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417B1 -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417B1
KR100942417B1 KR1020090028567A KR20090028567A KR100942417B1 KR 100942417 B1 KR100942417 B1 KR 100942417B1 KR 1020090028567 A KR1020090028567 A KR 1020090028567A KR 20090028567 A KR20090028567 A KR 20090028567A KR 100942417 B1 KR100942417 B1 KR 10094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r
exposure
called terminal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지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60Semi-automatic systems, i.e. in which the numerical selection of the outgoing line is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or
    • H04M3/64Arrangements for signalling the number or class of the calling line to th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제1 교환기가 발신 단말에서 노출고유번호로 호출한 제1 발신호를 수신하면, 제1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이용하여 호중계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파악한 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노출고유번호와 발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제2 발신호를 호중계 시스템에 제공하며, 호중계 시스템은 제2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 확인한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파악한 후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호(call)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발신자에게 개인 전화번호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한 번의 다이얼링(원 스테이지 다이얼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28567
은폐, 개인번호, 호출, 중계, 발신번호표시

Description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Receiver number hiding call service method and servic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수신자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발신자에게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수신자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정보를 이용한 범죄가 늘어나고 있다.
개인정보 중 특히, 개인 전화번호는 차량이나, 명함 또는 문 닫힌 가게 등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유포나 해킹을 통해 타인에게 노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인 전화번호는 개인의 고유한 정보임과 동시에 다른 개인 고유정보(예; 이름, 집 주소, 직장명, 직장 주소 등)와 연계하여 개인 사업장이나 관공서 등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노출시 그 위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전화번호의 노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개인 전화번호를 대신하는 별도의 전화번호를 이용하고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발신자가 호출하는 대표번호와, 착신자를 식별하는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대표번호와 개인식별번호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발신자가 대표번호로 호출을 하면 발신자에게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개인식별번호에 대응하는 개인 전화번호로 발신자의 호출이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개인 전화번호를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가 가능하게 하여 개인 전화번호의 노출 위험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발신자가 대표 번호를 누르고, 다시 개인식별번호를 누르는 투 스테이지 다이얼링(two stage dialing) 즉, 2번의 다이얼링이 요구되어, 발신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의 다이얼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제1 교환기가 발신 단말에서 노출고유번호로 호출한 제1 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제1 교환기가 상기 제1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이용하여 호중계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iii) 상기 제1 교환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노출고유번호와 발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제2 발 신호를 상기 호중계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iv)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제2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는 단계, 그리고 (v)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호(call)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출고유번호에 대하여 저장된 중계측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지능망 서버, 상기 노출고유번호로 호출된 제1 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지능망 서버에 상기 중계측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획득하며, 상기 제1 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고유번호와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제2 발신호를 상기 중계측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제1 교환기, 그리고 상기 제2 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발신호에 포함된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며, 상기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호(call)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되게 하는 CFS(Call Forwarding Server) 서버를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신자에게 개인 전화번호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한 번의 다이얼링(원 스테이지 다이얼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시스템 및 호출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자(40)의 전화기(예; 핸드폰, PDA, 인터넷 폰 등)에 부여된 전화번호인 착신자 전화번호(N3)를 대신하여 노출고유 전화번호(N2)를 발신자(10)에게 노출시킨다.
이때 노출고유 전화번호(N2)의 노출은 명함이나 차량에 부착된 스티커, 전단지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접수자(20)와 전달자(30)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로서, 착신자 전화번호(N3)를 은폐시키기 위한 번호이다.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전화기 구매시 구매한 전화기를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착신자 전화번호(N3)와 달리, 착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착신자가 보유한 복수의 전화기 중 하나에 매칭시켜 관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한 명의 착신자(40)에게 부여되며, 착신자(40)는 부여받은 하나의 노출고유 전화번호(N2)에 자신의 이동전화번호를 매칭시키거나 유선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등록한다. 따라서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하나의 노출고유 전화번호(N2)에 하나의 착신자 전화번호(N3)가 매칭되어 관리된다.
그리고 착신자(40)는 노출고유 전화번호(N2)에 매칭시켜 등록한 자신의 번화번호를 자신의 다른 전화번호로 변경하여 등록할 수 있다. 물론, 착신자(40)가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해지하는 경우에, 해당 착신자에게 부여된 하나의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가용 자원으로 회수된다.
여기서 착신자(40)는 전달자(30)의 서비스 회원이며, 전달자(30)는 접수자(20)를 협력 관계로 하여 접수자(20)로부터 노출고유 전화번호(N2)로의 호출을 수신한다. 물론 전달자(30)는 각 노출고유 전화번호(N2)와 이에 매칭된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노출고유 전화번호(N2)가 착신자 전화번호(N3)를 대신하여 노출된 상태이므로, 발신자(10)는 착신자(40)와의 통화를 위해 노출고유 전화번호(N2)로 착신자(40)를 호출한다(S201, S202).
발신자(10)의 호출은 접수자(20)에 수신되고(S203), 접수자(20)는 전달자(30)에게 발신자(10)의 호출을 알리는데, 이때 접수자(20)가 전달자(30)에게 제공해야 하는 정보로는 발신자 전화번호(N1)와 노출고유 전화번호(N2)이다(S204). 여기서, 발신자(10)의 입장에서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1차 착신번호이고, 착신자 전화번호는 2차 착신 전화번호이다.
전달자(30)는 접수자(20)로부터 발신자(10)의 호출을 수신하면, 이 호출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N1)와 노출고유 전화번호(N2)를 파악하고, 노출고유 전화번호(N2)에 매칭되어 있는 착신자 전화번호(N3)를 확인한다(S205).
이에 따라 전달자(30)는 발신자(10)의 호출을 확인한 착신자 전화번호(N3)로 전환시켜 착신자(40)로 전달하며(S206), 착신자(40)는 발신자(10)의 호출을 확인하여 발신자(10)와 통화를 한다(S207).
한편,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지역번호 + 국번+ 전화번호)으로 이루어진 일반 유선전화번호와 다른 것이고, 또한 (010, 011, 016, 017, 018)+(국번)+(전화번호)로 이루어진 이동전화번호와 다른 것이다. 그리고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대표전화번호(예; 1566-xxxx, 1588-xxxx 등)와 달리 하나의 전화번호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 있는 전화번호이다.
이러한 노출고유 전화번호(N2)는 예컨대 050-xxxx-xxxx 번호체계로 통신사별로 부여된 050-2xxx-xxxx, 050-4xxx-xxxx, 050-5xxx-xxxx 등과 같이 개인고유번호(일명, 평생번호)를 비롯하여 단일번호 체계를 모두 수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 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단말(11), 발신 교환기(100), SCP(Service Control Point, 지능망) 서버(200), 중계 교환기(300), 호중계 시스템(400)과 착신 단말(41)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11)은 발신자(10)가 사용하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이고, 착신 단말(41)은 착신자(40)가 사용하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이다.
발신 교환기(100)는 발신 단말(11) 측에 위치한 교환기이고, 중계 교환기(300)는 호중계 시스템(400) 측에 위치한 교환기이다. 발신 교환기(100) 및 중계 교환기(300)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해 지능망을 구성하는 SSP(Service Switching Point)이다.
SCP 서버(200)는 본 발명의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이며, 발신 교환기(100)와 중계 교환기(300)와 더불어 지능망을 구성한다. SCP 서버(200)는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호중계 시스템(400)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노출고유번호를 착신 전화번호로 하여 교환기에 수신되는 발신호에 대해 본 발명의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라고 판단하여 상기 발신호가 전달될 라우팅 정보(즉, 호중계 시스템(40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기에 제공한다.
여기서 라우팅 정보는 호중계 시스템(400)의 전화번호이거나 호중계 시스 템(400) 측에 위치한 중계 교환기(300)로의 경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SCP 서버(200)가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착신 단말(41)로의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대신에 호중계 시스템(40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응하여, 발신단말의 전화번호, 노출고유번호를 호중계 시스템(4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합정보 전달기능을 가진다.
통합정보 전달기능은 발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소스 주소로 하고, 호중계 시스템의 전화번호를 목적지 주소로 하되, 발신 단말(11)이 노출고유번호를 호출하였음을 목적지에 알리는 기능이다.
일 예로, 각 교환기(100, 300)는 통합정보 전달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ISDN-PRI(Primary Rate Interface)와 No.7 신호방식(SS7)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호 처리(즉, 호 생성 및 호 전송)를 이용한다. ISDN-PRI와 No.7 신호방식의 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르면, 발신자번호와 1차 착신번호 및 2차 착신번호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노출고유번호로 호출된 발신호를 노출고유번호가 은폐하고 있는 실제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로 중계하는 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호중계 시스템(400)은 각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으며, 수신되는 발신호를 분석하여 노출고유번호와 발신전화번호를 파악한다. 물론 호중계 시스템(400)은 중계 교환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발신호의 착신번호를 착신단말의 전화번호로 바꾼다.
호처리 기능을 위해 호중계 시스템(400)은 전화통신망과 정합할 때 물리적인 회선교환이나 VoIP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호 중계를 위한 수신 및 발신 처리를 수행하며,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은 적어도 회선교환망에서는 ISDN-PRI(Primary Rate Interface)와 No.7 신호방식 중 하나를, 인터넷 전화망에서는 H.323, SIP 방식 중 하나를 지원한다.
인터넷전화 환경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서는 호출정보와 사용자에 추가할 수 있는 부가정보 삽입필드를 활용하여 상기 설명한 최초발신자, 1차 착신번호, 2차 착신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호처리 기능 이외에 다음과 같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발신자번호표시(CID: Caller ID) 변경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착신자에게 호 발신시 지정된 서비스이용번호의 발신자번호표시(CID)로 변경하여 발신한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호 스위치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H.110 버스(Bus)등을 사용한 시간분할(TimeSlot), 가상 버스(Virtual Bus) 또는 메모리 공유방식으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사용하여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음성 통화 기능이 가능하다. 그리고 호중계 시스템(400)은 개인번호를 착신지로 하는 발신호에 대하여, 상기 발신호에 포함된 개인번호에 매칭된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600)와 연계하여 파악하고, 파악한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상기 발신호를 착신시킨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착신정보 변경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 계 시스템(400)은 개인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번호 정보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가 호중계 시스템(400)에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인터넷 망 등으로 접속한 후 자신에게 할당된 개인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번호를 변경한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착신 거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경우 착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가 호중계 시스템(400)은 공중통신망(PSTN)또는 인터넷망 등을 사용하여 접속한 후 자신에게 할당된 개인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설정을 변경한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사용 정보 안내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서비스 이용자의 잔여 사용시간 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등록된 서비스 이용자가 호중계 시스템(400)은 공중통신망(PSTN), 또는 인터넷전화망 등을 사용하여 접속한 후 자신의 남은 사용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기능도 가능하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통계 저장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착신 및 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이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자별 사용 현황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저장은 CDR(Call Detail Record)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요금 관리 기능이 가능하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로그 관리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서비스 운영 정보를 5가지 로그레벨(INFO, DEBUG, NOTICE, WARNING, ERROR)로 분리하여 로컬(Local) 메모리(HDD)에 날짜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호중계 시스템(400)은 통화내용 및 내역 저장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중계 시스템(400)은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로는 전화통신망의 착신, 발신 정합보드 내의 디지털 스위칭 프로세스(DSP)로 시간분할(Timeslot) 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디지털 스위칭 프로세스(DSP)의 리소스(Resource)로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등을 함께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6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400)은 CFS 서버(410), 웹 서버(420)와 노출고유번호 DB(431)을 포함한다.
CFS(Call Forwarding System) 서버(410)는 노출고유번호 DB(431)와 연계하여 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CFS 서버(410)는 수신부(411), 호출번호 변환부(412), 포워딩부(413)와 스위칭 버스부(414)를 포함한다.
수신부(411)는 중계 교환기(300)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한다. 호출번호 변환부(412)는 수신한 발신호에서 발신 전화번호와 노출고유번호를 파악하고, 파악한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노출고유번호 DB(431)로부터 파악한 후 착신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발신호(발신 전화번호와 착신 전화번호를 포함)를 생성한다. 포워딩부(413)는 호출번호 변환부(412)에서 생성한 발신호의 착신 전호번호에 대응하는 통신망의 교환기로 발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위칭 버스부(414)는 수신부(411)와 포워딩부(413)를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 서버(420)는 사용자가 노출고유번호 DB(431)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자신의 전화번호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웹 서버(420)는 인터페이스부(421)와 노출고유번호 관리부(422)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21)는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노출고유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즉,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웹페이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노출고유번호 관리부(422)에 제공한다. 노출고유번호 관리부(422)는 인터페이스부(421)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노출고유번호 DB(43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전화번호를 변경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서버(420)를 통해 자신의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전화번호를 자신의 이동전화번호 또는 다른 가족의 이동전화번호 또는 자신의 댁내 유선 전화번호, 인터넷전화번호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노출고유번호 DB(431)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각 노출고유번호와 이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전화번호(예; 유선전화번호 또는 무선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발 신자번호표시(CID) 정보에 특정의 콜러 표시자를 포함시켜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경우이다. 여기서 콜러 표시자는 착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어, 문구, 문장, 아이콘(icon), 아바타, 음악, 영상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예컨대, 콜러 표시자는 "[호출]○○○서비스", "차량이동 호출", "차량을 호출하였습니다", "손님 호출", "○○○ 서비스에서 호출입니다" 등의 텍스트 기반 메시지나 호출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아이콘, 차량을 나타내는 아이콘, 호출을 나타내는 음악이나 영상 등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은 CFS 서버(410a), 웹 서버(420a)와 데이터베이스(430)을 포함한다.
CFS 서버(41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CFS 서버(410)의 구성에 더하여, 착신 단말(41)에 호가 착신될 때에 콜러 표시자가 착신 단말(4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콜러표시 제공부(415)를 더 포함한다. 즉, CFS 서버(410)는 수신부(411), 호출번호 변환부(412), 포워딩부(413), 스위칭 버스부(414)와, 콜러표시 제공부(415)를 포함한다.
콜러표시 제공부(415)는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콜러표시 DB(432)로부터 파악하고, 파악한 콜러 표시자를 포워딩부(413)에서 전달하는 발신호에 포함시키거나 발신호와 별도의 메시지로 하여 해당 통신망에 전달한다.
웹 서버(420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웹 서버(420)의 구성에 더하여, 콜러표시 DB(432)의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콜러표시 관리부(423)를 더 포함한다. 즉, 웹 서버(420a)는 인터페이스부(421), 노출고유번호 관리부(422)와 콜러표시 관리 부(423)를 포함한다.
콜러표시 관리부(423)는 인터페이스부(421)를 통해 콜러표시 DB(432)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콜러 표시자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예; 사용자 식별정보, 변경할 콜러 표시자 등)를 이용하여 콜러표시 DB(432)에 저장된 해당 노출고유번호의 콜러 표시자를 변경한다.
사용자는 콜러 표시자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웹 페이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콜러 표시자를 선택하거나, 직접 콜러 표시자를 입력함으로써, 콜러표시 DB(432)에 저장된 콜러 표시자를 변경한다. 여기서 콜러 표시자를 변경시킬 수 있는 사용자는 노출고유번호를 가진 사람이며, 통화를 하는 입장에서 보면 착신자에 해당한다.
콜러 표시자는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에 포함되어 착신 단말로의 호 착신시에 제공되며, 발신자번호표시 정보는 호 착신과 동시에 착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다. 결국 콜러 표시자는 착신자가 발신자와의 통화 전에 육안으로 확인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콜러 표시자는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나, 본 발명의 콜러 표시자는 착신되는 호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즉, 콜러 표시자는 일반적인 통화를 요청하는 호인지 본 발명의 서비스에 따른 호인지를 구별시킨다.
데이터베이스(430)는 호중계 시스템(400)이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430)는 노출고유번호 DB(431)와 콜러표시 DB(432)를 포함한다.
노출고유번호 DB(431)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각 노출고유번호와 이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전화번호(예; 유선전화번호 또는 무선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콜러표시 DB(432)는 노출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콜러 표시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발신자(10)가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인 발신 단말(11)을 이용하여 명함에 기재된 노출고유번호(예: 050-4100-8282)를 호출하면, 발신호가 발신 교환기(100)에 수신된다(S601).
발신 교환기(100)는 수신된 발신호의 착신 전화번호가 050으로 시작되는 노출고유번호임을 파악하고(S602), 지능망 서비스로 인지하여 SCP 서버(200)에 발신호에 대응하는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S603).
SCP 서버(200)는 발신 교환기(100)의 요청에 따라 050으로 시작되는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지 정보를 확인한다. 이 확인을 통해 SCP 서버(200)는 착신지가 호중계 시스템(400)의 CFS 서버(410)이라고 파악하고, 그에 따라 호중계 시스템(400)으로 발신호가 전달되도록 호중계 시스템(400)의 대표전화번호(예; 1599-9553)를 발신 교환기(100)에 제공한다(S604).
발신 교환기(100)는 호중계 시스템(400)의 대표전화번호를 수신하면, 통합정보 전달기능을 수행하여 발신 전화번호를 소스 주소로 하고 대표전화번호를 목적지 주소로 하며 노출고유번호를 최종 착신지 주소로 하는 발신호를 생성한다(S605).
그런 다음, 호중계 시스템(400)의 대표전화번호를 담당하는 교환기인 중계 교환기(300)를 확인하고, 중계 교환기(300)를 통해 호중계 시스템(400)으로 상기 생성한 발신호를 전달한다(S606).
호중계 시스템(400)에 수신된 발신호는 CFS 서버(410)에 수신되고, CFS 서버(410)는 수신한 발신호를 분석하여 발신 전화번호와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한다(S607). 그리고 CFS 서버(410)는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예; 010-1234-5678)를 노출고유번호 DB(431)을 통해 확인한다(S608).
이렇게 최종 착신 주소인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면, CFS 서버(410)는 중계 교환기(300)로부터 수신한 발신호를 착신 단말(41)로 호 스위칭을 한다. 즉, CFS 서버(410)는 중계 교환기(300)로부터 수신한 발신호를 착신 단말(41)을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또는 PSTN 또는 인터넷전화망)으로 발신호를 전달한다(S609).
해당 통신망은 발신호의 주소 정보에 따라 010-1234-5678의 전화번호를 가진 착신 단말(41)로 호를 착신시키고(S610), 이에 따라 착신 단말(41)과 발신 단말(11)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S611).
이렇게 CFS 서버(410)에 의해 발신자(10)와 착신자(40)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CFS 서버(410)는 발신자(10)와 착신자(40) 간의 통화 내용을 녹취한 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발신자(10)가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인 발신 단말(11)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된 노출고유번호(예: 050-4100-8282)를 호출하면(S701), 발신 교환기(100)는 수신된 발신호의 착신 전화번호가 050으로 시작되는 노출고유번호임을 파악하고(S702), 지능망 서비스로 인지하여 SCP 서버(200)에 발신호에 대응하는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S703).
이에 SCP 서버(200)는 발신 교환기(100)의 요청에 따라 050으로 시작되는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여 호중계 시스템(400)의 대표전화번호(예; 1599-9553)를 발신 교환기(100)에 제공한다(S704).
발신 교환기(100)는 호중계 시스템(400)의 대표전화번호를 수신하면, 발신 전화번호를 소스 주소로 하고 대표전화번호를 목적지 주소로 하며 노출고유번호를 최종 착신지 주소로 하는 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발신호를 중계 교환기(300)를 통해 CFS 서버(410a)에 전달한다(S705).
CFS 서버(410a)는 수신한 발신호를 분석하여 발신 전화번호와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S706),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노출고유번호 DB(431)을 통해 확인한다(S707).
그런 다음 CFS 서버(410a)는 S706 과정을 통해 확인한 노출고유번호에 매칭된 콜러 표시자를 콜러표시 DB(432)로부터 확인한다(S708).
이렇게 최종 착신 주소인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와 콜러 표시자를 확인하면, CFS 서버(410a)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또는 PSTN 또는 인터넷전화망)으로 발신호를 전달한다(S709). 그리고 CFS 서버(410a)는 발신호와 별도의 메시지로 하여 착신 단말(41)에 발신자번호표시 정보로 제공될 콜러 표시자를 통신망에 알린다(S710).
해당 통신망의 시스템 즉, 교환기는 발신호와 이 발신호와 함께 제공될 콜러 표시자를 CFS 서버(410a)로부터 제공받으면, 콜러 표시자를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에 포함시킨 후(S711),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와 발신호를 착신 단말(41)에 전달한다(S712).
따라서, 착신자(40)는 얼러팅(alerting)중인 착신 단말(41)의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콜러 표시자를 확인하여 050의 노출고유번호를 통해 발신된 통화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S713). 그리고, 착신자(40)가 통화를 수락하면, 착신 단말(41)과 발신 단말(11)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S714).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은 본 발 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과 유사하나, 콜러 표시자를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통신망에서 요청하는 경우에 CFS 서버(410a)에서 제공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발신자(10)가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인 발신 단말(11)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된 노출고유번호(예: 050-4100-8282)를 호출하는 경우에(S801), 발신 단말(11)의 발신호가 호중계 시스템(400)까지 전달되는 과정(S802 내지 S805)은 S702 과정 내지 S705 과정과 동일하다.
CFS 서버(410a)는 수신한 발신호를 분석하여 발신 전화번호와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S806),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노출고유번호 DB(431)을 통해 확인한다(S807). 그리고 CFS 서버(410a)는 S806 과정을 통해 확인한 노출고유번호(또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에 매칭된 콜러 표시자를 콜러표시 DB(432)로부터 확인한다(S808).
이렇게 최종 착신 주소인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와 콜러 표시자를 확인하면, CFS 서버(410a)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또는 PSTN 또는 인터넷전화망)으로 발신호를 전달한다(S809).
해당 통신망의 시스템 즉, 교환기는 호중계 시스템(400)으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면 발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파악한 후,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CFS 서버(410a)에게 요청한다(S810).
이에 CFS 서버(410a)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교환기에게 제공하고(S811), 교환기는 수신한 콜러 표시자를 발신자번호표시 정보 에 포함시킨 후(S812),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와 발신호를 착신 단말(41)에 전달한다(S813).
따라서, 착신자(40)는 얼러팅(alerting)중인 착신 단말(41)의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콜러 표시자를 확인하여 050의 노출고유번호를 통해 발신된 통화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S814). 그리고, 착신자(40)가 통화를 수락하면, 착신 단말(41)과 발신 단말(11)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S815).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S808 과정은 S810 과정을 통해 교환기가 CFS 서버(410)에게 콜러 표시자를 요청하는 경우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과 유사하나, 콜러 표시자를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통신망에서 관리하고 착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에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통신망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콜러표시 DB(432)와 콜러표시 관리부(423)에 상응하는 구성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발신자(10)가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인 발신 단말(11)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된 노출고유번호(예: 050-4100-8282)를 호출하는 경우 에(S801), 발신 단말(11)의 발신호가 호중계 시스템(400)까지 전달되는 과정(S802 내지 S805)은 S702 과정 내지 S705 과정과 동일하다.
CFS 서버(410a)는 수신한 발신호를 분석하여 발신 전화번호와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S906),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노출고유번호 DB(431)을 통해 확인한다(S907).
이렇게 최종 착신 주소인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면, CFS 서버(410a)는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또는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인터넷전화망)으로 발신호를 전달한다(S908).
해당 통신망의 시스템 즉, 교환기는 호중계 시스템(400)으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이라고 판단하고, 자체 저장된 정보를 통해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에 대응되어 설정된 콜러 표시자 또는, 발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41)의 전화번호에 매칭된 콜러 표시자를 확인한다(S909).
그런 다음, 교환기는 파악한 콜러 표시자를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에 포함시킨 후(S910),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와 발신호를 착신 단말(41)에 전달한다(S911).
따라서, 착신자(40)는 얼러팅(alerting)중인 착신 단말(41)의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콜러 표시자를 확인하여 050의 노출고유번호를 통해 발신된 통화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S912). 그리고, 착신자(40)가 통화를 수락하면, 착신 단말(41)과 발신 단말(11)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S913).
물론, 본 발명은 콜러 표시자가 발신자번호표시 정보로 착신 단말(41)에 제 공되지만, 발신 전화번호 또한 착신 단말(41)에 제공되어, 착신자가 발신 단말을 식별하고 착신 단말에서 발신 단말로의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호중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전화번호와 더불어 별도의 제1 노출고유번호가 부여된 착신 단말에 대하여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i) 제1 교환기가 발신 단말에서 전송한 제1 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제1 교환기가 상기 제1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호중계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iii) 상기 제1 교환기가 상기 제1 발신호를 상기 호중계 시스템으로 착신되는 제2 발신호로 변경하는 단계,
    (iv) 상기 제1 교환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발신호를 상기 호중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v)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제2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는 단계,
    (vi)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제2 발신호를 상기 착신 단말로 착신되는 제3 발신호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vii)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제1 통신망으로 제3 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와 상기 호중계 시스템의 착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발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viii)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파악하는 단계와,
    (ix)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파악한 콜러 표시자를 상기 제1 통신망에 제공하여 발신자번호표시 정보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x)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파악하는 단계,
    (xi) 상기 제3 발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통신망이 상기 호중계 시스템에게 상기 콜러 표시자를 요청하는 단계와,
    (xii) 상기 호중계 시스템이 상기 착신 단말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상기 제1 통신망에 제공하여 발신자번호표시 정보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ii) 단계는,
    (vii-1) 상기 제1 통신망이 상기 제3 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vii-2) 상기 제1 통신망이 제3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콜러 표시자를 파악하는 단계와,
    (vii-3) 상기 제1 통신망이 상기 콜러 표시자를 발신자번호표시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제3 발신호와 함께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환기는 상기 호중계 시스템과 물리적인 회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ISDN-PRI(Primary Rate Interface) 방식 또는 No.7 신호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상기 호중계 시스템과 VoIP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경우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발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공중전화망의 전화번호, 이동통신망의 전화번호, 인터넷전화망의 전화번호 중 하나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부여받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종망 또는 이기종망의 전화번호로 변경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러 표시자는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부여받은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호중계 시스템에 의해 변경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9. 전화번호와 더불어 별도의 제1 노출고유번호가 부여된 착신 단말에 대하여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지능망 서버,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발신호에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상기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발신호를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제2 발신호로 변경하여 전송하는 교환기, 그리고
    상기 제2 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발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며, 상기 제2 발신호를 상기 착신 단말로 착신되는 제3 발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3 발신호를 상기 착신 단말을 담당하는 제1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CFS(Call Forwarding Server)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노출고유번호와 상기 호중계 시스템의 착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발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FS 서버는 상기 제2 발신호에 포함된 노출고유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콜러 표시자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콜러 표시자를 상기 제1 통신망에 제공하여 발신자번호표시 정보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제공되게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FS 서버는 상기 제1 통신망으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콜러 표시자의 제공을 요청받고,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콜러 표시자를 상기 제1 통신망에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환기와 상기 CFS 서버는 물리적인 회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ISDN-PRI(Primary Rate Interface) 방식 또는 No.7 신호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상기 호중계 시스템과 VoIP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경우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발신호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공중전화망의 전화번호, 이동통신망의 전화번호, 인터넷망의 전화번호 중 하나인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고유번호에 대응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부여받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종망 또는 이기종망의 전화번호로 변경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콜러 표시자는 상기 노출고유번호를 부여받은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호중계 시스템에 의해 변경되는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시스템.
KR1020090028567A 2008-12-12 2009-04-02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KR100942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6678 2008-12-12
KR1020080126678 2008-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417B1 true KR100942417B1 (ko) 2010-02-17

Family

ID=420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567A KR100942417B1 (ko) 2008-12-12 2009-04-02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61B1 (ko) * 2019-12-09 2020-07-09 주식회사 페르미 사용자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95437B1 (ko) * 2020-04-06 2020-12-28 이택균 안심 전화번호 매칭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15A (ko) * 2003-08-28 2005-03-09 좌정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15A (ko) * 2003-08-28 2005-03-09 좌정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61B1 (ko) * 2019-12-09 2020-07-09 주식회사 페르미 사용자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95437B1 (ko) * 2020-04-06 2020-12-28 이택균 안심 전화번호 매칭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6634B (zh) 用于通信网络中的网守的系统和方法
JP5351787B2 (ja) 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232173B2 (ja) サーバ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5247433B2 (ja) 秘密ルーティング制御番号
CN102025841A (zh) 一种电话号码更换提示的方法和装置
US20230057853A1 (en) Automatic caller identification translation
KR100942417B1 (ko)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KR20020097043A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KR102384868B1 (ko) 인바운드형 양방향 전화 연결 시스템
KR100825757B1 (ko) Sip 기반 인터넷 전화를 위한 긴급호 처리시스템 및긴급호 처리방법
JP2009147399A (ja) 電話中継装置、電話中継方法、及び、電話中継用プログラム
EA007138B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звукового сообщения с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в том числе не имеющего доступа к сети интернет, в любой адрес электронной почты
JP2010141416A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101755021B1 (ko) 임시 식별 정보를 이용한 단말의 식별 정보 누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US201302359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nections betweeen telephone line subscribers
KR102275569B1 (ko)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373B1 (ko) 호교환장치 및 호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KR100967487B1 (ko) 대표번호를 이용한 sms서비스 시스템
KR100664502B1 (ko) 녹음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5328306A (ja) 通信システム
JP2006094348A (ja) 伝言方法
KR20080003267A (ko) 발신자 상호 표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67152B2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JP2013192257A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