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87B1 -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 Google Patents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87B1
KR102035087B1 KR1020170154460A KR20170154460A KR102035087B1 KR 102035087 B1 KR102035087 B1 KR 102035087B1 KR 1020170154460 A KR1020170154460 A KR 1020170154460A KR 20170154460 A KR20170154460 A KR 20170154460A KR 102035087 B1 KR102035087 B1 KR 10203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learner
hangul
data
foreign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7493A (en
Inventor
정해영
최경호
최지현
서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87B1/en
Publication of KR2019005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학습자가 한글의 자모 및 외국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학습자가 한글의 자모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하는 한글의 형태와 발음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language learner keypad system that allows a Korean language learn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using a Hangul alphabet and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ign. More specifically, the learner uses a Korean language keypad and a foreign language keypad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Hangul can be learned by inputting Hangul into the learner's terminal. Furthermore, when the learner inputs Hangul using a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Hangul's alphabet is arranged, the type and pronunciation of the Hangul to be inp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syste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Description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Learner

본 발명은 외국인 한글 학습자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하, ‘자모’라 칭함.) 및 외국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외국인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글의 자모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하는 한글의 형상과 발음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system for a foreigner Korean learner, which allows a foreigner Korean learn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using consonants and vowels (hereinafter, 'jamo') and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The learner can learn Korean by inputting Korean into the learner's terminal using the Hangul keypad and the foreign language keypad, which are implement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s terminal.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using the arranged foreign language keypa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system for foreign Hangul learners to learn the shape and pronunciation of the input Hangul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컴퓨터, 휴대폰 또는 개인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장치에는 키패드가 구현되어 있다.In general,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ext is provided in a user interface of a computer,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terminal, and a keypad is implemented in the input device.

또한 상기 키패드는 주로 사용되는 언어에 따른 문자가 배열되어 있고, 문자의 종류에 따라 한글 키패드, 영어 키패드, 중국어 키패드 또는 아랍어 키패드 등과 같이 종류의 키패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키패드에 한글의 자모와 알파벳이 병기되어 있는 키패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is mainly arranged in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d, and consists of a type of keypad, such as Hangul keypad, English keypad, Chinese keypad or Arabic keypad, depending on the type of characters, in the case of Korea in most keypads Keypads with alphabets and alphabets are commonly used.

일예로서, 일반적인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한글에 익숙한 한국인에 맞게 키패드의 좌측에는 자음이 우측에는 모음이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키패드에 포함된 각 키에는 알파벳이 병기되어 있는 구성을 한다.For example, a typical Hangul input device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consonants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pad and the vowel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to accommodate Koreans who are familiar with Hangul, composed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Make up.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의 자모를 주되게 구분하여 배열하고, 일반적인 영문 키패드의 알파벳 배열을 그대로 한글 키패드에 적용시켜 알파벳을 병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외국인과 같이 한글을 학습하는 학습자는 한글 키패드의 각 키에 병기된 한글의 자모와 알파벳이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고, 그 결과 한글 학습자의 학습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Hangul inpu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dividing the alphabet of the Hangul alphabet, and applying the alphabet of the general English keypad to the Hangul keypad as it is. The learner can be mistaken that the alphabet and the alphabet of Hangul written on each key of the Hangul keypad are rela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Hangul learner is deteriorated.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문자 학습은 문자의 형상과 문자의 발음을 서로 대응시키며 암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인 한글 학습자는 종래 한글 입력장치의 한글 키패드에 병기된 알파벳과 한글의 자모의 발음이 등가되는 것으로 착각하여, 한글 자모의 형상과 전혀 다른 발음을 가지는 알파벳이 해당 한글 자모의 발음으로 학습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Specifically, the general character learning is made by memorizing and correlating the shape of the character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character. The general Korean learner is equivalent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phabet written on the Hangul keypad of the conventional Korean input device and the alphabet of the Korean alphabet. Misundersta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phabet having a pronunciat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Hangul alphabet learning with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alphabet.

다음은 문자 학습을 위한 키패드가 포함된 학습기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The following is a 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a learner including a keypad for learning a characte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277호는 휴대용 전자 문자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획순 표시모드 및 전체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키패드와; 제1획 내지 제n획의 다수 획으로 된 한자 등의 문자 폰트 및 그 뜻과 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 키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도출하여 상기 저장된 문자 폰트의 제1획부터 제n획까지 한 획씩 가산 누진하여 출력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의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제1획 내지 제n획을 한꺼번에 출력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데이터 출력에 따라 문자를 제1획부터 제n획까지 한 획씩 가산 누진하여 획순을 표시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을 표시하거나, 제1획 내지 제n획을 전체적으로 표시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이 오프되어도 시간 세이빙을 할 수 있는 리얼타임유닛과; 건전지(290)로 전체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회로(280)와; 프로그램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용 유닛과; 상기 문자의 뜻과 음을 음성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9277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character learner, comprising: an input unit keypad for selecting a stroke display mode and an entire display mode; A memory for storing a character font such as a Chinese character having a plurality of strokes of the first to nth strokes, and its meaning and sound data; Deriving data from the memory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input unit keypad and outputting the data of the meaning and sound of the character or adding the first stroke to the first stroke to the nth stroke of the stored character font, or outputting the data.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n strokes at one time and outputting meaning and negative data of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characters are added by one stroke from the first stroke to the nth stroke, and the stroke order is displayed to display the meaning and sound of the characters, or the first to nth strokes are displayed as a whol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meanings and sounds of characters; A real time unit capable of time saving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 power circuit 280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system with a battery 290; An upgrade unit capable of upgrading the program data;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meaning and sound of the text as voice.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획순을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하여주는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한자의 처음 제1획부터 마지막 제n획까지 획순을 정확히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으나, 한글과 한자의 형상과 발음을 서로 연관시키며 한글 또는 한자를 학습시키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chieved the effect of accurately learning the stroke order from the first stroke to the nth stroke of the Chinese characters by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stroke order and outputting the vo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is difficult to learn Hangeul or Chinese characters by correlating the shapes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and Chinese characters, so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to solve th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277호(2004.04.22.)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9277 (2004.04.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5146호(2017.05.1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55146 (2017.05.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4323호(2008.02.1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4323 (2008.02.14.)

본 발명은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 된 기술로서, 종래 외국인 한글 학습자는 단순히 한글을 이루는 자모를 반복적으로 보고, 쓰고, 읽으며 학습하기 때문에, 한글을 이루는 자모의 형상과 발음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한글을 학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keypad system for the Hangul learner, the conventional foreign Hangul learner simply sees, writes, reads and learns the alphabet that forms the Hangul, the shape of the alphabet that forms the Hangul There was a problem of learning Hangeul with and pronuncia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특히, 외국인과 같은 한글 학습자가 한글 자모의 발음을 명확하게 학습하지 못한 상태에서 한글 자모를 학습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학습자 단말기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 자모의 형상만을 기억하여 한글을 입력 및 출력하는 방식으로 한글 학습을 하기 때문에, 한글 자모의 형상과 발음을 상호 연관시키며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a Hangul learner such as a foreigner learns the Hangul alphabet without clearly learning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alphabet, the Hangul is inputted by memorizing only the shape of the Hangul alphabet arranged on the Hangul keypad implemented in a general learner terminal. Since the learning of Hangul is performed by the output method,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learn by correlating the shape and pronunciation of the Hangul alphabet occurs, and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olu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desired object as described above,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와;A main database for storing keypad data and learner information data including Korean keypad data and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and a learner terminal managing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and keypad data stored in the main database and requesting keypad data. A central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server controller for providing corresponding keypad data;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학습자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요청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provide learner information data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request keypad data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 the keypad data reques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 learner terminal displaying a foreign language keypad;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When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Korean keypad data, the learner terminal uses the Korean keypad data to display a Hangul keypad in which Hangul alphabets are arranged on a keypad display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If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are arranged on a keypad display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using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If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data, the learner terminal uses the Hangul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data to arrange the Hangul alphabet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isplay the Korean keypad and foreign keypad arranged with foreign phonetic symbols.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학습자가 선택한 한글 자모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이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을 제시한다.When the learner selects the Hangul alphabet on the Hangul keypa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r the foreign phonetic pronunciation symbol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selected by the learner or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on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We present a keypad system for foreign Korean learners to display characters.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학습자 단말기의 입력부에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가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자모의 발음이 명확하게 학습되지 않은 상태의 학습자라도,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구현된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자모의 발음과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함으로써, 학습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한글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The Hangul learner keypa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separating the Hangul keypad and the foreign language keypad on the input unit of the learner terminal, even if the learner of the state of the Hangul alphabet is not clearly learned, By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alphabet using a foreign language keypad implemented with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native language, an effect of enabling Korean to be implemented in a display unit of a learner terminal;

특히, 상기 외국어 키패드에 구현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한글 키패드에 구현되는 한글 자모와 대응시키며 한글 자모의 발음 및 형상을 학습 가능하기 때문에, 한글 자모의 형상과 발음을 외국어 발음과 연관시키며 학습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implemented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correspond to the Hangul alphabet implemented on the Hangul keypad, the pronunciation and shape of the Hangul alphabet can be learned. You can get i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중앙관리서버와 학습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중앙관리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구현되는 키패드의 종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제1한글 키패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제2한글 키패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영어인 경우의 제1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영어인 경우의 제2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중국어인 경우의 제1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중국어인 경우의 제2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대만어인 경우의 제1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대만어인 경우의 제2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the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the keypad system for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type of data stored in the main database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keypad syste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type of keypad implement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the keypad syste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Hangul keypad implemented in the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the keypad system for a Hangul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econd Korean keypad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keypad system for a Korean lear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ment when a foreign language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keypad system for a Korean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lish.
5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ment when a foreign language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keypad system for a Korean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lish.
FIG. 6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ment when a foreign language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Hangul learner keypad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inese; FIG.
6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ment when a foreign language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keypad system for a Korean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inese;
FIG. 7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ment when a foreign language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Hangul learner keypad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aiwanese; FIG.
FIG. 7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ment when a foreign language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included in a keypad system for a Hangul lear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aiwanese; FIG.

본 발명은 외국인 한글 학습자가 한글 자모 및 외국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er Hangul learner keypad system that allows a foreign Hangul learner to input Hangul using the Hangul alphabet and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와;A main database for storing keypad data and learner information data including Korean keypad data and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and a learner terminal managing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and keypad data stored in the main database and requesting keypad data. A central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server controller for providing corresponding keypad data;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학습자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요청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provide learner information data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request keypad data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 the keypad data reques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 learner terminal displaying a foreign language keypad;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When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Korean keypad data, the learner terminal uses the Korean keypad data to display a Hangul keypad in which Hangul alphabets are arranged on a keypad display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If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are arranged on a keypad display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using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If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data, the learner terminal uses the Hangul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data to arrange the Hangul alphabet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isplay the Korean keypad and foreign keypad arranged with foreign phonetic symbols.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학습자가 선택한 한글 자모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이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When the learner selects the Hangul alphabet on the Hangul keypa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r the foreign phonetic pronunciation symbol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selected by the learner or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on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system for a foreign Hangul learner to be displayed in tex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b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외국인과 같은 한글 학습자가 ⅰ) 학습자 단말기에 구현된 한글 자모로 이루어진 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곧바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 또는 한글문장(이하, ‘한글 단어’라 칭함.)을 입력할 수도 있고, ⅱ) 학습자 단말기에 외국어 발음기호로 이루어진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상기 ⅰ) 또는 ⅱ) 에서 상기 한글 키패드 및 외국어 키패드 각각에 입력된 한글 자모 및 외국어 발음기호는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한글 단어로 출력 표시된다.First of all, a keypad system for a foreigner Korean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orean word or a Korean sentence (hereinafter, 'Hangul word) that a Korean language learner such as a foreigner wants to input directly using a Korean keypad composed of Korean alphabets implemented on a learner terminal. Or ii) A Korean word to be input can be inputted into the learner's terminal using a foreign language keypad consisting of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The Hangul alphabet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inputted in the respective words are outputted and displayed in Korean words on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즉,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한글을 미숙하게 알고 있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는, 상기 ⅰ) 의 경우처럼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생각하며 직접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한글 키패드에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ⅱ) 의 경우처럼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의 발음을 생각하며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in the keypad syste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reigner Korean language learner who is unfamiliar with Hangul, considers the shapes of consonants and vowels that constitute Korean words to be input as in the case of i). Korean words can be entered into the Korean keypad; As in the case of ii), the Hangul word to be input may be input on a foreign keypad which is arranged with a foreign phonetic phonetic symbol while considering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word to be inpu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시적으로 중앙관리서버 및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학습자 단말기는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system for foreign Hangul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a learner terminal macroscopically as shown in Figure 1,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the learner terminal is interconnected through a commo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send and receive data.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learn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Hangul learner keypa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using the keypad data provided by the Hangul keypad or foreign language keypad to input the Hangul to the foreign learner terminal The application to be implement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is installed, hereinafter, the foreign language Hangul learner keypa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when executed by the application.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학습자 정보와 키패드 데이터들을 학습자별로 저장 관리하고 해당 학습자에게 필요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main database storing keypad data and learner information data including Korean keypad data and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and learner information data and keypad data stored in the main datab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control unit for managing the management and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keypad data requested to the learner terminal requesting the keypad data, characterized in that to store the learner information and keypad data for each learner and to provide the keypad data necessary for the learner .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의 관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제어부와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는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server and the main database for storing data, in particular, the main data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data and learner information data is stored do.

즉, 상기 서버제어부는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키패드 데이터가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저장된 키패드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어를 하거나, 학습자 정보를 제공받아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학습자정보는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포함하고 학습자 정보와 해당 학습자의 키패드 데이터(해당 학습자의 모국어 발음기호로 구현된 외국어 키패드 데이터 포함)는 상호 매칭되어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학습자별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the server controller controls keypad data input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stored so that the input keypad data i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controls to modify the stored keypad data, or i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by receiving learner information. . In particular, the learner information includes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keypad data (including foreign language keypad data embodied by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are matched to each other and the learner is identified as the main database for each learner. Control to be stored in

또한, 상기 서버제어부는 학습자의 키패드 데이터의 요청시 요청된 키패드 데이터를 해당 학습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The server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requested keypad data to the learner's terminal when the learner's keypad data is requested.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소지하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키패드를 통해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상기 한글 단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전용 학습자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possesses a learner possesses a dedicated application, receives an Hangul alphabet or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through a keypad implemented on a keypad display unit on a user interface screen by the application, and responds to the input Hangul alphabet or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As the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the Hangul (the Hangul word) to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a dedicated learner terminal or a general terminal known as a 'smart phone' may be associat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즉,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표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키패드를 구현하거나 구현된 키패드를 통해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받도록 하거나 입력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표시등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That is, the learner terminal, as shown in FIGS. 1 and 3, implements a keypad on the user interface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and implements a keypad on the user interface or receives a Hangul alphabet or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through the implemented keypad. The application includes a terminal database and an application for processing a Hangul indicator corresponding to a Hangul alphabet or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may be stored in a terminal database.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폰에 기장착된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학습자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 및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한 처리등을 수행하는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중앙관리서버나 공지의 앱 스토어 등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the terminal database can use the hardware mounted on the smartphone as it is, and the data exchange betwee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the learner terminal and processing of the Hangul alphabet or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input by the learner, etc.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learner terminal to perfor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ownloaded from a central management server or a known app store.

다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 표시부는 공지의 스마트폰 화면상에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display unit and the keypad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on a known smartphone screen.

이하,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기장착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인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의 기술로 대신하겠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of operating an application, which is hardware installed in the learner terminal and software installed in the hardware, will be replaced with known techniques.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키패드 형식으로 구현되며, 상기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키패드는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에 따라 한글 키패드 또는 외국어 키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data stored in the main database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i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keypad form o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the keypad implement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ded keypad data It may be at least one of a Korean keypad or a foreign language keypad.

이때, 중앙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키패드 데이터 중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을 구성하는 자모들이 일정한 배열 규칙으로 배열된 키패드 형태(이하, ‘한글 키패드’라 칭함.)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도록 하는 데이터로서, 학습자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된 상기 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자모를 입력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된 한글 자모에 대응된 한글 단어가 출력표시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mong the keypad data provid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he Korean keypad data is a keypad 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orean keypad) in which alphabets forming the Korean alphabet are arranged according to a certain arrangement rule. When the learner inputs the Hangul Jamo using the Hangul keypad embodied on the interface screen, the Hangul wo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Hangul Jam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Will be.

즉,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분류되는 단자음(ㄱ, ㄴ, ㄷ, ㄹ,,,), 단모음(ㅏ, ㅑ, ㅓ, ㅕ,,,), 복합자음(ㄲ, ㄱㅅ, ㄹㄱ, ㄴㅎ,,,) 및 쌍모음(ㅘ, ㅚ, ㅝ, ㅟ,,,)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어 각각의 자모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키패드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것이다.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alphabet of the Korean alphabet included in the Korean keypad data includes the terminal sounds (B, B, C, D ,,,), short vowels (ㅏ, ㅑ, ㅓ, ㅕ ,,,) Hangul, which can contain information about consonants (ㄲ, ㄱㅅ, ㄱㄱ, ㅎㅎ ,,,) and pair vowels (ㅘ, ㅚ, ㅝ, ㅟ ,,,) The keypad data is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each letter is embodi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is embodi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또한,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에는 한글 키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될 때 한글 키패드상에 구현되는 한글 자모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gul keypad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gul Jamo implemented on the Hangul keypad when the Hangul keypad is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또한,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한글키패드를 구성하는 한글 자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한글 자모와 이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gul keypad data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about the Hangul alphabet that constitutes the Hangul keypad that is implemented on the keypad display of the learner's terminal, but also includes matching information which is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angul alphabet and the corresponding phonetic phonetic symbols. Is characterized in that if you want to check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gul alphabet.

또한,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에는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와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숫자, 특수 문자, 스페이스바, 백스페이스바, 및 엔터키 등과 같은 기능키에 관한 정보도 더 포함되고, 상기 기능키에 관한 정보 역시 한글 키패드에 반영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Korean keypad data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function keys, such as numbers, special characters, space bars, backspace bars, and enter key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Hangul alphabet and information on arrangement position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nformation on the key can be implemented by being reflected on the Korean keypad.

특히, 상기 기능키에는 특정 한글 자모를 특정 한글 자모에 매칭되어 있는 외국어 발음기호로의 전환을 위한 기능키가 포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unction key may include a function key for converting a specific Hangul alphabet into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matching the specific Hangul alphabet.

이상을 정리하면,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자모에 대한 정보와 한글 자모들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와 한글 자모와 이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와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ummary, the Korean keypad data includes at least information on the Hangul alphabet,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gul alphabet, and information on matching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which are match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Hangul alphabet and the foreign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hereto. It is done.

아울러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의 자모 각각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일정한 배열규칙으로 배열된 키패드 형태(이하, ‘외국어 키패드’라 칭함.)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도록 하는 데이터로서, 학습자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된 상기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된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단어가 출력표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keypad data is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in the form of a keyp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tters of the Korean alphabet are arranged in a certain arrangement rule. When the learner inputs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using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mplemented on the interface screen, the Hangul wo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Will be.

즉,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외국어 키패드를 구성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학습자 단말기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외국어 키패드를 통해 학습자가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통하여 입력된 외국어 발음기호는 대응된 한글의 자모로 변환되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표시되는 것이다.That is,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about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nstituting a foreign language keypad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f the learner terminal, but also matching information which is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nunciation symbols of the foreign language and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When the learner inputs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through a foreign language keypad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f the learner terminal,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nputted through the matching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he corresponding alphabet of Korean characters and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의 외국어 발음기호란 한글 자모에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의미한다.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means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복수의 외국어 언어별로 구성되며, 이 경우 각각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languages, in which case each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s matched between information on the pronunciation symbol of the language and the pronunciation symbols of the language and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hereto.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atching information that is a relationship.

즉,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영어, 일어, 중국어, 대만어 또는 아랍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언어별로 구성되며, 각각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해당 언어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keypad data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English, Japanese, Chinese, Taiwanese, and Arabic, and each foreign language phonetic keypad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of the language and pronunciation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And matching information which is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symbols and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는 외국어 키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될 때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whe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s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상기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는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해당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are arranged to b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Hangul Jamo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symbol.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국어 키패드와 한글 키패드는 동일한 형태로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다. 이때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의 배열 위치는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가 위치한 키패드상의 위치에 상기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치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foreign language keypad and the Hangul keypad are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in the same form.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s arranged at a position on the keypad where a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s located.

도 4a와 도 5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a와 도 5a는 각각 한글 키패드와 영어 키패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자 동일한 키패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4A and 5A, for example, FIGS. 4A and 5A show a Korean keypad and an English keypad, respectively, and take the same keypad form.

도 4a의 한글 자모 'ㅁ'은 한글 키패드 상 배열 위치가 "2행 5열"이고, 'ㅁ'에 대응된 영어 발음은 'm'이다. 이때 'm'이란 발음기호는 도 5a의 영어 키패드 상 한글 자모 'ㅁ'의 배열 위치인 "2행 5열"과 동일한 배열위치인 "2행 5열"에 배치되는 것이다.In the Hangul alphabet 'ㅁ' of FIG. 4A, the arrangement position on the Korean keypad is “2 rows 5 columns”, and the English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ㅁ” is “m”. At this time, the phonetic symbol 'm' i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position as "2 rows 5 columns" which i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gul alphabet 'ㅁ' on the English keypad of FIG. 5A.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매칭정보와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 이외에 숫자, 특수 문자, 스페이스바, 백스페이스바 및 엔터키 등과 같은 기능키에 관한 정보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키에 관한 정보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에 반영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function keys such as numbers, special characters, space bars, back space bars, and enter keys, in addition to information on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matching information, and arrangement position inform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nformation on the function key can be implemented by being reflected on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특히, 상기 기능키에는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를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매칭되어 있는 한글 자모로의 전환을 위한 기능키가 포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unction key may include a function key for converting a specific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into a Hangul alphabet matching the specific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이상을 정리하면,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복수의 외국어 언어별로 구성되고, 각각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를 나타내는 매칭정보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와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ummary,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languages, and each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on the pronunciation symbol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and the matching symbols of the pronunciation symbols of the foreign language and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And at least information on a function key and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of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ⅲ)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거나, ⅳ)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Keypa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is ⅲ) at least one of Korean keypad data and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or ⅳ) Korean keypad data and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t may be at least one of symbol keypad data.

상기 ⅲ) 의 경우에서,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에 한글 키패드 데이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전체가 포함되도록 하면, 학습자가 복수의 외국어 중 학습자가 잘 알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외국어 키패드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ii), if the keypad data transferr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includes not only Korean keypad data but also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the learner knows well among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s. You can select the foreign language keypad to obtain the effect.

또한, 상기 ⅳ) 의 경우에서,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에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면, 학습자 자신의 모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ii), if the keypad data transferr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includes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code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the foreign language in which the learner's own language pronunciation code is arranged You can get the effect of using the keypad immediately.

또한, 상기 ⅲ), ⅳ) 의 경우 이외에,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키패드 데이터만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ases iii) and iii), the keypa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may provide only specific keypad data at the request of the learner.

예를 들어,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와 중국어 키패드 데이터만을 요청하면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와 중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만을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learner requests only Korean keypad data and English and Chinese keypad data, only the Korean keypad data and English and Chines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ⅳ) 의 경우처럼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에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앙관리서버에는 학습자 정보에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가 필연적으로 기저장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시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lude the keypad data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as in the case of iii),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re included i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he native language information must be stored inevitably, and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uses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earner's information data when the learner requests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his or her native language. Keypa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즉,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는 학습자의 개인 정보와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는 학습자의 개인 정보 및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학습자로부터 제공받 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is data including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nformation, and may be provided from the learner.

학습자가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한 후, 학습자의 이름, 아이디,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개인 정보는 중앙관리서버로 전달된 후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After the learner installs an application capable of driving a foreigner Korean learner keypa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arner terminal, and input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learner's name, ID, contact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entered personal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fter delivery, it i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이때, 상기 학습자 정보의 저장은 학습자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of the learner information may be stored using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learner.

또한,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개인 정보를 입력할 때 학습자의 모국어에 대한 정보를 같이 입력하면, 추후 학습자가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요청시 상기 학습자 정보에 포함된 모국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arner inputs personal information as the learner inputs person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arner uses the mother tong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whe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s requested for the native language. By providing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즉,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자신의 개인 정보 또는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할 경우, 중앙관리서버에서는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모국어 정보를 반영하여,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학습자 단말기에서는 한글 키패드나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로 구성된 외국어 키패드가 구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arner executes the application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logs in using his or her personal information or ID,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reflects the native langu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of the learner, and the Korean keypad The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arn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with a Korean keypad or a foreign language keypad including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또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키패드표시부에는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 구현된다.In addition, the keypad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learner terminal is implemented to display the Hangul keypad or foreign language keypad.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는 학습자의 터치 또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번갈아 가면서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다.The Korean and foreign language keypads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are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sequentially or alternately by a learner's touch or sliding.

즉,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는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다양한 방식 및 배열로 표시되는데, 학습자는 터치 방식이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양한 방식 및 배열로 키패드표시부에 표시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순차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Korean keypad and the foreign languag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layed in various ways and arrangements o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arners are display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in various ways and arrangements in a touch or sliding manner. The keypad and foreign language keypad can be displayed sequentially.

부언 설명하면, 학습자가 키패드표시부에 표시된 특정 키패드의 일정부분을 터치하거나 슬라이딩시키면, 마치 페이지가 넘어가거나 뒤집어지는 것과 같이 페이지가 전환되어 다른 키패드가 키패드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learner touches or slides a certain portion of a specific keypad display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the page is switched and another keypad is display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as if the page is turned over or flipped over.

예를 들어, 현재 키패드표시부에 도 4a와 같은 한글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의 일정부분을 터치하거나 슬라이딩시키면 한글 키패드가 사라진 후 도 5a와 같은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learner touches or slides a certain portion of the Korean keypad in a state in which the Korean keypad as shown in FIG. 4A is displayed on the keypad display, the foreign keypad as shown in FIG. 5A is displayed after the Korean keypad disappears.

또한,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다가, 입력하는 한글 자모에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확인하고 싶거나, 입력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확인하고 싶은 외국어 발음기호나 한글 자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earn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inputs a Hangul alphabet or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using a Hangul keypad or a foreign language keypad, and wants to check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input or to input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f you want to check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or Hangul alphabet that you want to check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nfirmed.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글 키패드를 이용해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학습자가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한글 키패드상에서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예: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3회이상 터치하거나, 전환키를 선택하거나 등)을 하면, 상기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고,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해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는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외국어 키패드상에서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예: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3회 이상 터치하거나, 전환키를 선택하거나 등)을 하면, 상기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For example, a learner who inputs a Hangul alphabet using a Hangul keypad may use a corresponding keypad operation for checking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Hangul alphabet on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for example, pressing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ouch more than 3 times, select a switch key, or the like),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gul alphabet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and the learner who inputs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using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s displayed. When the corresponding keypad operation (for example, pressing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ouching three times or selecting a switching key, etc.) for checking a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displayed o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Display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symbols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It is good.

상기의 구성적 특징이 가능한 이유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자모와 이에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나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above constitutive features are possible because the Korean keypad data includes matching information which is a matching relation between a Hangul alphabet and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is a matching between the phonetic symbols and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Sin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atch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oreign phonetic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gul alphabet or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foreign phonetic symbols.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자모가 일정한 배열규칙에 의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제1한글 키패드와 제2한글 키패드를 포함한다.The Korean keypad implemented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includes a first Korean keypad and a second Korean keypad in which the Hangul alphabet i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1한글 키패드와; 한글의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쌍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2한글 키패드;를 포함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orean keypad comprises: a first Korean keypad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with a vowel that can be used as a consonant and a neutral for Hangul;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econd Hangul keypad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of consonants and neutrals that can be used as the finality of Hangul.

즉, 한글 단어는 일반적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지고(예로서, ‘김’에서 ‘ㄱ’은 초성, ‘l’는 중성, ‘ㅁ’은 종성임), 상기 종성은 한글 단어의 받침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받침이 있는 한글 단어의 경우에만 한글 단어에 종성이 포함된다.In other words, a Hangul word is generally composed of a consonant, a neutral, and a consonant (for example, 'G' to 'c' is a consonant, 'l' is a neutral, and 'ㅁ' is a consonant), and the consonant is supported by the Hangul word. Hangul is included in the Hangul word only in the case of a Hangul word with a backing corresponding to.

본 발명의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초성과 중성을 입력할 때에는 제1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한글 단어 또는 한글 단어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first Korean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vowels that can be used as consonants and neutrals for Hangul ar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so that foreign learners can enter primary and neutral. In this case, the first Hangul keypad may be used to easily input a Hangul word or a part of the Hangul word.

이때,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포함되는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은 단모음이 주로 배치되고, 일부 쌍모음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In this case, the vowel that can be used as the neutral included in the first Korean keypa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ingle vowel is mainly arranged and some pair vowels are arranged.

아울러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성으로 주로 이용되는 자음과 중성 이용되는 쌍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종성과 쌍모음 중성을 입력할 때에는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한글 단어 또는 한글 단어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Korean keypad includes consonants mainly used as the finality and double vowels used as the neutral,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The Hangul keypad can be used to easily input a Hangul word or a part of the Hangul word.

물론 종성을 입력할 때는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1한글 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Of course, when entering the finality is based on using the second Hangul keypa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first Hangul keypad can be used in some cases.

이때,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되는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은 주로 쌍자음이 배열되고 일부 단자음이 배열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되는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쌍모음은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모음 이외의 것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sonants which can be used as the finality arranged on the second Hangul keypad may be configured in which a pair of consonants are arranged and some terminal sounds are arranged, and the paired vowels that can be used as the neutral arranged on the second Hangul keypad a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Korean keypad is composed of ones other than the vowels arranged on the keypad.

즉, 상기 구성의 제1한글 키패드와 제2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한글 자모를 서로 다른 키패드에 구분시켜 놓음으로써, 학습자가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보다 확실하게 구분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angul keypad and the second Hangul keypad of the above configuration distinguish the Hangul alphabet, which can be used as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ity of the Hangul, on different keypads, so that the learner can more clearly determine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ity of the Hangul. And can provide effects that enable learning.

또한, 상기 한글 키패드를 구성하는 제1한글 키패드와 제2한글 키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거나 서로 다른화면으로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Korean keypad and the second Korean keypad constituting the Korean keypad may be implemented as one screen or a different screen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상기 외국어 키패드는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1외국어 키패드와;The foreign language keypad includes: a first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a phonetic symbol of a foreign language corresponding to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a Korean consonant and a vowel arranged in the first Korean keypad is arranged;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음과 쌍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2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한다.And a second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a phonetic symbol of a foreign language corresponding to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and a pair of Korean consonants arranged on the second Korean keypad is arranged.

즉, 상기 외국어 키패드는 제1한글 키패드에 대응하는 제1외국어 키패드, 제2한글 키패드에 대응하는 제2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한글 단어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각각 쓰이는 한글 자모가 외국어 발음기호 중 어떠한 발음기호에 해당하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ncludes a first foreign languag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ngul keypad and a second foreign languag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angul keypad, the Hangul alphabet used by the learner as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ity of the Hangul word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o more clearly learn which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s to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특히, 상기 외국어 키패드에 배열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 위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자음과 모음과 쌍모음의 한글 키패드상 배열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arranged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rrangement position on the Hangul keypad of the consonants, vowels and pairs of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도 4a와 도 5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a와 도 5a는 각각 제1한글 키패드와 제1영어 키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양자 동일한 키패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4A and 5A, for example, FIGS. 4A and 5A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first Korean keypad and a first English keypad, respectively, and have the same keypad form.

도 4a의 한글 자모 'ㅁ'은 한글 키패드 상 배열 위치가 "2행 5열"이고, 'ㅁ'에 대응된 영어 발음은 'm'이다. 이때 'm'이란 발음기호는 도 5a의 영어 키패드 상 한글 자모 'ㅁ'의 배열 위치인 "2행 5열"과 동일한 배열위치인 "2행 5열"에 배치되는 것이다.In the Hangul alphabet 'ㅁ' of FIG. 4A, the arrangement position on the Korean keypad is “2 rows 5 columns”, and the English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ㅁ” is “m”. At this time, the phonetic symbol 'm' i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position as "2 rows 5 columns" which i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gul alphabet 'ㅁ' on the English keypad of FIG. 5A.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외국어 키패드상 배열위치는 배열위치정보로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된다.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s included i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as the arrangement pos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2한글 키패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한글의 자음들은 서로 인접된 행 또는 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Korean keypa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Korean consona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pronunciations are arranged in adjacent rows or columns.

즉, 상기 제2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단자음과 쌍자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데, 이때, 종성으로 쓰이는 자음 중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한글의 단자음과 쌍자음들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다.이로 인해, 외국인 학습자가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단어의 종성을 입력할 때 한글 종성으로 사용되는 서로 다른 형상을 하고 있는 단자음이나 쌍자음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발음으로 발성됨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Korean keypad i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of consonants (terminal consonants and double consonants) that can be used as the final words of Hangeul, in which case, pairs of terminal sounds and pairs of Korean consona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pronunciations among the consonants used as the final consonants The consonant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us, when a foreign learner inputs the finality of a Hangul word using a second Korean keypad, differently shaped terminal sounds or double consonant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pronunciatio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learning to speak.

도 4b와 도 5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b와 도 5b는 각각 제2한글 키패드와 제2영어 키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양자 동일한 키패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4B and 5B, for example, FIGS. 4B and 5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econd Korean keypad and a second English keypad, respectively, and take the same keypad form.

도 4b의 한글 자음 'ㄱ, ㄱㅅ, ㄹㄱ, ㅋ'은 종성으로 사용시 동일하게 영어 발음기호로 'k'로 발음된다. 또한, 한글 자음 'ㄷ, ㅅ, ㅆ, ㅈ, ㅊ'은 종성으로 사용시 동일하게 영어 발음기호 't'로 발음된다.The Hangul consonants 'ㄱ, ㄱㅅ, ㄹㄱ, ㅋ' in FIG. 4B are pronounced as 'k' as the English phonetic symbol when used as a final word. In addition, the Korean consonants 'ㄷ, ㅅ, ㅆ, ㅈ, ㅊ' are pronounced as English pronunciation symbols 't' when used as a final wor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ㄱ, ㄱㅅ, ㄹㄱ, ㅋ'은 도 4b의 한글 키패드상 서로 인접한 위치인 "2행 1열 ~2행 4열"에 배치되고, 한글 자음 'ㄷ, ㅅ, ㅆ, ㅈ, ㅊ'은 도 4b의 한글 키패드상 서로 인접한 위치인 "3행 2열 ~3행 6열"에 배치되는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consonants' ㄱ, ㄱㅅ, ㄹㄱ, ㅋ 'are arranged at "2 rows 1 to 2 rows 4 column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Hangul keypad of FIG. 4B, and the Hangul consonants' ㄷ, ㅅ, ㅆ, ,, ㅊ 'are arranged in the "three rows, two columns, three rows, six column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Hangul keypad of Figure 4b.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된 매칭정보를 학습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learner to change the matching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상기 매칭정보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정보로서, 매칭정보는 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한글 자모들과의 매칭관계에 대한 정보이다.The match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mmonly included in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The match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honetic symbols of the foreign language and the Hangul alphabet.

예를 들어, 영어 발음 'k'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는 'ㄱ'이라는 매칭관계가 매칭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k' is a matching relationship 'ㄱ' is stored as matching information.

그러나 필요에 따라 학습자는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와 이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의 매칭관계를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다.However, if necessary, the learner may want to change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specific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and a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예를 들어, 영어 발음 'k'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를 'ㄱ'에서 'ㅋ'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you may want to change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k' from 'ㄱ' to 'ㅋ'.

이 경우, 학습자는 키패드상에서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매칭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arner can change the matching relationship by operating the keypad on the keypad.

예를 들어, 학습자가 외국어 키패드상에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예: 변경하고자 하는 외국어 발음기호(예: k)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3회 이상 터치하거나, 변환키를 선택하거나 등)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에 현재 대응되어 있는 한글 자모(예:ㄱ)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복수의 한글 자모들(예: 'ㄱ, ㄱㅅ, ㄹㄱ, ㅋ')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예: ㅋ 선택) 선택한 한글 자모가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에 매칭되도록 매칭정보가 수정된다.For example, when a learner manipulates the corresponding keypad on a foreign language keypad (e.g., presses a foreign phonetic symbol (e.g.) for more than a certain time, touches it more than three times, selects a conversion key, etc.) It becomes a state that can change the Hangul Jamo (for example, a) that corresponds to the phonetic symbol, and a plurality of Hangul Jamo (for example, 'ㄱ, ㄱㅅ, ㄹㄱ, ㅋ') are provided to the learner. If one is selected (for example, ㅋ selection), the matching information is modified so that the selected Hangul alphabet matches the corresponding phonetic phonetic symbol to be changed.

같은 방식으로, 한글 키패드상에서 변경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 해당 한글 자모에 현재 대응되어 있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학습자는 상기의 방식으로 한글 자모와 외국어 발음기호의 매칭 관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In the same way, when the corresponding keypad operation is changed on the Korean keypad, the phonetic symbol for the foreign language currentl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can be changed. In this state, the learner of the Hangul alphabet and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s changed. The matching relationship can be changed.

한글 키패드 상에서 매칭관계를 변경하든 외국어 키패드 상에서 매칭관계를 변경하든 매칭정보는 동일한 것이어서 한글 자모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는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Whether the matching relationship is changed on the Korean keypad or the matching relationship on the foreign keypad, the matching information is the same, so that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angul alphabet and the foreign phonetic symbols is changed.

이 경우, 변경된 매칭정보는 해당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한글 키패드 데이터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로 중앙관리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changed match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s the Korean keypad data or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of the learner as the identifier of the learner.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매칭 정보(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학습자가 매칭 정보에 의한 외국어 발음기호의 발음과 한글의 자모의 발음이 서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학습자 자신에 맞게 외국어 발음기호와 한글 자모의 매칭 관계를 변경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arner may use the matching information (pronounced symbols of foreign languages and matching relations of Hangul alphabets) as it is in the keypad data, but the learner pronounces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alphabet by the matching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and the Hangul alphabe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earner himself / herself.

상기와 같이 학습자에 의하여 변경된 매칭정보는 학습자 단말기에서 중앙관리서버로 전달되어,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로 저장되어 해당 학습자에게만 추후 계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atching information changed by the learner as described above is transferr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stored as learner information of the learner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only to the learner later.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상기 한글 키패드 또는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입력시 입력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한글 발음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표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earner to express the Hangul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or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code input when the Hangul is input using the Hangul keypad or the foreign language keypad through a speaker.

즉,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 입력할 때, 입력된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한글 발음이 음성으로 학습자 단말기에서 발성되면, 학습자는 자신이 입력한 문자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단어의 입력 과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오기를 줄이고, 입력한 문자에 해당하는 발음을 보다 반복적으로 청취하며 한글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arner selects and inputs a Korean consonant, vowel, or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using the keypad implement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orean consonant, vowel, or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When the pronunciation is uttered by the learner's terminal by voice, the learner can also visually check the letters input by the learner, thereby reducing the erroneous errors occurring during the input process of the Hangul word, and repeating the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letter.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listening to and learning Korean.

다음은 미국인 한글 학습자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n embodiment in which an American Hangul learner inputs Hangul using the Hangul learner keypa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학습자는 자신의 스마트폰(학습자 단말기)에 중앙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거나 공지의 앱 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First, the learner installs an application that works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on his smartphone (learner terminal).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or downloaded from a known app store.

이후, 학습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학습자의 개인 정보와 모국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입력된 개인 정보 및 모국어 정보는 중앙관리서버로 전달되어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 및 모국어 정보가 저장된다.Thereafter, when the learner runs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inputs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native language information into the applicatio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native languag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of the learner's learner information data. And native language information.

이때,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서버제어부는 학습자의 상기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아이디(학습자가 개인 정보 입력시에 아이디가 생성될 수도 있음.)를 생성시켜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포함 시키고, 상기 아이디는 해당 학습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한글 학습을 할 때마다 해당 학습자의 사용인증을 위한 식별인자로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server control unit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generate the learner's ID (the ID may be generated when the learner enters personal information) using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to include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The ID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authenticating the use of the learner whenever the learner runs the application and learns Hangul.

이후, 학습자가 자신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로그인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키패드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제공됨을 알아야 한다.Thereafter, when the learner logs in to the application using his or her ID,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keypad data to the learner terminal. In this case, the learner may select a type of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included in the keypad data using the learner terminal. Of course, it should be noted that Korean keypad data is provided by default.

즉, 학습자는 중앙관리서버에서 전달받는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모든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로 받을 것인지,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만을 받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된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모국어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만인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That is, the learner can select whether to receive the foreign phonetic phonetic keypad data included in the keypad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s all the foreign phonetic phonetic keypad data or only the English phonetic keyboard data corresponding to his or her native language.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keypad data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only English phonetic symbol data corresponding to a native language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된 키패드 데이터에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이고,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키패드와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로 구현된다.The keypa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includes Korean keypad data and English phonetic symbol keypad data, and the Korean keypad data and English phonetic symbol keypad data are the Korean keypad and English phonetic symbols on the keypad display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It is implemented with a keypad.

이때,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와 영어 키패드는 서로 다른 페이지에 각각 구현되어, 학습자의 터치 또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서로 번갈아가며 키패드표시부에서 구현된다. In this case, the Korean keypad and the English keypad implement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are implemented on different pages, and are alternately implemented on the keypad display unit by the learner's touch or sliding.

또한, 상기 영어 키패드에 배열된 영어 발음기호들은 상기 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모의 발음과 각각 대응되는 발음이 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모과 동일한 배열 위치를 가지도록 영어 키패드에 배열된다.In addition, the English phonetic symbols arranged on the English keypad are arranged on the English keypad so that the pronuncia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of the Hangul arranged on the Korean keypad have the same arrangement position as the Hangul of the Hangul arranged on the Hangul keypad.

이후, 학습자가 ‘닭’이라는 한글 단어를 입력하는 하는 경우, 한글 키패드의 제1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ㄷ’, 중성 ‘ㅏ’을 입력하고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종성‘ㄹㄱ’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닭’이라 한글이 출력 표시된다.Then, when the learner enters the Korean word 'chicken', the first Korean key on the Korean keypad is used to enter the first consonant 'ㄷ' and the neutral 'ㅏ' and the second Korean keypad is used to enter Jongsung 'ㄹ'. When input, the display is 'chicken' Hangul output is displayed.

또한, 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닭이라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데, 제1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d’, 중성 ‘a’을 입력하고, 제2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종성‘k’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닭’이라 한글이 출력 표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b에 도시된 제2영어 키패드의 종성‘k’에 해당하는 키패드 버튼은 4개가 있으며, 각각 도 4b에 도시된 제2한글 키패드의 'ㄱ', 'ㄱㅅ', 'ㄹㄱ', 'ㅋ'에 대응된다.
만약, 학습자가 제1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d’, 중성 ‘a’을 입력하고, 제2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첫번째‘k’를 입력하면 '닥'이란 한글이 출력 표시되고, 제1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d’, 중성 ‘a’을 입력하고, 제2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두번째‘k’를 입력하면 '?'이란 한글이 출력 표시되고, 제1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d’, 중성 ‘a’을 입력하고, 제2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세번째‘k’를 입력하면 '닭'이란 한글이 출력 표시되고, 제1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d’, 중성 ‘a’을 입력하고, 제2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네번째‘k’를 입력하면 ''이란 한글이 출력 표시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닭'이 출력표시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행 착오(예를 들어, 첫번째‘k’를 입력하여 '닥'이란 한글이 출력 표시되면 지우고 다시 입력, 두번째‘k’를 입력하여 '?'이란 한글이 출력 표시되면 지우고 다시 입력 등)를 거쳐 자신이 원하는 단어인 '닭'이 출력 표시될 때까지 입력을 반복하게 된다.
In addition, an English keypad can be input using the English keypad. The first English keypad can be used to enter a consonant 'd' and a neutral 'a', and the second English keypad can be used to enter a final 'k'. Hangeul is displayed in the display called 'chicken'.
In more detail, there are four keypad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final 'k' of the second English keypad shown in FIG. 5B, and 'a', 'ㄱㅅ', '' of the second Korean keypad shown in FIG. 4B, respectively. ㄹㄱ ',' ㅋ '.
If the learner inputs a consonant 'd' and a neutral 'a' using the first English keypad and inputs the first 'k' using the second English keypad, the Korean letters 'dak' are displayed. Enter 'd' and neutral 'a' using the English keypad, and enter 'k' using the second English keypad. The Korean alphabet '?' Is displayed and the first English keypad is displayed. Enter 'd', neutral 'a', and enter the third 'k' using the second English keypad. The Korean character 'chick' is displayed, and the first English 'd', neutral ' Enter a 'and enter the fourth' k 'using the second English keypad.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 to display the word 'chicken' that he / she wants to input, the trial and error (for example, enter the first 'k' and delete it when the Korean word 'dak' is displayed. After inputting '?' When the Hangul output is displayed, it is erased and inputted again) and the input is repeated until the desired word 'chick' is displayed.

또한,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 또는 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입력할 때마다, 스마트폰에서는 초성, 중성 및 종성에 해당하는 발음이 스피커를 통해 발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ever a learner inputs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using a Korean keypad or an English keypad, a smartphon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sounds is spoken through a speaker.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changes.

Claims (10)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학습자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요청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학습자가 선택한 한글 자모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이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In the keypad system for foreign Hangul learners,
A main database for storing keypad data and learner information data including Korean keypad data and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and a learner terminal managing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and keypad data stored in the main database and requesting keypad data. A central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server controller for providing corresponding keypad data;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mounted and provides learner information data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by the dedicated application, requests the keypad data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s the requested keypad data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learner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Hangul keypad or foreign language keypa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When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Korean keypad data, the learner terminal uses the Korean keypad data to display a Hangul keypad in which Hangul alphabets are arranged on a keypad display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When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data,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s are arranged on a keypad display on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using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data.
When the keypad data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keypad data, the learner terminal uses the Korean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to arrange the Hangul alphabet in the keypad display unit on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learner terminal. Displayed Korean keypad and foreign keypad arranged with foreign phonetic symbols,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Hangul alphabet on the Hangul keypa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r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selected by the learner or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on the display uni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A keypad system for a foreign Korean lea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to be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중앙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Keypad data provid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A keypad system for foreign Korean learner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Hangul keypad data stored i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a plurality of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는 학습자의 개인 정보와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er information data includes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keypad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is one or more of the Hangul keypad data and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제1항에 있어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하는 키패드들은,
학습자의 터치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다른 키패드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Keypads including Korean and foreign language keypad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A keypad system for foreign Korean learner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keypad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by a learner's touch or sl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한글 키패드상에서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 상기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고,
학습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외국어 키패드상에서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 상기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er terminal,
When the learner performs a corresponding keypad operation for confirming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Hangul alphabet on the Hangul keypa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gul alphabet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When the learner performs a corresponding keypad operation for checking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Keypad system for foreign Korean lear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1한글 키패드와;
한글의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쌍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2한글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Korean keypad,
A first Hangul keypad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with vowels that can be used as consonants and neutrals for Hangul;
And a second Hangul keypad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with a consonant and a consonant that can be used as the finality of Hangu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키패드는,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1외국어 키패드와;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음과 쌍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2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국어 키패드에 배열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 위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자음과 모음과 쌍모음의 한글 키패드상 배열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oreign language keypad,
A first foreign language keypad arranged with phonetic symbols of foreign languages corresponding to pronunciations corresponding to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rranged on the first Korean keypad;
And a second foreign language keypad in which a phonetic symbol of a foreign language corresponding to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and a paired vowel of a Hangul arranged in the second Korean keypad is arrange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arranged on the foreign language keypad is arrang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rrangement position on the Hangul keypad of consonants, vowels and pairs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symbol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되는 한글 자음들의 배열 위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한글 자음들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gul consonants arranged on the second Korean keypad is
A keypad system for a foreign Korean lea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ul consona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pronunciations are arranged in adjacent 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학습자별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자모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를 나타내는 매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정보는 키패드 상에서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학습자가 원하는 매칭정보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경된 매칭정보는 해당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키패드 데이터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이후 해당 학습자가 키패드 데이터 요청시 중앙관리서버는 변경된 매칭정보가 반영된 키패드 데이터를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pad data i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for each learner using the learner as an identifier.
The keypad data may include matching information indicating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Hangul alphabet and a foreign language phonetic symbol, wherein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be changed into matching information desired by a learner by operating the keypad on the keypad.
The changed match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in database as the learner's keypad data using the learner as an identifier, and when the learner requests the keypad data,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learner's terminal with the keypad data reflecting the changed matching information. A keypad system for foreign Korean lear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선택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한글 발음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표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er terminal,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Hangul alphabet on the Hangul keypad or the foreign phonetic phonetic symbol on the foreign keypad, the learner can display the Hangul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angul alphabet or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through the speaker. A keypad system for foreign Korean learners.
KR1020170154460A 2017-11-20 2017-11-20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KR102035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60A KR102035087B1 (en) 2017-11-20 2017-11-20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60A KR102035087B1 (en) 2017-11-20 2017-11-20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93A KR20190057493A (en) 2019-05-29
KR102035087B1 true KR102035087B1 (en) 2019-10-23

Family

ID=6667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460A KR102035087B1 (en) 2017-11-20 2017-11-20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537A (en) 2020-01-10 2021-07-20 정영훈 Method and apparatus to output colors matched hangul and foreign language
KR20210090538A (en) 2020-01-10 2021-07-20 정영훈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outputting hangul and foreign langu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4185A1 (en) 2001-07-23 2003-04-17 Pilwon Kang Korean romanization system
KR100593757B1 (en) 2005-02-14 2006-06-30 유혜경 Foreign language studying device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studying efficiency, and on-line foreign language studying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19U (en) * 1997-12-08 1999-07-05 오성택 Phonetic arrangement English keyboard
KR200349277Y1 (en) 2004-02-06 2004-05-04 주식회사 브로스아이엔씨 Electronic a letter learning device
KR101368770B1 (en) 2006-08-10 2014-03-04 (주)우리교육개발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ducation device
KR20120133574A (en) * 2011-05-31 2012-12-11 박종칠 A Letter input method
KR101990021B1 (en) 2015-11-11 2019-06-18 주식회사 엠글리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foreign language and mother language by using english phonetic symb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4185A1 (en) 2001-07-23 2003-04-17 Pilwon Kang Korean romanization system
KR100593757B1 (en) 2005-02-14 2006-06-30 유혜경 Foreign language studying device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studying efficiency, and on-line foreign language studying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537A (en) 2020-01-10 2021-07-20 정영훈 Method and apparatus to output colors matched hangul and foreign language
KR20210090538A (en) 2020-01-10 2021-07-20 정영훈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outputting hangul and foreign langu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93A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71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Alnfiai et al.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KR20100057880A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
KR101060928B1 (en) A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Chinese pronunciation as a Hangul phonetic symbol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 indicating a tonal ton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Hangul phonetic symbol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 indicating a tone as a Chinese pronunciation using the system, and a phonetic pronunciation of Chinese pronunciation and Chinese tones System of Korean and how to write Chinese pronunciation and Chinese tones with Korean phonetic symbols
KR102035087B1 (en) 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KR102068130B1 (en)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for subjective test in mobile device
JP2004523034A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KR100750653B1 (en) The cellular phone where the Korean alphabet input is possible
JP2004133915A (en)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korean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0036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48938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040087321A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2203822A (en) Chinese input device
KR101373552B1 (en) A stenography equipped with a touch-screen
KR102078446B1 (en)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KR101999281B1 (en) User terminal for studying brail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445741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aching wall map for Chinese pinyin
KR201100883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same
JP2008139835A (en) Phonetics learning method
KR102361607B1 (en) Keypad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KR20120102379A (en)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 displaying system using hangul phonetic symbols
KR10076411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372741B1 (en)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keypad of telephone-type
CN110858102A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keys corresponding to positive tone input
JP2006139423A (en) Character input determining device and program, and cell phone with this device o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