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4375A1 - 폼 타입 물질 도포기 - Google Patents

폼 타입 물질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4375A1
WO2023204375A1 PCT/KR2022/019263 KR2022019263W WO2023204375A1 WO 2023204375 A1 WO2023204375 A1 WO 2023204375A1 KR 2022019263 W KR2022019263 W KR 2022019263W WO 2023204375 A1 WO2023204375 A1 WO 20232043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am
type material
button
pist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2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 filed Critical 최영
Publication of WO20232043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43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and in particular, to a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that can effectively apply the foam-type material to the skin, such as the scalp, by discharging a certain amount of the foam-type material.
  • These topical hair loss treatments contain minoxidil as the main ingredient, which helps hair growth by dilating blood vessels in the scalp. Initially, it was developed as a liquid type, but later, a foam-type minoxidil product was developed to improve problems such as dripping when applied. It is being released. Foam-type hair loss treatments have the advantage of not flowing out due to the nature of the formulation, allowing an appropriate amount to be applied only to the necessary areas, and being quickly absorbed and dried by the scalp.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that discharges a fixed amount of a temperature-sensitive foam-type material near the application site, such as the scalp.
  •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application body in which a piston provided inside advances a certain distance when a button is pressed and the foam-type material contained there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nozzle.
  • the application body maintains the piston in an advanced state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nd a certain amount of foam-type material is discharged each time the button is pressed.
  • the piston is formed with a moving guide hole recessed from the top downward, and the application body is provid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moving guide hol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moving guide hole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and moves the piston at a constant position. It is advanced by a distance and may further include a pad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wall of the movement guide hole when the button is pressed.
  • the pad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the pad support member and the pad support member, which i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movable guide hole, and moves downwardly outward when a button is pressed, pushing the wall of the movable guide hole. It may include a pad that moves the piston a certain distance.
  • the button includes a pressing pillar that is provided in the moving guide hole to face the pad member and can pressurize the pad member, and the application body surrounds the pressing pillar in the moving guide hole and moves along the moving path of the pressing pillar.
  • It includes a guide cylinder in which a guide pillar is formed and a piston is provided inside, and the pad support member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llar.
  • the application body includes a container that accommodates the foam-type material therein and maintains the foam-type material from phase change, and the nozzl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 the foam-type material can be discharged close to the application area such as the scalp, so compared to conventional application using fingers, the temperature-sensitive foam-type material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application area, which is the target area, without phase change. can do.
  • the amount applied to the scalp which is the target area, increases compared to before, thereby meeting the expected effect on hair growth and reducing product abuse/overu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applied to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d member applied to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ad support and guide pillar applied to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ston advancing a certain distance when the button applied to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piston maintains an advanced state when the button applied to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 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of applying a foam-type material using fing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use of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ston provided inside advances a certain distance and the foam-type material contained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nozzle so that a fixed amou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foam-type material is discharged near the application area such as the scalp.
  •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body (A) that discharges a certain amount of the foam-type material contained therein to the outside.
  • the foam-type material may be a material with various ingredients such as hair loss agents and nutrients that form a foam, and may also be a material that is sensitive to temperature, such as changing phase to a liquid state when heat is applied.
  • the application body (A)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100, a piston 200, and a nozzle 300.
  • the side provided with the nozzle 300 will be referred to as It is defined as downward and the opposite side is defined as upward.
  • the constant distance preferably means a distance equal to or shorter than half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piston 200 can move within the application body (A). That is, the application body (A)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f the foam-type material contained therein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at least twice.
  • the application body (A)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piston 200 in an advanced state when the button 100 pressed to discharge the foam-type material to the outside is released. For example,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once for the first time, the piston 200 moves 0.25 mm toward the nozzle 300 and a certain amount of foam-typ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100 is released, the piston 200 remains moved by 0.25 mm toward the nozzle 300. Afterwards,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once again, the piston 200 moves 0.25 mm from the point where the piston 200 is initially advanced and positioned toward the nozzle 300, and a certain amount of foam-type material is ejected. That is,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twice and then released, the piston 200 is positioned at a point moved by 0.5 mm from the initial position toward the nozzle 300.
  • the piston 200 does not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button 100 is released, so it gradually advances each time the button 100 is pressed, and a certain amount of foam-type material is ejected each time, and it is sprayed on various targeted scalp areas. Since a certain amount can be spread and applied evenly, side effects such as pain caused when applying a large amount of foam to one area can be reduced.
  • the application body (A) includes a button 100, a piston 200, and a nozzle 300, as shown in FIGS. 1 to 4, and includes a pad member 400, a guide cylinder 500,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600 and a joint 700.
  • the container 600 is open at both ends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mpty container, and a foam-type material can be accommodated therein.
  • a nozzle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600, and a joint 700 for connection to the guide container 5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600.
  • This container 600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foam-type material contained therein from changing phase.
  • the wall of the container 600 may have a double structure. That is, the container 600 includes an inner container 610 in which the foam-type material contained therein is accommodated, as shown in FIG. 5, and an inner container 610 surrounding the inner container 610. It may be composed of an external container 620 forming a charging space 630 therebetween.
  • the inner receptacle 610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outer receptacle 620, and the lower end may b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than the outer receptacle 620.
  • a nozzle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container 62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container 610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charging space 630 is blocked. Therefore, a material that prevents the phase change of the foam-type material into the charging space 630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charging space 630, which can be opened by separating the joint 700 coupl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600. It can be injected.
  • the material that prevents the phase change of the foam-type material may be air, a cooling material, etc.
  • the top of the container 600 and the joint 700 coupled thereto can be separately coupled to enable additional injection.
  • the top of the container 600 and the joint 700 coupled thereto may be bonded to prevent additional injection.
  • the nozzle 3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610 and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s detachable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600. can be combined to do so.
  • the joint 700 connects the container 600 and the guide container 500 to each other and serves to seal the charging space 630.
  • the joint 700 forms a ring shape and has a sealing portion that covers the top of the container 600 and seals the charging space 630,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sealing portion to form an inner container 610 and a screw. It may include a first joint portion that is coupled, and a second joint portion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sealing portion and is screwed to the guide cylinder 500. Through this joint 700, the container 600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container 500.
  • the user can separate the nozzle 300 from the container 600 and separate the guide container 500 coupled to the joint 700 to separate the container 600 and the guide. Separation between barrels 500 can be achieved. Therefore, after cleaning the nozzle 300, the container 600, and the piston 200, which are the components covered with the foam-type material, they can be reassembled and recycled in a clean state.
  • the guide cylinder 500 is formed in a cylinder shape with a piston 200 on the inside, as shown in FIGS. 2 to 4, and has a button 100 at the top and a receiving cylinder 600 at the bottom. ) and the joint 700 may be combined.
  •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cylinder 500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iston 200 so that the lower end can be located within the receiving cylinder 600 when the piston 200 provided therein is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This is desirable.
  • the button 100 is pressed, the piston 200 moves along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cylinder 500 and the receiving cylinder 600.
  • the formed spac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 the piston 200 which moves along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cylinder 500 and the container 600, has its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lower end,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barrel 500 and the container 600. It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 diameter, and the lower end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omewha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cylinder 500 and the container 600, and mov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600.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 the lower end of the piston 200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600 so that it can move when pressed without excessive friction.
  • the piston 200 may be formed with a movement guide hole 210 recessed from the top downward, and the movement guide hole 210 may be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piston 200, and a button may be formed therein.
  • a pad member 400 may b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100 to advance the piston 200.
  • the pad member 400 is provided at a certain position within the movement guide hole 210 so that it does not move even if the piston 200 is moved. This pad member 400 contacts the wall of the moving guide hole 210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and advances the piston 200 a certain distance, and when the button 100 is released, the moving guide hole ( It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of 210).
  • the pad member 400 includes a pad support member 410 fixed at a certain position within the moving guide hole 210, and a pad support member 410 as shown in FIGS. 3, 4, and 6. ) and may include a pad 420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button 100 and moves downwardly outward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pushing the wall of the movement guide hole 210 to move the piston 200 a certain distance. there is.
  • the pad support member 41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pillar 510 formed in the guide cylinder 500 as shown in FIG. 7 so that it can be fixed at a certain position within the movable guide hole 210.
  • the guide pillar 510 has a rod shape with both ends open, and is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cylinder 500, and may be disposed in the movable guide hole 210.
  •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llar 510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guide cylinder 500. As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llar 510 and the upper end of the pad support member 410 are coupled, the pad member 400 can be fixed at a certain position even if the piston 200 moves.
  • the pad support member 410 may be disposed to be open upward, with side walls formed upward to face both sides of the floor, so that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forms a ' ⁇ ' shape.
  • a moving hole 411 may b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pad support member 410 to provide a path so that the pad 420 can be coupled and moved downwardly outward.
  • the pads 420 can be pin-coupled to the moving hole 411 so that the two pads 420 can be moved symmetrically, and when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moving hole 411, they do not contact the wall of the moving guide hole 210. As shown in FIG.
  • wrinkl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all of the movement guide hole 210, and wrinkl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420.
  • a corresponding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 the pad member 400 may include a second spring 430.
  • the second spring 430 has one e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pad support 410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wo pads 420, and is in a compressed state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 the pad 420 can be moved upward while being elastically expanded.
  • the pad 420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moves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moving hole 411 every time the button 100 is pressed and causes the piston 200 to advance a certain distance, and a fixed amount of foam-type material is released each time. This may be discharged.
  • the button 100 may be configured to apply downward force to the pad 420 when pressed, and not apply force to the pad 420 when the button 100 is released.
  • the button 100 has a pressing sphere 130 on which the user presses as shown in FIGS. 2 to 4, and an inner part of the pressing sphere 130 so that the pressing sphere 130 can be elas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first spring 120 provided in the button cover 140 coupled to the top of the guide cylinder 500 so that the presser 130 does not come off, and the pad member 100 extending from the presser 130. It may include a pressing pillar 110 that is formed to face and is provided in the moving guide hole 210 to pressurize the pad member 400.
  • the pressure pillar 1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llar 510 located within the moving guide hole 210, and the guide pillar 510 serves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pressure pillar 110.
  • This pressing column 110 does not pressurize the pad 42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guide column 510 when the pressing member 130 is not pressed, and when the pressing member 130 is pressed, the pad 420 is pressurized.
  • the pressing pillar 110 is formed in a wedge shape at one end in contact with the pad 420, and the two pads 420, which are pressed by the pressing pillar 110 and move symmetrically, are formed in a wedge shape on the upper surface.
  • a downward slope may be formed in adjacent portions so as to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pressurizing pillar 110. 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member 130 is pressed, the pressing pillar 110 has one end dug into the upper slope of the pad 420, allowing the pad 420 to move smoothly outward and downward.
  • the foam-type material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the foam-type material close to the application area such as the scalp compared to application with fingers as shown in Figure 10, so it is a foam type that is sensitive to temperature without using fingers.
  • the material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application area without phase change, and as shown in Figure 11, the foam-type material can be easily applied even to area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alone, such as the crown of the head.
  • Pad member 410 Pad support district
  • Container 610 Internal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버튼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는, 버튼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폼 타입 물질 도포기
본 발명은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폼 타입 물질이 일정량 토출되도록 하여 두피 등 피부에 효과적으로 바를 수 있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탈모가 시작되는 연령이 낮아지면서 초기 탈모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초기 탈모의 경우 생활습관 개선, 두피 클리닉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지만, 탈모가 심할 경우 약물이나 치료제를 통해 치료해야 한다. 따라서, 꾸준한 탈모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집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바르는 탈모치료제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바르는 탈모치료제는 두피의 혈관을 확장하여 모발의 성장을 돕는 미녹시딜을 주 성분으로 하며 초기에 액상 타입으로 개발되었으나, 이후 도포 시 흘러내림 등의 문제점을 개선한 폼(거품) 타입의 미녹시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폼 타입인 탈모치료제는 제형 특성상 흘러내지 않아 필요한 부위에만 적정량 도포할 수 있고 두피 흡수와 건조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폼 타입 탈모치료제를 사용시, 해당 제품의 뚜껑에 일정량의 폼을 짜낸 후 손가락으로 덜어서 두피에 발라야 하나, 손가락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두피에 바르는 것을 시도할 때 주위 모발에도 묻는 양이 상당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져 발모 효과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특히 정수리나 뒷머리 등 잘 보이지 않는 두피부위를 손가락으로 바를 때 더 심해진다. 또한, 손가락의 체온에 의해 거품이 액상으로 변하는 경우 더 두피에 바르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모발성장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며, 미녹시딜 성분을 정량(1회 1g) 사용하였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권장량 이상의 미녹시딜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혈관 확장으로 인해, 두통, 안구 압통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버튼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는, 버튼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입된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본체는, 이동가이드홀 내 일정 위치에 구비되면서, 버튼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의 벽면과 맞닿으며 피스톤을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버튼의 누름 해제에 따라 이동가이드홀의 벽면과 이격되는 패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재는, 이동가이드홀 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패드지지구와, 패드지지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튼의 누름에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홀의 벽면을 밀어 피스톤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패드부재를 향하게끔 이동가이드홀 내에 구비되어 패드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는, 이동가이드홀 내에서 가압기둥을 둘러싸며 가압기둥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기둥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통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지지구는 가이드기둥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본체는,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며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되지 않게끔 유지시켜주는 수용통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수용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폼 타입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바르는 것 대비,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의 물질을 상변화없이 목적부위인 도포부위에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특히, 정수리 등 잘 보이지 않는 부위에 바를 때 기존에는 손가락 끝의 감에 의존하여 발랐으나, 도포기 이용 시 노즐을 가까이에 위치시켜 버튼만 누르면 되므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바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바르는 것 대비, 좁은 면적에 일정량의 폼을 토출하므로 기존보다 넓은 부위에 뭉치지 않게 고르게 펴서 바를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목표부위인 두피에 도포되는 양이 기존대비 많아지게 되어, 모발 성장에 대한 기대효과를 충족시킬 수 있어 제품 남용/과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절개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수용통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패드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패드지지구와 가이드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버튼이 눌러져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버튼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폼 타입 물질을 손가락과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비교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버튼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는, 버튼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일정 량씩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도포본체(A)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폼 타입 물질은, 거품 상태를 이루는 탈모제, 영양제 등 다양한 성분의 물질일 수 있으며, 열이 가해질 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되는 등 온도에 민감한 물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도포본체(A)는, 버튼(100), 피스톤(200), 노즐(300)을 포함하며, 이하에서 도포본체(A)를 설명함에 있어, 노즐(300)이 구비된 측을 하방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상방이라 정의한다. 도포본체(A)는,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200)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을 가압하여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일정 거리란, 피스톤(200)이 도포본체(A)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짧은 거리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포본체(A)는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버튼(100)을 적어도 2번 이상 눌러야 모두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포본체(A)는, 폼 타입 물질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눌렀던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200)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버튼(100)을 최초 1회 누를 시 피스톤(200)이 노즐(300)을 향해 0.25mm만큼 이동되면서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외부로 토출되고. 이때 버튼(100)의 누름을 해제하면, 피스톤(200)은 노즐(300)을 향해 0.25mm만큼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버튼(100)을 다시금 1회 누르면, 피스톤(200)이 최초 전진되어 위치한 지점에서 노즐(300)을 향해 0.25mm만큼 이동되면서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된다. 즉, 버튼(100)을 2회 누른 후 누름을 해제하면, 피스톤(200)은 최초 위치에서 노즐(300)을 향해 0.5mm만큼 이동된 지점에 위치된다.
이처럼 피스톤(200)은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최초 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므로 버튼(100)을 누를 때마다 점차 전진하게 되어 매번 폼 타입 물질이 일정 량 토출되는바, 목적한 여러 두피 부위에 일정량 고르게 펴서 바를 수 있어 기존에 한 부위에 다량의 폼을 발랐을 때 야기되는 통증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포본체(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 피스톤(200), 노즐(300)을 포함하면서, 패드부재(400), 가이드통(500), 수용통(600), 조인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용통(600), 노즐(300), 조인트(700)에 대하여 살펴보면, 수용통(600)은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통(600)의 일단인 하단에는 노즐(300)이 결합되고, 수용통(600)의 타단인 상단에는 가이드통(500)과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통(600)은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되지 않게끔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통(600)의 벽면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용통(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는 내부수용통(610)과, 내부수용통(610)을 둘러싸면서 내부수용통(610)과의 사이에 충전공간(630)을 형성하는 외부수용통(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수용통(610)은, 외부수용통(62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외부수용통(620)보다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수용통(610)의 하단부에 노즐(3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수용통(620)의 하단은 내부수용통(610)과 연결되어 충전공간(630)의 하측이 막힌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수용통(600)의 상단에 결합된 조인트(700)의 분리를 통해 개방될 수 있는 충전공간(630)의 상측을 통해 충전공간(630) 내로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은, 공기, 냉각 물질 등일 수 있다.
이때, 충전공간(630) 내에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이 주입된 이후, 추가적인 주입이 가능하게끔 수용통(600)의 상단과 이에 결합되는 조인트(700)는 분리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주입이 불가능하게끔 수용통(600)의 상단과 이에 결합되는 조인트(700)는 본딩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노즐(300)은 내부수용통(61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형성된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는 수용통(6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700)는 수용통(600)과 가이드통(500)을 상호 연결하면서 충전공간(63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조인트(700)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수용통(600)의 상단을 덮어 충전공간(630)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밀폐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내부수용통(610)과 나사결합되는 제1 조인트부와, 밀폐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가이드통(500)과 나사결합되는 제2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700)를 통해 수용통(600)은 가이드통(500)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세척이 필요할 경우, 노즐(300)을 수용통(6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조인트(700)에 결합된 가이드통(500)을 분리시켜 수용통(600)과 가이드통(500) 간에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폼 타입 물질이 묻는 구성인 노즐(300)과 수용통(600), 피스톤(200)을 세척한 후, 다시 조립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수용통(600) 내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며, 버튼(100), 피스톤(200), 패드부재(400), 가이드통(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통(5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피스톤(200)이 구비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 버튼(100)이 구비되고, 하단에 수용통(600)과 결합된 조인트(70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통(5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이에 구비되는 피스톤(200)이 최상측에 위치될 시 하단부가 수용통(600) 내에 위치될 수 있게끔, 그 길이가 피스톤(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200)은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바,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200)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용통(600)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톤(200)의 하단부는 과도한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가압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수용통(600)의 내벽을 향해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00)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입된 이동가이드홀(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가이드홀(210)은 피스톤(200)의 하단부 부근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버튼(100)과 연동되어 피스톤(200)을 전진시키는 패드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패드부재(400)는, 피스톤(200)이 이동되더라도 이동되지 않게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패드부재(400)는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맞닿으며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버튼(100)의 누름 해제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이격된다. 일 예로 패드부재(40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패드지지구(410)와, 패드지지구(4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을 밀어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패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지지구(410)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통(500)에 형성된 가이드기둥(51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기둥(510)은, 양단이 개방된 봉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통(500)의 상단부 중심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되고,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기둥(510)의 하단은 가이드통(500)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기둥(510)의 하단과 패드지지구(410)의 상단이 결합됨에 따라, 패드부재(400)는 피스톤(200)이 이동되더라도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패드지지구(410)는, 일 예로 바닥면의 양측에 마주보게끔 측벽이 상방으로 형성되어 종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방을 향해 개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패드지지구(410)의 측벽에는 패드(420)가 결합되면서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게끔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홀(411)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420)는 두 개가 대칭되게 이동되도록 이동홀(411)에 핀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홀(411)의 상단에 위치될 시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맞닿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하방을 향해 힘이 가해지면 패드(420)는 핀이 이동홀(411)의 상단을 벗어나 이동되면서 바깥면이 이동가이드홀(210)에 맞닿게 되고, 핀이 이동홀(411)의 하단까지 이동함으로써 바깥면이 이동가이드홀(210)을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20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용통(600)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패드(420)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20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끔,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420)의 바깥면에는 주름과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의 누름이 해제되면 패드(420)는 이동홀(41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며,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패드(420)가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게끔, 패드부재(400)는 제2 스프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430)은 일단이 패드지지구(4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두 개의 패드(420) 저면과 맞닿게끔 구비되어, 버튼(100)의 누름시 압축된 상태를 이루다가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탄성적으로 신장되면서 패드(4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패드(420)는, 버튼(100)을 누를 때마다 이동홀(411)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피스톤(200)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되도록 하는바, 매번 정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100)은 누름시 패드(420)에 대하여 하방으로 힘이 작용되고, 누름 해제시 패드(420)에 대하여 힘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누름이 이루어지는 누름구(130)와, 누름구(130)가 탄성적으로 원위치될 수 있게끔 누름구(130)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120)과, 누름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통(500)의 상단과 결합되는 버튼커버(140)와, 누름구(130)로부터 연장되어 패드부재(100)를 향하게끔 형성되고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구비되어 패드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둥(1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기둥(110)은,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기둥(510)에 삽입되는바, 가이드기둥(510)은 가압기둥(1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기둥(110)은, 누름구(130)가 눌러지지 않았을 시 가이드기둥(510)의 하단에 결합된 패드(420)를 가압하지 않으며, 누름구(130)가 눌러졌을 시 패드(4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기둥(110)은, 패드(420)와 맞닿는 일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가압기둥(110)에 의해 가압되어 대칭되게 이동되는 두 개의 패드(420)는, 상면에서 쐐기 형태로 형성된 가압기둥(110)의 일단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게끔 상호 인접한 부분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기둥(110)은 누름구(130)가 눌러지면 그 일단이 패드(420)의 상면 경사면을 따라 파고들어가면서 패드(420)가 원활히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도포하는 것에 비해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폼 타입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없이 도포부위에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리 등 혼자 바르기 쉽지 않은 부위에도 손쉽게 폼 타입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A : 도포본체
100 : 버튼 110 : 가압기둥
120 : 제1 스프링 130 : 누름구
140 : 버튼커버
200 : 피스톤 210 : 이동가이드홀
300 : 노즐
400 : 패드부재 410 : 패드지지구
411 : 이동홀 420 : 패드
430 : 제2 스프링
500 : 가이드통 510 : 가이드기둥
600 : 수용통 610 : 내부수용통
620 : 외부수용통 630 : 충전공간
700 : 조인트

Claims (5)

  1.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200)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A);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A)는,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200)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100)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0)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입된 이동가이드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본체(A)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 구비되면서,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맞닿으며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버튼(100)의 누름 해제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이격되는 패드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400)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패드지지구(410)와, 패드지지구(4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을 밀어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패드(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0)은, 패드부재(400)를 향하게끔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구비되어 패드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둥(110)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A)는, 이동가이드홀(210) 내에서 가압기둥(110)을 둘러싸며 가압기둥(1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기둥(510)이 형성되고 피스톤(200)이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통(500)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지지구(410)는 가이드기둥(510)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본체(A)는,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며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되지 않게끔 유지시켜주는 수용통(600)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300)은, 수용통(6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PCT/KR2022/019263 2022-04-18 2022-11-30 폼 타입 물질 도포기 WO202320437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679 2022-04-18
KR1020220047679A KR20230148636A (ko) 2022-04-18 2022-04-18 폼 타입 물질 도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375A1 true WO2023204375A1 (ko) 2023-10-26

Family

ID=8842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263 WO2023204375A1 (ko) 2022-04-18 2022-11-30 폼 타입 물질 도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8636A (ko)
WO (1) WO202320437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151A (ko) * 2008-01-24 2009-07-29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피스톤 구조가 개선된 포옴 펌프
KR20110043127A (ko) * 2009-10-21 2011-04-27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20110058289A (ko) * 2009-11-26 2011-06-01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101672495B1 (ko) * 2016-03-24 2016-11-03 윤일표 화장품 용기
KR101729277B1 (ko) * 2016-03-15 2017-04-24 김신겸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JP2022057083A (ja) * 2020-09-30 2022-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260Y1 (ko) 2005-11-30 2006-02-07 강성일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151A (ko) * 2008-01-24 2009-07-29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피스톤 구조가 개선된 포옴 펌프
KR20110043127A (ko) * 2009-10-21 2011-04-27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20110058289A (ko) * 2009-11-26 2011-06-01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101729277B1 (ko) * 2016-03-15 2017-04-24 김신겸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101672495B1 (ko) * 2016-03-24 2016-11-03 윤일표 화장품 용기
JP2022057083A (ja) * 2020-09-30 2022-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636A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703A (en) Applicator for semisolid medications
WO2015111796A1 (ko) 파우더 토출 용기
CN100366308C (zh) 药物分配器
WO2014129767A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WO2019199095A1 (ko) 피부관리기구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ES2133090A1 (es) Nuevo aplicador para la administracion de medicaciones semisolidas.
US8974134B2 (en) Package for applying a personal care product
ZA941573B (en) Single use fluid dispensing device
WO2023204375A1 (ko) 폼 타입 물질 도포기
KR20160114518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US10595612B2 (en) Glove for facial treatment
CA2788305C (en) Package for applying a personal care product
JP2009530055A (ja) 膣内薬剤アプリケータ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WO2015037841A1 (ko)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WO2017115990A1 (ko) 금속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21241860A1 (ko) 내용물 용기
WO2012144791A2 (ko) 버튼 잠금수단을 갖는 펜슬형 립글루스 용기
CN113784641A (zh) 用于皮肤施用药物和/或化妆品组合物的系统
KR200427875Y1 (ko) 아이 글로스 용기
WO2018004118A1 (ko) 파우더 토출 용기
US6390101B1 (en) Self-contained applicator for applying fluid
WO2017138724A1 (ko)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CN208017087U (zh) 化妆品涂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86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