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3585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3585A1
WO2023153585A1 PCT/KR2022/017378 KR2022017378W WO2023153585A1 WO 2023153585 A1 WO2023153585 A1 WO 2023153585A1 KR 2022017378 W KR2022017378 W KR 2022017378W WO 2023153585 A1 WO2023153585 A1 WO 20231535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ce
pad
ice bucket
seated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3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진
권준오
박상민
김가형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718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20955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68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8076846A/zh
Priority to US18/076,703 priority patent/US20230251009A1/en
Publication of WO20231535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35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cold air supply device provided to supply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to keep food fresh.
  • An ice making assembly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 the ice maker assembly may include an ice maker that produces ice and an ice bucket that accommodates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maker.
  • the ice mak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ing units provided to produce ice of different shapes.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ing assembly capable of mitigating shock generated when ice falls from an ice maker into an ice bucket and increasing an ice storage amount of the ice bucke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ing assembly that intuitively provides front and rear assembly direction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ing assembly intuitively providing left and right assembly directions.
  •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maker that generates ice, an ice bucket that can be positioned below the ice maker, includes a first position guide unit, and can be seated on the ice bucket, and includes a base part, an inclined part, and a second position guide part.
  • a pad including a guide, wherein the pad and the ice bucket are configured to guide a position of the pad inside the ice bucket when the pad is seated on the ice bucket;
  • the base portion When coupled with the guide portion and the pad is seated on the ice bucket, the base portion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ice bucket and the inclined portion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ice bucket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the pad
  • the ice bucket When the ice bucket is seated on the ice bucket and the ice bucket is positioned below the ice maker, ice generated in the ice maker may fall into the ice bucket and be transported to the base part by the inclined part.
  • the first position guide and the second position guid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ad maintains a position relative to the ice bucket. there is.
  • one of the first position guide and the second position guide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and the other of the first position guide and the second position guide is in the insertion groove. It may include an insert protrusion capable of being coupled.
  • the pad may include a side rim extending in a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circumference of the pad, and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may be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a midpoint of the side rim.
  • the pad includes a first side rim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circumference of the pad and a second side rim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rim, and the second position
  • the guide may be provided only on the first side edge.
  •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position guide part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part when the pad is seated on the ice bucket, and the ice bucket has a third position guide part.
  • the pad further includes a fourth position guide part positioned relative to the third position guide part to guide the base part when the pad is seated on the ice bucket, wherein the third position guide part and the fourth position guide part guide the base part.
  • One of the positioning guides includes an interference groove recessed inward, and the other of the third positioning guide part and the fourth positioning guide part protrude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terference groove when the pad is seated in the ice bucket.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rotrusion.
  •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may be provided on the inclined part, and the fourth position guide part may be provided on the base part.
  • the ice bucket may include an upper rim extending in a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circumference of the ice bucket and an upper rim for guiding the ice bucket when the ice bucket is positioned below the ice maker. It may include a protruding jaw that is provided at a location biased forward from the middle point and protrudes upward to interfere with the lower end of the ice maker.
  • the protruding jaw when the ice bucket is positioned below the ice maker, the protruding jaw may be spaced forward from the ice maker.
  • the inclined part may include a guide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clined part so that ice dropped from the ice maker is transpor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ase part.
  • the inclined par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upwar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ce bucket, and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may be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 the ice maker may generate spherical ice.
  •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maker including a first ice making unit that produces ice of a first type and a second ice making unit that produces ice of a second type, and the ice maker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ice of the first type.
  • a first ice bucket positioned under the ice making unit, a second ice bucket positioned under the second ice making unit to accommodate the second type of ice, the first ice bucket and the second ice bucket are left and right
  • a drawer that can be seated as, wherein the drawer is located on a rear wall having a mounting groove, a first interference part located on a first sid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sid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of the mounting groove.
  • a drawer including a drawer and a pad seated on the first ice bucket, the pad extending in a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circumference of the pad, the pad seated on the first ice bucket, and the first ice bucket
  • an outer rim adjacent to one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of the drawer and the pad are seated on the first ice bucket, and the first ice bucket is placed on the drawer.
  • the pad With an inner rim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drawer and a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when normally seated on the drawer, the pad is seated on the first ice bucket and when the first ice bucket is normally seated on the drawer, the pad is seated on the drawer. It is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to guide the normal position of the first ice bucket in the drawer, and when the pad is seated in the first ice bucket and the first ice bucket is abnormally seated in the drawer, the first ice bucket is seated in the first ice bucket.
  • One of the interference part and the second interference part may include a pad including a protrusion that is lifted without being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 the pad The protruding part of may interfere with one of the first interference part and the second interference part.
  • the pad includes an inclined bottom surface, and when the pad is seated on the first ice bucket, a rea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may be higher than a fron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 shock and noise generated when ice produced in an ice maker falls into an ice bucket may be reduced.
  • an ice storage amount of an ice bucket may be increas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rear view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drawer, an ice bucket, a pad,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ad is seated inside an ic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n enlarged view of an interference protrusion and an interferenc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n insertion protrusion and an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pad is normally disposed inside an ic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pad is abnormally disposed inside an ic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ice bucket and a second ice bucket are normally disposed in a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front view of FIG.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ice bucket and a second ice bucket are abnormally disposed in a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front view of FIG.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side view of an ice bucket normally disposed under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side view of an ice bucket abnormally disposed below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opened.
  •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main body 10,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21, 22, and 23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21 , 22, and 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31, 32, 33, and 34 that open and close, and a cold air supply device (not shown) that supplies cold air to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21, 22, and 23.
  •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between an inner case 11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case 1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1 to form an exterior, and the inner case 11 and the outer case 12 to insulate the storage compartment.
  •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included.
  •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21 , 22 , and 23 may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units by horizontal partition walls 15 and vertical partition walls 16 .
  •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21, 22, and 23 are partitioned into a first storage chamber 21 as an upper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22 and a third storage chamber 23 as lower storage chambers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15.
  •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may be partitioned into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22 and a third storage compartment 23 by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 .
  • the upper storage compartment (first storage compartment 21) may be used a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s which are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22 and the third storage compartment 23, may be used as a freezing compartment.
  • the divided us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21, 22, and 23 as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21, which is an upper storage compartment, is referred to a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22 and the third storage compartment 23, which are lower storage compartments, are referred to as freezing compartments.
  • the refrigerator 1 is a SBS (SIDE BY SIDE) type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by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 and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the upper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5 It may also be a FDR (FRENCH DOOR FEFRIGERATOR) type partitioned by .
  • SBS SIDE BY SIDE
  • FDR FRENCH DOOR FEFRIGERATOR
  • a shelf 26 for placing food and a storage container 27 for storing food may be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21, 22, and 23.
  • the cold air supply device may generate cold air using a cooling circulation cycle of compressing, condensing,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and supply the generated cold air to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21 , 22 , and 23 .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doors.
  • a pair of doors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 the pair of doors may include a first door 31 and a second door 32 .
  • An ice making assembly 100 may be disposed in the freezing chamber 22 of the refrigerator 1 .
  • the ice making assembly 100 may make ice using cold air in the freezing chamber 22 .
  • the ice making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22 .
  •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ce making assembly 10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storage compartment 23 that is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 the ice making assembly 100 may include an ice maker 200 (FIG. 3), an ice bucket 300, and a drawer 600.
  • the ice bucket 300 may be disposed under the ice maker 200 .
  • the ice bucket 300 seated in the drawer 600 may be drawn in and out of the front of the freezing chamber 22 .
  • FIG. 3 is a view of the ice making assembly 100 from the front.
  • 4 is a view of the ice making assembly 100 from the rear.
  •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ice making assembly 100.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drawer 600, a first ice bucket 310, a second ice bucket 320, pads 400 and 500, and covers 110a and 11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 the ice making assembly 100 may include an ice maker 200, an ice bucket 300, pads 400 and 500, a drawer 600, and covers 110a and 110b.
  • the ice maker 200 may produce ice.
  • the ice maker 200 may include a first ice making unit 210 and a second ice making unit 220 .
  •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may produce ice of the first shape.
  •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may produce ice of a second type.
  •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and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may include first trays 211a and 211b.
  • the first trays 211a and 211b may include spherical trays.
  •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may generate spherical ice.
  •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tray 221 .
  • this drawing shows that the first trays 211a and 211b include spherical trays and the second tray 221 includes hexagonal trays as an exampl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ce maker 200 may produce ice of various shapes by including trays having different shapes.
  • the first type of ice and the second type of ice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type of ice from one of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and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
  • the ice bucket 300 may accommodate ice generated by the ice maker 200 .
  • the ice maker 200 includes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and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a plurality of ice buckets 300 may be provided to store ice produced in different shapes, respectively.
  • the drawer 600 may accommodate the ice bucket 300 .
  • the ice bucket 300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wall 601 of the drawer 600 .
  • the rear of the ice bucket 300 may face the rear wall 602 of the drawer 600 and the front of the ice bucket 300 may face the opening 604 of the drawer 600 .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a first ice bucket 310 and a second ice bucket 320 .
  • the first ice bucket 31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and the second ice bucket 320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
  • the first ice bucket 310 accommodates the first type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 the second ice bucket 320 accommodates the second type of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ing unit 220. can be arranged to accommodate.
  • the first ice bucket 310 and the second ice bucket 32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drawer 600 from side to side.
  • the first pad 400 may be seated inside the first ice bucket 310
  • the second pad 500 may be seated inside the second ice bucket 320 .
  • the first pad 400 may be formed inclined, and the second pad 500 may be formed horizontally.
  • the covers 110a and 110b may be seated on top of the ice bucket 300 .
  • the scoop 120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covers 110a and 110b.
  • the drawer 600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ice bucket 300 is seated.
  • the ice bucket 300 may be seated in the inner space 600s of the drawer 600 .
  • the drawer 600 may include an opening 604 formed at the front so that the ice bucket 300 can be drawn in and out.
  • the drawer 600 may include a bottom wall 601 , a rear wall 602 , and side walls 603a and 603b.
  • the bottom wall 601 may form a lower portion of the drawer 600 in which the ice bucket 300 is seated.
  • the side walls 603a and 603b may extend upward from the bottom wall 601 .
  • Side walls 603a and 603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600 .
  • the back wall 602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bottom wall 601 .
  • the rear wall 602 may be formed behind the drawer 600 .
  • the rear wall 602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side walls 603a and 603b.
  • the rear wall 602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610 .
  • the mounting groove 610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rear wall 602 .
  • the mounting groove 610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top of the rear wall 602 toward the bottom.
  • the rear wall 602 may include interference portions 620a and 620b.
  • the interference parts 620a and 620b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610 .
  • the sidewalls 603a and 603b may be bent forward from the interference portions 620a and 620b.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ucket.
  • the ice bucket 30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sidewalls 330a and 330b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a front wall 335 and a rear wall 336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ide walls 330a and 330b may be provided by being bent from the front wall 335 and the rear wall 336 .
  • the ice bucket 30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side walls 330a and 330b are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ront wall 335 and the rear wall 336 .
  • the sidewalls 330a and 330b may include upper sidewalls 331a and 331b and lower sidewalls 332a and 332b.
  • the upper side walls 331a and 331b may be provided at upper ends of the side walls 330a and 330b.
  • the lower side walls 332a and 332b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front wall 335 and the rear wall 336 .
  • the upper sidewalls 331a and 331b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idewalls 332a and 332b toward the outside of the ice bucket 300 .
  • the upper sidewalls 331a and 331b may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sidewalls 332a and 332b.
  • the upper side walls 331a and 331b may form an upper end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a handle wall 337 .
  • the handle wall 337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 the handle wall 337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front wall 335 .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first position guides 350a and 350b.
  • the first position guides 350a and 350b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or an insertion protrusion, but for convenience, in this dra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position guides 350a and 350b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s described.
  • the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termediate point C of the ice bucket 3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at is, the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eccentrically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s 330a and 330b.
  •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sertion groove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alls 331a and 331b.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third position guides 360a and 360b.
  • the third position guides 360a and 360b may include interference grooves or interference protrusions, but for convenience, in this dra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hird position guides 360a and 360b include interference protrusions is described.
  • the interfering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middle point C of the ice bucket 3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at is,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eccentrically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ice bucket 300 . That is,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protrude toward the pad seated inside the ice bucket 300 .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on the sidewalls 330a and 330b.
  •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walls 332a and 332b.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lower ends of the lower sidewalls 332a and 332b toward upper portions.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are provided on the sidewalls 330a and 330b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formed on the front wall 335 and/or the rear wall 336 .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biased forward from the middle point C of the ice bucket 3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provided eccentrically in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ice bucket 300 .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s 330a and 330b.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formed above the ice bucket 300 .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alls 331a and 331b.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be formed at upper ends of the upper sidewalls 331a and 331b to form the upper ends of the ice bucket 300 .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form a circumference of the ice bucket 300 and may be provided on upper edges 333a and 333b forming upper ends of the upper sidewalls 331a and 331b.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edges 333a and 333b.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trapezoidal shapes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ruding jaws 370a and 370b may have a rectangular or triangular shape, or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y can contact and interfere with the lower end 201 of the ice maker 200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ad.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401 and a side surface 402 .
  • the bottom surface 401 may be a surface in contact with ice dropped from the ice maker 200 .
  • the bottom surface 401 may be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side surface 402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401 .
  • the side surface 402 may face the side wall 330 of the ice bucket 300 o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 side edge 430 .
  • the side edge 430 may be a point where the bottom surface 401 and the side face contact.
  • the side edge 430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form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pad 400 .
  • the side rim 430 may include a first side rim 431 and a second side rim 432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rim 431 .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spaced protrusions 405 .
  • the spaced protrusions 405 may be formed below the bottom surface 401 .
  • the spaced protrusions 405 may protrude downward.
  • the first pad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ce bucket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eparation protrusion 405 .
  • the first pad 400 may be inclined.
  • the bottom surface 401 may be inclined so that the rear is high and the front is low.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410 and a base portion 450 .
  •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be provided behind the first pad 400 and disposed behind the ice bucket 300 .
  • the base part 45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ad 400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Ice generated in the ice maker 200 may fall to the inclined portion 410 and be transferred to the front of the ice bucket 300 by the inclined portion 410 . Since the base portion 450 formed horizontall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nclined portion 410, the storage amount of ic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ice bucket 300 can be increased.
  •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be inclined so that the rear is high and the front is low. That is,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 the base part 450 may be formed horizontally.
  • the base portion 45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 the base portion 450 is formed horizontally and the inclined portion 410 is formed as an example, but the inclined portion 41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If the inclination is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he base portion 450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 the base portion 450 may extend forward from the inclined portion 410 .
  • the inclined portion 410 and the base portion 45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inclined portion 410 and the base portion 450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inclined portion 4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portion 450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include a guide portion 412 .
  • the guide part 412 may be provided so that ice dropped from the ice maker 200 is transferr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ase part 450 .
  • the guide part 412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clined part 4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guide portion 412 may protrude upward.
  • the guide part 412 may have a triangular pyramid shape.
  • the guide part 41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inclined part 410 .
  • a lower end of the guide part 412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art 450 .
  •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415 .
  • the extension part 415 may include a plate shape.
  • the extension part 4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401 .
  • the extension part 41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ce bucket 300 .
  • the extension part 41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401 .
  • the extension part 415 may be provided around the bottom surface 401 .
  • the extension part 415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401 .
  • Extension 415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416 and an inner surface 417 .
  • the outer surface 416 may face the sidewall 330 of the ice bucket 300 o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 the inner surface 417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surface 416 .
  • a rigid rib 418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extension 415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417 of the extension 415 .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 second position guide 420a.
  • the second position guide 420a may guid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on the ice bucket 300 .
  • the second position guide 420a may guide the inclined portion 410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ce bucket 300 and the base portion 450 to b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position guide 420a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or an insertion groove.
  •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position guide 420a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is described.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irst pad 400 .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skewed in one direction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side edge. That is,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eccentrically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first pad 400 .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behind the first pad 400 .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on the inclined portion 410 .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pad 400 .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400 . That is,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protrude toward the ice bucket 300 o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on the extension parts 415 and 415a.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417 of the extension part 415 .
  • the extension part 415 may include a handle part 419 provided on the top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 the handle portion 419 may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ice bucket 300 o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 has been shown as an example formed in plurality on both the first side rim 431 and the second side rim 432,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ser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ly on the first side edge 431 .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 fourth position guide 460a.
  • the fourth position guide 460a may guid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on the ice bucket 300 .
  • the fourth position guide part 460a may guide the inclined part 410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ce bucket 300 and the base part 450 to b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ourth position guide 460a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rotrusion or an interference groove.
  • an example in which the fourth position guide 460a includes an interference groove is described.
  • the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midpoint C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pad 400 .
  •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provided at a place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middle point (C) of the second side edge (432). That is, the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eccentrically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first pad 400 .
  • the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ad 400 .
  • the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provided in the base part 450 .
  • the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pad 400 .
  • the interference groove 460a may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pad 400 .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 protrusion 490 .
  • the protruding part 490 may be provided behind the inclined part 410 .
  • the protrusion 490 may include a plate shape extending toward the rea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ad.
  • the second pad 500 may have a horizontal plate shape.
  • the second pad 50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501 and side surfaces.
  • the bottom surface 501 of the second pad 500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 the second pad 500 may include spaced protrusions 505 .
  • the spaced protrusion 505 may be formed below the bottom surface 501 .
  • the spaced protrusions 505 may protrude downward.
  • the second pad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ce bucket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eparation protrusion 505 .
  • the second pad may include a pair of symmetric grooves 510 and 511 .
  • the pair of symmetrical grooves 510 and 511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middle point C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pad 500 . That is, the pair of symmetric grooves 510 and 51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point (C).
  • a pair of symmetric grooves 510 and 511 may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pad 500 .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ad is seated inside an ice bucket; 11 is an enlarged view of an interference protrusion and an interference groove. 12 is an enlarged view of an insertion protrusion and an insertion groove.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pad is normally disposed inside an ice bucket.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pad is abnormally disposed inside an ice bucket;
  • the first pad 400 may be seated inside the ice bucket 300 .
  • the first pad 400 may be seated such that the inclined portion 41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ce bucket 300 and the base portion 45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ice bucket 300 .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of the first pad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50a of the ice bucket 300 . That is, when the first pad 400 is assembled to the ice bucket 300 in a normal direc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50a formed in the sidewall 330a of the ice bucket 300.
  • the first pad 400 may be seated inside the ice bucket 300 . Conversely, when the first pad 400 is abnormally assembled to the ice bucket 300, that is, the inclined portion 4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ce bucket 300 and the base portion 450 is placed in the ice bucket 300.
  •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and the sidewall 330a of the ice bucket 300 interfere with each other, so the first pad 400 cannot be seated inside the ice bucket 300. Therefor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20a and the insertion groove 350a,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front and rear assembly directions of the first pad 400 .
  • the first pad 4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ice bucket 300. Separation of the first pad 400 from the ice bucket 300 may be prevented.
  • the handle part 419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ice bucket 300 ,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rst pad 400 from the ice bucket 300 by gripping the handle part 419 .
  •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of the ice bucket 300 may be coupled to the interference grooves 460a and 460b of the first pad 400 . That is, when the first pad 400 is assembled to the ice bucket 300 in a normal direction,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may be coupled to the interference grooves 460a and 460b, so that the first pad 400 is formed in the ice bucket 300. It may be seated inside the bucket 300 . Conversely, when the first pad 400 is abnormally assembled to the ice bucket 300, that is, the inclined portion 4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ce bucket 300 and the base portion 450 is placed in the ice bucket 300.
  • the side of the first pad 400 and the interfering protrusions 360a and 360b of the ice bucket 300 interfer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ad 400 is seated inside the ice bucket 300. can't Therefor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erence grooves 460a and 460b and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360a and 360b,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first pad 4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first pad 400 includes the insertion protrusion 420 and the ice bucket 300 includes the insertion groove 350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 the first pad 400 includes the interference groove 460 and the ice bucket 300 includes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0 as an exampl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pad 400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rotrusion
  • the ice bucket 300 may include an interference groove.
  • FIG. 16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ice bucket and the second ice bucket are normally disposed in the drawer.
  • FIG. 17 is a view of FIG. 16 from the front.
  • 18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rst ice bucket and a second ice bucket are abnormally disposed in a drawer;
  • FIG. 19 is a view of FIG. 18 from the front.
  • the first ice bucket 310 equipped with the first pad 400 including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that generates spherical ice. there is.
  • the first ice bucket 31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er 600 .
  • the side edge 430 of the first pad 400 is adjacent to the outer edge 432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 330 of the drawer 600 and the center of the drawer 600. It may include an inner (first side) rim 431 disposed thereon.
  • the outer (second side) edge 432 and the inner (first side) edge 431 may b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 the protrusion 490 of the first pad 400 may extend from the inner rim 431 of the first pad 400 toward the rear.
  • the protrusion 490 may be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610 of the rear wall 602 of the drawer 600 .
  • the protrusion 490 may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ice bucket 300 and pass through the rear wall 602 of the drawer 600 .
  • the protrusion 490 may pass through the mounting groove 610 and be seated on the rear wall 602 . Therefore, referring to FIG. 17 , the first ice bucket 310 o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can be stably seated in the drawer 600 .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ce bucket 310 may remain in contact with the bottom wall 601 of the drawer 600 .
  • the protruding portion 490 of the first pad 400 is the interference portion 620b of the rear wall 602 of the drawer 600. ) may interfere.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490 is interfered with by the interference portion 620b so that it is not normally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610 and maintains a lifted state.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9 , the first ice bucket 310 on which the first pad 400 is seate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601 of the drawer 600 .
  •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left and right assembly directions of the first ice bucket 310 to which the first pad 400 is mounted.
  • 20 is a side view of an ice bucket normally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 21 is a side view of an ice bucket abnormally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 the ice bucket 300 may be disposed under the ice maker 200 .
  • the ice maker 200 may be disposed to fall on the rea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ice bucket 300 .
  • the first pad 400 may be seated inside the first ice bucket 310 .
  • the inclined portion 410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ice bucket 310 and the base portion 4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ice bucket 310 . Accordingly, the spherical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ing unit 210 of the ice maker 200 may fall to the inclined portion 410 of the first pad 400 disposed behind the first ice bucket 310 .
  • the ice bucket 300 When the ice bucket 300 is normally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200, that is, when the rear of the first ice bucket 310 having the inclined portion 410 is disposed toward the ice maker 200, the ice bucket ( Since the protruding jaw 370a of 300 is spaced forward from the ice maker 200, the ice bucket 3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 end 201 of the ice maker 200.
  • the ice bucket 300 is abnormally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200, that is, the front of the first ice bucket 310 where the base portion 450 is provided is placed in the ice maker ( 200, the protruding jaw 370a of the ice bucket 300 interferes with the lower end 201 of the ice maker 200, so the ice bucket 300 cannot be inserted backward any longer.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ice bucket 300 has been incorrectly assembl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 가능하며, 제1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는 아이스 버켓 및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 가능하며, 베이스부, 경사부, 제2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 및 상기 아이스 버켓은, (a)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 내부의 상기 패드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결합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경사지고, (b)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된 때,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버켓으로 낙하하여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로 이송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제빙 어셈블리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제빙 어셈블리가 구비되기도 한다.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제빙기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버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는 서로 다른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빙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제빙기로부터 아이스 버켓으로 얼음이 낙하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아이스 버켓의 저빙량을 증가시킨 제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전후 방향의 조립 방향을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제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좌우 방향의 조립 방향을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제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 가능하며, 제1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는 아이스 버켓 및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 가능하며, 베이스부, 경사부, 제2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아이스 버켓은,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 내부의 상기 패드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결합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된 때,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버켓으로 낙하하여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로 이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2 위치 안내부 중 하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2 위치 안내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 가능한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드의 둘레를 형성하는 측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측부 테두리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치우쳐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드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측부 테두리 및 상기 제1 측부 테두리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제1 측부 테두리에만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경사부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결합하고, 상기 아이스 버켓은 제3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베이스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3 위치 안내부에 대하여 위치되는 제4 위치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4 위치 안내부 중 하나는 내측으로 함몰된 간섭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4 위치 안내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간섭홈과 맞물리도록 돌출된 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경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4 위치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아이스 버켓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버켓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단 테두리 및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될 때 상기 아이스 버켓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단 테두리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되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빙기의 하단과 간섭될 수 있는 돌출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돌출턱은 상기 제빙기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빙기에서 낙하된 얼음이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경사부의 중앙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경사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아이스 버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연장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빙기는 구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는, 제1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1 제빙유닛 및 제2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2 제빙유닛을 포함하는 제빙기, 상기 제1 형태의 얼음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제빙유닛의 하부에 위치 가능한 제1 아이스 버켓, 상기 제2 형태의 얼음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2 제빙유닛의 하부에 위치 가능한 제2 아이스 버켓, 상기 제1 아이스 버켓 및 상기 제2 아이스 버켓이 좌우로 안착 가능한 드로워로써, 상기 드로워는, 장착홈을 가지는 후벽, 상기 장착홈의 제1 측부에 위치되는 제1 간섭부, 상기 장착홈의 상기 제1 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부에 위치되는 제2 간섭부, 상기 제1 간섭부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간섭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측벽 및 상기 제2 간섭부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2 간섭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드로워 및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 가능한 패드로서, 상기 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드의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외측 테두리,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드로워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 테두리 및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로써,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드로워에서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의 정상적인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장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 중 하나는 상기 장착홈에 안착되지 못하고 들어 올려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패드가 안착된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은, 상기 패드의 상기 내측 테두리가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패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 중 하나에 간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경사진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바닥면의 후방부는 상기 바닥면의 전방부보다 높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이 아이스 버켓으로 낙하될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아이스 버켓의 저빙량이 증가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빙 어셈블리의 조립 시 전후 방향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빙 어셈블리의 조립 시 좌우 방향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 아이스 버켓, 패드, 커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가 아이스 버켓의 내부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돌기와 간섭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돌기와 삽입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가 아이스 버켓의 내부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가 아이스 버켓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에 제1 아이스 버켓 및 제2 아이스 버켓이 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6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에 제1 아이스 버켓 및 제2 아이스 버켓이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8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켓이 제빙기의 하부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켓이 제빙기의 하부에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저장실(21, 22, 23)과,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31, 32, 33, 34)와, 복수의 저장실(21,22, 23)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은 수평 격벽(15)과 수직 격벽(16)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은 수평 격벽(15)에 의해 상부의 저장실인 제1 저장실(21)과, 하부의 저장실인 제2 저장실(22) 및 제3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고, 하부의 저장실은 수직 격벽(16)에 의해 제2 저장실(22)과 제3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의 저장실(제1 저장실(21))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저장실(22) 및 제3 저장실(23)인 하부의 저장실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의 분할 용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부의 저장실인 제1 저장실(21)을 냉장실이라 칭하고, 하부의 저장실인 제2 저장실(22) 및 제3 저장실(23)을 냉동실이라 칭한다.
또한, 본 도면과 달리 냉장고(1)는 저장실이 수직 격벽(16)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는 SBS(SIDE BY SIDE)타입, 저장실이 수평 격벽(15)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과 하측의 냉동실로 구획되는 FDR(FRENCH DOOR FEFRIGERATOR)타입일 수도 있다.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의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놓는 선반(26)과,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용기(2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복수의 저장실(21, 22, 23)에 공급할 수 있다.
냉장실(21)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는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냉동실(22)에는 제빙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어셈블리(100)는 냉동실(22)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빙 어셈블리(100)는 저장실(2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도면은 제빙 어셈블리(100)가 좌측 냉동실인 제2 저장실(22)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빙 어셈블리(100)는 우측 냉동실인 제3 저장실(2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빙 어셈블리(100)는 제빙기(200)(도 3), 아이스 버켓(300), 드로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제빙기(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600)에 안착된 아이스 버켓(300)은 냉동실(22)의 전방으로 인출입할 수 있다.
도 3은 제빙 어셈블리(100)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빙 어셈블리(100)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빙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600), 제1 아이스 버켓(310), 제2 아이스 버켓(320), 패드(400, 500) 및 커버(110a, 110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제빙 어셈블리(100)는 제빙기(200), 아이스 버켓(300), 패드(400, 500), 드로워(600), 커버(110a, 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200)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빙기(200)는 제1 제빙유닛(210)과 제2 제빙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유닛(210)은 제1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빙유닛(220)은 제2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제빙유닛(210)과 제2 제빙유닛(220)은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제빙유닛(210)은 제1 트레이(211a, 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211a, 211b)는 구형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유닛(210)은 구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빙유닛(220)은 제2 트레이(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은 제1 트레이(211a. 211b)가 구형 트레이를 포함하고, 제2 트레이(221)가 육각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빙기(20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트레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1 형태의 얼음과 제2 형태의 얼음은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제빙유닛(210)과 제2 제빙유닛(2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원하는 형태의 얼음을 선택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할 수 있다. 제빙기(200)가 제1 제빙유닛(210) 및 제2 제빙유닛(220)을 가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생성되는 얼음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아이스 버켓(300)이 마련될 수 있다.
드로워(600)는 아이스 버켓(300)을 수용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드로워(600)의 바닥벽(601)에 위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은 드로워(600)의 후벽(602)을 향하고,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은 드로워(600)의 개구(604)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제1 아이스 버켓(310) 및 제2 아이스 버켓(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스 버켓(310)은 제1 제빙유닛(210)의 하부에, 제2 아이스 버켓(320)은 제2 제빙유닛(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이스 버켓(310)은 제1 제빙유닛(210)이 생성한 제1 형태의 얼음을 수용하고, 제2 아이스 버켓(320)은 제2 제빙유닛(220)이 생성한 제2 형태의 얼음을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이스 버켓(310)과 제2 아이스 버켓(320)은 드로워(600)에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제1 아이스 버켓(310) 내부에 안착되고, 제2 패드(500)는 제2 아이스 버켓(32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패드(500)는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a, 110b)는 아이스 버켓(3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스쿱(120)은 커버(110a, 11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600)는 아이스 버켓(300)이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드로워(600)의 내부 공간(600s)에 안착될 수 있다. 드로워(600)는 아이스 버켓(300)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전방에 형성된 개구(604)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600)는 바닥벽(601), 후벽(602), 측벽(603a, 603b)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벽(601)은 아이스 버켓(300)이 안착되도록 드로워(6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603a, 603b)은 바닥벽(601)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측벽(603a, 603b)은 드로워(60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벽(602)은 바닥벽(601)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후벽(602)은 드로워(6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후벽(602)은 측벽(603a, 603b)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후벽(602)은 장착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610)은 후벽(60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610)은 후벽(60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벽(602)은 간섭부(620a, 620b)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620a, 620b)는 장착홈(610)의 양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603a, 603b)은 간섭부(620a, 620b)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도 7은 아이스 버켓의 사시도이다.
아이스 버켓(300)은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330a, 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벽(335) 및 후벽(33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30a, 330b)은 전벽(335) 및 후벽(336)으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측벽(330a, 330b)의 길이가 전벽(335) 및 후벽(336)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30a, 330b)은 상부 측벽(331a, 331b) 및 하부 측벽(332a, 3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측벽(331a, 331b)은 측벽(330a, 330b)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측벽(332a, 332b)은 전벽(335) 및 후벽(336)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측벽(331a, 331b)은 하부 측벽(332a, 332b)으로부터 아이스 버켓(3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측벽(331a, 331b)은 하부 측벽(332a, 332b)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측벽(331a, 331b)은 아이스 버켓(300)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손잡이벽(337)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벽(337)은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벽(337)은 전벽(33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제1 위치 안내부(350a, 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안내부(350a, 350b)는 제1 패드(400)에 마련된 제2 위치 안내부(420a)와 함께, 제1 패드(400)가 아이스 버켓(300)에 안착되는 전후 배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위치 안내부(350a, 350b)는 삽입홈 또는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도면에서는 제1 위치 안내부(350a, 350b)가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삽입홈(350a, 35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지점(C)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홈(350a, 35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350a, 350b)은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350a, 35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350a, 350b)은 측벽(330a, 330b)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350a, 35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350a, 350b)은 상부 측벽(331a, 331b)에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제3 위치 안내부(360a, 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위치 안내부(360a, 360b)는 제1 패드(400)에 마련된 제4 위치 안내부(460a, 460b)와 함께, 제1 패드(400)가 아이스 버켓(300)에 안착되는 전후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3 위치 안내부(360a, 360b)는 간섭홈 또는 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도면에서는 제3 위치 안내부(360a, 360b)가 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지점(C)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내부에 안착되는 패드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측벽(330a, 330b)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아이스 버켓(3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하부 측벽(332a, 332b)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0a, 360b)는 하부 측벽(332a, 332b)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도면은 간섭 돌기(360a, 360b)가 측벽(330a, 330b)에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간섭 돌기(360a, 360b)는 전벽(335) 또는/및 후벽(336)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이스 버켓(300)은 돌출턱(370a, 370b)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지점(C)으로부터 전방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돌출턱(370a, 37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측벽(330a, 330b)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아이스 버켓(3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상부 측벽(331a, 331b)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상부 측벽(331a, 331b)의 상단에 형성되어 아이스 버켓(300)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아이스 버켓(300)의 둘레를 형성하며 상부 측벽(331a, 331b)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 테두리(333a, 333b)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턱(370a, 370b)은 상단 테두리(333a, 333b)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도면은, 돌출턱(370a, 370b)이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턱(370a, 370b)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상일 수도 있으며, 제빙기(200) 하단(201)과 접촉되어 간섭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제1 패드의 사시도이다.
제1 패드(400)는 바닥면(401) 및 측면(40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401)은 제빙기(200)에서 낙하된 얼음이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바닥면(401)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측면(402)은 바닥면(401)으로부터 하부로 절곡될 수 있다. 측면(402)은 제1 패드(400)가 안착되는 아이스 버켓(300)의 측벽(330)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측부 테두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 테두리(430)는 바닥면(401)과 측면이 맞닿는 지점일 수 있다. 측부 테두리(4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패드(40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측부 테두리(430)는 제1 측부 테두리(431) 및 제1 측부 테두리(431)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부 테두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이격 돌기(4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 돌기(405)는 바닥면(40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돌기(405)는 하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이격 돌기(405)에 의해 아이스 버켓(300)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401)은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경사부(410) 및 베이스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410)는 제1 패드(4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450)는 제1 패드(400)의 전방에 마련되어,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은 경사부(410)로 낙하될 수 있고, 경사부(410)에 의해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경사부(410)의 전방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베이스부(450)가 배치됨으로써, 아이스 버켓(300)이 수용 가능한 얼음의 저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경사부(410)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경사부(410)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베이스부(450)는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450)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베이스부(450)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경사부(410)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경사부(410)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기울기가 베이스부(450)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기울기보다 크다면, 베이스부(450)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450)는 경사부(4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410)와 베이스부(4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410) 및 베이스부(45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410)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베이스부(450)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경사부(410)는 가이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2)는 제빙기(200)에서 낙하된 얼음이 베이스부(450)의 좌우로 이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412)는 경사부(410)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12)는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412)는 삼각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2)는 경사부(4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12)의 하단은 베이스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경사부(410)는 연장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15)는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15)는 바닥면(40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415)는 아이스 버켓(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장부(415)는 바닥면(401)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415)는 바닥면(401)의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415)는 바닥면(401)의 좌우를 이루는 둘레의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415)는 외면(416)과 내면(417)을 포함할 수 있다. 외면(416)은 제1 패드(400)가 안착되는 아이스 버켓(300)의 측벽(330)과 마주볼 수 있다. 내면(417)은 외면(416)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415)의 내면(417)에는 연장부(415)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리브(418)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제2 위치 안내부(4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치 안내부(420a)는 제1 패드(400)가 아이스 버켓(300)에 안착되는 전후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위치 안내부(420a)는 경사부(410)가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베이스부(450)가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위치 안내부(420a)는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도면에서는 제2 위치 안내부(420a)가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삽입 돌기(420a)는 제1 패드(40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측부 테두리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 돌기(420a)는 제1 패드(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제1 패드(4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경사부(410)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제1 패드(40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제1 패드(4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 돌기(420a)는 제1 패드(400)가 안착되는 아이스 버켓(300)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연장부(415)(415a)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연장부(415)의 외면(417)에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415)는 삽입 돌기(420a)의 상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부(419)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19)는 제1 패드(400)가 안착되는 아이스 버켓(30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삽입 돌기(420)가 제1 측부 테두리(431) 및 제2 측부 테두리(432) 모두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삽입 돌기는 제1 측부 테두리(431)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패드(400)는 제4 위치 안내부(46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위치 안내부(460a)는 제1 패드(400)가 아이스 버켓(300)에 안착되는 전후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위치 안내부(460a)는 경사부(410)가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베이스부(450)가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4 위치 안내부(460a)는 간섭 돌기 또는 간섭홈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도면에서는 제4 위치 안내부(460a)가 간섭홈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간섭홈(460a)은 제1 패드(40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지점(C)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홈(460a)은 제2 측부 테두리(432)의 중간 지점(C)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간섭홈(460a)은 제1 패드(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간섭홈(460a)은 제1 패드(4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홈(460a)은 베이스부(450)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홈(460a)은 제1 패드(40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홈(460a)은 제1 패드(40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돌출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90)는 경사부(41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490)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는 제2 패드의 사시도이다.
제2 패드(500)는 수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500)는 바닥면(501)과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500)의 바닥면(501)은 수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패드(500)는 이격 돌기(5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 돌기(505)는 바닥면(50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돌기(505)는 하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패드(500)는 이격 돌기(505)에 의해 아이스 버켓(300)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는 한 쌍의 대칭홈(510, 5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대칭홈(510, 511)은 제2 패드(50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지점(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대칭홈(510, 511)은 중간 지점(C)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대칭홈(510, 511)은 제2 패드(50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패드가 아이스 버켓의 내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간섭 돌기와 간섭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삽입 돌기와 삽입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패드가 아이스 버켓의 내부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패드가 아이스 버켓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패드(400)는 아이스 버켓(30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패드(400)는 경사부(410)가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베이스부(450)가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제1 패드(400)의 삽입 돌기(420a)는 아이스 버켓(300)의 삽입홈(350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패드(400)를 아이스 버켓(300)에 정상적인 방향으로 조립하는 경우, 삽입 돌기(420a)는 아이스 버켓(300)의 측벽(330a)에 형성된 삽입홈(350a)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제1 패드(400)는 아이스 버켓(30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패드(400)를 아이스 버켓(300)에 비정상적으로 조립하는 경우, 즉 경사부(410)를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배치하고 베이스부(450)를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배치하는 경우, 삽입 돌기(420a)과 아이스 버켓(300)의 측벽(330a)은 서로 간섭되므로, 제1 패드(400)는 아이스 버켓(300) 내부에 안착될 수 없다. 따라서 삽입 돌기(420a) 및 삽입홈(350a)의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1 패드(400)의 전후방에 대한 조립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삽입 돌기(420a)는 삽입홈(350a)에 결합됨으로서, 제1 패드(400)는 아이스 버켓(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으로부터 제1 패드(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419)는 아이스 버켓(30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부(419)를 파지하여 제1 패드(400)를 아이스 버켓(3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1 패드(400)의 간섭홈(460a, 460b)에는 아이스 버켓(300)의 간섭 돌기(360a, 360b)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패드(400)를 아이스 버켓(300)에 정상적인 방향으로 조립하는 경우, 간섭 돌기(360a, 360b)는 간섭홈(460a, 460b)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패드(400)는 아이스 버켓(30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패드(400)를 아이스 버켓(300)에 비정상적으로 조립하는 경우, 즉 경사부(410)를 아이스 버켓(300)의 전방에 배치하고 베이스부(450)를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에 배치하는 경우, 제1 패드(400)의 측면과 아이스 버켓(300)의 간섭 돌기(360a, 360b)는 서로 간섭되므로, 제1 패드(400)는 아이스 버켓(300) 내부에 안착될 수 없다. 따라서 간섭홈(460a, 460b) 및 간섭 돌기(360a, 360b)의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1 패드(40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조립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은 제1 패드(400)가 삽입 돌기(420)를 포함하고 아이스 버켓(300)이 삽입홈(350)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패드(400)가 삽입홈을 포함하고, 아이스 버켓(300)이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도면은 제1 패드(400)가 간섭홈(460)을 포함하고 아이스 버켓(300)이 간섭 돌기(36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패드(400)가 간섭 돌기를 포함하고, 아이스 버켓(300)이 간섭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6은 드로워에 제1 아이스 버켓 및 제2 아이스 버켓이 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드로워에 제1 아이스 버켓 및 제2 아이스 버켓이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사부(410)를 포함하는 제1 패드(400)가 장착된 제1 아이스 버켓(310)은 구형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1 제빙유닛(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빙기(200)에서 제1 제빙유닛(210)이 배치되는 곳을 좌측으로 두는 경우, 제1 아이스 버켓(310)은 드로워(6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패드(400)의 측부 테두리(430)는 드로워(600)의 측벽(3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측 테두리(432) 및 드로워(600)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제1 측부) 테두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제2 측부) 테두리(432) 및 내측(제1 측부) 테두리(431)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패드(400)의 돌출부(490)는 제1 패드(400)의 내측 테두리(43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490)는 드로워(600)의 후벽(602)의 장착홈(610)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490)는 아이스 버켓(3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드로워(600)의 후벽(602)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빙유닛(210)을 드로워(600)의 좌측에 정상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돌출부(490)는 장착홈(610)을 관통하여 후벽(602)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패드(400)가 안착된 제1 아이스 버켓(310)은 드로워(6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스 버켓(310)의 바닥면은 드로워(600)의 바닥벽(60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와 반대로, 제1 패드(400)를 드로워(600)에 비정상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즉, 제1 패드(400)가 장착된 제1 아이스 버켓(310)을 드로워(600)의 우측에 배치하여 제2 제빙유닛(220)의 하부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1 패드(400)의 돌출부(490)는 드로워(600)의 후벽(602)의 간섭부(620b)에 간섭될 수 있다. 즉, 돌출부(490)는 간섭부(620b)에 의해 간섭되어 장착홈(61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고 들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9를 참조하면 제1 패드(400)가 안착된 제1 아이스 버켓(310)은 드로워(600)의 바닥벽(60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490) 및 장착홈(610), 간섭부(620a, 620b)의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1 패드(400)가 장착된 제1 아이스 버켓(310)의 좌우에 대한 조립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20은 아이스 버켓이 제빙기의 하부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아이스 버켓이 제빙기의 하부에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옆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아이스 버켓(300)은 제빙기(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200)는 아이스 버켓(300)의 내부 공간의 후측에 낙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스 버켓(310)의 내부에는 제1 패드(400)가 안착될 수 있는데, 이 때 경사부(410)는 제1 아이스 버켓(310)의 후방에 배치되고 베이스부(450)는 제1 아이스 버켓(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200)의 제1 제빙유닛(210)이 생성한 구형의 얼음은 제1 아이스 버켓(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패드(400)의 경사부(410)로 낙하될 수 있다.
아이스 버켓(300)을 제빙기(200)의 하부에 정상적으로 배치할 경우, 즉, 경사부(410)가 마련되는 제1 아이스 버켓(310)의 후방을 제빙기(200) 쪽으로 배치하는 경우, 아이스 버켓(300)의 돌출턱(370a)은 제빙기(20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아이스 버켓(300)은 제빙기(200)의 하단(201)과 간섭되지 않는다.
도 21을 참조하면, 이와 반대로, 아이스 버켓(300)을 제빙기(200)의 하부에 비정상적으로 배치할 경우, 즉, 베이스부(450)가 마련되는 제1 아이스 버켓(310)의 전방을 제빙기(200) 쪽으로 배치하는 경우, 아이스 버켓(300)의 돌출턱(370a)은 제빙기(200)의 하단(201)과 간섭되므로, 아이스 버켓(300)은 더 이상 후방으로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스 버켓(300)을 전후 방향으로 오조립 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 가능하며, 제1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는 아이스 버켓;및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 가능하며, 베이스부, 경사부, 제2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아이스 버켓은,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 내부의 상기 패드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결합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아이스 버켓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된 때,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버켓으로 낙하하여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로 이송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2 위치 안내부 중 하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2 위치 안내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 가능한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드의 둘레를 형성하는 측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측부 테두리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치우쳐진 냉장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드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측부 테두리 및 상기 제1 측부 테두리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제1 측부 테두리에만 마련되는 냉장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경사부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위치 안내부와 결합하고,
    상기 아이스 버켓은 제3 위치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베이스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3 위치 안내부에 대하여 위치되는 제4 위치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4 위치 안내부 중 하나는 내측으로 함몰된 간섭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치 안내부와 상기 제4 위치 안내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패드가 상기 아이스 버켓에 안착될 때 상기 간섭홈과 맞물리도록 돌출된 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경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4 위치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는 냉장고.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켓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버켓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단 테두리 및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될 때 상기 아이스 버켓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단 테두리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치우친 곳에 마련되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빙기의 하단과 간섭될 수 있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켓이 상기 제빙기의 하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돌출턱은 상기 제빙기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냉장고.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빙기에서 낙하된 얼음이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경사부의 중앙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아이스 버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안내부는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냉장고.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구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
  13. 제1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1 제빙유닛 및 제2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2 제빙유닛을 포함하는 제빙기;
    상기 제1 형태의 얼음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제빙유닛의 하부에 위치 가능한 제1 아이스 버켓;
    상기 제2 형태의 얼음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2 제빙유닛의 하부에 위치 가능한 제2 아이스 버켓;
    상기 제1 아이스 버켓 및 상기 제2 아이스 버켓이 좌우로 안착 가능한 드로워로써, 상기 드로워는,
    장착홈을 가지는 후벽;
    상기 장착홈의 제1 측부에 위치되는 제1 간섭부;
    상기 장착홈의 상기 제1 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부에 위치되는 제2 간섭부;
    상기 제1 간섭부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간섭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측벽;및
    상기 제2 간섭부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2 간섭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드로워;및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 가능한 패드로서, 상기 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드의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외측 테두리;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드로워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 테두리;및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로써,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드로워에서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의 정상적인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장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이 상기 드로워에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때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 중 하나는 상기 장착홈에 안착되지 못하고 들어 올려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안착된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은, 상기 패드의 상기 내측 테두리가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중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패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간섭부와 상기 제2 간섭부 중 하나에 간섭되는 냉장고.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경사진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가 상기 제1 아이스 버켓에 안착된 때, 상기 바닥면의 후방부는 상기 바닥면의 전방부보다 높은 냉장고.
PCT/KR2022/017378 2022-02-10 2022-11-07 냉장고 WO202315358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68048.9A CN118076846A (zh) 2022-02-10 2022-11-07 冰箱
US18/076,703 US20230251009A1 (en) 2022-02-10 2022-12-0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66 2022-02-10
KR20220017766 2022-02-10
KR1020220047187A KR20230120955A (ko) 2022-02-10 2022-04-15 냉장고
KR10-2022-0047187 2022-04-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076,703 Continuation US20230251009A1 (en) 2022-02-10 2022-12-07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585A1 true WO2023153585A1 (ko) 2023-08-17

Family

ID=8756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378 WO2023153585A1 (ko) 2022-02-10 2022-11-0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5358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316A (ja) * 1995-12-22 1997-07-11 Toshiba Corp 冷蔵庫
KR19980019825U (ko) * 1996-10-07 1998-07-15 김광호 냉장고용 제빙용기
KR20060018141A (ko) * 2004-08-23 2006-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US20200158411A1 (en) * 2018-11-16 2020-05-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10071526A (ko) *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316A (ja) * 1995-12-22 1997-07-11 Toshiba Corp 冷蔵庫
KR19980019825U (ko) * 1996-10-07 1998-07-15 김광호 냉장고용 제빙용기
KR20060018141A (ko) * 2004-08-23 2006-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US20200158411A1 (en) * 2018-11-16 2020-05-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10071526A (ko) *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58215A1 (en) Refrigerator
WO2019235747A1 (ko) 냉장고
WO2020130618A1 (en) Refrigerator
WO2018021863A1 (ko) 냉장고
EP3149414A1 (en) Refrigerator
WO2020130402A1 (en) Refrigerator
WO2017043861A1 (ko) 냉장고
WO2021167284A1 (en) Refrigerator
EP3935331A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isplay module
WO2023153585A1 (ko) 냉장고
WO2016129944A1 (en) Refrigerator
WO2022108092A1 (en) Refrigerator
WO2020130739A1 (en) Refrigerator
WO2021066334A1 (en) Pull down refrigerator shelf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WO2020246816A1 (en) Refrigerator
WO2020071694A1 (ko) 냉장고
WO2019045328A1 (ko) 냉장고
WO2022108123A1 (ko) 냉장고
WO2022181973A1 (ko) 냉장고
WO2022114761A1 (ko) 냉장고
WO2022220374A1 (ko) 냉장고
WO2022181974A1 (ko) 냉장고
WO2022108097A1 (ko) 냉장고
WO2022149699A1 (ko) 냉장고
WO2022108391A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61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9261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9261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