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425B1 -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425B1
KR100965425B1 KR1020070123473A KR20070123473A KR100965425B1 KR 100965425 B1 KR100965425 B1 KR 100965425B1 KR 1020070123473 A KR1020070123473 A KR 1020070123473A KR 20070123473 A KR20070123473 A KR 20070123473A KR 100965425 B1 KR100965425 B1 KR 10096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lot
flat
frame
protru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6358A (en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강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훈 filed Critical 강동훈
Priority to KR102007012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425B1/en
Publication of KR2009005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고유의 곡률을 갖는 평판 프레임; 상부에 체결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부재; 상측에 중앙부만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평판 프레임이 삽입되는 프레임 수용슬롯과, 하측에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부재의 체결용 돌출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수용슬롯을 구비하는 보조결합체; 하측에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보조결합체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보조결합체 수용슬롯과, 이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여유 공간부를 구비하는 스포일러 부재; 및 양단부를 마감하는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블레이드 부재나 스포일러 부재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절감을 가능케 함과 더불어 자유로운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조립이 더욱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상호보완적인 형상적 구속에 의해 결합상태를 안정성이 향상되고, 교체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per, comprising: a flat frame having an inherent curvature; A blade member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thereon; Frame receiving slot is formed in the form of only the center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upward, the frame receiving slot into which the flat frame is inserted,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form partially opened in the lower portion only the lower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for fastening the blade member Auxiliary conjugate having a; 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of the sub-combinator receiving slot formed in the form of only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to the lower side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b-combinator receiving slot, A spoiler member having a clearance; And a pair of end caps for closing both ends; and by providing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partial replacement of the blade member or the spoiler member enables cost reduction and free production.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is easier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the coupling state is improved by the complementary shape restraint, an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breakage of the parts that may occur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obtained.

평판 프레임, 걸림부, 측면 체결슬롯, 걸림돌기 Flatbed Frame, Hanging Part, Side Fastening Slot, Hanging Projection

Description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Flat wiper blades for cars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캡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d cap coupling structure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도 7은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도 8은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도 9는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캡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d cap coupling structure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도 10은 도 5의 A-A선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평판 프레임 115: 걸림부110: flat plate frame 115: engaging portion

120: 블레이드 부재 125: 체결용 돌출부120: blade member 125: fastening protrusion

130: 스포일러 부재 133: 여유 공간부130: spoiler member 133: free space

135: 보조결합체 수용슬롯 139: 수평 연장부135: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139: horizontal extension

140: 보조결합체 143: 프레임 수용슬롯140: auxiliary assembly 143: frame receiving slot

145: 돌출부 수용슬롯 147: 측면 연장부145: protrusion receiving slot 147: side extension

149: 측면 체결슬롯 150: 엔드캡149: side fastening slot 150: end cap

151: 후면벽 153: 수평 돌출부151: rear wall 153: horizontal protrusion

155: 탄성체결부 157: 걸림돌기155: elastic fastening portion 157: locking projection

159: 도구삽입구멍 160: 브라켓159: tool insertion hole 160: bracke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결합체를 매개로 형상유지 용도의 프레임과 블레이드 부재 및 스포일러 부재를 일체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체 또한 용이하게 하여, 블레이드 부재 또는 스포일러 부재의 부분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p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nfigure the frame, the blade member and the spoiler member for the shape-keeping use integrally via the auxiliary coupling to facilitate the assembly during manufacturing. It also relates to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that also facilitates disassembly, thereby enabling partial replacement of the blade member or spoiler member.

일반적으로, 우천시 차량의 전면유리에 떨어져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을 걷어내어 운전 중의 시야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퍼 장치가 사용된다. 와이퍼 장치는 크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와이퍼 암, 및 와이퍼 암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와이퍼 장치는, 필요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기구적으로 와이퍼 암에 전달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왕복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면유리에 떨어진 빗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wiper device is used to remove rain water or other foreign matter falling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rainy weather to maintain a good view while driving. The wiper device is largely comprised of a drive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a wiper arm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reciprocating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 wiper blade detach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wiper arm. Is done. Such a wiper device mechanically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he wiper arm, if necessary, to allow the wiper blade to reciprocate while keeping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Make it possible to remove debris.

한편,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전면유리와 직접적으로 마찰하여 마모되는 고무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블레이드 부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임에 따라 블레이드 부재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소비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와이퍼 블레이드 자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당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wiper blade should periodically replace the blade memb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hat wears directly by friction with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However,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it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form of the assembly can not be replaced separately only the blade member, thereby not only burden the consumer excessively, there was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Furthermore,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wiper blade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s are inevitably significan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 명의 발명자가 고안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6-0008013호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용신안등록출원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이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의 프레임(1)에 블레이드 부재(2) 끼운 다음, 프레임(1)을 스포일러 부재(3)의 요홈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부재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교체방법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이 없는 일반적인 소비자가 교체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으며, 특히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에 의해 프레임이 쉽게 뒤틀릴 수 있음에 따라 와이퍼 암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블레이드 전체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스포일러 부재만의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와이퍼 블레이드를 통체로 교체하기 이전에는 단색의 스포일러 부재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통한 개성연출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A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6-0008013 devis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vided. Specifically, the wiper blad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as shown in Fig. 1, the blade member (2) is fitted to the frame 1 of the leaf spring form with a long hole, and then the frame (1) spoiler member (3) ) Is coupled to the groove in the groove. Such a wiper blade made it possible to partially replace only the blade member, but the replacement method was not easy, and it was a little difficult for a general consumer without expert knowledge or skills to perform the replacement work. As a result, the frame can be easily twisted, leading to a problem tha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wiper arm is not evenly transmit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lade. In addition, the wiper blade is not easy to partially replace the spoiler member, and until the wiper blade is replaced with a cylindrical body, the spoiler member of a single color cannot be used continuously, and thus, the individuality of the wiper blade is limited. to be.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캡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vehicle flat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d cap coupling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ure 2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이상과 같은 선출원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역시 본 발명의 발명자가 고안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6-0031174호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용신안등록출 원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결합체(10)를 도입하여, 보조결합체(10)를 매개로 형상유지 용도의 프레임(30)과 블레이드 부재(40) 및 스포일러 부재(20)가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조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체 또한 용이하게 하였으며,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블레이드 부재(40) 및 스포일러 부재(20)의 부분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용이한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모양과 색상의 스포일러 부재(20)를 교체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게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A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pplication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Flat Vehicle Wiper Blad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6-0031174 also devis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vided. Specifically, the wiper blad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as shown in Figure 2, by introducing the auxiliary coupling 10, the frame 30 and the shape of the blade member for use in shape maintenance via the auxiliary coupling 10 The 40 and the spoiler member 20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in one piece, which facilitates assembly during manufacture and facilitates disassembly. Therefore, the blade member 40 and the spoiler member ( Partial replacement of 20) was made possible. Furthermore, as such an easy replacement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wiper blade to suit the user's taste by replacing the spoiler member 20 of various shapes and colors as desired by the user.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는, 프레임(30)을 삽입하기 위하여 보조결합체(10)의 전체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 장공(12)이 보조결합체(10)의 양단부로만 개방된 폐쇄통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30)을 관통 장공(12)으로 삽입하는 작업이 마찰과 면압 등으로 인해 큰 힘을 필요로 하는 등 조립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지 스포일러 부재(20)에 구비되는 체결 요홈부(22)가 보조결합체(10)의 양측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일방적인 구조에 의존하여, 스포일러 부재(20)와 보조결합체(10) 간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음에 따라, 강한 외력에 노출될 경우 스포일러 부재(20)가 쉽게 보조결합체(10)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이탈하는 등 안정적인 결합상태 유지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양단부를 마감하기 위해 구비되는 엔드캡(60)의 결합은, 엔드캡(60)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돌기(62)와 보조결합체(10)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체결공(16)의 맞물림에 의한 형상적 구속에 의해 유지되는데, 보조결합체(10)가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짐에 따라 블레이드 부재(40)와 스포일러 부재(20)의 교체를 위해 엔드캡(60)을 분해하고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체결돌기(62)나 체결공(16) 주변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wiper blade has a through-hole 12 formed in a shape that penetrate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uxiliary assembly 10 in order to insert the frame 30. As it is formed in a closed passage shape opened only at both ends of 10),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frame 30 into the through hole 12 requires a large force due to friction and surface pressure, which makes the assembly work difficult. Found. And, as shown in Figure 3, the spoiler member 20, depending on the one-sided structur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22 provided only in the spoiler member 20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10 from the outside, Since the splice member 20 is easily or partially detached from the auxiliary coupling body 10 when exposed to strong external force, it is not desirable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between the auxiliary coupling body and the auxiliary coupling body 10. A problem was found.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coupling of the end cap 60 is provided to close both ends of the wiper blade, the coupling protrusion 62 formed in the end cap 60 and the auxiliary coupling (10) It is maintained by the shape restriction by the engagement of the fastening hole 16 formed on the end side, the blade member 40 and the spoiler member 20 as the auxiliary coupling 1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not metal.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and recombining the end cap 60 for the replacement o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62 or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6 can be easily broken.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보조결합체를 매개로 형상유지 용도의 평판 프레임과 블레이드 부재 및 스포일러 부재가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보조결합체와 평판 프레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호 간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포일러 부재와 보조결합체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상호보완적인 형상적 구속에 의해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앤드캡이 탈착이 용이한 결합구조로 평판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flat frame, the blade member and the spoiler member for the shape-maintaining purpose through the auxiliary coupling body can be assembled integrally, while maintain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auxiliary coupling body and the flat frame easily The spoiler member and the sub-assembly can be easily assembl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engagement stably by complementary shape constraints, and the end cap is directly coupled to the flat frame frame by the easy-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so that partial breakage does not occu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고유의 곡률을 갖는 평판 프레임;A flat frame having an inherent curvature;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유리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블레이드 부재; A blade member which is formed at the to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fastening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vehicle;

상측에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평판 프레임이 삽입되는 프레임 수용슬롯을 구비하고, 하측에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체결용 돌출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수용슬롯을 구비하는 보조결합체;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are closed at the upper part and only the center part is open upward, and has a frame receiving slot into which the flat frame is inserted, and both sides are closed at the lower part and only the center part is opened downward. An auxiliary assemb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urnace and having a protrusion accommodating slot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blade member is inserted;

하측에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조결합체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을 구비하고, 이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여유 공간부를 구비하는 스포일러 부재; 및On both sides, the two ends are closed and the central part is partially opened, an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into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is partially inserted, and upwards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Spoiler member having a free sp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indented into; And

양단부를 마감하는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comprising a; end caps for closing both ends.

그리고, 상기 보조결합체는 상기 돌출부 수용슬롯의 양측 외측면 하단에서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연장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 수용슬롯의 양측에 각각 측면방향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측면 체결슬롯을 구비하며, The auxiliary assembly further includes side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slots, and a pair of side fastening slots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slots, respectively. Equipped with

체결시 상기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일러 부재의 양측 하단에서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 연장부가 상기 측면 체결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extens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spoiler member toward the center in order to form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when fast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side fastening slot.

또한, 상기 평판 프레임은 양단부의 폭 방향 중앙부에 각각, 길이방향 중앙 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부를 구비하며,In addition, the flat plate frame is provided with a pair of engaging portions projecting upward in the form of gradually rising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width direction central portion of both ends,

상기 엔드캡은 각각, 내부의 후면벽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돌출부와 이 수평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걸림부와 맞물리는 탄성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 caps each include a horizontal protrusion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from the inner rear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and having an elastic fastening portion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when engaged. It is do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5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캡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flat wiper bla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d cap coupling structure of the vehicle flat wiper blade of FIG. 5,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유의 곡률을 갖는 평판 프레임(110)과, 차량의 유리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블레이드 부재(120)와, 상부의 스포일러 부재(130)와, 이들을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결합체(140), 및 양단부를 마감하는 엔드캡(1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결합체(140)의 중간부에 와이퍼 암(도시 안됨)과의 결합을 위한 브라 켓(160)이 결합되며, 따라서 스포일러 부재(130)는 브라켓(16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결합된다. 여기서, 브라켓(160)은 차량에 장착되는 모든 종류의 와이퍼 암과 호환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frame 110 having an inherent curvature and a blade member 12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vehicle. ), An upper spoiler member 130, and an auxiliary coupling body 140 to serve as a medium for coupling them integrally, and an end cap 150 closing both ends. Then, the bracket 160 for coupling with the wiper arm (not shown) is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so that the spoiler member 130 is coupled to each side of the bracket 160 one by one do. Here, the bracket 160 can be coupled to be compatible with all types of wiper arms mounted on the vehicl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프레임(110)은 보조결합체(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수용슬롯(143)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블레이드 부재(120)는 보조결합체(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돌출부 수용슬롯(145)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스포일러 부재(130)는 평판 프레임(110)과 1차적으로 결합된 보조결합체(140)의 상부를 둘러싸듯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결합체(140)의 양단부에 각각 엔드캡(150)을 결합하여 마감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flat plate frame 110 is coupled to the frame receiving slot 14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as a whole, and the blade member 120 is the auxiliary assembly 140. It is coupled in a form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145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the spoiler member 130 is coupl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primarily coupled to the flat frame 110. . The end caps 15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in the coupled state to finish.

평판 프레임(110)은 형상유지를 위한 우수한 복원력을 갖도록 탄소강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차량의 유리창의 곡률을 감안한 고유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결합체(140)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되 단면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재료적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고무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료는 적절하지 않다 할 수 있다. 또한, 스포일러 부재(130)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신축성을 구비하여 결합시 변형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lat plate frame 110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carbon steel so as to have an excellent restoring force for maintaining the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n inherent curv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curvature of the window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auxiliary coupling body 14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but preferably has a material characteristic enough to maintain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u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It may not b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spoiler member 130 may be made of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soft plastic, or the like, and it may be desirable to have elasticity and free deformation when bonding.

한편, 블레이드 부재(120)는, 공지의 블레이드 부재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용 돌출부(125)가 형성되며, 하부는 차량의 유리창과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lade member 120, like the known blade member, the fastening protrusion 125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serves to remove rain water or foreign matter. Will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보조결합체(1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평판 프레임(110)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수용슬롯(143)을 구비하며, 하측에 블레이드 부재(120)의 체결용 돌출부(125)가 삽입되는 돌출부 수용슬롯(145)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프레임 수용슬롯(143)은 평판 프레임(11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 평판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프레임 수용슬롯(14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 수용슬롯(145)은 블레이드 부재(120)의 체결용 돌출부(125)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auxiliary assembly 140 has a frame receiving slot 143 for accommodating the flat plate frame 110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portion of the blade member 120. It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receiving slot 145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25 is inserted.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as shown in Figure 7, the frame receiving slot 14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lat plate frame 110, the both ends are closed and only the center portion is partially open upwards Furnac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when assembled, the flat plate frame 110 is positioned as a whole inserted into the frame receiving slot 143.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14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25 for the fastening of the blade member 120, so that both ends are closed and the central portion is partially opene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accordingly.

스포일러 부재(130)는 하측에 보조결합체(140)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보조결합체 수용슬롯(135)을 구비한다. 이 보조결합체 수용슬롯(135)은 역시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블레이드 부재(120)의 하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보조결합체 수용슬롯(135)의 상면 중앙부에서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만입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여유 공간부(133)를 구비한다. 이 여유 공간부(133)는 보조결합체(140)와 스포일러 부재(130)간의 형상적 구속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가운데, 조립시 변형이 자유롭게 할 뿐만 아니라, 스포일러 부재(130)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를 양적으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원가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poiler member 130 has a subassembly receiving slot 135 in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ubassembly 140 is partially inserted.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135 is also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form i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closed and only the central portion is partially open downwar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lade member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provided a free space portion 13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form partially indent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135. The free space portion 133 does not reduce the shape restraint force between the auxiliary assembly 140 and the spoiler member 130, and frees deformation during assembly, and also provides a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the spoiler member 130.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quantity.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desirable effect in terms of cost reduction.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결합체(140)는 돌출부 수용슬롯(145)의 양측 외측면 하단에서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연장부(147)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돌출부 수용슬롯(145)의 양측에 각각 측면방향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측면 체결슬롯(149)을 구비하게 된다. 이 측면 체결슬롯(149)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포일러 부재(130)와 보조결합체(140)의 체결시, 보조결합체 수용슬롯(135)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포일러 부재(130)의 양측 하단에서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 연장부(139)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 체결슬롯(149)에 의해 보조결합체(140)와 스포일러 부재(130) 간의 결합이 단지 스포일러 부재(130)에 의한 일방적인 형상적 구속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형상적 구속에 의하게 됨에 따라, 상호 간의 결합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auxiliary assembly 140 further includes a side extension portion 14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145. Accordingly, a pair of side fastening slots 149 are open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145 in the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he side fastening slots 149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poiler member 130 to form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135 when the spoiler member 130 and the auxiliary assembly 140 are fastened. In order to insert the left and right pairs of horizontal extensions 139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to the center, the coupling between the auxiliary assembly 140 and the spoiler member 130 by the side fastening slot 149 is only a spoiler. Rather than relying on unilateral geometrical constraints by the member 13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each other, by virtue of complementary geometrical constraints.

다른 한편, 평판 프레임(110)은 엔드캡(150)과의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해체가능한 결합을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의 폭 방향 중앙부에 각각, 길이방향 중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부(115)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엔드캡(150)은 각각, 내부의 후면벽(151)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돌출부(153)와 이 수평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157)로 이루어져, 결합시 평판 프레임(110)의 걸림부(115)와 맞물리는 탄성체결부(155)를 구비한다. 또한, 엔드캡(150)은 수평 돌출부(153)의 직하부 위치의 후면벽(15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걸림부(115)와 탄성체결부(155) 간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한 도구가 진입할 수 있 도록 하는 도구삽입구멍(159)을 구비한다. 따라서, 엔드캡(150)이 평판 프레임(110) 및 스포일러 부재(130)와 조립된 상태의 보조결합체(140)의 양단부에서 중심을 향해 진입함에 따라, 탄성체결부(155)의 걸림돌기(157)가 평판 프레임(110)의 걸림부(115)를 지나치는 순간, 엔드캡(150)은 평판 프레임(110)과 안정적인 결합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와 같은 엔드캡(150)과 평판 프레임(110)의 결합상태는 엔드캡(150)의 도구삽입구멍(159)으로 적절한 도구를 삽입하여 탄성체결부(155)를 상방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음에 따라, 블레이드 부재(120)나 스포일러 부재(130)의 부분적인 교체를 필요로 할 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드캡(150)이 플라스틱 재질의 보조결합체(140)와 직접적인 맞물림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아님에 따라, 이와 같은 엔드캡(150)의 분해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lat plate frame 110 is directed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respectively, in the widthwise center portions at both ends thereof, as shown in FIGS. 9 and 10, for a stable and easily disassembleable coupling with the end cap 150. It has a pair of engaging portions 115 projecting upward in a progressively rising form. Correspondingly, the end cap 15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rotrusion 153 extending horizontally forward from the rear wall 151 therein and a locking protrusion 157 project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And, when the coupling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astening portion 155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115 of the flat plate frame 110. In addition, the end cap 150 is formed to penetrate the rear wall 151 at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horizontal protrusion 153 so that a tool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115 and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155 may enter. It is provided with a tool insertion hole 159 to be. Therefore, as the end cap 150 enters toward the center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assembled with the flat frame 110 and the spoiler member 130, the locking protrusion 157 of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155 The end cap 150 is placed in a stable coupling state with the flat plate frame 110, the end cap 150 and the flat plate frame 110 of the flat frame 110, The engagement state can be easily released by inserting a suitable tool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159 of the end cap 150 to elastically deform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155 upwards, so that the blade member 120 or the spoiler member ( Proper response can be made when partial replacement of 130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end cap 150 is not coupled by direct engagement with the auxiliary assembly 140 made of plastic, the risk of breakage occurring during the disassembly of the end cap 150 is greatly reduced. You can do i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조결합체(140)를 매개로, 평판 프레임(110)을 보조결합체(140)의 프레임 수용슬롯(143)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우고, 블레이드 부재를 보조결합체(140) 돌출부 수용슬롯(145)에 역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운다. 이어서, 두 개로 분할된 스포일러 부재(130)의 보조결합체 수용슬롯(135)에 평판 프레임(110)과 결합된 보조결합체(14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운 다음, 양단부에 엔드캡을 결합하여 마감하는 바와 같은 순서로 조립된다.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flat plate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frame receiving slot 143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auxiliary assembly 140, and the blad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140. The slot 145 is also fitt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bsequently, the auxiliary assembly 140 coupled to the flat frame 11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135 of the spoiler member 130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n the end caps are coupled to both ends to finish. Assembled in the same ord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블레이드 부재나 스포일러 부재의 부분적인 교체가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적인 교체에 비해 비용절감을 가능케 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로운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조립이 더욱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상호보완적인 형상적 구속에 의해 결합상태를 안정성이 향상되고, 부분적인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By providing a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artial replacement of the blade member or spoiler member can be easily made with a simple operation, allowing cost reduction compared to the overall replacement and freeing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It is possible to produce, but it is easy to assemble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The complementary shape restraint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joining state, and it greatly reduces the risk of breakage of parts that may occur during the partial replacement work. To achieve a reducing effec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is common practice in the art that various design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has a can easily know.

Claims (3)

고유의 곡률을 갖는 평판 프레임;A flat frame having an inherent curvature;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유리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블레이드 부재; A blade member which is formed at the to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fastening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vehicle; 상측에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평판 프레임이 삽입되는 프레임 수용슬롯을 구비하고, 하측에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체결용 돌출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수용슬롯을 구비하는 보조결합체;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are closed at the upper part and only the center part is open upward, and has a frame receiving slot into which the flat frame is inserted, and both sides are closed at the lower part and only the center part is opened downward. An auxiliary assemb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urnace and having a protrusion accommodating slot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blade member is inserted; 하측에 양측단부는 닫히고 중앙부만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조결합체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을 구비하고, 이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여유 공간부를 구비하는 스포일러 부재; 및On both sides, the two ends are closed and the central part is partially opened, an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into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is partially inserted, and upwards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Spoiler member having a free sp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indented into; And 양단부를 마감하는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In the flat wiper blade for a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end caps closing both ends, 상기 보조결합체는 상기 돌출부 수용슬롯의 양측 외측면 하단에서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연장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 수용슬롯의 양측에 각각 측면방향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측면 체결슬롯을 구비하며, The auxiliary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ide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both outer sides of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and has a pair of side fastening slots that are laterally open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receiving slot. , 체결시 상기 보조결합체 수용슬롯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일러 부재의 양측 하단에서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 연장부가 상기 측면 체결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And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extens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spoiler member toward the center to form the auxiliary assembly receiving slot when the flat coupling wiper blade is inserted into the side fastening slo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평판 프레임은 양단부의 폭 방향 중앙부에 각각, 길이방향 중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부를 구비하며,The flat plate frame has a pair of engaging portions projecting upward in the form of progressively rising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respectively,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both ends, 상기 엔드캡은 각각, 내부의 후면벽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돌출부와 이 수평 돌출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걸림부와 맞물리는 탄성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The end caps each include a horizontal protrusion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from the inner rear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and having an elastic fastening portion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when engaged. Flat wiper blades.
KR1020070123473A 2007-11-30 2007-11-30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KR100965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73A KR100965425B1 (en) 2007-11-30 2007-11-30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73A KR100965425B1 (en) 2007-11-30 2007-11-30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58A KR20090056358A (en) 2009-06-03
KR100965425B1 true KR100965425B1 (en) 2010-06-24

Family

ID=4098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473A KR100965425B1 (en) 2007-11-30 2007-11-30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42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53Y1 (en) 2011-10-26 2013-05-23 강동훈 Wiper Blade for Vehicle
KR101484764B1 (en) * 2014-03-21 2015-01-20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Wiper apparatus for vehicle with improved assembility
KR102441731B1 (en) * 2021-05-18 2022-09-08 (주)엠피코 Rear wiper system for car applying plastic composite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810B1 (en) *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FLAT WHEAT FLAT BRU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91B1 (en) * 2006-06-05 2007-06-27 (주)에이치 에스 티 A wipe blade for the vehicle
KR200436909Y1 (en) * 2006-12-07 2007-10-17 강동훈 A flat wipe blade for the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91B1 (en) * 2006-06-05 2007-06-27 (주)에이치 에스 티 A wipe blade for the vehicle
KR200436909Y1 (en) * 2006-12-07 2007-10-17 강동훈 A flat wipe blade for the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53Y1 (en) 2011-10-26 2013-05-23 강동훈 Wiper Blade for Vehicle
KR101484764B1 (en) * 2014-03-21 2015-01-20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Wiper apparatus for vehicle with improved assembility
US9738260B2 (en) 2014-03-21 2017-08-22 Dy Auto Corporation Wiper blade apparatus for vehicle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KR102441731B1 (en) * 2021-05-18 2022-09-08 (주)엠피코 Rear wiper system for car applying plastic composit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58A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909Y1 (en) A flat wipe blade for the vehicle
CN103101517B (en) Wiper
CN103223923B (en) Flat wiper and flat wiper assembly
US8707506B1 (en) Wiper connecting device
CN103101515B (en) Rain shaving blade
CN101879888B (en) Wiper blade assembly with rotatable auxiliary beam
KR100965425B1 (en) A flat wiper blade for vehicle
CA2797612C (en) Wiper blade
EP3452341B1 (en) Vehicle provided with at least two windscreen wiper devices of the flat blade type
US20060017879A1 (en) Glasses having frame for combined use with a cap
JPWO2006051722A1 (en) Wiper blade
US9067569B2 (en) Wiper blade apparatus capable of assembling various mount types of wiper arms
CN102135670B (en) Frame
KR20140036114A (en) Hybrid blade
KR100753248B1 (en) Wiper blade
JP4432690B2 (en) Wiper blade
KR100705663B1 (en) Wiper blade
US3798703A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US20140173861A1 (en) Frame assembly for spectacles, corresponding frames,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said frames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ool
US20210039606A1 (en) Wiper blade for windshield wiper device and corresponding windshield wiper device
JP2007276724A (en) Wiper blade for vehicle
CN104812635B (en) Wiper blade
CN201138401Y (en) Glasses frame
ITTO950054A1 (en) WIPER ARM FOR VEHICLES.
CN220088813U (en) Hairpin with replaceable orn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