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620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620A1
WO2023182620A1 PCT/KR2022/020845 KR2022020845W WO2023182620A1 WO 2023182620 A1 WO2023182620 A1 WO 2023182620A1 KR 2022020845 W KR2022020845 W KR 2022020845W WO 2023182620 A1 WO2023182620 A1 WO 20231826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b
duct
nozzle
fil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08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인철
김재훈
박병배
성종훈
전광민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7244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37789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8/098,9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04211A1/en
Publication of WO20231826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6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ing.
  •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a device that washes and dries laundry by performing washing, rinsing,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es.
  •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can be either a pulsator type, which washes the laundry by impacting the laundry with a water flow created when a rotating blade with small blades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rotates, or a large stirring blade with blades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tub that washes the laundry regularly. It can be divided into the edger method, which washes by forming a water flow while the direction is reversed, and the drum method, which washes by placing laundry in the drum and rotating the drum to absorb the impact of the drop and the cleaning power of the detergent.
  • a drum-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a tub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laundry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drum, and washing water from the drum. It includes a discharge device that discharges the laundry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a drying device that dries the laundry.
  • the drying devi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heater that heats the air, a blower that circulates the air, a duct that forms an air flow path, and a filter that is placed on the duct and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duct. It may include a cleaning nozzle that sprays water toward the filter to remov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ilter.
  • the water sprayed from the cleaning nozzle does not reach some areas of the filter, or only water at a weak water pressure is delivered, so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se areas may not be removed.
  •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filter cleaning efficiency by a cleaning nozzle.
  •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leaning the entire filter area.
  •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area of the filter is increased by arranging the filte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and a cylindrical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 air outlet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nd a guid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 a filter case including a tub including a tub duc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tub, and a filter install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the filter case coupled to the tub duct and the tub duct.
  • a cleaning nozzle that is coupled has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to face the filter, passing through a duct opening formed on a side of the tub duct and located inside the tub duct, and a cleaning nozzle including a nozzle that sprays water toward the filter, and the duct opening is such that the nozzle passing through the duct opening is completely exposed to the filter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reaches the filter.
  • the nozzle may extend along a first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 the first direction may be parallel to a tangent line at a point on the filter.
  • the duct opening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tub duct along a second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extends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 the cleaning nozzle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rib inserted into the duct opening to cover the duct opening.
  • the nozzle rib may have a square shape to prevent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from being blocked by the nozzle rib.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nozzle rib to seal between the nozzle rib and the duct opening.
  • the nozzle rib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provided to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to prevent the sealing member from separating from the nozzle rib when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nozzle rib.
  •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may prevent the cleaning nozz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 duct by being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duct when the cleaning nozzle is coupled to the tub duct.
  • the filter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ub duc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ub duct, and a case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to correspond to the duct opening.
  • the case opening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so that the duct opening and the nozzle passing through the case opening are completely exposed to the filter so that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reaches the filter.
  • the filter case may further include a cas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ase body to the case opening.
  • the case protrusions are pressed by the cleaning nozzle, thereby preventing the filter cas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 duct.
  • the filter case may include an anti-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 the tub duct may include an anti-rotation groove that is recess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duct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 so that the anti-rotation protrusion is inserted.
  • the filter case may include a support groov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on a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 the tub duct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ir outlet and include a support rib that supports the filter case by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 the filter cas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surfa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 the tub duc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surface.
  • the filter case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urfa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ilter case, and a stopping protrus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bottom of the filter cas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ase.
  • the tub duc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surface.
  • the filter case may be coupled to the tub duct by having the first support surfac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surface and the locking protrusion being caught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 the nozzle includes a first part located outside the tub duct and a second part located inside the tub duct, and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llow the nozzle to spray water into the filter. may be fully exposed to the filter.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having an air outlet, and a side protruding up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tub to gu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It includes a tub duct having a duct opening, a filter covering the air outlet, a filter cas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tub duct, and a nozzle passing through the duct opening and located inside the tub duct, and a cleaning nozzle that is obliquely coupled to the tub duct so that the nozzle is disposed to face the filter, wherein the cleaning nozzle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in the nozzle closest to the duct opening and a second position furthest from the duct opening. At a third position between positions, the nozzle can b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filter is minimal.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and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he tub having an air outlet, and an air outlet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and releases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 a cleaning nozzle including a tub duct that is provided to guide and has a duct opening on one side thereof, a filter case in which a filter is installed and inserted into the tub duct, and a nozzle that passes through the duct opening and is located inside the tub duct.
  • it includes a cleaning nozzle that is obliquely coupled to the tub duct so that the nozzle faces the filter, and the nozzle is located between a first part, a second part, and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t may include a third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positioned close to the duct opening, and the cleaning nozzle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filter is minimized in the third portion.
  • the first part of the nozzle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ub duct, and the second part of the nozzle may b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ub duct, and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and the third part may be located outside the tub duct.
  • the three parts can be fully exposed to the filter such that the nozzle sprays water toward the filter.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filter cleaning efficiency by a cleaning nozzle can be provided.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leaning the entire filter area.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area of the filter is increased by arranging the filte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3 with some components removed.
  •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r flow during a drying process i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in Figure 4.
  • Figure 8 is a diagram separately illustrating a filter case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 is a diagram separately illustrating a cleaning nozzle and a sealing member i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nozzle and the sealing member in FIG. 9 separated.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nozzle and sealing member shown in FIG. 9 from another angle.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nozzle shown in FIG. 10 from another angle.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i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 may refer to a washing machine with a drying function.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the exterior, a tub 20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 and a rotatable structure inside the tub 20. It is provided with a drum 30 disposed and a drive motor 40 that drives the drum 30.
  • An inlet 11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0 to allow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drum 30.
  • the input port 1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2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cabinet 10.
  • a water supply pipe 5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tub 20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tub 20.
  •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56,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0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52.
  • the detergent box 52 is connected to the tub 20 through a connector 54.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0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20 along with detergent via the detergent box 52.
  • the tub 20 is supported by a damper 42.
  • the damper 42 connect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20.
  • the drum 3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31, a front plate 32 disposed in front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 and a rear plate 33 disposed behind the cylindrical portion 31.
  • An opening for entering and exiting laundry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32, and a shaft 43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40 is connected to the rear panel 33.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 for the distribution of washing water are formed around the drum 30, and a plurality of lifters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to allow laundry to rise and fall when the drum 30 rotates. (35) is installed.
  • the drum 30 and the drive motor 40 are connected through a shaft 43.
  • the shaft 4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40 to It can be divided into a direct drive type that rotates (30) and an indirect drive type that drives the drum (30) by connecting a pulley (44) between the drive motor (40) and the shaft (43).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may be provided as an indirect drive ty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direct drive type.
  • One end of the shaft 43 is connected to the rear plate 33 of the drum 30,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43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 the other end of the shaft 43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pulley 44 to obtain driving force from the drive motor 40.
  • a motor pulley 41 is form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40.
  • a drive belt 45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pulley 41 and the shaft pulley 44, so that the shaft 43 can be driven by the drive belt 45.
  • the drive motor 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ub 20 and can drive the shaft 43 while the drive belt 45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ub 20.
  • a bearing housing 46 is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to rotatably support the shaft 43.
  • the bearing housing 46 may be made of aluminum alloy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when the tub 20 is injection molded.
  • a display unit 1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to display the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to the user.
  • the display unit 14 may also include an input unit.
  •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 a cover 19 that covers the filter device 6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front of the cabinet 10. The user can access the filter device 60 by opening the cover 19.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may be disposed below the tub 20 and may include a drain pump 80 for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tub 20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 the drain pump 8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81 of the tub 20 through a connection hose 82 so that water inside the tub 20 can flow into the drain pump 80.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 may include a filter device 60 for filter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ump 80.
  • the filter device 6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rain pump 80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2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drain pump 80 to the filter device 60, the filter device 60 can b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80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hose 83 and the first drain hose 85. there is.
  • the filter device 60 includes the tub 20 and the second circulation hose 84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device 60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hose 83 can be filtered and then guided to the tub 20. It can be connected through .
  • the filter device 6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hose 86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device 60 through the first drain hose 85 can be filtered and then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there is.
  •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tub 20 may include a front portion 21 and a rear portion 2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21 of the tub 20 and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may be combined to form the tub 20 .
  • a tub duct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 a water supply hose 5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may be connected to the tub duct 24.
  • a cleaning nozzle 10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water hose 51.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3 with some components removed.
  • a tub duct 24 may be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 the tub duct 24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22 and may form a flow path that guides air.
  • a filter case 9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 duct 24.
  • a filter 91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90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 a cleaning nozzle 100 may be coupled to the tub duct 24.
  • the cleaning nozzle 100 may include a nozzle 101 that penetrates the tub duct 24 and the filter case 90 and is located inside the tub duct 24 .
  •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 FIG. 4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rear portion 22 may include an air outlet 23 formed on its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air outlet 23 may be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 the air outlet 23 may be located on one upper side of the rear portion 22.
  • the air inside the drum 30 may pass through the tub 2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20 through the air outlet 23. The specific air flow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air outlet 23 is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0, so it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 the air outlet 23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oval shape when looking at the tub 20 from above.
  •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air outlet 23 may have an arc shape.
  • the tub duct 24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tub 20 .
  • the tub duct 24 may be formed so th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air outlet 23 protrudes upward.
  • the tub duct 24 can guid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23 upward.
  • Tub duct 24 may include a duct opening 25.
  • the duct opening 25 may be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tub duct 24.
  • the duct opening 25 may be formed by obliquely penetrating the tub duct 24 in a diagonal direction.
  • the duct opening 25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ub duct 24. The passage may extend down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tub duct 24 toward the inside.
  • the duct opening 25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so that all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cleaning nozzl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duct opening 25 and reaches the filter 91.
  • An anti-rotation groove 2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duct 24 into which the anti-rotation protrusion 93 of the filter case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rotation prevention protrusion 93 into the rotation prevention groove 26, the filter case 90 may not rotate relative to the tub duct 24.
  • fastening portions 29 to which fastening members S are fastened may be provided to couple the cleaning nozzle 100 to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 the fastening portion 29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ss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member S.
  • a filter case 90 may be coupled to the tub duct 24.
  • the filter case 90 may include a filter 91 on its lower surface.
  • the filter 9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23 so as to cover the air outlet 23. Accordingly, the filter 91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ov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filter case 90, and its side cross section may be arc-shaped.
  • the filter case 9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clined lower surface.
  • the filter case 9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tub duct 24. By inserting and combining the filter case 90 into the tub duct 24, the filter 91 can cover the air outlet 23.
  • the filter case 90 includes a filter 91, a cylindrical case body 92 supporting the filter 91, an anti-rotation protrusion 9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92, and a case body ( It may include a case opening 94 penetrating 92). A case protrusion 95 and a case groove 96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pening 94.
  • the filter 91 may be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23 by covering the air outlet 23.
  • the filter 9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23 so as to cover the air outlet 23.
  • the case body 9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clined lower surface.
  • a rotation prevention protrusion 9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92.
  • the rotation prevention protrusion 93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92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92.
  • a plurality of anti-rotation protrusions 93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92.
  • the filter case 90 may include three anti-rotation protrusions 93,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rotation protrusions 93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including one.
  • Case opening 94 may correspond to duct opening 25.
  • the case opening 94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so that all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cleaning nozzle 100 passes through the case opening 94 and reaches the filter 91.
  • the case opening 94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bu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square shape due to the inclusion of the case protrusion 95 and the case groove 96.
  • the nozzle 101 of the cleaning nozzle 100 may pass through the duct opening 25 and the case opening 94 and be positioned on a flow path formed inside the tub duct 24.
  • the case protrusion 95 may be provided to be pressed by the nozzle rib 103 of the cleaning nozzle 100 or the sealing rib 111 of the sealing member 110.
  • the case protrusion 95 is pressed by the nozzle rib 103 or the sealing rib 111, thereby preventing the filter case 9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 duct 24.
  • the case groove 96 may be provided as a groove of approximately an arc shape to correspond to the upper shape of the nozzle 101.
  • the nozzle 101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groove 96.
  • the case groove 96 may be provid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case opening 94 and the nozzle 101.
  • the cleaning nozzle 100 may be provid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collected in the filter 91 by spraying water on the filter 91 .
  • the cleaning nozzle 100 can clean the filter 91 by spraying water on the filter 91.
  • the cleaning nozzle 100 includes a nozzle 101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hose 51 and spray water, and supports the nozzle 101 and attaches the nozzle 101 to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 a nozzle body 104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nozzle body 104, and a fastening hole 105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nozzle body 104 and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S passes.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110 provided to seal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nozzle 100 and the duct opening 25.
  • the sealing member 110 may include a hollow 1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nozzle rib 103 of the cleaning nozzl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r flow during a drying process i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 may include a drying device.
  • the dry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dry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0.
  • the dry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supply high-temperature dry air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convert the low-temperature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rum 30 into high-temperature dry air, and then supply it back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 Laundry inside the drum 30 can be dried through circulation of air in which high-temperature dry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and low-temperature and humid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rum 30.
  • the drying device includes a tub duct 24, a connection duct 71, a fan 73, a motor 72 that rotates the fan 73, upper ducts 74 and 75, and a heater 76. , may include a front duct (77).
  • the air inside the drum 30 moves to the tub 2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4 and is then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23. there is.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23 may move to the upper ducts 74 and 75 through the tub duct 24 and the connection duct 71.
  •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upper ducts 74 and 75 increases as it passes through the heater 76, and may flow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front duct 77.
  • the high-temperature, dry air flowing into the drum 30 becomes low-temperature and high-humidity as it passes through the laundry, and the low-temperature, high-humidity air is condensed by low-temperature water flowing on the rear wall of the rear portion 22 of the tub 20 and becomes low-temperature and low-humidity.
  • Low-temperature, low-humidity air flows into the upper ducts (74, 75) through the air outlet (23), the tub duct (24), and the connection duct (71), and is operated by the heater (77) inside the upper ducts (74, 75). As time goes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become high.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can dry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0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in Figure 4.
  • the cleaning nozzle 100 may be coupled to the tub duct 24 so that the nozzle 101 is located on a flow path formed inside the tub duct 24.
  • a sealing member 110 is disposed between the cleaning nozzle 100 and the tub duct 24 to seal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ub duct 24.
  • the nozzle 101 may be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24.
  • the nozzle 101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holes 102.
  • the nozzle 101 may extend parallel to a tangent line at a point P on the filter 91.
  • a straight line L1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101 extends and a tangent line L2 at a point P on the filter 91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 parallel may include mathematically parallel and substantially parallel although not mathematically parallel.
  • the nozzle 101 may be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24 to face the filter 91.
  • the distance d1 between the water injection port located at one end of the nozzle 101 and the filter 91, and the nozzle 101 The distance (d3) between the water nozzle and the filter 91 located at the other end of ) and the distance (d2) between the water nozzle and the filter 91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point (P) may be similar.
  • the cleaning nozzle 100 may have a uniform filter cleaning ability from one end of the nozzle 101 to the other end.
  • the first position is the closest to the duct opening 25 in the nozzle 101
  • the first position is the closest to the duct opening 25 in the nozzle 101.
  • the distant position is called the second position and any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s called the third posi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filter 91 can be minimized at the third position.
  • the distance d2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filter 91 at the third position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filter 91 at the first position.
  • the distance d2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filter 91 at the third position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filter 91 at the second position.
  • the air outlet 23 and the filter 91 a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0 to form a curved surface, if the nozzle 101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nozzle 101 close to the water hose 51 At one end,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nozzle 102 and the filter 91 is relatively far, an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101, which is far from the water hose 51,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nozzle 102 and the filter 91 is It can be relatively short.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nozzle 102 and the filter 91 at one end of the nozzle 101 is long, so cleaning of the filter 91 may not be smooth.
  • the nozzle 101 may be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24 to face the filter 91. As described above, as the nozzle 101 is disposed inclinedly,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injection port 102 and the filter 91 is simila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nozzle 101. Accordingly, uniform filter cleaning ability can be achieved from one end of the nozzle 101 to the other end.
  • the duct opening 25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tub duct 24 in a diagon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duct opening 25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tub duct 24 slant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In other words, the duct opening 25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tub duct 24 along the third direction. The duct opening 25 may extend in a third direction.
  • the straight line L3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in which the duct opening 25 extends may be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L1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101 extends.
  • perpendicular may include something that is mathematically vertical, and something that is not mathematically vertical but is substantially vertical.
  • the duct opening 25 may extend in a third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ub duct 24 .
  • the duct opening 25 may extend in the third direction and form a passage penetrating the tub duct 24.
  • the sealing rib 111 of the sealing memb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extend in a third direction.
  • the nozzle rib 103 of the cleaning nozzle 100 may extend in a third direction. Accordingly, the sealing member 110 and the nozzle rib 103 can seal the duct opening 25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uct opening 25.
  • Figure 8 is a diagram separately illustrating a filter case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filter case 90 may include a support groove 97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9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90 . Additionally, the filter case 9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urface 98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90.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may refer to a partial area provid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90.
  • the tub duct 24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ir outlet 23 and may include a support rib 27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97. Additionally, the tub duct 24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surface 28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 the rotation prevention protrusion 93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on groove 26, thereby preventing rotation of the filter case 90.
  • the support rib 27 of the tub duct 2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97 of the filter case 90, thereby allowing the filter case 90 to It may not penetrate the air outlet (23).
  •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of the filter case 9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surface 28 of the tub duct 24, thereby supporting the filter. Case 90 may not penetrate the air outlet 23. That is, the support rib 27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97,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surface 28, so that the filter case 90 is seated inside the tub duct 24. It can be.
  • the filter case 90 may include a case opening 94, a case protrusion 95 provided in the case opening 94, and a case groove 96.
  • Case protrusion 95 may protrude from case body 92 to case opening 9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se protrusions 95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opening 94.
  • the case protrusion 95 may be provided to be pressed by the cleaning nozzle 100 or the sealing member 110 when the filter case 90 is inserted into the tub duct 24.
  • the case protrusion 95 can prevent the filter case 90 from leaving the tub duct 24 by being pressed by the cleaning nozzle 100 or the sealing member 110.
  • the filter cas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ub duct.
  • the filter case may not be separately provided.
  • the filter can be mounted directly within the tub duct to cover the air outlet.
  • the nozzle of the cleaning nozzle may pass through the duct opening and be located within the tub duct.
  • FIG. 9 is a diagram separately illustrating the cleaning nozzle and the sealing memb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nozzle and the sealing member in FIG. 9 separated.
  • the sealing member 110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cleaning nozzle 100 to seal between the cleaning nozzle 100 and the duct opening 25 .
  • the cleaning nozzle 100 includes a nozzle 101 including a water injection port 102, a nozzle rib 103 inserted into the duct opening 25 to cover the duct opening 25, and a nozzle 101 connected to the tub duct. It may include a nozzle body 104 provided to be coupled to (24), a fastening hole 105 provided in the nozzle body 104,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6 provided on the nozzle rib 103. .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inlet side of the nozzle 101. As described above, the nozzle rib 103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duct opening 25 and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uct opening 25.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ct opening 25.
  • the nozzle rib 103 may have a square shape to prevent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101 from being blocked by the nozzle rib 103.
  • An area of the nozzle where the water injection hole 102 is formed is called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101.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to have a square shape.
  • the nozzle rib 103 may have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nozzle 101.
  • the inlet of the nozzle 101 may refer to one end of the nozzle 101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nozzle 101 from the water supply hose 51.
  • the height of the nozzle rib 103 may refer to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nozzle rib 103 to the nozzle body 104.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nozzle rib 103 may refer to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nozzle body 104 to the bottom of the nozzle rib 103.
  • the nozzle ribs 103 may have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nozzle 101 so that the nozzle 101 can be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nozzle body 104.
  • the nozzle rib 103 may have a first height h1 at the inlet of the nozzle 101 through which water flows.
  • the nozzle rib 103 may have a third height h3 at the point furthest from the inlet of the nozzle 101.
  • the nozzle rib 103 may have a second height h2 at a poin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nozzle 101.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so that its height gradually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inlet of the nozzle 101.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height (h2)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h1).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height (h2) larger than the third height (h3).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height (h3)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h1).
  • the nozzle rib 103 may be provided to satisfy h2 > h3 > h1.
  • the nozzle ribs 103 have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nozzle 101, so that the nozzle 101 can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nozzle body 104.
  •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6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duct 24 when the cleaning nozzle 100 is coupled to the tub duct 24, thereby preventing the cleaning nozzle 100 from entering the tub duct 24. )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That is,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6 can prevent the cleaning nozzle 100 from leaving the tub duct 24.
  • the sealing member 110 includes a sealing rib 111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zzle rib 103 to surround the nozzle rib 103, and a hollow 112 provided so that the nozzle 101 penetrates the sealing member 110. And, it may include a sealing groove 113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101. By inserting the nozzle 101 into the sealing groove 113, a gap may not be created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sealing rib 111. That is, the sealing groove 113 may be provided to seal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sealing rib 111.
  • one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0 is supported by the nozzle 10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0 is supported by the nozzle rib 103 o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6 is provided. It can be supported.
  • One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0 may refer to a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110 located above the nozzle 101 with reference to FIG. 7 .
  •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0 may refer to a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110 located below the nozzle 101 with reference to FIG. 7 .
  • the nozzle rib 103 may extend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L3 in which the duct opening extends.
  •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aling member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cleaning nozzle 100.
  • the nozzle rib 103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L3) rath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0 may be restricted, and as a result, the sealing membe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eaning nozzle 100 from leaving the cleaning nozzle 100.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nozzle and the sealing member shown in FIG. 9 from another angle.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nozzle shown in FIG. 10 from another angle.
  • the square shape may include a general square with right-angled corners, a square with rounded corners, and a square with all four sides curved or some of them curved. Additionally, the square shape may include both squares and rectangles.
  • the maximum spray angle of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101 through the water spray hole 102 is referred to as ⁇ 1.
  • Water sprayed through the water spray hole 102 may be sprayed within a range of maximum ⁇ 1.
  • the minimum spray angle at which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hole 102 meets the nozzle rib 103 is ⁇ 2.
  • ⁇ 2 is greater than ⁇ 1
  •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hole 102 does not meet the nozzle rib 103.
  •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hole 102 is not blocked by the nozzle rib 103.
  • the movement path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hole 102 is not limited by the nozzle rib 103. If all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hole 102 passes through the nozzle rib 103 and reaches the filter 91, the filter cleaning ability of the cleaning nozzle 100 is not reduced.
  • nozzle rib 103 When the nozzle rib 103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rather than a square shape, a region is created where ⁇ 2 is smaller than in a square shape. Since a plurality of water jets 102 are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101 extends, when ⁇ 2 is greater than ⁇ 1 at all water jets 102,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jets 102 is directed to the nozzle rib 103. ) is not blocked by When the nozzle ribs 103 ar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 1 becomes greater than ⁇ 2 in at least some of the water jets 102, and as a result,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jets 102 is blocked by the nozzle ribs 103. If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hole 102 is blocked by the nozzle rib 103, the filter cleaning ability of the cleaning nozzle 100 is reduced.
  • the cleaning nozzle 100 may be provided so that ⁇ 2 is greater than ⁇ 1 at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ports 102.
  • the nozzle rib 103, case opening 94, and duct opening 25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so that all of the water spray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ports 102 can reach the filter 91. there is. All water spray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ports 102 can reach the filter 91 by passing through the nozzle rib 103, the case opening 94, and the duct opening 25. Accordingly, the filter cleaning ability of the cleaning nozzle 100 may be improved.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i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filter case 90 may include a stopping protrusion 99.
  • the locking protrusion 99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bottom of the filter case 90. Additionally, the stopping protrusion 99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ase 90.
  • the filter case 90 When the filter case 90 is inserted into the tub duct 24,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surface 28, and the stopping protrusion 99 is elastically deformed, thereby forming the tub 20. It can get caught on the circumference. Through this,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9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surface 98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28, and the upper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90 is supported by the stopping protrusion 99. It can be supported. The filter case 9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 duct 24 by the catching protrusion 99 being caught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0.

Abstract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터브로서, 상기 터브의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터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터브 덕트를 포함하는 터브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로서,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일 측을 갖고, 상기 필터를 마주보도록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청소 노즐로서, 상기 터브 덕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덕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개구는, 상기 덕트 개구를 통과한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개시된 발명은 의류를 세탁 및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방식에 따라 세탁조의 하부에 작은 날개가 붙은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 생기는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하는 펄세이터 방식, 세탁조의 중앙에 날개가 붙어있는 큰 교반 날개가 규칙적으로 방향이 반전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하는 에지에이터 방식,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낙차에 따른 충격과 세제의 세정력을 세탁하는 드럼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드럼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드럼으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장치 및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의 건조장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장치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덕트 상에 배치되어 덕트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터의 일부 영역에는 청소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닿지 않거나 약한 수압의 물만 전달되어 상기 일부 영역에 수집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청소 노즐에 의한 필터의 청소 효율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필터의 전(全) 영역에 대한 청소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필터가 터브의 원주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필터의 면적을 증가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터브로서, 상기 터브의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터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터브 덕트를 포함하는 터브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로서,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일 측을 갖고, 상기 필터를 마주보도록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청소 노즐로서, 상기 터브 덕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덕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개구는, 상기 덕트 개구를 통과한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진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필터 상의 일 지점에서의 접선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덕트 개구는, 상기 터브 덕트를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진 제2방향을 따라 관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이 연장되는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덕트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덕트 개구에 삽입되는 노즐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리브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노즐 리브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노즐 리브와 상기 덕트 개구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노즐 리브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리브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노즐 리브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노즐 리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터브 덕트의 내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터브 덕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터브 덕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터브 덕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덕트 개구와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되는 케이스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개구는, 상기 덕트 개구와 상기 케이스 개구를 통과한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상기 케이스 개구로 돌출되는 케이스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가 상기 터브 덕트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돌기는 상기 청소 노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필터 케이스가 상기 터브 덕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터브 덕트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방지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회전방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상기 필터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지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공기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필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제1지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면과 대응되는 제2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제1지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면과 대응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제1지지면이 상기 제2지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터브의 상기 원주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터브 덕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터브 덕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로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배출구를 갖는 터브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터브의 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측면에 덕트 개구가 형성되는 터브 덕트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커버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 덕트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덕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덕트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지게 결합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노즐에서 상기 덕트 개구와 가장 인접한 제1위치와 상기 덕트 개구로부터 가장 먼 제2위치 사이의 제3위치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필터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로서, 상기 터브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터브의 바깥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며 그 일 측에 덕트 개구를 갖는 터브 덕트와,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터브 덕트에 삽입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덕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덕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 노즐로서,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와 마주보도록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지게 결합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덕트 개구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노즐과 상기 필터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3부분에서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터브 덕트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노즐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터브 덕트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은,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 노즐에 의한 필터의 청소 효율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의 전(全) 영역에 대한 청소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가 터브의 원주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필터의 면적을 증가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에서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건조 행정 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필터 케이스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청소 노즐 및 실링부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청소 노즐과 실링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청소 노즐 및 실링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청소 노즐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 4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가리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와, 드럼(30)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 측은 급수밸브(56)와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 측은 세제함(52)과 연결된다.
세제함(52)은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함(52)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42)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드럼(30)은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구동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43)가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 모터(40)는 샤프트(43)를 통해 연결되는데 샤프트(43)와 구동 모터(40)의 연결 형태에 따라, 샤프트(43)가 구동 모터(40)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타입과 구동 모터(40)와 샤프트(43) 사이에 풀리(44)를 연결하여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구동 타입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 가능하다.
샤프트(43)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샤프트(43)의 타단은 터브(20)의 후측부(2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43)의 타단은 구동 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얻기 위해 풀리(44)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40)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4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풀리(41)와 샤프트 풀리(44) 사이에는 구동벨트(45)가 마련되어 구동벨트(45)에 의해 샤프트(43)가 구동할 수 있다.
구동 모터(40)는 터브(20)의 하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벨트(45)가 터브(20)의 상하 방향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43)를 구동시킬 수 있다.
터브(20)의 후측부(22)에는 샤프트(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46)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46)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측부(22)에 인서트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4)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는 필터장치(60)를 커버하는 커버(19)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9)를 개방함에 따라, 필터장치(60)에 접근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의 하부에 배치되고 터브(20)의 내부의 물을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8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8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펌프(80)는 터브(20)의 배수구(81)와 연결호스(8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배수펌프(8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60)는 터브(20)의 하측에서 배수펌프(8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수펌프(80)로부터 물이 필터장치(6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필터장치(60)는 배수펌프(80)와 제1 순환호스(83) 및 제1 배수호스(8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순환호스(83)를 통해 필터장치(60)로 유입되는 물이 필터링된 후 터브(20)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필터장치(60)는 터브(20)와 제2 순환호스(8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수호스(85)를 통해 필터장치(60)로 유입되는 물이 필터링된 후 캐비닛(10)의 외부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필터장치(60)는 제2 배수호스(86)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브(20)는 전측부(21)와 후측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브(20)의 전측부(21)와 터브(20)의 후측부(22)가 결합되어 터브(20)를 형성할 수 있다.
터브(20)의 후측부(22)에는 후술할 터브 덕트(24)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에는 급수관(50)과 연결되는 급수 호스(51)가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호스(51)의 일 단에는 청소 노즐(1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에서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브(20)의 후측부(22)에는 터브 덕트(24)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는 후측부(22)의 원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터브 덕트(24)의 내측에는 필터 케이스(90)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91)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에는 청소 노즐(100)이 결합될 수 있다. 청소 노즐(100)은 터브 덕트(24)와 필터 케이스(90)를 관통하여 터브 덕트(24) 내측에 위치하는 노즐(1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터브(20)의 후측부(22)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후측부(22)는 그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3)는 터브(20)의 후측부(22)의 원주면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3)는 후측부(22)의 상부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터브(20)를 거쳐 공기 배출구(23)를 통해 터브(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공기의 흐름은 후술하기로 한다.
공기 배출구(23)는 터브(20)의 원주면 상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므로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3)는 터브(2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3)의 측단면은 원호(arc) 형상일 수 있다.
터브 덕트(24)는 터브(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는 공기 배출구(23)의 주변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는 공기 배출구(23)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터브 덕트(24)는 덕트 개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를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터브 덕트(24)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덕트 개구(25)는 후술할 청소 노즐(100)로부터 분사되는 물 전부가 덕트 개구(25)를 통과하여 필터(91)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의 상면에는 후술할 필터 케이스(90)의 회전방지돌기(93)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방지홈(26)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93)가 회전방지홈(26)에 삽입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 내에서 상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덕트 개구(25)의 양 측에는, 청소 노즐(100)을 터브(20)의 후측부(22)에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부재(S)가 체결되는 체결부(29)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2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S)를 수용하는 보스(boss)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 덕트(24)에는 필터 케이스(90)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는 그 하면에 필터(9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91)는 공기 배출구(23)를 커버하도록 공기 배출구(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91)는 필터 케이스(90)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측단면은 원호(arc) 형상일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는 하면이 경사진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는 터브 덕트(24)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 내부에 삽입 및 결합됨으로써 필터(91)가 공기 배출구(23)를 커버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는 필터(91)와, 필터(91)를 지지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바디(92)와, 케이스 바디(92)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93)와, 케이스 바디(92)를 관통하는 케이스 개구(9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개구(94)에는 케이스 돌기(95)와 케이스 홈(9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91)는 공기 배출구(23)를 커버함으로써 공기 배출구(23)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91)는 공기 배출구(23)를 커버하도록 공기 배출구(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92)는 하면이 경사진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92)의 상면에는 회전방지돌기(93)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지돌기(93)는 케이스 바디(92)의 상면으로부터 케이스 바디(9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돌기(93)는 복수로 마련되어 케이스 바디(9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90)는 3개의 회전방지돌기(9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방지돌기(93)는 1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개구(94)는 덕트 개구(25)와 대응될 수 있다. 케이스 개구(94)는 청소 노즐(100)로부터 분사된 물 전부가 케이스 개구(94)를 통과하여 필터(91)에 도달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개구(94)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후술할 바와 같이, 케이스 돌기(95)와 케이스 홈(96)을 포함하여 그 형상이 사각 형상과 다소 상이해질 수 있다. 청소 노즐(100)의 노즐(101)은 덕트 개구(25)와 케이스 개구(94)를 관통하여 터브 덕트(24)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돌기(95)는 청소 노즐(100)의 노즐 리브(103) 또는 실링부재(110)의 실링 리브(111)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돌기(95)가 노즐 리브(103) 또는 실링 리브(11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 홈(96)은 노즐(101)의 상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대략 원호 형상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홈(96)에는 노즐(101)이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 홈(96)은 케이스 개구(94)와 노즐(101)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청소 노즐(100)은 필터(91)를 물을 분사함으로써 필터(91)에 수집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청소 노즐(100)은 필터(91)에 물을 분사하여 필터(91)를 청소할 수 있다.
청소 노즐(100)은, 급수 호스(51)로부터 물을 공급 받아 물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노즐(101)과, 노즐(101)을 지지하고 노즐(101)을 터브(20)의 후측부(22)에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노즐 바디(104)와, 노즐 바디(104)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S)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체결홀(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청소 노즐(100)과 덕트 개구(25) 사이의 틈을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10)는 후술할 청소 노즐(100)의 노즐 리브(103)와 대응되는 형상의 중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건조 행정 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건조 행정 시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건조장치는 드럼(30)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고, 드럼(30) 내부를 거치면서 저온 다습해진 공기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한 후, 다시 드럼(30)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고, 드럼(30) 내부로부터 저온 다습해진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터브 덕트(24)와, 연결 덕트(71)와, 팬(73)과, 팬(73)을 회전시키는 모터(72)와, 상부 덕트(74, 75)와, 히터(76)와, 전면 덕트(77)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72)의 구동력에 의해 팬(73)이 회전하면,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다수의 통공(34)을 통해 터브(20)로 이동한 후, 공기 배출구(23)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터브 덕트(24) 및 연결 덕트(71)를 거쳐 상부 덕트(74, 75)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덕트(74, 75)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76)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하고, 전면 덕트(77)를 거쳐 드럼(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30) 내부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세탁물을 거치면서 저온 다습해지고, 저온 다습해진 공기는 터브(20)의 후측부(22)의 후벽에 흐르는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되어 저온 저습해진다.
저온 저습한 공기는 공기 배출구(23)와, 터브 덕트(24), 연결 덕트(71)를 거쳐 상부 덕트(74, 75)로 유입되고, 상부 덕트(74, 75) 내부의 히터(77)를 지나면서 고온 저습해진다.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터브 덕트(24)와, 필터 케이스(90)와, 청소 노즐(100) 및 실링부재(110)의 배치 및 구조적 특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소 노즐(100)은 노즐(101)이 터브 덕트(24)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터브 덕트(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청소 노즐(100)과 터브 덕트(24) 사이에는 실링부재(110)가 배치되어 터브 덕트(24) 내부와 외부를 실링할 수 있다.
노즐(101)은 터브 덕트(24)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노즐(101)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물 분사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01)은 필터(91) 상의 일 지점(P)에서의 접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101)이 연장되는 제1방향과 평행한 직선 L1과, 필터(91) 상의 일 지점(P)에서의 접선 L2는 서로 평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행한다”의 의미는 수학적으로 평행한 것과, 수학적으로 평행하진 않지만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노즐(101)은 필터(91)와 마주보도록 터브 덕트(24)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노즐(101)이 필터(91)와 마주보도록 터브 덕트(24)에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노즐(101)의 일 단에 위치한 물 분사구와 필터(91) 사이의 거리(d1)와, 노즐(101)의 타 단에 위치한 물 분사구와 필터(91) 사이의 거리(d3) 및 상기 일 지점(P)과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한 물 분사구와 필터(91) 사이의 거리(d2)는 유사할 수 있다. 즉, d1과 d2 및 d3는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각 위치에서의 필터 청소 능력에 차이가 있을 만큼의 실질적 차이는 없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청소 노즐(100)은, 노즐(101)의 일 단으로부터 타 단까지 균일한 필터 청소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구체적으로 필터(91)와 노즐(101) 사이의 거리를 살펴보면, 노즐(101)에서 덕트 개구(25)와 가장 가까운 제1위치라 하고, 노즐(101)에서 덕트 개구(25)와 가장 먼 위치를 제2위치라 하고,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를 제3위치라 할 때, 노즐(101)과 필터(91) 사이의 거리는 제3위치에서 최소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위치에서 노즐(101)과 필터(91) 사이의 거리(d1)보다 제3위치에서 노즐(101)과 필터(91) 사이의 거리(d2)가 더 짧을 수 있다. 또한, 제2위치에서 노즐(101)과 필터(91) 사이의 거리(d3)보다 제3위치에서 노즐(101)과 필터(91) 사이의 거리(d2)가 더 짧을 수 있다.
공기 배출구(23) 및 필터(91)가 터브(20)의 원주면 상에 마련되어 곡면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노즐(101)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급수 호스(51)와 가까운 노즐(101)의 일 단에서는 물 분사구(102)와 필터(91)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급수 호스(51)와 먼 노즐(101)의 타 단에서는 물 분사구(102)와 필터(91)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노즐(101)의 일 단에서는 물 분사구(102)와 필터(91) 사이의 거리가 멀어 필터(91)의 청소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101)이 필터(91)와 마주보도록 터브 덕트(24)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101)이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노즐(101)의 일 단으로부터 타 단까지 물 분사구(102)와 필터(91) 사이의 거리가 유사하다. 이에 따라, 노즐(101)의 일 단으로부터 타 단까지 균일한 필터 청소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를 사선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를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관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를 제3방향을 따라 관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덕트 개구(25)는 제3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개구(25)가 연장되는 제3방향과 평행한 직선 L3는 노즐(101)이 연장되는 제1방향과 평행한 직선 L1과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하다”는 의미는 수학적으로 수직한 것과, 수학적으로 수직하진 않지만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개구(25)는 터브 덕트(24)에 대해 경사진 제3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덕트 개구(25)는 제3방향으로 연장되고 터브 덕트(24)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재(110)의 후술할 실링 리브(111)는 제3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청소 노즐(100)의 노즐 리브(103)는 제3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10) 및 노즐 리브(103)는 덕트 개구(25)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덕트 개구(25)를 밀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필터 케이스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90)는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에서 필터(9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지지 홈(9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90)는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9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면(98)은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마련된 일부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터브 덕트(24)는 공기 배출구(23)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지지 홈(97)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리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브 덕트(24)는 제1지지면(98)을 지지하도록 제1지지면(98)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2지지면(28)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 내부에 삽입되면, 회전방지돌기(93)가 회전방지홈(26)에 삽입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 내부에 삽입되면, 필터 케이스(90)의 지지 홈(97)에 터브 덕트(24)의 지지 리브(27)가 삽입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공기 배출구(23)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 내부에 삽입되면, 필터 케이스(90)의 제1지지면(98)이 터브 덕트(24)의 제2지지면(2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공기 배출구(23)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지 홈(97)에 지지 리브(27)가 삽입되고, 제1지지면(98)이 제2지지면(2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90)는 케이스 개구(94)와, 케이스 개구(94)에 마련되는 케이스 돌기(95)와, 케이스 홈(9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돌기(95)는 케이스 바디(92)로부터 케이스 개구(94)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돌기(95)는 케이스 개구(94)의 양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돌기(95)는,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에 삽입되었을 때, 청소 노즐(100) 또는 실링부재(110)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돌기(95)는 청소 노즐(100) 또는 실링부재(11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가 터브 덕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필터 케이스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필터는 공기 배출구를 커버하도록 터브 덕트 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청소 노즐의 노즐은 덕트 개구를 통과하여 터브 덕트 내에 위치할 수 있다.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청소 노즐 및 실링부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청소 노즐과 실링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링부재(110)는 청소 노즐(100)과 덕트 개구(25) 사이를 실링하도록 청소 노즐(100)에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청소 노즐(100)은 물 분사구(102)를 포함하는 노즐(101)과, 덕트 개구(25)를 커버하도록 덕트 개구(25)에 삽입되는 노즐 리브(103)와, 노즐(101)을 터브 덕트(24)에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노즐 바디(104)와, 노즐 바디(104)에 마련되는 체결홀(105) 및 노즐 리브(103) 상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의 입구 측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덕트 개구(25)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덕트 개구(2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덕트 개구(2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로부터 분사된 물이 노즐 리브(103)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 분사구(102)가 형성되는 노즐의 일 영역을 노즐(101)의 하면이라 칭한다. 노즐(101)의 하면을 바라보았을 때, 노즐 리브(103)는 사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노즐(101)의 입구는 급수 호스(51)로부터 노즐(101)로 물이 유입되는 노즐(101)의 일 단을 지칭할 수 있다. 노즐 리브(103)의 높이는 노즐 리브(103)의 하단으로부터 노즐 바디(104)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노즐 리브(103)의 높이는 노즐 바디(104)로부터 노즐 리브(103)의 하단까지 돌출된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이 노즐 바디(104)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노즐(101)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물이 유입되는 노즐(101)의 입구에서 제1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의 입구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서 제3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의 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제2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노즐(101)의 입구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즐 리브(103)는 제1높이(h1)보다 제2높이(h2)가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제2높이(h2)가 제3높이(h3)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제3높이(h3)가 제1높이(h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는 h2 > h3 > h1 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101)의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노즐 리브(103)의 높이가 다르게 마련됨으로써, 노즐(101)은 노즐 바디(104)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돌기(106)는, 청소 노즐(100)이 터브 덕트(24)에 결합되었을 때, 터브 덕트(24)의 내면에 걸림으로써 청소 노즐(100)이 터브 덕트(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돌기(106)는 청소 노즐(100)이 터브 덕트(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110)는 노즐 리브(103)를 감싸도록 노즐 리브(103)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실링 리브(111)와, 노즐(101)이 실링부재(1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중공(112)과, 노즐(101)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실링 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홈(113)에 노즐(101)이 삽입됨으로써 노즐(101)과 실링 리브(111)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즉, 실링 홈(113)은 노즐(101)과 실링 리브(111)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링부재(110)의 일 측은 노즐(101)에 의해 지지되고, 실링부재(110)의 타 측은 이탈방지돌기(106)가 마련되는 노즐 리브(10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링부재(110)의 일 측은, 도 7을 기준으로 노즐(101)의 상측에 위치하는 실링부재(110)의 일부분을 가리킬 수 있다. 실링부재(110)의 타 측은, 도 7을 기준으로 노즐(101)의 하측에 위치하는 실링부재(110)의 일부분을 가리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노즐(100)이 터브 덕트(24)에 결합되었을 때, 노즐 리브(103)는 덕트 개구가 연장되는 제3방향(L3)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노즐 리브(103)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면, 실링부재(110)의 타 측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실링부재(110)가 청소 노즐(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 리브(103)가 수평 방향이 아닌 제3방향(L3)으로 연장됨으로써 실링부재(110)의 타 측의 수평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링부재(110)가 청소 노즐(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청소 노즐 및 실링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청소 노즐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노즐 리브(103)와, 케이스 개구(94) 및 덕트 개구(25)의 사각 형상에 따른 기술적 효과를 자세히 설명한다. 사각 형상은 모서리가 직각인 일반적인 사각형과,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마련된 사각형과, 네 변 모두가 곡선으로 마련되거나 그 일부가 곡선으로 마련되는 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각 형상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노즐(101)에서 물 분사구(102)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최대 분사 각도를 θ1이라 한다. 물 분사구(102)를 통해 분사되는 물은 최대 θ1의 범위 내에서 분사될 수 있다.
물 분사구(102)로부터 물이 180° 범위로 분사된다고 가정할 때,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되는 물이 노즐 리브(103)와 만나는 최소 분사각을 θ2라 한다.
만약, θ2가 θ1보다 크다면,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되는 물은 노즐 리브(103)와 만나지 않는다. 달리 표현하면, θ2가 θ1보다 클 때,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되는 물은 노즐 리브(103)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θ2가 θ1보다 클 때,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된 물의 이동 경로는 노즐 리브(103)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된 물이 모두 노즐 리브(103)를 통과하여 필터(91)에 도달하면, 청소 노즐(100)의 필터 청소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노즐 리브(103)가 사각 형상이 아닌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θ2가 사각 형상 대비 작아지는 영역이 생긴다. 물 분사구(102)가 노즐(10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기 때문에, 모든 물 분사구(102)에서 θ2가 θ1보다 클 경우에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되는 물이 노즐 리브(103)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노즐 리브(103)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물 분사구(102)에서는 θ1이 θ2보다 크게 되고, 이로 인해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되는 물이 노즐 리브(103)에 의해 막히게 된다. 물 분사구(102)에서 분사된 물이 노즐 리브(103)에 의해 막히게 되면, 청소 노즐(100)의 필터 청소 능력이 저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노즐(100)은, 복수의 물 분사구(102) 각각에서 θ2가 θ1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물 분사구(102) 각각에서 분사된 물 전부가 필터(91)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즐 리브(103)와, 케이스 개구(94) 및 덕트 개구(25)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물 분사구(102) 각각에서 분사되는 모든 물이 노즐 리브(103)와, 케이스 개구(94) 및 덕트 개구(25)를 통과함으로써 필터(91)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노즐(100)의 필터 청소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 4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90)는 걸림돌기(99)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99)는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에서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99)는 필터 케이스(9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에 삽입되었을 때, 제1지지면(98)은 제2지지면(28)에 의해 지지되고, 걸림돌기(99)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터브(20)의 원주면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의 하단이 제1지지면(98)과 제2지지면(28)에 의해 지지되고, 필터 케이스(90)의 하면의 상단이 걸림돌기(9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걸림돌기(99)가 터브(20)의 원주면에 걸림으로써 필터 케이스(90)가 터브 덕트(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터브로서, 상기 터브의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터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터브 덕트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로서,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일 측을 갖고, 상기 필터를 마주보도록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청소 노즐로서, 상기 터브 덕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덕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덕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개구는, 상기 덕트 개구를 통과한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사각 형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진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필터 상의 일 지점에서의 접선과 평행한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개구는, 상기 터브 덕트를 상기 터브 덕트에 대해 경사진 제2방향을 따라 관통함으로써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연장되는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덕트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덕트 개구에 삽입되는 노즐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리브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노즐 리브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사각 형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리브와 상기 덕트 개구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노즐 리브에 결합되는 실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리브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노즐 리브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노즐 리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터브 덕트의 내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터브 덕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터브 덕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터브 덕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덕트 개구와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되는 케이스 개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개구는, 상기 덕트 개구와 상기 케이스 개구를 통과한 상기 노즐이 상기 필터에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사각 형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상기 케이스 개구로 돌출되는 케이스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가 상기 터브 덕트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돌기는 상기 청소 노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필터 케이스가 상기 터브 덕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터브 덕트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방지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회전방지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상기 필터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공기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지지 홈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필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제1지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면과 대응되는 제2지지면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면에서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 덕트는, 상기 제1지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면과 대응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제1지지면이 상기 제2지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터브의 상기 원주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터브 덕트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20845 2022-03-22 2022-12-20 의류처리장치 WO202318262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98,948 US20230304211A1 (en) 2022-03-22 2023-01-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5556 2022-03-22
KR10-2022-0035556 2022-03-22
KR1020220072446A KR20230137789A (ko) 2022-03-22 2022-06-14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72446 2022-06-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098,948 Continuation US20230304211A1 (en) 2022-03-22 2023-01-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620A1 true WO2023182620A1 (ko) 2023-09-28

Family

ID=881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0845 WO2023182620A1 (ko) 2022-03-22 2022-12-2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826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59B1 (ko) * 2003-10-17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필터케이스 구조
KR20120108168A (ko) * 2011-03-23 201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101710390B1 (ko) * 2009-12-15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030404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US20200102692A1 (en) * 2018-10-02 2020-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t cleaning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59B1 (ko) * 2003-10-17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필터케이스 구조
KR101710390B1 (ko) * 2009-12-15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120108168A (ko) * 2011-03-23 201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00030404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US20200102692A1 (en) * 2018-10-02 2020-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t cleaning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9393A1 (ko)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WO2013125794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O2017119586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00321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2138136A2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WO2015068934A1 (en) Laundry machine
WO2013129779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O2013151344A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O2011078610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18052195A1 (ko) 배수펌프
WO2018070730A1 (en) Washing machine
AU2017382049B2 (en) Washing machine
WO201700318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107573A1 (ko) 의류관리기
WO2010008181A2 (en) Washing machine
WO2017069552A1 (en)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distributor
WO2020040420A1 (ko) 의류 관리기
WO2018117422A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1700321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7380379B2 (en) Washing machine
WO2023182620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005514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WO2018026112A1 (ko) 세탁기
WO2019066423A1 (en) BUBBLE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WO2019199081A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37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