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5443A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5443A1
WO2024085443A1 PCT/KR2023/013577 KR2023013577W WO2024085443A1 WO 2024085443 A1 WO2024085443 A1 WO 2024085443A1 KR 2023013577 W KR2023013577 W KR 2023013577W WO 2024085443 A1 WO2024085443 A1 WO 20240854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nit
indoor
air conditioner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35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현욱
김문섭
김준영
성태룡
윤천석
최재우
정동일
정두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854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54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Definitions

  •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in which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outdoor air and refrigerant, and an indoor unit in which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indoor air and refrigerant, and a heat pump that performs compression, condensation, decompression, and evaporation. It is a device that cools or heats the room by using the movement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process as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the cycle.
  •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reduce noise caused by pressure balance sound when switching from a cooling operation to a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are provided.
  •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refrigeran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hat receive refrigerant from the outdoor unit and perform at least one of cooling operation and heating operation,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 mode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two to switch the operation mod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 high-pressure gas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and the mode switching unit, a low-pressure gas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and the mode switching unit, and the high-pressure gas pipe.
  • the hot gas valve provided in the hot gas pipe connecting the low-pressure gas pipe,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whether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is determined, and the hot gas is applied based on whether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alve.
  •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being below a threshold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being below a reference value.
  • the control unit may close the hot gas valv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and may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ased on the hot gas valve being closed.
  •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and the mode switching unit, a bypass pipe connected to the high-pressure gas pipe and the liquid pipe, and a high-pressure valve provided in the bypass pipe. .
  • the bypass pipe may be provided in either the outdoor unit or the mode switching unit.
  • the control unit closes the hot gas valv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being below the threshold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being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ased on the hot gas valve being closed. You can.
  • the controller may open the high-pressure valve and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ased on receiving a heating ope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 the control unit may graduall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y gradually opening the high-pressure valve.
  •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from the cooling operation to the mixed operation after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increases.
  •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cooling operation and a heating operation, and a mode for switching operation mod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witching unit, a high-pressure gas pipe, a low-pressure gas pipe, and a hot gas valve provided in a hot gas pipe, receiving an indoor temperature and a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cooling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operation rate, and controlling the hot gas valve based on whether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 Whether or not the cooling and heating mixed operation is possib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a threshold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is below a reference value.
  •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closing the hot gas valv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and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gas pipe based on the hot gas valve being closed. It may include more.
  • the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cludes opening a hot gas valv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being below a threshold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being below a reference value, and opening the hot gas valve based on the opening of the hot gas valve. It may further include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includes opening the high-pressure valve based on receiving a heating ope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efore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switch to mixed operation. can increase the pressure.
  •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graduall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y gradually opening the high-pressure valve.
  •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switchi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from the cooling operation to the mixed operation after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increases.
  • the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reduce noise generated when high-pressure gas pipes are used for low-pressure purposes during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 FIG. 1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unit, a mode conversion unit,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outdoor unit, a mode switching unit, and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n improved algorithm for reducing noise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at a high-pressure valv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a mode switching unit.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high-pressure valv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 Figure 9 is a flow chart in which a high-pressure valve is added to reduce noise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component transmits or transmits a signal or data to another component
  •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or information from each other, and do not define the order between them.
  •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step is used to identify each step and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 the refrigeration cycle that makes up an air conditioner consists of a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evaporator.
  • the refrigeration cycle cycle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consisting of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and can supply balanced air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refrigerant gas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discharges it, and the discharged refrigerant gas flows into the condenser.
  • the condenser condens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into a liquid state and releases heat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condensation process.
  • the expansion valve expands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into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 the evaporator evaporates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and returns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gas to the compressor.
  • the evaporator can achieve a refrigeration effec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object to be cooled using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Through this cycle, the air conditioner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 the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refers to the part of the cooling cycle that consists of a compresso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expansion valve may be located in either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outdoor heat exchanger function as condensers or evaporators. When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used as a condenser, the air conditioner becomes a heater, and when it is used as an evaporator, the air conditioner becomes a cooler.
  • the main cooling mode a case where there are more indoor units driven in the cooling mode amo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han indoor units driven in a heating mode
  • the main heating mode a case where there are more indoor units driven in the heating mode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than indoor units driven in the cooling mode.
  • FIG. 1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unit, a mode switching unit,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drawing.
  •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10 disposed in an outdoor space,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disposed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to independently cool and heat each indoor space, and , It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unit 10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respectively through refrigerant pipes to transfer the refrigerant delivered from one of the outdoor unit 10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o the other. It may include a mode switching unit 30 that allows cooling or heating to be selectively performed i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 the outdoor unit 10 includes compressors 11A and 11B that compress the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12 that exchanges heat with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s 11A and 11B is transferred to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 a four-way valve (13) that selectively guides one of the following, an outdoor expansion valve (14) that reduces the pressure and expands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heating, and a gas-liquid separator (15) that prevents gaseous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21) that exchanges heat with indoor air, and an indoor expansion valve (22) that reduces the pressure and expands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21) during cooling.
  • an indoor heat exchanger (21) that exchanges heat with indoor air
  • an indoor expansion valve (22) that reduces the pressure and expands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21) during cooling.
  •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given as an example in FIG. 3 and below to explain the control for noise removal according to pressure balance sound, and if it can provide cooling or heating to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its configuration can be adjusted. There may be changes.
  • the compressors (11A, 11B) include a pair of compressors (11A, 11B) connected in parallel to flexibly respond to the required cooling load and heating load, and an outdoor expansion valve (14) and an indoor expansion valve (22). ) each consists of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whose opening degree can be adjusted to selectively reduce the pressure and exp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4 and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
  • each of these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frigerant pipes so that the refrigerant can circulate.
  • a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connects the four-way valve 13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s 21 to the refrigerant pipe to transfer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s 11A and 11B to the indoor heat exchangers 21. ) and, by connec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s 21 and the two compressors 11A, 11B, the refrigerant that absorbs heat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21 during cooling can be guided to the compressors 11A, 11B.
  • the refrigerant deliver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 through the four-way valve (13) is transferred to the compressor (11A, A fifth refrigerant pipe (P5) leading to 11B) is included.
  •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and the fourth refrigerant pipe (P4)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and the fourth refrigerant pipe (P4), so that the loa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cooling load.
  •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deliver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 through the fourth refrigerant pipe (P4) is delivered to a specific indoor heat exchanger (21)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 a heating bypass refrigerant pipe (P6) that allows heating to be perform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 is further provided, and the heating bypass refrigerant pipe (P6) has a heating bypass refrigerant pipe (P6) that opens and closes the heating bypass refrigerant pipe (P6).
  • a bypass valve 16 may be arranged.
  •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4 described above is disposed in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liquid pipe), and the cooling bypass refrigerant pipe (P7) allows the refrigerant to flow by bypassing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4 during cooling.
  • This is included, and a cooling bypass valve 17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ling bypass refrigerant pipe (P7) may be disposed.
  • the mode switching unit 30 connects the second refrigerant pipe (P2, low-pressure gas pipe) to the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21), so that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21) during cooling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P2).
  • a plurality of cooling refrigerant pipes (P8) that allow delivery to the compressors (11A, 11B) through low-pressure gas pipes, and a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21).
  • a cooling valve 31 dispo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heating refrigerant pipes (P9) and corresponding to It may include a heating valve 32 that allows heating to be selectively performed in the indoor unit 20.
  • One cooling valve 31 and one heating valve 32 are connected to one indoor unit 20 in pairs, and a plurality of pairs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 the refrigerant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s (P10) branched from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liquid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distributed and supplied to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21) during cooling, and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P10).
  • the heat exchanger 21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refrigerant pipes (P11)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oling refrigerant pipes (P8) and heating refrigerant pipes (P9), and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 described above is It can be placed in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 the mode switching unit 30 is a supercooling unit ( 33) may be included.
  • a plurality of supercooling units 33 are provided to supercool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respectively, and are designed to supercool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s P10.
  • the mode switching unit 30 is branched from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liquid pipe) in order to cool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in the supercooling unit 33 and cool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upercooling unit 33.
  • a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that joins the second refrigerant pipe (P2, low pressure gas pipe), and a supercooled expansion valve disposed in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to reduce the pressure and expand the refrigerant before it flows into the supercooling unit (33). (34) may be included.
  •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and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passes through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 the refrigerant that is supercooled by the refrigerant and passing through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may be heated by the refrigerant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 the refrigerant deliver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 passes through the supercooling expansion valve 34 and is expand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frigerant expanded under reduced pressure passes through the supercooling unit 33 along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and flows into the first branch. Heat is absorbed from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P10). Accordingl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may be supercooled by passing through the supercooling unit 33 before flowing into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 of the indoor unit 20.
  •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supercooling units 33 in turn and is capable of supercooling all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each indoor unit 20. In this way,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supercooling units 33.
  • the refrigerant pipe (P12) passes through (33) sequentially, if some indoor units (20) are stopped, heat exchange does not occur in the supercooling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stopped indoor units (20), and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Accordingly, it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next subcooling unit 33 and can be used to absorb the heat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refrigerant pipe (P10) in the next subcooling unit 33. Accordingly, since the refrigerant that absorbs heat is eliminated from the subcooling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stationary indoor unit 20,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 the mode switching unit 3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upercooling unit 33.
  • th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35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upercooling unit 33 on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supercooling refrigerant pipe (P12) among the subcooling units 33, and a supercooling sensor 35 among the subcooling units 33. It may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36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upercooling unit 33 on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P12).
  •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upercooled refrigerant pipe (P12) is measur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35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36, and the state of the refrigerant is a mixture of liquid and gas through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gas is in a pure gas state, and through this,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supercooled expansion valve 34 to prevent liquid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s 11A and 11B.
  • a hot gas pipe (P14) connecting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gas pipe) and the second refrigerant pipe (P2, low pressure gas pipe) may be provided, and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t gas pipe (P14) may be provided in the hot gas pipe (P14).
  • a hot gas valve 19 may be provided.
  • the air conditioner is designed to reduce the installation pipe diameter by securing additional low-pressure pipe diameter for long pipes.
  •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the hot gas valve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mode switching unit.
  •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can be used as a low-pressure pipe.
  • the air conditioner opens the hot gas valve (19) of the hot gas pipe (P14) when only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o utilize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as a low-pressure pipe. Accordingly, two second refrigerant pipes (P2, low-pressure gas pipes) can be used,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pipe diameter.
  •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is used as a low-pressure pipe as above, when switching from cooling operation to combined heating operation, high-pressure gas is quickly supplied 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and the pressur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of noise caused by balance.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outdoor unit 10 is operated by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60, which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outdoor unit 10 or the air conditioner 1 from a user or administrator, and the outdoor unit 10 or the air conditioner 1.
  • Outdoor unit display unit 165 that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that detects the outdoor temperature, compressor 11, four-way valve 13, hot gas valve 19, and high pressure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
  • An outdoor unit driving unit 175 that drives the heating valve 40, an outdoor unit storage unit 180 that stores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 and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unit 2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
  • It may include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that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 an outdoor unit power unit 190 that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 and an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 You can.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400 of the air conditioner 1 together with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and the heating/cooling switching control unit 30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button-type switch, a membrane switch, or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outdoor unit 10 or the air conditioner 1, and may include an outdoor unit display unit ( 165)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utdoor unit 10 or the air conditioner 1.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60 and the outdoor unit display unit 165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TSP) that integrates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60 and the outdoor unit display unit 165.
  • TSP touch screen panel
  • the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detects the outdoor temperature where the outdoor unit 10 is located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 Such an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may include a thermistor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 the outdoor unit driving unit 175 drives the compressor 11 and the four-way valve 13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 the outdoor unit driving unit 175 may include an inverter that supplies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not shown) of the compressor 11 to drive the compressor 11.
  • the outdoor unit storage unit 180 includ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magnetic disk and a solid state disk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 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and S-RAM that temporarily stores temporary data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operation.
  •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magnetic disk and a solid state disk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 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and S-RAM that temporarily stores temporary data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operation.
  •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unit 20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 the outdoor unit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rectifier circuit that rectifies external power, a smoothing circuit that removes ripple included in the rectified power, and the like.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controls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to transmit a cooling request reception signal to the indoor unit 20,
  • the outdoor unit driver 175 is controlled to operate the compressor 11.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includes a single general processor that performs all ope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 a communication processor that performs only opera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only operations related to control operations. It may also include a processor that performs specialized operations, such as a control processor that performs operations.
  • the outdoor unit driving unit 175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determines whether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controls the hot gas valve 19 based on whether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can do.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may close the hot gas valv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being below the threshold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being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ma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ased on the hot gas valve being closed. That is,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may gradually open the high-pressure valve and graduall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pipe based on receiving a heating ope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indoor unit 20 includes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25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 from the user, an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that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 and an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that displays the temperature of the room.
  • An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 an indoor unit storage unit 240 that stores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and an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1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
  • an indoor unit power unit 250 that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 an indoor unit driving unit 265 that drives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
  •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25 may include a button-type switch, a membrane switch, or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
  •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 and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25 of the indoor unit 20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 20) It is okay to include only the power button that supplies power.
  • the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light emitting diode panel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 .
  • the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of the indoor unit 20 is displayed on the indoor unit 20.
  • (20) may include a power indicator LED and an operation indicator LED that indicate whether power is supplied and whether the device is operating.
  • the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room where the indoor unit 20 is located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 the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may include a thermistor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 the indoor unit storage unit 240 includ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magnetic disks and semiconductor disks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as well as temporary memory that can b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and S-RAM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 non-volatile memory such as magnetic disks and semiconductor disks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as well as temporary memory that can b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and S-RAM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10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 the indoor unit power unit 250 may include a rectifier circuit that rectifies external power, a smoothing circuit that removes ripple included in the rectified power, and the like.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controls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to transmit a cooling request signal to the outdoor unit 10 and indicates that the air conditioner 1 is in cooling operation.
  • the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includes a single general-purpose processor that performs all ope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a communication processor that performs only opera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a control processor that performs only operations related to control operations. It may also include a processor that performs specialized operations such as the like.
  • the indoor unit driving unit 265 may drive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drives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presupposes that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are provided in the indoor unit, and the hot gas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controls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in the same manner, so description is omitted.
  • Figure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outdoor unit, a mode switching unit, and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is a microprocessor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 from the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the outdoor unit operation unit 160, and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It is received, and based on this, the operations of the compressor 102, the four-way valve 13,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can be controlled.
  •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255-1, 255-2, and 255-3 is a microprocessor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and includes an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an indoor unit operation unit 225, and an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It is possible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from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based on this.
  • the cooling/heating switching control unit 305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10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can control the flow of refrigerant so that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can perform cooling or heating, respectively.
  • the air conditioner 1 is composed of an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and a heating/cooling switching control unit 305, and includes an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and a heating/cooling switching control unit.
  •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ntrol unit may be controlled from any one of (305).
  •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n improved algorithm for reducing noise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air conditioner 1 may start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500).
  •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receive an input signal for the cooling operation and are operating the cooling operation.
  •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from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of the indoor unit 20 (510).
  • the threshold may mean a value set by the administrator among the specific temperature range of 20 to 26 degrees in which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can be operated.
  • the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operation rate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520).
  • the reference value may mean a standard percent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mixed oper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is low, for example, when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is 70% or less. You can judge whether it is
  •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example 510)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indoor unit 20 is below the standard value (example 520), the control unit 400 turns on the hot gas valve 19 provided in the hot gas pipe. It can be turned off (530).
  •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that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the threshold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indoor unit 20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if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the threshold, hea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elderly people or children who feel very cold in each space where the indoor unit 20 is installed, and coo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young men, so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It can be decided on a case-by-case basis.
  •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cooling operation rate, it turns off the hot gas valve 19 to allow common use of the low pressure pip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gas pipe). It can be prevented.
  • control unit 400 prevents the common use of the low-pressure pip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in advance before the mixed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is performed. ) can reduce the noise caused by pressure balance sound when it is used as a high-pressure pipe due to a heating signal while being used as a low-pressure pipe.
  • P1 high-pressure gas pipe
  •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a signal for turning on the heating of the indoor unit 20 has been received while the hot gas valve 19 is turned off (540). If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a signal for turning on the heating of the indoor unit 20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indoor unit 20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Yes in 540), the corresponding indoor unit 20 A mixed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erforming the heating operation and allowing the remaining indoor units 20 to perform the existing cooling operation (550).
  •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hot gas valve 19 before the mixed operation based on the specific temperature and cooling operation rate at which the cooling and heating mixed operation can actually be operated, the pressure equalization sound is generated by changing the software while using the existing hardware as i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because it can reduce noise.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high pressure valv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high pressure valv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am.
  •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10 including a compressor 11 that compresses refrigerant, receives refrigerant from the outdoor unit 10, and operates at least one of cooling operation and heating operation.
  •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hat perform, a mode switching unit 30 connected between the outdoor unit 10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the compressor 11 ) a high-pressure gas pipe (P1)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11 and the mode switching unit 30, a low-pressure gas pipe (P2)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11 and the mode switching unit 30, and the high-pressure gas pipe (P1)
  • a hot gas valve (19) provided on the hot gas pipe (P14) connecting the low-pressure gas pipe (P2), a bypass pipe (P13) connected to the high-pressure gas pipe (P1) and the liquid pipe (P3), and the bypass pipe It includes a high pressure valve 40 provided in P13), and opens the hot gas valve 19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being below the threshold or
  • the high pressure valve 40 may be provid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30 and is provided in the bypass pipe (P13) connecting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gas pipe) and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liquid pipe). It can be.
  • the high-pressure valve 40 may include an electric expansion valve, and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oling/heating switching control unit 305, and a sudden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To prevent gas from being injected,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can be increased in advance.
  • the cooling/heating switching control unit 305 opens the high-pressure valve 40 based on receiving a heating ope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while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re in cooling operation, thereby opening the first
  •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can be increased in advance.
  • the cooling/heating switching control unit 305 can graduall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gas pipe) by opening the high pressure valve 40 in stages, thereby graduall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gas pi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pressure balance sound caused by the rapid supply of high-pressure gas to the gas pipe.
  • the high pressure valve 40 may be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 and may be a bypass pipe connecting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gas pipe) and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liquid pipe). It can be provided at (P13).
  • the high-pressure valve 40 may include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and a rapid high-pressure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To prevent injection,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can be increased in advance.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opens the high-pressure valve 40 based on receiving a heating ope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while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re in cooling operation to release the first refrigerant.
  • the pressure of the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 P1 high-pressure gas pipe
  •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can graduall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before the cooling/heating mixed operation by opening the high-pressure valve 40 in stages,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pressure balance sound caused by the rapid supply of high-pressure gas.
  • bypass pipe (P13)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may be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 or the mode switching unit 30, and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is connected to the low-pressure pipe.
  • the medium pressure of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liquid pipe) is supplied in stages to be utilized as a high-pressure pipe after being utilized.
  • Figure 9 is a flow chart in which a high-pressure valve is added to reduce noise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air conditioner 1 may start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900).
  •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receive an input signal for the cooling operation and are operating the cooling operation.
  •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from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of the indoor unit 20 (910).
  • the threshold may mean a value set by the administrator among the specific temperature range of 20 to 26 degrees in which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can be operated.
  • the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operation rate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920).
  • the reference value may mean a standard percent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mixed oper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is low, for example, when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is 70% or less. You can judge whether it is
  • the control unit 4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example 910) or the cooling operation rate of the indoor unit 20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example 920), the control unit 400 turns off the hot gas valve 19 provided in the hot gas pipe. You can do it (930).
  •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high-pressure valve 40 with the hot gas valve 19 closed to cool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 pressure). Noise can be reduc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pipe).
  • control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a signal for turning on the heating of the indoor unit 20 has been received while the hot gas valve 19 is turned on (940).
  • the control unit 400 If it is determined that a signal for turning on the heating of the indoor unit 20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indoor unit 20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example of 940), the control unit 400 operates the high-pressure valve 40.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that is in a low-pressure state can be gradually increased (950).
  • control unit 400 can graduall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by opening the high-pressure valve 40 in stages, so that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high-pressure gas pipe) can be gradually increased.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pressure balance sound caused by the rapid supply of high-pressure gas to the high-pressure gas pipe.
  • control unit 400 may perform a mixed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by allowing the indoor unit 20 that has received the heating signal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and the remaining indoor units 20 to perform a conventional cooling operation (960).
  • the hot gas valve 19 and the high-pressure valve 40 are controll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mixed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 to reduce noise caused by pressure equalization sound. Therefore, changes to existing hardware can be minimiz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with using the air conditioner (1) can be improved.
  •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storing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152,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 ROM read only memory
  • RAM random access memory
  • magnetic tape magnetic tape
  • magnetic disk magnetic disk
  • flash memory 152 optical data storage device
  •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non-transitory storage media.
  •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only means that it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This term refers to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temporary storage media.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it is stored as .
  •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where data is temporarily stored.
  •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on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smartphones) or online.
  • a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smartphones) or online.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e.g., a downloadable app
  • may be stored in a machine-readable record such as the memory 152 of the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I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in a medium, or may be created temporari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유닛,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고압가스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저압가스관, 상기 고압가스관과 상기 저압가스관을 연결하는 핫가스관에 구비된 핫가스밸브,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개시된 발명은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기(Outdoor Unit)와,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기(Indoor Unit)를 포함하고, 압축, 응축, 감압, 증발로 이루어지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냉매가 순환하면서 증발, 응축 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에서 냉난방 혼용 운전으로 절환시에 배관에 고압 가스가 공급되면서 압력 평형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압력 평형음에 의해 사용자의 불편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 운전에서 냉난방 혼용 운전으로 절환시 압력 평형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유닛,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고압가스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저압가스관, 상기 고압가스관과 상기 저압가스관을 연결하는 핫가스관에 구비된 핫가스밸브,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액관, 상기 고압가스관과 상기 액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된 고압화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실외기 또는 상기 모드 전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화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화밸브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이 증가된 이후,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상기 냉방 운전에서 상기 혼용 운전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복수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유닛, 고압가스관, 저압가스관, 핫가스관에 구비된 핫가스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을 수신하고, 상기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핫가스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개방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화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가 혼용 운전으로 절환하기 이전에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고압화밸브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이 증가된 이후,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상기 냉방 운전에서 상기 혼용 운전으로 절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냉난방 혼용 운전시 고압 가스관이 저압 목적으로 활용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외관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모드 전환 유닛 및 실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모드 전환 유닛 및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된 알고리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고압화밸브가 모드 전환 유닛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고압화밸브가 실외기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고압화밸브가 추가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고 할 때, 이는 해당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에 동력을 제공하는 또 다른 구성 요소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 또는 전송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여 이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 또는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제1", "제2"와 같은 서수의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또는 정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 사이의 순서를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냉매와 열교환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나 증발기의 역할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난방기가 되고, 증발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냉방기가 된다.
이하에서, 복수의 실내기 중 냉방 모드로 구동되는 실내기가 난방 모드로 구동되는 실내기보다 많은 경우를 주냉방 모드라고 하고, 복수의 실내기 중 난방 모드로 구동되는 실내기가 냉방 모드로 구동되는 실내기보다 많은 경우를 주난방 모드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외관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모드 전환 유닛 및 실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각 실내 공간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난방 하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 사이에 배치되며 냉매관들을 통해 실외기 및 복수의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 중 어느 하나에서 전달된 냉매를 다른 하나로 전달하여 복수의 실내기(20)에서 냉방 또는 난방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전환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A, 11B)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12)와, 압축기(11A, 11B)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10)와 실내기(2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사방밸브(13)와, 난방 시 실외 열교환기로 안내되는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실외 팽창밸브(14)와,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액분리기(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실내기(2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21)와, 냉방 시 실내 열교환기(21)로 안내되는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실내 팽창밸브(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3 이하에서 압력 평형음에 따른 소음 제거를 위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든 것이며, 복수의 실내 공간에 각각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할 수 있으면 그 구성에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압축기(11A, 11B)는 요구되는 냉방부하 및 난방부하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병렬로 연결된 한 쌍의 압축기(11A, 11B)를 포함하며, 실외 팽창밸브(14) 및 실내 팽창밸브(22)는 실외 팽창밸브(14) 및 실내 팽창밸브(22)를 통과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감압 팽창시킬 수 있도록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팽창밸브로 각각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은 냉매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매관에는 사방밸브(13)와 실내 열교환기(21)들을 연결하여 압축기(11A, 11B)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21)들에 전달하는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과, 실내 열교환기(21)들과 두 압축기(11A, 11B)를 연결하여 냉방 시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열을 흡수한 냉매가 압축기(11A, 11B)들로 안내될 수 있게 하는 제 2 냉매관(P2,저압가스관)과, 실외 열교환기(12)와 실내 열교환기(21)들을 연결하여 실외 열교환기(12)나 실내 열교환기(21) 중 어느 하나에서 열을 발산한 냉매를 다른 하나로 안내하는 제 3 냉매관(P3,액관)과, 사방밸브(13)와 실외 열교환기(12)를 연결하여 고온의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에 전달하는 제 4 냉매관(P4)과,
사방밸브(13)와 제 2 냉매관(P2,저압가스관)을 연결하여 난방시 실외 열교환기(12)에서 사방밸브(13)를 통해 전달된 냉매를 기액분리기(15)를 통해 압축기(11A, 11B)로 안내하는 제 5 냉매관(P5)이 포함된다.
또한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과 제 4 냉매관(P4) 사이에는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과 제 4 냉매관(P4)을 연결하여 냉방 부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부하의 난방이 수행될 경우에 제 4 냉매관(P4)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12)로 전달되는 냉매의 일부를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을 통해 특정 실내 열교환기(21)에 전달하여 해당 실내 열교환기(21)에서 난방이 수행될 수 있게 하는 난방 바이패스 냉매관(P6)이 더 구비되며, 난방 바이패스 냉매관(P6)에는 난방 바이패스 냉매관(P6)을 개폐하는 난방 바이패스 밸브(16)가 배치될 수 있다.
제 3 냉매관(P3,액관)에는 상술한 실외 팽창밸브(14)가 배치되며, 냉매관에는 냉방 시 냉매가 실외 팽창밸브(14)를 우회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냉방 바이패스 냉매관(P7)이 포함되며, 냉방 바이패스 냉매관(P7)에는 냉방 바이패스 냉매관(P7)을 개폐하는 냉방 바이패스 밸브(17)가 배치될 수 있다.
모드전환유닛(30)은 제 2 냉매관(P2,저압가스관)이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21)측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냉방 시 실내 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매가 제 2 냉매관(P2,저압가스관)을 통해 압축기(11A, 11B)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냉방 냉매관(P8)과,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이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21)측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난방 시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을 통해 압축기(11A, 11B)측으로부터 전달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21)측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난방 냉매관(P9)과, 복수의 냉방 냉매관(P8)에 각각 배치되어 대응하는 실내기(20)에서 냉방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냉방 밸브(31)와, 복수의 난방 냉매관(P9)에 각각 배치되어 대응하는 실내기(20)에서 난방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난방 밸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냉방 밸브(31)와 하나의 난방 밸브(32)는 쌍의 이루어 하나의 실내기(20)에 연결되며, 복수의 실내기(20)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쌍이 마련된다.
또한 냉매관에는 제 3 냉매관(P3,액관)으로부터 분기되어 냉방 시 냉매가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21)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제 1 분기 냉매관(P10)과,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21)가 각각 대응하는 냉방 냉매관(P8) 및 난방 냉매관(P9)과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 2 분기 냉매관(P11)을 포함하며, 상술한 실내 팽창밸브(22)는 제 1 분기 냉매관(P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유닛(30)은 냉방 시 실외 열교환기(12)에서 전달된 냉매가 실내기로 유입되기 이전에 과냉각 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팽창밸브(22)에 기체 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냉각 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과냉각 유닛(33)은 복수의 실내기(20)에 유입되는 냉매를 각각 과냉각 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제 1 분기 냉매관(P10)들이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모드전환유닛(30)은 과냉각 유닛(33)에서 제 1 분기 냉매관(P10)을 통과하는 냉매가 냉각되도록 하기 위해 제 3 냉매관(P3,액관)에서 분기되며 과냉각 유닛(33)을 통과한 후 제 2 냉매관(P2,저압가스관)에 합류되는 과냉각 냉매관(P12)과, 과냉각 냉매관(P12)에 배치되어 냉매가 과냉각 유닛(33)으로 유입되기 이전에 감압 팽창되도록 하는 과냉각 팽창밸브(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과냉각 유닛(33)에서 제 1 분기 냉매관(P10)과 과냉각 냉매관(P12)이 서로 열교환하여, 제 1 분기 냉매관(P10)을 통과하는 냉매가 과냉각 냉매관(P12)을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과냉각되고, 과냉각 냉매관(P12)을 통과하는 냉매가 제 1 분기 냉매관(P10)을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열교환기(12)에서 전달된 냉매가 과냉각 팽창밸브(34)를 통과하며 감압 팽창되고, 감압 팽창된 냉매는 과냉각 냉매관(P12)을 따라 과냉각 유닛(33)을 통과하면서 제 1 분기 냉매관(P10)을 통과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제 1 분기 냉매관(P10)을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기(20)의 실내 팽창밸브(22)에 유입되기 전에 과냉각 유닛(33)을 통과하며 과냉각될 수 있다.
과냉각 냉매관(P12)은 복수의 과냉각 유닛(33)을 차례로 모두 통과하며 각 실내기(20)로 유입되는 냉매를 모두 과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과냉각 냉매관(P12)이 복수의 과냉각 유닛(33)을 차례로 통과하게 하면, 일부 실내기(20)가 정지되어 있을 경우, 정지되어 있는 실내기(20)에 대응하는 과냉각 유닛(33)에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냉매는 과냉각 냉매관(P12)을 따라 그대로 그 다음에 위치한 과냉각 유닛(33)으로 전달되어 다음 과냉각 유닛(33)에서 제 1 분기 냉매관(P10)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지되어 있는 실내기(20)와 대응하는 과냉각 유닛(33)에서 열을 흡수하는 냉매가 없어지므로,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유닛(30)은 과냉각 유닛(33)을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과냉각 유닛(33)들 중 과냉각 냉매관(P12)의 최상류측 과냉각 유닛(33)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온도센서(35)와, 과냉각 유닛(33)들 중 과냉각 냉매관(P12)의 최하류측 과냉각 유닛(33)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온도센서(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온도센서(35)와 제 2 온도센서(36)를 통해 과냉각 냉매관(P12)을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여 냉매의 온도를 통해 냉매의 상태가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상태인지 순수한 기체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과냉각 팽창밸브(34)의 개도를 조절하여 압축기(11A, 11B)로 액체 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냉각 유닛(33)을 통과한 냉매가 순수한 기체 상태로 과열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실내기(20)에 필요한 과냉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과 제 2 냉매관(P2, 저압가스관))을 연결하는 핫가스관(P14이 마련될 수 있고, 핫가스관(P14)에는 핫가스관(P14)을 개폐하는 핫가스밸브(19)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장배관의 필요 저압 관경을 추가 확보하여 설치 배관경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외기에서 핫가스밸브를 제어하여 실내기가 냉방 운전만 수행되고 있을 경우 실외기와 모드전환유닛 사이의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을 저압 배관으로 이용 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에서 냉방 운전만 수행되고 있으면 핫가스관(P14)의 핫가스밸브(19)를 개방하여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을 저압 배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냉매관(P2, 저압가스관)을 두 개로 활용할 수 있어, 설치 배관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을 저압 배관으로 활용하게 되면, 냉방 운전에서 난방 혼용 운전으로 절환될 경우 제 1 냉매관(P1,고압가스관)에 고압 가스가 빠르게 공급되면서 압력 평형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압력 평형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실외기(10) 또는 공기조화기(1)에 대한 동작 명령을 받는 실외기 조작부(160), 실외기(10) 또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외기 표시부(165),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기 온도검출부(170), 실외기(10)에 포함된 압축기(11), 사방밸브(13),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를 구동하는 실외기 구동부(175), 실외기(1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외기 저장부(180),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실내기(20)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부(185), 실내기(2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외기 전원부(190), 실외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 제어부(195)는 후술하는 실내기 제어부(255) 및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와 함께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400)에 포함될 수 있다.
실외기 조작부(160)는 실외기(10) 또는 공기조화기(1)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외기 표시부(165)는 실외기(10) 또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외기 조작부(160)와 실외기 표시부(165)는 실외기 조작부(160)와 실외기 표시부(165)를 일체화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기 온도검출부(170)는 실외기(10)가 위치하는 실외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실외기 온도검출부(17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구동부(175)는 실외기 제어부(19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11), 사방밸브(13)를 구동한다. 특히, 실외기 구동부(175)는 압축기(11)를 구동하기 위하여 압축기(11) 모터(미도시)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저장부(180)는 실외기(1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뿐만 아니라 실외기(1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D-RAM), S-램(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부(185)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내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전원부(190)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외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실외기 통신부(185)를 통하여 실내기(20)로부터 냉방 요청이 수신되면, 실외기 제어부(195)는 냉방 요청 수신 신호를 실내기(20)에 전송하기 위하여 실외기 통신부(185)를 제어하고, 압축기(11)가 가동되도록 실외기 구동부(175)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외기(1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단일의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신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 제어 동작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서 등과 같이 특화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기 구동부(175)는 실외기 제어부(195)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핫가스 밸브(19)와 고압화 밸브(4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내 온도 및 복수의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핫가스밸브(19)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실외기 제어부(195)는 복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고압화밸브를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기(2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 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실내기 조작부(225), 실내기(2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내기 표시부(230),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기 온도 검출부(235), 실내기(2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내기 저장부(240),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실외기(10)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부(245), 실내기(2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내기 전원부(250), 실내기(20)에 포함된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를 구동하는 실내기 구동부(265) 및 실내기(2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조작부(225)는 실내기(2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조화기(1)가 실내기(2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실내기(2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경우, 실내기(20)의 실내기 조작부(225)는 실내기(2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만을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실내기 표시부(230)는 실내기(2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조화기(1)가 실내기(2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실내기(2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경우, 실내기(20)의 실내기 표시부(230)는 해당 실내기(20)의 전원 공급 여부 및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 엘이디 및 동작 표시 엘이디를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실내기 온도검출부(235)는 실내기(20)가 위치하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실내기 온도검출부(235)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저장부(240)는 실내기(2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뿐만 아니라 실내기(2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 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245)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외기(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전원부(250)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255)는 실내기(2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냉방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실내기 제어부(255)는 실외기(10)에 냉방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실내기 통신부(245)를 제어하고, 공기조화기(1)가 냉방 동작 중임을 표시하도록 실내기 표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내기 제어부(255)는 실내기(2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단일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신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 제어 동작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서 등과 같이 특화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내기 구동부(265)는 실내기 제어부(255)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 제어부(255)가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를 구동하는 것은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가 실내기에 마련되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며,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가 실외기에 마련되는 경우에 실외기 제어부(195)가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를 제어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모드 전환 유닛 및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외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실외기 온도 검출부(170), 실외기 조작부(160) 및 실외기 통신부(185)로부터 실외기(10)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압축기(102)와 사방밸브(13), 핫가스밸브(19) 및 고압화밸브(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255, 255-1, 255-2, 255-3)는 실내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실내기 온도검출부(235), 실내기 조작부(225) 및 실내기 통신부(245)로부터 실내기(20)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내기(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는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0)가 각각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냉매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 제어부(195), 실내기 제어부(255) 및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 를 일체로 구성하여 실외기 제어부(195), 실내기 제어부(255) 및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 중 어느 하나에서 나머지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된 알고리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20) 냉방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500). 이때, 실내기(20) 냉방 운전은 복수의 실내기(20)가 냉방 운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냉방 운전을 가동중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실내기(20) 온도 검출부(235)로부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510). 이때 임계값은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동될 수 있는 특정 온도 대역인 20도~26도 중 관리자가 설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510의 아니오),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520). 이때, 기준값은 복수의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낮아 혼용 운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기준 퍼센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70%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거나,(510의 예),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520의 예), 핫가스관에 마련된 핫가스밸브(19)를 오프할 수 있다(530).
즉, 제어부(400)는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를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면 실내기(20)가 설치된 각 공간에서 추위를 많이 느끼는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젊은 남성의 경우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실내 온도와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핫가스밸브(19)를 오프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저압 배관 공용 활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실내기(20)의 냉방 및 난방 혼용 운전이 수행되기 이전에 미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저압 배관 공용 활용을 방지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이 저압 배관으로 사용되던 중 난방 신호에 의해 고압 배관으로 사용되면서 발생하는 압력 평형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핫가스밸브(19)가 오프된 상태에서 실내기(20) 난방을 온(ON)시키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540). 제어부(400)는 복수의 실내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0)로부터 실내기(20) 난방을 온(ON)시키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540의 예), 해당 실내기(20)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나머지 실내기(20)는 기존의 냉방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여 냉방 및 난방 혼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550).
이와 같이 제어부가 냉난방 혼용 운전이 실제 가동될 수 있는 특정 온도 및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혼용 운전 이전에 핫가스밸브(19)를 오프하면 기존의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소프트웨어의 변경에 의해 압력 평형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고압화밸브가 모드전환유닛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고압화밸브가 실외기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를 포함하는 실외기(10), 상기 실외기(1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20),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실내기(20)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유닛(30), 상기 압축기(11)의 토출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30)에 연결된 고압가스관(P1), 상기 압축기(11)의 흡입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30)에 연결된 저압가스관(P2), 상기 고압가스관(P1)과 상기 저압가스관(P2)을 연결하는 핫가스관(P14)에 구비된 핫가스밸브(19), 상기 고압가스관(P1)과 액관(P3)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P13) 및 상기 바이패스관(P13)에 마련된 고압화밸브(40)를 포함하고,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19)를 개방하고, 복수의 실내기(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화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고압가스관(P1)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고압화밸브(40)는 모드전환유닛(30)에 구비될 수 있고,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과 제 3 냉매관 (P3,액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P13)에 구비될 수 있다.
고압화밸브(40)는 전자식 팽창 밸브(Electric Expension Valv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며,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에 급격한 고압 가스가 주입되지 않도록 ,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미리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는 복수의 실내기(20)가 냉방 운전 중에 복수의 실내기(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고압화밸브(40)를 개방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미리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냉난방 절환 제어부(305)는 고압화밸브(40)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에 고압 가스가 급격히 공급되어 발생하는 압력 평형음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8을 참조하면, 고압화밸브(40)는 실외기(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과 제 3 냉매관(P3,액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P13)에 구비될 수 있다.
고압화밸브(40)는 전자식 팽창 밸브(Electric Expension Valv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외기 제어부(195)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며,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에 급격한 고압 가스가 주입되지 않도록 ,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미리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기 제어부(195)는 복수의 실내기(20)가 냉방 운전 중에 복수의 실내기(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고압화밸브(40)를 개방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미리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실외기 제어부(195)는 고압화밸브(40)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이전에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에 고압 가스가 급격히 공급되어 발생하는 압력 평형음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P13)과 고압화밸브(40)는 실외기(10) 또는 모드전환유닛(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이 저압 배관으로 활용된 후 고압 배관으로 활용되기 위해 제 3 냉매관(P3,액관)의 중압을 단계적으로 공급하는 다른 실시예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고압화밸브가 추가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20) 냉방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900). 이때, 실내기(20) 냉방 운전은 복수의 실내기(20)가 냉방 운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냉방 운전을 가동중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실내기(20) 온도 검출부(235)로부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910). 이때 임계값은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동될 수 있는 특정 온도 대역인 20도~26도 중 관리자가 설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910의 아니오),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920). 이때, 기준값은 복수의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낮아 혼용 운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기준 퍼센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70%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910의 예), 실내기(20)의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920의 예), 핫가스관에 마련된 핫가스밸브(19)를 오프할 수 있다(930).
즉, 도 6과는 다르게 고압화밸브(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어부(400)는 핫가스밸브(19)를 폐쇄한 상태로 고압화밸브(40)를 제어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핫가스밸브(19)가 온된 상태에서 실내기(20) 난방을 온(ON)시키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940).
제어부(400)는 복수의 실내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0)로부터 실내기(20) 난방을 온(ON)시키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940의 예), 고압화밸브(40)를 제어하여 저압 상태인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95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고압화밸브(40)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제1냉매관 (P1,고압가스관)에 고압 가스가 급격히 공급되어 발생하는 압력 평형음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난방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20)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나머지 실내기(20)는 기존의 냉방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여 냉방 및 난방 혼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960).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 의하면, 냉난방 혼용 운전의 가능성에 기초하여 핫가스밸브(19)와 고압화밸브(40)를 제어하여 압력 평형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하드웨어의 변경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공기조화기(1)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152),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152)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실내기(20)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유닛;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고압가스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저압가스관(P2);
    상기 고압가스관과 상기 저압가스관을 연결하는 핫가스관에 구비된 핫가스밸브;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상기 모드 전환 유닛에 연결된 액관;
    상기 고압가스관과 상기 액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된 고압화밸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실외기 또는 상기 모드 전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화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화밸브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이 증가된 이후,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상기 냉방 운전에서 상기 혼용 운전으로 절환하는 공기조화기.
  1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유닛, 고압가스관, 저압가스관, 핫가스관에 구비된 핫가스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을 수신하고;
    상기 실내 온도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율에 기초하여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혼용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온도가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냉방 운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핫가스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핫가스밸브가 폐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난방 가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고압화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가 혼용 운전으로 절환하기 이전에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화밸브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고압가스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PCT/KR2023/013577 2022-10-19 2023-09-1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854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224A KR20240054807A (ko) 2022-10-19 2022-10-1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135224 2022-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443A1 true WO2024085443A1 (ko) 2024-04-25

Family

ID=9073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3577 WO2024085443A1 (ko) 2022-10-19 2023-09-1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4807A (ko)
WO (1) WO20240854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327A (ko) * 2003-04-17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겸용 멀티에어컨의 냉/난방 밸브 절환방법
KR100589912B1 (ko) * 2004-12-14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80036314A (ko) * 2006-10-23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절환소음 저감 방법
KR20100036788A (ko) * 2008-09-30 201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19020112A (ja) * 2017-07-20 2019-0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327A (ko) * 2003-04-17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겸용 멀티에어컨의 냉/난방 밸브 절환방법
KR100589912B1 (ko) * 2004-12-14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80036314A (ko) * 2006-10-23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절환소음 저감 방법
KR20100036788A (ko) * 2008-09-30 201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19020112A (ja) * 2017-07-20 2019-0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807A (ko)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389B2 (en) Multi-unit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69472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5118720A (ja) 冷凍装置の制御方法
WO201507650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147085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844413B (zh) 空调系统
WO201516016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147675A1 (ko) 냉동시스템
KR20150004061A (ko)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8199682A1 (ko)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99474A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1399A (ko) 냉장 냉동 복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4085443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82303A1 (ko) 냉매 저장수단을 구비한 히트펌프
KR20150009201A (ko)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34906A (ko) 멀티 공조기의 역상/결상 감지방법
WO2022145700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17360A (ja) 空気調和装置及び方法
WO2020013612A1 (ko) 공기 조화 시스템
JP3348465B2 (ja) 二元冷凍装置
JPS6029558A (ja)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10120444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068500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9042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48995A1 (ko) 히트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