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171B1 -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171B1
KR100391171B1 KR10-1999-0032004A KR19990032004A KR100391171B1 KR 100391171 B1 KR100391171 B1 KR 100391171B1 KR 19990032004 A KR19990032004 A KR 19990032004A KR 100391171 B1 KR100391171 B1 KR 10039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reless network
call
priv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835A (ko
Inventor
권상훈
홍필오
최기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1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71B1/ko

Links

Landscapes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에서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를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요구시 무선으로 자동 착신 처리하도록 한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를 호출하는 경우 반드시 공중전화망을 통해 사설무선망의 이동 단말기로 착신하므로 복잡한 통신 경로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고, 해당 공중전화망에 자동 착신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 요구한 이동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에 등록하여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등록된 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트렁크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함으로써, 해당 이동 단말기간의 통신 경로가 간소해짐과 동시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Mobile Terminal Call Processing Method Between Private Wireless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에서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를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 요구시 무선으로 자동 착신 처리하도록 한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무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망(13)을 중심으로 국선을 통해 상호 연동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11)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되면, 해당 사설무선망의 사설 교환기(12, PBX)는 별도의 조작을 통해 이동통신망(14)의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 이하, 'VLR'이라 칭함) 및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이하, 'HLR'이라 칭함)에 해당 이동 단말기(11)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되었음을 통지해야 한다.
이때, 해당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11)에 대한 일반적인착신호는 사설 교환기(12)가 이동통신망(14) 내의 기지국(15)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무선 접속부(12-1)를 통해 무선(도면의 점선)으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망(14) 내에 위치하던 이동 단말기가 사설무선망으로 이동할 경우 상술한 동작을 수행해야만 해당 이동 단말기(11)에 대한 착신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이동 단말기(11)는 이동통신망(14) 및 사설무선망을 구별하는 이중 모드 단말기로서, 해당 이동통신망(14)과 사설무선망 사이에서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각 망내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조작해야 한다.
한편, 종래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망(14)에 위치하던 이동 단말기(11)가 사설무선망으로 이동된 후, 이동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이동 단말기(11)의 모드 변경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설무선망 모드로 변경하면, 해당 이동 단말기(11)는 고유의 메시지를 무선 접속부(12-1)를 통해 사설 교환기(12)로 전송하여 자신이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되었음을 통보하게 된다.
이에, 해당 사설 교환기(12)는 별도의 프로토콜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11)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되었음을 이동통신망(14)의 VLR 및 HLR에 통보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11)의 위치 변경을 인지하도록 한다.
이후, 해당 이동통신망(14)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16)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11)를 호출하기 위해 단말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해당 이동통신망(14)의 이동 교환기는 다이얼링된 단말기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공중통신망(13)을 통해 사설 교환기(12)로 호 착신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해당 공중통신망(13)을 통해 사설 교환기(12)로 착신 요구되는 호는 해당 사설 교환기(12)가 위치한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11)에 대한 착신호이므로, 해당 이동 단말기(11)가 사설무선망에서 사용하는 내선번호가 포함되지 않아 해당 공중통신망(13)의 유선 교환기가 자동 착신(Direct Inward Dialling)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착신 요구한 이동 가입자에게 착신호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해당 이동통신망(14)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16)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11)를 호출하는 경우 반드시 공중전화망(13)을 통해 사설무선망의 이동 단말기(11)에게 착신하므로, 해당 공중통신망(13)의 유선 교환기가 자동 착신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무선→유선→유선→무선'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통신 경로와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를 호출하는 경우 반드시 공중전화망을 통해 사설무선망의 이동 단말기로 착신하므로 복잡한 통신 경로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고, 해당 공중전화망에 자동 착신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 요구한 이동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에 등록하여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등록된 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트렁크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이동 단말기간의 통신 경로를 간소화시킴과 동시에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동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설무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무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무선망과 이동통신망간의 착신호 처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착신호 전환 모드 설정 동작 순서도.
도 4는 도 3에 의해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처리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사설 교환기 21-1 : 무선 접속부
21-2 : 아날로그 중계선 접속부 22 :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
23 : 이중 모드 이동 단말기 24 : 공중전화망
25, 27 : 기지국 26 : 이동통신망
28 : 이동 단말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등록하여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등록된 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무선망의 무선 트렁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모드 변경 스위치 조작에 따라 기정의된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전송받은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전환 요청에 따라 착신전환번호에 해당되는 부번호를 등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다이얼링된 단말기 전화번호를 번역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전화번호와 동일한 착신전환번호에 대해 기등록된 부번호를 포함시켜 무선 트렁크를 통해 사설무선망의 사설 교환기로 호 착신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호 착신 요구시 포함된 부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착신호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신전환번호는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사설 교환기의 무선 트렁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로서 단말기 전화번호이고, 상기 부번호는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가 사설 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내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설무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사설 교환기(21)의 아날로그 중계선 접속부(21-2)에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을 접속하고, 해당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에서 국선 트렁크를 통해 공중전화망(24)과 연동함과 동시에 무선 트렁크로 이동통신망(26)과 연동한다.
여기서, 해당 사설무선망과 이동통신망(26)이 상호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공중전화망(24)과는 별도로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과 사설 교환기(21)의 아날로그 중계선 접속부(21-2) 및 무선 접속부(21-1)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23)로 착신호 처리를 무선(도면의 점선)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해당 사설 교환기(21)는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의 모드 변경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송되는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26)으로 전송하여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의 착신 전환을 요청하며, 해당 이동통신망(26)은 사설 교환기(21)로부터 전송받은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등록하여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의 상태를 호 전환(Call Forwarding)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 즉, 호 전환 모드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23)에 대한 착신 요구시 기등록된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23)에 대한 자동 착신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해당 착신전환번호는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가 연결된 사설 교환기(21)의 무선 트렁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로서 단말기 전화번호이며, 해당 부번호는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가 사설 교환기(21)에서 사용하는 내선번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에 대한 착신호 처리를 위해서는 이동통신망(26)에 해당 이동 단말기(23)의 상태를 호 전환 모드로 설정해야 하는데, 해당 호 전환 모드 설정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이동통신망(26)에 위치하여 기지국(25)에서 관할하던 이동 단말기(23)가 사설무선망으로 이동되어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에 연결된 후(스텝 S31), 이동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이동 단말기(23)의 모드 변경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설무선망 모드로 변경하면(스텝 S32), 해당 이동 단말기(23)는 기정의된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무선 접속부(21-1)를 통해 사설 교환기(21)로 전송하여 자신이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되었음을 통보하게 된다.
이에, 해당 사설 교환기(21)는 이동 단말기(23)로부터 전송된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26)의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여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의 착신 전환을 요청하게 된다(스텝 S33).
이후, 해당 사설 교환기(21)로부터 이동 단말기(23)의 착신 전환을 요청받은 이동통신망(26)의 이동 교환기는 전송받은 착신전환번호인 단말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23)의 부번호를 등록한 후, 해당 이동 단말기(23)의 상태를 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스텝 S34).
한편, 상술한 동작에 의해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가 호 전환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망(26)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28)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를 호출하는 경우의 착신호 처리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이동통신망(26)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28)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를 호출하기 위해 단말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스텝 S41), 해당 이동통신망(26)의 이동 교환기는 다이얼링된 단말기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동일한 착신전환번호 즉, 호 전환 모드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23)에 대한 착신전환번호에 대응하여 기등록된 부번호를 포함시켜 사설무선망의 사설 교환기(21)로 호 착신을 요구하게 된다(스텝 S42).
이때, 해당 이동 교환기는 착신전환번호를 이용하여 호 착신을 요구함에 따라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가 연결된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의 무선 트렁크 및 아날로그 중계선 접속부(21-2)를 통해 사설 교환기(21)로 해당 호 착신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이동통신망(26)의 이동 교환기에 의한 호 착신 요구시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을 통해 사설 교환기(21)로 부번호가 전송되므로, 해당 사설 교환기(21)는 전송된 부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착신호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23) 즉,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되어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에 연결된 이동 단말기(23)로 무선 접속부(21-1)를 통해 무선으로 착신 처리하게 된다(스텝 S43).
이때, 해당 부번호는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가 사설 교환기(21)에서 사용하는 내선번호이므로, 공중전화망(24)을 경유하지 않고 무선으로 자동 착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해당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23)가 응답하게 되면(스텝 S44), 해당 사설무선망의 사설 교환기(21)에 의해 이동 가입자 응답신호가 생성되어 해당 사설 교환기(21)에 구비된 아날로그 중계선 접속부(21-2) 및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22)을 통해 이동통신망(26)으로 전송됨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망(26)의 이동 단말기(28)와 사설무선망의 이동 단말기(23)간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스텝 S4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에 등록하여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등록된 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트렁크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함으로써, 해당 이동 단말기간의 통신 경로가 간소해짐과 동시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등록하여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등록된 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무선망의 무선 트렁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의 모드 변경 스위치 조작에 따라 기정의된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전송받은 착신전환번호와 부번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전환 요청에 따라 착신전환번호에 해당되는 부번호를 등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호 전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다이얼링된 단말기 전화번호를 번역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전화번호와 동일한 착신전환번호에 대해 기등록된 부번호를 포함시켜 무선 트렁크를 통해 사설무선망의 사설 교환기로 호 착신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호 착신 요구시 포함된 부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착신호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로 자동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번호는,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사설 교환기의 무선 트렁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로서 단말기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5.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번호는, 사설무선망으로 위치 변경된 이동 단말기가 사설 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내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1999-0032004A 1999-08-04 1999-08-04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39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04A KR100391171B1 (ko) 1999-08-04 1999-08-04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04A KR100391171B1 (ko) 1999-08-04 1999-08-04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35A KR20010016835A (ko) 2001-03-05
KR100391171B1 true KR100391171B1 (ko) 2003-07-12

Family

ID=1960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04A KR100391171B1 (ko) 1999-08-04 1999-08-04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05B1 (ko) * 2000-11-30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양방향 통신 장치
KR100450961B1 (ko) * 2001-09-28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54945B1 (ko) * 2001-11-28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이동통신망 및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망과 그를위한 시스템
KR100421169B1 (ko) 2002-01-29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망에서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과그를 위한 라우팅방법
KR100473581B1 (ko) * 2002-07-20 2005-03-10 주식회사 서울테크원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7939B1 (ko) * 2002-09-28 2009-11-19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 가입자의 가입전화번호로 평생번호를 부여하기위한 평생번호 가입자 발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500341B1 (ko) * 2002-10-28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007333B1 (ko) * 2003-02-12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 무선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KR100952443B1 (ko) * 2006-12-28 2010-04-14 사운드파이프코리아(주) 번호분석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망 운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150A (en) * 1991-01-30 1993-11-23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ally configuring wireless PBX system
KR0135206B1 (ko) * 1994-12-29 1998-04-27 정장호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980013028A (ko) * 1996-07-15 1998-04-30 유기범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 교환기용 무선 정합 장치
US5890055A (en) * 1995-07-28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cells and micro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150A (en) * 1991-01-30 1993-11-23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ally configuring wireless PBX system
KR0135206B1 (ko) * 1994-12-29 1998-04-27 정장호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5890055A (en) * 1995-07-28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cells and micro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980013028A (ko) * 1996-07-15 1998-04-30 유기범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 교환기용 무선 정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35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EP076105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ll setup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ing signaling aided redialing
JP3759297B2 (ja) 遍在無線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AU6694694A (en) Subscriber services arrange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pabx access
KR100320910B1 (ko)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호 처리 방법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CA2330075C (en) Provision of cellular wire-line service
KR20010041865A (ko) 통신 시스템
KR19990009277A (ko) 개인 통신 서비스에서의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30648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교환망간의 내선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320908B1 (ko)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호 처리 방법
KR1003296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JP3336938B2 (ja) 移動電話システム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20070010852A (ko) 간이 교환기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10043144A (ko) 고정된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이얼 번호 디지트길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8006181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비상호 처리 방법
JP2000358280A (ja) Phsにおける圏外移動時の自動転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44845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율 향상을 위한 플렉시블 페이징방법
KR100242696B1 (ko) 브이에이디가 없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100242695B1 (ko) 브이에이디가 있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JP5576661B2 (ja) 通信網、通信網に使用する移動端末機、通信網に使用するサービス制御ポイント、通信網に使用する基地局
KR20090126946A (ko)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번호 이동 처리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JPH11355828A (ja) 統合通信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