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6482A1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6482A1
WO2023106482A1 PCT/KR2021/018847 KR2021018847W WO2023106482A1 WO 2023106482 A1 WO2023106482 A1 WO 2023106482A1 KR 2021018847 W KR2021018847 W KR 2021018847W WO 2023106482 A1 WO2023106482 A1 WO 20231064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ter
hair dryer
heater case
cov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8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광운
민경석
반행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064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64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Definitions

  • the heater module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handle housing.
  • FIG. 5 is a view showing a body assembly mounted inside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ir dryer 10 includes a fan unit 250 capable of flowing gas and adjusting the speed of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20.
  • the fan unit 250 is disposed on the gas flow path 150 to flow gas,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100 or inside the handle part 200 .
  • the control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fan unit 250 and the heater module 160 may be performed by a user 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o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preset in the control unit 130.
  • the ring-shaped main outlet 125 connected to the heating passage 155 may be smaller than the heating passage 155 but may have a ring shape.
  • the inside of the main outlet 125 is formed in a cone shape to guide the spread of the wind ejected from the main outlet 125 and includes a first ring cover 124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outlet 125 can do.
  • the air guide 112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heater module 160 to the main outlet 125 as shown in FIG. there is.
  • the first ring cover 124 may cover the front of the air guide 112 to configure the appearance of the hair dryer 10.
  • the discharge covers 121 , 122 , and 12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guide 112 to become one component of the body assembly 105 .
  • the discharge covers 121 and 122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120 of the hair dryer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ir dryer 10 and the accessor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that is, the gas discharge portion 120. , 124) can be used as an electrode.
  • the cone cover 121 and the first ring cover 124 of the discharge covers 121, 122, 124 are implemented by using a metal material that conducts electricity and connected to the front substrate 135 for the discharge covers 121, 122, 124. ) can be used as an electrode.
  •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located in the gas discharge unit 120 and connected to the front substrate 135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wind emitted from the heater module 160 .
  •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er case 165 to measure the temperature on the upper flow path, and the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ront substrate 135 penetrates the first heater case 165.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case 165 also rises due to the heating wire 161 located around the first heater case 165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eater case 165 also rises.
  •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front substrate 135 and the ion generator 136 located inside the first heater case 165 may fail due to high heat. .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전면에 기체 토출부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열을 제공하는 히터모듈;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원기둥 형상의 제1 히터 케이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열선; 및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면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 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 내부에는 기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유닛 등이 내장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자체 하중 등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히터모듈이 헤드부에 위치하며 히터모듈의 열에 의해 케이스의 온도도 상승하면 화상의 위험이 있고 제어부와 같은 내부 부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모듈의 열이 외부나 다른 곳으로 전달되지 않고 유로를 지나가는 공기에 모두 전달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특히 무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하며, 헤어드라이어에 배터리를 실장할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며, 기능 확장을 위해 이온 생성기 등의 부품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액세서리 등을 결합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에 대한 니즈가 있다.
헤어드라이어를 손에 들고 사용하므로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부품의 최적배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히터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이온 발생장치 및 전면기판 등의 부품을 배치한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면에 기체 토출부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열을 제공하는 히터모듈;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원기둥 형상의 제1 히터 케이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열선; 및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면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는 원통형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기 기체 토출부를 향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면부와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에 결합하여 기체 토출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토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커버는 상기 전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체 토출부에 결합하는 액세서리의 전극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토출커버는 가운데 위치하며 전면방향으로 돌출된 콘커버; 및 상기 콘 커버의 둘레에 위치하는 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콘커버와 상기 링커버는 이격되며 각각 다른 극에 연결도리 수 있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측 둘레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히터 케이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와 상기 제2 히터 케이스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메인 토출구;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홀; 및 상기 콘커버와 상기 링커버 사이에 형성된 보조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어부;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형성된 케이블홀; 및 상기 케이블홀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면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체결된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에서 생성된 이온을 방출하는 디퓨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기체 토출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의 내측 둘레에 위치하며 열전도율이 상기 측면부보다 낮은 단열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히터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기체 토출부로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히터모듈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열선은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링을 형성하며 감긴 코일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열선의 링의 지름은 이웃하는 열선의 링의 지름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모듈은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연결부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기체 유입구; 및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실장되고 상기 기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히터모듈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의 열이 본체 하우징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 화상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모듈이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인 토출구의 금속부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모듈의 열이 내측의 제1 히터 케이스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아 히터모듈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 내부에 실장된 본체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에어 가이드와 기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제1 히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히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메인 유로와 보조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1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 토출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의 내부 및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기체유입부(215)로부터 기체 토출부(120)까지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 토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기체 토출부(120)의 기체토출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유입되며, 기체유입부(215)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와 같이 기체유입부(215)가 손잡이부(200)에 구비된 경우, 기체유로(150)가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까지, 구체적으로 기체유로(150)는 기체유입부(215)로부터 기체 토출부(12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마련되는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 토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체부(10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가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대한 길이나 방향이 고정될 수도 있고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0)의 연장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본체부(10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200)의 연장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에서 손잡이부(200)가 연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손잡이부(200)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방에 본체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반드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를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200)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 토출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250)을 포함한다. 팬유닛(250)은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215)가 손잡이부(200)에 배치된 경우,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의 기체유입부(215)로부터 본체부(100)의 기체 토출부(120)까지 연장될 수 있고, 팬유닛(25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되는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10)는 무선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을 본체부(100)에 배치하는 경우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에 배치할 수 있다. 손잡이부(200)에 배치된 팬유닛(250)보다 배터리모듈(240)의 무게가 더 크므로 배터리모듈(240)이 손잡이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팬유닛(250)이 손잡이부(2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히터모듈(160)이 구비될 수 있다. 히터모듈(16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모듈(16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히터모듈(16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모듈(160)은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히터모듈(16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팬유닛(250)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헤어드라이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유입부(215)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250)에 의해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기체 토출부(120)를 향하고, 기체 토출부(12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기체유로(150)상의 기체는 팬유닛(250)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히터모듈(16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팬유닛(250), 히터모듈(160), 전원버튼 및 조작부 등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250) 및 히터모듈(160)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130)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체유입부(215)는 손잡이케이스(2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기체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상기 기체유입부(215)로부터 상기 기체 토출부(120)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된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제2 유로(154, 155)와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며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유로(151, 152, 15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입부(215)는 손잡이부(200) 하부에 위치하고 기체 토출부(120)는 본체부(100)의 손잡이부(200)가 결합된 부분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제1 유로(151, 152, 153)와 제2 유로(154, 155)가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기체유로(150)가 꺾어지는 부분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보상유로(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보상유로(153, 154)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포함하거나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유로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로를 완만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본 실시예의 압력 보상유로(153, 154)는 넓은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팬유닛(250)은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기체 토출부(120)측으로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250)은 상기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상의 헤어드라이어(10)는 본체부(100)에 팬유닛(250)이 위치하여 팬유닛(250)의 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나, 본 실시예의 팬유닛(25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며 손잡이부(200)의 직경이 본체부(100)보다 작으므로 팬유닛(250)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다.
팬유닛(250)의 팬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모터의 RPM을 높여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기체유로(150)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예를들어 100,000rpm으로 구동하는 팬유닛(250)은 팬의 크기가 작아도 충분한 바람세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배터리모듈(240)을 이용하는 경우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보다 전압이 낮다.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약 10V의 전압의 직류전원을 이용하고,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215V의 교류전압을 이용한다. 배터리모듈(240)의 저전압 전원으로 팬유닛(250)을 구동 시 충분한 바람의 세기를 얻기 위해 전압을 높이는 승압모듈을 이용하여 전압을 높여 팬유닛(2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은 열이 발생하므로 유체가 통과하는 기체유로(150) 상에 배터리모듈(240)을 배치하여 열을 식힐 수 있다. 배터리모듈(24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하므로 손잡이에 위치하는 제1 유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유로(151, 152, 153)는 보다 세분화 하면 기체유입부(215)와 연결되며 배터리모듈(240)이 위치하는 하부유로(151), 팬유닛(250)이 위치하며 팬유닛(250)을 관통하는 상부유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체의 토출방향이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을 정의하며,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기체 토출부(120)가 마련되고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이 전후방향과 나란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의 본체부(1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 내부에 실장된 본체 어셈블리(105)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부(100)는 열을 인가하는 히터모듈(160), 헤어드라이어(1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사용자 입력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원통형의 본체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전면은 기체가 배출되는 메인 토출구(125)가 위치하고 배면은 사용자 입력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모듈(160), 제어부(130) 및 사용자 입력부(140)가 조립된 본체 어셈블리(105)를 구성할 수 있다. 본체 어셈블리(105)는 본체 하우징(110)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삽입하여 본체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본체 어셈블리(105)가 본체 하우징(110)의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본체 하우징(110) 전면의 지름은 배면의 지름과 같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크기가 배면보다 조금 작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원통형의 부재의 하부에 손잡이부(200)와 연결하기 위해 손잡이 케이스와 중첩되는 연결프레임(115)이 본체부(100)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부분은 개방되어 손잡이부(200)와 본체부(100)의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이 위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전면방향으로 히터모듈(160)이 위치하고 후면방향으로 제어부(130)와 사용자 입력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던 공기가 히터모듈(160)과 제어부(130)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이 바뀌어 전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히터모듈(160)은 원통형의 하우징에 감긴 열선(161)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열선(16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히터 케이스(165)와 열선(16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히터 케이스(16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히터 케이스(165)와 제2 히터 케이스(166)가 형성하는 도넛형의 공간이 히팅유로(155)를 구성하며 제1 히터 케이스(165)와 제2 히터 케이스(166) 사이의 공간에 열선(161)이 배치된다.
열선(161)은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둘레를 감아 원형으로 배치되며 열선(161)은 복수회 감겨 코일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에 감긴 열선(161)의 지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와 제2 히터 케이스(166)가 형성하는 히팅유로(155)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선(161)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에서 제2 히터 케이스(166)를 향해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열선(161)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선(161)판은 각 열선(16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홈의 위치는 히터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열선(161)은 저항이 클수록 고온을 낼 수 있으며 특히 고전압의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저항이 작으면 열선(161)이 타버릴 수 있어 열선(161)은 작은 원을 그리는 코일열선(161)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직경 2-5mm수준의 작은 원을 그리는 코일열선(161)을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둘레에 감싸는 형태로 열선(161)을 구현할 수 있다. 열선(161)에서 열이 발생하면서 히팅유로(155)를 지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고온의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열선(161)은 본체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열선(161)에서 발생한 열이 본체 하우징(110)으로 전달되어 본체 하우징(11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헤어드라이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 사용자가 직접 만질 수 있어, 고온으로 상승하면 화상의 위험이 있다.
열선(161)의 온도가 본체 하우징(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단열구조가 필요하다.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 단열성능을 얻기 위해 운모(Mica)등을 이용하여 단열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히터 케이스(166)의 소재를 단열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제2 히터 케이스(166)는 히팅유로(155)를 형성하므로 제2 히터 케이스(166)의 온도가 낮으면 히팅유로(155)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상승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히터에서 공기를 기체 토출부(120)로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112)를 연장하여 히터를 감싸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2)를 운모(Mica)와 같은 절연소재, 단열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 가이드(112)가 열선(161)에서 발생한 열이 본체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2)는 히터의 전면단부에서 기체 토출부(120)로 이어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열을 위해 히터둘레를 감싸도록 후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2)는 히터모듈(160)을 커버하도록 히터모듈(160)의 전후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히터모듈(160)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112)의 전면에 기체 토출부(120)가 배치되고 확장된 에어 가이드(112) 내측에 히터모듈(160)이 삽입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이 기체 토출부(120)를 향해 지름이 좁아지는 형태인 경우 에어 가이드(112)도 기체 토출부(120)에 인접한 전면방향의 지름이 더 작은 형태의 원통형을 이룰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인 메인기판이 실장되는 기판 프레임(114)과 체결될 수 있으며 기판 프레임(114)의 사용자 입력부(140)가 안착되며 본체 하우징(110)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커버(116)와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112), 기판 프레임(114) 및 후면커버(116)가 결합되어 본체 어셈블리(105)를 구성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2)에 실장되는 히터모듈(160), 기판 프레임(114)에 결합된 메인기판 및 후면커버(116)에 실장되는 사용자 입력부(140)도 본체 어셈블리(105)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의 에어 가이드(112)와 기판 프레임(114)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판 프레임(114)은 메인기판(130)이 실장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부재를 가질 수 있다. 기판 프레임(114)의 내측에 메인기판(130)이 안착되고 기판 프레임(114)은 에어 가이드(112)와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114h)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2)는 기판 프레임(114)의 제1 체결부(114h)와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부(1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1125)는 후크와 후크홈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모듈(160)과 메인기판(130) 사이에 연결프레임(115)이 위치하며 손잡이부(200)에서 유입된 공기가 히터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히터모듈(160)과 메인기판(130) 사이가 이격되어야 한다. 따라서, 에어 가이드(112)의 제2 체결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1125)는 제1 체결부(114h)와 결합하는 후크(1121)와 에어 가이드(112)에서 연장된 연장브릿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브릿지(1122)의 길이가 길면 제2 체결부(1125)의 강성이 문제가 될 수 있어, 후크(1121)가 제1 체결부(114h)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2 이상의 연결브릿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브릿지(1122)는 후크(1121)에서 소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제2 체결부(1125)가 삼각형형상을 이룰 수 있다.
후면커버(116)는 기판 체결부와 체결하기 위한 제3 체결부를 포함하며 후면커버(116)는 헤어드라이어(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후면커버(116)의 후면에 터치입력부가 배치되어 헤어드라이어(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도 포함하여 헤어드라이어(10) 제어를 가이드 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40)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기체 토출부(120)는 히팅유로(155)를 통과한 공기가 강한 바람을 일으키며 토출되도록 히팅유로(155)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메인 토출구(125)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유로(155)보다 작은 메인 토출구(125)를 형성하기 위해 토출커버(121, 122, 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토출커버(121, 122, 124)는 효과적으로 바람이 확산되도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히팅유로(155)와 연결되는 링 형상의 메인 토출구(125)는 히팅유로(155)보다는 작지만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토출구(125)의 안쪽은 콘 형상으로 형성하여 메인 토출구(125)에서 사출되는 바람이 확산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고 메인 토출구(125)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제1 링커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유로(155)에서 메인 토출구(125)까지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에어 가이드(1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모듈(160)에서 메인 토출구(125)까지 이어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커버(124)는 에어 가이드(112)의 전면을 커버하여 헤어드라이어(1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토출커버(121, 122, 124)는 에어 가이드(112)의 전면에 결합되어 본체 어셈블리(105)의 일 구성이 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에어 가이드(112), 기판프레임 및 후면커버(116)가 결합된 조립체를 본체 하우징(110)에 도 3과 같이 삽입하여 본체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의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히터 케이스(165)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열선(161)이 외주면에 위치하나 내부 공간에는 열선(161)이 배치되지 않아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에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부를 활용하기 위해 원기둥 형상의 제1 히터 케이스(165)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는 원통형의 측면부(1651), 측면부(1651)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1653) 및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부(1652)를 포함하며, 전면부(1653)와 후면부(1652)는 원통형의 측면부(1651)의 양측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면부(1653)가 분리되고 후면부(1652)와 측면부(1651)가 일체형으로 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전면부(1653)와 후면부(1652)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전면부(1653)와 후면부(1652)를 체결하기 위해 전면부(165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1652)를 향해 돌출된 체결부(1653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는 후면부(1652)의 배면의 스크류홀(1652a)에서 전면방향으로 삽입되고 전면부(1653)의 돌출체결부(1653a)에 체결될 수 있다. 측면부(16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체결부(1653a)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돌출체결부(1653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전면부(1653)가 측면부(1651)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전면기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기판(135)은 헤어드라이어(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품과 연결되고, 메인기판으로 연결할 수 있다. 메인기판과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후면부(1652)에 케이블홀(1652b)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653)는 전면기판(135)을 고정하는 후크(165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온도센서나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하는 액세서리 중에 전원이 필요한 경우 전원을 공급하고 메인기판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액세서리의 예로 회전브러쉬나 두피관리를 위한 LED모듈이 탑재된 LED디퓨저 등이 결합하여 머리를 말리면서 헤어관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다기능 헤어드라이어(10)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이때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 즉 기체 토출부(120)에 결합한 액세서리와 헤어드라이어(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헤어드라이어(10)의 기체 토출부(120)의 토출커버(121, 122, 124)를 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다. 토출커버(121, 122, 124)를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전면기판(135)과 연결하여 토출커버(121, 122, 124)의 콘커버(121)와 제1 링커버(124)를 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보조유로(156)를 형성하기 위해 콘커버(121)의 둘레에 인접한 제2 링커버(12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콘커버(121)와 제2 링커버(122)가 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다. 콘커버(121)와 제2 링커버(122)는 제1 히터 케이스(165)의 전면에 결합하므로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부에 실장된 전면기판(135)과 연결이 용이하다.
LED디퓨져 등의 액세서리가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시 토출커버(121, 122, 124)를 통해 제어부(130)와 접속하여 헤어드라이어(10)의 제어부(130)는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한 액세서리를 제어 및 구동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히터모듈(160)에서 사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체 토출부(12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면기판(135)에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는 상부 유로상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1 히터 케이스(165)의 외측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와 전면기판(135)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은 제1 히터 케이스(165)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전면기판(135)과 연결하는 신호선은 제1 히터 케이스(165)의 전면부(165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653)의 외측면에 신호선이 위치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에 이온발생기(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136)는 음이온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음이온은 살균효과, 세포 활성화 효과 및 냄새제거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으로 정전기를 막아주고 머리카락의 큐티클을 부드럽게 정리하여 머리결 개선효과가 있다.
이온발생기(136)에서 생성된 음이온은 음이온 브러쉬 또는 음이온 핀(1365)을 통해 공급될 수 있어 이온발생기(136)에서 생성된 음이온을 제1 히터 케이스(165) 외측면으로 연결하여 히팅유로(155)방향으로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둘레에 위치하는 열선(161)에 의해 제1 히터 케이스(165)도 온도가 상승하고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공간의 온도도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부공간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면기판(135) 및 이온발생기(136) 등의 전자부품이 고열로 인하여 고장 우려가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제1 히터 케이스(165) 내측을 통과하는 보조유로(1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0)의 히팅유로(155)와 보조유로(156)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토출되는 공기가 열선(161)을 충분히 통과해야 효과적으로 바람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제1 히터 케이스(165)와 제2 히터 케이스(166) 사이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제1 히터 케이스(165)의 후면부(1652)는 막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히터 케이스(165)를 관통하는 보조유로(156)를 구현하기 위해 후면부(16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홀(1655)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에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후면부(1652)에 형성된 통기홀(1655)을 통해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유로에서 공급된 공기의 온도는 높지 않아 제1 히터 케이스(165)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1 히터 케이스(165) 내측면을 따라 공기가 흐르도록 통기홀(1655)은 후면부(1652)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으며 통기홀(1655)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메인유로인 히팅유로(155)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므로 보조유로(156)의 크기는 히팅유로(15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통기홀(1655)을 통과한 공기는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며 전면부(1653)의 둘레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사출된다. 보조유로(156)와 연결된 보조 토출구(126)를 형성하기 위해 토출커버(121, 122, 124)는 콘커버(121) 둘레에 위치하는 제2 링커버(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토출구(126)는 제2 링커버(122)와 콘커버(121) 사이에 위치하며 보조유로(156)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보조유로(156)를 구비하는 경우 이온발생기(136)의 브러쉬 또는 핀(1365)은 제1 히터 케이스(165)의 바깥쪽으로 연장할 필요 없이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히터 케이스(166)의 외부에 절연부재로서 에어 가이드(112)를 배치한 것과 같이 제1 히터 케이스(165) 내측에도 절연소재를 포함하는 단열튜브(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여 히팅유로(155)를 통과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량을 더 높이면서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의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다.
보조유로(156)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1 히터 케이스(165) 내부의 부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토출커버(121, 122, 124)를 통과하므로 토출커버(121, 122, 124)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다. 토출커버(121, 122, 124)도 외부로 노출되는 부재이므로 화상의 위험이 있는 바, 보조유로(156)의 낮은 온도의 공기를 이용하여 토출커버(121, 122, 124)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의 열이 본체 하우징(110)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 화상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모듈(160)이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인 토출구(125)의 금속부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모듈(160)의 열이 내측의 제1 히터 케이스(165)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아 히터모듈(16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전면에 기체 토출부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열을 제공하는 히터모듈;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원기둥 형상의 제1 히터 케이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열선; 및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면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 케이스는
    원통형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기 기체 토출부를 향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면부와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 결합하여 기체 토출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토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커버는 상기 전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체 토출부에 결합하는 액세서리의 전극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커버는
    가운데 위치하며 전면방향으로 돌출된 콘커버; 및
    상기 콘 커버의 둘레에 위치하는 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콘커버와 상기 링커버는 이격되며 각각 다른 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측 둘레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히터 케이스;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와 상기 제2 히터 케이스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메인 토출구;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홀; 및
    상기 콘커버와 상기 링커버 사이에 형성된 보조 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어부;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형성된 케이블홀; 및
    상기 케이블홀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면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체결된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에서 생성된 이온을 방출하는 디퓨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기체 토출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측 둘레에 위치하며 열전도율이 상기 측면부보다 낮은 단열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히터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기체 토출부로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히터모듈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는 절연소재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제1 히터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링을 형성하며 감긴 코일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열선의 링의 지름은 이웃하는 열선의 링의 지름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모듈은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연결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기체 유입구; 및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실장되고 상기 기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히터모듈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PCT/KR2021/018847 2021-12-10 2021-12-13 헤어드라이어 WO202310648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694 2021-12-10
KR1020210176694A KR102585496B1 (ko) 2021-12-10 2021-12-10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482A1 true WO2023106482A1 (ko) 2023-06-15

Family

ID=8673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847 WO2023106482A1 (ko) 2021-12-10 2021-12-13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5496B1 (ko)
WO (1) WO202310648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9532A1 (en) * 2016-08-19 2018-02-22 Shih-Ling Hsu Hair dryer
KR20200033085A (ko) * 2018-09-19 2020-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라이어
JP2021019743A (ja) * 2019-07-26 2021-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KR20210041793A (ko) *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JP2021531150A (ja) * 2018-07-18 2021-11-18 ガンマ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Gamma S.P.A. ヘアドライヤ用の空気加熱装置、ヘアドライヤ用のブロー装置、および前記装置を含むヘアドライ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9532A1 (en) * 2016-08-19 2018-02-22 Shih-Ling Hsu Hair dryer
JP2021531150A (ja) * 2018-07-18 2021-11-18 ガンマ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Gamma S.P.A. ヘアドライヤ用の空気加熱装置、ヘアドライヤ用のブロー装置、および前記装置を含むヘアドライヤ
KR20200033085A (ko) * 2018-09-19 2020-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라이어
JP2021019743A (ja) * 2019-07-26 2021-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KR20210041793A (ko) *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496B1 (ko) 2023-10-06
KR20230087969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57694A1 (ko) 히터
WO2011002121A1 (ko) 사이클론 송풍관 헤어드라이어의 구조
WO2020218855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18124628A1 (ko) 헤어 드라이어 및 상기 헤어 드라이어에 적용되는 전자파가 차단된 가열 부재
WO2017023004A1 (ko) 오븐
WO2023106482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3106481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3106483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1230442A1 (ko) 헤어드라이어
WO2013172557A1 (ko) 헤어 아이론
WO2012141438A2 (ko)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CN210901818U (zh) 手持吹风机
WO2022004930A1 (ko)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WO2021112330A1 (ko) 고효율 무선 헤어드라이어
WO2022146118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17078298A1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WO2023027223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3027222A1 (ko) 헤어드라이어
WO2017164427A1 (ko) 생활밀착형 다목적 공기 제어장치
EP3341657A1 (en) Combination type cooker
WO2022186583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2014825A1 (ko) 다방향 배출이 가능한 날개없는 선풍기
WO2024075952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11126338A2 (ko) 헤어 드라이기
WO2024075951A1 (ko) 헤어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73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