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741B1 -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741B1
KR100372741B1 KR10-2000-0029476A KR20000029476A KR100372741B1 KR 100372741 B1 KR100372741 B1 KR 100372741B1 KR 20000029476 A KR20000029476 A KR 20000029476A KR 100372741 B1 KR100372741 B1 KR 10037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keypad
input
characters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50253A (en
Inventor
김승현
김형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날
김승현
김형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날, 김승현, 김형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날
Priority to KR10-2000-002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741B1/en
Publication of KR2000005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7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10개의 숫자키(1∼9,0)와, 각 숫자키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ㅈ,ㅎ) 10개가 균일하게 배열되고,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 10개가 적응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며, 한글문자의 완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 키패드상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대응하는 한글자음 또는 한글모음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완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 및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 각각과 그 발음이 가장 유사한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의 소정 횟수의 반복키입력에 의해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이 인식되도록, 그리고, 4개의 한글격자음과 5개의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은 그 자소순서에 따른 숫자키의 1회입력에 의해 인식되도록,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글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를 매우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완전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한글의 초성찾기기능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하며, 휴대용 전화단말기, 통상의 유선전화단말기, 및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 등의 모든 문자입력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더 제공한다.In the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telephone-type keypad, ten numeric keys (1 to 9,0) and at least ten Korean consonants (ㄱ to ㅎ, ㅎ) for Hangul input are uniformly arranged on each numeric key, At least ten Korean vowels for Hangul input are adaptively and uniformly arranged on the numeric keys arranged with Hangul consonants, and the keypad includes at least one function key for completion of Hangul characters, and input according to key operation on the keypad. It includes a control means for completing the Hangul characters by combining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s or Hangul vowels by checking the signal, including four Hangul rhythms (ㅋ, ㅌ, ,, ㅊ) and five Hangul consonants (ㄲ, ㄸ, 한글, ㅆ, ㅉ) so that the Hangul grid and Hangul multiple consonants are recogniz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petitive key inputs of the numeric keys with the Hangul consonants most similar to their pronunciations. Hangul characters except double consonants And Hangul bar is set,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to be recognized by one of the input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basil.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completely input a character including at least Korean characters very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by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phon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apply Hangul's initial search function,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ll character input systems such as portable telephone terminals, ordinary landline telephone terminals, and terminals having a telephone type keypad. It provides more benefits.

Description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 type

본 발명은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이 적응적으로 배열된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글을 포함한 문자를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of a telephone ty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cluding at least Korean using a keypad of a phone type in which a minimum of Korean consonants and a Korean vowel for Korean input is adaptively arranged.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system that can be input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종래에는 대부분의 전화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외워서 사용하거나 별도로 수첩등에 적어두고 전화를 걸때마다 이를 참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시간상의 낭비뿐만 아니라 사용상 매우 불편하였다.In the past, most telephone users memorized phone numbers or used them separately in notebooks and referred to them whenever they made a call. This method was not only a waste of time but also very inconvenient to use.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정보를 휴대 전화기의 메모리에 입력 및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참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중 한글문자의 입력방법으로는, 한글문자를 조합할 수 있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28개 내지 33개를 전화기 키패드상의 10개의 숫자키버튼에 2개 내지 4개씩 중복되게 배치하고, 해당 키를 눌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In order to alleviate such inconvenience, a method of inputting and storing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memory of a mobile phone and referencing it whenever necessary is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28 to 33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which can be combined with Korean characters are arranged in duplicate by 2 to 4 on 10 numeric key buttons on the telephone keypad. The most common way is to input Korean characters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예를 들면, 로타리방식을 채용하는 전화기 키패드에는, 키패드상의 5개 숫자키버튼에 14개의 한글자음(기본자음, 격자음, 겹자음)을 2개 내지 4개씩 중복되게 배치하고, 나머지 5개의 숫자키버튼에는 많이 사용되는 14개의 한글모음(기본모음, 중모음, 이중모음 포함) 14개를 2개 또는 3개씩 중복되게 배치하며, 한글문자의 입력시에는 해당 숫자키버튼을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키인(key-in)하여 원하는 한글문자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천지인방식을 채용하는 전화기 키패드에는, 키패드상의 3개의 숫자키버튼에 한글모음을 배치하고, 나머지 7개의 숫자키버튼에는 한글자음을 분산배치하여 모음의 입력을 글자모양대로 조합하여 사용하며, 또 다른 예를 들면 이중모음 또는 이중자음에 대해서는 전화기 키패드상에 구비된 기능키들(* 또는 #)을 함께 사용한 조작으로 입력한다.For example, in the telephone keypad adopting the rotary method, fourteen Korean consonants (basic consonants, lattice consonants, and multiple consonants) are arranged in duplicate on five numeric key buttons on the keypad, and the remaining five numeric keys are arranged. The 14 frequently used Korean vowels (including basic vowel, middle vowel, and double vowel) are arranged in duplicate or two by three.When entering Korean characters,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buttons are repeatedly key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re is a method to select and input consonants or vowels of desired Hangul characters by key-in. In another example, a phone keypad employing the Cheonjiin method is arranged with Hangul vowels on the three numeric key buttons on the keypad, and the Hangul consonants are distributed with the remaining seven digit key buttons to combine the inputs of the vowels into letters. In another example, a double vowel or a double consonant is input by an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function keys (* or #) provided on the telephone keypad.

하지만 영문자에 비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자모를 갖는 한글문자는 그 입력방법이 매우 까다로워 전술한 종래의 방법을 이용한 한글문자입력방식은 사용상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다.However, compared to the English characters, Korean characters having initial, neutral, and final letters have very difficult input methods, so the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above is very inconvenient and inefficient in use.

예를 들면, 전술한 종래의 한글문자입력방식들은 과다한 기능키의 사용등으로 인하여 운지거리가 길어지고 타건수가 증가하며 사용법이 매우 복잡하여 별도로 학습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한글문자입력방식들은 메모리와 디스플레이수단 및 문자입력제어기를 자체 구비한 전화기(일례로, 휴대형 전화단말기)에는 적용가능하나, 전술한 수단들이 없는 일반전화기에서는 적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한글문자입력방식들은 동일 숫자키버튼에 여러개의 한글초성들이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메모리에 저장된 한글문자열을 그 초성만으로 빠르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초성찾기기능을 적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더 갖는다.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s have a long learning distance due to the excessive use of the function keys, the number of hits increases, the usage is very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o learn separately.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is applicable to a telephone (for example, a portable telephone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ry, a display means and a character input controller, but is very difficult to apply in a general telephone without the aforementioned means. Has the problem.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to the initial consonant search function, which allows the user to quickly search the Hangul string stored in the memory only by the first consonant because several Korean initial consonants are overlapped on the same numeric key button. Has a problem that is very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최소한의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균일하게 적응적으로 배열된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글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를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서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완전하게 입력할 수 있고 초성찾기 등의 편리한 검색방법을 제공하는 문자입력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keypad of a telephone type with a minimum number of Korean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uniformly arranged, all characters including at least Hangul characters It is to provide a text input system that provides a convenient search method, such as initial search and complete input,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키패드의 바람직한 제 1구현예를 나타낸 도면,2 shows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eypad of FIG. 1;

도 3은 도 1 키패드의 바람직한 제 2구현예를 나타낸 도면.3 show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eypad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 12 : 제어수단10: keypad in the form of a telephone 12: control means

12a: 제어기 12b: 폰트및문자테이블12a: Controller 12b: Font and Character Table

14 : 디스플레이수단 16 : 스피커14 display means 16 speake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10개의 숫자키(1∼9,0)와, 상기 각 숫자키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ㅈ,ㅎ) 10개가 균일하게 배열되고, 상기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 10개가 적응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며, 한글문자의 완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상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대응하는 한글자음 또는 한글모음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완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 및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 각각과 그 발음이 가장 유사한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의 소정 횟수의 반복키입력에 의해 상기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이 인식되도록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telephone typ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10 numeric keys (1 to 9,0), and the minimum Hangul consonants for Hangul input to each of the numeric keys (ㄱ) 10, uniformly arranged, at least 10 Korean vowels for Hangul input adaptively uniformly arranged on the numeric keys arranged the Hangul consonants, at least one function key for completion of the Hangul characters A keypad comprising a; And control means for checking the signal input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n the keypad to complete the Hangul characters by combining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s or Hangul vowels. The keypad for recognizing the Hangul lattice and Hangul fold consonants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epetition keys of a numeric key in which each of the five Hangul lap consonants (ㄸ, ㄸ, ㅃ, ㅆ, ㅉ) and the Hangul consonants with the most similar pronunciations are arranged And setting the control mean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 1에 보여진 문자입력시스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10)와 제어수단(12)(적어도 제어기(12a) 및 폰트및문자테이블(12b)을 포함함)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수단(14) 및/또는 스피커(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라 함은, 10개의 숫자키(1∼9,0)와 두개의 기능키(*,#)를 최소한 구비하는 키패드를 의미하며, 반드시 전화기에만 사용되는 키패드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10)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휴대용 전화단말기, 통상의 유선 전화단말기, 정보단말기, 리모콘 등을 포함하여, 전술한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10)를 채용하는 모든 문자입력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Figure 1 shows briefly the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system shown in FIG. 1 has a keypad 10 and a control means 12 (including at least a controller 12a and a font and character table 12b) in the form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14 and / or speaker 16 may be further provided. Here, "phone-type keypad" means a keypad having at least ten numeric keys (1 to 9,0) and two function keys (*, #), and the keypad must be used only for a telephone. none. Therefore, the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telephone-type keypa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telephone-type keypad 10 described above, including a portable telephone terminal, a conventional landline telephone terminal, an information terminal, a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Applicable to all character input systems.

도 1에 보여진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10)는 10개의 숫자키(1∼9,0)버튼과, 상기 각 숫자키버튼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ㅈ,ㅎ) 10개가 균일하게 배열되고, 상기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버튼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 10개가 적응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며, 한글문자의 완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버튼을 포함한다. 도 1에 보여진 제어수단(12)을 구성하는 폰트및문자테이블(12b)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문자에 관련된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의 기본 폰트들 및 그 한글문자들을 내장하며, 사용용도 및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가지 문자테이블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의 테이블에 저장되는 한글문자들은 한글 KS 완성형 2350 문자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pad 10 of the telephone type shown in FIG. 1 has 10 numeric key (1 to 9,0) buttons, and at least 10 consonants for the Korean input to each of the numeric key buttons (a to ㅎ, ㅎ) are uniform. And at least ten Korean vowels for Hangul input are adaptively and uniformly arranged on the numeric key buttons arranged with the Hangul consonants, and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 key button for completion of the Hangul characters. The font and character table 12b constituting the control means 12 shown in Fig. 1 has built-in Korean consonants related to the Hangul characters to be input, basic fonts of the Hangul vowels and their Hangul characters, and uses and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haracter tables. Here, it is preferable that Korean characters stored in the above table employ Korean KS completed 2350 characters.

도 1에 보여진 제어수단(12)을 구성하는 제어기(12a)는 각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전술한 키패드(10)상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전술의 폰트및문자테이블(12b)을 참조하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한글자음 및/또는 한글모음을 로드 및/또는 조합하여 해당 한글문자 및/또는 그 한글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완성한다.The controller 12a constituting the control means 12 shown in FIG. 1 controls each component as a whole, and checks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n the above-described keypad 10 to check the font and character table described above. Reference is made to (12b), whereby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s and / or Hangul vowels are loaded and / or combined to complete a character string containing the Hangul characters and / or the Hangul characters.

또한,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 및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은 그 각각과 발음이 가장 유사한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버튼을 소정 횟수 반복하여 키입력(key-in)함으로써 전술의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이 인식되도록, 그리고, 전술한 4개의 한글격자음과 5개의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은 그 자소순서에 따른 각 숫자키의 1회입력에 의해 인식되도록, 전술한 키패드(10) 및 제어수단(12)을 설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은 대응하는 4개의 기본 한글자음(ㄱ,ㄷ,ㅂ,ㅈ)이 배열된 숫자키 각각의 2회 반복적인 키입력에 의하여 전술의 제어수단(12)에서 인식되도록, 그리고, 전술한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은 대응하는 5개의 한글자음(ㄱ,ㄷ,ㅂ,ㅅ,ㅈ)이 배열된 숫자키 각각의 3회 반복적인 키입력에 의하여 전술의 제어수단(12)에서 인식되도록, 키패드(10) 및 제어수단(12)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ur Hangul consonants (ㅋ, ㅌ, ,,)) and the five Hangul consonants (ㄲ, ㄸ, ㅃ, ㅆ, 소정) are assigned a number key button with the Hangul consonants most similar to each other. By repeating key-in the number of times, the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consonants mentioned above are recognized. The above-described keypad 10 and control means 12 are set so that they are recognized by one-time input of each numeric key. Here, the above four Hangul rhythms (ㅋ, ㅌ, ,, ㅊ) by the two repeated key input of each of the numeric keys arranged corresponding four basic Hangul consonants (B, ,, ㅂ, ㅈ) The five Hangul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ans (12). It is preferable to set the keypad 10 and the control means 12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aforementioned control means 12 by three repeated key inputs of each of the numeric keys.

그리고, 전술한 키패드(10)상의 10개의 각 숫자키버튼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 10개와 한글모음 10개를 서로 적응적으로 배열함에 있어서, 다음의 규칙들을 모두 만족하도록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을 대응시켜 균등하게 배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첫째, 전술한 키패드(10)상의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들에 의해 하나 또는 두 한글문자만이 조합가능하도록, 최소한의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을 대응시켜 각 숫자키에 균등하게 배열한다. 둘째, 전술한 키패드(10)상의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들에 의해 두 한글문자가 조합되는 경우에 종성(받침)을 갖는 한글문자와 종성을 갖지 않는 한글문자의 쌍으로 조합되도록, 최소한의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을 대응시켜 각 숫자키에 균등하게 배열한다. 여기서, 전술한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는 독립적인 한글격자음 또는 한글겹자음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daptively arrange at least 10 consonants and 10 Hangul vowels for Hangul input to each of the ten numeric key buttons on the keypad 10, the Hangul consonants and the Hangul consonants are satisfied so as to satisfy all of the following rules. Most preferably, the vowels are matched and evenly arranged. First, at least one Hangul consonant and Hangul vowels are arranged equally on each numeric key so that only one or two Hangul characters can be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s of the numeric keys on the keypad 10 described above. Second, when two Korean characters are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s of the numeric keys on the keypad 10 described above, the minimum Korean characters are combined into a pair of Korean characters having a finality and a Korean character having no finality. Arrange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equally on each numeric key. Here, the Hangul charac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finality may include an independent Hangul grid consonant or Hangul compound consonant.

한편, 전술한 키패드(10)상의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들에 의해 두 한글문자가 제어수단(12)에서 조합되는 경우, 키패드(10)에 구비된 기능키들(* 및/또는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합된 두 한글문자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키패드(10) 및 제어수단(12)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수단(12)은 조합된 두 한글문자를 종성의 포함여부, 이중모음의 포함여부, 사용빈도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14)의 표시창의 좌측/우측에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그 순서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스피커(16)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어수단(12)은 두 한글문자중 종성(받침)이 포함되거나 사용빈도가 높은 한글문자는 표시창의 우측에 표시하거나 먼저 음성안내하며, 오른쪽 기능키(#)가 입력되면 그 한글문자의 입력을 확정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2)은 종성이 포함되지 않거나 사용빈도가 낮은 한글문자는 표시창의 좌측에 표시하거나 두번째로 음성안내하며, 왼쪽 기능키(*)가 입력되면 그 한글문자의 입력을 확정한다. 또한, 전술한 숫자키들의 키입력에 의해 하나의 한글문자만이 조합되면 전술한 키패드(10)상의 오른쪽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wo Hangul characters are combined in the control means 12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on the keypad 10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keys (* and / or #) provided in the keypad 10 is combined. The keypad 10 and the control means 12 are set to select one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combined using one. Here, the control means 12 displays the combined two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inclusion of the finality, the inclusion of the double vowels, and the frequency of us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left / right side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display means 14, or It is desirable to guide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16 by voice in a different order.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12 displays the Hangul characters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or the frequently used Hangul characters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window or voice guidance first, and when the right function key (#) is input, the Hangul characters are entered. Confirm the input of characters. Then, the control means 12 displays the Hangul character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bell or low frequency of use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window or voice guidance for the second time. When the left function key (*) is input, the input of the Hangul characters is confirmed. In addition, when only one Korean character is combined by the key input of the aforementioned numeric keys,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input using the right function key (#) on the keypad 10 described above.

그리고, 대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수단(12) 및 표시수단을 자체에 구비하므로, 두 한글문자를 전술한 방식으로 표시창의 좌/우측에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스피커(16)만을 구비한 통상의 전화단말기에서는 전화 교환국 또는 그 교환국과 연결되어 사용자와 전화연결이 가능한 네트웍상의 임의 서버에 전술의 제어수단(12) 및 음성안내시스템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전화단말기의 키패드(10)를 이용하여 키입력하는 문자에 대하여 전술의 방식으로 음성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most of the portable terminals have their own control means 12 and display mean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two Hangul characters separat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window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On the other hand, in a typical telephone terminal having only the speaker 16, the control unit 12 and the voice guidance system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in any server on the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exchange station or the exchange station and which is capable of telephone connection with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keypad 10 of the telephone terminal to provide voice guidance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with respect to a key input character.

한편 전술의 실시예와는 달리, 키패드(10)상의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들에 의해 두 한글문자가 제어수단(12)에서 조합가능한 경우에, 조합되는 두 한글문자중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인 하나의 한글문자만을 표시창(일례로, 표시창의 우측)에 표시하거나 음성안내하고, 이를 사용자가 임의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확정하게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조합되는 두 한글문자들중 종성의 포함여부, 이중모음의 포함여부, 사용빈도,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낱말 또는 문장)에 관련되어 문맥에 맞는지의 여부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한 한글문자를 선택하도록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embodiment, when two Hangul characters can be combined in the control means 12 by the same key inputs of the numeric keys on the keypad 10, one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that is combined is optimal for the user. Only Korean character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for example,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window) or voice guided, and the user may determine this using an arbitrary function key.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to be combined includes whether the finality is included, whether the double vowels are included, the frequency of use, or whether the text is appropriate to the context in relation to a previously inputted string (word or sentenc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ontrol mean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Hangul characters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riteria.

덧붙여, 전술한 두 실시예들 각각의 경우에서, 조합된 두 한글문자중의 어느 하나를 기능키들(#,*)중의 임의의 기능키로 선택입력한 경우에, 잘못된 선택입력에 대한 정정을 원하는 경우, 곧바로 사용하지 않은 다른 기능키의 입력조작에 의하여 이미 선택된 한글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한글문자로 자동으로 치환되거나 전술한 문맥에 맞는 한글문자로 자동치환되도록 제어수단(12)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대다수의 한글문자는 하나의 한글문자로 조합되며 이를 우측 기능키(#)로 확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두 한글문자가 조합되는 경우에 좌측기능키(*)에 대응하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습관적으로 우측기능키(#)를 눌러 한글문자를 잘못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그 한글문자의 오입력을 확정한 직후 사용자가 오류를 직접 깨닫거나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안내를 통해 오류를 발견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숫자키입력을 다시 할 필요없이 두 기능키들중 사용되지 않은 다른 좌측기능키(*)를 곧바로 누름으로써 잘못 입력되거나 선택된, 또는 문맥에 맞지 않는 한글문자를 두 한글문자중에서 원하는 다른 한글문자로, 또는 문맥에 맞는 한글문자로 곧바로 치환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two embodiments, when one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combined is selected and inputted by any function key among the function keys (#, *), a correction for an incorrect selection input is desired. 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12 may be set such that the selected Hangul characters are automatically replaced by unselected Hangul characters or automatically replaced by Hangu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text by an input operation of another function key not immediately used. For example, the majority of Korean characters used in daily life are combined into one Korean character and set as the right function key (#). When the two Korean characters are combined, the left function key (*) corresponds. Even if you want to enter the Hangul characters can habitually input the Hangul characters by pressing the right function key (#). At this time, if the user realizes the error immediately after confirming the wrong input of the Hangul characters or finds the error through the display or voice guidance, the other left of the two unused function keys is not used without having to enter the numeric key again from the beginning.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 directly,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place a wrongly selected, selected or contextual Hangul character with another Hangul character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or Hangul characters suitable for the context.

이제, 도 1에 보여진 키패드(10)의 바람직한 상세 구현예들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ow, preferred detailed implementations of the keypad 1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를 참조하면, 키패드상에는 10개의 숫자키(1∼9,0)버튼 및 두개의 기능키버튼(*,#)이 구비되며, 숫자키들(1∼9,0)에는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들(ㄱ,ㄴ,ㄷ,ㄹ,ㅁ,ㅂ,ㅅ,ㅇ,ㅈ,ㅎ) 10개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되고, 그 한글자음들 각각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들(ㅠ,ㅓ,ㅑ,ㅕ,ㅗ,ㅛ,ㅏ,ㅜ,ㅡ,ㅣ) 10개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며, 전술한 한글자음들과 한글모음들,및 그 복자음과 이중모음, 삼중모음등은 그 자소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관련된 숫자키들을 1회씩 입력함으로써 제어수단(12)에 의해 조합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한글격자음들(ㅋ,ㅌ,ㅍ,ㅊ)은 대응하는 한글자음들(ㄱ,ㄷ,ㅂ,ㅈ)이 배열된 숫자키 각각의 2회 반복적인 키인(key-in)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되고, 한글겹자음들(ㄲ,ㄸ,ㅃ,ㅆ,ㅉ)은 대응하는 한글자음들(ㄱ,ㄷ,ㅂ,ㅅ,ㅈ)이 배열된 숫자키 각각의 3회 반복적인 키인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2, ten numeric key buttons (1 to 9,0) and two function key buttons (*, #) are provided on the keypad, and the numeric keys (1 to 9,0) are provided at least for Korean input. 10 Hangul consonants of ㄱ, ㄴ, ㄴ, ㅁ, ㅂ, ㅅ, ㅇ, ㅎ, ㅎ are arranged in sequence, and each of the Hangul consonants with a minimum of Korean vowels (ㅠ, ㅓ, ㅑ, ㅕ, ㅗ, ㅛ, ㅣ, ㅡ, ㅣ) 10 are arranged in sequence, respectively, the above-described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nd the consonant and double vowels, triple vowels And the like are set so as to be combined by the control means 12 by inputting numerical keys related in sequence one by one in the phoneme order. Also, Hangul lattice (ㅋ, ㅌ, ㅊ, ㅊ) is input by the key-in two times of each of the numeric keys arranged with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s (ㄱ, ㅂ, ㅂ, ㅈ) Hangul double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are set to be repeated three times for each key Set it so that it can be entered.

다음으로, 도 3에 보여진 바람직한 키패드의 상세 구현예는, 전술한 한글자음들에 매핑된 한글모음들의 대응관계를 제외하고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키패드에 구비된 10개의 숫자키(1∼9,0)에는 최소한의 한글자음들(ㄱ∼ㅈ,ㅎ)이 순차적으로 개별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되고, 여기에 최소한의 한글모음들(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0개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된다.Next, a detailed embodiment of the preferred keypad shown in FIG. 3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2 except for the correspondence of the Hangul vowels mapped to the Hangul consonants. Referring to FIG. 3, at least ten Korean keys (1 to 9,0) provided on the keypad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dividually in sequence, and at least to the Korean alphabet. Ten (ㅏ, ㅑ, ㅓ, ㅕ, ㅜ, ㅛ, TT, ㅠ, ㅡ, ㅣ) are arranged in sequence.

다음으로 도 1의 문자입력시스템에서, 도 2에 따른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수단(14)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여러 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동일한 숫자키입력에 대하여 조합가능한 두 한글문자를 표시창의 좌/우측에 구분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며, 전술의 다른 실시예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Next, in the character input system of FIG. 1,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keypad and the display means 14 according to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various exampl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describe a case in which two Hangul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for the same numeric key input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 right side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in the art.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한글모드에서 사용자가 숫자키버튼 "1"을 2회 반복 조작하여 "11"을 입력하면, 이를 체크한 제어수단(12)은 입력 "11"에 대응하는 가능한 두 한글문자 "규"와 "ㅋ"를 폰트및문자테이블(12b)로부터 로드하거나 조합하고, 디스플레이수단(14)의 표시창의 좌측에는 "규"를, 그 우측에는 "ㅋ"을 서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그러면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문자가 "규"이면 사용자는 키패드상의 좌측기능키(*)를 조작하며, 이를 체크한 제어수단(12)은 한글문자 "규"가 선택 입력된 것으로 확정한다. 한편,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문자가 "ㅋ"이면 사용자는 키패드상의 우측기능키(#)를 조작하며, 이를 체크한 제어수단(12)은 한글문자 "ㅋ"이 선택 입력된 것으로 확정한다.First, when the user inputs "11" by repeatedly operating the numeric key button "1" twice in the Korean mode, the control means 12 having checked the two possible Korean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input "11" "gyu" and " ? Is loaded or combined from the font and character table 12b, and " gyu "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display means 14, and " ㅋ " Then, if the Korean character to be input is "Kyu", the user operates the left function key (*) on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12 which checks this determines that the Korean character "Kyu" is selected and input. On the other hand, if the Korean character to be input is "ㅋ", the user operates the right function key (#) on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12 checking this determines that the Korean character "ㅋ" is selected and input.

또한 사용자가 숫자키버튼 "1"을 3회 반복 조작하여 "111"을 입력하면, 제어수단(12)은 대응하는 두 한글문자 "큐"와 "ㄲ"을 조합하고 이를 표시창에 구분하여 표시하며, 전술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기능키중의 하나를 조작하면 "큐"와 "ㄲ"중의 하나를 입력확정한다. 여기서, 숫자키입력 "111"에 대응하여 ""이라는 한글문자가 이론적으로 더 조합될 수는 있으나, 이 한글문자는 한글 KS완성형 2350 문자에 없을 뿐더러 실제 사용되지 않는 한글문자이므로, 제어수단(12)은 이를 무시하고두 한글문자 "큐"와 "ㄲ"만을 표시창에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peatedly inputs “111” by operating the numeric key button “1” three times, the control means 12 combines the corresponding two Hangul characters “Q” and “ㄲ” and displays them separately on the display window. When the user manipulates one of the function keys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user inputs one of "cue" and "k". Here, in response to the numeric key input "111 " The Hangul characters "may theoretically be combined more, but since the Hangul characters are not in Korean KS completed 2350 characters and are not actually used Hangul characters, the control means 12 ignores these two characters and" Q ". Only "ㄲ" is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사용자가 한글모드에서 숫자키버튼을 조작하여 "1114"를 입력하면, 제어수단(12)은 조합가능한 두 한글문자 "껴"와 "큘"을 표시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전술한 두 한글문자중의 하나를 입력확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1114" by operating the numeric key button in the Hangul mode, the control means 12 displays the two Hangul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tu" and "cul", and any function ke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put, one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described above is inputted.

마찬가지로, 숫자키입력 "33"에는 두 한글문자 "댜"와 "ㅌ"이, 숫자키입력 "333"에는 두 한글문자 "탸"와 "ㄸ"이, 숫자키입력 "66"에는 두 한글문자 "뵤"와 "ㅍ"이, 숫자키입력 "666"에는 두 한글문자 "표"와 "ㅃ"이, 숫자키입력 "77"에는 하나의 한글문자 "사"가, 숫자키입력 "777"에는 두 한글문자 "삿"과 "ㅆ"이, 숫자키입력 "99"에는 두 한글문자 "즈"와 "ㅊ"이, 숫자키입력 "999"에는 두 한글문자 "츠"와 "ㅉ"이 각각 조합가능하며, 그 어느 하나가 전술한 방식으로 입력확정된다.Similarly, two Korean characters "댜" and "ㅌ" are entered for numeric key input "33", two Korean characters "탸" and "ㄸ" for numeric key input "333", and two Korean characters for numeric key input "66". "뵤" and "ㅍ", two Korean characters "Table" and "ㅃ" for numeric key input "666", one Korean character "sa" for numeric key input "77", and "777" for numeric key input There are two Korean characters "Sat" and "ㅆ", the two key characters "Z" and "Z" for the number key input "99", and the two Korean character "Ts" and "ㅉ" for the number key input "999". Each can be combined, and either one is input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한편, 종성의 유무만으로 이중모음이 포함된 한글문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확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중모음이 포함된 "과"라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한글모드에서 숫자키버튼을 조작하여 "157"를 순차적으로 키입력한다. 그런데, 도 2에 보여진 키패드 및 이에 결합된 제어수단(12)에서는, 숫자키입력 "157"에 대응하여 두 한글문자 "과"와 "곳"이 조합된다. 이때, 조합된 두 한글문자중 종성을 갖지 않는 한글문자 "과"는 이중모음을 갖게되고,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 "곳"은 이중모음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조합된 두 한글문자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할 때, 종성의 유무에 따라 표시창의 좌측에는 "과"를 표시하고 그 우측에는 "곳"을 표시하면, 좌측기능키(*)를 이용하여 "과"를, 그리고 우측기능키(#)를 이용하여 "곳"을 선택적으로 입력확정가능하다.Meanwhile, a method of selectively input-defining a Hangul character including a double vowel with or without Jongsung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input Korean characters "and" including a double vowel, the user inputs "157" sequentially by operating a numeric key button in the Korean mode. By the way, in the keypad shown in FIG. 2 and the control means 12 coupled thereto, two Hangul characters “and” and “got” are comb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eric key input “157”. In this case, the combined Korean characters "and" having no finality have a double vowel, and the Korean characters "got" having finality do not have a double vowel. Therefore, when displaying the combined two Hangul characters on the display window, if "and"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window and "plac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window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nal character, the left and right function keys (*) are used. You can optionally enter "" and "where" using the right function key (#).

또한, 이중모음 또는 삼중모음을 포함하면서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는 하나의 한글문자로만 조합되므로 그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임의의 기능키로 확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이중모음을 포함하면서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 "광"은 숫자키버튼을 조작하여 "1578"을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설정된 기능키(일례로 우측기능키(#))로 입력확정하면 된다. 이를 숫자키입력순서대로 살펴보면, 첫번째로 숫자키 "1"이 키인(key-in)되면 제어수단(12)은 숫자키 "1"에 대응하는 한글자음 "ㄱ"을 버퍼(메모리, 또는 한글조합모듈)에 입력하고, 두번째로 숫자키 "5"가 키인되면 제어수단(12)은 숫자키 "5"에 대응하는 한글모음 "ㅗ"을 로드하여 "고"를 조합한 후 버퍼에 입력하고, 세번째로 숫자키 "7"가 키인되면 제어수단(12)은 숫자키 "7"에 대응하는 한글모음 "ㅏ" 및 한글자음 "ㅅ"을 로드하여 두 한글문자 "과"와 "곳"을 조합한 후 버퍼에 입력하고, 네번째로 숫자키 "8"가 키인되면 제어수단(12)은 숫자키 "8"에 대응하는 한글모음 "ㅜ"와 한글자음 "ㅇ"으로부터 하나의 한글문자 "광"만이 조합되므로 버퍼에 입력된 "곰"을 지우고, 조합된 "광"만을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음성안내하며, 임의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확정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삼중모음을 포함하면서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 "웬"은 숫자키버튼을 조작하여 "88202"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전술한 방식에 따라 하나의 한글문자 "웬"만이 조합되며, 이를 설정된 임의의 기능키(일례로 우측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확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Korean characters including a double vowel or a triple vowel have a finality are combined into only one Korean character, a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haracter may be sequentially input to determine an arbitrary function key. For example, if the Korean character "Gwang" including the double vowel and the final character is inputted "1578" sequentially by operating a numeric key button, and inputting with the set function key (for example, right function key (#)) do. Looking at this in the numeric key input order, firstly, when the numeric key "1" is keyed in, the control means 12 buffers the Hangul consonant "ㄱ"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1" in a buffer (memory or Korean alphabet combination). Module), and the second time the numeric key "5" is keyed in, the control means 12 loads the Hangul vowel "ㅗ"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5", combines "Go", and inputs it into the buffer. Thirdly, when the numeric key "7" is keyed in, the control means 12 loads the Korean vowel "ㅏ" and the Korean consonant "ㅅ"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7", and combines the two Korean characters "," and "Where". After inputting to the buffer, and the fourth numeric key " 8 " is keyed in, the control means 12 uses one Korean character " wang " from the Hangul vowel " " Because only the combination is deleted, the "bear" entered in the buffer is erased, only the combined "l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r the voice is guided to the user, and input using any function key. It is able to decid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Korean character "wen" having a finality including a triple vowel is sequentially input "88202" by operating a numeric key button, only one Korean character "wen"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input can be determined using any set function key (for example, right function key (#)).

한편, 이중모음을 갖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전술한 방식과 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 변형예는 동일한 키입력에 대응하여 이중모음을 갖지않는 한글문자와 이중모음을 갖는 한글문자로 조합되는 경우에, 이중모음을 갖는 한글문자는 해당 이중모음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2회 반복적으로 키입력하여 이중모음임을 제어수단(12)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이중모음을 갖는 한글문자 "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따른 키패드상의 숫자키버튼을 조작하여 순차적으로 "370"을 입력한다. 그러면, 이를 체크한 제어수단(12)은 전술한 방식에 따르면 숫자키입력 "370"에 대응하는 두 한글문자 "닿"과 "대"를 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수단(12)을 숫자키입력 "370"에 대해서는 이중모음을 갖지 않는 한글문자 "닿"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고, 숫자키입력 "3700"에 대해서는 이중모음을 갖는 한글문자 "대"로 인식하도록 설정하면, 기능키들중의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확정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창의 좌/우측에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순서를 달리하여 음성안내할 필요가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having a double vowel, modific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schemes are possible. In this modified example, when a Korean character having a double vowel and a Korean character having a double vowel are combined with a Korean character having a double vowel in response to the same key input, the Korean character having the double vowel is repeatedly pressed twice with the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double vowel. By inputting the key, the control means 12 can recognize that the double vowel.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a Korean character "large" having a double vowel, input "370" sequentially by operating the numeric key button on the keypad according to FIG. The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trol means 12 which checks this can combine two Hangul characters “touch” and “large”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370”. 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12 is set to recognize the Korean character "contact" having no double vowel for the numeric key input "370", and the Korean character "large" having a double vowel for the numeric key input "3700". If it is set to recognize, by using any one of the function keys to confirm,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separately on the left / right side of the display window or to guide the voice in a different order as described above.

마지막으로 도 3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의 키패드에 대한 전술의 설명을 잘 이해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도 3의 키패드는 10개의 각 숫자키에 한글자음(ㄱ∼ㅈ,ㅎ) 10개 및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0개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므로, 특히 전술의 한글모음들이 개별적으로 배열된 숫자키버튼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하여 문자입력을 매우 간편하게 하는 또다른 잇점을 제공한다.Finally, a specific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keypad according to FIG. 3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a good understanding of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keypad of FIG. In addition, the keypad of FIG. 3 includes 10 Hangul consonants (ㄱ ∼ ㅈ, ㅎ) on each of the 10 numeric keys and a minimum Hangul vowel for Hangul input (ㅜ ,,, ㅓ, ㅕ, ㅜ, ㅛ, TT, ㅠ, ㅡ, ㅣ) Since the ten are arranged in a sequential order, 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Hangul vowels provide another advantage of making the character input very simple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member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ly arranged numeric key butt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키패드에는 한글문자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ㅎ)이 각 숫자키(1∼9,0)버튼에 중복없이 고루 분산 배열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시스템의 소정 메모리에 저장된 한글문자열을 그 초성만으로 빠르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초성찾기기능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과학성 및 우수성을 배가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잇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keypad of FIGS. 2 and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nimum number of Korean consonants (a, b, c, r, ㅁ, ㅂ, ㅅ, ㅇ, ㅎ, ㅎ)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9,0) buttons are distributed evenly without duplic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the initial consonant search function to quickly search the Hangul strings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with the initial consonants.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by doubling the scientific and superiority of Hangul.

그리고, 전술의 실시예들은 한글문자의 입력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최소한 전술한 입력방식에 따른 한글문자를 포함하는 모든 문자들(영문자, 특수문자 등)의 입력시스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잘 이해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는 영문자 및/또는 특수문자등이 더 배열될 수 있고 그 문자의 확정을 위한 기능키를 겸용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이 이를 인식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the input of the Hangul characters, at least the input system of all the characters (English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etc.) including the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put method, also belongs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a good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arranged with alphabetic characters and / or special characters, and can also be used as a function ke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character, it can be set to recognize the control mea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그 기술범위내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수의 변형 실시예들이 도출가능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전술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잘 이해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umber of modified embodiments not mention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rived. Will be understo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은, 최소한의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균일하게 각 숫자키버튼에 적응적으로 배열된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글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를 매우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완전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식은 운지거리가 짧아지고 타건수가 줄어들며 사용방법이 직관적으로 이해되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할 뿐더러 효율적으로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한글의 초성찾기기능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하며, 휴대용 전화단말기, 통상의 유선전화단말기, 및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기 등의 모든 문자입력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더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Hangul characters by using the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in which at least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uniformly arranged on each numeric key butt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enter a character containing a very convenient and efficient. More specifically,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fingering distance, reduce the number of hits, and intuitively understand how to use the Korean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apply Hangul's initial search function,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ll character input systems such as portable telephone terminals, ordinary landline telephone terminals, and terminals having a telephone type keypad. It provides more benefits.

Claims (12)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In a text input system using a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10개의 숫자키(1∼9,0)와, 상기 각 숫자키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ㅈ,ㅎ) 10개가 균일하게 배열되고, 상기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에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 10개가 적응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며, 한글문자의 완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10 numeric keys (1 to 9,0) and at least 10 Korean consonants (ㄱ to ㅎ, ㅎ) for Hangul input on each numeric key are uniformly arranged, and the Hangul to the numeric keys arranged A keypad including at least ten Korean collections adaptively and uniformly arranged for input and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for completion of Korean characters; And 상기 키패드상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대응하는 한글자음 또는 한글모음을 조합하여 한글문자 또는 그 한글문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문자를 완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A control means for checking a signal input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on the keypad and combining a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 or Hangul vowel to complete a Hangul character or any character including the Hangul character,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 및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 각각과 그 발음이 가장 유사한 한글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의 소정 횟수의 반복적인 키입력에 의해 상기 한글격자음 및 한글겹자음이 인식되도록,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A number of repetitions of a number key with four Hangul consonants (ㅋ, ㅌ, ,, ㅊ) and five Hangul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and a Hangul consonant with the most similar pronunciation And a keypad and control means for recognizing the Hangul lattice and the Hangul lattice by key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한글격자음과 5개의 한글겹자음을 제외한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은, 그 자소순서에 따른 상기 숫자키의 1회입력에 의해 인식되도록,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The keypad and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consonants except for the four Hangul lattice and the five Hangul consonants are recognized by one-time input of the numeric keys according to the phoneme order.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telephone type keyp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에 의해 하나 또는 두 한글문자만이 조합가능하도록, 상기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상기 숫자키에 서로 적응적으로 배열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The telephone key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adaptively arranged on the numeric keys so that only one or two Hangul characters can be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Character input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에 의해 두 한글문자가 조합되는 경우에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와 종성을 갖지 않는 한글문자의 쌍으로 조합되도록, 상기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상기 숫자키에 서로 적응적으로 배열되며,The number of the Korean consonants and the Korean vowel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when the two Korean characters are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the Korean consonants and the Korean vowels are combined into pairs of Korean characters having a finality and Korean characters having no finality. Keys are arranged adaptively to each other, 상기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는 독립적인 한글격자음 또는 한글겹자음을 포함가능한,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The Hangul characters having the finality may include independent Hangul lattice or Hangul multiple consonants,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4개의 한글자음(ㄱ,ㄷ,ㅂ,ㅈ)이 배열된 숫자키 각각의 2회 반복키입력에 의하여 대응하는 4개의 한글격자음(ㅋ,ㅌ,ㅍ,ㅊ)을 인식하며,Recognizes four Hangul vowels (ㅋ, ㅌ, ,, ㅋ) corresponding to two repeated keystrokes of each numeric key with four Hangul vowels (ㄱ, ㅂ, ㅂ, ㅈ). 5개의 한글자음(ㄱ,ㄷ,ㅂ,ㅅ,ㅈ)이 배열된 숫자키 각각의 3회 반복키입력에 의하여 대응하는 5개의 한글겹자음(ㄲ,ㄸ,ㅃ,ㅆ,ㅉ)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Recognize the corresponding five Hangul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by inputting three repetition keys of each numeric key with five Hangul consonants (ㄱ, ㄷ, ㅂ, ㅅ, ㅈ).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telephone typ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에 의해 두 한글문자가 제어수단에서 조합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키들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합된 두 한글문자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When two Hangul characters are combined in the control means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one of the combined two Hangul characters by using any one of the function keys provided on the keypad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elephone type keypad to sele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합된 두 한글문자를, 종성의 포함여부, 이중모음의 포함여부, 그 사용빈도수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소정 디스플레이수단의 좌측/우측에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그 순서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ombination of the two Hangul character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final vowels, including the double vowels, the frequency of use, the left and right of the predetermined display means To display or to the user in a different order.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들(* 및/또는 #)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조합된 두 한글문자중의 하나를 선택케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And at least one function key (* and / or #) provided in the keypad to selectively select one of the two combined Hangul character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에 의해 하나의 한글문자만이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키들중의 제 1기능키를 이용하여 선택케하고,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only one Hangul character is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selection is made using a first function key among the function keys. 상기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입력에 의해 두개의 한글문자가 조합되는 경우에는, 그 두개의 한글문자중 사용빈도가 큰 한글문자를 제 1기능키를 이용하여 선택케 하며, 그 두개의 한글문자중 사용빈도가 적은 한글문자는 상기 기능키들중의 제 2기능키를 이용하여 선택케 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When two Hangul characters are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a Hangul character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the two Hangul characters is selected by using the first function key, and the two Hangul characters are used.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to select a less frequent Hangul characters using a second function key of the function key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means, 상기 조합된 두 한글문자중에서, 종성의 포함여부, 이중모음의 포함여부, 그 사용빈도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하나의 한글문자만을 소정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하고, 이를 임의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확정하게 하며,Among the two Hangul characters combined, only one Hangul charac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inclusion of the finality, the inclusion of the double vowels, and the frequency of use thereof is displayed or voic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means, and any function key is used. To confirm with the user,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현재 입력되는 문자를 문맥에 맞는 문자로 자동으로 치환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더 구비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Characteristic input system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replacing the character that is currently input with respect to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to the character suitable for the context. 제 6항 내지 제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가능한 두 한글문자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기능키들중의 임의의 기능키로 선택한 경우에,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when any one of the two combinable Hangul characters is selected as any of the function keys, 상기 기능키들중의 다른 기능키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한글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한글문자로 자동으로 치환되도록, 상기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And setting the control means such that the selected Hangul characters are automatically replaced with unselected Hangul characters by input of another function key among the function key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10개의 숫자키(1∼9,0)에는,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ㅈ,ㅎ) 10개 및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모음(ㅠ,ㅓ,ㅑ,ㅕ,ㅗ,ㅛ,ㅏ,ㅜ,ㅡ,ㅣ) 10개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10 numeric keys (1 to 9,0) provided in the keypad, at least 10 Hangul consonants (ㄱ ㅈ ㅎ) for Hangul input and minimum Hangul vowels for Hangul input (ㅠ, ㅓ, ㅑ, ㅕ, ㅗ, ㅛ, ㅏ, TT, ㅡ, ㅣ)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of a telephone type, each of which is arranged in sequ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10개의 숫자키(1∼9,0)에는, 한글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한글자음(ㄱ∼ㅈ,ㅎ) 10개 및 최소한의 한글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0개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10 numeric keys (1 to 9,0) provided in the keypad, the minimum 10 consonants (ㄱ ~ ㅎ, ㅎ) for Hangul input and the minimum Hangul vowels (ㅏ, ㅑ) , ㅓ, ㅕ, ㅗ, ㅜ, ㅠ, ㅡ, ㅣ) 10 is a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a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which are arranged in sequence.
KR10-2000-0029476A 2000-05-31 2000-05-31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KR100372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76A KR100372741B1 (en) 2000-05-31 2000-05-31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76A KR100372741B1 (en) 2000-05-31 2000-05-31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03 Division 2000-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253A KR20000050253A (en) 2000-08-05
KR100372741B1 true KR100372741B1 (en) 2003-02-17

Family

ID=1967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476A KR100372741B1 (en) 2000-05-31 2000-05-31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7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1A (en) * 2000-06-12 2000-09-05 이규갑 Hangul input method on the number plate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253A (en)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70292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35960A (en)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5335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text editing
KR1006898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US20070038456A1 (en) Text inputting device and method employing combination of associated character input method a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method
US200402520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pinyin with tone markers
KR20000050433A (en) Telephone keypad and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same
KR20010044081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to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KR102035087B1 (en)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KR100372741B1 (en)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KR1007684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20000051881A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telephone
JP4130458B2 (en) Japanese input method for mobile devices
KR20010039239A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1045360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447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haracter
KR1007389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20030053971A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keypad of terminal
KR100432531B1 (en) Telephone type pads possible effective using of first consonant character and method of making the Hangeul character with the same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719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20000008890A (en) Character input method in electric appliance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