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502B1 -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502B1
KR101027502B1 KR1020080006768A KR20080006768A KR101027502B1 KR 101027502 B1 KR101027502 B1 KR 101027502B1 KR 1020080006768 A KR1020080006768 A KR 1020080006768A KR 20080006768 A KR20080006768 A KR 20080006768A KR 101027502 B1 KR101027502 B1 KR 10102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imilarity
personal computer
similar
man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801A (ko
Inventor
권오준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웍스
Priority to KR102008000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502B1/ko
Priority to US12/328,838 priority patent/US20090183319A1/en
Publication of KR2009008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저작권자 컴퓨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상기 저작권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 대상 콘텐츠로서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를 검색하여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가 통신망 상에서 불법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텐츠 저작권자의 권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작권

Description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망 상에서 유통되는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 및 통신 단말기의 보편화와 함께, 사람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지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통신 산업의 발달은 문화 산업의 시장 규모 또한 확대시켰으며, TV/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만화 등을 콘텐츠로 제작하여 통신망 상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중 문화의 보급율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사용자 저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가 활성화되어, 개인이 제작한 콘텐츠를 통신망 상에서 타인이 열람,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등 통신망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영상물이 통신망을 통해 유통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저작물 관련 콘텐츠는 저작자가 무형의 재산으로서 권리를 갖고 있는 데 반해, 통신망 상에서 불법으로 배포, 유통, 다운로드, 공유, 복제되고 있어 저작자가 자신의 권리를 침해당하는 사례가 빈번히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통신망이라는 사이버 세계의 특성상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가 유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어렵고, 불법 사용자의 수 또한 방대하여 일일이 처벌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저작권자는 자신의 저작물에 대하여 올바른 권리를 행사할 수 없고, 이에 따른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망 상에서 유통되는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가 등록되면, 통신망 상에 이와 유사한 콘텐츠가 유통되고 있는지 검사하고, 검사 결과를 저작권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저작권자 컴퓨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상기 저작권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 대상 콘텐츠로서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를 검색하여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방법은 복수의 저작권자 컴퓨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된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저작권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관리 대상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웹서버, 왑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유사도를 책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검색된 콘텐츠의 유사도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인지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유사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가 통신망 상에서 불법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텐츠 저작권자의 권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있는 콘텐츠의 유통 사실을 저작권자가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 콘텐츠 저작권자의 재산상 피해를 최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과 통신망과의 접속 관계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저작권자 컴퓨터(20-1~20-n; 20), 웹서버(30), 왑서버(40) 및 복수의 개인용 컴퓨터(50)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웹서버(30) 또는 왑서버(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하드, UCC 사이트, 포털 사이트 등이 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50)는 P2P(Peer-to-Peer) 서비스를 이용하 고 있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저작권자 컴퓨터(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관련 정보(콘텐츠명, 종류, 용량, 코딩 방식, 재생 시간 등)를 수신받아 관리 대상 콘텐츠로서 등록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종류는 해당 콘텐츠가 영화 콘텐츠인지, 음악 콘텐츠인지, 애니메이션 콘텐츠인지 등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고, 코딩 방식은 해당 콘텐츠의 압축 방식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등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웹서버(30), 왑서버(40) 및 개인용 컴퓨터(50)에 관리 대상 콘텐츠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지정된 주기로 검색한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대상 콘텐츠의 파일 포맷을 지정된 형태로 변환하고, 웹서버(30)나 왑서버(40)가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2, 42)에 저장된 콘텐츠의 포맷을 관리 대상 콘텐츠와 동일한 포맷으로 변환한 후 비교하여, 유사도를 비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32, 42)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한 다음, 검색된 콘텐츠를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관리 대상 콘텐츠와 검색된 콘텐츠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아울러, 유사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저장 위치, 게시자 등을 검색 결과 리스트로서 생성하여 해당 콘텐츠 저작권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검색 대상이 개인용 컴퓨터(50)인 경우 즉, P2P 서비스를 이용중인 개 인용 컴퓨터 간에 관리 대상 콘텐츠가 유통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경우에는, 개인용 컴퓨터(5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의 포맷을 변경하여 비교하기 어려우므로, 키워드 검색 방법, 텍스트 검색 방법 등에 의해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작권을 보호받고자 하는 콘텐츠가 등록됨에 따라, 통신망 상의 각 데이터베이스나 개인용 컴퓨터에 해당 보호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가 유통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유사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즉시 저작권자에게 통보하여 줌으로써,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통신망을 통해 타 컴퓨터 장치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 교환을 위한 신호 변환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120), 콘텐츠 관리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축적되는 데이터베이스(130), 저작권자 관리부(140), 콘텐츠 관리부(150), 접속부(160), 콘텐츠 검색부(170), 비교부(180) 및 모니터링 결과 생성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작권자 관리부(140)는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자신이 제작한 저작물의 저작권을 보호하고자 하는 저작권자(또는 제작사)의 신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갱신하거나 수정한다.
콘텐츠 관리부(150)는 저작권자가 관리를 요청한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콘텐츠를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관련 정보는 콘텐츠명, 종류, 용량, 코딩 방식,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 대상 콘텐츠는 콘텐츠 종류별 저작권 협회 등과 같은 인증된 기관에 등록된 저작물이 될 수 있다.
접속부(160)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이 해당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30), 왑서버(40), 개인용 컴퓨터(50) 등과 같은 통신 장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콘텐츠 검색부(170)는 웹서버(30), 왑서버(40) 또는 개인용 컴퓨터(50)의 저장 장치에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검색부(170)는 검색 대상이 웹서버(30) 또는 왑서버(40)인 경우 웹서버(30) 또는 왑서버(40)로부터 콘텐츠를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 결과로 추출된 콘텐츠를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한 다음,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2차 검색하여 유사도를 책정한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검색부(170)는 파일의 확장자, 압축 정도에 관계 없이 파일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는 서칭(Searching) 알고리즘, 유사도에 따라 파일을 분류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Clustering)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반면, 콘텐츠 검색부(170)는 검색 대상이 개인용 컴퓨터(50)인 경우 크롤링(Crawling)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등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식 즉, 파일명 검색, 텍스트 검색, 자막 파일(Synchronized Accessible Media Interchange) 검색 기법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유사도를 책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롤링이란 통신망 상에 분산되어 있는 파일을 수집하여 색인화하는 기술을 의미하고, 스크래핑이란 통신망에 접속한 컴퓨터 장치의 브라우저에 보여지는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수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비교부(180)는 콘텐츠 검색부(170)의 검색 결과를 지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한다.
모니터링 결과 생성부(190)는 비교부(180)의 추출 결과를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로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에서,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는 추출된 콘텐츠명, 저장 위치, 저장 시각, 게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콘텐츠가 등록, 또는 유통되고 있는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해 둠으로써, 저작권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게시한 개인 또는 기업에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증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의 콘텐츠 관리부(150)는 저작권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1, S103). 이때, 콘텐츠 관리부(150)는 해당 관리 대상 콘텐츠를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접속부(160)를 통해 웹서버(30), 왑서 버(40) 또는 개인용 컴퓨터(50)와 같은 통신 장치에 접속하고, 콘텐츠 검색부(170)는 접속된 통신 장치의 저장 장치에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05).
단계 S105의 확인 결과, 유사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비교부(180)는 검색된 콘텐츠의 유사도가 문턱값 이상인지 확인하여(S107), 문턱값 이상인 경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한다(S109).
한편, 단계 S107의 확인 결과 검색된 콘텐츠의 유사도가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정된 주기를 카운트한 후(S111),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105)는 검색 대상 통신 장치가 웹서버(30) 또는 왑서버(40)인 경우, 웹서버(30) 또는 왑서버(40)로부터 콘텐츠를 1차 검색하는 단계 및 1차 검색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2차 검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검색 대상 통신 장치가 개인용 컴퓨터(50)인 경우,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105)는 키워드 검색 기법에 의해 유사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가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유사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명, 저장 위치, 게시 시각, 게시자 정보 등을 저작권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저작권 있는 콘텐츠가 통신망을 통해 불법 유통되거나 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웹서버(30), 왑서버(40), 개인용 컴퓨터(50) 등에 등재된 방대한 양의 콘텐츠로부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그 유사도를 책정하는 데 정밀한 기술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리 대상 콘텐츠의 주요 특징을 추출해 두고, 이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 콘텐츠를 검색한다면 유사 콘텐츠를 보다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1)은 콘텐츠 관리부(152), 콘텐츠 검색부(172)가 특징 추출 모듈(200)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 및 검색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각기 고유의 특징값을 가지며, 이 특징값은 정규화된 부밴드의 주파수 무게 중심값(Normalized Sub-band Spectral Centroid)을 의미한다. 특히,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 이러한 특징값은 장면 전환시의 에지 정보나 색상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즉, 임의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주파수를 분석하면, 고유의 특징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징값으로서 저장하는 것이다.
특징값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인식 기술은 WMA, MP3, WAV, 0GG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는 오디오 인식에 적용되며, 압축 및 신호 처리에 강인한 장점이 있고, 동영상으로부터 분리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면 동영상 인식에도 적용할 수 있 다.
한편, 특징값을 기반으로 하는 동영상 인식 기술은 왜곡에 강인하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의 모든 형태의 비디오 포맷을 지원하는 비디오 인식에 적용할 수 있으며, 포맷, 크기, 프레임율, 비트율 변화에 대응 가능하고, 1분 정도 분량의 영화 클립을 이용하여 전체 콘텐츠에서 해당 클립의 대략적인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값 기반 인식 기술을 본 발명에 적용하게 되면, 콘텐츠를 전체적으로 비교하지 않고도 유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특징 추출 모듈(200)은 콘텐츠의 특징값을 추출하는 것으로, 콘텐츠 관리부(152)에 의해 관리 대상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때, 해당 관리 대상 콘텐츠의 특징값을 추출하여 콘텐츠 관련 정보에 포함시켜 함께 저장한다.
아울러, 콘텐츠 검색부(172)는 웹서버(30), 왑서버(40), 개인용 컴퓨터(50) 상의 콘텐츠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고, 관리 대상 콘텐츠의 특징값과 검색된 콘텐츠의 특징값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책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전체적으로 비교하지 않고, 콘텐츠의 특징값 비교를 통해 보다 고속으로 유사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1)은 캡쳐링 모듈(202)을 이용하여 수집한 캡쳐링 화면을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검색부(172)에 의해 유사 콘텐츠가 검색되고, 이 콘텐츠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경우, 캡쳐링 모듈(202)은 해당 콘 텐츠가 게시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 해당 콘텐츠가 다운로드되고 있는 상태의 화면, 해당 콘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 해당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의 화면 등, 관리 대상 콘텐츠가 불법 유통되고 있는 화면을 캡쳐한다.
이러한 캡쳐링 정보는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에 포함시켜 저작권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저작권을 행사하는 데 증거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캡쳐링 정보에 대한 무결성을 위해 모니터링 결과 생성부(190)는 캡쳐링 정보에 대하여 전자서명을 수행하거나, 공인전자문서 보관소와 같은 제3의 기관(Trusted Third Party; TTP)(미도시)을 통해 공인인증을 받는 등의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해당 캡쳐링 정보가 악의적으로 위조/변조되거나 부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법적으로 효력을 갖는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징값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를 위하여 먼저,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의 콘텐츠 관리부(152)는 저작권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S201), 특징 추출 모듈(200)을 이용하여 특징값을 추출한 후(S20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5).
이후,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접속부(160)를 통해 웹서버(30), 왑서버(40) 또는 개인용 컴퓨터(50)와 같은 통신 장치에 접속하고, 콘텐츠 검색부(172) 는 접속된 통신 장치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각 콘텐츠의 특징값을 추출한 후(S207), 관리 대상 콘텐츠의 특징값과 유사한 특징값을 갖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유사도를 책정한다(S209).
그리고, 단계 S209에서 추출한 콘텐츠와 관리 대상 콘텐츠의 유사도가 문턱값 이상인지 확인하여(S211), 문턱값 이상인 경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한다(S213).
한편, 단계 S211의 확인 결과 검색된 콘텐츠의 유사도가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정된 주기를 카운트한 후(S215), 단계 S207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대상 콘텐츠의 특징값과 비교 대상 콘텐츠의 특징값을 이용하여, 그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관리 대상 콘텐츠가 불법으로 유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할 뿐 아니라 시스템에 가중되는 부하 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콘텐츠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의 일 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모니터링 결과 리스트의 일 예시도이다.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콘텐츠명, 저장 위치, 저장 시각, 검색 시각, 유사도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캡쳐링 모듈(202)을 이용하는 경우 캡쳐링 정보가 더 포함되게 되며, 캡쳐링 정보는 전자 서명, 공인 인증 등이 수행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저작권자는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받아, 자신의 저작물을 불법으로 유통시키고 있는 상대방에게 법적인 제재를 가하거나, 협의를 통해 저작물을 유통을 허가하는 등, 자신의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영화, 음반, 애니메이션, UCC 등과 같은 저작권을 갖는 콘텐츠가 저작권자의 의지에 반하여 유통되거나, 복제, 공유, 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자신의 저작물이 불법으로 유통되는 것을 저작권자가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어, 사이버 상에서 저작권 있는 콘텐츠가 합법적으로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과 통신망과의 접속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모니터링 결과 리스트의 일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콘텐츠 관리 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인터페이스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저작권자 관리부 150, 152 : 콘텐츠 관리부
160 : 접속부 170, 172 : 콘텐츠 검색부
180 : 비교부 190 : 모니터링 결과 생성부
200 : 특징 추출 모듈 202 : 캡쳐링 모듈

Claims (18)

  1. 복수의 저작권자 컴퓨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상기 저작권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관리 대상 콘텐츠로서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상기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책정하며,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의 저작권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작권자 관리부;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 및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의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부;
    상기 웹서버, 왑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유사도를 책정하는 콘텐츠 검색부;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책정한 유사도를 지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추출 결과로부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 및, 상기 웹서버, 왑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웹서버, 왑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검색한 콘텐츠의 특징값과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의 특징값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검색한 콘텐츠 중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캡쳐하는 캡쳐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링 모듈에 의해 캡쳐링된 화면은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하여 키워드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유사도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는, 상기 비교부에서 추출한 콘텐츠의 콘텐츠명, 저장 위치, 저장 시각, 게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의 관련 정보는, 콘텐츠명, 종류, 용량, 코딩 방식,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검색한 콘텐츠 중 지정된 문턱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캡쳐하는 캡쳐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는, 상기 비교부에서 추출한 콘텐츠의 콘텐츠명, 저장 위치, 저장 시각, 게시자, 상기 캡쳐링 모듈의 화면 캡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11. 복수의 저작권자 컴퓨터, 웹서버, 왑서버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된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저작권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 있는 관리 대상 콘텐츠 및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의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웹서버, 왑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콘텐츠를 상기 지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유사도를 책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검색된 콘텐츠의 유사도가 지정된 문턱값 이상인지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유사도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웹서버, 왑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한 특징값과, 상기 제 2-1 단계에서 추출한 특징값을 비교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제 2-2 단계에서 추출한 콘텐츠에 대하여 유사도를 책정하는 제 2-3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유사도가 상기 문턱값 이상인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캡쳐한 검색 화면을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콘텐츠 정보 리스트는, 상기 유사도가 상기 문턱값 이상인 콘텐츠의 콘텐츠명, 저장 위치, 저장 시각, 게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하여 키워드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유사도를 책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콘텐츠의 관련 정보는, 콘텐츠명, 종류, 용량, 코딩 방식,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0080006768A 2008-01-22 2008-01-22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2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68A KR101027502B1 (ko) 2008-01-22 2008-01-22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2/328,838 US20090183319A1 (en) 2008-01-22 2008-12-05 Washing machine and rinsing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68A KR101027502B1 (ko) 2008-01-22 2008-01-22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01A KR20090080801A (ko) 2009-07-27
KR101027502B1 true KR101027502B1 (ko) 2011-04-06

Family

ID=4129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768A KR101027502B1 (ko) 2008-01-22 2008-01-22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30B1 (ko) * 2018-08-22 2019-05-23 주식회사 한국기술지원 블록체인을 통한 콘텐츠 저작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686B1 (ko) * 2016-12-19 2017-10-13 전자부품연구원 공동 저작 장치 및 방법
KR101800373B1 (ko) * 2016-12-30 2017-11-22 (주)엠더블유스토리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8668B1 (ko) * 2017-02-14 2018-07-16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내의 미술저작물 인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77A (ko) * 2000-07-24 2002-02-01 김회율 문장 표절 및 도용 검색 방법
JP2004064582A (ja) * 2002-07-31 2004-02-26 Hitachi Ltd 放送コンテンツ著作権保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77A (ko) * 2000-07-24 2002-02-01 김회율 문장 표절 및 도용 검색 방법
JP2004064582A (ja) * 2002-07-31 2004-02-26 Hitachi Ltd 放送コンテンツ著作権保護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30B1 (ko) * 2018-08-22 2019-05-23 주식회사 한국기술지원 블록체인을 통한 콘텐츠 저작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01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43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201900734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8244639B2 (en) Content identification, personal domain, copyright notification, metadata and e-Commerce
US20050198061A1 (en) Process and product for selectively processing data accesses
Kalker et al. Music2Share-copyright-compliant music sharing in P2P systems
US20030061490A1 (en) Method for identifying copyright infringement violations by fingerprint detection
US20040221118A1 (en) Control of access to data content for read and/or write operations
JP2005534098A (ja) ファイル共有規制方法及び装置
EP3149652A1 (en) Fingerprinting and matching of content of a multi-media file
JP51816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027502B1 (ko)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Huang et al. Mediaprinting: Identifying multimedia content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074148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개인용정보 처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Shyu et al. Overview and future trends of multimedia research for content access and distribution
CN112001718A (zh) 一种音像制品的定制方法
JP5377387B2 (ja) 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の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方法、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サーバ装置、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サーバプログラム、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装置および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プログラム
KR101976802B1 (ko)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실시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JP5680154B2 (ja) 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装置、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パッケージ端末装置。
Blum et al. Audio Fingerprint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KR20100105983A (ko) Hash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사이트에서의 영상 컨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Bouarfa Research Assignment on
Bartoszek " Deemed Distribution": How Talking about Music Can Violate Copyright Law
Hundacker Forensic Digital Right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