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664B1 -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664B1
KR100617664B1 KR1020040086087A KR20040086087A KR100617664B1 KR 100617664 B1 KR100617664 B1 KR 100617664B1 KR 1020040086087 A KR1020040086087 A KR 1020040086087A KR 20040086087 A KR20040086087 A KR 20040086087A KR 100617664 B1 KR100617664 B1 KR 10061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input unit
quality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6991A (en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664B1/en
Publication of KR2006003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6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부;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 혹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설정하여 표시될 영상의 화질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영상이 재생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보다 높도록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고,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display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for capturing an image; An imag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or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input unit; And setting an image parameter value to control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image is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sets the image parameter value upward so that the image output unit is higher than the imag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ownwardly set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set upward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matche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when the image is captured by the input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와 LCD의 부품 차이가 많은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여러가지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LCD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차별화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평소에는 최적화된 화면을 이용하고, 촬영 시에는 원래의 녹화 화질을 감시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fferentiating the image quality of the LCD display selectively according to various uses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arge difference in parts between the camera and the LC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ually uses the optimized screen, and the original when shoo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convenience to monitor the recording quality of the.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display mode

도 1은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혹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camcorder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드변경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de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비하는 모드 선택용 키패드를 예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lection keypad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수동화질모드에 이어 다음 화질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변경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change interface screen provided to a user for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elect the next image quality mode following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200, 300: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 이동통신단말기200, 300: multiple display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310: 영상입력부 220, 320: LCD부210, 310: Image input unit 220, 320: LCD unit

230, 330: 코덱부 240, 340: 저장부230, 330: codec 240, 340: storage

250, 350: 디스플레이전처리부 260, 360: 모드변경부250, 350: display preprocessor 260, 360: mode changer

270, 370: 제어부 290, 390: 사용자인터페이스 270, 370: control unit 290, 390: user interface

355: 영상처리부 392: 모드변경 인터페이스 355: Image processor 392: mode change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따라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according to a usage environment.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 혹은 테잎을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는 점차 그 이용이 감소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인터넷폰, iBook폰, 스마트폰 등의 각종 개인용 이동통신단말기들도 카메라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화면) 등을 부착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corder technology, the use of film-based cameras or tape-based video cameras is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various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hones, Internet phones, iBook phones, smart phones, etc. also have a camera and LCD (Liquid Crystal Display) to attach digital cameras and digital camcorders. It is a trend that is widely used by mounting.

도 1은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혹은 이동통신단말기(이하에서, "기존의 디지털 영상 장치(100)"라 한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camcorder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existing digital imaging device 100 ").

도 1에 의하면, 기존의 디지털 영상 장치(100)는 영상입력부(110), LCD부 (120), 코덱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전처리부(150), 제어부(160), 통신부(170) 및 사용자인터페이스(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10, an LCD unit 120, a codec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display preprocessor 150, a controller 160,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user interface 180,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상기 영상입력부(110)는 렌즈모듈(112), 센서모듈(114)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모듈(116)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모듈(112)을 통하여 입력된 빛신호는 상기 센서모듈(114)과 상기 DSP모듈(116)을 거쳐서 영상데이터화하고, 영상데이터는 신호처리를 통하여 특정 색공간에서 표현된 색신호로 바뀌어 출력된다.First, the image input unit 110 is composed of a lens module 112, a sensor module 114 and a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116. The light signal input through the lens module 112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rough the sensor module 114 and the DSP module 116, and the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a color signal expressed in a specific color space through signal processing. .

색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코덱부(130)는 압축 표준에 따라 영상을 압축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코덱부(130)는 각 영상 픽셀의 RGB(Red-Green-Blue) 데이터를, 표준으로 사용되는 YUV(Y: Brightness, U: Hue, V: Saturation) 색공간상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체 영상을 8 x 8 픽셀의 크기를 갖는 섹션으로 나누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처리를 수행한다.When the color signal is output, the codec unit 130 compresses an image according to a compression standard and stores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140. That is, the codec unit 130 converts RGB (Red-Green-Blue) data of each image pixel into data of YUV (Y: Brightness, U: Hue, V: Saturation) color space used as a standard.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processing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image into sections having a size of 8 x 8 pixels.

이어서, 상기 코덱부(130)는 양자화 및 엔트로피 코딩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일반적으로, 영상데이터는 정지화상의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포맷으로 저장되고, 동화상의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포맷으로 저장된다.Subsequently, the codec unit 130 encrypts the image data through quantization and entropy coding. In general, image data is stored in a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format in the case of a still picture and a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format in the case of a moving picture.

상기 디스플레이전처리부(150)는 촬영 형식, 화면의 사이즈, 촬영 횟수 등의 기준 정보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이를 상기 LCD부(12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The display preprocessor 150 preprocesse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ing format, a size of a screen, a number of photographing shots,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LCD unit 120 for display.

상기 LCD부(120)는 전처리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데, 특히 상기 제어부(160)로부터 영상 파라미터를 전달받아 이를 해석함으로써 LCD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이동통신단말기의 LCD부(120)는 LCD의 밝기와 색상 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180)를 제공하는데, 이때 최적화에 사용되는 것이 영상 파라미터이다. 여러 색공간상에서 다양한 영상 파라미터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통 밝기와 색도 조절에 관련된 영상 파라미터들이 많이 사용된다.The LCD unit 120 displays the preprocessed image data. In particular, the LCD unit 120 receives the image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160 and interprets the image parameters to control the LCD. In general, the LCD unit 120 of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user interface 180 to optimize brightness and color of an LCD, and the image parameter is used for optimization. Various image parameters may be used in various color spaces, but image parameters related to brightness and chromaticity adjustment are commonly used.

보통,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에서는 LCD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상이 촬영된 영상과 가장 유사하도록 최적화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실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왜곡(즉, 실제 영상보다 밝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보상)하여 최적화된다. In general, in digital cameras and camcorders, the image shown to the user through the LCD is optimiz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captured image, a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actual captured image data is distorted (that is, compensated to appear brighter and clearer than the actual image) Is optimized.

영상데이터를 왜곡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60)는 영상 파라미터의 수치를 변경하여 변경된 수치를 상기 LCD부(120)로 전송하고, LCD부(120)는 영상 파라미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영상과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order to distort the image data, the controller 160 changes the numerical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and transmits the changed value to the LCD unit 120, and the LCD unit 120 applies the image parameter to the image input unit 110. It displays a different screen from the actual video shot through the screen.

이렇게 기기에 따라 차별적으로 최적화하는 이유는,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의 경우 LCD는 촬영 시 녹화 상태를 확인(감시)하기 위한 용도인 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의 LCD는 녹화된 영상(혹은 사용상의 메뉴 화면 등)을 재생하는 용도의 비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e differentiation is that the LCD is used to check (monitor) the recording status when shooting, whereas the LC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recorded image (or menu for us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use of the screen to reproduce the screen is larger.

즉,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는 고화소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고 녹화된 영상을 PC 모니터 혹은 TV 모니터로 감상하거나 고해상도 프린터로 출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LCD는 주로 촬영 시의 화질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화에 따른 제약으로, 장착되는 카메라의 성능, 메모리 용량, LCD 해상도, 영상처리장치의 성능 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따라서 LCD는 이러한 부품상의 제약으로 인한 저화질의 영상을 보상하여 재생 용도로 사용된다.In other words, digital cameras and camcorders are usually shot through high-resolution cameras, and the recorded video is viewed on a PC monitor or TV monitor or output to a high-resolution printer. Therefore, LCD is mainly used to monitor image quality at the time of shooting. However,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limited due to miniaturization, the performance of a mounted camera, memory capacity, LCD resolution, and performance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re relatively degraded. Therefore, the LCD compensates for a low quality image due to such component limitations. It is used for regeneration purposes.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화질이 좋지 못하고 밝기도 어둡게 촬영되므로 LCD상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화질을 보상(왜곡/과장)하는데, 최근에는 고해상도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제품도 상당수 출시되고 있다. Since cameras moun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poor image quality and dark brightness, they compensate for image quality when displayed on LCD (distortion / exaggeration). Recently, a larg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s equipped with high resolution cameras have been released.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화질 보상 처리가 이루어지므로(참고로, 이동통신단말기의 LCD는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된다), 촬영시 LCD로 확인한 영상과 별도의 모니터로 출력되는 영상 사이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However, since the image quality compens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ference, the LC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or a game screen). Many differences occur between the images output to the monitor, the user is uncomfortable.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영상입력부(110), 코덱부(130), 저장부(140), LCD부(120), 디스플레이전처리부(150), 통신부(170) 및 사용자인터페이스(180)의 작동과 각부 상호간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특히 영상 파라미터를 상기 LCD부(120)로 전송함으로써 LCD부(120)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of the image input unit 110, the codec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LCD unit 120, the display preprocessor 150,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user interface 180 It controls the operation and input and output of the data between each part, and in particular to transmit the image parameters to the LCD unit 120 to control the screen output of the LCD unit 120.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180)는 키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고, 이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The user interface 180 is provided with a keypad to receive various commands from the user, and transfers them to the controller 160.

상기 통신부(17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구성부로서, 듀플렉서, 주파수 시스템, 이득제어시스템, 송/수신기, 변복조기 등을 구비하는데, 이동통신단말 기는 이외에도 보코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인코더/디코더, 마이크/스피커, 링거 등의 구성부를 더 갖는다. 이러한 통신장치들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언급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계가 없다고 판단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a component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 duplexer, a frequency system, a gain control system, a transmitter / receiver, a demodulato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ocoder and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are provided. It further has components such as an encoder / decoder, a microphone / speaker and a ringer. References to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such communication device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not 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논의한 것처럼 그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볼 때, LCD 디스플레이의 화질은 차별화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고, 영상을 촬영하고 재생하는 측면에서는 화질 품질상의 문제가 제기된다. As discussed above, in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ose functions are gradually diversified, the image quality of the LCD display is inevitably differentiated, and the quality of image quality is raised in terms of taking and playing back images.

또한, 고기능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촬영한 화면을 영상 파라미터로 최적화하여 LCD상에서 확인하더라도, LCD 디스플레이상의 한계(참고로, LCD와 카메라는 그 특성이 매우 다른 하드웨어 부품이다)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실제 영상 사이에 차이를 느끼게 되고 사용자는 불편을 호소하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screen shot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camera is optimized with image parameters and checked on the LCD, the LCD display has limitations (for reference, LCD and camera are very different hardware parts). The user feels a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ed image and the actual image, and the user complains of inconvenience.

이에, 평상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때는 화질을 보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녹화 화질을 보다 충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LCD 디스플레이상의 개선이 필요로 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on the LCD display to compensate for and display the image quality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more faithfully check the recording / recording image quality when taking an image.

본 발명은 영상 촬영시에는 카메라가 촬영한 화면과 LCD가 표시하는 화면을 일치시켜 촬영 화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적인 사용 시에는 카메라가 촬영한 화면보다 LCD가 표시하는 화면의 밝기, 선명도, 채도를 상향설정하여 화면을 최적화시키는 자동화질모드, 사용 시점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촬영 화면과 LCD 표시 화면을 일치시키거나 LCD 표시 화면을 상향조정시키는 수동화질모드 방식으로 구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is taken, the screen shot by the camera matches the screen displayed by the LCD so that the shooting quality can be checked, and in general use, the brightness, sharpness, and saturation of the screen displayed by the LCD rather than the screen shot by the camera. Automated quality mode for optimizing the screen by setting up, and movement driven in manual quality mode to match the camera shooting screen with the LCD display screen or to adjust the LCD display screen up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regardless of the point of us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파라미터의 수치를 변경하여 일치조정된 화면을 제공함에 있어서 영상 처리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LCD를 통하여 확인한 화면과 저장수단에 실제 녹화된 화면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reen checked through the LCD and the screen actually recorded in the storage means by introduc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in providing a matched screen by changing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To provide that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부;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 혹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설정하여 표시될 영상의 화질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영상이 재생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보다 높도록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고,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display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for capturing an image; An imag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or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input unit; And setting an image parameter value to control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image is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sets the image parameter value upward so that the image output unit is higher than the imag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ownwardly set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set upward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matche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when the image is captured by the input unit.

상기의 다른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부;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 혹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출 력부; 및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설정하여 표시될 영상의 화질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재생되는 영상 혹은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표시되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보다 높도록 상기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상향설정하거나,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another purpose of the above, the multi-display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input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n image output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or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input unit; And control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by setting a numerical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and in each case the reproduced image or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by the user's selec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wardly set a numerical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so as to be higher than an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or downwardly set a numerical value of the upstream image parameter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matche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multi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라 한다)(2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is shown.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영상입력부(210), LCD부(220), 코덱부(230), 저장부(240), 디스플레이전처리부(250), 모드변경부(260), 제어부(270), 통신부(280) 및 사용자인터페이스(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210, an LCD unit 220, a codec unit 230, a storage unit 240, and a display preprocessor 250. ), A mode change unit 260, a control unit 270, a communication unit 280, and a user interface 290.

우선, 사용자인터페이스(290)는 모드변경 인터페이스(292)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는데,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환경에 따라 화질을 바꿀수 있도록 설정된 화질 모드를 의미한다.First, the user interface 290 includes a mode change interface 292 to receive command data from a user. The mode refers to an image quality mode set to change image quality according to a usage environ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드변경부(26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de change unit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함에 있어서, 그 편의를 위하여 화질 모드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재생화질모드(264), 촬영화질모드(265), 수동화질모드(267), 자동화질모드(266) 및 영상처리모드를 제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for the image quality mode will be defined for convenienc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yback quality mode 264, a recording quality mode 265, a manual quality mode 267, an automatic quality mode 266, and an image processing mode so that a user can easily use the same. do.

상기 제어부(270)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메뉴 이미지 및 영상 등을 재생시키는 영상재생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trol unit 270 includes an image reproducing unit (not shown) for reproducing previously stored menu images and image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used.

재생화질모드(264)는 상기 영상입력부(210)의 촬영 화면보다 상기 LCD부(22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과장되도록 하는 화질모드인데, 이는 보통 상기 영상재생부가 기존의 메뉴 이미지 및 저장된 영상 등을 재생하는 경우에 이용된다.The playback image quality mode 264 is an image quality mode in which the display screen of the LCD unit 220 is exaggerated than the photographing screen of the image input unit 210. In general, the image reproduction unit reproduces an existing menu image and a stored image. It is used when doing.

촬영화질모드(265)는 상기 영상입력부(210)의 촬영 화면과 상기 LCD부(22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일치되도록 하는 화질모드인데, 이는 보통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촬영 중이고, 촬영된 화면이 실시간으로 상기 LCD부(220)를 통하여 표시되는 경우에 이용된다.The image quality mode 265 is an image quality mode in which the photographing screen of the image input unit 210 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LCD unit 220 are matched, which is usually being photograph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d when the photographed screen is displayed through the LCD unit 220 in real time.

또한, 수동화질모드(267)는 사용 시점과는 상관없이 상기 재생화질모드(264)와 촬영화질모드(265)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화질모드이고, 자동화질모드(26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시점(촬영시 혹은 일반 사용시)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재생화질모드(264)와 촬영화질모드(265)가 변환되도록 하는 화질모드이다. In addition,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267 is an image quality mode for allowing a user to manually select the reproduction image quality mode 264 and the image quality image mode 265 irrespective of the point of use, and the automatic image quality mode 266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picture quality mode 264 and the picture quality mode 265 are automatical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point of use (at the time of shooting or normal use).

마지막으로, 영상처리모드는 상기 촬영화질모드(265)를 구현함에 있어서 DSP 를 이용하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Lastly, the image processing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DSP is used to implement the photographing quality mode 265.

사용자인터페이스(290)는 상기 예시한 화질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 명령 데이터를 모드변경부(260)로 전달한다.The user interface 290 transmits command data selected from one of the above-described image quality modes to the mode changer 260.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290)가 구비하는 모드 선택용 키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lection keypad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2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도 2를 설명하면, 제어부(270)는 영상 파라미터를 LCD부(220)로 전송하여 LCD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270 transmits an image parameter to the LCD unit 220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LCD.

즉, 제어부(270)는 상기 렌즈모듈(212), 센서모듈(214), DSP모듈(216)을 포함하는 영상입력부(210)의 감지 특성과 상기 LCD부(220)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여러개로 설정하고 있다. 참고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입력부의 화질이 영상출력부(LCD부)의 화질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영상출력부에 표시되는 영상입력부 화질을 높이기 위하여 상향조정된 영상파라미터 하나만을 설정하고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70 according to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put unit 210 including the lens module 212, the sensor module 214, the DSP module 216 and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LCD unit 220 The number of is set to several. For reference, sinc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image output unit (LCD unit),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only one image parameter adjusted upward to increas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영상입력부(210)의 촬영 화면보다 상기 LCD부(22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과장되도록 영상 파라미터를 상향설정하고, 상기 촬영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조정된 영상 파라미터를 다시 하향설정하는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 파라미터를 "제1 영상 파라미터" 라고 하고, 상기 재조정된 영상 파라미터를 "제 2영상 파라미터"라 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270 sets an image parameter upward so that the display screen of the LCD unit 220 is exaggerated than the capture screen of the image input unit 210, and the upwardly adjusted image so that the capture screen matches the display screen. The parameter is again set downwar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set image parameter is referred to as "first image parameter", and the readjusted image parameter is referred to as "second image parameter".

사용자가 모드변경 인터페이스(292)를 통하여 재생화질모드(264)를 선택하면 모드설정부(262)는 상기 제어부(270)가 상기 제1 영상 파라미터를 상기 LCD부(220)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촬영화질모드(265)를 선택하면 모드설정부(262)는 상기 제어부(270)가 상기 제 2영상 파라미터를 상기 LCD부(220)로 전송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layback quality mode 264 through the mode change interface 292, the mode setting unit 262 causes the controller 270 to transmit the first image parameter to the LCD unit 220.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image quality mode 265, the mode setting unit 262 causes the controller 270 to transmit the second image parameter to the LCD unit 220.

LCD부(220)는 상기 영상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LCD 표시 기능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1 영상 파라미터를 전송받으면 영상입력부(210)가 촬영하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실제 영상 데이터를 보다 밝고 선명하게 과장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상 파라미터를 전송받으면 실제 영상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The LCD unit 220 controls the LCD display function by interpreting the image parameter. When the first image parameter is received, the LCD unit 220 brightly and vividly captures real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e input unit 21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Exaggerated display and display of the screen most similar to the actual image data when the second image parameter is received.

여기서, 영상 파라미터는 밝기 파라미터, 선명도 파라미터 및 채도 파라미터로 세분화되고, 각 파라미터는 여러 가지 색공간에서 표현될 수 있는데, 가령, RGB(빨강,초록,파랑), CMY(녹청색, 자홍, 노랑), YIQ(휘도, 동위상, 구적), HSI(색상, 채도, 밝기), HSV(색상, 채도, 수치) 등의 색공간에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는 영상 파라미터가 YCbCr(Y: 밝기 Cb, Cr: 컬러 스케일) 색공간에서 표현되는 것으로 한다.Here, the image parameters are subdivided into brightness parameters, sharpness parameters and saturation parameters, and each parameter can be represented in various color spaces, for example, RGB (red, green, blue), CMY (cyan, magenta, yellow), It can be expressed in a color space such as YIQ (luminance, in-phase, quadrature), HSI (color, saturation, brightness), HSV (color, saturation, numerical valu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parameter is expressed in a YCbCr (Y: brightness Cb, Cr: color scale) color space.

우선, 상기 제어부(270)가 상기 LCD부(220)로 상향조정된 밝기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경우, 영상 파라미터는 영상 픽셀의 Y수치를 조정함으로써 밝기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controller 270 transmits the brightness parameter adjusted upward to the LCD unit 220, the image parameter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Y value of the image pixel.

또한, 선명도 파라미터가 상향조정되는 경우, 각 영상 픽셀은 이웃하는 픽셀과의 Y수치 차이를 보다 크게 조정됨으로써 구현할 수 있고, 채도 파라미터가 상향 조정되는 경우, 각 영상 픽셀은 Cb 및 Cr 수치가 각 수치의 최대 혹은 최소로 조정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rpness parameter is adjusted upward, each image pixel may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difference of the Y value with the neighboring pixel to be larger. When the saturation parameter is adjusted upward, each image pixel has a numerical value of Cb and Cr. This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maximum or minimum of.

상기 코덱부(230)는 압축 표준에 따라 영상을 압축하여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전처리부(250)는 촬영 형식, 화면의 사이즈, 촬영 횟수 등의 기준 정보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이를 상기 LCD부(22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모드변경부(260)의 선택 데이터에 따라 전처리된 영상데이터가 LCD부(220)에서 재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도록 한다.The codec unit 230 compresses an image according to a compression standard and stores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240, and the display preprocessor 250 stores image data according to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ing format, a screen size, and a number of photographing times. Pre-process and transfer it to the LCD unit 2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70 transmits the image parameters so that the preprocess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lection data of the mode changer 260 may be readjusted by the LCD unit 220.

가령, 사용자가 촬영화질모드(265)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LCD부(220)가 촬영된 화면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2 영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데, 재조정된 제2 영상파라미터는 촬영된 화면의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크게(상기 영상입력부(210) 및 상기 LCD부(220)의 부품상의 차이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the image quality mode 265, the LCD unit 220 transmits the second image parameter to display the captured image as it is, and the readjusted second image parameter is larger than the parameter of the captured screen. It may be small or larg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parts of the image input unit 210 and the LCD unit 220).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290)를 통하여 자동화질모드(266)를 선택하였다면, 모드변경부(260)의 모드설정부(262)는 자동화질모드(266)를 설정하고, 동작감지부(26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동작을 감시하기 시작한다. 즉, 동작감지부(261)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촬영 동작 진입을 감지하면, 모드설정부(262)는 촬영화질모드(265)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270)가 상기 제2 영상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선택 데이터를 전송한다.If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on quality mode 266 through the user interface 290, the mode setting unit 262 of the mode changing unit 260 sets the automation quality mode 266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261. ) Starts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261 detects the entry of the shoot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de setting unit 262 sets the picture quality mode 265, and the controller 270 sets the second image parameter. The data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selection data so that the selection can be made.

또한, 모드설정부(262)가 자동화질모드(266)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LCD부 (220)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인터페이스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즉, 촬영이외의 동작 상태인 경우)을 상기 동작감지부(261)가 감지하였다면, 모드설정부(262)는 재생화질모드(264)를 설정한다. 이에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제어부(270)가 상기 제1 영상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데이터를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mode setting unit 262 sets the automation quality mode 266, the LCD unit 220 displays the stored image data or displays a screen for the user interface (ie, an operation state other than photographing).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261, the mode setting unit 262 sets the reproduction quality mode 264. The data transmission unit transmits selection data so that the controller 270 can select the first image parameter.

반면,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290)를 통하여 수동화질모드(267)를 선택하였다면, 모드변경부(260)의 모드설정부(262)는 수동화질모드(267)를 설정한다. 이때, 동작감지부(26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동작 감시기능을 중지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거나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계없이 상기 모드설정부(262)는 다음 선택 데이터가 전달될 때까지 대기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lects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267 through the user interface 290, the mode setting unit 262 of the mode changing unit 260 sets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267. At this time, the motion detection unit 261 suspends the opera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regardless of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general function or a photographing function, the mode setting unit 262 waits until the next selection data is transmitted.

이어서, 사용자인터페이스(290)를 통하여 재생화질모드(264) 혹은 촬영화질모드(265)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면 모드설정부(262)는 해당 모드를 설정하고, 데이터전송부는 선택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70)로 전달한다.Subsequently, when data for selecting the playback quality mode 264 or the imaging quality mode 265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290, the mode setting unit 262 sets the corresponding mode, 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selects the selected data. Forward to 270.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Let's do it.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영상입 력부(310), 코덱부(330), 저장부(340), LCD부(320), 디스플레이전처리부(350), 모드변경부(360), 제어부(370), 통신부(380), 사용자인터페이스(390) 및 영상처리부(3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영상처리부(355)가 더 구비된다는 점이다.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310, a codec unit 330, a storage unit 340, an LCD unit 320, and a display preprocessor ( 350, the mode changer 360, the controller 370, the communication unit 380, the user interface 390, and the image processor 355,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5 is further provided.

상기 영상입력부(310) 및 상기 LCD부(320)는 그 특성이 매우 다른 장치이므로 상기 영상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화질을 제어한다고 하여도 상기 영상입력부(310)의 입력화질과 상기 LCD부(320)의 출력화질에 여전히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Since the image input unit 310 and the LCD unit 320 have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310 and the LCD unit 320 may be controlled even if the image quality is controlled using the image parameter. There may still be differences in output quality.

이러한 경우 사용자인터페이스(390)를 통하여 영상처리모드가 선택되면 모드변경부(360)의 상기 모드설정부는 영상처리모드를 설정한다. 데이터전송부는 영상처리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제어부(370)로 전달하고, 제어부(370)는 영상처리부(355)를 동작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image processing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390, the mode setting unit of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image processing mode. The data transmitter transmits to the controller 370 that the image processing mode is set, and the controller 370 operates the image processor 355.

영상처리부(355)는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필터링처리를 하여 디스플레이전처리부(350)로 전송하는데, 디지털 필터링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의 밝기, 채도, 색상, 선명도 등이 조절된다.The image processor 355 performs digital filtering on the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preprocessing unit 350. The digital filtering controls the brightness, saturation, color, and sharpness of the image data.

디지털 필터링은 전술한 영상 파라미터를 통한 LCD부(320)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와는 구분되는 것으로서, 점처리, 공간필터처리, 주파수영역처리 및 색체영상처리를 포함한 영상향상(Image Enhancement)기법 혹은 영상변환(Image Transforms)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Digital filtering is distinguished from display control in the LCD unit 320 through the above-described image parameters, and includes image enhancement techniques or image conversion including point processing, spatial filter processing, frequency domain processing, and color image processing. (Image Transforms) technique can be used.

디지털 필터(355a)는 상기 영상입력부(310) 및 상기 LCD부(320)의 동작 특성에 따라 사전에 알맞은 필터로 최적화되어 영상처리부(355)에 구비된다. 최적화된 영상은 전처리를 거친 후, LCD부(320)로 전송되고 상기 영상 파라미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디지털 필터링은 RGB 색공간 혹은 YCbCr 색공간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filter 355a is optimized to a filter suitable in advance according to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put unit 310 and the LCD unit 320 and is provid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355. The optimize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LCD unit 320 after preprocessing and finally improved through the image parameter. Digital filtering is preferably processed in the RGB color space or YCbCr color spac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ple display mode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인터페이스(390)는 사용자로부터 화질모드를 선택하는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고(S100), 제어부(370)는 수동화질모드 설정 명령인지 자동화질모드 설정 명령인지 판단한다(S105). 모드변경부(360)는 상기 판단에 따라 수동화질모드(267) 혹은 자동화질모드(266)를 설정한다(S110, S115).First, the user interface 390 receives command data for selecting an image quality mode from the user (S100), and the controller 370 determines whether it is a manual image quality mode setting command or an automation quality mode setting command (S105).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267 or the automatic image quality mode 266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110, S115).

상기 모드변경부(360)가 자동화질모드(266)를 설정한 경우(S115), 상기 동작감지부(261)는 상기 영상입력부(310)가 피사체의 촬영 단계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 혹은 LCD부(320)가 저장된 영상이나 일반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5).When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automation quality mode 266 (S115), the motion detecting unit 261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input unit 310 has entered the photographing step of the subject, or the LCD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320 displays the stored image or the general user screen (S125).

만일, 동작감지부(261)가, 상기 영상입력부(310)가 피사체의 촬영 단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모드변경부(360)는 촬영화질모드(265)를 설정하고(S140), 상기 제어부(370)는 제2 영상 파라미터를 상기 LCD부(320)로 전송한다(S155). LCD부(320)는 촬영된 데이터와 가장 유사하게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녹화 상태를 감시하며 촬영할 수 있게 된다(S160).If the motion detection unit 261 determines that the image input unit 310 has entered the photographing step of the subject,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photographing quality mode 265 (S140) and the controller ( 370 transmits a second image parameter to the LCD unit 320 (S155). The LCD unit 320 displays a screen most similar to the photographed data, so that the user can shoot while monitoring the recording state (S160).

반면, 동작감지부(261)가, 상기 LCD부(320)가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거나 일반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이동통신단말기가 촬영 이외의 상태에 있다고 판단는 경우(S135: 아니오), 상기 모드변경부(360)는 재생화질모드(264)를 설정한다(S145). 상기 모드변경부(360)가 재생화질모드(264)를 설정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제1 영상 파라미터를 상기 LCD부(320)로 전송한다(S165). LCD부(320)는 전송된 영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밝기, 선명도, 채도가 과장되게 제어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S170).On the other hand, 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261 determines that the LCD unit 320 displays the stored image or the general user screen,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state other than shooting (S135: No)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playback quality mode 264 (S145). As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reproduction quality mode 264, the controller 370 transmits the first image parameter to the LCD unit 320 (S165). The LCD unit 320 displays a screen in which brightness, sharpness, and saturation are exaggerated using the transmitted image parameter (S170).

그러나, 상기 모드변경부(360)가 수동화질모드(267)를 설정한 경우(S110), 사용자인터페이스(390)는 사용자로 하여금 촬영화질모드(265) 혹은 재생화질모드(264)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드변경인터페이스(392)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20).However, when the mode changing unit 360 sets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267 (S110), the user interface 390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image quality mode 265 or the reproduction image quality mode 264. The mode change interface 392 screen is displayed (S120).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390)가 수동화질모드에 이어 다음 화질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변경 인터페이스(392)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change interface 392 screen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3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user to select a next image quality mode following a manual image quality mode.

이어서, 모드설정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모드를 설정하고(S130), 제어부(370)는 해당 파라미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LCD부(320)를 제어한다.Subsequently, the mode setting unit sets the image quality mode selected by the user (S130), and the controller 370 controls the LCD unit 320 by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parameter.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용도에 상관없이 편의에 따라 촬영화질모드(265) 혹은 재생화질모드(264)를 선택하여(S140, S145)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LCD부(320)가 화면을 과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입력된 그대로의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S165, S170, S155, S160).Therefore, the user selects the image quality mode 265 or the image quality mode 264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40, S145) and the LCD unit 320 exaggerates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as it is (S165, S170, S155, S160).

수동화질모드(267) 혹은 자동화질모드(266)의 설정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촬 영화질모드(265)를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인터페이스(390)는 영상처리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모드변경 인터페이스(392)를 한번 더 제공할 수 있다(S150).Regardless of the setting of the manual image quality mode 267 or the auto image quality mode 266, when the user selects the image quality mode 265, the user interface 390 provides a user with a mode change interface to select an image processing mode. 392 may be provided once more (S150).

영상입력부(310)와 LCD부(320)의 기능 차이가 큰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즉, 영상 파라미터의 조정만으로는 화질에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영상처리모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function between the image input unit 310 and the LCD unit 320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quality only by adjusting the image parameters), it is preferable to have such an image processing mode function. .

사용자인터페이스(390)가 영상처리설정 명령을 입력받으면, 모드설정부는 영상처리모드를 설정하고(S175) 영상처리부(355)는 최적화되어 있는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처리한다(S180). 전처리는 디지털 필터링 처리 후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interface 390 receives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command, the mode setting unit sets the image processing mode (S175),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55 processes the image data using the optimized digital filter (S180). The preprocessing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the digital filtering process.

최종적으로, LCD부(320)는 영상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링처리 및 전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60). 그러나, 디지털 필터링된 영상 데이터라면 영상 파라미터의 적용이 없더라도 최적화된 화면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영상처리모드가 실행된 경우에는 영상 파라미터의 적용을 배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Finally, the LCD unit 320 applies an image parameter to display the digital filtered and preprocessed image data (S160). However, if the digitally filtered image data is provided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parameter, the optimized screen can be provided.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parameter may be excluded when the image processing mode is execu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o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not possible that are not illustrat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촬영시에는 자동으로 원래의 촬영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평상시에는 색도, 선명도 등이 보상된 화면을 제공하도록 하거나, 혹은 사용 시점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의 수동 선택에 의하여 상기 보상된 화면 혹은 촬영 화면에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재생/녹화 용도에 맞추어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displ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hotographing, the original photographed data is automatically displayed and the screen normally compensates for the chromaticity, sharpness, etc. Irrespective of the user's manual select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used for playback / recording by displaying a screen optimized for the compensated screen or a shooting scree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화질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라도 때에 따라 LCD 고유의 화질로써 영상을 즐기거나 기존의 디지털 캠코더 및 카메라와 같이 녹화 전용 기기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igh-definition camera can be used to enjoy the image with the LCD's own image quality in some cases, or can be used as a recording-only device such as existing digital camcorders and cameras to maximize the function It can be effective.

Claims (5)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Image input unit for taking an image;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부;An imag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 혹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or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input unit; And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설정하여 표시될 영상의 화질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영상이 재생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보다 높도록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고,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모드 이동통신단말기.Set an image parameter value to control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image is play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set the image parameter value upward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is higher than that of the image input unit, and set the imag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down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set upward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and the image output unit match when the image is capt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재생되는 영상 혹은 촬영되는 영상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표시되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보다 높도록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거나,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모드 이동통신단말기.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image parameter value is set upward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is higher than that of the image input unit in each case in which the reproduced image or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And multiplying the upwardly set image parameter value such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nput unit matche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영상이 재생되면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고,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기능; 상기 재생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는 기능; 상기 재생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기능; 상기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상향설정하는 기능; 혹은 상기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모드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모드 이동통신단말기.A function of upwardly setting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when the image is reproduced and a downwardly setting the value of the upwardly set image parameter when the image is captured; A function of setting the image parameter value upward when the reproduced image is displayed; A function of downsetting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set upward when the reproduced image is displayed;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when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r a mode changing unit which selects any one of the functions of downsetting the upwardly set image parameter value 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from the user and transfers the selected mode to the controller. terminal.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Image input unit for taking an image;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부;An imag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 혹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reproducing unit or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input unit; And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설정하여 표시될 영상의 화질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재생되는 영상 혹은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표시되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보다 높도록 상기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상향설정하거나,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향설정된 영상파라미터의 수치를 하향설정하는 제 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모드 이동통신단말기.By setting numerical values of the image parameter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controlled, and in each case where the reproduced image or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is determined by the imag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wardly set the numerical value of the image parameter so as to be higher than the image quality, or to downwardly set the numerical value of the upstream image parameter so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matche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unit. Display Mode Mobile Terminal.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영상입력부의 화질과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질이 일치되도록 하는 경우, 재생되는 영상 혹은 촬영된 영상에 디지털 필터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 이동통신단말기.When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input unit and the image output unit is matched, the multiple display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igital filtering on the reproduced image or photographed image.
KR1020040086087A 2004-10-27 2004-10-27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KR100617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87A KR100617664B1 (en) 2004-10-27 2004-10-27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87A KR100617664B1 (en) 2004-10-27 2004-10-27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91A KR20060036991A (en) 2006-05-03
KR100617664B1 true KR100617664B1 (en) 2006-08-28

Family

ID=3714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87A KR100617664B1 (en) 2004-10-27 2004-10-27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6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94784C (en) 2007-07-27 2017-07-04 Deluxe Digital Studio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customizing displayed content associated with a port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91A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078B2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quality control method
US7728886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8736697B2 (en) Digital camera having burst image capture mode
US755783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32935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deterioration of an image even when the gain increased
US8643734B2 (en) Automatic engagement of image stabilization
US20120243802A1 (en) Composite image formed from an image sequence
US8750674B2 (en) Remotely controllable digital video camera system
JP5553230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processing method
KR1021588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3899497B2 (en) Electronic camera, electronic camera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1924969B1 (en) Camera system
EP2362662B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imaging method
US20120113515A1 (en)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ally engaging image stabilization
US850288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hite balance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773242B2 (en) Digital camera
KR100617664B1 (en) Mobile terminal alternating multi- display mode
JP200709703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digital camera
JP2003134386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08053774A (en) Imaging apparatus
JP2001169152A (en) Electronic camera, method for display state adjustment of electronic camera, and recording medium
JP2001160915A (en) Digital camera
WO2022158318A1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694174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11753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age output in a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