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380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380B1
KR100739380B1 KR1020060013538A KR20060013538A KR100739380B1 KR 100739380 B1 KR100739380 B1 KR 100739380B1 KR 1020060013538 A KR1020060013538 A KR 1020060013538A KR 20060013538 A KR20060013538 A KR 20060013538A KR 100739380 B1 KR100739380 B1 KR 10073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receiver
transmit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구
이중호
박지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1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3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easily designate a desired electronic device by generating a designation signal and simply indicat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finger wearing a ring-type transmitter. An annular body(111) can be wore on a finger of a user. A command input unit(130) is manipulated by another finger of the user. A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unit(150) projects a linearity signal in a certain limited direction. A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n RF signal. A command processing unit determin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mmand input unit(130) and drives the projection unit(150) and the transmission unit. A sensing unit(230) senses the linearity signal. A receiving unit receives the RF signal. A sign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with a driving circuit of an electronic device, activates the receiving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e linearity signal, and transfer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F signal to the driving circuit.

Description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제어 개념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rol concept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of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of FIG. 1.

도 4a 내지 도 4c는 명령 입력 수단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A to 4C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command input means.

도 5는 도 1의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of FIG. 1.

도 6a 내지 도 6c는 지정신호 감지 수단을 나타낸 수신기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6A to 6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part of a receiver showing a designation signal sensing means.

도 7a 내지 도 7e는 수신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될 수 있는 심벌의 예를 나타낸 수신기의 정면도이다.7A to 7E are front views of the receiver showing examples of symbols tha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of the receiver.

도 8은 수신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ceiver.

도 9는 송신기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ransmitter.

도 10a 및 도 10b는 수신기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0A and 10B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전자기 기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1A to 11E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자기기 제어장치 110 : 반지형 송신기10: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110: ring transmitter

111 : 반지형 몸체 130 : 명령 입력 수단111: ring body 130: command input means

160 : 지정신호 투사 수단 200 : 수신기160: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200: receiver

210 : 수신기 몸체 230 : 지정신호 감지 수단210 receiver body 230 designation signal detection means

260 : 작동상태 표시 수단260: operating status display means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반지형 송신기와 복수의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의 작동을 단일 송신기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comprising a ring transmitter worn on a user's finger and a receiver assign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 single transmitter.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that can be.

통상, 텔레비젼, 오디오 세트, 에어컨디셔너 등의 전자기기는 그 본체의 일측에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리모콘”으로 불리우는 원격제어기를 갖추고 있다. 리모콘은 각각의 전자기기 전용으로 갖추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리모콘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여러 대의 전자기기가 갖추어진 경우 그에 맞는 여러 리모콘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 는 번거로움이 있다.Typically,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audio sets, and air conditioners are equipped with various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lso have a remote controller called a "remote control" to enable remote control. . The remote control is dedicated to each electronic device.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desired by the user, since each remote control must be operated individual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t is troublesome to individually operate the remote control accordingly.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손 또는 양손으로 리모콘 몸체 전체를 감싸쥐고 감싸쥔 손의 엄지로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해당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손이 불편한 사용자는 리모콘을 쉽게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with the thumb of the clasped hand while holding the entire body of the remote control with one or both hands, the user who is uncomfortable with the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asily operated.

또한, 최근들어, 두세 대의 리모콘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하나의 리모콘만으로 두세 대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콘”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합 리모콘은 제어할 전자기기가 많아 복잡하게 구성될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편할 정도로 크게 제작된다. 따라서, 통합 리모콘의 경우, 이미 설정된 전자기기에 대해서만 제어가 가능하여 새로운 전자기기에는 적용될 수 없고, 그 크기와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recent years,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has been used to integrate two or three remote control functions into one and control two or three electronic devices with only one remote control. However,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large enough to be inconvenient to carr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control only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lready been set, and thus cannot be applied to the new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반지형 송신기와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에 접속되는 수신기로 이루어져, 원거리에서 작은 손동작으로 간편하게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ring-type transmitter and a receiver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worn on the user's finger,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small hand movement at a distance easily It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that can be oper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전자기기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를 단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which can designate a desired electronic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y simply pointing a finger, and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전자기기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를 지정하고 지정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designating an electronic device desir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ontrolling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기와, 복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할당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로서, 상기 송신기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 하나에 착용 가능한 반지형 몸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제공된 명령 입력 수단; 소정의 제한된 방향으로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도록 상기 몸체에 제공된 투사 수단;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그리고 상기 명령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투사 수단과 송신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 상기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그리고 전자기기의 구동회로와 접속되고, 상기 감지 수단에서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수신 수단을 활성화하고 수신된 무선주파수의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상기 구동회로에 전달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ssign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spectively, the transmitter is wearable on one of the user's fingers Annular body; Command input means provided in the body to be operable by another one of the user's fingers; Projection means provided in the body to project a straight signal in a predetermined limited direc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command process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to drive the projection means and the transmission means, the receiver comprising: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linearity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radio frequency signal; And signal processing means connected to a driving circuit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ctivating the receiving means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driving circuit when the sensing means detects the linearity signal. .

상기 명령 입력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중 다른 하나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몸체에 위치되고, 누름, 문지름, 젖힘 또는 돌림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mmand input means is positioned on the body to be manipulated by another one of the user's fingers, and configured to recognize pressing, rubbing, flipping or turning.

또한, 상기 송신기의 투사 수단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jection means of the transmitt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ject a laser or an ultrasonic wave.

또한, 상기 감지 수단이 상기 수신기의 상기 송신기를 향하는 면에 설치된 반투명 스크린과, 상기 레이저에 의해 상기 반투명 스크린 상에 맺히는 상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preferably includes a translucent screen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receiver facing the transmitter, and a camera for detecting an image formed on the translucent screen by the laser.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감지 수단의 전방에 배치되고 입사하는 직진성 신호를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eiver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scattering means for scattering an incoming linear signal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means.

또한, 상기 명령 처리 수단은 상기 투사 수단을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drive the projection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투사 수단은 펄스파로 구성되는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means project a linear signal composed of pulse waves.

이 경우,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기는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을 조작하는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tters, and the plurality of transmitters are configured to transmit signals of different radio frequencies according to a form in which a user operates a command input means.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수신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display means for being driven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and for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ceiver.

이 경우,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거나 상기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표시 수단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명령 입력 수단에 가하는 조작을 형상화한 심벌을 표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means preferably drives the display means when sensing the linearity signal or receiving the radio frequency signal, wherein the display means is a symbol that embodies an operation that a user applies to the command input means. It is more preferable to display.

또한, 상기 표시 수단은 투명 액정 패널이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투명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투명 스크린과, 상기 직진성 신호에 의해 상기 반투명 스크린 상에 맺히는 상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means may be a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sensing means may include a translucent screen disposed behind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and a camera for detecting an image formed on the translucent screen by the linearity signal. Do.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된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착용된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반지형 송신기와, 복수의 전자기기에 그 구동회로와 접속되도록 각각 할당되어 있고 상기 송신기에서 발생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회로에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송신기를 조작하여 직진성 신호를 투사시키는 단계, (b) 상기 직진성 신호가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에 닿도록 상기 송신기를 착용한 손가락을 이동하여 수신기를 지정하는 단계, (c)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단계, (d) 상기 송신기를 조작하여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무선주파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회로에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ng-shaped wearable on the user's finger, manipulated by fingers other than the worn fing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radio frequency signal by the user's operation and project a straight signal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worn finger. A plurality of electronics us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each assigned to be connected with the driving circuits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onfigured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s to the driving circuits in response to signals generated by the transmitters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manipulating the transmitter to project a straight signal; (b) moving a finger wearing the transmitter such that the straight signal reaches a receiver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Specifying a receiver by (c) the designated receiver detecting the linearity signal And (d) operating the transmitter to generate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e) the designated receiver in response to the radio frequency signal.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여기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발생된 신호에 응답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단계 (c) 및 (e) 이후에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받은 신호에 응답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Here, the receiv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result in response to th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and the control method is a result of the response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by the designated receiver after the steps (c) and (e).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isplaying.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단계 (e) 이후에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를 조작하여 발생된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받아서 비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송신기는 무선주파수의 신호와 함께 직진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step (e), receiving the radio frequency signal generated by the designated receiver by operating the transmitt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r generates a linear signal together with the radio frequency sign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기기중 사용자가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해 투사되는 직진성의 신호는 “지정신호”로 참조되고,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되는 무선주파수의 신호는 “제어신호”로 참조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a linear signal projected to designate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referred to as a "designated signal", and is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The signal is referred to as the "control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0)를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10.

전자기기 제어장치(10)는, 전자기기를 지정하고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중 어느 한 마디에 착용될 수 있는 반지형 송신기(100)와,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신기(200)로 이루어진다.The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10 receives a signal and a ring-shaped transmitter 100 that can be worn on any node of the user's finger and transmits a signal for designa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its operation. The receiver 2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송신기(100)는 반지형 몸체(111)를 구비한다. 반지형 몸체(111)는, 외관상,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중 하나에 삽입가능한 삽입부(111a)와, 삽입부(111a)의 측방에 형성되고 삽입부(111a)가 삽입된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끝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평평한 측면(111b)과, 삽입부(111a)의 일측에, 예컨대 삽입부(111a)의 상측에 형성되고 전자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1c)를 가진다.The transmitter 100 has a ring body 111. The ring-shaped body 111, in appearance, the insertion portion 111a that can be inserted into one of the user's finger nodes, and the tip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finger formed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1a and the insertion portion 111a is inserted It has a flat side surface (111b) that the parts can contact, and a receiving portion (111c)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1a),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1a) and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accommodated.

삽입부(11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그가 서로를 향해 오목하게 구부러져 그 안에 손가락 마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중 임의의 마디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료,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111a)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insertion portion 111a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wo legs are concave bent toward each other so that the finger nodes can be inserted therein. Preferably, it can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so that any of the user's finger nodes can be fully inserted. Insertion portion 111a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er.

평평한 측면(111b)에 삽입부(111a)가 삽입된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끝부분이 접촉한다. 평평한 측면(111b) 상에 전자기기를 지정하고 그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 수단(130)이 노출되어 있다. 도시된 송신기(100)에서, 평평한 측면(111b)은 수신기(1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형성되어, 예컨대 오른손잡이용으로 구성되지만, 왼손잡이를 위한 경우 좌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End portions of fingers other than the finger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11a is inserted are in contact with the flat side surface 111b. On the flat side 111b, command input means 130 for inputting a command for designating a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its operation is exposed. In the illustrated transmitter 100, the flat side 111b is formed on the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receiver 100, for example, configured for right-handed use, but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for left-handed use.

수용부(111c)는 그 안에 송신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전자 부품을 수용한다. 수용부(111c)의 전방 표면(즉, 송신기(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될 때, 송신기(100)의 수신기(200)를 향하는 수용부(111c)의 표면)에는 전자기기(20)를 지정하기 위한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는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은 수용부(111c)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은 반지형 몸체(111)가 손가락 마디에 착용될 때 착용된 손가락 마디에 수직하게,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반지형 몸체(111)로부터 상방으로 지정신호를 투사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11c accommodate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100 therein. The electronic device 20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1c (that is,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1c facing the receiver 200 of the transmitter 100 when the transmitter 10 is worn on the user's finger). A portion of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for projecting the linearity signal for designation is exposed.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ng means 150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c. In addition,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is a designation signal perpendicular to the worn finger node when the ring-shaped body 111 is worn on the finger node, that is, upward from the ring-shaped body 111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also be positioned to project light.

수신기(200)는, 외관상, 수신기측 전자부품들을 수용하고 전자기기의 일부분 상에 놓이거나 또는 임의의 바닥,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될 수 있는 수신기 몸체(210)와, 몸체(210)의 전방 표면(즉, 몸체(210)의 사용자를 향하는 표면)에 노출된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과, 몸체(210)의 전방 표면에 노출되고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심벌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250)을 구비한다.The receiver 200 is a receiver body 210 and a front surface of the body 210 which, in appearance, can receive receiver side electronics and rest on a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r be fixed to any floor, wall or ceiling. (I.e.,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exposed to the user's surface of the body 210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ymbo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ignal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10). 250).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은 송신기(100)에서 투사된 지정신호를 감지한다. 표시 수단(25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LED를 채용한 도트매트릭스 디스플레이 패널, FND(flexible numeric display)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뿐만 아니라 장방형 또는 정방형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수단(250)은 송신기(100)로부터의 신호, 즉 지정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즉각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입력한 명령을 피드백하도록 기능한다.The designation signal detecting means 230 detects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ed from the transmitter 100. The display means 25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dot matrix display panel employing LEDs, a flexible numeric display (FND) panel, or the like, and may have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as well as a circle as shown. The display means 250 immediately display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0, that is, a designated signal or a control signal, so as to feed back a command input to the us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송신기(100)를 자신이 손가락 마디 중 하나에 착용한 상태에서,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하여 전자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며, 수신기(200)는 전자기기(20)의 일부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수신기(200)가 전자기기(20) 내부의 회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면, 수신기(200)는 전자기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 by operating the command input means 130 while the transmitter 100 is worn on one of the finger nodes. The receiver 200 is fixedly installed at a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20. If the receiver 20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 circuit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receiver 200 may be loc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사용자는 송신기(100)를 자신의 검지의 마디중 하나, 예컨대 중간마디에 착용하고 명령 입력 수단(130)을 엄지의 끝부분을 사용해 조작한다. 송신기(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방식이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송신기(100)는 검지의 끝마디 또는 처음마디에 착용될 수도 있고, 중지의 마디 중 하나에 착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엄지의 끝마디에 송신기가 착용되고, 사용자는 검지의 끝부분을 사용해 명령 입력 수단을 조작할 수도 있다.The user wears the transmitter 100 on one of the nodes of his forefinger, for example, the middle node, and manipulates the command input means 130 using the tip of the thumb. The manner in which the transmitter 100 is worn by the user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For example, the transmitter 100 may be worn at the end or the first node of the index finger or at one of the nodes of the middle finger. In addition, the transmitter is worn at the end of the thumb,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command input means by using the end of the index finger.

송신기(100)를 손가락 마디 중 하나(예컨대, 검지의 중간마디)에 착용한 상태에서 엄지의 끝부분으로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하여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지정신호)를 투사시킨다. 지정신호는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으로부터 투사되어 직진한다. 이 때, 사용자가 송신기(100)가 착용된 자신의 손가락으로 원하는 전자기기(20)(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전자기기(20)와 연결된 수신기(200))를 가리키면, 수신기(200)는 지정신호를 감지하여 전자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할 준비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지정된 전자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명령 입력 수단(130)을 통해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은 송신기(100)를 통해 송신되고, 송신된 명령은 수신기(200)로 수신되어 지정된 전자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한다.While the transmitter 100 is worn on one of the fingertips (for example, the middle finger of the index finger),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operated with the tip of the thumb to project a signal (designated signal) for designating the electronic device. . The designation signal is projected from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and goes straight. At this time, when the user points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20 (more specifically, the receiver 200 connected with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20) with his or her finger on which the transmitter 100 is worn, the receiver 200 designates By detecting the signal is read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 Subsequently,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20 through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he input comm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100, and the transmitted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00. Receiv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pecified electronic device (20).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 제어장치(10)의 송신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송신기(10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해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 수단(130)과, 명령 입력 수단(130)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전기적 신호를 판단하여 지정신호가 투사되게 하거나 제어신호가 송신되게 하는 명령 처리 수단(120)과, 명령 처리 수단(120)에 의해 구동되어 직진성을 가지는 지정신호를 송신기(100)의 전방으로 투사하는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과, 명령 처리 수단(120)에 의해 구동되어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과, 송신기(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60)을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100 of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10 of FIG. 1. The transmitter 100 determines a command input means 130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command using a finger and an electric signal of a command input through the command input means 130 so that a designated signal is projected or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command signal processing means 120 driven by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and designating signal projection means 150 for projecting the forwarding designation signal in front of the transmitter 100, and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It includes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ans 140 for driving by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1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er (100).

명령 입력 수단(130)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입력부는 반지형 몸체(111)의 평평한 측면(111b) 상에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 끝부분(예컨대, 엄지의 끝부분)을 사용해 노출된 입력부를 조작하여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송신기(100)에 입력한다. 명령 입력 수단(130)은 사용자가 손가락 끝 부분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동작, 예컨대 누름 동작, 문지름 동작, 젖힘 동작, 돌림 동작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명령 입력 수단(1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이스틱”의 형태이다. 조이스틱 명령 입력 수단(130)은 상하좌우의 네 방향의 젖힘과 중앙 부분의 누름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돌림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엄지의 끝부분으로 조이스틱 명령 입력 수단(130)을 각 방향으로 한번 또는 두번 젖히거나, 중앙 부분을 한번, 두번 또는 오래 누르거나, 어느 방향으로 돌리는 각각 다른 동작을 통해 다수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to which the user's finger of the command input unit 130 contacts is exposed on the flat side surface 111b of the ring-shaped body 111.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the transmitter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manipulating the exposed input unit using a fingertip (eg, the tip of a thumb). The command input unit 130 is configured to recognize an operation that the user can perform with the fingertip, for example, a pressing operation, a rubbing operation, a flipping operation, a turning operation, and the like.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n this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a “joystick”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joystick command input unit 130 may recognize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pressing of the central part, and turning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user may input a plurality of commands through different actions of tilting the joystick command input means 130 once or twice in each direction, pressing the center part once, twice or long, or turning in any direction with the tip of the thumb. Can be.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을 통해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송신기(100)에 입력하면,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에 가하는 각 동작으로부터 발생된 명령 입력 수단(130)의 전기적 신호는 명령 처리 수단(120)으로 들어간다. 명령 처리 수단(120)은 명령 입력 수단(130)으로부터 들어온 전기적 신호가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명령인지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지를 판단하며, 송신기(100)에서 지정신호가 투사되게 하거나 제어신호가 송신되게 한다.When a user inputs a comman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o the transmitter 100,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generated from each operation that the user applies to the command input means 130. Enters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a command for designating an electronic device or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and the designation signal is projected by the transmitter 100. Or control signals are sent.

명령 처리 수단(120)에는 명령 입력 수단(130)으로부터의 각종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을 구동하거나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에 보낼 제어신호가 미리 기억 또는 설정되어 있다. 즉, 명령 입력 수단(130)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각 동작에 의해 각기 다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될 것이고, 명령 처리 수단(120)은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판단하여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을 구동 하거나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에 전달한다.In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a control signal to drive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on means 150 or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ans 140 is stored or set in advance in response to various electrical signals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hat is,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will be generated by each operation applied to the command input means 130 by the user, and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etermines the respective electric signals to drive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on means 150. Or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ans 140.

지정신호인 경우, 명령 처리 수단(120)은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을 구동하여 송신기(100)로부터 직진성의 지정신호가 투사되게 한다.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은 사용자가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200)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에 지정신호가 닿을 수 있도록 소정 시간동안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명령 처리 수단(120)은 사용자에 의한 지정신호 투사 명령을 한번만 인식하여도 소정 시간동안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1회의 조작을 통해 소정 시간동안 지정신호를 송신기(100)로부터 투사시킬 수 있게되어, 지정신호를 투사하는 동안 명령 입력 수단(130)을 계속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In the case of the designation signal,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rives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so that the designation signal of the linearity is projected from the transmitter 100.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is preferably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designation signal can reach the designation signal detection means 230 of the receiver 200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the user wants to control. In this case,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is configured to drive the desig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if the design signal projection command by the user is recognized only once. Then, the user can project the designated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one operation,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continuously operate the command input means 130 while projecting the designated signal.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은 반지형 몸체(111)로부터 소정의 제한된 방향으로, 즉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직진성을 가지는 신호를 투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에서 투사되는 직진성 신호는, 여러 수신기가 배치된 상황에서 이웃하는 수신기는 지정되지 않고 원하는 수신기만이 지정되도록, 투사된 후 진행하면서 거의 확산되지 않는 집속성을 가지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은 레이저를 투사하는 장치 혹은 주파수가 높아 직진성이 양호한 초음파를 투사하는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투사되는 레이저는 “레이저 포인터”와 같이 빨간색 점이 보여지는 가시광선 레이저가 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눈에 인식되지 않는 적외선 레이저가 될 수도 있다. 투사된 레이저는 송신기(100)를 착용한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직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반지형 송신기(100)를 자신의 검지 중간마디에 착용한 상태에서 검지를 움직여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200)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에 투사된 레이저가 도달하도록 가리킴으로써,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로서 반지형 송신기(100)로부터 투사되는 레이저를 사용해 전자기기를 지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is configured to project a signal having straightness from the ring-shaped body 111 in a predetermined limited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user. The linearity signal projected by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is a signal having a focusing property that is hardly spread while being projected after being projected so that neighboring receivers are not designated but only desired receivers are designated in the situation where several receivers are arranged. It is preferable. For example,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ng means 150 may be configured as an apparatus for projecting a laser or an apparatus for projecting an ultrasonic wave having high straightness with high frequency. In the former case, the laser being projected may be a visible laser with a red dot, such as a "laser pointer," or an infrared laser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user's eyes. The projected laser goes straight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finger wearing the transmitter 100. Therefore, the user, while wearing the ring-shaped transmitter 100 in the middle node of his or her index finger, the laser beam projected on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of the receiver 200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wants to control by moving the index finger arrives. By designat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designated using a laser projected from the ring-shaped transmitter 100 as a signal for designating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명령 처리 수단(120)이 입력된 명령이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 것으로 판단하면, 명령 처리 수단(120)은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을 구동하고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은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수신기(200) 쪽으로 송신한다.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의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은 명령 처리 수단(120)에서 전달되는 각각의 제어신호를 주파수가 다르거나 진폭이 다른 무선주파수의 신호로서 수신기(200)쪽으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은 한 단위 내에 온-오프가 조합되어 들어가는, 예컨대 이진법으로 구성된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etermines that the input command i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r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ans 14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means 140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ward the receiver 200.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ans 140 is preferably a signal of a radio frequency (radio frequency). Th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means 140 transmits each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to the receiver 200 as a signal of a radio frequency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or a different amplitude.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means 140 may transmit a signal of a radio frequency composed of, for example, a binary method in which on-off is combined in one unit.

전원(160)은 송신기(100)에 구비되는 각종 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160)은 반지형 몸체의 수용부(111c)에 수용될 수 있도록 초소형 전지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원(160)은 명령 입력 수단(130)을 누르는 동작이나 송신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흔드는 동작을 이용하는 발전기와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160 supplies power to various elements included in the transmitter 100. The power source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micro battery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1c of the ring-shaped body. The power source 160 may include a generator for using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command input means 130 or the user shaking the finger while wearing the transmitter 100 and a storage battery for storing the generated electricity.

도 4a 내지 도 4c는 명령 입력 수단(130)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4A to 4C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도 4a에 도시된 명령 입력 수단(130)은 노트북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터치패드”의 형태이다. 터치패드 명령 입력 수단(130) 상에 사용자의 엄지 끝부분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또는 중앙 부분을 한번, 연속해서 두번 또는 길게 누르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 끌거나, 원을그리며 문지르는 동작에 의해 각기 다른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The command input means 130 shown in FIG. 4A is in the form of a “touch pad” found in a notebook computer. In contact with the user's thumb tip on the touchpad command input means 130, press the top, bottom, left, or right center portion once or twice or continuously, drag in one direction, or rub in a circle. Different commands can be entered.

도 4b에 도시된 명령 입력 수단(130)은 “광마우스”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4b의 명령 입력 수단(130)은 발광소자(131)와 수광센서(132)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엄지의 끝부분으로 발광소자(131)와 수광센서(132)를 모두 덮은 상태에서 엄지의 끝부분을 상하좌우로 또는 회전하듯이 끌면 각기 다른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The command input means 130 shown in FIG. 4B is a structure that can be seen in the "optical mouse". The command input means 130 of FIG. 4B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131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132, and the thumb of the thumb in a state where the user covers both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132 with the tip of the thumb. Dragging the tip up, down, left, or right to rotate can enter different commands.

도 4c에 도시된 명령 입력 수단(130)은 상하좌우 네방향과 중앙에 각각 설치된 5개의 누름버튼(131)과 반지형 몸체의 후방 또는 전방에 반지형 몸체의 축에 동축으로 설치될 수 있는 “조그다이얼(132)”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엄지의 끝부분으로 5개의 누름버튼(131) 중 하나를 눌러서 특정 명령을 입력하거나 조그다이얼(132)을 돌려서 연속해서 변화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누름버튼(131)은 도시된 바와 같은 5개를 초과하여 구비될 수 있고, 조그다이얼(132)은 평평한 표면 상에서 돌아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Command input means 130 shown in Figure 4c is five push buttons 131,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our directions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the center can be installed coaxially to the axis of the ring body in the rear or front of the ring body " Jog dial 132 ”. The user may input a specific command by pressing one of the five pushbuttons 131 with the tip of the thumb, or input a command that continuously changes by rotating the jog dial 132. The push button 131 may be provided in more than five as shown, the jog dial 132 may be provided to run on a flat surface.

도 5는 도 1의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수신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er 200 of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of FIG. 1.

수신기(200)는 송신기(100)에서 투사된 지정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과, 송신기(10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과, 수신기(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250)과, 상기 수단들(230, 240, 250)을 제어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근거로 전자기기의 작동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신호 처리 수단(220)과, 수신기(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260)을 포함한다. 전원(260)은 소형 전지의 형태로 수신기(200)의 몸체(210) 내에 구성될 수도 있고, 수신기(200)가 할당되는 전자기기의 전원이 전원(26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receiver 200 includes designation signal detecting means 230 for detecting a designation signal projected from the transmitter 100,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0, and a receiver ( Display means 25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200, and signal processing means 220 for controlling the means 230, 240, 250 and substanti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2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eiver 200. The power source 260 may be configured in the body 210 of the receiver 200 in the form of a small battery, or a power source of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receiver 200 is allocated may be used as the power source 260.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은 송신기(100)의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에서 투사된 직진성의 지정신호, 예컨대 레이저 또는 초음파의 지정신호를 감지한다. 상세하게는, 지정신호가 레이저인 경우,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로 감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지정신호가 초음파인 경우,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은 초음파의 고주파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The designation signal detecting means 230 detects the designation signal of the linearity projected by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of the transmitter 100, for example, designation signal of laser or ultrasonic wave. In detail, when the designated signal is a laser, a photosensitive sensor may be used as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When the designated signal is an ultrasonic wave,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may detect a high frequency of ultrasonic waves. Sensors can be employed.

도 6a는 지정신호 감지 수단의 예로서 감광센서(231)가 채용된 수신기(200)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송신기(100)에서 투사된 레이저의 지정신호가 수신기(200)의 감광센서(231)에 도달하여 감지되면, 신호 처리 수단(220)은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을 활성화시켜 수신기(200)를 지정상태로 한다(즉, 수신기가 할당된 전자기기를 지정상태로 한다).6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er 200 employing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as an example of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When the designated signal of the laser projected by the transmitter 100 reaches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of the receiver 200 and is detected, the signal processing unit 220 activates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240 to activate the receiver 200. Put it in the designated state (i.e. put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receiver is assigned).

도 6b는 감광센서(231)에 입사하는 레이저 지정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신기(200)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수신기(200)의 본체(210)에는 감광센서(231)의 전방에 입사하는 레이저 지정신호를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수단(212)이 감광센서(231)의 전방에 본체(210) 상에 구비되어 있다.FIG. 6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er 200 configured to more efficiently detect a laser designation signal incident on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The main body 210 of the receiver 200 is provided with scattering means 212 on the main body 210 in front of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to scatter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incident to the front of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

원거리의 사용자가 레이저 지정신호를 투사한 상태에서 자신의 손가락을 움직여 수신기(200)의 감광센서(231)에 레이저 지정신호를 정확히 입사시키는 것은 약간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감광센서(231) 부근에서 입사하는 레이저 지정신호를 산란시키면, 사용자가 정확하게 감광센서(231)를 가리키지 않더라도 감광센서(231)가 레이저 지정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It may be slightly difficult for a remote user to accurately enter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into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of the receiver 200 by moving his / her finger while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is projected. In this case, when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incident near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is scattered,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may detect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even if the user does not correctly point to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산란수단(212)은 감광센서(231)를 넓은 범위에 걸쳐 덮도록 배치되며, 반구형태를 가진다. 산란수단(212)은 2개의 투명한 반구형 부재(212a)가 그 사이에 산란매체(212b)을 두고 서로 밀착된 구성을 가진다. 산란매체(212b)로는 예컨대 기름종이 또는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다른 필름 형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산란수단(212)이 감광센서(231)를 중심으로 넓게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투사한 레이저를 산란수단(212)의 표면에 도달시키면, 감광센서(231)가 레이저 지정신호를 감지하여 전자기기가 지정될 수 있다. 산란수단은 반구형태가 아닌 평판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scattering means 212 is disposed to cover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over a wide range, and has a hemispherical shape. The scattering means 212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transparent hemispherical members 212a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scattering medium 212b therebetween. As the scattering medium 212b, for example, oily paper or another film type member capable of scattering light may be used. Since the scattering means 212 is positioned widely around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when the user reaches the surface of the scattering means 212, the photosensitive sensor 231 detects a laser designation signal, thereby causing the electronic device to stop. Can be specified. The scattering means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plate rather than a hemisphere.

도 6c는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의 예로서 카메라(232a)와 반투명 스크린(232b)이 채용된 수신기(200)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6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iver 200 employing a camera 232a and a translucent screen 232b as an example of the designation signal sensing means 230.

반투명 스크린(232b)은 수신기 몸체(210) 상에 넓게 구비된다. 카메라(232a)는 반투명 스크린(232b)의 후방의 수신기(200) 내부에 배치되며, 실시간으로 상을 검출 또는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232a)는 CCD를 채용한 카메라 또는 CMOS 구조를 가진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Translucent screen 232b is widely provided on receiver body 210. The camera 232a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er 200 behind the translucent screen 232b and is configured to detect or recognize an image in real time. The camera 232a may be a camera employing a CCD or an image sensor having a CMOS structure.

사용자가 송신기(100)에서 지정신호, 에컨대 레이저가 투사되는 상황에서 송신기(100)를 착용한 검지를 사용해 투사된 레이저가 반투명 스크린(232b)의 일부에 도달하게 하면, 반투명 스크린(232b) 상에 입사한 레이저에 의해 상이 맺힌다. 반투명 스크린(232b)에 마주하는 카메라(232a)는 레이저에 의해 반투명 스크린(232b) 상에 맺힌 상을 검출한다. 상의 검출은 레이저 지정신호를 통해 당해 수신기가 지정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신호 처리 수단(220)은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을 활성화하여 송신기(100)로부터의 무선주파수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반투명 스크린(232b)이 수신기 몸체(210)의 전방에 넓게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레이저를 정확하게 조준할 필요 없이, 반투명 스크린(232b)에 레이저가 도달하도록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수신기가 지정된다.When the user reaches a part of the translucent screen 232b by using the index finger wearing the transmitter 100 in a situation in which a designate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0, for example, a laser, the image is transmitted on the translucent screen 232b. The image is formed by the laser which has entered. The camera 232a facing the translucent screen 232b detects an image formed on the translucent screen 232b by a laser. Since the detection of the image means that the receiver is designated through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activates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to prepare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from the transmitter 100. do. Since the translucent screen 232b is wide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ceiver body 210, the user is directed to the receiver by simply moving his or her finger to reach the translucent screen 232b without having to aim the laser accurately.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정신호 감지수단(230)을 통해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가 감지되면, 신호 처리 수단(220)에 의해 수신기(200)는 지정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는 신호 처리 수단(220)이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달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 5, when a signal for designating an electronic device is detected through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r 200 is placed in the designated state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This is achieved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activa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은 송신기(100)에서 송신된 무선주파수의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 수단(220)으로 전달된다.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240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a radio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0.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들인 신호 처리 수단(220)이 수신기(200)가 할당된 전자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신호 처리 수단(220)은 수신기(200)가 할당된 전자기기(20) 내부의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대응하는 다양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신 호 처리 수단(220)은 수신된 제어신호별로 전자기기의 각종 작동을 실행하도록 할당된 전자기기의 회로에 전기 신호를 보낸다. 신호 처리 수단(220)에는 수신된 제어신호와 전자기기의 회로에 보내지는 전기 신호가 매핑되어 있다. 이러한 매핑은 수신기(200)가 할당되는 전자기기별로 다르게 설정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22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2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 to which the receiver 200 is assigned.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is connected to a circuit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20 to which the receiver 200 is assigned.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24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220 is connected to a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allocated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ach received control signal. Send an electrical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is mapped with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electrical signal sent to the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This mapping is set differently for each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receiver 200 is assigned.

본 실시예의 수신기(200)는 송신기(100)가 지정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보낼 때 정확하게 받았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수신기(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수단(250)을 구비한다. 표시 수단(250)은 수신기 본체(211)의 사용자를 향하는 표면 상에 표시화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수신기(200)가 지정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신호 처리 수단(220)이 표시 수단(250)을 구동하여 해당 신호를 바로 표시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송신기(100)를 조작한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The receive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ans 250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eceiver 200 to enable feedback by indicating to the user by indicating that the transmitter 100 is correctly received when the transmitter 100 sends a designated signal or a control signal. do. The display means 250 is installed to expose the display screen on the surface of the receiver main body 211 facing the user. When the receiver 200 receives the designated signal or the control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drives the display means 250 to immediately display the corresponding signal, whereby the user operates the transmitter 100. You can see the result immediately.

표시 수단(250)의 표시화면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심벌이 표시되며, 그 예가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50, a symbol which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by the user is displayed, an example of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7A to 7E.

도 7a는 명령 입력 수단의 예로서 조이스틱(130)의 중앙부분을 눌러서 지정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 수단(250)의 표시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심벌의 예이다. 도 7b는 조이스틱(130)을 상측으로 젖혀서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 수단(250)의 표시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심벌의 예이다. 도 7c는 조이스틱(130)을 우측으로 젖혀서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 수단(250)의 표시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심벌의 예이다. 도 7d는 조이스틱(130)의 중앙부분을 오래 눌러서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 수단(25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심벌의 예이다. 도 7e는 조이스틱(130) 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 수단(250)의 표시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심벌의 예이다.7A is an example of a symbo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50 when a designated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joystick 130 as an example of command input means. FIG. 7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ymbol tha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0 when the joystick 130 is flipped upward and a control signal is input. 7C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ymbol tha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0 when the joystick 130 is turned to the right to input a control signal. 7D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ymbol tha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50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joystick 130 for a long time. 7E is an example of a symbol tha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50 when the joystick 130 is rotated clockwise to input a control signal.

도 8은 수신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수신기는 표시 수단과 지정신호 감지 수단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레이저의 지정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ceiver. The receiver shown in FIG. 8 is arranged such that the display means and the designation signal sensing mean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esignation signal of the laser can be more easily detected.

도 8을 참조하면, 지정신호 감지 수단으로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232a)와 반투명 스크린(232b)이 채용되어 있고, 표시 수단(250)으로서 투명 액정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반투명 스크린(232b)은 투명 액정 패널(250)의 표면적보다 약간 큰 표면적을 가지며, 투명 액정 패널(250)의 후방에 투명 액정 패널(250)에 밀착되거나 약간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수신기(200)의 전방에 입사한 레이저는 투명 액정 패널(250)을 통과하여 반투명 스크린(232b)에 도달하고 카메라(232a)는 반투명 스크린(232b)에 맺힌 상을 검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당해 수신기가 지정되었음이 판단된다. 반투명 스크린(232b)이 투명 액정 패널(250)의 바로 뒤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송신기(100)에서 레이저가 투사되는 상황에서 투명 액정 패널(250)을 가리킴으로써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를 지정할 수 있다. 투명 액정 패널(250)은 필요한 경우 수신기 몸체(210)의 전방표면을 거의 덮도록 수신기(200)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투사되는 레이저가 넓은 투명 액정 패널(150)의 한 곳에 도달하기만 하면 카메라(232a)에 의해 레이저의 도달이 검출되어 수신기의 지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를 지정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 니라, 수신기의 외관 구성이 보다 간단해진다.Referring to FIG. 8, a camera 232a and a translucent screen 232b as shown in FIG. 6C are employed as the designation signal sensing means, and a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is employed as the display means 250. The translucent screen 232b has a surface area slightly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and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or spaced slightly behind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The laser incident in front of the receiver 200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to reach the translucent screen 232b, and the camera 232a detects an image formed on the translucent screen 232b and is receiv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that is specified. Since the translucent screen 232b is located directly behind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the user points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in a situation where a laser is projected on the transmitter 100 to locate a receiver assigned to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Can be specified.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250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er 200 to almost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er body 210, if necessary, so that the camera can only be projected once the laser beam reaches one of the wid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150. The arrival of the laser is detected by 232a to designate the receiver. Therefore, not only the task of designating the receiver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ich the user wants to control with his finger is easier, but also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becomes simpler.

다음으로,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10)를 사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송신기(100) 측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를 나타내며, 도 10a 및 도 10b는 수신기(200) 측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를 나타낸다.Next, remote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10A and 10B. 9 illustrates a procedure performed at the transmitter 100 side, and FIGS. 10A and 10B illustrate a procedure performed at the receiver 200 side.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는 전자기기를 지정하는 단계와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기기 지정 단계는 사용자가 송신기(100)에 구비된 명령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지정신호를 투사한 상태에서 송신기(100)를 착용한 손가락으로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200)를 가리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전자기기의 작동의 제어 단계는 사용자가 다시 명령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원하는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Remote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signa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designation step is performed by pointing the receiver 200 assigned to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with a finger wearing the transmitter 100 while the user manipulates a command input means provided in the transmitter 100 to project a designated signal. The control step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made by the user again operating the command input means to input a desired command.

사용자는 예컨대 자신의 검지의 중간마디에 송신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조작한다.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기(100)의 조이스틱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하면(S101), 입력된 명령의 전기 신호는 명령 처리 수단(120)으로 들어가서 처리된다.The user manipulates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ile wearing the transmitter 100 in the middle section of his or her index finger.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by operating the joystick command input means 130 of the transmitter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101),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input command enters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and is processed. .

명령 처리 수단(120)은 명령 입력 수단(130)으로부터의 명령이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명령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2).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명령 입력 수단(130)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동일 부위를 소정 시간동안 눌러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의 지정 명령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명령 처리 수단(120)이 지정 명령을 판단하면, 명령 처리 수단(120)은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을 구동하여 송신기(100)로부터 지정신호가 투사된다(S103). 지정신호가 투사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검지를 들어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를 가리킨다(S104). 상세하게는,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200)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에 투사되고 있는 지정신호가 입사하도록 검지를 가리킨다.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and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a command for designating an electronic device (S102).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or designating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eset. For example,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pressing the same por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as a designated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etermines the designation command,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rives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150 to project the designation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0 (S103). In a situation where the designation signal is being projected, the user points to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control is to be lifted (S104). Specifically, the index finger indicates that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ed on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of the receiver 200 assigned to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is incident.

이 때,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하여 지정신호를 투사시킨 상태에서 검지를 들어 전자기기를 지정하므로, 명령 입력 수단(130) 조작 후 수신기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이 감지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은 소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2초 내지 3초 동안 지정신호를 투사하도록 명령 처리 수단(12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명령 처리 수단(120)은 사용자의 1회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user operates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o designate the electronic device by lifting the index finger and projecting the designated signal,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of the receiver may detect after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manipulated. This may take some tim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ng means 150 is driven by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to project the designated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about 2 to 3 seconds. In addition,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preferably drives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on means 150 for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a user's one command input.

명령 처리 수단(120)이 명령 입력 수단(130)으로부터의 명령을 전자기기 지정 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S102), 즉,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명령 입력 수단(130)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명령 입력 수단(130)의 일부분을 소정 시간동안 눌러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 이외의 다른 전기적 신호라면, 그 신호는 사용자가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내리는 명령이므로, 명령 처리 수단(120)은 제어신호 송신 수단(140)을 구동하여, 송신기(100)에서는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송신된다(S105).If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determines that the command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not an electronic device designating command (S102), that is, as illustrated above,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commanded. If the electrical signal other tha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pressing a portion of the input means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ignal is a command issu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pecified electronic device,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120 is a control signal By driving the transmitting means 140, the transmitter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S105).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할당된 수신기(200)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은 바람직하게는 항상 온 상태에 놓여 있다. 사용자에 의해 송신기(100)로부터 투사된 지정신호가 사용자가 조작을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을 통해 감지되면(S201), 신호 처리 수단(220)은 표시 수단(250)을 통해 지정신호를 받았음을 피드백한다(S202). 예컨대, 수신기(200)는 도 7a에 나타낸 심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원하는 전자기기가 지정되었음을 표시한다. 그 후, 신호 처리 수단(220)은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을 활성화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은 나머지 전자기기의 수신기(200)는 지정신호를 받지 않았으므로 아무런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The designation signal sensing means 230 of the receiver 200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preferably always in the on state. When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ed from the transmitter 100 by the user is detected through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of the receiver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the user wants to operate (S201),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displays the display means ( In step S202, the feedback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designated signal. For example, the receiver 200 displays the symbol shown in FIG. 7A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is designated. Thereafter,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activates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to prepare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Since the receiver 200 of the remaining electronic devices not designated by the user does not receive the designated signal, it does not show any change.

여러 전자기기의 수신기가 놓여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해 팔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동안, 투사된 지정신호는 원하지 않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를 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의 신호 처리 수단(220)은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이 소정 시간 동안 지정신호를 감지한 후에야 당해 수신기가 지정된 것으로 설정되어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수신기가 지정신호를 감지하는 시간은 예컨대 0.5초 정도로 정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 situation in which receiver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placed, the projected designation signal may be directed to a receiver assigned to an unwanted electronic device while the user moves his arm and finger to designate the desired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of the receiver needs to activate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by setting the receiver to be designated only after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detects the designated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time for the receiver to detect the designated signal is preferably set to about 0.5 seconds, for example.

사용자가 송신기(100)에 입력한 명령이 전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명령이 아닌 경우(도 9의 B), 여러 수신기중 하나가 이미 지정된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어느 것도 지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S204). 지정되지 않은 상태의 수신기는 제어 절차를 종료한다. 지정된 상태의 수신기에서는 이미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송신기(100)에서 송신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S205).If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transmitter 100 is not a command for designating an electronic device (B of FIG. 9), one of several receivers may already be in a specified state, or none may be in a specified state. There is (S204). The receiver in an unspecified state ends the control procedure. Since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is already activated in the receiver in the designated stat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0 is received (S205).

수신된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 수단(220)에 보내져 그 유형이 판단된다(S206). 수신한 제어신호가 해제명령이면, 신호 처리 수단(220)은 표시 수단(250)을 통해 도 7a와 같은 심벌을 표시하고(S207)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을 비활성한다(S208).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and its type is determined (S206). If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a release command,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displays the symbol as shown in FIG. 7A through the display means 250 (S207) and deactivates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S208).

수신한 제어신호를 판단한 결과 해제 명령이 아니라면(S206), 이는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계속해서, 신호 처리 수단(220)은 수신한 제어신호를 예컨대 도 7b 내지 도 7e에 나타낸 심벌을 표시 수단(250)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하고(S209), 수신한 제어신호에 일치하는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한다(S2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not a release command (S206), this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Subsequentl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display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symbol shown in FIGS. 7B to 7E through the display means 250 and feeds it back to the user (S209).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210).

송신기(100)에서 송신한 제어신호는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하는 각 동작마다 다른 무선주파수의 신호로 송신되므로, 신호 처리 수단(220)은 각기 다른 무선주파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제어신호에 부합하는 전자기기의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0 is transmitted as a signal of a different radio frequency for each operation in which the user manipulates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receives control signals of different radio frequencie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can be realized.

또한, 복수의 수신기가 설치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다른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 때, 해제명령을 내리지 않고 다시 지정명령을 내려 다른 전자기기의 수신기를 지정하면, 지정된 다른 수신기의 제어신호 수신 수단도 활성화되어,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동시에 두대 이상의 전자기기의 작동이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명령을 내릴 때마다 수신기 지정을 위 한 지정신호를 투사하는 동시에 무선주파수로 해제명령을 송신하여, 앞서 지정된 수신기의 제어신호 수신 수단을 비활성화한다. 또한, 대상으로 하는 모든 수신기가 서로 통신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나의 수신기가 지정되면 나머지 수신기의 제어신호 수신 수단 모두가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a plurality of receivers are installed, the user may want to operate other electronic devic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electronic device. At this time, if a specific command is designated again without giving a release command to designate a receiver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of another designated receiver is also activated. hav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ach time a user gives a designation command, it projects a designation signal for designation of a receiver and transmits a release command at a radio frequency, thereby deactivating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means of the previously designated receiver. In addition, all of the target receivers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f one receiver is designated, all of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of the remaining receivers may be configured to be deactivated.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제명령을 내릴 때까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의 비활성화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수신 수단(240)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하나의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바로 비활성화되도록 또는 최초 활성화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신호 처리 수단(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0B,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is activated until the user gives a release comman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deactivation of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is determined for more precise control.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240 may be driven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to be deactivated immediately after receiving one control signal by a user's command or automatically deactiv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nitial activation.

지금까지는 한 대의 송신기와 여러 대의 수신기가 설치된 상황에서, 한 사람의 사용자만이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필요한 경우, 송신기를 두 대 이상 마련하여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송신기가 서로 다른 지정신호를 투사하고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을 조작하는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주파수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수신기가 서로 다른 지정신호를 구분한다면, 예컨대 두 사용자가 각기 다른 지정신호를 투사하는 송신기를 착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의 신호 처리 수단(220)은 동일한 명령을 담고 있는 상이한 무선주파수의 제어신호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동시에 두명 이상의 사용자가 복수의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Up to now, a case where only one user operates an electronic device in a situation where one transmitter and several receivers are installed has been described. If necessary, two or more transmitters may be provided to control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That is, if each transmitter projects a different designation signal, the us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of different radio frequency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user operating the command input means, and the receivers distinguish different designation signals, for example, two users It is possible to control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by wearing a transmitter for projecting different designation signals.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of the receiv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control signal of different radio frequency containing the same command. In this way, two or more users can remotely control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지정신호 투사 수단이 서로 다른 지정신호를 투사하기 위해, 지정신호 투사 수단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거나 펄스파로 구성된 직진성 신호를 투사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 지정신호의 경우, 지정신호에 펄스파를 포함시키는 방법은 레이저를 단속적으로 투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어느 한 송신기는 초당 1000번 깜빡거리는 레이저 지정신호를 투사하고 다른 송신기는 초당 500번 깜빡거리는 레이저 지정신호를 투사하며, 수신기의 신호 처리 수단(220)이 레이저 지정신호의 깜빡거림을 검사하여 어느 송신기에서 투사된 지정신호인지 판단한다.In order for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to project different designation signals, the designation signal projection means can project a straightness signal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or a straightness signal composed of pulse wav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ser designation signal, a method of including a pulse wave in the designation signal can be realized by intermittently projecting the laser. Specifically, one transmitter projects a laser blinking signal that blinks 1000 times per second, the other transmitter projects a laser blinking signal that blinks 500 times per second, and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20 of the receiver detects the blinking of the laser designation signal. Check and determine which transmitter is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ed from.

한편, 표시 수단은 보다 간단한 형태로서 표시화면을 통해 심벌을 표시하는 구성이 아닌, 단순히 “삐”소리를 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eans may be configured to simply make a "beep" sound, rather than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a symbol on the display screen in a simpler form.

또한, 수신기는 전자기기(20)의 본체의 사용자를 향하는 표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기기(20)의 본체의 사용자를 향하는 표면에 수신기의 주요 구성인 지정신호 감지 수단과 표시 수단이 노출되도록, 수신기가 전자기기(20)의 본체에 통합될 수 있다.The receiver may also be integrated into a surface facing the user of the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20. For example, the receiver may be integrated i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20 so that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and the display means,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the receiver, are expo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user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20.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1A to 11E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복수의 전자기기가 놓여 있고 사용자가 그 중 원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려고 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의 예로서, 텔레비젼(21), 오디오 세트(22), 에어컨디셔너(23), 조명등(24) 등이 마련되어 있고, 각 전자기기에 수신기(201, 202, 203, 204)가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는 송신 기(100)를 자신의 검지 중간마디에 착용하고 있고, 송신기(100)의 측면에 노출된 명령 입력 수단(130)을 엄지의 끝부분으로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컨대 명령 입력 수단(130)의 중앙 부분(P)을 약간 오래 눌러서 송신기(100)로부터 지정신호가 투사되게 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지정신호 투사 수단(150)으로부터 예컨대 레이저의 지정신호가 투사된다. 이 때, 투사되는 레이저 지정신호는 소정 시간동안 투사되므로, 사용자는 명령 입력 수단(130)을 한번만 조작해도 된다.11A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placed and a user tries to control a desired electronic device among them. As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television 21, the audio set 22, the air conditioner 23, the lamp 24, etc. are provided, and the receiver 201, 202, 203, 204 is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s assigned. The user is wearing the transmitter 100 in his middle index finger, and can operate the command input means 130 exposed on the side of the transmitter 100 with the tip of the thumb.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cause the designated signal to be projected from the transmitter 100 by, for example, pressing the center portion P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slightly longer. Then, the designated signal of the laser is projected from the designated signal projecting means 150, for example. 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ed laser designation signal is proj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may operate the command input means 130 only once.

레이저가 투사되는 상황에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예컨대, 텔레비젼(21)에 할당된 수신기(201))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에 투사된 레이저가 도달하도록 검지를 들어 수신기(201)를 가리킨다.In the situation where the laser is projected, as shown in Fig. 11B, the laser projected to the designated signal sensing means of the receiver (e.g., the receiver 201 assigned to the television 21)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arrives. The index finger is pointed at the receiver 201.

그러면,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201)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은 입사한 지정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지정신호가 표시 수단(250)의 표시화면에 예컨대 도 7a에 나타낸 심벌로 표시되고, 제어신호 수신 수단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검지가 텔레비젼에 할당된 수신기(201)의 지정신호 감지 수단(230)을 가리키는 것만으로, 복수의 전자기기가 놓인 장소에서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예컨대, 텔레비젼(21))를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일단 수신기(201)가 지정되면, 수신기(201)에서는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제어신호 수신 수단이 활성화되므로, 사용자는 검지로 수신기(201)를 더 이상 가리킬 필요 없이, 송신기(100)를 착용한 손을 자유로이 둘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11C, the designation signal detecting means 230 of the transmitter 201 detects the designation signal that has entered and the design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50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for example, in FIG. 7A. Indicated by the symbol shown,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is activated. Therefore, the user only wants to control the place whe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place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television 21) where his or her index finger points to the designated signal detecting means 230 of the receiver 201 assigned to the television. Can be specified simply. Once the receiver 201 is designated,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is activ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in the receiver 201,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oint the receiver 201 with his or her index finger, and thus the hand wearing the transmitter 100. You can put it freely.

도 11d는 지정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텔레비젼(21)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하여 텔레비젼(21) 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명령 입력 수단(130)의 상측 부분(P)의 조작이 텔레비젼(21)의 채널 변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의 상측 부분(P)을 조작하면, 송신기(100)의 명령 처리 수단에 의해 제어신호 송신 수단으로부터 채널 변경의 제어신호가 송신된다.11D shows a situa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With the television 21 designated, the user can operate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levision 21. For example, if the operation of the upper portion P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s set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television 21 and the user operates the upper portion P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he transmitter 100 The control signal for channel change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ans by the command processing means.

도 11e를 참조하면, 이미 지정된 상태의 수신기(201)에서는 제어신호 수신 수단이 활성화되어 있고, 송신된 채널변경의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되어 신호 처리 수단에 전해진다. 수신기(201)의 신호 처리 수단은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130)을 조작한 부분을 표시 수단(250)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수신되었음을 피드백하는 동시에, 텔레비젼(2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텔레비젼(21)의 내부 회로로 채널 변경을 일으키는 전기신호를 보낸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21)를 지정하고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E,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is activated in the receiver 201 in the already designated state, and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of the channel change is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means. The signal processing means of the receiver 201 visually displays the portion of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via the display means 250 to feed back to the user that it is normally received,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levision 21. Send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internal circuitry of the television 21 causing a channel change. In this way, the user can designate the electronic device 21 to be controlled and control its operation.

사용자가 텔레비젼(21)을 조작한 후, 다른 전자기기를 조작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명령 입력 수단(130)을 통해 해제명령을 입력한다. 해제명령은 지정명령과 동일한 방식의 명령 입력 수단(130)의 조작이 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지정명령의 입력이 명령 입력 수단(130)의 일부를 오래 누르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명령 입력 수단(130)을 다시 오래 누르는 것으로 이미 지정된 수신기(201)의 지정이 해제되도록, 상세하게는 수신기(201)의 제어신호 수신 수단이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After the user operates the television 21 and wants to operate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user inputs a release command through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he release command may be an operation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in the same manner as the designated command, or may be set in another manner.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input of the designated command is set to long press a part of the command input means 130, the receiver (201) can be released in detail by pressing the command input means 130 again for a long time. 20 may be set to deactivate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자기기중 조작을 원하는 전자기기를 선택적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반지형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전자기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ring-shaped transmitter and a receiver so as to selectively designate an electronic device to be manipulated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to remotely control the designated electronic device.

반지형 송신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정신호를 발생시키고 착용한 손가락으로 단지 가리키는 것만으로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가 지정되므로, 복수의 전자기기중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를 쉽게 지정할 수 있다.In the state of wearing the ring-shaped transmitter,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is generated by simply generating a designation signal and simply pointing with the worn finger,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an be easily designated.

반지형 송신기의 측면에 제공된 명령 입력 수단을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전자기기의 무선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약간만 움직이는 것으로 전자기기의 기본적인 제어를 할 수 있고 복잡한 조작방법을 습득할 필요가 없다.Sinc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by operating the command input mea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ing transmitter with a finger, the user can perform basic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by moving his / her finger slightly and do not need to learn complicated operation methods. none.

수신기의 표시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즉시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행한 조작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Since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is immediate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of the receiver,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송신기와, 복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할당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로서,An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ssign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spectively. 상기 송신기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 하나에 착용 가능한 반지형 몸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제공된 명령 입력 수단; 소정의 제한된 방향으로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도록 상기 몸체에 제공된 투사 수단;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그리고 상기 명령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투사 수단과 송신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The transmitter includes a ring-shaped body wearable on one of the user's fingers; Command input means provided in the body to be operable by another one of the user's fingers; Projection means provided in the body to project a straight signal in a predetermined limited direc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command process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mmand input means to drive the projection means and the transmission means, 상기 수신기는,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 상기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그리고 전자기기의 구동회로와 접속되고, 상기 감지 수단에서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수신 수단을 활성화하고 수신된 무선주파수의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상기 구동회로에 전달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The receiver includes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linearity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radio frequency signal; And signal processing means connected to a driving circuit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ctivating the receiving means and transferr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driving circuit when the sensing means detects the linearity signal. 전자기기 제어장치.Electronic device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명령 입력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중 다른 하나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몸체에 위치되고, 누름, 문지름, 젖힘 또는 돌림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The command input means is located on the body to be operated by the other of the user's fingers,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ognize the pressing, rubbing, flipping or turn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기의 투사 수단이 레이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projection means of the transmitter is configured to project a la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기의 투사 수단이 초음파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projection means of the transmitter is configured to project ultrasonic wav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감지 수단이 상기 수신기의 상기 송신기를 향하는 면에 설치된 반투명 스크린과, 상기 레이저에 의해 상기 반투명 스크린 상에 맺히는 상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a camera for detecting an image formed on said translucent screen by said laser, said sensing means being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said transmitter of said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감지 수단의 전방에 배치되고 입사하는 직진성 신호를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scattering means for scattering an incoming linear signal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명령 처리 수단은 상기 투사 수단을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said command processing means is configured to drive said projection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사 수단은 펄스파로 구성되는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said projection means projects a linear signal composed of pulse wave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송신기를 포함하고,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tters, 상기 복수의 송신기는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을 조작하는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plurality of transmitters are configured to transmit signals of different radio frequencies according to a form in which a user manipulates command input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기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수신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display means for being driven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and for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ceiver.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이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거나 상기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표시 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 치.And the display means drives the display means when the signal processing means senses the linearity signal or receives the radio frequency signal.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 수단이 사용자가 상기 명령 입력 수단에 가하는 조작을 형상화한 심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display means displays a symbol embodying an operation that a user applies to the command input mean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표시 수단이 투명 액정 패널이고,The display means is a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상기 감지 수단이 상기 투명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투명 스크린과, 상기 직진성 신호에 의해 상기 반투명 스크린 상에 맺히는 상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And the camera comprises a translucent screen disposed behind the transparent liquid crystal panel and a camera for detecting an image formed on the translucent screen by the linear signal.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된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착용된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직진성 신호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반지형 송신기와, 복수의 전자기기에 그 구동회로와 접속되도록 각각 할당되어 있고 상기 송신기에서 발생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회로에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A ring-shaped transmitter which is wearable on a user's finger and operated by a finger other than the worn fing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radio frequency signal by the user's operation and project a straight signal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worn finger;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using a receiver, each of which is allocated to a device and connected with the driving circu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driving circuit in response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In (a) 상기 송신기를 조작하여 직진성 신호를 투사시키는 단계,(a) manipulating the transmitter to project a straight signal; (b) 상기 직진성 신호가 제어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할당된 수신기에 닿도록 상기 송신기를 착용한 손가락을 이동하여 수신기를 지정하는 단계,(b) designating a receiver by moving a finger wearing the transmitter such that the linear signal reaches a receiver assign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c)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직진성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단계,(c) the designated receiver is activated to detect the linearity signal and receive a radio frequency signal, (d) 상기 송신기를 조작하여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그리고(d) operating the transmitter to generate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e)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무선주파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회로에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단계(e) the designated receive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ing circuit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발생된 신호에 응답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The receiv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result in response to a signal generated at the transmitter, 상기 단계 (c) 및 (e) 이후에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받은 신호에 응답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And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designated receiver 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after the steps (c) and (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단계 (e) 이후에 상기 지정된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를 조작하여 발생된 무선주파수의 신호를 받아서 비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And after the step (e), the designated receiver receives and deactivates a radio frequency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transmitter.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송신기는 무선주파수의 신호와 함께 직진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The transmitter is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linear signal with a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KR1020060013538A 2006-02-13 2006-02-13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KR100739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538A KR100739380B1 (en) 2006-02-13 2006-02-13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538A KR100739380B1 (en) 2006-02-13 2006-02-13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380B1 true KR100739380B1 (en) 2007-07-13

Family

ID=3850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538A KR100739380B1 (en) 2006-02-13 2006-02-13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38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818B1 (en) * 2006-12-06 2008-0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based on hand gesture recognition
KR100793834B1 (en) 2006-12-06 2008-01-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based on hand gesture recognition
KR20190054442A (en) * 2017-11-13 2019-05-22 정현수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readmill includig the same
CN116236754A (en) * 2023-03-20 2023-06-09 深圳速境生活科技有限公司 Body-building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467A (en) * 1994-05-12 1995-11-21 Canon Inc Remote control camera
JPH08126064A (en) * 1994-10-20 1996-05-17 Tachibana Material:Kk Operation ornaments for automobile or the like and operating method of automobile or the like using th orna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467A (en) * 1994-05-12 1995-11-21 Canon Inc Remote control camera
JPH08126064A (en) * 1994-10-20 1996-05-17 Tachibana Material:Kk Operation ornaments for automobile or the like and operating method of automobile or the like using th orname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818B1 (en) * 2006-12-06 2008-0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based on hand gesture recognition
KR100793834B1 (en) 2006-12-06 2008-01-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based on hand gesture recognition
KR20190054442A (en) * 2017-11-13 2019-05-22 정현수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readmill includig the same
KR102054459B1 (en) * 2017-11-13 2019-12-10 정현수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readmill includig the same
CN116236754A (en) * 2023-03-20 2023-06-09 深圳速境生活科技有限公司 Body-build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566B1 (en)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TWI550441B (en)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201301917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from an Electronic Device
US20100328209A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20020073234A (en) Wireless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US200901157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 light pointer
EP22081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 light pointer
KR10073938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US20040145576A1 (en) Wearable touch pad device
KR102184255B1 (en)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01482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by using virtual menu map
KR10083622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s appliances
JP2004529567A5 (en)
KR1007908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based on hand gesture recognition
Rodrigues et al. A virtual touch interaction device for immersive applications
JP5001893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1985620B1 (en) Presenter apparatus with function of hand gesture recognition
KR20080017194A (en) Wireless mous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0170646B1 (en) Menu selecting apparatus
US20240103645A1 (en) Input device with adaptive grip orientation
KR102287654B1 (en) Pointing apparatus
KR102137364B1 (en) Motion recognition presenter apparatus for dynamic presentation
KR20210036848A (en) Control input device
KR20080038958A (en) Interface device for table top display device
WO2024064928A1 (en) Input device with adaptive grip ori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