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46067A1 -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46067A1
WO2023146067A1 PCT/KR2022/016691 KR2022016691W WO2023146067A1 WO 2023146067 A1 WO2023146067 A1 WO 2023146067A1 KR 2022016691 W KR2022016691 W KR 2022016691W WO 2023146067 A1 WO2023146067 A1 WO 20231460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ample
inlet
medium
channel
bio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6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정훈
임현정
추승희
김태은
박지온
Original Assignee
인천재능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890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16635A/ko
Application filed by 인천재능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재능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1460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460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fluidic device-based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samples.
  • various biological fluid samples such as blood, urine, cerebrospinal fluid, and sputum contain disease-related cells such as blood cancer cells, leukocytes, fungi, bacteria, and viruses.
  • Sample preprocessing techniques for isolating, concentrating, or washing these disease-related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in vitro diagnostics by enabling high sensitivity and high accuracy detection.
  • Centrifugation has been mainly used for pretreatment of large-volume biological samples. This can cause physical damage to cells due to the effect of centrifugal force, 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possibility of loss of target cells due to the need for pipetting before and after using the centrifuge.
  • microfluidic devic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s.
  •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 within microfluidic devices are largely divided into passive fluid transport methods and active fluid transport methods, depending on whether external force is used. can
  • the passive fluid transport method does not use an external force, and there are methods using surface tension, pressure drive, osmotic pressure, capillary force, and hydrostatic pressure, and the active fluid transport method uses an external force.
  • This is a method of injecting and transporting fluid by generating pressure in a microfluidic channel.
  • a method using a syringe pump, a piezoelectric pump, or a pneumatic pump, or a method using a peristaltic pump in particular is used.
  • the peristaltic pump has the advantage of being suitable for handling large-volume samples by continuously rotating, but pulsation inevitably occurs in the flow genera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mechanism in which the roller rotates and pushes the fluid in the tubing by pressing the tubing. There is a problem that greatly affects the flow phenomenon in the microfluidic device.
  • a one-way valve such as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was required, but the check valve has moving parts,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failure and separate management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fluidic device-based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and preprocessing method including a Tesla valve that can act as a one-way valve without additional moving par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rocessing device for a biological fluid sample
  • a sample inlet a medium inlet, a central fluid channel, a purge outlet and a sample collection;
  • a first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fluid channel
  • a second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fluid channel and the sample collection unit
  • a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one-way valve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 the one-way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la valve.
  • the pretreatment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treatment device,
  • the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forms a cor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removal outlet
  • the medium injected into the medium inlet may form a side flow toward the sample collection outlet.
  • the one-way val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way valve,
  • the fluid can flow in one direction from the sample inlet and the medium inlet to the central fluid channel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 the one-way val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way valve,
  • the samp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nalyte and a viscoelastic fluid.
  • the medium is characterized in that a cell culture medium or a buffer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jecting a sample into the sample inlet and injecting the medium into the medium inlet (S1);
  • a biofluid sample pretreatment method us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tep (S3) of collecting the pretreated sample from the sample collection outle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la valve, which is a one-way valve that can be operated using only the structure of a microfluidic channel, in the device, thereby minimizing pulsation caused by the operation of a moving part such as a peristaltic pump.
  • a large-capacity biofluid sample can be efficiently pretreated without affecting the flow phenomenon in the device.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one-way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ion and cleaning technique in a fluid chan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ulsation of a device including a one-way valve and a device without a one-way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ple described herein refers to a biological sample obtained from an animal, preferably a mammal, and most preferably a human, and if a microfluidic device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hemistry, biotechnology, and medicine, can be selected without limitation.
  • a microfluidic device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hemistry, biotechnology, and medicine, can be selected without limitation.
  • it may be cell fluid, blood, virus, bacteria, cells, low-concentration disease cells, etc.
  • the analyte included in the sample may have a nano-size and/or a micro-size.
  • 'pretreatment refers to a process of processing a sampl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for diagnosis, prognosis, or other various biological analyses, and is separated to include only the analyte, washed, or It may refer to each process of enrichment or a process performed by including two or more of the above actions. For example, it may refer to a process of isolating and concentrating only substances that can be used for diagnosis of diseases, that is, cancer cells, leukocytes, fungi, bacteria, and viruses, from a biological sample including normal cells obtained from an individual.
  • a sample inlet a medium inlet, a central fluid channel, a purge outlet and a sample collection;
  • a first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central fluid channel
  • a second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fluid channel and the sample collection unit
  • a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one-way valve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drawing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rocessing device 100 for a biofluid sample
  • It includes a sample inlet 110, a medium inlet 120, a fluid channel 130, a removal outlet 140 and a sample collection unit 150,
  • a first connection channel 161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fluid channel
  • a second connection channel 162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fluid channel and the sample collection unit,
  • the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biofluid sample preprocessing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way valve 170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jecting a sample into the sample inlet and injecting the medium into the medium inlet (S1);
  • step S3 residues and interfering substances unnecessary for analysis may be separated from the removal outlet and then removed.
  • the sample inlet, the medium inlet, the central fluid channel,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the removal outlet, and the sample collection unit may be formed on a plate-shaped substrate.
  • the sample inlet, the medium inlet, the fluid channel, the removal outlet, and the sample collection unit are all organically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on channel or a second connection channel, and are microfluidic devices.
  • the substrate is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olyacrylates, polycarbonates , polymer materials such as polycyclic olefins, polyimides, and polyurethanes may optionally be used.
  • PDMS polydimethylsiloxane
  • PMMA polymethylmethacrylate
  • COC cyclic olefin copolymer
  • polyacrylates polycarbonates
  • polymer materials such as polycyclic olefins, polyimides, and polyurethanes may optionally be used.
  • the sample inlet 110 is an inlet into which a sample requiring pretreatment is introduced
  • the medium inlet 120 is an inlet into which a medium to be used for pretreatment is introduced.
  • the medium inlet is branched at the inlet and formed around the sample inlet, and the branch is connected again in a passage connected from the sample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channel 130 is formed at the first branch point 181. connected with The sample and medium passing through the fluid channel 130 diverge at the second branch point 182 at the end of the fluid channel 130, and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goes to the removal outlet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 the fluid passing through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sample collection unit 150 .
  • a plurality of one-way valves 160-1 and 160-2 ar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fluid channel.
  • the one-way valve is a Tesla valve, and the Tesla valve 160-1 allows flow in one direction from the sample inlet and the medium inlet to the central fluid channel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Tesla valve 160-2 ) is allowed to flow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ral fluid channel to the removal outle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 the Tesla valve operates as a check valv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loop structures are connected.
  • the loop structure has a rounded end (a) and a sharp end (b), wherein (a) is located in the inlet direction (upstream of the sample) and (b) is disposed in the outlet direction (downstream of the sample) .
  • the Tesla valve allows the sample and the medium to flow in one direction from the upstream, which is an inlet, to the downstream, which is an outlet, and can be moved through the path shown in FIG. 2(c).
  • the pulsation damping rate of the flow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oop structures included in the Tesla valve or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hannels of the loop structure. Therefore, the optimal number of loop structures required for device operation can be obtained by evaluating the pulsation damping rate per unit number or per unit are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raight microfluidic channel without a Tesla valve loop structure and a microfluidic channel designed with one Tesla valve loop structure, assuming that the degree of pulsation of the channel without a Tesla valve is 100, the Tesla valve loop structure When designing one, it was confirmed that about 10% of the pulsation was attenuated. In this case, assuming that the attenuation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sla valve loop structures is directly proportional, having at least 10 loop structures will eliminate pulsation in the microfluidic channel.
  • the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forms a cor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removal outlet, and the medium injected into the medium inlet forms a side flow toward the sample collection unit.
  • the sample includes an analyte and a viscoelastic fluid, and the medium includes a cell culture medium or a buffer solution.
  • the analyte is a disease-related cell, and the disease may be cancer.
  • the cell type includes, for example, male hormone-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 line LNCaP cells, hormone-in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 lines PC-3 and DU-145 cells,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cells, lung cancer cell line A549 cells, NCI- H292 cells, K-562 cells, a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ell line, HeLa cells, a cervical cancer cell line, HepG2 cells, a liver cancer cell line, or P388 cells, a lymphatic cancer cell line.
  • the types listed above are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y are substances that can be used for diagnosis of diseases.
  •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olates disease-related cells, which are analyte substances, using a viscoelastic fluid, exchanges the medium (medium) with another fluid, and then collects the cells after passing through the device to wash them.
  • a viscoelastic fluid exchanges the medium (medium) with another fluid, and then collects the cells after passing through the device to wash them.
  • the viscoelastic fluid may have a viscosity of 1 to 20 cP (centi-poise), and as a polymer material,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oxide (PEO), polyacrylamide (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amide (PAA), deoxyribonucleic acid (DNA), xanthan gum, and hyaluronic acid (HA).
  • PVP polyvinylpyrrolidone
  • PEO polyethylene oxide
  • PAA polyacrylamide
  • PAA polyacrylamide
  • DNA deoxyribonucleic acid
  • xanthan gum hyaluronic acid
  • th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solution or culture medium.
  • the buffer may includ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ris-buffered saline (TBS), HEPES-buffered saline (HBS), and the like, and the culture medium may include MEM, DMEM, RPMI 1640, or IMDM.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TBS Tris-buffered saline
  • HBS HEPES-buffered saline
  • MEM DMEM
  • RPMI 1640 RPMI 1640
  • IMDM IMDM
  • a sample containing an analyte requiring pretreatment such as separation and washing suspended in a viscoelastic fluid harmless to the human body i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core-flow) in the center of the microfluidic chip, and a pure buffer or cell culture medium is injected.
  • a sample inlet core-flow
  • a pure buffer or cell culture medium is injected.
  • the target cells suspended in the biofluid sample may be laterally moved toward the wall of the channel to be separated and washed.
  •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micro-Tesla structure to the microchip design in order to eliminate pulsation in the fluid channel, the Tesla valve can enable stable flow control, and the sample inlet and the medium inlet have a tubing pump Since the micro-Tesla structure moves the sample in one direction without an external device, the influence of external pulsation can be minimized.
  • cell separation and washing are performed based on coaxial flow using a viscoelastic fluid. Due to the medium injected through the medium inlet forming the side flow on the channel wall, the mixture containing normal and abnormal cells suspended in the viscoelastic fluid concentrates and flows in the center of the fluid channel, and at this time, the cells in the flow flow in the fluid. It is simultaneously affected by the hydrodynamic force, inertial force and elastic force acting by the pressure gradient, and as a result, the disease-related cells, which are the objects of separation and washing, are moved to other fluids on the channel wall side and exchanged with the medium to the side outlet. collection is possible. Other residues and interfering substances unnecessary for analysis can still flow to the center of the channel and be removed toward the removal outlet located in the middle.
  • Pretreatment of blood samples was performed using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
  • leukocytes and disease-related cells suspended in a 1000 ppm polyethylene oxide (PEO) solution, a viscoelastic fluid were placed in the sample inlet, prostate cancer cells, and DU.
  • a sample in which -145 cells were suspended was injected,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as injected into the medium inlet.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the Tesla valv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inlet side not only prevents backflow that can occur due to peristaltic tubing pumps, but also minimizes pulsation, which is suitable for cell separation and washing based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viscoelastic fluids. It was advantageous.
  • each cell could be separated and washed based on the coaxial flow-based flow characteristics of the viscoelastic fluid, as shown in FIG. 3 .
  • relatively large DU-145 cells (12-20 ⁇ m) are pushed toward the medium (PBS) by the force acting laterally in the viscoelastic fluid, and relatively small white blood cells (9-14 ⁇ m) remains in the viscoelastic fluid and flows into the outlet connection channel.
  • the pre-treated sample was collected in the sample collection unit, a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re-treated sample, most of the white blood cells that hindered the analysis were removed through the removal outlet, which is the central exit, and the cells to be analyzed, prostate cancer cells DU It was confirmed that the -145 cells were separated and washed through the sample collection part, which is a side exit. In order to confirm cell separation more clearly, it can be confirmed by fluorescence staining through a biomarker, and leukocytes were stained with CD 45 and DU-145 with EpCAM.
  • Example 2 Pulsation evaluation of a biofluid sample pretreatment device
  • the flow ra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icro-Tesla structure in the fluid channel, and is shown in FIG. 4 .
  • a tubing pump was used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the flow coming out of the outlet of the microchannel was measured using a flow sens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로서, 시료 주입구, 매질 주입구, 중앙 유체 채널, 제거 출구 및 시료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및 출구와 중앙 유체 채널 사이에 제1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유체 채널과 시료 수집부 사이에 제2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제1연결 채널에 단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단방향 밸브를 포함하여, 유체 유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맥동 없이 대용량의 시료의 전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대용량의 시료를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 소변, 뇌척수액, 객담 등의 다양한 생체유체 시료 내에는 정상 세포 외에도 혈중 암세포, 백혈구, 곰팡이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질환관련세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질환관련세포를 분리, 농축하거나 세척하는 시료 전처리 기술은 높은 민감도, 높은 정확도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여 체외진단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용량의 생체 시료 전처리를 위해서는 주로 원심분리가 사용되어 왔다. 이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세포에 물리적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원심분리기 이용 전후 과정에서 파이펫팅이 필요하여 대상 세포의 손실 가능성이 있는 등의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기존 원심분리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미세유체소자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미세유체소자 내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은 외력의 사용 여부에 따라, 크게 수동적 유체 이송방법 및 능동적 유체 이송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수동적 유체 이송 방법은 외력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표면장력, 압력 구동, 삼투압, 모세관력, 유체정압(hydrostatic pressure)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며, 능동적 유체 이송 방법은 외력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외력을 이용하여 미세유동채널 내에 압력을 발생시켜 유체를 주입 및 이송하는 방법이다.
능동적 유체 이송 방법으로는, 주사기 펌프 (syringe pump), 압전 펌프 (piezoelectric pump), 공압펌프 (pneumatic pump)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특히 연동펌프를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연동펌프는 연속으로 회전하여 대용량 시료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롤러가 회전하며 튜빙을 눌러 튜빙 내의 유체를 밀어내는 작동 메커니즘의 특징상 발생되는 유동에 필연적으로 맥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맥동은 미세유체소자 내에서의 유동 현상에 크게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연동펌프에 의한 맥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와 같은 단방향 밸브가 필요하였으나, 체크 밸브에는 움직이는 부품이 존재하여 고장의 가능성이 있고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92496호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은 움직이는 추가적인 부품 없이 단방향 밸브 역할을 할 수 있는 테슬라 밸브를 포함하는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와 전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로서,
시료 주입구, 매질 주입구, 중앙 유체 채널, 제거 출구 및 시료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및 출구와 유체 채널 사이에 제1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유체 채널과 시료 수집부 사이에 제2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 채널에 단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단방향 밸브는 테슬라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전처리 장치는,
시료 주입구에 주입된 시료는 제거 출구 방향으로 코어 플로우를 형성하고,
매질 주입구에 주입된 매질은 시료 수집 출구 방향으로 사이드 플로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단방향 밸브는,
상기 시료 주입구 및 매질 주입구로부터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중앙 유체 채널로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단방향 밸브는,
상기 중앙 유체 채널로부터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제거 출구로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시료는 분석대상물질 및 점탄성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매질은 세포배양액 또는 완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 주입구에 시료를 주입하고, 매질 주입구에 매질을 주입하는 단계(S1);
상기 시료 및 매질은 단방향 밸브가 구비된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이동하여, 중앙 유체 채널을 통과하는 단계(S2); 및
상기 시료 수집 출구로부터 전처리된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이용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세유동채널의 구조만을 이용하여 작동가능한 단방향 밸브인 테슬라 밸브를 장치에 포함함으로써, 연동펌프와 같은 움직이는 부품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맥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맥동에 의한 미세유체소자 내의 유동 현상에 미치는 영향 없이 대용량 생체유체 시료를 효율적으로 전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채널에서의 분리 및 세척 기술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장치와 단방향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 장치의 맥동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시료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으로부터 수득된 생체시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학, 생물공학, 의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미세유체 소자의 적용이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액, 혈액, 바이러스, 세균, 세포, 저농도 질환세포 등일 수 있고, 상기 시료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물질은 나노크기 및/또는 마이크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처리'란, 질환의 진단, 예후파악, 또는 기타 다양한 생물학적 분석에 사용되기 용이하도록, 시료를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대상물질만을 포함하도록 분리하거나, 세척하거나 또는 농축하는 각각의 과정 또는 상기 행위를 둘 이상 포함하여 수행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로부터 수득된, 정상세포를 포함하는 생체시료로부터 질환의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 즉 암세포, 백혈구, 곰팡이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만을 분리하고 농축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로서,
시료 주입구, 매질 주입구, 중앙 유체 채널, 제거 출구 및 시료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및 출구와 중앙 유체 채널 사이에 제1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유체 채널과 시료 수집부 사이에 제2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 채널에 단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100)로서,
시료 주입구(110), 매질 주입구(120), 유체 채널(130), 제거 출구(140) 및 시료 수집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및 출구와 유체 채널 사이에 제1연결 채널(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유체 채널과 시료 수집부 사이에 제2연결 채널(1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 채널에 단방향 밸브(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100)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 주입구에 시료를 주입하고, 매질 주입구에 매질을 주입하는 단계(S1);
상기 시료 및 매질은 단방향 밸브가 구비된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이동하여, 중앙 유체 채널을 통과하는 단계(S2); 및
상기 시료 수집부로부터 전처리된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이용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방법에 해당한다.
상기 방법에서, S3 단계와 동시에, 제거 출구로부터 잔여물 및 분석에 불필요한 방해물질을 분리한 후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시료 주입구, 매질 주입구, 중앙 유체 채널, 제1연결 채널, 제2연결 채널, 제거 출구 및 시료 수집부는, 판 형태의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 주입구, 매질 주입구, 유체 채널, 제거 출구 및 시료 수집부는 모두 제1연결채널 또는 제2연결채널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미세유체 소자이다.
상기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메틸메타클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리레이트(polyacrylat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s), 폴리실릭 올레핀(polycyclic olefins), 폴리이미드(polyimides),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등의 폴리머 재질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에서 상기 시료 주입구(110)는, 전처리가 필요한 시료가 투입되는 입구이고, 상기 매질 주입구(120)는 전처리에 이용되기 위한 매질이 투입되는 입구이다. 도 1에 제시된 것과 같이 매질 주입구는 입구에서 분기가 형성되어 시료 주입구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는 시료 주입구로부터 연결된 통로에서 다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제1분기점(181)에서 유체 채널(130)과 연결된다. 상기 유체 채널(130)을 통과한 시료 및 매질은 유체 채널(130) 말단의 제2분기점(182)에서 분기되어, 제1연결 채널을 통과한 유체는 제거 출구(140)로, 제2연결 채널을 통과한 유체는 시료 수집부(15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주입구 및 출구와 유체 채널 사이의 제1연결 채널에는, 복수개의 단방향 밸브(160-1, 160-2)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방향 밸브는 테슬라 밸브로서, 상기 테슬라 밸브(160-1)는, 상기 시료 주입구 및 매질 주입구로부터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중앙 유체 채널로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테슬라 밸브(160-2)는, 상기 중앙 유체 채널로부터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제거 출구로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테슬라 밸브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 밸브로서 작동하는 것으로, 루프 구조체가 이어져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루프 구조체는, 둥근 말단(a)과 첨예한 말단(b)을 가지며, 상기 (a)는 주입구 방향(시료의 상류)에 위치하고 (b)는 출구 방향(시료의 하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테슬라 밸브는 시료 및 매질을 주입구인 상류로부터 출구인 하류로 단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 도 2의 (c)에 나타낸 경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테슬라 밸브에 포함되는 루프 구조체는 개수에 따라 또는 루프 구조체의 채널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유동의 맥동 감쇠율이 달라진다. 따라서, 단위 개수당 또는 단위 면적당 맥동 감쇠율을 평가하여 소자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루프 구조체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슬라 밸브 루프 구조체가 포함되지 않은 일자형 미세유동채널과 1개의 테슬라 밸브 루프 구조체가 함께 설계된 미세유동채널의 경우, 테슬라 밸브가 없는 채널의 맥동 정도를 100이라 했을 때, 테슬라 밸브 루프 구조체 1개를 설계할 경우 맥동의 약 10%가 감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럴 경우, 테슬라 밸브 루프 구조체의 개수에 따른 감쇠율이 정비례한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 10개의 루프 구조체를 가지면 미세유동채널 내의 맥동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처리 장치는, 시료 주입구에 주입된 시료는 제거 출구 방향으로 코어 플로우를 형성하고, 매질 주입구에 주입된 매질은 시료 수집부 방향으로 사이드 플로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료는 분석대상물질 및 점탄성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매질은 세포배양액 또는 완충용액을 포함한다.
상기 분석대상물질은, 질환관련 세포로서, 상기 질환은 암일 수 있다. 상기 세포 종류는 예를 들면, 남성 호르몬 의존성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 세포, 호르몬 비의존성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및 DU-145 세포,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NCI-H292 세포,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인 K-562 세포,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세포,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 또는 림프암 세포주인 P388 세포 등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나열한 종류는 예시로서, 질환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점탄성 유체를 이용하여 분석대상물질인 질환관련 세포를 분리 및 다른 유체로 매질(미디엄) 교환하여 세척함으로써 소자를 통과한 후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분석 감도를 높이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점탄성 유체는, 점도가 1 내지 20 cP(centi-poise)일 수 있으며, 고분자 물질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irrolidone, 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 ethylene oxide, PEO),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A),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잔탄검 (xanthan gum)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매질은 완충용액 또는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완충액은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Tris-buffered saline(TBS), HEPES-buffered saline(HBS) 등을 포함하는 것 수 있고, 상기 배양액은 MEM, DMEM, RPMI 1640, 또는 IMDM 등이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인체무해한 점탄성 유체에 부유된 분리 및 세척과 같은 전처리가 필요한 분석대상물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미세유체칩의 가운데인 시료 주입구(core-flow)에 주입하고 순수 버퍼 또는 세포배양액을 채널 벽쪽으로 흘러 사이드 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는 매질 주입구에 주입하여 층류유동의 특성에 따라 동축류 (co-flow)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점탄성 유체의 유동 특성을 이용하여 생체유체 시료 내에 부유되어 있던 대상 세포를 채널의 벽 쪽 방향으로 측면이동시켜 분리 및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체 채널 내에서 맥동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테슬라 구조를 마이크로칩 설계에 적용한 것으로, 테슬라 밸브는 안정적인 유동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시료 주입구 및 매질 주입구에는 튜빙펌프가 연결되어, 마이크로-테슬라 구조물에 의해 외부 장치 없이 단 방향으로 시료가 이동하므로, 외부 맥동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채널에서는 점탄성 유체를 이용하여 동축류 기반 세포 분리 및 세척이 이루어진다. 채널 벽 쪽의 측면 흐름을 형성하는 매질 주입구로 주입된 매질로 인하여 점탄성 유체에 부유된 정상 및 비정상 세포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유체 채널의 가운데로 집중되어 유동하며, 이 때, 유동 중의 세포는 유체 내의 압력구배에 의해 작용하는 유체역학적 힘, 관성력과 탄성력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이로 인해 분리 및 세척의 대상이 되는 질환관련세포는 채널 벽 쪽의 다른 유체로 이동되어 매질(medium) 교환되어 측면 출구로 수집이 가능한 것이다. 그 외의 잔여물 및 분석에 불필요한 방해물질은 여전히 채널의 가운데로 유동하여 가운데에 위치한 제거 출구 쪽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대용량 시료 전처리 방법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시료의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장치의 시료 주입구 및 매질 주입구에 연동 펌프와 연결된 튜빙을 연결한 후, 시료 주입구에는 점탄성 유체인 1000ppm 농도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 ethylene oxide, PEO) 용액에 부유된 백혈구와 질환관련세포로서 전립선암세포인 DU-145 세포가 부유된 샘플을 주입하였고, 매질 주입구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가 주입되었다. 이 때, 시료와 매질 각각의 유동율은 10 μl/min과 100 μl/min으로 튜빙펌프를 통해 주입되었다. 주입구 쪽 연결된 제1연결채널에 설계 및 제작된 테슬라 밸브에 의하여 연동식 튜빙펌프로 인해 발생가능한 역류가 방지 될뿐만 아니라 맥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점탄성 유체의 유동특성을 기반으로 한 세포 분리 및 세척에 유리하였다.
주입된 이후 각 세포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점탄성 유체의 동축류 기반 유동 특성을 기반으로 세포 분리 및 세척이 가능하였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DU-145 세포 (12-20 μm)는 점탄성 유체 내에서 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매질 (PBS) 쪽으로 밀려 나가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백혈구 (9-14 μm)는 점탄성 유체 내에 그대로 머무른 상태로 출구 연결채널로 흘러가가게 된다. 이를 통해 주입이 완료된 후 시료 수집부에서 전처리된 시료를 수집하였고, 전처리된 시료를 확인한 결과, 가운데 출구인 제거출구를 통해 분석의 방해물이 되는 백혈구 세포 대부분이 제거되고, 분석 대상 세포인 전립선암세포 DU-145 세포는 측면 출구인 시료 수집부를 통해 분리 및 세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명확한 세포 분리의 확인을 위하여 바이오 마커를 통한 형광염색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백혈구는 CD 45를, DU-145는 EpCAM을 통해 염색하여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의 맥동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과 같이 테슬라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에서 튜빙펌프로 인해 발생되는 맥동의 영향이 얼마나 최소화되어 유동 안정성이 확보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유체 채널에서 마이크로-테슬라 구조물의 유무에 따른 유동율 평가를 수행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유동율 제어는 튜빙펌프를 이용하였으며, 마이크로채널의 출구로 빠져나오는 유동은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두 가지 유동율 범위에서 확인해보았을 때 마이크로-테슬라 구조물이 없는 경우 (w/o Tesla) 대비 마이크로-테슬라 구조물이 있는 경우 (w/ Tesla) 유동율의 맥동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장치로서,
    시료 주입구, 매질 주입구, 중앙 유체 채널, 제거 출구 및 시료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및 출구와 중앙 유체 채널 사이에 제1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유체 채널과 시료 수집부 사이에 제2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 채널에 단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밸브는 테슬라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는,
    시료 주입구에 주입된 시료는 제거 출구 방향으로 코어 플로우를 형성하고,
    매질 주입구에 주입된 매질은 시료 수집부 방향으로 사이드 플로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밸브는,
    상기 시료 주입구 및 매질 주입구로부터 연결 채널을 통해 유체 채널로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밸브는,
    상기 유체 채널로부터 연결 채널을 통해 제거 출구로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분석대상물질 및 점탄성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세포배양액 또는 완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8. 시료 주입구에 시료를 주입하고, 매질 주입구에 매질을 주입하는 단계(S1);
    상기 시료 및 매질은 단방향 밸브가 구비된 제1연결 채널을 통해 이동하여 중앙 유체 채널을 통과하는 단계(S2); 및
    상기 시료 수집부로부터 전처리된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제1항의 장치를 이용하는 생체유체 시료의 전처리 방법.
PCT/KR2022/016691 2022-01-28 2022-10-28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WO20231460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3148 2022-01-28
KR10-2022-0013148 2022-01-28
KR10-2022-0038907 2022-03-29
KR1020220038907A KR20230116635A (ko) 2022-01-28 2022-03-29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067A1 true WO2023146067A1 (ko) 2023-08-03

Family

ID=8747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691 WO2023146067A1 (ko) 2022-01-28 2022-10-28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4606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2680A1 (en) * 2006-06-23 2010-01-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fluidic Synthesis of Organic Nanoparticles
KR20160133837A (ko) * 2015-05-13 2016-1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H 조절 시료를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하기 위한 미세소포체 분리장치
KR20190080132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지노바이오 분리칩
CN111208054A (zh) * 2020-02-26 2020-05-2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基于超声的流式细胞磁标记微装置
CN112067603A (zh) * 2020-09-01 2020-12-11 清华大学 微流控化学发光检测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2680A1 (en) * 2006-06-23 2010-01-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fluidic Synthesis of Organic Nanoparticles
KR20160133837A (ko) * 2015-05-13 2016-1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H 조절 시료를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하기 위한 미세소포체 분리장치
KR20190080132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지노바이오 분리칩
CN111208054A (zh) * 2020-02-26 2020-05-2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基于超声的流式细胞磁标记微装置
CN112067603A (zh) * 2020-09-01 2020-12-11 清华大学 微流控化学发光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eira et al. Passive circulating cell sorting by deformability using a microfluidic gradual filter
US89211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biological migration behavior
Watkins et al. A microfabricated electrical differential counter for the selective enumeration of CD4+ T lymphocytes
EP3698872B1 (en) Microfluidic detection chip for multi-channel quick detecting
US8188438B2 (en) Electrokinetic microfluidic flow cytometer apparatuses with differential resistive particle counting and optical sorting
WO2014104798A1 (ko) 표면탄성파를 이용한 미세유동 크로마토그래피 기반 미세입자 분리 장치 및 방법
US20110117577A1 (en) Microfluidic system for trapping and detection of a biological entity in a sample
WO2019047498A1 (zh) 一种全血血浆分离系统及方法
WO2014175710A1 (ko) 미세유체 세포칩,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 및 세포 영상 분석 장치
US20110081674A1 (en) Continuous-flow deformability-based cell separation
CN103977848A (zh) 微流体装置
KR101656037B1 (ko) 희소 세포 분리장치, 희소 세포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희소 세포 검출 방법
US20130309707A1 (en) Circulating Tumor Cell Capturing Techniques and Devices
CN106350439A (zh) 一种用于细胞捕获、荧光染色的微流控芯片
WO2015007102A1 (zh) 血液分析方法、控制装置和血液细胞分析仪
CN206244772U (zh) 一种用于细胞捕获、荧光染色的微流控芯片
Huang et al. Rapid and precise tumor cell separation using the combination of size-dependent inertial and size-independent magnetic methods
CN103084229A (zh) 微流控芯片、血细胞分析系统以及血细胞分析方法
WO2023146067A1 (ko)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468026A (zh) 一种用于光纤光动力细胞操纵的微流芯片
CN214142363U (zh) 一种细胞迁移特性分析用多通道微流控芯片
US20120216601A1 (en) Microfluidic devices for analyzing cell motility
JP2003274924A (ja) 細胞分離方法及び装置
US20210394182A1 (en) Microfluidic antibody microarray with an electronic sensor array
WO2020027459A1 (ko) 혈액 진단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4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