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155A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1155A KR20240031155A KR1020230114705A KR20230114705A KR20240031155A KR 20240031155 A KR20240031155 A KR 20240031155A KR 1020230114705 A KR1020230114705 A KR 1020230114705A KR 20230114705 A KR20230114705 A KR 20230114705A KR 20240031155 A KR20240031155 A KR 202400311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generating article
- inner conductor
- conductor
- reson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ALSTYHKOOCGGFT-KTKRTIGZSA-N (9Z)-octadece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ALSTYHKOOCGGFT-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WHCKJMYHZGTIT-UHFFFAOYSA-N Tetraethylene glycol, Natural products OCCOCCOCCOCCO UWHCKJMYHZGT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577 ole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XMLQWXUVTXCDDL-UHFFFAOYSA-N ole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 XMLQWXUVTXCD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IBGPFATKBEMQZ-UHFFFAOYSA-N tr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CCO ZIBGPFATKBEM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히터 조립체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및 커플러를 통해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를 포함하고, 공진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 영역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외곽 도체;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도체;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다른 영역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도체;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제1 내부 도체 또는 제2 내부 도체를 향하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공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유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유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까지 제안된 바 있다.
유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포함된 유전체에 열을 발생시키고,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유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 조립체의 소형화가 필요한데, 히터 조립체를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됨은 별론 유전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 조립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도 유전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히터 조립체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발생시키는 공진부의 크기가 줄어들 수 밖에 없는데, 공진부의 크기가 들어드는 경우 공진부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서 공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공진부에 도달한 에어로졸의 일부가 액화되어 공진부의 내부에는 액화된 에어로졸에 의해 형성되는 액적(droplet)이 누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공진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서 공진부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증가하여 공진부의 온도가 과열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공진부에 누적되는 액적의 양이 많아지거나, 공진부가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과열되는 경우, 공진부의 공진 효율이 저하되어 히터 조립체의 전체적인 가열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공진부를 소형화하면서도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공진부로 도달하는 에어로졸 또는 열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진부가 요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서 공진부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줄이고, 공진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히터 조립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도 유전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커플러를 통해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를 포함하고, 공진부는 제1 면, 제1 면을 마주보는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 영역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외곽 도체; 제1 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도체; 제2 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다른 영역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도체; 및 제1 내부 도체 및 제2 내부 도체의 내부에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제1 내부 도체 또는 제2 내부 도체를 향하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공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상술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히터 조립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마이크로파의 공진이 발생하는 공진부의 내부에 액적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적에 의한 가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히터 조립체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공진부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줄여 공진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전 가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히터 조립체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히터 조립체 내부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히터 조립체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가열 밀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전 가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히터 조립체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히터 조립체 내부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히터 조립체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가열 밀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또는 '실장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히터 조립체(200), 배터리, 프로세서 및/또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의 일 영역에는 삽입구(110h)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삽입구(110h)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구(110h)는 하우징(110)의 상단면(예: z 방향을 향하는 면)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삽입구(110h)가 생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구(110h)는 하우징(110)의 측면(예: x 방향을 향하는 면)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히터 조립체(20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삽입구(110h)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조립체(2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 조립체(200)는 유전 가열(dielectric heating)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유전 가열 방식'은 마이크로파(microwave) 및/또는 마이크로파의 전기장(또는 자기장을 포함함)의 공진을 이용하여 피가열체인 유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마이크로파는 피가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고주파 전력에 의해 생성되므로, 이하에서 마이크로파는 마이크로파 전력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200)의 내부에서 마이크로파 공진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내부에 포함된 유전체의 전하 내지 이온은 진동 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전하 내지 이온이 진동 또는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유전체에서 열이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히터 조립체(20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된 증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기체 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통과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품(10)과 삽입구(110h)의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 영역에 구강을 접촉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함으로써 흡연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삽입구(110h)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커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1)는 하우징(110)의 상단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구(110h)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거나, 삽입구(110h)를 덮어 삽입구(110h)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커버(111)는 제1 위치(또는 '개방 위치')에서 삽입구(110h)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외부에 노출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삽입구(110h)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커버(111)는 제2 위치(또는 '폐쇄 위치')에서 삽입구(110h)를 덮음으로써, 삽입구(110h)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커버(1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외부 이물질이 삽입구(110h)를 통해 히터 조립체(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 조립체(200)를 통해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아닌 액체 또는 겔(gel)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200)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카트리지(또는 '증기화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카트리지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연통하는 기류 통로를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 이동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입력부(102), 출력부(103), 센서부(104), 통신부(105), 메모리(106), 배터리(107), 인터페이스부(108), 전력 변환부(109) 및 유전 가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입력부(10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2)는 단일의 가압식 푸쉬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01)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전 가열부(20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출력부(103)를 제어하여 사용자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3)는 배터리(107)의 충/방전 상태, 유전 가열부(200)의 가열 상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삽입 상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에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03)는 디스플레이, 햅틱 모터, 및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주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01)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전 가열부(200)의 가열 제어, 흡연 제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삽입 여부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04)는 온도 센서, 퍼프 센서, 및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유전 가열부(200) 내부의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거나, 유전 가열부(200)에 접촉하여, 공진기의 온도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온도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 센서는 배터리(107)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배터리(107)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온도 센서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유전 가열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퍼프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퍼프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력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퍼프 센서의 퍼프 정보에 기초하여 유전 가열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는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고,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최대 퍼프 횟수에 도달한 경우 유전 가열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1)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퍼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유전 가열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삽입 감지 센서는 수용 공간(도 4의 220h)의 내부 또는 수용 공간(220h)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삽입구(110h)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삽입 및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감지 센서는 인덕티브 센서 및/또는 커패시턴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삽입구(110h)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삽입된 경우, 유전 가열부(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04)는 재사용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습도 센서, 기압 센서,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커버 탈착 감지 센서, 위치 센서(GPS), 및 근접 센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05)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통신부(105)를 제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1)는 통신부(105)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5)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전송 정보는 사용자 인증 정보,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 및 사용자 흡연 패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101)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 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107)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도록 유전 가열부(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7)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7)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분리 가능한 탈착식 배터리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8)는 외부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는,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8)는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09)는 배터리(107)로부터 공급받은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부(109)는 변환된 교류 전원을 유전 가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09)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일 수 있고, 프로세서(101)는 전력 변환부(109)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ON/OFF를 제어하여,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09)는 풀 브릿지(full-bridge)로 구성되거나, 하프 브릿지(half-bridge)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전 가열부(200)는 유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유전 가열부(200)는 도 1의 히터 조립체(20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유전 가열부(200)는 마이크로파 및/또는 마이크로파의 전기장(이하 구분의 필요가 없는 경우, 마이크로파 또는 마이크로파 전력이라 함)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유전 가열부(200)의 가열 방식은 안테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방사(radiation)하는 방식이 아닌, 마이크로파를 공진 구조 내에 형성시킴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공진 구조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유전 가열부(200)는 고주파인 마이크로파를 공진부(도 3의 220)에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가열용으로 허용된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equipment) 대역의 전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진부(220)는 마이크로파가 공진부(220) 내에서 공진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파의 파장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공진부(220)에 삽입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10) 내의 유전 물질은 공진부(220)에 의해 가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극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극성 물질 내의 분자들은 공진부(220) 내부에서 분극(polarization)될 수 있다. 분자들은 분극 현상에 의해 진동 또는 회전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등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유전 가열부(200)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서(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1)는 유전 가열부(200)의 요구 전력에 따라 배터리(107)에서 전력 변환부(109)로 공급되는 직류 전력 및/또는 전력 변환부(109)에서 유전 가열부(200)로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직류 전력을 승압 또는 강압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는 컨버터를 제어하여, 직류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전력 변환부(109)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유전 가열부(200)에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유전 가열부(200)의 마이크로파 전력 및 유전 가열부(200)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도 3의 발진부(210), 격리부(240), 전력 모니터링부(250) 및 정합부(260)는 프로세서(101)의 일부 구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6)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유전 가열부(200)의 마이크로파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온도 프로파일은 시간에 따른 유전 가열부(200)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는 시간에 따라 유전 가열부(200)의 마이크로파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유전 가열부(200)의 공진 주파수가 일정하도록 마이크로파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피가열체의 가열에 따른 유전 가열부(200)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변화된 공진 주파수에 따른 마이크로파 주파수가 출력되도록 유전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01)는 미리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무관하게 실시간으로 마이크로파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유전 가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전 가열부(200)는 발진부(210), 격리부(240), 전력 모니터링부(250), 정합부(260), 마이크로파 출력부(230) 및 공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유전 가열부(200)의 내부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전 가열부(200)의 설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발진부(210)는 전력 변환부(109)로부터 교류 전력을 제공 받아 고주파의 마이크로파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변환부(109)는 발진부(21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마이크로파 전력은 ISM 대역들에 포함된 915 MHz, 2.45 GHz 및 5.8 GHz 주파수 대역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발진부(210)는 솔리드-스테이트(solid-state) 기반의 RF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솔리드-스테이트(solid-state) 기반의 RF 생성 장치는 반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발진부(210)를 반도체로 구현하는 경우, 유전 가열부(200)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기기 수명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발진부(210)는 마이크로파 전력을 공진부(220)를 향해 출력할 수 있다. 발진부(210)는 마이크로파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력 증폭기(power amp)를 포함하고, 전력 증폭기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로파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는 마이크로파의 진폭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파의 진폭이 조정됨으로써, 마이크로파 전력이 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미리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발진부(210)에서 출력된 마이크로파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프로파일은 예열 구간 및 흡연 구간에 따른 목표 온도 정보를 포함하고, 발진부(210)는 예열 구간에서 제1 전력으로 마이크로파 전력을 공급하고, 흡연 구간에서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으로 마이크로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격리부(240)는 공진부(220)로부터 발진부(210)를 향해 입력되는 마이크로파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발진부(210)에서 출력한 마이크로파 전력은 대부분 피가열체에 흡수되지만, 피가열체의 가열 양상에 따라 마이크로파 전력 중 일부는 피가열체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발진부(210)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피가열체의 가열에 따른 극성 분자들의 소진에 따라 발진부(210)에서 공진부(220)를 바라본 임피던스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발진부(210)에서 공진부(220)를 바라본 임피던스가 변한다'는 의미는 '공진부(220)의 공진 주파수가 변한다'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공진부(220)에서 반사된 마이크로파 전력이 발진부(210)에 입력되는 경우, 발진부(210)의 고장은 물론, 기대하는 출력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격리부(240)는 공진부(220)에서 반사된 마이크로파 전력을 발진부(210)로 되돌려 보내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이를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격리부(240)는 서큘레이터(circulator) 및 더미 로드(dummy load)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모니터링부(250)는 발진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로파 전력과, 공진부(220)에서 반사된 반사 마이크로파 전력을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력 모니터링부(250)는 마이크로파 전력 및 반사 마이크로파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정합부(260)에 전송할 수 있다.
정합부(260)는 반사 마이크로파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발진부(210)에서 공진부(220)를 바라본 임피던스와, 공진부(220)에서 발진부(210)를 바라본 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은 발진부(210)의 주파수를 공진부(220)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시킨다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정합부(260)는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하여, 발진부(210)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합부(260)는 반사 마이크로파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발진부(210)에서 출력된 마이크로파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정합부(260)의 임피던스 정합은 온도 프로파일과 무관하게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발진부(210), 격리부(240), 전력 모니터링부(250) 및 정합부(260)는 후술하는 마이크로파 출력부(230) 및 공진부(220)와 구분되는 별도 구성으로써, 칩(chip) 형태의 마이크로파 소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발진부(210), 격리부(240), 전력 모니터링부(250) 및 정합부(260)는 프로세서(101)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이크로파 출력부(230)는 마이크로파 전력을 공진부(220)에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3 이하의 커플러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마이크로파 출력부(230)는 SMA, SMB, MCX, MMCX 커넥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출력부(230)는 칩 형태의 마이크로파 소스와 공진부(220)를 서로 연결하여, 마이크로파 소스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 전력을 공진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공진부(220)는 마이크로파를 공진 구조 내에 형성시킴으로써,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공진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마이크로파에 노출되어 유전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극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극성 물질 내의 분자들은 공진부(220) 내부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분극(polarization)될 수 있다. 분자들은 분극 현상에 의해 진동 또는 회전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등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공진부(220)는 마이크로파가 공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를 포함하며, 내부 도체의 배치, 두께, 및 길이 등에 따라 공진부(220) 내부에서 마이크로파가 공진될 수 있다.
공진부(220)는 마이크로파가 공진부(220) 내부에서 공진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파의 파장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가 공진부(220) 내부에서 공진하기 위해서는 단면이 닫힌 단(short end) 및 닫힌 단 반대 방향에 단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개방된 열린 단(open end)이 필요하다. 또한, 닫힌 단과 열린 단 사이의 길이는 마이크로파 파장의 1/4의 정수배로 설정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공진부(220)는 기기 소형화를 위하여 마이크로파 파장의 1/4 길이를 선택한다. 다시 말해, 공진부(220)의 닫힌 단과 열린 단의 사이의 길이는 마이크로파 파장의 1/4 파장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공진부(220)는 유전체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수용 공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수용 공간과는 구분되는 구성으로써, 공진부(220)의 전체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켜, 공진부(220)를 소형화할 수 있는 물질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수용 공간에는 마이크로파 흡수도가 낮은 유전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는 피가열체로 전달되어야 할 에너지가 유전체로 전달되어 유전체 자체가 발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이크로파 흡수도는 복소 유전율(complex dielectric constant)의 실수부(real part) 대비 허수부(imaginary part)의 비율인 손실 탄젠트(loss tangent)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수용 공간(227)에는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손실 탄젠트를 가진 유전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크기는 1/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는 석영(quartz),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산화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발진부(210) 및 공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히터 조립체(200) 및 유전 가열부(2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진부(210)는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할 수 있다.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는 커플러(미도시)를 통해 공진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공진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20h)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공진시킴으로써 유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글리세린의 전하들이 진동 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전하들의 진동 또는 회전 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글리세린에서 열이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220)는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공진부(220)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 흡수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히터 조립체(200)의 공진부(2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히터 조립체(200)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발진부(210), 공진부(220) 및 커플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들은 도 4의 히터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진부(210)는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는 커플러(230)를 통해 공진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진부(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공진부(2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공진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발진부(210)는 공진부(220)의 일 영역에서 x 방향을 따라 돌출된 브라켓(220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공진부(2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발진부(210)는 브라켓(220b) 없이 공진부(220)의 일 영역에 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공진부(220)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면 상에는 발진부(210)가 공진부(220)의 x 방향을 향하는 일 영역에 고정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발진부(210)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진부(210)는 공진부(220)의 -z 방향을 향하는 다른 영역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공진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들이 마이크로파에 의해 공진부(22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발열할 수 있고,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담배 로드(11) 및 필터 로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1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며, 시트(sheet) 내지 가닥(strand)으로 제작되거나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1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1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11)에 분사되는 방법으로 첨가될 수 있다.
필터 로드(1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1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1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1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1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예: 글리세린)는 전기장 내에서 극성을 지니는 유전체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유전 가열 방식으로 열을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220)는 외곽 도체(221), 제1 내부 도체(223) 및 제2 내부 도체(225)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곽 도체(221)는 공진부(22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진부(220)의 구성 요소들이 외곽 도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곽 도체(22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220h)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수용 공간(220h)을 통해 외곽 도체(2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곽 도체(221)는 제1 면(221a), 제1 면(221a)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면(221b) 및 제1 면(221a)과 제2 면(221b)의 사이의 빈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21c)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진부(220)의 구성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제1 내부 도체(223), 제2 내부 도체(225))는 제1 면(221a), 제2 면(221b) 및 측면(221c)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부(2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도체(223)는 외곽 도체(221)의 제1 면(221a)으로부터 외곽 도체(221)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도체(223)의 일 영역은 발진부(210)와 연결된 커플러(23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커플러(230)를 통해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제1 내부 도체(223)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230)는 외곽 도체(221)를 관통하며 일단이 발진부(210)와 접촉하고, 타단이 제1 내부 도체(223)의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커플러(230)를 통해 제1 내부 도체(223)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러(230)는 마이크로파의 전달을 위하여 외곽 도체(221)와 접촉하지 않고 외곽 도체(2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발진부(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제1 내부 도체(223)로 전달될 수 있다면 커플러(230)의 배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곽 도체(221)와 제1 내부 도체(22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통해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1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외곽 도체(221)의 제1 면(221a), 측면(221c) 및 제1 내부 도체(2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지칭할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내부에서는 커플러(230)를 통해 전달되는 마이크로파가 공진하여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도체(225)는 외곽 도체(221)의 제2 면(221b)으로부터 외곽 도체(221)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도체(225)는 외곽 도체(221)의 내부 공간에서 제1 내부 도체(223)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부 도체(223)와 제2 내부 도체(225)의 사이에는 갭(226)이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도체(221)와 제2 내부 도체(225)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통해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2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내부 도체(225)는 제1 내부 도체(223)와 커플링(예: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결합 관계에 의해 제1 영역의 내부에서 전기장이 생성될 때 제2 영역의 내부에서도 유도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커패시티브 커플링'은 두 도체 간의 정전 용량(커패시턴스)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결합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도체(223)에 발진부(210)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전달됨에 따라 공진에 의해 제1 영역의 내부에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고, 외곽 도체(221) 및 제1 내부 도체(223)와 커플링된 제2 내부 도체(225)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영역의 내부에는 유도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22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1/4 파장(λ) 길이를 갖는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영역의 일단(예: -z 방향의 단)은 외곽 도체(221)의 제1 면(221a)에 의해 제1 영역의 단면이 폐쇄됨에 따라 닫힌 단(short end)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영역의 타단(예: z 방향의 단)은 제1 면(221a)이 배치되지 않아 단면이 개방됨에 따라 열린 단(open end)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2 영역의 일단(예: -z 방향의 단)은 단면이 개방됨에 따라 열린 단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영역의 타단(예: z 방향의 단)은 외곽 도체(221)의 제2 면(221b)에 의해 제2 영역의 단면이 폐쇄됨에 따라 닫힌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xz 평면 상에서 볼 때, 닫힌 단과 열린 단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구조를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1/4 파장 길이를 갖는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도체(223)와 제2 내부 도체(225)는 z 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 공간(220h)을 통해 외곽 도체(22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제1 내부 도체(223) 및 제2 내부 도체(225)에 의해 둘러싸여 유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에서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도체(223)와 제2 내부 도체(225)의 사이의 갭(226)을 통해 제1 내부 도체(2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225)의 내부를 향해 전파될 수 있고, 제1 내부 도체(223) 및 제2 내부 도체(225)에 의해 둘러싸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전파된 전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유전체는 갭(226)을 통해 전파되는 전기장에 의해 발열할 수 있고, 유전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제1 내부 도체(223) 및 제2 내부 도체(225)의 직경이 지정된 값 미만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내부 도체(2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225)의 내부로 전파된 전기장이 히터 조립체(200) 또는 공진부(22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값'은 전기장이 제1 내부 도체(2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225)의 외부로 누설되기 시작하는 직경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도체(2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225)의 직경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1 내부 도체(2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225)의 내부로 유입된 전기장의 일부가 공진부(220)의 외부로 누설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제1 내부 도체(223) 및 제2 내부 도체(225)의 직경이 지정된 값 미만인 구조를 통해 공진부(220)의 외부로 전기장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별도의 차폐 부재 없이도 전기장이 히터 조립체(200) 또는 공진부(22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수용 공간(220h)을 통해 공진부(22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담배 로드(11)는 제1 내부 도체(223)와 제2 내부 도체(225)의 사이의 갭(226)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에서 생성된 전기장 및 제2 영역에서 생성된 전기장이 갭(226)을 통해 제1 내부 도체(2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225)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공진부(220)의 내부 영역 중 갭(226)의 주변 영역에서 가장 강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전기장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유전체가 포함된 담배 로드(11)가 전기장이 가장 강한 갭(2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히터 조립체(200)의 가열 효율(또는 '유전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220)는 제1 내부 도체(223)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내부 도체(223)의 단면을 폐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을 제한하는 폐쇄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부(224)는 제1 내부 도체(223)의 단면을 폐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의 -z 방향을 향하는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 또는 에어로졸이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액적이 -z 방향으로 유동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로 유입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오작동 내지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폐쇄부(224)를 통해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을 제한함으로써, 에어로졸 또는 액적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오작동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220)는 유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전체 수용 공간(2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수용 공간(227)은 외곽 도체(221)와 제1 내부 도체(223) 및 제2 내부 도체(225)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유전체 수용 공간(227)에는 마이크로파 흡수도가 낮은 유전체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는 석영(quartz),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산화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유전체 수용 공간(227)의 내부에 유전체를 배치함으로써, 공진부(22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면서도 유전체를 포함하지 않는 공진부(220)와 같은 전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200)는 유전체 수용 공간(227)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전체를 통해 공진부(220)의 크기를 줄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공진부(220)의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발진부(310)(예: 도 4의 발진부(210)), 공진부(320)(예: 도 4의 공진부(220)) 및 구조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도 4의 히터 조립체(200)에서 구조체(340)가 추가된 조립체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진부(310)는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할 수 있다.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는 발진부(310)와 공진부(320)를 연결하는 커플러(예: 도 5의 커플러(230))를 통해 공진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공진부(3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부가 공진부(3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320h)(예: 도 4의 수용 공간(220h))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유전 가열 방식으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부(320)에 의해 마이크로파의 공진이 발생하여 공진부(320)의 내부에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공진부(320)의 내부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유전체(예: 글리세린)의 전하들은 전기장에 의해 진동 또는 회전할 수 있고, 전하들의 진동 또는 회전 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유전체에서 열이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공기와 혼합됨에 따라 공진부(320)의 내부에서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통과하여 공진부(3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조체(340)는 수용 공간(320h)의 내부에서 수용 공간(320h)으로 삽입되는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공진부(320)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진부(320)의 내부로 에어로졸이 확산되는 경우, 에어로졸의 일부가 액화되어 공진부(320)의 내부에 액적이 축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공진부(320)의 내부에 축적된 액적은 공진부(320)의 특성(예: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여 공진부(320)의 가열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구조체(340)를 통해 에어로졸이 공진부(320)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진부(320)의 내부에 액적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 조립체(300)는 구조체(340)를 수용 공간(320h)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50)는 일단이 수용 공간(320h)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구조체(340)의 외주면과 결합함으로써, 구조체(340)가 공진부(32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320h)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고정 부재(350)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둘러싸는 구조체(340)가 공진부(32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서 공진부(320)의 내부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공진부(3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조체(34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도 6의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히터 조립체(300)를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발진부(310), 공진부(320), 커플러(330), 구조체(340) 및 고정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의 구성 요소들은 도 6의 히터 조립체(3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진부(310)는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는 커플러(330)를 통해 공진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공진부(3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유전체들이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공진부(32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발열할 수 있고,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320)는 외곽 도체(321),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곽 도체(321)는 공진부(32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진부(320)의 구성 요소들이 외곽 도체(3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곽 도체(32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곽 도체(3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320h)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320h)은 외곽 도체(3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에 의해 형성되어 외곽 도체(321)의 내부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곽 도체(321)는 제1 면(331a), 제1 면(331a)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면(331b) 및 제1 면(331a)과 제2 면(331b)의 사이의 빈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331c)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진부(320)의 구성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제1 내부 도체(323), 제2 내부 도체(325))는 제1 면(331a), 제2 면(331b) 및 측면(331c)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부(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도체(323)는 외곽 도체(321)의 제1 면(331a)으로부터 외곽 도체(321)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외곽 도체(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도체(323)의 일 영역은 발진부(310)와 연결된 커플러(33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커플러(330)를 통해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제1 내부 도체(323)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330)는 외곽 도체(321)를 관통하며 일단이 발진부(310)와 접촉하고, 타단이 제1 내부 도체(323)의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커플러(330)를 통해 제1 내부 도체(323)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러(330)는 마이크로파의 전달을 위하여 외곽 도체(321)와 접촉하지 않고 외곽 도체(3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발진부(3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제1 내부 도체(323)로 전달될 수 있다면 커플러(330)의 배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곽 도체(321)와 제1 내부 도체(32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통해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1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외곽 도체(321)의 제1 면(321a), 측면(321c) 및 제1 내부 도체(3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지칭할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내부에서는 커플러(330)를 통해 전달되는 마이크로파가 공진하여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제2 내부 도체(325)는 외곽 도체(321)의 제2 면(331b)으로부터 외곽 도체(321)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외곽 도체(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도체(325)는 외곽 도체(321)의 내부 공간에서 제1 내부 도체(323)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에는 갭(326)이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도체(321)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통해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2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내부 도체(325)는 제1 내부 도체(323)와 커플링(예: 커패시티브 커플링)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결합 관계에 의해 제1 영역의 내부에서 전기장이 생성될 때 제2 영역의 내부에서도 유도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도체(323)에 발진부(310)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전달됨에 따라 공진에 의해 제1 영역의 내부에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고, 외곽 도체(321) 및 제1 내부 도체(323)와 커플링된 제2 내부 도체(325)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영역의 내부에는 유도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32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1/4 파장(λ) 길이를 갖는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영역의 일단(예: -z 방향의 단)은 외곽 도체(321)의 제1 면(321a)에 의해 제1 영역의 단면이 폐쇄됨에 따라 닫힌 단(short end)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영역의 타단(예: z 방향의 단)은 제1 면(321a)이 배치되지 않아 단면이 개방됨에 따라 열린 단(open end)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2 영역의 일단(예: -z 방향의 단)은 단면이 개방됨에 따라 열린 단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영역의 타단(예: z 방향의 단)은 외곽 도체(221)의 제2 면(321b)에 의해 제2 영역의 단면이 폐쇄됨에 따라 닫힌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xz 평면 상에서 볼 때, 닫힌 단과 열린 단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구조를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마이크로파의 1/4 파장 길이를 갖는 공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는 z 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수용 공간(320h)을 통해 외곽 도체(32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에 의해 둘러싸여 유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에서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갭(326)을 통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로 전파될 수 있고,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에 의해 둘러싸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로 전파된 전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포함된 유전체는 갭(326)을 통해 전파되는 전기장에 의해 발열할 수 있고, 유전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증기는 공진부(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직경이 지정된 값 미만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로 전파된 전기장이 히터 조립체(300) 또는 공진부(32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값'은 전기장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외부로 누설되기 시작하는 직경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직경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로 유입된 전기장의 일부가 공진부(320)의 외부로 누설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직경이 지정된 값 미만인 구조를 통해 공진부(320)의 외부로 전기장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별도의 차폐 부재 없이도 전기장이 히터 조립체(300) 또는 공진부(32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수용 공간(320h)을 통해 공진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담배 로드(11)는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갭(326)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에서 생성된 전기장 및 제2 영역에서 생성된 전기장이 갭(326)을 통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공진부(320)의 내부 영역 중 갭(326)의 주변 영역에서 가장 강한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전기장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유전체가 포함된 담배 로드(11)가 전기장이 가장 강한 갭(3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히터 조립체(300)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320)는 유전체 수용 공간(327) 및 유전체 수용 공간(327)에 수용되어 공진부(320)의 유전율을 조절하기 위한 유전체(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수용 공간(327)은 외곽 도체(321)와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빈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전체 수용 공간(327)에는 유전체(D)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D)는 마이크로파 흡수도가 낮은 석영(quartz),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산화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유전체(D)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유전체 수용 공간(327)의 내부에 유전체(D)를 배치함으로써, 공진부(32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면서도 유전체를 포함하지 않는 공진부(320)와 같은 전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유전체 수용 공간(327)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전체(D)를 통해 공진부(320)의 크기를 줄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공진부(320)의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소형화될 수 있다.
구조체(340)는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에서 수용 공간(320h)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340)는 수용 공간(320h)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부분(341) 및 제1 부분(341)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용 공간(320h)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부분(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41)은 제1 내부 도체(323)의 내부에 제1 내부 도체(323)의 단면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어, 제1 부분(341)의 적어도 일 영역(예: z 방향을 향하는 일 영역)은 수용 공간(320h) 내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단(예: -z 방향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41)은 제1 내부 도체(323)의 단면의 일부를 폐쇄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부분(34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분(341)이 제1 내부 도체(323)의 단면을 폐쇄하면서 수용 공간(320h)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부분(341)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단으로 배출된 에어로졸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를 향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부분(342)은 제1 내부 도체(323)으로부터 수용 공간(320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320h)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42)은 제1 부분(341)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320h)의 입구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320h)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주면의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부분(342)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2 부분(342)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의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를 향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로 확산되는 경우, 에어로졸의 일부가 액화되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에 액적이 축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에 액적이 축적되면 액적에 의해 제1 공진기로 동작하는 제1 영역 또는 제2 공진기로 동작하는 제2 영역의의 특성(예: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공진부(320)의 전체적인 가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제1 부분(341)과 제2 부분(342)을 포함하는 구조체(340)를 통해 에어로졸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적에 의해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구조체(340)의 제1 부분(341) 및/또는 제2 부분(342)은 에어로졸 또는 액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 및/또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41) 및/또는 제2 부분(342)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320)는 제1 내부 도체(323)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제1 내부 도체(323)의 단면의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부(324)는 제1 내부 도체(323)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제1 내부 도체(323)와 구조체(340)의 사이의 빈 공간을 폐쇄할 수 있으며, 폐쇄부(324)와 구조체(340)에 의해 제1 내부 도체(323)의 단면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폐쇄부(324)와 구조체(340)는 제1 내부 도체(323)의 단면을 폐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의 -z 방향을 향하는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 또는 에어로졸이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액적이 -z 방향으로 유동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로 유입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오작동 내지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상술한 폐쇄부(324)와 구조체(340)의 배치 구조를 통해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을 제한함으로써, 에어로졸 또는 액적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오작동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외부 공기가 공진부(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도 6의 히터 조립체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의 히터 조립체(300)에서 일부 구성 요소들을 생략한 도면이며 히터 조립체(300)의 구성 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8에서 화살표는 공기(또는 '외부 공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공진부(320), 유전체 수용 공간(327), 유전체(D), 커플러(330), 구조체(340) 및 폐쇄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의 구성 요소들은 도 7의 히터 조립체(3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용 공간(320h)을 통해 공진부(320)의 내부로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과 구조체(340)의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기류 통로(C)가 형성될 수 있다. 기류 통로(C)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공진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구조체(340)의 제2 부분(342)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기류 통로(C)는 공진부(320)의 외부와 구조체(340)에 의해 둘러싸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는 기류 통로(C)를 통해 구조체(34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공기는 기류 통로(C)를 따라 이동하며 기류 통로(C)와 연결된 구조체(340)의 홈(341h)에 도달한 후, 홈(341h)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단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내부에 도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내부에 도달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제1 공진기로 동작하는 제1 영역 및 제2 공진기로 동작하는 제2 영역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증기와 혼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통과하여 히터 조립체(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340)는 구조체(340h) 내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는 홈(341h, reces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41h)은 구조체(340)의 제1 부분(341)에 형성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일단(예: 도 7의 -z 방향의 일단) 및 그 주변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부분(341)은 홈(341h)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구조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은 홈(341h) 내에서 지지됨에 따라, 홈(341h)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기류 통로(C)의 형성을 위하여 구조체(340)의 제2 부분(34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도 구조체(340h) 내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340)는 수용 공간(320h)의 내부에서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조체(340)가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체(340)와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 공기의 일부가 유입됨에 따라, 외부 공기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서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로 전달되는 열이 줄어들어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가 단열될 수 있다.
공진기를 구성하는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과열되는 경우 유전 가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구조체(340)가 제1 내부 도체(323) 및 제2 내부 도체(325)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되는 배치 구조를 통해 공진부(320)의 과열에 의한 가열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a는 히터 조립체 내부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히터 조립체에 의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가열 밀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 내지 도 8의 히터 조립체(300) 내부의 전기장 분포 및 그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담배 로드(11)의 가열 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 때, '전기장 분포'는 공진부(320)의 단위 길이 당 전압(V/m)의 강도를 나타내며, '가열 밀도'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가열 시 담배 로드(11)의 각 영역에서의 단위 체적당 온도 에너지(W/㎥)를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외곽 도체(321)와 제1 내부 도체(32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외곽 도체(321)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의 내부에서는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기장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갭(326)을 통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 공간으로 전파될 수 있다.
제1 영역에서 생성된 전기장 및 제2 영역에서 생성된 전기장이 갭(326)을 통해 제1 내부 도체(323) 및/또는 제2 내부 도체(325)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공진부(320)의 내부 영역 중 갭(326)의 주변 영역에서 가장 강한 전기장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갭(326)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이 생성됨에 따라, 갭(326)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담배 로드(11)의 일 영역이 담배 로드(11)의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가열 밀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담배 로드(11)가 전기장이 가장 강한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내부 도체(325)의 사이의 갭(326)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유전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발진부(310), 공진부(320), 유전체 수용 공간(327), 커플러(330), 구조체(340) 및 유전체(D)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도 7 내지 도 8의 히터 조립체(300)에서 유전체(D)의 배치 위치만 변경된 조립체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공진부(320)의 구조 및/또는 공진부(320)와 커플러(330)의 연결 관계로 인하여 제1 공진기로 동작하는 제1 영역과 제2 공진기로 동작하는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내부 도체(323)와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내부 도체(325)의 길이가 상이하거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내부 도체(323)는 커플러(3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내부 도체(325)는 커플러(330)와 연결되지 않아 제1 영역의 공진 주파수가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 마이크로파의 공진에 의해 제1 공진기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달라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에서는 유전체(D)가 유전체 수용 공간(327) 내에서 외곽 도체(321)의 제2 면(321b) 및 측면(321c)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D)는 z 방향을 향하는 일단이 제2 면(321b)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측면(321c)을 마주보는 일 영역이 측면(321c)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유전체(D)와 제2 면(321b) 및 유전체(D)와 측면(321c)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유전체(D)가 외곽 도체(321)의 제2 면(321b)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유전체(D)가 제1 내부 도체(323)를 둘러싸는 면적과 유전체(D)가 제2 내부 도체(325)를 둘러싸는 면적이 달라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가 조정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하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상술한 유전체(D)의 배치 구조를 통해 공진부(320)의 형상 또는 공진부(320)와 커플러(330)의 연결 관계와 관계 없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공진 주파수를 일치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히터 조립체(300)의 전반적인 가열 효율(또는 '유전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전체(D)가 외곽 도체(321)의 측면(321c)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공진부(320)의 내부에서 공진부(320)의 외주면인 측면(321c)으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 수 있으며, 그 결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공진부(320)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진부(320)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공진부(3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이 오작동하거나 손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300)는 상술한 유전체(D)의 배치 구조를 통해 유전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공진부(320)의 표면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열에 의해 오작동 또는 손상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및
커플러를 통해 상기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을 마주보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사이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 영역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외곽 도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도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다른 영역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도체; 및
상기 제1 내부 도체 및 상기 제2 내부 도체의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상기 제1 내부 도체 또는 상기 제2 내부 도체를 향하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상기 공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상기 구조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일단이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조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히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삽입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 기류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진부의 외부의 공기는 상기 기류 통로를 통해 상기 공진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기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히터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더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발진부와 상기 제1 내부 도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진부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제1 내부 도체로 전달하는, 히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도체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영역을 둘러싸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히터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도체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내부 도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다른 영역을 둘러싸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히터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도체의 상기 제1 면, 상기 외곽 도체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제1 내부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은 상기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길이를 갖는 공진기로 동작하는, 히터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도체의 상기 제2 면, 상기 외곽 도체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 내부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영역은 상기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길이를 갖는 공진기로 동작하는, 히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내부 도체 및 상기 제2 내부 도체와 상기 외곽 도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 수용 공간; 및
상기 유전체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외곽 도체의 상기 제2 면 또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히터 조립체. -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조립체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및
커플러를 통해 상기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마이크로파를 공진시켜 전기장을 생성하는 공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을 마주보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사이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 영역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외곽 도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발생시키는 제1 내부 도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다른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의 공진을 발생시키는 제2 내부 도체; 및
상기 제1 내부 도체 및 상기 제2 내부 도체의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3013 WO2024049244A1 (ko) | 2022-08-31 | 2023-08-31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0268 | 2022-08-31 | ||
KR20220110268 | 2022-08-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1155A true KR20240031155A (ko) | 2024-03-07 |
Family
ID=90271564
Family Applications (2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4826A KR20240031167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06A KR20240031156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82A KR20240031163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05A KR20240031155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83A KR20240031164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히터 조립체 |
KR1020230114876A KR20240031178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KR1020230114721A KR20240031159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651A KR20240031150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74A KR20240031176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KR1020230114878A KR20240031180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KR1020230114825A KR20240031166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20A KR20240031158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19A KR20240031157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77A KR20240031179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04A KR20240031154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75A KR20240031177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KR1020230114784A KR20240031165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65A KR20240031161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히터 조립체의 제조 방법 |
KR1020230114827A KR20240031168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35A KR20240031170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66A KR20240031162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36A KR20240031171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64A KR20240031160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히터 조립체의 제조 방법 |
KR1020230114652A KR20240031151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34A KR20240031169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653A KR20240031152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4826A KR20240031167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06A KR20240031156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82A KR20240031163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2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4783A KR20240031164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히터 조립체 |
KR1020230114876A KR20240031178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KR1020230114721A KR20240031159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651A KR20240031150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74A KR20240031176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KR1020230114878A KR20240031180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KR1020230114825A KR20240031166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20A KR20240031158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19A KR20240031157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77A KR20240031179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04A KR20240031154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75A KR20240031177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KR1020230114784A KR20240031165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65A KR20240031161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히터 조립체의 제조 방법 |
KR1020230114827A KR20240031168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35A KR20240031170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66A KR20240031162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36A KR20240031171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764A KR20240031160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히터 조립체의 제조 방법 |
KR1020230114652A KR20240031151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834A KR20240031169A (ko) | 2022-08-31 | 2023-08-30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0230114653A KR20240031152A (ko) | 2022-08-31 | 2023-08-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6) | KR20240031167A (ko) |
-
2023
- 2023-08-30 KR KR1020230114826A patent/KR20240031167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06A patent/KR20240031156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82A patent/KR20240031163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05A patent/KR20240031155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83A patent/KR20240031164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76A patent/KR20240031178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21A patent/KR20240031159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651A patent/KR20240031150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74A patent/KR20240031176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78A patent/KR20240031180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25A patent/KR20240031166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20A patent/KR20240031158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19A patent/KR20240031157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77A patent/KR20240031179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04A patent/KR20240031154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75A patent/KR20240031177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84A patent/KR20240031165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65A patent/KR20240031161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27A patent/KR20240031168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35A patent/KR20240031170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66A patent/KR20240031162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36A patent/KR20240031171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764A patent/KR20240031160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652A patent/KR20240031151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834A patent/KR20240031169A/ko unknown
- 2023-08-30 KR KR1020230114653A patent/KR20240031152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1178A (ko) | 2024-03-07 |
KR20240031170A (ko) | 2024-03-07 |
KR20240031176A (ko) | 2024-03-07 |
KR20240031179A (ko) | 2024-03-07 |
KR20240031167A (ko) | 2024-03-07 |
KR20240031164A (ko) | 2024-03-07 |
KR20240031169A (ko) | 2024-03-07 |
KR20240031163A (ko) | 2024-03-07 |
KR20240031166A (ko) | 2024-03-07 |
KR20240031161A (ko) | 2024-03-07 |
KR20240031158A (ko) | 2024-03-07 |
KR20240031165A (ko) | 2024-03-07 |
KR20240031156A (ko) | 2024-03-07 |
KR20240031152A (ko) | 2024-03-07 |
KR20240031171A (ko) | 2024-03-07 |
KR20240031159A (ko) | 2024-03-07 |
KR20240031150A (ko) | 2024-03-07 |
KR20240031162A (ko) | 2024-03-07 |
KR20240031157A (ko) | 2024-03-07 |
KR20240031151A (ko) | 2024-03-07 |
KR20240031180A (ko) | 2024-03-07 |
KR20240031160A (ko) | 2024-03-07 |
KR20240031177A (ko) | 2024-03-07 |
KR20240031168A (ko) | 2024-03-07 |
KR20240031154A (ko) | 2024-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1608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US8420021B2 (en) | Ignition or plasma generation apparatus | |
KR101012345B1 (ko) | 저 전력 휴대용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발생기 | |
EP3998878A1 (en) |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dielectric heating | |
US3943404A (en) | Helical coupler for use in an electrodeless light source | |
KR20240031155A (ko)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EP4173509A1 (en) |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 |
CN115053998A (zh) |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 |
WO2024049259A1 (ko) |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WO2024049256A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CN218650326U (zh) |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 |
EP4173510A1 (en) |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 |
WO2022215255A1 (ja) |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 |
KR20230151345A (ko) |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20240053146A (ko) | 에어로졸 발생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