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280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280B1
KR100735280B1 KR1020050052093A KR20050052093A KR100735280B1 KR 100735280 B1 KR100735280 B1 KR 100735280B1 KR 1020050052093 A KR1020050052093 A KR 1020050052093A KR 20050052093 A KR20050052093 A KR 20050052093A KR 100735280 B1 KR100735280 B1 KR 10073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viewing
subscri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62A (ko
Inventor
이호준
금동준
조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280B1/ko
Priority to US11/435,514 priority patent/US7587168B2/en
Priority to EP06012050A priority patent/EP1734675A3/en
Publication of KR2006013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5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receiv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entitlement messages, e.g.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o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스템 및 제한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DMB 방송국이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이 있는 방송 채널이 방송중인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의해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받는 가입자들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들의 가입자 시청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DMB 수신 단말기는 수신된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TS 패킷을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DMB 수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DMB, 제한 수신 시스템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SYSTEM AND CONDITIONAL ACCESS METHOD FOR RESTRICTING OF DMB WATCHING IN REGIONAL}
도 1은 통상적인 DMB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의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 DMB 방송국의 블록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 DMB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의 DMB 수신 단말기에서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의 블록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 DMB 방송국이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EMM을 생성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의 DMB 수신 단말기에서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가 수신된 EMM에 따라 TS 패킷을 복호화하는 동작의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DMB의 제한 수신 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 : CA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한 수신 시스템이라는 것은, 간단히 요약하면, 유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으로, 가입자가 시청료를 내면 그에 대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즉, 방송 컨텐츠에 암호를 걸어 이를 송신하면, 수신자가 상기 시청료를 지불한 경우에만 상기 암호를 풀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유료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
도 1은 이러한 CAS가 구현되어 있는 DMB 방송 시스템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DMB 방송국(100)은, DMB 방송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DMB 방송 시스템 가입자들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압축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stream)을 암호화(Scrambling)한다. 그리고 특정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제한 수신 특성을 나타내는 메시지(Entitlement Control Message:ECM)와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가입자의 시청 권한을 나타내는 메시지, 즉 가입자별 시청 권한 정보(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EMM)를 상기 암호화된 스트림들과 함께 다중화하여 다수의 스트림 패킷(이하 TS(Transport Stream) 패킷이라 함)으로 DMB 위성(104)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DMB 위성(104)은 상기 TS 패킷들을 지상의 DMB 수신 단말기 (102)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DMB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DMB 위성(104)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TS 패킷들을 수신하여 역다중화하고 상기 TS 패킷으로부터 상기 ECM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ECM으로부터 특정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이 제한 수신 특징이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EMM과 상기 DMB 수신 단말기(102)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제한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EMM에 의해 상기 가입자가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102)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TS 패킷들을 복호화함으로써 사용자가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여기서 만약 상기 EMM에 의해 상기 가입자가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지 않으면, DMB 수신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된 TS 패킷들을 복호화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DMB 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지상의 DMB 수신 단말기들에게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송을 원치 않는 지역에까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제공되는 Spil Over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일지라도, 이를 DMB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하게 되면, 지역을 불문하고 상기 DMB 위성(104)으로부터 TS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상적인 DMB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따라 특정 방송 컨텐츠의 수신을 제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제한 수신 특성을 나타내는 메시지인 ECM 및 상기 가입자의 방송 컨텐츠 수신 권한을 나타내는 메시지인 EMM의 경우, 상기 가입자의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 수신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긴 하지만, 이는 지역적인 범위와는 상관없이, 단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유료 제한 또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관람 등급과 같은 방송 컨텐츠 자체적인 수신 제한 수단만을 제공할 뿐이었다. 이에 따라 상기 EMM 및 ECM은,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지역적인 제한 수신 특성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므로, 특정 지역에만 특정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DMB 시청 지역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요금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DMB 시스템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갖는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시청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DMB 시스템 및 제한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와,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한 지역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상기 가입자의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을 구비한다.
또한 제한 수신 방법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방송 채널들 중 지역적으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들의 시청을 제한하는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방송 채널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들로부터 위치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위치 정보들로부터,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가입자를 체크하고, 체크된 가입자에 대해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한 상기 시청 제한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방송 채널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방송 컨텐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 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송 채널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DMB 방송국이,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이 있는 방송 채널이 방송중인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DMB 방송국은, 상기 DMB 수신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DMB 수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과 연동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지역에 따른 수신 제한, 즉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이 있는 방송 채널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의해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받는 가입자들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채널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따라 제한되는 지역에 있는 것으로 체크된 가입자들의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시청 제한 정보는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방송국은, DMB 수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상기 DMB 수신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방송 채널의 시청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DMB 수신 단말기는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TS 패킷을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DMB 수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한 지역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은, GPS 위성(206) 또는 MPC(Mobile Positioning Center)(204)를 통해 위치 정보를 DMB 방송국(200)에 제공하는 DMB 수신 단말기(202)와, 상기 MPC(204)로부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기 저장된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암호화하며, 방송 채널들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로부터 각각의 방송 채널로부터 해당 채널의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 즉 ECM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ECM으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위치한 지역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EMM을 생성한 후, 상기 ECM과 상기 EMM, 그리고 상기 암호화된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DMB 위성(104)에 전송하는 DMB 방송국(200)을 구비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가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에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위성(20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는 상기 GPS 위성(206)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DMB 방송국(200)과 연결된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도 2는 이러한 전송 경로의 예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또는 GSM(Global communication for Mobile System)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이고 있다. 그러나 만약 상 기 DMB 수신 단말기(202)가 DMB 수신 기능 뿐 아니라 휴대 전화의 기능을 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수집 및 관리하는 MPC(Mobile Positioning center)(204)에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PC(204)로부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DMB 방송국(300)에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상기 도 2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제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DMB 방송국(200)에 대한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을 구비하는 DMB 방송국(200)은,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 방송 프로그램 스케쥴러(304), 가입자 위치 정보 수집부(300), 그리고 스크램블러(308)를 포함하는 제한 수신 시스템(314)과, 입력되는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는 비디오/오디오 인코더(306), 그리고 상기 방송 신호를 암호화하는 스크램블러(308)와, 상기 암호화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314)으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을 TS 패킷으로 다중화하는 다중화부(310), 그리고 상기 TS 패킷을 변조하여 DMB 위성(104)으로 전송하는 변조부(312)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의 방송 프로그램 스케쥴러(304)는,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에 따른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와 상기 방송 채널들의 지역별 제한 수신 특성을 포함하는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ECM)을 생성한다. 그 리고 생성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 및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를 상기 다중화부(310)에 입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의 가입자 위치 정보 수집부(300)는, 현재 방송되는 채널 중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이 있는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와 연결된 MPC(204)에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은, 가입자 정보에 따른 가입자들의 시청 권한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상기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는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로부터, 기 저장된 DMB 수신 단말기(202)들의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 수집부(300)로부터 입력되는 DMB 수신 단말기(202)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ECM)와 비교하여, 상기 가입자들이 상기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시청 권한 여부를 포함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시청 제한 정보는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에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가입자가 상기 방송의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에 있을지라도, 상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시청 권한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은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가 상기 방송 채널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의해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일 지라도,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은 상기 가입자 정보들로부터 CW(Control Word)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CW는 상기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들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키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은 상기 생성된 CW를 스크램블러(308)로 입력하고, 상기 생성된 EMM을 다중화부(310)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으로부터 CW를 입력받은 스크램블러(308)는, 상기 CW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암호화(Scramble)한다. 그리고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다중화부(310)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화부(310)는 상기 방송 신호 및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EMM),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CM),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정보를 TS 패킷으로 다중화하여 변조부(312)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변조부(312)는 상기 입력된 TS 패킷을 상기 DMB 위성(104)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조하고 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을 구비한 DMB 방송국(200)은, 지역적인 제한 수신 특성을 갖는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해, 사용자의 위치한 지역에 따른 시청 권한 여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를 방송한다. 이에 따라 이를 수신한 DMB 수신 단말기(202)는, 현재 사용자가,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정보로부터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갖는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방송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의 시청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를 구비하는 DMB 방송국(200)의 동작을 하기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b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을 구비한 DMB 시스템에서, DMB 수신 단말기(202)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에서의 DMB 수신 단말기(202)는 메모리부(352), 키 입력부(354), 표시부(356), 베이스밴드 처리부(358), 사운드 출력부(362), 그리고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가 제어부(35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DMB 위성(104)으로부터 수신되는 TS 패킷을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고 DMB 수신 단말기(202)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354)로부터 받아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채널에 따라 표시부(356) 및 사운드 출력부(36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방송 채널의 화상 정보와 사운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35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35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그리고 고유 정보 저장부(368)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3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35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고유 정보 저장부(369)은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 가입자의 고유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 정보 저장부(36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또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3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35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360)는 변조된 TS 패킷인 RF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35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358)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358)는 제어부(350)와 RF부(36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RF부(36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50)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가 GPS 위성(206)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50)와 연결된 상기 위치 정보 송수신부(366)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가 만료될 경우 상기 GPS 위성(206)으로부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DMB 방송국(200)에 전송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MPC(204)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위치 정보 송수신부(366)는 구비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대신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와 연결된 MPC(204)가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른 상기 DMB 방송국(20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DMB 방송국(20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핸드 오버(Hand Over)가 발생하는 것과 같이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와 연결되는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베이스밴드 처리부(35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인 TS 패킷을 수신하여 이를 다중화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방송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에 포함되어 있는 CAT(Conditional Access Table)로부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에 할당된 PID(Packet ID)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의 PID를 확인하고 EMM 스트림을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EMM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청 권한 정보(Emm)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Emm 으로부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가입자가,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시청이 가능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시청 가능 여부 결과,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가입자가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복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를 구비한 DMB 시스템에서는,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현재 위치에 따라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갖는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c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을 구비하는 DMB 시스템에서, DMB 수신 단말기(202)의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TS 패킷을 수신 및 수신된 TS 패킷을 버퍼링(Buffering)하는 TS 패킷 수신부(400), 수신된 TS 패킷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414), 그리고 SDT(Service Description),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등의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를 파싱하는 PSI 파싱부(402), 상기 파싱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통해 EMM 스트림의 PID를 검색하고, 검색된 EMM 스트림의 PID를 통해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를 추출하는 EMM 추출부(404), 그리고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와 상기 고유 정보 저장부(368)에 저장된 가입자 고유 정보를 통해, 각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가입자, 즉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 사용자의 시청 권한 유무를 체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해 시청 권한이 있을 경우, 상기 고유 정보 저장부(368)로부터 입력된 가입자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CW를 생성하는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 그리고 상기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로부터 CW를 입력받아, 상기 역다중화부(414)로부터 역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스크램블러(412)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단말기(202)에는 지역적으로 방송이 제한되는 방송 채널에 대해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징을 나타내는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ECM)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에는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에서 전송된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징을 가지는 방송 채널을, 상기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정보, 즉 시청 제 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이 구비된 DMB 시스템에서, DMB 수신 단말기(202)의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8)에 구비된 EMM 추출부(404)가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을 추출할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한 지역에 따라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적 제한 수신 특징을 가진 방송 채널에 대해 사용자가 시청이 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청 권한 정보(EMM)에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는 가입자 고유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CW, 즉 복호화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CW로 상기 역다중화부(414)를 통해 역다중화된 방송 신호들을 복호화한다. 이에 따라 만약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시청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징을 가지는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시청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이 제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8)의 동작에 대해 도 5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이 DMB 수신 단말기(202)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현재 위치에 따라 지역적 제한 수신 특징을 가지는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방송국 (200)의 제한 수신 시스템(314)은 502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프로그램 스케쥴러(304)로부터 현재 시간에 방송되는 방송 채널의 채널 편성 정보, 즉 PSI와 상기 방송 채널들 각각마다의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314)은 5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들로부터 가입자의 위치에 따라 시청을 제한하는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이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504단계에서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방송 채널이  현재 방송되는 방송 채널 중에 있는 경우에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가입자들의 현재 위치에 따른 지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314)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은,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들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들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의해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 받는 가입자들을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방송 채널이 다수일 경우 상기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해 시청을 제한받는 가입자들을 체크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관리 시스템(302)은 5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들의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시청 제한 정보는, 가입자들의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수신 시스템(314)에서는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 유무가 포함된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EMM은, 상기 스크램블러(308)로부터 출력되는 암호화된 방송 신호들과 함께 다중화부(308)에서 다중화되어 TS 패킷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들의 시청 권한 유무를 포함하는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의 DMB 수신 단말기(202)에서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가, 수신된 시청자 시청 권한 정보에 따라 TS 패킷을 복호화하는 동작의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TS 패킷 수신부(400)로부터 TS 패킷을 수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00단계로 진행하여 TS 패킷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02단계로 진행하여 PSI 파싱부(403)를 통해 상기 수신된 TS 패킷들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를 파싱한다. 여기서 상기 PSI에는 SDT, PAT. PMT, CAT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PSI 파싱부(402)에서는 SDT, PAT, PMT, CAT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된다.
그러면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EMM 추출부(404)를 통해 상기 생성된 CAT로부터 EMM 스트림에 해당되는 PID를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EMM 스트림들로부터 가입자별 시청 권한 정보(EMM)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를 통해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를 확인한다.
그러면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는 상기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이 없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610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이 없을 경우,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송채널의 시청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가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는 방법은,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CW를, 상기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에서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이 없을 경우, 상기 방송 신호는 복호화되지 못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610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EMM)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라면, 상기 TS 패킷 수신 및 역다중화부(364)는 6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허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410)는 고유 정보 저장부(368)로부터 가입자의 고유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CW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를 디스크램블러(412)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램블러(412)는 상기 CW를 이용하여, 상기 TS 패킷 수신부(400)로부터 수신되어 역다중화된 암호화 방송 신호들을 복호화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들을 제어부(350)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시스템의 DMB 수신 단말기(202) 사용자들은 현재 위치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이 제한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서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DMB 방송국(200) 또는 MPC(204)에 연결되는 것을 보였으나, 여기서 상기 DMB 수신 단말기(202)는 이동통신망이 아니라 Wibro 휴대 인터넷 망등을 통해서도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DMB 방송국이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이 있는 방송 채널이 방송중인 경우,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DMB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의해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받는 가입자들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들의 가입자 시청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DMB 수신 단말기는 수신된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TS 패킷을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DMB 수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5)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상기 가입자의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에 전송하는 위치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은,
    지역에 따라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들이 있을 경우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포함하는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 스케쥴러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가입자 위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받는 위치에 있는 가입자들을 체크하고,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하는 가입자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가 방송되는 방송 채널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시청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를 추출하는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추출부와,
    상기 시청 권한 정보에 따른 상기 가입자의 시청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권한 정보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들에 대해 상기 가입자가 시청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상기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과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지역적 제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방송 채널들 중 지역적으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들의 시청을 제한하는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지는 방송 채널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들로부터 위치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위치 정보들로부터,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가입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자에 대해 상기 방송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한 상기 시청 제한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방송 채널 시청을 제한하는 시청 제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와 연결된 MPC(Mobile Positioning Center)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MPC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와 연결된 MPC(Mobile Positioning Center)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위치 변경 감지 단계와,
    상기 MPC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으로 상기 변경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제한 정보 방송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수집한 위치 정보들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가입자들의 현재 위치한 지역을 인지하는 가입자 위치 인지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을 가진 방송 채널들의 채널별 제한 수신 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방송 채널들의 상기 지역적 시청 제한 수신 특성을 체크하는 제한 수신 특성 체크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위치 정보들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의 지역적 제한 수신 특성에 의해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에 위치한 가입자들을 선택하는 제한 수신 가입자 선택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선택된 가입자들에 대해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제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청 제한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생성된 시청 제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로 방송하는 시청 제한 정보 방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수신 가입자 선택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에 위치한 가입자들을 선택하는 가입자 선택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시청이 제한되는 지역에 위치한 가입자들의 가입자 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가입자가 시청을 제한받는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가입자 시청 제한 판단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가입자 시청 제한 판단 결과 상기 가입자가 시청을 제한받는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한 수신 가입자로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제한 정보 방송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가입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방송 채널들에 대한 상기 가입자의 시청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에, 상기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청 제한 정보 포함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이, 상기 시청 제한 정보가 포함된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시청 권한 정보는,
    EMM(Entitle Management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제한 단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시청 제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으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신 방법.
KR1020050052093A 2005-06-16 2005-06-1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073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93A KR100735280B1 (ko) 2005-06-16 2005-06-1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US11/435,514 US7587168B2 (en) 2005-06-16 2006-05-17 Conditional access method and DMB system for regionally limiting DMB reception
EP06012050A EP1734675A3 (en) 2005-06-16 2006-06-12 Conditional access method and DMB system for regionally limiting DMB rece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93A KR100735280B1 (ko) 2005-06-16 2005-06-1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62A KR20060131562A (ko) 2006-12-20
KR100735280B1 true KR100735280B1 (ko) 2007-07-03

Family

ID=3665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093A KR100735280B1 (ko) 2005-06-16 2005-06-1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87168B2 (ko)
EP (1) EP1734675A3 (ko)
KR (1) KR100735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2564A1 (fr) * 2005-05-13 2006-11-15 Nagra France Sarl Méthode d'accès conditionnel local pour équipements mobiles
KR100663473B1 (ko) * 2005-10-1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수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링킹을 통한 예약 녹화방법
KR100941756B1 (ko) * 2007-12-07 2010-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및 그의 방법
US8272066B2 (en) 2008-05-30 2012-09-18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unauthorized use in a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CN101753964B (zh) * 2008-12-02 2012-06-27 北京视博数字电视科技有限公司 实现数字电视终端漫游的方法及其装置
CN101771856B (zh) * 2008-12-26 2012-06-27 北京视博数字电视科技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及其装置
KR101551771B1 (ko) * 2009-02-10 201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자동 변경 방법 및 장치
US8811886B2 (en) 2011-10-07 2014-08-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rvices subject to viewing restrictions
US9999071B2 (en) * 2014-08-29 2018-06-12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US9710619B2 (en) * 2015-03-31 2017-07-18 Canon Information And Imaging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docu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626A (ko) * 2000-10-20 2002-05-03 이계철 지역코드를 이용한 위성방송의 시청제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0416B2 (en) 1997-03-21 2003-05-15 Nagra France Sas Smartcard for use with a receiver of encrypted broadcast signals, and receiver
IL128506A (en) * 1999-02-11 2009-11-18 Nds Ltd Time-dependent confirmation
US20030181160A1 (en) * 2002-03-21 2003-09-25 Hirsch Andrew J. Authentication and provisioning system for subscriber broadcasts
KR100547810B1 (ko) * 2003-08-27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FR2861237B1 (fr) 2003-10-15 2005-12-30 Viaccess Sa Procede de controle d'acces a des donnees numeriques embrouillees
KR101041797B1 (ko) * 2003-12-29 2011-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 dmb 수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626A (ko) * 2000-10-20 2002-05-03 이계철 지역코드를 이용한 위성방송의 시청제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62A (ko) 2006-12-20
EP1734675A3 (en) 2008-08-20
EP1734675A2 (en) 2006-12-20
US20070002885A1 (en) 2007-01-04
US7587168B2 (en)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8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081031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3110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디지털 방송 시스템
US200500891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al access
US8640249B2 (en) Digital broadcasting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method
US20090116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User-Specific Information Over Digital Radio
JP2004248284A (ja) 複数のプログラム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デスクランブリングを制御する方法、受信器システム、および、携帯用安全装置
CN104902311A (zh) 一种音视频资源共享的方法、共享网关及系统
KR100452400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제한 수신 장치, 이를이용한 수신 시스템 및 수신 방법
CN102415102A (zh)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以及接收方法
KR100722650B1 (ko) 지역코드를 이용한 위성방송의 시청제한 방법
KR100640077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68011B (zh) 一种快速搜索数字电视未加密服务的方法及装置
KR100727171B1 (ko)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멀티미디어 방송 자동 접속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멀티미디어 방송 자동 접속 방법
US8578155B2 (en) Address generat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0695082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수신 제한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20080016399A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93748B1 (ko) 이동 통신 망을 통한 emm 전송 방법 및 시스템
WO2009075535A2 (en) Prepaid broadcasting receiver and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20060103784A (ko)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998898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안내정보 수신 방법
KR2006011826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수신시스템 및 수신 방법
JP2006019924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放送方法
JP2017184207A (ja) 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受信方法
KR2005007017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암호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