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3555A1 - 차량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3555A1
WO2024043555A1 PCT/KR2023/010928 KR2023010928W WO2024043555A1 WO 2024043555 A1 WO2024043555 A1 WO 2024043555A1 KR 2023010928 W KR2023010928 W KR 2023010928W WO 2024043555 A1 WO2024043555 A1 WO 20240435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user terminal
signal strength
communic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09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창훈
배성준
함소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435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35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strength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anager that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connection manager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greater signal strength amo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connection manage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re connected,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f it is larg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an be disconnected, and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 a user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ule of a vehicle,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strength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anager that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connection manager may transmit a request for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greater signal strength amo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connection manage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re connected,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f it is larger, a disconnection request may be sent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disconnect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nection request may be sent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re is.
  •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includes connecting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connecting step allow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ethod for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ethod for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paring step may further include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greater signal strength amo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paring step includes,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re connected,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f is greater,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handover connection process of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reconn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in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and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and a fourth communication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an n-th communication modul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etc.
  • the operation a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also be applied to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the fourth communication module, the nth communication modul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etc.
  •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communication modules.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a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emory, a processor, and a data transceiver.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signal strength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not shown) that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 may further be included.
  • connection manager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with a greater signal strength amo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 the connection manager determin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rather tha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If th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may be disconnected, and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may be connected.
  • the connection manager determin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2 rather tha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 the signal strength is small or the sa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1 can be maintained.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handover connection process of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1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02.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10.
  • Vehicle communication devices can use a method to improve smoother coverage and connectivity due to deterio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 performance by maintaining existing connections in weak electric field situations.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02, which is a device with a relatively strong electric field, and the user terminal 210 to secure operation time and improve performance in the subsequent stages. This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periodically determin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02, which is an unconnected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210, which is a user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s strong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1, which is a currently connected device. You can ensure performance by checking and connecting devices.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parameter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02, which is a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when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10, and transmits parameter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02. ), you can also collect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user devic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releases the existing connection and connects the strong signal. You can proceed to connect to the device or request/set it with the user terminal 210.
  • a certain level for example, a preset threshold
  • FIG. 3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each step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vehicle's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llect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mpare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greater signal strength amo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step 302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re connected, if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user termin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an be disconnected, and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reconn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in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master or a first slave a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lave (strong electric field)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an turn on/supply pow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advertising for the user terminal 410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410, which is a user devic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and receive a connection completion, etc. from the user terminal 410.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an maintai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and the user terminal 410.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an detect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eck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which is another device.
  • Vehicle communication devices can check signal strength and handover possibility.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an determine disconnection/simultaneous operation and connection order depending on the usage scenario.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request the user terminal 410 to disconnect the user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and perform user connection setup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1 and the user terminal 410 may b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advertising for the user terminal 410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request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410, which is a user devic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and when the connection is completed, information about the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410. It can be received from.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may include a main device such as a H/U, and may include N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N (for exampl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RF modules.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510, and the user terminal 510 may be re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ule different from the connected communication module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can maintain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510. .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releases th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510. You can set/request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510.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can improve communication stability between wireless devices.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operation processing time through smooth wireless communication data exchang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501 is.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ime sync performance with other wireless devices such as UWB.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powered on/supplied by a user or the lik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wireless device advertising u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for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module (eg, RF module) after booting.
  • a communication module eg, RF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nnec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o the user terminal.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llect and check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other than the connected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mpare the signal strength for a currently connected device (communication module) to an unconnected device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maintain the connection when the signal strength for a non-connected device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is worse than the signal strength for a currently connected device (communication module).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releases the connection when the signal strength for the unconnected device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is better than the signal strength for the currently connected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another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disconnection and reconnection, or may perform preconnection and then disconnection.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71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devices used by the user when using the vehicle, such as a smart phone, mobile phone, or tablet.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701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702.
  • 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strength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anager that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r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nnection manager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unit 710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with a higher signal strength amo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user terminal A disconnec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710 to dis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nec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710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통신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발달로 실시간 차량에 대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는 스마트폰 등의 개인 무선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통신 장치를 연결해 이용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증가될 전망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통신부에 연결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연결 해제 요청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도록 연결 요청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은, 차량의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핸드오버(Handover)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신호세기에 따른 핸드오버 재 연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01), 및 제2 통신 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01), 및 제2 통신 모듈(102)을 구비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통신 모듈은 제3 통신 모듈, 제4 통신 모듈, 제n 통신 모듈(n은 2 이상의 자연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제2 통신 모듈(102)에 대하여 적용되는 동작은 제3 통신 모듈, 제4 통신 모듈, 제n 통신 모듈(n은 2 이상의 자연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모듈은 다양한 통신 기기/통신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차량, 차량에 장착되는 제어 장치,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수신기 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01) 또는 제2 통신 모듈(102)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통신 모듈(101) 또는 제2 통신 모듈(102)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101) 및 제2 통신 모듈(102)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101)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101)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가 작거나 또는 동일할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핸드오버(Handover)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201), 및 제2 통신 모듈(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210)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약전계 상황에서 기존 연결을 유지 함으로써 무선 통신 신뢰성 및 성능 저하 발생으로 보다 원활한 커버리지(Coverage) 및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기존 연결 기기인 제1 통신 모듈(201) 대비, 비교적 강전계의 기기인 제2 통신 모듈(202)과 사용자 단말(210)을 연결시켜 이후 단계의 동작시간을 확보 및 성능 향상을 통해 사용자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인 제2 통신 모듈(202)에서 사용자 기기인 사용자 단말(210)과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현재 연결된 기기인 제1 통신 모듈(201)보다 신호가 강한 기기 확인 및 연결하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210)과 연결 시 연결되지 않은 기기인 제2 통신 모듈(202)에 파라미터(Parameter)를 전달하여, 제2 통신 모듈(202)에서도 사용자 기기와의 신호세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 중 기존 연결보다 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예를 들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 강할 경우, 기존의 연결을 해제하고 강한 신호의 기기와 연결되도록 진행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10)로 요청/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각 단계는, 차량용 통신 장치의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01)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차량의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단계(302)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신호세기에 따른 핸드오버 재 연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로서 마스터 또는 제1 슬레이브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모듈(402)로서 제2 슬레이브(강전계)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 및 제2 통신 모듈(402)의 전원을 켜거나(Power On)/공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 및 제2 통신 모듈(402)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10)에 대해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인 사용자 단말(410)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10)로부터 연결 완료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과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다른 기기인 제2 통신 모듈(402)의 무선 통신 감지 및 신호 세기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신호 세기 및 핸드오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연결 해제/동시 동작 및 연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410)로 제1 통신 모듈(401)에 대해 사용자 연결 해제를 요청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402)에 대해 사용자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401)과 사용자 단말(410)은 서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모듈(402)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10)에 대해 애드버타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410)로 사용자 기기인 사용자 단말(410)과 제2 통신 모듈(402)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고, 연결이 완료될 경우, 연결 완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H/U과 같은 메인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N개의(예를 들어, N은 2 이상의 자연수) RF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의 통신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단말(5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 세기에 따라서 연결된 통신 모듈과 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이 다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통신이 원활한 환경에 놓였을 경우,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의 무선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미만이거나, 또는 통신이 원활한 환경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의 무선 연결을 해제시키고 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의 무선 연결을 설정/요청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무선 기기간 통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원활한 무선 통신 데이터 교환으로 동작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UWB와 같은 다른 무선 기기와의 타임 싱크(Time Sync)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601)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등에 의해 전원이 켜질(Power on)/공급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기기 애드버타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부팅 후 통신 모듈(예를 들어, RF 모듈)의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모듈 중 하나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단계(604)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된 무선기기(통신 모듈)외 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 및 확인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현재 연결된 기기(통신 모듈) 대비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606)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가 현재 연결된 기기(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보다 나쁠 경우,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단계(607)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가 현재 연결된 기기(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보다 양호할 경우, 연결을 해제시키고,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시나리오에 따라 연결 해제 후 재 연결을 수행하거나, 또는 선 연결 후 연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등 차량 이용시 사용자가 이용하는 기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701) 및 제2 통신 모듈(70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도록 통신부(710)에 연결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연결 해제 요청을 통신부(71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도록 연결 요청을 통신부(7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차량용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차량용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는 차량용 통신 장치.
  6.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PCT/KR2023/010928 2022-08-22 2023-07-27 차량용 통신 장치 WO20240435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51A KR20240026608A (ko) 2022-08-22 2022-08-22 차량용 통신 장치
KR10-2022-0104651 2022-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555A1 true WO2024043555A1 (ko) 2024-02-29

Family

ID=9001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0928 WO2024043555A1 (ko) 2022-08-22 2023-07-27 차량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608A (ko)
WO (1) WO202404355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97A (ko) * 2016-02-16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9866A (ko) * 2017-01-31 2018-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20200034643A (ko) *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63832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아모센스 차량용 통신 모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53648A (ko) * 2019-09-29 2022-04-29 애플 인크. 듀얼-모드 사이드링크 동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97A (ko) * 2016-02-16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9866A (ko) * 2017-01-31 2018-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20200034643A (ko) *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53648A (ko) * 2019-09-29 2022-04-29 애플 인크. 듀얼-모드 사이드링크 동작
KR20210063832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아모센스 차량용 통신 모듈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08A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7457B (zh) 用于将设备的功能模块进行互连的技术
WO2019074217A1 (ko) 무선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WO20140582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pow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WO201110573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WO2014000459A1 (zh) 一种移动通信终端及其电源管理方法
WO2013154301A1 (ko) 위성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보조장치
WO2022108087A1 (ko) 차량용 can 통신 보안 장치 및 방법
WO2010047458A1 (ko) Cpns 환경에서 팀플레이 게임 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
WO20120502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using information of group change in content oriented network environment
WO2015005727A1 (en)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WO2013149419A1 (zh) 一种无线通信系统及无线上网装置
WO2018110897A2 (e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2141440A2 (ko) 의료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WO2018182261A1 (ko)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4163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peer-to-peer devices in wi-fi communication system
WO2024043555A1 (ko) 차량용 통신 장치
WO2021049760A1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전기 차량
WO2012043965A1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radio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2165732A1 (ko)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WO2021256722A1 (ko) 배터리 모듈의 에러를 진단하는 슬레이브 bms 및 상기 슬레이브 bms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8139734A1 (ko) 배터리 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8066777A2 (ko)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00646A1 (ko) 무선 단말장치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 제어장치 및 방법
WO2020060230A1 (ko)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안테나 설정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612991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575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