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255B1 -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255B1
KR102184255B1 KR1020190003508A KR20190003508A KR102184255B1 KR 102184255 B1 KR102184255 B1 KR 102184255B1 KR 1020190003508 A KR1020190003508 A KR 1020190003508A KR 20190003508 A KR20190003508 A KR 20190003508A KR 102184255 B1 KR102184255 B1 KR 10218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host device
signal
po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7018A (en
Inventor
최순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0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8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018A/en
Priority to KR1020200155811A priority patent/KR1022876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포인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력공급부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click)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스위치부와,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제1 스위치부에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호스트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ointing de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sensing movement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and a user's touch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first switch unit that recognizes the state and is capable of inputting a click signal at the same time,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and generates a position coordinate in the form of a plane coordinat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switch unit, the position coordinat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o the host device in real time,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host device.

Description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신호와 클릭신호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조작이 용이한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re easy to operate by having a switch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a touch signal and a click signal.

일반적으로, 포인팅 장치라 함은, 공간이나 평면 상의 특정 지점을 지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의미하며, 레이저 포인터와 같이, 지시할 지점을 향하여 직진광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켜 스크린에 영사된 화면 상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텔레비전, 모니터와 같은 영상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가 대중에게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In general, a point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made to indicate a specific point on a space or a plane, and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directly irradiates a straight light toward a point to be indicated, such as a laser pointer. Such a pointing device may focus the public's attention to more eff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creen projected on the screen or allow the public to easily recogniz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an image terminal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한편, 직진광을 조사하는 방식의 포인팅 장치는 스크린에 조사된 직진광이 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되면서 지시 지점이 대중에게 인식된다. 따라서,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에서는 포인팅 장치가 지시하는 지점이 명확하게 보이나, LCD 스크린과 같이, 표면에 난반사 필름이 부착되어 있거나 난반사 방지 코팅이 되어 있는 경우, 직진광이 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되지 않아 포인팅 장치가 지시하는 지점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과 LCD 스크린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포인팅 장치는, 직진광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와,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 및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포인팅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inting device of the method of irradiating straight light, the point of indication is recognized by the public as the straight light irradiated onto the screen is reflected from the screen. Therefore, the point indicated by the pointing device is clearly visible on the dedicated projector screen, but if a diffuse reflection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r is coated with an anti-reflective coating such as an LCD screen, the direct light is not reflected from the screen and the pointing device indicat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int of doing was not clearly visible. Accordingly, a variety of pointing devices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on a projector dedicated screen and an LCD screen are being developed. However, a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has a switch that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straight light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an image pointer. A switch for performing a function and a switch for underlining text, moving an icon, a file, or dragging a screen are each independently provided,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complicated and operation is cumbersome.

이에,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과 LCD 스크린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하면서 조작이 용이한 포인팅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inting device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on a projector dedicated screen and an LCD screen and is easy to oper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5264호 (2018. 02. 27)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5264 (2018. 02. 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신호와 클릭신호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조작이 용이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ing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by including a switch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a touch signal and a click sign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신호와 클릭신호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조작이 용이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pointing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by having a switch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a touch signal and a click signal.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click)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에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스트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housing,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movement of the housing. And, a first switch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recognize a user's touch state and simultaneously inputs a click signal, and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to generate a position coordinate in the form of a plane coordinate, and the first switch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o the uni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n real tim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 및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동작하여 상기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상호 변환하는 제2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레이저출력부는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includes a laser output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outputting a laser light sour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is operated to output the laser light source,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touch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witch unit for mutually converting the image pointing mode for receiv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when the second switch unit is set to the image pointing mode, the laser output unit The output is limited and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포인터를 따라 텍스트(text)에 밑줄을 긋거나, 상기 이미지포인터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drag)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the host device generates an image pointer in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when the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The (text) may be underlined, the icon or file touched by the image pointer may be moved, or the screen may be dragged.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호스트기기에 장착되며 무선으로 근거리통신망(LAN)을 구현하여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에 상기 수신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iver mounted on the host device and wirelessly implementing a local area network (LAN)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housing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from which the laser light source is output. Indentations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er may be formed.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으로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치패드부의 누름을 인식하는 누름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unit may include a touch pad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recognizes a contact by a pressure type or a capacitive type, and a press recognition unit that is located under the touch pad unit and recognizes pressing of the touch pad unit. have.

상기 누름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하부로 이동하여 전류를 이동시키고,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일 수 있다.The push recognition unit may be a push button switch that moves downwar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pad to move current, and is restored when pressure is released to block the current.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센서부가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A)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는 (B) 단계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click)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스위치부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C) 단계와, 상기 호스트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는 (D)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기기가 상기 이미지포인터를 따라 텍스트(text)에 밑줄을 긋거나, 상기 이미지포인터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drag)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ther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 (A) of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by sensing a movement of the housing by a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he position signal Step (B) of genera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by receiving the data, and the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recognize the user's touch state and simultaneously inputs a click signal. The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n real time (C), the host device generates an image pointer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D), and 1 When the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unit, the host device underlines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moves the icon or file touched by the image pointer, or drags the screen. ) And (E) step.

상기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하는 (C-1)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이 제한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ointing device includes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outputs a laser light sour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efore the step (C),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touch signal and sets the position coordinate to the hos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C-1) of selecting the image pointing mode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when the image pointing mode is set,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is limited,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I can.

상기 레이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레이저광원이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laser pointing mode is set, the laser light source may be output when the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이미지포인터가 생성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과 LCD 스크린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a laser light source is output and an image pointing mode in which an image pointer is generated, so that it can be used simultaneously on a projector dedicated screen and an LCD screen.

또한, 직진광을 출력하는 기능과,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하는 기능을 하나의 스위치로 수행할 수 있어 포인팅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outputting straight light, the function of generating an image pointer, and the function of underlining text, moving icons or files, or dragging the screen can be performed with a single switch.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and easy to operate.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포인터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대중의 이목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키고 화면 상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imag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can be freely adjusted, the public's attention can be effectively focused and information on the screen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인팅 장치에서 수신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스위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포인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포인팅 장치의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er is separated from the pointing device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inting device.
4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unit.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pointing device.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pointing devi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공간이나 평면 상의 특정 지점을 지시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 예를 들어,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세미나 또는 보고회 등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포인팅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호스트기기와 통신하여 호스트기기를 제어하며, 호스트기기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기기라 함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라 함은, 호스트기기에서 전송하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막 형태의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이거나 LCD 스크린 또는 LCD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영상 단말기일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point on a space or a plane, and may be used, for example, for a seminar or a report using a projector. The pointing device controls the host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host device. Here, the host devic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may be, for example, a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transmitted from a host device on a screen, and may be a film-type projector dedicated screen or an LCD screen or an image terminal such as an LCD television or a computer monitor.

포인팅 장치는,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이미지포인터가 생성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과 LCD 스크린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직진광을 출력하는 기능과,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하는 기능을 하나의 스위치로 수행할 수 있어 포인팅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포인터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대중의 이목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키고 화면 상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ointing device can select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a laser light source is output and an image pointing mode in which an image pointer is generated, so that it can be used simultaneously on a projector dedicated screen and an LCD screen. In addition, the function of outputting straight light, the function of generating an image pointer, and the function of underlining text, moving icons or files, or dragging the screen can be performed with a single switch.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and easy to operate. In addition, sinc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imag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can be freely adjusted, the public's attention can be effectively focused and information on the screen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인팅 장치에서 수신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스위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포인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포인팅 장치의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iver is separated from the pointing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t is a block diagram. 4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unit,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pointing device, and FIGS. 7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It is a drawing for.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1)는 하우징(10)과, 전력공급부(20)와, 센서부(30)와, 제1 스위치부(40)와, 제어부(50), 및 통신부(60)를 포함한다.The poin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power supply unit 20, a sensor unit 30, a first switch unit 40, a control unit 50, and a communication unit 60. Include.

하우징(10)은 포인팅 장치(1)의 본체로, 일 측이 길게 연장된 바(bar)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하우징(10)이 바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할 때 접하는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그립감과 심미감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된 하우징(10)의 형상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및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전력공급부(20)를 수용할 수 있다.The housing 10 is a main body of the pointing device 1 and is formed of a bar or rod-shaped member whose one side is elongated and can be held by a user. Since the housing 10 is formed of a bar or rod-shaped member, the pointing device 1 can be easily operated while the user is holding it with one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 when grippe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a grip feeling and an aesthetic feeling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housing 10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housing 10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and manipulate. The housing 1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power supply unit 20.

전력공급부(20)는 후술할 센서부(30), 제1 스위치부(40), 제어부(50), 통신부(60), 레이저출력부(70), 및 제2 스위치부(8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통상의 배터리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0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unit 30,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he communication unit 60, the laser output unit 70, and the second switch unit 80 to be described later. By supplying, it may be a conventional battery.

센서부(30)는 하우징(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전력공급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우징(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하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생성한 위치신호를 제어부(50)에 전송한다.The sensor unit 30 senses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0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he sensor unit 3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0, and may generate a position signal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sensor unit 30 transmits the generated pos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

제1 스위치부(40)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자가 하우징(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하우징(10)의 상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스위치부(40)가 하우징(10)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 내 제1 스위치부(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40)는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며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으로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패드부(41)와, 터치패드부(41) 하부에 위치하여 터치패드부(41)의 누름을 인식하는 누름인식부(42)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누름인식부(42)는 터치패드부(41)에 압력이 가해지면 하부로 이동하여 전류를 이동시키고,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패드부(41)를 누르지 않고 접촉만 한 경우, 터치신호가 입력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부(41)를 눌러 누름인식부(42)가 하부로 이동한 경우, 클릭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 unit 40 is an input means in the form of a butt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can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while holding the housing 10. have. However, the first switch unit 40 is not limited to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switch unit 40 in the housing 10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first switch unit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is a touch pad unit 41 that recognizes a contact by a pressure type or a capacitive type, and the touch pad unit 41 is located under the touch pad unit 41. Including a press recognition unit 42 for recognizing a press of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user's touch state and simultaneously input a click signal. The push recognition unit 42 may be formed as a push button switch that moves downwar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pad unit 41 to move current, and is restore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o block the current. . 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4,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d part 41 without pressing the touch pad 41, a touch signal is input, and as shown in FIG. 4(b), the touch pad When the press recognition unit 42 moves downward by pressing the unit 41, a click signal may be input.

제어부(50)는 센서부(30)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이 때,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D)와 연결된 호스트기기(H)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하지 않는다. 제어부(50)는 호스트기기(H)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60)를 통해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어 제어부(50)가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면, 호스트기기(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이미지포인터(I)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센서부(30)에서 생성된 위치신호는 제어부(50)로 전송되고, 제어부(50)는 전달받은 위치신호를 평면 좌표 형태의 상대위치좌표로 변환하여 통신부(60)를 통해 호스트기기(H)에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전송된 상대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이미지포인터(I)로 출력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기기(H)에는 제어부(50)로부터 상대위치좌표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므로,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포인터(I)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미지포인터(I)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이미지포인터(I)는 원형, 링형, 사각형, 삼각형, 화살표 등 특정 형태의 도형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캐릭터, 로고 등 면 형태의 사진으로 출력될 수도 있으며,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미지포인터(I)가 특정 형태의 도형 또는 면 형태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출력됨으로써, LCD 스크린(D1) 또는 LCD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표면에 난반사 필름이 부착되어 있거나 난반사 방지 코팅이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D)에도 포인팅 장치(1)가 지시하는 지점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The controller 50 receives a posi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30 and generates a position coordinate in the form of a plane coordinate. At this time, when a user's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D in real time, and the first switch unit ( When a touch signal is not input from 40), the controller 50 does not transmit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The controller 50 may transmit the loca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that communicates with the host device H wirelessly or by wir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the host device H is a display device D as shown in FIG. An image pointer (I) is created in the display area (A) of ). In other words, the posi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50 converts the received position signal into a relative position coordinate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he hos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It transmits to (H), and the host device (H) outputs the transmitted relative position coordinate to the image pointer (I) in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ar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50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the position of the image pointer I output on the display area A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pointer I, it is possible to easily indicate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area A. The image pointer I may be output as a shape of a specific shape, such as a circle, a ring, a square, a triangle, and an arrow, or as a picture in the form of a face such as a character or a logo, or as a continuously moving video. A display device with a diffuse reflection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such as an LCD screen (D1) or an LCD television or computer monitor, or coated with an anti-reflective coating as the image pointer (I) is output as a picture or video in a specific shape or plane shape. Also in (D), the point indicated by the pointing device 1 can be clearly seen.

또한,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는 이미지포인터(I)를 따라 텍스트(text)에 밑줄을 긋거나, 이미지포인터(I)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dra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이미지포인터(I)가 중첩된 상태에서 터치패드부(41)를 누르며 텍스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포인팅 장치(1)를 움직이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 장치(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미지포인터(I)를 따라 텍스트에 밑줄을 그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파일에 이미지포인터(I)가 중첩된 상태에서 터치패드부(41)를 누르며 포인팅 장치(1)를 움직이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 장치(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미지포인터(I)가 이동한 방향으로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이미지포인터(I)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부(41)를 누르며 포인팅 장치(1)를 움직이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 장치(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미지포인터(I)가 이동한 방향으로 화면을 드래그할 수 있다. 이처럼, 본원 발명의 포인팅 장치(1)는 제1 스위치부(40) 하나로 이미지포인터(I)를 생성하고,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할 수 있어 포인팅 장치(1)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고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스위치부(40)의 터치패드부(41)에 접촉하면 터치신호가 입력되고, 터치패드부(41)를 누르면 클릭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를 잘못 가압하는 착오를 범하지 않게 되어 강연 또는 발표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host device H draws an underline on the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I, or the icon touched by the image pointer I or You can move files or drag the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image pointer I is superimposed on the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pointing device 1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xt is extended. ), the host device H can underline the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I that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pointing device 1 is moved while pressing the touch pad 41 while the image pointer I is superimposed on the icon or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host devic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1, (H) may move the icon or fi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pointer I has mov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pointing device 1 is moved while pressing the touch pad 41 while the image pointer 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host device H is a point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1), the screen can be drag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pointer I has moved. As such, the point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n image pointer I with one first switch unit 40, underline text, move icons or files, or drag the screen, so that the pointing device ( The configuration of 1) is simpler and the operation can be made easier. In particular, a touch signal is input when the touch pad unit 41 of the first switch unit 40 is touched, and a click signal is input when the touch pad unit 41 is pressed, so that the user does not make the mistake of pressing the switch incorrectly. As a result, the lecture or presentation can proceed smoothly.

레이저출력부(70)는 전력공급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우징(10)의 외부로 레이저광원(R)을 출력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형태의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D2)을 지시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출력부(70)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단파장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며, 적색광, 녹색광, 자색광 등 다양한 색상의 레이저광을 방출할 수 있다. 레이저출력부(70)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스위치부(80)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광원(R)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The laser output unit 7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 and outputs the laser light source 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6, the screen D2 ) Can be used when indicating. The laser output unit 70 is composed of a laser diode or the like to emit laser light of a short wavelength, and may emit laser light of various colors such as red light, green light, and purple light. The laser output unit 7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R by manipulation of the second switch unit 80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제2 스위치부(80)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압식 버튼 또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제1 스위치부(40)의 일 측, 예를 들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스위치부(80)가 제1 스위치부(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 내 제2 스위치부(80)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80)는 레이저출력부(70)가 동작하여 레이저광원(R)이 출력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제어부(50)가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상호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부(80)가 레이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전력공급부(20)가 레이저출력부(70)에만 전력을 공급하여, 제어부(50)는 호스트기기(H)에 위치좌표의 전송을 중단하고, 레이저출력부(70)가 레이저광원(R)을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스위치부(80)가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전력공급부(20)가 제어부(50)에만 전력을 공급하여, 레이저출력부(70)는 레이저광원(R)의 출력을 제한하고, 제어부(50)가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unit 80 is an input means in the form of a pressurized button or toggle switc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witch unit 40,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can do. However, the second switch unit 80 is not limited to being positioned above the first switch unit 40, and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econd switch unit 80 in the housing 10 may be variously modified. I can. The second switch unit 80 is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70 operates and the laser light source R is output, and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touch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The image pointing mode can be conver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witch unit 80 is set to the laser pointing mode, the power supply unit 20 supplies power only to the laser output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50 provide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The transmission of is stopped, and the laser output unit 70 may output the laser light source R. Conversely, when the second switch unit 80 is set to the image pointing mode, the power supply unit 20 supplies power only to the control unit 50, and the laser output unit 70 limits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R. , The control unit 50 may transmit the loca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호스트기기(H)가 무선 랜(LAN)이 내장되지 않은 데스크탑 컴퓨터인 경우, 무선으로 근거리통신망을 구현하여 통신부(60)와 통신하는 수신기(90)를 장착할 수 있다. 수신기(90)는 하우징(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 시 호스트기기(H)에 장착되며, 하우징(10)은 레이저광원(R)이 출력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에 만입홈(10a)이 형성되어 수신기(9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면에 만입홈(10a)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만입홈(10a)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입홈(10a)은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host device H is a desktop computer without a built-in wireless LAN, a receiver 90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60 may be installed by implementing a local area network wirelessly. The receiver 9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 to be mounted on the host device H if necessary, and the housing 10 is a recessed groove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from which the laser light source R is output. 10a) is form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er 90. However, as shown in FIG. 2, it is not limited that the recessed groove 10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position of the recessed groove 10a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recessed groove 10a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또한, 하우징(10)의 외측에는 제3 스위치부(100)와 제4 스위치부(110)가 노출될 수 있다. 제3 스위치부(100)는 가압식 버튼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영역(A)의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변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4 스위치부(110)는 가압식 버튼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영역(A)의 현재 화면을 다음 화면으로 변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부(80)와 제3 스위치부(100)가 제1 스위치부(40)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4 스위치부(110)가 제1 스위치부(40)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 내 제3 스위치부(100)와 제4 스위치부(110)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witch unit 100 and the fourth switch unit 110 may be exposed outside the housing 10. The third switch unit 100 is an input means in the form of a pressurized button, and may be used to convert the current screen of the display area A to a previous screen. The fourth switch unit 110 is an input means in the form of a pressurized button, and may be used to convert the current screen of the display area A to the next screen. However, as shown, the second switch unit 80 and the third switch unit 100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witch unit 40, and the fourth switch unit 110 is the first switch unit (40) It is not limited to being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positions and shapes of the third switch unit 100 and the fourth switch unit 110 in the housing 10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이미지포인터(I)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트기기(H)가 제어부(50)로부터 위치좌표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이미지포인터(I)를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이미지포인터(I)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선택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선택화면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5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이미지포인터(I)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어 반영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의 제어신호는 제1 스위치부(40) 또는 제3 스위치부(100) 또는 제4 스위치부(1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하우징(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는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 예를 들어,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pointer I may adjust at least one of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50 or an input signal from the host device H. More specifically, when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outputs the image pointer I to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the image on the display area A A selection scree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er I can be adjusted may be activated.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 is input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selection screen is activated,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image pointer I is adjusted and reflected. I can.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may be generated by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third switch unit 100, or the fourth switch unit 110, or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may be generated by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for example, a mouse.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센서부(30)가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A) 단계와, 제어부(50)가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위치좌표를 생성하는 (B) 단계와,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가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C) 단계와, 호스트기기(H)가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이미지포인터(I)를 생성하는 (D) 단계, 및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가 이미지포인터(I)를 따라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이미지포인터(I)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가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C) 단계 이전에, 레이저출력부(70)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레이저광원(R)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제어부(50)가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하는 (C-1)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레이저광원(R)의 출력이 제한되고 제어부(50)가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하며, 레이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레이저광원(R)이 출력된다.The control method of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A) of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by the sensor unit 30, step (B) of genera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y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1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C), and the host device H i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D. Step (D) of creating an image pointer (I) in (A), and when a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host device H underlines the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I) or , (E) step of moving the icon or file touched by the image pointer (I) or dragging the screen.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before step (C) ,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70 outputs the laser light source 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an image in which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a touch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the pointing mode (C-1) further, if the image pointing mode is set,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R is limited and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When the laser pointing mode is set,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laser light source R is output.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센서부(30)는 하우징(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한다((A) 단계). 센서부(30)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며, 전력공급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우징(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30)에서 생성된 위치신호는 제어부(50)로 전송된다.The sensor unit 30 installed in the housing 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0 and generates a position signal (step (A)). The sensor unit 3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0. The posi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제어부(50)는 센서부(30)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한다((B) 단계). 이 때,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 스위치부(80)를 조작하여, 레이저출력부(70)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레이저광원(R)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제어부(50)가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한다((C-1) 단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D)가 막 형태의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D2)인 경우, 레이저포인팅 모드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장치(D)가 LCD 스크린(D1) 또는 LCD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인 경우,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 receives a posi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30 and generates a position coordinate in the form of a plane coordinate (step (B)). At this time,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70 outputs a laser light source 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by manipulating the second switch unit 8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ntroller 50 selects an image pointing mode in which a touch signal is received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are transmitted to the host device H (step (C-1)).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D) is a film-shaped projector-only screen (D2), select the laser pointing mode, and when the display device (D) is an LCD screen (D1) or an LCD television or computer monitor, the image You can select the pointing mode.

제2 스위치부(80)에서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레이저광원(R)의 출력이 제한되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제어부(50)가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D)와 연결된 호스트기기(H)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C) 단계). 터치신호는 제1 스위치부(40)의 터치패드부(41)를 누르지 않고 접촉만 하는 경우 입력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switch unit 80 is set to the image pointing mode,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R is limited, the firs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recognize the user's touch state and simultaneously input a click signal.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D in real time (step (C)). The touch signal may be input when only contact is made without pressing the touch pad part 41 of the first switch part 40.

호스트기기(H)는 위치좌표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이미지포인터(I)를 생성한다((D) 단계). 이미지포인터(I)는 원형, 링형, 사각형, 삼각형, 화살표 등 특정 형태의 도형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캐릭터, 로고 등 면 형태의 사진으로 출력될 수도 있으며,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제어부(50) 또는 호스트기기(H)를 조작하여 이미지포인터(I)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미지포인터(I)가 특정 형태의 도형 또는 면 형태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출력됨으로써, 표면에 난반사 필름이 부착되어 있거나 난반사 방지 코팅이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D)에도 포인팅 장치(1)가 지시하는 지점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호스트기기(H)에는 제어부(50)로부터 위치좌표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므로, 디스플레이 영역(A)에 출력되는 이미지포인터(I)의 위치가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generates an image pointer I in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step (D)). The image pointer I may be output as a shape of a specific shape, such as a circle, a ring, a square, a triangle, and an arrow, or as a picture in the form of a face such as a character or a logo, or as a continuously moving video. In this case, if necessary,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image pointer I may be adjusted by 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50 or the host device H. As the image pointer (I) is output as a picture or video in a specific shape or plane shape, the point indicated by the pointing device (1) also to the display device (D) with a diffuse reflection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r coated with an anti-reflection coating This can be clearly seen.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coordinates are transmitted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from the control unit 50, the position of the image pointer (I) output to the display area (A) is changed to facilitate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area (A). I can instruct you to do.

한편,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가 이미지포인터(I)를 따라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이미지포인터(I)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할 수 있다((E) 단계). 클릭신호는 제1 스위치부(40)의 터치패드부(41)를 눌러 누름인식부(42)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통전이 되면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이미지포인터(I)가 중첩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치부(40)를 누르며 텍스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포인팅 장치(1)를 움직이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 장치(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미지포인터(I)를 따라 텍스트에 밑줄을 그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파일에 이미지포인터(I)가 중첩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치부(40)를 누르며 포인팅 장치(1)를 움직이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 장치(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미지포인터(I)가 이동한 방향으로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이미지포인터(I)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치부(40)를 누르며 포인팅 장치(1)를 움직이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 장치(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미지포인터(I)가 이동한 방향으로 화면을 드래그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스위치부(40) 하나로 이미지포인터(I)를 생성하고,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하는 기능이 모두 수행됨으로써, 복수 개의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종래의 포인팅 장치에 비해 조작이 용이하고, 스위치를 잘못 가압하는 착오를 범하지 않게 되어 강연 또는 발표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host device (H) underlines the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I) or moves the icon or file that the image pointer (I) is touching. Or drag the screen (step (E)). The click signal may be input while being energized when the touch pad part 41 of the first switch part 40 is pressed and the push recognition part 42 moves downward. For example, if the pointing device 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xt is extended while pressing the first switch unit 40 while the image pointer I is superimposed on the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host device ( H) may underline the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I moving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1. In addition, when the pointing device 1 is moved while pressing the first switch unit 40 while the image pointer I is superimposed on the icon or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host device H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1), the icon or file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pointer I has moved. In addition, when the pointing device 1 is moved while pressing the first switch unit 40 while the image pointer 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host device H 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1 Thus, the screen can be drag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pointer I has moved. In this way, by creating an image pointer (I) with one first switch unit 40 and performing all functions of underlining text, moving icons or files, or dragging the screen,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must be operated. It is easier to manipulate compared to the pointing device of, and there is no mistake of incorrectly pressing the switch, so the lecture or presentation can proceed smoothly.

한편, 제2 스위치부(80)에서 레이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제1 스위치부(40)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레이저광원(R)이 출력되고, 제어부(50)의 위치좌표 전송이 중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witch unit 80 is set to the laser pointing mod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40, the laser light source R is output,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ontrol unit 50 is stopped. Can b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포인팅 장치
10: 하우징 10a: 만입홈
20: 전력공급부 30: 센서부
40: 제1 스위치부 41: 터치패드부
42: 누름인식부 50: 제어부
60: 통신부 70: 레이저출력부
80: 제2 스위치부 90: 수신기
100: 제3 스위치부 110: 제4 스위치부
A: 디스플레이 영역 D: 디스플레이장치
H: 호스트기기 I: 이미지포인터
R: 레이저광원
1: pointing device
10: housing 10a: recessed groove
20: power supply unit 30: sensor unit
40: first switch unit 41: touch pad unit
42: push recognition unit 50: control unit
60: communication unit 70: laser output unit
80: second switch unit 90: receiver
100: third switch unit 110: fourth switch unit
A: Display area D: Display device
H: Host device I: Image pointer
R: laser light source

Claims (9)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력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click)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스위치부;
상기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에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호스트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 및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동작하여 상기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상호 변환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레이저출력부는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으로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치패드부의 누름을 인식하는 누름인식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housing;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movement of the housing;
A first switch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recognize a user's touch state and simultaneously input a click signal;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to generate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n real tim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switch unit;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A laser output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outputting a laser light sour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witch unit configured to mutually convert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is operated to output the laser light source, and an image pointing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touch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When the second switch unit is set to the image pointing mode, the laser output unit limits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The first switch unit,
A pointing device including a touch pad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recognize a contact by a pressure type or a capacitive type, and a press recognition unit positioned below the touch pad unit to recognize a pressing of the touch pad uni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포인터를 따라 텍스트(text)에 밑줄을 긋거나, 상기 이미지포인터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drag)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st device,
When the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an image pointer is generated in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the text is underlined along the image pointer, the icon or the file touched by the image pointer is moved, or the screen is dragged. Pointing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에 장착되며, 무선으로 근거리통신망(LAN)을 구현하여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에 상기 수신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만입홈이 형성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Mounted on the hos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ceiver that implements a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ly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he pointing device in which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a part of the receiver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from which the laser light source is outpu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하부로 이동하여 전류를 이동시키고,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인 포인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sh recognition unit,
A pointing device that is a push button switch that moves downwar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pad to move the current, and restores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o block the current.
하우징 내에 설치된 센서부가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A) 단계;
제어부가 상기 위치신호를 전달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는 (B) 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으로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치패드부의 누름을 인식하는 누름인식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인식하며 동시에 클릭(click)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스위치부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C) 단계;
상기 호스트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이미지포인터를 생성하는 (D)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기기가 상기 이미지포인터를 따라 텍스트(text)에 밑줄을 긋거나, 상기 이미지포인터가 터치하고 있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드래그(drag)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A)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ousing by a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B)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the position signal in the form of a plane coordinate;
Recognizing a user's touch state, including a touch pad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recognize a contact by a pressure type or a capacitive type, and a press recognition part located under the touch pad part to recognize the pressing of the touch pad part And at the same tim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from a first switch capable of inputting a click signal,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n real time;
(D) the host device generating an image pointer in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When the click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the host device underlines text along the image pointer, moves the icon or file touched by the image pointer, or drags the screen Control method of a point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E) of (dra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레이저출력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팅 모드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에 전송하는 이미지포인팅 모드를 선택하는 (C-1)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미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이 제한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상기 호스트기기에 전송하는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before the step (C),
Step (C-1) of selecting a laser pointing mode in which a laser output unit outputs a laser light sour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 image pointing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receives the touch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More including,
When the image pointing mode is set,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is limited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포인팅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터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n set to the laser pointing mode, the control method of a pointing device in which the laser light source is output when the tou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KR1020190003508A 2019-01-10 2019-01-10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84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508A KR102184255B1 (en) 2019-01-10 2019-01-10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00155811A KR102287654B1 (en) 2019-01-10 2020-11-19 Po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508A KR102184255B1 (en) 2019-01-10 2019-01-10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811A Division KR102287654B1 (en) 2019-01-10 2020-11-19 Po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018A KR20200087018A (en) 2020-07-20
KR102184255B1 true KR102184255B1 (en) 2020-11-30

Family

ID=7183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508A KR102184255B1 (en) 2019-01-10 2019-01-10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33A (en)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for Attaching Ta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264B1 (en) * 2017-02-21 2018-03-06 김성은 Pointing system having wireless mouse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73A (en) * 2012-10-30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 apparatus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73120A (en) * 2016-12-22 2018-07-02 김영진 Poin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264B1 (en) * 2017-02-21 2018-03-06 김성은 Pointing system having wireless mous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018A (en)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447B2 (en) Multi-surface controller
JP4666808B2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62333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401048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70054423A (en) Multi-surface controller
KR101200030B1 (en) Touch pen and touch screen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778120A (en) Hand-held arithmetic unit and processing method of input signal in hand-held arithmetic unit
JP2002091692A (en) Pointing system
EP2338154A1 (en)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EP2959363B1 (en) Advanced in-cell touch optical pen
JP6194355B2 (en) Improved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CN107250950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ear-type display system and input method
KR101362104B1 (en) Stylus pen for controlling line color and thickness on mobile screen
US2018035012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KR102184255B1 (en)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209365A1 (en) Stylus with display
KR102127457B1 (en)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87654B1 (en) Pointing apparatus
KR102145824B1 (en) Inferface method of smart touch pad and device therefor
EP26723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image keyboard
JP2019194798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KR101824964B1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operating mouse function
KR20080017194A (en) Wireless mous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85620B1 (en) Presenter apparatus with function of hand gesture recognition
WO2020078223A1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