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49168A1 - 배액관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배액관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49168A1
WO2023249168A1 PCT/KR2022/016170 KR2022016170W WO2023249168A1 WO 2023249168 A1 WO2023249168 A1 WO 2023249168A1 KR 2022016170 W KR2022016170 W KR 2022016170W WO 2023249168 A1 WO2023249168 A1 WO 20232491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ide device
inserter
guide
drainage pipe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1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김재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김재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Publication of WO20232491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491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pipe guide device.
  • Drainage tube is used to insert a drain tube into the surgical site to observe the drainage of bodily fluids or bleeding after surgery, and to observe the discharge and bleeding of secretions from the wound, secretions accumulated in the body, and secretions after surgery and procedures. is inserted as
  • the drainage tube is fixed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operator.
  • the drainage tube often moves away from its fixed position within a few days after surgery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testinal tract (peristalsis), which occupies most of the space in the abdominal cavity.
  •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rainage tube which is to drain unnecessary body fluids, blood, or secretions, becomes impossible and virtually loses its function.
  • the current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is to fix the drainage tube to the peritoneum in the abdominal cavity using sutures, but the results of this method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the abdominal cavity is made up of the abdominal wall.
  • the abdominal wall is largely made up of skin, subcutaneous fat, muscle layer covered with fascia on the front and back, fascia, peritoneal fat layer, and peritoneum. Since the drainage tube itself is a soft material, an auxiliary device is needed to move the drainage tube to the desired location through a route outside the peritoneum. Insertion of an auxiliary device that creates a tunnel along the abdominal wall parallel to the curve of the abdominal cavity must be done without damaging tissues and organs. Among the layers of the abdominal wall, the layer that is least damaged and can be easily moved is the preperitoneal fat tissue plane.
  • the surface of the abdominal cavity is curved, but if the assistive device is straight, damage to blood vessels and structures may occur while penetrating between curved tissues.
  • the preperitoneal fat tissue plane is a physically weak tissue layer and can easily peel off. Therefore, among possible routes outside the abdominal cavity, passing through the preperitoneal fat tissue plane is the easiest and safest way to reach the target point.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pipe guide device that can guide the drainage pipe to the target point while peeling the extraperitoneal fat layer without damaging tissues and organs.
  • a drain tube guide device includes an outer inserter inserted along the abdominal wall, and an inner inserter inserted into a hollow of the outer inserter and inserted while peeling tissue in front of the outer inserter, and the outer inserter is unilaterally inserted. It includes an extended head portion and a guide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 the head part may include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of the guide tube at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inner inserter or drainage tube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 the inner inserter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head portion, and a penetr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inner inserter.
  •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guide tube.
  •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end.
  • the head portion may have fasten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and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that protrudes on both sides and fits into the fastening groove.
  • the length of the guide tube may be 21 cm or more and 31 cm or less.
  • the guide tube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curved shape.
  • the drainage tube can be guided to the target point while peeling off the extraperitoneal fat layer without damaging tissues or organs.
  • drainage tube can be inserted and performed through a route outside the peritoneum, drainage can be performed for a desired period without the drain tube being displaced due to intestinal movement or physical movement after surgery.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pipe guid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outer inserter and the inner inserter of the drainage tube guid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uide tube of an external inse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trusion of the inner inse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pipe guid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outer inserter and the inner inserter of the drainage tube guid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uide tube of an external inse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trusion of the inner inse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a drainage tube guide device includes an outer inserter 100 and an inner inserter 200.
  • the abdominal cavity is made up of the abdominal wall.
  • the abdominal wall is composed of skin, subcutaneous fat, fascia, a muscular layer covered with fascia on the front and back, peritoneal fat layer, and peritoneum.
  • the external inserter 100 may be inserted parallel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abdominal cavity along the abdominal wall.
  • the inner inserter 2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outer inserter 100 and can be inserted while peeling tissue in front of the outer inserter 100.
  • the inner inserter 20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inserter 100, and a drainage tube can be inserted through the inlet 111 of the outer inserter 100.
  • the external inserter 100 may include a head 110 and a guide tube 120.
  • the head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nd may include an inlet 111 through which the inner inserter 200 or the drainage pipe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surface.
  • the inlet 111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of the guide pipe 120.
  • the head portion 110 is an example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have a rod shape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or a spherical shape with curved surfaces, or it may be a polyhedron with six or more sides.
  • the head portion 110 is an embodiment of a rod or bar shape that extends in both directions so as to function as a handle, and has a plurality of grip grooves (not shown) that are in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the user's grip. It can be included.
  • the grip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grooves facing inward to fit the shape of the finger for a comfortable grip when the user holds the head 10 in his hand.
  • the head portion 110 may have fastening grooves 1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11.
  • the guide tube 120 may be formed as a hollow typ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1, and may guide the inner inserter 200 or the drainage pip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 the guide tube 12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11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spiral direction to form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bdominal cavity is usually about 30 to 50 cm, the horizontal axis is about 20 to 30 cm, and the cross-sectional radius of the abdominal cavity is about 10 to 20 cm, which varies depending on body type.
  • the guide tube 120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a curve radius of 12 to 42 cm so that it can move smoothly along the abdominal cavity, considering the curved shape of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width and depth of the abdominal cavity.
  • the guide tube 120 may have a length of 21 to 31 cm, consider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abdominal cavity.
  • the guide tube 12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metallic material that has a hardness that does not bend.
  • the guide tube 120 may be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bent.
  • the inner inserter 20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210 and a penetrating part 220.
  • the fastening part 210 may be coupled to the head part 110 of the external inserter 100.
  • the fastening part 210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and may include a locking part 211 that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2 of the head part 110.
  • the fastening part 2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 the bar shapes on both sides of the head part 110 and the bar shapes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art 210 may be vert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 the bar shapes on both sides of the head part 110 and the bar shapes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art 210 may have a criss-cross shape. Through this, the user's grip can be facilitated.
  • the penetrating par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inner inserter 200 through the inlet 111.
  • one side of the penetrating part 220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221 that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guide tube 120.
  • the protrusion 221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end. That is, the protrusion 221 may have a round shape with no sharp ends.
  • the protrusion 221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with a non-sharp end.
  • the inner inserter 200 In a state where the inner inserter 200 is coupled to the outer inserter 100, i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extraperitoneal path (e.g., extraperitoneal fat layer) through the protrusion 221 while preventing damage to organs and blood vessels outside the peritoneum. You can.
  • the extraperitoneal path e.g., extraperitoneal fat layer
  • the guide tub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irally extended to have a length of 21 to 31 cm and a curve radius of 12 to 42 cm.
  • This numerical limitation is a range that can vary depending on differences in body shape in enabling the patient to reach the farthest target point from the abdominal drainage tube insertion point, where the drain tube is commonly inserted. Inserting an extraperitoneal drainage tube minimizes the movement of the drainage tube due to intestinal peristalsis, thereby enabling the discharge of body fluid in the abdominal cavity effectively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ch increases the treatment effect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that is, inserting and fixing an intraperitoneal drainage tube through the abdominal cavity. make it possib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pipe guide device including a protrusion 221 with a non-sharp end, which reaches the target point while peeling off the extraperitoneal fat layer without damaging tissues and organs, thereby inserting a drainage pipe through the retroperitoneal cavity to remove body fluid in the abdominal cavity. can be discharged, mak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fixing the drainage tube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the existing surgical site easier, thereby increasing the treatment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ery (AREA)

Abstract

복벽을 따라 인입되는 외측 삽입기, 그리고 상기 외측 삽입기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외측 삽입기의 전방에서 조직을 박리하면서 인입되는 내측 삽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삽입기는 일방으로 연장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액관 가이드 장치
본 발명은 배액관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액관(Drainage tube)은 수술 후 체액의 배액이나 출혈의 관찰을 위하여 수술 부위에 배액관을 투입하여 상처의 분비물,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 및 수술 및 시술 후 분비물의 배액과 출혈을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체로 삽입된다.
이때, 배액관은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배액관은 복강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장관의 운동(연동 운동)으로 인하여 수술 후 수일 이내에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배액관의 원래의 목적인 불필요한 체액, 혈액 혹은 분비물의 배액이 불가능하게 되어 사실상 기능을 잃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재의 방법으로는 배액관을 복강내 복막에 봉합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의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에는 배액관의 용이하고 효과적인 고정을 위하여 복강 내가 아닌 복강 밖 즉, 복막 밖의 경로를 통하여 배액관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복강 내에서 배액관이 직접 삽입되었던 이전보다 향상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강은 복벽에 의해 구성된다. 복벽은 크게 피부, 피하 지방층, 앞뒤가 근막으로 싸인 근육층, 근막, 전복막 지방층, 복막으로 이루어 진다. 배액관 자체는 부드러운 재질이므로 복막 밖의 경로를 통하여 배액관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보조 기구가 필요하다. 복벽을 따라 복강의 곡면과 평행하게 터널을 만들어가는 보조기구의 삽입은 조직 및 장기 손상이 없이 이루어 져야 한다. 복벽 구성층들 중 가장 손상이 적고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층이 전복막 지방층(preperitoneal fat tissue plane)이다. 복강면은 곡면인데 보조기구가 직선이면 곡면 조직사이를 뚫고 들어가는 동안 혈관 및 구조물의 손상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전복막 지방층(preperitoneal fat tissue plane)은 물리적으로 약한 조직층이므로 쉽게 박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강외의 가능한 경로 중 전복막 지방층(preperitoneal fat tissue plane)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쉽고 안전하게 목표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막 밖을 통한 배액관의 삽입은 현재의 기술로는 불가능 하며 이 목적을 위하여 가이드 또는 보조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기존의 배액관 및 그 관련 장치들 중에서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장치가 전무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직 및 장기의 손상 없이 복막외 지방층을 박리하면서 목표지점까지 도달하여 배액관을 안내할 수 있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액관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액관 가이드 장치는 복벽을 따라 인입되는 외측 삽입기, 그리고 상기 외측 삽입기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외측 삽입기의 전방에서 조직을 박리하면서 인입되는 내측 삽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삽입기는 일방으로 연장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면에서 상기 내측 삽입기 또는 배액관이 상기 가이드관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의 중공에 연통되는 인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삽입기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내측 삽입기의 중공에 삽입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끝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인입구의 양쪽으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양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함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의 길이는 21cm 이상 내지 31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은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조직 및 장기의 손상 없이 복막외 지방층을 박리하면서 목표지점까지 도달하여 배액관을 안내할 수 있다.
복막외측의 경로를 통해 배액관의 삽입 및 시술이 가능함에 따라 수술 후 장관의 운동이나 신체적 움직임에 의한 배액관의 위치 이탈 없이 원하는 기간까지 배액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가이드 장치의 외측 삽입기 및 내측 삽입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외측 삽입기의 가이드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삽입기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가이드 장치의 외측 삽입기 및 내측 삽입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외측 삽입기의 가이드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삽입기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가이드 장치는 외측 삽입기(100), 내측 삽입기(200)를 포함한다.
복강은 복벽에 의해 구성된다. 복벽은 피부, 피하 지방층, 앞뒤가 근막으로 싸인 근육층 근막, 전복막지방층, 복막으로 구성된다.
외측 삽입기(100)는 한 실시예로서, 복벽을 따라 복강의 곡면과 평행하게 인입될 수 있다.
내측 삽입기(200)는 한 실시예로서, 외측 삽입기(100)의 중공에 삽입되며, 외측 삽입기(100) 전방에서 조직을 박리하면서 인입될 수 있다. 목표지점에 도달하면 내측 삽입기(200)는 외측 삽입기(100)와 분리되고, 외측 삽입기(100)의 인입구(111)를 통해 배액관(Drainage tube)이 삽입될 수 있다.
외측 삽입기(100)는 한 실시예로서, 헤드부(110), 가이드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서 내측 삽입기(200) 또는 배액관이 인입되는 인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구(111)는 한 실시예로서, 가이드관(120)의 중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구형 상을 갖거나, 육면 이상의 다면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헤드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또는 막대 형상으로서 사용자의 그립을 위하여 내향 및 상호 이격된 복수의 그립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홈(미도시)은 사용자가 헤드부(10)를 손에 쥘 때, 편안한 그립감을 위하여 손가락 형상에 맞도록 내향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인입구(111)의 양쪽으로 체결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한 실시예로서, 인입구(111)와 연통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입구(111)를 통해 인입되는 내측 삽입기(200) 또는 배액관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한 실시예로서, 헤드부(110)의 하면에 하향 연장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도록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강 종축은 대개 30~50cm정도이고, 횡축은 20~30cm정도이며, 복강 단면 반경은 10~20cm정도로 체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가이드관(120)은 한 실시예로서, 복강 내 곡면 형상, 복강의 폭과 깊이를 고려하여, 복강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커브 반경이 12~42cm인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한 실시예로서, 복강의 폭과 깊이를 고려하여, 21~31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한 실시예로서, 휘어 지지 않는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한 실시예로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삽입기(200)는 한 실시예로서, 체결부(210), 관통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0)는 한 실시예로서, 외측 삽입기(100)의 헤드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210)는 한 실시예로서, 양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헤드부(110)의 체결홈(112)에 끼움결함되는 걸림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0)는 한 실시예로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체결부(210)가 헤드부(110)에 결합시 헤드부(110)의 양측 막대 형상과 체결부(210)의 양측 막대 형상은 서로 수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체결부(210)가 헤드부(110)에 결합시 헤드부(110)의 양측 막대 형상과 체결부(210)의 양측 막대 형상은 열십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그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관통부(220)는 한 실시예로서, 인입구(111)를 통해 내측 삽입기(20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관통부(220)의 일측은 체결부(210)에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관(120)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1)는 한 실시예로서, 끝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21)는 끝이 날카롭지 않은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21)는 한 실시예로서, 끝이 날카롭지 않은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끝이 날카롭지 않은 돌출부(221)를 통해, 조직 및 장기의 손상 없이 복막외 지방층을 박리하면서 목표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다.
내측 삽입기(200)가 외측 삽입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221)를 통해 복막외 경로(예, 복막외 지방층)로 용이하게 인입되면서도 복막 밖의 장기 및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관(120)은 21~31cm의 길이와 12~42cm의 커브 반경으로 갖도록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 한정은, 흔히 배액관을 삽입하는 복부 배액관 삽입부에서 가장 먼 목표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하는데 있어서, 체형의 차이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범위이다. 복강외 배액관 삽입은 장의 연동운동에 의한 배액관의 이동을 최소화함으로써 복강 내의 체액 배출을 장기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기존 방법 즉, 복강을 통한 복강내 배액관 삽입 및 고정하는 시술보다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끝이 날카롭지 않은 돌출부(221)를 포함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직 및 장기의 손상 없이 복막외 지방층을 박리하면서 목표지점까지 도달함으로써, 후복강을 통해 배액관을 삽입하여 복강 내의 체액을 배출할 수 있어 기존의 수술부위를 통해 복강 내로 배액관을 삽입 및 고정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복벽을 따라 인입되는 외측 삽입기, 그리고
    상기 외측 삽입기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외측 삽입기의 전방에서 조직을 박리하면서 인입되는 내측 삽입기
    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삽입기는
    일방으로 연장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면에서 상기 내측 삽입기 또는 배액관이 상기 가이드관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의 중공에 연통되는 인입구를 포함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내측 삽입기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내측 삽입기의 중공에 삽입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인입구의 양쪽으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양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관의 길이는 21cm 이상 내지 31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관은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가이드 장치.
PCT/KR2022/016170 2022-06-22 2022-10-21 배액관 가이드 장치 WO202324916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24A KR102550971B1 (ko) 2022-06-22 2022-06-22 배액관 가이드 장치
KR10-2022-0075924 2022-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168A1 true WO2023249168A1 (ko) 2023-12-28

Family

ID=8715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170 WO2023249168A1 (ko) 2022-06-22 2022-10-21 배액관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0971B1 (ko)
WO (1) WO20232491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711A (en) * 1992-06-02 1996-07-30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veloping an anatomic space for laparoscopic procedures with laparoscopic visualization
US20030088212A1 (en) * 2001-07-17 2003-05-08 Michael Tal Tunneler-needle combination for tunneled catheter placement
KR200429409Y1 (ko) * 2006-08-01 2006-10-20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복수 배출용 카테터
US20160089180A1 (en) * 2014-09-30 2016-03-31 Fateh Entabi Surgical tools and system for safely accessing body cavit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90124575A (ko) * 2018-04-26 2019-11-05 (주)프라임메드 내시경 일체형 생체 조직 박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89B1 (ko) 2020-01-10 2021-12-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711A (en) * 1992-06-02 1996-07-30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veloping an anatomic space for laparoscopic procedures with laparoscopic visualization
US20030088212A1 (en) * 2001-07-17 2003-05-08 Michael Tal Tunneler-needle combination for tunneled catheter placement
KR200429409Y1 (ko) * 2006-08-01 2006-10-20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복수 배출용 카테터
US20160089180A1 (en) * 2014-09-30 2016-03-31 Fateh Entabi Surgical tools and system for safely accessing body cavit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90124575A (ko) * 2018-04-26 2019-11-05 (주)프라임메드 내시경 일체형 생체 조직 박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NG, Sung Il et al. Introduction of several ways to secure the drain tube in the pelvic cavity after proctectomy. 대한대장항문학회 제55차 학술대회 (The Korean Society of Coloproctology 55th Annual Meeting). 09 April 2022, p. 2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971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551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multi-lumen split-tip catheters into a blood vessel
JP4663884B2 (ja) 制御可能な内視鏡シース装置
EP2508117B1 (en) Insertion aid, and endoscope device
AU2010313314B2 (en) Flexible endoscope with modifiable stiffness
EP1187549B1 (en) Sleeve for a medical endoscope
EP3104923B1 (en) Bougie for facilitating an intubation
US20090259172A1 (en) Over tube
WO2013036023A2 (ko) 구형 부품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EP3095389B1 (en) Surgical tool insertion aid
CN102215735A (zh) 手术内窥镜
WO2020130551A1 (ko) 조직 적출 장치
WO2013009156A2 (ko) 엔드 이펙터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WO2023249168A1 (ko) 배액관 가이드 장치
US20110245615A1 (en) Bending-insertion assisting instrument and insertion path securing apparatus
WO2018093013A1 (ko)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WO2013054953A1 (ko) 수술기구 및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WO2024014621A1 (ko) 배액관 가이드 장치
WO2024010141A1 (ko) 배액관 가이드 장치
CN105072971A (zh) 用于结肠镜检查过程的密封装置
WO2016148432A1 (ko) 요도 카테터 삽입용 가이더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요도 카테터 키트
WO2011081293A2 (ko) 질 스페큘럼
JP2004305509A (ja)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のガイド部材
WO2018151508A1 (ko) 다곡률 카테터 및 수술용 의료장치
WO2022085884A1 (ko) 가변형 카테터
WO2021045400A2 (ko) 싱글 포트 수술 로봇용 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81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