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51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512B1
KR100359512B1 KR1020000059918A KR20000059918A KR100359512B1 KR 100359512 B1 KR100359512 B1 KR 100359512B1 KR 1020000059918 A KR1020000059918 A KR 1020000059918A KR 20000059918 A KR20000059918 A KR 20000059918A KR 100359512 B1 KR100359512 B1 KR 10035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basic
input ke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29144A (en
Inventor
안동희
이봉구
Original Assignee
(주)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00005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512B1/en
Publication of KR2002002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5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 창제 원리, 천지인, 팔괘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 입력키, 기본 자음 입력키의 일측에 구성되어 기본 자음의 덧글을 입력하기 위한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기본 자음 입력키의 타측에 구성되어 기본 자음의 겹글을 입력하기 위한 겹글 자음 입력키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자음 입력키부, 기본 모음군을 입력하거나 또는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겹글 자음 입력키와 연계 동작되어 기본 모음 이외의 잔여 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포함하되, 여기서, 자음 입력키부는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중심축으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도록 단말기의 입력키 패드 상에 구성되어 한글, 특수 문자 등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겹글 자음 입력키는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기본 모음 이외의 잔여 모음 입력을 위한 키로 전환 동작된다.Disclosed ar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sily inputting Hangul using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Cheonjiin, and Bagua principl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made by pictograph of the pronunciation organ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the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each of which includes a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the consonants of the basic consonants, inputs a basic vowel group, or works in conjunction with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a fold consonant input key, thereby remaining residual vowel groups other than the basic vowels It includes a basic vowel input key for inputting, wherein the consonant input key is configured on the input keypad of the terminal so that the basic vowel input key is symmetrical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bout the central axis to input characters such as Korean, special characters,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are switched to keys for inputting the remaining vowels other than the basic vowel by a linking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 창제 원리, 천지인, 팔괘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sily inputting Hangul using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Cheonjiin, Bagua principle.

유선 통신 서비스의 기술 확대와 더불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기술에 기초한 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과 같은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가입자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이에 따른 각종 부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현재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Along with technology expansion of wired communication services, technological advances in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based 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chnology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scriber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currently being actively serviced.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에서 단말기에 구성된 입력 버튼을 통해 문자를 입력한 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팅 서비스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Among these additional services, a short message service for inputting and transmitting text through an input button configured in the terminal and a chat ser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ccupy the largest portion.

또한, 최근의 통신용 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 메시지 기능뿐만 아니라 일별, 주별 또는 월별 스케쥴(schedule) 정보 및 연락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전자 수첩 기능이 부가되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recent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figured with an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for storing daily, weekly or monthly schedule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as well as a voice call function and a message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채팅이나 문자 메시지 전송, 전자 수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특히,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는 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일은 쉽지 않은데, 보다 편하고 빠르게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ternet chat, text message transmission, electronic notebook, etc., it has become an important problem to input texts more simply and quickly.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input Hangul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using input buttons configured in an increasingly smaller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methods for inputting Hangul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have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통신 단말기(100)의 메뉴 버튼(102)에 따라 한글 입력을 위한 기능을 선택하면, 액정 표시부(104)에 복수의 자음이 디스플레이되고, 방향키(106,108)를 이용하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한다. 이어, 통신 단말기(100)의 액정 표시부(104)에는 복수의 모음이 디스플레이되고, 자음 선택과 동일하게 방향키(106,108)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한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 function for inputting Korea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enu button 102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4 is selected.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displayed and the desired consonants are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keys 106 and 108. Subsequently, a plurality of vowels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4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desired vowels are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keys 106 and 108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sonant selection.

한편,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0)의 1 내지 3의 숫자키(210)에는 모음을 표시하기 위한 'ㅡ','ㅣ','·'이 할당되고, 4 내지 0의 숫자키(220)에는 2개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numeric keys 210 of 1 to 3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re assigned '-', 'ㅣ', '·' for displaying a vowel, and the numeric keys 4 to 0. Two consonants are allocated to the 220.

여기서, 1 내지 3의 숫자키(210)에 할당된 'ㅡ','ㅣ','·'을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ㅣ'를 누르고 '·'를 한번 누르면 'ㅏ'가 입력되고, 'ㅣ'를 누르고 '·'를 두 번 누르면 'ㅑ'가 입력된다.Here, a vowel is input by combining '-', 'ㅣ', '·'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210 of 1 to 3. For example, press 'ㅣ' and press '·' once to enter 'ㅏ', and press 'ㅣ' and press '·' twice to enter 'ㅑ'.

또한, 4 내지 0의 숫자키(220)에 2개씩 할당된 자음들은 연속 누름에 의해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는데, 4 숫자키를 한번 누르면 'ㄱ'이, 4 숫자키를 연속으로 두 번 누르면 'ㅋ'이 입력된다.In addition, two consonants assigned to the number key 220 of the 4 to 0 to select the desired consonant by successive presses, pressing the 4 number key once 'b', pressing the 4 number key twice in a row 'ㅋ 'Is entered.

상술한 종래 기술은 한글 외에 영문 또는 특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뉴 버튼에 따라 영문 또는 특수 문자 입력 기능을 선택함에 따라 특수 문자 입력이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is to be input in addition to Korean, special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by selecting 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button.

따라서, 종래 기술은 한글 입력시 액정 표시부에 자음 및 모음을 모두 디스플레이 한 후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버튼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이 단순히 할당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한글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한글 입력에 따른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ince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the inputting of Hangul, a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or consonants or vowels assigned to the button are simply assig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pper wire according to the input is long.

또한, 한글 외의 영문 또는 특수 문자 입력을 위한 기능 변환이 메뉴 버튼을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야 하므로 문자입력을 위해서 너무 많은 입력 버튼이 이용되므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 이용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a function conversion for inputting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other than Korean must select a desired function by using the menu button, too many input buttons are used for text inpu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ay cause confusion in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겹글 입력키 및 덧글 입력키에 의해 한글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Korean input by means of a fold input key and a comment input key.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축키에 의해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switching by a shortcut ke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character inpu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입력 버튼 배치 원리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input button arrang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원리에 의해 입력 버튼이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4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n input button arran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숫자키의 입력 순서에 따른 자음 입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sonant input state according to a sequence of input of numeric keys;

도 7은 도 6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의 입력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put form of consonants input by FIG. 6. FIG.

도 8은 숫자키 입력 순서에 따른 모음의 입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state of a vowel according to a numerical key input order;

도 9a는 모음 가획을 위한 숫자키의 토글 동작에 따른 배정 신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Figure 9a is a diagram showing the assignment signal according to the toggl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s for vowel acquisition.

도 9b는 모음 가획 숫자키의 토글 동작에 따른 모음 입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9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owel input according to a toggle operation of a vowel capture numeric key;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상태의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11 is a flow chart for performing Hangul input us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0 : 한글 자판부 502 ; 기본 자음 입력부500: Hangul keyboard 502; Basic consonant inputs

504 : 겹글 자음 입력부 506 : 덧글 자음 입력부504: overlap consonant input unit 506: comment consonant input unit

508 : 기본 모음 입력부 510 : 가획 모음 입력부508: basic collection input unit 510: stroke collection input unit

520 : 자음 및 모음 조합부 522 : 겹글 자음 조합부520: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unit 522: Double consonant combination unit

524 : 덧글 자음 조합부 526 : 모음 조합부524: comment consonant combination unit 526: vowel combination unit

530 : 음절 결합부530: syllable joint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 입력키, 기본 자음 입력키의 일측에 구성되어 기본 자음의 덧글을 입력하기 위한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기본 자음 입력키의 타측에 구성되어 기본 자음의 겹글을 입력하기 위한 겹글 자음 입력키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자음 입력키부, 기본 모음군을 입력하거나 또는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겹글 자음 입력키와 연계 동작되어 기본 모음 이외의 잔여 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포함하되, 여기서, 자음 입력키부는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도록 단말기의 입력키 패드 상에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on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made by pictograph of the pronunciation organs,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comments for inputting a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a basic vowel group, or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a double consonant input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sonant input key and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each including a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the overlap of the basic consonant It includes a basic vowel input key unit for inputting the remaining vowel group other than the basic vowel in association with the key, wherein the consonant input key unit is configured on the input keypad of the terminal to be symmetrically Its feature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겹글 자음 입력키는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따라 기본 모음군 이외 잔여 모음군 입력을 위한 입력키로 전환 동작 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be switched to the input operation for input of the remaining vowel group other than the basic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linking operation with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Is in.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기본 자음 입력키, 덧글 자음 입력키, 겹글 자음 입력키를 포함하는 자음 입력키부 및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입력 키패드 상에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에 있어서, 입력 키패드 상의 중심 영역에 기본 모음군 입력을 위한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배치하고, 기본 모음 입력키를 중심축하고 키패드 상에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도록 자음 입력키부를 복수개 배치하는데, 여기서, 복수개 자음 입력키부는 덧글 자음 입력키를 기본 자음 입력키의 일측에 배치하고, 겹글 자음 입력키를 기본 자음 입력키의 타측에 배치하는 통신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arranging a key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asic consonant input key,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 consonant input key part including a lap consonant input key and a basic vowel input key part on an input keypad, A basic vowel input key unit for inputting a basic vowel group is arranged in a center area on the input keypad, and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 units are arranged to be centered on the basic vowel input key and to be symmetrical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keypad.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key arrangemen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and a fold consonant input key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입력 버튼 배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원리에 의해 입력 버튼이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input button arrang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put button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IG.

먼저, 훈민 정음 즉, 한글 창제 원리를 표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Hunmin Jeongeum, that is, the principles of Hangul creation with reference to Table 1 will be described.

<표 1> 자음 한글 창제 원리<Table 1> Principles of Consonant Hangul Hangul

첫글First post 덧글Comments 겹글Double 반글Bangle 오행Five 어금니 소리Molar sound A Lol neck 헛 소리Bullshit N ㄷ,ㅌC, ㅌ D anger 입술 소리Lips sound M ㅂ,ㅍㅂ, Sat 잇 소리Gum S ㅈ,ㅊㅈ, ㅊ ㅆ,ㅉㅆ, ㅉ gold 목구멍 소리Throat Number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창제는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서, 자음 글자의 기본 글자는 각 소리의 첫글인 'ㄱ,ㄴ,ㅁ,ㅅ,ㅇ'이다.As shown in Table 1, Hangeul creation is modeled after the pronunciation organ, the basic letters of the consonant letters are the first letter of each sound 'ㄱ, ㄴ, ㅁ, ㅅ, ㅇ'.

여기서, 'ㄱ', 'ㄴ'은 이 소리들을 낼 때의 혀 모양을 상형화 한 것이고, 'ㅁ'은 입, 'ㅅ'은 이(齒),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상형화한 것이다.Here, 'a' and 'b' are pictographs of tongue shape when making these sounds, 'ㅁ' is pictogram of mouth, 'ㅅ' is pictogram of tooth, and 'ㅇ' is pictogram of throat. will be.

또한, 한글의 모음 창제는 천(·), 지(ㅡ), 인(ㅣ)의 삼재(三才; 하늘과 땅과 사람)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고 다시 이들을 결합하여 'ㅏ, ㅓ, ㅗ, ㅜ'의 글자를 만들었다.In addition, the vowel creation of Hangeul is modeled after the shape of Samjae (三才; sky, earth and man) of Cheon (·), Ji (ㅡ), and In (ㅣ), and then combined with them to form 'ㅏ, ㅓ, ㅗ, ㅜ' Made letters.

상술한 한글 창제 원리를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 신호가 할당되는 입력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input key to which consonants and vowel signals are assigned using the above-described Hangul creation principle is as follows.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을 위한 0 내지 9의 숫자키 및 * 및 #의 기호/기능키가 4행 3열의 형태로 구성된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numeric key of 0 to 9 and a symbol / function key of * and # in the form of four rows and three columns for voic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도 4행 3열의 숫자키 및 기호/기능키를 갖는데, 복수의 숫자키에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 신호 및 모음 신호가 배정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four rows and three columns of numeric keys and symbols / function keys, and a consonant signal and a vowel signal for Hangul input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numeric keys.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숫자키에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 및 모음 할당 원리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nciple of assigning consonants and vowel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to the numeric key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의 중심에 위치하는 5숫자키(300)를 중심으로 하는 3개의 동심원을 구성하는데, 2, 4, 6, 8의 숫자키(312,314,316,318)를 포함하는 제1 동심원(310)은 한글 창제 원리 중 삼재의 인(ㅣ)에 해당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generally constitutes three concentric circles centered on the five-numeric key 30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umber keys (312,314,316,318) of 2, 4, 6, 8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310 included correspond to phosphorus (ㅣ) in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또한, 1, 3, 7, 9의 숫자키(322,324,326,328)를 포함하는 제2 동심원(320)은 삼재 중 지(ㅡ)에 해당하고, 0 숫자키(332)를 포함하는 제3 동심원(330)은 천(·)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320 including the numeric keys 322, 324, 326 and 328 of 1, 3, 7, and 9 correspond to Samjae Stop (-), and the third concentric circles 330 including the 0 numeric keys 332. Is equivalent to cloth (·).

여기서, 동심원의 중심축인 5 숫자키(300)에는 모음 형성의 기본인 'ㅡ, ㅣ'이 할당되어 토글(toggle) 동작에 따라 할당된 모음이 선택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덧글 자음 구성을 위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5 digit keys 300, which are the central axes of the concentric circles, are assigned 'ㅡ, ㅣ', which is the basis of vowel formation, to selectively output the assigned vowels according to the toggle operation, or to generate a comment consonant signal. Is configured to be output.

또한, 제1 동심원(310)에 포함되는 2, 4, 6, 8의 숫자키(312,314,316,318)에는 5 숫자키(300)에 할당된 기본 모음에 획을 추가하여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모음 추가 신호 또는 자음의 덧글 및 겹글 구성을 위한 덧글 및 겹글 신호가 각각 할당된다. 즉, 2,8 숫자키(312,318)는 겹글 자음 입력키이고, 4 및 6 숫자키(314,316)는 덧글 자음 입력키이며, 겹글 자음 입력키와 덧글 자음 입력키는 5 숫자키(300)와 연계 동작되어 모음 신호를 입력하도록 동작된다.In addition, 2, 4, 6, and 8 numeric keys 312,314, 316, and 318 included in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310 add a stroke to the basic vowel assigned to the 5 numeric keys 300 to form a vowel addition signal or Comments and overlap signals for comment and overlap configuration of consonants are assigned, respectively. That is, the 2,8 numeric keys 312 and 318 are double consonant input keys, the 4 and 6 numeric keys 314 and 316 are comment consonant input keys, and the double consonant input key and comment consonant input keys are associated with the 5 numeric keys 300. Is operated to input a vowel signal.

제2 동심원(320)에 포함되는 1, 3, 7, 9의 숫자키(322,324,326,328)는 기본 자음 입력키로서, 'ㄱ,ㄴ,ㅁ,ㅅ'의 기본 모음, 기본 모음에 일획이 가해진 'ㄷ, ㅂ,ㅈ'의 덧글과 반글인 'ㄹ'이 할당되고, 제3 동심원(330)에 포함되는 0 숫자키(332)에는 한글 창제 원리 중 천(·)과 그 형상이 비슷한 'ㅇ' 기본 자음과 일획이 가해진 'ㅎ' 덧글 자음이 할당된다.Numeric keys (322, 324, 326, 328) of 1, 3, 7, and 9 included in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320 are basic consonant input keys. , ㅂ, ㅈ 'comment and buzzer' ㄹ 'are assigned, and the zero number key 332 included in the third concentric circle 330 has a basic' ㅇ 'similar to the shape of cloth (·) among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s. A consonant and a stroked 'ㅎ' comment consonant are assigned.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되는 숫자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numeric key to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assigned is described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숫자 및 한글 등의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버튼부(400), 입력된 숫자 및 한글 등의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액정 표시부(4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n input button unit 400 for inputting characters such as numbers and Korean characters,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420 which displays input characters and characters such as Korean characters or indicates an operating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omposed of

여기서, 입력 버튼부(500)는 0 내지 9의 숫자키(322,312,324,314,300,326,318,328,332)와 '*' 및 '#'(402,404)의 기호/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키패드로서, 숫자키 및 기호/기능 버튼은 4행 3열 형태로 구성된다.Here, the input button unit 500 is an electronic keypad including 0 to 9 number keys 322, 312, 324, 314, 300, 326, 318, 328, 332 and symbol / function buttons of '*' and '#' (402, 404). It consists of three columns.

입력 버튼부(400)의 각 숫자키에는 한글 구성을 위한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 창제 원리인 천지인, 음양 오행의 원리 및 팔괘 원리에 따른다.Each of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button unit 400 is assigned a consonant and a vowel for the composition of the Hangul,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Hangul creation, Cheonjiin, Yin-Yang five elements and Bagua principle as shown in FIG.

즉, 제2 동심원(320) 내에 포함되는 1, 3, 7, 9 숫자키(322,324,326,328)에는 기본 자음 신호가 배정되는데, 1 숫자키(322)에는 기본 자음인 'ㄱ' 및 반글인 'ㄹ'이 배정되고, 3 숫자키(324)에는 기본 자음의 'ㅁ'과 'ㅁ'의 덧글인 'ㅂ'이 각각 배정된다.That is, basic consonant signals are assigned to the 1, 3, 7, 9 numeric keys 322, 324, 326 and 328 included in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320, and the basic consonants 'ㄱ' and the halftone 'ㄹ' are assigned to the first numeric key 322. These are assigned, and the 3 digit keys 324 are assigned with the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 'ㅁ' and 'ㅁ' 'ㅂ', respectively.

또한, 7 숫자키(326)에는 기본 자음인 'ㄴ'과 'ㄴ'의 덧글인 'ㄷ'이 배정되고, 9 숫자키(328)에는 기본 자음인 'ㅅ'과 'ㅅ'의 덧글인 'ㅈ'이 각각 배정된다.In addition, the 7-digit key (326) is assigned a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s' b 'and' b '' c ', and the 9-digit key (328) is assigned a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s' ㅅ' and 'ㅅ' ' Each one is assigned.

그리고, 동심원의 중심축인 5 숫자키(300)에는 기본 모음인 'ㅡ, ㅣ, ㅢ'가 배정된다.In addition, a basic vowel 'ㅡ, ㅣ, ㅢ' is assigned to the 5 number key 300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he concentric circles.

또한, 제1 동심원(310)에 포함되는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에는 겹글 신호 및 덧글 신호가 배정되는데, 2 숫자키(312)에는 'ㄱ,ㅂ'의 기본 자음에 대한 겹글 신호 및 'ㅗ,ㅛ'의 모음 가획 신호가 배정되고, 4 숫자키(314)에는 'ㄱ,ㄴ'의 기본 자음에 대한 덧글 신호 및 'ㅏ,ㅕ'의 모음 가획 신호가 배정된다.In addition, 2, 4, 6, 8 number keys (312,314, 316, 318) included in the first concentric circle 310 is assigned a overlap signal and a comment signal, 2 numeric keys (312) for the basic consonant of the 'b, ㅂ' The overlap signal and the vowel acquisition signal of 'ㅗ, ㅛ' are assigned, and the comment signal for the basic consonant of 'AB' and 'V' and the vowel acquisition signal of 'ㅏ, ㅕ' are assigned to the 4 digit keys 314.

제1 동심원(310)에 포함되는 6 숫자키(316)에는 'ㅁ,ㅅ'의 기본 자음에 대한 덧글 신호 및 'ㅓ,ㅕ'의 모음 가획 신호가 배정되고, 8 숫자키(318)에는 'ㄴ, ㅅ'에 대한 겹글 신호 및 'ㅜ,ㅠ'의 모음 가획 신호가 배정된다.The 6-digit key 316 included in the first concentric circle 310 is assigned a comment signal for the basic consonant of 'ㅁ, ㅅ' and a vowel capture signal of 'ㅓ, ㅕ', and the 8-digit key 318 is assigned to ' B, ㅅ 'and the overlap signal and' tt, ㅠ 'collection signal is assigned.

또한, 제3 동심원(430)의 0 숫자키(332)에는 기본 자음인 'ㅇ'과 'ㅇ'의 덧글인 'ㅎ'이 배정되고, '*' 버튼(402)및 '#'(404)에는 입력되는 문자 모드 예를 들어, 한글, 영문 및 특수 문자 선택을 위한 이동을 위한 방향 선택 신호 및 선택된 모드에서 입력된 문자의 삭제 및 이동 신호가 배정된다.In addition, the zero number key 332 of the third concentric circle 430 is assigned a basic consonant 'ㅇ' and 'ㅇ' comments 'ㅎ', '*' button 402 and '#' (404) In the character mode to be input, for example, a direction selection signal for movement for selecting Korean, English and special characters, and a deletion and movement signal for the character input in the selected mode are assigned.

즉, 선택된 모드에서 '*' 버튼(402)은 입력된 문자의 삭제 신호, '#' 버튼(404)은 글자 완성 및 띄어쓰기 신호가 각각 배정된다.That is, in the selected mode, the '*' button 402 is assigned a delete signal of the input character, and the '#' button 404 is assigned a letter completion and spacing signal, respectively.

여기서, 0 내지 9 숫자키는 토글(toggle)로 동작되어, 각각 배정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Here, the 0 to 9 numeric keys operate as a toggle, and the signals assigned thereto are selectively input.

또한,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는 자음 또는 모음 신호가 먼저 입력되었는지에 따라 배정된 신호가 다르게 입력되는데, 5 숫자키(300)에 따른 모음 신호가 먼저 입력된 경우에는 배정된 신호 중 각각의 모음 가획 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In addition, the 2, 4, 6, 8 numeric keys (312,314, 316, 318) are as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the consonant or vowel signal is input first, if the vowel signal according to the 5 digit key 300 is input first Each vowel capture signal of the received signals is selectively input.

한편, 자음 신호가 먼저 입력된 경우 2 숫자키(312) 및 8 숫자키(318)는 먼저 입력된 자음의 겹글 구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겹글 버튼으로 동작되고, 4 숫자키(314) 및 6 숫자키(316)는 먼저 입력된 자음의 덧글 구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덧글 버튼으로 동작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sonant signal is input first, the 2nd numeric key 312 and the 8th numeric key 318 are operated as a fold button for inputting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signal of the first consonant, and the 4th numeric key 314 and the 6th number. The key 316 is operated as a comment button for inputting a comment configuration signal of the consonant input fir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동심원의 중심축인 5 숫자키(300)를 문자 특성 예를 들어,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변환을 위한 단축키로 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signed to the five-character key 300,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he concentric circle, as a shortcut for character input, for example,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conversion.

또한, 5 숫자키(300)에 의해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된 후 특수 문자 선택을 위해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를 앞, 뒤, 위, 아래로 이동을 위한 이동키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nverting to the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by the 5 number key 300, 2, 4, 6, 8 number keys (312, 314, 316, 318) are set as moving keys for moving forward, backward, up, and down to select special characters.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자음 및 모음 신호가 배정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문자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consonant and vowel signals as described above are assign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문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5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판부(500), 자음 및 모음 조합부(520) 및 음절 결합부(5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Korean keyboard 500, the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520, and the syllable combiner 530 are configured.

한글 자판부(500)는 한글 창제의 음양 오행 원리에 따른 기본 자음 입력을 위한 기본 자음 입력부(502), 팔괘 원칙에 따라 겹글 자음 및 덧글 자음을 구성하기 위한 겹글 자음 입력부(504) 및 덧글 자음 입력부(506)로 구성된다.The Hangul keyboard 500 includes a basic consonant input unit 502 for inputting a basic consonant according to the Yin-Yang five-tone principle of the Hangul creation, a fold consonant input unit 504 and a comment consonant input unit for configuring a consonant and a comment consonant according to Bagua principle. 506.

여기서, 기본 자음 입력부(502)는 도 3의 1, 3, 7, 9, 0 숫자키(322,324,326,328)로서, 'ㄱ,ㄴ,ㅁ,ㅅ,ㅇ'의 기본 자음과, 기본 자음에 일획이 가해진 'ㄷ,ㅂ,ㅈ,ㅎ'의 덧글과 반글 'ㄹ'을 입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basic consonant input unit 502 is 1, 3, 7, 9, 0 number keys (322, 324, 326, 328) of Figure 3, the basic consonant of the 'b, b, ㅁ, ㅅ, ㅇ' and a stroke applied to the basic consonant It is configured to enter comments of 'ㄷ, ㅂ, ㅈ, ㅎ' and buzzword 'ㄹ'.

겹글 자음 입력부(504)는 도 3의 2, 8 숫자키(312,318)로, 덧글 자음 입력부(506)는 도 3의 4, 6 숫자키(314,316)로 구성된다. 이때, 겹글 자음은 'ㄲ, ㄸ,ㅃ,ㅆ,ㅉ'이고, 덧글 자음은 'ㅋ,ㅌ,ㅍ,ㅊ,ㅎ'이다.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unit 504 is composed of 2 and 8 numeric keys 312 and 318 of FIG. 3, 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unit 506 is composed of 4 and 6 numeric keys 314 and 316 of FIG. 3. In this case,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ㄲ, ㄸ, ㅃ, ㅆ, ㅉ', and the comment consonants are 'ㅋ, ㅌ, ,, ㅅ, ㅎ'.

또한, 한글 자판부(500)는 한글 창제 원리의 삼재(三才; 하늘과 땅과 사람) 중 지(ㅡ)와 인(ㅣ)의 기본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 입력부(308), 기본 모음 이외의 잔여 모음을 구성하기 위해 지 , 인의 기본 모음에 가획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가획 모음 입력부(31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angul keyboard portion 500 is a basic vowel input unit 308 for inputting the basic vowels of Samjae (三); sky and earth and people) and phosphorus (ㅣ) of the principles of Hangeul creation, and other than the basic vowels. In order to form the remaining vowels of the acknowledgment, the collection vowel input unit 310 for inputting the catch signal to the basic vowel of acquaintance.

여기서, 기본 모음 입력부(508)는 도 3의 5 숫자키(300)로, 가획 모음 입력부(310)는 도 3의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가획 모음 입력부(510)는 기본 모음 입력부(508)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ㅏ, ㅑ, ㅓ, ㅕ,ㅗ,ㅛ,ㅜ,ㅠ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basic vowel input unit 508 is 5 numeric keys 300 of FIG. 3, and the collection vowel input unit 310 includes 2, 4, 6, and 8 numeric keys 312, 314, 316, and 318 of FIG. 3. The input unit 510 is configured to input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by the linkage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unit 508.

그리고, 자음 및 모음 조합부(520)는 기본 자음 입력부(502)와 겹글 자음 입력부(504)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겹글 자음을 조합하기 위한 겹글 자음 조합부(522), 기본 자음 입력부(502)와 덧글 자음 입력부(506)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덧글 자음을 조합하기 위한 덧글 자음 조합부(524) 및 기본 모음 입력부(508)와 가획 모음 입력부(51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모음을 조합하기 위한 모음 조합부(5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unit 520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ic consonant input unit 502 and 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unit 504, a consonant combination unit 522 for combining the consonant consonants, and the basic consonant input unit 502.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mment consonant input unit 506 and combining the vowels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mment consonant combination unit 524 and the basic vowel input unit 508 and the collection vowel input unit 510 for combining comment consonants. It is composed of a vowel combination unit 56 for.

음절 결합부(530)는 겹글 자음 조합부(522), 덧글 자음 조합부(354) 또는 기본 자음 입력부(5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자음 신호와, 기본 모음입력부(508) 또는 모음 조합부(52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모음 신호를 결합하여 음절을 구성한다.The syllable combining unit 530 is a consonant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overlapping consonant combination unit 522, the comment consonant combination unit 354, or the basic consonant input unit 502, and the basic vowel input unit 508 or the vowel combination unit ( A syllable is formed by combining a vowel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526.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이어, 자음 입력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sonant input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숫자키의 입력 순서에 따른 자음 입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의 입력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sonant input state according to an input order of numeric keys, and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put form of a consonant input by FIG. 6.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먼저, 기본 자음 입력키 중 하나로서, 기본 자음인 'ㄱ'이 배정된 1 숫자키(322)를 입력한 후 겹글 신호가 배정된 2 숫자키(312)를 입력하면 'ㄱ'의 겹글 자음인 'ㄲ'이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6,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on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s, a 1 digit key 322 to which a basic consonant 'a' is assigned is input and then a 2 digit key to which a lap signal is assigned. If you enter (312) 'ㄱ' is a double consonant of the letter 'ㄲ' is input.

또한, 1 숫자키(322)에 의해 기본 자음인 'ㄱ'을 입력한 후 4 숫자키(314)에 의해 덧글 신호를 입력하면, 'ㄱ'의 덧글 자음인 'ㅋ'이 입력된다.In addition, after inputting a basic consonant 'ㄱ' by the 1 number key 322 and inputting a comment signal by the 4 number key 314, the comment consonant 'ㅋ' is input.

3 숫자키(324)에 의해 'ㅁ'을 입력한 후 겹글 신호가 배정된 2 숫자키(312)를 입력하면, 'ㅂ'의 겹글 자음인 'ㅃ'이 입력된다.After inputting 'ㅁ' by 3 numeric keys 324 and then inputting 2 numeric keys 312 to which a double signal is assigned, 'ㅃ', which is a consonant of 'ㅂ', is input.

또한, 3 숫자키(314)에 의해 'ㅁ'을 입력한 후 덧글 신호가 배정된 6 숫자키(316)를 입력하면, 'ㅁ'의 덧글 자음인 'ㅍ'이 입력된다.In addition, after inputting 'ㅁ' by the 3 numeric keys 314 and inputting the 6 numeric keys 316 to which the comment signal is assigned, the comment consonant of the 'ㅁ' is input.

7 숫자키(326)에 의해 'ㄴ'을 입력한 후 겹글 신호가 배정된 8 숫자키(318)를 입력하면, 'ㄷ'의 덧글 자음인 'ㄸ'이 입력된다.After inputting 'b' by the seven-digit key 326 and inputting the eight-digit key 318 to which the overlap signal is assigned, 'ㄸ' which is a comment consonant of 'c' is input.

또한, 7 숫자키(326)에 의해 'ㄴ'을 입력한 후 덧글 신호가 배정된 4숫자키(314)를 입력하면, 'ㄷ'의 덧글 자음인 'ㅌ'이 입력된다.In addition, after inputting 'b' by the seven-digit key 326 and inputting the four-digit key 314 to which the comment signal is assigned, 'ㅌ', which is a comment consonant of 'c', is input.

9 숫자키(328)에 의해 'ㅅ'을 입력한 후 겹글 신호가 배정된 8 숫자키(318)를 입력하면, 'ㅅ'의 겹글 자음인 'ㅆ'이 입력되고, 'ㅆ'의 겹글 자음이 입력된 상태에서 8 숫자키(318)의 토글 동작에 의해 'ㅈ'의 겹글 자음인 'ㅉ'이 입력된다.9 After inputting 'ㅅ' by the numeric key 328 and inputting the 8 numeric key 318 to which the overlap signal is assigned, 'ㅆ', which is a consonant of 'ㅅ', is inputted, and a consonant of 'ㅆ' is input. In this input state, 'ㅉ', which is a consonant of 'ㅈ', is input by a toggle operation of the eight numeric keys 318.

또한, 9 숫자키(328)에 의해 'ㅅ'을 입력한 후 덧글 신호가 배정된 6 숫자키(316)를 입력하면, 'ㅊ'이 입력된다.In addition, after inputting 's' by the 9 number key 328 and entering the 6 number key 316 to which the comment signal is assigned, 'vo' is input.

이와 같은 숫자키 입력 순서에 의해 입력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도 7과 같은 자음의 입력 형태를 갖는데, 이는 도시된 8개의 화살표와 같이, 8 방향 즉, 8괘에 의해 자음의 덧글 및 겹글이 형성된다.The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ted by the numeric key input sequence has a consonant input form as shown in FIG. 7, which is the same as the eight arrows shown in FIG. Comments and overlaps are formed.

이어, 모음 입력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vowel input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숫자키 입력 순서에 따른 모음의 입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는 모음 가획을 위한 숫자키의 토글 동작에 따른 배정 신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모음 가획 숫자키의 토글 동작에 따른 모음 입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input state of the vowel accor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order, Figure 9a is a diagram showing the assignment signal according to the toggl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for vowel collection, Figure 9b is a toggle of the vowel acquisition numeric key Figure is a diagram showing a vowel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5 숫자키(300)에 의해 'ㅡ' 또는 'ㅣ' 모음이 입력된 상태에서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에 배정된 신호가 입력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igned to 2, 4, 6, and 8 numeric keys 312, 314, 316, 318 in a state in which a '-' or '|' vowel is input by the 5 numeric keys 300. Input signal is input.

즉, 5 숫자키(300)에 의해 'ㅣ'가 입력된 상태에서 6 숫자키(316)를 한번 누르면, 도 9a 에서와 같이 '·'신호가 선택되어 도 9b와 같은 'ㅏ'가 입력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 신호가 선택되어 'ㅑ'가 입력된다.That is, when the 6 number key 316 is pressed once in the state in which 'ㅣ' is input by the 5 number key 300, the '·' signal is selected as shown in FIG. 9A and 'ㅏ' as shown in FIG. 9B is inputted. Press again, ':' signal is selected and 'ㅑ' is input.

또한, 'ㅏ'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ㅐ'가 입력되고, 'ㅑ'가 입력된 상태에서 다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ㅒ'가 입력된다.In addition, '5' is input when the 5 number key 300 is pressed while 'ㅏ' is input, and 'ㅒ' is input when the 5 number key 300 is pressed again while the 'ㅑ' is input.

5 숫자키(300)에 의해 'ㅣ'가 입력된 상태에서 4 숫자키(314)를 한번 누르면, '·'신호가 선택되어 'ㅓ'가 입력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 신호가 선택되어 'ㅕ'가 입력된다.5 When 'ㅣ' is inputted by 5 number keys 300, press 4 number keys 314 once, '·' signal is selected and 'ㅓ' is input, and when pressed again, ':' signal is selected. 'ㅕ' is entered.

또한, 'ㅓ'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ㅔ'가 입력되고, 'ㅕ'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ㅖ'가 입력된다.In addition, '5' is input when the 5 number key 300 is pressed while 'ㅓ' is input, and 'ㅖ' is input when the 5 numeric key 300 is pressed while the 'ㅕ' is input.

5 숫자키(300)에 의해 'ㅣ'가 입력된 상태에서 2 숫자키(312)를 한번 누르면, '·' 신호가 선택되어 'ㅗ'가 입력되고, 2 숫자키(312)를 다시 한번 더 누르면 '‥' 신호가 선택되어 'ㅛ'가 입력된다.5 Pressing the 2 numeric key 312 once while 'ㅣ' is input by the numeric key 300, the '·' signal is selected and 'ㅗ' is input, and the 2 numeric key 312 is pressed again. Press the button to select '‥' and input 'ㅛ'.

또한, 'ㅗ'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ㅚ'가 입력되고, 다시 6 숫자키(316)를 누르면 'ㅘ'가 입력되며, 'ㅘ'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ㅙ'가 입력된다.In addition, '5' is input when '5' is input and '5' is input, and when '6' key is pressed again, '6' is input, '5' is input. When the numeric key 300 is pressed, 'ㅙ' is input.

5 숫자키(300)에 의해 'ㅣ'가 입력된 상태에서 8 숫자키(318)를 한번 누르면, '·' 신호가 선택되어 'ㅜ'가 입력되고, 8 숫자키(318)를 다시 한번 더 누르면 '‥' 신호가 선택되어 'ㅠ'가 입력된다.When '8' is inputted by the 5 numeric key 300, pressing the 8 numeric key 318 once, the '·' signal is selected and 'TT' is input, and the 8 numeric key 318 is pressed again. Pressing it selects '‥' signal and inputs 'ㅠ'.

또한, 'ㅜ'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ㅟ'가 입력되고, 'ㅜ'가 입력된 상태에서 5 숫자키(300) 및 4 숫자키(314)를 순서대로 누르면 'ㅝ'가 입력되며, 다시 5 숫자키(300)를 누르면 'ㅞ'가 입력된다.In addition, when the 5 digit key 300 is pressed in the state of 'TT' is input, 'ㅟ' is input, and when the 5 digit key 300 and the 4 digit key 314 are pressed in sequence, the 'TT' is input. 'ㅝ' is input, and pressing the 5 numeric key 300 again enters 'ㅞ'.

5 숫자키(300)를 한번 누르면 'ㅣ'가 입력되고,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ㅡ'가 입력되며,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ㅢ'가 입력된다5 Press digit key 300 once to enter 'ㅣ', press again to enter 'ㅡ', press again to enter 'ㅢ'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초성, 중성, 종성의 음절 구성을 갖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제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지 아니면 단자음인지는 제2 음절의 초성으로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는지에 의해 구별한다.When inputting a Hangul having a syllable configuration of a consonant, neutral, and final syllable using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final syllable of the first syllable is a consonant or a terminal sound is a consonant or a vowel as a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It distinguishes by whether it is input.

즉, 제1 음절의 종성 입력시 두 개의 자음이 입력된 후 제2 음절의 초성으로 모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으로 구별되어 제1 음절의 종성 입력의 두 개의 자음 중 두 번째의 자음을 제2 음절의 초성으로 간주한다.That is, when two consonants are input when the first syllable is input and the vowel is input as the first syllable of the second syllable, the first syllable is distinguished as a terminal sound and two of the two consonants of the first input of the first syllable are distinguished from the terminal sound. The first consonant is considered the first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한편, 제1 음절의 종성 입력시 두 개의 자음이 입력된 후 제2 음절의 초성으로 자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wo consonants are input when the first syllable is input and the consonants are input as the first consonants of the second syllable, the final syllable of the first syllable is considered to be composed of double consonan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하드웨어적인 로직 회로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not only by hardware logic circuit but also by software program.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상태의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숫자키(300)를 연속적으로 길게 눌러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중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액정 표시부(420)에 입력 가능한 복수개의 특수 문자가 디스플레이 된다.As shown in FIG. 10, when a long press of the 5 numeric keys 300 is continuously selected to select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mong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input modes, a plurality of special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are displayed. .

여기서, 겹글 자음 또는 덧글 자음 입력을 위한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는 특수 문자 모드 설정에 의해 방향키로 동작된다.Here, the 2, 4, 6, 8 numeric keys 312, 314, 316, 318 for inputting the consonant or the comment consonant are operated as direction keys by setting a special character mode.

즉, 2 숫자키(312)는 상(上), 4 숫자키(314)는 전(前), 6 숫자키(316)는 후(後), 8 숫자키(318)는 하(下)로 액정 표시부(420)에 위치하고 있는 커서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된 특수 문자 중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 문자가 선택하고, 확인키(430)에 의해 선택된 특수 문자를 입력한다.That is, the 2 numeric keys 312 are up, the 4 numeric keys 314 are up, the 6 numeric keys 316 are after, and the 8 numeric keys 318 are down. The special characters to be input are selected from the displayed special characters by moving the cursor position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and the special characters selected by the confirmation key 430 are input.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11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Hangul input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와 같은 문자 입력 배열 버튼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기의 5 숫자키(300)를 연속적으로 길게 눌러 한글 입력 모드로 설정한다(S1100).First, by continuously pressing and holding the five numeric keys 30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character input arrangement button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5 (S1100).

이어, 한글에서의 초성, 중성, 종성의 음절 구성 중 초성 입력을 위해 기본 자음 입력 버튼인 1, 3, 7, 9, 0 숫자키(322,324,326,328,332)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눌러 자음을 입력한다(S1102).Subsequently, a consonant is input by selectively pressing any on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buttons 1, 3, 7, 9, and 0 numeric keys (322, 324, 326, 328, 332) for initial entry among the syllables of the first, middle, and final syllables in Korean (S1102). ).

덧글 또는 겹글 숫자키인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에 따라 덧글 또는 겹글 자음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104), 덧글 또는 겹글 자음이 입력되면 위의 단계(S1102)에서 입력된 자음의 덧글 또는 겹글에 해당하는 덧글 또는 겹글 자음에 따른 음절의 초성을 구성하여 액정 표시부(420)에 디스플레이 한다(S1106).It is determined whether a comment or a double consonant is input according to a comment or a double number key 2, 4, 6, and 8 numeric keys 312, 314, 316 and 318 (S1104). When the comment or the double consonant is input, the inputted in the above step (S1102) A consonant of the syllable according to the comment or the overlapping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mment or the overlap of the consonant is configured and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S1106).

한편, 덧글 또는 겹글 자음이 입력되지 않으면, 위의 단계(S1102)에서 입력된 기본 자음에 의한 음절의 초성을 구성하여 액정 표시부(420)에 디스플레이 한다(S1108).On the other hand, if a comment or overlapping consonants are not input, the initial consonants of the syllables by the basic consonants input in step S1102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S1108).

이어, 5 숫자키(300)에 의한 모음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110), 모음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덧글 또는 겹글 입력 버튼으로 이용되었던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가 모음 입력키로 동작된다(S1112).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wel selection signal by the 5 digit key 300 is input (S1110), and when the vowel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2, 4, 6, and 8 numeric keys 312,314, 316, 318 used as a comment or overlap input button are input. Is operated as a vowel input key (S1112).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입력되는 모음에 의해 음절의 중성을 구성하여 액정 표시부(420)에 디스플레이 한다(S1114).The vowels input by any one of the 2, 4, 6, and 8 numeric keys 312, 314, 316, and 318 form a neutral of syllables and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S1114).

이어, 1, 3, 7, 9, 0 숫자키(322,324,326,328,332)의 기본 자음 입력 버튼에 따라 음절의 종성 구성을 위한 자음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116), 음절의 종성 구성을 위한 자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음절이 초성 및 중성으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을 종료한다.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basic consonant input buttons of the 1, 3, 7, 9, and 0 numeric keys 322, 324, 326, 328, 332,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sonant signal for the final composition of the syllable is input (S1116), and the consonant signal for the final configuration of the syllable is input. If it is not input, it is determined that the syllable is composed of only initial and neutral, and the operation ends.

한편, 위의 단계(S1116)에서 음절의 종성 구성을 위한 자음 신호가 입력되면, 덧글 또는 겹글 입력키인 2, 4, 6, 8 숫자키(312,314,316,318)에 따른 덧글 또는 겹글 자음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18).On the other hand, if the consonant signal for the final composition of the syllable is input in the above step (S11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mment or the double consonant signal according to the 2, 4, 6, 8 numeric keys (312,314, 316, 318), which is a comment or a fold input key, is input. It is determined again (S1118).

덧글 또는 겹글 자음 신호가 입력되면, 위의 단계(S1116)에서 입력된 자음의 해당 덧글 또는 겹글 자음에 따른 종성 구성에 의한 완성된 음절을 액정 표시부(420)에 디스플레이 한다(S1120).When the comment or the overlapped consonant signal is input, the completed syllable by the fi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mment or the overlapped consonant of the consonant input in the above step (S1116)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S1120).

한편, 덧글 또는 겹글 버튼에 따른 덧글 또는 겹글 자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위의 단계(S1116)에서 입력된 자음에 따른 종성 구성에 의한 완성된 음절을 액정 표시부(420)에 디스플레이 한다(S1122).On the other hand, when a comment or a double consonant signal according to the comment or the overlap button is not input, the completed syllable by the fi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nsonant input in the above step (S1116)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420 (S1122). .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는 음절의 종성 구성시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뒤에 수반되는 음절의 초성으로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는지에 따라 종성이 단자음으로 구성되거나 복자음으로 구성되는지가 판별되는 과정은 일반적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out through such a process is the terminal sound according to whether the consonants or vowels are input to the consonants of the subsequent syllables when two different consonants are input when configuring the final syllables Since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composed of a consonant or a consonant is comm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통신 단말기 0 내지 9의 숫자키 중 2, 4, 6, 8 숫자키에 겹글 자음 신호 및 덧글 자음 신호를 배정하고, 중심에 위치하는 5 숫자키에 기본 모음 신호를 배정하며, 1, 3, 5, 7, 9, 0 숫자키에 기본 자음, 기본 자음의 일획 덧글 자음 및 반글 신호를 배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the consonant signal and the comment consonant signal to the 2, 4, 6, and 8 numeric key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s 0 to 9,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The basic vowel signal is assigned to the 5 digit keys, and the basic consonant, the single comment consonant of the basic consonant and the buzzer signal are assigned to the 1, 3, 5, 7, 9, and 0 numeric keys.

또한, 겹글 자음 신호 및 덧글 자음 신호가 배정된 2, 4, 6, 8 숫자키는 5 숫자키와 연계 동작하여 기본 모음 외의 잔여 모음 신호가 배정된다.Also, 2, 4, 6, and 8 numeric keys to which the overlap consonant signal and the comment consonant signal are assigned are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5 numeric keys to allocate the remaining vowel signals other than the basic vowels.

여기서, 잔여 모음 입력을 위해 2, 4, 6, 8 숫자키에 배정되는 잔여 모음 신호는 잔여 모음의 모양에 따른 직관적인 배정이 이루어진다.Here, the residual vowel signals assigned to the 2, 4, 6, and 8 numeric keys for the input of the residual vowels are intuitively as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sidual vowels.

그러므로, 본 발명은 2, 4, 6, 8 숫자키에 덧글 자음 및 겹글 자음 신호 또는 잔여 모음 신호가 배정되고, 5 숫자키의 입력에 따라 자음 신호 및 모음 신호 입력이 선택되므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ment consonant and a double consonant signal or a residual vowel signal are assigned to the 2, 4, 6, and 8 numeric keys, and the consonant signal and the vowel signal input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5 numeric keys. It is effective to input Hangul.

또한, 통신 단말기는 한글 창제 원리 중 천지인에 따른 3개의 동심원에 의해 자음 및 모음 신호를 각각 배정하고, 자음 신호의 겹글 및 덧글을 8 방향 즉 8괘에 의해 입력함에 의해 한글 입력을 위한 키입력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llocates consonant and vowel signals respectively by three concentric circles according to Cheonjiin among the principles of Hangeul creation, and inputs the overlap and comment of the consonant signal in eight directions, that is, by eight stroke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reduce.

또한, 2, 4, 6, 8 숫자키에 배정된 잔여 모음 신호는 모음 신호의 형태에 따른 직관적인 배치를 하여 한글 입력을 위한 동선이 짧아진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vowel signals assigned to the 2, 4, 6, and 8 numeric keys have an intuitiv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owel signal, thereby shortening the copper wir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또한, 5 숫자키를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모드 전환을 위한 단축키로 배정하고, 2, 4, 6, 8 숫자키를 특수 문자 선택 이동키로 배정하여 문자 입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assigning a 5 number key as a shortcut key for switching between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modes, and assigning 2, 4, 6, 8 number keys as special character selection moving keys,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perform character inpu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15)

복수의 기본 자음 입력키부;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 input keys;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포함하되,Including the default vowel input key, 상기 복수의 기본 자음 입력키부의 각각은,Each of the plurality of basic consonant input keys may include: (a)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 입력키,(a) a basic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a basic consonant group formed by pictographs of a phonetic organ, (b)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기본 자음의 덧글을 입력하기 위한 덧글 자음 입력키; 및(b)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to input a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 And (c)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기본 자음의 겹글을 입력하기 위한 겹글 자음 입력키를 포함하고,(c) a fold consonant input key configured to be input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to input a lap of the basic consonant,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는, 기본 모음군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와 연계 동작되어 상기 기본 모음 이외의 잔여 모음군을 입력하며,The basic vowel input key unit may input a basic vowel group or operate in association with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key to input a remaining vowel group other than the basic vowel group,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부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도록 상기 단말기의 입력키 패드 상에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And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unit is configured on the input keypad of the terminal so as to be symmetrically up, down, left, and right around the basic vowel input ke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따라 상기 잔여 모음군 입력을 위한 입력키로 전환 동작 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are configured to switch to an input key for inputting the remaining vowel group according to a linking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는 기본 자음군, 상기 기본 자음군의 일획 덧글 자음 및 반글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i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put a basic consonant group, a flat comment consonant and a buzzle of the basic consonant group.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ㄴ,ㅁ,ㅅ,ㅇ」이고, 상기 기본 자음군의 일획 덧글은 「ㄷ,ㅂ,ㅈ,ㅎ」이며 상기 반글은 「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The basic consonant group is a "b, b, ㅁ, ㅅ, ㅇ", the stroke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 group is "ㄷ, ㅂ, ㅈ, ㅎ" and the buzzer is a character inpu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ㄹ"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 모음군은 「ㅣ,ㅡ」, 잔여 모음군은 「ㅏ,ㅑ,ㅓ,ㅕ,ㅗ,ㅛ,ㅜ,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The basic vowel group is "ㅣ,-", the remaining vowel group is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입력키부 및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가 구성되는 상기 단말기 입력키 패드는The terminal input keypad comprising the consonant input key unit and the basic vowel input key 「ㄱ/ㄹ」을 입력하기 위한 1 숫자 버튼, 「ㅁ/ㅂ」을 입력하기 위한 3 숫자 버튼, 상기 1 숫자 버튼 및 상기 3 숫자 버튼 사이에 구성되어 「ㄱ」의 겹글인 「ㄲ」, 「ㅂ」의 겹글인 「ㅃ」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ㅗ/ㅛ」를 입력하기 위한 2 숫자 버튼이 횡방향으로 순차적 배열된 제1 키 입력부;1 number button for inputting "ㄱ / ㄹ", 3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ㅁ / ㅂ", said 1 number button, and said 3 number buttons comprised between "a", "ㄲ" and " A first key input unit in which two numeric buttons for inputting "ㅃ", which are overlapped with "의", or for inputting "\ / \" by a linking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uni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ㄱ」의 덧글인 「ㅋ」, 「ㄴ」의 덧글인 「ㅌ」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ㅓ/ㅕ」를 입력하기 위한 4 숫자 버튼,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 신호가 배정된 5 숫자 버튼 및 「ㅁ」의 덧글인 「ㅍ」, 「ㅅ」의 덧글인 「ㅊ」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ㅏ/ㅕ」를 입력하기 위한 6 숫자 버튼이 횡방향으로 순자적 배열된 제2 키 입력부;4 digit buttons for inputting "ㅋ" which is a comment of "a", "ㅌ" which is a comment of "b", or "ㅓ / ㅕ" by a linking operation with the said basic vowel input key, and said basic vowel Enter the 5-digit button to which the input key signal is assigned and the comment of "ㅁ", "t", or the comment of "ㅅ", or "ㅊ", or the link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A second key input unit in which six numeric buttons for inpu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ㄴ/ㄷ」을 입력하기 위한 7 숫자 버튼, 「ㄷ」의 덧글인 「ㄸ」, 「ㅅ/ㅈ」의 덧글인 「ㅆ/ㅉ」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ㅜ/ㅠ」를 입력하기 위한 8 숫자 버튼 및 「ㅅ/ㅈ」을 입력하기 위한 9 숫자 버튼이 횡방향으로 순차적 배열된 제3 키 입력부;7-digit button for inputting "b / c", "ㄸ" as a comment of "c", "ㅆ / 인" as a comment of "ㅅ / ㅈ", or a link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A third key input unit in which the eight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TT / ㅠ" and the nine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ㅅ / ㅈ"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숫자 버튼들에 의해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 「ㅇ/ㅎ」을 입력하기 위한 0 숫자 버튼 및 상기 숫자 버튼들에 의해 입력된 자음 및 모음에 의한 음절의 완성 또는 띄어쓰기를 위한 띄어쓰기 버튼이 횡방향으로 순차적 배열된 제4 키 입력부Completion or spacing of syllables by consonants and vowels input by the delete button for deleting consonants or vowels input by the numeric buttons, 0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o / ha" and consonants and vowels input by the numeric buttons The fourth key input unit in which the spacing buttons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로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입력키부 및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가 구성되는 상기 단말기 입력키 패드는The terminal input keypad comprising the consonant input key unit and the basic vowel input key 「ㄱ/ㄹ」을 입력하기 위한 1 숫자 버튼, 「ㄱ」의 덧글인 「ㅋ」, 「ㄴ」의 덧글인 「ㅌ」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ㅓ/ㅕ」를 입력하기 위한 4 숫자 버튼 「ㄴ/ㄷ」을 입력하기 위한 7 숫자 버튼, 상기 숫자 버튼들에 의해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이 종방향으로 순차적 배열된 제1 키 입력부;1 number button for inputting "ㄱ / ㄹ", "ㅋ" which is a comment of "a", "ㅌ" which is a comment of "b", or "ㅓ /" by linking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4 key button for inputting ㅕ ", 7 key button for inputting" b / c ", a first key input unit in which the delete button for deleting consonants or vowels input by the number buttons i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ㄱ」의 겹글인 「ㄲ」, 「ㅂ」의 겹글인 「ㅃ」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ㅗ/ㅛ」를 입력하기 위한 2 숫자 버튼,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 신호가 배정된 5 숫자 버튼, 「ㄷ」의 덧글인 「ㄸ」, 「ㅅ/ㅈ」의 덧글인 「ㅆ/ㅉ」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ㅜ/ㅠ」를 입력하기 위한 8 숫자 버튼 및 「ㅇ/ㅎ」을 입력하기위한 0 숫자 버튼이 종방향으로 순차적 배열된 제2 키 입력부;2 numeric buttons for inputting "ㄲ" which is a fold of "a", "ㅃ" which is a fold of "ㅂ", or inputting "ㅗ / ㅛ" by the linkage operation with the said basic vowel input key part, and said basic vowel Enter a 5-digit button to which an input key signal is assigned, enter "ㄷ" as a comment of "c", "ㅆ / ㅉ" as a comment of "ㅅ / ㅈ", or "TT" by a linking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A second key input unit in which 8 numeric buttons for inputting '/ ㅠ' and 0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ㅇ / ㅎ'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ㅁ/ㅂ」을 입력하기 위한 3 숫자 버튼, 「ㅁ」의 덧글인 「ㅍ」, 「ㅅ」의 덧글인 「ㅊ」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ㅏ/ㅕ」를 입력하기 위한 6 숫자 버튼, 「ㅅ/ㅈ」을 입력하기 위한 9 숫자 버튼 및 상기 숫자 버튼들에 의해 입력된 자음 및 모음에 의한 음절의 완성 또는 띄어쓰기를 위한 띄어쓰기 버튼이 종방향으로 순차적 배열된 제3 키 입력부Enter 3 numeric buttons for entering "ㅁ / ㅂ", enter "ㅁ" as a comment of "ㅁ", "ec" as a comment of "s", or press "ㅏ /" by linking with the default vowel input key. 6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ㅕ, 9 number buttons for inputting ㅅ / ㅈ, and spacing buttons for completing or spacing syllables by consonants and vowels input by the number buttons sequentially Arranged third key input section 로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가 한글 모드, 영문 모드 또는 특수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 선택을 위한 동작키로 동작되고,The basic vowel input key is operated as an operation key for selecting an input mod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Korean mode, an English mode, and a special character.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에 의해 상기 특수 문자 중 입력 문자 선택을 위한 상하 및 좌우 이동 동작키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configured to operate as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keys for selecting an input character among the special characters. 기본 자음 입력키, 겹글 자음 입력키, 덧글 자음 입력키 및 기본 모음 입력키를 갖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asic consonant input key, a double consonant input key,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a basic vowel input key,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에 의해 입력되는 기본 자음 신호 및 상기 겹글 자음입력키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기본 자음에 대한 겹글 자음 신호를 입력받아 겹글 자음을 조합하는 겹글 자음 조합부;A double consonant combin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basic consonant signal input by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and a double consona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basic consonant by the overlap consonant input key and combine the overlapped consonants;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에 의해 입력되는 기본 자음 신호 및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기본 자음에 대한 덧글 자음 신호를 입력받아 덧글 자음을 조합하는 덧글 자음 조합부;A comment consonant combination unit configured to combine a comment consonant by receiving a comment consona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basic consonant signal input by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에 의해 입력되는 기본 모음 신호 및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에 의해 연계 동작되는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기본 모음 이외의 잔여 모음 신호에 의해 모음을 조합하는 모음 조합부; 및A vowel is generated by a residual vowel signal other than the basic vowel input input by the basic vowel signal inputted by the basic vowel input key and 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key 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which are linked and operated by the basic vowel input key. A vowel combination unit to combine; And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 상기 겹글 자음 조합부 및 상기 덧글 자음 조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자음 신호와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 및 상기 모음 조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신호를 모음 신호를 결합하여 음절 신호를 출력하는 음절 결합부A syllable signal is obtained by combining a consonant signal from any on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the overlapping consonant combination unit, and the comment consonant combination unit, and a signal from any one of the basic vowel input key and the vowel combination unit. Output syllable combin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한 단축키로 동작되고,The basic vowel input key is operated as a shortcut for switching between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가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에 의한 상기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전환시 특수 문자 선택을 위해 전후 및 상하 이동을 위한 이동키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And the fold consonant input key 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re operated as movement keys for moving back and forth and up and down to select a special character when the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is switched by the basic vowel input key. 기본 자음 입력키, 덧글 자음 입력키, 겹글 자음 입력키를 포함하는 자음 입력키부 및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입력 키패드 상에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에 있어서,In a key arrangemen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basic consonant input key, 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 consonant input key unit including a lap consonant input key and a basic vowel input key unit on an input keypad, 상기 입력 키패드 상의 중심 영역에 기본 모음군 입력을 위한 기본 모음 입력키부를 배치하고,Arranging a basic vowel input key unit for basic vowel group input in a central area on the input keypad;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를 중심축하고 상기 키패드 상에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도록 자음 입력키부를 복수개 배치하는데, 여기서, 복수개 자음 입력키부는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 portion is arranged to be centered on the basic vowel input key and to be symmetrical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keypad, wherein 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 portions (a)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를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일측에 배치하고,(a) placing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on one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c)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를 기본 자음 입력키의 타측에 배치하는 통신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c) A key arrangemen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key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를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와의 연계 동작에 의해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잔여 모음군을 입력하도록 배치하는 통신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are arranged to input a remaining vowel group other than the basic vowel group by a linking operation with the basic vowel input key uni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부는 적어도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 중 상기 특수 문자 모드 선택을 수행하도록 배치하고,The basic vowel input key unit is arranged to perform the special character mode selection among input modes including at least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modes.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는 특수 문자 선택을 위한 상하 및 전후 이동키로 동작되도록 배치되는 통신 단말기의 키 배치 방법.And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are arranged to operate as up, down, and forward and back movement keys for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 입력키,Basic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basic consonant group formed by pronunciation organ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기본 자음의 덧글을 입력하기 위한 덧글 자음 입력키 및A comment consonant input key configured to be input at one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to input a comment of the basic consonant;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기본 자음의 겹글을 입력하기 위한 겹글 자음 입력키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입력키 패드 상에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자음 입력키부;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s, each including a fold consonant input key for inputting a lap of the basic consonant, and configur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on the input keypad of the terminal; 상기 자음 입력키부의 상하 및 좌우 대칭의 중심축으로 구성되고 기본 모음 입력을 위한 기본 모음 입력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 input device is composed of the central axis of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consonant input key portion and comprises a basic vowel input key for basic vowel input, 적어도 한글, 영문 또는 특수 문자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 중 상기 한글모드를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에 의해 설정하는 단계;Setting the Hangul mode among the input modes including at least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modes by the basic vowel input key;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또는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음절의 초성 또는 종성 구성을 위한 자음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onsonant signal for initial or final configuration of syllables from at least one of the basic consonant input key,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로부터 입력되는 기본 모음 신호에 의해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를 모음 입력키로의 동작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operation switching of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key to a vowel input key by a basic vowel signal inputted from the basic vowel input key; 상기 입력되는 기본 모음 입력키,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또는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음절의 중성 구성을 위한 모음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vowel signal for neutral construction of syllables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basic vowel input key,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or the overlapped consonant input key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기본 모음 입력키에 의해 상기 특수 문자 모드 입력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the special character mode input by the basic vowel input key; 상기 특수 문자 입력을 위해 미리 저장된 특수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Displaying a special character stored in advance for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 상기 덧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겹글 자음 입력키에 따른 상하 및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특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the displayed special characters by moving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comment consonant input key and the overlapping consonant input key;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KR1020000059918A 2000-10-12 200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59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18A KR100359512B1 (en) 2000-10-12 200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18A KR100359512B1 (en) 2000-10-12 200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44A KR20020029144A (en) 2002-04-18
KR100359512B1 true KR100359512B1 (en) 2002-11-04

Family

ID=1969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18A KR100359512B1 (en) 2000-10-12 200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5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05A (en) * 2001-05-12 2001-07-25 김보식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29A (en) * 1999-11-29 2000-02-07 호은숙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20000017771A (en) * 1999-12-01 2000-04-06 김용숙 Hangul, english, number inputting apparatus through combination of basic sentence pattern
KR20000049346A (en)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KR20000059919A (en) * 1999-03-10 2000-10-16 허진호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20021A (en) * 2000-09-06 2002-03-14 박만규 Efficient keyboard combin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using restricted number of key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919A (en) * 1999-03-10 2000-10-16 허진호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49346A (en)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KR20000007129A (en) * 1999-11-29 2000-02-07 호은숙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20000017771A (en) * 1999-12-01 2000-04-06 김용숙 Hangul, english, number inputting apparatus through combination of basic sentence pattern
KR20020020021A (en) * 2000-09-06 2002-03-14 박만규 Efficient keyboard combin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using restricted number of key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05A (en) * 2001-05-12 2001-07-25 김보식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44A (en)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4786B2 (en) Character input control device
KR1003595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913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key
KR100580146B1 (e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KR100418066B1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10027137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ith restricted keys,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using same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69725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KR20000051881A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telephone
KR100431947B1 (en)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KR19980013987A (en) How to input Hangul signal using Tenki
KR100356258B1 (en) Keypad of a telephone terminal
KR100421545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20070016327A (en) Keypa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JP2002207555A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S6069724A (en) Kana character input device
KR100411365B1 (en) Key matrix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i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8280B1 (en)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100748250B1 (en)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and letter input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12584A (en) Keypad for inputting hangu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28185B1 (en) method for designing software of mobile phon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JP2005056275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