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060B1 - Floor cleaner - Google Patents

Flo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060B1
KR100284060B1 KR1019930000381A KR930000381A KR100284060B1 KR 100284060 B1 KR100284060 B1 KR 100284060B1 KR 1019930000381 A KR1019930000381 A KR 1019930000381A KR 930000381 A KR930000381 A KR 930000381A KR 100284060 B1 KR100284060 B1 KR 10028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ushes
floor
group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16073A (en
Inventor
차흐후베르 쿠르트
Original Assignee
차흐후베르 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24200630 external-priority patent/DE4200630A1/en
Application filed by 차흐후베르 쿠르트 filed Critical 차흐후베르 쿠르트
Publication of KR93001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0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02Scraping
    • A47L13/06Scraping with wire brushes or wire me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바닥청소기는 두개 이상의 회전하는 브러시를 구비하고 그중 하나 이상의 브러시의 위치를 바닥청소기의 작업폭변동을 위해 변경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러시에 바닥에 인접하여 덮개판이 부속되어 있으며, 당해 브러시의 강모는 상기 덮개판상에서, 다른 하나의 브러시의 강모가 바닥상에 위치하게 되는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중처리를 방지한다.The floor cleaner includes two or more rotating brushes, and the position of one or more of the brushes can be changed to change the working width of the floor cleaner. A cover plate is attached to the at least one brush adjacent the bottom, and the bristles of the brush are disposed on the cover plate in an area where the bristles of the other brush are positioned on the floor, thereby preventing duplication.

Description

바닥청소기Floor cleaner

제1도는 브러싱 진공청소기로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주브러시와 2개의 위치가변적 부브러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s formed as a brushing vacuum cleaner and has one main brush and two positionally variable brushes.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브러싱 진공청소기의 샤시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chassis of the brush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FIG.

제3도는 위치가변적 브러시들만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샤시의 저면도.3 is a bottom view of the chassis of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only variable brushes.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샤시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the chassis according to FIG. 3.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회전브러시를 구비하고 그중 1이상의 브러시의 위치를 바닥청소기의 작업폭변동을 위해 변경시킬 수 있는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leaner having two or more rotating brushes and which can change the position of one or more of the brushes for changing the working width of the floor cleaner.

작업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상기 종류의 바닥청소기는 US-PS 3 277 511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2개의 나란히 배치된 디스크브러시를 포함하는 전방측에 설치된 브러시헤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길게 형성된 브러시헤드는 수직축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샤시에 매달려 있다. 브러시헤드의 위치를 조절 (작업방향에 가로로 혹은 다소 경사지게)함에 따라 브러시헤드의 작업방향에서의 투영에 의해 결정되는 작업폭이 조절가능하게 된다.Floor cleaners of this kind that can vary the working width are known from US-PS 3 277 511. It has a brush head provided on the front side that includes two side-by-side disk brushes. The brush head thus formed is suspended in the chassis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axi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rush head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to the working direction), the working width determined by the projection of the brush head in the working direction becomes adjustable.

이러한 기계의 단점은 청소능률이 불균일하여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데에 있다. 특히 상기 공지의 바닥청소기를 사용한 경우 청소완료된 바닥에 줄무늬가 형성되며 ; 그리하여 두 브러시의 작업영역을 서로 교차시킴으로써 중간의 띠부분은 이중으로 문질러지게 되므로 두 경계영역이 두드러지게 된다.The disadvantage of these machines is that their cleaning efficiency is uneven and does not meet expectations. In particular, when the above-mentioned floor cleaner is used, streaks are formed on the cleaned floor; Thus, by intersecting the working areas of the two brushes with each other, the middle stripe is rubbed in double, so the two boundary areas stand out.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술한 종류의 바닥청소기에 있어서 청소능률을 개선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in the above-described floor cleaners of which the working width can be vari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에 인접한 1이상의 브러시를 갖는 덮개판이 설치되며, 상기 당해 브러시의 강모는 상기 덮개판상에서, 다른 하나의 브러시의 강모가 바닥상에 위치하게 되는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해결된다. 여기서 “영역”이란 작업방향을 향한 띠무늬로서, 기계가 전방이동할 때 해당 브러시에 의하여 작업방향에서 처리되는 띠무늬를 의미한다.The object is th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cover plate having at least one brush adjacent to the floor is provided, wherein the bristles of the brush are arranged on the cover plate in an area where the bristles of the other brush are to be located on the floor. This is solved. Here, the "region" is a band pattern toward the work direction, and means a band pattern processed in the work direction by the brush when the machine moves forward.

그리하여 덮개판은, 한 브러시의 강모가 청소한 바닥영역내에서 다른 브러시의 강모가 바닥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바닥의 다중처리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바닥청소기의 전체 작업영역에 걸쳐 각 설정된 작업폭에 관계없이 바닥은 균일하게 청소되게 되므로, 다중처리에 기인한 띠무늬형성은 방지된다.Thus, the cover plate prevents the bottom contact of the bristles of the other brush in the floor area cleaned by the bristles of one brush, thereby preventing the multiplexing of the floor. Accordingly, the floor is uniformly cleaned regardless of the set working width over the entire working area of the floor cleaner,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the band pattern due to the multiple treatment.

브러시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바닥청소기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전방측에 위치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주브러시와 후방에 하나 혹은 2개의 위치변동가능한 부브러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단일체로 조합된 위치 가변적 브러시들만을 군(群)으로 조합하여 작업방향에서 전후배치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바닥청소기가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고 넓은 작업폭에서도 모서리가 양호하게 청소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brush can be installed in the floor cleaner in several ways.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a main brush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one or more front side and one or two positionable sub-brushes at the rea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variable position brushes combined in a single unit are optionally combined in a group so as to be arranged back and forth in the working direction.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oor cleaner can be constructed very compactly and the edges can be well cleaned even with a wide working width.

본 발명에 따른 바닥청소기에 있어서는 동일한 방식으로 롤러브러시와 디스크브러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브러시는 통상과 같이 작업방향에 가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 디스크브러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2개 이상씩 군으로 조합되어 작업방향에 가로로 상호 나란히 설치되며, 이때 하나의 군을 형성하는 각 디스크브러시는 일체로 이동하여 작업폭을 변경시킨다.In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brush and the disc brush can b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In this case, the roller brus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working direction as usual; The disc brushes are preferably installed in groups of two or more,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working direction. In this case, each of the disc brushes that form one group moves integrally to change the working width.

특히 바닥청소기가 위치가변적 브러시들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브러시들 혹은 브러시군들이 선형안내부에서 작업방향에 가로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브러시들 혹은 브러시군들은 각각 슬라이더로서 형성된 프레임에 지지되고, 이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안내롤러를 개재하여 샤시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안내레일상에서 안내된다. 특히 1이상의 위치고정적인 주브러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위치가변적 부브러시는 회동가능한 링크를 사용하여서도 샤시에 링크결합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loor cleaner is equipped with only variable brushes, it is preferable that the brushes or brush groups are guided so as to move horizontally in the working direction in the linear guide. In this case, the brushes or brush groups are each supported on a frame formed as a slider, which is preferably guided on two guide rail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ssis via, for example, guide roller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aving one or more positionally fixed main brushes, the variable variable brushes can be linked to the chassis even using a rotatable link.

바닥청소기가 전방측에 위치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나의 주브러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주브러시의 작업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단일의 덮개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고정적인 주브러시를 갖지 아니하고 작업방향에서 전후배치된 위치가변적인 2개의 브러시군을 갖는 바닥청소기인 경우, 일 브러시군을 두번째 브러시군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위치가변적 덮개판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이 경우에는 덮개판이 후방브러시군의 영역내에 설치되고 전방 브러시군과 연결되어 작업폭변동시 위치변동된다. 이때 덮개판은 전방 브러시군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이미 전방 브러시군이 바닥을 청소한 영역내에서 후방 브러시군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청소기가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두 브러시군이 그들의 중앙위치로부터 각 양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폭이 적절히 클 경우에 전방 브러시군이 왼쪽으로 후방 브러시군이 오른쪽으로 혹은 전방 브러시군이 오른쪽으로 후방 브러시군이 왼쪽으로 돌출하여 있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모서리를 청소할 때 유리하다. 2개의 상호 전후배치된 브러시군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각브러시군의 영역내에 덮개판이 위치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두 덮개판의 폭은 각각 해당하는 설치된 브러시군의 작업폭의 거의 절반정도이고 ; 상호 대향하여 전위되게 설치되어 덮혀진 영역이 겹치지 아니하고 기계의 중앙부에서 상호 인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바닥청소기에 있어서는 전방 브러시군에 설치된 덮개판이 - 진행하는 - 브러시군의 왼쪽 절반을 덮는 한편, 후방 브러시군에 설치된 덮개판이 - 진행하는 - 후방 브러시군의 오른쪽 절반을 덮는다. 이러한 바닥청소기에 있어서는, 현재의 설정된 작업폭에 관계없이, 전방 브러시군은 항상 주행장치로부터 오른쪽에 워치한 작업띠의 영역을 처리하는 한편, 후방 브러시군은 주행장치로부터 왼쪽에 위치한 작업띠의 영역을 청소한다. 이 경우에 전방 브러시군은 오른쪽을 향하여서만 그리고 후방 브러시군은 왼쪽을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위치가변적 브러시들 혹은 브러시군들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버턴(센서)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센서(버턴)테두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브러시 혹은 브러시군이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버턴 테두리가 가압됨으로써 버턴 스위치가 작동하여 작업폭의 감소를 고려하여 해당브러시 / 브러시군의 위치변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작업폭을 유압식으로 제어하는 경우, 버턴 스위치에 밸브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밸브는 브러시 / 브러시군을 위치변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해당 브러시 / 브러시군이 진행하도록 한다.In the case where the floor cleaner has one main brush which is fixedly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ingle cover plat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orking width of the main brush. In the case of a floor cleaner having two positionally variable brush groups which do not have a fixed main brush and which are arranged back and forth in the work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connect one brush group with a positional cover plate that operates in the area of the second brush group.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cover plate is installed in the area of the rear brush group and connected to the front brush group to change the position during the work width fluctuation.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brush group, thereby preventing the rear brush group from operating in the area where the front brush group has already cleaned the floor. In the case where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two brush groups can process each direction from their center positions, when the working width is appropriately large, the front brush group to the left and the rear brush group to the right or the front The brush group has an advantage that the rear brush group may protrude to the left. This is advantageous when cleaning the corners.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wo mutually arranged brush groups, a cover plate is fixedly installed in the area of each brush group. The width of the two cover plates is approximately half the working width of the corresponding installed brush group; It is preferred that the dislocations which are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cover the overlapping regions do not overlap 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machine. For example, in such a floor cleaner, the cover plate installed in the front brush group covers the left half of the brush group-which proceeds, while the cover plate installed in the rear brush group covers the right half of the group-which proceeds. In such a floor cleaner, regardless of the currently set working width, the front brush group always processes the area of the work belt watch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traveling device, while the rear brush group controls the area of the work belt located on the left side from the traveling device. Clean. In this case, the front brush group may protrude only to the right and the rear brush group to the left. The front edge of the position-variable brushes or brush groups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nsor (button) border connected to the button (sensor) switch. When the brush or brush group hits an obstacle, the button edge is pressed to operate the button switch to control the position variation of the brush / brush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reduction in the working width. To this end, in the case of hydraulically controlling the working width, it is preferable to connect a valve to the button switch, the valve operates the hydraulic cylinder for shifting the brush / brush group to allow the brush / brush group to proceed.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브러싱 진공청소기는 공지와 같이, 특히 흡인송풍기, 수용된 오물의 분리장치, 저장용기 및 브러싱 액체의 분배기 등과 같이 여러가지의 기기와 용기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 (1) 을 구비한다. 하우징 (1)은 세개의 롤러에 의해 바닥 (2) 에 지지되며, 두개의 롤러는 조향 불가능한 주행롤러 (3)로서 형성되어 있고 세번째 롤러는 수직축에 대해 회동가능한 조향롤러 (4)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에는 그 후단부에 두개의 손잡이 (5) 가 설치되어 있고 (두개의 손잡이는 대칭적 구성을 갖고 또한 측면도로 도시되어 손잡이들 중 하나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음), 이 손잡이 (5) 들을 사용하여 조작자는 브러싱진공청소기를 안내한다. 손잡이 (5) 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반(6)에는 조작에 필요한 조작 및 제어기기들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까지에 있어서는 도시된 브러싱 진공청소기의 구조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The brushing vacuum cleaner shown in FIGS. 1 and 2 is a housing in which various devices and containers are built, as is well known, in particular, such as a suction blower, a separator for received dirt, a storage container, and a distributor of brushing liquid (1). ). The housing 1 is supported on the bottom 2 by three rollers, two rollers are formed as non-steerable running rollers 3 and the third roller is formed as a steering roller 4 which is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The housing 1 is provided at its rear end with two handles 5 (the two handles have a symmetrical configuration and are also shown in side view so that one of the handles cannot be seen visually), and this handle (5 ), The operator guides the brushing vacuum cleaner. The operation panel 6 provided between the handles 5 accommodates operation and control devices necessary for operation. Up to now, the structure of the brushing vacuum cleaner shown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물론 브러싱 진공청소기의 전방영역에서 수직축에 대해 회전하는 브러시의 구성은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그래서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그리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따른 브러싱 진공청소기는 본 출원에 사용되는 전문용어에 따르면 디스크 브러시로 형성되어 있는 주브러시 (7) 를 구비하고 이 주브러시(7)는 주브러시캡 (8) 에 의해 덮혀 있다. 이때 주브러시캡은 중공지지체(9) 에 의하여 하우징에 지지되며, 중공지지체 (9) 의 내부에는 구동동력을 주브러시 구동부 (10) 로부터 주브러시 (7) 에 전달하는 구동축이 신장하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른 브러싱 진공청소기의 후단부에는 흡인구 (12)가 수직축 (11) 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흡인구 (12)는 흡인관 (13) 을 통해 하우징 (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인 송풍기와 연결되어 있다. 흡인구 (12)의 양측에는 흡인요소 (14)가 돌출하여 있고, 이 흡인요소 (14)는 바닥상을 미끄러지면서 흡인구에 흡인될 액체를 공급하는 고무 립(lip) 을 갖는다. 흡인요소(14)는 양측에서 브러싱 진공청소기의 하우징 (1) 을 넘어 약간 돌출하여, 제거해야할 액체막을 모두 훑고지나가서 흡인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a brush that rotates about a vertical axis in the front region of the brushing vacuum cleaner is known from the prior art and so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Thus, the brush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FIGS. 1 and 2 has a main brush 7 formed by a disk brush according to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main brush 7 comprises a main brush cap 8. Covered by At this time, the main brush cap is supported on the housing by the hollow support 9, the drive shaf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power from the main brush drive unit 10 to the main brush 7 is elongated inside the hollow support (9). At the rear end of the brushing vacuum cleaner according to FIGS. 1 and 2, a suction port 12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11, which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3) through a suction pipe 13. 1) 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blower installed inside. A suction element 14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12, and the suction element 14 has a rubber lip which supplies a liquid to be sucked to the suction port while sliding on the bottom. The suction element 14 protrudes slightly beyond the housing 1 of the brushing vacuum cleaner on both sides, so that it can suck through all the liquid film to be removed.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브러싱 진공청소기는 그 하우징 (1) 의 하부측에 2개의 회동핀 (15) 을 구비하고, 이들 회동핀 (15) 에 각 하나의 회동아암(16) 이 수직축선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다. 각 회동아암 (16) 은 그들의 힌지점 반대편에서, 디스크 브러시로서 형성된 부브러시 (17), 이 부브러시 (17) 를 덮는 부브러시캡 (18) 및 부브러시 구동부 (19) 로 이루어진 부브러시 장치를 지지한다. 부브러시들 각각은 작업방향의 후방에 띠무늬 제거 구성요소(20)를 구비하며, 이 띠무늬 제거 구성요소(20)는 외측에서 부브러시캡 (18) 에 그리고 내측에서는 부가의 버팀대 (21) 에 의해 바닥 (2) 에 대해 가압되고, 이 버팀대(21)는 마찬가지로 부브러시캡에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내부에 있는 구성요소 (덮개판 (23), 조향롤러 (4)) 들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띠무늬 제거요소 (20) 의 후방구간이 생략되어 절취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두 띠무늬 제거요소 (20) 는 후방에서 내향하여 상호 경사지게 진행하며, 이에 의해 부브러시로부터 남겨진 수막을 흡인요소 (14) 에 훑고 지나가는 중앙영역내로 안내해서 수집한다. 두 회동아암 (16) 은 각각, 부브러시캡이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는한, 스프링아암 (22)에 의해 측방외측으로 가압된다. 부브러시의 여러가지 가능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2도에서는 우측 부브러시가 수축된 위치에 그리고 좌측 부브러시가 절발돌출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The brushing vacuum cleaner shown in FIGS. 1 and 2 is provided with two pivoting pins 15 on the lower side of its housing 1, each of which has a pivoting arm 16. It is hinged to be rotatable about this vertical axis. Each pivotal arm 16 has a brush which consists of a brush brush 17 formed as a disk brush, a brush brush 18 covering the brush brush 17 and a brush brush drive unit 19 opposite their hinge points. I support it. Each of the brushes is provided with a stripe removal component 20 at the rear of the working direction, which stripe removal component 20 is on the outside with a brush cap 18 and on the inside with an additional brace 21. It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2, and this brace 21 is similarly fixed to the brush cap. In FIG. 1, the rear section of the stripe removing element 20 is omitted and cut out so that the components (cover plate 23, steering roller 4) therein can be seen. The two stripe removing elements 20 run inclined mutually inward from the rear, thereby guiding and collecting the water film left from the brush into the central region passing through the suction element 14. The two pivoting arms 16 are each pressed outwardly by the spring arms 22, so long as the brush cap does not hit the obstacle. To illustrate various possible positions of the brush, the second brush is shown in the retracted position of the right brush and in the position in which the left brush is extruded.

덮개판 (23)은 부브러시의 영역에서 브러싱 진공청소기의 주브러시 (7) 의 전체 폭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으며, 덮개판 (23)은 그에 리벳고정된 홀더 (24) 를 개재하여 하우징 (1) 의 하부측에 스크류 (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경구 덮개판 (23)은 바닥 (2) 의 표면으로부터 미소한 간격을 두고 안내되도록 매달려 있게 된다. 덮개판 (23) 의 전방연부 (26)는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어,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불균일한 바닥을 넘어갈 때 덮개판이 상방으로 퇴피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plate 23 extends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main brush 7 of the brushing vacuum cleaner in the region of the brush, the cover plate 23 via the holder 24 riveted thereto. It is fixed by the screw 25 to the lower side of the. This oral cover plate 23 is suspended from the surface of the bottom 2 so as to be guided at a slight interval. The front edge 26 of the cover plate 23 is curved upward to allow the cover plate to retreat upward when it hits an obstacle or crosses an uneven bottom.

제3도 및 제4도에 따른 바닥청소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위치고정적인 브러시를 갖지 아니하며 ; 2개의 전후배치된 위치 가변적인 브러시들을 구비하고 이들은 롤러브러시 (27a, 27b)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롤러브러시 (27) 는 각각 하향 개방된 U 형상 구조물 (28a, 28b)에 작업방향에 가로로 진행하는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롤러브러시 (27) 의 각 단부에는 벨트풀리 (29)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풀리 (29) 들의 둘레에는 각각 치형벨트 (30) 가 감겨져 있고, 치형벨트 (29)는 구조물 (28a, 28b) 의 상부면에 설치된 구동모터 (31a, 31b) 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FIGS. 3 and 4 does not have a positional brush, as shown in FIGS. 1 and 2; Two front-rearranged repositionable brushes are provided and they are formed as roller brushes 27a and 27b. These roller brushes 27 are supported by the downwardly open U-shaped structures 28a and 28b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running transversely in the working direction. Belt pulleys 29 ar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roller brush 27. A toothed belt 30 is wound around each of the belt pulleys 29, and the toothed belt 29 is driven by drive motors 31a and 31b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tructures 28a and 28b.

각 구조물 (28) 은, 각 구조물 (28) 에 설치된 두 지지체 (32) 가 샤시(33) 의 하부츠에 설치된 안내레일 (34)에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샤시에 작업방향에 가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현수되어 있다. 이때 구조물 (28)의 샤시 (33) 에 대한 측방 슬라이딩은 샤시의 하부측에 설치된 2개의 전기모터 (35a, 35b) 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 전기모터는 워웜휠을 통하여 내부 지지체 (32) 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래크 (36) 를 구동시킨다.Each structure 28 is suspendably slidably transversely in the working direction in the chassis by allowing two supports 32 provided in each structure 28 to be guided by guide rails 34 provided in the lower legs of the chassis 33. It is. At this time, the lateral sliding of the structure 28 with respect to the chassis 33 is made by two electric motors (35a, 35b)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ssis, these electric motor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inner support (32) through the warworm wheel The rack 36 installed is driven.

전방 롤러브러시 (27a) 의 구조물 (27a) 은 후방롤러브러시 (27b) 의 영역에 설치된 덮개판 (37)과 연결되어 있다. 이 덮개판 (37) 의 후방연부는 샤시에 고정된 안내레일 (3)에 측방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된다. 그리하여 덮개판 (37) 은 전방 롤러브러시 (27a) 의 위치변동에 따라 움직이며, 전방 롤러브러시 (27a) 의 위치변동은 해당 위치변동구동부 (전기모터(35a), 래크(36a), 지지체 (32a))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항상, 전방브러시 (27a) 에 의해 이미 청소가 행하여진 바닥영역을 후방브러시 (27b) 가 재차 처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ructure 27a of the front roller brush 27a is connected with the cover plate 37 provided in the area of the rear roller brush 27b. The rear edge of the cover plate 37 is guided sideways to the guide rail 3 fixed to the chassis. Thus, the cover plate 37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ront roller brush 27a, and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ront roller brush 27a is the position shifting drive (electric motor 35a, rack 36a, support 32a). Is done by)). This always prevents the rear brush 27b from again processing the bottom area already cleaned by the front brush 27a.

전방 롤러브러시 (27a) 의 전방영부는 버턴 테두리 (39) 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 버턴 테두리 (39)는 전방 구조물 (28a) 에 설치된 두 버턴 스위치 (40)를 작동시킨다. 버턴스위치 (40) 는 도시않은 제어도선을 통하여 전기모터 (35a) 와 연결되어, 버턴 테두리 (39) 가 장애물에 접촉하여 외측에 위치한 각 버턴 스위치 (40) 가 작동되었을 때, 전방 롤러브러시가 그의 진입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The front ridge of the front roller brush 27a is surrounded by the button rim 39, which actuates two button switches 40 installed on the front structure 28a. The button switch 4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35a through a control wire (not shown), so that when the button edge 39 contacts each obstacle and the button switches 40 located outside are operated, the front roller brush is Control to mo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ntry position.

샤시 (33) 는 공지와 같이 2개의 주행롤러 (3) 와 수직축에 대해 회동가능한 조향롤러 (4) 상에 얹혀 있다.The chassis 33 is mounted on two traveling rollers 3 and a steering roller 4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as is known.

Claims (6)

2개 이상의 회전하는 브러시 (7, 17; 27a, 27b) 를 구비하고 그중 1이상의 브러시 (17; 27a, 27b) 의 위치를 바닥청소기의 작업폭 변동을 위해 변경시킬 수 있는 바닥청소기에 있어서, 1이상의 브러시 (17; 27b) 에 바닥에 인접하여 덮개판 (23; 37) 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당해 브러시의 강모는 상기 덮개판상에서, 다른 하나의 브러시의 강모가 바닥상에 위치하게 되는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In a floor cleaner having two or more rotating brushes (7, 17; 27a, 27b) and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one or more of the brushes (17; 27a, 27b) to vary the working width of the floor cleaner. A cover plate 23; 37 is provid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brush 17; 27b, and the bristles of the brush are disposed in the area where the bristles of the other brush are placed on the floor on the cover plate. Floor cleaner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위치가변적 브러시 (27a, 27b) 군만을 구비하며, 2개 이상의 브러시 혹은 브러시군이 작업방향에서 전후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A floor cleaner as claimed in claim 1, comprising only a group of variable brushes (27a, 27b), wherein at least two brushes or groups of brushes are arranged back and forth in the working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롤러브러시 (27a, 27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3. The floor cleaner as claimed in claim 2, further comprising roller brushes (27a, 27b).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브러시군과 단일의 덮개판 (37) 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판 (37) 은 샤시 (33) 에 위치가변적으로 현수되고 하나의 브러시군에 부속되며 다른 하나의 브러시군과 연결되어 위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3. A brush according to claim 2, comprising two brush groups and a single cover plate (37), wherein the cover plate (37) is variably suspended in the chassis (33) and attached to one brush group and the other brush. Floor clea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moving in connection with the grou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들 혹은 브러시군들이 작업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동가능하도록 선형안내부 (34) 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3. A floor cleane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said brushes or brush groups are guided in a linear guide (34) so as to be movable horizontally in the working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브러시군의 전방연부에는 1이상의 버턴 스위치 (40) 를 작동시키는 버턴 테두리 (39) 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버턴 스위치 (40) 는 당해 브러시군이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작업폭의 감소를 고려하여 해당 브러시군의 위치변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The front edge of the front brush group is provided with a button frame 39 for operating at least one button switch 40, wherein the button switch 40 has a width of a working width when the brush group hits an obstacle. Floo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position change of the brush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reduction.
KR1019930000381A 1992-01-13 1993-01-13 Floor cleaner KR1002840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00630.9 1992-01-13
DEP4200630.90 1992-01-13
DE19924200630 DE4200630A1 (en) 1991-02-01 1992-01-13 Floor cleaning machine using at least two rotating brushes - allows position of at least one brush to be varied to alter working wid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73A KR930016073A (en) 1993-08-26
KR100284060B1 true KR100284060B1 (en) 2001-03-02

Family

ID=644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381A KR100284060B1 (en) 1992-01-13 1993-01-13 Floor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84060B1 (en)
CN (1) CN107541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473A (en) * 1999-10-25 2001-05-08 Sanyo Electric Co Ltd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
JP5810215B2 (en) * 2011-07-22 2015-11-11 アルフレッド ケルヒャ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pressure cleaner for filter cleaning
CN106037599A (en) * 2016-06-23 2016-10-26 北京历途科技有限公司 Image recognition spatial modeling based high building external surface cleaning robot
CN110313870A (en) * 2019-05-24 2019-10-11 黄淮学院 A k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73A (en) 1993-08-26
CN1075411A (en) 199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4220B2 (en) Floor treatment machine
JP4519140B2 (en) Vacuum cleaner with base station
US5045118A (en) Method of removing debris and dust from a carpet
RU2077862C1 (en) Sweeping unit
US2999258A (en) Surface-cleaning and rug-shampooing machines
US5398373A (en)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CN214289876U (en) Blue plastic drum cleaning device
KR100284060B1 (en) Floor cleaner
JPH06154143A (en) Floor washing machine
US3451085A (en) Vehicle wash systems
US20090064452A1 (en) Powered carpet scrubbing and combing machine
US3314099A (en) Floor cleaning apparatus
JPH08268679A (en) Escalator handrail belt cleaner
JPH0910143A (en) Suction port member of vacuum cleaner
JP4612156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port
EP0489234B1 (en) Complete and fast car washing system mounted on one single mobile portal
KR100747137B1 (en) Vaccum clear
US5970571A (en) Suction hood for wet floor cleaning machines
JP412678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532667Y2 (en) Dust chute device for traveling sweeper
JP2654031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0351552B1 (en) Footwear washer
KR200210982Y1 (en) Footwear washer
CN209953324U (en) Reciprocating cleaner of paper processing equipment
KR930008365B1 (en) Auto-driving vacuum cleaner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