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77592A1 - 의족 - Google Patents

의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77592A1
WO2023277592A1 PCT/KR2022/009365 KR2022009365W WO2023277592A1 WO 2023277592 A1 WO2023277592 A1 WO 2023277592A1 KR 2022009365 W KR2022009365 W KR 2022009365W WO 2023277592 A1 WO2023277592 A1 WO 20232775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oupled
scaffolding
present disclosur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93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보일
서현탁
Original Assignee
(주)보일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280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8356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보일랩스 filed Critical (주)보일랩스
Publication of WO20232775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775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66Feet; Ankle joint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prosthetic limb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sthetic limbs configured to easily implement a stance stage.
  • Prosthetic limbs must be a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braking force according to each stage of the gait cycle in order to secure the wearer's safety and implement natural gai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prosthetic leg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movement of the actual ankle.
  • the conventional prosthetic leg solve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fully support the weight during the stance phase, which consists of the initial stance phase when the heel first touches, the middle stance phase when the entire sole touches the ground, and the final stance phase when the sole starts to fall off the ground. Hav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rosthetic leg capable of implementing natural walking.
  •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provide a prosthetic leg configured to easily implement a stance stag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foothold member and an adapter member.
  • a prosthetic leg includes a scaffold member contacting the ground, an adapter member coupled to a human body, and a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connect the scaffold member and the adapter member.
  •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adapter member on the other side.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on one side, coupled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on the other side,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adapter member on the other side, , front means the toe side, and rear means the heel side.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 the inside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the big toe
  • the outside corresponds to the little toe.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 the prosthetic leg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caffolding member and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scaffolding member.
  • a step is formed on the adapter member, the step includes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may change the width.
  • the motion of the ankle joint in the stance phase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naturally implement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inside is deformed to a greater width than the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outside, so that a pedestrian wearing a prosthetic leg can easily change direction inward. there is.
  • the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side contracts less than the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stance stage, a pedestrian wearing a prosthetic leg may not fall outward while walking.
  •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a complementary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rosthetic leg during walking, so that natural walking can be implemented.
  • connection member can be bent outward or inward relative to the scaffolding member, a pedestrian wearing a prosthetic leg can walk flexibly even on a side sloped groun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sthetic l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top view of a prosthetic l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side view of a prosthetic l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front view of a prosthetic l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connection member 6 is a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a third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second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cycle of a person.
  • an upper portion of a figure may be referred to as a “top” or “upper side” of a configuration shown in the figure, and a lower portion thereof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or “lower side”.
  • the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in the drawings may be referred to as “side” or “side”.
  • Relative terms such as “upper” and “upper” may be used to describ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such terms.
  • a direction toward an internal space of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inside” and a direction protruding into an open external space may be referred to as “outside.”
  • Relative terms such as “inner” and “outer” may be used to describ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such terms.
  • references to “A and/or B” in this disclosure means A, or B, or A and B.
  • the front may correspond to the toe direction
  • the rear may correspond to the heel direction
  • the inside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big toe, and the outside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little toe.
  • the prosthetic leg 100 may include a scaffolding member 110 , connection members 120 , 130 , and 140 , and an adapter member 150 .
  • the footrest member 110 may be a memb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walking.
  •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member 110 may correspond to the sole shape.
  • the scaffolding member 110 may be a plate-shaped extending in one side (eg, y-axis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trest member 110 may correspond to any shape that can easily contact the prosthetic leg 100 on the ground during walking.
  • the scaffolding member 110 may be made of carbon fi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caffolding member 11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 the footrest member 110 may have a front part in the toe direction and a rear part in the heel direction.
  • the footrest member 110 may have an inn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big toe (eg, 310 in FIG. 3 ) and an out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ittle toe (eg, 320 in FIG. 3 ).
  • the front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y-axis direction, the rear portion -y-axis direction, the inner side -x-axis direction, the outer side may correspond to the +x-axis direction.
  • connection members 120, 130, and 140 are members connecting the scaffolding member 110 and the adapter member 150.
  • the connection members 120, 130, and 140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during the stance phase.
  •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may be made of carbon fib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may be inclined at different angles.
  • the connecting members 120 , 130 , and 14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120 , a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140 as shown in FIG. 1 .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a member configured to connect the scaffold member 110 and the adapter member 150.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adapter member 150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is a member connecting the scaffolding member 11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
  •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is a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adapter member 1500. Specifically,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t one side,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with the adapter member 150.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formed inside the scaffolding member 110.
  •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may be members for realizing the ankle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naturally move the wearer's center of gravit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so that the motion of the ankle joint in the stance phase can be easily implemen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s 120, 130, and 140 secure a long time for the entire footrest member 110 to touch the ground from the initial stance phase to the middle stance phase, so that a natural gait pattern can be implemented throughout the entire stance phase. To this end,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occurring on the outside of the prosthetic leg 100 may be different from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130 and 140 occurring on the inside of the prosthetic leg 100.
  • first connecting member 120 connects the footrest member 110 and the adapter member 150 on the outside of the prosthetic leg 100, but on the inside of the prosthetic leg 100,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
  • two third connection members 140 can connect the scaffolding member 110 and the adapter member 150. Therefore, during the stance phas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formed on the inside may be bent or deformed more tha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formed on the outside.
  • first connection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 first connect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may cross each other in the shape of an X on the y-z plane when viewed from the side (ie, the x-axis direction of FIG. 2). Therefore, the prosthetic leg 100 can implement a natural gait pattern through complementary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during the stance phase.
  • the adapter member 150 may be a member for connecting and/or combining the prosthetic leg 100 and a human body (not shown). In one embodiment, it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 the adapter member 15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from the lower side (eg, -z-axis direction), and the human body (not shown) or prosthesis from the upper side (eg, +z-axis direction). (not shown) may be combined with.
  • the prosthetic leg 10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caffolding member 110,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and the adapter member 150 are mutually coupled.
  • one or more first coupling holes 212 ar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caffold member 110, and one or more second coupling holes 214 may be formed in the rear portion.
  • One or more third coupling holes 22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in the +y-axis direction, and one or more fourth coupling holes 224 may be formed at an end in the -y-axis direction.
  • One or more fifth coupling holes 23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in the -y axis direction, and one or more sixth coupling holes 234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in the +y axis direction.
  • One or more seventh coupling holes 242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in the +y-axis direction, and one or more eighth coupling holes 244 may be formed at the end in the -y-axis direction.
  • One or more ninth coupling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dapter member 150 .
  • the scaffolding member 1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coupled through screws or bolts/nuts of the first coupling hole 212 and the third coupling hole 222, respectively.
  • the scaffold member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coupled through screws or bolts/nuts of the second coupling hole 214 and the fifth coupling hole 232, respectively.
  •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coupled through screws or bolts/nuts of the sixth coupling hole 234 and the seventh coupling hole 242, respectively.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and the adapter member 150 may be coupled through screws or bolts/nuts of the fourth coupling hole 224 and the ninth coupling hole, respectively.
  •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adapter member 150 may be coupled through the eighth coupling hole 244 and the ninth coupling hole through screws or bolts/nuts.
  • the adapter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human body or prosthesis.
  • the adapter member 150 has a coupling part 256 formed thereon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wearer's body (eg, not cut, prosthesis or pylon).
  • the coupling part 256 may be formed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adapter member 150 as shown in FIG. 2 .
  • the prosthetic leg 100 may have an inner side 310 in the direction of the big toe and an outer side 320 in the direction of the little toe. During a general stance pha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arer of the prosthetic leg 100 may move between the inner side 310 and the outer side 320 .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are on the in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can be formed
  •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fasten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uses two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It can be fastened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fasten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will be fastened both to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using two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 the scaffold Both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member 110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stability and balance of the prosthetic leg 100 can be improved.
  •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rosthetic le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 descriptions of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ose shown in FIG. 1 will be omitted.
  • the prosthetic leg 10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not shown).
  • the support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caffolding member.
  • the support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scaffolding member.
  • the support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scaffolding member.
  • the support member has the shape of an isosceles triangle rising upward as a whole,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and a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nd a part of the scaffolding member 110 ( See reference numeral 410 in FIG. 4).
  • the suppor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during the stance phase.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re deforme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pedestrian during the stance phase, the supporting member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may be supported upward (+z-axis direction). Thus, the prosthetic leg 100 can easily support the wearer's weight.
  •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in any shape that is easy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by being disposed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10 .
  •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capable of providing a cushion feeling that is easy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upward (+z-axis direction).
  • FIG 5 is a front view of a prosthetic l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steps 252 and 25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dapter member 150 .
  • the combined heigh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heigh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can be adjusted differently using this level difference.
  • the height means the degree of spaced apart from the scaffolding member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teps 252 and 254 may include a lower end 252 and an upper end 254 .
  • the upper end 254 may be formed above the lower end 252 (+z-axis direction).
  • the lower end 252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x-axis direction) of the prosthetic leg 100, and the upper end 254 may be formed on the inside (+-axis direction) of the prosthetic leg 100.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252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254 . Since the lower end 25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end 25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40 formed on the inner side are more z-z tha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formed on the outer side.
  • the connecting members 120, 130, and 140 have different degrees of deformation on the outside and inside, the wearer's center of gravity can move naturall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during the stance ph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a long contact time for the entire footrest member from the initial stance phase to the middle stance phase, and as a result, a natural gait pattern can be implemented throughout the entire stance phase.
  • 6 is a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a third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7 is a second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8 is a third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30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640 disclosed in FIG. 6 are compar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40 disclosed in FIG. 1,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640.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I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30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640 shown in FIG. 6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dth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m is increased compared to that shown in FIG. 1 . That is, in the case of FIG. 6 ,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are coupled using two coupling holes, and thus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can be adjusted.
  •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3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640 shown in FIGS. 7 and 8 respectively, as indicated by dotted lines.
  • a human gait cycle may consist of a stance phase and a swing phase.
  • the stance phase refers to the time from the moment the foot touches the ground (for example, the foot shown in white in FIG. 9) to the moment the foot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ground, and corresponds to steps a to d shown in FIG.
  • the swing phase means the period from the moment the foot leaves the ground to the moment the foot steps on the ground, and corresponds to stages e to g shown in FIG. 9 .
  • the gait speed increases from the beginning of the stance phase (a) when the heel first touches to the middle of the stance phase (b or c) when the entire sole touches the ground, and from the middle of the stance phase (b or c) to the end of the stance phase.
  • the walking speed up to (d) is structured to slow down. Therefore, the walking speed of the conventional prosthetic leg may not be constant, and especially on a downhill road, as the distance from the front part of the prosthetic leg to the ground increases due to the downhill slope, the fatigue of the prosthetic leg wearer may be significant.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 normal gait pattern with a conventional prosthetic leg.
  • a natural gait pattern can be realized in the entire stance period by securing a long time for the entire footrest member (110 in FIG. 1) to touch the ground until the middle of the stance period (b or 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은, 지면에 닿는 발판부재, 인체와 결합되는 어댑터부재, 및 발판부재와 어댑터부재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발판부재의 전방부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어댑터부재와 결합한다. 제2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발판부재의 후방부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제3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제3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제2 연결부재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어댑터부재와 결합하고, 전방은 발가락 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뒤꿈치 측을 의미하다.

Description

의족
본 개시는 의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각기를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구성된 의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외부에 드러내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의족을 착용하는 장애인들은 정상인과 같이 자연스러운 걸음을 걷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의족 착용자를 위해 자연스러운 보행을 구현할 수 있는 의족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의족은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자연스러운 보행을 구현하기 위해 보행 주기의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의족의 움직임을 실제 발목의 움직임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의족은, 처음 발뒤꿈치가 닿는 입각기 초기,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는 입각기 중기, 발바닥이 지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는 입각기 말기로 이루어지는 입각기 과정에서 체중을 온전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보행을 구현할 수 있는 의족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발판부재와 어댑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입각기를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구성된 의족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은, 지면에 닿는 발판부재, 인체와 결합되는 어댑터부재, 및 발판부재와 어댑터부재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발판부재의 전방부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어댑터부재와 결합한다. 제2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발판부재의 후방부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제3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제3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제2 연결부재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어댑터부재와 결합하고, 전방은 발가락 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뒤꿈치 측을 의미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는 발판부재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는 발판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측은 엄지발가락 방향에 해당하고, 외측은 새끼발가락 방향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은, 제1 연결부재와 발판부재 사이 및 제2 연결부재와 발판부재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부재에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하단부와 결합되고, 제3 연결부재는 상단부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측과 외측 간의 무게 중심 이동을 연결부재를 통해 자연스럽게 구현함으로써, 입각기 과정에서의 발목 관절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초기 입각기부터 중간 입각기까지 발판부재 전체가 지면에 닿는 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이로부터 입각기 전체에서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각기에서 내측에 배치된 연결부재가 외측에 배치된 연결부재보다 더 큰 폭으로 변형됨으로써, 의족을 착용한 보행자가 내측으로 용이하게 방향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각기에서 외측에 배치된 연결부재가 내측에 배치된 연결부재보다 덜 수축함으로써, 의족을 착용한 보행자가 보행 시 외측으로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가 교차로 배치됨으로써 보행 시 의족에 상보적인 힘이 전달되어 자연스러운 보행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결부재가 발판부재를 기준으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의족을 착용한 보행자가 측면으로 비탈진 지면에서도 유연하게 보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연결부재이다.
도 9는 사람의 보행 주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전방은 발가락 방향에 해당하고, 후방은 뒤꿈치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내측은 엄지발가락 방향에 해당하고, 외측은 새끼발가락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족(100)은 발판부재(110), 연결부재(120, 130, 140), 어댑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재(110)는 보행 시 지면과 맞닿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부재(110)의 하면은 발바닥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재(110)는 일측(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판부재(110)는 보행 시 의족(100)이 지면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부재(110)는 카본 파이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판부재(110)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부재(110)는 발가락 방향의 전방부와 발뒤꿈치 방향의 후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발판부재(110)는 엄지발가락 방향의 내측(예를 들어, 도 3의 310)과 새끼발가락 방향의 외측(예를 들어, 도 3의 320)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발판부재(110)의 전방부는 +y축 방향, 후방부는 -y축 방향, 내측은 -x축 방향, 외측은 +x축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연결부재(120, 130, 140)는 발판부재(110)와 어댑터부재(15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부재(120, 130, 140)는 입각기 과정에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20, 130, 140)는 카본 파이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20, 130, 14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20, 130, 140)는 각각 상이한 각도로 구배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20, 130, 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120), 제2 연결부재(130), 제3 연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발판부재(110)와 어댑터부재(15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120)는 일측에서 발판부재(110)의 전방부와 결합하고, 타측에서 어댑터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발판부재(1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0)는 발판부재(110)와 제3 연결부재(14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재(130)는 일측에서 발판부재(110)의 후방부와 결합되고, 타측에서 제3 연결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0)는 발판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40)는 제2 연결부재(130)와 어댑터부재(150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제3 연결부재(140)는 일측에서 제2 연결부재(140)와 결합되며, 타측에서 어댑터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40)는 발판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 130, 140)는 인체의 발목을 구현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20, 130, 140)는 내측과 외측 간의 착용자 무게 중심 이동을 자연스럽게 구현함으로써, 입각기 과정에서의 발목 관절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20, 130, 140)는 초기 입각기부터 중간 입각기까지 발판부재(110) 전체가 지면에 닿는 시간을 길게 확보함으로써, 입각기 전체에서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족(100)의 외측에서 발생하는 연결부재(120)의 변형은 의족(100)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연결부재(130, 140)의 변형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족(100)의 외측에서는 제1 연결부재(120) 1개만이 발판부재(110)와 어댑터부재(150)를 연결하지만, 의족(100)의 내측에서는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 2개가 발판부재(110)와 어댑터부재(15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입각기 과정에서 내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는 외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120)보다 더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20)와 제2 연결부재(130)는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20)와 제2 연결부재(130)는 측면(즉, 도 2의 x 축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 y-z 평면 상에서 서로 X 자로 교차될 수 있다. 따라서, 의족(100)은 입각기 과정에서 제1 연결부재(120)와 제2 연결부재(130)의 상보적인 변형을 통해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어댑터부재(150)는 의족(100)과 인체(미도시)를 연결 및/또는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부재(110)의 후방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부재(150)는 하측(예를 들어, -z축 방향)에서 연결부재(120, 130, 140)와 결합되고, 상측(예를 들어, +z축 방향)에서 인체(미도시) 또는 의지(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재(110), 연결부재(120, 130, 140), 어댑터부재(150)의 구조와 그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족(100)은 발판부재(110), 연결부재(120, 130, 140), 어댑터부재(150)가 상호 결합된 구조물이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부재(110)의 전방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홀(212)이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 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의 +y축 방향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3 결합 홀(222)이 형성되고, -y축 방향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4 결합 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0)의 -y축 방향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5 결합 홀(232)이 형성되고, +y축 방향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6 결합 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40)의 +y축 방향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7 결합 홀(242)이 형성되고, -y축 방향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8 결합 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부재(150)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9 결합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부재(110)와 제1 연결부재(120)는 각각 제1 결합 홀(212)과 제3 결합 홀(222)의 나사 또는 볼트/너트 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재(110)와 제2 연결부재(130)는 각각 제2 결합 홀(214)과 제5 결합 홀(232)의 나사 또는 볼트/너트 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0)와 제3 연결부재(140)는 각각 제6 결합 홀(234)과 제7 결합 홀(242)의 나사 또는 볼트/너트 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와 어댑터부재(150)는 각각 제4 결합 홀(224)과 제9 결합 홀의 나사 또는 볼트/너트 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140)와 어댑터부재(150)는 제8 결합 홀(244)과 제9 결합 홀의 나사 또는 볼트/너트 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부재(150)는 인체 또는 의지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부재(150)는 상부에 결합부(256)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절단하지, 의지 또는 파일론)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5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부재(150)의 +z축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100)의 상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족(100)은 엄지발가락 방향의 내측(310)과 새끼발가락 방향의 외측(320)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입각기 과정에서, 의족(100) 착용자의 무게 중심은 내측(310)과 외측(320)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해, 제1 연결부재(120)는 발판부재(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는 발판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부재(110)의 전방부와 체결되는 제1 연결부재(120)의 일단은 발판부재(110)의 전방부에 형성된 2 개의 결합홀을 이용하여 발판부재(110)의 외측 및 내측과 모두 체결될 수 있다. 발판부재(110)의 후방부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재(130)의 일단은 발판부재(110)의 후방부에 형성된 2 개의 결합부를 이용하여 발판부재(110)의 외측 및 내측과 모두 체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재(120)는 발판부재(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는 발판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되더라도, 발판부재(110)의 외측 및 내측을 모두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의족(100)의 안정성과 밸런스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100)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족(100)은 지지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제1 연결부재와 발판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는 제2 연결부재와 발판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와 발판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는 전체적으로 위로 솟은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제1 연결부재(120)의 일부 및 제2 연결부재(130)의 일부와 접하고, 발판부재(110)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도 4의 도면부호 410 참고).
지지부재는 입각기 과정에서 제1 연결부재(120) 및 제2 연결부재(1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각기 과정에서 보행자의 무게에 의해 제1 연결부재(120) 및 제2 연결부재(130)가 하측(-z축 방향)으로 변형될 경우, 지지부재는 제1 연결부재(120) 및 제2 연결부재(130)를 상측(+z축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의족(100) 착용자의 체중을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는 도면 부호 410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1 연결부재(120) 및 제2 연결부재(130)를 지지하기 용이한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는 제1 연결부재(120) 및 제2 연결부재(130)를 상측(+z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용이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도면 부호 410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체중 지탱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부재(120, 130, 140)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의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의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부재(150) 하측에 단차(252, 2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를 이용하여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가 결합된 높이와 제1 연결부재(12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가 결합된 높이가 제1 연결부재(120)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는 발판부재(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정도를 의미한다.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외측과 내측의 탄성력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단차(252, 254)는 하단부(252)와 상단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254)는 하단부(252)보다 상측(+z축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252)는 의족(100)의 외측(+x축 방향)에 형성되고, 상단부(254)는 의족(100)의 내측(+-축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재(120)는 하단부(252)와 결합되고, 제3 연결부재(140)는 상단부(254)와 결합될 수 있다. 하단부(252)가 외측에 형성되고 상단부(254)가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는 외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120)보다 z 축 상에서 더 큰 폭으로 휘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20, 130, 140)가 외측과 내측에서 상이한 변형 정도를 가짐으로써, 입각기 과정에서 착용자의 무게 중심이 내측과 외측 간에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입각기부터 중간 입각기까지 발판부재 전체가 닿는 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입각기 전체에서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연결부재이다.
도 6에 개시된 제2 연결부재(630) 및 제3 연결부재(640)는 도 1에 개시된 제2 연결부재(130) 및 제3 연결부재(140)와 비교할 때,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 간의 결합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2 연결부재(630) 및 제3 연결부재(64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비교할 때 서로 간의 결합 부위의 폭이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의 경우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는 2 개의 결합 홀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그로 인해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제2 연결부재(630) 및 제3 연결부재(640)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폭을 조절함으로써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사람의 보행 주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람의 보행 주기는 입각기(stance phase) 및 유각기(swing phase)로 구성될 수 있다. 입각기는 지면에 발(예를 들어, 도 9에서 흰색으로 도시된 발)이 닿는 순간부터 지면으로부터 발을 완전히 떼는 순간까지의 시기를 의미하며, 도 9에 도시된 a 내지 d 단계에 해당한다. 유각기는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순간부터 지면에 발을 딛는 순간까지의 시기를 의미하며, 도 9에 도시된 e 내지 g 단계에 해당한다.
종래의 의족은, 처음 발뒤꿈치가 닿는 입각기 초기(a)부터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는 입각기 중기(b 또는 c)까지의 보행 속도는 빨라지고, 입각기 중기(b 또는 c)부터 입각기 말기(d)까지의 보행 속도는 느려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족은 보행 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내리막 경사에 의해 의족 전면부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의족 착용자의 피로감이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족은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족(도 1의 100)은, 외측과 내측에서 상이한 변형 정도를 갖는 연결부재(도 1의 120, 130, 140)를 통해, 입각기 초기(a)부터 입각기 중기(b 또는 c)까지 발판부재(도 1의 110) 전체가 지면에 닿는 시간을 길게 확보함으로써, 입각기 전체에서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5)

  1. 지면에 닿는 발판부재;
    인체와 결합되는 어댑터부재; 및
    상기 발판부재와 상기 어댑터부재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상기 발판부재의 전방부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상기 어댑터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상기 발판부재의 후방부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상기 제3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일측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와 결합하며, 타측에서 상기 어댑터부재와 결합하는, 의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발판부재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발판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은 엄지발가락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외측은 새끼발가락 방향에 해당하며, 의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발판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상기 발판부재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재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상단부와 결합되는, 의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3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폭을 변경할 수 있는, 의족.
PCT/KR2022/009365 2021-06-29 2022-06-29 의족 WO202327759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77 2021-06-29
KR20210085177 2021-06-29
KR10-2021-0128019 2021-09-28
KR1020210128019A KR102483561B1 (ko) 2021-06-29 2021-09-28 의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592A1 true WO2023277592A1 (ko) 2023-01-05

Family

ID=8469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9365 WO2023277592A1 (ko) 2021-06-29 2022-06-29 의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7759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767A (en) * 1992-11-17 1997-08-05 Medonics, Llc Prosthetic foot
US7578852B2 (en) * 2001-03-30 2009-08-25 Bioquest Prosthetics, Llc Prosthetic foot with tunable performance and improved vertical load/shock absorption
KR101650171B1 (ko) * 2014-10-08 2016-08-23 주식회사 박의지 보행 안정성을 위한 의족 및 의족 프레임
US20170027716A1 (en) * 2009-11-25 2017-02-02 Otto Bock Healthcare Gmbh Prosthetic foot
US20180271678A1 (en) * 2015-09-18 2018-09-27 Össur Iceland Ehf Magnetic locking mechanism for prosthetic or orthotic joi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767A (en) * 1992-11-17 1997-08-05 Medonics, Llc Prosthetic foot
US7578852B2 (en) * 2001-03-30 2009-08-25 Bioquest Prosthetics, Llc Prosthetic foot with tunable performance and improved vertical load/shock absorption
US20170027716A1 (en) * 2009-11-25 2017-02-02 Otto Bock Healthcare Gmbh Prosthetic foot
KR101650171B1 (ko) * 2014-10-08 2016-08-23 주식회사 박의지 보행 안정성을 위한 의족 및 의족 프레임
US20180271678A1 (en) * 2015-09-18 2018-09-27 Össur Iceland Ehf Magnetic locking mechanism for prosthetic or orthotic joi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786B2 (en) Prosthetic ankle module
WO2009088235A2 (ko) 베어링 부재에 곡률부가 형성된 인공 슬관절
WO2009088236A2 (ko) 개선된 포스트 및 개선된 캠 구조를 갖는 인공 슬관절
WO2021261942A1 (ko) 인공무릎관절
WO2009088234A2 (ko) 대퇴골 결합부재에 복수의 곡률부가 형성된 인공 슬관절
WO2013122313A1 (ko) 인공 슬관절
WO2019160314A1 (ko) 족하수 보조기
WO2023277592A1 (ko) 의족
WO2020080731A1 (ko) 아치패드를 포함하는 신발
WO2014208910A1 (ko) 보행 훈련 장치
Yang et al. Differences in gait patterns of unilateral transtibial amputees with two types of energy storing prosthetic feet
WO2021002536A1 (ko) 하이브리드형 의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95665A1 (ko) 의족
SU1454449A1 (ru) Протез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KR102483561B1 (ko) 의족
Krakauer et al. Hand and body position during locomotor behavior in the aye‐aye (Daubentonia madagascariensis)
WO2012033263A1 (ko) 영유아용 신발 및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라스트
CN108714065A (zh) 一种并联关节仿生假肢机械足
WO2009154399A2 (ko)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Lawson Control methodologies for powered prosthetic interventions in unilateral and bilateral transfemoral amputees
WO2022265464A1 (ko) 인공무릎관절
WO2016072629A1 (ko) 대퇴골 결합부재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 슬관절
WO2019117389A1 (ko) 의지발
WO2024101968A1 (ko) 의지 체결장치
Drevelle et al. Analysis of ankle stiffness for asymptomatic subjects and transfemoral amputees in daily living situ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336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