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583B1 -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583B1
KR100202583B1 KR1019960033525A KR19960033525A KR100202583B1 KR 100202583 B1 KR100202583 B1 KR 100202583B1 KR 1019960033525 A KR1019960033525 A KR 1019960033525A KR 19960033525 A KR19960033525 A KR 19960033525A KR 100202583 B1 KR100202583 B1 KR 10020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recording
playback
addr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516A (ko
Inventor
임병대
성관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5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화시 입력 데이타를 부호화하거나 입력 데이타가 없는 경우 현재의 년월일시 데이타를 부호화하여 기록함은 물론 음성 정보 테이타가 있는 경우 이를 부호화하여 기록하고, 재생시 입력 어드레스와 검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해당 위치를 찾아 재생 시점 코드를 검출함에 의해 재생 시작 위치를 판별하도록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재생 초기에 원하는 부분의 어드레스만 입력하면 해당 부분을 탐색하여 재생을 수행하며 또한, 재생중 재생 시점 및 재생 종료 시점을 코드화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전의 재생 부분 다음부터 재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브이씨알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코드 기록/재생 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서 펄스폭 비교부의 상세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타이밍도.
제5도는 코드 판별을 위한 펄스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서 녹화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재생을 위한 신호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어드레스 코드의 기록 포맷을 보인 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서 문자 정보 코드의 기록 포맷을 보인 예시도.
제10도는 각 코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데이타 입력부 202 : 엔코더
203 : 콘트롤 펄스 제어부 204 : 콘트롤 펄스 생성부
205 : 콘트롤 펄스 증폭기 206 : 콘트롤 헤드
207 : 펄스폭 비교부 208 : 디코더
209 : 어드레스 비교기 210 : 표시부
본 발명은 정보 코드 기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이씨알에서 녹화시 콘트롤 트랙에 기록 시점등의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고 재생 또는 탐색시 원하는 부분을 탐색하여 재생하도록 한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추출하는 동기 추출부(101)와, 이 동기 추출부(101)의 출력 신호(VSYNC)를 일정 주기로 분주하는 분주기(102)와, 기록시 상기 분주기(102)의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콘트롤 헤드(104)에 인가하고 재생시 상기 콘트롤 헤드(104)의 검출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콘트롤 증폭기(103)와, 재생시 상기 콘트롤 펄스 증폭기 (103)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모터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캡스턴 모터(106)를 제어하는 위상 비교기(105)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록 모드가 설정되어 동기 추출부(101)에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추출하고 그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은 분주기(102)는 일정 주기로 분주하여 증폭기(103)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증폭기(103)가 분주기(102)의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면 콘트롤 헤드(104)가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게 된다.
이 후, 재생 모드가 설정되면 콘트롤 헤드(104)는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코드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콘트롤 헤드(104)의 검출 신호를 콘트롤 펄스 증폭기(103)가 소정 레벨 증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트롤 펄스 증폭기(10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은 위상 비교기(105)는 모터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의해 캡스턴 모터(106)를 제어하게 된다.
예로, VISS 코드를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는 경우 분주기(102)가 VISS 듀티비를 가진 펄스를 일정 기간동안 생성하면 콘트롤 펄스 증폭기(103)과 콘트롤 헤드(104)를 순차 통해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고, 재생 또는 탐색시 상기 콘트롤 헤드(104)에서 VISS 코드를 검출하면 상기 콘트롤 펄스 증폭기(103)를 통해 입력받은 위상 비교기(105)가 그 듀티비를 검출함에 의해 캡스턴 모터(106)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VISS 기록의 경우 기록 초기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VISS 코드를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기록된 테이프를 탐색하여 원하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탐색시 원하는 내용이 녹화된 부분을 알지 못하면 탐색 시간이 지연되며 VISS 코드를 기록하여도 기록 초기 또는 VISS 코드의 기록에 대한 날짜 및 프로그램 내용을 알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녹화시 기록 시점 및 음성 정보를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고 재생 또는 탐색시 원하는 위치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하면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정보 데이타를 찾아 입력 데이타와 비교함에 의해 원하는 기록 위치를 찾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창안한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화시 음성 정보 서비스를 수신하여 정보 데이타를 문자로 표시함은 물혼 그 정보 데이타를 코드화하여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고 재생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콘트롤 트랙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생시 재생 시점 코드 및 재생 종료 시점 코드를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도록 하여 재생시 이전의 재생 부분을 손쉽게 찾아 원하는 부분부터 선택적으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드 스위칭 신호를 기준으로 콘트롤 펄스를 생성하는 콘트롤 펄스 생성 수단과, 이 콘트롤 펄스 생성 수단의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콘트롤 헤드에 인가함에 의해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고 재생시 그 콘트롤 헤드의 검출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콘트롤 증폭 수단과, 기록시 어드레스 데이타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이 데이타 입력 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엔코더 수단과, 이 엔코더 수단의 출력 코드에 따라 상기 콘트롤 펄스 생성 수단을 제어하여 콘트롤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콘트롤 펄스 제어 수단과, 재생시 상기 콘트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제1,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코드 데이타를 출력하는 펄스폭 비교 수단과, 이 펄스폭 비교 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원래의 어드레스 데이타로 복호하는 디코더 수단과, 이 디코더 수단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읽어들인 어드레스와 비교함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비교 수단과, 상기 디코더 수단의 출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펄스폭 비교 수단은 콘트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가 제1 기준값보다 크면 하이 펄스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와, 제2 기준값이 상기 콘트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보다 크면 하이 펄스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와, 제1 비교기의 하이 출력에 하이 펄스 구간의 폭을 계수하고 제2 비교기의 하이 출력에 로우 펄스 구간의 폭을 계수하여 기준 데이타와 비교함에 의해 해당 코드 데이타를 출력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에 클럭을 입력시키는 클럭 발생기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녹화시 입력 데이타를 부호화하거나 입력 데이타가 없는 경우 기록 시점의 년월일시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기록 위치에 따라 시작 코드를 다르게 기록하고 상기의 부호화된 코드를 기록하는 단계와, 음성 정보의 기록이 설정되면 음성 정보 데이타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음성 정보 데이타가 있으면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록 시간이내에서 기록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생시 원하는 내용이 기록된 부분의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단계와, 탐색을 수행하여 시작코드를 검출하면 어드레스 코드를 검출하여 입력 어드레스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입력 어드레스가 읽은 어드레스보다 크면 후진 탐색을 수행하고 작으면 전진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입력 어드레스와 읽은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재생 시점 코드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재생 시점 코드가 없으면 재생 시점 코드를 기록한 후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재생 시점 코드가 있는 경우 재생 종료 시점 코드의 탐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재생 종료 시점 코드의 탐색을 선택하지 않으면 재생을 시작하고 탐색을 선택하면 재생 종료 시점 코드를 찾아 재생 시점 코드를 기록한 후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재생중에 문자 정보가 있는 경우 문자 정보의 표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문자 정보의 표시를 설정하면 문자 정보를 복호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재생중에 재생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 종료 시점 코드를 기록한 후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스위칭 신호(HSW)를 입력으로 하여 콘트롤 펄스를 생성하는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와, 이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이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콘트롤 헤드(206)에 인가함에 의해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고 재생시 그 콘트롤 헤드(206)의 검출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와, 기록시 어드레스 데이타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데이타 입력부(201)와, 이 데이타 입력부(201)의 출력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엔코더(202)와, 이 엔코더(202)의 출력 코드에 따라 상기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를 제어하여 콘트롤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콘트롤 펄스 제어부(203)와, 재생시 상기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의 출력 신호를 일정 기준값(TH1)(TH2)과 비교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폭 비교부(207)와, 이 펄스폭 비교부(207)의 출력 펄스를 원래의 어드레스 데이타로 복호하는 디코더(208)와, 이 디코더(208)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읽어들인 어드레스와 비교함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비교기(209)와, 상기 디코더(208)의 출력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0)로 구성한다.
상기 펄스폭 비교부(207)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 펄스증폭기(205)의 출력을 비반전 입력받아 반전 입력인 일정 기준값(TH1)과 비교하는 비교기(221)와, 상기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의 출력을 반전 입력받아 비반전 입력인 일정 기준값(TH2)과 비교하는 비교기(221)와,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223)와, 상기 비교기(221)(221)의 하이 출력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기(223)의 클럭 축력을 계수하여 기준 데이타와 비교함에 의해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를 출력하는 카운터(224)로 구성한다.
아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록 모드가 설정되어 사용자가 어드레스 데이타 또는 음성 정보 데이타를 데이타 입력부(201)를 통해 입력하면 엔코더(202)에서 부호화 하여 콘트롤 펄스 제어부(203)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콘트롤 펄스 제어부(203)는 엔코더(202)의 출력 코드에 따라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에서 생성되는 콘트롤 펄스의 듀티폭을 조정하기 위한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는 헤드 스위칭 신호(HSW)를 기준으로 콘트롤 펄스 제어부(203)의 출력 코드에 따라 콘트롤 펄스의 듀티폭을 조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가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의 콘트롤 펄스를 소정 레벨 증폭하면 콘트롤 헤드(206)가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게 된다.
이 후,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어드레스중 원하는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경우 콘트롤 헤드(206)가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코드를 검출하면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가 소정 레벨 증폭하여 펄스폭 비교부(207)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펄스폭 비교부(207)는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의 출력 신호를 일정 기준값(TH1)(TH2)과 듀티폭을 비교함에 의해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헤드 스위칭 신호(HSW)가 제4도(가)와 같이 발생할 때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에서 출력되는 콘트롤 신호가 제4도(나)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 된다면 펄스폭 비교부(207)는 비교기(221)가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의 출력 신호를 반전 입력단에 입력받아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된 일정 기준값(TH1)과 비교함에 의해 제4도(다)와 같은 파형의 펄스를 출력하고 비교기(222)가 상기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의 출력 신호를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받아 반전 입력단에 인가된 일정 기준값(TH1)과 비교함에 의해 제4도(라)와 같은 파형의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펄스폭 비교부(207)는 카운터(224)가 비교기(221)의 출력신호가 하이 펄스로 입력된 경우 제4도(마)와 같은 클럭 발생기(223)의 출력 클럭을 입력으로 하이 펄스의 구간을 계수하고 비교기(222)의 출력 신호가 하이 펄스로 입력된 경우 하이 펄스 구간의 계수 동작을 중지한 후 로우 펄스 구간을 계수하여 기준 데이타와 비교함에 의해 0 펄스, 1 펄스 또는 노말(N) 펄스로 구분하며 이러한 구분에 의해 제4도(바)와 같은 데이타를 디코더(208)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카운터(224)에서 구분되는 펄스는 하이 펄스 구간(T1)과 로우 펄스 구간(T2)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말(N) 펄스(T1 : 605%), 0 펄스(T1 : 502.5%), 1 펄스(T1 : 702.5%)로 구분된다.
이때, 디코더(208)가 펄스폭 비교부(207)의 출력 코드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데이타를 복호하면 어드레스 비교기(209)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어드레스 데이타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비교기(209)의 비교 결과에 의해 입력 어드레스가 읽혀진 어드레스보다 크면 고속 전진 탐색을 위하여 모터를 고속으로 정회전시키면서 탐색을 계속하고 입력 어드레스가 읽혀진 어드레스보다 작으면 후진 탐색을 위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키면서 탐색을 계속하게 된다.
만일, 어드레스 비교기(209)의 비교 결과가 입력 어드레스와 읽혀진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그 지점부터 모터를 정속 회전시키면서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기록 동작은 제6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 모드를 설정하면 데이타 입력부(201)를 점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어드레스가 있는가를 확인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한 어드레스 데이타가 있으면 엔코더(202)에서 부호화시키며, 어드레스 데이타가 없으면 상기 엔코더(202)는 기록 시작 시간(=년월일시)을 어드레스 데이타로 생성하게 된다.
이때, 엔코더(202)의 출력 코드를 입력받은 콘트롤 펄스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는 헤드 스위칭 신호(HSW)를 기준으로 콘트롤 펄스의 듀티폭을 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가 콘트롤 펄스 생성부(204)의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콘트롤 헤드(206)에 인가함에 의해 데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어드레스 코드가 기록되어진다.
여기서, 콘트롤 트랙에는 제8도와 같은 포멧으로 어드레스 코드를 기록하는데, 시작 코드를 기록한 후 기록 시작 시간인 년월일시에 해당하는 각 코드를 순차적으로 부호화한 어드레스 코드를 기록하게 된다.
상기에서 시작 코드는 초기 기록시에는 S를 기록하고 그 다음 기록시부터는 S를 기록하여 기록 위치를 구분하게 된다.
이 후, 어드레스 코드의 기록이 종료되면 음성 정보의 기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음성 정보의 기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콘트롤 헤드(206)를 통해 어드레스 코드의 뒤에 종료 코드를 기록한 후 기록 시간(T)이 일정 시간(C) 이상이면 초기에 사용자의 데이타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부터 반복 실행하게 된다.
반면, 음성 정보의 기록을 선택하면 데이타 입력부(201)를 점검하여 음성 정보 데이타가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음성 정보 데이타가 없으면 음성 정보의 기록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기의 데이타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부터 반복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음성 정보 데이타가 있는 경우 엔코더(202)에서 음성 정보 데이타를 부호화하여 콘트롤 헤드(206)를 통해 제9도의 포멧과 같이 문자 정보 코드를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문자 정보 코드는 정보 분류 코드를 기록한 후 음성 정보 데이타를 변환한 문자 코드를 기록하게 된다.
이 후, 음성 정보의 기록이 종료되면 문자 정보 코드의 뒤에 종료 코드를 기록하고 기록 시간(T)이 일정시간(C) 이상이 되면 초기의 데이타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부터 반복 실행하게 된다.
만일, 기록 시간(T)이 일정 시간(C) 이내인 경우 기록 종료를 선택되면 모든 기록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에서 숫자 또는 문자에 따른 부호화 코드는 제10도에 예시된 표와 같다.
상기에서 재생 동작은 제7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 모드를 설정하여 제6도의 기록 과정에서 기록한 어드레스 코드중 원하는 코드를 입력하고 탐색을 실행하면 시작 코드(S 또는 S')가 읽혀질 때까지 탐색을 수행한다.
이 후, 시작 코드(S 또는 S')가 읽혀지면 콘트롤 헤드(206)의 검출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한 콘트롤 펄스 증폭기(205)의 출력 신호를 펄스폭 비교부(207)가 일정 기준값(TH1)(TH2)과 비교함에 의해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디코더(208)가 복호하면 어드레스 비교기(209)는 이 읽혀진 어드레스가 입력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게 된다.
이때, 어드레스 비교기(209)의 비교 결과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읽혀진 어드레스가 입력 어드레스보다 작으면 고속 전진(FF) 탐색을 수행하고 읽혀진 어드레스가 입력 어드레스보다 크면 되감기(REW) 탐색을 수행한다.
이 후, 콘트롤 헤드(206)로 콘트롤 트랙을 탐색함에 의해 읽혀진 어드레스와 입력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디코더(208)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은 표시부(210)가 그 읽혀진 코드를 표시하게 된다.
이 후, 재생 시점 코드(P-code)가 기록되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재생 시점 코드(P-code)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콘트롤 트랙에 재생 시점 코드(P-code)를 기록한 후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 시점 코드(P-code)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를 탐색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의 탐색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그 부분부터 재생을 하며,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의 탐색을 선택하는 경우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를 탐색할 때까지 고속 전진(FF) 탐색을 수행하여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를 탐색하면 재생 시점 코드(P-code)를 기록한 후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이 후, 재생중에 문자 정보의 유무 및 재생 중지 명령의 입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문자 정보를 검출하면 재생할 것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자 정보의 재생을 선택하면 콘트롤 헤드(206)로 문자 정보를 검출하여 펄스폭 비교부(207)에서 코드로 변환한 후 디코더(208)에서 복호하여 표시부(210)의 화면에 문자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 후, 종료 코드가 검출되면 문자 정보의 표시를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 동작을 수행중에 재생 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 종료 시점 코드/
(P-end)를 기록한 후 모든 재생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1한편, 재생 도중에 이젝트(eject) 키가 눌리면 이젝트되는 부분에 현재의 년월일 데이타를 코드화하여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고 다시 재생하는 경우 그 이젝트 부분을 찾을 것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젝트 부분부터 재생을 원하는 경우 그 위치를 찾아 해당 부분부터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화시 사용자의 입력 데이타 또는 녹화 시점에 대한 년월일 데이타를 코드화하여 기록하고 재생시 어드레스만 입력하면 해당 부분을 탐색하여 재생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시 재생 시점 및 재생 종료 시점을 코드화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전의 재생 부분 다음부터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녹화시 음성 정보를 코드화하여 기록하고 재생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하는데, 그 코드화된 정보를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에 기록함으로 별도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13)

  1. 일정 포멧의 콘트롤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고 비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데이타를 입력하여 부호화하는 제1 단계와, 시작 코드, 어드레스 코드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기록 동작 시간(T)이 일정시간(C) 이상인지 판별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기록 동작 시간(T)이 일정시간(C) 이상이면 상기 제1 단계부터 반복 실행하고 기록 동작 시간(T)이 일정시간(C) 이내이면 기록 동작 시간의 계수값을 계속 증가시키는 제4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음성 정보의 기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음성 정보의 기록을 설정하면 음성 정보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음성 정보를 부호화하여 정보 분류 코드, 문자 정보 코드 및 종료 코드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정보 데이타의 입력이 없으면 현재의 년월일시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계의 시작 코드는 녹화 부분에 따라 다르게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 방법.
  5. 일정 포멧의 콘트롤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고 비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초기에 원하는 내용이 기록된 부분의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제1 단계와, 시작 코드를 검출하면 검출 어드레스와 입력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탐색 방향을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 어드레스와 입력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검출 어드레스를 표시하고 재생 위치를 결정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재생중 재생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 동작을 종료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재생중 문자 정보 코드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문자 정보 코드가 있으면 문자 정보 코드를 복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제2 단계의 탐색 방향 결정은 검출 어드레스가 입력 어드레스보다 작으면 고속 전진(FF) 탐색을 수행하고 검출 어드레스가 입력 어드레스보다 크면 후진 탐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제3 단계의 재생 위치 결정은 재생 시점 코드(P-code)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 과정과, 재생 시점 코드(P-code)가 없으면 재생 시점 코드(P-code)를 기록하고 재생을 실행하는 제2 과정과, 상기에서 재생 시점 코드(P-code)가 있으면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의 검출 여부를 판별하는 제3 과정과, 상기에서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의 검출을 선택하지 않으면 그 위치에서 재생을 시작하는 제4 과정과, 상기에서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의 검출을 선택하면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를 검출하여 재생 시점 코드(P-code)를 기록하고 재생을 실행하는 제5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재생 종료시 재생 종료 시점 코드(P-end)를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방법.
  10. 일정 포멧의 콘트롤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고 비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중 이젝트 키의 눌림을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이젝트 키가 눌리면 현재의 년월일시 데이타를 부호화하여 이젝트된 부분의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는 제2 단계와, 재생 모드가 설정되면 이젝트된 부분의 검출 여부를 판별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이젝트 부분의 검출을 선택하면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코드 데이타를 읽어 해당 위치를 판별하고 그 위치에서 재생을 실행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방법.
  11. 헤드 스위칭 신호(hsw)를 기준으로 콘트롤 펄스를 생성하는 콘트롤 펄스 생성 수단과, 이 콘트롤 펄스 생성 수단의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콘트롤 펄스 증폭 수단과, 이 콘트롤 펄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콘트롤 트랙에 기록하는 콘트롤 헤드와, 어드레스 데이타 또는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데이타 입력 수단과, 이 데이타 입력 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엔코더 수단과, 이 엔코더 수단의 출력 코드에 따라 상기 콘트롤 펄스 생성 수단을 제어하여 콘트롤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콘트롤 펄스 제어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 장치.
  12.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정보 코드를 검출하는 콘트롤 헤드와, 이 콘트롤 헤드의 검출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콘트롤 펄스 증폭 수단과, 이 콘트롤 펄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제1,제2 기준값(TH1)(TH2)와 비교하여 펄스의 듀티비를 판별함에 의해 해당 코드 데이타로 변환하는 펄스폭 비교 수단과, 이 펄스폭 비교 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복호하는 디코더 수단과, 이 디코더 수단의 출력 어드레스와 입력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모터의 구동 방향을 결정하는 어드레스 비교 수단과, 상기 디코더 수단의 출력중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펄스폭 비교 수단은 콘트롤 펄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가 제1 기준값(TH1)보다 크면 하이 펄스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와, 제2 기준값(TH2)이 상기 콘트롤 펄스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보다 크면 하이 펄스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와,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발생기와, 상기 제1 비교기에서 하이 펄스가 출력하면 상기 클럭 발생기의 출력을 기준으로 코드의 하이 펄스 구간의 폭을 계수하고 상기 제2 비교기에서 하이 펄스가 출력하면 상기 클럭 발생기의 출력을 기준으로 코드의 로우 펄스 구간의 폭을 계수하여 기준 데이타와 비교함에 의해 해당 코드 데이타를 출력하는 카운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재생 장치.
KR1019960033525A 1996-08-13 1996-08-13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20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525A KR100202583B1 (ko) 1996-08-13 1996-08-13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525A KR100202583B1 (ko) 1996-08-13 1996-08-13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16A KR19980014516A (ko) 1998-05-25
KR100202583B1 true KR100202583B1 (ko) 1999-06-15

Family

ID=1946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525A KR100202583B1 (ko) 1996-08-13 1996-08-13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45A (ko) * 2018-06-25 2020-0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료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45A (ko) * 2018-06-25 2020-0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료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11775B1 (ko) * 2018-06-25 2020-05-1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16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0196A (ko) 화상 압축 기록 매체 재생 장치
US6236801B1 (en) Video replay automation with manual control track editing
CN1112700C (zh) 视频重放自动控制装置
MXPA98000325A (en) Vi reproduction automation
KR100202583B1 (ko) 브이씨알의 정보 코드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JPS6266493A (ja) 頭出し回路
KR100891400B1 (ko) 재생장치
KR100351801B1 (ko) 디브이씨알(dvcr)의인덱스서치장치
JP3071025B2 (ja) 高速再生回路
WO1990009662A1 (fr) Procede d'enregistrement d'un signal d'insertion et detecteur relatif
KR0165300B1 (ko) 자기기록매체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JPH0437512B2 (ko)
US5646743A (en) Method for formatting a videotape and recording/reproducing to/from the formatted videotape
KR930003431B1 (ko) 디지탈 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자동곡번호 검출표시방법
JPH08107540A (ja) 圧縮映像再生装置
JPH0329837Y2 (ko)
JP3211249B2 (ja) 情報記録装置
KR19980022327A (ko) 캡션 카셋트 플레이어에서 문장단위로 반복재생방법
KR950009587B1 (ko) 카세트 테이프 정보 탐색장치
JP3211248B2 (ja) 情報記録装置
JP3104146U (ja) 記録再生装置
KR20000047314A (ko) 녹화영상의 탐색정보 생성 및 제공방법
JPS6171489A (ja) デ−タ検索装置
JPH01173462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記録再生装置
KR19990009953A (ko) 비디오 테이프의 특정위치 설정/탐색 및 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