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6509A1 - 이동식 후드 - Google Patents

이동식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6509A1
WO2023106509A1 PCT/KR2021/019867 KR2021019867W WO2023106509A1 WO 2023106509 A1 WO2023106509 A1 WO 2023106509A1 KR 2021019867 W KR2021019867 W KR 2021019867W WO 2023106509 A1 WO2023106509 A1 WO 20231065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n
air
movable hood
disposed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98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호산
남현식
심찬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065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65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Definitions

  • the range hood can inhale air and contaminants near an inle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body to some extent, bu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inhale air and contaminants located far from the inlet. This is because the flow rate of the suction airflow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as the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increases.
  • the effective air intake area of the conventional range hood is limited to a small area about the diameter of the air intake port. Therefore, conventional range hoods are not suitable for removing contaminants generated far from the intake vent.
  • noise is generated due to generation of turbulent flow due to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low blown out and the flow sucked in a narrow area under the intake port.
  • the suction area of the exhaust device may further expand.
  • intake of air and contaminants located far away from the exhaust device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 Prior Document 1 ha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a narrow kitchen space and is difficult to be used movably due to its size and weight.
  • the suction flow is formed to face upward. If the suction flow is formed to be directed upwar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olluted air will eventually be sucked into the range hood even if it flows out of the range hood while being sucked in.
  • the housing 2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head 200, and an air guide i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210. A blower disposed in the air guide is dispo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hood capable of effectively purifying polluted air while being freely movable and disposed in various locatio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hood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even in a small spac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for sucking in outside air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take direction, and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by the fan, and direc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forming the passage for discharge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where external air is sucked.
  • the discharge por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take port.
  • the discharge passage guides the movemen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so tha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 moving toward the discharge port is in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entrifugal direction.
  • the movabl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ixedly installed at any one location, but the location is changed as needed to purify pollu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thereby reducing the polluted air generat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 typical range hood.
  • polluted air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t a location away from a typical range hood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effectively purifi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moved and disposed in various places other than a typical hood installation location to efficiently collect pollutant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can very effectively purify polluted air around the cooking process.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movable hood shown in FIG. 3;
  •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ront side
  •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rear side
  •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n upper side
  • the other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wer side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right side. and will be referred to as the left.
  • the first surface 2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orming a surfac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 the first surface 211 may for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10 .
  • the fan 231 that sucks in outside air in this way can discharge i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left-right direction.
  • the fan 231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centrifugal fan.
  • the fan 231 rotates around an ax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sucks in air from the front side and discharges it in a centrifugal direction.
  • the inner skirt portion 242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or truncated cone like the outer skirt portion 221 .
  • the inner connection portion 243 and the ring-shaped portion 241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ner skirt portion 242 in a round shape may be formed in a bowl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2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211a.
  • each coupling protrusion 22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an 231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an 231 in the process of being coupled with the coupling boss 244 .
  • the orifice shell 24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hroud 220 in a form in which the shroud 220 and the orifice shell 240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an module 230 is necessary.
  • a space can be effectively secured, and a discharge passage a with a sufficient width can be formed between the shroud 220 and the orifice shell 240.
  • the second fixed cover part 265 is a part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cover 260 .
  • the second fixed cover part 265 may be disposed at the foremost side of the movable hood 2 together with the cover surface 212 of the case 21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movable hood 2.
  • the second through hole 212a may be divided into an intake port I and a discharge port O with the inner skirt portion 242 as a boundary. Since both the inlet port I and the outlet port O are disposed on the second through hole 212a, the inlet port I and the outlet port O may be arranged radially on the same plane. Among them, the intake port (I)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skirt portion 242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port (O)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skirt portion 242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blade 245 may be provided on the orifice shell 240 . According to this, a plurality of blades 24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kirt portion 22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kirt portion 221 . Each blade 245 may protrude in a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skirt portion 221 .
  • the discharge port (O) is formed with the discharge passage (a), and the discharge passage (a)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between the discharge side of the fan 231 and the discharge port (O).
  • the discharge passage (a)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kirt portion 242 and the outer skirt portion 221 and between the inner connection portion 243 and the outer connection portion 223 .
  • the battery 271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for this purpose, a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271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ovable hood 2 .
  • the movable hood 2 of the present embodiment needs to provide a much higher level of contaminant removal performance than a range hood that sucks in polluted air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outdoors.
  • the movable hood 2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n air curtain using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250 inside the movable hood 2, so that contaminated ai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heading toward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요약> 이동식 후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 및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흡기구 및 토출구가 팬보다 전방측에 배치되고, 토출구가 흡기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도 3

Description

이동식 후드
본 발명은 이동식 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식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굽는 등 요리를 하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가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가열기구의 고열에 의해 가열되는 피조리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에 의해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된 오염물질은,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작업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주방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레인지 후드의 외관을 이루며 하부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후드본체, 및 후드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인지 후드는, 후드본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인지 후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리대에서 피조리물이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주변 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인하여 자체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레인지 후드의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승된다. 이처럼 상승된 오염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외부덕트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후드는, 후드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흡입구 근처의 공기 및 오염물질은 어느 정도 흡입할 수 있으나, 흡입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공기 및 오염물질은 제대로 흡입하기 어렵다.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흡입구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흡입 기류의 유속 감소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종래 레인지 후드에서는, 흡기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흡입성능이 빠르게 감소되며,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킨다고 해서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그에 비례하여 증가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레인지 후드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겠으나,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2배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흡입팬의 소비전력을 23배, 즉 8배로 올려주어야 하므로, 전력 소모량이 지나치게 증가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종래 레인지 후드의 효과적인 흡기 영역은, 흡기구 직경 정도의 작은 영역에 국한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레인지 후드는, 흡기구로부터 먼 곳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와류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가 개발되었다. 와류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는, 흡기하는 유량과 비슷한 양의 공기를 공간 중으로 불어내어 와류를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집중된 와류를 이용하여 포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인지 후드에 따르면, 흡기구 아래의 좁은 영역에서 불어내는 유동과 흡입하는 유동의 상호 간섭에 의한 난류의 발생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와류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에서 발생되는 와류는 공간 중으로 불어내는 유동을 발생시키고, 이 유동은 공간 중에 있는 오염물질의 부가적인 확산을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인지 후드는, 와류를 발생하기 위한 송풍기, 필터, 유동관 등의 부가적인 설비의 설치가 요구되는 단점도 갖는다.
한편, 최근에는 스월러(Swirler)를 이용한 배기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스월러는, 배기장치의 흡입구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월러는, 원판 형태의 회전판과, 회전판의 하부면에 배열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날개, 및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월러는, 회전시 배기장치의 흡입구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월러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크기가 클수록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 특히 배기장치의 전방 측에서 와류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면, 배기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공기 및 오염물질에 대한 흡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9802호)에는, 보텍스팬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레인지 후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과 상부 케이스(300)와 보텍스팬(400) 및 하부 필터케이스(50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에는 배기팬(210)이 설치되며, 상부 케이스(300)는 하우징(200)의 하단에 결합된다. 보텍스팬(400)은 상부 케이스(3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 필터케이스(500)는 보텍스팬(400)의 하부에 이격하여 설치된다.
보텍스팬(400)은, 하부 필터케이스(500)의 상측면과 상부 케이스(300)의 천정면 사이 이격공간(460)에 배치된다. 구동모터(220) 작동시 배기팬(210)과 함께 보텍스팬(400)이 회전한다.
보텍스팬(400)은 이격공간(460)의 공기를 외측으로 밀어내며, 이렇게 밀려난 기류는 상부 케이스(300)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다가 하부 필터케이스(500)의 외측면과 상부 케이스(300)의 내측면 사이 배기공간(700)을 통해 상부 케이스(300) 밖으로 토출된다.
이렇게 상부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토출된 기류가 배기팬(210)의 흡인력에 의해 되돌아오면서 하부 필터케이스(500)의 외측 하부에 와류가 형성된다. 즉 하부 필터케이스(500)의 외측 주변부에 일종의 저기압대가 형성되며, 배기팬(210)과 보텍스팬(400)이 배치된 중심부에는 상승기류가 나타나게 된다.
이 상승기류는 배기팬(210)의 흡인력에 의해 강화되며, 배기팬(210)이 보텍스팬(400)과 함께 회전 구동함에 따라 도넛형의 저기압대는 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오리 기류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기체를 포집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는, 주방의 어느 한 위치, 예를 들어 싱크대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 싱크대 주변의 공기만을 어느 정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주방을 벗어난 위치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기는 어렵다.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에 구비되는 배기팬(210)과 같은 일반적인 배기팬의 흡입력은, 배기팬의 직경만큼만 배기팬 입구로부터 멀어지기만 해도 해당 위치의 흡입유속은 배기팬 입구에서의 흡입유속의 1/10 이하로 떨어지는 물리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 장소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조리가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 등의 오염원을 상기 레인지 후드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의 보텍스팬(400)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의 범위는, 레인지 후드가 차지하는 범위에 비해 매우 넓다. 따라서 상기 레인지 후드가 식탁이나 주방공간에 설치될 때, 보텍스팬(400)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즉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보텍스팬(400)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는, 충분한 추가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식탁이나 주방공간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설치 공간 상의 제약을 갖는다.
또한 상기 레인지 후드가 식탁이나 주방공간에 설치될 경우, 식탁이나 주방공간에서 조리 중이거나 식사 중인 사용자에게 와류가 직접 닿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와류의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선행문헌1에 개시된 레인지 후드의 보텍스팬(400)은, 특정 속도로 회전되는 조건에서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텍스팬(400)은, 적정 범위를 벗어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와류를 제대로 형성할 수 없다.
보텍스팬(400)의 회전 속도가 적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와류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보텍스팬(400)의 작동시에 보텍스팬(400)의 미작동시보다 오히려 레인지 후드의 흡입 성능이 더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선행문헌1에서는, 보텍스팬(400)의 회전 속도가 적정 범위로 잘 유지되지 못하면, 보텍스팬(400)이 없는 레인지 후드에 비해 오히려 흡입 성능이 더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1에서는, 하나의 레인지 후드에 2개의 팬이 내장된다. 즉 레인지 후드의 내부에 배기팬(210) 및 보텍스팬(400)이 함께 설치되고, 배기팬(210)과 보택스팬(400)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따라서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는, 보택스팬(400)으로 인해 상당히 큰 폭을 갖게 될 뿐 아니라,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2개의 팬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상당히 두꺼운 두께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는, 협소한 주방 공간에 설치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그 크기 및 무게로 인해 이동식으로 이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는, 그 크기로 인해 싱크대나 식탁에 얹혀진 상태로 이용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그 무게로 인해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이동식으로 이용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에서는, 흡입유동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흡입유동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면, 오염 공기가 흡입되던 도중 레인지 후드에서 유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오염 공기가 결국에는 레인지 후드에 흡입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 위치와 조리가 이루어지는 위치가 멀리 떨어진 경우, 예컨대 레인지 후드가 싱크대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조리는 이와 멀리 떨어진 아일랜드 식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가 아일랜드 식탁에서 이루어지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 및 필터링하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아일랜드 식탁 등에서 이루어지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레인지 후드가 아닌 위치 이동이 가능한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가 필요하게 된다.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는, 아일랜드 식탁 등과 같이 평평한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하여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러나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는, 상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하기 어렵다.
즉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는, 오염 공기 발생원의 상부에 배치되기 보다는 오염 공기 발생원에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형태로 배치되므로,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하기 어렵다.
만약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로 조리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하려면, 포터블 타입의 레인지 후드의 크기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선행문헌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1256호)에는, 포터블 후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에 개시된 포터블 후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헤드(200) 및 커넥터(3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식탁 또는 지면과 같이 평평한 곳에 놓여질 수 있으며, 헤드(200) 및 커넥터(300)를 지지한다. 커넥터(300)는, 바디(100)와 헤드(200)를 연결한다.
그리고 헤드(200)는,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때 바디(100) 위에 안착되고,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헤드(200)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상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200)는, 하우징(210)과 에어 가이드와 송풍기와 디퓨져(240)와 토출그릴(250) 및 필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헤드(200)는 외형을 형성하며, 하우징(210) 내에는 에어 가이드가 배치된다. 에어 가이드 내에는 배치되는 송풍기가 배치된다.
디퓨져(240)는, 에어 가이드의 상단 및 하우징(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를 확산시킨다. 그리고 토출그릴(250)은 디퓨져(240)의 상단에 결합되며, 필터유닛은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어 에어 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된다.
바디(100)의 상측면에는 커넥터 수용홈(130)이 형성된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일 때, 커넥터(300)는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일 때 커넥터(30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됨으로써, 포터블 후드(1)의 외부에서 볼 때 커넥터(300)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송풍기가 작동되면, 헤드(200)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헤드(200)는, 커넥터(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20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팅될 수도 있고, 헤드(20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200)의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문헌2의 포터블 후드(1)에 따르면, 헤드(200)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200)를 구비하는 포터블 후드(1)는,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선행문헌2의 포터블 후드(1)에서, 커넥터(300)의 길이는 대략 바디(100)의 직경 이내의 길이로 제한된다. 헤드(200)의 직경 또한 바디(100)의 직경과 유사하므로, 커넥터(300)의 길이는 대략 바디(100) 및 헤드(200)의 직경 이내의 길이로 제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0)나 헤드(200)의 크기가 매우 커지지 않는 이상, 제한된 커넥터(300)의 길이 때문에 헤드(200)의 위치가 조리기기로부터 상부로 멀리 떨어지기는 어렵다.
즉 포터블 후드(1)가 조리기기의 상부에서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리기기로부터 멀지 않은 상부에 헤드(200)가 위치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헤드(200)가 조리기기의 상부에서 조리기기와 인접하게 배치되면, 포터블 후드(1)가 조리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렇다고 해서 커넥터(300)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바디(100)의 크기를 키운다면, 포터블 후드(1)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포터블 후드(1)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포터블 후드(1)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될 뿐 아니라, 포터블 후드의 크기 및 무게 증가로 인해 포터블 후드(1)의 이동에도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2의 포터블 후드(1)는,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지 않고 실내로 다시 배출하기 때문에, 1번의 필터링으로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터유닛이 많은 개수의 필터를 포함하거나 고가의 필터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필터유닛에 고가의 필터가 적용되는 경우, 그만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필터의 개수가 증가되면, 그만큼 기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유동저항이 증가됨으로 인해 흡입 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필터유닛이 많은 개수의 필터를 포함하거나 고가의 필터를 구비하기는 어려우며, 이에 따라 선행문헌2의 포터블 후드(1)는 1번의 필터링으로 오염 공기를 완전히 정화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충분히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2의 포터블 후드(1)의 흡입 면적은, 크기를 키우는데 제약이 있는 포터블 후드(1)의 특성 상, 선행문헌1의 레인지 후드에 비해 좁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선행문헌2의 포터블 후드(1)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선행문헌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9802호
(특허문헌 2) 선행문헌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91256호
본 발명은 주방 등과 같이 통상적인 레인지 후드의 설치 장소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큰 폭의 전력 소모량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위치에 자유롭게 이동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좁은 공간에도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소한 조리 공간에도 충분히 설치될 수 있게 두께가 얇은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가 구조물 설치로 인해 번거로운 설치 작업이 추가되거나 요리 중인 사용자의 활동이 방해받는 일이 없도록 하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면서도 조리기기의 연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이동식 후드의 작동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이 감소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식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이동식 후드는,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과,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흡기구 및 토출구가 팬보다 전방측에 배치되고, 토출구가 흡기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 및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흡기구 및 토출구는, 팬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제1방향과 직교하는 직경방향에 대해서, 토출구가 흡기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흡입유동 주위로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목적 대상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된 공기에 대한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방측의 외부 공기를 후방측으로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배출하는 팬과,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 및 유동가이드부를 통해 이동한 공기가 전방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과,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흡기구와 토출구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흡입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출하는 팬과,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구가 외부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식 후드는, 어느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가며 조리 중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외부 공기를 전방측으로부터 흡입하는 흡입유동을 형성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유동의 외측에서 전방측으로 배출되도록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미 필터링된 후 토출된 공기의 재흡입이 이동식 후드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에어커튼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식 후드는, 오염 공기에 대한 반복적인 정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더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방측에 배치된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 배치된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팬의 전방측에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고, 흡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의 흡입과 토출구를 통한 공기의 토출이 하나의 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식 후드는: 제1방향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 및 상기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토출구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토출구가 상기 흡기구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은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한 방향인 원심방향으로 배출하고, 상기 유동가이드부는 상기 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토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통로는,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이 되도록 상기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가이드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팬을 상기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쉬라우드; 및 상기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팬과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팬을 상기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오리피스 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통로는,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오리피스 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폭이 상기 토출통로의 폭 이하이고, 상기 토출구에 인접할수록 상기 토출통로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쉬라우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외측스커트부,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외측스커트부 사이를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외측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오리피스 쉘이 상기 팬과 상기 외측스커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 쉘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직경방향 내측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링형상부와; 상기 링형상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내측스커트부; 및 상기 링형상부와 상기 내측스커트부 사이를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내측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내측스커트부가 상기 팬과 상기 외측스커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연결부와 상기 내측연결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스커트부와 상기 내측스커트부가 상기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통로는, 상기 외측연결부와 상기 내측연결부 사이 및 상기 외측스커트부와 상기 내측스커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외측스커트부와 내측스커트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커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면에는 제2관통홀이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토출통로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스커트부는 상기 제2관통홀을 둘러싸는 상기 커버면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상기 내측스커트부는 상기 제2관통홀 내부에서 상기 외측스커트부와 상기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내측스커트부를 경계로 상기 직경방향 내측의 상기 흡기구와 상기 직경방향 외측의 상기 토출구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구와 상기 토출구가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직경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면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스커트부 사이 또는 외측스커트부와 내측스커트부 사이를 연결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2관통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내측스커트부로부터 상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링형상부, 또는 상기 제1면과 상기 링형상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쉬라우드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링 형상부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보스는, 상기 팬보다 상기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기구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내측스커트부로부터 상기 직경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인 구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지지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의 상기 제1방향 위치가 상기 지지날개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를 상기 오리피스 쉘에 고정시키는 고정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지지날개와 접촉되며 상기 오리피스 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제1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지지날개와 접촉되게 상기 내측스커트부의 상기 직경방향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상기 제1방향 타측에서 지지하는 제1고정커버부; 및 상기 제1방향 일측에서 상기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제1고정커버부 또는 상기 내측스커트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커버부는, 상기 지지날개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날개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스커트부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커버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방향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는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3방향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후드에 따르면,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가며 조리 중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레인지 후드의 설치 장소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뿐 아니라, 통상적인 레인지 후드의 설치 장소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 또한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식 후드는, 주방, 식탁, 방, 휴게실, 거실, 야외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유동 주위로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목적 대상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된 공기에 대한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흡입 성능 및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 공기가 복수회 반복 흡입되며 필터링되는 n차 필터링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통상적인 후드 설치 장소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 자유롭게 이동 배치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을 효율성 높게 포집할 수 있으면서도, 조리가 이루어지는 주변의 오염 공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에 대한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팬의 흡입 유속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매우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큰 폭의 전력 소모량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모듈의 작동에 의해 형성된 에어커튼이 차단막, 차양 등과 같은 구조물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 구조물 설치를 위한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더욱 향상된 흡입 성능을 갖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유동과 토출유동이 하나의 팬에 의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조리 공간에도 충분히 설치 가능할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모듈의 작동에 의해 형성된 에어커튼이 차단막, 차양 등과 같은 구조물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 중인 사용자의 활동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흡입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에서 발생된 토출유동을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에어커튼 형성용 팬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에어커튼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조비용 추가 및 제조공정 추가를 억제하면서도 더욱 향상된 성능을 갖는 이동식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기기의 연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해당 가열기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후드의 내부에서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오염 공기가 사용자에게 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기류가 사용자에게 닿게 되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불쾌감이 상당 부분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택스팬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및 쉬라우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쉘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쉘과 필터 및 고정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에어커튼 기능이 없는 레인지 후드 주변의 공기 흐름의 속도 경향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의 작동 상태에서의 이동식 후드 주변의 공기 흐름의 속도 경향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의 작동 상태에서의 이동식 후드 주변의 풍량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동식 후드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이동식 후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릴이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그릴을 통해 외부 공기가 이동식 후드의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동식 후드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이동식 후드의 그릴 앞에서 이동식 후드를 바라볼 때 이동식 후드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후드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2)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오염 공기에 대한 정화가 필요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가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후드(2)는, 케이스(210)와 팬모듈(230) 및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2)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2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제1방향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10)는, 팬모듈(230)과 유동가이드부 등과 같이 이동식 후드(2)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는, 이동식 후드(2)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지면이나 싱크대의 상판, 식탁의 바닥면 등에 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1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싱크대나 식탁 또는 아일랜드 식탁 등 조리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제1방향 일측을 전방측, 제1방향 타측을 후방측이라 지칭하고, 제2방향 일측을 상측, 제2방향 타측을 하측이라 지칭하며, 제3방향 일측과 타측을 각각 우측과 좌측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케이스(210)의 개방된 전방측에는, 흡기구(I)와 토출구(O)가 마련될 수 있다. 흡기구(I)는, 외부 공기가 팬모듈(230)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이동식 후드(2)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O)는, 팬모듈(230)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식 후드(2)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이동식 후드(2)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흡기구(I)는, 케이스(210)의 내부를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O)도, 케이스(210)의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I)와 토출구(O) 모두가 이동식 후드(2)의 전면에 형성되고, 흡기구(I) 및 토출구(O)가 직경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여기서 직경방향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의 지름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팬모듈(230)은 케이스(210)의 내부, 즉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230)은, 흡기구(I)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O)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230)은, 외부 공기를 전후방향으로 흡입한 후, 흡입한 공기를 토출구(O)를 통해 다시 전후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예컨대, 팬모듈(230)은 전방측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이를 토출구(O)를 통해 다시 전방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모듈(230)에 의해 배출된 공기의 흐름은, 팬모듈(230)에 의해 이동식 후드(2)의 전방측에 형성된 흡입유동의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에어커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유동가이드부는, 팬모듈(230)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10)의 내부, 즉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가이드부는, 팬모듈(230)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토출구(O)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다. 유동가이드부의 상세 구조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의 구조]
케이스(2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스(210)의 전면은 개방된다. 이러한 케이스(210)는, 제1면(211)과 한 쌍의 제2면(213) 및 한 쌍의 제3면(215)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면(211)은 전후방향 축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면(211)은, 케이스(2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면(213)은, 제1면(211)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면(213)은,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면(213)은, 케이스(210)의 상면과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면(215)은, 제1면(211) 및 제2면(213)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3면(215)은, 좌우방향 축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면(215)은, 케이스(210)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면(211)과 제2면(213) 및 제3면(215)을 포함하는 케이스(2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브라켓 플레이트(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7)는, 케이스(210)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브라켓 플레이트(217)는, 제1면(211)의 후방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플레이트(217)는, 팬모듈(230)의 후방측에서 팬모듈(2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면(211)에는, 설치홀(211a)이 마련될 수 있다. 설치홀(211a)은, 제1면(21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홀(211a)은, 케이스(210) 내부에 수용되는 팬모듈(230)과 케이스(21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브라켓 플레이트(217)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케이스(21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지지대(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19)는, 좌우방향 외측에서 케이스(210)와 결합되어 케이스(2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19)가 케이스(21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지지대(219)는, 케이스(210)의 제3면(2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면(215)을 외측에서 덮으며 케이스(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10)에는, 돌기축(216)이 마련될 수 있다. 돌기축(216)은, 제3면(215)에 마련되되, 제3면(215)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축(216)은, 케이스(21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돌기축(216)은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축(216)은, 이동식 후드(2)를 지지하는 용도로 마련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축(216)은, 지지대에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동식 후드(2)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기축(216)에 의해, 이동식 후드(2)는 지지대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219)는, 상기 돌기축(216)과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219)에는, 끼움홀(219a)이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홀(219a)은, 지지대(219)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축(216)이 끼움홀(219a)에 삽입되며 지지대(219)에 끼워짐으로써, 지지대(219)가 케이스(210)의 측면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기축(216)의 측방향 단부는, 지지대(219)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지지대(219)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210)의 측면에 결합된 지지대(219)는, 케이스(210)를 지지하여 이동식 후드(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219)는, 이동식 후드(2)가 지지대에 설치되지 않고 단독으로 배치된 상태일 때, 돌기축(216)의 이동식 후드(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식 후드(2)의 외관이 매끄럽게 유지되도록 할 뿐 아니라, 이동식 후드(2)의 돌출 부분으로 인해 안전사고나 물건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과 같이 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게 함으로써,
[팬모듈의 구조]
팬모듈(230)은, 팬(231) 및 구동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팬(231)은, 케이스(2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팬(231)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외부 공기를 전후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를 흡입한 팬(231)은, 전후방향으로 배출하거나 좌우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231)이 원심팬(Centrifugal fan)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팬(231)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전방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동부(233)는, 팬(23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구동부(233)는 전기모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33)는, 팬(231)과 연결되어 팬(231)을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33)에 의해 회전되는 팬(231)은, 이동식 후드(2) 전방측의 외부 공기가 이동식 후드(2)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외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흡입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231)에 의해 발생된 흡입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I)를 통과하여 이동식 후드(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유입된 공기는 이동식 후드(2) 내부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팬(231)에 흡입될 수 있다.
팬(231)에 흡입된 공기는, 팬(231)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한 방향인 원심방향으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공기의 흐름은 유동가이드부에 의해 케이스(210)의 토출구(O)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케이스(210)의 토출구(O) 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토출구(O)를 통해 이동식 후드(2)의 전방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의 구조]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및 쉬라우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쉘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동가이드부는 팬(231)과 토출구(O) 사이를 연결하는 토출통로(a)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통로(a)는, 토출구(O)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 즉 전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이 되도록, 팬(231)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유동가이드부는, 쉬라우드(220) 및 오리피스 쉘(240)을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220)는, 케이스(210)의 내부, 즉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쉬라우드(220)는, 팬(231)을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쉬라우드(220)는 케이스(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쉬라우드(220)는, 케이스(210)와 쉬라우드(220)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쉬라우드(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스커트부(221) 및 외측연결부(223)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스커트부(221)는, 제1면(211)으로부터 제1방향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 즉 제1면(211)으로부터 전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연결부(223)는, 제1면(211)과 외측스커트부(221) 사이를 라운드지게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스커트부(221)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외측스커트부(221)의 후방측 단부와 제1면(211) 사이를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외측연결부(223)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쉬라우드(220)는 배후면(2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210)와 쉬라우드(22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쉬라우드(220)의 배후면(211)이 케이스(210)의 제1면(211)을 대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오리피스 쉘(240)은 쉬라우드(22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리피스 쉘(240)은, 팬(231)을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게 마련된다. 직경방향에 대해서, 오리피스 쉘(240)은 팬(231)과 쉬라우드(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가 형성하는 토출통로(a)는,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쉘(240)은 링형상부(241)와 내측스커트부(242) 및 내측연결부(2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링형상부(241)는, 제1면(211)의 전방에 배치되며, 제1면(211)과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링형상부(241)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링형상부(241)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형상의 판재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링형상부(241)의 직경방향 내측에는, 제1관통홀(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홀(241a)은, 링형상부(24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스커트부(242)는, 링형상부(241)로부터 제1방향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 즉 링형상부(241)로부터 전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연결부(243)는, 제1면(211)과 외측스커트부(221) 사이를 라운드지게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스커트부(242)는 외측스커트부(221)와 마찬가지로 중공이 형성된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내측스커트부(242)의 후방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내측연결부(243) 및 링형상부(241)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연결부(243)는, 외측연결부(22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 대해서, 팬(231)은 외측연결부(223)와 내측연결부(2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직경방향에 대해서, 내측스커트부(242)는 팬(231)과 외측스커트부(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연결부(223)와 내측연결부(243)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스커트부(221)와 내측스커트부(242)는,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가 형성하는 토출통로(a)는, 내측스커트부(242)와 외측스커트부(221) 사이, 그리고 내측연결부(243)와 외측연결부(2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쉬라우드(220)와 링형상부(241), 또는 제1면(211)과 링형상부(241)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쉬라우드(220)는 결합돌기(225)를 포함할 수 있고, 오리피스 쉘(240)은 결합보스(24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25)는, 제1면(211) 또는 쉬라우드(220)로부터 제1방향,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25)가 설치홀(2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각각의 결합돌기(225)는, 설치홀(211a)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돌기(225)는, 결합보스(244)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팬(231)과 간섭되지 않도록, 팬(231)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보스(244)는, 제1면(211) 또는 결합돌기(225)와 마주보는 링형상부(241)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보스(244)는 링형상부(241)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결합보스(244)가 제1관통홀(241a)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오리피스 쉘(240)에는 결합돌기(225)와 대응되는 개수의 결합보스(24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들은 결합돌기(225)들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보스(244)는, 결합돌기(225)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팬(231)과 간섭되지 않도록, 팬(231)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결합보스(244)는, 결합돌기(225)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225)가 결합보스(244)에 삽입되며 결합보스(244)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돌기(225)와 결합보스(244) 간의 결합은, 링형상부(24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이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오리피스 쉘(240)은, 대략 결합돌기(225)의 전후방향 길이만큼 쉬라우드(220)와 이격되며 쉬라우드(22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의 간격은, 대략 팬모듈(23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이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오리피스 쉘(240)이 쉬라우드(220)의 전방측에 설치됨으로써, 팬모듈(230)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쉬라우드(220)와 오리피스 쉘(240) 사이에 충분한 폭의 토출통로(a)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필터 및 그 지지 구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쉘과 필터 및 고정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필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250)는, 흡기구(I)와 팬(231)사이, 즉 팬(23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50)는, 팬(231)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250)는 제2관통홀(212a)의 형상 또는 오리피스 쉘(24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250)가 오리피스 쉘(24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필터(250)는, 프리 필터(Pre-filter), 오일미스트 필터(Oil-mist filter/Grease filter), 탈취 필터(Oder filter), 집진 필터(dust filter), 탈취 필터 및 제균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큰 먼지와 오일 입자를 잡아 주며, 오일미스트 필터는 조리시 발생되는 유증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탈취필터는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집진필터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필터이다.
필터(250)는, 상기 필터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필터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쉬라우드(220)는, 지지날개(2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날개(247)는, 내측스커트부(242)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인 구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날개(247)는 내측스커트부(242)의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날개(247)는, 필터(250)의 전후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고정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커버(260)는, 필터(250)를 오리피스 쉘(2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커버(260)는, 지지날개(247)와 접촉되며 오리피스 쉘(24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커버(260)는, 제1고정커버부(261) 및 제2고정커버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커버부(261)는, 지지날개(247)의 형상과 유사한 링 형상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잇다. 이러한 제1고정커버부(261)는, 후방측 단부가 지지날개(247)와 접촉되게 내측스커트부(242)의 직경방향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리피스 쉘(240)에 결합된 제1고정커버부(261)는, 필터(250)를 후방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커버부(261)는 지지면(262) 및 연장면(26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지지면(262)은, 지지날개(247)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 대해서, 지지면(262)은 지지날개(247)와 필터(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63)은, 지지면(262)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면(263)이 지지면(262)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직경방향에 대해서, 연장면(263)은 내측스커트부(242)와 필터(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면(262)과 연장면(263)을 포함하는 제1고정커버부(261)는, 필터(250)의 후방측 및 직경방향 외측에서 필터(25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고정커버부(261)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264)가 지지면(262)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돌기(264)는, 지지면(262)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측에서 필터(250)를 지지할 수 있다.
필터(250)는, 지지돌기(264)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면(262)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250)와 제1고정커버부(261)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고, 그만큼 필터(250) 중에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필터(250)를 통과하여 이동식 후드(2)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 유동의 유속과 풍량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제2고정커버부(265)는, 고정커버(260) 중 전방에 배치되는 부품이다. 이러한 제2고정커버부(265)는, 후술할 케이스(210)의 커버면(212)과 함께 이동식 후드(2)의 최전방측에 배치되어 이동식 후드(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커버부(265)는, 전방측에서 필터(250)를 지지하며 제1고정커버부(261) 또는 내측스커트부(242)와 결합될 수 있다. 필터(250)는, 후방의 제1고정커버부(261)와 전방의 제2고정커버부(265)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압박되면서 고정커버(26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오리피스 쉘(240)에 결합될 수 있다.
[흡기구와 토출구 및 토출통로 형성 구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210)는 커버면(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212)은, 팬(231)보다 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면(212)은, 케이스(21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케이스(2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면(212)에는, 제2관통홀(212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관통홀(212a)은, 커버면(212)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관통홀(212a)이 커버면(212)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커버면(212)의 2/3 이상이 제2관통홀(212a)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관통홀(212a)은, 제1관통홀(241a)과 전후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관통홀(241a)은 토출통로(a)와 직경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고, 토출통로(a)는 제2관통홀(212a)과도 전후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케이스(210) 내에서 제1관통홀(241a)과 제2관통홀(212a) 및 토출통로(a)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외측스커트부(221)는 제2관통홀(212a)을 둘러싸는 커버면(212)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스커트부(221)의 후방측 단부는 외측연결부(223)와 연결되고, 외측연결부(223)는 제1관통홀(241a)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제1관통홀(241a)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스커트부(221)의 전방측 단부는 커버면(212)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이스(210)와 쉬라우드(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210)의 커버면(212)과 쉬라우드(220)의 외측스커트부(221)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내측스커트부(242)는, 제2관통홀(212a) 내부에서 외측스커트부(221)와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스커트부(242)의 후방측 단부는 내측연결부(243)와 연결되고, 내측연결부(243)는 링형상부(241)와 연결되며, 링형상부(241) 상에 제1관통홀(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쉘(240)은, 쉬라우드(22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오리피스 쉘(240) 중 가장 후방에 배치된 부분인 링형상부(241)는 쉬라우드(220)의 최후방 부분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내측스커트부(242) 및 내측연결부(243)는 쉬라우드(220)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관통홀(212a) 내부에 배치된 내측스커트부(242)의 전방측 단부도, 외측스커트부(221)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스커트부(242)의 전방측 단부는, 외측스커트부(221)의 전방측 단부와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관통홀(212a)은, 내측스커트부(242)를 경계로 흡기구(I)와 토출구(O)로 구획될 수 있다. 흡기구(I)와 토출구(O)가 모두 제2관통홀(212a) 상에 배치되므로, 흡기구(I)와 토출구(O)는 동일 평면 상에서 직경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중 흡기구(I)는 내측스커트부(242)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토출구(O)는 내측스커트부(242)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기구(I)의 후방측에는 필터(2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흡기구(I)와 팬(231) 사이에 필터(250)가 배치되고, 흡기구(I)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250)를 통과한 이후에 팬(231)에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비해, 토출통로(a)를 통해 토출구(O)로 이동하는 공기는, 필터(250)를 통과하지는 않게 된다. 토출구(O)와 연결된 토출통로(a) 상에 필터(250)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복수개의 블레이드(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45)는, 제2관통홀(212a), 좀 더 구체적으로는 토출구(O)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245)는, 제2관통홀(212a)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잇다.
일례로서, 블레이드(245)는 내측스커트부(242)와 외측스커트부(22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레이드(245)는 커버면(212)의 내주면과 외측스커트부(221)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245)가 내측스커트부(242)와 외측스커트부(221)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블레이드(245)는, 오리피스 쉘(24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측스커트부(221)의 외주면에 외측스커트부(22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245)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245)는, 외측스커트부(221)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245)와 블레이드(245) 사이는 외측스커트부(221)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블레이드(245)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는 커버면(212)의 내주면 또는 외측스커트부(221)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245)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가 외측스커트부(221)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블레이드(245)가 마련된 오리피스 쉘(240)과 쉬라우드 간의 결합은 두 가지 형태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이미 설명된 바 있는 결합돌기(225)와 결합보스(244) 간의 결합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외측스커트부(221)와 블레이드(245) 간의 결합이다.
외측스커트부(221)와 블레이드(245) 간의 결합은, 블레이드(245)가 외측스커트부(221)의 내부면을 압박하며 외측스커트부(221)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45)는 오리피스 쉘 내측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오리피스 쉘(240)과 쉬라우드 간의 결합 부위가 오리피스 쉘(240)과 쉬라우드(220)의 전방측에 추가될 수 있게 되어 오리피스 쉘(240)과 쉬라우드(220) 간의 고정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블레이드(245)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블레이드(245)는 내측스커트부(242)와 외측스커트부(221)가 블레이드(245)에 의해 연결되면서 서로 지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동식 후드(2)의 전면에 형성되는 토출구(O)의 형상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블레이드(245)는 토출구(O)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245)는, 토출구(O)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토출유동의 토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토출구(O)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셋째, 블레이드(245)는 토출구(O)를 통해 크기가 큰 이물질이 이동식 후드(2)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차단 구조물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흡기구(I)와 달리, 토출구(O)의 후방측에는 필터(250)가 배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이 토출구(O)를 통해 이동식 후드(2)의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토출구(O)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45)는, 토출구(O)를 통해 크기가 큰 이물질이 이동식 후드(2)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차단 구조물 역할을 함으로써, 크기가 큰 이물질로 인해 토출구(O)가 막히거나 이동식 후드(2) 내부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245)가 오리피스 쉘(2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블레이드(245)가 쉬라우드(220)에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블레이드(245)와 관련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후드(2)의 구조에 따르면, 흡기구(I) 및 토출구(O)는 팬(231)보다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직경방향에 대해서, 토출구(O)는 흡기구(I)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에서는, 팬(231)의 전방에 배치된 흡기구(I)를 통해 외부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팬(231)에 의해 이동식 후드(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팬(231)의 전방으로 토출되되, 흡기구(I)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토출구(O)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의 이동식 후드(2)로의 흡입, 그리고 이동식 후드(2)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이동식 후드(2) 외부로의 토출이 모두 팬(231)의 전방에서 이루어지되, 토출구(O)를 통한 공기의 토출이 흡기구(I)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구(O)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 즉 토출유동은, 이동식 후드(2)의 전방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에어커튼은, 에어커튼은 에어커튼의 측방향 외측 영역에 위치한 공기의 흐름과 이동식 후드(2) 사이를 가로막음으로써, 에어커튼의 측방향 외측 영역에 위치한 공기가 이동식 후드(2)로 흡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의 측방향 내측 영역에 위치한 공기가 이동식 후드(2)로 흡입될 수 있는 여건이 효과적으로 조성될 수 있게 되므로, 이동식 후드(2)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에 대한 흡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토출구(O)는 토출통로(a)와 형성되며, 토출통로(a)는 팬(231)의 배출측과 토출구(O)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통로(a)는, 내측스커트부(242)와 외측스커트부(221) 사이, 그리고 내측연결부(243)와 외측연결부(2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통로(a) 중, 내측연결부(243)와 외측연결부(223) 사이에 형성된 구간은 팬(231)과 인접한 구간(이하, "제1구간"이라 한다)에 해당되며, 내측스커트부(242)와 외측스커트부(221) 사이에 형성된 구간은 토출구(O)와 인접한 구간(이하, "제2구간"이라 한다)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구(O)의 폭은 토출통로(a)의 폭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통로(a)의 폭은, 토출구(O)에 인접할수록 점차 좁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스커트부(221)와 내측스커트부(242)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토출통로(a)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팬(231)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통로(a)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이동 속도가 점차 빨라지게 된다. 그 결과, 토출구(O)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유동의 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이 토출유동이 형성하는 에어커튼의 세기와 작용 거리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도 3과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71) 및 배터리케이스(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71)는, 구동부(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23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271)는, 케이스(210)의 제2방향 일측 또는 타측, 즉 케이스(2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스(270)는, 배터리(271)를 내부에 수용하며 케이스(2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후드(2)에 배터리(271)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식 후드(2)의 설치 위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로 제한되지 않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배터리(271)는 충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이동식 후드(2)에는 배터리(271) 충전을 위한 단자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71) 및 배터리케이스(270)는 케이스(2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271)는, 케이스(210) 및 케이스(210) 내부에 수용된 구성들보다 중량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271)는 케이스(210)와 팬모듈(230)과 유동가이드를 합한 무게보다 더 무거운 무게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271)의 단위 부피당 무게가 케이스(210)와 팬모듈(230) 및 유동가이드의 단위 부피당 무게보다 훨씬 무겁기 때문에, 배터리(271)의 무게나 크기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배터리(271)가 케이스(210)와 팬모듈(230) 및 유동가이드보다 중량물로 마련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즉 이동식 후드(2)의 통상적인 사용에 필요한 용량의 배터리(271)가 이동식 후드(2)에 적용되더라도, 자연스럽게 배터리(271)가 케이스(210) 및 케이스(210) 내부에 수용된 구성들보다 중량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량물인 배터리(271)가 케이스(210)의 하측에 배치되면, 이동식 후드(2)가 전도될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즉 이동식 후드(2)의 하측에 배치된 배터리(271)로 인해 이동식 후드(2)의 무게 중심이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식 후드(2)가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디스플레이(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5)는, 배터리케이스(27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배터리(2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275)는, 배터리(27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식 후드(2)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75)는 이동식 후드(2)의 작동 상태, 풍량의 세기, 배터리(271)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후드(2)에 공기 질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경우, 공기 질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275)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제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배터리(27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구동부(233)와 디스플레이(27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식 후드의 작용, 효과]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에어커튼 기능이 없는 레인지 후드 주변의 공기 흐름의 속도 경향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의 작동 상태에서의 이동식 후드 주변의 공기 흐름의 속도 경향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후드의 작동 상태에서의 이동식 후드 주변의 풍량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후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표시된 선들은 풍량을 표시한 선이며, 풍량을 표시한 선의 색상이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풍량이 낮음을 나타내고, 풍량을 표시한 선의 색상이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풍량이 높음을 나타내는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표시된 선들은 풍속을 표시한 선이며, 풍속을 표시한 선의 색상이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풍속이 낮음을 나타내고, 풍량을 표시한 선의 색상이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풍속이 높음을 나타내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조리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조리용기의 옆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후드(2)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가며 조리 중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일례로서, 휴대용 버너를 이용하여 주방이 아닌 다른 장소, 예컨대 방이나 휴게실에서 조리가 이루지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가 그 조리 위치 주변에 배치되어 휴대용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그 위치와 자세를 자유롭게 바꾸어가며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후드(2)는, 그 전면이 조리용기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에어커튼 기능이 없는 종래의 레인지 후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에 대한 흡입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리가 이루어지는 위치와 관계 없는 다른 위치의 공기에 대한 흡입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레인지 후드의 전방측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 유동에 대한 흡입만이 이루어지지 않고, 레인지 후드의 측방측이나 후방측의 공기 유동에 대한 흡입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팬모듈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레인지 후드 주변으로 전방위로 퍼져 작용됨으로 인해, 정작 레인지 후드의 전방측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에 대한 흡입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즉 흡입팬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전방측뿐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도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됨에 따라, 레인지 후드의 전방측에 작용하는 흡입력의 세기는, 그만큼 약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에서 발생된 연기와 오염물질이 레인지 후드에 효과적으로 흡입되기 어렵게 된다. 즉 레인지 후드의 전방측에 작용하는 흡입력의 세기가 약해짐으로 인해, 레인지 후드의 흡기 가능 영역이 축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모듈(230)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이동식 후드(2)의 전방의 공기가 흡기구(I)를 통해 이동식 후드(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흡기구(I)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250)를 통과하면서 필터(250)에 의해 정화되고,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팬(231)에 흡입될 수 있다.
팬(231)에 흡입된 공기는, 팬(23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팬(231)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팬(231)의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된 토출통로(a)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통로(a)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통로(a)를 따라 토출구(O) 측으로 이동하고, 토출구(O)를 통해 이동식 후드(2)의 전방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된 공기는, 흡입유동을 좌우방향 양측에서 둘러싸는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커튼은, 팬모듈(230)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에어커튼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 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식 후드(2) 전방에 형성된 흡입유동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에어커튼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커튼의 측방향 외측 영역에 위치한 공기의 흐름과 이동식 후드(2) 사이를 가로막음으로써, 에어커튼의 측방향 외측 영역에 위치한 공기가 이동식 후드(2)로 흡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된 공기의 흐름, 즉 흡입유동의 세기가 증가되는데 필요한 여건이 효과적으로 조성될 수 있게 되므로, 흡입유동의 세기가 효과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오염 공기의 흡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오염물질을 확산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흡입, 정화한 후 배출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오염 확산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토출유동 중 일부는, 팬모듈(230)에 의해 발생되어 이동식 후드(2)의 전방측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의 영향을 받아 이동식 후드(2)의 내부로 재차 흡입될 수 있다. 토출구(O)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이미 필터(250)를 한 번 통과하며 정화된 상태이다. 이러한 공기가 이동식 후드(2)의 내부로 재차 흡입되면, 필터(250)를 한 번 더 통과하며 다시 정화될 수 있다.
이동식 후드(2)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반복해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필터(250)에 의해 복수회 필터링되는 n차 필터링 효과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배치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식 후드(2)의 특성 상,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흡입한 오염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지 않고 필터(250)를 통해 필터링한 후 실내로 다시 배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오염 공기를 흡입한 후 실외로 배출하는 형태의 레인지 후드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의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조리용기(P)의 상부에서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조리용기(P)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흡입유동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상부방향의 흡입유동을 형성하는 레인지 후드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흡입 성능 및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조리용기(P)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흡입유동을 형성하며, 흡입한 오염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지 않고 실내로 다시 배출하므로, 높은 수준의 흡입 성능 및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팬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을 통해 오염 공기의 흡입을 유도하여 흡입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오염 공기가 복수회 반복 흡입되며 필터링되는 n차 필터링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가며 조리 중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후드는, 주방, 식탁, 방, 휴게실, 거실, 야외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둘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흡입유동 주위로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목적 대상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된 공기에 대한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흡입 성능 및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1)는, 오염 공기가 복수회 반복 흡입되며 필터링되는 n차 필터링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1)는, 통상적인 후드 설치 장소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 자유롭게 이동 배치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을 효율성 높게 포집할 수 있으면서도, 조리가 이루어지는 주변의 오염 공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넷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상기와 같이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에 대한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팬의 흡입 유속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매우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큰 폭의 전력 소모량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팬모듈의 작동에 의해 형성된 에어커튼이 차단막, 차양 등과 같은 구조물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 구조물 설치를 위한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이동식 후드(2)의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단막, 차양 등과 같은 구조물이 조리공간에 설치될 경우, 이 구조물이 요리 중인 사용자의 활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팬모듈의 작동에 의해 형성된 에어커튼이 차단막, 차양 등과 같은 구조물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 중인 사용자의 활동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흡입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팬의 전방측에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고, 흡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의 흡입과 토출구를 통한 공기의 토출이 하나의 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조리 공간에도 충분히 설치 가능할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곱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230)에서 발생된 토출유동을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에어커튼 형성용 팬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에어커튼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의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더욱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덟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불꽃을 발생시키는 가열기기, 예컨대 가스쿡탑의 연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해당 가열기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스월러나 보택스팬을 이용하는 레인지 후드의 경우, 스월러나 보택스팬에서 발생되는 와류가 가스쿡탑의 불꽃에 닿아 불꽃이 흔들리고 가스쿡탑의 연소에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에서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토출유동이 가열기기를 향한 전방측을 향하지 않고 측방과 전방을 향하는 등, 이동식 후드(2)에서 발생되는 어떠한 토출유동도 가열기기를 향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가스쿡탑과 같이 불꽃을 발생시키는 가열기기의 연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식 후드(2)의 흡입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홉째,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이동식 후드(2)의 내부에서 필터(25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오염 공기가 사용자에게 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기류가 사용자에게 닿게 되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불쾌감이 상당 부분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후드(2)는, 공기가 필터(250)에 의해 복수회 필터링되는 n차 필터링 효과가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커튼의 공기 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2 : 이동식 후드
210 : 케이스
211 : 제1면
211a : 설치홀
212 : 커버면
212a : 제2관통홀
213 : 제2면
215 : 제3면
216 : 돌기축
217 : 브라켓 플레이트
219 : 지지대
219a : 끼움홀
220 : 쉬라우드
221 : 외측스커트부
223 : 외측연결부
225 : 결합돌기
230 : 팬모듈
231 : 팬
233 : 구동부
240 : 오리피스 쉘
241 : 링형상부
241a : 제1관통홀
242 : 내측스커트부
243 : 내측연결부
244 : 결합보스
245 : 블레이드
247 : 지지날개
250 : 필터
260 : 고정커버
261 : 제1고정커버부
262 : 지지면
263 : 연장면
264 : 지지돌기
265 : 제2고정커버부
270 : 배터리 케이스
271 : 배터리
275 : 디스플레이
280 : 제어부
a : 토출통로
I : 흡기구
O : 토출구

Claims (10)

  1. 제1방향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팬을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쉬라우드; 및
    상기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팬과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팬을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오리피스 쉘;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토출구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팬과 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토출통로가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오리피스 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토출구가 상기 흡기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이동식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한 방향인 원심방향으로 배출하고,
    상기 토출통로는,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이 되도록 상기 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식 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폭이 상기 토출통로의 폭 이하이고,
    상기 토출구에 인접할수록 상기 토출통로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이동식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쉬라우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식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외측스커트부,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외측스커트부 사이를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외측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오리피스 쉘이 상기 팬과 상기 외측스커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식 후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오리피스 쉘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이동식 후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면에는, 제2관통홀이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토출통로가 연통되는 이동식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제1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제2관통홀을 둘러싸는 상기 커버면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상기 오리피스 쉘의 상기 제1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제2관통홀 내부에서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직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오리피스 쉘을 경계로 상기 직경방향 내측의 상기 흡기구와 상기 직경방향 외측의 상기 토출구로 구획되는 이동식 후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쉘은,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보다 상기 제1방향 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쉘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직경방향 내측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링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링형상부, 또는 상기 제1면과 상기 링형상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이동식 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는 이동식 후드.
PCT/KR2021/019867 2021-12-06 2021-12-24 이동식 후드 WO20231065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36A KR20230084685A (ko) 2021-12-06 2021-12-06 이동식 후드
KR10-2021-0172636 2021-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509A1 true WO2023106509A1 (ko) 2023-06-15

Family

ID=8673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9867 WO2023106509A1 (ko) 2021-12-06 2021-12-24 이동식 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4685A (ko)
WO (1) WO2023106509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KR20180058047A (ko) * 2016-11-23 2018-05-31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후드 장치
KR101891256B1 (ko) 2017-06-26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후드
KR20180099393A (ko) * 2017-02-28 201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후드
KR102059802B1 (ko) 2019-05-24 2019-12-27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즈 보텍스팬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
CN210241707U (zh) * 2019-07-19 2020-04-03 中山市欧博尔电器有限公司 一种便携移动式油烟机
CN212339545U (zh) * 2020-06-24 2021-01-12 南京特电机电有限公司 一种便携式排风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KR20180058047A (ko) * 2016-11-23 2018-05-31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후드 장치
KR20180099393A (ko) * 2017-02-28 201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후드
KR101891256B1 (ko) 2017-06-26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후드
KR102059802B1 (ko) 2019-05-24 2019-12-27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즈 보텍스팬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
CN210241707U (zh) * 2019-07-19 2020-04-03 中山市欧博尔电器有限公司 一种便携移动式油烟机
CN212339545U (zh) * 2020-06-24 2021-01-12 南京特电机电有限公司 一种便携式排风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685A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5007A1 (ko) 공기청정기
WO2017119721A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WO20171463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6178521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66805A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WO2015099350A1 (en) Cleaning device
WO2019177414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045221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19045222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19177415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045212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17074130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7074138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8217069A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7074140A1 (ko) 가습청정장치
WO2021182733A1 (ko) 팬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
WO2021177507A1 (ko) 송풍기
WO2019045226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23106509A1 (ko) 이동식 후드
WO2023106507A1 (ko) 이동식 후드
WO2017074132A1 (ko) 가습청정장치
WO2020004839A1 (ko)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2191397A1 (ko) 이동형 공기 유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149872A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팬모듈
WO2023106508A1 (ko) 이동식 후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73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673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673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