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6316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6316A1
WO2024096316A1 PCT/KR2023/014273 KR2023014273W WO2024096316A1 WO 2024096316 A1 WO2024096316 A1 WO 2024096316A1 KR 2023014273 W KR2023014273 W KR 2023014273W WO 2024096316 A1 WO2024096316 A1 WO 20240963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unit
ventilation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2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형
강형하
장진혁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6932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61563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963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63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deodorize, dry, and remove wrinkles from clothing.
  • clothing treatment devices include a washing machine that wets clothes in water and turns them into a wet cloth and then removes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chemical action of detergent and physical action such as drum rotation, and a dryer that dries the clothes in the wet cloth using hot air and steam.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 a heat pump or heater can generally be used to dry laundry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using a heat pump dehumidifies humid air using an evaporator and condenser, then heats it again and supplies dry, high-temperature air to the clothing.
  • Heat pumps are superior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because they can produce high-temperature heat using a smaller amount of energy than heaters.
  • a heat pump can dehumidify humid air or heat the air through a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 Refrigerants include natural refrigerants, 1st generation CFC (Chlorofluorocarbon), 2nd generation HCFC (Hydro Chlorofluorocarbon), 3rd generation HFC (Hydrofluorocarbon), 4th generation HFO (Hydrofluoroolefin), etc. It can be divided into: Among these, CFC and HCFC series refrigerants, which are classified as Freon gases, are known to be major substances that destroy the ozone layer and are regulated by the Montreal Protocol.
  • HFC series do not have side effects such as ozone layer destruction, but they are global warming substances.
  • a representative refrigerant is R-134a.
  • HFC-based refrigerants are designated as global warming substances by the Montreal Protocol, their use is gradually being restricted. Accordingly, HFO-based refrigerants with low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are emerging as next-generation refrigerants.
  •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 GWP indicates the extent to which other greenhouse gases contribute to global warming based on the impact of carbon dioxide on global warming. in other words. It means the solar energy absorption of 1kg of individual greenhouse gas divided by the solar energy absorption of 1kg of carbon dioxide. It is an index of the warming effect per unit mass. For example, when the GWP of carbon dioxide is 1, the GWP of methane is 21, the GWP of nitrous oxide is 310, the GWP of hydrofluorocarbons is 1300, and the GWP of sulfur hexafluoride is 23900.
  • R-290 is a high-purity propane gas and is flammable and combustible.
  • Prior literature related to preventing ignition of refrigerant include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1769.
  •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heat pump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 Disclosed is a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operates a fan according to a preset time regardless of leakage to prevent ignition of refrigerant.
  •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 Figure 1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dryer that removes moisture from wet clothing.
  • th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 has a cabinet 11 that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n input port 12 on the front, a door 13 that opens and closes the input port 12, and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 to store clothes. It includes a receiving drum 14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that rotates the drum 14. Additionally, the cabinet 11 includes an input unit 15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control commands, and a display unit 16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the user. Inside the cabinet 11, a duct (see FIG. 2) that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drum 14 and a heat pump (see FIG. 2) that dehumidifies and heats the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may be provided.
  • Figure 2 shows the inside of a cabinet where the duct and heat pump of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are installed.
  •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uct 20 through which air in the drum 14 circulates, an evaporator 21, and a condenser 22 installed inside the duct 20. Additionally,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ompressor 23 that compresses the flammabl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evaporator 21 and the condenser 22. Additionally,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ooling fan 24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to cool the compressor 23. Additionally,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drum driving unit 25 for generating power to rotate the drum (see FIG. 1).
  •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proposes a method of utilizing the cooling fan 24 to prevent the flammable refrigerant from concentrating in one place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when the flammable refrigerant leaks.
  • the cooling fan 24 By operating the cooling fan 24 to form an internal airf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flammable refrigerant from increasing. This may lower the possibility of ignition.
  •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uses a cooling fan 24 to create an airflow inside a space where refrigerant leakage is expected.
  • the cooling fan 24 it is desirable to create an airflow of as high a flow rate as possible in the compressor 23. Accordingly, the cooling fan 24 is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mpressor 23 to form an air flow in the compressor 23.
  • the cooling fan 24 may be a box fa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extends parallel to the ground.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a general design matter that an airflo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is generated by the cooling fan 24.
  • flammable refrigerants such as R-290 have high density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leaked flammable refrigerant is spread to the floor due to its natural density.
  • the cooling fan 24 i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mpressor 23, the farther away the cooling fan 24 is located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the less air flow is generated. Natural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low of air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oling fan 24 is insufficient to dilute the refrigerant.
  • the main function of the cooling fan 24 in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to cool the compressor. And, as an additional use method of the cooling fan 24, dispersing the refrigerant by generating an air current is started.
  • the general use environment is for the cooling fan 24 to form an airflow that can reach the compressor as a whole. Forming an airflow concentrated at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may not be considered a general use environment for the cooling fan 24. Therefore, in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oling fan 24 to focus on dispersing the refrigerant located at the bottom rather than cooling the compressor.
  •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had the motivation to lower the density of the refrigerant by generating an airflow, but considering the basic function of the structure to generate an airflow, by concentrating the airflow in the lower part of the space, the refrigerant lying in the lower part of the space was reduced. There were limits to dispersing or diluting.
  •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cannot provide technical details on how to effectively disperse the refrigerant lying at the bottom of the space when the refrigerant leaks in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using a highly dense flammable refrigerant such as R-290. There were limits.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explosion due to leakage of flammable refrigerant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heat pump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figuration for more effectively ventilating the refrigerant stacked at the bottom when a dense flammable refrigerant is stacked at the bottom of a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efficiently use a limited space by us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vice for ventilating flammable refrigerant.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flow path for discharging a highly dense flammable refrigerant more eff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intensively ventilate areas where flammable refrigerant is likely to explode due to spark gen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preemptively ventilate the refrigerant using a ventilation unit before operating all electrical components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sion of flammable refrigerant.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effectively ventilates leaking refrigerant by ventilating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whe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efrigerant leaking.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perform a safety course in which the ventilation unit is activated before the main course is performed.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have a part of the ventilation part for discharging leaked refrigerant to the outsid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art.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place a ventilation unit below the compressor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so that areas whe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plosion of flammable refrigerant can be intensively ventilated.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can more effectively ventilate high-density refrigerant by forming a ventilation passage on the bottom of the base.
  •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first chamber for accommodating clothing therein, and a second chamber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cabinet. , a circulation passage portion located inside the second chamber to circulate the air of the first chamber,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inside the second chamber, and a circulation passage portion locat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It includes a heat exchange unit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nit and the flammable refrigerant,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and circulates the flammable refrigerant, and a ventilation unit that discharges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chamb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the bottom of the base unit.
  • the ventil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base unit and a ventilation hole penetrating the base unit, and may include a ventilation fan that moves internal air of the second chamber to the ventilation hole.
  • the ventilation fan may move air above the base to the bottom of the base.
  • the ventilation fan is located below the compressor and can guide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chamber to an exhaus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et.
  • the ventilation hole may form a ventilation passage so that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chamber flows to the ventilation fan.
  • the ventil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and include an exhaust passage that guides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the discharge passage may guid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to the rear of the cabinet.
  • the discharge passage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ompressor.
  •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compressor to be installed, and the ventilation hole may include a compressor through-hole that penetrates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ventilation fan may be disposed in the compressor through hole.
  • a compressor ventila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to sequentially connect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the ventilation fan, and the discharge passage.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mpressor, and the base part is disposed below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 the ventilation hole may include a control unit penetration hole penetrating one side facing the discharge passage among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may communicate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with the bottom of the base unit.
  • a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to sequentially connect the control unit through hole, the ventilation fan, and the discharge passage.
  •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unit.
  •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and the ventilation hole may include a piping portion through hole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support surface facing the control portion through hole.
  • the pipe through-hole may communicat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 a piping ventilation passag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to sequentially connect the piping through hole, the ventilation fan, and the discharge passage.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and the ventilation portion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heat exchange portion.
  • the ventilation unit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top of the control unit.
  • the ventilation unit includes a ventilation fan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ventilation fan may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 the ventilation fan may intake ai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discharge ai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 the ventilation unit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and may include a diesel oi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hole and the discharge passage.
  • the circulation flow path may include a water collection portion in which water condensed in the heat exchanger is stor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iesel oil flow path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collecting part.
  •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unit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sel oil passage.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mpressor, the base unit is disposed below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 the diesel oil passage may overlap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 the flammable refrigerant may be R-290.
  •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first chamber for accommodating clothing therein, a second chamber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cabinet, and a second chamber located inside the second chamber.
  • a circulation passage portion locat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to circulate the air of the first chamber, a heat exchange portion locat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and a flammable refrigerant,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nd circulating the flammable refrigerant, and It is installed lower than the heat exchange unit and may include a ventilation unit that circulates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or exhausts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first chamber for accommodating clothing therein, a second chamber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cabinet, and a second chamber located inside the second chamber.
  • a circulation passage part that is located to circulate the air of the first chamber, a base part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inside the second chamber, and a base part that is locat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and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and the flammable refrigerant.
  •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nd circulating the flammable refrigerant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chamb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may include a ventilation unit that exhausts air inside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explosion by effectively discharging flammable refrigera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discharging high-density refrigerant by intensively ventilating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nt leak area.
  • the present invention uses limited space more efficiently by compactly arranging the ventilation unit,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from expand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tensively ventilating areas where flammable refrigerant is likely to explode due to spark gen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explosion of refrigerant in advance by operating the ventilation unit before operating other electrical equip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ventilating leaking refrigerant by ventilating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whe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efrigerant leak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ventilating leaked refrigerant by performing a safety course in which the ventilation unit is operated first before performing the main course.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chine room of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 Figure 3 shows the appearanc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the structure of a machine room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shows a base portion and a circulation passa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the machine room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shows a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shows a cross-s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viewed from the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shows a cross-s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shows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and the ventila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shows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and the ventila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ntilation unit located on the compresso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0 shows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FIG. 20.
  • Figure 22 shows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FIG. 22.
  • Figure 3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00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400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0.
  • the door 400 includes a main body 410 that forms the front of the cabinet 100, and an installation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410 on which a display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an be installed. It may include (420).
  •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provided to form a step 430 from the main body 410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100.
  •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arranged to overlap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410. Accordingly, the step 430 can function as a handle.
  •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or color than the main body 410. Additionally,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at allows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to pass through.
  • a manipulation unit 500 through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400.
  • a user's command can be input to the manipulation unit 500 through a physical button.
  • the manipulation unit 500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so that user commands can be input.
  • manipula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isplay.
  • the manipulation unit 500 may display the user's manipulation status through a display.
  • control unit 500 can display the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display.
  • an inner case 200 including a first chamber 220 that accommodates clothing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0.
  • 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10 at the front through which clothing enters and exits, and the opening 210 may be shielded by the door 400.
  • the first chamber 220 may be defin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space as shown in the drawing.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chamber 220 may also be defined by a cylindrical drum. That i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hamber in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or dryer including a drum.
  • the inner case 200 may be made of a plastic resin series, and may be made of a reinforced plastic resin series that is not deformed by ai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air, heat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t air), steam, or moisture. .
  • the inner case 200 may form a first chamber 220 in which clothing is accommodated.
  • the first chamber 220 may be referred to as a receiving space.
  • the inner case 200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include an input port 210 through which clothing enters and exits. Clothing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220 or taken out of the first chamber 220 through the inlet 210.
  • 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longer than the width. As a result, the clothing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hamber 220 without being folded or wrinkled.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500 that can hold clothing in the first chamber 220 of the inner case 200.
  • the mounting portion 500 may include a hanger portion 5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o hold clothing.
  • the clothing When the clothing is mounted on the hanger 510, the clothing may be placed suspended in 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220.
  • the mounting portion 5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520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0 and can secure clothing.
  • the hanger portion 51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to support a hanger on which clothing is mounted. Additionally, as shown, the hanger unit 51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anger so that clothing can be directly mounted. Additionally, the hanger portion 51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or unit capable of vibrating the hanger unit 5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ttached to clothing.
  • the mounting portion 500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520 provided on the door 400 to press and secure the clothing.
  • the pressing unit 520 may include a support unit 522 tha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0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clothing, and a pressing unit 521 that presses the clothing supported on the support unit 522. there is.
  • the pressing portion 521 may be mov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522 or may be provided to move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522 .
  • the pressing part 521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522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0.
  • the pressing portion 521 and the supporting portion 522 may press both sides of the clothing to remove wrinkles from the clothing and create intended creases.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one or more of hot air or steam to the first chamber 220, or a second chamber 300 in which various devices are installed to purify or dehumidify the external air of the cabinet 100.
  •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called a machine room. That is, in this specification, the machine room and the second chamber may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arranged separately or partitioned from the inner case 200 and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220.
  •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chamber 220. That is,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placed below the inner case 200. In other words, the machine room may b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Accordingly, when hot air and steam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are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the hot air and steam can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clothing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220.
  • the interior of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terior of the inner case 200.
  •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a heat exchange unit 330 that dehumidifies or heats air.
  •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a compressor 340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heat exchange unit 330.
  • the heat exchange unit 330 may be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that dehumidifies and heats air through refrigerant circulation.
  • the heat supply unit 330 When the heat supply unit 330 is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it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mber 220 and supply it to the first chamber 220. The detailed structure is described later.
  •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a steam supply unit 380 capable of supplying steam to the inner case 200.
  • the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provided to directly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he detailed structure is described later.
  • a water tank 301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a water tank 302 that collects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heat supply unit 340. It can be provided.
  • the water tank 301 and the water tank 302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chamber 300.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installed without regard to the water supply source or drainage source.
  • a drawer 303 that is withdrawn and retracted forward and has a separate first chamber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drawer 303 may store a steam generator or an iron.
  •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the process of supplying air or moisture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shows the air supply process
  • Figure 4(b) shows the moisture supply process.
  • Figures 4(a) and 4(b) can be viewed a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mechanism rather than showing the specific location of each component. That is,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shown in FIGS. 4(a) and 4(b) may be changed.
  • FIG. 4(a) it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220 can be circulated.
  •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220 and a second chamber 300.
  •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chamber 220.
  •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10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220 and a second chamber 300 by the inner case 200.
  • the door 4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0.
  • the door may form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220. That is, the first chamber 220 may mean a space formed by the inner case 200 and the door 400.
  • the inner case 20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1, 232, and 233 penetrating one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machine room 300.
  • Air from the first chamber 220 may be supplied to the machine room 300 through the through holes 231, 232, and 233, and at least one of hot air or steam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300 may be supplied to the machine room 300. It can be supplied as one chamber (200).
  • the through hole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nd has an inlet hole 231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discharged or sucked into the machine room 300, and an inlet hole 231 of the inner case 200. It may include an discharge hole 232 through which hot air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urface.
  •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t an angle to the ground and facing the hanger unit 5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on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inner case 200.
  • the inlet hole 231 may be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ccordingly, the inlet hole 231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hole 23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nlet hole 231 may be disposed on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inner case 200.
  •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hole 231 and an outlet hole 232 that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220 and the second chamber 300.
  • the inlet hole 231 and the outlet hole 23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se 200.
  • the front of the inner case 200 may be opened to form an inlet 210 through which clothing can be taken in and out.
  • a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that circulates the air in the first chamber 22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300.
  • a portion of the heat exchange unit 3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That is, an evaporator 331 and a condenser 3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a compressor 340 and an expansion valve 334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compressor 340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and supply it to the condenser 332.
  •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340 may be a flammable refrigerant. In particular, the refrigerant may be R-290.
  • a fan installation unit 350 may b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the fan installation portion 350 may form one passage.
  • 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353.
  • the blowing fan 353 is rotated by a motor and can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220 and the second chamber 300.
  • air circulation may occur between the first chamber 220 and the second chamber 300.
  • the compressor 340 operates to compress the refrigerant.
  •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340 may be supplied to the condenser 332.
  • the refrigerant may be returned to the compressor 340 via the condenser 332, expansion valve 334, and evaporator 331.
  • the air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from the first chamber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vaporator 331 and is cooled.
  •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may be removed during the cooling process.
  •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31 may contact the condenser 332.
  • Air in contact with the condenser 332 may be heated.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332 may pass through the blowing fan 353 and be supplied back to the first chamber 220.
  •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220 is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nd can be used to dry or deodorize clothing stored therein.
  •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331 may be moved to the sump 302.
  • Various methods, such as pumps and natural discharge, can be applied to move the condensed water to the sump 302.
  • the drain tank 30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hamber 300. When the water tank 302 is full, the user can remove the water tank 302 and discard the water.
  • a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Additionally, a water tank 301 that store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300. The steam supply unit 380 can generate steam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301.
  • the through hole may include a steam hole 233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supply unit 380 is supplied.
  • the steam hole 233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hole 232.
  • the steam supply unit 380 may include a heating unit 381 that heats water to generate steam, and a steam supply passage 382 that guides the steam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381 to the first chamber 220. there is.
  • the steam supply passage 382 may be connected to a steam hole 23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220.
  • the heating unit 381 heats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301 to generate steam.
  • the generated steam may move into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steam supply passage 382 and the steam hole 233. That is, steam can be supplied into the first chamber 220 through the above path.
  • the steam supply unit 380 is shown as being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hamber 300, but the drawing simply shows the existence of the steam supply unit 380. In an actu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placed at various locations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 Figure 5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chamb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is a view of the second chamber 300 from the front
  • Figure 5(b) is a view of the second chamber 300 from the rear.
  • components may be placed to supply hot air to the clothing processing space, circulate air inside the clothing processing space, supply steam to the clothing processing space, or purify the air outside the cabinet. there is.
  •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a base portion 310 that supports various devices or arranges a space for installation.
  • the base portion 310 can provide an area where various devices can be installed.
  • the base portion 310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outside the inner case 200 or the cabinet 100 moves.
  • the base portion 3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base portion 310 may refer to any structure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300 that supports various components or provides a surface o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 the entire injection molded product excluding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mong the integrally formed injection moldings may be referred to as the base portion 310.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provided in a case shape with an open top,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 exchange portion 330 may be disposed therein.
  • heat exchangers 331 and 3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cluded within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Additionally, a compressor 340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s 331 and 332 may be included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heat exchangers 331 and 33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or may heat the air to generate hot air.
  • an external air duct 370 for sucking in external air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duct 370 and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suck in outside air.
  • the water tank and the drain tank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water tank 301 and the drain tank 302 may be placed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air duct 370.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base portion 310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Meanwhile,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art 310.
  • the base portion 310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s one piece.
  •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a base cover 36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the inlet hole 231.
  • the base cover 36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air sucked in from the inlet hole 231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base cover 360 can block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to block the air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cover 3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form a passage surface through which air moves within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together.
  •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refer to a portion exposed when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is viewed from above.
  • 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n inlet portion 362 connecting the inlet hole 231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inlet portion 362 is provided in a duct shape and may function as an intake duct that delivers air from the first chamber 220 to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installed with a steam supply unit 380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01 to receive water, generate steam, and supply it to the inner case 200.
  • the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placed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cover 360.
  • the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disposed behind the inlet part 362.
  • the second chamber 300 may include a fan installation part 35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and the first chamber 220.
  • 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accommodates a blowing fan 353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air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in one direction, and accommodates the blowing fan 353 and operates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It may include a fan housing 351 coupled to or extending from.
  • 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may include a discharge duct 352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the discharge hole 232.
  • the discharge duct 352 may be provided in the fan housing 351 with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232 and extending toward the discharge hole 232.
  • 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220 flows in through the base cover 360, passes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chamber 220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 can be supplied internally.
  • the base portion 310 may support the compressor 340.
  • the base portion 310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where the compressor 340 that supplies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s 331 and 332 is installed.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control unit 390 that control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unit 310.
  • the control unit may be called a control panel or PCB board.
  • the base unit 3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control unit 390 is installed.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located below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form a space into which the control unit 390 can be inserted.
  • the control unit 390 may be provided to control all electronically controlled components, such as the compressor 340, the steam supply unit 380, and the blowing fan 353.
  • control unit 390 Since the control unit 39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base unit 310,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90 can be cushioned. Additionally, since the control unit 390 is placed close to all electronic components, the occurrence of control errors such as noise can be minimized.
  • a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a control portion 39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ccordingly,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duct between the steam supply part 380 and the control part 390. Accordingly, flow resistance of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can be minimized.
  •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the outside air duct 370, the steam supply part 380, the control part 390, the heat exchange part 330, and the compressor 340 are installed or arranged in a module format in the base part 310. It can be.
  • the base portion 31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aintained by being pulled in and out of the second chamber 300 forward or backward.
  • Figure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and circulation passage por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ortion 310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viewed from the front
  • FIGS. 6(b) and 6(c) are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ortion 310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 the base portion 310 may be installed on a base cabinet that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eanwhile, the base portion 310 may itself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base portion 310 may include a base bottom portion 311 that forms a support surface.
  • the base bottom portion 311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dditionally, the base bottom portion 31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0, which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is, the base bottom portion 31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abinet.
  • the base portion 31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which forms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and can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220.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base bottom portion 311.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includes a passage body 321 extending from the base bottom 311 to form a passage, and a space in which an evaporator 331 or a condenser 332 is installed inside the passage body 321. It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and an air discharge part 32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euro body 321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euro body 321 is discharged.
  •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ip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low path body 321.
  • the diameter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323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low path body 321.
  •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350.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guided into the inner case 200 or the first chamber 220 through the fan housing 350.
  •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may include an external air intake part 322 form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low path body 321.
  • 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duct 370.
  • the outdoor air duct 370 may be seated and supported in front of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external air intake part 322. By opening and closing the damper, it is possible to allow or block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compressor 340 is installed.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1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ottom portion 311.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pressor 340.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base unit 310.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overlaps the air discharge part 323 in the width direction.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be equipped with a buffer memb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ressor 340.
  • the buffer member may be fixed to the protrusion.
  • the base unit 3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where the control unit 390 is installed.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bottom portion 311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bottom part 3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rovided in a duct shape that is open at either the front or the rear at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will be described later.
  • Figure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extend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310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evaporator 331 and the condenser 332 are installed.
  •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euro body 321.
  • the euro body 32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can be installed by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euro body 321.
  • the upper opening of the flow path body 321 may be shielded by the base cover 360, and the base cover 360 and the flow path body 321 may form a flow path of the circulation flow path portion 320. there is.
  • the front surface of the euro body 3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front surface of the euro body 3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1.
  • the base bottom portion 311 can secure a floor support surface 3111 on which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water tank 301 or drain tank 302 and the outdoor air duct 370 are installed and supported.
  • the heat exchange unit 330 includes an evaporator 331 install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and provided as a heat exchanger that cools and dehumidifies the air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and the evaporator 331 ) may include a condenser 332 provided as a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air passing through to form hot air.
  • the compressor 340 may supply refrigerant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air to the condenser 332.
  • the compressor 3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eanwhile, i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valve 334 that expands and cools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332.
  • the euro body 321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base portion 310, the height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can be secured, and the height of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can also be increased. can be increased.
  • the width of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refrigerant pipes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low loss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evaporator 331 and the condenser 332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Accordingly,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half the length of the euro body 321.
  •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can b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outside air intake part 322, there is sufficient space for the outside air and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flow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can be secured.
  • the interior of the euro body 321 may include an installation partition 3211 that separates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from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 installation part 3212.
  • the installation partition 321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flow path body 321 and support the front of the evaporator 331.
  • the euro body 321 may be expanded in width based on the installation partition 3211 and extend rearward.
  •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may be greater than half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310.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greater than half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width of the condenser 332 and the width of the evaporator 331 may also be greater than half the total width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fan housing 351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condenser 332 or the evaporator 331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ccording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331 and the condenser 332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351 without bending the flow path. In other words, the air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flow loss because the passage is not bent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fan housing 351.
  • the piping forming the condenser 332 or evaporator 331 must form a continuous passage.
  • one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bent. It is composed in a nested form.
  • the part where the pipe is bent may be formed as a U-shaped pipe (C1).
  • the U-shaped pipe (C1) can connect between one straight pipe (L11) and another straight pipe (L12).
  • the straight pipes (L11, L12) and the U-shaped pipe (C1) can be connected through a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Through this, the straight pipes (L11, L12) and the U-shaped pipe (C1) will be able to form one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 the welded area may be vulnerable to refrigerant leakage.
  • the joint area is not formed as a single piece from the time of production, but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and then randomly combined, so it may be relatively vulnerable to pressure or temperature.
  •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340 flows in the pipe forming the condenser 332,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 vulnerable to leakage.
  • an expansion valve 334 and a compressor 340 connected to the condenser 332 or evaporator 331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334 and the compressor 340 is also the same as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340 and the expansion valve 334 through a pipe.
  •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are placed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then the condenser 332 and the evaporator 331 are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pipe extending from the evaporator 331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334 or compressor 340 through welding.
  • the reason micro cracks or pin holes occur in the coupling portion C2 may be stress caused by mechanical vibration or defective welding.
  •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the out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air flow.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 U-shaped pipe (C1) inside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circulates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 refrigerant leaked from a joint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is highly likely to remain outside the circulation passage. In other words,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 out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deposi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due to its high density. Therefore, the concentration can be maintained at a high level,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gnition.
  • Figure 8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a) shows an area where the refrigerant is expected to be dense when a highly dense flammable refrigerant leaks from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8(b) to 8(e) schematically show the possibility of refrigerant dispersion when the venti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different ways.
  •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220 and a second chamber 300.
  •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220 and a second chamber 300 by the inner case 200.
  • the part directly related to refrigerant leakage can be viewed as the second chamber 300. Therefore, the following will focus on the second chamber 300 in relation to the arrangement of the ventilation unit 600.
  • a base portion 31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300.
  • the base portion 310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base unit 310 may be placed on the top of the base cabinet.
  • the leaked refrigerant may flow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and accumu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due to the density of the refrigerant.
  • the stacking area of the refrigerant is expressed as 'R' in the drawing. If refrigerant is stacked and stagnant, the refrigerant density in that area may increase.
  • Refrigerants such as R-290 are considered to have no risk of explosion if the refrigerant concentration is maintained below 0.5%. In other words, even if the refrigerant leaks, if the refrigerant is dispersed and the concentration is lowered to 0.5% or less, the risk of explos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a ventilation unit 600 that creates an airflow may be plac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be placed in the base unit 310.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 ventilation fan 620 that generates air flow.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ventilation fan 620,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refrigerant may vary significantly.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n exhaust passage 630 that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 ventilation hole 610 penetrating the base unit 310. The ventilation hole 610 may communicate with area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310.
  • a ventilation fan 620 is erected on the base portion 310. That is,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is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310. It is assumed that the ventilation fan 620 is provided as a box fan.
  • a box fan may mean that the inflow and discharge directions of air are the same. In other words, the airflow formed by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310.
  • the part marked 'R1' in the drawing can be understood as an area where airflow is generated by the ventilation fan 620 and the refrigerant is dispersed.
  • the part marked 'R1' can be understood as an area with a low risk of explosion.
  • the part marked 'R2' in the drawing indicates an area where the influence of the generated air flow is not sufficient even though the air flow is generated by the ventilation fan 620.
  • the part marked 'R2' on the drawing can be understood as an 'explosion risk area' where the concentration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despite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620.
  • the ventilation fan 620 when the ventilation fan 620 forms an airflo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310, the airflow may not be sufficiently formed in the lower area of the ventilation fan 620. Therefore, a region where the concentration of flammable refrigerant remains high may remain.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arranged to be seated on the base portion 310.
  •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310.
  •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00.
  • the ventilation fan 620 is formed as a centrifugal fan.
  • a centrifugal fan may refer to a fan in which air inflow and air outflow directions are different.
  • it may refer to a Sirocco fan in which air flows in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xis.
  • the refrigerant at the top of the base portion 310 flows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310 and is then dischar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310.
  • the discharge side of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630. That is, the air located above the base part 310 may be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310.
  • a dangerous area R2 a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genera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ventilation fan 620.
  • the ventilation fan 620 is placed as shown in FIG. 8(c), there is a risk of not being able to sufficiently ventilate the flammable refrigerant.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arranged to be seated on the base portion 310.
  • the arrangement of the ventilation fan 620 itself may be the same as in FIG. 8(c). However, in FIG. 8(c), air may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whereas in FIG. 8(d), air may flow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 ventilation hole (not shown) penetrating the base unit 310.
  • the refrigeran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may flow into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or the inside of the base portion 31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610. Air passing through the bottom or inside of the base portion 310 may flow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 the refrigerant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is moved to the bottom or inside of the base portion 3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It can be. That is, the stacked refrigerant can primarily move to a space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Therefore, compared to what is shown in FIGS. 8(b) and 8(c),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reducing the dangerous area where refrigerant is concentrated.
  • the ventilation fan 620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base part.
  • the refrigerant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310 flows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and then flow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part 310. may be discharged.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formed inside the base portion 310 or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ventilation fan 620 is arrange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8(e), the refrigerant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In addition, the ventilation fan 620 can effectively remove the hazardous area because it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can move to a lower space.
  • the refrigerant when ventilating the refrigerant, if not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but als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is used,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effectively. In other words, there is an effect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explosion by minimizing the remaining refrigerant.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310 may be understood to mean two areas divided by the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310. That is,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ase unit 310 may be arranged up and down based on a specific partition, and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ase unit 310 may be arranged left and right based on a specific partition.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utilizing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to ventilate the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 ventilation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area located closer to the ground among the areas divided by the structure of the base part 310 as a flow path.
  •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may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00.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fan 620 may suck ai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fan 620 may discharge ai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 the meaning of discharging ai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can be expressed as the fact that the air intake direction and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fan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but intersect.
  • being perpendicular may mean not being physically perpendicular, but intersecting, that is, not being parallel.
  • Figure 9 shows a ventilation unit arranged in a different structure from Figures 8(b) to 8(e).
  • a region R where flammable refrigerant is stacked is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hamber 300.
  • the ventilation fan 620 is shown as sucking in air toward the top and discharging air toward the bottom. That is,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310. In other words, the rotation axis 620r of the ventilation fan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00.
  • the structure shown in FIG. 9 is similar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8(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is different.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portion 310. That is, the ventilation fan 620 can suck air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ventilation fan 620 when the ventilation fan 620 is installed in this structure, there is a risk that ventilation efficiency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below the base portion 310.
  • the base portion 310 is shown as being installed on uneven ground such as a rug.
  • the ground on which the base portion 310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fibers
  • the area where air is discharged is shielded by the fibers.
  • the outlet side of the ventilation fan 620 is blocked by lint or fiber, preventing smooth ventilation of the refrigerant.
  • the ventilation fan 620 is arranged to discharge air downward as shown in FIG. 9, it may be considered to sufficiently separate the point from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the ground.
  •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discharge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chamber 30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through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be disposed in the base unit 310.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 ventilation fan 620 that moves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move the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move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to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 ventilation hole 610 (see FIG. 11) penetrating the base unit 310. Penetrating the base portion 310 may mean penetrating the base bottom portion 311. It may also mean penetrating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or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the fact that the ventilation hole 610 penetrates the base part 310 means that the ventilation hole 610 communicates with both areas divided by the structure constituting the base part 310. You can.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move the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300 to the ventilation hole 610.
  • the ventilation fan 620 can move air above the base part 310 to the ventilation hole 610.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move air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310 to the bottom of the base part 31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610.
  •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may mean a surface exposed to the user when the base portion 31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may mean a surface that is shielded by the ground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ase portion 3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both sides of the partition is the upper side or the base of the base part 310. It can be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of unit 310.
  • the sid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among the two sides of the partition or the sid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mong the two sides of the partition may be defined a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310 may refe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 the exposed surface can be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 the non-exposed surface can be defined as the bottom or lower surface.
  • the ventilation fan 620 can move air above the base part 310 to the bottom of the base part 310.
  • the ventilation fan 620 can move air from one area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o another area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based on the base part 310. That is, the ventilation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by moving the flammable refrigerant stacked in one area of the base unit 310 from one area of the base unit 310 to another area due to the high density.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n discharge passage 630 that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to the cabinet 100.
  •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310.
  •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is recessed upward. Additionally,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maintained open.
  • a base cabinet 100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may be placed below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cabinet 100 to form a tube shape.
  • the discharge passage 630 is provided in an exposed form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That is,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formed inside the base portion 310.
  • the discharge passage 630 has a discharge passage inlet 631 provided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and a discharge passage outlet (631)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ortion 310. 632) may be included. Additionally,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include a moving passage 633 connecting the discharge passage inlet 631 and the discharge passage outlet 632.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discharge air toward the rear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inlet 631, passes through the moving passage 633,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outlet 632. You can.
  • an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63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open for air discharge.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ternal noise, etc. may escape through the open area. That is, when the discharge passage 630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to the rear of the cabinet, the open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630 will be located at the rea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340.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placed below the compressor 340. The ventilation fan 620 can suck air from the top and discharge air to the side.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compressor is a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area, so the possibility of refrigerant leaking from the compressor is significantly high.
  • the vicinity of the compressor may correspond to an area with a high possibility of refrigerant leakage.
  • the ventilation fan 620 is installed near the compressor, it can ventilate an area where refrigerant leakage is likely.
  • refrigerant leaking from the compressor may be concent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due to its high density.
  • concentration of refrigerant in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remains high, even in the vicinity of the compressor. Therefore, if the ventilation fan 620 is placed below the compressor, the ventilation effect can be increased by ventilating the area where refrigerant leakage is most likely.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may include a fixing pin 3121 and a main installation part 3122 that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340.
  • the fixing pin 3121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ompressor 340.
  • the fixing pins 3121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various parts of the compressor 340.
  • a main installation portion 31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xing pins 3121.
  • the main installation part 3122 may be plac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compressor.
  • the compressor 340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fixing pin 3121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stallation portion 3122.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3123 that partitions the space where the compressor 340 is installed.
  •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23 may extend from the side wall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dditionally,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23 may connect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nd the base portion 310. Based on the partition 3123, the compressor 340 may be placed on one side and the piping of the heat exchange unit 330 may be placed on the other side.
  •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23 may limit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340 from being emitted.
  • the ventilation hole 610 may include a compressor through-hole 613 that penetrates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in the height direction.
  •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may penetrate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00.
  •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may penetrate the main installation part 3122.
  •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may penetrate the base bottom 311.
  •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of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divided by the base part 310 and the bottom of the base part 310. That is, the refrigerant or air stacked on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can move to the bottom of the base part 310 through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posed in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That is, the ventilation fan 620 can move refrigerant or air located around the compressor 340 toward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In particular, the ventilation fan 620 can move the refrigerant lying on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further downward. That is, the ventilation fan 620 can more effectively ventilate the high-density refrigerant by being disposed in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leaked refrigerant may be concentrated near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is likely to maintain a high concentration of refrigerant even in the vicinity of the compressor where the possibility of refrigerant leakage is high. Therefore, when the ventilation fan 620 is disposed in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the ventilation effect can be increased.
  • the base unit 310 may include a ventilation unit installation unit 316 that secures the ventilation fan 620 to the base unit 310.
  • the ventilation unit installation unit 316 may be provided around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 the ventilation unit installation unit 316 is provided in a hook shape and can fix the ventilation fan 620 to the base unit 310.
  •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and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heat exchange unit 330.
  •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and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the heat exchange part 330 and the ventilation part 600 may also be arranged vertically. Accordingly,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heat exchange unit 330. Accordingly, the ventilation unit 600 can more effectively ventilate the insid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s placed closer to the ground than other components.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oncentration of refrigerant will be maintained high. Therefore, whe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s effectively ventilated, explosion of flammable refrigerant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can be prevented.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top of the control unit 390. That is, the ventilation unit 600 can ventilate the refrigerant remaining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from the botto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refrigerant moving downward due to its density, the possibility of ignition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if the ventilation unit 600 is located lower than a configuration at risk of ignition.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abov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from the lowe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unit 3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disposed below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is recessed forward or backward.
  • a control unit 390 formed of a PCB board assembly, etc.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One of the two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form the outer wall of the base unit 310. Additionally,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discharge passage 630.
  • External power may be supplied to operate each component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External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AC or high voltage DC.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of ignition due to arcing in the AC or high voltage DC terminal.
  • ventilat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s an important factor in ensuring the stability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entire apparatus. Therefore, when using a refrigerant with high density, there is a higher possibility that the flammable refrigerant will ignite in the control unit 39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ignition by ventilation around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the ventilation hole 6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penetration hole 611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the air inside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can be more easily ventil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top of the control unit 390.
  •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one of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facing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ressor 340 is disposed.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communicate with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That is,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and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rovided with partition wall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may penetrate one of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n the width direction.
  •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and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310. This may refer to the par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urned over.
  • the base portion 3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rface 315 that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 the support surface 315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adjacent to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among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Additionally, the support surface 315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close to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support surface 315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Additionally, the support surface 315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 on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315 may for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and the other side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 the base unit 310 may include a piping unit 314 on one side located close to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where the piping of the heat exchange unit 330 and the expansion valve 334 are disposed.
  • the circulation passage portion 320 may be disposed biased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 the pipe portion 314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upport surface 315 may be provided in the pipe portion 314 of the base portion 310. Meanwhile, the ventilation hole 610 may include a piping through hole 612 penetrating the support surface 315. The piping part through-hole 612 may penetrate one surface of the support surface 315 that faces the control part through-hole 611.
  • the support surface 315 may be a partition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00.
  • the pipe part through-hole 612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support surface 315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art 310.
  • the piping part through-hole 612 may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315 and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315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and the other side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Accordingly, the piping part through-hole 612 may communicat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 Refrigerant or ai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310 may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310 through the piping unit through-hole 612. That is, the flammable refrigerant stacked in the piping part 314 can be ventilated through the bottom of the base part 310 using the piping part through-hole 612. That is, the pipe through-hole 612 can effectively discharge refrigerant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of flammable refrigerant moving downward due to its high density.
  • the ventilation unit 600 may include a diesel passage 65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the diesel passage 65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diesel oil passage 650 may communicate with the ventilation hole 610 and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way 32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sel passageway 650. That is, based on a specific partition, a circulation passageway 3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diesel passageway 65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may include a heat exchange unit 330, particularly a water collection unit 324 in which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331 is stored.
  • the water collecting part 324 may b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is stepped downward.
  • the water collecting part 324 may further include a water collecting bottom surface 3241 that forms a bottom surface where water is stored.
  • the water collection bottom surface 3241 may b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 the water collection bottom surface 3241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 the diesel oil passage 65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collection bottom surface 3241.
  • the water collection bottom surface 3241 may form the upper side of the diesel oil passage 650. That is,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on bottom surface 3241 may form the circulation passage part 320, and the other side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the water collection bottom surface 3241, and the support surface 315 may form a diesel oil passage 650.
  • the diesel oil passage 65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assage 630.
  • a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esel oil passage 650 and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diesel passage 65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Additionally, the diesel passage 65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diesel passage 65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313 and the base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 the diesel oil passage 650 may form a passage for moving air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 the diesel oil passage 650 can discharge a larger amount of air from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air ventilation efficiency.
  •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have a high possibility of ignition of the R-290 refrigerant,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s ventilated more efficiently, the stability of the entir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an be secured.
  • sparks may be generated in electrical equipment that requires power input for operation.
  • power must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390, blowing fan 353, compressor 340, and steam supply unit 380 to operate, and sparks may be generated at the power input terminal.
  • the area marked W1 is the area where the control unit 390 is located. Since power must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39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parks may be generated at the power input terminal.
  • the area marked W2 indicates a terminal where power is input to the blowing fan 353.
  • external power In order for the blower fan 353 to rotate, external power must be input. In particular, power must be input to the motor.
  • a power input terminal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tor, and sparks may be generated from that part.
  • the area marked W3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ressor 340.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or 340,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parks may be generated in the area where power is supplied.
  • the area marked W4 indicates a terminal through which power is input to the steam supply unit 380.
  • the steam supply unit 380 receives power and heats water. Therefore, the steam supply unit 380 requires a terminal to receive external powe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parks may occur at the power input terminal.
  •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located far from the ground in the following order: the control unit 390, the blowing fan 353, the compressor 340, and the steam supply unit 380. That is, the control unit 390 can be placed closest to the ground. Flammable refrigerants, especially R-290, have a high density, so if they leak, they will naturally move to the bottom.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R-290 will remain highest in the lower region. Naturally, the possibility of ignition in the lower region is higher.
  • Figure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faces upward.
  •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is shown to be exposed.
  •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diesel oil passage 650, ventilation fan 620, and discharge passage 630 are shown.
  • the control unit 390 is disposed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Additionally,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90,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lammable refrigerant may be ignited by the supplied power.
  •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s disposed close to the ground throughout the base unit 310. That is, the flammable refrigerant applied to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cked downward due to its natural density. Additional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arge number of refrigerants stacked at the bottom may accumulate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313.
  • the air inside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can move to the diesel oil passage 650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Additionally, the air moved to the diesel passage 650 may flow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in the airflow formed by the ventilation fan 620. Additionally, air introduced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may move to the discharge passage 630. Additionally, air moved to the discharge passage 630 may be moved outside the cabinet.
  • a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310 to sequentially connect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the ventilation fan 620, and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passes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P11), the area (P12)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through the diesel passage 650, and the cabinet (P12)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630. It may include an area (P13)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100).
  •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can be formed by connecting the three areas (P11, P12, and P13) described above.
  •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may be provided in an open form.
  • the upper side is shown as open, but the drawing shows the base part arranged with the bottom facing upward.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may be provided in an open form.
  • a base cabinet 110 (see FIG. 15 ) forming the bottom of the cabinet 100 may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at is, the base cabinet 100 can shield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can form a duct shape through which air can flow.
  •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may be molded inside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If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is molded inside the base portion 310, the base cabinet 100 will not form a duct. The base portion 310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tself.
  • Figure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faces upward. In particular, the pipe through-hole is shown to be exposed.
  • a piping through hole 612, a diesel passage 650, a ventilation fan 620, and a discharge passage 630 are shown.
  • pipes connecting the heat exchange unit 330 and the expansion valve 334, and the heat exchange unit 330 and the compressor 340 are located in the piping unit 314. Additional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lammable refrigerant may leak from the piping.
  • the piping section 314 can be viewed as an area where leaking refrigerant is likely to be located. That is, when the piping portion 314 is effectively ventilated, the density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aintained above an ignitable concentration.
  • the flammable refrigerant piled up in the piping section can be moved to the diesel oil path 650 through the piping section penetration hole 612. Accordingly, the flammable refrigerant piled up in the piping portio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refrigerant moved to the diesel oil passage 650 through the piping through hole 612 may flow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630 through the side of the ventilation fan 620. That is, air introduced through the piping through hole 61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 a piping ventilation passage (P2)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310 to sequentially connect the piping through hole 612, the ventilation fan 620, and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may b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base unit 310.
  • the piping ventilation passage (P2) passes through an area (P21) passing through the piping through hole 612, an area (P22)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through the diesel passage 650, and an exhaust passage 630. It may include an area (P23)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 the piping ventilation passage (P2) can be formed by connecting the three areas (P21, P22, and P23) described above.
  •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differs from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only at the point where air flows i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310, and the subsequent path may be the same. That is, the piping part ventilation passage (P2) ventilates the ai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through the piping part through-hole 612.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ventilates ai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310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and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will remain the same, except that the upstream of the flow passages are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and the piping unit through-hole 612, respectively. You can.
  •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and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flow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through the diesel passage 650 (P12, P22) and the cabinet 10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630. ) can be shared to the outside of the area (P13, P23).
  • the control unit through-hole 611 and the piping unit through-hole 61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diesel oil passage 650 interposed therebetween.
  • a portion of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and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 control unit ventilation passage (P1) and the piping unit ventilation passage (P2)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10). Therefore, it is effective in ventilating refrigerants such as R-290, which is a highly dense flammable refrigerant. This is becaus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discharge the refrigerant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310, it is desirable to use a location lower in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as a flow path. When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is used as a flow path, the flow of refrigerant can be generated using gravity. Additionally, the refrigerant can be moved to a point where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does not reach it.
  • refrigerants such as R-290, which is a highly dense flammable refrigerant.
  •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area where a ventilation fan is installed.
  • Figure 15 shows the vicinity of the compressor and ventilation unit among the cross sections cut along the dotted line (A-A') in Figure 10.
  • a compressor 340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unit 600 is disposed below the compressor 340. In particular, the ventilation fan 620 is disposed below the compressor 340.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posed in the compressor through-hole 613.
  • the compressor through hole 613 may communicate with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and the bottom of the base part 310.
  • the compressor 340 may receive external power for operation. When external power is input, sparks may be generated near the compressor 340.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lammable refrigerant may ignite near the compressor 340.
  • refrigerant locat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compressor may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fan 620. Additionally,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630.
  • a compressor ventilation passage (P3)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310 to sequentially connect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the ventilation fan 620, and the discharge passage 630.
  • the compressor discharge passage 630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0.
  • the compressor ventilation passage (P3) can effectively ventilate the refrigerant piled up around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mable refrigerant from being ignited by sparks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 a steam supply unit 38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or.
  • the steam supply unit 380 receives power, generates heat, and generates steam using the generated heat.
  • the steam supply unit 380 needs to receive external power to operate.
  • the steam supply unit 380 has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sparks like the compressor 34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parks may occur at the terminal where power is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 380.
  • flammable refrigerant can be ignited even in the periphery of the steam supply unit 380. Therefore, sufficiently ventilating the air surrounding the steam supply unit 380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gnition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 the compressor ventilation passage (P3)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ventilate the air around the steam supply unit (380). Therefore, the compressor ventilation passage (P3) can prevent the flammable refrigerant from being ignited by sparks generated in the steam supply unit (380).
  • Figure 1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t can be seen how the ventil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o implement refrigerant ventilation.
  • the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ventilation fan operating step (S10).
  •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step (S10)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That is, the possibility of explos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preemptively operating the ventilation fan 620 without a separate refrigerant concentration detection process.
  •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step (S10) After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step (S10) is executed, operation steps of other configurations may be executed. If the concentration of flammable refrigerant is maintained below 2.5%, there is no possibility of explosion. Accordingly,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step (S10) may continue until the concentration of flammable refrigerant is lower than 2.5%.
  • the preset time may be defined as 30 seconds.
  • the possible explosion concentration and time of the refrigerant described abov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applied refrigerant or fan.
  • the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may begin (S31, S32, S33). That is, after operating the ventilation fan 620 for a preset time, a blowing fan operation step (S31) for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a compressor operation step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S32), and a steam supply unit operation step for supplying steam (S33). may be initiated.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continue to operate even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620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terminated even while other components are operating.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stop operating after all other components have finished operating. That is, the ventilation fan 620 may start operation first and end operation last among all components.
  • Sparks may be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390 when all internal components operat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gni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 the start (S31, S32, S33) and end operation (S34, S35, S36) of other components may be completed. That is, between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step (S10) and the ventilation fan termination step (S40), an operation and termination step (S30) of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ventilation fan may be intervened.
  • the ventilation fan termination step (S40) of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performed.
  • Leaked flammable refrigerants such as R290
  • R290 are colorless and odorless, so they cannot be distinguished by sight or smell. Therefore, components for determining leakage are required.
  • a first temperature sensor 601 located upstream of the circulation passage unit 320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mber 220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It may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602 (see FIG. 5)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Since the control unit 390 can read the current load applied to the compressor 340, a separate current meter, etc. is not required. However, if necessary, a meter or sensor that measures the current of the compressor 340 may be separately provided.
  •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may be of any type as long as they can measure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s.
  • the control unit 390 receives control signals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0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302, rotates the motor inside the compressor, power supplied to the steam supply unit 380, and rotates the blowing fan. And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ventilation fan 620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se control signals, the rotation of the compressor 340, the blower fan 353, and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variably controlled using an inverter method.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esses the refrigerant using the compressor 340 of the heat pump and creates high-temperature dry air through the evaporator 331 and the condenser 332 to enter the first chamber 220. It goes through a drying cycle that dries the laundry inside, and a cooling cycle that gradually cools the laundry by circulating only already heated air without using a heat pump.
  • a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at a preset time to prevent explosion regardless of leakage. This is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cabinet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refore, even if the flammable refrigerant leaks, the concentration of the flammable refrigerant can be diluted by circulating air.
  •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0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02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current load of the compressor 340 can be read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leakage. If two methods of measuring temperature difference and current value are used to determine leakage only when all different conditions are met, accuracy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determining leakage using only one method.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01 measures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high 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mber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02 measures the refrigerant at the evaporator inlet corresponding to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ath.
  •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is measured.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large, but if a leak occurs, the more refrigerant leaks, the less compress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occurs. . Therefor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does not occur, 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eventually disappears. Using this, leakage can be determined.
  •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is determined to be a leak.
  •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may preferably be set to 2°C.
  • the refrigerant leaks it means that the air temperature and the refrigerant temperature become the same, so it is not necessary to measure the air temperature in the second chamber or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evaporator inlet temperature.
  • a leak can be determined if the air temperature and refrigerant temperature can be measured even if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a different location.
  •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are compared after a preset second reference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frigerant leak. In other words, since the compressor does not operate in a normal state before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may not be large, and it may be difficult to judge this case as a leak.
  • Leakage can also be detected using the current load of the compressor 340.
  • the power consumed by the compressor will gradually decrease, so the current or current load applied to the compressor at the time of leakage also decreases. Therefor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frigerant has leaked when it falls below a preset critical current (or critical current load). Preferably, it can be set to 0.8 A (ampere).
  • the compressor 340 since a certain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the compressor 340 to operate in a normal state, if the current (or current load) of the compressor is determined to be below the critical current (or critical current load) after the preset first reference time, the refrigera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has been a leak. That is, before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compressor may not operate in a normal state, so the current load on the compressor may not be large, and it may be difficult to judge this case as a leak.
  •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mean the elapsed time after the compressor 340 operates in the drying cycle, or the elapsed time after the compressor 340 is stopped and then restarted. Preferably, it can be set to 15 minutes.
  • Figure 17 relates to a control method that always operates to prevent explosion regardless of leakage of flammable refrigerant during the drying cycle.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the drying cycle time step (S100). Specifically,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ferentially operate the ventilation fan 620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in the drying cycle start step (S100). Thereafter,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operates the blowing fan 353 and the compressor 200. That is, the ventilation fan 620 can operate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and when the preset blowing fan operation time is reach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blowing fan 353 (S130). Afterwards, when the preset compressor operation time is reach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compressor 340 (S150).
  • the blower fan operation time and the compressor operation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10 seconds and 15 seconds, respectively, after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tting time or order of the compressor operation time may be chang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has elapsed (S171) for the ventilation fan 620, which operates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has elapsed, the ventilation fan 620 operates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 the operation of (620) can be terminated (S172). This assumes a case where refrigerant has already leaked before the current operation. In other words, if the refrigerant has leak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previous use until the current use, it may accumulate near the compressor 340 inside the cabinet 100, so the control unit (not shown) uses the ventilation fan 620. This is to circulate air during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to dilute the leaked refrigerant or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2 minutes and 30 seconds.
  • a step (S200) of setting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and the fan first operation time OT1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preset first reference time has elapsed.
  • the first reference time is the elapsed time from when the drying cycle starts (the ventilation fan operates), and can be preferably set to 20 minutes.
  • the ventilation fan 620 also operates to cool the compressor. Generally, after 9 to 10 minutes have passed since the drying cycle started (the fan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620 operates for more than 10 minutes. Because there is no case where it is not done. Therefore, the ventilation fan 620 must be operated more frequently before 9 to 10 minutes from when the drying cycle starts (the ventilation fan operates), but the elapsed time from when the drying cycle begins (the ventilation fan operates) After these 9 to 10 minutes, the ventilation fan 620 operates to cool the compressor, so there is no need to frequently operate the fan separately to prevent explosion.
  •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20 minutes.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first operation cycle (PT1) of the ventilation fan to be short (S221) and operates frequently. You can do it.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first operation cycle (PT1) of the ventilation fan to be relatively long (S222).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and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time (OT1) to 5 minutes and 10 seconds, and the first reference time When has elapsed, the first operation cycle of the ventilation fan (PT1) and the first oper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fan (OT1) can be set to 20 minutes and 10 seconds.
  •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620 according to the set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and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time (OT1) until the preset drying stroke time (t1) ends. Movement and stopping can be repeated (S300).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has been reached (S301), and if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has been reached, the ventilation fan 620 is operated (S303).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operation time (OT1) of the ventilation fan has elapsed (S305) and to stop the ventilation fan (620) when the first operation time (OT1) of the ventilation fan has elaps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drying stroke time (t1) has elapsed (S309), and when the drying stroke time (t1) has elapsed, the compressor 340 is shut down to end the drying stroke (S310). The next step, the cold steel process, can be started (S330).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the ventilation fan (620). ,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drying cycle time (t1) has elapsed, if not, setting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and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time (OT1) again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time. It goes back to
  • the ventilation fan 620 operates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to prevent explosion, and then operates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 the elapsed time time elapsed after starting the drying cycle
  • the ventilation fan 620 operates for 10 seconds every 5 minutes, except for the drying cycle start stage (S110). If the first reference time exceeds 20 minutes, the ventilation fan 620 operates for 10 seconds in a 20-minute cycle.
  • the drying stroke time (t1) is a multiple of the first operation cycle (PT1) of the ventilation fan,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ends when the drying stroke time (t1) is reached. Therefore, in this case, prior to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operation cycle (PT1) of the ventilation fan has been reached (S30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ying cycle time (t1) has ended may be further included.
  • Figure 18 shows a control method that is always operated to prevent explosion regardless of leakage of flammable refrigerant when the cooling cycle is started after the drying cycle is complet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oling cycle starts (S400),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620. At this time,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620 according to the preset ventilation fan second operation cycle (PT2) and the ventilation fan second operation time (OT2) until the preset cooling stroke time (t2) ends. Movement and stopping can be repeated (S500).
  • the ventilation fan second operation cycle (PT2) and the ventilation fan second operation time (OT2) may be preferably set to 20 minutes and 10 seconds, respectively.
  • the ventilation fan second operation cycle (PT2) and the ventilation fan second operation time (OT2)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cycle (PT1) and the ventilation fan first operation time (OT1). there is. This is because the compressor 200 does not operate during the cooling stroke and only cools the already heated air by circulating it using the blower fan 353, thereby reducing the need for the refrigerant to operate the ventilation fan 620 with frequent frequency. am.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been reached (S501) and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620 (S503) if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been reached.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operation time (O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elapsed (S505) and to stop the ventilation fan (620) when the second operation time (O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elaps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cooling stroke time (t2) has elapsed (S509), and when the cooling stroke time (t2) has elapsed, the compressor 340 and the blowing fan 353 are terminated and the cooling stroke is performed. can be terminated (S510).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been reached (S301) and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not been reached, the ventilation fan (620) is not operated. ,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cooling stroke time (t2) has elapsed, if it has not elaps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been reached (S501).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operate for 10 seconds at the start of the cooling stroke, and when the cooling stroke time (t2) is 40 minutes, it may operate for 10 seconds.
  • cooling stroke time (t2) is a multiple of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is terminated when the cooling stroke time (t2) is reached, so the ventilation fan ( 620) may not operate. Therefore, in this case, prior to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operation cycle (PT2) of the ventilation fan has been reached (S501),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oling stroke time (t2) has ended may be further included.
  • Figure 19 shows a judgment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flammable refrigerant during the drying cycle when the compressor operates and a control method for countermeasures in case of leakage. Since the compressor 340 is driven during the drying cycle, refrigerant leakage may occur more quickly. Therefore, the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explosion shown in FIGS. 17 and 18 alone may not be sufficient to guarantee prevention of explosion due to leakage of flammable refrigerant. Therefore, in the drying cycle, a separate control method may be needed to actively determine and respond to leak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the leak detection control method in FIG. 19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with the explosion prevention control method in FIG. 17.
  • FIG. 19 will be describ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the drying cycle time step (S100). This is the same as the drying process start step in Figure 17.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operate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 the compressor 340 and the blowing fan 353 may operate sequentially. That is, the ventilation fan 620 may operate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and the blowing fan 353 may operate when the preset blowing fan operation time is reached.
  • the compressor 340 can operate when the preset compressor operation time is reached.
  • the blower fan operation time and the compressor operation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10 seconds and 15 seconds, respectively, after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order of the blower fan operation time and the compressor operation time may be changed.
  • the ventilation fan 620 which operates at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has elapsed (S171),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has elapsed, the ventilation fan 620 may terminate the operation (S172).
  • S171 the preset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has elapsed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terminate the operation (S172).
  • S172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 the ventilation fan operation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2 minutes and 30 seconds. This means that the drying cycle start step indicated by S100 in FIG. 19 is the same as the drying cycle start step (S100) in FIG. 17.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ng time of the compressor has elapsed a preset second time (S700).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or may not operate in a normal state before the second reference time, 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may not be large, and the measured current may also be smaller than the critical current. It may be difficult to judge this case as a leak.
  • the second reference time refers to the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340 after the compressor 340 operates in the drying cycle,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340 after the compressor 340 is stopped and then restarted. It is defined to mean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preferably be set to 15 minutes.
  •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leakage measurement step (S800) Measures the current (Icomp) load actually used by the compressor 340, that is, the current, in real time.
  • Icomp current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01 measures the first temperature (T1), which is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mber 220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02 measures the second temperature (T1), which is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evaporator inlet.
  • T2 is measured in real time (S800).
  • real-time measurement means sampling at measurement intervals less than 1 second.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01 may be located where air from the first chamber 220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300.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circulation passag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or at the entrance.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02 may be located at the evaporator inlet where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e condenser 332 expands and enters the evaporator.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re is leakage using the measured first and second temperatures and the measured compressor current value (Icomp) (S900).
  • the measured value (Icomp)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mpressor 340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current (S911). If the measured value (Icomp)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mpressor 34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urrent,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mpares the first measurement time with the preset first continuous time (S912). If the measured value (Icomp)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mpressor 340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since there is no leakage, the first measurement time and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re initialized (S801) instead of accumulating the compressor current again. Measure (S810) and measure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S821, S822).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et the first measurement time and the second measurement time.
  • the first measurement time refers to the time during which the current value used by the compressor during the drying cycle is measured and the measured current value continues to be measured below the preset threshold current value. Therefore, if the measured current value (Icomp) of the compressor is measured for 2 seconds below the threshol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d then falls again for 4 seconds below the threshold current value, the first measurement time is not 6 seconds, but remeasured after 2 seconds. It lasts 4 seconds.
  • the second measurement time refers to the time during which the difference (absolute valu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continues to be measured below the preset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during the drying cycle. says Therefore, if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is exceeded in the middle, the second measurement time can be initialized and restart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urrent measurement. It can be judged as a leak.
  • the first continuous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5 seconds.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s the first measurement time ( S913), the current of the compressor can be measured again (S810).
  • the control unit compares whether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S921).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mpares the second measurement time with the preset second continuous time (S922).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exceeds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since there is no leakage, the first measurement time and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re initialized (S801) instead of accumulating. Measure the compressor current again (S810) and measure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s (S821, S822).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et the first measurement time and the second measurement time (S801).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judged to be a leak based on temperature measurement.
  • the second continuous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5 seconds.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wo measurement times can be accumulated (S923) and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can be measured again (S821, S822).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leakage based on current measurement and the leakage based on temperature measurement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S930), and can finally be judged as a leak only if they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If the judgment based on the current measurement and the judgment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re different, go back to measuring the current Icomp of the compressor 340 (S810) and measuring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S821, S822). You can.
  • the condition that is ultimately judged to be a leak is when the leakage condition based on current measurement and the leakage condition based on temperature measurement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Specifically, it satisfies the case where the measured value of the current (Icomp) applied to the compressor 34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urrent, the first measurement time is continuously longer than the first continuous time, and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first temperature (T1) are satisfied. Only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T2)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llowabl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second measurement time is continuous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continuous time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next step, the emergency operation step ( S1000) can be executed.
  • the emergency operation step (S1000) is performed when the first emergency operation step (S940) is repeated three times during the preset first emergency operation time and the first emergency operation step (S940) is exceeded three times. It may include a second emergency operation step (S960).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ithout stopping the compressor 340 and the blower fan 353.
  • the first emergency operation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5 minutes.
  •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number of first emergency operations of the ventilation fan 620 due to leakage detection exceeds 3, and if it is less than 3, the first measurement time and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re initialized again ( S801), the current value (Icomp) of the compressor 200 is measured (S810), and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are measured (S821, S822). If the number of emergency operations exceeds 3, the second emergency operation step (S960) can be perform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compressor 340 and the blower fan 353 from operating.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operated in a second emergency operation during the preset second emergency operation time.
  • the second emergency operation time may be preferably set to 5 minutes.
  • control unit 390 may display the error through a display located on the door.
  • errors can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a speaker, or an alarm message can be sent to the user's mobile phon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operation unit 50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shown.
  • a user's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500. Additionally,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r the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based on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operation unit 500.
  • the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power button 501 that turns the pow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n or off.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501. If you press the power button 501 again while the power is on, the power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be cut off.
  • the manipulation unit 500 may include a start button 502 that starts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r temporarily stops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 operation. When the user selects a course for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and presses the start button 502, the selected course can proceed.
  • 'course' may mean operating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 a preset manner.
  • 'Course A' may mean operating the heat exchanger, compressor, blower fan, etc. at preset values.
  • 'course' may include various courses such as standard course, rapid course, and intensive course.
  •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course input units 511, 512, 513, and 514 for selecting a course fo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course input unit will include a first course input button (511), a second course input button (512), a third course input button (513), and a fourth course input button (514) that can select the course assigned to each button. You can.
  • manipulation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reservation button 515 that allows the selected course to be execut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 the manipulation unit 500 may include course display units 521, 522, 523, and 524 that display content input through the course input units 511, 512, 513, and 514.
  • the course display units (521, 522, 523, and 524) display commands received through each course input unit (511, 512, 513, and 514), including a first course screen (521), a second course screen (522), and a third course screen (521, 522, 522, and 524). It may include a course screen 523 and a fourth course screen 524.
  • the command entered through the first course input button 511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course screen 521. Referring to the drawing, if the first course input button 511 is pressed once, 'standard course' may be displayed as selected on the first course screen 521. If the first course input button 511 is pressed twice, 'rapid course' may be displayed as selected on the first course screen 521.
  • the cours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safety course' in which only the ventilation fan 620 is operated without operating the heat exchanger, blower fan, compressor, etc.
  • a safety course can be selected by manipulating the fourth course input button 514.
  • the user can press the power button 501 to supply power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user can select a safety course by pressing the fourth course input button 514 on the powered laundry treatment device. If the safety course is selected, the word 'Safety' may light up on the fourth course screen 524.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safety course has been selected through the text 'Safety' lit up on the fourth course screen 524.
  • the user can execute the safety course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502 while the safety course is selected.
  • the safety course is executed, only the ventilation fan 620 can be operated.
  • the explosion of leaked refrigerant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factors of explosion are reduced.
  •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can discharge leaked refrigerant to the outside by operating only the ventilation fan 620 without operating other components for processing clothing.
  • the safety cours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ed refrigerant from exploding.
  •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time display screen 525 that displays the remaining time of the safety course.
  • the time display screen 525 may display the time at which the safety course ends.
  •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screen 525 can be set to decrease as time passes.
  • the number '10' is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screen 525.
  • the time display screen 525 may be turned off.
  • the user can check the end of the safety course through the time display screen 52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afety course has ended,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unit 500 again to select and execute the clothing treatment course.
  • FIG. 21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FIG. 20.
  • FIG. 21 is a flowchart showing each operation step of the operation unit shown in FIG. 20. That is, Figure 21 shows the first safety course operation process (S4).
  • FIG. 20(a) may be understood as illustrating the power input step (S41) in FIG. 21. Additionally, FIG. 20(b) may be understood as illustrating the safety course input step (S42) in FIG. 21. Additionally, FIG. 20(c) may be understood as illustrating the execution step (S43) in FIG. 21. FIG. 20(d) can be understood as illustrating the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44) in which the safety course is being executed and operated.
  • each step in FIG. 21 is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method in FIG. 20.
  • FIG. 20 merely illustrates the operation process for performing each step of FIG. 21 by way of example.
  • each step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to execute a safety course in which the ventilation fan 620 is operated.
  • a power input step (S41)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be performed.
  • the power input step (S41) can be performed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501 described above.
  • a safety course input step (S42) in which a safety course is selected may be performed.
  • the user can perform the safety course input step (S42)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unit 500 and visually recognizing the operation unit 500.
  • an execution step (S43) in which the safety course is executed may be performed.
  • the user operates the start button 502 to perform the execution step (S43).
  • the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44) in which the ventilation fan 620 is operated may be performed.
  • the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44) only the ventilation fan 620 can be driven.
  • internal devices without risk of ignition, including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operated.
  • Figure 22 shows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20 and 21 show a case where the safety course is set to one of the courses such as the standard course and the rapid course.
  • control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input device for executing a safety course.
  • the control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button 516 for inputting a command to select a safety course. The user can enter a command through the safety button 516 and then select additional courses related to clothing treatment.
  • Figure 22(a) shows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501.
  • Figure 22(b) shows the user selecting a safety course by manipulating the safety button 516.
  • the safety button 516 lights up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safety course has been selected.
  • the user can additionally input a command to select a course related to clothing processing after entering a command to select a safety course.
  • the user can select a course related to clothing treatment through the first course input button 511. That is, the user can sequentially select the safety course and clothing handling course.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safety course is selected first and then the clothing handling cour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afety course can be selected after selecting the clothing treatment course first.
  • the user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rough the start button 502.
  • the ventilation fan 620 may be operated first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then the clothing treatment course may be performed.
  •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the operation unit 500 so that the safety course is operated first before the clothing treatment course.
  • the user can sequentially operate the safety course and clothing treatment course through one execution.
  • the ventilation fan 620 is operated first in the safety course, and then the compressor, heat exchanger, blower fan, etc. are operated in the clothing treatment cours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refrigerant explosion.
  •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becaus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manipulate clothing after the safety course is completed.
  • FIG. 23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FIG. 22.
  • FIG. 23 is a flowchart showing each operation step of the operation unit shown in FIG. 22.
  • Figure 23 shows the second safety course operation process (S5).
  • FIG. 23 has overlapping content with FIG. 21.
  • content similar to FIG. 21 is omitted.
  • steps with names similar to those in FIG. 21 are distinguished by adding 'simultaneous' in front of the name.
  • Figure 23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sequentially selecting the safety course and the clothing handling course and executing them all at once.
  • the simultaneous power input step (S51) may include a simultaneous power input step (S51) of supplying power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 the simultaneous power input step (S51) is the same as the power input step (S41).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imultaneous power input step (S51) can be understood as the same as the power input step (S41).
  • the simultaneous safety course input step (S52) in which the user selects a safety course may be performed.
  • the user can operate the safety button 516 to perform the simultaneous safety course input step (S52).
  • the simultaneous main course input step (S53) can be performed in which the user selects a clothing treatment course.
  • the user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main course input step (S53) by manipulating the first course input button 511, the second course input button 512, the third course input button 513, and the fourth course input button 514. You can.
  • a simultaneous execution step (S54) of receiving a command to execute the input safety course and clothing treatment course can be performed.
  • the simultaneous execution step (S54)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manipulating the start button (502).
  • the simultaneous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55) in which the ventilation fan 620 is operated may be performed.
  • the simultaneous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55) only the ventilation fan 620 can be operated, as in the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44). Additionally, in the simultaneous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55), only components unrelated to the explos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operated.
  • the simultaneous main course operation step (S56) in which the selected clothing treatment course is performed may be performed.
  • components related to the explosion of the refrigerant may also be activated.
  • components related to clothing processing such as a heat exchanger, blower fan, and compressor, may be operated.
  • the simultaneous safety course operation step (S55)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 simultaneous main course operation step (S56)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Accordingly, the risk of refrigerant explosion is reduced while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 Cabinet 110 Base cabinet 200: Inner case
  • Inlet 220 First chamber 230: Through hole
  • Second chamber 301 Water tank 302: Drain tank
  •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1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ition 314: Piping unit
  • Condenser 334 Expansion valve 340: Compressor
  • Fan installation part 351 Fan housing 352: Discharge duct
  • Blowing fan 360 Base cover 362: Inlet
  • Control unit 400 Door 410: Main body
  • ventilation unit 610 ventilation hole 611: control unit through-hole
  • Ventilation fan 630 Discharge passage 631: Discharge passage entrance
  • Control unit ventilation channel P2 Piping unit ventilation channel
  • P3 Compressor ventil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부를 지나는 공기와 가연성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의 탈취 및 건조, 구김제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물에 적셔 습포로 만든 뒤에 세제의 화학작용과 드럼회전 등의 물리작용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상기 습포상태의 의류를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포 상태의 의류를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를 탈취하거나, 의류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의류관리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의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살균하는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서 히트펌프 또는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이용하여 습공기를 제습한 후 다시 이를 가열하여 건조한 고온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하게 된다. 히트펌프는 히터에 비해 적은 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온의 열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뛰어나다.
히트펌프는 냉매를 순환과정을 통해 습공기를 제습하거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냉매는 자연냉매, 1세대 CFC(Chlorofluorocarbon, 염화불화탄소), 2세대 HCFC(Hydro Chlorofluorocarbon, 수소염화탄소), 3세대 HFC(Hydrofluorocarbon, 수소불화탄소), 4세대 HFO(Hydrofluoroolefin, 수소불화올레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프레온 가스로 분류되는 CFC와 HCFC 계열 냉매가 오존층 파괴의 주요물질로 알려지면서,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HFC 계열은 오존층 파괴 등의 부작용은 없으나, 지구 온난화 물질에 해당된다. 대표적인 냉매로 R-134a 가 있다. HFC 계열 냉매는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지구온난화 물질로 규정됨에 따라, 점차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낮은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GWP)를 갖는 HFO 계열의 냉매가 차세대 냉매로 대두되고 있다.
GWP는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다른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개별 온실가스 1kg의 태양에너지 흡수량을 이산화탄소 1kg이 가지는 태양에너지 흡수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단위 질량당 온난화 효과를 지수화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의 GWP가 1일 때, 메탄의 GWP는 21, 아산화질소의 GWP는 310, 수소불화탄소의 GWP는 1300, 육불화황의 GWP는 23900이다.
지구온난화 가속을 방지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GWP가 높은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GWP가 낮은 냉매인 R-290를 사용하는 히트펌프 및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R-290은 고순도의 프로판(Propane) 가스로 인화성 및 가연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R-290이 누설되어 공기 중 농도가 1.8% 이상이 되면 사용 중 발화 또는 폭발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동작 중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고 냉매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나 제어방법이 대두된다. 냉매의 발화 방지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01769가 있다. 해당 선행문헌은 인화성 냉매를 사용하는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냉매의 발화 방지를 위해 누설 여부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팬을 동작시키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1은 습포 상태의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투입구(12)를 포함하는 캐비닛(11), 상기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13), 캐비닛(1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14), 드럼(1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캐비닛(11)에는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5)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6)를 포함한다. 캐비닛(11) 내부에는 드럼(1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도 2 참고) 및 드럼에서 배출된 습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도 2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덕트 및 히트펌프 등이 설치된 캐비닛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14)의 공기가 순환하는 덕트(20), 덕트(20)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21) 및 응축기(22)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21) 및 응축기(22)를 순환하는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3)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압축기(23)를 냉각하기 위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24)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동력을 발생시켜 드럼(도 1 참고)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부(25)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가연성 냉매가 누설된 경우 가연성 냉매가 한 곳에 집중되어 가연성 냉매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팬(24)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냉각팬(24)을 작동시켜 내부의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가연성 냉매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발화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냉각팬(24)을 이용하여 냉매 누설이 예상되는 공간 내부에 기류를 형성한다. 냉각팬(24)의 기능 상 압축기(23)에 최대한 많은 유량의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냉각팬(24)은 압축기(23)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압축기(23)에 공기 유동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냉각팬(24)은 박스팬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팬의 회전축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냉각팬(24)에 의해 지면과 나란한 방향의 기류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계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R-290과 같은 가연성 냉매는 밀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즉, 누설된 가연성 냉매는 본연의 밀도에 의해 바닥으로 깔리게 된다. 그러나 냉각팬(24)은 압축기(23)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냉각팬(24)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멀리 위치할수록 공기 유동이 적게 발생된다. 자연스럽게, 냉각팬(24)의 하측부에는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이 냉매를 희석하기에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R-290과 같이 밀도가 높은 가연성 냉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공간 하부에 집중하여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냉각팬(24)을 배치한다면 하부에 밀집된 냉매를 분산시키는 데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고 볼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냉각팬(24)의 주된 기능은 압축기 냉각에 있다. 그리고, 냉각팬(24)의 추가 활용방안으로서 기류를 발생시켜 냉매를 분산하는 것을 개시한다. 즉, 냉각팬(24)은 압축기에 전체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환경이라고 볼 것이다. 압축기의 하단에 집중하여 기류를 형성하는 것은 냉각팬(24)의 일반적인 사용 환경이라고 보기 어려울 여지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압축기 냉각보다 하부에 포진해 있는 냉매 분산에 집중하기 위해 냉각팬(24)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기류를 발생시켜 냉매의 밀도를 낮추는 것에 대한 동기는 있었으나, 기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의 기본적인 기능을 고려하면, 공간의 하부에 기류를 집중함으로 써 공간의 하부에 깔려있는 냉매를 분산하거 희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R-290과 같이 밀도가 높은 가연성 냉매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냉매가 누설된 경우 공간의 하부에 깔려있는 냉매까지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에 관한 기술적 내용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가연성 냉매를 이용하는 히트펌프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가연성 냉매의 누설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밀도가 높은 가연성 냉매가 공간의 하부에 적층될 경우 하부에 적층된 냉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환기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연성 냉매를 환기하기 위한 장치의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밀도가 높은 가연성 냉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파크 발생으로 인해 가연성 냉매가 폭발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환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연성 냉매의 폭발 방지를 위하여 모든 전장품의 구동 전에 선제적으로 환기부를 이용하여 냉매를 환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냉매 누설 가능성이 높은 압축기 하부를 환기하여 누설 냉매를 효과적으로 환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본 코스가 수행되기 전에 환기부가 먼저 작동되는 안전 코스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누설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부의 일부가 베이스부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환기부를 압축기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 설치부에 환기홀을 구비하여 가연성 냉매의 폭발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베이스부의 저면에 환기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여 밀도가 높은 냉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부를 지나는 공기와 가연성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환기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환기홀로 이동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팬은 상기 베이스부 상측 의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팬은 상기 압축기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통하는 배출유로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환기홀은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가 상기 환기팬으로 흐르도록 환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환기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압축기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홀은 상기 압축기 설치부를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압축기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팬은 상기 압축기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 상기 환기팬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례로 연결하는 압축기 환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홀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의 양측면 중 상기 배출유로를 향하는 일면을 관통하는 제어부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관통홀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어부 관통홀, 상기 환기팬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례로 연결하는 제어부 환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환기유로는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홀은 상기 지지면 중 상기 제어부 관통홀과 마주하는 일면을 관통하는 배관부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는 상기 배관부 관통홀, 상기 환기팬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례로 연결하는 배관부 환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는 상기 순환유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열교환부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팬의 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환기팬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환기홀과 상기 배출유로를 연통하는 경유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유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은 상기 경유유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유유로는 상기 제어부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너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냉매는 R-29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부를 지나는 공기와 가연성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열교환부보다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부를 지나는 공기와 가연성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 설치부 및 상기 제어부 설치부 내의 공기를 상기 제어부 설치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연성 냉매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폭발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매 누설 영역의 하부를 집중적으로 환기함으로써 밀도가 높은 냉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환기부를 컴팩트하게 배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파크 발생으로 인해 가연성 냉매가 폭발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환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전장품의 작동 전에 환기부를 작동함으로써 냉매의 폭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매 누설 가능성이 높은 압축기 하부를 환기하여 누설 냉매를 효과적으로 환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코스가 수행되기 전에 환기부가 먼저 작동되는 안전 코스가 수행되어 누설 냉매를 효과적으로 환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및 순환유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상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환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환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및 순환유로부의 단면을 상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및 순환유로부의 단면을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저면 및 환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저면 및 환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측에 위치한 환기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조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도 20의 조작 순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조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22의 조작 순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바디(410)와, 상기 본체바디(4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하여 단차(430)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바디(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4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차(430)는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와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0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500)는 물리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50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5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5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5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220)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방에 의류가 출입하는 개구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도어(4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2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챔버(220)는 원기둥 형상의 드럼에 의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제1챔버에 대한 설명은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챔버(2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챔버(220)는 수용공간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200)는 전면에 형성되어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210)를 통해 의류는 제1챔버(220) 내부로 인입되거나 제1챔버(22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가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1챔버(22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제1챔버(22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510)에 상기 의류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는 제1챔버(220) 내부에서 공중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500)는 도어(400)의 내면에 결합되어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5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부(510)는 옷걸이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51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부(510)를 진동시켜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떼어낼 수 있는 가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도어(40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 고정되어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22)와, 상기 지지부(522)에 지지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상기 지지부(522)에서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 또는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부(521)와 상기 지지부(522)는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도한 주름(crease)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220)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거나 제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제2챔버(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기계실로 명명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계실과 제2챔버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챔버(22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제1챔버(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기계실은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제1챔버(220)에 위치하는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 내부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챔버(300)는 공기를 제습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열교환부(330)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30)는 냉매 순환을 통해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3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제1챔버(2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제습 및 가열하여 상기 제1챔버(22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96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38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직접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2챔버(300)의 전방에는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통(301)과, 상기 열공급부(3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통(3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은 상기 제2챔버(300)의 전방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원 또는 배수원과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챔버(30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인출입되며 별도 제1챔버을 구비하는 드로워(3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3)는 스팀발생장치 또는 다리미가 보관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의 공기 또는 수분 공급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특히, 도 4(a)는 공기 공급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수분 공급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 구성들의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라기 보다는, 각 구성을 단순화하여 메커니즘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각 구성간의 배치관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챔버(220)의 내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캐비닛(100)의 내부는 제1챔버(220)와 제2챔버(300)로 구분될 수 있다. 제2챔버(300)는 제1챔버(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의해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은 제1챔버(220)와 제2챔버(300)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400)는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는 제1챔버(220)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2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도어(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31, 232, 2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1, 232, 233)을 통해 상기 제1챔버(220)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1챔버(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배출 또는 흡입되는 유입홀(231)과,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토출되는 배출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배면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또는 배면 사이에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행어부(5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배출홀(23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다른 하나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는 제1챔버(220)와 제2챔버(300)를 연통하는 유입홀(231)과 배출홀(2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측면은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200)의 전면은 개방되어 의류가 출입되는 투입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에는 상기 제1챔버(22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내부에는 열교환부(33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내부에는 증발기(331) 및 응축기(332)가 배치될 수 있다. 순환유로부(320)의 외부에는 압축기(340) 및 팽창밸브(334)가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340)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332)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0)에서 압축되는 냉매는 가연성 냉매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냉매는 R-2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하류측에는 팬설치부(350)가 배치될 수 잇다. 상기 순환유로부(320)와 상기 팬설치부(350)는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 에는 송풍팬(3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3)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제1챔버(220) 및 제2챔버(300)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20)와 제2챔버(300)의 공기가 순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송풍팬(353)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제2챔버(300) 내부에 기류가 형성된다. 특히, 순환유로부(320)와 팬하우징(351)에 기류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유로부(320) 및 팬하우징(351)에 기류가 형성되면 상기 제1챔버(220)의 공기는 유입홀(231)을 통해 순환유로부(320)로 이동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공기는 팬하우징(351)을 통해 상기 제1챔버(220)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챔버(220) 및 제2챔버(300) 사이의 공기 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기(340)가 작동되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340)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332)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응축기(332), 팽창밸브(334), 증발기(331)를 경유하여 압축기(340)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20)에서 순환유로부(3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331)와 접촉하며 냉각된다. 상기 공기는 냉각되는 과정에서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33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332)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32)와 접촉한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3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353)을 지나 다시 제1챔버(22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20)에 공급되는 공기는 고온 저습한 공기로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하거나 탈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331)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배수통(30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를 배수통(302)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펌프, 자연배출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02)은 상기 제2챔버(300)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02)이 가득찬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배수통(302)을 분리하여 물을 버릴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고하면, 제1챔버(22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챔버(300) 내부에는 스팀공급부(38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300)에는 상기 스팀공급부(380)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30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380)는 상기 급수통(301)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스팀공급부(380)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배출홀(2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38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부(381)와 가열부(381)에서 생성된 스팀을 제1챔버(220)로 안내하는 스팀공급유로(3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유로(382)는 상기 이너케이스(2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팀홀(233)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381)는 상기 급수통(301)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스팀은 상기 스팀공급유로(382) 및 스팀홀(233)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로 이동할 있다. 즉, 위와 같은 경로를 통해 제1챔버(220) 내부로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스팀공급부(380)가 제2챔버(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도면은 단순히 스팀공급부(380)의 존재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제 실시예에서 스팀공급부(380)는 제2챔버(3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2챔버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상기 제2챔버(300)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5(b)는 상기 제2챔버(300)를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제2챔버(300) 내부에는 의류처리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의류처리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설치되는 공간을 배치하는 베이스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유로부(3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순환유로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부(310)는 제2챔버(300)에 구비되어 각종 구성들을 지지하거나, 각종 구성들이 설치되는 면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특히, 순환유로부(320)와 베이스부(31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일체로 형성된 사출물 중에서 순환유로부(320)를 제외한 사출물 전체를 베이스부(310)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열교환부(33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3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에 후술하는 열교환기(331,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부(320)의 외부에는 상기 열교환기(331, 332)에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31,332)는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유로부(320)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할수도 있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가 캐비닛(100) 외부에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전방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덕트(3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외기덕트(37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통과 배수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1)과 배수통(302)은 상기 외기덕트(3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와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와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와 상기 유입홀(231)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커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2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하부와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상부면은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내부에 함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상부면은 순환유로부(32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유로부(320)를 연결하는 유입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부(320)에 제1챔버(220)의 공기를 전달하는 흡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급수통(30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공급부(3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38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380)는 상기 유입부(36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0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와 상기 제1챔버(220)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팬설치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의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53)과,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상기 순환유로부(32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는 팬하우징(3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와 상기 배출홀(232)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352)는 상기 팬하우징(351)에서 단면이 상기 배출홀(23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상기 배출홀(232)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챔버(2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커버(36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순환유로부(3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해 다시 제1챔버(2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압축기(3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열교환기(331,332)에 냉매를 공급하는 상기 압축기(340)가 설치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설치부(313)은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3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컨트롤패널 또는 PCB기판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제어부(39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상기 제어부(39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압축기(340), 상기 스팀공급부(38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가 상기 베이스부(310)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제어부(39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가 모든 전자구성과 가깝게 배치되므로 노이즈 등의 제어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상부에 스팀공급부(380)가 배치되며, 순환유로부(320)의 하부에는 제어부(39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유로부(320)가 상기 스팀공급부(380)과 상기 제어부(390) 사이에서 직선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유로부(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에 상기 순환유로부(320), 상기 외기덕트(370), 스팀공급부(380), 제어부(390), 열교환부(330), 압축기(340)가 모듈 형식으로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부(310)가 상기 제2챔버(3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입 되면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 보수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부 및 순환유로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상기 베이스부(310) 및 순환유로부(32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b)와 도 6(c)는 상기 베이스부(310) 및 순환유로부(32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캐비닛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310)가 그 자체로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베이스캐비닛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순환유로부(32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제2챔버(30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챔버(2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바디(321)와 상기 유로바디(321) 내부에 증발기(331) 또는 응축기(33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과, 상기 유로바디(321)의 후방에 구비되어 유로바디(321)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유로바디(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직경은 상기 유로바디(321)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는 상기 팬하우징(35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에서 배출된 공기는 팬하우징(350)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또는 제1챔버(22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유로바디(32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기흡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는 상기 외기덕트(37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 상기 외기덕트(37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폐를 통해 외기가 순환유로부(3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164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3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바닥부(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0)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부(310)의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312)는 공기배출부(323)과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제어부(390)가 설치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유로부(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유로부(32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유로부(320)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의 구조는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유로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베이스부(310)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증발기(331)와 응축기(33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상기 유로바디(3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321)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321)의 개구부를 통해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가 투입되어 설치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321)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의해 상측의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커버(360)와 상기 유로바디(321)는 순환유로부(320)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술한 급수통(301) 또는 배수통(302) 및 외기덕트(370)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바닥지지면(3111)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33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부(320)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증발기(331)와, 상기 증발기(33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응축기(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40)는 상기 응축기(332)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0)는 상기 순환유로부(320) 외부에 배치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332)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밸브(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바디(321)가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높이도 더 많이 확보될 수 있고,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의 높이도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의 전후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도 있어,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배관의 수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증발기(331) 길이와 응축기(332) 길이의 합은 열교환기 설치부(3212) 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전후방향 길이는 유로바디(321)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3212)가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유로부(320) 내부에 외기와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바디(321)의 내부는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와 상기 열교환시 설치부(3212) 외부를 구분하는 설치격벽(3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격벽(3211)은 상기 유로바디(3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331)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바디(321)는 상기 설치격벽(3211)을 기준으로 너비가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부(320)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332) 너비 및 증발기(331) 너비 또한 베이스부(310) 전체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의 너비가 확보되면, 열교환 용량을 충분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하우징(351)은 응축기(332) 또는 증발기(33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31) 및 응축기(332)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의 꺾임 없이 팬하우징(35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순환유로부(320)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351)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로의 꺾임이 없어 유동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냉매의 누설이 예상되는 지점이 표시되어 있다. 냉매의 누설 가능성이 높은 지점으로는 크게 두 부분이 있다.
먼저, 응축기(332) 또는 증발기(331)를 형성하는 배관들 중에서 U자형 배관(C1)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있다.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해 응축기(332) 또는 증발기(331)를 형성하는 배관은 연속된 통로를 형성해야 한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냉매가 유동하는 하나의 배관이 꺾어짐에 따라 중첩된 형태로 구성된다.
배관이 꺾어지는 부분은 U자형 배관(C1)으로 형성될 수 있다. U자형 배관(C1)은 하나의 직선 배관(L11)과, 다른 하나의 직선 배관(L1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선 배관(L11, L12)과 U자형 배관(C1) 사이는 용접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선 배관(L11, L12)과 U자형 배관(C1)은 냉매가 유동하는 하나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용접부위는 냉매 누설에 취약한 부분이 될 수 있다. 결합부위는 제작 당시부터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니고, 별개의 구성으로 제작된 뒤 임의로 결합한 것이므로 압력이나 온도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응축기(332)를 형성하는 배관에는 압축기(34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동하므로 더욱이 누설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표시된 배관의 결합부위에서는 냉매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직선 배관(L11, L12)과 U자형 배관(C1)이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U자형 배관(C1)은 구부러진 형상에 의해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U자형 배관(C1)에서는 크랙 또는 미세홀이 형성되어 냉매의 누설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순환유로부(320)의 외부에는 응축기(332) 또는 증발기(331)와 연결된 팽창밸브(334) 및 압축기(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334) 및 압축기(340)를 유동하는 냉매 또한 상기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를 유동하는 냉매와 동일하다.
즉,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는 압축기(340) 및 팽창밸브(334)와 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를 순환유로부(320)에 설치할 때, 순환유로부(320) 내부에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를 배치시킨 뒤, 응축기(332) 및 증발기(331)에서 연장되는 배관은 팽창밸브(334) 또는 압축기(340)와 용접을 통해 결합한다.
이 때,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위(C2)에는 미세 크랙 또는 핀 홀(pin hole)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해당 결합부위(C2)에서는 가연성 냉매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결합부위(C2)에 미세 크랙 또는 핀 홀(pin hole)이 발생되는 이유는 기계적 진동에 따는 응력 또는 용접 불량이 있을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고려하면, 순환유로부(320)의 내부와 순환유로부(320)의 외부는 공기 유동 관점에서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순환유로부 내부의 U자형 배관(C1)에서 누설된 냉매는 순환유로부를 통해 순환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순환유로부 외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된 냉매는 순환유로부 외부에 잔존할 가능성이 높다. 즉, 순환유로부 외부에서 누설된 냉매는 높은 밀도에 의해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적층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높은 농도로 유지되어 발화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환기부에 관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서 밀도가 높은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 냉매가 밀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도 8(b)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치하였을 때 냉매의 분산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를 참고하면 캐비닛(100) 내부는 제1챔버(220)와 제2챔버(30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 내부 공간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의해 제1챔버(220)와 제2챔버(300)로 구분될 수 있다. 냉매 누설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부분은 제2챔버(300)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환기부(600)의 배치와 관련하여 제2챔버(300)에 집중하여 살펴본다.
도 8(a)를 참고하면 제2챔버(30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310)가 배치된다. 베이스부(310)는 제2챔버(3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부(310)는 베이스 캐비닛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누설된 냉매는 제2챔버(300) 내부를 유동하다가 냉매의 밀도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냉매의 적층 영역을 도면에서 'R'로 표현한 것이다. 냉매가 적층되어 정체되어 있을 경우 해당 영역의 냉매 밀도는 높아질 수 있다. R-290과 같은 냉매는 냉매 농도가 0.5% 이하로 유지될 경우 폭발 위험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즉, 냉매가 누설되더라도 냉매를 분산하여 농도를 0.5% 이하로 낮출 경우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설된 냉매를 분산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300) 내부에서 기류를 형성하는 환기부(60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600)는 베이스부(3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600)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환기팬(62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팬(620)의 배치 방법에 따라 냉매를 분산하는 효과가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환기부(600)는 환기팬(6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로(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600)는 베이스부(310)를 관통하는 환기홀(61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홀(610)은 베이스부(310)의 구조물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영역을 연통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베이스부(310) 상에 환기팬(620)이 직립되어 있다. 즉, 상기 환기팬의 회전축(620r)은 베이스부(3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환기팬(620)은 박스팬으로 구비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박스팬은 공기의 유입방향과 토출방향이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환기팬(62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는 베이스부(3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R1'로 표시한 부분은 환기팬(620)에 의해 기류가 발생되어 냉매가 분산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R1'로 표시한 부분은 폭발의 위험이 적은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R2'로 표시한 부분은 환기팬(620)에 의해 기류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된 기류의 영향이 충분히 미치지 못하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즉, 도면 상에서 'R2'로 표시된 부분은 환기팬(620)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높은 농도로 유지되는 '폭발 위험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환기팬(620)이 베이스부(310)와 나란한 방향의 기류를 형성할 경우 환기팬(620)의 하부 영역에서는 기류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연성 냉매의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영역이 잔존할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면, 베이스부(310) 상에 환기팬(620)이 안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환기팬의 회전축(620r)이 베이스부(3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환기팬의 회전축(620r)은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환기팬(620)은 원심팬으로 형성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원심팬은 공기의 유입방향과 공기의 유출방향이 서로 다른 팬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축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시로코팬(Sirocco fan)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면 베이스부(310)의 상부에 있는 냉매는 베이스부(3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환기팬(620)에 유입된 뒤, 베이스부(31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환기팬(620)의 토출측은 배출유로(6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위치된 공기는 베이스부(310)의 측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환기팬(620)의 높이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험 영역(R2)이 발생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8(c)와 같이 환기팬(620)을 배치할 경우 가연성 냉매를 충분히 환기하지 못할 위험성이 있다.
도 8(d)를 참고하면 베이스부(310)의 상에 환기팬(620)이 안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환기팬(620)의 배치 자체는 도 8(c)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8(c)에서는 환기팬의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과 달릴 도 8(d)에 따른 환기팬의 하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600)는 상기 베이스부(310)를 관통하는 환기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위치한 냉매는 환기홀(610)을 통해 베이스부(310)의 저면 또는 베이스부(3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 또는 내측을 경유한 공기는 상기 환기팬(62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d)와 같이 환기팬(620)이 배치될 경우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적층된 냉매는 베이스부(310)의 저면 또는 내부로 이동된 후에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적층된 냉매는 일차적으로 베이스부(310)의 상면보다 낮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b) 및 도 8(c)에서 도시된 것과 비교할 때 냉매가 밀집되는 위험영역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e)를 참고하면 환기팬(620)은 베이스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팬(620)이 배치될 경우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적층된 냉매는 환기팬(620)의 상부를 통해 환기팬(620)으로 유입된 후 베이스부(310)와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환기팬(620)에서 토출된 공기는 배출유로(630)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출유로(630)는 베이스부(310)의 내측 또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e)와 같은 구조로 환기팬(620)이 배치되면,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적층되는 냉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환기팬(620)은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위치된 냉매들이 더욱 낮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위험영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e)를 비교하면 냉매 환기를 할 때 베이스부(310)의 상면만 이용할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잔존 냉매가 남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환기팬(620)의 모양, 물리적인 한계에 의해 냉매의 폭발 위험 영역이 제거되지 못하여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다만, 냉매를 환기할 때 베이스부(310)의 상면 뿐 아니라 베이스부(310)의 저면까지 이용할 경우 냉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잔존 냉매를 최소화하여 폭발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부(310)의 상면 및 저면은 베이스부(310)의 구조물에 의해서 구분되는 양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310)의 상면과 저면이 특정 격벽을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310)의 상면과 저면이 특정 격벽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2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활용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제2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서 베이스부(310)의 구조물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 중 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되는 영역을 유로로 활용하여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팬(620)은 환기팬의 회전축(620r)이 캐비닛(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환기팬의 회전축(620r)의 연장방향을 따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환기팬(620)은 상기 환기팬의 회전축(620r)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환기팬의 회전축(620r)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는 것의 의미는 환기팬의 공기 흡입방향과 공기 토출방향이 서로 나란하지 않고, 교차된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수직하다는 것이 물리적으로 수직한 것이 아니라 교차되는 것, 즉 평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도 8(b) 내지 도 8(e)와 다른 구조로 배치된 환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챔버(300)의 하부에는 가연성 냉매가 적층된 영역(R)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환기팬(620)은 상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환기팬의 회전축(620r)은 베이스부(3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환기팬의 회전축(620r)은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조는 도 8(e)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나, 환기팬(6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하측을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베이스부(310)의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러나 환기팬(620)이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될 경우 상기 베이스부(310)의 하부 환경에 의해 환기 효율이 변경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베이스부(310)는 러그(Rug)와 같은 불균일한 지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러그(Rug)나 카펫트 처럼 베이스부(310)가 설치되는 지면이 섬유질 조합물로 구성될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이 섬유질에 의해 차폐될 가능성이 있다. 즉, 환기팬(620)의 토출구 측이 린트나, 섬유질에 의해 차폐되어 냉매의 환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지면 환경을 고려할 때 상기 환기팬(6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베이스부(310)의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환기팬(620)이 공기를 하부로 토출하게 배치된다면, 캐비닛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지점과 지면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캐비닛 하부에 레그를 설치하여 캐비닛의 하측면과 지면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킨다면 위에서 우려한 문제는 발생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환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600)는 상기 제2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통해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60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600)는 제2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환기팬(62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팬(620)은 상기 제2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제2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부(600)는 베이스부(310)를 관통하는 환기홀(610, 도 11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를 관통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베이스 바닥부(311)를 관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 또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관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환기홀(610)이 상기 베이스부(310)를 관통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환기홀(610)이 상기 베이스부(310)를 구성하는 구조물에 의해 구분되는 양 영역을 연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부(310)를 구성하는 격벽이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격벽을 관통하게 구비되는 것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를 관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제2챔버(300) 내부 공기를 환기홀(6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팬(620)은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있는 공기를 상기 환기홀(6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있는 공기를 상기 환기홀(610)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310)의 상측 또는 베이스부(310)의 상면이라고 함은 베이스부(310)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베이스부(310)의 저면 또는 베이스부(310)의 하면이라고 함은 베이스부(310)를 지면에 설치한 상황에서 지면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310)의 구성 중 지면에 수직한 격벽을 가정할 때, 베이스부(310)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격벽의 양측면 중 외부에 노출되는 면이 베이스부(310)의 상측 또는 베이스부(310)의 상면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격벽의 양측면 중 외부에 노출되는 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 또는 격벽의 양측면 중 외부에 노출되지않는 면이 베이스부(310)의 하면 또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부(310)의 상면 및 저면은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면과 하측에 위치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조물의 공간 분리 측면에서 노출면을 상면, 노출되지 않는 면을 저면 또는 하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정의를 기초로 설명하면,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베이스부(310) 상측의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베이스부(310)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일 영역과 타 영역이 연통되기 어려웠다. 즉, 내부 공기의 환기도 베이스부(310)의 일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시 말해, 제2챔버(300) 내부 공기는 베이스부(310)의 상면에서만 유동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환기팬(620)은 상기 베이스부(310)를 기준으로 일 영역(베이스부의 상면)의 공기를 타 영역(베이스부의 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높은 밀도로 인해 베이스부(310)의 일 영역에 적층된 가연성 냉매를 베이스부(310)의 일 영역에서 타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환기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기부(600)는 환기팬(6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100)으로 안내하는 배출유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630)는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출유로(63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이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630)의 저면은 개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630)의 하부에는 캐비닛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캐비닛(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630)는 상기 베이스캐비닛(100)과 결합되어 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배출유로(630)가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노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배출유로(63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유로(63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630)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62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배출유로입구(631) 및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310)의 외부로 토출되는 배출유로출구(6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로(630)는 배출유로입구(631) 및 배출유로출구(632)를 연결하는 이동유로(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63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후방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배출유로(630) 상의 공기 유동 경로를 설명하면, 환기팬(6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유로입구(631)로 유입되어 이동유로(633)를 지나 배출유로출구(632)로 토출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유로(630)가 공기를 하부로 토출할 경우 설치면의 환경에 따라 환기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배출유로(630)가 공기를 후방으로 토출하게 구비될 경우 설치면의 환경과 무관하게 환기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630) 중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은 공기 배출을 위해 개방되어 있다. 이 때, 개방된 영역을 통해 내부의 소음 등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배출유로(630)가 환기팬(6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캐비닛의 후방으로 안내할 경우 배출유로(630)의 개방된 영역이 후방에 배치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로(630)는 압축기(3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환기팬(620)은 압축기(3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팬(620)은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환기팬(6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배출유로(630)를 향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압축기 하부에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배출유로(630)를 압축기(340)의 하부에 배치할 경우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내부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구성이 공간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는 '고온, 고압' 영역으로서 압축기에서는 냉매가 누설될 가능성이 현저히 높다. 즉, 압축기 근방은 냉매 누설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즉, 환기팬(620)이 압축기 근방에 설치되면 냉매 누설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환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압축기에서 누설되는 냉매는 높은 밀도로 인해 압축기의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즉, 압축기 근방 중에서도 압축기 하부의 냉매 집중도가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환기팬(620)이 압축기 하부에 배치되면 냉매 누설 가능성이 가장 높은 영역을 환기하여 환기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0)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핀(3121)과 메인설치부(31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3121)은 압축기(340)의 일측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312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압축기(340)의 여러 부분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핀(3121) 사이에는 메인설치부(3122)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설치부(3122)는 압축기의 중심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40)는 고정핀(3121)에 결합 및 지지되고 메인설치부(3122)와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0)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3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부(3123)는 순환유로부(320)의 측벽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3123)는 순환유로부(320)와 베이스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23)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압축기(34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열교환부(330)의 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23)는 압축기(34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방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기홀(610)은 압축기 설치부(312)를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압축기 관통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은 압축기 설치부(312)를 캐비닛(100)의 높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은 상기 메인설치부(3122)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관통홀(613)은 베이스 바닥부(311)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은 베이스부(310)에 의해 구분되는 압축기 설치부(312) 공간과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연통할 수 있다. 즉, 압축기 설치부(312)에 적층된 냉매나 공기는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을 통해 베이스부(31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환기팬(620)은 압축기(340) 주변에 위치하는 냉매나 공기를 압축기 관통홀(613)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환기팬(620)은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의 하부에 깔려있는 냉매를 더욱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환기팬(620)이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에 배치됨으로써 밀도가 높은 냉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은 상기 압축기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 근방에는 누설된 냉매가 집중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은 냉매 누설 가능성이 높은 압축기 근방 중에서도 냉매 집중도가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환기팬(620)이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에 배치될 경우 환기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10)는 환기팬(620)을 베이스부(310)에 고정하는 환기부 설치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부 설치부(316)는 압축기 관통홀(613)의 둘레에 구비될 있다. 상기 환기부 설치부(316)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620)을 상기 베이스부(3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유로부(320)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환기부(600)는 열교환부(33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순환유로부(320)와 제어부 설치부(313)는 상하로 배치되고, 열교환부(330)와 환기부(600)도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부(600)는 열교환부(330)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부(600)는 제어부 설치부(313) 내부를 더욱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다른 구성들에 비해 지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냉매의 농도가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어부 설치부(313)를 효과적으로 환기할 경우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가연성 냉매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부(600)는 상기 제어부(390)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환기부(600)는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에 잔존하는 냉매를 하부에서 환기시킬 수 있다. 냉매의 밀도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상기 환기부(600)가 발화 위험이 있는 구성보다 하부에 위치될 경우 발화 가능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와 순환유로부의 단면을 단면을 상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와 순환유로부의 단면을 하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1과 도 12를 함께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310)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유로부(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순환유로부(320)의 바닥면은 제어부 설치부(3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하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 내부에는 PCB 기판 조립체 등으로 형성되는 제어부(390)가 삽입 및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의 너비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은 베이스부(310)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설치부(313)의 타측면은 상기 배출유로(630)를 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각 구성을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AC 또는 고전압DC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AC 또는 고전압 DC단의 아크로 인해 발화 가능성이 있다.
R-290과 같은 냉매가 특정 농도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제어부(390)에서는 발화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 설치부(313) 내부를 환기하는 것이 가연성 냉매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제어부가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밀도가 높은 R-290을 사용하더라도 제어부 측에서 가연성 냉매가 발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 설치부(313)가 전체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밀도가 높은 냉매를 사용할 때 제어부(390)에서 가연성 냉매가 발화될 가능성이 더욱 높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 설치부(313)의 주변을 환기하여 발화 가능성을 낮출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동기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환기홀(610)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어부 관통홀(6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을 통해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 내부의 공기는 더욱 용이하게 환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 관통홀(611)은 상기 제어부(390)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양측면 중 상기 배출유로(630)를 향하는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관통홀(611)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양측면 중 압축기(340)가 배치된 방향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과 연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와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양측면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양측면 중 일면을 너비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와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과 연통될 수 있는데, 이 때, 베이스부(310)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부(310)를 뒤집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310)는 순환유로부(3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면(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15)은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너비방향 양측면 중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에 인접한 일 측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315)은 상기 배출유로(630)에 가까운 상기 순환유로부(320)의 일 측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15)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측면과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315)은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과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면(315)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에 상기 열교환부(330)의 배관 및 팽창밸브(334) 등이 배치되는 배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너비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관부(314)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너비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15)은 상기 베이스부(310) 중 상기 배관부(314)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홀(610)은 상기 지지면(315)을 관통하는 배관부 관통홀(6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은 상기 지지면(315) 중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과 마주하는 일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15)은 캐비닛(1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은 상기 지지면(315)을 베이스부(310)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은 상기 지지면(315)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면(315)의 일측은 베이스부(310)의 상면을 형성하고 타측은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면에 적체된 냉매 또는 공기는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부(314)에 적층된 가연성 냉매를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통해 환기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은 높은 밀도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가연성 냉매의 특성을 이용하여 냉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환기부(600)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유유로(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유유로(65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따. 상기 경유유로(650)는 환기홀(610)과 배출유로(630)를 연통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320)의 바닥면은 경유유로(65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특정 격벽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순환유로부(320)가 하측에는 경유유로(65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순환유로부(320)는 열교환부(330), 특히 증발기(331)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24)는 순환유로부(320)의 바닥면 중 일부가 아래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집수부(324)는 물이 저장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집수바닥면(3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3241)은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3241)은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 보다 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3241)의 하측에는 상기 경유유로(6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3241)은 상기 경유유로(650)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바닥면(3241)의 일측은 순환유로부(320)를 형성하고 타측은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측면, 상기 집수바닥면(3241) 및 상기 지지면(315)은 경유유로(65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유유로(650)는 배출유로(63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경유유로(650)와 상기 배출유로(630) 사이에는 환기팬(62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통해 캐비닛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경유유로(650)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630)로 안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경유유로(65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유유로(65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유유로(650)는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와 상기 베이스부(310)의 너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유유로(650)는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유유로(650)가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와 중첩되있을 경우 상기 경유유로(650)는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더욱 다량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공기의 환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R-290 냉매의 발화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설치부(313)를 더욱 효율적으로 환기한다면 의류처리장치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2를 다시 참고하면, 작동을 위해 전원이 입력되어야 하는 전장품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제어부(390), 송풍팬(353), 압축기(340), 스팀공급부(380)는 작동을 위해 전원이 입력되어야 하며, 전원 입력 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고하면 스파크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표시해 두었다. W1로 표시된 영역은 제어부(390)가 위치되는 영역이다. 제어부(390)에는 전원이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원입력 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W2로 표시된 영역은 송풍팬(353)에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를 표시한 것이다. 송풍팬(353)이 회전하기 위해서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어야 한다. 특히, 모터에 전원이 입력되어야 한다. 모터 하부측에 전원입력단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부분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W3로 표시한 영역은 압축기(340)에 전원이 공급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압축기(340)의 상측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전원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W4로 표시한 영역은 스팀공급부(380)에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를 표시한 것이다. 스팀공급부(380)는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한다. 따라서, 스팀공급부(38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가 필요하다. 그리고 전원입력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있다.
상술한 W1 내지 W4에서는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스파크에 의해 가연성 냉매 R-290이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구성들이 배치된 영역을 집중적을 환기할 경우 폭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들은 제어부(390), 송풍팬(353), 압축기(340), 스팀공급부(380) 순서로 지면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어부(390)가 지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가연성 냉매, 특히 R-290은 밀도가 높기 때문에 누설될 경우 자연적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R-290의 농도는 하부 영역에서 가장 높게 유지될 것이다. 자연스럽게 하부 영역의 발화 가능성이 더욱 높다.
그러므로, 지면에 더욱 가깝게 배치된 전장품이 폭발을 야기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즉, 상술한 구성들 중 제어부(390)에서 폭발이 발생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러므로 제어부 설치부(313)를 더욱 집중적으로 환기하는 것이 전체적인 폭발 가능성을 낮추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배치 순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지면에서의 위치는 설치 구조 또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베이스부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제어부 관통홀이 노출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어부 관통홀(611), 경유유로(650), 환기팬(620), 배출유로(630)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 설치부(313)에는 제어부(390)가 배치된다. 또한, 제어부(390)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가연성 냉매가 발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부(310) 전체에서 지면과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가연성 냉매는 본연의 밀도에 의해 하부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적층된 냉매는 제어부 설치부(313)에 다수 포진할 가능성이 있다.
즉, 제어부 설치부(313)의 하부 배치 및 가연성 냉매의 높은 밀도에 의해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발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어부 설치부(313)의 내부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환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제어부 관통홀(611)을 통해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 내부의 공기는 경유유로(65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경유유로(650)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환기팬(620)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환기팬(62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팬(620)으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유로(63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로(630)로 이동된 공기는 캐비닛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310)에는 제어부 관통홀(611), 환기팬(620) 및 배출유로(630)를 차례로 연결하는 제어부 환기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환기유로(P1)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환기유로(P1)는 제어부 관통홀(611)을 통과하는 영역(P11), 경유유로(650)를 통해 환기팬(620)으로 유입되는 영역(P12) 및 배출유로(630)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영역(P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 환기유로(P1)는 상술한 세가지 영역(P11, P12, P13)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환기유로(P1)의 하면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현재 도면 상으로는 상측이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은 베이스부의 저면이 위로 오도록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어부 환기유로(P1)의 하면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캐비닛(110, 도 15 참고)이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캐비닛(100)은 제어부 환기유로(P1)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 환기유로(P1)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예시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 환기유로(P1)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 내부에 성형될 수도 있다. 만약 제어부 환기유로(P1)가 베이스부(310) 내부에 성형될 경우에는 베이스 캐비닛(100)이 덕트를 형성하지 않을 것이다.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 자체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은 베이스부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배관부 관통홀이 노출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배관부 관통홀(612), 경유유로(650), 환기팬(620), 배출유로(630)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부(314)에는 열교환부(330)와 팽창밸브(334), 열교환부(330)와 압축기(340)를 연결하는 배관이 위치된다. 또한, 배관에서는 가연성 냉매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배관부(314)는 누설 냉매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배관부(314)를 효과적으로 환기할 경우 가연성 냉매의 밀도가 발화 가능 농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부 관통홀(612)을 통해 배관부에 적층된 가연성 냉매를 경유유로(6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부에 적층된 가연성 냉매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을 통해 경유유로(650)로 이동된 냉매는 환기팬(62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환기팬(62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팬(620)의 측면을 통해 배출유로(63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 상기 환기팬(620) 및 상기 배출유로(630)를 차례로 연결하는 배관부 환기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부 환기유로(P2)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부 환기유로(P2)는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관부 환기유로(P2)는 배관부 관통홀(612)을 통과하는 영역(P21), 경유유로(650)를 통해 환기팬(620)으로 유입되는 영역(P22) 및 배출유로(630)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영역(P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관부 환기유로(P2)는 상술한 세가지 영역(P21, P22, P23)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부 환기유로(P2)는 상기 제어부 환기유로(P1)와 베이스부(310)의 상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지점만 상이하고 이후 경로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부 환기유로(P2)는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을 통해 베이스부(310) 상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반면, 상기 제어부 환기유로(P1)는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을 통해 베이스부(310) 상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즉, 제어부 환기유로(P1)와 배관부 환기유로(P2)는 유로의 상류가 각각 제어부 관통홀(611)과 배관부 관통홀(612)인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공기 유동 구간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 환기유로(P1)와 배관부 환기유로(P2)는 경유유로(650)를 통해 환기팬(620)으로 유입되는 영역(P12, P22) 및 배출유로(630)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영역(P13, P23)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관통홀(611)과 상기 배관부 관통홀(612)은 상기 경유유로(65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320상기 제어부 환기유로(P1) 및 배관부 환기유로(P2)의 일부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 환기유로(P1) 및 상기 배관부 환기유로(P2)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밀도가 높은 가연성 냉매인 R-290과 같은 냉매를 환기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베이스부(310)의 상측에 적층된 냉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부(310)의 상면보다 더욱 높이가 낮은 위치를 유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베이스부(31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를 유로로 활용할 경우 중력을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미치지 않는 지점까지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는 환기팬이 설치된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다.
특히, 도 15는 도 10의 점선(A-A')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압축기 및 환기부 부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압축기 설치부(312)에는 압축기(3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환기부(600)는 압축기(340)의 하부에 배치된다. 특히, 환기팬(620)은 압축기(340)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환기팬(620)은 압축기 관통홀(61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관통홀(613)은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와 상기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0)는 동작을 위해 외부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을 입력받을 때, 압축기(340) 부근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340) 근처에서는 가연성 냉매가 발화될 가능성이 있다.
환기팬(620)이 작동할 경우 압축기 측면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냉매는 환기팬(620)의 상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환기팬(620)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배출유로(630)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 상기 환기팬(620) 및 상기 배출유로(630)를 차례로 연결하는 압축기 환기유로(P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배출유로(630)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상면과 베이스부(310)의 저면을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환기유로(P3)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 주변에 적층된 냉매를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가연성 냉매가 발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함께 참고하면, 압축기의 상측에는 스팀공급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380)는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즉, 스팀공급부(380)는 작동하기 위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있다. 전력 공급 과정에서 스팀공급부(380)는 압축기(340)와 마찬가지로 스파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스팀공급부(380)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즉, 스팀공급부(380)의 주변부에서도 가연성 냉매는 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공급부(380)의 주변 공기를 충분히 환기하는 것이 가연성 냉매의 발화 가능성을 낮추는 데에 효과적이다.
상술한 압축기 환기유로(P3)는 상기 스팀공급부(380) 주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환기유로(P3)는 상기 스팀공급부(380)에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가연성 냉매가 발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환기부를 어떻게 제어하여 냉매 환기를 구현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환기팬 작동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팬 작동단계(S10)는 다른 구성의 작동보다 선행하여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냉매 농도 감지 과정 없이 선제적으로 환기팬(620)을 작동하여 폭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환기팬 작동단계(S10)가 실행된 이후 다른 구성의 작동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가연성 냉매의 농도는 2.5%보다 낮게 유지될 경우 폭발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환기팬 작동단계(S10)는 가연성 냉매의 농도가 2.5%보다 낮아질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30초로 정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냉매의 폭발 가능 농도 및 시간은 적용되는 냉매 또는 팬의 상세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르면, 환기팬 작동단계(S10)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지속된 뒤 다른 구성들의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S31, S32, S33). 즉, 환기팬(620)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 뒤에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작동단계(S3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작동단계(S32)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작동단계(S33)가 개시될 수 있다.
환기팬(620)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계속 작동될 수 있다. 즉, 다른 구성이 작동되는 중에도 환기팬(620)의 작동은 종료되지 않고 계속 유지될 수있다.
환기팬(620)은 다른 구성들의 작동이 모두 종료된 후에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즉, 환기팬(620)은 모든 구성들 중에서 가장 먼저 작동을 개시하고, 가장 늦게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가연성 냉매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기팬(620)을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의 모든 구성이 작동할 때 제어부(390)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과정에는 발화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과정 전반에서 냉매의 희석을 위해 환기팬(620)을 작동시킬 경우 가연성 냉매의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팬 작동단계(S10) 이후에 다른 구성들의 작동 개시(S31, S32, S33) 및 작동 종료(S34, S35, S36)가 완료될 수 있다. 즉, 환기팬 작동단계(S10)와 환기팬 종료단계(S40) 사이에 환기팬을 제외한 다른구성의 작동 및 종료단계(S30)가 개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풍팬 종료단계(S34), 압축기 종료단계(S35) 및 스팀공급부 종료단계(S36)가 완료된 뒤 환기팬(620)의 작동을 종료하는 환기팬 종료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누설된 냉매를 감지하여 냉매가 누설되었음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누설된 인화성 냉매, 예컨대 R290은 무색이고 무취이므로 육안이나 냄새로 구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누설을 판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순환유로부(320)의 상류에 위치하여 제1챔버(220)에서 토출된 공기의 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601, 도 5 참조) 및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인화성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602,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압축기(340)에 걸리는 전류부하를 읽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류측정기 등은 필요치 않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압축기(340)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기나 센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온도센서 및 제2온도센서도 제1온도와 제2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종류이든 무방하다.
제어부(390)는 제1온도센서(601)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2)의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압축기 내부의 모터 회전, 스팀공급부(380)에 공급되는 전력,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및 상기 환기팬(6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압축기(340), 상기 송풍팬(353) 및 상기 환기팬(620)은 인버터 방식에 의해 회전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은 히트펌프의 압축기(340)를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증발기(331)와 응축기(332)을 통해 고온의 건조한 공기를 만들어 제1챔버(22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행정과 히트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이미 가열된 공기만을 순환시켜 서서히 냉각시키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냉각행정을 거치게 된다.
건조행정과 냉각행정에서는 누설에 무관하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가 기설정된 시간에 환기팬을 동작시킨다. 이는 평상시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만에 하나 인화성 냉매가 누설된다고 하더라도 공기가 순환되어 인환 성 냉매의 농도가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압축기가 동작하는 건조행정에서는 압축기의 동작으로 인해 냉매가 순환하게 되므로 냉매의 누설이 빨리 그리고 많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시간에 팬을 동작시키는 것만으로는 누설된 냉매의 농도를 희석시키는 것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가 동작하는 건조행정에서는 상기 누설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온도센서(601) 및 제2온도센서(602)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압축기(340)의 전류부하를 실시간으로 읽어 누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차이와 전류값을 측정하는 두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누설로 판단하게 되면 한가지 방법에 의해 누설을 판단하는 것 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누설을 판단하는 판단방법에 대해 상술하고자 한다. 제1온도센서(601)는 제1챔버에서 토출된 고온의 공기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제2온도센서(602)는 냉매 순환 경로에서 최저온도에 해당하는 증발기 입구에서의 냉매온도(제2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 즉 누설이 없이 냉매가 순환되어 공기와 냉매사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라면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크나, 누설이 생기는 경우라면 냉매가 누설될수록 냉매의 압축 및 응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냉매와 공기사이 열교환도 이루어지지 않게되므로, 결국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이를 이용해서 누설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서는 제1온도와 제온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허용온도차 이하인 경우를 누설로 판단하게 되는 상기 허용온도차는 바람직하게는 2 ℃로 설정될 수 있다.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공기온도와 냉매온도가 동일해짐을 뜻하므로 공기온도를 반드시 제2챔버에서 측정하거나, 냉매온도를 반드시 증발기 입구온도를 측정할 필요는 없다.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서 다른 곳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도 공기온도와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누설을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증발기(331)와 응축기(332)가 정상상태(steady state)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과도 (transient) 시간 필요하므로 기설정된 제2기준시간 이후에 제1온도와 제2온도를 비교하여 냉매의 누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준시간 이전에는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동작하지 않으므로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를 누설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기(340)의 전류부하를 이용해서도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냉매가 누설된 경우에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은 점점 감소하게 될 거시므로 누설시의 압축기에 걸리는 전류 혹은 전류부하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서는 기설정된 임계전류(혹은 임계전류부하)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냉매가 누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8 A(암페어)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압축기(340)가 정상상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 필요하므로 기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후에 압축기의 전류(혹은 전류부하)가 상기 임게전류(혹은 임계전류부하) 이하로 판단되면 냉매가 누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준시간 이전에는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압축기의 전류부하가 크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를 누설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기준시간은 건조행정에서 압축기(340)가 동작한 이후의 경과시간을 뜻하거나, 압축기(340)가 중지된 후 재동작한 이후의 경과시간을 뜻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건조행정에서 인화성 냉매의 누설과 무관하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동작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건조행정시각단계(S100)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건조행정시작단계(S100)에서는 우선적으로 환기팬(620)을 건조행정의 시작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순차적으로 송풍팬(353)과 압축기(200)를 동작시킨다. 즉, 건조행정 시작과 함께 환기팬(620)이 동작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송풍팬 동작시간에 도달 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송풍팬(353)을 동작(S130)시킬 수 있다. 그 후 기설정된 압축기 동작시간에 도달 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압축기(340)를 동작(S150)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 동작시간과 상기 압축기 동작시간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건조행정 시작후 10초 및 15초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상기 압축기 동작시간의 설정시간이 변하거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건조행정의 시작화 함께 동작하는 환기팬(620)을 기설정된 환기팬 동작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S171)하여 상기 환기팬 동작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환기팬(620)의 동작을 종료(S172)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운전 이전에 이미 누설된 냉매가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즉, 이전 사용이 끝난 후부터 현재 사용을 하기 전까지의 시간동안 냉매가 누설되었다면, 캐비닛(100) 내부의 압축기(340) 부근에 모여 있을 수 있으므로, 제어부(미도시)가 환기팬(620)을 이용하여 상기 환기팬 동작시간동안 공기를 순환시켜 누설된 냉매를 희석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환기팬 동작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분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기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한 지 여부에 따라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과 팬 제1동작시간(OT1)을 설정하는 단계(S200)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시간은 건조행정이 시작(환기팬이 동작)된 때로부터 경과시간으로 바람직하게는 2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환기팬(620)은 압축기를 냉각하기 위해서도 동작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건조행정이 시작(팬이 동작)된 때로부터 경과시간이 9~10분이 지난 후에는 10분 이상 환기팬(62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행정이 시작(환기팬이 동작)된 때로부터 경과시간이 9~10분이전에는 보다 자주 환기팬(620)을 동작시켜야 하지만, 건조행정이 시작(환기팬이 동작)된 때로부터 경과시간이 9~10분이후에는 환기팬(620)이 압축기를 냉각하기 위해서 동작하므로 굳이 폭발 방지를 위해 자주 팬을 별도로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기팬(620)이 압축기의 냉각을 위해 동작하는 것을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1기준시간은 바람직하게 2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S210)하여 상기 제1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를 짧게 설정(S221)하여 자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기준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S222)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과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를 5분과 10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1기준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과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을 20분과 10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설정된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과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에 따라 기설정된 건조행정시간(t1)이 끝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환기팬(620)의 동작과 중지를 반복(S300)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301)하여 상기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에 도달했다면 환기팬(620)을 동작(S303)시키고,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이 경과했는지를 판단(S305)하여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이 경과시 환기팬(620)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기설정된 건조행정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S309)하여 상기 건조행정시간(t1)을 경과시 압축기(340)를 종료하여 건조행정을 종료(S310)하고 다음단계인 냉강행정을 개시(S330)할 수 있다.
만약,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301)하여 상기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620)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건조행정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 한 후, 경과하지 않았다면 다시 상기 제1기준시간에 따라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와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을 설정하는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예를 들어, 건조행정시간이 72분이고 제1기준시간이 20분인 경우에는 폭발방지를 위해 환기팬(620)이 동작하는 시간은 건조행정시작과 함께 2분30초 동안 동작하고 그 뒤 건조행정의 경과시간(건조행정 시작후 경과된 시간)이 5분일 때 10초, 10분일 때 10초, 15분일 때 10초, 20분일 때 10초, 40분일 때 10초, 60분일 때 10초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72분이 경과시 건조행정이 종료하게 된다. 즉, 제1기준시간인 20분 이내에서는 건조행정 시작단계(S110)를 제외하고는 환기팬(620)은 5분주기로 10초간 동작한다. 제1기준시간이 20분을 초과한 경우에는 환기팬(620)은 20분주기로 10초간 동작한다.
만약 상기 건조행정시간(t1)이 상기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의 배수인 경우에는 상기 건조행정시간(t1)에 도달시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이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 도달 여부를 판단(S301)에 앞서서, 상기 건조행정시간(t1)이 종료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는 건조행정이 종료된 후 냉각행정이 개시된 경우 인화성 냉매의 누설과 무관하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동작하는 제어방법이다.
냉각행정이 개시(S400)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620)을 동작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기 설정된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과 환기팬 제2동작시간(OT2)에 따라 기 설정된 냉각행정시간(t2)이 끝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환기팬(620)의 동작과 중지를 반복(S500)할 수 있다. 상기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과 상기 환기팬 제2동작시간(OT2)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20분 과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과 상기 환기팬 제2동작시간(OT2)는 상기 환기팬 제1동작주기(PT1)과 상기 환기팬 제1동작시간(OT1)보다 같거나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냉각행정에서 압축기(200)기 동작하지 않고 이미 가열된 공기를 송풍팬(353)을 이용하여 순환시키면서 서서히 냉각시키기만 하므로 냉매가 잦은 빈도로 환기팬(620)을 구동시킬 필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501)하여 상기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에 도달했다면 환기팬(620)을 동작(S503)시키고, 환기팬 제2동작시간(OT2)이 경과했는지를 판단(S505)하여 환기팬 제2동작시간(OT2)이 경과시 환기팬(620)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기설정된 냉각행정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S509)하여 상기 냉각행정시간(t2)을 경과시 압축기(340) 및 송풍팬(353)을 종료하고 냉각행정을 종료(S510)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301)하여 상기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환기팬(620)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냉각행정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 한 후, 경과하지 않았다면 다시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501)하는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예를 들어, 냉각행정시간(t2)가 43분인 경우에는 냉각행정시작과 함께 10초동안 환기팬(620)이 동작하고, 40분일 때 10초간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냉각행정시간(t2)이 상기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의 배수인 경우에는 상기 냉각행정시간(t2)에 도달시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이 종료하게 되므로 환기팬(620)을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환기팬 제2동작주기(PT2) 도달 여부를 판단(S501)에 앞서서, 상기 냉각행정시간(t2)이 종료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압축기가 동작하는 건조행정에서 인화성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판단방법과 누설시 대처방안에 대한 제어방법이다. 건조행정에서는 압축기(340)가 구동되므로 냉매의 누설이 더 빨리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 17및 도 18에 도시된 폭발방지를 위한 제어방법만으로는 인화성 냉매의 누설로 인한 폭발방지에 대한 보장여부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건조행정에서는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누설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여 대응하는 제어방법이 별도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서의 누설감지 제어방법은 도 17에서의 폭발방지 제어방법과 동시에 실행될 수 도 있다. 이하 도 19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건조행정시각단계(S100)을 시작한다. 이는 도 17에서의 건조행정시작단계와 동일하다. 상기 건조행정시작단계(S100)에서는 우선 환기팬(620)이 건조행정의 시작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그 뒤 순차적으로 압축기(340)와 송풍팬(353)이 동작할 수 있다. 즉, 건조행정 시작과 함께 환기팬(620)이 동작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송풍팬 동작시간에 도달 시 송풍팬(353)이 동작할 수 있다. 그 후 기설정된 압축기 동작시간에 도달 시 압축기(340)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동작시간과 상기 압축기 동작시간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건조행정 시작후 10초 및 15초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상기 송풍팬 동작시간과 상기 압축기 동작시간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한편, 건조행정의 시작화 함께 동작하는 환기팬(620)은 기설정된 환기팬 동작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S171)하여 경과로 판단되면 환기팬(620)의 동작을 종료(S172)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운전 이전에 누설된 냉매가 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즉, 이전 사용후에서 현재 사용할때까지의 시간동안 냉매가 누설되었다면, 캐비닛(100) 내부의 압축기(340) 부근에 모여 있을 수 있으므로, 제어부(미도시)가 환기팬(620)을 이용하여 상기 환기팬 동작시간동안 공기를 순환시켜 누설된 냉매를 희석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환기팬 동작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분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도 19에서 S100으로 표시된 건조행정시작단계가 도 17에서의 건조행정시작단계(S100)와 동일하다.
이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압축기의 운전시간이 기설정된 제2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S700)한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준시간 이전에는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고, 측정되는 전류도 임계전류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를 누설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기준시간은 건조행정에서 압축기(340)가 동작한 이후의 압축기(340)의 운전시간을 뜻하거나, 압축기(340)가 중지된 후 재동작한 이후의 압축기(340)의 운전시간을 뜻하도록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준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압축기(340)의 운전시간이 제2기준시간을 경과했는지 판단(S700)한 후, 압축기(340)의 운전시간이 제2기준시간을 경과하였다면, 누설측정단계(S800)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압축기(340)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전류(Icomp)부하, 즉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부품중의 하나인 마이콤을 이용하여 제어부의 PCB에서 압축기쪽으로 흐르는 전류값을 읽어 알 수 있다. 제1온도센서(601)는 제1챔버(220)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인 제1온도(T1)을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602)는 증발기 입구에서의 냉매온도인 제2온도(T2)를 실시간으로 측정(S800)하게 된다. 여기서, 실시간 측정이라 함은 1초보다 작은 측정간격으로 샘플링함을 뜻한다.
상기 제1온도센서(601)는 제1챔버(220)에서 나온 공기가 제2챔버(300)로 유동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순환유로부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바닥 혹은 입구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온도센서(602)는 응축기(332)을 지난 냉매가 팽창되어 증발기로 들어가는 증발기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측정된 제1온도와 제2온도 그리고 측정된 압축기 전류값(Icomp)을 가지고 누설여부를 판단(S900)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압축기(340)에 걸리는 전류의 측정값(Icomp)이 상기 임계전류를 비교(S911)한다. 만약, 압축기(340)에 걸리는 전류의 측정값(Icomp)이 상기 임계전류 이하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제1측정시간을 기 설정된 제1연속시간과 비교(S912)한다. 만약, 압축기(340)에 걸리는 전류의 측정값(Icomp)이 상기 임계전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누설되지 않고 있으므로 제1측정시간 및 제2측정시간을 누적시키는 대신 초기화(S801)하여 다시 압축기 전류를 측정(S810)하고 제1온도와 제2온도를 측정(S821, S822)측정한다.
왜냐하면, 전류와 온도차를 동시에 만족해야만 누설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모든 누설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다시 제1측정시간 및 제2측정시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정시간이란, 건조행정동안 압축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류값이 기설정된 임계전류값 이하로 계속해서 측정되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압축기의 측정전류값(Icomp)이 임계전류값이하로 2초가 측정되다가 임계전류값을 초과한 후 다시 임계전류값 이하로 4초인 경우에는 제1측정시간은 6초가 아니라 2초후 재측정된 4초가 된다.
한편, 제2측정시간이란, 건조행정동안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하는 제1온도와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하는 제2온도의 차이(절대값)가 기설정된 허용온도차 이하로 계속해서 측정되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중간에 상기 허용온도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시 제2측정시간은 초기화되어 재시작 될 수 있다.
압축기(200)에 걸리는 전류(Icomp) 측정값이 상기 임계전류이하이고, 상기 제1측정시간이 연속으로 기설정된 제1연속시간 이상인 경우(S912)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전류측정을 기반으로 누설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속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압축기(340)에 걸리는 전류(Icomp) 측정값이 상기 임계전류이하이나, 상기 제1측정시간이 연속으로 상기 제1연속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측정시간을 누적(S913)하여 다시 압축기의 전류를 측정(S810)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어부(미도시)는 제1온도(T1)와 제2온도(T2)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온도차 이하인지를 비교(S921)한다. 만약 제1온도(T1)와 제2온도(T2)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온도차 이하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제2측정시간을 기설정된 제2연속시간과 비교(S922)한다. 만약, 제1온도(T1)와 제2온도(T2)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온도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누설되지 않고 있으므로 제1측정시간 및 제2측정시간을 누적시키는 대신 초기화(S801하여 다시 압축기 전류를 측정(S810)하고 제1온도와 제2온도를 측정(S821, S822)측정한다.
왜냐하면, 전류와 온도차를 동시에 만족해야만 누설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모든 누설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다시 제1측정시간 및 제2측정시간을 초기화(S801)할 수 있다.
제1온도(T1)와 제2온도(T2)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온도차 이하이고, 상기 제1측정시간이 연속으로 기설정된 제1연속시간 이상인 경우(S912)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온도측정을 기반으로 누설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속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1온도(T1)와 제2온도(T2)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온도차 이하이나, 상기 제2측정시간이 연속으로 상기 제2연속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측정시간을 누적(S923)하고 다시 제1온도(T1)와 제2온도(T2)를 측정(S821, S822)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전류측정에 기반한 누설과 온도측정에 기반한 누설을 동시에 만족하는지를 판단(S930)하여,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최종적으로 누설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류측정에 의한 판단과 온도측정에 의한 판단이 다른 경우라면 다시 압축기(340)의 전류(Icomp)를 측정(S810)하고 제1온도와 제2온도를 측정(S821, S822)하는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누설로 판단되는 조건은 전류측정에 기반한 누설조건과 온도측정에 기반한 누설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340)에 걸리는 전류(Icomp)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전류 이하이고, 상기 제1측정시간이 연속으로 상기 제1연속시간 이상인 경우를 만족하고, 제1온도(T1)와 제2온도(T2)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온도차 이하이면서 상기 제2측정시간이 연속으로 상기 제2연속시간 이상인 경우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만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다음단계인 비상운전단계(S1000)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비상운전단계(S1000)는 환기팬을 기설정된 제1비상운전시간동안 3회 반복하는 제1비상운전단계(S940)과 상기 제1비상운전단계(S940)을 3회 초과하는 경우에 시행하는 제2비상운전단계(S9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비상운전단계(S940)에서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압축기(340)와 송풍팬(353)의 중지 없이 동작한다. 상기 제1비상운전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누설감지로 인한 환기팬(620)의 제1비상운전의 횟수가 3회를 초과했는지 체크하여 3회 이하인 경우에는 다시 제1측정시간과 제2측정시간을 초기화(S801)하고 압축기(200)의 전류값(Icomp) 측정(S810)하고 제1온도와 제2온도를 측정(S821, S822)하는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만약 상기 비상운전의 횟수가 3회를 초과한 경우에는 제2비상운전단계(S960)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제2비상운전단계(S960)에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압축기(340)와 송풍팬(353)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그러나, 기설정된 상기 제2비상운전시간동안 환기팬(620)을 제2비상운전 시킬수 있다. 상기 제2비상운전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90)는 도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피커를 통해 에러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에 알람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조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500)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500)에 표시된 내용을 기초로 조작 상태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조작부(50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버튼(50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501)을 누르면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버튼(501)을 누르면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50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실행시키거나, 작동 중인 의류처리장치를 일시 중지하는 시작버튼(50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코스를 선택한 뒤 시작버튼(502)을 누르면 선택된 코스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스'는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장치들을 기 설정된 방법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코스'는 열교환부, 압축기, 송풍팬 등을 기 설정된 값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스'는 표준 코스, 급속 코스, 강력 코스 등 다양한 코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500)는 의류처리장치의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입력부(511, 512, 513, 51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스입력부는 각 버튼에 할당된 코스를 선택 가능한 제1코스입력버튼(511), 제2코스입력버튼(512), 제3코스입력버튼(513), 제4코스입력버튼(5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500)는 선택된 코스가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된 뒤에 실행되도록 하는 예약버튼(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500)는 코스입력부(511, 512, 513, 514)를 통한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코스표시부(521, 522, 523, 52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스표시부(521, 522, 523, 524)는 각 코스입력부(511, 512, 513, 514)를 통해 수신된 명령을 표시하는 제1코스화면(521), 제2코스화면(522), 제3코스화면(523) 및 제4코스화면(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스입력버튼(511)을 통해 입력된 명령은 제1코스화면(521)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제1코스입력버튼(511)을 1번 누르면 제1코스화면(521)에서 '표준 코스'가 선택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코스입력버튼(511)을 2번 누르면 제1코스화면(521)에서 '급속 코스'가 선택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코스 선택 방법 및 조작 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조작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코스는 열교환부, 송풍팬, 압축기 등을 작동시키지 않고 환기팬(620)만 작동시키는 '안전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제4코스입력버튼(514)을 조작하여 안전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를 참고하여 안전코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전원버튼(501)을 눌러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전원이 공급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제4코스입력버튼(514)을 눌러서 안전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안전코스가 선택된 경우 제4코스화면(524)에서 '안전'이라고 표시된 글자가 점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4코스화면(524)에 '안전'이라고 쓰여진 글씨가 점등된 것을 통해 안전코스가 선택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안전코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시작버튼(502)을 눌러 안전코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안전코스가 실행되면, 환기팬(620)만 작동될 수 있다. 환기팬(620)만 작동하면, 폭발의 요인이 줄어들기 때문에 누설된 냉매가 폭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안전코스가 실행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작동시키지 않고, 환기팬(620)만 작동시켜 누설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코스에 의해 누설 냉매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500)는 안전코스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화면(5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표시화면(525)에는 안전코스가 종료되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시간표시화면(525)에 표시된 숫자는 시간이 도과함에 따라 줄어들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0(d)를 참고하면 시간표시화면(525)에 숫자 '10'이 표시되어 있다. 시간표시화면(525)의 숫자가 0이 되면 시간표시화면(525)이 소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간표시화면(525)을 통해 안전코스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안전코스가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다시 조작하여 의류처리코스를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1은 도 20의 조작 순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난 조작부의 각 조작 단계를 순서도로 표시한 것이다. 즉, 도 21은 제1 안전코스 작동과정(S4)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a)는 도 21에서 전원 입력 단계(S41)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0(b)는 도 21에서 안전 코스 입력 단계(S42)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0(c)는 도 21에서 실행 단계(S43)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0(d)는 안전코스가 실행되어 작동 중인 안전 코스 작동 단계(S44)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1의 각 단계가 도 20의 조작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은 도 21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기팬(620)이 작동되는 안전코스를 실행하기 위해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먼저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입력 단계(S41)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전원버튼(501)을 조작함으로써 전원 입력 단계(S41)가 수행될 수 있다.
전원 입력 단계(S41)가 수행된 뒤에는 안전 코스가 선택되는 안전 코스 입력 단계(S42)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조작하고, 조작부(500)를 시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안전 코스 입력 단계(S42)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코스 입력 단계(S42)가 수행된 뒤에는 안전 코스가 실행되는 실행 단계(S43)가 수행될 수 있다. 안전 코스 입력 단계(S42)가 수행된 뒤 사용자가 시작버튼(502)을 조작하여 실행 단계(S4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행 단계(S43)가 수행되면, 환기팬(620)이 작동되는 안전 코스 작동 단계(S44)가 수행될 수 있다. 안전 코스 작동 단계(S44)에서는 환기팬(620)만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안전 코스 작동 단계(S44)에서는 환기팬(620)을 포함하여 발화 위험이 없는 내부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조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는 안전코스가 표준코스, 급속코스와 같은 코스 중 하나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조작부(500)는 안전코스를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500)는 안전코스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안전버튼(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전버튼(516)을 통해 명령을 입력한 뒤 의류처리와 관련된 코스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조작 순서를 설명한다. 도 22 중 도 20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a)는 전원버튼(501)을 눌러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b)는 안전버튼(516)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안전코스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안전버튼(516)을 누르면 안전버튼(516)이 점등되어 사용자가 안전코스가 선택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2(c)를 참고하면, 도 20에서 설명한 내용과 달리 사용자는 안전코스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한 뒤에 의류 처리와 관련된 코스를 선택하는 명령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코스입력버튼(511)을 통해 의류처리와 관련된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안전코스 및 의류처리코스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안전코스를 먼저 선택하고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처리코스를 먼저 선택한 뒤에 안전코스가 선택될 수 있다.
도 22(d)를 참고하면, 앞서 안전코스 및 의류처리코스가 각각 선택된 뒤에 사용자는 시작버튼(502)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순서로 조작부(500)가 조작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에서는 환기팬(620)이 먼저 작동된 뒤에 의류처리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의류처리를 위한 코스 전에 안전코스가 먼저 작동되도록 조작부(50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2와 같은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한 번의 실행을 통해 안전코스와 의류처리코스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전코스에서 환기팬(620)이 먼저 구동되고, 이후 의류처리코스에서 압축기, 열교환부, 송풍팬 등이 작동되므로 냉매의 폭발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안전코스가 종료된 뒤에 별도로 의류처리를 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23은 도 22의 조작 순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난 조작부의 각 조작 단계를 순서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23은 제2 안전코스 작동과정(S5)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3은 도 21과 중복되는 내용이 있다. 도 23을 설명할 때, 도 21과 유사한 내용은 생략한다. 다만, 도 23의 각 단계 중 도 21과 명칭이 유사한 단계는 명칭 앞에 '동시'을 붙여 구분하기로 한다.
도 23에는 안전코스 및 의류처리코스를 순차적으로 선택한 뒤 한 번에 실행시키는 조작 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 전원 입력 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 전원 입력 단계(S51)는 전원 입력 단계(S4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시 전원 입력 단계(S51)에 대한 설명은 전원 입력 단계(S41)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시 전원 입력 단계(S51)가 수행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안전코스를 선택하는 동시 안전 코스 입력 단계(S52)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전버튼(516)을 조작하여 동시 안전 코스 입력 단계(S52)를 수행할 수 있다.
동시 안전 코스 입력 단계(S52)가 수행된 뒤, 사용자는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하는 동시 본 코스 입력 단계(S53)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코스입력버튼(511), 제2코스입력버튼(512), 제3코스입력버튼(513), 제4코스입력버튼(514) 조작하여 동시 본 코스 입력 단계(S5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시 본 코스 입력 단계(S53)가 수행된 뒤에는 입력된 안전코스 및 의류처리코스를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동시 실행 단계(S54)가 수행될 수 있다
동시 실행 단계(S54)는 실행 단계(S4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시작버튼(502)을 조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시 실행 단계(S54)가 수행되면 환기팬(620)이 작동되는 동시 안전 코스 작동 단계(S5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시 안전 코스 작동 단계(S55)에서는 안전 코스 작동 단계(S44)와 마찬가지로 환기팬(620)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동시 안전 코스 작동 단계(S55)에서는 냉매의 폭발과 무관한 구성들만 작동될 수 있다.
동시 안전 코스 작동 단계(S55)가 종료되면 선택된 의류처리코스가 수행되는 동시 본 코스 작동 단계(S56)가 수행될 수 있다. 동시 본 코스 작동 단계(S56)에서는 냉매의 폭발과 관련된 구성들도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 본 코스 작동 단계(S56)에서는 열교환부, 송풍팬, 압축기 등 의류처리와 관련된 구성들이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처럼, 한번의 동시 실행 단계(S54)에 의해, 동시 안전 코스 작동 단계(S55)가 먼저 수행되고, 동시 본 코스 작동 단계(S56)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폭발 위험이 감소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특정한 실시예가 예시되었는바,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산된 어떠한 재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고 개시된 본 발명은 다른 환경에서 달리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개시에 대한 어떠한 적용이나 변화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되는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한 개시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캐비닛 110: 베이스 캐비닛 200: 이너케이스
210: 투입구 220: 제1챔버 230: 관통홀
231: 유입홀 232: 배출홀 233: 스팀홀
300: 제2챔버 301: 급수통 302: 배수통
303: 드로워 310: 베이스부 311: 베이스 바닥부
3111: 바닥지지면 312: 압축기 설치부 3121: 고정핀
3122: 메인설치부 3123: 격벽부 3125: 핸들부
313: 제어부 설치부 3131: 제어부 설치격벽 314: 배관부
315: 지지면 316: 환기부 설치부 320: 순환유로부
321: 유로바디 3211: 설치격벽 3212: 열교환기 설치부
322: 외기흡입부 323: 공기배출부 324: 집수부
3241: 집수바닥면 330: 열교환부 331: 증발기
332: 응축기 334: 팽창밸브 340: 압축기
350: 팬설치부 351: 팬하우징 352: 배출덕트
353: 송풍팬 360: 베이스커버 362: 유입부
3621: 필터링유입부 3622: 우회유입부 370: 외기덕트
380: 스팀공급부 381: 가열부 382: 스팀공급유로
390: 제어부 400: 도어 410: 본체바디
420: 설치바디 430: 단차 500: 거치부
600: 환기부 610: 환기홀 611: 제어부 관통홀
612: 배관부 관통홀 613: 압축기 관통홀 614: 외부 관통홀
620: 환기팬 630: 배출유로 631: 배출유로입구
632: 배출유로출구 633: 이동유로 650: 경유유로
P1: 제어부 환기유로 P2: 배관부 환기유로 P3: 압축기 환기유로

Claims (20)

  1.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부를 지나는 공기와 가연성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상기 압축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압축기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통하는 배출유로로 안내하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가 상기 환기팬으로 흐르도록 환기유로를 형성하는 환기홀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베이스부 상측의 공기를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환기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압축기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홀은 상기 압축기 설치부를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압축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압축기 관통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 상기 환기팬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례로 연결하는 압축기 환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홀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의 양측면 중 상기 압축기가 배치된 방향의 일면에 형성된 제어부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관통홀은 상기 제어부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어부 관통홀, 상기 환기팬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례로 연결하는 제어부 환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관통홀은 상기 제어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홀은 상기 지지면 중 상기 제어부 관통홀과 마주하는 일면을 관통하는 배관부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배관부 관통홀, 상기 환기팬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례로 연결하는 배관부 환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의 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회전축의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냉매는 R-2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부를 지나는 공기와 가연성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열교환부보다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제2챔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팬에 의해 상기 제어부 설치부 내의 공기가 상기 제어부 설치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14273 2022-10-31 2023-09-20 의류처리장치 WO20240963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2049 2022-10-31
KR10-2022-0142049 2022-10-31
KR10-2023-0069328 2023-05-30
KR1020230069328A KR20240061563A (ko) 2022-10-31 2023-05-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316A1 true WO2024096316A1 (ko) 2024-05-10

Family

ID=9093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273 WO2024096316A1 (ko) 2022-10-31 2023-09-2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963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42B1 (ko) * 2007-08-03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33365A (ko) * 2018-12-06 2018-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200048820A1 (en) * 2018-08-09 2020-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001769A (ko) * 2019-06-28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38194A (ko) * 2021-04-05 2022-10-1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42B1 (ko) * 2007-08-03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00048820A1 (en) * 2018-08-09 2020-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KR20180133365A (ko) * 2018-12-06 2018-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01769A (ko) * 2019-06-28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38194A (ko) * 2021-04-05 2022-10-1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6631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921663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101301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72945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anel of the same
WO2016080788A1 (ko) 건조기
WO2024096316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01314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WO202310131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01315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WO2024005430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01318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3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05433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9149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46338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324932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8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02555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4034910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2207568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601A1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315820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16932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