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6142A1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6142A1
WO2024076142A1 PCT/KR2023/015240 KR2023015240W WO2024076142A1 WO 2024076142 A1 WO2024076142 A1 WO 2024076142A1 KR 2023015240 W KR2023015240 W KR 2023015240W WO 2024076142 A1 WO2024076142 A1 WO 20240761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loud
iot
iot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2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남진
김현진
정한수
김시재
박성미
조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86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47869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761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61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1Directories for service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reconnec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the cloud in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cloud is disconnected.
  • the Internet of Things refers to a technology that connects various objects to the Internet by embedding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 IoT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allows objects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exchange data, analyze themselves, provide learned information to users, or allow users to remotely control it.
  • objects can be various embedded systems such as home appliances, mobile equipment, or wearable devices.
  • Things connected to IoT must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with a unique IP that can identify them, and can be equipped with sensors to acquire data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 IoT is also highly useful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within the home. Users can control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washing machines, or air conditioners in the hom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to perform specialized services, and easily share information about them.
  •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through network search.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check whether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has been releas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onnect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wh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and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is released. ) function can be provided.
  •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through network search.
  •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a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has been released.
  •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wh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and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is released, reconnect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 may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function.
  • a storag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 may be provided.
  •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may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plurality of operations.
  • the plurality of operations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through network search.
  • the plurality of operations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has been released.
  • the plurality of operations include reconnecting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wh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and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is released. It can include actions that provide functionality.
  • IoT Internet of Things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oT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IoT environmen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s 5a, 5b, and 5c show an example of an offline display and guide provis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6 shows an example of a discovery schedule for searching an offline electronic device in an Io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overy process when an electronic device finds an IoT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overy process when an electronic device fails to find an IoT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when an electronic device finds an IoT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0 is a flowchart for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register WiFi AP information in the cloud after onboa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s 11A and 11B show examples of error codes when the IoT device is offline.
  • Figure 12 shows an example of a UI through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diagnosis user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3 shows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reconnection user guide after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4 shows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recommendation card in a favorites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5 shows an example of a UI that provides connection diagnosis in a device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6 shows an example of a UI that provides connection diagnosis in a summary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17A and 17B illustrate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reconnection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18A and 18B illustrate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reconnection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one component,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1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2 through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second network 199.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through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a second network 199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 th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a processor 120, a memory 130, an input module 150, an audio output module 155, a display module 160, an audio module 170, and a sensor module ( 176), interface 177, connection terminal 178, haptic module 179, camera module 180, power management module 188, battery 189, communication module 190,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 or may include an antenna module 197.
  •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some of these components e.g., sensor module 176, camera module 180, or antenna module 197)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display module 160). It can be.
  • the processor 120 for example, executes software (e.g., program 140) to operate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It can be controlled and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t least part of data processing or computation, the processor 120 stores instructions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sensor module 176 or communication module 190) in volatile memory 132.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32 can be processed, and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34.
  • software e.g., program 140
  • the processor 120 stores instructions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sensor module 176 or communication module 190) in volatile memory 132.
  •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32 can be processed, and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34.
  • the processor 120 includes the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n auxiliary processor 123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r together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 It may include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the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 an auxiliary processor 123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 It may include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th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a main processor 121 and a secondary processor 123
  • the secondary processor 123 may be set to use lower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121 or be specialized for a designated function. You can.
  •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121 or as part of it.
  •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for example, act on behalf of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active (e.g., application execution) state. ),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display module 160,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states related to can be controlled.
  • co-processor 123 e.g., image signal processor or communication processor
  •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camera module 180 or communication module 190. there is.
  •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include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be cre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itself,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e.g., server 108).
  • Learning algorithms may include, for exampl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but It is not limited.
  •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include multiple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s.
  •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clude deep neural network (D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belief deep network (DB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It may be one of deep Q-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clude software structures.
  • the memory 130 may store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processor 120 or the sensor module 176)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e.g., program 140)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 Memory 13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132 or non-volatile memory 134.
  • the program 1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the memory 1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142, middleware 144, or application 146.
  • the input module 150 may receive commands or data to be used in a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processor 120) from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a user).
  • the input module 1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mouse, keyboard, keys (eg, buttons), or digital pen (eg, stylus pen).
  • the sound output module 155 may output sound signals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sound output module 155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a receiver. Speakers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incoming cal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or as part of it.
  • the display module 160 can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a user).
  • the display module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 the display module 160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 the audio module 170 can convert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conversel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dio module 170 acquires sound through the input module 150, the sound output module 155,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2 (e.g., speaker or headphone).
  • the electronic device 102 e.g., speaker or headphone
  • the sensor module 176 detects the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the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can do.
  • the sensor module 176 includes,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n air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or light sensor.
  • the interface 177 may support one or more designated protocols that can be used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1 directly or wirelessly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 the interface 1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USB universal serial bus
  • SD card interface Secure Digital Card interface
  • audio interface audio interface
  •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 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 the haptic module 179 can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mechanical stimulation (e.g., vibration or movement) or electrical stimulation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actile or kinesthetic senses.
  • the haptic module 1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the camera module 180 can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 the camera module 18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a part of, for example,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 the battery 189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battery 189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battery,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a fuel cell.
  • Communication module 190 is configured to provide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102, electronic device 104, or server 108). It can support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through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s. Communication module 190 operates independently of processor 120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processor 120 e.g., an application processor
  •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94 (e.g., : LAN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cluded.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94 e.g., : LAN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a second network 199.
  •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uses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5G networks after 4G networks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NR access technology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NR access technology provides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inimization of terminal power and access to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latency communications)) can be suppor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high frequency bands (eg, mmWave bands), for example, to achieve high data rate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uses technologies to secure performance in high frequency bands, for example, beamforming, massive array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and full-dimensional multiplexing. It can support technologies such as input/output (FD-MIMO: full dimensional MIMO),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or large scale antenna.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104), or a network system (e.g., second network 199).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supports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for realizing eMBB,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mmTC, or U-plane latency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URLLC.
  •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 U-plane latency e.g., 164 dB or less
  • the antenna module 197 may transmit signals or power to or receive signals or power from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antenna module 197 may include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made of a conductor or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eg, PCB).
  • the antenna module 197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can be selected. Signals or power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selected antenna.
  • other components eg,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part of the antenna module 197.
  • RFIC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 the antenna module 197 may form a mmWave antenna module.
  • a mmWave antenna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disposed on or adjacent to a first side (e.g.,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rray antennas)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second side (e.g., top o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in the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 a mmWave antenna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disposed on or adjacent to a first side (e.g.,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rray antennas)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second side (e.g., top or side) of the printed
  • peripheral devices e.g.,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 signal e.g. commands or data
  •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199.
  •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or 104 may be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 as the electronic device 101.
  • all or part of the operations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executed in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104, or 108.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erform the function or service instead of executing the function or service on its own.
  •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ay be requested to perform at least part of the function or service.
  •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received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cess the result as is or additionally and provide it as at least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mobile edge computing (MEC),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can be used.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vide an ultra-low latency service using, for example, distributed computing or mobile edge computing.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may include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 Server 108 may be an intelligent server using machine learning and/or neural networks.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or server 108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199.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applied to intelligent services (e.g., smart home, smart city, smart car, or healthcare) based 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related technology.
  • An electronic device may be one type of device.
  •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phones), computer devices, portable multimedia devices, portable medical devices, cameras, wearable devices, home appliance devices, or wireless earphones or ear buds. You can.
  •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devices.
  •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o refer to that component in other re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 One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 any of th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 modul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interchangeable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can be used
  • a module may be an integrated part or a minimum unit of the parts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built-in memory 136 or external memory 138)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g., electronic device 101).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program 140) including these.
  • a processor e.g., processor 120
  •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n interpreter.
  •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and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on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smart phones) or online.
  •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multiple entities, and some of the multiple entities may be separately placed in other components.
  •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 multipl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an electronic device may be a device that control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an IoT environ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202 (e.g.,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of FIG. 1)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using one or more antennas 201.
  • th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a processor 204 (e.g., processor 120 of FIG. 1), which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single core processors or one or more multi-core processors, and an electronic device ( It may include a memory 206 (eg, memory 130 in FIG. 1) that stores instructions for the operation of 101).
  • a processor 204 e.g., processor 120 of FIG. 1
  • a memory 206 e.g, memory 130 in FIG. 1 that stores instructions for the operation of 101.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n interface module 208 (e.g., interface 177 in FIG. 1) that provides a wired and/or wireless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components external to the network. there is. At least a portion of one or more antennas 201, communication circuitry 202, or interface module 208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t least part of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antenna module 198 of FIG. 1. there is.
  • an interface module 208 e.g., interface 177 in FIG. 1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n interface module 208 (e.g., interface 177 in FIG. 1) that provides a wired and/or wireless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components external to the network.
  • At least a portion of one or more antennas 201, communication circuitry 202, or interface module 208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t least part of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antenna module 198 of FIG. 1. there is.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202 and at least one processor 204. At least one processor 204 may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through network search. At least one processor 204 may check whether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has been released. At least one processor 204 is configured to reconnect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wh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and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is released ( reconnect) function can be provided.
  • IoT Internet of Things
  • This disclosure proposes a method for easily reconnec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the cloud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cloud is lost.
  • the reason why an electronic device appears offline in an IoT application can be caused by several reasons, including device problems, AP problems, cloud failures, and IoT application problems.
  • the cause of the connection loss may be analyzed through direct connection diagnosis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ion recovery gui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 a guide screen is provided (or displayed) to change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join mode,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switches to the join mode, discovery and/or Alternatively, you can perform a connect.
  • the D2D connection may fail due to a high SoftAP and BLE connection failure rate.
  •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he session with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is disconnected, the electronic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network and the D2D procedure is performed,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Even in this case, the problem of disconnecting the network unnecessarily may occur.
  •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 direct connection diagnosis of an electronic device is possible only when it is on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or in an in-house environment, but a problem may occur when a user performs the direct connection diagnosis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outside environment or a different network environment.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oT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IoT environment 300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310, a cloud 320, and cloud-connected devices 330.
  • the IoT environment 300 may refer to a method of connecting cloud-connected devices 330, such as home appliances, through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relaying and controlling them in the cloud 320 and local servers.
  • the IoT environment 300 is Bluetooth (BT), bluetooth low energy (BLE), WIFI, peer-to-peer network (P2P),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CLOUD, or UWB (ultra It can provide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while suppor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wideband).
  • the IoT environment 300 may be implemented as an open platform so that not only sensors and products of a specific brand but also products of other brands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oT environment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losed platform to connect sensors and products of a specific brand.
  • the electronic device 310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includes an application 315 executable by an operating system (e.g., the operating system 142 of FIG. 1). (e.g., application 146 of FIG. 1) may be installed.
  • the application 315 is preloaded on the electronic device 310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is installed o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or 104 of FIG. 1, or the server 108 of FIG. 1). It can be downloaded or updated from )).
  • the application 315 may check the status of the cloud-connected devices 330 registered on a server within the cloud 320 and control the cloud-connected devices 330.
  • the application 315 controls the cloud-connected devices 330 registered on the server within the cloud 320 to automatically operate at a set time, or receives notifications from the cloud-connected devices 330. I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315 controls and manages smart home appliances 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10 and may be connected to surrounding devices wired or wirelessly.
  • the cloud-connected devices 330 include at least one of a TV, speaker, refrigerator, kimchi refrigerator, wine cellar, washing machine, dryer, air dresser, oven, dishwasher, cooktop, robot vacuum cleaner, air conditioner, and air purifier. may includ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IoT environmen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IoT environment 400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410, a first cloud 420, cloud-connected devices 430 (e.g., cloud-connected devices 330 of FIG. 3), and a hub. It may include 440, second cloud 460, and/or third cloud 4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oT environment 400 may provide an environment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IoT environment 300 described in FIG.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410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includes an application 415 executable by an operating system (e.g., the operating system 142 of FIG. 1). (e.g., application 146 of FIG. 1) may be installed.
  • an operating system e.g., the operating system 142 of FIG. 1
  • application 146 of FIG. 1 may be installed.
  • the application 415 may refer to a client application that registers cloud-connected devices 430 with the first cloud 420 and remotely controls the registered devi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415 may check the status of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registered with the server in the first cloud 420 and control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415 controls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registered on the server in the first cloud 420 to automatically operate at a set time, or controls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to operate automatically from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You can receive notific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415 controls and manages smart home appliances 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10 and may be connected to surrounding devices wired or wirelessly.
  • IoT Internet of Things
  • a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first cloud 420 is hub-connected (440), direct-connected (450), or cloud-connected (424). , 42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loud 420.
  • the first cloud 420 may include a server that manages or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410 and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 the server in the first cloud 420 stores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410 and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or the electronic device 410 and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It may relay inter-communication and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410 and cloud-connected devices 430.
  • the first cloud 420 may implement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422, which is a language or message format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operating system and an application program.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the first cloud 420 may be connected to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through the hub 440.
  • the hub 440 may connect the first cloud 420 and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through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ZigBee, Zwave, LAN, or Matter.
  • the hub 440 may refer to a device (eg, a gateway)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loud 420 and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 the hub 440 may be a device implemented within the first cloud 42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eg, an external server).
  • the first cloud 420 may be connected to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through a direct connection 450 without using the hub 440.
  • at least one of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loud 420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Wi-Fi AP.
  • the first cloud 420 is connected to the cloud connector 424 using the API 422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loud 460.
  • the operator providing the service in the first cloud 420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or providing the service in the second cloud 460.
  • the cloud connector 424 may relay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louds (eg, the first cloud 420 and the second cloud 460).
  • the cloud connector 424 may be a hardware device or a software module implemented within the first cloud 420.
  • the cloud connector 424 may be a hardware device or a software module implemented outside the first cloud 420.
  • the cloud connector 424 may be a separate server implemented outside the first cloud 420.
  • the first cloud 420 is connected to the automation function 426 using the API 422, and the automation function 426 executes a user command when the conditions set by the user in the application 415 are met.
  • Each of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connected to the first cloud 420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 defined operation without (or input).
  • automation function 426 may be a hardware device or software module implemented within first cloud 420.
  • the automation function 426 may be a hardware device or software module implemented external to the first cloud 420.
  • the automation function 426 may be a separate server implemented outside of the first cloud 420.
  • application 415 may display time (e.g., a specific time, a specific time of day, always, or day of the week, etc.), device status, member location (e.g., You can set work conditions such as (check whether or not you are at the initially set location), location status, or weather.
  • the automation function 426 controls the cloud-connected devices 430 connected to the first cloud 420 without user commands (or input). , it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martphone notifications, message voice playback from the speaker, change of location status, or mode execution.
  • the first cloud 420 is connected to the cloud connector 428 using the API 422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third cloud 470.
  • the operator providing the service in the first cloud 420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or providing the service in the third cloud 470.
  • the cloud connector 428 may relay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louds (eg, the first cloud 420 and the third cloud 470).
  • the cloud connector 428 may be a hardware device or a software module implemented within the first cloud 420.
  • the cloud connector 428 may be a hardware device or a software module implemented outside the first cloud 420.
  • the cloud connector 428 may be a separate server implemented outside the first cloud 420.
  • Cloud-connected devices 430 may be onboarded (or registered) to the first cloud 420 through the application 415 onc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 onboarding may be a process of registering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cloud 420 through the application 415.
  • Figures 5A to 5C show an example of an offline display and guide provis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information that at least one cloud-connected device is offline. It can be provided (or displayed) to the user, and a guide can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one cloud-connected device connects to the AP.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type of the air conditioner's remote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different guides to connect the air conditioner to the AP.
  •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or display) information to the user that at least one cloud-connected device (or IoT device) (e.g., TV) is offline, and at least one Guidance can be provided for cloud-connected devices to connect to the AP.
  • at least one cloud-connected device e.g., TV
  • th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a guide for the user to turn on the TV screen using the TV's remote control.
  • th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a guide to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TV are connected to the same Wi-Fi.
  •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dditional guidance i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TV are not connected to the same Wi-Fi.
  • an IoT application (e.g., SmartThings application) running on an electronic device sets a location (e.g., home, work, etc.) and connects to at least one IoT device (or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 can be controlled for onboarding.
  • an IoT application may share a location through an invitation function to grant control authority to an IoT device located within the location.
  • an IoT device invited to the location can control the device in the same way as the location owner, and can onboard the IoT device to the invited location or perform a connection diagnosis process.
  • a registered IoT device when a registered IoT device loses connection with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it may be displayed as offline on the IoT device or device card.
  • a direct connection diagnosis process may be provided.
  • a direct-connect diagnostic process could be provided through an in-device pop-up or through a referral card within an application.
  • the IoT device if an offline IoT device is capable of a direct connection diagnostic processor, the IoT device may be within the home and D2D connection may be possible.
  •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owned by the user is capable of performing a connection diagnosis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1) to (8) below.
  • An IoT application (eg, SmartThings application) running on an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uto detect according to a discovery schedule.
  • Owned status (O:unowned, 1:owned) is additionally reported, and essential information can be checked from the cloud only if the Owned status is owned. (If the device is factory reset, it will be displayed as offline on the device card, but the device must be re-registered in an unowned state.)
  • the MAC address of the discovered electronic device is hashed and compared with the MAC address of essentia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same device.
  • the essential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the MAC address, the SSID and serial number are compared in order of priority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device.
  • the device exterior image can be obtained from the server based on mnId and setupId.
  • An IoT application e.g., SmartThings application
  • a 'Recovery' button is provided in the pop-up and the user can restore the connection directly from the pop-up by pressing 'Recovery'. If recovery is not possible, a diagnostic button can be provided and a diagnostic process can be provid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register Wi-Fi AP information in the cloud and provide a register service so that it can be searched on the same network.
  • serviceName, sericeType, and port may be provided for simple diagnosis.
  • 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essential information.
  • essential information may be stored on a server during the device registration process.
  • an IoT application may obtain essential information from the cloud.
  • Figure 6 shows an example of a discovery schedule for searching an offline electronic device in an Io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scan for BLE, WIFI, UPNP, P2P, BT, and/or BLE communication protocols to scan (or searc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located nearby when running an IoT application. You can.
  • the electronic device may set a limit on scan time for BLE, WIFI, UPNP, P2P, and BT communication protocols.
  • the electronic device may set the scan time to match the time zone in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can be found based on the advertising speed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 the electronic device may end scanning (or searching)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when the application terminates or moves to the background state.
  • the electronic device sets the scan time for the BLE protocol to 1s (second), the scan time for the WIFI protocol is set to 500ms, and the scan time for the L3, mDNS, and UPNP protocols is set to 500ms. You can set the scan time for the P2P protocol to 15s, and then set the scan time for the WIFI protocol to 5s. The electronic device may set the scan time for the BT protocol to 2s and maintain scanning for the BLE protocol.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overy process when an electronic device finds an IoT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710 searches for the IoT device 720 through a discovery result network search (L3, DNS-SD/mDNS), the electronic device 710 performs a reconnect function in a pop-up. is provided, and a recovery process for reconnection may proce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ser 700.
  • the IoT device 720 belongs to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710, an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oT device 720 and the cloud 730 is lost, the electronic device 710 is connected to the IoT device 720. ) can be controlled to reconnect with the cloud 730.
  • process 701 the user 700 inputs a command (run to recovery) to the electronic device 710 to perform a recovery process, and in process 702, the electronic device 710 and the IoT device 720 may be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710 and the IoT device 720 establish a secure session using a certificate, and in process 704, the electronic device 710 may transmit a request command to the IoT device 720.
  • the IoT device 720 may perform a recovery process for the cloud 730 in response to the request command.
  • the electronic device 710 may transmit a request device status of the IoT device 720 to the cloud 730. If the IoT device 720 and the cloud 730 are connected in process 707, the cloud 730 may transmit a response connected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710. If the IoT device 720 and the cloud 730 are not connected in process 708, the cloud 730 may transmit a response not connected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710. After process 708, in process 709, the electronic device 710 may perform a diagnostic process (update with 'go to diagnostics').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overy process when an electronic device fails to find an IoT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810 searches for the IoT device 820 through Soft-AP and/or BLE as a result of discovery, recovery may proceed through a self-diagnosis process.
  • the electronic device 810 when the IoT device 820 does not belong to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81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oT device 820 and the cloud 830 is lost, the electronic device 810 is connected to the IoT device 820. ) can be controlled to reconnect with the cloud 830.
  • the user 800 inputs a command (go to diagnostics) to the electronic device 810 to perform a diagnostic process, and in process 802, the electronic device 810 and the IoT device 820 may be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810 and the IoT device 820 establish a secure session using a certificate, and in process 804, the electronic device 810 sends a Get connection info message to the IoT device 820 to request connection information. It can be sent to .
  • the electronic device 810 may receive a response (response connection info) to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IoT device 820.
  • the electronic device 810 transmits a post device dumplog message to the IoT device 820, and in process 807, the electronic device 810 transmits a Get device dumplog message to obtain the device dumplog to the IoT device 820. You can.
  • the electronic device 810 may receive a Response device dumplog message from the IoT device 820.
  • the electronic device 810 may display a trouble shooting guide as an error code.
  • the electronic device 810 transmits a request recovery command message to the IoT device 820, and in process 811, the IoT device 820 responds to the request recovery command message and performs a recovery process for the cloud 830. can be performed.
  • the electronic device 810 may transmit a request device status of the IoT device 820 to the cloud 830. If the IoT device 820 and the cloud 830 are connected in process 813, the cloud 830 may transmit a response connected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810. If the IoT device 820 and the cloud 830 are not connected in process 814, the cloud 830 may transmit a response not connected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810.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when an electronic device finds an IoT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910 searches for the IoT device 920 through discovery result network search (L3, DNS-SD/mDNS), a process for conne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ser 900 can proceed.
  • the IoT device 920 belongs to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oT device 920 and the cloud 930 is lost, the electronic device 910 is connected to the IoT device 920. ) can b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cloud 930.
  • the user 900 may input a search command for diagnosing the IoT device 920 into the electronic device 910.
  • the electronic device 910 requests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920 from the cloud 930, and in process 903, the cloud 930 sends a response message to the request to the electronic device 910. ) can be transmitted.
  • the response message for the reques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nId, setuId, modelCode, serialNumber, ssid, and macAddressHash.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receiv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920 from a server in the cloud 930.
  • the electronic device 910 requests WiFi AP information from the cloud 930, and in process 905,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receive a response message for the request from the cloud 930.
  • the response message to the reques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sid, networked (No guarantee of uniqueness), passphrase, and auth type.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transmit a connect to WiFi message to the WiFi AP 940 in step 906.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can perform a discovery procedure with macAddress through DNS-SD, BLE, and SofAP.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may be connected in step 908.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can establish a secure session.
  • the electronic device 910 transmits a request setup data message (including mnId and setupId) to the cloud 930, and in process 911, the electronic device 910 receives a response setup data message from the cloud 930. You can.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provide a guide page.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provide the user 900 with a message to change the join mode.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can scan a specific device using macAddress.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are connected, and in process 916,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can establish a secure session.
  • the user 900 can check the list of offline devices, diagnose and restore the devices through the offline diagnosis menu.
  • the user 900 can press the offline diagnosis service menu to search for an offline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and then restore the connection to the offline device through simple diagnosis.
  • the electronic device 910 receives Wi-Fi AP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IoT device 920 from a server in the cloud 930, and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are connected to the same network. You can determine whether it is within .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provide a guide to the user 900 without performing a direct connection diagnosis.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be connected to Wi-Fi. there is.
  • the IoT device 920 when the electronic device 910 is connected to the same network as the IoT device 920, the IoT device 920 can be searched through network search.
  • the connection diagnosis method and recovery method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IoT device 920 owned by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910 is searched or when the IoT device 920 is not searched.
  • the Mac address of the discovered IoT device 920 may be hashed and compared with the Mac address of essentia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same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910 compares the Mac address of the discovered IoT device 920 and the Mac address of essential information, and if both are the same, the essenti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oT device 920. ) can be confirmed to be about.
  • the Mac address is an address used to identify each device on the network. Because it is a unique number for the device, unlike the IP address, it does not change unless the device is replaced or network components are replaced.
  • the Mac address if the Mac address is not included in the essential information, the SSID and serial number can be compared according to priority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perform a D2D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 9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establish a secure session based on the Owner ID and certificate of the IoT device 920.
  • the IoT device 920 compares the Owner ID delivered by the electronic device 910 with the Owner ID of the device saved during the onboarding process, and if they do not match (due to a permission deny error), the IoT device 920 will not accept the connection. You can.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request connection information and an error code from the IoT device 9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transmit a rebooting recovery comment to the IoT device 920 when the cause of the connection loss is a Cloud Error based on the error code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9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oT device 920 may reboot and attempt to sign in to the cloud 930 aga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monitor whether the IoT device 920 is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provide a user guide for the device specific error when the cause of the connection loss is a device specific error based on the error code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920.
  • the electronic device 910 when the offline IoT device 920 owned by the user is not searched, the electronic device 910 sends an external image of the device and a guide text for D2D connection using mind and/or setupId.
  • a request can be made to the cloud 930, and a guid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900 using the received image and guide text.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can perform a Scan specific device using the mac address and determine whether the IoT device 920 searched through this is a device owned by the user.
  • the electronic device 910 and the IoT device 920 may perform a D2D connection.
  • a secure sess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be established based on the Owner ID and certificate of the IoT device 920.
  • the IoT device 920 compares the Owner ID delivered by the electronic device 910 with the Owner ID of the device saved during the onboarding process, and if the two do not match, the IoT device 920 does not accept the connection due to a permission deny error. It may not be possible.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request connection information and an error code from the IoT device 920.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check the cause of the connection loss based on the error code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920 and provide a user action guide.
  • the IoT device 920 may reboot and attempt to sign in to the cloud 930 again.
  • the electronic device 910 may monitor whether the IoT device 920 is connected.
  • FIG. 10 is a flowchart for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register WiFi AP information in the cloud after onboa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IoT device 1020 may store Wi-Fi AP information in the cloud 1030 during the onboarding process.
  • the user 1000 may input a search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0 to add a new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10 and the IoT device 1020 may perform 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g, via softAP or BLE).
  • the electronic device 1010 and the IoT device 1020 can establish a secure channel.
  • the electronic device 1010 provides the user 1000 with a message to select a WiFi AP, and in process 1005, the user 1000 may transmit a WiFi AP selection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1010.
  • the electronic device 1010 and the IoT device 1020 set up a WiFi network, and in process 1007,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transmit a connect terminated message to the IoT device 1020.
  • the IoT device 1020 and the cloud 1030 perform a sign up procedure, and in process 1009, the cloud 1030 may transmit a new device added event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1010.
  • the IoT device 1020 and the cloud 1030 may perform a sign in procedure.
  • the IoT device 1020 and the cloud 1030 may perform a profile publish procedure, and in process 1012, the IoT device 1020 and the cloud 1030 may perform a resource publish procedure.
  • WiFi AP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sid, bssid, passphrse, rssi, networked (No guarantee uniqueness), frequency, and authType (from S OS, or using configuredNetworks).
  • the IoT device 1020 may register a service.
  • the IoT device 10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rviceName, serviceType, and port.
  • the user 1000 may request a WiFi AP change to the IoT device 1020 in process 1014.
  • the IoT device 1020 may request WiFi AP information update from the cloud 1030. Afterwards, the WiFi AP may be changed.
  • the cause of disconnection between the cloud 1030 (eg, SmartThings cloud) and the IoT device 1020 may be one of the following three (CASE 1 to 3).
  • IoT device (1020) is disconnected for specific reasons
  • the IoT device 1020 may log the cause of the disconnection and provide a D2D connection metho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10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disconnection.
  • the IoT device 1020 can automatically switch to Soft-AP mode or broadcast a BLE packet.
  • the IoT device 1020 if the router's password is changed, the IoT device 1020 must be onboarded again or receive the changed password through a connection diagnosis service. As a preliminary work for this, the mode of the IoT device 1020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for D2D connection.
  • the IoT device 10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0 and the local network, and the electronic device 1010 connects to the cloud 1030 of the IoT device 1020 through network service search. It can provide easy connection 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oT device 1020 may access services provided by a local network in an IoT application. Through this, an IoT application can request a service by specifying the service type and the name of the device instance that provides the desired service type.
  • the user is quickly notified when a frequently used device or a device scheduled to be run is disconnected, and in an in-home environment where diagnosis is possible, the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restored without any additional action by the user.
  •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find offline devices and inform the user 1000 of devices with high priority according to priority.
  • prio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n simple diagnosis is possible in the same network, disconnection time, device type, automation conditions, and/or addition as an action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recommend reconnection to devices included in automation (priority on devices that will soon be used in automation) through a notification and/or pop-u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recommend the most recently used device (the most recently plugged-in device takes priority) and/or recommend reconnection using a summary c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recommend reconnection to a device that has been disconnected due to a lack of battery and/or with a summary c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set the reconnection priority of devices that are repeatedly connected/disconnected, such as plugging off a home appliance, to be low.
  •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display a list of offline devices sorted by frequency and priority and provide a button to enter a diagnostic mode.
  • examples of a partial alignment method that provides a button to enter the diagnostic mode are as follows A to C.
  •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10 is on the same network as the device based on AP information to which the device is connected to determine whether direct connection diagnosis is possi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determine whether a device searched for Soft AP, BLE, or On IP Network is a device owned by the device or located in an invited loca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direct connection diagnosis is possible.
  • the electronic device 1010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10 finds a device through a network search,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provide a user guide and/or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error type received from the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10 determines whether an offline device can be recovered by a simple diagnosis or reconnection method after diagnosis, and provides a simple diagnosis button or a reconnection method button on the device card to make it simple. When you select the diagnosis button, you can proceed with the recovery process in the backgroud.
  • the electronic device 1010 may compare the WiFi/BLE Mac address, SSID, and serial number of the discovered device in order of priority to determine whether the registered device is offline. For example, in the case of BLE, the electronic device 1010 can determine whether the registered device is offline based on the Owned status of the Adv packet and the device health of the Cloud.
  • Figures 11A and 11B show examples of error codes when the IoT device is offline.
  • error code classification is Cloud Error (OSI Network layer 3 or higher).
  • the cause is DNS failure with the SmartThings Cloud address, and the specific cause may be a private IP response problem.
  • error code CE81 the cause may be loss of session connection with SmartThings Cloud.
  • Error code CE20 is due to sign-in failure
  • error code CE82 is due to sign-out failure
  • error code CE83 is due to Keealive resource discovery failure
  • error code CE84 is due to Keepalive request failure.
  • Error code CE60 is caused by Access token refresh failure
  • error code CE90 is caused by device initialization
  • error code CE70 is caused by Rate Limit.
  • the error code classification is Network Error (OSI Network Layer 2 or lower), Device Specific Error (only TV), or Unknown Error.
  • error code classification is Network Error (OSI Network Layer 2 or lower)
  • error code NE11 is caused by a failure to connect to the router
  • error code NE30 is caused by a loss of connection to the router
  • error code NE12 is caused by a DHCP failure in the router.
  • Error code NE50 may be caused by a connection failure to the Ethernet router.
  • error code classification is Device specific Error (only TV)
  • error code DS01 may be caused by long-term non-use
  • error code DS02 may be caused by non-support of power on
  • error code DS03 may be caused by device error.
  • the error code classification is Unknown Error
  • the error code may be set to UE01.
  • Figure 12 shows an example of a UI through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diagnosis user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guide for diagnosi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a simple reconnection method.
  •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 simple reconnect function to the IoT device (eg, washer) when the IoT device (eg, washer) is disconnected due to a network problem.
  • the electronic device may notify the user that a simple reconnection to the IoT device (e.g., washer) is in progress, and in process 1230, the electronic device may notify the user of the reconnection of the IoT device (e.g., washer). It can indicate that reconnection is complete.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at reconnection of the IoT device (e.g., washer) failed, and then performs a diagnostic function ( go to diagnostics) can be provided.
  • a diagnostic function go to diagnostics
  • Figure 13 shows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reconnection user guide after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user guide for reconnection after diagnosis is provided as a note 1310, and while the IoT application is running, the user guide for reconnection after diagnosis is provided as a pop-up 1320.
  • the electronic device may start diagnosis of an offli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washer) in response to a user click input 1330 on the “Go to diagnostics” button image in the pop-up 1320.
  • Figure 14 shows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recommendation card in a favorites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recommendation card in the Favorites tab indicating that the device (e.g., washer) is offline and to immediately perform reconnection in process 1410. .
  •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that the device (e.g., washer) is offline and diagnoses and/or repairs a problem with the device (e.g., washer) in process 1420. Recommended cards that prompt you to do so can be displayed in the Favorites tab.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recommendation card indicating that there are multiple disconnected devices in the favorites tab in step 1430. If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ation card is requested by the user in step 1430,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disconnected devices in step 14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ommend reconnection of devices included in automation (devices that will soon be used in automation first), hub devices, etc. through a notification and/or pop-up according to priority order.
  • Figure 15 shows an example of a UI that provides connection diagnosis on a device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an offline device (e.g., a robot vacuum cleaner) can be restored by simple reconnection (1520 or 1530), needs to be reconnected after diagnosis (1540), or is a device that cannot be diagnosed (1540).
  • Button images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device card 1510 according to the method 1550).
  •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easy reconnectio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e.g., clicking a button image on a device card). Details (1520) can be displayed.
  • reconnection when a user input for a simple reconnection button is input, reconne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background and a pop-up may be displayed if reconnection fails.
  • a dialog is provided for explanation upon first tap
  • Figure 16 shows an example of a UI that provides connection diagnosis in a summary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ommend reconnection to the most recently used device with a summary card according to reconnection priority.
  • a list of offline devices can be displayed sorted by frequency and priority, and a button to enter the diagnosis mode can be provid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offline devices that can be diagnosed in step 1610.
  •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diagnostic function for a plurality of offline devices (e.g., TV, washer) according to priority (e.g., order of recent use, frequency of use, or priority set by the user). can be provided.
  • priority e.g., order of recent use, frequency of use, or priority set by the user.
  • the electronic device recommends simple reconnection for the offline device with high priority (e.g., TV) and recommends simple reconnection for the offline device with low priority (e.g., TV).
  • reconnection may be recommended after diagnosis.
  • the electronic device recommends easy reconnection to the offline TV and performs reconnection after diagnosis of the offline washer. I can recommend it.
  • an example of a sorting method according to reconnection priority is as follows.
  • 17A and 17B illustrate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reconnection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recovery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simple connection method without providing a guide screen for D2D connection to the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starts diagnosing an offline device (e.g., washer), and in process 1720, the electronic device diagnoses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through a WiFi network. can be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to reconnect to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to be reconnected to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 reconnection completion can be 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at reconnection of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failed and provides an error report reporting function. You can.
  •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reconnection function for an offline device (e.g., washer), and in step 1721,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reconnection function to an offline device (e.g., washer) through a WiFi network. can be connected to a washer).
  •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to reconnect to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and in process 1741,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to be reconnected to the cloud (e.g., SmartThings cloud).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at reconnection of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failed and provides an error report reporting function. You can.
  • 18A and 18B illustrate an example of a UI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imple reconnection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i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on the same network as the device, or if the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even if it is on the same network,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guide screen for connecting to the device through D2D, and provides a guide screen for connecting to the device through D2D.
  • a recovery process can be provided after direct connection diagnosis.
  •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reconnection function after diagnosing an offline device (e.g., washer), and in processes 1820 and 1830,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reconnection function to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 can perform basic checks for connection failures.
  • the electronic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and an operation guide for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is provided so that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is connected to the AP. can be provided.
  • the electronic device attempts to connect to an offline device (e.g., washer), and in process 1860,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detailed inspection of the offline device (e.g., washer). can do.
  •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diagnosis results for an offline device (eg, washer).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dicate reconnection completion when reconnection of an offline device (eg, washer) is completed.
  • an electronic device (101 in FIG. 1; 310 in FIG. 3; 410 in FIG. 4)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and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may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through network search.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may check whether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has been releas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operates on the IoT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belong to the same network and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is released.
  • a reconnection function of the session between the cloud and the cloud may be provid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transmits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to the cloud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You can make a request to my server.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includes th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 a response message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in the cloud.
  • th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may include a setup ID, model code, serial number, SSID, and Mac address hash.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provides the WiFi AP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You can make a request to a server in the clou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provides the WiFi AP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 a response message containing the message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in the clou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perform a discovery process to search for the IoT device using the Mac address of the IoT device. .
  •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do not belong to the same network and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is released. In this case, a direct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oT device.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checks a plurality of IoT devices that are offline and performs a priority based on the reconnection prior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It can be set to recommend re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in order of highest ranking.
  • the at least one processor (120 in FIG. 1; 204 in FIG. 2) establishes the session between the IoT device and the cloud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190 in FIG. 1; 202 in FIG. 2).
  • An error code regarding the cause of release can be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 WiFi AP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may be registered in the server in the clou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도 1의 101; 도 3의 310; 도 4의 410)는,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 및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본 개시는 외부 전자 장치와 클라우드 간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재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IoT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될 수 있다. IoT 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IP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IoT는 가정 내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성이 높다. 사용자는 가정 내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TV, 세탁기, 또는 에어컨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이 각각 특화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복수 개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동작들은,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동작들은,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400)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표시 및 가이드 제공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오프라인(offline)된 전자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스케쥴(discovery schedule)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검색으로 IoT 전자 장치를 찾은 경우 복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검색으로 IoT 전자 장치를 찾지 못한 경우 복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검색으로 IoT 전자 장치를 찾은 경우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온보딩 후 WiFi AP 정보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방법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IoT 장치가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 에러 코드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간편 진단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진단 후 재연결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즐겨 찾기 탭에서 추천 카드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카드에서 연결 진단을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머리 카드에서 연결 진단을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간편 재연결 복구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간편 재연결 복구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개시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동작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동작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동작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일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본 개시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들 외에 모든 변경들, 균등물들 내지 대체물들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일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일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일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일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 또는 무선 이어폰, 이어 버즈(ear bud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일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는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IoT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201)을 사용하여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202)(예를 들어,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일 코어 프로세서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중 코어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서(204)(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메모리(206)(예를 들어,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 외부의 구성 요소(component)들과 통신하기 위한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208)(예를 들어, 도 1의 인터페이스(17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201), 통신 회로(202),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208) 중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도 1의 통신 모듈(190) 및 안테나 모듈(198)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회로(2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4)는,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4)는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4)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외부 전자 장치와 클라우드(cloud) 사이의 연결이 끊긴 경우 전자 장치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가 간편하게 클라우드에 재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전자 장치가 IoT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martThings App)에서 오프라인으로 표시되는 원인은 기기 문제, AP문제, Cloud장애, IoT 어플리케이션 문제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끊김 문제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와 직접 연결 진단을 통해 연결 끊김 원인을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연결 복구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D2D 연결을 하기 위해 전자 장치를 참여 모드(join mode)로 변경하도록 가이드 화면을 제공(또는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장치가 참여 모드로 전환 시 디스커버리(discovery) 및/또는 연결(connect)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직접 조작을 통해서 참여 모드로 변경 시 SoftAP, BLE 연결 실패률이 높아 D2D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클라우드(예를 들어, SmartThings cloud)와 세션(session)이 끊긴 경우에도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고 D2D 절차를 수행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이 된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동일 네트워크 또는 댁내 환경에 있어야 전자 장치의 직접 연결 진단이 가능한데 댁외 환경 또는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직접 연결 진단 방법을 진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oT 환경(300)은 전자 장치(310), 클라우드(320), 및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환경(300)은 가전제품과 같은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을 다양한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클라우드(320) 및 로컬 서버에서 중계 및 제어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환경(300)은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P2P(peer-to-peer network), UPnP(universal plug and play), CLOUD, 또는 UWB(ultra-wideband)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서 장치 검색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환경(300)은 특정 브랜드의 센서와 제품뿐만 아니라, 다른 브랜드의 제품도 연결할 수 있도록 오픈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환경(300)은 특정 브랜드의 센서와 제품 간 연결되도록 폐쇄형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310)(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1))에는 운영 체제(예를 들어, 도 1의 운영 체제(142))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315)(예를 들어,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315)은 제조 시에 전자 장치(310)에 프리로드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도 1의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315)은 클라우드(320) 내 서버에 등록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의 상태를 확인하고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315)은 클라우드(320) 내 서버에 등록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을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로부터 알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315)은 전자 장치(310)를 통해 스마트 가전, 또는 사물 인터넷(IoT)을 제어 및 관리하고, 주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은 TV, 스피커, 냉장고, 김치냉장고, 와인셀러, 세탁기, 건조기, 에어드레서, 오븐, 식기세척기, 쿡탑, 로봇 청소기,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400)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IoT 환경(400)은 전자 장치(410), 제1 클라우드(420),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예: 도 3의 클라우드-연결 장치들(330)), 허브(440), 제2 클라우드(460), 및/또는 제3 클라우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환경(400)은 도 3에서 설명한 IoT 환경(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410)(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1))에는 운영 체제(예를 들어, 도 1의 운영 체제(142))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415)(예를 들어,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15)은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을 제1 클라우드(420)에 등록하고 등록된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15)은 제1 클라우드(420) 내 서버에 등록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의 상태를 확인하고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15)은 제1 클라우드(420) 내 서버에 등록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을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로부터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15)은 전자 장치(310)를 통해 스마트 가전, 또는 사물 인터넷(IoT)을 제어 및 관리하고, 주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는 허브 연결(Hub-connected)(440), 직접 연결(Direct-connected)(450), 또는 클라우드 연결(Cloud-connected)(424, 428)의 형태로 제1 클라우드(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전자 장치(410) 및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를 관리 또는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 내 서버는 전자 장치(410) 및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 간 송수신하는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410) 및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 간 통신을 중계하고, 전자 장치(410) 및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422)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허브(440)를 통해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허브(440)는 ZigBee, Zwave, LAN, 또는 Matter와 같은 통신 기능을 통해 제1 클라우드(420)와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허브(440)는 제1 클라우드(420)와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 간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허브(440)는 제1 클라우드(420) 내에 구현된 장치이거나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외부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허브(44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450)을 통해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Wi-Fi AP에 직접 연결하여 제1 클라우드(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API(422)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커넥터(424)와 연결되고, 제2 클라우드(46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제2 클라우드(46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4)는 서로 다른 클라우드(예를 들어, 제1 클라우드(420)와 제2 클라우드(460))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4)는 제1 클라우드(420) 내에 구현된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4)는 제1 클라우드(420) 외부에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4)는 제1 클라우드(420) 외부에 구현되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API(422)를 이용하여 자동화 기능(426)과 연결되고, 자동화 기능(426)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415)에서 설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사용자 명령(또는 입력) 없이 제1 클라우드(420)에 연결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 각각이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화 기능(426)은 제1 클라우드(420) 내에 구현된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화 기능(426)은 제1 클라우드(420) 외부에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화 기능(426)은 제1 클라우드(420) 외부에 구현되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415)은 시간(예를 들어, 특정 시간, 특정 시간대, 항상, 또는 요일 등), 장치 상태, 멤버 위치(예를 들어, 처음에 설정 한 장소에 있는지 유무 확인), 장소 상태, 또는 날씨 등의 일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15)에서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화 기능(426)은 사용자 명령(또는 입력) 없이 제1 클라우드(420)에 연결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에 대한 장치 제어, 스마트폰 알림, 스피커에서 메시지 음성 재생, 장소의 상태 변경, 또는 모드 실행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는 API(422)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커넥터(428)와 연결되고, 제3 클라우드(47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제3 클라우드(47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8)는 서로 다른 클라우드(예를 들어, 제1 클라우드(420)와 제3 클라우드(470))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8)는 제1 클라우드(420) 내에 구현된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8)는 제1 클라우드(420) 외부에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커넥터(428)는 제1 클라우드(420) 외부에 구현되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라우드(420)에 허브 연결(Hub-connected)(440), 직접 연결(Direct-connected)(450), 또는 클라우드 연결(Cloud-connected)(424, 428)의 형태로 연결된 클라우드-연결 장치들(430)은 인증이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415)을 통해 제1 클라우드(420)에 온보딩(onboarding)(또는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온보딩(onboarding)은 어플리케이션(415)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제1 클라우드(420)에 등록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5a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표시 및 가이드 제공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연결 장치(또는 IoT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가 AP(access point)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연결 장치가 오프라인 상태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연결 장치가 AP에 연결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리모컨(remote control)의 형태/타입에 따라 전자 장치는 해당 에어컨이 AP에 연결되도록 다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연결 장치(또는 IoT 장치)(예를 들어, TV)가 오프라인 상태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연결 장치가 AP에 연결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b 를 참조하면, TV 스크린이 오프(off)된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TV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TV 스크린을 온(on)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c 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TV가 같은 Wi-Fi 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TV가 같은 Wi-Fi 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IoT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martThings 어플리케이션)은 로케이션(예를 들어, 집, 회사 등)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온보딩(onboard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어플리케이션은 로케이션 내에 위치하는 IoT 장치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초대 기능을 통해 로케이션을 공유(share)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해당 로케이션에 초대된 IoT 장치는 로케이션 오너와 동일하게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초대 받은 로케이션에 IoT 장치를 온보딩(onboarding)하거나 연결 진단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등록된 IoT 장치가 클라우드(예를 들어, SmartThings Cloud)와의 연결이 끊긴 경우 IoT 장치 또는 기기 카드에서 오프라인(offline)임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된 IoT 장치와 직접 연결 진단이 가능한 경우 직접 연결 진단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연결 진단 프로세스는 장치 내 팝업을 통해 제공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내 추천 카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된 IoT 장치가 직접 연결 진단 프로세서가 가능한 경우 IoT 장치는 댁 내에 있고, D2D 연결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장치가 연결 진단 프로세스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는 아래 (1) 내지 (8)의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IoT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martThings application)은 디스커버리 스케쥴(discovery schedule)에 따라 자동 감지(auto detect)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2) 디스커버리(discovery)된 전자 장치의 상태(status)가 오프라인(offline) 상태이면, device id를 이용해서 클라우드로부터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A. BLE 타입 장치의 경우 추가로 Owned status (O:unowned, 1:owned)를 보고하고, Owned status 가 owned인 경우만 클라우드로부터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를 확인할 수 있다. (기기가 Factory reset 된 경우 디바이스 카드에서 오프라인(offline)으로 표시되나, unowned 상태로 기기를 재동록 해야 됨)
(3) 디스커버리(discovery)된 전자 장치의 맥 주소(mac address)를 해싱(hashing)한 후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의 맥 주소(mac address)와 비교하여 동일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4)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에 맥 주소(mac address)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SSID, Serial number를 우선 순위에 따라 비교해서 동일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5) 동일한 기기로 판단이 되면 mnId, setupId 기반으로 서버로부터 기기 외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6) 사용자에게 팝업 또는 카드를 통해서 전자 장치가 오프라인(offline)됐는지 여부를 알려주고 연결 진단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7) 디스커버리 방식에 따라 팝업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는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IoT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martThings application)이 오프라인(offline)된 기기 검색을 위해 디스커버리 스케쥴(discovery schedule)에 따라 디스커버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결과 감지된 type이 L3, mDNS, UPNP인 경우는 네트워크 검색으로 검색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결과 감지된 type이 BLE, WIFI AP인 경우 자가 진단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A. 네트워크 검색으로 기기를 찾은 경우 팝업 내 복구'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복구를 누르면 팝업에서 바로 연결을 복구할 수 있다. 만약, 복구가 안된 경우 진단 버튼을 제공하고 진단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B. BLE, Soft-AP로 기기를 찾은 경우 '자가진단으로 이동' 버튼을 제공하고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8) 온보딩(onboarding) 후 전자 장치가 Wi-Fi AP 정보를 클라우드(Cloud)에 등록 후 동일 네트워크에서 검색이 되도록 등록 서비스(register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등록 서비스(register service)를 할 때 간편 진단을 위한 serviceName, sericeType, port 가 제공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필수 정보는 기기 등록 과정에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cloud)로부터 필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KR2023015240-appb-img-000001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오프라인(offline)된 전자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스케쥴(discovery schedule)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IoT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주변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스캔(또는 검색)하기 위해 BLE, WIFI, UPNP, P2P, BT, 및/또는 BLE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BLE, WIFI, UPNP, P2P, BT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에 대한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통신 프로토콜의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 속도를 기준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찾을 수 있는 시간대에 맞게 스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이동 시 통신 프로토콜의 스캔(또는 검색)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BLE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을 1s(second)로 설정하고, WIFI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을 500ms로 설정하고, L3, mDNS, UPNP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을 500ms로 설정하고, P2P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을 15s로 설정하고, 다시 WIFI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을 5s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BT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 시간을 2s로 설정하고, BLE 프로토콜에 대한 스캔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검색으로 IoT 전자 장치를 찾은 경우 복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10)가 디스커버리 결과 네트워크 검색(L3, DNS-SD/mDNS) 통해 IoT 장치(720)를 검색한 경우, 전자 장치(710)는 팝업에서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700)의 입력에 응답하여 재연결(reconnect)을 위한 복구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720)가 전자 장치(71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IoT 장치(720)와 클라우드(730) 간 연결이 끊긴 경우, 전자 장치(710)는 IoT 장치(720)가 클라우드(730)와 재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701 과정에서 사용자(700)는 복구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전자 장치(710)로 커맨드(run to recovery)를 입력하고, 702 과정에서 전자 장치(710)와 IoT 장치(720)가 연결될 수 있다. 703 과정에서 전자 장치(710)와 IoT 장치(720)는 certificate을 이용하여 secure session을 수립하고, 704 과정에서 전자 장치(710)는 request command를 IoT 장치(720)로 전송할 수 있다. 705 과정에서 IoT 장치(720)는 request command에 응답하여 클라우드(730)에 대한 복구(recovery)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706 과정에서 전자 장치(710)는 IoT 장치(7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요청(request device status)을 클라우드(730)로 전송할 수 있다. 707 과정에서 IoT 장치(720)와 클라우드(730)가 연결된 경우 클라우드(730)는 response connected 메시지를 전자 장치(710)로 전송할 수 있다. 708 과정에서 IoT 장치(720)와 클라우드(73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730)는 response not connected 메시지를 전자 장치(710)로 전송할 수 있다. 708 과정 이후 709 과정에서 전자 장치(710)는 진단 프로세스(update with 'go to diagnostics')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검색으로 IoT 전자 장치를 찾지 못한 경우 복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10)가 디스커버리 결과 Soft-AP 및/또는 BLE를 통해 IoT 장치(820)를 검색한 경우, 자가 진단 프로세스를 통해 복구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820)가 전자 장치(81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고, IoT 장치(820)와 클라우드(830) 간 연결이 끊긴 경우, 전자 장치(810)는 IoT 장치(820)가 클라우드(830)와 재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801 과정에서 사용자(800)는 진단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전자 장치(810)로 커맨드(go to diagnotics)를 입력하고, 802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와 IoT 장치(820)가 연결될 수 있다. 803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와 IoT 장치(820)는 certificate을 이용하여 secure session을 수립하고, 804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연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Get connection info 메시지를 IoT 장치(820)로 전송할 수 있다. 805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IoT 장치(820)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 connection info)을 수신할 수 있다. 806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post device dumplog 메시지를 IoT 장치(820)로 전송하고, 807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device dumplog를 획득하기 위한 Get device dumplog 메시지를 IoT 장치(820)로 전송할 수 있다. 808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Response device dumplog 메시지를 IoT 장치(8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809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에러 코드(error code)로 trouble shooting guide를 보여줄 수 있다.
810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request recovery command 메시지를 IoT 장치(820)로 전송하고, 811 과정에서 IoT 장치(820)는 request recovery command 메시지에 응답하여 클라우드(830)에 대한 복구(recovery)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812 과정에서 전자 장치(810)는 IoT 장치(8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요청(request device status)을 클라우드(830)로 전송할 수 있다. 813 과정에서 IoT 장치(820)와 클라우드(830)가 연결된 경우 클라우드(830)는 response connected 메시지를 전자 장치(810)로 전송할 수 있다. 814 과정에서 IoT 장치(820)와 클라우드(83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830)는 response not connected 메시지를 전자 장치(8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검색으로 IoT 전자 장치를 찾은 경우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10)가 디스커버리 결과 네트워크 검색(L3, DNS-SD/mDNS)을 통해 IoT 장치(920)를 검색한 경우, 사용자(900)의 입력에 응답하여 연결을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가 전자 장치(91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IoT 장치(920)와 클라우드(930) 간 연결이 끊긴 경우,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가 클라우드(93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901 과정에서, 사용자(900)는 IoT 장치(920)를 진단하기 위한 탐색 커맨드를 전자 장치(910)로 입력할 수 있다. 902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클라우드(930)로 IoT 장치(920)에 대한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를 요청하고, 903 과정에서 클라우드(930)는 상기 요청에 대한 response 메시지를 전자 장치(9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요청에 대한 response 메시지는 mnId, setuId, modelCode, serialNumber, ssid, macAddressHas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클라우드(930) 내 서버로부터 IoT 장치(920)에 대한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904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클라우드(930)로 WiFi AP information을 요청하고, 905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클라우드(930)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요청에 대한 response 메시지는 ssid, networked (No guarantee of uniqueness), passphrase, auth typ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906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connect to WiFi 메시지를 WiFi AP(940)로 전송할 수 있다. 907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DNS-SD, BLE, SofAP를 통해 macAddress 로 디스커버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oT 장치(920)가 발견된 경우, 908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가 연결될 수 있다. 909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secure session을 수립할 수 있다. 910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request setup data 메시지(mnId, setupId를 포함)를 클라우드(930)로 전송하고, 911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response setup data 메시지를 클라우드(9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912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가이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913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조인 모드(join mode)를 변경하라는 메시지를 사용자(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914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macAddress 로 특정 장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915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연결되고, 916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secure session을 수립할 수 있다.
도 9에서 사용자(900)는 오프라인 진단 메뉴를 통해서 오프라인된 기기 리스트를 확인하고, 기기를 진단하고 복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900)는 오프라인 진단 서비스 메뉴를 눌러 오프라인된 기기를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검색 후 간편 진단으로 오프라인된 기기의 연결을 복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가 연결한 Wi-Fi AP information을 클라우드(930) 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가 연결한 Wi-Fi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장치(910)가 IoT 장치(920)와 연결한 AP와 동일한 네트워크 내가 아닌 경우이거나, Wi-Fi 문제로 AP검색이 안되는 경우, 전자 장치(910)는 직접 연결 진단을 하지 않고 사용자(900)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가 연결한 Wi-Fi가 검색되고, 전자 장치(910)가 해당 Wi-Fi에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910)는 Wi-Fi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가 IoT 장치(920)와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서 IoT 장치(920)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 사용자 본인 소유의 IoT 장치(920)가 검색되는 경우와 IoT 장치(920)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연결 진단 방식 및 복구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커버리(discovery)된 IoT 장치(920)의 Mac address를 hashing한 후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의 Mac address와 비교하고, 동일한 기기 인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디스커버리(discovery)된 IoT 장치(920)의 Mac address 및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의 Mac address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필수 정보가 IoT 장치(920)에 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Mac address는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로, 기기 고유의 번호이기 때문에 IP 주소와 달리 기기를 교체하거나 네트워크 부품을 교체하지 않는 이상 변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에 Mac address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SSID, Serial number를 우선 순위에 따라 비교하여 동일 기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인 소유 또는 로케이션에 초대된 오프라인(offline)된 IoT 장치(920)가 검색된 경우,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와 D2D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의 의 Owner ID와 인증서를 기반으로 secure session를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가 전달한 Owner ID와 온보딩 과정에서 저장한 기기의 Owner ID를 비교해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 (permission deny 에러로) 연결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로 연결 정보와 에러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로부터 전달 받은 에러 코드를 기반으로 연결 끊김 원인이 Cloud Error인 경우 IoT 장치(920)로 Rebooting 복구 코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는 Rebooting하고 클라우드(930)로 다시 sign in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가 연결되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로부터 전달 받은 에러 코드를 기반으로 연결 끊김 원인이 Device specific Error인 경우, Device specific error에 대해서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인 소유의 오프라인(offline)된 IoT 장치(920)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910)는 mind, 및/또는 setupId로 D2D연결을 위한 기기의 외형 이미지와 가이드 문구를 클라우드(930)로 요청하고, 전달 받은 이미지와 가이드 문구로 사용자(900)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mac address를 이용하여 Scan specific device 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검색된 IoT 장치(920)가 본인 소유 기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인 소유 또는 로케이션에 초대 받은 IoT 장치(920)를 찾으면 전자 장치(910)와 IoT 장치(920)는 D2D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의 Owner ID와 인증서 기반으로 전자 장치(910)와 secure session를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가 전달한 Owner ID와 온보딩 과정에서 저장한 기기의 Owner ID를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permission deny 에러로 연결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로 연결 정보와 에러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로부터 전달 받은 에러 코드를 기반으로 연결 끊김 원인을 확인하고, 사용자 조치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920)는 Rebooting하고 클라우드(930)에 다시 sign in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는 IoT 장치(920)가 연결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온보딩 후 WiFi AP 정보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방법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서 IoT 장치(1020)가 온보딩 과정에서 Wi-Fi AP 정보를 클라우드(10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과정에서, 사용자(1000)는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기 위해 탐색 커맨드를 전자 장치(1010)로 입력할 수 있다. 1002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0)와 IoT 장치(1020)는 device discovery 및 연결(예를 들어, softAP, BLE를 통해)을 수행할 수 있다. 1003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0)와 IoT 장치(1020)는 secure channel을 수립할 수 있다. 1004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0)는 WiFi AP를 선택하라는 메시지를 사용자(1000)에게 제공하고, 1005 과정에서 사용자(1000)는 WiFi AP 선택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0)로 전송할 수 있다.
1006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0)와 IoT 장치(1020)는WiFi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1007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0)는 connect terminated 메시지를 IoT 장치(1020)로 전송할 수 있다. 1008 과정에서 IoT 장치(1020)와 클라우드(1030)는 사인 업(sign up) 절차를 수행하고, 1009 과정에서 클라우드(1030)는 전자 장치(1010)로 new device added ev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010 과정에서 IoT 장치(1020)와 클라우드(1030)는 사인 인(sign i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1011 과정에서 IoT 장치(1020)와 클라우드(1030)는 profile publish 절차를 수행하고, 1012 과정에서 IoT 장치(1020)와 클라우드(1030)는 resource publish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1020)가 연결되는 WiFi AP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AP 정보는 ssid, bssid, passphrse, rssi, networked (No guarantee uniqueness), frequency, authType (from S OS, or using configuredNetworks)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013 과정에서 IoT 장치(1020)는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1020)는 serviceName, serviceType, por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온보딩 절차가 완료되면, 1014 과정에서 사용자(1000)는 IoT 장치(1020)로 WiFi AP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1015 과정에서 IoT 장치(1020)는 WiFi AP 정보 업데이트를 클라우드(1030)로 요청할 수 있다. 이후, WiFi AP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1030)(예를 들어, SmartThings cloud)와 IoT 장치(1020)의 연결이 끊어지는 원인은 아래 3가지(CASE 1~3) 중 하나일 수 있다.
- CASE 1: IoT 장치(1020)가 공유기 연결에 실패한 경우
- CASE 2: IoT 장치(1020)가 공유기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으나 클라우드(1030)와 세션(session)이 끊긴 경우
- CASE 3: IoT 장치(1020) specific한 이유로 연결이 끊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1020)는 클라우드(1030)와 연결이 끊긴 경우 연결 끊김 원인을 로깅하고 연결 끊김 원인에 따라 전자 장치(1010)와 D2D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ASE 1에서 공유기의 패스워드 변경으로 인해 연결 실패한 경우는 IoT 장치(1020)는 Soft-AP 모드로 자동 전환되거나 또는 BLE packet을 broadcasting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공유기의 패스워드가 변경된 경우는 IoT 장치(1020)는 다시 온보딩을 하거나 연결 진단 서비스를 통해서 변경된 패스워드를 전달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D2D 연결을 위해 IoT 장치(1020)의 모드가 자동 전환될 수 있다.
CASE 2, CASE 3로 연결이 끊긴 경우는 IoT 장치(1020)는 전자 장치(1010)와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로 전자 장치(1010)가 네트워크 서비스 검색을 통해서 IoT 장치(1020)의 클라우드(1030)로의 쉬운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장치(1020)는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로컬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 유형과 원하는 서비스 유형을 제공하는 기기 인스턴스의 이름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쓰는 기기, 실행이 예정인 기기가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빠르게 알려주고, 진단이 가능한 댁내 환경인 경우 사용자의 추가 동작 없이 기기 연결을 쉽게 하고 연결을 복구 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오프라인(Offline)된 기기를 찾고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기기를 사용자(1000)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우선 순위는 동일 네트워크에서 간편 진단이 가능한 경우, 연결이 끊어진 시간, 기기 타입, automation의 조건, 및/또는 action 기기로 추가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자동화에 포함된 기기 (자동화에서 곧 사용될 기기 우선)에 대하여 노티 및/또는 팝업으로 재연결을 권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기기 (가장 최근에 플러그인 진입한 기기 우선)에 대하여 추천 및/또는 서머리 카드로 재연결을 권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배터리가 없어서 연결이 끊어진 기기에 대하여 추천 및/또는 서머리 카드로 재연결을 권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가전 기기의 Plug off 처럼 연결/끊김을 반복하는 기기의 재연결 우선순위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하나 이상의 기기가 offline됐을 경우 offline된 기기의 list를 빈도 수 및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고 진단 모드로 진입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진단 모드로 진입하는 버튼을 제공하는 부분 정렬 방식의 예시는 다음의 A~C와 같다.
A. 자주 연결이 끊어진 기기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연결이 끊어진 횟수가 많은 기기 순)
B. 끊어진 시간이 가장 오래 경과된 기기
C. 이미 진단을 수행했지만 복구가 되지 않은 기기는 우선 순위가 가장 낮아 마지막에 표시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직접 연결 진단이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기기가 연결된 AP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10)가 기기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직접 연결 진단이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Soft AP, BLE, On IP Network 으로 검색된 기기가 본인 소유 또는 초대받은 로케이션의 기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전자 장치(1010)가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서 기기를 찾은 경우 기기로부터 전달 받은 에러 타입에 따라 사용자 가이드 및/또는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오프라인된 기기를 간편 진단, 진단 후 재연결 방법에 의해서 복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기기 카드에서 간편 진단 버튼 또는 진단 후 재연결 방법 버튼을 제공하여 간편 진단 버튼 선택 시 backgroud에서 복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0)는 등록 기기가 오프라인(offline)됐는지 판단하기 위해 디스커버리(discovery)한 기기의 WiFi/BLE Mac address, SSID, Serial number를 우선 순위에 따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0)는 BLE의 경우 Adv packet의Owned status, Cloud의 device health를 기반으로 등록 기기가 오프라인(offline)됐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IoT 장치가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 에러 코드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에러 코드 분류가 Cloud Error (OSI Network layer 3 이상)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에러 코드 CE01의 경우 SmartThings Cloud 주소로 DNS 실패가 원인이며 상세 원인은 사설IP응답 문제일 수 있다. 에러 코드 CE81의 경우 SmartThings Cloud와 session 연결 끊김이 원인일 수 있다. 에러 코드 CE20의 경우 Sign in 실패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CE82은 Sign out 실패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CE83은 Keealive resource discovery 실패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CE84는 Keepalive request 실패가 원인일 수 있다. 에러 코드 CE60은 Access token refresh 실패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CE90은 기기 초기화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CE70은 Rate Limit가 원인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에러 코드 분류가 Network Error (OSI Network Layer 2 이하), Device specific Error (only TV), 또는 Unknown Error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에러 코드 분류가 Network Error (OSI Network Layer 2 이하)인 경우, 에러 코드 NE11은 공유기에 연결 실패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NE30은 공유기 연결 끊김이 원인이며, 에러 코드 NE12는 공유기 DHCP 실패가 원인이며, 에러 코드 NE50은 Ethernet router에 연결 실패가 원인일 수 있다.
에러 코드 분류가 Device specific Error (only TV)인 경우, 에러 코드 DS01은 장기간 미사용이 원인이며, 에러 코드 DS02는 Power on 미지원이 원인이며, 에러 코드 DS03는 Device error가 원인일 수 있다. 에러 코드 분류가 Unknown Error인 경우, UE01으로 에러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간편 진단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된 기기가 있을 때 사용자가 댁내에서 기기와 직접 진단이 가능한 경우 간편 재연결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진단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121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문제로 IoT 장치(예를 들어, washer)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IoT 장치(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간편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22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IoT 장치(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간편 재연결(reconnect) 진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고, 123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IoT 장치(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reconnect)이 완료됨을 표시할 수 있다. 1240 과정에서 IoT 장치(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reconnect)이 실패한 경우 전자 장치는 IoT 장치(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reconnect)이 실패함을 표시하고, 이후 진단 기능(go to diagnostics)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진단 후 재연결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IoT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martThings 어플리케이션) 미실행 중에는 진단 후 재연결 사용자 가이드가 노트(1310)로 제공되고, IoT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는 진단 후 재연결 사용자 가이드가 팝업(13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팝업(1320) 내 "Go to diagnostics"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클릭 입력(1330)에 응답하여 오프라인된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진단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즐겨 찾기 탭에서 추천 카드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이 끊어진 기기가 하나인 경우, 전자 장치는 1410 과정에서 기기(예를 들어, washer)가 오프라인이며 즉시 재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추천 카드를 즐겨 찾기 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이 끊어진 기기가 하나인 경우, 전자 장치는 1420 과정에서 기기(예를 들어, washer)가 오프라인이며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문제를 확인하고 진단 및/또는 복구하도록 하는 추천 카드를 즐겨 찾기 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이 끊어진 기기가 여러 개인 경우, 전자 장치는 1430 과정에서 연결이 끊어진 기기가 여러 개임을 나타내는 추천 카드를 즐겨 찾기 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1430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추천 카드에 대한 디테일 정보가 요청된 경우, 144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연결이 끊어진 기기들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우순 순위에 따라 자동화에 포함된 기기(자동화에서 곧 사용될 기기 우선), 허브 기기 등은 노티 및/또는 팝업으로 재연결을 권장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카드에서 연결 진단을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가 간편 재연결으로 복구되는지(1520, 또는 1530) 또는 진단 후 재연결해야 되는지(1540) 또는 진단 불가인 기기인지(1550)에 따라 디바이스 카드(1510)에서 버튼 이미지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가 간편 재연결으로 복구 가능한 경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디바이스 카드에서 버튼 이미지 클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간편 재연결에 대한 세부사항(152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간편 재연결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재연결을 진행하고 재연결 실패 시 팝업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탭 시엔 설명을 위해 다이얼로그 제공)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머리 카드에서 연결 진단을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는 재연결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최근에 사용된 기기에 대하여 서머리 카드(summary card)로 재연결을 권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기가 오프라인(offline)됐을 경우 오프라인된 기기의 list를 빈도 수 및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고 진단 모드로 진입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610 과정에서 진단 가능한 오프라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162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예를 들어, 최근에 사용한 순서, 사용 빈도 수, 또는 사용자의 설정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오프라인 기기들(예를 들어, TV, washer)에 대한 진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620 과정에서 복수의 오프라인 기기들에 대한 진단 후, 163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가 높은 오프라인 기기(예를 들어, TV)에 대하여 간편 재연결을 추천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오프라인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하여 진단 후 재연결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TV를 사용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washer는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TV에 대한 간편 재연결을 추천하고, 오프라인된 washer에 대한 진단 후 재연결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재연결 우선 순위에 따른 정렬 방식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1) 자주 연결이 끊어진 기기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연결이 끊어진 횟수가 많은 기기 순)
(2) 끊어진 시간이 가장 오래 경과된 기기
(3) 이미 진단을 수행했지만 복구가 되지 않은 기기는 우선 순위가 가장 낮아 마지막에 표시 (checked at 10:20AM 표시)
도 17a 및 도 1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간편 재연결 복구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기기와 동일 네트워크 내에 있고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는 기기와 D2D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 제공 없이 간편 연결 방법으로 복구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171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진단을 시작하고, 172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와 연결될 수 있다. 173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가 클라우드(예를 들어, SmartThings cloud)에 재연결되도록 제어하고, 174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완료된 경우 재연결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실패한 경우, 175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실패함을 표시하고, error report 보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1711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간편 재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1721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와 연결될 수 있다. 1731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가 클라우드(예를 들어, SmartThings cloud)에 재연결되도록 제어하고, 1741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완료된 경우 재연결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실패한 경우, 1751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실패함을 표시하고, error report 보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간편 재연결 복구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UI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기기와 동일 네트워크에 있지 않거나, 동일 네트워크에 있더라도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기기와 D2D로 연결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고, 기기와 직접 연결 진단 후 복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181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진단 후 재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1820 및 183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연결 장애에 대한 기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184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직접 연결되고,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가 AP에 연결되도록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조작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185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와의 연결을 시도하고, 186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상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187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에 대한 진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880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된 기기(예를 들어, washer)의 재연결이 완료된 경우 재연결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도 1의 101; 도 3의 310; 도 4의 410)는,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 및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필수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필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필수 정보는 셋업 ID, 모델 코드, 시리얼 넘버, SSID, 및 Mac 주소 해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WiFi AP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WiFi AP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IoT 장치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IoT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 간 직접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오프라인된 복수의 IoT 장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IoT 장치들 각각의 재연결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상기 복수의 IoT 장치들의 재연결을 추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원인에 관한 에러 코드를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장치가 온보딩 후 상기 IoT 장치에 대한 WiFi AP 정보가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에 등록될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 장치(도 1의 101; 도 3의 310; 도 4의 410)에 있어서,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 및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필수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필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필수 정보는 셋업 ID, 모델 코드, 시리얼 넘버, SSID, 및 Mac 주소 해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WiFi AP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WiFi AP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IoT 장치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IoT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 간 직접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오프라인된 복수의 IoT 장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IoT 장치들 각각의 재연결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상기 복수의 IoT 장치들의 재연결을 추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1의 120; 도 2의 204)는,
    상기 통신 회로(도 1의 190; 도 2의 202)를 통해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원인에 관한 에러 코드를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가 온보딩 후 상기 IoT 장치에 대한 WiFi AP 정보가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에 등록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도 1의 101; 도 3의 310; 도 4의 410)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에 대한 필수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필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필수 정보는 셋업 ID, 모델 코드, 시리얼 넘버, SSID, 및 Mac 주소 해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에 대한 WiFi AP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내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상기 WiFi AP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IoT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 간 직접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프라인된 복수의 IoT 장치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들 각각의 재연결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상기 복수의 IoT 장치들의 재연결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복수 개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동작들은,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IoT 장치와 클라우드(cloud) 간 세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고,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IoT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간 상기 세션의 재연결(reconnect)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PCT/KR2023/015240 2022-10-05 2023-10-0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WO20240761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7404 2022-10-05
KR10-2022-0127404 2022-10-05
KR10-2022-0138633 2022-10-25
KR1020220138633A KR20240047869A (ko) 2022-10-05 2022-10-25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142A1 true WO2024076142A1 (ko) 2024-04-11

Family

ID=9060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240 WO2024076142A1 (ko) 2022-10-05 2023-10-0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7614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6732A1 (en) * 2014-05-01 2016-08-04 Belkin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n iot device
US20170155703A1 (en) * 2015-11-30 2017-06-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NET OF THINGS (IoT) PLATFORM AND APPLICATION FRAMEWORK
US20180232031A1 (en) * 2017-02-15 2018-08-16 Dell Products, L.P. Safeguard and recovery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from power anomalies
EP3474517A1 (en) * 2017-10-17 2019-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02469A (ko)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 및 IoT 장치를 서버에 온보딩 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6732A1 (en) * 2014-05-01 2016-08-04 Belkin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n iot device
US20170155703A1 (en) * 2015-11-30 2017-06-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NET OF THINGS (IoT) PLATFORM AND APPLICATION FRAMEWORK
US20180232031A1 (en) * 2017-02-15 2018-08-16 Dell Products, L.P. Safeguard and recovery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from power anomalies
EP3474517A1 (en) * 2017-10-17 2019-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02469A (ko)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 및 IoT 장치를 서버에 온보딩 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4272A1 (ko) Iot 장치 및 iot 장치를 서버에 온보딩 하는 방법
WO2022019682A1 (ko) 엣지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WO2024076142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클라우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WO2022030860A1 (ko) Iot 환경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2124846A1 (ko) Iot 환경의 허브 장치 및 로컬 네트워크 기반 이벤트 처리 방법
WO2022158763A1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065707A1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직접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60046A1 (ko) 엣지 컴퓨팅 시스템 및 엣지 컴퓨팅 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WO2022030801A1 (ko)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24043492A1 (ko) 사물 인터넷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19234A1 (ko)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239989A1 (ko)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219230A1 (ko)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18189A1 (ko) 그룹 계정 기반으로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WO2022035028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WO2024034787A1 (ko)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1384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임베디드 가입자 식별 모듈 프로파일을 설치하는 방법
WO2024085356A1 (ko) 장치 변경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96530A1 (ko) Nan 통신의 클러스터들을 병합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87207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 연결 방법
WO2023120885A1 (ko) 적외선 송신을 통한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WO2023113370A1 (ko)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98004A1 (ko)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4076008A1 (ko) 파일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3063643A1 (ko)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52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