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367B1 -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367B1
KR100525367B1 KR1019970079162A KR19970079162A KR100525367B1 KR 100525367 B1 KR100525367 B1 KR 100525367B1 KR 1019970079162 A KR1019970079162 A KR 1019970079162A KR 19970079162 A KR19970079162 A KR 19970079162A KR 100525367 B1 KR100525367 B1 KR 10052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signal
terminal
mobile switching
switch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969A (ko
Inventor
황인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3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는 인터넷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 2 단말기와, 제 1 및 제 2 이동 교환국을 구비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에 일치시켜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제 1 인터넷 중계수단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에 일치되어 전송된 신호를 각 서비스망의 프로토콜에 일치시켜 상기 제 2 이동 교환국을 통해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인터넷 중계수단으로 구성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셀룰라폰끼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로서, 제1단말기(1)와, 제1기지국(2)과, 제1제어국(3)와, 제1이동교환국(4)과,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과, 제2이동교환국(6)과, 제2제어국(7)와, 제2기지국(8)과, 제2단말기(9)와,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10)과, 공중망(11)과, 종합정보통신망(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은 유저가 가입한 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서비스망이고, 제2통신사업자 서비스망(10)은 유저가 가입하지 않은 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서비스망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저는 디지털 셀룰라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여러 통신사업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입한 후 통화시 가입한 통신사업자 서비스망을 이용한다.
먼저, 유저가 디지털 셀룰라폰인 제1단말기(1)를 이용하여 다른 셀룰라폰인 제2단말기(9)로 전화를 하려고 할 경우 상기 제2단말기(9)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1단말기(1)는 상기 유저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와 유저 아이디(user ID)를 포함하는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1기지국(2)은 상기 제1단말기(1)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1제어국(3)으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제어국(3)은 상기 제1기지국(2)으로부터 신호처리되어 전송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의 인증 유무를 검색한다.
즉 제1제어국(3)은 상기 검색 결과 인증된 유저 아이디(user ID)라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1이동 교환국(4)을 통해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제1이동교환국(4)은 호의 처리나 과금을 담당한다.
이에 따라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은 상기 제1이동교환국(4)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그 신호로부터 자신의 서비스망을 이용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면 수신된 신호를 제2이동교환국(6)으로 스위칭하여 전송한다.
아울러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은 상기 제1이동교환국(4)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자신의 서비스망을 이용하는 전화번호가 아니라 제2통신사업자 서비스망(10)을 이용하는 전화번호라면 수신된 신호를 제2통신사업자 서비스망(10)으로 스위칭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은 상기 제1이동교환국(4)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자신의 서비스망을 이용하는 전화번호가 아니라 일반 전화번호라면 이를 공중망(l1)으로 스위칭하여 전송한다.
아울러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은 상기 제1이동교호나국(4)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가 아니라 데이터 신호라면 이를 종합 정보 통신망(12)으로 스위칭하여 전송한다
한편 제2이동교환국(6)은 상기 제1통신사업자 서비스망(5)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제2제어국(7)으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제어국(7)은 상기 제2이동교환국(6)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2기지국(8)을 통해 무선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제2단말기(9)는 상기 제2기지국(8)을 통해 무선으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설명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는 자신이 가입한 통신사업자 서비스망을 통해 다른 통신사업자 서비스망, 공중망 및 종합 정보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통화료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터넷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의 특징은, 제1 및 제2 단말기와, 제1 및 제2 이동교환국을 구비한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교환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터넷프로토콜에 일치시켜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제1인터넷중계수단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프로토콜에 일치되어 전송된 신호를 각 서비스망의 프로토콜에 일치시켜 상기 제2이동교환국을 통해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인터넷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제1단말기(110)와 제1기지국(120)과 제1제어국(130)과 제1이동교환국(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이동교환국(14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터넷프로토콜에 일치시켜 인터넷(160)으로 전송하는 제1인터넷 중계부(150)를 또한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이동교환국(180)과 제2제어국(190)과 제2기지국(200)과 제2단말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터넷(160)을 통해 인터넷프로토콜에 일치되어 전송된 신호를 각 서비스망의 프로토콜에 일치시켜 상기 제2이동교환국(180)을 통해 제2단말기(210)로 전송하는 제2인터넷중계부(170)를 또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셀룰라폰인 제1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다른 셀룰라폰인 제2단말기(210)로 전화를 하려고 할 경우 유저는 먼저 인터넷 접속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1단말기(110)는 상기 입력된 인터넷 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1기지국(120)은 상기 제1단말기(110)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한 후 그를 제1제어국(130)을 통해 제1이동교환국(14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이동 교환국(140)은 상기 제1제어국(130)으로부터 전달받은 호출 신호를 제1인터넷중계부(150)로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제1인터넷중계부(150)는 상기 제1이동교환국(140)에 의해 스위칭된 호출신호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처리한다. 이후 인터넷 접속이 되면, 제1인터넷중계부(150)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1이동교환국(140)은 상기 제1인터넷 중계부(15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제1제어국(130)으로 유선으로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칭에 따라 제1제어국(130)은 제1기지국(120)을 통해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무선으로 상기 제1단말기(110)로 송출한다.
그러면 제1단말기(110)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내용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청취한 후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1단말기(110)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유저 아이디(user ID)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기지국(120)으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제1기지국(120)은 상기 제1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1제어국(13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제어국(130)은 상기 제1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유선으로 제1이동 교환국(14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이동교환국(140)은 상기 제1제어국(13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1인터넷중계부(150)로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칭에 따라 제1인터넷중계부(150)는 유저 아이디(user ID)를 검출하여 가입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가입된 유저라면 제1인터넷중계부(150)는 제1이동교환국(14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인터넷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160)을 통해 제2인터넷중계부(17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2인터넷중계부(170)는 상기 인터넷(160)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앞으로 그 수신신호가 송출될 서비스망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2이동교환국(180)으로 전송한다. 만약, 제1단말기(110)와 제2단말기(210)가 동일한 서비스망에 속한다면, 제2인터넷중계부(170)는 인터넷프로토콜 신호를 그 인터넷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기 이전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제2이동교환국(180)은 상기 제2인터넷 중계부(17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2제어국(190)으로 스위칭한다.
그러면 제2제어국(190)은 상기 스위칭된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제2기지국(200)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제2단말기(210)로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2단말기(210)는 상기 제2기지국(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제1단말기(110)와의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단말기(210)로부터 제1단말기(110)로 전화를 거는 과정은 전술된 제1단말기(110)가 제2단말기(210)로 전화를 거는 과정의 역이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는 인터넷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가입한 통신사업자 서비스망을 통해 통화를 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 1 단말기 120 : 제 1 기지국
130 : 제 1 제어국 140 : 제 1 이동 교환국
150 : 제 1 인터넷 중계부 160 : 인터넷
170 : 제 2 인터넷 중계부 180 : 제 2 이동 교환국
190 : 제 2 제어국 200 : 제 2 기지국
210 : 제 2 단말기

Claims (2)

  1.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을 처리하며,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제1인터넷중계수단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인터넷중계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셀루러폰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인터넷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2.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을 처리하는 단계 ;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셀룰라폰 통화 서비스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상기 셀룰러폰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셀룰라폰간의 통화 방법.
KR1019970079162A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KR10052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162A KR100525367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162A KR100525367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969A KR19990058969A (ko) 1999-07-26
KR100525367B1 true KR100525367B1 (ko) 2005-12-26

Family

ID=3730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162A KR100525367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172A (ko) * 2000-02-24 2001-09-06 김태승 개인컴퓨터 없이 인터넷전화를 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90A (ko) * 1994-09-30 1996-04-20 엄길용 전자총 조립장치
JPH08251297A (ja) * 1995-01-27 1996-09-27 At & T Corp ネットワークを通して通信を確立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0196491B1 (ko) * 1996-09-23 1999-06-15 전찬구 인터넷 전화교환 장치
KR100211991B1 (ko) * 1996-12-17 1999-08-02 이계철 개인통신서비스의 자국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90A (ko) * 1994-09-30 1996-04-20 엄길용 전자총 조립장치
JPH08251297A (ja) * 1995-01-27 1996-09-27 At & T Corp ネットワークを通して通信を確立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0196491B1 (ko) * 1996-09-23 1999-06-15 전찬구 인터넷 전화교환 장치
KR100211991B1 (ko) * 1996-12-17 1999-08-02 이계철 개인통신서비스의 자국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969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8376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80506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US6049719A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call diversion or forwarding
US20030072421A1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s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US20060094451A1 (en) Method of setting phon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CN1889712B (zh) 通过固定网信息终端实现无线短消息业务的系统和方法
KR100525367B1 (ko)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EP2523438B1 (en) Mobile terminal
KR0153013B1 (ko) 유무선 복합 형식의 호처리 가능한 제2세대 사설 무선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0701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JPH09219745A (ja) 網間接続方式及びその接続装置
JP4334186B2 (ja) 移動体通信機器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JP3296323B2 (ja) 電話転送方法および電話転送システム
JP2939367B2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JP2002165270A (ja) Phs端末及びphs通話中の通話方式自動切替方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JP3071615U (ja) 移動体端末接続用センタ装置
KR950004412B1 (ko) 키폰시스템의 일시적인 국선 착신 지정변경방법
KR10040073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시스템
JP2000032543A (ja) 構内コードレスシステム
JPH0377693B2 (ko)
KR20000044736A (ko)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103690A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JP2011087237A (ja) 通信システム、交換機および回線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