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248B1 - Wiper blade - Google Patents

Wiper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248B1
KR100753248B1 KR1020060075605A KR20060075605A KR100753248B1 KR 100753248 B1 KR100753248 B1 KR 100753248B1 KR 1020060075605 A KR1020060075605 A KR 1020060075605A KR 20060075605 A KR20060075605 A KR 20060075605A KR 100753248 B1 KR100753248 B1 KR 100753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per
wiper blade
wiper stri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2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A wiper blade is provided to simply manufacture a wiper frame by injection-molding the wiper fram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 wiper blade includes a frame(52), a wiper strip(60), a wind-proofing rib(70), and a wire member. An engaging hole is form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rame. The wiper strip is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The wind-proofing rib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The wire member is bent lengthwise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to attach the wire strip to a glass surface by endowing the frame with a resilient force. The frame is formed of plastic. The wind-proofing rib is formed of a rubber. The frame and the wind-proofing rib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by a dual extrusion.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WIPER BLADE}WIPER BLADE {WIPER BLAD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B-B선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per blad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8 (a) and 8 (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와이퍼 블레이드 52 : 프레임50: wiper blade 52: frame

53 : 구멍 54 : 결합공53: hole 54: coupling hole

56 : 와이어부재 60 : 와이퍼 스트립56 wire member 60 wiper strip

70 : 방풍립 80 : 엔드캡70: windproof lip 80: end cap

83 : 돌기 90 : 아답터83: protrusion 90: adapt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 프레임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이 용이해지고, 고속 주행시 바람에 와이퍼가 들뜨지 않게 되어 오물 또는 물기를 신속하고 청결하게 제거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mounted on a wiper device of an automobile to clean a glass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a wiper frame,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preventing wipers from lifting in the wind at high speeds. Or it relates to a wiper blade that can remove moisture quickly and cleanly.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대기 중의 먼지 또는 기상상태에 따라 유리면이 오염되면 시야가 흐려져 안전운행에 방해되므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시계 확보를 위해 유리면과 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하여 유리면을 닦아주는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when a glass surface is contaminated due to dust or weather conditions in the air, the vision is blurred, which hinders safe driving. Thus, a wiper device is used to wipe the glass surface by driving a wiper blad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o secure a watch for the driver's safe driving. Is install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sectional drawing of the A-A line | wire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암(5)에 결합되며, 와이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 각도로 선회한다.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와이퍼 스트립(30)은 유리면과 밀착하며 유리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1 to 3, the wiper blade 20 is coupled to the wiper arm 5 and pivots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wiper motor. At this time, the wiper strip 30 of the wiper blad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on the glass surface.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상기 와이퍼 암(5)과 결합되는 메인링크(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메인링크(22)에는 와이퍼 암(5)의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미들링크(24)가 핀(25)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미들링크(24)에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30)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링크(26)가 핀(27)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서브링크(26)의 양단에는 클립(28)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에는 유리면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부재(40)가 결합된다.The wiper blade 20 includes a main link 22 coupled to the wiper arm 5, and the main link 22 includes a plurality of middle links for uniformly transferring the pressure of the wiper arm 5. 24 is coupled to the pin 25.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blinks 26 for connecting with the wiper strip 30 are coupled to the middle link 24 by pins 27. In addition, a clip 28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blink 26 so that the wiper strip 30 is coupled. On the other hand, the wiper strip 30 is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to give an elastic forc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은 몸체부(3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3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서브링크(26)의 클립(28)이 슬라이딩되며 결합하기 위한 레일홈(34)이 형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wiper strip 30 has insertion grooves 33 formed therein for coupling the elastic support members 40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32, and the sublinks thereunder. The clip 28 of the 26 is slid and a rail groove 34 for engaging is formed.

또한, 상기 몸체부(32)의 하부에는 유리면과 직접 접촉되는 날부(38)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32)의 중심축선상에 형성되는 목부(3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2 is provided with a blade portion 38 in direct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is integrally connected by the neck portion 36 form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32.

한편,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스트립(3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조립공정시간이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20)는 고속 주행시 바람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뜨게 되며, 이로 인해 유리면과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방풍립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나아가 와이퍼 블레이드에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의 프레임을 마련하여 방풍립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출원 제10-2005-115734호로 개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20 is not only a complicated structure for fixing the wiper strip 30, but also a complicated assembly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assembly process time, which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20, the wiper blade 20 floats due to the wind during high speed driving, and thus, the adhesion force with the glass surface may be lower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per blade which is provided with a fram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 its own and is inclined so as to function as a windproof lip, and a wiper blade combined with a wiper strip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115734.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스트립(30)을 굴곡시키기 위한 프레임이 강철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경량화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frame for bending the wiper strip 30 is made of steel, the wiper blade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limitation in weight reduction, and thus, a wiper blade 20 having a new structure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을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하고, 탄성부재의 결합에 의해 유리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을 경량화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molding the frame of the wiper blade from a plastic material,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by the coupling of the elastic member, the structure is simple, easy to assemble Rather, it is to provide a wiper blade that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길이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방풍립과, 길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per strip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the wind rip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re memb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rame such that the wiper str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풍립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방풍립은 이중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을 덮는 엔드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상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합공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rame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e windbreak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frame and the windbreak can be integrally molded by double extrusion. 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end cap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o cover the coupling hole. In addition, the wiper strip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upper end, and the frame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to be inclined. 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In addition,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wiper strip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한편, 상기 결합공은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에는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슬릿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중앙부에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hole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rame. In this case, a coupling slit for coupling the wiper strip may be formed in the frame. In addition, the coupling slit may be formed intermittent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per strip.

또한,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이중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per strip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For this purpose, the frame and the wiper strip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ouble extrus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B-B선의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sectional drawing of the B-B line | wire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유리면을 닦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자동차의 와이퍼 암(도 1의 5)에 결합하기 위한 아답터(9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는 상기 아답터(90)에 상기 와이퍼 암이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암의 회전에 의해 유리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유리면에 묻은 오물을 제거한다.Wiper blad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6,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for wiping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for coupling to the wiper arm (5 of Figure 1) of the vehicle It includes an adapter 90. The wiper blade 50 is coupled to the wiper arm to the adapter 90, and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wiper arm to remove dirt on the glass surface.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는 프레임(5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54)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2)의 하부에는 유리면과 밀착하는 와이퍼 스트립(6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52)의 상부에는 차량의 진행시 방풍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풍립(70)이 형성된다. 상기 방풍립(70)은 바람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가 눌려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이 유리면과 더욱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wiper blade 50 is formed with the frame 5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upling hole 5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52 is coupled to the wiper strip 60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In addition, a top of the frame 52 is formed with a wind lip 70 to perform a wind-proof function when the vehicle proceeds. The windshield lip 70 allows the wiper blade 50 to be pressed by the wind, thereby allowing the wiper strip 60 to mov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상기 프레임(52)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풍립(7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풍립(70)은 성형된 프레임(52)의 상부에 이중 압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52)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된다.The frame 52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is formed by extrusion molding. In addition, the windbreak lip 7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addition, the windbreak lip 70 is double extru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ed frame 52, thereby integrally mol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52.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52)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In this way, as the frame 52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한편, 차량의 유리면은 바람에 대한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만곡된 곡률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을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재질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has a curved curvature to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wind, so that the frame 52 is coupled to the elastic material to close the wiper strip 60 to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52)의 결합공(54)에는 와이어부재(56)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부재(56)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그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To this end, the wire member 56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54 of the frame 52. The wire member 56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is formed to b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lasticity.

따라서,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와이어부재(56)의 결합에 의해 탄성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이 유리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한다.Thus, the frame 52 is elastic by the coupling of the wire member 56, thereby pressing the wiper strip 60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는 상기 프레임(5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엔드캡(80)을 포함한다. 상기 엔드캡(80)은 상기 와이어부재(5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52)의 단부를 감싸며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52)은 양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멍(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캡(80)의 내측면에는 상기 구멍(53)에 대응하는 돌기(8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엔드캡(80)을 상기 프레임(52)에 결합할 경우, 상기 엔드캡(80)의 돌기(83)가 상기 프레임(52)의 구멍(53)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엔드캡(80)과 상기 프레임(52)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per blade 50 includes an end cap 8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rame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d cap 80 is coupl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frame 52 to prevent the wire member 56 from being separated. In addition, the frame 52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nds to form a hole 53. In addition, a protrusion 83 corresponding to the hole 53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d cap 80. Accordingly, when the end cap 80 is coupled to the frame 52, the end cap 8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53 of the frame 52 by the protrusion 83 of the end cap 80. 80 and the frame 52 may be firmly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재(56)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으며, 타원형이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52)의 결합공(54)은 상기 와이어부재(56)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member 56 may be circular in cross-section, it may be formed in a polygon such as oval, square or rectangular. 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54 of the frame 52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member 56.

상기 결합공(54)은 상기 프레임(5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54)은 상기 와이어부재(5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이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공(54)은 길이방향으로 일부가 개구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부재(56)를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The coupling hole 5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ame 52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54 is preferably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wire member 56,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tinue intermittent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a part of the coupling hole 54 may b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ape may be sufficient to maintain the inserted state of the wire member 56.

한편,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은 상기 프레임(52)의 하부에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per strip 60 may be integrally molded by a double inj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52.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인 도 7을 참고하면, 와이퍼 스트립(160)은 상단부가 와이퍼 블레이드(150)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의 상부면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50)의 프레임(152)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60)의 상부면과 경사지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52)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160)에 경사지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50)의 진행시 바람에 대한 저항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50)는 고속 주행시, 상기 프레임(152)이 바람에 대해 눌려지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160)을 유리면에 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7,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per blad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16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per blade 15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wiper strip 6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per blade, the frame 152 of the wiper blade 15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per strip 160 inclined. As such, as the frame 152 is inclinedly coupled to the wiper strip 160, the frame 152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wind resistance when the wiper blade 150 proceeds. Therefore, the wiper blade 150 may be pressed against the wind at high speed, and the wiper strip 160 may closely adhere to the glass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은 상기 프레임(52)에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strip 60 is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52, but the coupl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로서, 와이퍼 블레이드(250)는 와이퍼 스트립(260)과 프레임(252)을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이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260)과 상기 프레임(252)이 분리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퍼 스트립(260)의 마모 또는 훼손시, 상기 와이퍼 스트립(260)만을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FIGS.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iper blade 250 includes the wiper strip 260 and the frame 252 as separate member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m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s such, as the wiper strip 260 and the frame 252 are manufactured in a separate type, only the wiper strip 260 may be selectively replaced when the wiper strip 260 is worn or damaged.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52)에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6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슬릿(25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258)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 스트립(250)은 상부에 상기 결합슬릿(258)에 끼워지는 레일홈(2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은 먼저 상기 결합슬릿(258)의 일측에 상기 와이퍼 스트립(260)의 한쪽 레일홈(262)을 끼운 후, 상기 와이퍼 스트립(260)을 이동하여 완전히 결합할 수 있다.To this end, a coupling slit 258 for coupling the wiper strip 260 is formed in the frame 252. The coupling slit 258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wiper strip 250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262 fitted to the coupling slit 258 on the top. Therefore, the wiper strip 60 may first insert one rail groove 262 of the wiper strip 260 into one side of the coupling slit 258, and then move the wiper strip 260 to be completely coupled. .

한편, 상기 결합슬릿(258)은 소정의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은 상기 레일홈(262)이 상기 결합슬릿(258)에 대응하여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slit 258 may be formed intermittent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wiper strip 60 is the rail groove 262 is formed intermittently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lit 258. Can be.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350)는 상기 프레임(352)의 중앙부에 결합공(35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결합공(354)은 상기 프레임(352)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54)에는 상기 프레임(352)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와이어부재(356)가 삽입된다.As shown in FIG. 9, the wiper blade 350 may have a coupling hole 354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352. That is, the coupling hole 354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352, a wire member 35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54 to give elasticity to the frame 352. do.

또한, 상기 프레임(352)의 하부에는 와이퍼 스트립(36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59)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coupling portion 359 for coupling the wiper strip 360 is integrally formed under the frame 352.

상기 결합부(359)는 상기 프레임(352)의 하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는 제1연장부(359a)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359a)의 하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359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연장부(359b)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360)의 레일홈(362)이 삽입될 정도의 간격을 갖고 연장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2연장부(359b)의 단부 사이에 상기 와이퍼 스 트립(360)의 레일홈(362)을 결합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59 is formed by extending a pair of first extension parts 359a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352 and facing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59a.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9b extending to the end portion is formed. In this cas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9b extends at an interval such that the rail groove 362 of the wiper strip 360 is inserted, and between the ends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9b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ail groove 362 of the wiper strip 360 may be coup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프레임 을 사출 성형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퍼 프레임에 방풍립 또는 와이퍼 스트립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을 경량화할 수 있다.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jection molded the wiper frame is simple to manufactur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can be integrally molded with a windshield or wiper strip on the wiper frame As well as easy to assemble, the weigh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Claims (11)

길이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프레임과,A frame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과,A wiper strip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방풍립과,Windbreak lip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길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nd a wir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o impart elastic force to the frame such that the wiper str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The frame is made of plastic material, 상기 방풍립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The windbreak lip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방풍립은 이중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frame and the windshield is a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molded by double ex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을 덮는 엔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nd an end cap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rame to cover the coupling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상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The wiper strip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upper end, 상기 프레임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clin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The frame is made of plastic material,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The wiper strip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프레임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이중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nd the frame and the wiper strip are integrally molded by double extrus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결합공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coupling hole is a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a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wiper strip is formed.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장된 제1연장부 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nd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결합공은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coupling hole is a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rame.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프레임에는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frame is a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lit for joining the wiper strip is formed.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결합슬릿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중앙부에 단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wiper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lit is formed intermittent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per strip.
KR1020060075605A 2006-08-10 2006-08-10 Wiper blade KR100753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605A KR100753248B1 (en) 2006-08-10 2006-08-10 Wiper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605A KR100753248B1 (en) 2006-08-10 2006-08-10 Wiper bla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248B1 true KR100753248B1 (en) 2007-08-30

Family

ID=3861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605A KR100753248B1 (en) 2006-08-10 2006-08-10 Wiper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24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37B1 (en) 2007-03-28 2008-04-08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Adaptor of wiper blade
KR20110020254A (en) * 2008-06-16 2011-03-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Wiper blade
WO2013042977A2 (en) * 2011-09-21 2013-03-28 (주)에이피아이코리아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1413166B1 (en) 2013-01-30 2014-07-01 이케이 주식회사 Wiper blades for dual extrusion device and extrusion methods, thereby manufacturing a wiper blade
KR101555202B1 (en) 2014-01-08 2015-09-23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Wiper blade
CN113734099A (en) * 2021-09-03 2021-12-0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Wiper and veh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33A (en) * 1991-08-16 1993-03-22 알 에이 보우스트레드, 에이 브이 와터스톤 Windshield wipers
KR19990026227U (en) 1997-12-19 1999-07-15 홍종만 Wiper blade of car
JP2003534973A (en) * 2000-05-29 2003-11-2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Wiper blades for cleaning glazings, especially automotive glazings
KR200405127Y1 (en) * 2005-10-04 2006-01-1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A Wiperblade
KR200419901Y1 (en) * 2006-04-04 2006-06-27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strip
KR100599010B1 (en) * 2004-06-07 2006-07-1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blad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33A (en) * 1991-08-16 1993-03-22 알 에이 보우스트레드, 에이 브이 와터스톤 Windshield wipers
KR19990026227U (en) 1997-12-19 1999-07-15 홍종만 Wiper blade of car
JP2003534973A (en) * 2000-05-29 2003-11-2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Wiper blades for cleaning glazings, especially automotive glazings
KR100599010B1 (en) * 2004-06-07 2006-07-1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blade
KR200405127Y1 (en) * 2005-10-04 2006-01-1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A Wiperblade
KR200419901Y1 (en) * 2006-04-04 2006-06-27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strip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37B1 (en) 2007-03-28 2008-04-08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Adaptor of wiper blade
KR20110020254A (en) * 2008-06-16 2011-03-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Wiper blade
KR101598549B1 (en) 2008-06-16 2016-02-29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Wiper blade
WO2013042977A2 (en) * 2011-09-21 2013-03-28 (주)에이피아이코리아 Windshield wiper assembly
WO2013042977A3 (en) * 2011-09-21 2013-06-13 (주)에이피아이코리아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1387134B1 (en) * 2011-09-21 2014-04-22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1413166B1 (en) 2013-01-30 2014-07-01 이케이 주식회사 Wiper blades for dual extrusion device and extrusion methods, thereby manufacturing a wiper blade
KR101555202B1 (en) 2014-01-08 2015-09-23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Wiper blade
CN113734099A (en) * 2021-09-03 2021-12-0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Wiper and vehicle
CN113734099B (en) * 2021-09-03 2024-01-19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Windshield wiper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248B1 (en) Wiper blade
US20030074763A1 (en) Wiper device for cleaning the glass panes of vehicles, especially automobiles
US7228588B2 (en) Wiper blade for cleaning panes,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EP2008891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EP2103490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4114418B (en) Wiping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5383777B2 (en) Wiper blades for car window glass cleaning
KR20040012794A (en) Windowscreen wiper device
WO2007049923A1 (en) Coupling apparatus of wiper arm
US7735184B2 (en) Wiper blade for cleaning glass or polymeric windshields
US20100186186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2781738A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2427974A (en) Windscreen wiper device
EP3126197B1 (en) Winter wiper assembly
US20080134456A1 (en) Wiper blade
KR100599010B1 (en) Wiper blade
US20150166015A1 (en) End cap for wiper assembly
US10259428B2 (en) Wiper blade
KR200445232Y1 (en) Spoiler member and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0813644B1 (en) Wiper blade
KR100373008B1 (en) Double edge type wiper blade
KR100599009B1 (en) Wiper blade
KR102559506B1 (en) Rubber for mounting wiper blade
KR200429328Y1 (en) Wiper strip
JP2011201446A (en)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