단계와 S36단계를 반복 수행한다.If the occupant detection cumulative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147 proceeds to step S36 and checks whether a resident is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sink. If the resident is continuously detected, steps S34 and S36 are repeated.

만약 S36단계의 체크결과 거주자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즉 설거지를 마치고 자리를 뜬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47)는 거주자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S40단계)한 후 자율 청소를 수행(S42단계)한다. 거주자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은 거주자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위치추적을 위한 신호 발생을 거주자 감지센서로 요청하는 방식을 통해 목표위치로 접근해 갈 수 있으며, 사전에 거주자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해 둔 후 그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접근해 가는 방법 모두 가능할 것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6 that the occupant is not detected, that i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has finished the washing operation, the controller 147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step S40) do. The method of mov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can be accessed to the target position by requesting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to generate a signal for the position tracking by communicating with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Afte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ccess i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씽크대와 같이 거주자가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는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거주자 개입 없이 자율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sident stay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a sink, it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self-cleaning is perform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resident,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로봇 청소기(100)를 무선 호출하고 자율 청소 지시하기 위한 리모컨(260)과, 상기 리모컨(260)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호출명령과 자율 청소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출명령 수신시 호출명령 발신된 리모컨(260) 위치로 로봇 청소기(100)를 이동시키고 자율 청소 명령 수신에 응답하여 규정된 주행방식으로 자율 청소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260 for calling the robot cleaner 100 by radio and instructing the robot cleaner 100 to autonomously clean the robot cleaner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lf-cleaning command. The robot cleaner 100 moves the robot cleaner 100 to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260, which receives the paging comm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f-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리모컨(26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신호 세기가 강한 지점을 찾아 이동하는 방식으로 주행 제어하여 리모컨(260)에 근접 위치하면, 이후 자율 청소 명령에 따라 규정된 주행방식 혹은 여러 주행방식 중 희망하는 주행방식(예를 들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청소 반경을 넓혀 가는 방식)을 선택하여 청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60 and controls the travel by searching for a point having a strong signal intensity and is positioned close to the remote controller 260,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various driving methods (for example, a method of widening the cleaning radius while rotating in a spiral manner) to perform cleaning.

이러한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은 거주자가 필요에 따라 오염된 지역만을 청소하기 위해 로봇 청소기(100)를 호출하여 특정 지역만을 청소하는데 유용하다.Such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is useful for a resident to clean only a specific area by calling the robot cleaner 100 to clean only the contaminated area as needed.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염도 감지센서로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예시한 모든 실시예에 기재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CCD 이미지 센서로 대체하여 윈도우 면에 쌓이는 먼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발신부를 더 추가하여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described by exemplify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s the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sensor. However,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described in all the illustrated embodiments may be replaced with CCD image sensors It can detect the dust accumulating on the window side, and can upgrade the performance by adding more infrared emitter.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240: 전원 케이블 260: 리모컨
262: 호출버튼 264: 자율 청소 지시버튼
274: 거주자 감지센서
240: Power cable 260: Remote control
262: Call button 264: Autonomous cleaning instruction button
274: occupant detection sensor

Claims (6)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 본체와;
상기 충전장치 본체 하우징의 상부 면에 노출되어 있는 윈도우 면과,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 수납되어 상기 윈도우 면에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출력인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 면의 상부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여 전송하거나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개시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염도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생성된 청소개시명령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
A charging device main body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A light emitt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urface,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urface,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window surface based on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which is an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dus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robot cleaner or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etected dust to the robot clean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수신광 세기를 보상하며, 보상된 수신광 세기에 기초하여 먼지의 양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mination degree sensor further comprises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illuminance of external light, wherein the controller compensates the received illuminance intens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Wherein the amount of dust is detected on the basis of the intensit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면은 윈도우 면 내부에서 윈도우 면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 외부에 쌓이는 먼지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indow surface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that light emitted to the window surface inside the window surface is refracted outward or reflected by the presence of dust accumulated outside the window surface,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 본체와;
상기 충전장치 본체 하우징의 상부 면에 노출되어 있는 윈도우 면과, 상기 윈도우 면 하부에 수납되어 상기 윈도우 면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촬상 영상을 분석하여 윈도우 면의 상부에 쌓여 있는 먼지의 양을 검출하여 전송하거나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개시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염도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먼지의 양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검출된 먼지의 양에 따라 생성된 청소개시명령을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
A charging device main body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A window surface ex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apparatus, an image sensor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urface to image the window surface image, and an image sensor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on the upper part 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dus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robot cleaner or transmitting a cleaning start comm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etected dust to the robot cleaner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감지센서는 상기 윈도우 면에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적외선 발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6] The charging apparatus for an autonomous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tamination level sensing sensor further comprises an infrared ray transmitter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on the window surface.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면은 윈도우 면 내부에서 윈도우 면으로 방출되는 광이 윈도우 면 외부에 쌓이는 먼지 유무에 의해 외부로 굴절되거나 윈도우 면 내부에서 반사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되, 윈도우 면이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청소 로봇 시스템용 충전장치.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window surface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that light emitted to the window surface inside the window surface is refracted outward due to dust accumulated outside the window surface or reflected inside the window surface,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KR1020170002903A 2017-01-09 2017-01-09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KR101759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03A KR101759275B1 (en) 2017-01-09 2017-01-09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03A KR101759275B1 (en) 2017-01-09 2017-01-09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50A Division KR101697557B1 (en) 2015-07-28 2015-07-28 Dust measurement apparatus and robot cleaner included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955A KR20170013955A (en) 2017-02-07
KR101759275B1 true KR101759275B1 (en) 2017-07-17

Family

ID=5810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903A KR101759275B1 (en) 2017-01-09 2017-01-09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27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349A (en) 1998-12-10 2000-06-30 Daido Steel Co Ltd Monitoring apparatus for soot or the lik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340B1 (en) 2009-03-31 2011-10-19 박재현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349A (en) 1998-12-10 2000-06-30 Daido Steel Co Ltd Monitoring apparatus for soot or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955A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557B1 (en) Dust measurement apparatus and robot cleaner included the apparatus
EP3432107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727122B1 (en) Robot cleaner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22942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456725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63217B1 (en) Cleaning of pet areas by autonomous cleaning robots
KR102234641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20190254490A1 (en) Vacuum cleaner and travel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74870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JP2018077685A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JP2017146742A (en) Autonomous travelling body
JP2017143983A (en) Autonomous travel body
KR101306501B1 (en) A robot vacuum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US11930992B2 (en) Cleaning of pet areas by autonomous cleaning robots
KR20160040746A (en) Dust sensor, dust measurement apparatus,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17540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108771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48963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2017063968A (en) Travel body device
KR20200008401A (en) Cleaning system
KR102309898B1 (en) Docking equipment and Moving robot system
KR101759275B1 (en) Charging device for robot cleaner
KR20220058528A (en) Robot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KR20210004453A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8595B1 (en) A moving-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