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3700A1 - 유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3700A1
WO2023153700A1 PCT/KR2023/001420 KR2023001420W WO2023153700A1 WO 2023153700 A1 WO2023153700 A1 WO 2023153700A1 KR 2023001420 W KR2023001420 W KR 2023001420W WO 2023153700 A1 WO2023153700 A1 WO 20231537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communication
filte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4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근상
윤성한
한두원
엄주혁
이영재
최인두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537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37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1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유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배출 지점을 포함하는 수요지(demand area) 및 외부의 수원(source)을 연통하는 유로의 지점 중,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으로 분지(branch)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기 수원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외부의 수원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여 수요지에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유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요지로 전달되기 전 유체를 여과하여 공급할 수 있는 유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가정 등 최종 수요지에서 물을 여과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정수기 등으로 대표될 수 있는 상기 장치들은 배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최종 수요지에 전달된 물이 출수되기 직전 물을 여과하게 구성된다.
정수기는 흔히 음수용으로 구비된다. 즉,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물은 주로 사용자가 마시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정수기로 전달되는 물은 다양한 미생물 또는 불순물 등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는 바, 정수기는 상기 미생물 또는 상기 불순물 등을 걸러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음수용 물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예를 들면 샤워, 설거지, 세탁 등에 활용되는 물의 질과 관련된 요구사항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출수되기 직전의 물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물 자체를 여과 후 최종 수요지에 공급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물을 여과하기 위해 정수기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 예를 들면 필터 등은 정수기의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유지 보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필터 등은 교체의 방식으로 유지 보수가 수행된다.
정수기가 가정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정수기를 개방하여 필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수기가 필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터의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최종 수요지에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는 가정 등 최종 수요지의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미관 및 공간 활용 등의 이유에 기인하여,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상기 장치의 경우 가정에 구비되는 정수기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에 구비되는 필터는 가정에 구비되는 정수기에 비해 더 잦은 유지 보수가 요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터의 잦은 교체를 위해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에 유지 보수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장치가 물을 여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거나, 다른 경로를 통해 물이 유동되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물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보다는 다른 경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국등록특허 제11,053,149호는 건물 내에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POE 타입의 물 위생 시스템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POE 및 여과되어 건물 내로 공급된 물의 경로를 다변화시키는 바이패스 라인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바이패스 라인은 물이 이미 건물 내로 공급된 이후에 물의 경로를 형성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POE의 유지 보수 등이 요구되는 경우 물이 차단되어야만 하므로, 해당 기간 동안 사용자는 물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13/0277294호는 POE 타입의 정수기에 활용되는 필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로 물을 공급하여 여과할 수 있는 필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필터 시스템은 POE 타입에 구비되어 사용되기 위한 복수 개의 필터의 유로 형성에 대한 내용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필터 시스템 자체의 유지 보수가 요구될 경우, 사용자에게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은 물의 여과를 위해 구비되는 필터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미국등록특허문헌 제11,053,149호 (2021.07.06.)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13/0277294호 (2013.10.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도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을 세정할 수 있는 구조의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경로로 유체를 수요지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사시에도 유체를 수요지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가 유동되는 다양한 경로를 용이하게 형성 및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배출 지점을 포함하는 수요지(demand area) 및 외부의 수원(source)을 연통하는 유로의 지점 중,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으로 분지(branch)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기 수원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원 및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과 연통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filtering)하게 구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및 상기 배관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배관부의 상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부의 하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연통부;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거나 여과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제2 연통부; 및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통해 유입되어 일 방향으로 통과되는 상기 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배출하게 구성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가변 유로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변 유로 부재는, 상기 여과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접히거나(fold) 펼쳐지게(open) 구성되는 윙(wing)부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부는, 상기 여과부의 상기 외주 방향을 따라 그 면적이 가변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윙부는,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가 모두 개방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제1 연통부는 폐쇄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개방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유체는 상기 제1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여과된 후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에서 배출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유체는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일 단부가 상기 제2 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타 단부 및 외부의 저수조와 연통되는 배출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필터 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배출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부재는, 복수 개의 중공(hollow)이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사(hollow)를 포함하는 중공 사막(hollow fiber) 필터로 구비되어, 상기 유체는, 상기 필터 부재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중공사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 부재의 방사상 내측으로 유동되며 여과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통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상기 방사상 외측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상기 방사상 내측과 연통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과되는 상기 유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의 탁도(turbidity)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탁도 센서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탁도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탁도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탁도 센서 중 다른 하나 이상은 상기 배관부의 상기 하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관부의 상기 하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게 구성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배관부의 상기 하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flow rate)을 감지하게 구성되는 유량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여과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상기 유체가 누수(leak)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누수 센서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과되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조정하게 구성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은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통해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을 연통하게 구성되는 유로 조정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은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배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유로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부는, 외부의 저수조와 상기 여과부의 내부를 연통하여,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에 유입되어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필터 부재를 통과된 후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 배관에 구비되어, 외부의 상기 저수조와 상기 여과부의 상기 내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수요지 및 외부의 수원을 연통하는 유로의 지점 중,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로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기 수원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원 및 상기 수요지와 연통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게 구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및 상기 배관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배관부의 상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부의 하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연통부;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거나 여과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제2 연통부; 및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통해 유입되어 일 방향으로 통과되는 상기 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배출하게 구성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가변 유로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는 각각 복수 개의 배출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수원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의 각 입구와,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이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의 각 입구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은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도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을 세정할 수 있다.
여과부는 커버부에 의해 배관부와 연통된다. 여과부는 복수 개의 연통부에 의해 커버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커버부는 회전 가능하게, 또는 표면적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변 유로 부재를 포함한다. 가변 유로 부재는 회전되거나 표면적이 변경되어, 복수 개의 연통부 중 어느 하나의 연통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가변 유로 부재가 제어되어 여과부의 제1 연통부를 밀폐하면, 수원에서 유입된 유체는 제2 연통부를 통해 여과부의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제2 연통부는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연통되어, 유체는 필터 부재의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필터 부재의 방사 방향으로 축적된 이물질 등은, 필터 부재의 중공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유로 부재 및 배관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밸브부가 제어되는 것만으로도, 수원에서 공급된 유체를 이용하여 필터 부재가 세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경로로 유체를 수요지에 공급할 수 있다.
먼저, 유체 처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배관에 의해 외부의 수원 및 수요지와 연통된다. 복수 개의 배관 또는 복수 개의 배관이 결합, 연통되는 지점에는 다양한 형태의 밸브부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밸브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복수 개의 배관 또는 복수 개의 배관 사이의 연통을 각각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원에서 공급된 유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양한 유로를 따라 유동되며 수요지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은 유사시에도 유체를 수요지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유로는 복수 개의 배관 및 여과부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게 형성된다. 즉, 제1 유입 유로는 수원에서 공급된 유체가 제1 배관, 커버부 및 여과부를 통과하며 수요지에 공급되게 형성된다.
커버부 또는 여과부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제2 유입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 유로는 제1 배관과 연통되는 제3 배관 및 이와 연통된 제2 배관에 걸쳐 형성되어, 수원에서 공급된 유체는 커버부 및 여과부를 우회하여 수요지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유입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배관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제3 유입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입 유로는 제1 배관과 연통되는 제4 배관 및 이와 연통된 제2 배관에 걸쳐 형성되어, 수원에서 공급된 유체는 커버부, 여과부 및 제3 배관을 우회하여 수요지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처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수요지에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은 유체가 유동되는 다양한 경로를 용이하게 형성 및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처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배관 또는 복수 개의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이 위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부를 포함한다. 각 밸브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제1 내지 제3 유입 유로 또는 세정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응되게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부는 외력 또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내지 제3 유입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입 유로가 형성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변 유로 부재는 외력 또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내지 제3 유입 유로 또는 세정 유로가 형성되도록 가변 유로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부 및 가변 유로 부재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에 기 저장된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밸브부 및 가변 유로 부재는 제1 내지 제3 유입 유로 또는 세정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처리 시스템 내부에 상황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유로가 용이하게 형성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유체를 여과하는 필터 부재의 사용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는 세정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세정되어, 필터 부재의 여과 효과의 유지 기간 또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처리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시간 및 금전적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의 잦은 유지 보수 또는 교체가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처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여과부 및 커버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여과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여과부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여과부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커버부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버부의 가변 유로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유체 처리 시스템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유입 유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유체 처리 시스템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유입 유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유체 처리 시스템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유입 유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유체 처리 시스템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정 유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유동되며, 형상 또는 부피 등이 변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원(S)"이라는 용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 또는 수요지(D)의 외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유체 처리 시스템(10)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설비를 의미한다. 유체가 물 등의 액체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수원(S)은 상수 처리 시설 등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설비일 수 있다. 수원(S)은 유체 처리 시스템(10) 및 수요지(D)와 연통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요지(D)"라는 용어는, 수원(S) 또는 유체 처리 시스템(10)과 연통되어, 유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공간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요지(D)는 사용자들이 거주하는 각 가구(household), 오피스 등의 건물에 설치된 각 사무실 등의 시설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배출 지점(D.P)"이라는 용어는, 수요지(D)에 구비되어 유입된 유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설비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 지점(D.P)은 화장실, 샤워실, 싱크대 등에 구비되는 다양한 수도꼭지 등의 설비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저수조(R)"라는 용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과 연통되어, 유체 처리 시스템(10)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설비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수조(R)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tank)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U.T)"라는 용어는, 사용자에게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U.T)는 수요지(D)에 설치되는 인포메이션 스크린(information screen), 비전(vision), 또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U.T)는 유체 처리 시스템(10)과 통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U.T)는 사용자가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U.T)는 시각화 정보, 청각화 정보 또는 촉각화 정보를 출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관리자 단말기(A.T)"라는 용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에게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기(A.T)는 외부의 관리소에 설치되는 컴퓨터, 또는 관리자가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A.T)는 유체 처리 시스템(10) 및 사용자 단말기(U.T)와 통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A.T)는 관리자가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기(A.T)는 시각화 정보, 청각화 정보 또는 촉각화 정보를 출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A.T)는 사용자 단말기(U.T)와 통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A.T)는 사용자 단말기(U.T)에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유지 보수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이 외부의 설비와 연통되는 예가 블록도로 도시된다.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원(S)과 연통된다. 수원(S)에 저장된 유체 또는 수원(S)으로 공급된 유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 처리 시스템(10)으로 전달되는 유체는 수원(S)에서 한 차례 이상 여과 과정을 거친 유체일 수 있다.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요지(D)와 연통된다. 수원(S)에서 전달된 유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통해 한 차례 이상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수요지(D)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수원(S)에서 전달된 유체는 별도의 여과 과정 없이 수요지(D)에 공급될 수 있다.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원(S)과 수요지(D)를 연통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유로가 복수 개의 수요지(D)로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류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일의 수원(S)은 세 개의 수요지(D)와 연통된다. 이때,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유로가 세 개의 수요지(D)로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의 상류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원(S)에서 공급된 유체는 반드시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통과한 후, 복수 개의 수요지(D)로 각각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의 경우,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복수 개의 수요지(D)로 구성되는 건물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단에 유체 처리 시스템(10)이 설치됨을 전제한다.
또한,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요지(D)의 외부와 수요지(D)에 구비되는 배출 지점(D.P)을 연통하는 유로 상에 형성되되, 상기 유로가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으로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류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수요지(D)는 각각 세 개의 배출 지점(D.P)을 포함한다. 이때,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각 수요지(D)로 유입된 유체가 세 개의 배출 지점(D.P)으로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의 상류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원(S)에서 각 수요지(D)의 입구로 공급된 유체는 반드시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통과한 후,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으로 각각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의 경우,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을 포함하는 수요지(D)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단에 유체 처리 장치(10)가 설치됨을 전제한다.
예를 들어, 수요지(D)가 아파트(apartment)의 각 가구인 실시 예에서, 수원(S)에서 전달된 유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통과한 후 각 가구로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각 가구에 전달된 유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통과한 후, 각 가구에 구비되는 화장실, 샤워실, 싱크대 등 복수 개의 다양한 배출 지점(D.P)으로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원(S)과 복수 개의 수요지(D)의 입구 사이 또는 수요지(D)의 입구와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이 수원(S)과 복수 개의 수요지(D)의 입구 사이 및 수요지(D)의 입구와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 사이 모두에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원(S)과 복수 개의 수요지(D)의 입구 사이 및 수요지(D)의 입구와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 사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수원(S)에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다양한 배출 지점(D.P)으로 분지되기 전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적어도 한 번 통과하게 구성되면 족하다.
따라서, 수원(S)에서 공급된 유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통과한 후, 복수 개의 유로를 따라 분지되어 복수 개의 수요지(D) 또는 복수 개의 수요지(D)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배출 지점(D.P)으로 전달된다.
즉, 일 실시 예에서,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POE(Point-Of-Entry)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프레임(100), 여과부(200), 커버부(300), 배관부(400), 밸브부(500), 센서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수요지(D)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요지(D)가 건물로 구비되어,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최종 출수 지점이 존재하는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수요지(D)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최종 출수 지점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입체도형 형상이다. 프레임(100)은 내부에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하고, 외부와 연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프레임 하면(101) 및 프레임 공간(110)을 포함한다.
프레임 하면(101)은 프레임(100)의 면 중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을 형성한다. 프레임 하면(101)은 지면 또는 수요지(D)의 저면과 접촉된다. 달리 표현하면, 프레임 하면(101)은 유체 처리 시스템(1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프레임 하면(101)에는 후술될 센서부(600)의 누수 센서(640)가 위치된다. 누수 센서(640)는 여과부(200)에서 유체가 임의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프레임 하면(101)은 여과부(200) 기타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다른 구성 요소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200)에서 누수 등이 발생된 경우에도, 여과부(200) 기타 다른 구성 요소가 침수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프레임 공간(110)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프레임 공간(110)에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수용된다.
프레임 공간(110)은 외부와 연통된다. 수원(S)의 유체는 프레임 공간(1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로 유동된 유체는 수요지(D) 또는 저수조(R)로 유출될 수 있다.
프레임 공간(110)은 외부와 통전된다. 프레임 공간(110)에 수용된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 및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여과부(200)가 수용된다.
여과부(200)는 외부의 수원(S)과 연통되어 유체를 전달받는다. 여과부(200)는 전달받은 유체를 여과하여 외부의 수요지(D)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수원(S)과 여과부(200)를 연통하는 유로는 가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수원(S)에서 전달되는 유체는 일 유로, 즉 후술될 제1 유입 유로(IF1)를 따라 유동되어 여과된 후 수요지(D)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수원(S)에서 전달되는 유체는 다른 유로, 즉 후술될 세정 유로(CF)를 따라 유동되어 여과부(200)를 세정한 후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수원(S)에서 전달된 유체를 여과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여과부(200)는 유체에 혼합된 불순물 등을 여과하여 유체의 탁도를 개선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여과부(200)는 UF 중공사막 필터(Hollow Fiber Membrane Filter)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과부(200)가 UF 중공사막 필터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여과부(200)로 유입되는 유로에 따라 유입되는 유체는 여과부(200)에 의해 여과되거나, 여과부(200)를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과부(200)는 프레임 공간(110)에 위치된다. 여과부(200)는 배관부(400)에 의해 외부의 수원(S) 또는 수요지(D)와 연통된다. 또한, 여과부(200)는 외부의 저수조(R)와 연통되어, 여과부(200)를 세정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200)는 여과 몸체(210), 커버 결합부(220), 배출 연통부(230) 및 필터 부재(240)를 포함한다.
여과 몸체(210)는 여과부(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여과 몸체(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여과부(20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여과부(200)로 전달된 유체는 여과부(20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과 몸체(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유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여과 몸체(210) 내부에서 유동된 후, 다른 방향을 따라 여과되며 외부(즉, 수요지(D))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유동되며 여과부(200)를 세정한 후 외부(즉,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과 몸체(210)는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과 몸체(210)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여과 몸체(21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과 몸체(210)는 여과 공간(211) 및 필터 부재 지지부(212)를 포함한다.
여과 공간(211)은 여과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여과 공간(211)은 배관부(40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여과 공간(211)은 제1 배관(410)에 의해 외부의 수원(S) 및 수요지(D)와 연통된다. 또한, 여과 공간(211)은 배출 배관(450)에 의해 외부의 저수조(R)와 연통된다.
또한, 여과 공간(211)은 커버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커버부(300)에 구비되는 가변 유로 부재(330)에 의해,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여과 공간(211)은 여과 몸체(2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방향이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과 공간(211)에는 커버 결합부(220) 및 필터 부재(240)가 수용된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여과 공간(211)에 수용된 필터 부재(240)를 지지한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여과 몸체(2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커버 결합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커버 결합부(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커버 결합부(22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커버 결합부(220)에 형성된 제2 연통부(222)와 연통된다.
따라서, 필터 부재(240)에 의해 여과된 유체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 및 제2 연통부(222)를 통과하여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 부재(240)가 세정되는 경우, 수원(S)의 유체는 제2 연통부(222) 및 필터 부재 지지부(212)를 통과하여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따라 유동되어 세정수 배출부(243)를 통해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필터 부재(24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각각 필터 부재(2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필터 부재(240)의 각 단부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상측에 위치되는 커버 결합부(220)에 세 개, 하측에 위치되는 커버 결합부(220)에 각각 세 개 구비된다. 각 커버 결합부(220)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커버 결합부(22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세 개의 필터 부재(240)를 각각 상하 방향에서 각각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필터 부재(240)의 개수 및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필터 부재 지지부(212)는 커버 결합부(220)에 의해 지지된다.
커버 결합부(220)는 복수 개의 연통부를 포함하여,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커버 결합부(220)를 통해, 외부의 유체가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결합부(220)를 통해, 여과 공간(211)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20)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와 결합된다. 커버 결합부(220)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부재 지지부(212) 및 필터 부재(240) 또한 여과 몸체(2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결합부(220)는 필터 부재(24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결합부(220)는 필터 부재(24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220)는 두 개 구비되어 필터 부재(24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다. 두 개의 커버 결합부(220)는 필터 부재(2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측에 배치된 커버 결합부(220)(이하, "제1 커버 결합부(220)"라 한다.)는 여과 공간(211)과 수원(S) 또는 수요지(D)를 연통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배치된 커버 결합부(220)(이하, "제2 커버 결합부(220)"라 한다.)는 여과 공간(211)과 저수조(R)를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수원(S)에서 공급되는 유체 또는 수요지(D)로 전달되는 유체는 제1 커버 결합부(220)를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R)로 배출되는 유체는 제2 커버 결합부(220)를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20)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를 지지하고, 여과 공간(211)을 외부와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22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 커버 결합부(220)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여과 몸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커버 결합부(220)에는 가변 유로 부재(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여과부(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 결합부(220)의 형상은 여과 몸체(210) 및 필터 부재(24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결합부(220)는 제1 연통부(221) 및 제2 연통부(222)를 포함한다.
제1 연통부(221)는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 결합부(220)에 형성된 제1 연통부(221)는 여과 공간(211)과 수원(S)을 연통한다. 또한, 제2 커버 결합부(220)에 형성된 제2 연통부(222)는 여과 공간(211)과 저수조(R)를 연통한다.
제1 연통부(221)는 커버 결합부(22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통부(221)는 커버 결합부(220)의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 연통부(221)는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통부(22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1 연통부(221)는 복수 개의 군(group)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군의 제1 연통부(221)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른 위치에서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통부(221)는 커버 결합부(22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되는 세 개의 군을 포함한다.
제1 연통부(221)의 각 군은 복수 개의 제1 연통부(2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통부(221)의 각 군은 각각 세 개의 제1 연통부(221)를 포함한다. 세 개의 제1 연통부(221)는 그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게 배치된다.
제1 연통부(221)의 개수, 제1 연통부(221)의 군의 개수 및 배치 방식 등은 필터 부재(240)의 개수 및 형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연통부(221), 특히 제1 커버 결합부(220)에 형성되는 가변 유로 부재(33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1 연통부(221)를 개방하는 제1 상태(S1) 및 제1 연통부(221)를 폐쇄하는 제2 상태(S2)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연통부(222)는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한다. 이때, 제2 연통부(222)는 제1 연통부(221)와 이격되어, 제1 연통부(221)와 다른 위치에서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 결합부(220)에 형성된 제2 연통부(222)는 여과 공간(211)에 수용된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상측에 위치되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를 연통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여과된 유체는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240)를 세정하기 위한 유체가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연통부(222)는 커버 결합부(22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통부(222)는 커버 결합부(220)의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2 연통부(222)는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통부(22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2 연통부(222)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와 맞춰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연통부(222)는 그 두께 방향으로 필터 부재 지지부(212)와 겹쳐지게 배치되어, 필터 부재 지지부(21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연통부(2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연통부(222)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른 위치에서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통부(222)는 세 개 구비되어, 커버 결합부(22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2 연통부(222)는 커버 결합부(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연통부(221)의 군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1 연통부(221)만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1 연통부(221)가 개방될 경우, 즉 제1 상태(S1)에서, 제1 연통부(221)는 수원(S)과 여과 공간(211)을 연통한다. 따라서, 수원(S)에서 유입된 유체는 여과 공간(211) 중 필터 부재(240)의 외측으로 유입되어, 필터 부재(240)를 통과되며 여과될 수 있다(도 4의 좌측의 실선 화살표 참조).
제1 연통부(221)가 폐쇄될 경우, 즉 제2 상태(S2)에서, 제2 연통부(222)가 수원(S)과 여과 공간(211)을 연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통부(222)는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외부를 연통한다.
따라서, 수원(S)에서 전달된 유체는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유체는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필터 부재(240)를 통과하며 필터 부재(240)를 세정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도 4의 우측의 점선 화살표 참조).
따라서, 제1 상태(S1)는 여과부(200)로 유입된 유체가 여과되는 상태, 제2 상태(S2)는 여과부(200)로 유입된 유체가 필터 부재(240)를 세정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배출 연통부(230)는 제2 커버 결합부(220)에 형성되어, 여과 공간(211)과 배출 배관(450)을 연통한다. 상기 연통에 의해, 필터 부재(240)를 세정한 유체는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연통부(230)는 제2 커버 결합부(22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출 연통부(230)는 커버 결합부(220)의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배출 연통부(230)는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출 연통부(2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배출 연통부(230)는 필터 부재 지지부(212)와 맞춰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배출 연통부(230)는 그 두께 방향으로 필터 부재 지지부(212)와 겹쳐지게 배치되어, 필터 부재 지지부(21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배출 연통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출 연통부(23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른 위치에서 여과 공간(211)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 연통부(230)는 제2 연통부(222)와 동일하게 세 개 구비되어, 제2 커버 결합부(22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배출 연통부(230)는 제2 커버 결합부(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연통부(221)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부재(240)는 여과부(200)로 유입된 유체를 여과하는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필터 부재(240)는 여과 공간(211)의 일 부분에 수용되어, 여과 공간(211)의 다른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사상 외측 부분과 연통된다.
필터 부재(240)는 수원(S)에서 공급된 유체를 여과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240)가 중공사막 필터로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240)는 유체의 유로에 따라 유체를 여과하거나, 유체에 의해 세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유체는,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필터 부재(240)를 통과하며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유동되며 여과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위치되는 유체는,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필터 부재(240)를 통과하며 필터 부재(240)에 축적된 이물질 등을 세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를 변경하여, 유체를 여과하거나 필터 부재(240)를 세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240)는 여과 몸체(210)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2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필터 부재(240)는 여과 몸체(2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24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가 필터 부재 지지부(212)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필터 부재(240)는 여과 공간(211)과 연통된다. 여과 공간(211)의 상기 다른 부분에 유입된 유체는 필터 부재(24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유입된 유체는 여과 공간(211)의 상기 다른 부분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 부재(240)는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은 필터 부재 지지부(212) 및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필터 부재(24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개방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제2 연통부(222) 및 배출 연통부(230)와 연통된다.
필터 부재(240)가 유체를 여과하는 상태, 즉 제1 상태(S1)에서, 상기 중공에 유입된 유체는 제1 커버 결합부(220)의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외부의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 부재(240)가 유체에 의해 세정되는 상태, 즉 제2 상태(S2)에서, 상기 중공에 유입된 유체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되며 필터 부재(240)를 세정한 후, 배출 연통부(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240)는 중공사(241), 정수 배출부(242) 및 세정수 배출부(243)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240)가 중공 사막 필터로 구비됨이 이해될 것이다.
중공사(241)는 내부에 복수 개의 기공(air hole)이 형성된 실(straw)의 형태로 구비된다. 중공사(241)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일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고,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부는 타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일 예로, 중공사(241)의 각 단부는 상측에, 중공사(241)의 각 단부와 연속되는 만곡부는 하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부재(240)가 중공 사막 필터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중공사(241)를 통과하는 유체가 여과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공사(241)는 필터 부재(240)의 외주를 형성하게 연장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241)는 필터 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방사 방향에서 둘러싸며 연장된다.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외측에 체류되는 유체는 중공사(241)를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통과되며 여과되어 상기 중공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에 혼합되었던 이물질 등은 방사상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공사(241)에 축적된다.
한편, 필터 부재(240)의 상기 중공에 체류되는 유체는 중공사(241)를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통과되며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에 의해, 중공사(241)에 축적된 이물질 등은 방사상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중공사(24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필터 부재(240)가 세정되어 필터 부재(240)의 청결도 및 사용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중공사(241)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중공의 각 단부는 정수 배출부(242) 및 세정수 배출부(243)로 정의될 수 있다.
정수 배출부(242)는 상기 중공이 개방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형성한다. 정수 배출부(242)는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되어 중공사(241)를 통과하며 여과된 유체가 여과 공간(21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정수 배출부(242)는 제1 커버 결합부(220)의 제2 연통부(222)와 연통된다. 여과된 유체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커버부(300)의 내부를 거쳐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정수 배출부(242)는 수원(S)에서 제2 연통부(222)를 통과한 유체가 필터 부재(240)의 상기 중공으로 유입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유체가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공사(241)를 통과하며 중공사(241)에 축적된 이물질 등을 제거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세정수 배출부(243)는 상기 중공이 개방되는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형성한다. 세정수 배출부(243)는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되어 중공사(241)를 세정한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세정수 배출부(243)는 제2 커버 결합부(220)의 배출 연통부(230)와 연통된다. 중공사(241)를 세정한 유체는 배출 연통부(230)를 통해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여과부(200)와 배관부(400)를 연통한다. 커버부(300)는 여과부(200) 및 배관부(400)와 각각 연통된다.
수원(S)에서 공급된 유체는 커버부(300)를 통해 여과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유체는 커버부(300)를 통해 수요지(D)로 전달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프레임 공간(110)에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300)는 여과부(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커버부(300)는 여과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300)는 여과 공간(211)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으며 여과 몸체(210)와 결합된다. 즉, 여과 공간(211)은 커버부(300)를 통해서만 수원(S) 또는 수요지(D)와 연통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배관부(400)와 결합된다. 커버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배관부(400)와 연통된다. 유체는 커버부(300) 및 배관부(400)를 통해 외부에서 여과부(2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유체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300)는 여과부(200)와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300)는 커버 몸체(310), 커버 넥부(320) 및 가변 유로 부재(330)를 포함한다.
커버 몸체(310)는 커버부(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 몸체(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배관부(400) 및 여과 공간(211)과 연통된다.
커버 몸체(310)는 여과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몸체(310)는 여과 몸체(210)를 덮으며 여과부(200)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커버 몸체(310)는 여과 몸체(2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몸체(3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그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다.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 중 여과부(2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여과 공간(211)과 연통된다. 커버 몸체(310)의 외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부분에는 커버 넥부(320)가 결합된다.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은 커버 넥부(320)에 의해 배관부(400)와 연통된다.
커버 넥부(320)는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과 배관부(400)를 연통한다. 수원(S)에서 배관부(400)로 유입된 유체는 커버 넥부(3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을 거쳐 여과 공간(211)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여과 공간(211)에서 여과된 유체는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을 거쳐 커버 넥부(3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배관부(400)로 유동될 수 있다.
커버 넥부(320)는 커버 몸체(310)의 외주에서 커버 몸체(310)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커버 넥부(320)의 방사상 외측 단부는 배관부(400), 구체적으로 제1 배관(410)과 결합, 연통된다.
커버 넥부(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넥부(32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제1 배관(410)의 상류 측 및 하류 측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넥부(320)는 커버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넥부(320)는 제1 커버 넥부(321) 및 제2 커버 넥부(322)를 포함하여 한 쌍 구비된다. 제1 커버 넥부(321) 및 제2 커버 넥부(322)는 커버 몸체(3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1 커버 넥부(321) 및 제2 커버 넥부(322)는 커버 몸체(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커버 넥부(321)는 제1 배관(410) 중 상류 측에 위치되는 제1 배관(410),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제1 배관(410)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1 커버 넥부(321)는 제1 배관(410)을 통해 수원(S)과 연통된다.
제2 커버 넥부(322)는 제1 배관(410) 중 하류 측에 위치되는 제1 배관(410),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배관(410)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2 커버 넥부(322)는 제1 배관(410)을 통해 수요지(D)와 연통된다.
커버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가변 유로 부재(3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변 유로 부재(330)는 외력 또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된다. 가변 유로 부재(330)는 회전 가능하게 커버 몸체(310)에 결합된다. 또한, 가변 유로 부재(330)는 그 표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되게 제어되게 형성된다.
가변 유로 부재(330)의 회전 또는 표면적의 변화에 의해, 제1 연통부(221)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원(S)에서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가 변경되어, 유체 처리 시스템(10)이 제1 상태(S1) 및 제2 상태(S2)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가변 유로 부재(330)가 외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시 예에서, 가변 유로 부재(3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lever)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가변 유로 부재(33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가변 유로 부재(330)가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실시 예에서,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어부(700)와 통전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A.T)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가변 유로 부재(33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변 유로 부재(330)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700)에 기 저장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 가변 유로 부재(33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제1 연통부(22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변 유로 부재(330)는 회전 가능하게 커버 몸체(310)에 결합된다. 또한, 가변 유로 부재(330)는 회전 가능하게 커버 결합부(220)에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가변 유로 부재(330)는 커버 몸체(310) 및 커버 결합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변 유로 부재(330)는 회전되거나 그 표면적이 변화되어 제1 연통부(2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접이 가능한 부채(foldable fan)의 형태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변 유로 부재(330)는 몸체부(331) 및 윙부(332)를 포함한다.
몸체부(331)는 가변 유로 부재(330)의 몸체를 형성한다. 몸체부(331)는 가변 유로 부재(330)가 커버 몸체(310) 및 커버 결합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몸체부(331)는 커버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몸체부(331)는 회전 가능하게 커버 몸체(310) 및 커버 결합부(220)에 결합되어, 윙부(332)와 함께 회전되거나 윙부(332)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331)는 그 내부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몸체부(331)의 외주에서 윙부(332)가 방사상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윙부(332)는 몸체부(331)와 결합되어 몸체부(331)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윙부(332)는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되어, 그 표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윙부(332)는 제1 연통부(2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부(332)가 접힌 상태에서, 제1 커버 결합부(220)의 제1 연통부(221) 및 제2 연통부(222)는 모두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윙부(332)가 펼쳐지면 제1 연통부(221)가 폐쇄되어, 제2 연통부(222)만이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윙부(332)는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윙부(332)는 회전되거나 표면적이 변화되어 제1 연통부(2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윙부(332)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연통부(221) 및 제2 연통부(222)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윙부(332)는 제1 연통부(221)를 덮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펼쳐져 표면적이 증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윙부(332)는 회전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연통부(22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윙부(332)는 방사상 외측 단부가 커버 결합부(220)의 외주에 인접하게 연장 형성된다.
윙부(33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윙부(332)는 몸체부(331)를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윙부(332)는 세 개 구비되어, 세 개의 군의 제1 연통부(221)를 각각 밀폐하게 구성된다.
윙부(33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제1 연통부(221)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배관부(400)는 유체 처리 시스템(10)과 외부의 수원(S), 수요지(D) 및 저수조(R)를 각각 연통한다. 또한, 배관부(400)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각 구성 요소를 연통한다. 배관부(4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배관부(400)는 유체의 오염 또는 유체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관부(40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배관부(400)는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또한, 배관부(400)는 프레임 공간(11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즉, 배관부(400)의 일부는 프레임 공간(110)에, 배관부(400)의 다른 일부는 프레임 공간(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관부(400)는 제1 배관(410), 제2 배관(420), 제3 배관(430), 제4 배관(440) 및 배출 배관(450)을 포함한다.
제1 배관(410)은 수원(S) 및 수요지(D)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배관(410)은 커버부(300)와 결합, 연통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수원(S)의 유체는 제1 배관(410) 및 커버부(300)를 거쳐 여과부(2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에 의해, 여과부(200)의 유체는 커버부(300) 및 제1 배관(410)을 거쳐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배관(410)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배관(41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은 수원(S)과 커버부(300) 사이에서 연장되어, 수원(S) 및 커버부(300)를 연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부분은 제1 배관(410)의 부분 중 상류 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배관(410) 중 다른 하나의 부분은 커버부(300)와 수요지(D) 사이에서 연장되어, 커버부(300) 및 수요지(D)를 연통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하나의 부분은 제1 배관(410)의 부분 중 하류 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어느 하나의 부분을 "상류 측 제1 배관(410)", 상기 다른 하나의 부분을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류 측 제1 배관(410) 및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임의 연통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미도시)는 제2 연통부(222)와 제2 커버 넥부(322)를 연통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통부(222)에서 유출되는 유체, 즉 여과된 유체는 제2 커버 넥부(322)로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미도시)는 가변 유로 부재(330)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즉, 가변 유로 부재(330)가 작동되어 제1 연통부(221)가 폐쇄될 때, 상기 차단 부재(미도시) 또한 함께 작동되어 제2 연통부(222)와 제1 커버 넥부(321)를 연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류 측 제1 배관(410)은 수원(S)과 커버부(300)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류 측 제1 배관(4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즉, 상류 측 단부)는 수원(S)과 결합, 연통된다. 상류 측 제1 배관(41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즉, 하류 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커버부(300)의 제1 커버 넥부(321)와 결합, 연통된다.
상류 측 제1 배관(410)은 제3 유입 배관(431) 및 제4 유입 배관(441)과 결합, 연통된다. 달리 표현하면, 수원(S)에서 유입되어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3 유입 배관(431) 또는 제4 유입 배관(441)으로 분지(branch)될 수 있다.
상기 분지를 위해, 상류 측 제1 배관(410)에는 제1 유로 조정 밸브(511) 및 제1 유로 개폐 밸브(5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류 측 제1 배관(410)에는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임의의 부재, 즉 센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류 측 제1 배관(410)에는 유동되는 유체의 탁도(turbidity)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610)가 구비된다.
상류 측 제1 배관(410)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1 연통부(221) 및 제2 연통부(22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제1 상태(S1)에서 유체는 제1 연통부(221)를 통해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되고, 제2 상태(S2)에서 유체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됨이 이해될 것이다.
하류 측 제1 배관(410)은 커버부(300)와 수요지(D)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즉, 상류 측 단부)는 커버부(300)의 제2 커버 넥부(322)와 결합, 연통된다.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즉, 하류 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수요지(D)와 결합, 연통된다.
하류 측 제1 배관(410)은 제3 유출 배관(432) 및 제4 유출 배관(442)과 결합, 연통된다. 달리 표현하면, 여과부(200)에서 커버부(300)를 통해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3 유출 배관(432) 또는 제4 유출 배관(442)으로 분지될 수 있다.
상기 분지를 위해, 하류 측 제1 배관(410)에는 제2 유로 조정 밸브(512) 및 제2 유로 개폐 밸브(522)가 구비될 수 있다.
하류 측 제1 배관(410)에는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임의의 부재, 즉 센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류 측 제1 배관(410)에는 유동되는 유체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610),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620) 및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 센서(630)가 구비된다.
즉, 하류 측 제1 배관(410)은 그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가 수요지(D)로 전달됨을 전제하는 바, 상류 측 제1 배관(410)에 비해 더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과 공간(211)의 유체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제2 커버 넥부(322)를 통과하여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입된다.
제1 배관(410)은 제3 배관(430) 또는 제4 배관(440)에 의해 제2 배관(420)과 연통된다.
제2 배관(420)은 수원(S) 및 수요지(D)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배관(420)은 제1 배관(410), 제3 배관(430) 및 제4 배관(440)과 각각 결합, 연통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수원(S)의 유체는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관(420)은 제1 배관(410)에 대해 바이패스(bypass) 라인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배관(420)은 제1 배관(41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배관(420)은 제3 배관(430)과 결합, 연통된다. 제2 배관(4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에 인접한 일 부분은 제3 유입 배관(431)과 결합, 연통된다. 상기 일 단부는 제2 배관(420)의 상류 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배관(42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에 인접한 다른 부분은 제3 유출 배관(432)과 결합, 연통된다. 상기 타 단부는 제2 배관(420)의 하류 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배관(420)과 제3 배관(430)의 연통은 제1 유로 조정 밸브(511) 및 제2 유로 조정 밸브(51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2 배관(420)은 제4 배관(440)과 결합, 연통된다. 제2 배관(420)의 상기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제4 유입 배관(441)과 결합, 연통된다. 제2 배관(420)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제4 유출 배관(442)과 결합, 연통된다.
제2 배관(420)과 제4 배관(440)의 연통은 제1 유로 개폐 밸브(521) 및 제2 유로 개폐 밸브(52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3 배관(430)은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3 배관(430)은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과 각각 결합, 연통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수원(S)에서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2 배관(420)을 거쳐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배관(430)은 제2 배관(420)과 함께 제1 배관(410)에 대해 바이패스 라인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배관(430)은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이 이격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배관(430)은 프레임 공간(110)에 수용된다. 제3 배관(4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배관(430)은 유동되는 유체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류 측 및 하류 측 각 부분에서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과 결합,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배관(430)은 상류 측에 위치되는 제3 유입 배관(431) 및 하류 측에 위치되는 제3 유출 배관(43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3 배관(430)은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과 결합,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유입 배관(431)은 상류 측 제1 배관(410)의 상류 측 단부에 인접한 일 부분 및 제2 배관(420)의 상류 측 단부에 인접한 일 부분과 각각 결합, 연통된다.
이때, 제3 유입 배관(431)이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결합, 연통되는 부분에는 제1 유로 조정 밸브(511)가 구비된다. 제3 유입 배관(431)의 일 단부는 제1 유로 조정 밸브(5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상류 측 제1 배관(410)에서 제3 유입 배관(431)으로의 유체의 유동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유출 배관(432)은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하류 측 단부에 인접한 다른 부분 및 제2 배관(420)의 하류 측 단부에 인접한 다른 부분과 각각 결합, 연통된다.
이때, 제3 유출 배관(432)이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결합, 연통되는 부분에는 제2 유로 조정 밸브(512)가 구비된다. 제3 유출 배관(432)의 일 단부는 제2 유로 조정 밸브(5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제3 유출 배관(432)에서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의 유체의 유동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제4 배관(440)은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4 배관(440)은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과 각각 결합, 연통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수원(S)에서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2 배관(420)을 거쳐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배관(440)은 제2 배관(420)과 함께 제1 배관(410)에 대해 바이패스 라인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배관(440)은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이 이격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4 배관(440)은 프레임 공간(110)에 수용된다. 제4 배관(4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4 배관(440)은 유동되는 유체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류 측 및 하류 측 각 부분에서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과 결합,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배관(440)은 상류 측에 위치되는 제4 유입 배관(441) 및 하류 측에 위치되는 제4 유출 배관(44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4 배관(440)은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과 결합,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유입 배관(441)은 상류 측 제1 배관(410)의 상류 측 단부에 인접한 일 부분 및 제2 배관(420)의 상류 측 단부와 각각 결합, 연통된다.
이때, 제4 유입 배관(441) 상에는 제1 유로 개폐 밸브(521)가 구비된다. 제1 유로 개폐 밸브(521)에 의해, 상류 측 제1 배관(410)에서 제4 유입 배관(441)으로의 유체의 유동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유출 배관(442)은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하류 측 단부에 인접한 다른 부분 및 제2 배관(420)의 하류 측 단부와 각각 결합, 연통된다.
이때, 제4 유출 배관(442) 상에는 제2 유로 개폐 밸브(522)가 구비된다. 제2 유로 개폐 밸브(522)에 의해, 제4 유출 배관(442)에서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의 유체의 유동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배출 배관(450)은 여과부(200)와 저수조(R) 사이에서 연장된다. 배출 배관(450)은 프레임 공간(110)에 수용된 여과부(200)에서 프레임(100)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배출 배관(450)은 여과부(200) 및 저수조(R)와 각각 결합, 연통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필터 부재(240)를 세정한 유체는 배출 배관(450)을 통해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배관(450)은 여과부(200)의 연장 방향의 일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출 배관(450)은 여과부(200)의 하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배출 배관(450)은 여과 공간(211)의 하측을 저수조(R)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부재(240)를 세정한 유체는 필터 부재(2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출 배관(450)이 연결된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배관(450)에는 배출 밸브(530)가 구비된다. 배출 밸브(530)에 의해, 여과 공간(211)과 저수조(R) 간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밸브부(500)는 배관부(400)에 구비되어,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된다.
밸브부(500)는 자동 또는 수동의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밸브부(500)는 제어부(700)에 기 저장된 특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 자동으로 특정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에 접근하지 않고도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는 제어부(700)와 통전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는 유로 조정 밸브(510), 유로 개폐 밸브(20) 및 배출 밸브(530)를 포함한다.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배관(410) 및 제3 배관(430)이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제1 배관(410) 및 제3 배관(430)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배관(410)의 후단부 및 제3 배관(430) 중 어느 하나와 제1 배관(410)의 전단부를 연통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유로 조정 밸브(510)는 3-way 밸브(3-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유로 조정 밸브(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로 조정 밸브(510)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제1 배관(410) 및 제3 배관(430)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유로 조정 밸브(511) 및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유로 조정 밸브(51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 상에 배치되어, 제3 유입 배관(431)과 결합된다. 제1 유로 조정 밸브(51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에 유입된 유체가 제3 유입 배관(431) 및 커버부(300) 중 어느 하나를 향하게 유동되도록 유체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하류 측 제1 배관(410) 상에 배치되어, 제3 유출 배관(432)과 결합된다.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제2 배관(420)에 유입된 유체가 제3 유출 배관(432) 및 제4 유출 배관(442) 중 어느 하나를 거쳐 수요지(D)로 유동되도록 유체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을 연통하는 제4 배관(440)에 구비되어, 제1 배관(410), 제2 배관(420) 및 제4 배관(440) 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1 배관(410)과 제4 배관(440)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유로 개폐 밸브(520)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유로 개폐 밸브(5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로 개폐 밸브(520)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제1 배관(410) 및 제4 배관(440)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1 유로 개폐 밸브(521) 및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유로 개폐 밸브(52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결합, 연통되는 제4 유입 배관(441)에 구비된다. 제1 유로 개폐 밸브(521)는 제4 유입 배관(44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제4 유입 배관(441)을 통한 상류 측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 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는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결합, 연통되는 제4 유출 배관(442)에 구비된다.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는 제4 유출 배관(44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제4 유출 배관(442)을 통한 하류 측 제1 배관(410) 및 제2 배관(420) 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배출 밸브(530)는 배출 배관(450)에 구비되어, 여과 공간(211)과 저수조(R)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 밸브(530)는 게이트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에 구비되는 유로 조정 밸브(510), 유로 개폐 밸브(520) 및 배출 밸브(530)는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이때, 후술될 다양한 유로가 형성되기 위해, 유로 조정 밸브(510), 유로 개폐 밸브(520) 및 배출 밸브(530)는 서로 상응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밸브부(500)의 작동은 가변 유로 부재(330)의 작동에 연동될 수 있다. 즉, 가변 유로 부재(330)가 제2 상태(S2)로 작동될 경우, 밸브부(500) 또한 필터 부재(24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유로(CF)를 생성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가변 유로 부재(330)가 제1 상태(S1)로 작동될 경우, 밸브부(500)는 제1 유입 유로(IF1), 제2 유입 유로(IF2) 및 제3 유입 유로(IF3)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생성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600)는 배관부(400)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부(600)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700)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U.T) 또는 관리자 단말기(A.T)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제어부(700)와 통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인지된 정보를 근거로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유지 보수 또는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유동되는 유체의 상태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부(600)는 탁도 센서(610), 압력 센서(620), 유량 센서(630) 및 누수 센서(64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부(600)에는 온도 센서, pH 센서 등 유체의 상태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추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탁도 센서(610)는 배관부(400)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탁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탁도 센서(610)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탁도 센서(610)는 제어부(700)와 통전된다.
탁도 센서(6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탁도 센서(61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 배관(410)에 구비되어, 제1 배관(410)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탁도에 대한 정보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탁도 센서(610)는 두 개 구비되어, 상류 측 제1 배관(410) 및 하류 측 제1 배관(410)에 각각 구비된다.
이는, 상류 측 제1 배관(410) 및 하류 측 제1 배관(410)에는 각각 여과부(200)를 통과하기 전 유체 및 통과된 후 유체가 유동됨에 기인한다. 즉, 두 개의 탁도 센서(61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여과부(200)의 손상 정도, 잔여 수명, 유지 보수 필요 여부 등이 판단될 수 있다.
압력 센서(620)는 배관부(400)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압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압력 센서(620)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압력 센서(620)는 제어부(700)와 통전된다.
압력 센서(620)는 제1 배관(4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압력 센서(620)는 하류 측 제1 배관(410)에 구비되어, 여과부(200)를 통과한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게 구성된다.
유량 센서(630)는 배관부(400)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유량 센서(630)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유량 센서(630)는 제어부(700)와 통전된다.
유량 센서(630)는 제1 배관(4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량 센서(630)는 하류 측 제1 배관(410)에 구비되어, 여과부(200)를 통과한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게 구성된다.
누수 센서(640)는 여과부(200) 또는 배관부(400)에서 유동되던 유체가 임의 누수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누수 센서(640)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누수 센서(640)는 제어부(700)와 통전된다.
누수 센서(640)는 프레임(100)의 내부, 즉 프레임 공간(110)에 위치될 수 있다. 누수 센서(640)가 프레임(100)의 외부에 배치될 경우, 기상 상태, 예를 들면 강수 또는 강설 등에 의해, 잘못된 정보가 감지될 가능성이 있음에 기인한다.
여과부(200) 또는 배관부(400) 또는 이들을 연통하는 밸브부(500)에서 누수가 발생된 경우, 유체가 낙하되어 프레임 하면(101)에 체류된다. 이때, 누수 센서(640)는 체류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누수 발생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0)에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부(600)는 제1 배관(410)에 구비되어, 여과부(200)를 통과할 유체 또는 여과부(200)를 통과한 유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됨을 전제한다. 대안적으로, 센서부(600)는 제2 배관(420), 제3 배관(430) 및 제4 배관(4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각 배관(420, 430, 440)을 유동하는 유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각 구성과 통전되어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U.T) 및 관리자 단말기(A.T)와 통전되어, 상기 제어를 위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센서부(600)가 감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U.T) 또는 관리자 단말기(A.T)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정보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구성, 예를 들면 SSD, SD, RAM, ROM, Micro S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커버부(300)의 가변 유로 부재(330)와 통전된다. 제어부(700)는 가변 유로 부재(330)의 회전을 위한 전력 및 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밸브부(500)와 통전된다. 제어부(700)는 다양한 유로를 형성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밸브부(5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센서부(600)와 통전된다. 제어부(700)는 센서부(600)가 작동되기에 필요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센서부(600)가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70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U.T) 및 관리자 단말기(A.T)와 통전된다. 제어부(700)는 가변 유로 부재(330), 밸브부(500) 및 센서부(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U.T) 또는 관리자 단말기(A.T)에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센서부(600)가 감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U.T) 또는 관리자 단말기(A.T)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에 형성되는 다양한 유로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은 수원(S)과 수요지(D)를 연통하게 구성된다.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는 수원(S)에서 수요지(D)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형태의 유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로는 여과부(200)를 통과되며 여과된 후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제1 유입 유로(IF1)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유로 중 다른 유로는, 여과부(200)를 통과되지 않고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여과부(200)에 의해 여과되지 않고, 바로 수요지(D)로 공급된다. 상기 유로들은 제2 유입 유로(IF2) 또는 제3 유입 유로(IF3)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유입 유로(IF2) 또는 제3 유입 유로(IF3)는 여과부(200) 또는 여과부(200)와 연통되는 제1 배관(410)의 손상, 유지 보수 또는 교체 시점에 활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원(S)에서 전달된 유체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여과부(200)에 유입되어, 필터 부재(240)를 세정한 후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는 세정 유로(CF)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양한 유로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유입 유로(IF1)가 도시된다. 제1 유입 유로(IF1)는 유체가 여과부(200)에 의해 여과된 후 수요지(D)로 유동되는 유로로, 유체 처리 시스템(10)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형성되는 유로일 수 있다.
먼저, 수원(S)에서 유체가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연통되는 제1 커버 넥부(321) 및 이와 연통되는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여과부(200)로 진입된다.
이때,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1 상태(S1)로 유지된다(도 8의 (a) 참조). 따라서,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에 도달된 유체는 제1 연통부(221)를 통해 여과부(200) 내부의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1 연통부(221)는 여과 공간(211) 중 필터 부재(240)가 점유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외측 공간과 연통된다. 이에, 유체는 제1 연통부(221)를 통해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내측으로 유동되어 중공사(241)를 통과하며 여과되어, 정수 배출부(242)를 통해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된다. 이때, 여과된 유체는 정수 배출부(242)와 연통되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된다.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된 유체는 제2 커버 넥부(322) 및 이와 연통된 하류 측 제1 배관(410)을 통과하여, 수요지(D)로 유동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 즉 제1 유입 유로(IF1)가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배관(410)과 제3 배관(43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류 측 제1 배관(410) 및 하류 측 제1 배관(410)이 연통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조정 밸브(51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입 배관(431)의 연통을 차단하고,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출 배관(432)의 연통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또한,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4 배관(440)을 폐쇄하여,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의 연통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개폐 밸브(521)는 제4 유입 배관(441)을 폐쇄하고,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는 제4 유출 배관(442)을 폐쇄한다.
이때, 배출 밸브(530)는 배출 배관(450)을 폐쇄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여과부(200)와 저수조(R)의 연통을 차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유입 유로(IF2)가 도시된다. 제2 유입 유로(IF2)는 여과부(200) 또는 커버부(300)의 유지 보수 또는 교체가 요구되거나, 제1 배관(410)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 이를 우회하여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먼저, 수원(S)에서 유체가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연통되는 제3 유입 배관(431)을 통과하여 제2 배관(420)으로 유동된다. 즉, 제2 유입 유로(IF2)에서, 유체는 여과부(200)로 유동되지 않는다.
유체는 제2 배관(420)을 따라 유동되어, 제3 유출 배관(432)을 통과하여 이와 연통되는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단부를 통과하여 수요지(D)로 공급된다.
이때,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1 상태(S1) 또는 제2 상태(S2)로 유지될 수 있다(도 8 참조). 즉, 제2 유입 유로(IF2)는 커버부(300) 및 여과부(200)를 통과되지 않으므로, 가변 유로 부재(330)의 상태는 어떠한 경우라도 무방하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 즉 제2 유입 유로(IF2)가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배관(410)과 제3 배관(430)을 연통하고, 제1 배관(410)과 커버부(300)의 연통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조정 밸브(51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입 배관(431)을 연통하되,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커버부(300)는 연통이 차단되게 제어된다. 또한,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출 배관(432)을 연통하되,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커버부(300)의 연통이 차단되게 제어된다.
또한,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4 배관(440)을 폐쇄하여,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의 연통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개폐 밸브(521)는 제4 유입 배관(441)을 폐쇄하고,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는 제4 유출 배관(442)을 폐쇄한다. 따라서,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의 연통은 제3 배관(430)에 의해 형성됨에 이해될 것이다.
이때, 배출 밸브(530)는 배출 배관(450)을 폐쇄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여과부(200)와 저수조(R)의 연통을 차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유입 유로(IF3)가 도시된다. 제3 유입 유로(IF3)는 여과부(200) 또는 커버부(300)의 유지 보수 또는 교체가 요구되거나, 제1 배관(410)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 이를 우회하여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3 유입 유로(IF3)와 제2 유입 유로(IF2)의 구별의 실익은, 제3 유입 유로(IF3)의 경우 제3 배관(430)의 유지 보수 등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에 있다.
즉, 제3 유입 유로(IF3)의 경우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제4 배관(440)을 통과하게 형성되어, 여과부(200), 커버부(300), 제1 배관(410) 또는 제3 배관(430)의 유지 보수 등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수요지(D)에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먼저, 수원(S)에서 유체가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연통되는 제4 유입 배관(441)을 통과하여 제2 배관(420)으로 유동된다. 즉, 제3 유입 유로(IF3)에서, 유체는 여과부(200) 또는 제3 배관(430)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유체는 제2 배관(420)을 따라 유동되어, 제4 유출 배관(442)을 통과하여 이와 연통되는 하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하류 측 제1 배관(410)의 단부를 통과하여 수요지(D)로 공급된다.
이때,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1 상태(S1) 또는 제2 상태(S2)로 유지될 수 있다(도 8 참조). 즉, 제3 유입 유로(IF3) 역시 커버부(300) 및 여과부(200)를 통과되지 않으므로, 가변 유로 부재(330)의 상태는 어떠한 경우라도 무방하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 즉 제3 유입 유로(IF3)가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배관(410)과 제3 배관(430)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조정 밸브(51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커버부(300)를 연통하되,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입 배관(431)의 연통은 차단되게 제어된다. 또한,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커버부(300)를 연통하되,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출 배관(432)의 연통은 차단하게 제어된다.
또한,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4 배관(440)을 개방하여,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을 연통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개폐 밸브(521)는 제4 유입 배관(441)을 개방하고,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는 제4 유출 배관(442)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의 연통은 제4 배관(440)에 의해 형성됨에 이해될 것이다.
이때, 배출 밸브(530)는 배출 배관(450)을 폐쇄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여과부(200)와 저수조(R)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상 설명한 유체 처리 시스템(10)에 형성되는 제1 유입 유로(IF1)에 따르면, 수원(S)의 유체가 여과부(200)에 의해 여과된 후 수요지(D)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수요지(D)로 공급되는 유체의 청결도가 향상되어, 사용자의 만족감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여과부(200) 또는 커버부(300) 등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유체는 제1 유입 유로(IF1)를 따라 수요지(D)에 공급될 수 없다. 이 경우, 유체가 여과부(200)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경우라도, 수요지(D)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상기의 경우,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는 제2 유입 유로(IF2) 또는 제3 유입 유로(IF3)가 형성되어, 유체가 수요지(D)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지(D)에서는 여과부(200) 또는 커버부(300)의 유지 보수 상황과 무관하게 유체가 공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정 유로(CF)가 도시된다. 세정 유로(CF)는 유체가 여과부(200)로 유입되는 경로를 변경하여, 유체에 의해 필터 부재(240)가 세정될 수 있는 유로이다.
세정 유로(CF)가 형성된 경우, 여과부(200)에 유입된 유체는 필터 부재(240)를 세정하며 오염된 상태인 바, 수요지(D)로 공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세정 유로(CF)는 배출 배관(450)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오염된 유체는 저수조(R)로 배출될 수 있다.
먼저, 수원(S)에서 유체가 상류 측 제1 배관(410)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연통되는 제1 커버 넥부(321) 및 이와 연통되는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여과부(200)로 진입된다.
이때, 가변 유로 부재(330)는 제2 상태(S2)로 유지된다(도 8의 (b) 참조). 즉, 제1 연통부(221)는 가변 유로 부재(330)의 윙부(332)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커버 몸체(310)의 내부 공간에 도달된 유체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여과부(200) 내부의 여과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2 연통부(222)는 필터 부재(240)의 정수 배출부(242)와 연통된다. 이에, 유체는 제2 연통부(222)를 통해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내측으로 유동된다.
유체는 필터 부재(240)의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되어 중공사(241)를 통과하며, 중공사(241)에 축적된 이물질 등을 분리시킨다. 유동되는 유체 및 이물질 등은 필터 부재(2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출 배관(450)을 향해 유동된다. 유체 및 이물질 등은 배출 배관(450)을 통과하여 저수조(R)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 즉 세정 유로(CF)가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밸브부(500)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로 조정 밸브(510)는 제1 배관(410)과 제3 배관(43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류 측 제1 배관(410) 및 커버부(300)가 연통되되, 하류 측 제1 배관(410) 및 커버부(300)는 연통이 차단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조정 밸브(511)는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입 배관(431)의 연통을 차단하여, 상류 측 제1 배관(410)과 커버부(300)를 연통한다. 또한,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제3 유출 배관(432) 및 하류 측 제1 배관(410)과 수요지(D)의 연통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유로 조정 밸브(512)는 그 설치된 위치에서 하류 측 제1 배관(410)을 폐쇄하게 제어된다.
또한, 유로 개폐 밸브(520)는 제4 배관(440)을 폐쇄하여, 제1 배관(410)과 제2 배관(420)의 연통을 차단하게 제어된다.
즉, 제1 유로 개폐 밸브(521)는 제4 유입 배관(441)을 폐쇄하고, 제2 유로 개폐 밸브(522)는 제4 유출 배관(442)을 폐쇄한다.
이때, 배출 밸브(530)는 배출 배관(450)을 개방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여과부(200)와 저수조(R)가 연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10)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부재가 구비되지 않고도, 가변 유로 부재(330) 및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여과부(200)를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200)의 필터 부재(240)에 축적되는 이물질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어, 필터 부재(240)의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부재(240)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부(200)의 사용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체 처리 시스템(10)의 사용 및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시간적, 금전적 비용이 최소화되어,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유체 처리 시스템 100: 프레임
101: 프레임 하면 110: 프레임 공간
200: 여과부 210: 여과 몸체
211: 여과 공간 212: 필터 부재 지지부
220: 커버 결합부 221: 제1 연통부
222: 제2 연통부 230: 배출 연통부
240: 필터 부재 241: 중공사
242: 정수 배출부 243: 세정수 배출부
300: 커버부 310: 커버 몸체
320: 커버 넥부 321: 제1 커버 넥부
322: 제2 커버 넥부 330: 가변 유로 부재
331: 몸체부 332: 윙(wing)부
400: 배관부 410: 제1 배관
420: 제2 배관 430: 제3 배관
431: 제3 유입 배관 432: 제3 유출 배관
440: 제4 배관 441: 제4 유입 배관
442: 제4 유출 배관 450: 배출 배관
500: 밸브부 510: 유로 조정 밸브
511: 제1 유로 조정 밸브 512: 제2 유로 조정 밸브
520: 유로 개폐 밸브 521: 제1 유로 개폐 밸브
522: 제2 유로 개폐 밸브 530: 배출 밸브
600: 센서부 610: 탁도 센서(turbidity sensor)
620: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630: 유량 센서(flow meter)
640: 누수 센서(leak sensor) 700: 제어부
S: 수원(source) D: 수요지(demand area)
D.P: 배출 지점(Discharge Point)
R: 저수조(reservoir) U.T: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A.T: 관리자 단말기(administrator terminal)
IF1: 제1 유입 유로(First Inlet Flow path)
IF2: 제2 유입 유로(Second Inlet Flow path)
IF3: 제3 유입 유로(Third Inlet Flow path)
CF: 세정 유로(Cleaning Flow path)
S1: 제1 상태 S2: 제2 상태

Claims (18)

  1. 복수 개의 배출 지점을 포함하는 수요지(demand area) 및 외부의 수원(source)을 연통하는 유로의 지점 중,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으로 분지(branch)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기 수원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원 및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과 연통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filtering)하게 구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및 상기 배관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배관부의 상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부의 하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연통부;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거나 여과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제2 연통부; 및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통해 유입되어 일 방향으로 통과되는 상기 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배출하게 구성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가변 유로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로 부재는,
    상기 여과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접히거나(fold) 펼쳐지게(open) 구성되는 윙(wing)부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상기 여과부의 상기 외주 방향을 따라 그 면적이 가변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윙부는,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가 모두 개방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제1 연통부는 폐쇄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개방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유체는 상기 제1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여과된 후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에서 배출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유체는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일 단부가 상기 제2 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타 단부 및 외부의 저수조와 연통되는 배출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필터 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배출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복수 개의 중공(hollow)이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사(hollow)를 포함하는 중공 사막(hollow fiber) 필터로 구비되어,
    상기 유체는, 상기 필터 부재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중공사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 부재의 방사상 내측으로 유동되며 여과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상기 방사상 외측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통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상기 방사상 내측과 연통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과되는 상기 유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의 탁도(turbidity)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탁도 센서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탁도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탁도 센서 중 다른 하나 이상은 상기 배관부의 상기 하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관부의 상기 하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게 구성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배관부의 상기 하류 측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flow rate)을 감지하게 구성되는 유량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여과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상기 유체가 누수(leak)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누수 센서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과되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조정하게 구성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은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통해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을 연통하게 구성되는 유로 조정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상류 측과 상기 하류 측은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배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유로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외부의 저수조와 상기 여과부의 내부를 연통하여,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상기 여과부에 유입되어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필터 부재를 통과된 후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 배관에 구비되어, 외부의 상기 저수조와 상기 여과부의 상기 내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7. 복수 개의 수요지 및 외부의 수원을 연통하는 유로의 지점 중,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로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상기 수원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원 및 상기 수요지와 연통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관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게 구성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및 상기 배관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배관부의 상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부의 하류 측과 연통되어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연통부;
    상기 커버부와 연통되어, 여과되기 전 상기 유체가 유입되거나 여과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제2 연통부; 및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통해 유입되어 일 방향으로 통과되는 상기 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제2 연통부를 통해 배출하게 구성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연통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가변 유로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는 각각 복수 개의 배출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수원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의 각 입구와, 복수 개의 상기 배출 지점이 분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분지되는 지점보다 복수 개의 상기 수요지의 각 입구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PCT/KR2023/001420 2022-02-11 2023-01-31 유체 처리 시스템 WO202315370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279A KR20230121422A (ko) 2022-02-11 2022-02-11 유체 처리 시스템
KR10-2022-0018279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700A1 true WO2023153700A1 (ko) 2023-08-17

Family

ID=8756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420 WO2023153700A1 (ko) 2022-02-11 2023-01-31 유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1422A (ko)
WO (1) WO20231537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35B1 (ko) * 2010-06-11 2010-08-25 (주) 동양이엔지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622368B1 (ko) * 2015-01-23 2016-05-18 (주) 테크로스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KR102253769B1 (ko) * 2020-09-10 2021-05-20 (주)용담 정수 처리 시스템
KR20220014186A (ko) * 2020-07-28 2022-02-04 에스엔시스(주)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KR20220014667A (ko) * 2020-07-29 2022-02-07 에스엔시스(주)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149B1 (ko) 2008-09-10 2011-08-02 이성호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35B1 (ko) * 2010-06-11 2010-08-25 (주) 동양이엔지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622368B1 (ko) * 2015-01-23 2016-05-18 (주) 테크로스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KR20220014186A (ko) * 2020-07-28 2022-02-04 에스엔시스(주)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KR20220014667A (ko) * 2020-07-29 2022-02-07 에스엔시스(주)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253769B1 (ko) * 2020-09-10 2021-05-20 (주)용담 정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422A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2176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77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88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87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89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03391A1 (ko) 전극 보일러 시스템
AU2020336658B2 (en) Water dischar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108565A1 (ko) 수처리장치
WO2020027469A1 (ko) 청소기의 노즐 및 그 제어방법
CN104662966A (zh) 业务接入的控制方法及设备
WO2023153700A1 (ko) 유체 처리 시스템
WO2020027524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20153560A1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버터 패널
WO2019212195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013506A1 (ko) 이에프이엠 및 이에프이엠 시스템
WO2020004839A1 (ko)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1215721A1 (ko) 공기 정화 장치
WO2023080462A1 (ko) 필터 조립체
WO2022270676A1 (ko) 액상 샘플링 자동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샘플링 자동화 시스템
WO2018105815A1 (ko) 가스 센서
WO2022030767A1 (ko) 공기정화기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WO2024049047A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82636A1 (ko) 유체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체 회수 방법
WO2023085548A1 (ko)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WO2023128150A1 (ko) 유체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530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