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4520A1 - 무선전력 송신모듈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송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4520A1
WO2023204520A1 PCT/KR2023/004966 KR2023004966W WO2023204520A1 WO 2023204520 A1 WO2023204520 A1 WO 2023204520A1 KR 2023004966 W KR2023004966 W KR 2023004966W WO 2023204520 A1 WO2023204520 A1 WO 20232045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receiving groove
shielding member
transmissio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49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길재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ublication of WO20232045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45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1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Definitions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0, 200, 200',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110, a shielding member 12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240, 240') as shown in FIGS. 1 to 8. ,240").
  • the fixing adhesive member 1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S) facing each other and one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무선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인입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에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싸는 부분이 상기 차폐부재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에 구비되는 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송신모듈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력 전송기술은 충전시 별도의 유선케이블이 불필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좋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기술은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전력 전송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은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서로 정렬되어야 요구되는 충전효율을 만족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안테나의 중앙부 측에 정렬용 영구자석을 배치함으로써 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과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 주변에 영구자석이 배치되면, 영구자석에 의한 영향으로 충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사용되는 차폐부재는 안테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영구자석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차폐부재에 수용홈을 형성하면, 수용홈을 규정하면서 안테나의 측부를 감싸는 부분은 판상의 부분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가 취성이 강한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면, 수용홈을 규정하면서 안테나의 측부를 감쌀 수 있도록 판상의 부분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된 부분은 외부충격에 매우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즉,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용홈이 형성된 차폐부재를 채용한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낙하테스트시 수용홈을 규정하면서 안테나의 측부를 감싸는 부분이 충격에 의해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낙하테스트시 수용홈을 규정하면서 안테나의 측부를 감싸는 부분이 충격에 의해 떨어지거나 분리되면,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품질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가 안테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더라도 수용홈을 규정하는 테두리 부분이 외부충격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인입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에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싸는 부분이 상기 차폐부재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에 구비되는 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소정의 면적과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부분과,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분의 일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를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용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방지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돌출부분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의 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분리방지용 접착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분리방지용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분리방지부재는, 상기 판상부분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분리방지용 접착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분리방지용 접착부재는, 상기 판상부분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돌출부분의 상면 또는 상기 판상부분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방지부재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이거나,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중앙부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정렬용 영구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용 영구자석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치공에 삽입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배치공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2돌출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돌출부분은 상기 수용홈 및 상기 배치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내측테두리를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가 안테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더라도 수용홈을 규정하는 테두리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품질인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리도,
도 3은 도 1의 A-A 방향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분리도,
도 6은 도 4의 B-B 방향단면도,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상면 및 하면은 도 3을 기준으로 x축과 평행한 수평면을 의미할 수 있고, 측부 및 측면은 도 3을 기준으로 y축과 평행한 수평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측부 둘레면은 도 3을 기준으로 y축을 감싸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두께방향 및 높이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y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폭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x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 차폐부재(120) 및 분리방지부재(140,240,240',24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전원 공급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1차코일의 역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일정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되어 코일몸체를 형성하는 평판형코일일 수 있고, 상기 코일몸체는 중앙부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중공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형코일은 단층의 코일이거나 다층의 코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이 Qi 표준 A11 규격의 안테나보다 사이즈가 작은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과 같이 Qi 표준 A11 규격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평판형코일의 코일몸체를 형성하는 도전성부재는 소정의 선경을 갖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는 표면이 절연성을 갖는 코팅물질로 절연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꼬인 형태일 수도 있고 일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차폐부재(120)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성능을 높여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부재(120)는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와 같은 소결 페라이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120)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인입형성되는 수용홈(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폐부재(120)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판상부분(122)과, 상기 판상부분(122)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분(12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분(124)은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분(124)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S)은 상기 판상부분(122)의 일면 및 상기 돌출부분(124)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된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일면 및 측면은 상기 돌출부분(124)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돌출부분(124)은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외측테두리만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를 모두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돌출부분(124)은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S)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분(12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분(124a)과,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S)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내측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분(12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분(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돌출부분(124a) 및 제2돌출부분(124b) 각각은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은 상기 제1돌출부분(124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중공부(112) 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은 얇은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분(124b)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은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S)은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일면, 상기 판상부분(122)의 일면 및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의 일면을 통해 규정될 수 있고,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가 상기 제1돌출부분(124a) 및 제2돌출부분(124b)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일면이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차폐부재(120)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수용홈(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되는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접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는 서로 대면하는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되는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를 통해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재(140,240,240',240")는 상기 차폐부재(120)에서 상기 수용홈(S)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S)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싸는 부분이 상기 차폐부재(120)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방지부재(140,240,240',240")는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이 상기 판상부분(12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상기 차폐부재(120)가 취성이 강한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수용홈(S)을 형성하는 제1돌출부분(124a)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상기 판상부분(122)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부재(120)가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S)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수용홈(S)을 규정하는 제1돌출부분(124a)의 파손부분이 상기 차폐부재(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품질인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리방지부재(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S)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분리방지부재(140)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1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2)는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고정용 접착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2)는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분(124a)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2)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를 상기 수용홈(S)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의 전체면적 중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내면을 따라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1돌출부분(124a)에서 파손된 부분은 상기 제1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2)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120)로부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부재(140)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2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4)는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고정용 접착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4)는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의 테두리로부터 제2돌출부분(124b)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4)는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를 상기 수용홈(S)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의 전체면적 중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의 일면을 따라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2돌출부분(124b)에서 파손된 부분은 상기 제2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4)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120)로부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2) 및 제2분리방지용 접착부재(144)는 상술한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130)와 마찬가지로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부분(122)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120)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분리방지용 접착부재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방지부재(2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용홈(S)을 규정하는 제1돌출부분(124a)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용홈(S)을 규정하는 제1돌출부분(124a)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방지부재(240)는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차폐부재(12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상기 판상부분(122)의 측면을 함께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1돌출부분(124a)에서 파손된 부분은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120)로부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200',200')에서 상기 분리방지부재(240',2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부분(122)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상면 또는 상기 판상부분(122)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는 상기 판상부분(122)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120)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분(242)과,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부분(242)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부분(2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부분(244)은 상기 제1부분(242)의 상면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부분(244)은 상기 제1부분(242)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부분(242) 및 제2부분(24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분(244)은 상기 차폐부재(120)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1부분(24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상면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1돌출부분(124a)에서 파손된 부분은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120)로부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는 상기 판상부분(122)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120)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분(242)과, 상기 판상부분(122)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부분(242)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부분(2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부분(246)은 상기 판상부분(122)의 하면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분(242) 및 제2부분(24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부분(242)은 상기 판상부분(122)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부분(246)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분(124a)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1돌출부분(124a)에서 파손된 부분은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120)로부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방지부재(240")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상기 수용홈(S)에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중공부(112)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정렬용 영구자석(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렬용 영구자석(150)은 무선전력전송시 대응되는 다른 모듈을 정위치로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른 모듈은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공지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부재(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치공(1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용 영구자석(150)은 상기 배치공(126)에 삽입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차폐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렬용 영구자석(150)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배치공(126)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2돌출부분(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은 상기 수용홈(S) 및 배치공(126)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S)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내측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S)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S)은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의 일면, 상기 판상부분(122)의 일면 및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의 일면을 통해 규정될 수 있고,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외측테두리가 상기 제1돌출부분(124a)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S)에 삽입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는 내측테두리가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돌출부분(124b)은 상기 배치공(126)에 삽입배치되는 정렬용 영구자석(150)으로부터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을 차단하는 차단벽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직류자기장에 의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용 무선충전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충전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술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110)가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로 대체되는 경우, 상술한 무선전력 송신모듈(100,200,200',200")은 웨어러블 전자기기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하여,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차폐부재(120)가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면에 상기 수용홈(S)이 형성되는 형태라면 폴리머, 비정질 리본, 퍼멀로이 등과 같이 자기장 차폐부재로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무선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인입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에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싸는 부분이 상기 차폐부재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에 구비되는 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소정의 면적과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부분과,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외측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분의 일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일면을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용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방지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돌출부분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의 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분리방지용 접착부재인 무선전력 송신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용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용 접착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부재는, 상기 판상부분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분리방지용 접착부재인 무선전력 송신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용 접착부재는, 상기 판상부분의 측면 및 상기 제1돌출부분의 외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재의 측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돌출부분의 상면 또는 상기 판상부분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부재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접착테이프이거나, 무기재 타입의 접착층인 무선전력 송신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중앙부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정렬용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용 영구자석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치공에 삽입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배치공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2돌출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분은 상기 수용홈 및 상기 배치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 안테나의 내측테두리를 둘러싸는 부분인 무선전력 송신모듈.
PCT/KR2023/004966 2022-04-22 2023-04-12 무선전력 송신모듈 WO20232045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84 2022-04-22
KR1020220049884A KR20230150474A (ko) 2022-04-22 2022-04-22 무선전력 송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520A1 true WO2023204520A1 (ko) 2023-10-26

Family

ID=8842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4966 WO2023204520A1 (ko) 2022-04-22 2023-04-12 무선전력 송신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0474A (ko)
WO (1) WO20232045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549B1 (ko) * 2011-07-1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가능한 전자 기기
KR101594286B1 (ko) * 2008-02-22 2016-02-15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도성 커플링을 위한 자기 위치 설정 시스템
KR101950947B1 (ko) * 2013-06-27 2019-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20190363565A1 (en) * 2018-05-25 2019-11-28 Appl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175375B1 (ko) * 2015-04-28 2020-11-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286B1 (ko) * 2008-02-22 2016-02-15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도성 커플링을 위한 자기 위치 설정 시스템
KR101299549B1 (ko) * 2011-07-1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가능한 전자 기기
KR101950947B1 (ko) * 2013-06-27 2019-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175375B1 (ko) * 2015-04-28 2020-11-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US20190363565A1 (en) * 2018-05-25 2019-11-28 Appl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474A (ko)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72779A1 (ko) 무선충전기용 송신장치
WO2018110933A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WO2017030289A1 (ko)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17135687A1 (ko)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20262976A2 (ko)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 이를 포함하는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
WO2017007231A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WO2016190649A1 (ko)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12030010A1 (ko)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WO2012074224A1 (en) Camera module
WO2019172595A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WO2017209481A1 (ko) 자기차폐용 하이브리드 메탈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17142350A1 (ko) 휴대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커버 일체형 안테나모듈
WO2017048062A1 (ko)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WO2017074104A1 (ko)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17119773A1 (ko) 적층형 안테나 모듈
WO2019182283A1 (ko) 콤보 안테나 모듈
WO2015152461A1 (ko) 휴대용 충전장치
WO2020050698A1 (ko) 콤보 안테나 모듈
WO2023204520A1 (ko) 무선전력 송신모듈
WO2021221361A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WO2017175885A1 (ko) 안테나 구조체
WO2022169306A1 (ko) 안테나 모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휴대 단말용 케이스
WO2017175886A1 (ko) 안테나 구조체
WO2022169150A1 (ko) 무선 이어폰
WO2022131825A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920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