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9260A1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9260A1
WO2024049260A1 PCT/KR2023/013041 KR2023013041W WO2024049260A1 WO 2024049260 A1 WO2024049260 A1 WO 2024049260A1 KR 2023013041 W KR2023013041 W KR 2023013041W WO 2024049260 A1 WO2024049260 A1 WO 20240492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erosol
opening
plates
generating article
hea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30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인수
권찬민
김태균
이미정
이존태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11487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3117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WO20240492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92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Definitions

  • Embodiments relate to a heater assembly capable of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using a dielectric heating method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Aerosol generating devices that generate aerosols by heating aerosol-generating materials using resistanc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have been common, but recently, even dielectric heating-type 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that heat aerosol-generating materials using microwaves.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a dielectric heating type refers to a device that generates heat in a dielectric contained in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by resonance of microwaves and can heat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through the heat generated from the dielectric.
  • the resonance peak is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resonator, it is desirable to position the tobacco rod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the area where the resonance peak occurs for optimal heating. Meanwhile, since the shapes and sizes of aerosol-generating articles vary, a resonator structure that can adaptively respond to them is required.
  • a heater assembly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that can adaptively 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provided.
  • the heater assembly includes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microwaves in a designated frequency band, a resonator that resonates the microwaves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and a coupler that transfers the generated microwaves to the resonator.
  • the resonance unit is a case includ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 first opening into whic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inserted,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and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plates and the case and includes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opening.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 into which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inserted, and a heater assembly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serted through the insert.
  • the heater assembly includes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microwaves in a designated frequency band, a resonator that resonates the microwaves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and a coupler that transmits the generated microwaves to the resonator.
  • the resonator unit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 case including a first opening into whic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inserted,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plurality of plate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lates and the case and including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opening.
  • the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 a resonator with both ends open, so that it can adaptively 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ielectric heating unit of FIG. 2.
  • FIGS 4 and 5 illustrate examples of aerosol-generating articles.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ut away.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disassembled components of the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xtractors of various lengths into which aerosol generating articles of various lengths are inserted.
  •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xtractors including a hole part.
  • FIGS. 11A, 11B, and 11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heater assembly shown in FIG. 7 with the extractors shown in FIG. 9 inserted into the heater assembly.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the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A.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heating density distribution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heated by a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A.
  •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curv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320h in whic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accommodated.
  • Each of the first plate 323a, second plate 323b, and third plate 323c may be curved and extend circumferentially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o surround a different area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particular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particular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Abstrac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 및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공진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한다. 공진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들, 및 복수 개의 판들과 케이스를 연결하고, 제1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실시예들은 유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궐련(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유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까지 제안된 바 있다.
유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포함된 유전체에 열을 발생시키고,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유전 가열 방식의 경우, 공진기의 특정 위치에서 공진 피크가 형성되는 특징을 보이므로, 공진 피크가 발생되는 영역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담배 로드를 위치시키는 것이 최적 가열에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과 크기는 다양하므로,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진기의 구조가 요구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과 크기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 및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공진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한다. 상기 공진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판들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 조립체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 및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공진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한다. 상기 공진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판들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양 단부가 개방된 공진기를 포함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과 크기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전 가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다양한 길이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다양한 길이의 추출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홀부를 포함하는 추출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히터 조립체에 도 9에 도시된 추출기들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전기장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가열 밀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 복수 개의 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20h)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제1 판(323a)과 제2 판(323b)과 제3 판(323c)의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다른 영역을 둘러싸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원주방향으로 만곡되며 연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판(323a, 323b, 323c)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구조에 의하면 공진부(320)에서 더욱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므로,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 및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공진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판들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유체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제1 개구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히터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타단은 상기 추출기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히터 조립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동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부가 형성되는, 히터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담배 로드 및 필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부는 상기 담배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히터 조립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들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들의 타단은 서로 이격되어 개방된, 히터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들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2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판들의 상기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히터 조립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연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되는, 히터 조립체.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판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일단은 상기 복수 개의 판들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는 히터 조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담배 로드 및 필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로드에 접하는 상기 담배 로드의 전방 단부는 상기 판들의 타단과 상기 유전체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히터 조립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판들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히터 조립체.
  15.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조립체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 및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공진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판들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CT/KR2023/013041 2022-08-31 2023-08-31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404926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268 2022-08-31
KR20220110268 2022-08-31
KR10-2023-0114877 2023-08-30
KR1020230114877A KR20240031179A (ko) 2022-08-31 2023-08-30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9260A1 true WO2024049260A1 (ko) 2024-03-07

Family

ID=9009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3041 WO2024049260A1 (ko) 2022-08-31 2023-08-31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492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91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44404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WO2021043774A1 (en) * 2019-09-03 2021-03-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hisha device with dielectric heater
KR20210071459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
WO2022167287A1 (en) * 2021-02-02 2022-08-11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91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44404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WO2021043774A1 (en) * 2019-09-03 2021-03-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hisha device with dielectric heater
KR20210071459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
WO2022167287A1 (en) * 2021-02-02 2022-08-11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9841B1 (en) Dual mode waveguide filter employing coupling element for asymmetric response
US4453146A (en) Dual-mode dielectric loaded cavity filter with nonadjacent mode couplings
WO2024049260A1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12008522A1 (ja) コネクタ
EP1791212B1 (en) Microwave filters including a capacitive coupling element
AU687904B2 (en) Multi-cavity dielectric filter
CN113558300A (zh) 微波加热烟支及微波加热装置
US4722022A (en) Shielded line terminator enclosure
EP0869572A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0874414A3 (en) Dielectric filter, transmitting/receiving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001479A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20180559A1 (en) Dielectric resonator loaded metal cavity filter
EP1336219A2 (en) A dielectric filter for filtering out unwanted higher order frequency harmonics and improving skirt response
EP0402819A3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and method
Rezaee et al. A new class of compact dual-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s
JP2002252503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EP4193855A1 (en) Aerosol-generating assembly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US5854536A (en) Resonant cavity having a coupling oriface facilitate coupling to another resonant cavity
JP3574893B2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CN113519906B (zh) 气溶胶产生组件和气溶胶产生系统
US6433655B1 (en) Dielectric filter, a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WO2023282372A1 (ko) 동축 고주파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기기
WO2021182668A1 (ko)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CN217509912U (zh) 一种气溶胶发生装置
KR20240031155A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09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