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599B1 -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599B1
KR100692599B1 KR20050024441A KR20050024441A KR100692599B1 KR 100692599 B1 KR100692599 B1 KR 100692599B1 KR 20050024441 A KR20050024441 A KR 20050024441A KR 20050024441 A KR20050024441 A KR 20050024441A KR 100692599 B1 KR100692599 B1 KR 10069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data
signal
received
d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627A (ko
Inventor
김재현
김영환
이성수
수기용 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2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599B1/ko
Priority to US11/360,524 priority patent/US7773637B2/en
Priority to PCT/KR2006/001062 priority patent/WO2006101355A1/en
Priority to JP2006082043A priority patent/JP4294035B2/ja
Publication of KR2006010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Modulated-carrier systems using chaotic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Abstract

본 발명은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지연부에서 데이터를 지연시키는데 필요한 구성의 간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송할 데이터를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1지연부, 제1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2지연부, 제1지연부와 제2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상이한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부들을 제안함으로서 송신단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혼돈 신호, LDMA, 지연부, 혼돈 신호 발생부

Description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using LDMA}
도 1은 종래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복수의 가입자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혼돈 신호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가입자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 혹은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성이 있는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다중접속은 한정된 특정 자원에 대하여 여러 개의 디바이스들이 자원 사용을 요구할 때 특정 자원에 대한 접속 방식이다. 여기에서 통신을 위하여 필요한 모든 요소를 말하며, 무선구간에 대표적인 것이 기지국에 해당된다. 즉, 하나의 기지국에 여러 개의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고, 이 과정에서 한정된 주파수 및 기지국 장비로 여러 개의 단말기가 접속을 요구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인 것이 임의접속(random access)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사용할 수 있다.
다중접속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등이 있다.
FDMA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서 통화를 원하는 단말에 해당 주파수를 할당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FDMA의 대표적인 방식은 초기 아날로그 이동전화 방식인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가 있다.
TDMA는 해당 주파수에서 시간적으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타임 슬롯을 구분하고, 구분한 타임슬롯을 각 가입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이다. TDMA의 대표적인 예로서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방식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N-AMPS(Narrow-AMPS)가 있다.
CDMA는 무선구간에서 코드를 이용하여 각각 채널을 구분하게 된다. 물론 각 채널은 동일한 주파수대 및 주파수 폭을 사용한다. 각 채널은 전파강도에 따라서 무선구간에서 전파 에너지로 작용하므로 강한 전파를 사용하는 채널은 많은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즉, 서로 다른 가입자를 구분하기 위해 CDMA는 같은 길이의 서로 다른 의사난수(Pseudo Noise: PN) 코드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다중접속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도시하고 있다. 혼돈신호를 이용하여 다중접속을 수행하는 구성은 혼돈신호 생성부(100), 지연부(102), 곱셈기(104), 다중화부(106)를 포함한다.
혼돈신호 생성부(100)는 혼돈 신호를 생성한다. 혼돈 신호의 특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혼돈신호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혼돈 신호는 다중화부(106)와 지연부(102)로 전달된다.
지연부(102)는 전달받은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전달한다. 지연부(102)에서 일정시간 지연된 신호는 다중화부(106)와 곱셈기(104)로 전달된다. 곱셈기(104)는 전달받은 신호에 '-1'을 승산한 후 다중화부(106)로 전달한다. 물론 다중화부(106)는 특정시점에서 지연부(102)와 곱셈기(104) 중 하나의 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다중화부(106)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달받은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혼돈신호를 이용하여 다중접속을 수행하는 구성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4명의 가입자들이 전송하는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4명의 가입자는 가입자1 내지 가입자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R'은 기준 신호 (Reference Signal)를 의미하며, 'D'는 데이터(Data)를 의미한다. 기준신호의 전송길이와 데이터의 전송길이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2는 하나의 지연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4명의 가입자가 신호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지연부는 4개로 구성된다.
또한, 'R1, 1'은 송신사용자1이 수신사용자1로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R2, 1'는 송신사용자2가 수신사용자1로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도 2에 의하면, 송신사용자1은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제1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하며, 송신사용자2는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2×제1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한다. 또한, 송신사용자3은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3×제1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하며, 송신사용자4는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4×제1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한다.
즉, 지연부는 송신사용자에 따라 지연시간을 달리한다. 즉, 송신사용자1의 지연부는 데이터를 제1지연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며, 송신사용자2의 지연부는 데이터를 2×제1지연시간 지연시켜 출력한다. 또한, 송신사용자3의 지연부는 데이터를 3×제1지연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며, 송신사용자4의 지연부는 데이터를 4×제1지연시간 지연시켜 출력한다.
도 3은 수신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수신단은 지연부(300)와 곱셈기(302), 누적부(304) 등을 포함한다. 지연부(300)는 전달받은 신호들 중 데이터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후 곱셈부(302)로 전달한다. 곱셈부(302)는 송신단으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와 지연부(3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승산하고, 승산한 신호를 누적부(304)로 전달한다. 누적부(304)는 전달받은 신호들을 누적한다. 이하, 도 2 를 이용하여 지연부(300)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수신단의 지연부(300)는 송신사용자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전달받은 신호들 중 데이터는 직접 곱셈부(300)로 전달하며, 기준신호는 제1지연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곱셈부(3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곱셈부(300)는 동일시점에서 데이터와 기준신호를 전달받음으로서 원하는 신호를 획득한다.
수신단의 지연부(300)는 송신사용자2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전달받은 신호들 중 데이터는 직접 곱셈부(302)로 전달하며, 기준신호는 2×제1지연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곱셈부(302)로 전달한다.
수신단의 지연부(300)는 송신사용자3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전달받은 신호들 중 데이터는 직접 곱셈부(302)로 전달하며, 기준신호는 3×제1지연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곱셈부(302)로 전달한다.
수신단의 지연부(300)는 송신사용자4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전달받은 신호들 중 데이터는 직접 곱셈부(302)로 전달하며, 기준신호는 4×제1지연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곱셈부(302)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은 특정 송신사용자가 송신한 신호를 획득하기 각 송신사용자별로 달리 설정되어 있는 지연시간을 이용한다. 송신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지연시간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송신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지연부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혼돈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지연부에서 데이터를 지연시키는데 필요한 구성의 간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연부에서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필요한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서 비용의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전송할 데이터를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1지연부; 상기 제1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2지연부; 및 상기 제1지연부와 제2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수신한 기준신호를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1지연부; 상기 제1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2지연부; 및 상기 제1지연부와 제2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신호 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상이한 지연시간을 갖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연수단들을 이용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각 지연수단들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신호와 상기 데이터를 지연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상이한 지연시간을 갖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연수단들을 이용하여 수신한 기준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지연수단들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송신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와 상기 기준신호를 승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연시간이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지연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즉, 각 송신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혼돈 신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4는 주기가 'T'인 신호와 주기가 '3T'인 신호인 두 개의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혼돈 신호는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Rate)를 갖는 즉, 상이한 펄스 주기를 갖는 혼돈 신호이라 하더라도 스펙트럼 상에서 동일한 진폭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기가 'T'인 신호와 주기가 '3T'인 신호는 스펙트럼 상에서 동일한 진폭인 △f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속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명의 가입자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송신단은 제1지연부 내지 제4지연부(500,502,504,506)와 제1다중화부(508), 곱셈부(510), 제2다중화부(512)를 포함한다.
도 5에 의하면, 제1지연부(500) 내지 제4지연부(506)는 상이한 지연시간을 가진다. 제1지연부(500)의 지연시간과 제2지연부(502) 내지 제4지연부(506)의 지연시간이 상이하다. 도 5에 의하면, 제1지연부(500)의 지연시간은 제2지연부(502) 내지 제4지연부(506)의 지연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물론 제2지연부(502) 내지 제4지연부(506)의 지연시간을 달리 설정할 수 있으나,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지연부(502) 내지 제4지연부(506)의 지연시간을 동일하게 도시하고 있다.
혼돈신호 발생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발생된 혼돈신호 중 기준신호에 매핑되는 혼돈신호는 제2다중화부(512)로 전달하며, 데이터에 매핑된 혼돈신호는 제1지연부(500)로 전달된다. 제1지연부(500)는 전달받은 신호를 제a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출력한다. 송신사용자1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1지연부(500)는 지연신호를 제1다중화부(508)로 전달한다. 송신사용자2 내지 송신사용자4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1지연부(500)는 지연신호를 제2지연부(502)로 전달한다.
제2지연부(502)는 전달받은 신호를 제b지연시간(a≫b) 지연시킨 후 출력한다. 송신사용자2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2지연부(502)는 지연신호를 제1다중화부(508)로 전달한다. 송신사용자3 내지 송신사용자4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2지연부(502)는 지연신호를 제3지연부(504)로 전달한다.
제3지연부(504)는 전달받은 신호를 제b지연시간(a≫b) 지연시킨 후 출력한다. 송신사용자3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3지연부(504)는 지연신호를 제1다중화부(508)로 전달한다. 송신사용자4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3지연부(504)는 지연신호를 제4지연부(506)로 전달한다.
제4지연부(506)는 전달받은 신호를 제b지연시간(a≫b) 지연시킨 후 출력한다. 송신사용자4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4지연부(506)는 지연신호를 제1다중화부(508)로 전달한다.
제1다중화부(508)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달받은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혼돈신호를 이용한 다중접속을 수행하는 구성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은 4명의 가입자들이 전송하는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4명의 가입자는 가입자1 내지 가입자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R'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의미하며, 'D'는 데이터(Data)를 의미한다. 기준신호의 전송길이와 데이터의 전송길이는 동일하다.
또한, 'R1'은 송신사용자1이 전송하는 기준신호를 의미하며, 'R2'는 송신사용자2가 전송하는 기준신호를 의미한다. 'R3'은 송신사용자3이 전송하는 기준신호를 의미하며, 'R4'는 송신사용자4가 전송하는 기준신호를 의미한다. 'D1'은 송신사용자1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D2'는 송신사용자2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D3'은 송신사용자3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D4'는 송신사용자4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6에 의하면, 송신사용자1은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제a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하며, 송신사용자2는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제a지연시간+제b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한다. 또한, 송신사용자3은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제a 지연시간+2×제b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하며, 송신사용자4는 데이터를 기준신호에 비해 '제a지연시간+3×제b지연시간' 지연시킨 후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수신단은 제1지연부(700) 내지 제4지연부(706), 다중화부(708), 곱셈기(710), 제1누적부(712) 내지 제4누적부(718), 제1가산기(720) 내지 제3가산기(724), 다중화부(726)를 포함한다.
전달받은 신호들 중 데이터는 곱셈기(710)로 전달되며, 기준신호는 제1지연부(700)로 전달된다. 제1지연부(700)는 전달받은 기준신호를 제a지연시간 지연시킨다. 수신단은 송신사용자1이 전송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지연신호를 다중화부(710)로 전달한다. 수신단은 송신사용자2 내지 송신사용자4가 전송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지연신호를 제2지연부(702)로 전달한다.
제2지연부(702)는 전달받은 기준신호를 제b지연시간 지연시킨다. 수신단은 송신사용자2가 전송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지연신호를 다중화부(710)로 전달한다. 수신단은 송신사용자3 내지 송신사용자4가 전송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지연신호를 제3지연부(704)로 전달한다.
제3지연부(704)는 전달받은 기준신호를 제b지연시간 지연시킨다. 수신단은 송신사용자3이 전송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지연신호를 다중화부(710)로 전달한다. 수신단은 송신사용자4가 전송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지연신호를 제4지연부(706)로 전달한다.
제4지연부(706)는 전달받은 기준신호를 제b지연시간 지연시킨다. 지연된 기 준신호는 다중화부(708)로 전달된다.
다중화부(708)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달받은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다중화부(708)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곱셈기(710)로 전달된다. 곱셈기(710)는 전달받은 데이터와 기준신호를 승산한 후 제1누적기(712)로 전달한다. 제1누적기(712)는 전달받은 신호를 누적한 후 제2누적기(714)와 제1가산기(720)와 다중화부(726)로 전달한다.
제2누적기(714)는 전달받은 신호를 누적한 후 제3누적기(716), 제1가산기(720)로 전달한다. 제3누적기(716)는 전달받은 신호를 누적한 후 제4누적기(718), 제2가산기(722)로 전달한다. 제4누적기(718)는 전달받은 신호를 누적한 후 제3가산기(724)로 전달한다.
제1가산기(720)는 전달받은 신호들을 가산한 후 제2가산기(722)와 다중화부(726)로 전달한다. 제2가산기(722)는 전달받은 신호들을 가산한 후 제3가산기(724)와 다중화부(726)로 전달한다. 제3가산기(724)는 전달받은 신호들을 가산한 후 다중화부(726)로 전달한다. 다중화부(726)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달받은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연부들을 사용할 경우의 효과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8은 사용자가 4명, 즉 제1지연부(700) 내지 제4지연부(706)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제2지연부(702) 내지 제4지연부(706)의 지연시간은 제1지연부(700)의 지연시간/20이다.
또한, 도 8은 8GHz 샘플링과 4MHz의 비트 레이트를 갖는 경우(8G4M)와 20GHz 샘플링과 5MHz의 비트 레이트를 갖는 경우(20G5M)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혼돈 신호의 특성인 주기가 상이하더라도 스펙트럼 상에서 동일한 진폭을 갖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데이터 전송 프레임을 생성한다. 물론 많은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각 가입자별로 생성되는 전송 프레임의 크기의 차는 작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다중접속을 수행하는 송신단 및 수신단에서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는 복수의 지연부 대신 서로 상이한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부를 사용함으로서 송수신단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적절한 모든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전송할 데이터를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1지연부;
    상기 제1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2지연부;
    상기 제1지연부와 제2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다중화부; 및,
    상기 전송할 데이터와 동일한 신호인 기준 신호와, 상기 제1다중화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다중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연부의 지연시간은 제2지연부의 지연시간보다 크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연부의 개수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의 개수에 따라 가변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혼돈 신호를 매핑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신호는 지연되지 않고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6. 수신한 기준신호를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1지연부;
    상기 제1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2지연부;
    상기 제1지연부와 제2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지연부와 제2지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다중화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수신한 기준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승산하는 곱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신호 수신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연부의 지연시간은 제2지연부의 지연시간보다 크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준신호 수신 장치.
  8. 삭제
  9. 상이한 지연시간을 갖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연수단들을 이용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각 지연수단들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신호와 상기 데이터를 지연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단계는,
    전달받은 상기 데이터를 제1지연수단에 의해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된 데이터를 제2지연지연수단에 의해 상기 제1지연시간보다 작은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혼돈 신호를 매핑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
  12. 상이한 지연시간을 갖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연수단들을 이용하여 수신한 기준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지연수단들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들 중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의 지연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송신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와 상기 기준신호를 승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는,
    전달받은 상기 기준신호를 제1지연수단에 의해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지연시간동안 지연된 기준신호를 제2지연지연수단에 의해 상기 제1지연시간보다 작은 제2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KR20050024441A 2005-03-24 2005-03-24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KR10069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4441A KR100692599B1 (ko) 2005-03-24 2005-03-24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US11/360,524 US7773637B2 (en) 2005-03-24 2006-02-24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length division multiple access
PCT/KR2006/001062 WO2006101355A1 (en) 2005-03-24 2006-03-23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length division multiple access
JP2006082043A JP4294035B2 (ja) 2005-03-24 2006-03-24 長さ分割多重接続方式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4441A KR100692599B1 (ko) 2005-03-24 2005-03-24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627A KR20060102627A (ko) 2006-09-28
KR100692599B1 true KR100692599B1 (ko) 2007-03-13

Family

ID=3702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4441A KR100692599B1 (ko) 2005-03-24 2005-03-24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73637B2 (ko)
JP (1) JP4294035B2 (ko)
KR (1) KR100692599B1 (ko)
WO (1) WO2006101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95B1 (ko) * 2005-11-29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시간을 감소시킨 통신시스템
KR100723222B1 (ko) * 2006-03-28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펄스 세이핑 기법을 이용한 카오스 신호 송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287A (ja) * 1993-02-03 1994-08-19 New Japan Radio Co Ltd カオス的信号発生装置及び発生方法
KR960025153A (ko) * 1994-12-16 1996-07-20 구자홍 카오스 신호 검출장치와 카오스 신호 검출방법
US6310906B1 (en) 1999-08-18 2001-10-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aotic carrier pulse position modul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060001738A (ko) * 2004-06-30 2006-01-0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시간 변조에 의한 혼돈의 동기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0054B2 (ja) * 1992-02-21 2001-09-17 烈 山川 カオス的信号発生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カオス・ディバイス
US5724037A (en) * 1995-05-23 1998-03-03 Analog Devices, Inc. Data acquisition system for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and related applications
US6028544A (en) * 1998-01-02 2000-02-22 Motorola, Inc. Digital-to-analog converter with noiseshaping modulator, commutator and plurality of unit converters, and method
US6792542B1 (en) * 1998-05-12 2004-09-14 Verance Corporation Digital system for embedding a pseudo-randomly modulated auxiliary data sequence in digital samples
US6157939A (en) * 1998-06-04 2000-12-0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plicative inverse product
JP2002164810A (ja) * 2000-09-12 2002-06-07 Katsuyoshi Azeyanagi 巡回シフト形符号分割多重通信方式
US7054331B1 (en) * 2000-09-13 2006-05-30 Intel Corporation Multi-lane receiver de-skewing
JP4210717B2 (ja) 2001-03-26 2009-01-2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US6754841B2 (en) * 2001-04-27 2004-06-22 Archic Technology Corporation One-wire approach and its circuit for clock-skew compensating
US6823033B2 (en) * 2002-03-12 2004-11-23 Qualcomm Inc. ΣΔdelta modulator controlled phase locked loop with a noise shaped dither
US7170343B2 (en) * 2003-12-27 2007-0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ast LUT predistorter for power ampl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287A (ja) * 1993-02-03 1994-08-19 New Japan Radio Co Ltd カオス的信号発生装置及び発生方法
KR960025153A (ko) * 1994-12-16 1996-07-20 구자홍 카오스 신호 검출장치와 카오스 신호 검출방법
US6310906B1 (en) 1999-08-18 2001-10-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aotic carrier pulse position modul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060001738A (ko) * 2004-06-30 2006-01-0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시간 변조에 의한 혼돈의 동기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신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4년 ISCAS 논문 "Generalized correlation-d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70970A (ja) 2006-10-05
JP4294035B2 (ja) 2009-07-08
US7773637B2 (en) 2010-08-10
WO2006101355A8 (en) 2008-12-31
WO2006101355A1 (en) 2006-09-28
US20060215706A1 (en) 2006-09-28
KR20060102627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0658B1 (en)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12203140B2 (en) Frequency hopping technique for EUTRA uplink
KR101430462B1 (ko) Rach 프리엠블 구성방법 및 전송방법
JP5038317B2 (ja) 無線インタフェースを経て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を実施する技術
US6041046A (en) Cyclic time hopping i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66663B1 (ko) 제한된 도달 시간을 갖는 액세스 채널
CN111480309A (zh) 发送和接收srs的方法及其通信设备
RU2006113584A (ru) Смешанное повторно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полосы пропускания служебной линии связи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й линии связи
KR100621486B1 (ko)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국
JP2002519934A (ja) 可変レートcdma用の非再帰的に生成された直交pnコード
CA2497057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WO199603613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ultirate coding and detection in a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0183803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ク
US20060280228A1 (en) Data transmission using repeated sets of spreading sequences
JPH09327072A (ja) Cdma通信方法及び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KR20010071672A (ko)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의 의사 잡음 코드 선택
KR20080082661A (ko) 통신 시스템 내에서 파일럿 혼합화
US5706275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JP3063648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KR100692599B1 (ko) 길이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장치
US7398102B2 (en)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operable in GSM/WCDMA
JPH10233758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5124121A (ja) 無線通信装置
KR101728173B1 (ko) 비컨 기반 무선 개인 네트워크에서 채널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00265B1 (ko) 시분할-시디엠에이 에서의 타임 슬롯 할당을 위한 타임호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