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604B1 -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 Google Patents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604B1
KR0141604B1 KR1019890009050A KR890009050A KR0141604B1 KR 0141604 B1 KR0141604 B1 KR 0141604B1 KR 1019890009050 A KR1019890009050 A KR 1019890009050A KR 890009050 A KR890009050 A KR 890009050A KR 0141604 B1 KR0141604 B1 KR 014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anode
spot knocking
voltag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839A (ko
Inventor
게르하드 헤론크비스트 카알
Original Assignee
데니스 에이치. 얼백
알씨 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니스 에이치. 얼백, 알씨 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손 filed Critical 데니스 에이치. 얼백
Publication of KR91000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4Factory adjustment of completed discharge tubes or lamps to comply with desired tolerances
    • H01J9/445Aging of tubes or lamps, e.g. by "spot kn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제1도는 제1 전자총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제1 회로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전자총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제2 회로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통상의 방법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스포트 노킹 후, 스트레이 방사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제4도는 제2 전자총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제3 회로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의 전자총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제4 회로 배열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음극선관(CRT)23 : 페이스플레이트 패널
27 : 퍼넬29 : 넥
31 : 스템33 : 전도성 코팅
35 : 애노드 버튼37 : 히터
39 : 캐소드41 : 제어 그리드
43 : 스크린 그리드45 : 제1 집속 전극
47 : 제1 애노드49 : 제2 집속 전극
51 : 제2 애노드
본 발명은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를 스포트 노킹(Spot­Knocking)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6개의 전극을 구비한 전자총 장착 조립체를 스포트 노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RT의 제조에 있어서, CRT가 완전히 조립되고, 개스를 배기시켜 밀봉한 후에는 CRT내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기적 처리의 한 과정이 스포트 노킹이며, 여기에는 이웃한 두 전극, 통상적으로는 집속 전극과 그에 이웃한 전극 사이의 갭에 아아크(arc)를 유도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아아크는 CRT의 정상 동작시 전자의 전계 방출의 경우에 있게 되는 투사물 즉 버르(burrs) 및/또는 입자를 제거한다.
1980년 7월 29일자 특허권 Hopen의 미국 특허 제 4,214,798 호에는 쌍전위(bipotential) 또는 삼전위(tripotential) 전자총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스포트 노킹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쌍전위 전자총 구조물은 통상 히터 및 캐소드(K), 제어 그리드(G1), 스크린 그리드(G2), 단일 집속 전극(G3) 및 가끔 애노드 또는 G4로 지시되는 고전압 전극을 구비한다. 칼라 수상관의 3개의 전자총 각각에 대해 별도의 소자가 제공될 수도 있지만, 최근의 추세로는, 3개의 전자총의 G1, G2, G3 및 애노드에 대하여 공통 소자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삼전위 전자총은 집속 동작을 위해 단 하나의 전극이 아니라 3개의 집속 전극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쌍전위 전자총과 다르다. 삼전위 전자총은 통상 히터, 캐소드(K), 제어 그리드(G1), 스크린 그리드(G2), 3개의 집속 전극(G3, G4, G5) 및 G6로 지시되는 애노드를 구비한다. 상기 인용한 특허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히터, 캐소드, 제어 그리드 및 스크린 그리드는 상호 접속되며, 쌍전위 전자총 구조물에 있어서, 상호 접속된 전자총 소자들과 애노드 사이에는 스포트 노킹 전압이 인가되고, 집속 전극은 전기적으로 부동(floating) 상태로 유지된다. 삼전위 전자총은 스포트 노킹 목적에 있어서는 쌍전위 전자총과 유사하지만, G3 및 G5 집속 전극이 CRT내에서 상호 접속되고, 두 개의 별도의 스템 리드(stem lead)가 스포트 노킹시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인 G3 및 G4 전극에 접속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텔레비젼 수상관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총 조립체를 스포트 노킹하는 많은 방법이 발표되었다. 그 방법들의 대부분은 투사물, 버르 및/또는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두 전극 사이에 아아크가 일어나도록 하여, 두 소자 사이의 전자의 전계 방출이 정상 동작의 전위하에서 크게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애노드와 집속 전극(G3) 사이의 스포트 노킹을 포함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양(positive)의 요동(fluctuation)하는 DC 고전압 펄스가 상기 두 전극 사이에 가해지며, 다른 모든 전극들은 상기 인용 특허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지 전위로 유지되거나 부동상태로 된다. 이와는 달리, 애노드를 접지시키고 전자총 구조물의 나머지 부분에 음(negative)의 요동하는 DC 고전압 펄스를 가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전압 펄스의 크기, 모양 및 반복률은 사용된 스포트 노킹 장치의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스포트 노킹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압 펄스는 정현파이며, 선형 전압의 표준(normal) 진동으로부터 유도된다. 상기 정현파는 임의의 최소값을 갖는 양의 DC 레벨 또는 접지 전위 레벨에서 가장 낮은 부분을 갖는 반파이거나, 가장 낮은 부분이 접지 전위 레벨에서 클램핑된 전파(full wave) 일 수 있다. 간혹 볼갭(ballgap)을 통한 캐패시터의 방전으로부터 유도되는 초고속 상승 시간을 가지며 짧은 지속 시간을 갖는 펄스들이 이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전류 펄스는 가끔 100 암페어(A)를 초과한다. 이러한 펄스와 관련된 전원이 고전압이더라도 각 펄스의 지속시간(통상 1μs 이하)은 유도된 아아크의 에너지를 수상관의 소자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레벨로 제한하게 된다. 스포트 노킹을 위해 사용되는 펄스의 유행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유저들은 애노드에 음의 펄스가 가해지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최근, 쌍전위 및 삼전위 타입의 집속 소자들 상에 점차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스크린상의 전자 스포트의 집속에 있어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더 높은 동작 전위로 인하여, 가끔 집속 전극(G3)과 스크린 그리드(G2) 사이에 스포트 노킹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삼전위 타입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집속 그리드들(G3, G4, G5) 사이에 스포트 노킹을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미국 특허 제4,052,766호(Maskell 등에게 1977년 10월 11자로 특허됨)에 기재된 다른 스포트 노킹 방법에서는, 초고진폭 RF 버스트(burst)가 G2 와 G3 전극 사이의 스포트 노킹에 사용되는 비교적 저진폭인 요동 DC 펄스에 가해진다. 이 방법에 있어서, 요동 DC 스포트 노킹 전압 펄스는 삼전위 전자총의 G3 및 G5 전극으로 스템 리드를 통해 도입되며, RF 버스트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템 리드의 나머지를 통해 도입된다. 스템 리드가 서로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피크 DC 전압을 제한된 효율을 갖는 비교적 낮은 값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스템 리드의 외부 부분 사이의 전기적 브레이크 다운을 방지하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른 스포트 노킹 방법은 Daldry 등에게 1987년 7월 2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82,96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6개의 그리드를 갖는 CRT에 대한 두 단계의 조절 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정상 동작시에는 G2 및 G4 전극이 비교적 저전압에 상호 접속되며, G3 및 G5 집속 전극은 더 높은 전위에서 상호 접속되며, 애노드(G6)는 최고위 전위에서 동작한다. 일반적인 조절 과정은 애노드에 고전압 DC를 인가하고, 상호 접속된 G2 및 G4 전극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히터, 캐소드 및 G1 전극은 상호 접속되어서 부동 상태로 된다. G3와 G5 전극도 또한 상호 접속되어서 부동 상태로 된다. 두 번째의 처리 공정 중에, 히터, 캐소드 및 G1 내지 G5 전극은 모두 펄스 전압에 연결되며 고전압 DC는 애노드에 인가된다.
상술한 몇가지 스포트 노킹 방법이 히터 및 캐소드에 부가하여 6­소자 전자총과 관련되어 있지만, 이들중 어느 것도 2중 쌍전위 전자총 또는 2개의 스크린 그리드와 2개의 집속 전극을 구비한 6­소자 전자총을 조절하기 위한 적당한 수단은 제공하지 못한다. 2중 쌍전위 전자총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히터, 캐소드(K), 제어 그리드(G1), 스크린 그리드(G2), 제1 집속 전극(G3), 제1 애노드(G4), 제2 집속 전극(G5) 및 제2 애노드(G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집속 전극(G3, G5)은 약 7kV에서 동작하고, 제1 및 제2 애노드(G4, G6)는 약 25kv에서 동작한다. 6­소자 전자총 구조물 중 한 유형은 히터 및 캐소드 이외에도 제어 그리드(G1) , 제1 스크린 그리드(G2), 제1 접속 전극(G3), 제2 스크린 그리드(G4), 제2 집속 전극(G5) 및 애노드(G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크린 그리드(G2, G4)는 통상적으로 약 300V 내지 1000V에서 동작하고, 제1 및 제2 집속 전극(G3, G5)은 약 7kV에서 동작하며, 애노드(G6)는 약 25kV에서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히터, 캐소드, 제어전극,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전극, 제1 집속 전극, 제2 집속 전극 및 애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총 소자를 구비한 진공 CRT 내의 전자총 정착 조립체를 스포트 노킹하는 방법은 상기 애노드와 상기 제1 집속 전극 사이에 스포트 노킹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의 전자총 소자들은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트 노킹 방법은 전자빔을 조사하여 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극 및 캐소드를 구비한 CRT의 모든 형태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은 동일 전위에서 동작한다. CRT의 전자 총 장착 조립체에는 단일 전자총 또는 복수의 전자총이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총을 구비하는 경우에, 그 전자총들은 특정의 기하학적 배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컬러 텔레비전에서와 같이, 3개의 전자총을 구비하는 경우에, 그 전자총들은 공지되어 있는 델타 배열(delta array)또는 인라인 배열(inline array)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형태의 2중 쌍전위 전자총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2중 쌍전위 전자총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히터, 캐소드, 제어 그리드 전극(G1), 스크린 그리드 전극(G2), 제1 집속 적극(G3), 제1 애노드 전극(G4), 제2집속 전극(G5) 및 제2 애노드 전극(G6)을 구비한다. 각각의 소자들이 CRT의 3개의 전자총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지만 최근의 경향은 유리제 지지 로드(도시 생략)에 부착된 고통의 소자들을 사용하고 있다. 2중의 쌍전위 전자총에 있어서, 집속 전극(G3, G5)은 통상적으로 약 7kV의 제1 전압에서 동작하고, 애노드(G4, G6)는 약 25kV의 제2 전압에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2중 쌍전위 전자총은 정상 동작시에 G3 및 G5 전극이 약 7kV의 공통 전압에서 동작한다 하더라도, G3 및 G5 전극이 별도의 리드 단자에 접속되도록 충분한 개수의 리드 단자(또는 핀)를 구비한 유리제 스템(도시 생략)을 사용한다. 진공 상태의 수상관 엔벨로프의 바깥으로 나온 각각의 리드 단자들은 본 발명의 스포트 노킹 방법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1도는 진공 CRT의 개량적인 단면도이며, 이CRT는 내부면상에 발광성의 시청용 스크린(25)을 지지하는 페이스플레이트 패널(23)을 구비한다. 페이스플레이트 패널(23)은 퍼넬(27)의 대형 단부와 밀봉되게 접속되고 넥(29)은 퍼넬(27)의 소형 단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넥(29)은 스템(31)으로 밀페되며, 퍼넬(27)의 내부면은 애노드 버튼(25)과 접촉하는 전도성 코팅(33)으로 덮여있다. 넥(29)은 2중 쌍전위 전자총 장착 조립체를 수용하는데, 이 전자총 장착 조립체는 3개의 2중 쌍전위 전자총을 구비하며, 그 중 하나만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전자총 장착 조립체는 여러 가지의 전자총 소자들을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유리제 지지 로드(도시생략)를 포함한다. 각 전자총의 전자총 소자로는 히터(37), 캐소드(39), 제어전극(G1)(41), 스크린 전극(G2) (43), 제1 접속 전극(G3) (45), 제1 애노드(G4) (47), 제2 집속 전극(G5) (49) 및 제2 애노드(G6) (51)등이 있따. 제1 및 제2 애노드(47, 51)는 각각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 애노드(51)는 또한 스너버(53)에 의해 전도성 코팅(33)에 접속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히터(37), 캐소드(39), G1 전극(41), G2 전극(43) 및 G5 전극(49)은 각각의 스템 리드 단자(55)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템 리드단자(55)들은 스템(31)을 통해 외부로 연장한다. G3 전극(45)은 스템을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별도의 G3 리드 단자(57)에 접속되어 있다. 스포트 노킹시에 스템(31)과 스템 리드 단자들(55.57)은 베이스(도시 생략) 내로 삽입되고, 리드 단자(55)은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로 된다. 짧은 지속시간과 고속 상승시간을 갖는 고주파 전압 펄스원(59)은 소켓과 접지(63) 사이의 소켓 리드 단자(61) 내에 삽입된다. 펄스는 약 350 KHz의 주파수를 갖는 92 내지 150kV사이의 AC 전압을 갖는다. 애노드 버튼(35)은 애노드 리드 단자(65)를 통해서 약 45kV 전위의 전압원(67)에 접속된다. 애노드 전위는 내부에서 상호 접속된 애노드(47)와 애노드(51)에 인가된다. 도시 생략된 배이스는 G3 단자(57)의 CRT 바깥 부분을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절연 사일로(insulating silo)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베이스는 1978년 2월 28일자 특허된 Wardell, Jr 등의 미국 특허 제4,076,336호와 1978년 11월 28일자 특허된 marks의 미국 특허 제 4,127,313호에 개시되어 있다. 펄스원(59)으로부터의 고주파 전압은 아아크를 조성하여 고전압을 부여함으로써, 전극 근처의 가스 분자들을 효율적으로 이온화시키고, 이 가스 이온 및 아아크가 서로 대면하는 전극들의 표면으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부스러기(debris)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다른 스포트 노킹 방법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며, 동일한 소자에는 제1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스포트 노킹시에, 스템(31) 및 스템 리드 단자(55,57)는 베이스(도시 생략)에 삽입되며, 리드 단자(55)는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로 된다. 제1도의 방법과 달리 소켓리드 단자는 G3 리드 단자(57)를 접지(63)에 직접 접속시킨다. 애노드 버튼(35)은 애노드 리드 단자(65)를 통해서 저주파 펄스 스포트 노킹 전압원(167)에 접속된 다음 접지(63)에 접속된다. 전압원(167)으로부터의 펄스는 처음에 접지 전위로부터 약 ­35±5kV의 피크치로 증가하며, 약 90 내지 120초 경과후에는 ­60±5kV의 피이크치로 증가한다. 이러한 펄스는 약 60Hz 주파수를 갖는 반파정류 AC 전압을 갖는다. AC 전압의 (+) 부분은 접지 전위로 클램프된다. 펄스의 전체 지속 시간은 0.1 내지 0.2초(6 내지 12 사이클)의 범위에 있으며, 시간 간격은 0.5 내지 1.0초의 범위에 있다.
제3도는 무선 주파수 스포트 노킹(radio frequency spot­knocking:RFSK)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RFSK는 G3 및 G5 전극을 부동 상태로 하고, 히터, 캐소드, G1 및 G2 전극을 접지시키며, 제2도의 방법에서의 스포트 노킹 전압을 애노드 버튼 (35)에 인가하여 실행하였다. 강화된 RFSK는 제2도의 방법에 따라 실행되었으며, 이 때 히터, 캐소드, G1, G2 및 G5 전극은 부동 상태로 하고, 단지 G3 전극만을 접지시켰다 제2도의 방법에 의한 스포트노킹 전압에 애노드 버튼(35)에 인가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G3 및 G5 집속 전극은 그 전극으로부터의 가시적인(스트레이) 방사(약 40nA 이상)를 유도하는 일 없이 최고 29kV 전압(소멸전압 VEXT)에서 동작하는 반면, 정상적인 스포트 노킹 처리된 전극들은 22kV 이상의 전압에서 스트레이 방사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스포트 노킹 방법은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히터 및 캐소드를 포함하지 않는 6­소자 전자총 구조물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는데, 제4도는 내면상에 발광성의 시청용 스크린(125)이 설치된 페이스플레이트 패널(123)을 포함하는 진공 CRT (121)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페이스플레이트 패널(123)은 퍼넬(127)의 대형 단부와 밀봉되게 접속되고 넥(129)은 퍼넬의 소형단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넥(129)은 스템(131)에 의해 폐쇄된다. 퍼넬(127)의 내부면은 애노드버튼(135)과 접촉하는 전도성 코팅(133)으로 덮여 있다.
넥(129)은 3개의 전자총을 포함하는 6­소자 전자총 장착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전자총 중 1개만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전자총 장착 조립체는 여러 가지의 전자총 소자들을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유리제 지지 로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자총은 히터(137), 캐소드(139), 제어전극(G1)(141), 제1스크린 그리드(G2) (143), 제1 집속 전극(G3) (145), 제2 스크린 그리드(G4) (147), 제2 집속 전극(G5) (149) 및 애노드(G6) (151)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크린 그리드(143, 147)는 각각 내부에서 상호 접속되고, 동전위에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집속 전극(145, 149)은 이하 기술하는 바와 같이 스포트 노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스템 리드 단자를 구비한다. 애노드(151)는 스너버(153)에 의해 전도성 코팅(133)에 접속된다. 이러한 형태의 전자총은 1988년 8월 16일자로 New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64,704호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히터(137), 캐소드(139), G1 전극(141), 상호접속된 G2 및 G4 전극(143,147) 및 G5 전극(149)은 각각의 스템 리드 단자(155)에 접속되고 이 리드 단자(155)들은 스템(131)을 통해 외부로 연장한다. 또한 G3 전극(145)은 스템을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별도의 리드 단자(157)에 접속된다. 스포트 노킹시에, 스템(131)과 스템 리드 단자(155,157)들은 베이스(도시생략)내로 삽입되며, 리드 단자(155)는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로 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짧은 지속 시간과 고속 상승 시간을 갖는 고주파 전압 펄스원(59)은 소켓과 접지(63) 사이에서 소켓 리드 단자(61)내로 삽입된다. 펄스는 약 350kHz의 주파수와 92 내지 150kV 사이의 AC 전압을 갖는다. 애노드 버튼(135)은 애노드 리드 단자(165)를 통해 약 45kV 전위의 전압원(67)에 접속된다. 전압원(67)은 또한 제1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애노드 전위는 애노드(151)에 인가된다. 도시 생략한 베이스는 G3 리드 단자(157)의 CRT 바깥쪽 부분을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격리하는 절연 사일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베이스는 상기 인용한 미국 특허 제4,076,366호와 제4,127,313호에 설명되어 있다. 펄스원(59)으로부터의 고주파 전압은 아아크를 형성하여 고전압을 부여함으로써, 전극들 근처의 가스 분자를 효과적으로 이온화시키고, 그 가스 이온 및 아아크는 서로 대향하는 전극들의 표면으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부스러기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스포트 노킹의 또다른 방법이 제5도에 도시되는데, 제5도의 구조물은 제4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동일한 소자에 대해서는 제4도에서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다. 스포트 노킹시에, 스템(131)과 스템 리드 단자(155,157)는 베이스(도시 생략)내로 삽입되며, 리드 단자(155)는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로 된다. 제4도의 방법과는 달리, 소켓 리드 단자는 G3리드 단자(157)를 직접 접지(63)에 접속시킨다. 애노드 버튼(135)은 애노드 리드 단자(165)를 통해서 저주파 펄스 스포트 노킹 전압원(167)에 접속된 다음접지(63)에 접속된다. 전압원(167)으로부터의 펄스는 처음에 접지 전위로부터 약 ­35±5kV의 피크치로 증가하고, 약 90내지 120초 경과 후에는 약 ­60±5kV의 피크치로 증가한다. 상기 펄스는 약 60Hz의 주파수를 갖는 반파 정류 AC전압을 갖는다. AC 전압의 (+) 부분은 접지 전위로 클램프된다. 펄스의 전체 지속 시간은 0.1 내지 0.2초(6 내지 12사이클)의 범위에 있으며, 시간 간격은 0.5내지 1.0초의 범위에 있다

Claims (5)

  1. 진공 CRT 내에 설치되며, 히터, 캐소드, 제어전극,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그리드, 제1집속 전극, 제2 집속 전극 및 애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총 소자를 구비한 전자총 장착 조립체를 스포트 노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47,51;151)와 상기 제1 집속 전극(45;145) 사이에 스포트 노킹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자총 소자들(37, 39, 41, 43, 49 ; 137, 139, 141, 143, 147, 149)은 전기적으로 부동 상태로 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포트 노킹 전압은 두 개의 애노드(47,51) 중 하나와 상기 제1 집속 전극(45) 사이에 인가되고, 상기 두 개의 애노드는 상기 제2 집속 전극(49)의 양측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스포트 노킹 전압은 두 개의 스크린 그리드(143,147) 사이에 있는 제1 집속 전극(145)과 상기 애노드 사이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속 전극(45;145)은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5.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속 전극(45;145)은 짧은 지속 시간과 고속 상승 시간을 갖는 고주파 전압 펄스원(5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KR1019890009050A 1988-06-29 1989-06-29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KR0141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455488A 1988-06-29 1988-06-29
US214,554 1988-06-29
US07/336,609 US4883438A (en) 1988-06-29 1989-03-29 Method for spot-knocking an electron gun mount assembly of a CRT
US336,609 1989-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839A KR910001839A (ko) 1991-01-31
KR0141604B1 true KR0141604B1 (ko) 1998-06-01

Family

ID=2690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050A KR0141604B1 (ko) 1988-06-29 1989-06-29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83438A (ko)
EP (1) EP0349251B1 (ko)
JP (1) JPH0246625A (ko)
KR (1) KR0141604B1 (ko)
CN (1) CN1016025B (ko)
CA (1) CA1316978C (ko)
DE (1) DE68915344T2 (ko)
HK (1) HK1004025A1 (ko)
IN (1) IN171659B (ko)
PL (1) PL162199B1 (ko)
RU (1) RU201037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2004A1 (en) 1991-01-07 1992-07-23 Multiform Desiccants, Inc. Oxygen-absorbing label
DE69401244T2 (de) * 1993-07-12 1997-05-22 Toshiba Kawasaki Kk Verfahren zum Ausbrennen von Fehlerstellen bei einer Elektronenkanonenstruktur einer Kathodenstrahlröhre
KR970008286A (ko) * 1995-07-28 1997-02-24 구자홍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100321287B1 (ko) * 1999-07-24 2002-03-18 윤종용 프로젝션 텔레비젼 수신기내 광학시스템
CN102087946B (zh) * 2009-12-02 2012-02-29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提高阴极热子组件加热效率的结构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3992A (fr) * 1972-01-14 1973-05-02 Rca Corp Tube a rayons cathodiques
US4052776A (en) * 1976-09-30 1977-10-11 Zenith Radio Corporation Method of spot-knocking an electron gun assembly in a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US4076366A (en) * 1977-05-18 1978-02-28 Rca Corporation High voltage electron tube base with separate dielectric fill-hole
US4127313A (en) * 1977-05-18 1978-11-28 Rca Corporation High voltage electron tube base with drip relief means
JPS542651A (en) * 1977-06-08 1979-01-10 Toshiba Corp Aging method for cathode-ray tube
US4326762A (en) * 1979-04-30 1982-04-27 Zenith Radi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pot-knocking television picture tube electron guns
US4214798A (en) * 1979-05-17 1980-07-29 Rca Corporation Method for spot-knocking the electron-gun mount assembly of a CRT
JPS5678044A (en) * 1979-11-30 1981-06-26 Hitachi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athode-ray tube
US4395242A (en) * 1981-08-19 1983-07-26 Rca Corporation Method of electrically processing a CRT mount assembly to reduce afterglow
US4515569A (en) * 1983-04-22 1985-05-07 Rca Corporation Method of electrically processing a CRT mount assembly to reduce arcing and afterglow
JPS6079640A (ja) * 1983-10-07 1985-05-07 Sony Corp 陰極線管の製造方法
US4682963A (en) * 1985-03-20 1987-07-28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High voltage processing of CRT mounts
US4764704A (en) * 1987-01-14 1988-08-16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JP2688602B2 (ja) * 1990-12-14 1997-12-10 株式会社ノダ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86018B2 (ko) 1993-12-09
DE68915344D1 (de) 1994-06-23
CN1016025B (zh) 1992-03-25
EP0349251A2 (en) 1990-01-03
IN171659B (ko) 1992-12-05
RU2010378C1 (ru) 1994-03-30
HK1004025A1 (en) 1998-11-13
EP0349251B1 (en) 1994-05-18
DE68915344T2 (de) 1994-12-08
EP0349251A3 (en) 1991-01-16
CA1316978C (en) 1993-04-27
JPH0246625A (ja) 1990-02-16
PL162199B1 (pl) 1993-09-30
CN1039146A (zh) 1990-01-24
KR910001839A (ko) 1991-01-31
US4883438A (en) 198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3134B2 (ja) 陰極線管の処理方法
US4214798A (en) Method for spot-knocking the electron-gun mount assembly of a CRT
KR0141604B1 (ko) Crt의 전자총 장착 조립체의 스포트 노킹 방법
US4515569A (en) Method of electrically processing a CRT mount assembly to reduce arcing and afterglow
EP0195485B1 (en) High voltage processing of crt mounts
RU2654494C1 (ru) Вакуумный искровой разрядник
US4883437A (en) Method for spot-knocking an electron gun mount assembly of a crt utilizing a magnetic field
JP2641461B2 (ja) 陰極線管のエージング方法
EP045421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US468296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JPS63304546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10071908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19703B1 (ko) 음극선관 장치
KR0148784B1 (ko) 아크 억제수단을 가진 음극선관
SU48561A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 фототоков большой частоты
SU468327A1 (ru) Вакуумный разр дник
JPS6089037A (ja) 陰極線管
JPH0785801A (ja) サイラトロン
JPH04334851A (ja) 電子銃
KR20030062459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S59148246A (ja) 電子銃電極構体
JPS61294733A (ja) 製造時に電子銃の電極を加熱する方法
JPH11224608A (ja) 陰極線管の高電圧処理方法
JPH097522A (ja) 陰極線管のノッキング方法と陰極線管
KR20010017763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