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412B1 -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412B1
KR100772412B1 KR1020060067109A KR20060067109A KR100772412B1 KR 100772412 B1 KR100772412 B1 KR 100772412B1 KR 1020060067109 A KR1020060067109 A KR 1020060067109A KR 20060067109 A KR20060067109 A KR 20060067109A KR 100772412 B1 KR100772412 B1 KR 10077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terface means
home
protocol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412B1/ko
Priority to US11/779,524 priority patent/US2008001939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2의 홈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토폴로지를 따르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피제어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지며, 제2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과, 제1 인터페이스 수단 및 제2 인터페이스 수단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대표하는 가상의 제2 홈네트워크상 기기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록시를 구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적인 비용 없이 종래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있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다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홈 패드, 홈 컨트롤 네트워크, 프록시

Description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ome control network}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계열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용선 계열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전용선 Point-to-Point 방식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와 제2 홈 네트워크의 연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2의 홈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토폴로지를 따르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피제어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가정 내의 홈 컨트롤(홈 오토메이션) 네트워크에 대한 여러 모델이 상용화되었다. 홈 컨트롤 네트워크는 여러 대의 피제어 기기(Controlled Device)와 한 대의 제어 기기(Controller)인 홈 패드로 구성되며, 각 기기 간에 명령어를 주고 받음으로써 피제어 기기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각 디바이스 개발자들의 고유한 기술을 사용한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제어 기기는 피제어 기기에 각 토폴로지에 따른 고유한 명령어를 내려 통신하며, 각 피제어 기기는 이러한 명령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토폴로지에 적합한 물리적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전력선 계열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onwork, Homeplug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력선 계열 통신의 Lonwork 토폴로지 하에서는, 모든 피제어 기기(110)가 전력선 모뎀을 내장하고 Lonwork 프로토콜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토콜 스택을 구동하는 CPU, 메모리 및 OS 등의 부가 장치들을 가지며, 이것들을 통해 제어 기기(100)와 통신 가능하다.
도 2는 종래 전용선 계열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피제어 기기(210)가 RS-232 등의 전용선에 의해 제어 기 기(200)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전용선 Point-to-Point 방식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기기(300)는 각 피제어 기기(310)와 1:1로 통신할 수 있도록 피제어 기기(310)의 수만큼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토폴로지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있는데, 그 논리적인 동작 방식은 제어 기기의 명령에 따라 피제어 기기가 응답하는 구조이다. 각 기술의 구현도나 복잡도에 따라 다양한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동작 방식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제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어할 피제어 기기를 선택한다. 보통 모니터와 터치 스크린 UI(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원하는 피제어 기기를 선택하게 된다. 선택된 피제어 기기의 메뉴에 들어간 사용자는 UI를 이용해 피제어 기기를 표현하는 메뉴 중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 후 피제어 기기의 특성값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면, 제어 기기에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제어 데이터를 전달한다. 제어 데이터 명령을 받은 피제어 기기는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그 수행 결과를 제어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 기기의 디스플레이에는 제어된 피제어 기기의 수행 결과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피드백된다.
그러나, 한 토폴로지에 속한 피제어 기기는 다른 토폴로지의 제어 기기와 상호 호환되지 않는다. 또한 지금까지 가정 내 피제어 기기와 제어 기기 간에 너무 많은 표준 및 기술이 존재하여 기기 간의 호환성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예를 들어, 에어콘과 전등을 제어하기 위해 구입한 홈 패드는 수도 검침기나 가스 검침기를 제어할 수 없다. 이러한 기기 간의 비호환성은 홈 콘트롤 기술을 지극히 폐쇄적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홈 네트워크 주거 건물을 짓는 건축주들(Home Builders)은 건물을 짓기 전에 호환성을 위해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미리 결정하고 그에 따른 기기만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의 효용성인 범용성과 호환성을 잃게 되었다. 따라서, 홈 컨트롤 네트워크의 비즈니스 모델은 건축주에 의해 주도될 수밖에 없고, 호환성이 결여된 디바이스들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홈 네트워크 산업의 성장이 저해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게 되었다.
또한, 홈 컨트롤 네트워크의 홈 패드는 집안의 어느 한 곳에만 장착되게 되어 있으므로, 피제어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홈 패드가 위치한 곳으로 사용자가 이동해야 한다. 이는 홈 네트워크의 장점인 이동성과 편리성을 크게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홈 네트워크상의 모든 기기에서 다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홈 네트워크가 제안되어 표준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홈 컨트롤 네트워크상의 피제어 기기인 에어콘, 전등, 가스 센서, 검침 센서 등에 새로운 홈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스택(stack)을 올리는 방안은 비용상의 문제가 있어 실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추가적인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제2 의 홈 네트워크와 종래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연동하고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에서 홈 컨트롤 네트워크상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2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대표하는 가상의 제2 홈네트워크상 기기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록시를 구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 및 기능 정보를 기술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1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된 제어 명령어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보낸 상기 제2 홈네트워크상의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가 이해할 수 있는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XML 문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에 디스플레이할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과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진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 홈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 및 기능 정보를 기술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 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와 제2 홈 네트워크의 연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400)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410, 420 또는 430)의 홈 패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자신이 제어하는 특정 홈 컨트롤 네트워크의 제어 프로토콜과 제2 홈 네트워크(450)에서 사용되는 제2의 제어 프로토콜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제2 홈 네트워크(450)의 입장에서 볼 때 상기 특정 홈 컨트롤 네트워크(410, 420 또는 430) 상의 피제어 기기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로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장치(400)를 통해 제2 홈 네트워크(450)에 속한 기기들(451 내지 456)에서 각 홈 컨트롤 네트워크(410, 420 또는 430) 내의 피제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전력선 계통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410), 전용선 계열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420) 및/또는 전용선 Point-to-Point 계열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430)를 제어하는 홈 패드 장치(4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의 홈 패드 장치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피제어 기기와 제어 기기인 홈 패드(400) 간의 물리적인 연결 방식과 논리적인 프로토콜은 기존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다. 또한, 제2의 홈 네트워크(450)가 특정 토폴로지의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40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400)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피제어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510)을 가진 홈 패드 장치로서, 제2 홈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해 프록시(540)를 구동하는 제어 수단(520)과, 제2 홈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5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 수단(510) 및 제2 인터페이스 수단(530)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스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제1 인터페이스 수단(510)은 홈 컨트롤 네트워크 고유의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인터페이스 수단(530)은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 스택과 물리적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프록시(540)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510) 및 제2 인터페이스 수단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제어 장치(400)가 모든 피제어 기기를 대표하는 가상의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400)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400)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하나 이상의 홈 컨트롤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511 내지 51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피제어 기기(도시되지 않음)와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해하고 있으며 각 각의 기술을 통해 피제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400)와 제2 홈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하여, 프록시(540)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511, 512, 513, 514 또는 515)를 통해 피제어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 컨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데이터 등을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더넷 인터페이스(531)를 통해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피제어 기기와 상기 제어 장치(400) 간의 고유한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한다. 제어 장치(400)의 제어 수단(420)은 프록시(540)를 동작시키기 위한 CPU(610)를 포함하며 프로토콜 해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구동을 위해 OS(도시되지 않음)를 내재한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제2 홈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이더넷 인터페이스(531)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유통되고 있는 홈 패드는 대부분 1GHz 급 이상의 CPU를 장착하고 있고, 윈도우즈 계열의 OS나 리눅스 계열의 OS를 탑재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연결을 위하여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기본 장착하고 있으므로, 홈 패드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540) 모듈만을 추가하면 되며 추가 비용은 거의 들지 않는다.
제어 수단(520)은 제어 장치(400)가 홈 패드로서 관리하고 있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상의 피제어 기기들의 제어 메커니즘을 제2 홈 네트워크에 알려주기 위하여, 프록시(540)를 통해 피제어 기기들에 대한 기기 정보 및 기능 정보를 기술한 디스크립션 문서(Description Document)를 생성한 후,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디스크립션 문서는 UPnP 스펙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와 서비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홈 네트워크상의 제어 기기는 이 디스크립션 문서를 해석하여 제어 장치(400)를 하나의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로 인식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문서의 일 예이다. 이 예에서 <SCPDURL> 엘리먼트 내에 서비스 디스크립션의 URL들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controlURL> 엘리먼트에 HTTP PUT으로 명령어를 입력시킬 상대 디바이스의 URL이 위치하며, <eventSubURL> 엘리먼트에 HTTP Notify로 Event를 Subscribe할 상대 디바이스의 URL이 위치한다.
<?xml version="1.0"?> <root xmlns="urn:schemas-upnp-org:device-1-0"> <specVersion> <major>1</major> <minor>0</minor> </specVersion> <URLBase>base URL for all relative URLs</URLBase> <device> <deviceType>urn:schemas-upnp-org:device:deviceType:v</deviceType> <friendlyName>short user-friendly title</friendlyName> <manufacturer>manufacturer name</manufacturer> <manufacturerURL>URL to manufacturer site</manufacturerURL> <modelDescription>long user-friendly title</modelDescription> <modelName>model name</modelName> <modelNumber>model number</modelNumber> <modelURL>URL to model site</modelURL> <serialNumber>manufacturer's serial number</serialNumber> <UDN>uuid:UUID</UDN> <UPC>Universal Product Code</UPC> <iconList> <icon> <mimetype>image/format</mimetype> <width>horizontal pixels</width> <height>vertical pixels</height> <depth>color depth</depth> <url>URL to icon</url> </icon> XML to declare other icons, if any, go here </iconList> <serviceList> <service> <serviceType>urn:schemas-upnp-org:service:serviceType:v</serviceType> <serviceId>urn:upnp-org:serviceId:serviceID</serviceId> <SCPDURL>URL to service description</SCPDURL> <controlURL>URL for control</controlURL> <eventSubURL>URL for eventing</eventSubURL> </service> Declarations for other services defined by a UPnP Forum WC (if any) go here Declarations for other services added by UPnP vendor (if any) go here </serviceList> <deviceList> Description of embedded devices defined by a UPnP Forum WC (if any) go here Description of embedded devices added by UPnP vendor (if any) go here </deviceList> <presentationURL>URL for presentation</presentationURL> </device> </root>
서비스 디스크립션 문서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scpd xmlns="urn:schemas-upnp-org:service-1-0"> <specVersion> <major>1</major> <minor>0</minor> </specVersion> <actionList> <action> <name>actionName</name> <argumentList> <argument> <name>formalParameterName</name> <direction>in xor out</direction> <retval/> <relatedStateVariable>stateVariableName</relatedStateVariable> </argument> Declarations for other arguments defined by UPnP Forum WC (if any)go here </argumentList> </action> Declarations for other actions defined by UPnP Forum WC (if any)go here Declarations for other actions added by UPnP vendor (if any) go here </actionList> <serviceStateTable> <stateVariable sendEvents="yes"> <name>variableName</name> <dataType>variable data type</dataType> <defaultValue>default value</defaultValue> <allowedValueList> <allowedValue>enumerated value</allowedValue> Other allowed values defined by UPnP Forum WC (if any) go here </allowedValueList> </stateVariable> <stateVariable sendEvents="yes"> <name>variableName</name> <dataType>variable data type</dataType> <defaultValue>default value</defaultValue> <allowedValueRange> <minimum>minimum value</minimum> <maximum>maximum value</maximum> <step>increment value</step> </allowedValueRange> </stateVariable> Declarations for other state variables defined by UPnP Forum WC(if any) go here Declarations for other state variables added by UPnP vendor (if any) go here </serviceStateTable> </scpd>
이제 제어 장치(400)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프록시 기기로 제2 홈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피제어 기기들을 제어하기를 원하는 제2 홈 네트워크 기 기들은 제2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제2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 장치(400)와 연결하면 된다. 이 경우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각 기기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CP(Control Point)가 되며, 제어 장치(홈 패드)(400)는 제어를 받는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로 등록된다. 제2 홈 네트워크상의 다른 기기들은 제어 장치(400)를 통해 홈 컨트롤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을 알 수 있으며 기기들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립션 문서에 서술되어 있는 원하는 서비스에 제어 메시지를 보내면 된다. 예를 들어, XML로 작성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를 제어 장치(400)에 보내 해당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어 메시지를 받은 제어 수단(520)은 프록시(540)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해당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고유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명령어로 변환한 후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 장치(400)로부터 제어 명령어를 받은 피제어 기기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응답한다. 제어 응답을 받은 제어 장치(400)는 프록시(540)를 통해 이를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SOAP 응답 메시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제어 메시지를 보낸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한다.
만일 피제어 기기들이 상태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면, 이런 이벤트 메시지를 받은 제어 장치(400)는 이를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 예컨대 XML 형태의 GENA(General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 메시지로 변환한 후 제2 홈 네트워크에 해당 피제어 기기의 상태 변화를 통지한다. 이러 한 기능을 통해, 에어컨의 온도 값을 거실에 있는 DTV에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재의 노트북에서도 에어컨의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프록시(540)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부(546)와, 이더넷 인터페이스(53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 장치(400)와 통신하는 제2 홈 네트워크 기기가 이해할 수 있는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XML 문서 변환부(544)와, 제어 장치(400)에서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홈 네트워크 기기에 디스플레이할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환부(542)로 모듈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홈 패드의 프록시는 먼저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피제어 기기들에 대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생성하여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한다(702, 704).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들은 홈 패드를 새로운 제2 홈 네트워크 기기로 등록함으로써 홈 패드에 의해 관리되는 피제어 기기들을 인식할 수 있다(706). 제2 홈 네트워크 기기의 사용자는 디스크립션 문서에 기술된 서비스들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어 메시지를 보내도록 함으로써 홈 패드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피제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708). 프록시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피제어 기기가 어떤 것인지 판단한 후 피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포맷의 제어 명령어로 변환한다(710). 피제어 기기가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면(712) 이를 수행한 후(714) 수행 결과를 홈 패드에 응답한다(716). 프록시는 이 응답을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응답 메시지로 변환한 후(718) 제어 메시지를 보낸 제2 홈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한다(720). 한편, 피제어 기기의 상태가 변경되어 이벤트가 발생하면(722) 프록시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제2 제어 프로토콜의 이벤트 메시지로 변환하여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로 전송한다(724 내지 72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추가적인 비용 없이 종래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있는 홈 컨트롤 네트워크를 다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내 어떠한 기기에서도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홈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5)

  1.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2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대표하는 가상의 제2 홈네트워크상 기기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록시를 구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 및 기능 정보를 기술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생성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1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명령어로 변환 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된 제어 명령어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보낸 상기 제2 홈네트워크상의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가 이해할 수 있는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XML 문서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에 디스플레이할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과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진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 홈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 및 기능 정보를 기술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제어 명령어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변환된 제어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보낸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에 디스플레이할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방법.
  13. 홈 컨트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과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가진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 홈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 및 기능 정보를 기술한 디스크립션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제어 명령어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홈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변환된 제어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프로토콜에 따른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보낸 상기 제2 홈 네트워크상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60067109A 2006-07-18 2006-07-18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09A KR100772412B1 (ko) 2006-07-18 2006-07-18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779,524 US20080019392A1 (en) 2006-07-18 2007-07-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contro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09A KR100772412B1 (ko) 2006-07-18 2006-07-18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412B1 true KR100772412B1 (ko) 2007-11-01

Family

ID=3897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109A KR100772412B1 (ko) 2006-07-18 2006-07-18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19392A1 (ko)
KR (1) KR1007724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548A3 (ko) * 2010-05-11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호공존 방식에서 대표 기기 선출 방법
KR101346461B1 (ko) * 2011-12-30 2014-0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네트워크 연결방법
KR20150030500A (ko) * 2013-09-12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운영환경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68692B2 (en) 2013-10-15 2020-12-15 Kt Corporation Monitoring device using automation network
KR102221124B1 (ko) * 2020-06-12 2021-02-26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내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프로토콜 변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4363B1 (en) 2009-09-18 2012-07-31 Kuo-Hua Kuo Dynamic object management protocol
US10044598B2 (en) * 2011-07-11 2018-08-07 Sony Corporation Network proxying technology
US9900177B2 (en) 2013-12-11 2018-02-2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intaining up-to-date home automation models
US9769522B2 (en) 2013-12-16 2017-09-1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specific operations
US10685402B1 (en) 2014-04-25 2020-06-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omeowner-directed risk of property damage mitigation
US9824578B2 (en) 2014-09-03 2017-11-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US9989507B2 (en) 2014-09-25 2018-06-05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US10356303B1 (en) 2014-10-07 2019-07-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s based upon image data from image sensors
US9511259B2 (en) 2014-10-30 2016-12-06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Fitness overlay and incorporat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83011B2 (en) 2014-10-30 2018-05-29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pping and facilitating evacuation routes in emergency situations
US9967614B2 (en) 2014-12-29 2018-05-0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Alert suspens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729989B2 (en) 2015-03-27 2017-08-08 Echostar Technologies L.L.C. Home automation sound detection and positioning
US994847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weather detection
US994685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stricted access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60980B2 (en) 2015-08-21 2018-05-0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KR20170060598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 서버 및 그 제어방법
AU2016361086B2 (en) * 2015-11-24 2020-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96066B2 (en) 2015-11-25 2018-06-1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VAC health monitoring using a television receiver
US10101717B2 (en) 2015-12-15 2018-10-16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10091017B2 (en) 2015-12-30 2018-10-0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US10073428B2 (en) 2015-12-31 2018-09-1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US10060644B2 (en) 2015-12-31 2018-08-2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9882736B2 (en) 2016-06-09 2018-01-3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sound generation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294600B2 (en) 2016-08-05 2019-05-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detection of washer/dryer operation/fault condition
US10049515B2 (en) 2016-08-24 2018-08-1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US10825318B1 (en) 2018-04-09 2020-11-03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ensing peripheral heuristic evidence, reinforcement, and engage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00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릿지 수단을 가지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동작방법
KR20030070301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058948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0439T2 (de) * 1995-11-22 2002-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chitektur eines heim-multimedia-netzwerkes
US6523696B1 (en) * 1996-10-15 2003-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US6449259B1 (en) * 1997-03-31 2002-09-10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controller
US6510152B1 (en) * 1997-12-31 2003-01-21 At&T Corp. Coaxial cable/twisted pair fed, integrated residence gateway controlled, set-top box
KR100847596B1 (ko) * 2000-03-02 2008-07-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망 시스템, 게이트웨이, 데이터 통신방법과 프로그램제공매체
JP3883775B2 (ja) * 2000-03-17 2007-02-21 株式会社デジタル 制御システム用サーバ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用サーバ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CN1270248C (zh) * 2000-09-27 2006-08-16 索尼株式会社 家庭网络系统
US6941356B2 (en) * 2001-06-29 2005-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configuration enabled via interrogation over network
KR100381170B1 (ko) * 2001-07-20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1422949B1 (en) * 2002-11-20 2004-10-20 Alcate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WO2004055949A1 (en) * 2002-12-18 2004-07-01 Pirelli & C. S.P.A. Modular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distribution network and a residential network
US20040203387A1 (en) * 2003-03-31 2004-10-14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with a wireless data enabled remote control
US7734282B2 (en) * 2003-08-28 2010-06-08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7154862B2 (en) * 2003-12-31 2006-12-26 Openpeak Inc.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based or peer-to-peer network environments
EP1619898A1 (en) * 2004-07-19 2006-01-25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operating in a home network
CA2589065A1 (en) * 2004-10-27 2006-05-04 Superna Limited Networked device control architecture
CN101133609B (zh) * 2005-03-04 2010-12-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节点和通信控制方法
JP4901863B2 (ja) * 2005-07-04 2012-03-21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ための住居用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
US7694005B2 (en) * 2005-11-04 2010-04-06 Intermatic Incorporated Remote device management in a home automation data transfer system
IL172454A (en) * 2005-12-08 2010-11-30 Eci Telecom Ltd Gateway connecting a home network and an external network
JP2007280113A (ja) * 2006-04-07 2007-10-25 Canon Inc 代理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00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릿지 수단을 가지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동작방법
KR20030070301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058948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생성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548A3 (ko) * 2010-05-11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호공존 방식에서 대표 기기 선출 방법
US8868671B2 (en) 2010-05-11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a master device in a coexistence system
KR101346461B1 (ko) * 2011-12-30 2014-0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네트워크 연결방법
KR20150030500A (ko) * 2013-09-12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운영환경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87340B1 (ko) 2013-09-12 2016-12-16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운영환경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98533B2 (en) 2013-09-12 2017-10-24 Kt Corporatio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US10169026B2 (en) 2013-09-12 2019-01-01 Kt Corporatio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US10868692B2 (en) 2013-10-15 2020-12-15 Kt Corporation Monitoring device using automation network
KR102221124B1 (ko) * 2020-06-12 2021-02-26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내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프로토콜 변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9392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412B1 (ko)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8699501B2 (en) Residential gateway system for home network service
JP4531794B2 (ja)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てUPnP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デバイ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
US20060184615A1 (en) Service framework for home network
EP23140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put in home network using upnp
JP4337591B2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5003231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Perumal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AP-based residential management for smart home systems
JP4004211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バ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6236354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サービスフレームワーク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316669A (ja) 監視制御方法および監視制御システム
EP1693990B1 (en)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JP366193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698354B1 (ko)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78541A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KR20030062732A (ko)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디바이스 제어방법
JP4515489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KR101493692B1 (ko)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이벤트 메시지 수신 방법,피제어 장치 및 제어 포인트
CN101778020A (zh) 通用即插即用设备数据模型发现及通知的方法、装置和系统
KR100565495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Segarra et al. Ametsa: Generic Home Control System Based on UPnP
KR100657466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48548B1 (ko) Rg의 등록, 인증, 접속관리 프로토콜을 위한 방법
KR20060034337A (ko) 음성으로 홈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홈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그들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