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08A - 차량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08A
KR20240026608A KR1020220104651A KR20220104651A KR20240026608A KR 20240026608 A KR20240026608 A KR 20240026608A KR 1020220104651 A KR1020220104651 A KR 1020220104651A KR 20220104651 A KR20220104651 A KR 20220104651A KR 20240026608 A KR20240026608 A KR 2024002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user terminal
signal strength
communic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훈
배성준
함소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608A/ko
Priority to PCT/KR2023/010928 priority patent/WO2024043555A1/ko
Publication of KR2024002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통신 장치{APPARATUS FOR VEHIC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발달로 실시간 차량에 대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는 스마트폰 등의 개인 무선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과 차량용 통신 장치를 연결해 이용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증가될 전망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통신부에 연결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연결 해제 요청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도록 연결 요청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은, 차량의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핸드오버(Handover)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신호세기에 따른 핸드오버 재 연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01), 및 제2 통신 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01), 및 제2 통신 모듈(102)을 구비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통신 모듈은 제3 통신 모듈, 제4 통신 모듈, 제n 통신 모듈(n은 2 이상의 자연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제2 통신 모듈(102)에 대하여 적용되는 동작은 제3 통신 모듈, 제4 통신 모듈, 제n 통신 모듈(n은 2 이상의 자연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모듈은 다양한 통신 기기/통신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차량, 차량에 장착되는 제어 장치,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수신기 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01) 또는 제2 통신 모듈(102)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통신 모듈(101) 또는 제2 통신 모듈(102)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101) 및 제2 통신 모듈(102)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101)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101)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102) 간의 신호 세기가 작거나 또는 동일할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101)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의 핸드오버(Handover)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201), 및 제2 통신 모듈(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210)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약전계 상황에서 기존 연결을 유지 함으로써 무선 통신 신뢰성 및 성능 저하 발생으로 보다 원활한 커버리지(Coverage) 및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기존 연결 기기인 제1 통신 모듈(201) 대비, 비교적 강전계의 기기인 제2 통신 모듈(202)과 사용자 단말(210)을 연결시켜 이후 단계의 동작시간을 확보 및 성능 향상을 통해 사용자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인 제2 통신 모듈(202)에서 사용자 기기인 사용자 단말(210)과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현재 연결된 기기인 제1 통신 모듈(201)보다 신호가 강한 기기 확인 및 연결하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210)과 연결 시 연결되지 않은 기기인 제2 통신 모듈(202)에 파라미터(Parameter)를 전달하여, 제2 통신 모듈(202)에서도 사용자 기기와의 신호세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 중 기존 연결보다 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예를 들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 강할 경우, 기존의 연결을 해제하고 강한 신호의 기기와 연결되도록 진행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10)로 요청/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각 단계는, 차량용 통신 장치의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01)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차량의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단계(302)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신호세기에 따른 핸드오버 재 연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로서 마스터 또는 제1 슬레이브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모듈(402)로서 제2 슬레이브(강전계)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 및 제2 통신 모듈(402)의 전원을 켜거나(Power On)/공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 및 제2 통신 모듈(402)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10)에 대해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인 사용자 단말(410)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10)로부터 연결 완료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401)과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다른 기기인 제2 통신 모듈(402)의 무선 통신 감지 및 신호 세기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신호 세기 및 핸드오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연결 해제/동시 동작 및 연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410)로 제1 통신 모듈(401)에 대해 사용자 연결 해제를 요청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402)에 대해 사용자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401)과 사용자 단말(410)은 서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모듈(402)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10)에 대해 애드버타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410)로 사용자 기기인 사용자 단말(410)과 제2 통신 모듈(402)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고, 연결이 완료될 경우, 연결 완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H/U과 같은 메인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N개의(예를 들어, N은 2 이상의 자연수) RF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의 통신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단말(5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 세기에 따라서 연결된 통신 모듈과 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이 다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통신이 원활한 환경에 놓였을 경우,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의 무선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미만이거나, 또는 통신이 원활한 환경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의 무선 연결을 해제시키고 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510)의 무선 연결을 설정/요청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무선 기기간 통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원활한 무선 통신 데이터 교환으로 동작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501)는. UWB와 같은 다른 무선 기기와의 타임 싱크(Time Sync)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601)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등에 의해 전원이 켜질(Power on)/공급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기기 애드버타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부팅 후 통신 모듈(예를 들어, RF 모듈)의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모듈 중 하나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단계(604)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된 무선기기(통신 모듈)외 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 및 확인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현재 연결된 기기(통신 모듈) 대비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606)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가 현재 연결된 기기(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보다 나쁠 경우,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단계(607)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가 현재 연결된 기기(통신 모듈)에 대한 신호 세기보다 양호할 경우, 연결을 해제시키고, 연결되지 않은 기기(다른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시나리오에 따라 연결 해제 후 재 연결을 수행하거나, 또는 선 연결 후 연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등 차량 이용시 사용자가 이용하는 기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701) 및 제2 통신 모듈(70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도록 통신부(710)에 연결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관리부는, 제1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사용자 단말과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연결 해제 요청을 통신부(71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과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도록 연결 요청을 통신부(7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차량용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차량용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는 차량용 통신 장치.
  6.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차량의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신호 세기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연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통신부에 연결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연결 해제 요청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도록 연결 요청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1.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신호 세기가 더 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 중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보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의 신호 세기가 더 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연결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220104651A 2022-08-22 2022-08-22 차량용 통신 장치 KR20240026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51A KR20240026608A (ko) 2022-08-22 2022-08-22 차량용 통신 장치
PCT/KR2023/010928 WO2024043555A1 (ko) 2022-08-22 2023-07-27 차량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51A KR20240026608A (ko) 2022-08-22 2022-08-22 차량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08A true KR20240026608A (ko) 2024-02-29

Family

ID=9001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51A KR20240026608A (ko) 2022-08-22 2022-08-22 차량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608A (ko)
WO (1) WO20240435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14B1 (ko) * 2016-02-16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9866A (ko) * 2017-01-31 2018-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US11432131B2 (en) * 2018-09-21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53648A (ko) * 2019-09-29 2022-04-29 애플 인크. 듀얼-모드 사이드링크 동작
KR20210063832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아모센스 차량용 통신 모듈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555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7644B (zh) 一种无线连接的方法及设备
US10887847B2 (en) Active antenna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nfiguration method of antenna system
US10965327B2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707626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incommunicable state, and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ystem
CN102315864B (zh) 用于移动设备点对点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8670759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05993185A (zh) 用于邻域网络检测的方法和装置
US9871601B2 (en) Method for testing a low power radio frequency (RF) data packet signal transceiver
US860043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ell search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272850A (zh) D2d连接恢复方案
US98772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onic device to network
CN105392212A (zh) 一种蓝牙自动回连方法、系统及智能终端
US9749066B2 (en) Method for testing a low power radio frequency (RF) data packet signal transceiver
US9749065B2 (en) Method for testing a low power radio frequency (RF) data packet signal transceiver
GB260120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a plurality of remot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CN105916192A (zh) 一种用于同时接入lte公网与专网的系统及方法
CN110324390A (zh) 一种接入方法、物联网平台、应用设备、服务设备
US2008007503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bridg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451254A (zh) 一种多通信通道的维护方法及装置
KR20240026608A (ko) 차량용 통신 장치
CN105357671A (zh) 一种连接相同ssid和不同密码的无线访问节点的系统及方法
CN101848473B (zh) 处理无线链接失败的方法及相关通讯装置
CN111565433B (zh) 一种通信方法和接入网设备
CN103442377A (zh) 一种wifi模块与多个ap同时进行wps会话协商的方法
CN114175840A (zh) 随机接入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