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863B1 -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863B1
KR100973863B1 KR1020087018277A KR20087018277A KR100973863B1 KR 100973863 B1 KR100973863 B1 KR 100973863B1 KR 1020087018277 A KR1020087018277 A KR 1020087018277A KR 20087018277 A KR20087018277 A KR 20087018277A KR 100973863 B1 KR100973863 B1 KR 10097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ream
digital stream
rom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290A (ko
Inventor
와타루 이케다
히로시 하마사카
가즈히코 나카무라
도모유키 오카다
마사유키 고즈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7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15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11B20/00159Parental control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39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geographical reg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1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재생장치는,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의 재생을 행할 뿐 아니라, WWW서버(500)에서 업데이트 키트를 다운로드 하여 로컬 HD(12)에 기입한다. 로컬 HD(12)에 저장된 AV 스트림은 추가 언어를 위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6)는,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 및 로컬 HD(12)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을 억세스 유니트 단위로 판독하고, 오디오 디코더(6)는 BD-ROM 및 로컬 HD(12)에서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에서 필요한 오디오 프레임을 인출하여 재생한다. 비디오 디코더(4)는 BD-ROM에서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에서 동화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재생한다.
BD-ROM, 로컬 HD, 억세스 유니트, 재생

Description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BD-ROM (Blu-Ray Disk Read Only Memory) 등의 광 디스크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광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광 디스크에 의해 반포된 영화작품 등을 재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영화작품의 반포에 있어서는 언어의 차이가 큰 장벽으로 가로막혀 있다. 더빙 음성이나 자막의 제작기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화업계에서는 미국에 대한 광 디스크 반포를 먼저 하고, 서구 및 일본, 동구 및 아시아와 같이 비영어권에 대한 광 디스크의 반포시기를 늦추는 비즈니스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이 비즈니스 형태는 타임 시프트라고 부른다). 타임 시프트에 의해, 세계 각 지역에 영어에 의한 음성·자막과, 그 지역의 모국어에 의한 음성·자막을 갖는 영화작품이 반포되게 된다. 또, DVD에서의 음성 재생, 부영상 재생에 관한 음성기술로는 일본국 특허 등록 제 282103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런데 자신이 속하는 국가·지역에는 반포되어 있지 않은 버전의 광 디스크를 원하는 사용자는, 소수이기는 하나, 어느 국가나 지역에도 반드시 존재한다. 전형적인 것으로는, 영어, 모국어 이외의 제 2 언어의 어학 학습을 위하여, 제 2 언어에 의한 번역판 디스크를 구입하는 사용자이다. 그러나 제 2 언어의 영화작품을 기록한 디스크의 판매지역은, 많은 경우 그 언어권 내로 한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모국에서는 구입이 곤란하다. 또, 그 언어권으로부터 주문을 했다고 해도, 지역 코드의 제약 때문에 자신이 소유한 재생장치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습득하고자 하는 제 2 언어는 일본어, 독어, 불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사용자마다 격차가 심하며, 그들 언어의 모두를 커버하도록 상품의 라인업을 구비한다고 하는 것은 배급자의 입장에서는 시장 리스크가 매우 크다. 어학 학습은 일 예에 불과하며, 자신이 속한 나라에 반포되어 있지 않은 버전의 디스크를 원하는 사용자는 어느 나라에든지 반드시 존재하나, 종래에는 배급자가 그와 같은 요구에 따를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이 속하는 나라에는 반포되어 있지 않은 버전의 디스크를 구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가상적인 패키지에 포함되는 제 1 디지털 스트림과 제 2 디지 털 스트림을 동기 재생하는 재생장치로, 패키지영역을 가진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있고, 패키지영역은 소정의 파일 경로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이며, 상기 소정의 파일 경로에는 디스크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식별정보는 가상적인 패키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패키지영역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판독전용형 광디스크를 가리키는 정보이며, 상기 대응부여정보는, 패키지영역 상의 파일과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 상의 파일의 대응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으로서, 동기 재생할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지정하는 정보이며, 상기 패키지영역에는 제 2 디지털 스트림과 대응부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대응부여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1 판독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패키지영역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2 판독수단과, 제 1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 및 제 2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이들 데이터를 동기시키에 의해 달성된다.
제 2 디지털 스트림이 모국어 이외의 제 2 언어판이면, 이것을 예비기록매체로부터 일부분씩 판독한다. 이와 병행하여, 광디스크에 기록된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일부분씩 판독한다. 양자로부터 판독된 일부분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동기를 취하면서 재생수단이 재생하도록 하면, 제 2 언어판의 음성 또는 자막 의 재생을 수반하면서 제 1 디지털 스트림 본체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의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인터넷을 경유하여 판매하면, 제 2 언어의 습득을 위해, 제 2 언어를 원하는 세계의 사용자에게 제 2 언어판의 업데이트 키트를 소량 판매한다고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를 확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즈니스의 확립을 영화작품의 새로운 수입원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실시행위 중,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재생장치 200이며, 재생장치(200), TV(300), 리모콘(400)과 함께 홈시어터 시스템을 형성한다. BD-ROM(100)은, 본 홈시어터 시스템에 영화작품을 공급하는 기록매체이며, 재생장치(200)는, 리모컨(4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BD-ROM(100)에 기록된 영화작품을 재생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본 도면의 홈시어터 시스템의 특징적인 부분은, 재생장치(200)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WWW서버(500)와 접속되어 있다는 점이다. WWW서버(500)는, 재생장치(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BD-ROM(100)의 기록내용의 업데이트 키트를 재생장치(200)로 송신한다. 업데이트 키트가 송신되면, 재생장치는 이 업데이트 키트를 BD-ROM(100)의 기록내용과 동적으로 조합시켜서 가상적인 버전의 패키지(가상 패키지)의 재생을 실행한다. 가상 패키지란, BD-ROM(100)의 기록내용과 업데이트 키트를 동적으로 조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공급되는 가상적인 패키지이다. 가상 패키지에 대해,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내용 전반을 BD-ROM 패키지라고 한다.
이하, BD-ROM 패키지에 대하여 도 2~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BD-RO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4 단째에 BD-ROM을 나타내며, 제 3 단째에 BD-ROM상의 트랙을 나타낸다. 본 도면의 트랙은 BD-ROM의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묘사하고 있다. 이 트랙은, 리드인 영역과, 볼륨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도면의 볼륨영역은 물리 층, 파일 시스템 층, 응용 층의 레이어 모델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데이터 포맷을 BD-ROM의 응용층 상에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는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도 3은, 디렉토리 구조를 이용하여 BD-ROM의 응용층 포맷(어플리케이션)을 표현한 도면이다. 본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D-ROM에는, 루트(ROOT)디렉토리 밑에 BD-AV 디렉토리가 있고, 그 밑에 JCLASS 디렉토리, 브라우저(BROWSER) 디렉토리가 있다.
BD-AV 디렉토리 밑에는, INFO.BD, XXX.M2TS, XXX.CLPI, YYY.PL, ZZZ.MOVIE 라는 파일이 존재한다. JCLASS 디렉토리 밑에는 ZZZ.CLASS 라는 파일이, BROWSER 디렉토리 밑에는 ZZZ.HTML 이라는 파일이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들 파일을 분류한 분류도이다. 본 도에 있어 서, 제1층, 제2층, 제3층, 제4층으로 이루어지는 계층이 본 도에서의 분류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본 도에 있어서, XXX.M2TS는 제2층에 분류된다. XXX.CLPI, YYY.PL은 제3층(정적 시나리오)에 분류된다. DB-AV 디렉토리 밑의 ZZZ.HTM은 제4층에 분류된다.
본 도면의 분류(제1층~제4층)는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레이어 모델을 대상으로 한 분류이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서, BD-ROM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어 소프트웨어의 레이어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제1층은 물리 층이며, 처리 대상인 스트림 본체의 공급제어이다. 이 제 1층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대상인 스트림은, BD-ROM만이 아니라, HD, 메모리카드, 네트워크와 같은 일체의 기록매체, 통신매체를 공급원으로 하고 있다. 이들 HD, 메모리카드, 네트워크와 같은 공급원에 대한 제어(디스크 억세스, 카드 억세스, 네트워크 통신)가 제 1 층의 제어이다.
2 층은, 복호화 방식 영역이다. 이 제 1 층에서 공급된 스트림을 어떤 복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복호하는 것인가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 이 제 2 층이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복호화 방식은 MPEG 2 복호화 방식이다.
제 3 층(정적 시나리오)은 스트림의 정적인 시나리오를 규정하는 영역이다. 정적 시나리오란, 디스크 제작자에 의해 미리 규정된 재생 경로 정보, 스트림 관리정보이며, 이들에 기초한 재생 제어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 이 제 3 층(정적 시나리오)이다.
제 4 층은 스트림에서의 동적인 시나리오를 실현하는 영역이다. 동적인 시나 리오란, 사용자 조작 장치의 상태에 의해서 재생 진행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시나리오이며, 이들에 기초한 재생제어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 이 제 4 층이다. 이하, 이 영역모델에 따라서, 스트림 본체, 정적 시나리오에 대한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2 층에 속하는 스트림(XXX.M2TS)에 대하여 설명한다.
AV 스트림(XXX.M2TS)은, MPEG-TS(Transport Stream) 형식의 스트림이며, 비디오 스트림,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 하나 이상의 부 영상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은 영화의 동화상 부분을, 오디오 스트림은 영화의 음성 부분을, 부영상 스트림은 영화의 자막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AV 스트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AV 스트림은(제 4 단째),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픽쳐 pj1, 2, 3) 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을(제 1 단째), PES 패킷 열로 변환하고(제 2 단째), 또한, TS 패킷으로 변환하며(제 3 단째), 동일하게 부영상 스트림(제 7 단째)을 PES 패킷 열로 변환하고(제 6 단째), 또한, TS 패킷으로 변환하여(제 15 단째), 이들을 다중화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다중화는, 오디오 프레임이 같은 시각에 BD-ROM으로부터 판독되어야 할 비디오 스트림의 가까이에 오도록,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 TS 패킷, 오디오 프레임을 저장한 TS 패킷을 나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생성된 AV 스트림은, 통상의 컴퓨터 파일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익스텐트(extent)로 분할되어 BD-ROM 상의 영역에 기록된다. 도 7은 AV 스트림이 어떻게 BD-ROM에 기록되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익스텐트가, 얼마만큼의 길이이며, BD-ROM에서 어느 어드레스에 기록되어 있는가는 파일 관리정보(fk1)에 기술되어 있다.
파일 관리정보(fk1)에는, AV 스트림을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3개의 익스텐트 1, 2, 3의 각각에 대하여, 익스텐트의 어드레스(adr 1, 2, 3), 길이(length 1, 2, 3)가 기술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V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엑세스 유니트(ACCESS UNIT)로 이루어지며, 이 엑세스 유니트 단위로 첫머리 검색(cue)이 가능하다. 엑세스 유니트란, 하나의 GOP (Group of Picture)와, 이 GOP와 동시에 판독되어야 할 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최소 디코드 단위이다. GOP는, 과거 방향 및 미래 방향으로 재생되어야 할 화상과의 시간상관 특성을 이용하여 압축되어 있는 B(Bi-directionally predictive) 픽쳐, 시간상관 특성을 이용하지 않고, 1 프레임 분의 화상 내에서의 공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압축되어 있는 I(Intra)픽쳐를 포함한다.
또한, XXX.M2TS의 파일명 XXX는 BD-ROM에서 AV 스트림에 부여되는 3자리 수의 식별번호를 추상화하고 있다. 즉, 본 도에서의 AV 스트림은 이 XXX를 이용하여 일의적(一意的)으로 식별된다. 이상이 스트림(XXX.M2TS)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서 3자리 수라고 하는 자릿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몇 자릿수라도 좋다).
<정적인 시나리오>
이어서, 정적인 시나리오인 파일( XXX.CLPI, YYY.PL)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트림 관리정보(XXX.CLPI)는 개개의 AV 스트림에 대한 관리정보이다.
도 8은 스트림 관리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V 스트림은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AV 스트림은 억세스 유니트라고 불리는 단위에 의한 첫머리 검색이 가능하므로, 각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은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는가, 첫머리 검색 위치가 AV 스트림 내의 어디에 존재하는가가 스트림 관리정보의 관리 항목이 된다. 도면 중의 인출선은 스트림 관리정보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인출선 hn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림 관리정보(XXX.CLPI)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속성정보」와, 억세스 유니트를 첫머리 검색하기 위한 참조 테이블인 「TMAP」로 이루어진다.
속성정보(Attribute)는, 점선 인출선 hn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속성정보(Video 속성정보), 속성 정보 수(Number), AV 스트림에 다중화되는 복수 오디오 스트림의 각각에 대한 속성정보(Audio 속성정보 #1~#m)로 이루어진다.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관리정보는, 점선 인출선 hn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비디오 스트림이 어떤 압축방식으로 압축되었는가(Coding),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개개의 픽쳐 데이터의 해상도가 얼마만큼인가(Resolution), 애스팩트 비는 얼마만큼인가(Aspect), 프레임 레이트는 얼마만큼인가(Framerate)를 나타낸다.
한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속성정보(Audio 속성정보 #1~#M)는, 점선 인출선 hn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오디오 스트림이 어떤 압축방식으로 압축되었는가(Coding), 그 오디오 스트림의 채널 번호가 무엇인가(Ch), 무슨 언어에 대응하고 있는가(Lang)를 나타낸다.
타임 맵(TMAP)은, 복수의 첫머리 검색 위치의 어드레스를,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간접 참조하기 위한 참조 테이블이며, 점선 인출선 hn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엔트리정보(ACCESS UNIT #1 엔트리 정보, ACCESS UNIT #2 엔트리 정보, ACCESS UNIT #3 엔트리 정보 … )와, 엔트리 정보 수(Number)로 이루어진다. 각 엔트리 정보는, 인출선 hn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시간(Duration)과, 대응하는 억세스 유니트의 데이터 사이즈(Size)를 대응시켜서 이루어진다. 가변길이 부호 압축방식이 채용되므로, GOP를 포함하는 각 억세스 유니트의 사이즈 및 재생시간이 각각 달라도, 이 「엔트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임의의 재생시간으로부터 그 재생시각에 대응하는 억세스 유니트 내의 픽쳐 데이터로의 첫머리 검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XXX.CLPI의 파일명 XXX는 스트림 관리정보가 대응하고 있는 AV 스트림과 동일한 명칭이 사용된다. 즉, 본 도면에 있어서의 AV 스트림의 파일명은 XXX이므로, AV 스트림(XXX.M2TS)에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이 스트림 관리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플레이 리스트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YYY.PL(플레이리스트 정보)은, 재생 경로인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는 테이블이며, 셀 리스트(CellList)로 이루어진다. 도 9는 PL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셀 리스트는, 복수의 셀 정보(CELL 정보 #1, #2, #3, …, #n)와, 이들 셀 정보 수(Number)로 이루어진다. 셀 정보는, 포인터 정보이며, 플레이 리스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재생구간을 정의한다. 셀 정보의 구성은 인출선 hs1에 의해 클로즈업 되어있다. 이 인출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정보는, 재생구간의 In점 및 Out점이 속하는 AV 스트림의 명칭을 나타내는 「AV Stream Name」과, 재생구간의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인 「In점 정보」와, 재생구간의 종점을 나타내는 정보인 「Out점 정보」로 구성된다.
셀 정보의 특징은 그 표기법에 있다. 즉, 타임 맵을 참조 테이블로 이용한 간접 참조의 형식으로 재생구간이 정의되어 있다. 도 10은 PL정보에 의한 간접참조를 모식화 한 도면이다. 본 도에 있어서, AV 스트림은 복수의 억세스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림 관리정보 내의 TMAP는 이들 복수의 억세스 유니트의 섹터 어드레스를 화살표 ay1, 2, 3, 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정하고 있다. 도면 중의 화살표 jy1, 2, 3. 4는 CELL 정보에 의한 억세스 유니트의 참조를 모식화 하고 있다. 즉, CELL 정보에 의한 참조(화살표 jy1, 2, 3, 4)는, TMAP를 경유함으로써, AV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복수 억세스 유니트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간접참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CELL정보 - 스트림 관리정보 - AV 스트림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BD-ROM상의 재생구간을 「셀」이라고 한다. PL정보 - 스트림 관리정보 - AV 스트림정보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BD-ROM 상의 논리적인 재생단위를 「플레이리스트(PL이라 약칭함)」라고 한다. BD-ROM에 기록된 영화작품은 이 논리적인 재생 단위(PL)로 구성된다. 논리적인 재생단위로서 BD-ROM에서의 영화작품이 구성되므로, 본편인 영화작품과는 별도로, 어떤 캐릭터가 등장하는 신(Scene)만을 지정하는 PL을 정의하면, 그 캐릭터가 등장하는 신만으로 이루어지는 영화작품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도 11 은 도 10에 도시한 PL정보(PLWJDQH #1)와는 별개의 다른 PL(PL정보 #2)를 정의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PL정보를 정의하는 것만으로 영화작품의 변형은 증가하므로, 영화 제작자의 표현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이 정적 시나리오의 최대 장점이다.
또, BD-ROM에서의 재생단위에는, PL, CELL 같은 것 외에 Chapter가 있다. Chapter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CELL로 구성된다.
또한, PL정보의 파일명 YYY는 BD-ROM에서의 PL정보에 부여되는 3 자릿수의 식별번호를 추상화하고 있다. 즉, 본 도에 있어서의 PL정보는 이 식별번호 YYY를 이용하여 일의적으로 식별된다. PL정보의 식별번호를 "YYY"로 표현하고 있는 것은, PL정보의 식별번호가 AV 스트림 및 AV 스트림 관리정보의 식별번호 XXX와는 별개의 번호체계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여기서, 3 자릿수라고 하는 자리 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몇 자릿수라도 좋다). 이상이 BD-ROM 패키지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재생장치(20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재생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장치(200)는, BD 드라이브(1), BD 버퍼(2), 디멀티플렉서(3), 비디오 디코더(4), 픽처프레인(picture plane)(5), 오디오 디코더(6), 이미지 디코더(7), 이미지 프레인(image plane)(8), 가산기(9),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10), 다운로드부(11), 로컬 HD(12), HD 버퍼(13), 디멀티플렉서(14), 스위치(15), 제어부(16)로 구성된다.
BD 드라이브(1)는, BD-ROM의 로딩/이젝트를 행하며, BD-ROM에 대한 억세스를 실행한다.
BD 버퍼(2)는, FIFO 메모리이며, BD-ROM으로부터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된다.
디멀티플렉서(3)는, BD 버퍼(2)로부터 억세스 유니트를 인출하여 다중 분리를 행하고, GOP를 구성하는 비디오 프레임과 오디오 프레임을 취득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비디오 디코더(4)에 출력하고, 오디오 프레임을 오디오 디코더(7)에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3)에 의한 다중분리는 TS 패킷을 PES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처리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3)에 의한 다중분리는, BD-ROM으로부터 판독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TS 패킷으로부터 페이로드(Payload)에 해당하는 PES 패킷을 인출하고, 또한, 이 PES 패킷에서, 그 페이로드에 해당하는 본체 데이터(비디오 프레임, 오디오 프레임, 부 영상 유니트의 3개가 있다)를 인출하여, T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TS 패킷에 기초하여, 이 본체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4), 오디오 디코더(6), 이미지 디코더(7)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TS 패킷에 부가된 PID(Packet ID)가 비디오 스트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PES 패킷의 본체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4)에 출력되며, PID(Packet ID)가 오디오 스트림을 나타내고 있다면, 본체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된다. TS 패킷에 대한 다중분리는, T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 ATM(Arrival Time Stamp)이라고 하는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즉, 재생장치 내부의 클록이 TS 패킷의 타임스탬프에 나타내는 시각이 되면 디멀티플렉서(3)는 TS 패킷에 대하여 상술한 다중분리를 행한다.
비디오 디코더(4)는 디멀티플렉서(3)에서 출력된 비디오 프레임을 복호하여 비압축 형식의 픽쳐를 비디오 프레임(15)에 기억한다.
픽쳐프레임(5)은 비압축 형식의 픽쳐를 저장하여 두기 위한 메모리이다.
오디오 디코더(6)는, 디멀티플렉서(3)에서 출력된 오디오 프레임을 복호하여 비압축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미지 디코더(7)는 압축 부호화된 부 영상 스트림을 신장하여 이미지 프레임(8)에 기입한다. 부 영상 스트림의 디코드에 의해, 각종 메뉴, 부 영상이 화면상에 나타나게 된다.
이미지 프레임(8)은, 1 화면분의 영역을 갖는 메모리이며, 신장된 부 영상 스트림이 배치된다.
가산기(9)는 픽쳐프레임(5)에 저장된 비 압축 형식의 픽쳐 데이터에 이미지 프레임(9)에 신장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10)는 현행 PL 정보 및 현행 스트림 관리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이다. 현행 PL 정보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PL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현행 스트림 관리정보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스트림 관리정보 중, 현재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다운로드부(11)는, WWW서버(500)와의 사이에서 FTP(File Transfer Protocol)통신을 실행하여, WWW서버(500)로부터 업로드 키트를 다운로드하여 로컬 HD(12)에 기입한다.
로컬 HD(12)는 업데이트 키트가 기입되는 내장형 디스크이다. 본 도에서, 로 컬 HD(12)의 내부에는 디렉토리 구조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컬 HD(12)에서의 디렉토리 구조는, 루트 디렉토리 밑에 디렉토리 「abc」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업데이트 키트를 배치하는 것이다. 도면 중의 디렉토리명 「abc」는 업데이트 키트에 대응하는 BD-ROM의 볼륨 라벨과 동일한 명칭이 부가되어 있다. 로컬 HD(12)에서의 업데이트 키트는 볼륨 라벨 「abc」와 동일한 명칭 「abc」를 가진 디렉토리에 기록되는 것이다.
다운로드부(11)는,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시에 BD-ROM의 볼륨 라벨 「abc」를 판독하여, 이 명칭 「abc」의 디렉토리를 로컬 HD(12)에 작성한다. 그리고 WWW서버(500)에 억세스해서 업데이트 키트를 다운로드하여, 볼륨 라벨 명의 디렉토리 명을 갖는 디렉토리 「abc」에 기입한다.
도면 중의 점선 틀(Frame)의 내용은 업데이트 키트를 구성하는 파일을 나타낸다. 이 점선 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 키트는, 추가의 AV 스트림 「UXX.M2TS」, 추가의 스트림 관리정보 「UXX.CLPI」, 갱신용의 PL 정보 「UYY.PL」로 이루어진다.
HD 버퍼(13)는,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억세스 유니트가 BD 버퍼(2)에 판독될 때마다 로컬 HD(12)에 기록된 추가의 스트림(UXX.M2TS)을 구성하는 억세스 유니트가 판독되는 버퍼이다.
디멀티플렉서(14)는, HD 버퍼(13)에 판독된 MPEG-TS 형식의 억세스 유니트를 다중분리하여, 다중화 전의 데이터(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오디오 프레임이 된다)를 얻는다.
스위치(15)는, HD 버퍼(13)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의 오디오 프레임 및 BD 버퍼(2)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 내의 오디오 프레임 중 어느 일방을 선택적으로 오디오 디코더(6)로 출력한다. 스위치(15)의 출력 절환은 SPRM(1)(음성 스트림 번호)에 의한다. SPRM(1)은 재생장치의 상태가 나타나 있는 레지스터이다.
제어부(16)는, CPU,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 RAM으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이다.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CPU에 읽어들여져서,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자원이 협동함으로써, 사용목적에 따른 정보의 연산 또는 가공을 실현한다. 여기에서의 사용목적에는, BD-ROM 에 기록된 PL의 재생(1), WWW서버(500)로부터의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2), BD-ROM 패키지와 업데이트 키트와를 조합시킨 가상 패키지의 재생(3)이 있으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자원(BD 드라이브(1)~스위치(15))이 협동한 구체적 수단이 사용 목적에 따른 정보의 가공 또는 연산을 행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른 특유의 정보처리장치(재생장치(200))가 구축된다.
이 제어부(16)는, 재생장치(200)의 상태설정을 나타내는 레지스터(플레이어 레지스터)를 내장하고 있다. 플레이어 레지스터는 32개의 시스템 파라미터 레지스터(System Parameter Register)와, 3개의 제너럴 퍼포즈 레지스터(General Purpose Register)로 이루어진다.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Player Status Register)의 설정 값(SPRM)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하의 SPRM(x)라는 표기는, x번째의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설정 값을 의미한다.
SPRM(0) : Reserved
SPRM(1) : 디코드 대상인 오디오 스트림의 스트림번호
SPRM(2) : 디코드 대상인 부 영상 스트림의 스트림번호
SPRM(3) : 사용자에 의한 앵글 설정을 나타내는 번호
SPRM(4) : 현재 재생대상으로 되어 있는 타이틀의 번호
SPRM(5) : 현재 재생대상으로 되어 있는 Chapter 번호
SPRM(6) : 현재 재생대상으로 되어 있는 PL의 번호
SPRM(7) : 현재 재생대상으로 되어 있는 CELL의 번호
SPRM(8) : 현재의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
SPRM(9) : 내비게이션 타이머의 카운트 값
SPRM(10) : 현재 선택상태에 있는 버튼의 번호
SPRM(11)~(12) : Reserved
SPRM(13) : 사용자에 의한 페어런털 레벨(Parental Level)의 설정
SPRM(14) : 재생장치의 영상재생에 관한 설정
SPRM(15) : 재생장치의 음성재생에 관한 설정
SPRM(16) : 재생장치에서의 음성설정을 나타내는 언어 코드
SPRM(17) : 재생장치에서의 자막설정을 나타내는 언어 코드
SPRM(18) : 메뉴 묘사(Menu Drawing)를 위한 언어 설정
SPRM(19)~(20) : Reserved
여기서, SPRM(10)은 AV 스트림에 속하는 각 픽쳐 데이터가 표시될 때마다 갱신된다. 즉, 재생장치가 새로운 픽쳐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면, 그 새로운 픽쳐 데이터의 표시개시시각(Presentation Time)을 나타내는 값으로 SPRM(10)은 갱신된다. 이 SPRM(10)을 참조하면 현재의 재생시점을 알 수 있다.
SPRM의 설정에 있어서 제어부(16)는 메뉴를 표시한다. 이 메뉴는, 음성설정, 자막, 앵글설정, 페어렌털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것이며, 이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가 조작을 행하면, 레지스터의 저장 값을 메뉴 조작에 따라서 갱신한다. 메뉴를 통한 경우만이 아니라, 사용자가 리모컨(400)에 대하여 조작을 행한 경우에도 SPRM을 갱신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이다.
이하, 본 로컬 HD(12)에 저장되어 있는 업데이트 키트의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UXX.M2TS)은 R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에 새로운 음성을 추가하는 AV 스트림이다. 도 13은, BD-ROM 패키지에서의 AV 스트림과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은 BD-ROM 패키지에서의 AV 스트림과 동수의 억세스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BD-ROM 패키지(X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 업데이트 키트(U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상단은 BD-ROM 측의 억세스 유니트이고, 하단은 업데이트 키트 측의 억세스 유니트이다. 본 도면에서의 억세스 유니트 #98, #99, #100, #101, #102는 각각 AV 스트림의 재생 개시로부터 1분 38초 후, 1분 39초 후, 1분 40초 후, 1분 41초 후에 재생 되는 것이다(이것은, 하나의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시간을 1초로 근사시키고 있다).
여기서 억세스 유니트에 착안하면, BD-ROM측의 억세스 유니트 #100은, 1분 40초에 재생하여야 할 GOP와, 동(同) 시각에 판독하여야 할 오디오 프레임 열(도면 중의 악보 기호)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업데이트 키트 측의 억세스 유니트 #100은 1분 40초에 재생되어야 할 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는 각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시간을 나타낸다. 이 재생시간이 억세스 유니트 별로 다른 것은,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시간은 GOP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재생시간에는 억세스 유니트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각 억세스 유니트는 BD-ROM에 기록된 각 억세스 유니트와 동일한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다.
BD-ROM에 기록되는 AV 스트림과 동일한 수의 억세스 유니트를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에 포함시켜 두고, BD-ROM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와 같은 시간 길이의 오디오 프레임을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 내에 포함시켜 둠으로써,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는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와 1대 1로 대응하게 된다. 이상이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업데이트 키트 내에서의 스트림 관리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스트림 관리정보(UXX.CLPI)는, 음성만의 AV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관리정보이며, 음성 만의 스트림과 함께 WWW서버(500)에서 배급된다. 도 15는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스트림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스트림 관 리정보에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TMAP이 있으며, 각 억세스 유니트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 및 개시시각이 기술된다.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과 같은 TMAP가 존재하므로, 업데이터 키트 내의 AV 스트림에 있어서, 억세스 유니트 단위에 의한 첫머리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이 스트림 관리정보가 도 8의 스트림 관리정보와 다른 점은,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디오 속성이 "no video"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 및 오디오 속성에 "Offset"이 추가되어 있다는 점이다. 오디오 속성에 추가된 Offset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BD-ROM에서의 억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패킷과,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억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패킷 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에서, 「V」는 비디오 패킷을 나타내고, 「A」는 오디오 패킷을 나타낸다. 이들 패킷에는 타임스탬프가 부여되어 있다. 타임스탬프는 언제 처리를 행하는가 라고 하는 처리 타이밍을 재생장치에 지시하는 시각정보이다. BD-ROM에서 릴리스 되는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에 있어서, 최초에 위치하는 오디오 패킷에는 「702」라고 하는 값의 타임스탬프가 부여되어 있다. 이보다 후의 오디오 패킷에는, 「703」, 「704」, 「705」, 「706」과 같이 보다 큰 값의 타임스탬프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에 있어서 최초에 위치하는 오디오 패킷에는 「150」이라고 하는 타임스탬프가 부여되어 있다. 이보다 후의 오디오 패킷에는, 「151」, 「152」, 「153」, 「154」, 「155」와 같이 뒤에 있는 오디오 패킷일수록 큰 값의 타임스탬프가 부여되어 있다.
타임스탬프의 차이의 원인은 엔코드시의 마스터 클록의 차이이다. 마스터 클 록이란, 타임스탬프 부여를 위해 엔코드시에 참조되는 클록이며, 이 마스터 클록의 참조에 의해, 하나의 AV 프레임 내의 복수 오디오 패킷에는 연속한 값의 타임스탬프가 부여되게 된다. 그러나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과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에서는, 타임스탬프의 부여시, 참조되는 마스터 클록이 다르므로, 각 오디오 패킷에 부여되는 타임스탬프의 값이 저절로 달라진다. 억세스 유니트에 포함되는 각 오디오 패킷의 타임스탬프가 크게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그대로는 2개의 AV 스트림의 음성을 원활하게 절환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들 타임스탬프의 차를 스트림 관리정보의 Offset에 기술해 두는 것이다.
스트림 관리정보에 오프셋을 기술해 둠으로써, 설령 마스터 클록이 다르더라도,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 내의 오디오 패킷과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 내의 오디오 패킷과를 동기재생 시킬 수 있다. 이상이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스트림 관리정보의 설명이다.
이어서,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PL정보(UYY.PL)에 대하여 설명한다.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PL정보(UYY.PL)는 BD-ROM에서의 PL정보 대신 사용되는 PL정보이다. 업데이트 키트 내의 PL정보가 BD-ROM에 기록된 것과 다른 점은, PL정보에서의 플레이 리스트는 재생구간의 묶음을 재생순서에 따라서 배열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이다. 재생구간의 묶음이란, 복수의 AV 리스트 상에 정의되는 재생구간에서 동기재생되는 것을 말한다. 도 17은 PL정보(UYY.PL)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의 개개의 CELL정보는, BD-ROM에서의 AV 스트림을 나타내는 「Clip Entry」와, 「Audio Table」과, 「Subtitle Table」과 클립(Clip Entry) 수 를 나타내는 「Number」로 구성된다.
클립 엔트리는 BD-ROM에서의 CELL정보의 「AV Stream Name」, 「In점 정보」, 「Out점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도 9에 도시한 CELL정보의 Cell Entry와 동일하다. Audio Table은 복수의 Audio Entry(Audio Entry #1~#n)로 이루어진다. 각 Audio Entry는, 본 CELL에 있어서 재생 가능한 오디오 스트림이 무슨 스트림이고, 어느 AV 스트림에 속해 있는가, 그 스트림에 있어서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하나의 재생구간을 구성하고 있는가를, AV 스트림의 파일명(AV Stream Name), 오디오 스트림의 식별자(Audio Stream ID)와, 그 AV 스트림에서의 재생구간의 개시점을 나타내는 정보(In점 정보)와, 그 AV 스트림에서의 재생 구간의 종료점을 나타내는 정보(Out점 정보)와, 오프셋(Offset)과를 이용하여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BD-ROM에는 AV 스트림 #1이 기록되어 있고, AV 스트림 #2가 업데이트 키트로서 재생장치에 다운로드 되어서, 로컬 HD(12)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AV 스트림 #1은, 동화상과 영어 음성을 포함하고 있고, AV 스트림 #2는, 제 2 언어인 일본어 음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일본어 음성을 동화상과는 별도의 AV 스트림에 저장해 두는 것은 일본어 음성을 업데이트 키트로서 배신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CELL의 Clip Entry #1에 AV 스트림 #1상에서의 재생구간을 정의하도록 하고, Audio Entry #1에 일본어 음성인 AV 스트림에 대한 AV Stream Name, Audio Stream ID를 기술해 둔다. 이와 같이 기술된 CELL 정보를 포함하는 PL 정보를 AV 스트림 #2와 함께 WWW서버(500)로부터 배신하면, BD-ROM에 기록된 플레이 리스트를 조합하도록 함으로써 일본어 음성 판의 영화작품을 사용자에게 시청하 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0과 마찬가지의 표기에서 UYY.PL에 의한 간접참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에서의 업데이트 키트의 PL 정보는 Clip Entry와 Audio Entry를 가지고 있다. 도면 중 화살표 pf1, pf2, pf3는 Audio Entry에 의한 재생구간의 지점을 나타낸다. 즉, 도 18의 PL 정보를 구성하는 각 CELL 정보는 2개의 AV 스트림에서의 2개의 재생구간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다. 하나의 CELL 정보가 2개의 재생구간을 지정하고 있으므로, PL정보에 의해 BD-ROM상의 재생구간과 HD상의 재생구간과의 묶음으로 이루어지는 재생경로가 정의되게 된다. 이상이 로컬 HD(12)에 저장되는 업데이트 키트에 대한 설명이다.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 PL 정보의 파일명「UXX.M2TS」, 「UXX.CLP2」, 「UYY.PL」에서의 「U」는,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를, BD-ROM상의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편의상 부여한 것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의 파일명은 BD-ROM상의 것과 동일한 파일명이 부여된다. 이 파일명에 의해, 업데이트 키트 상의 것과 BD-ROM상의 것과의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BD-ROM (광디스크)에 기록된 AV 스트림과 HD(예비기록매체)에 기록된 AV 스트림과를 대응시킨다는 것은,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PL정보에 의한 대응부여(1),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파일명과 광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의 파일명과의 동일성에 의한 대응부여(2)를 의미한다.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을 판독하는 경우의 디멀티플렉서(14)에 의한 다중분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멀티플렉서(14)에 의한 다중분리는, HD로부터 판독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TS 패킷에서 페이로드에 해당하는 PES 패킷을 취득하고, 또한 이 PES 패킷으로부터 그 페이로드에 해당하는 본체 데이터를 취득하여, T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이 본체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6)로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디멀티플렉서(14)에 의한 다른 분리는, T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 ATS(Arrival Time Stamp)와 같은 타임스탬프와, 스트림 관리정보에 나타내는 오프셋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TS 패킷의 타임스탬프에 나타내는 시각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을 재생장치 내의 클록이 예시하면, 디멀티플렉서(14)는 TS 패킷에 대하여 상술한 다중분리를 행한다. 타임 스탬프에 나타내는 시각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은 BD-ROM에서 판독된 TS 패킷의 타임 스탬프의 값을 합한 시각과 같아지게 되므로, 디멀티플렉서(14)의 상술한 처리에 의해, BD-ROM에서 판독된 TS 패킷에 대한 다중분리와 HD에서 판독된 TS 패킷에 대한 다중분리는 동기가 취해지게 된다.
업데이트 키트 내의 오디오 스트림을 로컬 HD(12)에서 판독하는 경우의 오디오 디코더(6)에 의한 동기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BD-ROM에서 판독된 오디오 프레임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하는 경우, 오디오 디코더(6)는 PE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TS를 참조한다. 즉, 재생장치 내부의 클록이 PES 패킷의 PTS에 제시되는 시각이 되면, 오디오 디코더(b)는 오디오 프레임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한다. 한편, HD에서 판독된 오디오 프레임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하는 경우, 오디오 디코더(6)는 PES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와 스트림 관리정보에서의 오프 셋을 참조한다. 즉, PE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TS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을 재생장치의 내부 클록이 계시하면, 오디오 디코더(6)는 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디코드를 행한다. PTS에 제시되는 시각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은 BD-ROM에서 판독된 비디오 패킷의 PTS에 제시되는 시각과 거의 같게 된다. 오디오 디코더(6)의 상술한 처리에 의해, BD-ROM에서 판독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재생 출력과 HD에서 판독된 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재생출력과는 동기가 취해지게 된다. 디멀티플렉서(14)는, 오디오 디코더(6)가 이상과 같은 처리를 행함에 따라서, 음성 - 영상 간의 동기가 확보되는 것이다.
BD-ROM, HD로부터의 판독은 억세스 유니트 단위로 하였으나, 디멀티플렉서 3, 디멀티플렉서 4로부터 오디오 디코더(6)로의 공급은 억세스 유니트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디멀티플렉서 3, 디멀티플렉서 4에 의한 다중분리는, TS 패킷 열인 억세스 유니트를 PES 패킷 열로 변환하여, 오디오 프레임, 비디오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PES 패킷 또는 TS 패킷에 포함되는 프레임 단위로 오디오 디코더(6)로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ES 패킷, TS 패킷이 처리단위가 되므로, PES 패킷에 오디오 프레임의 일부가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일부분이 오디오 디코더(6)로 출력되게 된다. PES 패킷에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 오디오 프레임이 오디오 디코더(6)에 공급되게 된다. 오디오 디코더(6)는 이와 같이 공급된 오디오 프레임 및 오디오 프레임의 일부를 자신이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일단 저장한 상태에서 처리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하나의 오디오 프레임이 복수 억세스 유니트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어떤 억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TS 패킷 열에 오디오 프레임의 전반 부분이 저장되어 있고, 직후의 억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TS 패킷 열에 오디오 프레임의 후반 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하나의 오디오 프레임이 분할되어 복수의 억세스 유니트에 저장되는 것은 드문 일은 아니다. AV 스트림으로의 다중화에서는 보통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PES 패킷의 페이로드의 데이터 사이즈는 오디오 프레임의 데이터 사이즈의 비 정수 배이며, 하나의 TS 패킷 및 PES 패킷에 수렴될 수 없는 오디오 프레임이 반드시 출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디오 프레임의 전반 부분을 저장한 PES 패킷이 다중분리되어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된 후, 동일한 오디오 프레임의 후반 부분을 저장한 PES 패킷이 다중분리되기까지에 SPRM(1)의 갱신에 의한 음성절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하자. 이 경우 오디오 디코더(6)에는 오디오 프레임의 전반부분이 공급된 후, 다른 오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오디오 프레임이 공급되게 된다. 오디오 디코더(6)는 전반부분은 취득했으나 후반부분을 취득할 수는 없으므로, 정상적으로 디코드를 행할 수 없으며, 「칙」 소리와 같이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나고 말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음성 절환 후, 잠시 동안, 오디오 디코더(6)에 의한 재생 출력에 대하여 음소거 처리(MUTE)를 실시한다. 음소거 처리에 의해, 음성절환 직후에는 약간의 무음 기간이 발생하나, BD-ROM측 음성에서 HD측 음성으로, HD측 음성에서 BD-ROM측 음성으로와 같은, 자유로운 음성 절환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16)의 제어수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6)는, BD-ROM이 재생장치(200)에 장전된 때, 그 BD-ROM에서 볼륨 라벨을 판독하여, 로컬 HD(12)에서의 복수 디렉토리 중, 판독된 볼륨 라벨과 합치되는 것을 특정한다. 이렇게 하여 특정된 디렉토리 내부의 파일이 업데이트 키트인 것으로 하여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그 이후의 처리란, 도 19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하는 처리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본 플로우차트는, PL #x에 속하는 CELL의 각각에 대하여, 스텝 S2에서 스텝 S16의 처리를 반복하는 루프처리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처리 대상인 CELL을 PL에 있어서 y번째에 위치하는 CELL(CELL#y)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PL 정보 #x를 메모리에 읽어들여(스트림 S1), PL 정보 #x의 선두 CELL을 CELL#y로 설정하고, PL 정보 #x의 최후의 CELL을 CELL#z로 설정하고 나서(스텝 S2), CELL#y에 속하는 억세스 유니트를 BD-ROM 및 로컬 HD(12)에서 병렬로 판독하여 비디오 디코더(4) 및 오디오 디코더(6)에서 디코드 하도록 하는 처리를 행하며(스텝 S3~스텝 S12), CELL내의 모든 억세스 유니트가 디코드 되면(스텝 S11에서 Yes), CELL#y가 CELL#z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5), 다음의 CELL을 CELL#y로 세트한다(스텝 S16).
스텝 S3~스텝 S16 중 스텝 S4~스텝 S12는, CELL#y에 속하는 개개의 억세스 유니트를 BD-ROM 및 로컬 HD(12)로부터 판독하여 가기 위한 루프처리이다. 이 루프 처리에 있어서, 판독대상인 억세스 유니트를 AV 스트림에서 u번째에 위치하는 억세스 유니트(ACCESS UNIT #u)로 한다. 스텝 S3에서는, 스텝 S4~스텝 S12의 루프처리에 앞서, BD-ROM에서의 AV 스트림 중, CELL#y의 In점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억 세스 유니트를 ACCESS UNIT#u로 설정한다.
스텝 S4~스텝 S12의 루프처리는, ACCESS UNIT #u를 BD-ROM 및 HD 각각에서 BD 버퍼(2), HD 버퍼(13)로 판독하여(스텝 S4), ACCESS UNIT #u를 구성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더에 투입하는 처리(스텝 S8~스텝 S10)를 반복하는 것이다.
BD-ROM으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과 HD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은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판독이 빨라도, 또는 늦어도 좋다. 왜냐하면, BD-ROM 및 HD에서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는, 일단 BD 버퍼(2) 및 HD버퍼(13)에 저장되어서 속도 조정이 되므로(i), 디멀티플렉서(3), 디멀티플렉서(14)에 의한 다중분리, 비디오 디코더(4) 및 오디오 디코더(6)에 의한 디코드는 동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ii)이다.
BD-ROM에서 BD버퍼(2)로의 판독에 있어서, 제어부(16)는, BD버퍼(2)에서의 축적량을 감시하여, 이 축적량에 부족이 발생하면 이것을 보충하도록 BD-ROM에서 BD버퍼(2)로 억세스 유니트를 판독한다. 버퍼상의 축적량에 따른 판독제어는 H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텝 S8~스텝 S10에서의 음성 절환은, 사용자에 의한 음성 설정에 따라서, BD 버퍼(2)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 내의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더에 투입하고(스텝 S9), HD 버퍼(13)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 내의 오디오 스트림 중 어느 일방을 오디오 디코더(6)에 투입하는(스텝 S10) 것이다. 도면 중의 변수 Audio#u는 사용자에 의해 SPRM(1)에 설정된 음성을 나타낸다. 이 변수 Audio #u는 사용자에 의해 음성절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7에서 Yes) SPRM(1)이 갱신된다(스텝 S13).
만일, 변수 Audio#u가 BD-ROM측의 오디오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이면(스텝 S8에서 Yes), BD 버퍼(2)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 내의 오디오 프레임 중, 변수 Audio#u에 대응하는 것을 디코더에 투입한다(스텝 S9). 만일 변수 Audio#u가 로컬 HD(12)측의 오디오 스트림을 나타내면(스텝 S8에서 No), HD 측 버퍼상의 억세스 유니트 내의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더에 투입한다(스텝 S10).
스텝 S11은, 이 루프 처리의 종료조건의 판정이며, ACCESS UNIT#u가 CELL의 Out점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면(스텝 S11에서 Yes), 이 루프 처리는 반복되게 된다. 만일 이 스텝의 요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AV 스트림에서의 다음의 억세스 유니트를 억세스 유니트로 설정하고(스텝 S12) 스텝 S4로 되돌아간다. 스텝 S15는, 하나의 CELL 정보에 속하는 억세스 유니트에 대하여, 스텝 S3~스텝 S12의 처리가 반복된 경우에 실행되는 판정 스텝이며, 현재의 처리 대상인 CELL 정보 #y가 최후의 CELL 정보#z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만일 현재의 처리 대상인 CELL정보 #y가 CELL #z가 아니면 CELL#y를 다음의 설정으로 설정하고(스텝S16), 이 CELL에 속하는 억세스 유니트에 대하여 스텝 S3~스텝 S15의 처리를 하도록 스텝 S3으로 이행(移行)한다.
도 20은 스텝 S4~스텝 S11에서의 판독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ACCESS UNIT#100은, 스텝 S4에 있어서 BD-ROM 및 로컬 HD(12) 각각으로부터 BD 버퍼(2), HD 버퍼(13)에 판독된다. 그리고 스위치(15)는 스텝 S8의 판정으로, BD 버퍼(2)측의 ACCESS UNIT#100을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한다. 스위치(15)는, BD 버퍼(2)측 ACCESS UNIT#100의 오디오 프레임을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하거나, HD 버퍼(13)측 ACCESS UNIT#100의 오디오 프레임을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하는가 여부에 대한 절환을 SPRM(1)에 따라서 실행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 절환에 의해 어떤 음성 재생이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위치(15)가 BD-ROM측의 억세스 유니트를 오디오 디코더(6)로 출력하면, 도 21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 즉, 영어의 대사 「He Has a Person at one's nod」를 수반한 재생이 이루어지고, 한편 스위치(15)가 HD측의 억세스 유니트를 오디오 디코더(6)로 출력하면, 도 21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 즉, 일본어 더빙 음성을 수반하는 재생 「그는 사람을 턱으로 부린다」가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 대 1의 대응이 취해진 억세스 유니트를 BD-ROM 및 로컬 HD(12)로부터 병렬로 판독하고, 이들 중 일방을 택일적으로 디코더에 재생시킴으로써 음성절환이 실현되게 된다. 영화작품의 제작자는, BD-ROM에 의해 영화작품을 배급한 후라도, WWW서버(500)로부터의 배신에 의해 추가의 음성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것은 추가의 음성만이므로, 재생장치(200)와 WWW서버(500)와의 사이에 공중회선이 개재되어 있었다고 해도,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에 요하는 시간은 단시간이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업데이트 키트의 저장에 재생장치 내장형의 HD를 사용하였으나, 포터블(Portable)형의 기록 매체라도 좋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에 부영상 스트림을 추가하는 경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BD-ROM에 기록된 부영상 스트림 및 부영상 스트림의 추가를 실현하기 위한 업데이트 키트를 이하에 설명한다. BD-ROM에 있어서 부영상 스트림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하나의 AV 스트림을 구성하고 있다. 도 22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AV 스트림에 있어서 억세스 유니트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서의 억세스 유니트는 GOP와 부영상 유니트를 포함한다. 점선 인출선 htl은 억세스 유니트 내의 부영상 유니트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 한 것이다. 부영상 유니트는, 헤더와 런렝스 이미지 데이터(run length image data)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인출선 th2는 헤더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헤더는 PL의 재생시간 축에서의 런렝스 이미지 데이터의 「표시개시시각/표시종료시각」과 화면에서의 「표시좌표」를 포함한다.
한편,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부영상 스트림은 AV 스트림 내에 저장되어 재생장치에 공급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에 부영상을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은 BD-ROM 패키지에서의 AV 스트림과 동수의 억세스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억세스 유니트에는 부영상 유니트가 포함되나, GOP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23은, 도 14와 같은 방식으로, BD-ROM패키지(XXX.M2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 업데이트 키트(U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의 상단은 BD-ROM측의 억세스 유니트이고, 하단은 업데이트 키트 측의 억세스 유니트이다. 본 도면에서의 ACCESS UNIT#60, #100, #120은, 각각 AV 스트림의 재생개시로부터 1분 후, 1분 40초 후, 2분 후에 재생되는 것이다(이것은 하나의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시간을 1초로 근사하고 있다).
여기서, 억세스 유니트에 주목하면, BD-ROM측의 ACCESS UNIT#100은, 1분 40초에 재생되어야 하는 GOP와, 같은 시각에 판독되어야 하는 부영상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업데이트 키트측의 ACCESS UNIT#100은 1분 40초에 재생되어야 할 부영상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다.
BD-ROM에 기록되는 AV 스트림과 같은 수의 억세스 유니트를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에 포함시켜 두고, BD-ROM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와 같은 시간 길이의 부영상 유니트를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 내에 포함시켜 둠으로써,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의 억세스 유니트는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의억세스 유니트와 1 대 1로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은 1 대 1 대응에 의해, 약 1.0초의 시간 정밀도로 자막의 절환이 실현되게 된다. 이상이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업데이트 키트 내의 PL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PL정보는, 부영상만의 AV 스트림과, 이에 대한 스트림 관리정보와 함께 웹사이트로부터 배급되는 정보이다. 도 24는 제 2 실시예의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PL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L정보에서의 개개의 CELL정보에 있어서, 서브타이틀 테이블(Subtitle Table)에 본 실시예 특유의 개량이 있다.
서브타이틀 테이블은, 복수의 서브타이틀 엔트리(Subtitle Entry #1~#n)와, 이들 서브타이틀 엔트리의 개수(Number)로 이루어진다.
「서브타이틀 테이블」은 본 플레이 리스트와 동기 재생하여야 할 자막의 관리정보이며, 복수의 언어정보(Language#1~#n)와 언어 수(Number)로 이루어진다. 플레이 리스트가, 영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의 각각에 대응하는 경우, 「서브타이틀 테이블」에는 3개국어 각각에 대한 언어정보가 기술된다.
각 언어정보는, 자신이 어느 언어에 대응하는가의 정보(Lang)와, 부영상에 대응하는 AV 스트림이 어디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스토리지 명(Storage Name)과, 그 언어로 기술된 복수의 회화정보(Speech #1~#j)와, 회화정보의 개수(Number)로 이루어진다. 회화정보(Speech#1~#j)는 플레이 리스트의 재생중에 나타나는 각 회화에 대한 정보이다. CELL의 재생시에 5개의 회화가 있으면, 5개의 회화 각각에 대한 회화정보가 기술된다. 도 25는 회화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화정보(Speech#1~#j)는, 그 회화의 대사를 기술한 부영상 유니트가 속하는 AV 스트림의 명칭(AVStream Name)과 AV 스트림에 있어서 부영상 유니트가 속하는 부영상 스트림을 나타내는 「Stream ID」와, 그 부영상 유니트의 재생개시시각을 나타내는 「In점 정보」와, 그 부영상 유니트의 재생종료시각을 나타내는 「Out점 정보」와, 그 부영상 유니트의 표시좌표를 나타내는 「position 정보」를 포함한다.
이상이 로컬 HD(12)에 기입되는 업데이트 키트이다. 도 2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 부분에 관계되는 구성요소(다운로드부(11), HD 버퍼(13), 스위치(17), 이미지 디코더(7), 제어부(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관한 다운로드부(11)는 부영상을 버전업하기 위한 업데이트 키트를 WWW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로컬 HD(12)에 기입한다.
제 2 실시예에 관한 HD 버퍼(13)는,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억세스 유니트가 BD 버퍼(2)에 판독될 때마다, HD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억세스 유니트가 판독된다.
디멀티플렉서(14)는, HD 버퍼(13)에 판독된 MPEG-TS형식의 억세스 유니트를 다중분리하여, 다중화 전의 부영상 유니트를 얻는다.
스위치(17)는, 디멀티플렉서(3)의 다중 분리에 의해 얻어진 부영상 유니트와, 디멀티플렉서(14)의 다중분리에 의해 얻어진 부영상 유니트 중, 어느 일방을 이미지 디코더(7)에 출력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이다. 스위치(17)의 출력 절환은 SPRM(2)(부영상 스트림 번호)에 의한다.
이미지 디코더(7)는, BD-ROM에서 판독된 부영상 유니트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하는 경우, 부영상 유니트의 헤더에 부가되어있는 표시 개시시각을 참조한다. 즉, 재생장치 내부의 클록이 헤더의 표시 개시시각에 제시된 시각이 되면, 이미지 디코더(7)는 부영상 유니트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한다. 한편, HD에서 판독된 부영상 유니트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하는 경우, 이미지 디코더(7)는 부영상 유니트의 헤더에 부가되어 있는 표시 개시시각과, 스트림 관리정보에서의 오프셋과를 참조한 다. 즉, 부영상 유니트의 헤더에 부가되어 있는 표시 개시시각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을 재생장치의 내부 클록이 계시하면, 이미지 디코더(7)는 부영상 유니트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한다. 표시개시시각으로 나타내는 시각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은 BD-ROM에서 판독된 비디오 패킷의 표시개시 시각에 제시된 시각과 거의 같아진다. 이미지 디코더(9)의 상술한 처리에 의해, BD-ROM에서 판독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재생 출력 처리와, HD에서 판독된 부영상 유니트에 대한 재생출력과는 동기가 취해지게 된다. 한편, 헤더의 표시종료시각과 오프셋과를 합한 시각을 재생 장치 내의 클록이 제시하면 이미지 디코더(9)는 자막을 소거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자막의 표시, 소거는 동화상의 재생과 동기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BD-ROM 및 HD로부터의 판독은 엑세스 유니트 단위로 이루어지나, 디멀티플렉서 3 및 디멀티플렉서 14로부터 이미지 디코더(9)로의 공급은 엑세스 유니트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디멀티플렉서 3 및 디멀티플렉서 14에 의한 다중 분리는, TS 패킷 열인 엑세스 유니트를 PES패킷 열로 변환하여, 부영상 유니트, 비디오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PES패킷 또는 TS 패킷에 포함되는 단위로 이미지 디코더(9)로의 공급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ES패킷, TS 패킷이 처리의 단위가 되므로 PES패킷에 포함되는 부영상 유니트의 일부분이 이미지 디코더(9)로 출력되게 된다. 왜냐하면, 부영상 유니트는 런렝스 이미지 데이터이고, 그 사이즈는 PES 패킷보다 상당히 크므로, 복수 PES패킷으로 분할하여 저장되기 때문이다.
이미지 디코더(9)는 이와 같이 공급되는 부영상 유니트의 일부분을 자신이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순차 축적하여 하나의 부영상 유니트를 완성시킨 상태에서 디코드를 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하나의 부영상 유니트가 복수의 엑세스 유니트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어떤 엑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TS 패킷 열에 부영상 유니트의 전반부분이 저장되어 있고, 직후의 엑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TS 패킷 열에 부영상 유니트의 나머지 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자.
그리고 부영상 유니트의 전반부분을 저장한 PES패킷이 다중분리 되어서 이미지 디코더(9)에 출력된 후, 같은 부영상 유니트의 나머지 부분을 저장한 PES패킷이 다중분리되기까지에 SPRM(2)의 갱신에 의한 자막 절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이미지 디코더(9)에는, 부영상 유니트의 전반 부분이 공급된 후, 다른 부영상 스트림에 속하는 부영상 유니트가 공급되게 된다. 이미지 디코더(9)는, 전반 부분은 취득하였으나 나머지 부분은 취득할 수 없으므로, 정상으로 디코드를 행할 수 없어서, 이미지 디코더(9)는 무의미한 데이터를 표시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자막 절환 후 약간의 기간, 이미지 디코더(9)에 의한 재생 출력에 대하여 소거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버전업 절환 직후는 잠깐 자막이 없는 기간이 발생한다. 그러나 다음의 부영상 유니트가 이미지 디코더(9)의 메모리에 축적되는 데로 자막 표시는 재개한다. 이에 의해, BD-ROM측에서 HD측 자막으로, HD자막에서 BD-ROM측 자막으로와 같이 자유로운 자막 절환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16)는 도 27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처리를 행한다. 본 플로우차트는 PL#x에 속하는 CELL의 각각에 대하여 스텝 S22~스텝 S36의 처리를 반복하는 루프 처리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처리 대상인 CELL을 PL에 있어서 y번째에 위치하는 CELL(CELL#y)로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PL정보 #x를 메모리에 읽어들여서(스텝 S21), PL정보 #x의 선두 CELL을 CELL#z로 설정하고 나서(스텝 S22), 이들 CELL에 속하는 억세스 유니트를 BD-ROM 및 로컬 HD(12)에서 병렬로 판독하고, 이미지 디코더(7)가 디코드를 하도록 하는 처리를 한다(스텝 S23~ 스텝 S36).
스텝 S23~스텝 S36 중 스텝 S4~스텝 S24~스텝 32는, CELL#y에 속하는 개개의 억세스 유니트를 BD-ROM 및 로컬 HD(12)로부터 판독하여 가기 위한 루프처리이다. 이 루프 처리에 있어서, 판독대상인 억세스 유니트를 AV 스트림에서 u번째에 위치하는 억세스 유니트(ACCESS UNIT #u)로 한다. 스텝 S23에서는, 스텝 S24~스텝 S32의 루프처리에 앞서, BD-ROM에서의 AV 스트림 중, CELL#y의 In점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억세스 유니트를 ACCESS UNIT#u로 설정한다.
스텝 S24~스텝 S32의 루프처리는, ACCESS UNIT #u를 BD-ROM 및 HD 각각에서 BD 버퍼(2), HD 버퍼(13)로 판독하여(스텝 S24), ACCESS UNIT #u를 구성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더에 투입하는 처리(스텝 S28~스텝 S30)를 반복하는 것이다.
스텝 S28~스텝 S30에서의 자막 절환은, SPRM(2)에 따라서, 버퍼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 내의 부영상 유니트를 이미지 디코더(7)에 투입하는 것이다. 도면 중의 자막 #v는 사용자에 의해 SPRM에 설정된 자막 언어를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해 자막 절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27에서 Yes), SPRM(2)이 갱신된다(스텝 S33).
만일, 자막 #v가 BD-ROM측의 부영상 스트림을 나타내면(스텝 S28에서 Yes), BD 버퍼(2)에 판독된 억세스 유니트 내의 부영상 유니트 중 자막 #v에 대응하는 것을 이미지 디코더(7)에 투입한다(스텝 S29). 만일, 자막 #v가 로컬 HD(12)측의 부영상 스트림을 나타내면(스텝 S28에서 No), HD측의 버퍼상의 억세스 유니트 내의 부영상 유니트를 이미지 디코더(7)에 투입한다(스텝 S30).
스텝 S31은 이 루프처리의 종료조건의 판정이며, ACCESS UNIT#v가 CELL의 Out점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면(스텝 S31에서 Yes), 이 루프처리는 종료하게 된다. 만일, 이 스텝의 요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AV 스트림에서의 다음의 억세스 유니트를 ACCESS UNIT#v로 설정하고(스텝 S2), 스텝 S24로 되돌아간다. 스텝 S35는 하나의 CELL 정보에 속하는 억세스 유니트에 대하여, 스텝 S23~스텝 S32의 처리가 반복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판정 스텝이며, 현재의 처리 대상인 CELL 정보 #y가 최후의 CELL 정보 #z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만일, 현재의 처리 대상인 CELL 정보#y가 CELL#z가 아니면 CELL#y를 다음의 설정으로 설정하고(스텝 S36), 이 CELL#y에 속하는 CELL UNIT#u에 대하여 스텝 S23~스텝 S35의 처리를 행하도록,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도 28은 제어부(16)에 의한 BD-ROM 및 HD로부터의 병렬 판독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ACCESS UNIT#100은, 스텝 S4에 있어서 BD-ROM 및 로컬 HD(12) 각각으로부터 BD 버퍼(2), HD 버퍼(13)에 판독된다. 그리고 스위치(17)는 BD 버퍼(2) 측 ACCESS UNIT #100의 부영상 유니트를 디코더에 출력하는가, HD 버퍼(13) 측 ACCESS UNIT#100의 부영상 유니트를 디코더에 출력하는가의 절환을, SPRM(2)에 따라서 실행한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 절환으로, 어떤 자막 표지가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위치(17)가 BD-ROM측의 ACCESS UNIT #100을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하면, 도 29의 좌측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재생, 즉, 영어 자막 「run after you」가 동화상에 합성된 재생이 이루어진다. 한편, 스위치(17)가 HD측의 ACCESS UNIT #100을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하면, 도 29의 우측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재생, 즉, 일본어 자막 「그를 쫓아간다」가 합성된 영상이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대 1의 대응이 취해진 억세스 유니트를 BD-ROM 및 로컬 HD(12)에서 병렬로 판독하여, 이들 중 한쪽을 택일적으로 디코더에 재생시킴으로써 자막의 절환이 실현되게 된다. 영화작품의 제작자는, BD-ROM에 의한 영화작품을 배급한 후에도, WWW서버(500)로부터의 배신에 의해, 추가의 자막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BD-ROM및 HD에서 억세스 유니트를 병렬로 판독하는 것은, 업데이트 키트 내의 부영상 스트림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필요하지만, 업데이트 키트 내의 부영상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병렬 판독은 불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막이 텍스트 데이터이고, 그 사이즈가 겨우 수 K바이트 정도라면, BD-ROM에서의 판독에 앞서 HD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판독해두고, 이 자막을 재생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어서 자막 표시를 해도 좋다.
[제 3 실시예]
멀티앵글 구간을 갖는 동화상 데이터가 BD-ROM에 기록되어 반포된 후에, 다른 앵글에서의 동화상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실 시예에 관한 BD-ROM및 업데이트 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관한 BD-ROM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a)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BD-RO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BD-ROM에는, AV 스트림#1, 멀티앵글구간, AV 스트림 #4, 스트림 관리정보 #1, #2, #3, #4, PL정보 #1, #2, #3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AV 스트림#1, AV 스트림#4는 제 1 실시예에서의 AV 스트림과 동일한 것이다. AV 스트림#1~AV 스트림#4 사이의 멀티앵글 구간은 AV 스트림#2, AV 스트림#3의 2개의 AV 스트림으로 구성된다.
AV 스트림#2, AV 스트림#3은 2개의 앵글에서 촬영된 동화상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AV 스트림#2, AV 스트림 #3은,
AV 스트림#2 ⇒ ILVU(2-1), ILVU(2-2), ILVU(2-3)
AV 스트림#3 ⇒ ILVU(3-1), ILVU(3-2), ILVU(3-3)
이라는 3개의 ILVU(InterLeave Unit)로 분할된다.
여기서, ILVU(XX-YY)라는 표기의 「XX」는 ILVU가 속하는 AV 스트림을 나타내고, 「YY」는 그 AV 스트림에서의 ILVU의 순위를 나타낸다. 관련 ILVU는 디스크 상에서 이하와 같은 순으로 기록된다.
ILVU(2-1) ILVU(3-1) ILVU(2-2) ILVU(3-2) ILVU(2-3) ILVU(3-3)
VOB#1을 구성하는 ILVU와 VOB#2를 구성하는 ILVU가 교대로 나타나므로, 예를 들어, ILVU(2-1), ILVU(3-1)을 일괄하여 판독되도록 하면, 비디오 디코더(4)는 ILVU(2-1), ILVU(3-1)중 일방을 택일적으로 디코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앵글 절환이 실현되게 된다.
상술한 ILVU가 BD-ROM상에서 어떻게 관리되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멀티앵글 구간을 구성하는 각 ILVU의 소재가 어떻게 관리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ILVU는, 파일을 구성하는 익스텐트(extent)와 같이, 선두 어드레스와 길이를 파일관리정보에 기록해 둠으로써 관리된다. 본 도면의 하단은 BD-ROM상의 어느 어드레스에 ILVU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AV 스트림#3을 구성하는 ILVU(2-2)(2-3)은 어드레스 10, 1008, 2160에 기록되며, 54, 92, 200이라는 연속 길이를 가지므로, AV 스트림#2의 관리정보 kj2에 이들이 기술된다.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ILVU의 기록 어드레스는 AV 스트림별로 각각 별개의 파일관리정보에 기술되므로, AV 스트림#2, AV 스트림#3은, BD-ROM상에서는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고 있어도, 각각 별개의 파일로서 취급되게 된다. 이상이 BD-ROM에서의 멀티앵글 구간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스트림 관리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스트림 관리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스트림 관리정보가 도 8의 스트림 관리정보와 다른 것은, 속성, TMAP에 부가하여 ILVUMAP가 추가되어 있다는 점이다. ILVUMAP은 개개의 ILVU에 대한 엔트리 #1~#n에 LT수(Number)를 부가하여서 이루어진다. ILVU엔트리에는 개개의 ILVU에 속하는 억세스 유니트의 개수가 기술된다. 이 ILVU 엔트리를 TMAP 및 파일관리정보와 병용함으로써, ILVU에 속하는 개개의 억세스 유니트에 대한 첫머리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BD-ROM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AV 스트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AV 스트림(도면 중의 AV 스트림#5)은 추가의 앵글 영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BD-ROM은 여객 열차의 전망 비디오이며, AV 스트림#2는 운전석에서 촬영된 동화상, AV 스트림#3은 객실의 양측 창 중 한쪽에서 촬영된 동화상인 것으로 한다. BD-ROM에는, 이들 AV 스트림#2, AV 스트림#3이 기록되어 있었으나, 객실 양측 창 중 다른 쪽에서 촬영된 동화상의 수록은 제반 사정에 의해서 보류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이 다른 쪽에서 촬영된 동화상을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작성된 업데이트 키트가 본 실시예에서의 업데이트 키트이다.
도 30(b)에 도시한 것처럼,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AV 스트림은 복수의 ILVU로 분할된 상태로 로컬 HD(12)에 기록되어 있다. 로컬 HD(12)에서의 AV 스트림#5는 이 ILVU 단위로 판독되게 된다.
여기서, UXX.M2TS를 분할함으로써 얻어진 ILVU(5-1)(5-2)의 재생시간 길이는 XXX.M2TS를 구성하는 ILVU(1-1)(1-2),(2-1)(2-2)의 재생시간 길이와 같다.
본 실시예의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스트림 관리정보는 HD 상의 AV 스트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이다. 내부 구성은 도 32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PL 정보는, BD-ROM에 기록된 멀티앵글 구간과 HD에서의 AV 스트림과를 하나의 PL로써 취득하기 위한 경로 정보이다. 도 33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PL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과 다 른 것은, StreamID, In, Out 이라고 하는 AV 스트림 엔트리 대신에 Angle Entry#1~#n이 각 CELL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점이다. Angle Entry는, 각 앵글에 대한 AV 스트림에 있어서,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것이다. 점선 화살표 ayl은 Angle Entry의 내부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ngle Entry는, 그 앵글에 대한 AV 스트림의 「AV Stream Name」, 그 AV 스트림 상의 재생구간의 개시점을 나타내는 「In점 정보」, AV 스트림 상의 재생구간의 종료점을 나타내는「Out점 정보」로 이루어진다.
BD-ROM에 기록된 멀티앵글 구간 및 HD에서의 AV 스트림을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로 취급하기 위해, PL에서의 Angle Entry는, BD-ROM의 멀티앵글 구간을 구성하는 각 AV 스트림, 및 HD에서의 AV 스트림에 대해서 설정된다. 즉, Angle Entry #1은 BD-ROM상의 멀티앵글 구간에서의 AV 스트림 #2, Angle Entry #2는 BD-ROM 상의 멀티앵글 구간에서의 AV 스트림 #3, Angle Entry #3은 HD상의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 #5와 같이 설정되는 것이다.
도 34는 PL정보에 포함되는 Angle Entry에 의한 간접 참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화살표 gy1, gy2는 Angle Entry #1, #2에 의한 BD-ROM 상의 AV 스트림에 대한 재생구간의 지정을 나타낸다. 한편, 화살표 gy3은 Angle Entry #3에 의한 로컬 HD(12)상의 AV 스트림에 대한 재생구간의 지정을 나타낸다. 이들 재생구간의 묶음이 PL정보에 지정되어 있는 것이다. 하나의 PL정보가, BD-ROM에서의 멀티앵글 재생구간, 로컬HD(12)에서의 재생구간을 지정하고 있으므로, 재생에 있어서 는, 멀티앵글 구간을 구성하는 ILVU, BD-ROM상의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ILVU가 재생장치에 의해 병렬로 판독되게 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업데이트 키트이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제 3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재생 장치는 스위치(18)가 추가되어 있는 것이 신규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부분에 관계하는 구성요소(다운로드부(11), HD버퍼(13), 디멀티플렉서(14), 스위치(18), 비디오 디코더(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관한 다운로드부(11)는 BD-ROM에 기록된 멀티앵글 구간에 새로운 앵글 영상을 추가하기 위한 업데이트 키트를 WWW서버(500)에서 다운로드하여 로컬HD(12)에 기입한다.
제3 실시예에 관한 HD버퍼(13)는,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ILVU가 BD버퍼(2)에 판독될 때마다, HD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ILVU 가 판독된다.
디멀티플렉서(14)는 HD 버퍼(13)에 판독된 MPEG-TS 형식의 ILVU를 다중 분리하여 다중화 전의 GOP를 취득한다.
스위치(18)는, 디멀티플렉서(3)의 다중화 분리에 의해 취득된 GOP, 디멀티플렉서(14)의 다중화 분리에 의해 취득된 GOP중 어느 일방을 비디오 디코더(4)에 출력한다. 스위치(18)의 절환은 SPRM(3)(앵글번호)에 의한다.
비디오 디코더(4는), BD-ROM에서 판독된 ILVU를 구성하는 PES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TS를 참조한다. 즉, 재생장치 내부의 클록이 PES 패킷의 PTS에 제시되는 시각이 되면, 비디오 디코더(4)는 , PES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TS와 스트림 관리정보에서의 오프셋을 합한 시각을 재생장치의 내부 클록이 계시하면, 비디오 디코더(4)는 ILVU에 대하여 디코드를 행한다. PTS에 제시된 시각에 오프셋을 합한 시각은 BD-ROM에서 판독된 오디오 패킷의 PTS에 제시되는 시각과 거의 같아진다. 비디오 디코더(4)의 상술한 처리에 의해, BD-ROM에서 판독된 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재생 출력과 HD에서 판독된 ILVU에 대한 디코드와는 동기가 취해지게 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재생장치를 제어하도록, 본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16)는 도 36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재생처리를 행한다.
본 플로우차트는, PL# 에 속하는 CELL의 각각에 대하여, 스텝 S42~ 스텝 S56의 처리를 반복하는 루프처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처리 대상인 CELL정보를 PL에 있어서 y번째에 위치하는 CELL정보(CELL정보#y)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PL정보 #y를 메모리에 읽어 들여서(스텝 S41), PL정보 #x의 최후의 CELL정보를 CELL #y로 설정하고, PL정보 #x의 최후의 CELL정보를 PL정보 #z로 설정하고 나서(스텝 S42), CELL에 속하는 ILVU를, BD-ROM 및 로컬 HD(12)에서 병렬로 ILVU를 판독하고, 비디오 디코더(4)가 디코드하도록 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43~스텝 S56).
스텝 S43~스텝 S56중 스텝 S44~스텝 S56는 CELL#y에 속하는 개개의 ILVU를 BD-ROM 및 로컬 HD(12)로 부터 판독해 가기 위한 루프 처리이다. 이 루프 처리에 있어서, 판독 대상인 ILVU를 AV 스트림에서 u번째에 위치하는 ILVU(ILVU#u)로 한다. 스텝 S43에서는, 스텝 S44~스텝 S52의 루프 처리에 앞서, BD-ROM 및 HD에서의 AV 스트림중 CELL#y의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ILVU를 ILVU#u로 설정하고 있다.
스텝 S44 ~ 스텝 S52의 루프처리는, ILVU#u를 BD-ROM 및 HD 각각에서 BD 버퍼(2), HD 버퍼(13)에 판독하며, 버퍼상의 ILVU를 구성하는 엑세스 유니트 각각을 디코더에 투입하는 처리(스텝 S44~스텝 S52)를 반복하며, 엑세스 유니트가 모두 투입되면, 다음 ILVU로 처리로 이행하는 것이다(스텝 S54).
비디오 디코더(4)에 투입되는 억세스 유니트를 ILVU에서 k 번째에 위치하는 엑세스 유니트(ACCESS UNIT#k)라고 한다. 스텝 S44~스텝 S50의 루프처리에서는, 버퍼상의 ILVU에서의 선두 엑세스 유니트가 ACCESS UNIT#u로 설정되고(스텝 S45), 이후 루프 처리가 1회 반복될 때마다 ILVU에서의 다음의 엑세스 유니트가 ACCESS UNIT#k로 설정된다(스텝 S52).
스텝 S44~ 스텝 S52중 스텝 S48 ~ 스텝 S50은, 사용자에 의한 앵글 설정에 따라서, 버퍼에 판독된 ILVU 내의 엑세스 유니트를 디코더에 투입하는 것이다. 도면 중의 앵글 #v는 사용자에 의해 앵글 절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47에서 YES), SPRM(3)은 갱신을 받는다(스텝 S53).
만일, 앵글#v가 BD-ROM측의 앵글을 나타내면(스텝 S48에서 YES), BD버퍼(2)에 판독된 ILVU 내의 엑세스 유니트 중 앵글 #v에 대응하는 것을 ACCESS UNIT#k로 하여 디코더에 투입한다(스텝S49). 만일, 앵글#v 가 로컬HD(12)측의 앵글을 나타내 면(스템S48에서 NO), HD측 버퍼상의 ILVU 내의 ACCESS UNIT#k를 디코더에 투입한다(스텝S50).
스텝 S51은, 이 루프 처리를 종료 조건의 판정이며, ACCESS UNIT#k가 ILVU#v의 최후의 엑세스 유니트가 아니면(스텝S51에서 NO), AV 스트림에서의 다음의 엑세스 유니트를 ACCESS UNIT#k로 설정하고(스텝 S52), 스텝 S47로 되돌아간다. 만일, ACCESS UNIT#k가 ILVU#v의 최후의 유니트이면, ILVU#v가 CELL의 Out점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3). ILVU#v가 CELL의 Out점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CELL에서의 다음의 ILVU를 ILVU#v로 설정하고(스텝S54), 스텝S44로 이행한다. 포함하고 있으면 스텝 S55를 실행한다. 스텝 S55는 현재의 처리 대상인 CELL정보 #y가 최후의 CELL정보 #z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만일, 현재의 처리 대상인 CELL정보 #y가 CELL#z가 아니면 CELL#y에 속하는 ILVU에 대하여 스텝S43 ~ 스텝S55의 처리를 행하도록 스텝 S43으로 이행한다. 만일 재생 정지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53에서 YES).
도 37은 스위치(18)에 의한 BD-ROM 및 HD로부터의 병렬 판독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ILVU(2-2)(3-2)는 스텝 S44에 있어서 BD-ROM에서 BD 버퍼(2)로 판독된다. 본 도에서의 ILVU(5-2)는 스템 S44에 있어서 HD에서 HD 버퍼(13)에 판독된다. 그리고 스위치(18)는, BD 버퍼(2) 측의 ILVU(2-2),(3-2), HD 버퍼(13) 측의 ILVU(5-2)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비디오 디코더(4)에 출력한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출력 전환으로 어떤 동화상 표시가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위치(18)가 BD-ROM측의 ILVU(3-2)를 비디오 디코더(4)에 출력하면, 도 28의 좌측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재생, 즉, 열차의 운전석에서 촬영된 동화상이 재생된다. 한편, 스위치(18)가 HD측의 ILVU(5-2)를 비디오 디코더(4)에 출력하면 도 38의 우측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재생, 즉, 열차의 창 측에서 촬영된 동화상이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BD-ROM에 기록된 영화작품이 멀티앵글형의 영화작품인 경우, 여기에 새로운 신을 추가 할 수 있어서, 영화작품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BD-ROM으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과 로컬 HD(12)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을 병렬로 행하였으나, 제 4 실시예에서는 BD-ROM으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과 병렬로 스트리밍 재생을 행한다. 도 39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홈시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시스템은 홈서버(600)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새롭다.
본 도면에서 재생장치(200)는, 업데이트 키트 중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만을 다운로드 한다. 여기서 홈서버(600)는 방송이나 배신 된 콘텐츠를 자신이 내장하는 HD에 기입하는 기기이다. 배신 된 AV 스트림은 홈서버(600)에 의해 다운로드 되고, 내장된 HD에 기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200)는 이 홈서버(600)로부터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의 공급을 받는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홈시어터 시스템 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스트림 재생에 있어서 재생장치 외부로부터 억세스 유니트를 취득하기 위하여,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스트림 관리정보, PL 정보는 도 40, 도 41과 같이 개량되어 있다. 스트림 관리정보의 개량은, 스트리밍 재생의 대상이 되는 AV 스트림의 취득처 URI가 Audio 속성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점이다. 즉, Audio 속성정보의 항목 중 AVStreamName 및 Audiostream ID 대신 AV 스트림의 취득처 URI가 기술되어 있는 것이다.
PL정보의 개량은, 스트리밍 재생의 대상이 되는 AV 스트림의 취득처 URI가 Audio Entry에 기술되어 있는 점이다. 즉, PL정보에서의 Audio Entry의 항목 중 AVStreamName 및 Audiostream ID 대신, AV 스트림의 취득처 URI가 기술되어 있는 것이다.
재생장치(200)는, 업데이트 키트 중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를 다운로드하면, 이들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에 홈서버(500)의 URI를 기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홈서버(500)에서 AV 스트림을 인출할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서의 업데이트 키트의 개량이다. 이어서 재생장치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재생장치의 개랑은, 스트리밍 버퍼(19)가 추가되어 있는 것이 주된 점이다. 제어부(16)에 의한 재생제어의 개량은 도 43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플로우차트에서는 스텝 S100~스텝 S102가 신규로 추가되어 있다.
스텝 S100에서는 WWW 서버(500)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을 BD-ROM으로 부터의 판독에 앞서 행한다. 이것은, WWW서버(500)로부터의 억세스 유니트의 취득에는 장시간이 걸리므로, 스트리밍 버퍼(19)로의 억세스 유니트의 공급은 BD-ROM으로부터의 판독에 앞서서 행해두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트리밍 버퍼(19)에 충분한 양의 억세스 유니트가 축적되는 것을 기다려서(스텝 S101), 축적되면, BD-ROM으로부터 BD 버퍼(2)로의 억세스 유니트의 판독을 개시한다(스텝 S102).
BD 버퍼(2) 및 스트리밍 버퍼(19) 쌍방에 충분한 양의 억세스 유니트가 축적되는 데로, 억세스 유니트에 포함되는 GOP,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더에 투입해 간다. 이때, 오디오 프레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설정(SPRM(1))에 따른 것이 선택적으로 재생된다(스텝 S5~S17).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에서의 별도의 장치에 다운로드된 오디오 스트림과 BD-ROM에 기록된 오디오 스트림을 택일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 키트를 배치하는 장소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홈서버(600)와 같이 사용자가 소유하는 기기가 아니라도, 배신 서버로부터의 공급을 받아서 스트리밍 재생을 하여도 좋으며, 그러나 인터넷을 경유한 배신은 일반적으로 저속이므로, BD-ROM으로부터의 판독에 앞서, 충분한 양의 억세스 유니트를 스트림 파일에 먼저 판독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는, 동적 시나리오를 다운로드 함으로써,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영화작품의 새로운 버전을 재생장치에 재생시키는 개량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에 의한 영화작품의 반포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히트 작품을 하루빨리 가정에서 보고 싶다는 사용자의 요망이 크므로, 영화작품의 제작자는 가혹한 일정에서 영화작품 제작에 임하고 있다. 최근의 영화업계에는, 영화작품 본 편 이외에도, 감독이나 배우에 의한 해설(commentary) 및 메이킹 영상, 커트 영상, 미공개 영상을 BD-ROM에 기록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경향이 보이며, 이들의 자막·더빙 음성의 작성은 상술한 가혹한 일정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동적 시나리오의 다운로드를 행한다.
동적 시나리오란, PL정보를 이용한 AV 스트림의 재생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며, 재생장치에서의 제어의 레이어 모델에 있어서 제 4 층에 규정된다. 도 44는 레이어 모델의 제 4 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제 4 층에는, 하나의 노말 모드와, 2개의 개량모드가 기술되어 있다. 하나의 노말 모드는 DVD와 같은 재생환경에서의 재생모드이며, MOVIE 모드라고 불린다. 2개의 개량모드 중, 첫 번째는, Java 가상 머신을 주체로 한 재생모드이며, Java모드라 불린다. 두 번째의 개량모드는, 브라우저(Browser)를 주체로 한 재생모드이며, Browser모드라 불린다.
제 4 층에는, MOVIE 모드, Java 모드, Browser 모드라는 3개의 모드가 있으므로, 동적 시나리오는 어느 한 모드로 실행할 수 있도록 기술되면 된다. DVD 플레이어 용의 코맨드와 아주 유사한 코맨드로 제어 수순을 기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MOVIE모드의 재생제어 수순을 기술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기존의 DVD 재생제어와 아주 유사한 재생제어를 재생장치에 실현시킬 수 있다. 페이지 기술 언어로 제어 수순을 기술한 경우에는 Browser 모드의 재생 제어수순을 기술하면 좋다. 네트워크상의 사이트를 억세스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제어 수순을 기술할 수 있다. Java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가 도 44에 도시한 ZZZ.CLASS이고, Browser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가 ZZZ.HTM이다. MOVIE모드의 동적 시나리오가 ZZZ.MOVIE이다. 3개의 PL로 구성되는 영화작품이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이 동적 시나리오가 어떻게 기술되는가의 기술 예를 도 45(a)에 도시한다. 본 도면에서의 동적 시나리오는 Java 언어로 기술된 Java모드의 동적 시나리오이며, Java 오브젝트(Object)라고 불린다. Java 언어로의 기술이 가능하므로, Java 오브젝트에서의 재생제어 수순은 if문 등을 이용한 프로그래밍으로 기술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PlayPL(XX.YY)은, 제 1 인수 XX에 지정되는 PL만을 제 2 인수에 나타낸 개소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함수이다. 도 45(a)의 프로그램 기술 예에서는 PlayPL(PL #1, CELL #1), PlayPL(PL #2, CELL #1), PlayPL(PL #3, CELL #1)이라는 3개의 함수 호출이 배열되어 있으므로, PL#1, PL#2, PL#3이라는 3개의 PL이 순차 재생되어 하나의 영화작품이 구성되게 된다. 또한, 본 도면에서 PL#1, #2, #3은 PL정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AV 스트림 - 스트림 관리정보 - PL정보라고 하는 일련의 세트를 의미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BD-ROM의 설명이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업데이트 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업데이트 키트는 동적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이 동적 시나리오는 BD-ROM에 기록된 동적 시나리오 대신 사용된다. 즉, 업데이트 키트내에 새 로운 동적 시나리오가 존재하는 경우, BD-ROM에 기록된 동적 시나리오 대신 이 새로운 동적 시나리오가 사용되게 된다.
도 45(b)는 도 45(a)에 도시한 동적 시나리오 대신 사용되는 동적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동적 시나리오는 업데이트 키트에 내장된 상태로 HD에 기입된다. 이 업데이트 키트는, 언어에 따라서 재생 신을 절환하는 「랭기지 크레디트(Language Credit)」를 실현하는 것이며, 동적 시나리오 외에 추가의 PL(PL #4)을 포함한다. 이것은 대체영상(Substitute image)이며, 택일적으로 PL#2 대신 재생된다.
업데이트 키트 내의 새로운 동적 시나리오는, 재생장치에서의 언어설정(SPRM(0)이 「일본어」이면 (if (SPRM(0)==Japanese)) PL#4를 재생하고(Link(PL#4, CELL #1, 0)), 재생장치에서의 언어 설정이 그 이외이면(else) PL#2를 재생하는(Link (PL#2, CELL #1, 0)) 조건부 재생을 실현한다.
도 46(a)는 BD-ROM에 기록되는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재생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6(b)는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재생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b)의 화살표 hb1, hb2는 업데이트 키트 내의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조건부 분기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D-ROM에 기록된 PL#1, #2, #3을 순차 재생하도록 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한편,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동적 시나리오는, SPRM(0)의 값에 따라서, 일본 용의 PL(PL#4)을 재생하도록 하거나, 미국 용의 PL(PL#2)을 재생하도록 하는가를 절환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업데이트 키트이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재생장치는,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20), 재생제어엔진(21), DVD 유사모듈(23), Java 모듈(24), 브라우저 모듈(25), 모듈 매니저(26)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신규하다.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20)는, 현재 동적 시나리오를 저장해 두고, DVD 유사 모듈(23)~브라우저 모듈(25)에 의한 처리에 제공하는 메모리이다. 현재 동적 시나리오란, 현재 실행대상으로 되어 있는 동적 시나리오이다. 로컬 HD(12)에 업데이트 키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BD-ROM에서의 동적 시나리오가 현재 시나리오가 되고, 로컬HD(12)에 업데이트 키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컬 HD(12)에서의 동적 시나리오가 현재 시나리오가 된다.
재생제어엔진(21)은, AV 재생기능(1), 플레이 리스트의 재생기능(2), 재생장치에서의 상태 취득/설정 기능(3)이라는 제반 기능을 실행한다. 재생장치의 AV 재생기능은,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에서 답습한 기능군이며, 재생개시(Play), 재생정지(Stop), 일시정지(Pause On), 일시정지의 해제(Pause Off), 스틸 기능의 해재(Still Off), 속도지정 부가 되감기(Backward Play(speed)), 음성절환(Audio Change), 부영상 절환(Subtitute Change), 앵글절환(Angle change)과 같은 처리를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따라서 실행하는 것이다. PL 재생기능은 PL정보를 해독하여 재생개시나 재생정지를 PL정보에 따라서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 PL 재생기능의 실행에 의해 재생제어엔진(21)은 레이어 모델의 제 3 층(정적인 시나리오에 기초한 재생제어)의 역할을 담당한다. 재생제어엔진(21)은 AV 재생기능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실행한다. 한편, 기능(2)~(3)을 DVD 유사모듈(23)~브라우저 모듈(25)로부터의 함수 호출에 따라서 실행한다. 즉, 재생제어엔진(21)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지시, 레이어 모델에서의 상위층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자신의 기능을 실행한다.
DVD 유사모듈(23)은, MOVIE모드의 실행 주체가 되는 DVD 가상 플레이어이며, 동적 시나리오 모듈(20)에 판독된 현재의 MOVIE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Java 모듈(24)은, Java 플랫폼이며, Java 가상머신, 컨피그레이션(Configu-ration), 프로파일로 이루어진다. Java 모듈(24)은,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20)에 판독된 ZZZ.CLASS로부터 현재의 Java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Java 가상 머신은 Java 언어로 기술된 Java 오브젝트를 재생장치에서의 CPU의 원시코드로 변환하여 CPU에 실행시킨다.
브라우저 모듈(25)은, 브라우저 모드의 실행 주체가 되는 브라우저이며, 동적 시나리오 모듈(20)에 판독된 현재의 웹페이지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모듈 매니저(26)는 모드 관리 및 분기 제어를 행한다. 모듈 매니저(26)에 의한 모드 관리란, 동적 시나리오를 DVD 유사모듈(23)~브라우저 모듈(25) 중 어디에 실행시킬 것인가라고 하는 모듈의 할당이다. 모듈 할당의 원칙은 동적 시나리오를 DVD 유사모듈(23)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인트라 모드에서의 분기(동일모드 내의 분기)가 있었다고 해도 이 원칙은 유지된다. 예외는, 인터모드에서의 분기(모드간의 분기)가 발생한 경우이다. MOVIE 오브젝트로부터 Java 오브젝트/웹페이지 오브젝트로의 분기가 발생한 경우, Java모듈(24), 브라우저 모듈(25)이 현재 오브젝트를 실 행하게 된다.
모듈 매니저(26)에 의한 분기 제어는, 분기처가 되는 동적 시나리오를 특정하고, 이것을 메모리에 판독하여, DVD 유사모듈(23)~브라우저 모듈(25) 중 어느 하나에 실행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재생장치에 있어서, DVD 유사모듈(23)~브라우저 모듈(25)이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20)에 판독된 동적 시나리오에 따른 PL 재생을 재생제어 엔진(21)이 행하도록 함으로써, 도 46(a)·(b)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재생이 이루어진다. 특히, 도 46(b)의 재생으로, BD-ROM에 기록된 미국 공개판의 영화작품을 일본 공개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동적 시나리오의 최신 버전을 업데이트 키트로서 다운로드 하는 경우의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BD-ROM에 기록된 영화작품에 페어런털 로크(Parental lock)가 설치된 업데이트 키트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48(a)는 BD-ROM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D-ROM의 기록내용은, PL#1, PL#2, PL#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PL#2는 성적 또는 폭력적인 신이 포함되어 있어서, PG18로 대표되는 시청연령 제한이 필요하다.
도 48(b)는 도 48(a)에 도시한 BD-ROM에 대한 업데이트 키트이다.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PL#4는 추가 PL이다. PL#4는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접수하는 PL이다. 이 메뉴는, 어린이에 의한 시청인가, 어른에 의한 시청인가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것이다. 이 선택의 결과는 SPRM(13)에 설정된다. PL#4는 PL#2와 같은 취지의 영상 내용을 만화처럼 어린이용으로 표현한 것이다.
치환용의 동적 시나리오(Java 오브젝트)는, PL#1 ~ PL#2 ~ PL#3이라는 3개의 PL의 재생에 앞서 PL#4의 재생을 행하여 사용자가 선택을 하도록 하고 나서, 이 선택에 따라서 PL#4의 재생을 행하는가, PL#2의 재생을 행하는가를 절환한다. PL#4는 재생장치에서의 페어런털 레벨(Parental Level)의 설정(SPRM(13)을 접수하는 것이며, 이 SPRM(13)이 「Adult Only」이면(if (SPRM(13)==Adult Only)) PL#2를 재생하고(Link (PL#2, CELL#1)), 재생장치에서의 페어런털 레벨이 그 이외이면(else) PL#5를 재생하게 된다(Link (PL#5, CELL#1)). SPRM(13)의 설정 여하로, 과격한 신의 재생, 어린이용 신의 재생이 절환되므로, 설사 BD-ROM으로 배포된 영화작품에 과격한 신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해도, BD-ROM에 부기방식(retrofitting manner)으로 페어런털 로크를 부가할 수 있다.
도 49(a)(b)는, BD-ROM에 기록된 동적 시나리오,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동적 시나리오에 의해 실현되는 재생 수순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 pc1, pc2는 업데이트 키트 내의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조건부 재생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PRM(13)의 값에 따라서 PL#2나 PL#5의 재생절환이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SPRM(13)의 값에 따라서, PL#2의 재생을 행하는가, PL#2를 우회하는가의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BD-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PL#2를 우회하는 기능이 없어도, 웹사이트에서 배급되는 동적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부기방식으로 PL#2를 우회하는 재생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BD-ROM에 기록된 극장 공개판의 영화작품을 감독판(director's cut) 으로 발전시키도록 하는 업데이트 키트를 이하에 설명한다.
극장 공개판 영화작품이란, 일부 신을 커트/편집하여 영화 상영 시간을 2시간 가량으로 한 것을 말한다. 상영 시간을 2시간 가량으로 하는 것은 영화관에서의 1일 상영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영화감독의 의사와 상반되는 사정 때문에 커트/편집이 실시된 영화작품이 극장 공개판 영화작품이다.
한편, 감독판 영화작품이란, 극장 공개판 영화작품에 미공개 신이나 편집 과정에서 커트 된 신을 추가한 영화작품이며, 영화감독의 사상·감정이 그대로 나타나 있는 영화작품을 말한다.
도 50은 BD-ROM에 기록된 극장 공개판의 영상 편집을 감독판으로 발전시키는 업데이트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a)는 BD-ROM에 기록되는 PL#1, PL#2, 동적 시나리오(Java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도 50(b)는 업데이트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업데이트 키트는 추가의 PL#4 및 치환용 동적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이 동적 시나리오(Java 오브젝트)는, 도 5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재생순서(PL#1, PL#2)가 BD-ROM의 동적 시나리오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 PL#1, PL#2의 도중에 미공개 신을 구성하는 PL#3을 삽입시키는 것이다. 도 51(b)는 치환용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재생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동적 시나리오에 의해 PL#1, PL#3, PL#2의 순으로 PL이 재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재생장치에서의 상태 설정에 따라서 분기를 행하는 동적 시나리오를 갱신용 동적 시나리오로서 재생장치에 다운로드 함으로써, BD-ROM에 없는 버전의 영화작품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ROM 디스크에 의한 영화작품의 반포 후의 버전 업과 등가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PC용 소프트웨어와 같이, 후일의 버전 업이 광 디스크에 의한 영화작품의 반포에서는 가능하게 되므로, 창작자의 부담이 적어지게 된다. 여기서, 소프트웨어의 버전 업은 ROM 디스크에 기록된 소프트 웨어를 PC에 인스톨하고 새로운 업데이트 키트를 다운로드하여 HD에 추가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소프트웨어의 버전 업과 다른 것은, 상술한 재생장치는 HD에 인스톨을 하지 않는다고 하는 점이다. HD에 인스톨을 행하지 않으므로, HD에 인스톨이 무진장 복제의 계기가 되지 않는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는 가상 패키지의 버전 관리를 실현하는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52는 본 실시예에 관한 HD의 디렉토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D에는, 루트 디렉토리 밑에 Vpackage 디렉토리가 있고, 그 밑에는 abc 디렉토리, XYZ 디렉토리가 있다.
도면 중의 「Vpackage」는, 각 BD-ROM에 대한 업데이트 키트를 저장한 디렉토리의 상위에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BD-ROM의 업데이트 키트를 저장한 디렉토리는 디렉토리 Vpackage의 하위에 배치되므로, 업데이트 키트를 배치한 디렉토리는 그 외의 파일을 배치한 디렉토리와 구별되게 된다. 제어부(16)는, BD-ROM이 로딩 된 경우, Vpackage라고 하는 이름의 디렉토리가 있는가 여부로 업데이트 키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XYZ」, 「abc」는 각각이 BD-ROM의 볼륨 라벨이며, 「XYZ」라 고 하는 볼륨 라벨을 가진 BD-ROM과, 「abc」라고 하는 볼륨 라벨을 가진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가 로컬 HD(12)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렉토리 「XYZ」의 하위에 위치하는 서브 디렉토리 「Version 2.3」은, 볼륨 라벨 「XYZ」의 BD-ROM을 Version 2.3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키트를 위치시키는 장소를 나타낸다. 각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에 서브 디렉토리를 배치함으로써, 각 BD-ROM의 개개의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 키트가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로컬 HD(12)의 개량이다. 이어서, 로컬 HD(12)의 디렉토리 구조에 관한 재생장치(200)에서의 구성요소의 개량(다운로드부(11), 모듈 매니저(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운로드 부(11)는, WWW 서버(500)로부터 업데이트 키트를 다운로드 할 때, BD-ROM에 대응하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로컬 HD(12)상에 작성하고, 그 디렉토리에 BD-ROM의 볼륨 라벨과 동일한 명칭을 부가한다.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가 로컬 HD(12)상에 존재하는 경우, 개개의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 내에 새로운 서브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이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는 BD-ROM의 기록내용의 새로운 버전에 대응한 디렉토리 명을 가진다. 그리고 WWW 서버(500)에서 다운로드한 업데이트 키트를 이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에 기입한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 「XYZ」에 배치해야 할 업데이트 키트가 제 2 판이라면, 디렉토리 명 「Version 2」에 서브 디렉토리를 디렉토리 「XYZ」의 하위에 생성한다. 업데이트 키트가 제 3판이라면, 디렉토리 명 「Version 3」의 서브 디렉토리를 디렉토리 「XYZ」의 하위에 생성한다. 그 후, WWW 서버(500)에 억세스하여 업데이트 키트를 다운로드해서, 해당하는 버전의 서브 디렉토리에 다운로드한 업데이트 키트를 기입한다.
모듈 매니저(26)는, BD-ROM이 재생장치(200)에 장전될 때, 그 BD-ROM에서 볼륨 라벨을 판독하여, 로컬 HD(12)에서의 복수의 디렉토리 중 판독된 볼륨 라벨과 합치하는 것을 특정한다. 이렇게 하여 특정된 디렉토리의 하위에 서브 디렉토리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체크한다. 서브 디렉토리가 존재하면, 그들 서브 디렉토리의 디렉토리 명을 참조하여, 디렉토리 명에 포함되어 있는 버전 번호가 가장 최신의 것을 억세스하고, 그 서브 디렉토리에서 업데이트 키트를 판독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디렉토리 구조에 관한 구성요소에 대한 개량이다.
이렇게 해서, 버전 별로 저장된 업데이트 키트를 구성되는 가상 패키지는 패키지 통합정보에 의해 통합 관리된다. 이하, 각 가상 패키지에 대한 패키지 통합정보(INFO.B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INFO.BD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D-ROM 패키지 및 가상 패키지에서의 INFO.BD는, Index Table, 일반정보(General), PLList를 가지고 있다.
Index Table은 동적 시나리오에 대한 복수 INDEX로 이루어진다. 이 INDEX에는, FirstPlay INDEX, 메뉴 INDEX가 있다. FirstPlay INDEX는, BD-ROM이 재생장치에 로딩 된 때, 재생장치가 최초로 실행하여야 할 동적 시나리오(스타트업용 동적 시나리오)를 지정한다.
메뉴 INDEX는, 사용자가 메뉴 콜을 행한 때, 재생장치가 실행해야 할 동적 시나리오를 지정하는 INDEX이다. 메뉴에는, Top 메뉴, Title 메뉴, Chapter 메뉴, Audio 메뉴, SubTitle 메뉴가 있다. 이와 같은 INDEX에 의해, BD-ROM 패키지에 있 어서는 재생장치로의 로딩시의 처리 및 메뉴 콜 시의 처리가 규정된다. 결과적으로 이 INFO.BD에 의해 BD-ROM 패키지의 거동이 규정되는 것이다.
이어서, 일반정보(General) 및 PLList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선 인출선 gh1은 일반정보 「General」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 인출선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일반정보 「General」은, 「패키지 명(PackageName)」, 「패키지 버전(Package Version)」, 「다운로드 허가 플래그(DownLoadability)」, 「URI」, 「유효기한(Expire Date)」을 갖는다.
「패키지 명(PackageName)」은 BD-ROM 패키지 및 가상 패키지에서 통일된 패키지로서의 명칭이다. 통상, 영화의 타이틀 명이 「패키지 명(PackageName)」으로 설정된다. 이 패키지 명은 BD-ROM 패키지와 가상 패키지의 대응 부여에 이용된다.
「패키지 버전(PackageVersion)」은 INFO.BD가 속해 있는 버전을 번호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BD-ROM상의 INFO.BD이면 본 정보는 Version 1로 설정되고, 가상 패키지 상의 INFO.BD이면 본 정보는 버전 2 이후의 값이 설정된다.
「다운로드 허가 프래그(DownLoadability)」는 업데이트 키트가 후일 공급될 가능성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BD-ROM에 기록된 INFO.BD의 플래그가 「불가」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업데이트 키트가 공급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플래그가 「허가」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이후의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키트가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운로드 허가 플래그를 버전 업 불가로 설정함으로써, 업데이트 키트를 이용한 가상 패키지의 재생은 금지되게 된다. 이것은 버전 업의 길이 막히므로 업자 의 입장에서는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운로드 허가 플래그가 불가를 나타내고 있으면, 업데이트 키트를 BD-ROM과 조합시킨 재생이 금지되므로, 업데이트 키트를 악용하여 영화작품의 패러디(Parady) 판을 작성하여, 제작자를 비방·중상하는 행위도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비방·중상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다운로드 허가 플래그를 불가로 설정하는 장점은 크다.
「URI」는 Unified Resource Indentifier이며, 업데이트 키트의 공급의 가능성이 있으면, 네트워크상의 어느 WWW 사이트에 이 업데이트 키트가 존재하는가를 나타낸다. 다운로드부(11)는, 이 URI에 나타난 WWW 사이트에 억세스하면, 최신 버전의 업데이트 키트를 입수할 수 있다.
「유효기간(Expiration Date)」은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가 유효한 기일을 나타내고 있다. 재생제어엔진(21)은, 재생장치 내의 달력, 시계가 계시하는 현 일시와 이 정보와를 비교하여, 업데이트 키트가 유효하게 되어 있는가, 또는 기한이 지나지는 않았는가를 확인한다. 기한 내이면 INFO.BD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키트를 이용한 재생을 행한다. 한편, 기한을 경과하였으면 INFO.BD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키트를 이용한 재생을 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PL 리스트「PLList」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선 인출선 gh2는 PL 리스트 「PLList」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여 나타내고 있다. PLList는 당해 패킷이 같은 플레이 리스트 수(Number)와 각 플레이 리스트별 엔트리 정보(PLEntry #1~#n)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 리스트 엔트리 정보(PLEntry)」는 각각, 「패키지 버전(Package Version)」, 「스토리지 명(StorageName)」, 「플레이 리스트 명(PlayListName)」, 「대체 PL 정보(Alternative)」라고 하는 정보를 개개의 PL정보에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패키지 버전(PackageVersion)」은 PLEntry에 대응하는 PL정보가 속해 있는 버전을 번호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BD-ROM 상의 PL정보이면 본 정보는 Version 1로 설정되고, 가상 패키지 상의 PL정보이면 본 정보는 Version 2 이후의 값이 설정된다.
「스토리지 명(StorageName)」은, PLEntry에 대응하는 PL정보가, BD-ROM, HD, 반도체 메모리 카드, 인터넷상의 서버 중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PL정보를 HD,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 배치하는 것은 다운로드부(11)이므로, 업데이트 키트가 언로드한 후에 다운로드부(11)가 자동으로 부여하는 정보가 된다.
「플레이 리스트 명(PlayListName)」은, PLEntry에 대응하는 PL정보의 시리얼 번호이며, PL#1 등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
「대체 PL정보(Alternative)」는, PLEntry에 대응하는 PL정보가 다운로드의 실패나 HD의 트러블 등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 대체로서 재생되어야 할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낸다.
PL정보의 파손이란, PL정보를 구성하는 CELL이 AV 스트림을 지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i), PL정보를 구성하는 CELL정보의 In점, Out점이 부정확한 경우(ⅱ), PL정보가 이미 삭제되어 있는 경우(ⅲ) 등의 사정이 있어서, PL정보를 정확하게 해독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대체 PL정보는 통상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PL정보를 지정한다. BD-ROM상의 PL정보가 파손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이상이 가상 패킷용의 INFO.BD이다. 이어서, INFO.BD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다운로두브(11), 모듈 매니저(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운로드부(11)는, INFO.BD에서의 일반 정보의 URI를 참조하여 네트워크에서 URI에 제시된 WWW 서버(500)로부터 버전 업 용 업데이트 키트를 다운로드하고, 로컬 HD(12)에서의 개개의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에 기입한다. 다운로드부(11)는, 재생장치(200) 내부의 달력을 참조하여, 현재 일시가 이 INFO.BD에서의 일반 정보의 Expiration Date에 나타내는 일시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만일 도달했으면, INFO.BD 일반 정보의 URI에 의거 WWW 서버(500)를 억세스하여 다운로드를 시도한다.
재생제어엔진(21)은, PL정보의 처리에 앞서, PLEntry의 스토리지 명에 나타내는 장소의 PL정보가 파손되어 있는가 여부의 체크를 한다. 파손이 없으면 PLEntry의 스토리지 명에 나타내는 장소의 PL정보를 해독하나, 만일 파손이 있으면 PLEntry의 PL대체정보에 나타내는 PL정보를 판독하여 해독한다.
모듈매니저(26)는 도 5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가상 패키지의 재생을 행한다. 이하, 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모듈매니저(26)의 처리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4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동적 시나리오 i란, BD-ROM 또는 로컬 HD(12) 로부터의 판독의 대상이 되는 동적 시나리오 i이다.
BD-ROM에서의 INFO.BD의 AbilityFlag가 「가능성 없음」을 나타내고 있지 않은가 여부의 판정을 하여 (스텝 S60에서 Yes), HD에서의 하위 디렉토리에서 최신 버전의 INFO.BD를 판독하고 나서(스텝 S61), 이 동적 시나리오 i의 초기 설정을 한다(스텝 S63).
스텝 S64는 동적 시나리오의 최선 버전의 검색이다. HD의 하위 디렉토리에 동적 시나리오 i의 최신 버전이 존재하면(스텝 S64에서 Yes), HD의 하위 디렉토리에서 동적 시나리오 i의 최신 버전을 판독한다(스텝 S66). 존재하지 않으면, BD-ROM에서 동적 시나리오 i를 판독한다(스텝 S65).
동적 시나리오 i가 판독되었으면 동작 시나리오 i를 구성하는 개개의 코맨드를 실행한다(스텝 S67~스텝 S71). 실행하여야 할 코맨드가 분기 코맨드이면 코맨드에서의 분기처를 동적 시나리오 i에 설정하고(스텝 S71), 스텝 S64로 이행한다.
실행하여야 할 코맨드가 PlayPL 함수를 호출하는 코맨드이면, 스텝 S72에서 PL 재생처리를 행한다. 이 PL 재생에서 PL정보의 최신 버전의 검색이 필요하게 된다. 이후 도 55(a)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PL의 탐색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스텝 S91~스텝 S95에서 재생되어야 할 PL을 PL#k로 한다.
INFO.BD에서의 PLList의 PL#k에 대한 PLEntry에서 스토리지 명을 판독하고(스텝 S91), 스토리지의 저장내용에 파손이 있는가 여부를 재생제어엔진(21)이 판정하도록 한다. 유효이면 PL#k에 대한 PLEntry에 제시된 PL정보를 PL정보#k로 설정한다(스텝 S93). 무효이면 PL#k의 PLEntry에서의 Alternative 정보에 제시된 PL정 보를 PL#k로 설정한다(스텝 S94). 이상의 과정에서 PL정보#k가 설정되면, PL정보#k의 판독을 행한다(스텝 S95).
이상이 PL 탐색 수순이다. 이어서, PL정보에서 지정된 AV 스트림의 최선 버전의 탐색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5(b)는 AV 스트림의 버전 탐색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78~스텝 S82는 CELL 정보 내의 Entry의 각각에 대하여 스텝 S80~스텝 S82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다(스텝 S78, 스텝 S79).
CELL정보 내의 Entry에는, CELL정보에서의 AudioTable의 Audio Entry, SubTitle Table의 Subtitle Entry, Angle Entry가 있다. 이들 Entry 중, 처리 대상이 되는 것을 Entry#p라 한다. 스텝 S80~스텝 S82는, 각 Entry에서 지시되는 AV 스트림을, HD, BD-ROM 중 어디에서 판독하는가 라고 하는 판독대상의 판정처리이다. 스텝 S80은 HD에서의 하위 디렉토리에 Entry#p에서 지정된 AV 스트림의 최선 버전이 존재하는가의 판정이며, 만일 존재하면(스텝 S80에서 Yes), 로컬 HD(12)에서의 최신 버전의 AV 스트림 및 스트림 관리정보와, BD-ROM에서의 AV 스트림 및 스트림 관리정보를 판독대상으로 설정한다(스텝 S82). 이렇게 하여 설정된 판독대상을 판독하도록 제1~3 실시예의 처리를 행하면, BD-ROM에 기록된 음성, 자막, 앵글과, 로컬 HD(12)에 기록된 음성, 자막, 앵글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구체 예를 들어서, 본 플로우차트의 처리 수순에 의해,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가 판독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의 전제는 도 52의 같은 디렉토리 구성이다.
상술한 플로우차트에서는, BD-ROM에 기록된 파일보다 새로운 버전의 파일이 HD내에 존재하는 경우, 그들 HD 내의 파일 중 가장 새로운 것을 선택하여 판독하게 된다. 도 56은 BD-ROM, Version 2 디렉토리, Version 3 디렉토리에 저장된 각종 파일을 판독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한 4개의 점선들은, BD-ROM, Version 2 디렉토리, Version 3 디렉토리, 재생장치 내의 버퍼를 상징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백색 화살표는, BD-ROM, Version 2 디렉토리, Version 3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중 제어부(16)가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에 대한 선택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nj1은 스텝 S61에 의한 INFO.BD의 판독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BD-ROM, Version 2 디렉토리, Version 3 디렉토리에 INFO.B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 판독에 의해, Version 3 디렉토리에 저장된 INFO.BD가 메모리에 판독된다.
화살표 nj2는 스텝 S66에 의한 PL정보 002.PL의 판독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BD-ROM, Version 2, 3 디렉토리에 002.PL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 판독에 의해, Version 3 디렉토리에 저장된 002.PL이 메모리에 판독된다.
같은 파일에 복수의 버전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새로운 버전의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취득하는 선택에 의해, AV 스트림, PL정보, 동적 시나리오를 공급하므로, BD-ROM로 배포된 패키지의 기능을 WWW 서버(500)에서 다운로드 한 업데이트 키트로 보완할 수 있다.
이미 배포된 BD-ROM이나 업데이트 키트에 결여되어 있던 기능을 새로운 버전 의 업데이트 키트로 보완할 수 있으므로, 배포자는 기 배포된 BD-ROM이나 업데이트 키트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것을 회수하지 않고 그 하자를 보수할 수 있다. 회수의 리스크가 없어지므로 영화작품 배포시의 배포자의 불안을 불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4, 도 55의 풀로우차트에서는, 최신 버전의 INFO.BD, 동적 시나리오, PL정보만을 메모리에 판독하도록 하였으나, 모든 버전의 INFO.BD, 동적 시나리오, PL정보를 메모리에 순차 판독하여, 오래된 버전의 INFO.BD, 동적 시나리오, PL정보는 새로운 버전의 INFO.BD, 동적 시나리오, PL정보로 덮어쓰기를 한다는 원칙으로, 최신의 INFO.BD, 동적 시나리오, PL정보로 이루어지는 가상 패키지를 메모리 상에서 생성해도 된다.
[제 7 실시예]
제 6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버전의 업데이트 키트가 로컬 HD(12)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 이들 중에서 최신 버전의 것을 재생시키도록 하고 있었으나, 제 7 실시예는 각 버전의 가상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원하는 가상 패키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각 버전의 가상 패키지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버전별로 기록 및 재생의 이력을 로컬 HD(12)나 서버, 반도체 메모리 카드상에 남기도록 하고 있다. 버전별 재생 및 기록의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상버전정보라고 한다. 또, 각 버전의 가상 패키지에 대한 가상버전정보로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패키지 테이블이라고 한다.
도 57은 가상 패키지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상 패키지 테이블(BDTable)은, 파일 「VP.INFO」에 저장되어서 도 52의 디렉토리 「VPackage」에 배치된다. 가상 패키지 테이블은, 개개의 BD엔트리(BDEntry#)와, 엔트리 수(Number)를 가지고 있다. 개개의 BD엔트리가 대응하는 「INFO.BD」의 정보(가상 패키지 정보)이다.
도 58은 각 INFO.BD에 대한 가상 패키지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가상 패키지 테이블은, 개개의 버전의 「패키지 명」과, 가상 패키지를 구성하는 업데이트 키트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와, 전회에 당해 패키지를 재생한 때의 재생 종료시점을 나타내는 「종료위치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ABC」의 경우는 업데이트 키트의 기록위치가 로컬 HD의 「ABC」디렉토리이고, 전회에 이 패키지를 재생한 경우의 종료위치가 PL#2의 CELL#1의 시작 3분 24초의 시점이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패키지 「XYZ」는 기록위치정보가 없다(도면 중의 「---」). 이것은 당해 패키지는, 가상 패키지가 아니라, BD-ROM에 기록된 오리지널 패키지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패키지 「WWW」는 기록위치가 「Memory : ¥WWW」이며, 이것은 업데이트 키트의 기록위치가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디렉토리 WWW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종료위치정보가 없는 것은 아직 당해 패키지의 재생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패키지 「JKF」는 홈 서버의 디렉토리 「JKF」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이 가상버전정보의 설명이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서의 재생장치 측의 개량(다운로드부(11), 재생제어엔진(21), 모듈매니저(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운로드부(11)는, 업데이트 키트를 WWW 서버(500)에서 다운로드한 때, 그 기입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키트에 대응하는 버전의 가상버전정보로 설정한다.
재생제어엔진(21)은, PL의 재생을 종료한 때, 재생종료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그 PL에 대응하는 버전의 가상버전의 정보로 설정한다.
모듈매니저(26)는 도 59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재생장치(200)의 통합제어를 행한다. 이하 도 59를 참조하여 PL재생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우차트의 실행이 개시되면, 가상 패키지 테이블이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81), 가상 패키지를 일람으로 표시한다(스텝 S82).
도 60은 스텝 S82에서의 일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람화면에서 보턴(도면 중의 1 : 오리지널, 2 : 가상 패키지 1, 3 : 가상 패키지 2)은 복수 버전의 가상 패키지의 각각을 시각화 한 것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상태, 확정상태를 변경한다. 이 일람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 의한 가상 패키지의 선택을 기다리고(스텝 S83),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 패키지 #r에 기록위치정보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4). 존재하면, 기록위치정보에 나타내는 Storage에서 버전 #r의 INFO.BD를 판독하고(스텝 S85), 버전 #r의 INDEX TABLE에서의 FirstPlay INDEX에 기술되어 있는 동적 시나리오를 동적 시나리오 i로 설정한다(스텝 S86).
기록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BD-ROM에서 INFO.BD를 판독하고(스텝 S87), INFO.BD의 INDEX TABLE에서의 FirstPlay INDEX에 기술되어 있는 동적 시나리오를 동적 시나리오 i로 설정한다(스텝 S88).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패키지의 번호를 SPRM(24)에 저장해둔다.
이상의 과정에서 동적 시나리오 i가 설정되면, 스텝 S67~스텝 S73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재생제어엔진(21)에 의해 PL재생이 이루어질 때마다(스텝 S72) 최종적인 재생위치가 가상 버전정보의 종료위치정보로 기입되게 된다(스텝 S89).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가상 패키지에 복수 버전이 존재하는 경우, 개개의 버전을 사용자가 어느 만큼 보았는가를 버전별로 관리하므로, 복수 버전이 동시에 존재함에 따른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의 업데이트 키트는 재생장치의 로컬 HD(12)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8 실시예는 메모리 카드, 홈 서버 등 다양한 장소에 업데이트 키트가 저장될 수 있는 경우의 개량이다.
반도체 메모리 카드, 홈 서버 등 다양한 장소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는, 도 54의 스텝 S64~스텝 S66, 도 55(b)의 스텝 S80~스텝 S81에 대신하여 도 61의 스텝 S91~스텝 S96의 수순으로 업데이트 키트의 탐색을 행한다.
본 플로우차트에서 스텝 S8은, 업데이트 키트를 로컬 HD(12), 서버, 반도체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에서 판독하는 것이다. 한편, 스텝 S10은, 업데이트 키트 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BD-ROM에서 PL정보, 스트림 관리정보, AV 스트림을 판독하는 것이다.
최신 버전의 검색에 있어서, 로컬 HD(12)를 내장하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HD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스텝 S91), 로컬 HD(12)상에 가상 패키지 정보가 있으면(스텝 S92에서 Yes) 스텝 S97에서 업데이트 키트의 판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로컬 HD(12)에는 가상 패키지 정보는 없으나, 재생장치가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고(스텝 S93), 서버에 가상 패키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스텝 S94), 스텝 S97에서 업데이트 키트의 판독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로컬 HD(12) 및 홈 서버상에는 가상 패키지 정보가 없으나, 재생장치(200)가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 접속이 가능하고(스텝 S95), 홈 서버에 가상 패키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스텝 S96) 업데이트 키트의 판독이 이루어지게 된다(스텝 S97).
로컬 HD(12)를 내장하고 있지 않고, 홈 서버, 반도체 메모리 카드와의 접속도 불가능하면, BD-ROM에서 PL정보, 스트림 관리정보, AV 스트림이 판독되게 된다(스텝 S98).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기기나 매체에 업데이트 키트가 산재하고 있는 경우라도, 그들로부터 필요한 업데이트 키트를 취득하므로,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시에 업데이트 키트가 있는 장소를 정해두지 않아도 되어서 업데이트 키트를 두는 장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HD, 홈 서버,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순으로 처리를 진행하 였으나, 이들 순서는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최초로 서버 접속을 확인하고, 다음에 반도체 메모리 카드, 마지막으로 HD의 순서라도 된다.
[제 9 실시예]
제 1~7 실시예에서는 업데이트 키트를 HD에 기록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업데이트 키트를 안전영역(Secure area)과 불안전영역(InSecure area)을 갖는 SD 메모리카드에 기입하는 개량이다.
도 6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신규한 점은 SD 메모리카드(30)를 내장하고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는, 업데이트 키트를 구성하는 각 파일을 암호화하여 SD 메모리카드(30)의 비프로텍트 영역(Unprotected area)에 기록하고, 암호키를 SD 메모리카드(30)의 프로텍트 영역에 기록한다. 프로텍트 영역에 기록된 암호키는, SD 메모리카드에 의한 인증에 의해 정당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판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 키트가 부정하게 복제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BD-ROM과 병용될 때에만 판독되게 된다.
SD 메모리카드에 업데이트 키트를 저장하여 두는 경우, 제어부(16)는 그 업데이트 키트에 대응하는 원본 BD-ROM의 매체식별정보를 프로텍트 영역에 기입하여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리지널 BD-ROM과 SD 메모리카드의 대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래서, 이후의 재생에서는, 재생에 앞서 SD 메모리카드와 BD-ROM이 일치하는가 여부에 대한 체크를 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영화작품의 재생을 허용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재생장치(200)에 의한 재생을 금지한다.
이렇게 하면, 업데이트 키트가 존재하는 경우, BD-ROM만의 재생이 금지되어서, 항상 업데이트 키트와의 쌍으로서의 재생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업데이트 키트를 암호화하여, 암호키와 함께 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해 두므로, 업데이트 키드에 대한 부정 복제를 제한할 수 있다.
또, 과거에 반포한 BD-ROM 패키지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경우, 후일 송부하는 업데이트 키트를 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도록 하여, 항상 SD 메모리카드와 BD-ROM의 쌍으로 재생을 하도록 하므로, 과거의 문제를 표면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비고>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현 상황에서 최선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는 시스템의 예로써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대표적인 변경실시의 형태로, 이하의 (A)(B)(C)… 의 경우가 있다.
(A) PL정보는 도 63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도 17의 PL정보에서의 Clip Entry는, BD-ROM에 기록되는 AV 스트림만을 지정해두고, 로컬 HD(12)에서의 음성은 Audio Entry에서 지정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도 63의 PL정보는, 2 이상의 Clip Entry를 가지며, 2개째 이후의 Clip Entry에 로컬 HD(12)에 관한 AV 스트림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B) 도 12에 도시한 BD 버퍼(2), 디멀티플렉서(3), 비디오 디코더(4), 오디 오 디코더(6), HD 버퍼(13), 디멀티플렉서(14), 스위치(15)는, 도 64(a)(b)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버퍼 71, 버퍼 72는, BD 버퍼(2), HD 버퍼(13)에서 출력된 억세스 유니트를 일단 저장한다. 필터(73)는 일단 버퍼 71, 버퍼 72에 저장된 억세스 유니트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통합한다. 디멀티플렉서(3)는, 통합된 하나의 스트림에 대해서 다중 분리를 행해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취득하여, 비디오 디코더(4) 및 오디오 디코더(6)에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도 64(b)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HD 버퍼(13)에서 출력된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오디오 디코더 76을 오디오 디코더 6과는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디오 디코더 6에 의한 디코드 결과와, 오디오 디코더 76에 의한 디코더 결과 중, 어느 일방을 셀렉터(75)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오디오 디코더 76은 TS 패킷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에 오프셋을 합한 시간을 참조하여 디코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오디오 디코더 76을 설치함으로써, 오디오 디코더 6은 오프셋의 참조 여부에 따른 절환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C) WWW 서버(500)로부터의 업데이트 키트의 공급은 어디까지나 일 예에 불과하다. 업데이트 키트만이 기록된 BD-ROM이나 DVD를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BD-ROM이나 DVD로부터 업데이트 키트를 얻도록 해도 된다. WWW 서버(500)로부터 키오스크(KIOSK) 단말로 업데이트 키트를 배신하고, 키오스크 단말이 업데이트 키트를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 기입하도록 하여, 이 반도체 메모리 카드를 통하여 재생장치가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D) WWW 서버(500)로부터의 다운로드는 Java 모드나 브라우저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ava 모드나 브라우저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는, Java 언어, HTML, XML 등의 마크업 언어(make-up language)에 의해 기술되고, BD-ROM에 기록된다. 관련 동화상 데이터로 다운로드를 행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시기가 도래하면 업데이트 키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도록 프로그래밍 하여 둘 수가 있다. 또, 정해진 조건으로 다운로드를 행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하여 두는 것도 유용하다.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는 PL 재생과 동기하여 행해도 좋다. 예를 들어,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영화작품의 예고편에 해당하는 재생기간 내에 업데이트 키트의 다운로드를 행하도록 프로그래밍 해도 좋다.
(E) 미국 용으로 반포된 버전만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키트로 하여 미국 이외의 나라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 판매해도 된다. 미국 이외의 나라용으로 배포된 영화작품은 그 나라의 모국어(비영어) 음성·자막을 AV 스트림에 다중화해 둘 필요가 있다.
AV 스트림의 생성시에 있어서는, 이 대역확보를 위해, 미국판에서는 AV 스트림에 다중화되어 있던 대화 조작용의 데이터가, 미국 이외의 나라용의 AV 스트림에서는 커트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사정에서, 미국판을 원하는 사용자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이들 미국용 데이터를 업데이트 키트로 하여 세계의 다양한 국가에 존재하는 사용자에게 배포하면 사용자의 요망에 응할 수 있다.
(F) 디렉토리 명에는, 볼륨 라벨을 BD-ROM의 매체정보로 이용하여,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를 로컬 HD(12)내에 작성하였으나, 매체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BD-ROM에 유니크(Unique)한 코드(매체식별정 보)라도 좋다.
(G) 각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토리의 밑에 사용자별 디렉토리를 설치하여, 각 사용자가 이용하는 동적 시나리오나 PL정보,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를, 그들 사용자별 디렉토리에 저장해도 된다. 그래서 각 사용자가 BD-ROM을 재생할 때,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렉토리 내의 동적 시나리오, PL정보, AV 스트림, 스트림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AV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가족 중 아버지용의 디렉토리에서는 패어렌털 로크를 해제한 상태로 PL를 재생하도록 하면서, 가족 중 어린이용의 디렉토리에서는 패어렌털 로크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PL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H) 제 1 실시예에서의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은, 일본어 음성이라는 단일 언어의 오디오 스트림만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예를 들어, 일본어 + 중국어 + 한국어와 같이 복수 언어의 오디오 스트림을 AV 스트림으로 기록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의 업데이트 키트는 복수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AV 스트림을 포함하게 된다. 제 2 실시예에서의 업데이트 키트 내의 AV 스트림은, 일본어 자막이라는 단일 언어의 부영상 스트림만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예를 들어, 일본어 + 중국어 + 한국어와 같이 복수 언어의 부영상 스트림을 AV 스트림으로 기록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의 업데이트 키트는 복수의 부영상 스트림이 다중화된 AV 스트림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부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한 AV 스트림을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시켜서 다운로드부(11)에 다운로드 하도록 해도 된다.
(I) 다운로드부(11)에 의한 FTP에서의 업데이트 키트의 취득은, 이하와 같은 FTP의 제어 커넥션, FTP의 데이터 커넥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FTP의 제어 커넥션은, 재생장치(200) 내의 사용자 PI(Protocol Interpreter)와, WWW 서버(500) 내의 사용자 PI(Protocol Interpreter)와의 사이에서 확립하며, FTP 코맨드, FTP 리플라이(Reply)를 각각 전송한다.
FTP의 데이터 커넥션은, 재생장치(200) 내의 사용자 DTP(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와, WWW 서버(500) 내의 DTP(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와의 사이에서 확립하여, 업데이트 키트를 전송한다.
(J) 모든 실시예에서는, 재생장치의 재생의 대상이 되는 광 디스크를 BD-ROM으로 하고, 업데이트 키트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HD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재생장치의 특징은, BD-ROM, HD의 물리적 성질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AV 스트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라면 어떤 기록매체라도 좋다. 예를 들어, DVD-ROM, DVD-RAM, DVD-RW, DVD-R, DVD+RW, DVD+R, CD-R, CD-RW 등의 광 디스크, PD,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라도 된다.
또, 콤팩트 플래시 카드(Compact flash card), 스마트미디어,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멀티미디어 카드, PCM-CIA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라도 좋다. 플렉시블 디스크, 슈퍼디스크(SuperDisk), ZIP, Clik! 등의 자기 디스크(i), ORB, Jaz, SparQ, SyJet, EZFley, 마이크로 드라이브(Microdrive)(ⅱ)라도 좋다. 또한, 기기 내장형의 하드디스크라도 좋다.
(K) 모든 실시예에서의 재생장치는, BD-ROM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디코드한 상태에서 TV에 출력하고 있었으나, 재생장치를 BD 드라이브만으로 하고, 그 이외의 구성요소를 TV가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재생장치와 TV를 IEEE1394로 접속한 홈 네트워크에 내장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의 재생장치는 TV와 접속하여 이용되는 형태로 하였으나, TV와 일체형으로 된 재생장치라도 좋다. 또한, 각 실시예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처리의 본질적 부분을 이루는 부분만을 재생장치로 해도 된다. 이들 재생장치는 어느 것이나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이므로, 이들을 어떤 형태로 하더라도, 각 실시예에 제시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기초로 하여 재생장치를 제조하는 행위는 본원의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행위가 된다. 각 실시예에 제시된 재생장치의 유상·무상에 의한 양도(유상의 경우는 판매, 무상의 경우는 증여가 된다), 대여, 수입하는 행위도 본 발명의 실시행위이다.
점포 앞의 전시, 카탈로그 권유, 팸플릿의 배포에 의해, 이들의 양도나 대여를 일반 사용자에게 청약하는 행위도 본 재생장치의 실시행위이다.
(L) 도 19, 도 27, 도 36, 도 43, 도 54, 도 55, 도 61에 도시한 프로그램에 의한 정보처리는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로우차트에 의한 처리수순을 나타낸 프로그램은 단일체로서 발명으로 성립한다. 모든 실시예는, 재생장치에 합체된 형태로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의 실시행위에 대한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재생장치에서 분리하여 각 실시예에 제시한 프로그램 단일체를 실시해도 된다. 프로그램 단일체의 실시행위로는, 이들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행위(1), 무상·유상에 의해 프로그램을 양도하는 행위(2), 대여하는 행위(3), 수입하는 행위(4), 쌍방향 전자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에 제공하는 행 위(5), 점포 앞의 전시, 카탈로그 권유, 팸플릿의 배포에 의해, 프로그램의 양도나 대여를 일반 사용자에게 청약하는 행위(6)가 있다.
(M) 도 19, 도 27, 도 36, 도 43, 도 54, 도 55, 도 61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시계열로 실행되는 각 스텝의 「시간(time)」의 요소는 발명을 특정하기 위한 필수 사항으로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들 플로우차트에 의한 처리수순은 재생방법의 사용형태를 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스텝의 처리를 시계열로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여,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도록, 이들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관한 기록방법의 실시행위에 해당함은 당연하다.
(N) BD-ROM에 기록됨에 있어서,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TS 패킷에는 확장 헤더를 부여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헤더는, TP_extra_header 라고 불리며, 「Arrival_Time_Stamp」와, 「copy_permission_indicator」를 포함하여 4 바이트의 데이터 길이를 갖는다. TP_extra_header 부가 TS 패킷(이하 EX 부가 TS 패킷이라 한다)은 32개마다 그룹화 되어서, 3개의 섹터에 기입된다. 32개의 EX 부가 TS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6144 바이트(=32×192)이며, 이것은 3개의 섹터 사이즈 6144 바이트(=2040×3)와 일치한다. 3개의 섹터에 포함된 32개의 EX 부가 TS 패킷을 「Aligned Unit」이라고 한다.
IEEE1394를 통하여 접속된 홈 네트워크에서의 이용시에 있어서, 재생장치(200)는 이하와 같은 송신처리로서 Aligned Unit의 송신을 행한다. 즉, 보내는 측의 기기는, Aligned Unit에 포함되는 32개의 EX 부가 TS 패킷 각각으로부터 TP_extra_header를 제거하고, TS 패킷 본체를 DTCP 규격에 의하여 암호화해서 출력한다. TS 패킷의 출력에 있어서는, TS 패킷 사이의 여러 곳에 동시성 패킷(isochronous packet)을 삽입한다. 이 삽입개소는 TP_extra_header의 Arrival_Time_Stamp에 나타내는 시각에 기초한 위치이다. TS 패킷의 출력에 수반하여, 재생장치(200)는 DTCP_Descriptor를 출력한다. DTCP_Descriptor는 TP_extra_header에서의 복제허가여부 설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복제금지」를 나타내도록 DTCP_Descriptor를 기술해 두면, IEEE 1394를 통하여 접속된 홈 네트워크에서의 이용시에 있어서 TS 패킷은 다른 기기에 기록되는 경우은 발생하지 않는다.
(O) 재생장치(200)가 기록형 광 디스크(BD-RE, BD-R 등)에 대한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BD-ROM에서의 BD-ROM 패키지와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키트로 이루어지는 가상 패키지를 하나의 BD 패키지로 변환하여 기록형 광디스크에 기입해도 된다.
이때, AV 스트림의 복제는 AV 스트림에 포함된 복제세대정보(Copy generation information; CGI)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제세대정보에는, 자유롭게 복제가 가능하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copy free」와, 1세대의 복제물의 기록이 허가되어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one generation copy」와, 일체 복제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never copy」가 있다.
AV 스트림에 권리관리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권리관리정보에 정해진 이용조건에서 AV 스트림의 복제를 해도 된다.
권리관리정보에서 횟수 지정으로 복제의 허가조건이 규정되어 있으면, 이 조 건 내에서 복제를 행한다. 유효기간의 지정(연월일의 지정)으로 복제조건이 규정되어 있으면 이 조건 내에서 복제를 행한다.
(P) 복제 처리에, 이동(move)이나 마이그레이트(migrate), 체크아웃(check out)과 같은 변형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변형별로 정해진 이용조건에 의해 복제를 해도 된다. 이동이란, 복제처의 콘텐츠의 삭제가 수반되는 복제처리이며, 복수 기록매체 사이에서 콘텐츠를 이동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마이그레이트란, 복제처 기록매체에 있어서, 이용조건정보를 생성시킴을 전제로 한 복제처리이다.
체크아웃이란, 회수가 제한된 복제의 일종이며, 복제 횟수를 1회 차감(decrement)한 상태에서 콘텐츠의 복제가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횟수제한부 복제와 체크아웃의 차이는, 복제 횟수의 증가(increment)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복제 횟수의 증가는, 복제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 불능으로 하는 처리(체크 인(check in)이라고 불린다)를 행한 후에 이루어진다.
(Q) 각 실시예에서의 AV 스트림은, DVD-Video 규격, DVD-Video Recording 규격의 VOB(Video Object)라도 좋다. VOD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취득된 ISO/IEC 13818-1 규격에 준거한 프로그램 스트림이다. 또, 각 실시예에서의 AV 스트림을 「AVClip」이라고 불러도 된다. 이 경우, 스트림 관리정보는 Clip 정보라고 불리게 된다. 또, AV 스트림에서의 비디오 스트림은 MPEG 4나 WMV 방식이라도 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은, Linear-PCM 방식, Dolby-AC3 방식, MP3 방식, MPEG-AAC 방식이라도 된다.
각 실시예에서의 CELL 정보는, 시간정보에 의해 재생구간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지정하고 있었으나, BD-ROM에서의 논리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재생구간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지정해도 된다. 또, 각 실시예에서의 CELL을 「PlayItem」이라고 불러도 된다.
(R) 도 44에 도시한 레이어 모델에 있어서, Java 모드의 위에 브라우저 모드 및 MOVIE 모드를 배치해도 된다. 특히, MOVIE 모드에서의 동적 시나리오의 해석 및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제어수순의 실행은, 재생장치에 대한 부담이 가벼우므로, MOVIE 모드를 Java 모드 위에서 실행시켜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재생장치 및 영화작품의 개발에 있어서 동작 보증이 하나의 모드로 충족되기 때문이다.
또한, 3개의 모드를 설치하지 않고, Java 모드만으로 Java 모드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Java 모드로도 PL의 재생과 동기한 재생제어가 가능하므로, 구태여 MOVIE 모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이유에서이다. 또한, 동적 시나리오에서의 제어는, MOVIE 모드만이라도, 브라우저 모드만이라도 된다.
(S) 스트림 관리정보에서의 TAMP은 Ep_map이라고 불러도 된다. 이 경우, 억세스 유니트의 재생개시시각을 억세스 유니트의 선두에 위치하는 픽쳐데이터의 타임 스탬프(Presentation Time Stamp)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억세스 유니트에서의 어드레스는 PES 패킷의 연번(SPN(Serial Packet Number))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 재생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20)에는 현재의 동적 시나리오만을 저장하고,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10)에는 현재의 스트림 관리정보, 현재의 PL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캐시메모리와 같이, 복수의 시나리오, 스트림 관리정보, PL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이들 데이터를 BD-ROM에서 판독하기까지의 시간지연을 짧게 할 수 있다.
(U) PL을 구성하는 2 이상의 CELL을 연속 재생시키는 데에는, 이들 CELL이 심리스(Seamless) 접속되도록 가공을 실시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스 접속을 위한 가공은,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선행하는 측의 재생구간의 종단부와 후속하는 측의 재생구간의 선단부와를 복제함으로써 미리 복제부분을 작성해 두고, 이들을 재 엔코드(re-encode) 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심리스 접속을 위해 작성된 복제부분을 Bridge-Clip 이라고 불러도 된다.
여기서, 종단부, 선단부는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행하는 AV 스트림 중 선행 재생구간의 Out 점을 포함하는 억세스 유니트로부터 2개 앞의 억세스 유니트까지를 종단부로 하고, 또, 후속하는 CELL 정보 #x+1 중 후속 재생구간의 In점을 포함하는 억세스 유니트를 선단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단부 및 선단부를 이렇게 정하는 근거는,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인 미국특허 USP 6,148,14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에 관해서는 이 공보를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심리스 접속을 위해 작성된 복제부분에 대해서는 심리스 접속정보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스 접속정보란, 최초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개시시각, 최후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종료시각, 오디오 갭의 개시시각, 오디오 갭의 시간길이, 오디오 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은 심리스 접속정보가 정의되어 있으면, 최초의 비디오 프레임의 개시시각, 최후의 비디오 프레임의 종료시각에서, 양 구간의 타임 스탬프의 차(STC-offset)를 계산하여 재생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들 오디오 갭의 정보를 참조하여 오디오 디코더를 제어하면, 하나의 구간에서 다른 구간으로 이행한 때의 음성의 도중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V) 각 실시예에서의 영화작품은, TV 영화, 게임 소프트 등, 영상으로 표현되어 있는 모든 저작물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각 실시예에서의 영화작품은, 브라운관이나 액정표시장치에서의 표시 등, 시각적 또는 청각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표현되고(i), BD-ROM이라고 하는 유체물에 어떤 방법으로 결부됨으로써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존속하고 있고(ⅱ), 또한, 재현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ⅲ), 영화의 저작물의 존재형식으로서의 요건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질적 요소는, 이 영화작품이라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동화상 데이터는 감시 카메라의 영상이나 가정용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이라도 좋다.
(W) 각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리모컨으로부터 접수하였으나, 재생장치의 프런트 패널로부터 접수해도 된다. 키보드, 터치 패널, 마우스나 패드, 트랙 볼(track ball) 등의 입력기기로 사용자의 지정을 접수해도 된다. 이 경우는 클릭 조작, 드래그 조작으로 이들 조작을 접수해도 된다.
(X) 각 실시예에서의 영화작품은, 아날로그 방송으로 방송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엔코드하여 얻은 것이라도 된다. 디지털 방송으로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스트림 데이터라도 된다.
또,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영상신호를 엔코드하여 영상신호를 얻어도 된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에서 직접 취득한 아날로그/디지털 영상신호를 엔코드하여 영상신호를 얻어도 된다. 그 외에도, 배신 서버에 의해 배신되는 디지털 저작물이라도 된다.
(Y) Java 모듈(24)은 위성방송 수신을 위하여 내장된 Java 플랫폼이라도 된다. Java 모듈(24)이 이와 같은 Java 플랫폼이면,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MHP용 STB로서의 처리를 겸용하게 된다.
또한, 휴대전화의 처리의 제어를 위해 기기에 내장된 Java 플랫폼이라도 된다. Java 모듈(24)이 이와 같은 Java 플랫폼이면,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휴대전화로서의 처리를 겸용하게 된다.
또, 브라우저 모듈(25)은, Microsoft사의 Internet Explore 등, PC 내장형의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라도 된다.
(Z) 또한, 업데이트 키트의 송신은 SSL(Secure Socket Layer)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SL에 대응한 WWW 서버(500)는, 디지털 증명서가 프리 인스톨(Pre-install) 되어 있어서, 재생장치(200)로부터 SSL 요구를 받으면 재생장치(200)에 디지털 증명서를 보낸다. 이 디지털 증명서는, 공개키를 암호화한 것이며, 재생장치(200)는 이 증명서를 인증한다. 이 인증으로 정당한 공개키가 얻어지면 이 WWW 서버(500)는 신뢰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재생장치(200)는, 송신 된 암호화된 공개키를 비밀키로 복호하여, 재생장치(200)와 공통키를 공유한다.
이렇게 하여 공유한 공통키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키트의 송수신을 행한다. 업데이트의 송수신에 공통화 키를 이용하는 것은, 암호화 처리를 고속으로 행하기 위해서이다. 또, 이 데이터의 송수신에는, HTTP, mail, FTP, Telnet이 적용된다. 여기서, 재생장치(200)에 있어서의 관련처리는, Java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 브라우저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로 기술해 두고, BD-ROM에서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업데이트 키트의 배신에 있어서의 결재는 전자상거래를 전제로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WWW 서버(500)에 상업용 소프트웨어(merchant software)를 설치해두고, 재생장치(200)에 월렛 소프트웨어(Wallet Software)를 설치해 둔다. 또,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는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페이먼트 게이트웨이(Payment gateway)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상에서 SET(Secure Electric Transaction)를 이용함으로써 크레디트 카드 결제를 실현한다. 재생장치(200)는, 발주정보를 서버(500)에 송신함과 동시에, 대금결재정보를 페이먼트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 발주정보를 받은 시점에서, 서버(500)는 업데이트 키트를 재생장치(200)에 송신한다. 발주정보, 대금결제정보를 별도로 송신하므로 결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재생장치(200)에서의 관련처리는, Java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 브라우저 모드의 동적 시나리오에 기술해 두고, BD-ROM에서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BD-ROM에 기록된 영화작품에 동적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키트를 부가함으로써, 이 영화작품을 온라인 게임으로 발전시켜도 좋다. 업데이트 키트에 포 함되는 동적 시나리오는, PL 재생을 행할 뿐 아니라, WEB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취득하여 CG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게임은, BD-ROM이라고 하는 폐쇄된 세계가 아닌, 인터넷을 경유하여 세계적인 확장을 갖게 되므로, 사용자를 오래도록 즐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광 디스크의 기록내용에 업데이트 키트를 부가한 가상적인 패키지의 재생처리를 행하여, 광 디스크의 부가가치를 효과적으로 높이므로, 영화 디스크를 보다 많이 시장에 공급할 수 있고, 영화 시장 및 민생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영화산업 및 민생기기 산업에 있어서 높은 이용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사용 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BD-RO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렉토리 구조를 이용하여 BD-ROM의 응용층 포맷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파일을 분류한 경우의 분류도이다.
도 5는 BD-ROM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레이어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AV 스트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AV 스트림이 어떻게 BD-ROM에 기록되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트림 관리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PL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PL 정보에 의한 간접 참조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PL과는 다른 PL을 정의하는 경우의 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재생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BD-ROM 패키지에서의 AV 스트림과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AV 스트림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BD-ROM 패키지(X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 업데이트키트(X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 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업데이트 키트에서의 스트림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BD-ROM에서의 억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패킷과, 업데이트 패킷에서의 억세스 유니트를 구성하는 패킷 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PL 정보(UYY.PL)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0과 동일한 표기에서 UTT.PL에 의한 간접 참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1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스텝 S4~스텝 S11에서의 판독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은 출력 절환으로, 어떤 음성 재생이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AV 스트림에 있어서, 억세스 유니트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4와 동일한 표기로 BD-ROM 패키지(X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 업데이트 키트(XXX.TS)에서의 억세스 유니트의 내용과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 2 실시예의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PL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회화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1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제어부(16)에 의한 BD-ROM 및 HD로부터의 판독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절환으로 어떤 자막의 표시가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a)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BD-ROM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b)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HD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에 도시한 멀티앵글 구간을 구성하는 각 1LVU의 소재가 어떻게 관리되는 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스트림 관리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PL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PL 정보에 포함되는 앵글 엔트리에 의한 간접 참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1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스위치(18)에 의한 BD-ROM 및 HD로부터의 병렬 판독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출력 절환으로 어떤 동화상 표시가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도 39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홈시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스트림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PL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16)의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레이어 모델의 제 4층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a)는 동적 시나리오의 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b)는 도 45(a)에 도시한 동적 시나리오 대신 이용되는 동적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a)는 BD-ROM에 기록되는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재생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b)는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재생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제 5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a)는 BD-ROM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b)는 도 48(a)에 도시한 BD-ROM에 대한 업데이트 키트이다.
도 49(a)(b)는 BD-ROM에 기록된 동적 시나리오, 업데이트 키트에 포함되는 동적 시나리오에 의해 실현되는 재생수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a)는 BD-ROM에 기록되는 PL#1, PL#2, 동적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b)는 업데이트 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a)는 재생순서 (PL#1, PL#2)를 규정하는 동적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b)는 치환용 동적 시나리오에 의한 재생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제6실시에 관한 HD의 디렉토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INPO.BD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는 제6 실시예에 관한 매니저(26)의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 (a)(b)는, 제6 실시예에 관한 모듈매니저(2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BD-ROM, Version 1 디렉토리, Version 2 디렉토리에 저장된 각종 파일을 판독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가상 패키지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INPO.BD 에 대한 가상 패키지 테이블 구성도이다.
도 59는 제7실시예에 관한 모듈 매니저(260)의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0은 스텝 S82에서의 일람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제8 실시예에서의 모듈매니저(26)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제9 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PL 정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는 재생장치(200)의 내부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BD 드라이브 2. BD 버퍼
3. 디멀티플렉서 4. 비디오 디코더
5. 픽쳐 영역 6. 오디오 디코더
7. 이미지 디코더 8. 이미지 영역
9. 가산기 10.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
11. 다운로드부 13. HD 버퍼
14. 디멀티플렉서 15. 스위치
16. 제어부 17. 스위치
18. 스위치 19. 스트리밍 버퍼
20.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 21. 재생제어엔진
23. DVD 유사모듈 24. Java 모듈
25. 브라우저 모듈 26. 모듈 매니저
30. SD 메모리 카드 200. 재생장치
300. TV 400. 리모컨
500. WWW 서버 600. 홈 서버

Claims (9)

  1. 가상적인 패키지에 포함되는 제 1 디지털 스트림과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동기 재생하는 재생장치로,
    패키지영역을 가진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있고,
    패키지영역은 소정의 파일 경로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이며,
    상기 소정의 파일 경로에는 디스크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식별정보는 가상적인 패키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패키지영역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판독전용형 광디스크를 가리키는 정보이며,
    상기 패키지영역에는 제 2 디지털 스트림과 대응부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대응부여정보는, 패키지영역 상의 파일과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 상의 파일의 대응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으로서 동기 재생할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지정하는 정보이며,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대응부여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1 판독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패키지영역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2 판독수단과,
    제 1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 및 제 2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이들 데이터를 동기시키면서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대응부여정보는 플레이리스트정보이고,
    플레이리스트정보는 제 1 디지털 스트림 상에서의 재생구간의 개시 점 및 종료 점을 광디스크 상의 제 2 디지털 스트림 상에서의 재생구간의 개시 점 및 종료 점과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서의 패키지영역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프로그램은 광디스크 또는 패키지영역 상에 존재하는 플레이리스트정보를 이용한 재생제어순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은 동화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 2 디지털 스트림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은 동화상 데이터와 부 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디지털 스트림은 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기록매체에 가상 패키지용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으로,
    기록매체는 패키지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패키지영역은 소정의 파일 경로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이며,
    상기 소정의 파일 경로에는 디스크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 식별정보는 가상적인 패키지를 재생장치가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패키지영역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판독전용형 광디스크를 재생장치에 지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패키지영역에는 제 2 디지털 스트림과 대응부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대응부여정보는, 패키지영역 상의 파일과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 상의 파일의 대응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으로서 동기 재생할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지정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7. 가상적인 패키지에 포함되는 제 1 디지털 스트림과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동기 재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패키지영역을 가진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있고,
    패키지영역은 소정의 파일 경로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이며,
    상기 소정의 파일 경로에는 디스크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 식별정보는 가상적인 패키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패키지영역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판독전용형 광디스크를 가리키는 정보이고,
    상기 패키지영역에는 제 2 디지털 스트림과 대응부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대응부여정보는, 패키지영역 상의 파일과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 상의 파일의 대응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으로서 동기 재생할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지정하는 정보이며,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대응부여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1 판독스텝과,
    상기 기록매체의 패키지영역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2 판독스텝과,
    제 1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 및 제 2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이들 데이터를 동기시키면서 재생하는 재생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가상적인 패키지에 포함되는 제 1 디지털 스트림과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동기 재생하는 재생방법으로,
    패키지영역을 가진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있고,
    패키지영역은 소정의 파일 경로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이며,
    상기 소정의 파일 경로에는 디스크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식별정보는 가상적인 패키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패키지영역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판독전용형 광디스크를 가리키는 정보이며,
    상기 패키지영역에는 제 2 디지털 스트림과 대응부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대응부여정보는, 패키지영역 상의 파일과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 상의 파일의 대응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으로서 동기 재생할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지정하는 정보이며,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대응부여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판독전용형 광디스크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1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1 판독스텝과,
    상기 기록매체의 패키지영역에 기록된 파일 중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제 2 디지털 스트림을 판독하는 제 2 판독스텝과,
    제 1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 및 제 2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이들 데이터를 동기시키면서 재생하는 재생스텝을 포함하는 재생방법.
  9. 제 1 디지털 스트림이 기록된 판독전용형 기록매체로,
    상기 기록매체는 디스크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은 타임스탬프가 부여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재생장치에 판독되어 재생장 치 내의 그래픽스 플레인 내에 투입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재생장치는 예비기록매체를 가지고,
    제 2 디지털 스트림은 타임스탬프가 부여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예비기록매체 상의 패키지영역에 기록된 파일 내에 저장되며,
    상기 패키지영역은 소정의 파일 경로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이고,
    대응부여정보는 상기 기록매체 상의 파일과 상기 예비기록매체 상의 파일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비기록매체 상에 기록되고,
    상기 디스크 식별정보는 가상적인 패키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영역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판독전용형 기록매체를 가리키는 정보이며,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재생장치에 판독되면 디스크 식별정보에 의해 패키지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는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과 상기 대응부여정보에 나타나는 상기 제 2 디지털 스트림이 판독되어 상기 가상적인 패키지가 형성되며,
    상기 가상적인 패키지가 갖는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의 타임스탬프와 상기 제 2 디지털 스트림의 타임스탬프가 참조되어, 상기 제 1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 2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데이터와 동기 재생되는 기록매체.
KR1020087018277A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KR100973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315302P 2002-09-25 2002-09-25
US60/413,153 2002-09-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099A Division KR100973862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광 디스크, 기록매체,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290A KR20080077290A (ko) 2008-08-21
KR100973863B1 true KR100973863B1 (ko) 2010-08-03

Family

ID=3204321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099A KR100973862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광 디스크, 기록매체, 재생방법
KR1020087018277A KR100973863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KR1020087018272A KR100973864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KR1020087018280A KR100973861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099A KR100973862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광 디스크, 기록매체, 재생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272A KR100973864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KR1020087018280A KR100973861B1 (ko) 2002-09-25 2003-09-24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639923B2 (ko)
EP (2) EP2239942A3 (ko)
JP (5) JP3749910B2 (ko)
KR (4) KR100973862B1 (ko)
CN (4) CN101504853B (ko)
AU (1) AU2003268656A1 (ko)
TW (1) TWI315867B (ko)
WO (1) WO2004030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7842B2 (en) * 2000-11-29 2007-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KR100582953B1 (ko) * 2002-06-05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의 기록 스트림 관리방법
US7889968B2 (en) * 2002-06-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for at least a segment of a tit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A2459070C (en) * 2002-06-28 2013-10-22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playback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JP4312151B2 (ja) 2002-06-28 2009-08-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重経路データの記録及び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と、それによって記録し、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US8331456B2 (en) * 2002-09-27 2012-12-1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and visual synchronization
US8064755B2 (en) 2002-11-08 2011-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multi-component stream and a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having a multi-component stream recorded thereon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of said recording medium
US7720356B2 (en) * 2002-11-12 2010-05-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783160B2 (en) * 2002-11-20 2010-08-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interleaved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EP1568030B1 (en) * 2002-11-22 2015-01-2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0939711B1 (ko) * 2002-12-1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텍스트 기반의 서브타이틀 재생장치 및 방법
US8011015B2 (en) * 2002-12-17 2011-08-30 Sony Corporation Content access in a media network environment
US20040213542A1 (en) * 2003-04-22 2004-10-28 Hiroshi Hamasaka Apparatus and method to reproduce multimedia content for a multitude of resolution displays
JP4281437B2 (ja) * 2003-07-10 2009-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TWI279788B (en) 2003-07-24 2007-04-2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20050012328A (ko) 2003-07-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프레젠테이션 그래픽 데이터 관리 및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8086752B2 (en) 2006-11-22 2011-12-27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that independently source digital data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9207905B2 (en) * 2003-07-28 2015-12-08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y group status information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KR20050018315A (ko) * 2003-08-05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자막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정보저장매체, 자막 재생 방법 및 장치
EP2200043A3 (en) * 2003-10-03 2010-07-21 Sharp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ile Accessing Method, AV Data Managing Method, and Server
KR20050035678A (ko) 2003-10-14 2005-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의 부가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광디스크
KR20050036277A (ko) * 2003-10-15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네비게이션 정보 관리방법
JP2007518201A (ja) * 2003-11-10 2007-07-0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再生制御情報を更新して、それによってavデータを再生する装置及び方法
WO2005045840A1 (ja) * 2003-11-10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記録媒体、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システム集積回路
KR20050049924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플레이리스트 구성방법, 관리방법 및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
JP3888348B2 (ja) 2003-11-25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072255A (ko) 2004-01-06 2005-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서브타이틀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JP2007518205A (ja) * 2004-01-06 2007-07-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テキスト・サブタイトル・ストリームの再生・記録のための記録媒体、方法及び装置
RU2377669C2 (ru) * 2004-02-10 2009-12-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меющий структуру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зличными данным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JP2007531183A (ja) * 2004-02-10 2007-11-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様なデータストリーム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WO2005076601A1 (en) * 2004-02-10 2005-08-18 Lg Electronic Inc. Text subtitle decoder and method for decoding text subtitle streams
WO2005074394A2 (en) * 2004-02-10 2005-08-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various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BRPI0507542A (pt) * 2004-02-10 2007-07-03 Lg Electronics Inc meio fìsico de gravação para reprodução de fluxos de subtìtulo de texto, método e aparelho para decodificar um fluxo de subtìtulo de texto
JP2007522595A (ja) * 2004-02-10 2007-08-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記録媒体及びテキスト・サブタイトル・ストリームのデコード方法と装置
US20050196146A1 (en) * 2004-02-10 2005-09-08 Yoo Jea Y. Method for reproducing text subtitle and text subtitle decoding system
KR20050089353A (ko) * 2004-03-04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데이터 파일 구성 방법 및재생 방법과 장치
EP1716573A1 (en) * 2004-02-10 2006-11-02 LG Electronic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data streams associated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5081643A2 (en) * 2004-02-26 2005-09-09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KR20060043284A (ko) * 2004-03-08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KR20070007824A (ko) * 2004-03-17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재생 방법과 장치
KR101102398B1 (ko) 2004-03-18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스트림 재생 방법과 장치
JP2005286426A (ja) * 2004-03-26 2005-10-13 Sharp Corp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サーバ、デジタル放送番組配信方法、無線端末、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US9374607B2 (en) 2012-06-26 2016-06-21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guest access
KR20060047266A (ko) * 2004-04-26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KR100636141B1 (ko) * 2004-04-30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래밍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저장매체, 재생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JP2005318473A (ja) 2004-04-30 2005-11-10 Toshiba Corp 動画像のメタデータ
JP4724710B2 (ja) * 2004-05-03 2011-07-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テキストサブタイトルデータを再生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及びこれと関連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714385B (zh) * 2004-05-11 2012-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程序、再现方法
AU2012202934B2 (en) * 2004-05-11 2013-08-01 Panasonic Corporation An Integrated Circuit and a Method for Decoding a Digital Stream
KR100601677B1 (ko) * 2004-05-1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와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함께재생하는 재생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EP1754227A1 (en) * 2004-05-25 2007-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inuous audio to a slideshow
US8868698B2 (en) 2004-06-05 2014-10-21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US8326951B1 (en) 2004-06-05 2012-12-04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JP4626799B2 (ja) * 2004-07-12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TWI451406B (zh) * 2004-07-22 2014-09-01 Panasonic Corp 用以實施應用程式同步化播放之播放裝置、播放方法及播放程式
EP2216783A1 (en) * 2004-07-22 2010-08-11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AU2011254047B2 (en) * 2004-07-22 2012-08-16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US8107789B2 (en) * 2004-07-22 2012-01-31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that reads data replacing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from another recording medium and plays back read data, playback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N1989565B (zh) * 2004-07-22 2010-10-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执行应用程序同步重放的重放装置
KR100694123B1 (ko) * 2004-07-3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그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06019257A1 (en) 2004-08-17 2006-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and local storage
US7613384B2 (en) 2004-08-17 2009-1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composite file structure for data reprodu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using the composite file structure
KR20070052755A (ko) * 2004-08-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재생을 위한 합성 파일 구조 구성 방법, 및 이러한합성 파일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US7609945B2 (en) 2004-08-17 2009-10-27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US7609939B2 (en) 2004-08-17 2009-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and local storage
US7725010B2 (en) 2004-08-17 2010-05-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and local storage
JP2006107705A (ja) * 2004-09-10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US7609947B2 (en) 2004-09-10 2009-10-27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playback from multiple video sources
US7599611B2 (en) 2004-09-13 2009-10-06 Lg Electronics Co.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same
US20080025182A1 (en) * 2004-09-13 2008-01-31 Seo Kang S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ata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Using A Local Storage
US20060056804A1 (en) * 2004-09-13 2006-03-16 Seo Kang S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US20060077773A1 (en) * 2004-09-13 2006-04-13 Seo Kang S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US20060077817A1 (en) * 2004-09-13 2006-04-13 Seo Kang S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EP1789972A4 (en) * 2004-09-13 2009-12-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KR20060031750A (ko) * 2004-10-09 2006-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재생 및 프로그래밍 기능을 위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기록한 저장매체, 그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60047549A (ko) 2004-10-12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JP2007065928A (ja) * 2005-08-30 2007-03-15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処理方法、情報転送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63601A (ko)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다운로드/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장치
CN101057286B (zh) * 2004-11-08 2010-04-07 Lg电子株式会社 利用本地存储器从记录介质中再现出数据的方法和装置
WO2006051037A1 (en) * 2004-11-09 2006-05-18 Thomson Licensing Bonding contents on separate storage media
KR20060060150A (ko) * 2004-11-30 2006-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파일 시스템을 만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장치 및 재생방법
WO2006059661A1 (ja) * 2004-12-01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再生装置、画像合成方法、画像合成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EP1817772A4 (en) * 2004-12-03 2010-0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ADMINISTERING DATA STORED IN A LOCAL MEMORY
WO2006059888A2 (en) * 2004-12-03 2006-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CA2632658A1 (en) * 2004-12-06 2006-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extending interactivity to multiple storage media
US20060120697A1 (en) * 2004-12-06 2006-06-08 Gabriel Beged-Dov Simultaneous audio and visual content download and playback
KR20060065476A (ko)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기록매체 내의 콘텐츠 서치방법 및 기록매체재생방법과 재생장치
PL1875471T3 (pl) 2004-12-27 2015-04-30 Koninklijke Philips Nv Sposób i urządzenie do umożliwienia współdziałania aplikacji z odtwarzaniem programu
WO2006073246A1 (en) * 2005-01-07 2006-07-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KR20060081323A (ko) * 2005-01-07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WO2006073247A1 (en) * 2005-01-07 2006-07-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WO2006073259A2 (en) * 2005-01-10 2006-07-13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WO2006078099A2 (en) * 2005-01-19 2006-07-27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tting method,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and method thereof
KR101216070B1 (ko) * 2005-01-19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기록매체
KR101049133B1 (ko) 2005-01-21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WO2006078121A2 (en) * 2005-01-21 2006-07-27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EP1842196A4 (en) * 2005-01-21 2010-02-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WO2006080770A1 (en) * 2005-01-31 2006-08-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enhanced navigation data associated with contents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o be utilized from a portable storage
KR20070110389A (ko) 2005-02-28 2007-1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데이터 재생용 폴백 메카니즘
JP4464297B2 (ja) 2005-03-10 2010-05-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RU2411572C2 (ru) * 2005-03-18 2011-02-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TW200707417A (en) 2005-03-18 2007-02-16 Sony Corp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program, program storage medium, data delivery system, data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cording medium
CN102034513B (zh) 2005-04-07 2013-04-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方法和再现装置
WO2006109263A2 (en) * 2005-04-15 2006-10-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and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published blu-ray disc titles
EP1904933A4 (en) * 2005-04-18 2009-12-09 Clearplay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ONE OR MORE FILTER FILES WITH A PARTICULAR MULTIMEDIA PRESENTATION
WO2007018308A1 (en) * 2005-08-09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EP1938322A4 (en) * 2005-08-22 2010-04-21 Lg Electronics Inc DATA REPRODUCTION DEVICE, ASSOCIATED METHOD, DATA RECORDING DEVICE, ASSOCIATE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9512110A (ja) * 2005-10-13 2009-03-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蓄積媒体に情報を記憶するための方法
US20070098372A1 (en) * 2005-11-03 2007-05-03 Chiao-Fang Hsu Digital television recorder for recording multiple sets of audio tracks and method thereof
JP4327879B2 (ja) 2005-11-15 2009-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466110B (zh) * 2005-12-23 2014-12-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使應用程式配合節目運行之方法及裝置
JP4491035B2 (ja) * 2006-03-24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デバッグ装置、システムlsi、プログラム
JP2007280447A (ja) * 2006-04-03 2007-10-25 Toshiba Corp 映像音声再生装置および映像音声再生方法
JP2007294057A (ja) * 2006-04-27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再生装置
WO2007136014A1 (ja) * 2006-05-18 2007-11-29 Pioneer Corporation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管理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46561B2 (ja) * 2006-05-31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25040A (ja) * 2006-06-01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JP2008005198A (ja) * 2006-06-22 2008-01-10 Toshiba Corp マルチavストリーム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4781176B2 (ja) * 2006-06-26 2011-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5087903B2 (ja) * 2006-06-30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788080B1 (en) 2006-09-12 2014-07-22 Sonos, Inc. Multi-channel pairing in a media system
US8483853B1 (en) 2006-09-12 2013-07-09 Sonos, Inc.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9202509B2 (en) 2006-09-12 2015-12-01 Sonos, Inc. Controlling and grouping in a multi-zone media system
KR101235341B1 (ko) * 2006-10-19 2013-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US8265454B2 (en) 2006-12-05 201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ideo/audio playback apparatus
US20080193100A1 (en) * 2007-02-12 2008-08-14 Geoffrey King Baum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dits to online video
WO2008099647A1 (ja) * 2007-02-16 2008-08-21 Panasonic Corporation 再生装置
KR101118218B1 (ko) * 2007-03-28 201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100866581B1 (ko) * 2007-04-19 2008-11-03 주식회사 드리머 디스크 매체 재생 장치 기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032510B2 (ja) * 2007-06-06 2012-09-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
JPWO2009004806A1 (ja) * 2007-07-04 2010-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935862B1 (ko) * 2007-07-06 2010-01-07 드리머 매체 재생 장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0894055B1 (ko) 2007-07-06 2009-04-20 드리머 디스크 매체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제공 방법
CN101118776B (zh) * 2007-08-21 2012-09-05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实现音、视频数据同步的方法、系统及装置
JP5161549B2 (ja) * 2007-12-04 201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記録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0884765B1 (ko) * 2007-12-06 2009-02-23 주식회사 드리머 서비스 제공 환경 분석 기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과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JP5406044B2 (ja) * 2007-12-17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個別販売に用いられる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それらの方法
MX2009010856A (es) * 2008-02-15 2009-11-02 Panasonic Corp Dispositivo de reproduccion, dispositivo de grabacion, metodo de reproduccion y metodo de grabacion.
JP2009245471A (ja) * 2008-03-28 2009-10-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EP2272064A4 (en) * 2008-03-31 2014-06-11 Sony Corp CPS UNIT MANAGEMENT ON A PLATE FOR DOWNLOADED DATA
KR100935864B1 (ko) * 2008-04-10 2010-01-07 드리머 디스크 매체 재생 장치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4525794B2 (ja) * 2008-05-14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9139271A1 (ja) * 2008-05-16 2009-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追加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WO2010055638A1 (ja) * 2008-11-13 2010-05-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データ作成装置、映像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映像データ作成用の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集積回路
US8792473B2 (en) * 2008-12-18 2014-07-29 Motorola Solutions, Inc. Synchronization of a plurality of data streams
US8134795B2 (en) * 2009-08-27 2012-03-13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in a hard-disk drive (HDD)
JP2009301708A (ja) * 2009-09-28 2009-12-24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5399508B2 (ja) * 2009-10-21 2014-0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コンテンツ複製装置及びコンテンツ複製システム
KR101777347B1 (ko) * 2009-11-13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화에 기초한 적응적인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JP2010211917A (ja) * 2010-04-19 2010-09-24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5537289B2 (ja) * 2010-06-30 2014-07-0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記録装置/方法/媒体、再生装置/方法
JP5798451B2 (ja) * 2010-12-16 2015-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1265652B2 (en) 2011-01-25 2022-03-01 Sonos, Inc. Playback device pairing
US11429343B2 (en) 2011-01-25 2022-08-30 Sonos, Inc. Stereo playback configuration and control
US10440402B2 (en) 2011-01-26 2019-10-08 Afterlive.tv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highlights from scored data streams
EP2575132A1 (fr) * 2011-09-27 2013-04-03 Thomson Licensing Procédé pour segmenter un document en utilisant la segmentation d'un document de référence, et appareil associé
JP5899751B2 (ja) * 2011-09-28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30121058A (ko) * 2012-04-26 2013-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를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US9729115B2 (en) 2012-04-27 2017-08-08 Sonos, Inc. Intelligently increasing the sound level of player
TWI535276B (zh) * 2012-06-18 2016-05-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同步數位媒體播放器之音訊播放的方法與數位媒體控制器、數位音訊媒體播放器以及數位媒體伺服器
TWI466481B (zh) * 2012-06-18 2014-12-21 Primax Electronics Ltd 同步複數個數位媒體播放器之音訊播放的方法與數位媒體控制器,以及數位音訊媒體播放器
KR20140018743A (ko) * 2012-08-03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리스 어플리케이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방법과 디스크리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CN102833614B (zh) * 2012-08-15 2015-09-0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文件播放装置、电视机和文件播放方法
US9008330B2 (en) 2012-09-28 2015-04-14 Sonos, Inc. Crossover frequency adjustments for audio speakers
WO2014054925A1 (en) * 2012-10-04 201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of
WO2014186346A1 (en) * 2013-05-13 2014-11-20 Mango Languages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picture assisted foreign language learning
US10181040B2 (en) * 2013-07-19 2019-01-15 Disney Enterprises, Inc. Alternate content playlist for locked media content
US9653117B2 (en) * 2013-08-29 2017-05-16 Avid Technology, Inc. Interconnected multimedia systems with synchronized playback of media streams
US9226073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9226087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10248376B2 (en) 2015-06-11 2019-04-02 Sonos, Inc. Multiple groupings in a playback system
US10303422B1 (en) 2016-01-05 2019-05-28 Sonos, Inc. Multiple-device setup
US10712997B2 (en) 2016-10-17 2020-07-14 Sonos, Inc. Room association based on name
US10965927B2 (en) * 2016-12-27 2021-03-30 Saturn Licensing Llc Transmitter, transmission method,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JP6855348B2 (ja) * 2017-07-31 2021-04-0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ダウンロード処理方法
CN110012530B (zh) * 2019-04-02 2021-06-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器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器
FR3103667A1 (fr) * 2019-11-27 2021-05-28 Sagemcom Broadband Sas Equipement décodeur transmettant des métadonnées à un équipement auxiliaire pour le piloter
KR20220136522A (ko) 2021-03-30 2022-10-11 김주동 공기살균 및 실내공기중 이온화 미세물질 살균청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472A (ja) * 1996-10-09 1998-05-06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センタ装置
JPH1198467A (ja) * 1997-09-19 1999-04-09 Hitachi Ltd 複数メディアのデータ同期再生装置
JP2002247526A (ja) * 2001-02-19 2002-08-30 Toshiba Corp 内外ストリームデータの同期再生装置とストリームデータ配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1867A (ja) * 1990-10-03 1992-05-15 Canon Inc ファイル管理方法
JPH05282371A (ja) 1992-03-31 1993-10-29 Nec Home Electron Ltd 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
JPH06189194A (ja) * 1992-12-17 1994-07-08 Pioneer Electron Corp 映像合成装置
JP3445325B2 (ja) 1993-09-07 2003-09-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365024B2 (ja) 1994-02-14 2003-0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選択制御方法
US6288991B1 (en) * 1995-03-06 2001-09-11 Fujitsu Limited Storage medium playback method and device
JP3579113B2 (ja) 1995-03-06 2004-10-20 富士通株式会社 記憶媒体へのデータ格納方法
JP2813245B2 (ja) 1995-08-21 199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CN1118049C (zh) * 1995-08-21 2003-08-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根据交互控制实现意外性场景展开的多媒体光盘再生装置
JP2821030B2 (ja) 1995-08-21 199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再生方法
DE69709004T2 (de) 1996-03-29 2002-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 multimediascheibe mit verbesserter interaktiver wiedergabe sowie aufnahmeverfahren und -vorrichtung
MX9708364A (es) 1996-04-12 1998-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o optico de medios multiples para almacenar tanto titulos de video provistos con funciones av como titulos de video sin tales funciones las cuales pueden distinguir instantaneamente entre tales tipos de titulos, y un aparato reproductor y un meto
JPH1013809A (ja) * 1996-06-19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dシステム及びvod端末装置
US6141044A (en) * 1996-09-26 2000-10-31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herent image group maintenance in memory
JP3725176B2 (ja) 1996-10-01 2005-1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JPH10327381A (ja) 1997-03-21 1998-12-08 Toshiba Corp 映像情報の再生表示方法及び映像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025659B2 (ja) 1997-05-26 2000-03-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情報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EP0917143B1 (en) * 1997-11-11 2004-01-0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uffering of a data stream
JP3195284B2 (ja) 1997-11-28 2001-08-06 株式会社東芝 動画再生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が適用される画像表示装置
JP3376265B2 (ja) 1997-12-25 2003-02-10 株式会社東芝 複数コンテンツのオブジェクト共有化システム
JP3334795B2 (ja) 1998-03-13 2002-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CN1122425C (zh) * 1998-03-13 2003-09-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数据的设备和方法
JP3403636B2 (ja) * 1998-04-06 2003-05-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3608948B2 (ja) 1998-07-10 2005-01-12 株式会社プラルト 時計付きカレンダー
JP3382159B2 (ja) 1998-08-0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CN1165165C (zh) 1998-10-12 2004-09-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及用于记录或再现数据的装置和方法
JP2000253364A (ja) 1999-03-03 2000-09-14 Toshiba Corp 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
US7346920B2 (en) * 2000-07-07 2008-03-18 Sonic Solutions, A Californ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ommon cross platform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DVD-Video content integrated with ROM content
US7178106B2 (en) 1999-04-21 2007-02-13 Sonic Solutions, A California Corporation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media sources
US20050251732A1 (en) * 2000-01-20 2005-11-10 Interactual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executing a multimedia event on a plurality of client computers using a synchronization host engine
JP4317311B2 (ja) 2000-04-05 2009-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4084003B2 (ja) 2000-06-22 2008-04-30 ヤマハ株式会社 映画上映制御装置
CN1237786C (zh) * 2000-06-22 2006-01-18 雅马哈株式会社 视频重播控制设备和视频重播控制方法
US6519168B2 (en) 2000-07-24 2003-02-11 Chippower.Com, Inc. High frequency DC to AC inverter
KR100878925B1 (ko) * 2001-01-16 2009-01-19 파나소닉 주식회사 정보기록장치, 정보기록방법 및 기록매체
CN1229990C (zh) * 2001-04-02 2005-11-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字影像内容的影像再生装置、影像再生方法
KR100769375B1 (ko) 2001-05-12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 기록된 기록매체와, 그 재생장치 및방법
JP3799301B2 (ja) 2001-06-14 2006-07-19 三星電子株式会社 プリロード情報が記録された情報貯蔵媒体、そ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0820796B1 (ko) 2001-10-30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대화형 광디스크 재생방법
JP2003249057A (ja) 2002-02-26 2003-09-05 Toshiba Corp デジタル情報媒体を用いるエンハンスド・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60063601A (ko) *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다운로드/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장치
KR20060081323A (ko) * 2005-01-07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216070B1 (ko) * 2005-01-19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472A (ja) * 1996-10-09 1998-05-06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センタ装置
JPH1198467A (ja) * 1997-09-19 1999-04-09 Hitachi Ltd 複数メディアのデータ同期再生装置
JP2002247526A (ja) * 2001-02-19 2002-08-30 Toshiba Corp 内外ストリームデータの同期再生装置とストリームデータ配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6923A1 (en) 2010-02-25
CN101504853A (zh) 2009-08-12
EP2239942A3 (en) 2010-11-10
US8380048B2 (en) 2013-02-19
EP1553769A1 (en) 2005-07-13
EP1553769A4 (en) 2006-01-04
JP4279822B2 (ja) 2009-06-17
CN100481914C (zh) 2009-04-22
US20100046924A1 (en) 2010-02-25
JP2006107723A (ja) 2006-04-20
KR20080077291A (ko) 2008-08-21
JP2006109494A (ja) 2006-04-20
CN101504855B (zh) 2013-05-29
KR20080077289A (ko) 2008-08-21
US7639923B2 (en) 2009-12-29
KR100973861B1 (ko) 2010-08-03
CN101504853B (zh) 2012-10-31
US8385720B2 (en) 2013-02-26
WO2004030356A1 (ja) 2004-04-08
KR20050059191A (ko) 2005-06-17
KR100973862B1 (ko) 2010-08-03
JPWO2004030356A1 (ja) 2006-01-26
JP3749910B2 (ja) 2006-03-01
KR100973864B1 (ko) 2010-08-03
JP2006107725A (ja) 2006-04-20
CN1701607A (zh) 2005-11-23
CN101504854B (zh) 2012-08-29
TWI315867B (en) 2009-10-11
US20060098936A1 (en) 2006-05-11
KR20080077290A (ko) 2008-08-21
EP2239942A2 (en) 2010-10-13
JP2006107724A (ja) 2006-04-20
AU2003268656A1 (en) 2004-04-19
CN101504855A (zh) 2009-08-12
JP4279820B2 (ja) 2009-06-17
JP4279821B2 (ja) 2009-06-17
TW200416687A (en) 2004-09-01
JP4332147B2 (ja) 2009-09-16
CN101504854A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63B1 (ko)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매체
JP4510855B2 (ja) システムlsi
KR100967748B1 (ko)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JP4129277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方法、集積回路、プログラム、再生方法
JP4764631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記録方法
RU2516463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апи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