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14794A1 -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14794A1
WO2023214794A1 PCT/KR2023/006034 KR2023006034W WO2023214794A1 WO 2023214794 A1 WO2023214794 A1 WO 2023214794A1 KR 2023006034 W KR2023006034 W KR 2023006034W WO 2023214794 A1 WO2023214794 A1 WO 20232147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deo
playback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60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제
정진우
이승호
김명균
문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32147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147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Definitions

  • the processor 160 additionally consider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objects of interest and determines whether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objects of interest exceeds a predefined value (T). Based on this, the playback mode can be identified (S33).
  • a playback mode can be reasonably selected by equally applying image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의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통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영상 매체나 플랫폼이 제작되면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때, 제작되는 영상은 크기나 비율이 서로 다르고, 이를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마다 해상도, 화면의 크기, 화면비가 서로 다르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특성상 사용자의 파지 방향이나, 재생 방향에 대한 설정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비율이나 크기가 달라져야 하는 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영상을 재생할 필요가 있다.
이때, 영상의 내용 변화에 무관하게 단순히 영상비율을 유지하면서 단말의 화면에 맞게 재생하거나, 단말의 화면비가 영상비와 맞지 않는 경우 등에는 검은 영상(필러 박스 또는 레터 박스)의 비중이 높아져 시청 만족도를 낮추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보다 적응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적응적으로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시청 만족도를 높이는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의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면적의 비율이 기 정의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영상의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식별한 경우 상기 영상이 상기 가로 모드 혹은 상기 세로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의 입술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의 화면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재생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변화한 화면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재생 모드로 상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적응적 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면적의 비율이 기 정의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영상의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비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식별한 경우 상기 영상이 상기 가로 모드 혹은 상기 세로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의 입술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의 화면비 및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재생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편집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변화한 화면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재생 모드로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영상이나 전자장치의 물리적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 또한 반영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바, 사용자의 시청 몰입감 및 시청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에 따른 적합한 재생 모드를 식별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청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영상 재생 기술을 적극적으로 채용하되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재생 모드의 전환에 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영상을 편집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영상을 재생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영상을 재생하는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전자장치,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노트북, TV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100)는 모바일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자장치(100)에 세로보다 가로가 더 긴 방향(이하 가로 방향이라 한다.)으로 영상을 재생하는 모습(1)과, 가로보다 세로가 더 긴 방향(이하 세로 방향이라 한다.)으로 영상을 재생하는 모습(2)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은 동영상(video)을 의미하고, 전자장치(100)에 저장된 영상이거나, 서버 등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영상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은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파지하는 파지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자장치(100)는 영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에 따라 적합한 방향으로 파지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골프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00)는 스트리밍 되고 있는 영상 자체의 비율 등을 고려하여 가로 방향으로 재생하는 모습(1)과 같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가로 방향으로 영상을 시청하다가 세로 방향으로 전자장치(100)를 파지하거나, 골프 경기 특성 상 선수 등 특정 객체에 집중하면 몰입도가 높아지는 경우, 전자장치(100)는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동일한 영상을 세로 방향으로 재생하는 모습(2)과 같이 편집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영상을 재생하는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영상이 담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영상을 변환 및 재생한다. 이를 통해, 영상이나 단말 자체의 정보뿐 아니라 영상 내용을 고려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바 시청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센서(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전자장치(100)의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으며, 영상의 재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인 경우 제한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서버 등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영상을 포함하는 화면,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와, 프로세서(160)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으며, 메모리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하거나, 영상을 변환, 재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연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전자장치(100)나 그 주변의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부(150)는, 예를 들어,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근접 센서, RGB 센서, 밝기 센서, 홀 센서, 모션 센서, 온도/습도 센서, 기압계, 지자기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다양한 파지 방향에 있을 수 있으며, 센서부(150)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부(15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모션 센서 등과 같이 전자장치(100)의 파지 방향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센서 값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자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의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한다.
프로세서(160)는 영상 내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을 분석하거나, 관심 객체의 위치 추출 및 관심 객체 움직임 정보, 관심 객체가 사람인 경우 화자의 입술 변화,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요청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이와 같이 분석한 정보들을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하거나, 장면을 분석하여 요약한 정보들을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형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상기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한다(S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객체는 사람, 동물, 공 등 영상 내에서 주요하게 표시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프로세서(160)는 사전에 정의한 관심 객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관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심 객체에 관한 정보는 영상에 관한 다양한 영상 정보로부터 결정되거나, 영상에 나타나는 장면 분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 복수의 사람이 나타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복수의 사람의 입술 변화를 통해서 영상 내에 현재 화자가 어디에 있는지 정보를 추출하여 관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면,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간의 비교를 통해서 관심 객체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어떤 액션을 취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영상의 장면을 분석한 정보나, 관심 객체의 위치, 관심 객체의 움직임 정보, 화자의 입술 변화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관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에서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한다(S20).
프로세서(160)는 영상에서 관심 객체가 복수인 경우, 모든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의 합집합을 통해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영상에서 관심 객체가 복수인 경우, 관심 객체 간의 평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관심 객체 각 중심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평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후 S30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영상의 재생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과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재생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포함한다. 가로 모드란 전자장치(100)의 가로 방향에 적합하도록 영상의 세로보다 가로가 더 긴 재생 모드를 의미하고, 세로 모드란 전자장치(100)의 세로 방향에 적합하도록 영상의 가로보다 세로가 더 긴 재생 모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의 영상 정보 및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한다(S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객체 정보 이외에 재생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로써, 그 포함 가능한 정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영상의 장르, 영상의 크기나 화면비, 영상을 제작, 스트리밍하는 플랫폼, 방송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와 객체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가로 모드로 재생하는 것이 적합할 지, 세로 모드로 재생하는 것이 적합할 지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정보와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은 도 4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영상에 적합한 재생 모드는 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 모드의 전환을 적절히 조절하여 필요 이상으로 영상의 재생 모드를 전환하거나, 갑작스럽게 재생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생 모드의 전환에 대해서는 도 5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전자장치(100)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한다(S40).
재생 정보는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써, 파지 방향 이외에 영상의 크기나 화면비,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화면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50)를 통해 전자장치(100)의 파지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재생 모드가 결정이 되면,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비율에 맞게 영상을 편집하고 보정하여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영상을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영상이나 전자장치의 물리적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 또한 반영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바, 사용자의 시청 몰입감 및 시청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에 따른 적합한 재생 모드를 식별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청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S30과 관련하여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3과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의 영상 정보 및 객체 정보를 식별한다(S31).
이때, 영상 정보 중 영상의 장르는 관심 객체의 움직임이 활발한 동적 장르와 관심 객체의 움직임이 다소 적은 정적 장르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면,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간의 비교를 통해서 관심 객체의 움직임의 크기가 어떤지, 관심 객체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어떤 액션을 취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영상의 장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의 전체 면적 대비 관심 객체의 면적의 비율(이하 제1비율이라 한다.)이 기 정의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32).
제1비율이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S32의 Yes), 프로세서(160)는 가로 모드로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34).
다만, 제1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작은 경우(S32의 No), 프로세서(160)는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추가로 고려하여,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T)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33).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보다 크면(S33의 No), 프로세서(160)는 관심 객체가 전체 영역에 분포되었다고 판단하여 가로 모드로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34).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보다 작으면(S33의 Yes), 프로세서(160)는 관심 객체가 일부 영역에 집중되었다고 판단하여 세로 모드로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35).
만일 관심 객체가 하나인 경우에는 프로세서(160)는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보다 작다고 판단하여 세로 모드로 재생 모드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영상의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장르의 기준 비율은 0.5로 두고, 동적 장르의 기준 비율은 0.3으로 두는 등 정적 장르의 기준 비율을 동적 장르의 기준 비율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동적 장르인 경우에는 관심 객체가 계속해서 움직이므로 관심 객체의 면적으로 재생 모드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적 장르의 특성상 화면을 넓게 이용할 수 있는 가로 모드가 비중이 높게 선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의 영상 정보와 객체 정보를 고루 적용하여 합리적으로 재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재생 모드의 전환에 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S30과 관련하여 재생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가로 모드 혹은 세로 모드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510).
본 단계는 앞서 도 3의 일련의 동작을 통해서 결정된 재생 모드로 재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 정보 및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재생 모드의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520).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는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의 장르가 동적 장르에서 정적 장르로 변경되거나, 세로 모드로 재생하는 중 관심 객체 간의 거리가 멀어져 가로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는 등 영상 정보 및 객체 정보를 참조하여 다양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160)는 전자장치(100)의 파지 방향의 전환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S520의 No), 기존 재생 모드로 재생할 수 있다(S550).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영상에 적합한 재생 모드는 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다. 다만, 필요 이상으로 영상의 재생 모드를 전환하거나, 갑작스럽게 재생 모드를 전환하게 되는 경우 시청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재생 모드의 전환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식별한 경우(S520의 Yes), 영상이 기존 재생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5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이 기존 재생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인 경우(S530의 Yes), 재생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540). 이때, 기 정의된 시간은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프로세서(160)가 사용자의 시청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는 임계 시간을 식별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이 기존 재생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S530의 No), 기존 재생 모드로 재생할 수 있다(S550). 이는 재생 모드가 전환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며, 시청자의 혼란 및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기존 재생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영상 재생 기술을 적극적으로 채용하되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영상을 편집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S40과 관련하여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 및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를 포함하는 재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41).
영상이 제작된 가로 세로 비율과 디스플레이의 화면 비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바, 이를 맞추어 재생하기 위해 재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식별한 재생 정보에 따라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S42).
영상 편집의 기법에는 영상의 일정 부분을 디스플레이에 맞게 크롭(crop)하거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상의 화질을 높이는 고해상화(Super-resolution)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을 보다 높은 해상도로 비율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이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또한, 2 이상의 기술을 조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영상을 크롭하는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위치 정보나 화자의 위치 정보 등 영상을 분석한 정보들을 이용해서 적절한 화면 재생 영역을 판단하고, 화면 재생 영역을 크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영상을 세로 모드로 재생하는 경우, 사람이나 동물 등 관심 객체를 중심으로 부분 크롭하여 세로가 긴 비율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영상을 가로 모드로 재생하는 경우, 영상 크기 조정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도록 화면비를 유지하면서 잘라낼 수 있다.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여 크롭한 경우에는 영상의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초고해상화와 같은 해상도 향상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목표 해상도 비율을 계산하여 고해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편집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S43).
화질 개선의 기법에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노이즈, 흐릿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선명하게 하는 디블러링, 영상 경계를 확장하는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을 보다 높은 화질로 비율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이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보정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4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결정된 재생 모드에 맞게 영상을 편집하고 화질 개선하여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영상을 재생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영상 변환 기술의 적용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영상 변환 기술에 대해 사용자가 이를 적용하지 않고, 지정하는 파지 방향으로 재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영상을 재생한다(S710).
프로세서(160)는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720).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이란, 가로 모드 혹은 세로 모드로 고정하여 재생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고, 어느 모드로 재생을 하든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영상 재생 기술을 적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미리 확인함으로써 적응적 영상 재생 기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식별하지 않아도 되는 바, 전자장치(100)의 연산량이나 배터리 사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720의 Yes),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된 재생 모드로 재생한다(S750).
프로세서(160)는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으면(S720의 No),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한다(S730).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는 영상 정보 및 객체 정보를 참조하여 다양하게 식별할 수 있다. 추가로, 영상 정보는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변화하며 사용할 수 있는 이른바 폴더블 단말이나 롤러블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화 혹은 해상도의 변화를 식별하고, 그에 기초하여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S730의 Yes), 프로세서(160)는 영상의 영상 정보 및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재생 모드로 재생할 수 있다(S740).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S730의 No), 프로세서(160)는 기존 재생하고 있는 재생 모드로 재생할 수 있다(S7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응적 영상 재생 기술을 적용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사용 의사를 확인하는 바, 전자장치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영상을 재생하는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전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전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는 영상을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전자장치(100) 자체를 움직이는 경우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거나,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전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 영역이나 화면비를 변환하면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을 변환하는 기술은 앞서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711152846
[과제번호]2021-0-00802-002
[부처명]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명]정보통신기획평가원
[연구사업명]미디어지능화기술개발(R&D)
[연구과제명]속성을 유지하는 지능적 미디어 화면비 변환 기술 개발
[기여율]1/1
[과제수행기관명]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연구기간]2021.04.01 ~ 2024.12.31

Claims (18)

  1.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의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면적의 비율이 기 정의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영상의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비율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식별한 경우 상기 영상이 상기 가로 모드 혹은 상기 세로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전환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의 입술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의 화면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재생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변화한 화면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재생 모드로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전자장치.
  10.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적응적 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에 나타나는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재생할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파지 방향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면적의 비율이 기 정의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영상의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비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객체 간 평균 거리가 기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는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재생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식별한 경우 상기 영상이 상기 가로 모드 혹은 상기 세로 모드로 기 정의된 시간 이상 재생 중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의 입술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재생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의 화면비 및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재생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편집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변화한 화면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재생 모드로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PCT/KR2023/006034 2022-05-04 2023-05-03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WO20232147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237 2022-05-04
KR1020220055237A KR20230155720A (ko) 2022-05-04 2022-05-04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794A1 true WO2023214794A1 (ko) 2023-11-09

Family

ID=8864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6034 WO2023214794A1 (ko) 2022-05-04 2023-05-03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5720A (ko)
WO (1) WO202321479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595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57477A (ko) * 2018-11-16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78813A (ko) *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를 합성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1728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20220030779A (ko)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의 형태를 변환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595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57477A (ko) * 2018-11-16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78813A (ko) *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를 합성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1728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20220030779A (ko)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의 형태를 변환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720A (ko) 202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8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metadata for virtual reality
WO2018128472A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sharing
WO2013157848A1 (en) Method of displaying multimedia exercise content based on exercise amount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21036542A1 (zh) 录屏方法及移动终端
WO2014157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experience in sharing screen among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81693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nd streaming of virtual reality media content
WO2020251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hdr) image creation of dynamic scenes using graph cut-based labeling
WO20171961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navigation
WO20181745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WO20180384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ndering 360-degree multimedia content
WO2018129792A1 (zh) Vr播放方法、vr播放装置及vr播放系统
WO2019035581A1 (ko) 서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213439A1 (ko) 멀티 스티커를 이용한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21056766A1 (zh) 视频截屏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71548A1 (zh) 终端拍照控制方法、移动终端及可读储存介质
WO2019054611A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9037542A1 (zh) 电视信源的预览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602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image of electronic device
WO2023214794A1 (ko) 적응적 영상 재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WO2020101189A1 (en) Image and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O2019098619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WO2023282425A2 (ko) 지능적 가로-세로 영상 변환을 위한 전자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9135512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24197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75925A1 (ko)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996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