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06743A1 -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06743A1
WO2024106743A1 PCT/KR2023/015110 KR2023015110W WO2024106743A1 WO 2024106743 A1 WO2024106743 A1 WO 2024106743A1 KR 2023015110 W KR2023015110 W KR 2023015110W WO 2024106743 A1 WO2024106743 A1 WO 20241067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ime
rpm
temperature value
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1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강현
홍기학
공대경
김종은
송재호
신성수
유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483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72814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1067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06743A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밸브, 밸브에서 압력이 감소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증발기와 열교환 과정을 통해 기 설정된 온도로 조절되는 저장실,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가 최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압축기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압축기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온도의 감지 없이 최적화된 압축기의 구동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 또는 음료 등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냉장고가 이용된다. 냉장고는 냉매가 순환하며 냉각 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냉각부를 통해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 온도를 상온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압축기는 전기 소비량이 많아 상시 켜져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켜졌다 꺼졌다 반복하여 냉장고 내부가 설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밸브, 상기 밸브에서 압력이 감소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 과정을 통해 기 설정된 온도로 조절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지 않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지 않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값 이상이면, 제3 시간동안 상기 압축기가 제1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가 제2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제1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3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4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RPM은, 상기 제4 RP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 및 제2 기 설정된 시간의 차이를 식별하고, 상기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5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6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5 RPM은, 상기 제6 RP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온도 값은, 상기 제3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 값은, 상기 제2 온도 값 및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5 온도 값은,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를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값 이상이면, 제3 시간동안 상기 압축기를 제1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를 제2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제1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3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4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3 RPM은, 상기 제4 RP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 및 제2 기 설정된 시간의 차이를 식별하고, 상기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를 높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를 낮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된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5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6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5 RPM은, 상기 제6 RP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된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를 높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를 낮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를 낮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를 높은 RPM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온도 값은, 상기 제3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 값은, 상기 제2 온도 값 및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5 온도 값은,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를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 예의 양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각부를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첫번째 구동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두번째 구동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압축기의 다음 싸이클 RPM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세번째 이후 구동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압축기의 다음 싸이클 RPM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내부의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음식 또는 음료를 보관하는 냉장 보관 장치일 수 있다. 냉장고(1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된 복수의 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저장공간은 냉동실, 냉장실, 주류보관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냉장고(100)는 내부에 마련된 저장공간에서 음식 또는 음료를 사용자가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문 및 사용자가 문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문에 부착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노즐을 냉장고(100)의 외부 표면에 포함하고, 냉장고(100) 내부에 정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냉장고(100)는 노즐을 통해 온수, 냉수, 얼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냉장고(100) 외부 표면에 디스플레이(130-1) 또는 스피커(130-2)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130-1) 또는 스피커(13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냉장고(100) 내부에 저장된 음식 또는 음료, 저장실(17) 내부의 온도 등에 관한 정보 또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냉매가 순환하며 냉각 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11), 응축기(14), 팽창 밸브(15) 및 증발기(16)로 이루어진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냉매를 순환하켜 냉장고(100) 외부 및 외부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냉각부를 통해 냉장고(100) 내부의 저장 공간 온도를 상온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냉각부를 구성하는 압축기(11), 응축기(14), 밸브(15) 및 증발기(1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부 내부의 냉매는 압축기(11), 응축기(14), 밸브(15), 증발기(16) 순으로 이동하고, 응축기(14)에서 외부 대기와 열교환 할 수 있고, 증발기(16)에서 냉장고(100) 내부의 저장실(17)과 열교환 할 수 있다.
압축기(11)는 실린더(13), 피스톤 및 모터(12)를 통해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압축기(11)는 전기 소비량이 많아 상시 켜져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 온도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켜졌다 꺼졌다 반복하여 냉장고(100) 내부가 설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압축기(11)가 1회 켜졌다가 꺼지는 동작을 하나의 구동 싸이클로 지칭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압축기(1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기(11)는 원통형 또는 구형의 하우징 내부에 실린더(13), 피스톤 및 모터(12)를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11)는 모터(12)를 통해 동력을 전달 받고, 모터(12)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이 실린더(13) 내부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압축기(11)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통해 실린더(13) 내부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다만, 압축기(11)의 냉매 압축 과정은 실린더(13)와 피스톤을 이용하는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압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터(12)는 압축기(11) 내부에 마련되어 압축기(11)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압축기(11)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모터(12)일 수 있다.
냉장고(100)는 압축기(11)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유로를 통해 응축기(14)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14)에서 액체 상태로 응축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한다.
냉장고(100)는 응축된 냉매를 유로를 통해 이동시켜 밸브(15)를 통과시킬 수 있다. 냉매는 밸브(15)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후 냉장고(100)는 압력이 저하된 냉매를 유로를 통해 증발기(16)로 이동시키고, 증발기(16)에서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기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증발기(16)는 냉장고(100) 내부의 저장실(17)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증발기(16)는 냉장고(100) 내부의 저장실(17)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가 기화하게 된다.
냉장고(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를 제어하여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며, 이 때 외부 온도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외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냉각부를 제어한다.
하지만 냉장고(100)가 외부 온도센서(110)를 포함하게 되면, 외부 온도센서(110)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외부 온도센서(110)가 고장나는 경우, 냉장고(100) 내부의 온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냉장고(100)에 저장된 음식 또는 음료가 상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냉장고(100) 외부 온도센서(110)가 아닌 냉장고(100) 내부의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냉각부를 제어하는 방식은 한정된 조건의 압축기(11) 운전시간, 한정된 압축기(11) RPM을 기초로만 이루어져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외부 온도센서(110)를 구비하지 않고도 모든 압축기(11) 운전시간 및 모든 압축기(11) RPM 범위에서 냉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 동작을 스스로 모니터링하여 상황에 맞는 능동적이고 최적화된 냉장고(100) 내부의 온도 조절 방식의 모색이 요청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센서(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130-1) 또는 스피커(130-2)로 이루어진 출력부(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카메라(160), 마이크(17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이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온도센서(110)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센서(110), 예컨대, 모션 센서(110), 제스처 센서(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냉장고(100)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 사용자 위치, 사용자 제스처 등)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냉장고(100) 내부 온도센서(110)를 통해 저장실(17) 내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냉장고(100) 내부 온도센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17) 내부 각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17)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 프로세서는 모션 센서(110) 또는 제스처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움직임, 제스처 등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프로세서의 호출에 따라서 저장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한다. 또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의 연산, 처리 또는 제어 동작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자적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억장치는 롬(ROM) 및/또는 램(RAM)과 같은 반도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롬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롬,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및/또는 마스크롬(MASK-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램은 예를 들어, 디램(DRAM) 및/또는 에스램(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플래시 메모리(120) 장치, SD(Secure Digital)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 자기 드럼, 컴팩트 디스크(CD), 디브이디(DVD) 또는 레이저 디스크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자기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냉장고(100)의 전반적인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압축기(11)의 운전시간, 압축기(11)의 구동 RPM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실(17) 내부의 설정 온도의 복수의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 메모리(120)는 압축기(11)의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또는 알림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130-1) 또는 스피커(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PDP(Plasma Display Panel) 패널, 무기 LED 패널, 마이크(170)(150)로 LED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130-1)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1)는 터치 패널과 함께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1)는 2D 형태의 정사각형, 직사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3D 입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1)는 냉장고(100) 외부 표면, 문의 외부 표면 등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는 압축기(11)의 구동 RPM, 압축기(11)의 운전시간, 하나 이상의 저장실(17) 내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냉장고(100)의 제어에 대한 다양한 G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1)를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130-2)는 고음역대 소리 재생을 위한 트위터, 중음역대 소리 재생을 위한 미드레인지, 저음역대 소리 재생을 위한 우퍼, 극저음역대 소리 재생을 위한 서브우퍼, 공진을 제어하기 위한 인클로저, 스피커(130-2)에 입력되는 전기 신호 주파수를 대역 별로 나누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130-2)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0-2)는 멀티미디어 재생, 녹음 재생, 각종 알림음,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스피커(130-2)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오디오 출력 단자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피커(130-2)는 획득한 정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공·생산한 정보,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 결과 또는 동작 결과 등을 음성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130-2)는, 음향 신호를 냉장고(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0-2)는 멀티미디어 재생, 녹음 재생, 각종 알림음,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스피커(130-2)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오디오 출력 단자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피커(130-2)는 획득한 정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공·생산한 정보,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 결과 또는 동작 결과 등을 음성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압축기(11)의 구동 RPM, 압축기(11)의 운전시간, 하나 이상의 저장실(17) 내부의온도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3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냉장고(100) 압축기(11)의 구동 시작 및 종료를 알리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30-2)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0),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40)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무선 통신 기술이나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술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캔(CAN) 통신, 와이 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광대역 통신(UWB, ultrawide band),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기술 로는, 3GPP, 와이맥스(Wi-Max), LTE(Long Term Evolution), 5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달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통신 칩 및 기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실시 예에 따라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0)만을 포함하거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4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0)에 의한 무선 접속과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40)에 의한 유선 접속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된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한 가지 방식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한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하는 경우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압축기(11)의 운전시간, 압축기(11)의 구동 RPM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냉장고(100) 제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버튼(button), 레버(lever), 스위치(switch), 터치(Touch)형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형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30-1)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로 입력을 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압축기(11)의 운전 및 구동 RPM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카메라(160)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60)는 적외선 카메라(160)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압축기(11)의 운전시간 및 구동 RPM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적외선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냉장고(100)가 위치한 공간의 온도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11) 운전시간 및 구동 RPM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식별된 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11)의 운전시간을 증가시키고 구동 RPM을 높일 수 있다.
마이크(170)는 소리를 획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콘덴서 마이크(170), 리본 마이크(170), 무빙코일 마이크(170), 압전소자 마이크(170), 카본 마이크(170),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170)일 수 있다. 또한, 무지향성, 양지향성, 단일지향성, 서브 카디오이드(Sub Cardioid), 슈퍼 카디오이드(Super Cardioid), 하이퍼 카디오이드(Hyper Cardioid)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170)를 통해 다양한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170)를 통해 획득된 음성에 포함된 사용자 명령 또는 질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식별된 사용자 명령 또는 질의에 기초하여 압축기(11)의 운전시간 및 구동 RPM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냉장고(100)의 내부의 설정 온도를 더 낮은 온도로 설정할 것을 명령하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의 운전시간을 증가시키고, 압축기(11)의 구동 RPM을 높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상술한 바와 메모리(1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과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PU (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 (Many Integrated C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NPU (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 모두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제 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온 칩(On-chip) 메모리(120)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는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11)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RPM은 압축기(11)의 가용 구동 RPM 중 최대 구동 RPM일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냉장고(100)의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0)일 수 있다.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온도 값은 제1 온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프로세서는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온도 값은 제2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온도 값은 제3 온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프로세서는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온도 값은 제4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프로세서가 저장실(17) 내부의 온도 및 압축기(11)의 운전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후 압축기(11)의 구동 RPM을 제어하는 동작은 도 5 내지 도 9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11)의 첫번째 구동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초기온도가 제1 온도 값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510). 초기온도는 프로세서가 압축기(11)를 구동하는 모터(12)를 제어하기 직전의 냉장고(100) 저장실(17) 내부의 온도일 수 있다. 제1 온도 값은 40℃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온도일 수 있다.
저장실(17) 내부의 초기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S510-N),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RPM은 압축기(11)의 가용 구동 RPM 중 최대 구동 RPM일 수 있다.
저장실(17) 내부의 초기온도가 제1 온도 값 이상이면(S510-Y), 프로세서는 제3 시간 동안 압축기(11)가 제1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530). 이후, 프로세서는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압축기(11)가 제2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540). 제2 RPM은 제1 RPM보다 클 수 있다.
즉, 압축기(11)의 첫번째 구동 싸이클에선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1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압축기(11)의 구동 부하가 과도하여 압축기(11)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순차적인 다단 상승 방식으로 압축기(11)의 구동 RPM을 제어하는 것이다. 반면,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압축기(11)의 구동 부하가 과도해질 가능성이 낮아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낮추기 위해 압축기(11)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RPM은 압축기(11)의 가용 구동 RPM 중 최대 구동 RPM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550).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이면(S550-Y),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560). 여기서, 제2 온도 값은 제1 온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이 아닌 경우(S550-N),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압축기(11)의 첫번째 구동 싸이클이 진행되는 동안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초기온도에서 제2 온도 값으로 낮아질 때까지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면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이므로 더 이상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11)의 두번째 구동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은 식별할 수 있다(S610).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620). 여기서, 제3 온도 값은 제2 온도 값도 클 수 있다. 즉,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에 도달한 이후 압축기(11)의 구동이 멈추고,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여 제3 온도 값에 도달할 수 있다.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S620-Y), 프로세서는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630).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S620-N),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식별된 제1 시간이 제1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제3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식별된 제1 시간이 제1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제4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RPM은, 제4 RPM보다 클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가 압축기(11)의 다음 싸이클 RPM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1 시간이 120분 이상인 경우(710),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RPM은 압축기(11)의 가용 구동 RPM 중 최대 구동 RPM일 수 있다.
이전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1 시간이 80분 이상이고 120분 미만인 경우(720),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중간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1 시간이 80분 미만인 경우(730),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절전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 RPM은 중간 RPM보다 작은 RPM으로 전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압축기(11)의 구동 RPM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식별된 제1 시간 및 제2 기 설정된 시간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제2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거나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5분, 10분, 15분 등일 수 있고, 제2 기 설정된 시간은 0시간, 10초, 1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별된 제1 시간 및 제2 기 설정된 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프로세서는 다음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하고 차이가 작을수록 다음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모든 RPM범위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보다 세밀한 압축기(11) 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첫번째 싸이클 동안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초기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제1 시간일 때, 제1 시간이 길수록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이므로, 두번째 싸이클에서 보다 큰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하여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시간이 짧을수록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데 짧은 시간이 걸린 것이므로, 두번째 싸이클에서 보다 작은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하여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전기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640).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이면(S640-Y),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650).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이 아니면(S640-N),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4 온도 값은 제3 온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까지 낮아지면,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11)의 세번째 이후 구동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S810).
프로세서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20). 여기서, 제5 온도 값은 제4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S820-Y), 프로세서는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830).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S820-N),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저장실(17) 내부가 제4 온도 값에 도달하여 압축기(11)의 구동이 멈춘 후, 다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5 온도 값 이상이되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를 재가동하여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제2 시간이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제5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하고, 식별된 제2 시간이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프로세서는 압축기(11)가 제6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RPM은, 제6 RPM보다 클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가 압축기(11)의 다음 싸이클 RPM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3%인 경우(91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과 동일한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3% ~ +6%인 경우(92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보다 50RPM 큰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6% ~ +12%인 경우(93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보다 100RPM 큰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12%보다 큰 경우(94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보다 200RPM 큰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이 목표 운전시간보다 길수록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이므로 다음 싸이클에서는 압축기(11)를 보다 큰 RPM으로 구동하여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6% ~ -3%인 경우(95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보다 50RPM 작은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12% ~ -6%인 경우(96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보다 100RPM 작은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에서 목표 운전시간을 뺀 차이 값이 -12%보다 작은 경우(970), 프로세서는 이전 싸이클보다 200RPM 작은 RPM으로 다음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전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를 구동한 제2 시간이 목표 운전시간보다 짧을수록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데 더 짧은 시간이 걸린 것이므로 다음 싸이클에서는 전기 에너지 소비를 적정량으로 낮추기 위해 압축기(11)를 보다 작은 RPM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프로세서는 제2 시간 및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압축기(11)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하고 제2 시간 및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압축기(11)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식별된 제2 시간이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프로세서는 제2 시간 및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압축기(11)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하고 제2 시간 및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압축기(11)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다음 압축기(11) 구동 싸이클에서 압축기(11)의 RPM을 몇 개의 불연속적인 값으로만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모든 RPM 범위에서 압축기(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11)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RPM은 압축기(11)의 가용 구동 RPM 중 최대 구동 RPM일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냉장고(100)의 저장실(17)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0)일 수 있다(S1010).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1020). 여기서, 제2 온도 값은 제1 온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S1030).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냉장고(100)는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1040). 여기서, 제3 온도 값은 제2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압축기(11)가 구동하지 않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1050). 여기서, 제4 온도 값은 제3 온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S1060).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17)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냉장고(100)는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압축기(11)가 구동하도록 모터(12)를 제어할 수 있다(S1070). 여기서, 제5 온도 값은 제4 온도 값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냉장고에 있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밸브;
    상기 밸브에서 압력이 감소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 과정을 통해 기 설정된 온도로 조절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지 않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지 않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값 이상이면, 제3 시간동안 상기 압축기가 제1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가 제2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큰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제1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3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4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RPM은,
    상기 제4 RPM보다 큰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 및 제2 기 설정된 시간의 차이를 식별하고,
    상기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5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제6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5 RPM은,
    상기 제6 RPM보다 큰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가 낮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가 높은 RPM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값은,
    상기 제3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 값은,
    상기 제2 온도 값 및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5 온도 값은,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큰 냉장고.
  8.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를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값 이상이면, 제3 시간동안 상기 압축기를 제1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를 제2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큰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제1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3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4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3 RPM은,
    상기 제4 RPM보다 큰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시간 및 제2 기 설정된 시간의 차이를 식별하고,
    상기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를 높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를 낮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5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를 제6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5 RPM은,
    상기 제6 RPM보다 큰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를 높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를 낮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이 상기 목표 운전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압축기를 낮은 RPM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목표 운전시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압축기를 높은 RPM으로 구동하는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값은,
    상기 제3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3 온도 값은,
    상기 제2 온도 값 및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크고,
    상기 제5 온도 값은,
    상기 제4 온도 값보다 큰 냉장고.
  15.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저장실 내부의 초기 온도가 제1 온도 값 미만이면, 압축기를 기 설정된 RPM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제2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1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 1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4 온도 값으로 식별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 값에서 제4 온도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제5 온도 값 이상이면, 상기 식별된 제2 시간의 길이 및 목표 운전시간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RPM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CT/KR2023/015110 2022-11-17 2023-09-27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1067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39 2022-11-17
KR1020220154839A KR20240072814A (ko) 2022-11-17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743A1 true WO2024106743A1 (ko) 2024-05-23

Family

ID=9108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110 WO2024106743A1 (ko) 2022-11-17 2023-09-27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1067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948A (ko) * 1998-12-10 2000-07-05 구자홍 인버터 냉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JP2002230634A (ja) * 2001-01-29 2002-08-16 Fuji Electric Co Ltd 圧縮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7194195A (ja) * 2016-04-19 2017-10-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7702427A (zh) * 2017-07-26 2018-02-1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压缩机转速控制方法和系统、计算机设备、冰箱
JP6373168B2 (ja) * 2014-11-10 2018-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948A (ko) * 1998-12-10 2000-07-05 구자홍 인버터 냉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JP2002230634A (ja) * 2001-01-29 2002-08-16 Fuji Electric Co Ltd 圧縮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373168B2 (ja) * 2014-11-10 2018-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17194195A (ja) * 2016-04-19 2017-10-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7702427A (zh) * 2017-07-26 2018-02-1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压缩机转速控制方法和系统、计算机设备、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7171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voice recognizing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7160076A1 (ko) 음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WO2011074917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mobile device
WO2014092486A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16080747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18143711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nsing data to electronic device
WO20181108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18591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4106743A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250300A1 (en) A metho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for acquiring a floor map of a room layout
WO20210207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108029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60023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24197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72941A1 (ko) 영상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12865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028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devices and positions of devices in an iot environment
WO2016036227A1 (ko) 셋탑 박스, 그를 이용한 IoT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112308A1 (en) Electronic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98864A1 (ko)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WO2021112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of mobile device on display device
KR20240072814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022913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84831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4080606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