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358B1 -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358B1
KR100811358B1 KR1020010066524A KR20010066524A KR100811358B1 KR 100811358 B1 KR100811358 B1 KR 100811358B1 KR 1020010066524 A KR1020010066524 A KR 1020010066524A KR 20010066524 A KR20010066524 A KR 20010066524A KR 100811358 B1 KR100811358 B1 KR 10081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nglish
input
characters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4787A (en
Inventor
류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358B1/en
Publication of KR2003003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기본키와 범례키를 지정하여 문자입력을 더욱 간편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n alphabetic charac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pecifying a basic key and a legend key to simplify character inpu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높은 영문자 Q,A,E,I,L,O,R,T,Y를 기본키로 설정하고, 범례키와의 조합으로 영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by using a wireless terminal, a high frequency alphabet letter Q, A, E, I, L, O, R, T, Y is set as a primary key, and a combination with a legend key is u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he alphabet.

본 발명은 또한, 무선 단말기의 볼륨UP키를 영/한 변환키로 설정하고, 볼륨 DOWN키를 'NUM'키(숫자 변환키)로 설정하고, 녹음버튼은 'CAP'키(영어 대소문자 변환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sets the volume UP ke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English / English conversion key, the volume DOWN key to the 'NUM' key (number conversion key), and the recording button is the 'CAP' key (English case conversion key).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o).

영문자 입력, 무선 단말기, 기본키, 범례키English alphabet input, wireless terminal, primary key, legend ke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English alphabet inpu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입력에 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도3, 도4는 종래의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2, 3, and 4 illustrate key layouts for inputting conventional English characters.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의 LCD부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5 shows the LCD portion of th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중 기본키를 크게 표시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6 shows a large display of the primary key in the key arran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중 기본키를 맨 앞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7 shows that the primary key is located in front of the key arran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영어 문자별 사용 빈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hows the frequency of use by English letter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다.9 illustrates an English let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 세하게는 기본키와 범례키를 지정하여 문자입력을 더욱 간편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n English let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pecifying a basic key and a legend key to simplify character input.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 인터넷과 메일 사용의 사용증가로 영문자 입력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increase in the use of the Internet and mail using the mobile terminal has increased the input of the alphabet.

도 1은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입력에 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1)와, 화면 전환키와 숫자키와 입력완료키 등 다수개의 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2)와, 상기 중앙 프로세서(1)와 상기 키 입력부(2)와, 액정 표시장치(3)와, 영어 폰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4)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regarding key input i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a central processor (1) for controlling the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key input unit (2)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such as a screen switching key, a numeric key and an input completion key to allow a user to enter a key And the central processor 1, the key input unit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and a memory 4 storing English font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2)를 통해 숫자 또는 영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키 값을 중앙프로세서(1)가 처리하여 입력된 숫자는 화면(3)에 그대로 표시해주고, 입력된 영문자는 영문 폰트 메모리(4)에 내장된 영어 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키 값을 검색하여 영어 입력키에 의해 영문자 코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액정표시장치(3)에 표시해 준다.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inputs a number or English through the key input unit 2, the central processor 1 processes the input key value and displays the input number on the screen 3 as it is. The input English letter is searched for the key value input using the English font embedded in the English font memory 4, and is converted into an English letter code by the English input key and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현재 상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KEY PAD)는 다른 키보드와는 달리 공간의 제약을 받으며, 통상적으로 숫자 1 키에는 'Q','Z' 두개를, 2부터 까지는 'Q','Z'을 제외한 24자를 3개씩 배치한 형태이다.Unlike other keyboards, KEY PAD of current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mited by space, and in general, two 'Q', 'Z' are used for number 1 key, and 'Q', 'from 2'. It is a form of three 24 letters except Z '.

알파벳의 순서는 'Q','Z'을 제외하면 빈도수나 자음, 모음의 순서에 상관하지 않고 순서대로 나열하고 있으며, 하나의 숫자키에 배치된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 해서는 최대 세번까지 눌러야 한다.Alphabetical order is listed regardless of frequency, consonant, vowel order except 'Q', 'Z', and it should be pressed up to three times to input English letters arranged in one numeric key.

도 2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숫자키에 영문자를 할당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content of assigning an English letter to a numeric key is as follows.

숫자키 1에 'Q','Z','.''Q', 'Z', '.'

숫자키 2에 'A','B','C''A', 'B', 'C' in number key 2

숫자키 3에 'D','E','F''D', 'E', 'F' on numeric key 3

숫자키 4에 'G','H','I''G', 'H', 'I'

숫자키 5에 'J','K','L''J', 'K', 'L' on the numeric key 5

숫자키 6에 'M','N','O''M', 'N', 'O' in number key 6

숫자키 7에 'P','R','S''P', 'R', 'S' in numeric key 7

숫자키 8에 'T','U','V''T', 'U', 'V'

숫자키 9에 'W','X','Y''W', 'X', 'Y'

한편, 도 4의 경우에는 숫자키 1과 숫자키 0만 다음과 같고, 나머지는 상기 키 배치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ure 4, only the numeric key 1 and the numeric key 0 are as follows, the rest is the same as the key arrangement.

숫자키 1에 '@','Q','Z''@', 'Q', 'Z'

숫자키 0에 '.',',','?','!' On numeric key 0 ' . ',' , ','? ','! '

도 3의 경우에 한글 입력모드와 영어 입력모드 두 가지가 있으며, 영어 입력모드에서 영어 대소문자 및 숫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모드 선택은 간단하나, 하나의 숫자키에 영어 대문자 3개, 소문자 3개, 숫자 하나 등 총 7개를 할당하고 있고, 원하는 문자나 숫자가 나올 때까지 최대 7번을 눌러야 한다. In the case of FIG. 3, there are two types of Korean input mode and English input mode. In English input mode, up to English case and numbers may be input. Therefore, input mode selection is simple, but it assigns a total of seven letters such as three English uppercase letters, three lowercase letters, and one number to one numeric key, and you have to press the maximum seven times until the desired letter or number appears.                         

도 4의 경우, 한글 입력모드, 숫자 입력모드, 영어 대문자 입력모드 및 소문자 입력모드 등 네 가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영어나 숫자, 한글을 입력하려면 모드를 설정해 주는 기능키를 여러번 반복하여 원하는 모드가 나올 때까지 눌러 선택한 다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반복하여 입력한다.
In the case of FIG. 4, four modes are set: a Korean input mode, a numeric input mode, an English uppercase input mode, and a lowercase input mode. Therefore, to input English, numbers, or Korean, press the function key for setting the mode several times and press until the desired mode is displayed, and then repeatedly input the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input.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입력모드가 여러 개이므로, 사용하고자하는 입력모드를 선택하려면 여러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However, in the above case, since there are several input modes, several key inputs are required to select the input mode to be used.

일예로, 입력모드의 순서가 한글→영어 소문자→영어 대문자→숫자라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Silicone TOP 10'이라 한다면,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order of the input modes is Korean → English lowercase letters → English uppercase letters → numbers, and the word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is 'Silicone TOP 10',

영어 대문자로 입력모드 전환을 위해 기능키를 2회,Press the function key twice to switch the input mode to English capital letters.

영문자 'S'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7을 3회,To enter the letter 'S' three times, press the numeric key 7 three times.

영어 소문자로 입력모드 전환을 위해 기능키를 4회,Press the function key 4 times to change the input mode to lowercase English.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4를 3회,To enter the letter 'i', press the number 4 key three times.

영문자 'l'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5를 3회,To enter the letter 'l' three times, press the numeric key 5 three times.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4를 3회,To enter the letter 'i', press the number 4 key three times.

영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2를 3회,To enter the letter 'c', press the number 2 key three times.

영문자 'o'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3회,To enter the letter 'o', press the numeric key 6 three times.

영문자 'n'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2회,Press the numeric key 6 twice to enter the letter 'n',

영어 대문자로 입력모드 전환을 위해 기능키를 1회, Press the function key once to change the input mode to English capital letters.                         

영문자 'T'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8을 1회,To enter the letter 'T' once, use the numeric key 8 once.

영문자 'O'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3회,To enter the letter 'O', press the numeric key 6 three times.

영문자 'P'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7을 1회,To enter the letter 'P' once, use the numeric keys 7

숫자 입력모드로 전환을 위해 기능키를 1회,Press the function key once to switch to numeric input mode.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1을 1회,Press numeric key 1 once to enter number '1',

숫자 '0'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0을 1회 입력해야 하므로, 총 36번의 키입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각 입력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기능키를 자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order to input the number '0', the numeric key 0 must be entered once, so a total of 36 keystrokes must be made. That is, it is inconvenient to frequently press a function key to switch to each input mode.

또한, 입력모드가 한글과 영어인 도 3의 경우는,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ure 3 input mode is Korean and English,

영어 입력모드 전환을 위해 기능키를 1회,Press the function key once to switch to English input mode.

영문자 'S'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7을 7회,To enter the letter 'S' 7 times,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4를 3회,To enter the letter 'i', press the number 4 key three times.

영문자 'l'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5를 3회,To enter the letter 'l' three times, press the numeric key 5 three times.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4를 3회,To enter the letter 'i', press the number 4 key three times.

영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2를 3회,To enter the letter 'c', press the number 2 key three times.

영문자 'o'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3회,To enter the letter 'o', press the numeric key 6 three times.

영문자 'n'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2회,Press the numeric key 6 twice to enter the letter 'n',

영문자 'T'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8을 5회,To enter the letter 'T', press the numeric key 8 five times.

영문자 'O'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7회,To enter the letter 'O', press the number key 6 seven times.

영문자 'P'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7을 4회, To enter the letter 'P' four times, use the numeric keys 7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1을 3회,To enter the number '1', press the numeric key 1 three times.

숫자 '0'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0을 1회로 총 46회를 입력해야 한다.In order to input the number '0', the number key 0 must be entered 46 times in total.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기능키를 누르는 횟수는 적으나, 숫자나 영어 대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4회 이상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 case, the number of pressing the function key is smal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repeatedly input four or more times in order to input a number or capital letters.

또한, 상기 키 입력의 두 가지 방식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은 문자의 사용 빈도수인데,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도가 높은 문자들은 대부분 두 번째, 세 번째에 할당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two methods of the key input i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letters. As shown in FIG. 7, most frequently assigned letters are assigned to the second and third.

즉, 사용빈도가 5%가 넘는 문자는 A,E,H,I,O,N,R,S,T등 9문자인데, 이중 A와 T를 제외한 문자들이 두 번째, 세 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That is, the letter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5% are 9 characters such as A, E, H, I, O, N, R, S, T, among which the letters except A and T are placed in the second and third You can see that.

이것은 문자를 입력할 때 입력횟수를 증가시키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다.This is the most decisive factor in increasing the number of times when enter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문자를 입력시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를 기본키로 하고, 나머지를 범례키로 설정하여 문자입력을 간편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is to simplify the character input by setting a character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when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st as a legend key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를 기본문자키로 할당하고, 문자키 이외의 버튼을 범례키로 할당하여, 기본키와 범례키와의 조합으로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하여 기본문자는 한 번의 버튼터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의 문자는 범례키를 한 번 더 눌러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using a wireless terminal, assign a character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s a basic character key, and assigns buttons other than the character key as a legend key, By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in combination with and the legend key, the basic characters can be input by one button touch, and the other characters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legend key once mo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문자키는 각 숫자키에 사용빈도가 높은 Q,A,E,I,L,O,R,T,Y를 기본문자로 하여, 상기 기본문자를 포함하여 3개씩 배정하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character key is assigned to each of the numeric keys, including the basic character, Q, A, E, I, L, O, R, T, Y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s the basic character and,

상기 범례키는 *버튼, #버튼과 볼륨 up/down 버튼 및 녹음버튼으로 배정하여 기본 문자 이외의 문자는 해당 숫자키와 각각 미리 설정된 범례키를 눌러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gend key is assigned to a * button, a # button, a volume up / down button, and a recording button so that a character other than the basic character is inputted by pressing a corresponding numeric key and a preset legend key,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볼륨UP키를 영/한 변환키로 설정하여, 볼륨UP키를 눌러서 영/한 변환모드를 설정한 후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volume UP ke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an English / English conversion key, pressing the volume UP key to set the English / English conversion mode, and then inputting a character.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볼륨 DOWN키를 'NUM'키(숫자 변환키)로 설정하여, NUM키를 눌러서 숫자변환모드를 설정한 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setting the volume down ke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NUM' key (number conversion key), and setting the number conversion mode by pressing the NUM key to enter.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녹음버튼은 'CAP'키(영어 대소문자 변환키)로 설정하여, CAP키를 눌러서 영어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입력모드를 설정한 후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set to the 'CAP' key (English case conversion key), by pressing the CAP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nputting a character after setting the input mode in English uppercase or lowercase It is done.

본 발명은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들을 각 숫자에 할당된 기본키로 하여 한 번 입력시에는 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 두개의 문자는 범례키로 하여 입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are inputted at a high frequency of use as a primary key assigned to each number, and characters are inputted once, and the remaining two characters are inputted as legend keys.

즉,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는 한번의 키 입력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최대 두번의 키입력으로 모든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 character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inputted with one key, and a character with a low frequency of use can input all English characters with a maximum of two keystrokes.

이를 위해서 0부터 1의 숫자키에 영문자는 그대로 두고 '*' 버튼에 '

Figure 112001027710204-pat00001
'를, #키에는 '
Figure 112001027710204-pat00002
'를 추가로 할당한다.To do this, leave the English letters on the numeric keys 0 to 1 and leave the '*' button on the '
Figure 112001027710204-pat00001
', With # key
Figure 112001027710204-pat00002
'Additionally assigned.

또한, 입력모드의 변경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단말기의 좌측에 부착된 볼륨 UP/DOWN키와 녹음키 등을 입력 모드시 기능을 변경하여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볼륨UP키는 영/한 변환키로, 볼륨 DOWN키는 'NUM'키로, 녹음버튼은 'CAP'키(영어 대소문자 변환키)로 재할당하여 어떤 모드에서도 단 한번의 키 입력으로 입력모드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hanging the input mode, the volume UP / DOWN key and the recording key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terminal are changed in the input mode. As shown in FIG. The volume down key is re-assigned by 'NUM' key, and the record button is reassigned by 'CAP' ke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LCD창을 나타낸 것으로,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입력창(40)과, 영어/한글 변환키(10)와, 숫자입력을 지정하는 NUM키(20)와, 영문을 입력할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CAPS(30)키 및 현재 문자입력 모드를 표시해주는 범례창(50)으로 이루어진다.FIG. 5 shows an LCD window configu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haracter input window 40 indicating input characters, an English / Korean conversion key 10, a NUM key 20 for specifying numeric input, and an English character. When inputting the case consists of a CAPS (30) key for distinguishing the case and the legend window 50 for displaying the current character input mo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LCD창을 적용하여 다음 도 6과 도 7의 키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embodiment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terminal having the key configuration of FIGS. 6 and 7 by applying the LCD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중 기본키를 크게 표시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중 기본키를 맨 앞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hows a large display of the primary key of the key arran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at the primary key of the key arran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상기 도 6 또는 도 7의 키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LCD창을 사용하여, 도 8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영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내었다. 도시 된 바와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Q,A,E,I,L,O,R,T,Y를 기본키로 설정하여 범례키와의 조합으로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한다.Using the terminal having the key configuration of FIG. 6 or FIG. 7 and the LCD window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5, FIG. 8 illustrates an English let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Q, A, E, I, L, O, R, T, and Y, which are frequently used, are set as primary keys to input English characters in combination with the legend keys.

a의 경우 2 2 for a

b의 경우 2, * 2 for b, *

c의 경우 2, # 2 for c, #

d의 경우 3, *3 for d, *

e의 경우 33 for e

f의 경우 3, #3 for f, #

g의 경우 4, *4 for g, *

h의 경우 4, #4 for h, #

i의 경우 44 for i

j의 경우 5, *5 for j, *

k의 경우 5, #5 for k, #

l의 경우 55 for l

m의 경우 6, *6 for m, *

n의 경우 6, #6 for n, #

o의 경우 66 for o

p의 경우 7, *7, for p *

q의 경우 11 for q

r의 경우 7 7 for r                     

s의 경우 7, #7, # for s

t의 경우 88 for t

u의 경우 8, *8 for u, *

v의 경우 8, #8 for v, #

w의 경우 9, *9 for w, *

x의 경우 9, #9 for x, #

y의 경우 99 for y

z의 경우 1, # 의 순서로 입력한다. For z, enter 1 in the order of #.

영어 대문자의 경우는 단말기 좌측에 통상적으로 위치한 CAPS키(녹음버튼)를 눌러서 입력모드를 바꾼 다음 위와 같이 누르면 된다. In case of English capital letters, press the CAPS key (record button) normally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erminal to change the input mode, and then press as shown above.

도 7을 참조하면, 한번 누름으로 입력되는 기본키 값 사용 빈도의 합이 58%를 넘는다. 즉 본 발명으로 영문자를 입력하면 평균 입력횟수가 1.5회를 넘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um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rimary key value input by one press exceeds 58%. That is, when the English letter is inp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number of inputs does not exceed 1.5 times.

예를 들어 상기의 Silicon TOP 10을 입력하고자 할 때 본 발명에서의 키 입력방법을 적용하면,For example, when the key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the silicon TOP 10 is to be inputted,

영어 대문자 입력모드 전환을 위해 CAPS키를 1회 누르고,Press the CAPS key once to switch to English capitalization mode.

영어 대문자 'S'를 위해 숫자키 7과 #키를 누르고(2회),Press number key 7 and # key (twice) for English capital letter 'S',

영어 소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CAPS키를 1회 누르고,Press the CAPS key once to switch to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4를 누르고(1회),To enter the letter 'i', press the numeric key 4 (once),

영문자 'l'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5를 누르고(1회), To enter the letter 'l', press the numeric key 5 (once),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4를 누르고(1회),To enter the letter 'i', press the numeric key 4 (once),

영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2와 #를 누르고(2회),To enter the letter 'c', press numeric keys 2 and # (twice),

영문자 'o'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누르고(1회),To enter the letter 'o', press the numeric key 6 (once),

영문자 'n'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과 #을 누르고(2회),To enter the letter 'n', press number keys 6 and # (twice),

영어 대문자로 입력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CAPS키를 누르고(1회).Press the CAPS key once to switch to input mode in English capital letters (once).

영문자 'T'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8을 누르고(1회),Press the numeric key 8 (once) to enter the letter 'T',

영문자 'O'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6을 누르고(1회),Press the numeric key 6 (once) to enter the English letter 'O',

영문자 'P'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7과 *을 누르고(2회),To enter the letter 'P', press the numeric keys 7 and * (twice),

숫자 입력모드 전환을 위해 NUM키(volume down 키)를 누르고(1회),Press the NUM key (volume down key) once to switch to numeric input mode.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1을 누르고(1회),Press number key 1 (once) to enter the number '1',

숫자 '0'을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0을 누른다(1회).Press numeric key 0 (once) to enter the number '0'.

상기와 같은 경우 총 키를 누르는 횟수가 총 22회로 종래의 기술보다 빠르고 간단하게 입력됨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number of key presses is 22 times faster and simpler than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기존의 영문 키 입력방식보다 키를 누르는 횟수가 적으며, 또한 그 이용방법이 간편하므로, 영문자 입력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key presses is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English key input method, and since the method of use thereof is simple, the English character input is simplified.

Claims (5)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using a wireless terminal,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를 기본문자키로 할당하고, 문자키 이외의 버튼을 범례키로 할당하여, 기본키와 범례키와의 조합으로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하여 기본문자는 한 번의 버튼터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의 문자는 범례키를 한 번 더 눌러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By assigning frequently used characters as basic character keys, assigning buttons other than character keys as legend keys, and entering English characters in combination with the primary and legend keys so that basic characters can be entered with one button touch. And other characters can be entered by pressing the legend key once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문자키는 각 숫자키에 사용빈도가 높은 Q,A,E,I,L,O,R,T,Y를 기본문자로 하여, 상기 기본문자를 포함하여 3개씩 배정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ic character keys include Q, A, E, I, L, O, R, T, and Y,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each numeric key, as the basic characters, and include three basic characters. Assign them, 상기 범례키는 *버튼, #버튼과 볼륨 up/down 버튼 및 녹음버튼으로 배정하여 기본 문자 이외의 문자는 해당 숫자키와 각각 미리 설정된 범례키를 눌러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The legend key is assigned to the * button, the # button and the volume up / down button and the recording button so that the characters other than the default character is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and the legend key, respectively set in advance. How to enter alphabetic character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무선 단말기의 볼륨UP키를 영/한 변환키로 설정하여, 볼륨UP키를 눌러서 영/한 변환모드를 설정한 후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And setting a volume UP ke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an English / English conversion key, and setting the English / English conversion mode by pressing the volume UP key to input a charact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무선 단말기의 볼륨 DOWN키를 'NUM'키(숫자 변환키)로 설정하여, NUM키를 눌러서 숫자변환모드를 설정한 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The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setting the volume down ke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a 'NUM' key (number conversion key) and pressing the NUM key to set the number conversion mo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무선 단말기의 녹음버튼은 'CAP'키(영어 대소문자 변환키)로 설정하여, CAP키를 눌러서 영어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입력모드를 설정한 후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The recording butt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set to the 'CAP' key (English case conversion ke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inputting a character after setting the input mode to English uppercase or lowercase by pressing the CAP key How to input English letters in.
KR1020010066524A 2001-10-27 2001-10-27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KR100811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524A KR100811358B1 (en) 2001-10-27 2001-10-27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524A KR100811358B1 (en) 2001-10-27 2001-10-27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87A KR20030034787A (en) 2003-05-09
KR100811358B1 true KR100811358B1 (en) 2008-03-07

Family

ID=2956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524A KR100811358B1 (en) 2001-10-27 2001-10-27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3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691A (en)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s keypad for english
KR101034427B1 (en) * 2005-01-21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lphabet key input system for mobile phone
WO2007046567A1 (en) * 2005-10-21 2007-04-26 Iksoo Eu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US20090315741A1 (en) * 2007-01-22 2009-12-24 Kiju Kim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973A (en) * 1999-06-09 2001-03-15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small keypad
KR20020022623A (en) * 2000-09-19 2002-03-27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KR20020035698A (en) * 2000-11-07 2002-05-15 키타무라 다쿠오 Key pad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008254A (en) * 2001-07-16 2003-01-25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973A (en) * 1999-06-09 2001-03-15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small keypad
KR20020022623A (en) * 2000-09-19 2002-03-27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KR20020035698A (en) * 2000-11-07 2002-05-15 키타무라 다쿠오 Key pad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008254A (en) * 2001-07-16 2003-01-25 김민겸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87A (en)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6732A (en) Method of allowing users to enter characters into electronic equipment by using cursor key and displaying user-entered characters
US7075519B2 (en)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equence into an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0811358B1 (en)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JP2001117709A (en) Keyboard system for one-hand input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250964B1 (en) The charactor inputting method of cellular phone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451206B1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8986B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keypad of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1356872A (en) Device for inputting key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69725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KR19990065826A (en) Hangul Character Input System and Hangul Vowel Input Method
KR20010107066A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KR20000041317A (en) Device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english
KR100686655B1 (en) Keypa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KR100655552B1 (en)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KR100688197B1 (en) Character input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83727B1 (en)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905575B1 (en) Two dimensio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020096156A (en) Method of inputting on English letter in mobile phone
KR100306486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lephone to b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 easily
KR10055683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