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6439A1 -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6439A1
WO2023106439A1 PCT/KR2021/018439 KR2021018439W WO2023106439A1 WO 2023106439 A1 WO2023106439 A1 WO 2023106439A1 KR 2021018439 W KR2021018439 W KR 2021018439W WO 2023106439 A1 WO2023106439 A1 WO 20231064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und
control
anc
wireless
internal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4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진동철
이상원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84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06439A1/ko
Publication of WO20231064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64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oun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sound to a user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when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sound device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speaker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sound signal from a user terminal and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ambient sound (eg, user voice) to the terminal are combined.
  • a speaker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sound signal from a user terminal
  •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ambient sound (eg, user voice) to the terminal are combined.
  • ambient sound eg, user voice
  • An earbud-shaped wireless acoustic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user's ear is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battery therein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 the user's hearing may be damaged.
  •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noise canceling operatio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 the user has to manually select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noise canceling operation after determining the user's current situation, this is inevitably inconvenient for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acoustic device capable of providing sound to a user by reducing noise caused by external ambient sound by appropriately selecting at least one of sound volume control and noise canceling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and/or situation, and control thereof.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device,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device, an external microphone for picking up ambient sound, and An internal microphone for picking up the sound source sound in the ear and internal noise,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sound volume control and ANC control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ound volume and the AN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acous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performing one of the controls first, if the reduction of the internal noise is insufficient,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other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is further performed. there is.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ound volume control to be performed first, and the ANC control to be performed when the reduction of the internal noise i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 sound level of the picked-up sound source reaches a safety threshold level during the sound volume control. .
  •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ANC control first, and controls the sound volume control to be performed when the reduction of the internal noise i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 level of the anti-phase sound wave for the ANC control reaches the maximum allowable level during the ANC control. can do.
  • the control unit may preferentially perform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based on a preset user preference method when the internal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 the control unit may preferentially perform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based on the pattern of the internal noise.
  • control unit may preferentiall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without considering the user preference method.
  • the control unit may preferentially perform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preference method.
  • the control unit may preferentially perform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based on the pattern of the internal noise.
  • the control unit may preferentially perform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method.
  • the user preference method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user motion information,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ound control history information.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ound source device outputting a sound source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device through a speaker, and picking up ambient sound through an external microphone
  •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wireless acous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controls is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other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is further performed when the reduction of the internal noise is insufficient. there is.
  • At least one of sound volume control and noise canceling control is prefer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 or noise pattern to reduce the influence of nois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clear sound.
  • 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the appearance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a passive blocking effect according to an ear tip for external noise within an audible frequency range.
  • FIG. 5 shows a user wear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sound device of FIG. 2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an operation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FIG. 8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7 .
  • FIG. 9 is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9 .
  • 11 is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1 .
  • FIG. 1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2 .
  • FIG. 1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2 .
  • FIG. 15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4 .
  • FIG. 1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4 .
  • 17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6 .
  • FIG. 18 is a graph for explaining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 volume control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flowchart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user preference method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 Each component of FIG. 1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other user terminals 100, or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user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111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etc.) (112),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short-range communication (eg,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for wireless-fidelity, etc.),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e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do.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video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push key (mechanical key, etc.).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user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user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d an illuminance sensor 142 .
  • 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unit 152, a haptic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 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1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and commands.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general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to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control unit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combine and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operation, control, or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so,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user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 the user terminal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operate as a sound source device. 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reproduces a multimedia file such as audio or video stored in the memory 170 or receives a multimedia content streaming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generate a sound source signal, The generated sound sourc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sound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wireless sound device may receive the sound source signal, convert it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 it. The wireless sound device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user input unit 220, a sound output unit 250, a microphone 260, and a control unit 270. , and a battery 280 .
  • Each component of FIG. 2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a module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and may us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rget, distance, data amount and / and speed, etc. there is.
  • a communication method mainly used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s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 Bluetooth Bluetooth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Wi-Fi Wireless-Fidelity
  •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a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be detected (or recognized) around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 Furthermore, if the detected terminal is a terminal authoriz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at least a part of data processed by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21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 the user of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use data processed by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
  •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 the user makes a phone call through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or when a messag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received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check
  • the user input unit 220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touch sensor 230 and a force sensor 240 .
  • the touch sensor 230 detect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ensor 230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ensor 230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ensor 230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ensor 230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a touch (or touch input
  • the capacitive touch sensor 230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touch sensor 230 or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ar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23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location, are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at which the touch target subject to touch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 the touch object is a conductive object that applies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270.
  • the controller 170 can know which area of the touch sensor has been touched.
  •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component separate from the controller 270 or may be the controller 270 itself.
  • the force sensor 240 may detect pressure or force applied by a user's touch. For example, the force sensor 240 may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force or pressure applied by an external object, and calculate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s touch based on the change in capacitance. . The intensity, speed, location, and/or direction of the pressure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270 .
  • the force sensor 24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eg, one-chip)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omponents.
  • the audio output unit 250 receive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memory a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 multimedia playback mode, and the like. Sound can be converted and output. The sound output unit 250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nd multimedia playback sound.
  • the sound output unit 250 is a converter that converts electrical signals into sound, and has a diaphragm, a voice coil, and a magnet as main components.
  • the diaphragm is a thin vinyl film, and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changes the flow of air to create sound.
  • a special material can be overlaid on the diaphragm by a method such as steam compression.
  • Magnets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ferrite (ferrite), alico (an alloy of iron, nickel, aluminum, and cobalt), samanium-cobalt, and neodymium, and are generally toroidal in shape.
  • the magnet creates a magnetic field, and the voice coil is located in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 the voice coil is a coil attached to the diaphragm, and current flows according to a sound signal.
  •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changes in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force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the diaphragm moves. That i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and the diaphragm is moved accordingly to realize the sound signal as sound and provide it to the user.
  • the microphone 260 processes external sound signals into electrical audio data.
  •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 being performed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or the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Meanwhile, various noise cancellation (noise canceling)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260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 two or more microphones 260 may be provided, and based on the sound acqui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26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user's voice or ambient noise.
  • external sound recognized by the microphone 260 may be amplified and provid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50 to serve as an auxiliary device for supplementing the hearing of a user having poor hearing.
  •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sound output unit 250 based on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60 and the user input unit 220 .
  •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60 is amplified an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250, or the sound output unit 25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ound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o provide music or call sound to the user. can do.
  • the battery 280 may supply power to each electronic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and charge external power through a charging terminal.
  • the charging terminal may simultaneously function a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 the battery 280 may use a secondary battery that is mounted in a small space and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 a typical example is a lithium ion battery.
  • a lithium ion battery includes a pair of electrodes composed of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s. As a redox reaction occurs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electrons move to supply power.
  • 3 shows the appearance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llustrates an earbud-typ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n which a part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hereto is shown transparent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internal parts or components.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ncludes an external microphone 260-1 (ie, an external microphone) for picking up external sound such as ambient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audio data, and picking up internal sound in the user's ear, An internal microphone 260-2 (ie, an internal microphone) may be provided to convert this into electrical audio data.
  • an external microphone 260-1 ie, an external microphone
  • An internal microphone 260-2 ie, an internal microphone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also include a separate voice microphone to pick up the user's voice.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250, that is, a speaker, for converting the sound sourc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audio signal.
  • an audio output unit 250 that is, a speaker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has an eartip 290 for passively blocking external noise from entering the user's ear whe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s worn in the user's ear may be provided.
  • FIG. 3 shows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n the form of an earbud as an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wireless acoustic device other than the earbud type.
  • FIG. 4 is a graph showing a passive blocking effect according to an ear tip for external noise within an audible frequency range.
  • External noise which is often encountered in daily life, is caused by subways, automobiles, home appliances, and the like, and is mostly distributed within 1 kHz.
  • the passive blocking effect according to the ear tip may not be large for external noise within 1 kHz.
  • FIG. 4 illustrates a daily exposure sound level recommen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o prevent hearing damage.
  •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s listening to 85dB sounds within 8 hours per day, 95dB sounds within 47 minutes per day, and 100dB sounds within 15 minutes per day.
  • FIG. 5 shows a user wear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When the user is wearing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the user can hear speaker sound (SS) output from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that is, the speaker 250.
  • SS speaker sound
  • AS ambient sound
  • LAS Leaked Ambient Sound
  • SS speaker sound
  • the speaker sound SS may include not only the multimedia content sound, that is, the sound source sound, but also a noise canceling sound for attenuating the external noise.
  •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sound device of FIG. 2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an operation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 the pattern and level of the ambient sound (or external noise) picked up by the external microphone 260-1 is measured, the pattern of the ambien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CPU 270-1, and the level of the ambient sound is measured by a comparator. It can be passed to (270-2).
  • the CPU 270-1 and the comparator 270-2 may constitute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ler 270.
  • the pattern may mean a waveform and/or frequency of a sound wave.
  • the level may mean the size of a sound wave or the volume of a sound.
  • the CPU 270 may receive a sound source signal from the sound source device 100 and send the received sound source signal to the echo canceller 270-3.
  • the echo canceller 270 - 3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the control unit 270 o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entity from the control unit 270 .
  • the echo canceller 270-2 may separate the internal sound in the user's ear picked up by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into a sound source sound and noise using the sound source signal.
  • the separated noise may be due to the ambient sound introduced into the user's ear or the external noise.
  • the level of the sound source and the level of the noise may be measured and provided to the comparator 270-2.
  • the comparator 270 may compare the level of the ambient sound, the level of the sound source sound, and the noise level and provide a comparison value to the CPU 270-1.
  • the CPU 270-1 determines the speaker (250-1) based on the comparison value.
  • the size of the sound volume of the 250-3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amplifier 250-2. Hereinafter,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djusting the sound volume”.
  • an anti-phase sound wave signal for ANC is generated based on the ambient sound picked up by the external microphone 260-1 and the internal sound in the user's ear picked up by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and the DAC 250-2 It can be mixed with the sound source signal transmitted to 1).
  • the CPU 270-1 may control the amplitude of the opposite phas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pattern of the ambient sound and the comparison value. Hereinafter,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NC control".
  • FIG. 7 is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e,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level of external noise and the user due to the inflow of the external noise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260-1 and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 the level of internal noise in the ear can be detected [S7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ct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in the user's ear through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S72].
  • the steps S71 and S72 may be operated in reverse order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73]. There may be several ways to perform the determination, but one example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SNR value between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and the internal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
  •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7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S74].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increas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mak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ufficiently large to overwhelm the internal noise level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negligible.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is saf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of the user.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lev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fety level” or “safety threshold level”) or higher may be monitored [S75].
  • the safety level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4 .
  • the safety level may be set as a default whe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s shipped from the factory, or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be set as a default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may be a level that can be set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menu for .
  • the sound volume control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in step S7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is monitor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afe level,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performs the ANC control while performing the sound volume control at a level wher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or volume is not increased any more to detect the detection.
  •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S76].
  • FIG. 8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7 .
  • FIG. 8 shows the internal noise level (L1) detected by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ssuming tha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orn by the user is located in a relatively quiet space. -1) and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Since the ambient sound is relatively quie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not need to perform any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internal noise level increases (from L1-1 to L1-2) as the ambient sound increases,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 the sound volume control may be performed first.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increase the volume of the sound source sound so as to overwhelm the internal noise level within the line wher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does not exceed the safety level LS (L2-1 to L2-2). as).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ANC control while maintaining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not to exceed the safety level LS. there is. As the ANC control is performed,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be reduced (from L1-3 to L1-4).
  • the ANC control is performed as necessary after performing the sound volume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ound volume control may be performed as needed after the ANC control is performed.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 9 is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ct the level of external noise and the level of internal noise in the user's ear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260-1 and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S9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ct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in the user's ear through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S92].
  • the steps S91 and S92 may be operated in reverse order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93]. There may be several ways to perform the determination, but one example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SNR value between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and the internal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
  •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9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ANC control [S94].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output sound waves of opposite phase for the ANC control through the speaker 250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That is,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an lower the internal noise level with the anti-phase sound wave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negligible.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sets the level of the anti-phase sound wave to the maximum allowable value or It can be monitored whether or not an acceptable level is reached [S95].
  • the maximum allowable value may be set as a default whe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s shipped from the factory, or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be set as a default value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may be set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menu.
  • the ANC control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in step S9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it is monitored that the anti-phase sound wave level is the maximum allowable value,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performs the sound volume control while performing the ANC control within a line where the anti-phase sound wave level is not increased any more to detect the detection
  •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S96].
  • FIG. 10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9 .
  • (10-1) of FIG. 10 shows the internal noise level (L1) detected by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orn by the user is located in a relatively quiet space. -1) and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Since the ambient sound is relatively quie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not need to perform any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internal noise level increases (from L1-1 to L1-2) as the ambient sound increases,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first controls the ANC. can be performed. As the ANC control is performed,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be reduced (from L1-2 to L1-3).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raises the anti-phase sound wave level for the ANC control up to the maximum allowable value. Even if it does, it may not be able to suppress the internal noise level.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performs the sound volume control while maintaining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not to exceed the safety level LS.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increase the volume of the sound source sound so as to overwhelm the internal noise level within a line wher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does not exceed the safety level LS (L2-1 to L2-2). as).
  • 11 is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detect the level of external noise and the level of internal noise in the user's ear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260-1 and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S11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ct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in the user's ear through the internal microphone 260-2 [S112].
  • Steps S111 and S112 may be operated in reverse order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 the user can set a user preference method for which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should be performed with priority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S113].
  • Setting of the user preference method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tting menu for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user may directly select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as a preferred method desired by the user.
  •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 sound mode. It may be selected indirectly in a user-preferred manner.
  • the sound volume control may be selected when the music listening mode is set, and the ANC control may be selected when the background music mode or Internet lecture viewing mode is set.
  •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may be determined as a user preference method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eg, music or Internet lecture streaming).
  •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may be determined as a user preference method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s sound adjustment history.
  • step S113 is performed after steps S111 and S112, but step S113 may be independent from steps S111 and S112 in relation to each other.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114]. There may be several ways to perform the determination, but one example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SNR value between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and the internal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
  •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11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user preference method [S11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ANC control [S116].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output sound waves of opposite phase for the ANC control through the speaker 250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That is,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an lower the internal noise level with the anti-phase sound wave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negligible.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sets the level of the anti-phase sound wave to the maximum allowable value. It can be monitored whether it reaches [S117].
  • the maximum allowable value may be set as a default whe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s shipped from the factory, or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be set as a default value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may be set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menu.
  •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111, and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 the ANC control may be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ound source sound level is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 safety level is exceeded [S118].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S119].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monitor whether the usage time at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limit [S120].
  •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bove.
  •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may be set as a default whe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s shipped from the factory, or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and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n the user terminal 100 wirelessly connected ( 200) may be set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menu.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S119]. In the sound volume control, if the steps S116 and 117 have been performed before tha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performs the ANC control on the line where the anti-phase sound wave level is no longer increased, and the sound Volume control can be performed.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usage time at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is monitor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notifies that hearing damage may occur and/or alerts to move to a place where ambient sounds are quiet. (alert) can be output [S121]. Also, the alert may suggest using the ANC control if the ANC control has been used. The alert may be output as a warning sound from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alert is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0 .
  • FIG. 11 when the usage time at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is monitor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in step S120, a description is given of proposing to the user through the alert to use the ANC control if it has been before using the ANC control. di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usage time at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is monitored as being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and the ANC control is used before, the ANC control is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suggesting the use of the ANC control to the user. may make it so.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 FIG. 12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1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ep S116 has been performed before that [S122].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roceed to step S116.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ould notify that hearing loss may occur and/or move to a place where ambient sounds are quiet. It is possible to output an alert for guiding things [S123].
  • 1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2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operates to detect the internal noise level L1-1 and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the ambient sound As the noise level increases,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increase (from L1-1 to L1-2).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user preference method [S11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increas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from L2-1 to L2-2).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mak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ufficiently large to overwhelm the internal noise level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negligible.
  •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increase (from L1-2 to L1-3). Then, since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has to maintain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below the safe level despite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noise level, it may be difficult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only by controlling the sound volume.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performs the ANC control while performing the sound volume control within a line wher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or volume is not increased any more. is performed to lower the internal noise (from L1-3 to L1-4)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reduced.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ANC control.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output sound waves of opposite phase for the ANC control through the speaker 250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That is,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an reduce the internal noise level (from L1-2 to L1-5) with the anti-phase sound wave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insignificant.
  •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increase (from L1-5 to L1-6). Then, since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ust maintain the level of the anti-phase sound wave below the maximum allowable value despite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noise level, it may be difficult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only by the ANC control. there is.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ontrols the ANC within the line where the level of the opposite phase sound wave is no longer increased. While performing, the sound volume control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from L2-1 to L2-3)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can be reduced.
  • FIG. 1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2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114].
  •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11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measure the pattern of the internal noise [S124].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determine what the user preference method is [ S11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step S116.
  • the step S118 may be performed.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directly performs step S118 without going through step S115. can do.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preferentiall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without considering the user preference method.
  • 15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4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s operating to detect the internal noise level L1-1 and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the ambient sound As the internal noise level increases,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increase (from L1-1 to L1-2).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measure the pattern of the internal noise [S124].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user preference method [S11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does not go through the step S115 and proceeds to (15-2) to (15-4) of FIG.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does not go through the step S115 and proceeds to (15-2) to (15-4) of FIG.
  • Step S115 proceeds to (15-2) to (15-4) of FIG.
  • Step S115 proceeds to (15-2) to (15-4) of FIG.
  • Operations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15-2) to (15-4) of FIG. 15 ar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escribed in relation to (13-2) to (13-4) of FIG.
  • FIG. 1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4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114]. That is, the step S113 may be omitted.
  •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11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measure the pattern of the internal noise [S124].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perform step S116.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step S118.
  • 17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of FIG. 16 .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s operating to detect the internal noise level L1-1 and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the surroundings As the sound increases,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increase (from L1-1 to L1-2).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measure the pattern of the internal noise [S124].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17-2) to (17-4) of FIG. 17 .
  • Operations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17-2) to (17-4) of FIG. 17 ar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escribed in relation to (13-2) to (13-4) of FIG.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17-5) to (17-7) of FIG. 17 there is. Operations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17-5) to (17-7) of FIG. 17 ar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escribed in relation to (13-5) to (13-7) of FIG.
  •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internal noise level increases as the ambient sound increases has been described.
  • the external noise may change according to switching between sound-related modes (ANC on mode / ANC off mode / ambient sound acceptance mode)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
  •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 18 is a graph for explaining an external noise reduction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operate in one of the ANC on mode, the ANC off mode, and the ambient sound permissive mode while being switched between them.
  • the ANC 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ANC control operates i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 the ANC off mode is a mode in which the ANC control does not operate i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 the ambient sound acceptance mode allows the external microphone 260-1 of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o pick up the ambient sound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250-3,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wireless sound device ( 200) is a mode in which the ambient sound can be heard well despite wearing.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an operate to detect an internal noise level L1-1 and a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in the ANC on mode. there is.
  • the ANC on mode may be switched to the ANC off mode i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
  •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n event (eg, noise pattern change) generated or sensed regardless of a user operation i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
  •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further increase (from L1-1 to L1-2).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ncreases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from L2-1 to L2-2).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mak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ufficiently large to overwhelm the internal noise level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negligible.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an operate to detect an internal noise level L1-1 and a sound source sound level L2-1 in the ANC off mode. there is.
  • the ANC off mode may be switched to the ambient sound permission mode.
  •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n event (eg, noise pattern change) generated or sensed regardless of a user operation i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
  •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increase further (from L1-1 to L1-2) as the ambient sound is allowed.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increases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from L2-1 to L2-2).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make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ufficiently large to overwhelm the internal noise level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negligible.
  • the wireless receiver may lower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so that the ambient sound can be heard better according to the ambient sound acceptance mode.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operates to detect the internal noise level L1-2 and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L2-2 in the ambient sound acceptance mode.
  • the ambient sound permission mode may be switched to the ANC on mode.
  •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in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n event (eg, noise pattern change) generated or sensed regardless of a user operation i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
  • the internal noise level may decrease (from L2-1 to L1-1) as the ANC is turned on.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lower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so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becomes a predetermined SNR level. (L2-2 to L2-1).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100 prioritizes on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and the ANC control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method in response to the fact that the internal noise level compared to the detected sound source sound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 the process to be performed has been described. The process is not only used for the external noise reduction. For example, the above process may be utilized even when a volume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That is, when a volume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100 may preferentially perform either the sound volume control or the ANC control.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
  • 19 is a volume control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olume control command for increasing the sound volume may be input from the user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or the user terminal 100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S12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user's preferred method [S11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ANC control [S116].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ransmits opposite-phase sound waves for the ANC control to the speaker 250 so as to feel as if the sound volume increases according to the volume control command, that is, to make the sound source sound more audible. can be output via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lower the internal noise level with the anti-phase sound wave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noise is insignificant, so that the sound source sound can be heard more clearly.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monitor whether the level of the anti-phase sound wave reaches a maximum allowable value [S117].
  • step S125 If the anti-phase sound wave level is monitored as not being the maximum allowable value,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125.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ound source sound level is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 safety level is exceeded [S118].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S119]. That i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can increase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source.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monitor whether the usage time at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limit [S120].
  •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bove.
  •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may be set as a default whe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s shipped from the factory, or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and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in the user terminal 100 wirelessly connected ( 200) may be set by the user through a setting menu.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perform the sound volume control [S119]. In the sound volume control, if the steps S116 and 117 have been performed before tha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performs the ANC control on the line where the anti-phase sound wave level is no longer increased, and the sound Volume control can be performed.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hen the usage time at the sound source sound level is monitor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notifies that hearing damage may occur and/or alerts to move to a place where ambient sounds are quiet. (alert) can be output [S121]. Also, the alert may suggest using the ANC control if the ANC control has been used. The alert may be output as a warning sound from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alert is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0 .
  • the user preference method may be determined based on various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 20 is a flowchart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user preference method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ie, the sound sourc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sound source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and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transmits the sound source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50.
  •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the user's location and/or movement based on the location and/or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0 collect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Data on movement (eg, walking, running, riding a vehicle, staying in a specific place, etc.) may be collected [S201].
  • the user terminal 100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sound source (eg, genre of the sound source, etc.), data related to an app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and/or data related to the user's sound adjustment history. It can be done [S201]. In this way, the data col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will be referred to as user terminal data.
  •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us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sensor. 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ing. Therefore,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orn on the user's ear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coll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user's specific movement (eg, sitting posture, lying posture, standing posture, etc.) may be collected [S202]. In this way, the data collected by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will be referred to as wireless acoustic device data.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transmit the wireless sound device data to the user terminal 100 [S203].
  • the user terminal 100 may analyze the user's situa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data and the wireless sound device data [S204].
  • the user terminal data i) listening to 'pop music' while 'walking' in 'out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example), ii) listening to 'quiet music' in a 'sitting position' in the 'library'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example), iii) Listening to the 'learning course' of the 'learning app' on the 'b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example).
  • the user terminal 100 may determine (or estimate) the user preference method based on the analyzed situation [S205].
  • the user preference method is the user volume control method.
  • the user preference method is the ANC control method.
  •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determined user preference method to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206].
  •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may apply the received user preference method to the external noise process [S207].
  •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 및/또는 상황에 따라 사운드 볼륨 조절 및 노이즈 캔슬링 작동 중 적어도 하나가 적절히 선택되어 외부 주변음에 따른 노이즈가 저감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원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음원 소스 다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음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주변음을 픽업하기 위한 외부 마이크, 및 귓속의 음원 사운드 및 내부 노이즈를 픽업하기 위한 내부 마이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사운드 볼륨 제어 및 ANC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다른 하나를 더욱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시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줄여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주위 음향(예를 들면,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여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가 결합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헤드폰, 이어폰, 헤드셋, 이어셋, 이어버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단자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의 음향기기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무선 방식의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크기는 더 작아져서 귀에 삽입하는 이어버드 형태의 무선음향기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버드 형태의 무선음향기기는 그 안에 무선통신부와 배터리가 구비되어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어버드와 같은 무선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주변음 또는 외부 노이즈가 큰 경우 음악이나 방송 등의 컨텐츠의 사운드가 노이즈에 묻혀 음질이 저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컨텐츠 청취를 놓쳐서 다시 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운드를 명료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외부 노이즈를 압도할만큼 사운드 볼륨을 높이거나, 예컨대 ANC (Active Noise Cancellation)와 같은 노이즈 캔슬링을 작동하여 노이즈 레벨을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운드 볼륨을 너무 높이거나 높은 사운드 볼륨으로 오디오를 오랫동안 듣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ANC의 경우에는 노이즈를 상쇄시키기 위해 생성되는 노이즈의 반대 위상의 음파로 인해 사용자가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운드 볼륨 조절 및 노이즈 캔슬링 작동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상황을 판단하여 일일이 수동으로 사운드 볼륨 조절 및 노이즈 캔슬링 작동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상당히 불편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 및/또는 상황에 따라 사운드 볼륨 조절 및 노이즈 캔슬링 작동 중 적어도 하나가 적절히 선택되어 외부 주변음에 따른 노이즈가 저감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원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음원 소스 다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음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주변음을 픽업하기 위한 외부 마이크, 및 귓속의 음원 사운드 및 내부 노이즈를 픽업하기 위한 내부 마이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사운드 볼륨 제어 및 ANC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다른 하나를 더욱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중에 상기 픽업된 음원 사운드 레벨이 안전 임계 레벨에 도달함에도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NC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ANC 제어 중에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이 최대 허용 레벨에 도달함에도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전 설정된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에 더욱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운드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음원 정보, 및 사운드 조절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원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소스 다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음원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외부 마이크를 통해 주변음을 픽업하는 단계, 내부 마이크를 통해 귓속의 음원 사운드 및 내부 노이즈를 픽업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사운드 볼륨 제어 및 ANC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된 다음에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다른 하나가 더욱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노이즈 영향의 저감을 위해 사용자의 선호 및/또는 노이즈의 패턴에 따라 사운드 볼륨 제어 및 노이즈 캔슬링 제어 중 적어도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깨끗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3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4은 가청 주파수 내의 외부 노이즈에 대한 이어팁에 따른 패시브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무선음향기기를 외부 노이즈 영향을 줄이기 위한 동작 관점에서 본 세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이다.
도 8은 도 7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이다.
도 10은 도 9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이다.
도 12는 도 11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의 변형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2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의 변형예이다.
도 15은 도 14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는 도 14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의 변형예이다.
도 17은 도 16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볼륨 제어 프로세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무선음향기기의 사용자 선호 방식이 자동으로 선정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다른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손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쪠),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등)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115)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단말기 내 정보, 사용자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및 조도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음원 소스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거나 상기 무선통신부(11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음원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연결된 무선음향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음향기기는 상기 음원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음향기기에 대해 도 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는, 무선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음향출력부(250), 마이크로폰(260), 제어부(270), 및 배터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무선음향기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무선통신부(2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거나,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통신 대상, 거리, 데이터 양 및/및 속도 등에 따라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음향기기(200)에 주로 이용되는 통신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이다.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이 있다.
무선음향기기(200) 주변에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7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단말기인 경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음향기기(20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와 같은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무선음향기기(200)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무선음향기기(20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무선음향기기(200)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무선음향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230) 및 포스(force) 센서(24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30)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230) 상에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230)는, 터치 센서(23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230)는,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전도성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23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터치 센서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27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270) 자체일 수 있다.
포스 센서(240)는, 사용자 터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또는 포스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 센서(240)는 외부 물체에 의해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가해진 압력를 산출할 수 있다. 압력의 강도, 속도, 위치, 및/또는 방향 등은 제어부(270)에 제공될 수 있다.
포스 센서(240)는 터치 센서와 단일의 구성(예를 들면, one-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들은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25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등에서 무선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및 마이크(260)에서 수신한 음향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250)는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멀티미디어 재생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음향출력부(250)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만드는 변환기로서, 진동판(diaphragm), 보이스 코일 및 마그넷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진동판은 얇은 비닐막으로 진동판의 진동이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켜 소리를 생성한다. 저역에서 고역까지 모든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진동판으로 처리하기 위해 진동판에 특수재료를 증기압착과 같은 방법으로 덧씌울 수 있다.
마그넷은 페라이트(아철산염), 알리코(철, 니켈, 알루미늄, 코발트의 합금), 사마늄-코발트, 그리고 네오디뮴 등의 물질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마그넷은 자기장을 형성하며, 보이스 코일은 상기 마그넷이 형성한 자기장 내에 위치한다.
보이스 코일은 진동판에 부착된 코일로서,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흐른다. 마그넷이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서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보이스 코일에 힘이 가해져 진동판이 움직인다. 즉, 음향신호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진동판의 움직여 음향신호를 소리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마이크로폰(260)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수행중인 기능 또는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2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ing))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노이즈 캔슬링을 구현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마이크(2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마이크(260)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취득되는 소리를 기초로, 사용자의 음성인지 주변의 잡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60)에서 인식한 외부 소리를 증폭하여 음향출력부(250)를 통해 제공하여 청력이 나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보조기구로서 역할도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마이크(260) 및 사용자 입력부(2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무선통신부(210), 음향출력부(250)를 제어한다. 마이크(260)에서 수신한 소리를 증폭하여 음향출력부(250)로 출력하거나,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음향데이터에 따라 음향출력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음악이나 통화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20)에서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음향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220)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28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각 전자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배터리(280)는 작은 공간에 실장하고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들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 그리고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전해질과 전극 사이에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자가 이동하며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외관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3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3에서는 내장 부품 또는 구성요소의 설명 목적으로 이에 해당되는 일부 하우징 부분이 투명하게 보이도록 도시된 이어버드 형태의 무선음향기기(20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는, 주변음과 같은 외부 음향을 픽업하여 이를 전기적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외부 마이크로폰(260-1) (즉, 외부 마이크)과, 사용자의 귓속 내부 음향을 픽업하여 이를 전기적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내부 마이크로폰(260-2) (즉, 내부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픽업하기 위해 별도의 음성 마이크로폰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원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250), 즉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었을 때 외부 노이즈가 귓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패시브(passive)하게 차단하기 위한 이어팁(eartip)(29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어버드 형태의 무선음향기기(2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어버드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무선음향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기 이어팁(290)을 이용한 패시브 차단의 경우에는 일상 생활 상에서 주로 겪게 되는 외부 노이즈에 대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은 가청 주파수 내의 외부 노이즈에 대한 이어팁에 따른 패시브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상 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외부 노이즈는 지하철, 자동차, 가전기기 등에서 유발되는 것으로서, 대부분 1kHz 이내의 많이 분포되고 있다. 그런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팁에 따른 패시브 차단 효과는 1kHz 이내의 외부 노이즈에 대해서는 패시브 차단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음향기기의 사운드 볼륨을 높이거나 상기 ANC를 동작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4에는 청력 손상 방지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고하는 일일 노출 사운드 레벨이 예시되어 있다. 예컨대, 세계보건기구는 85dB 사운드는 일일 8시간 이내로, 95dB 사운드는 일일 47분 이내로, 100dB 사운드는 일일 15분 이내로 듣기를 권고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상기 ANC를 작동하고 있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를 귓속에 착용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사운드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를 착용하고 있을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즉 상기 스피커(250)에서 출력되는 스피커 사운드(SS; Speaker Sound)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주위에 주변음(AS; Ambient Sound)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주변음(AS)의 일부가 사용자의 귓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입되는 주변음(LAS; Leaked Ambient Sound)가 외부 노이즈로서 상기 스피커 사운드(SS)와 함께 사용자에게 들릴 수 있다.
상기 ANC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 사운드(SS)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운드 즉, 음원 사운드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노이즈를 감쇄하기 위한 노이즈 캔슬링 사운드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사운드 볼륨을 높이거나 상기 ANC를 동작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를 상기 외부 노이즈 영향을 줄이기 위한 동작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6은 도 2의 무선음향기기를 외부 노이즈 영향을 줄이기 위한 동작 관점에서 본 세부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외부 마이크(260-1)에서 픽업된 주변음 (또는 외부 노이즈)의 패턴과 레벨이 측정되어 상기 주변음의 패턴은 CPU(270-1)로 전달되고, 상기 주변음의 레벨은 비교기(270-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CPU(270-1) 및 상기 비교기(270-2)는 상기 제어부(27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패턴이라고 하면 음파의 파형 및/또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벨이라 함은 음파의 크기 또는 사운드의 볼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CPU(270)는 상기 음원 소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음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를 에코 캔슬러(270-3)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에코 캔슬러(270-3)는 상기 제어부(270)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부(270)와는 별도의 엔티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코 캔슬러(270-2)는 상기 음원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마이크(260-2)에서 픽업된 사용자의 귓속 내부 음향을 음원 사운드와 노이즈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노이즈는 상기 사용자 귓속으로 유입된 상기 주변음 또는 상기 외부 노이즈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의 레벨과 상기 노이즈의 레벨이 측정되어 상기 비교기(270-2)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교기(270)는 상기 주변음의 레벨, 상기 음원 사운드의 레벨, 및 상기 노이즈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값을 상기 CPU(270-1)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가 DAC(250-1) 및 증폭기(250-2)를 거쳐 스피커(250-3))로 출력될 때, 상기 CPU(270-1)는 상기 비교값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250-3)의 사운드 볼륨의 크기를 상기 증폭기(250-2)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이를 "사운드 볼륨 조절"라고 하겠다.
한편, 상기 외부 마이크(260-1)에서 픽업된 주변음과 상기 내부 마이크(260-2)에서 픽업된 사용자의 귓속 내부 음향에 기반하여 ANC용 반대 위상 음파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DAC(250-1)로 전달되는 상기 음원신호에 믹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CPU(270-1)는 상기 주변음의 패턴 및 상기 비교값에 근거하여 상기 반대 위상 음파 신호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이를 "ANC 제어"라고 하겠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해 도 7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이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즉,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외부 마이크(260-1) 및 상기 내부 마이크(260-2)를 통해 외부 노이즈의 레벨과 상기 외부 노이즈의 유입에 기인하는 사용자 귓속의 내부 노이즈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S71].
또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마이크(260-2)를 통해 사용자 귓속의 음원 사운드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S72].
상기 S71 단계 및 상기 S72 단계는 순서가 반대로 동작될 수도 있고, 사실상 동시에 동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3].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일 수 있겠으나,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 간의 SNR 값이 사전 설정된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7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74].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충분히 커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임에 있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사용자의 청력 손상 방지에 안전한 소정 레벨(이하, "안전 레벨" 또는 "안전 임계 레벨"이라 함)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75]. 상기 안전 레벨은 앞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안전 레벨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공장출하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레벨일 수도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미만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S71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이상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더 이상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 또는 볼륨은 높이지 않는 선에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다[S76].
이하,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도 7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8은 도 7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의 (8-1)은,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비교적 주변음이 조용한 공간에서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검출되는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도시하고 있다. 비교적 주변음이 조용한 곳이므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아무 것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음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커지면(L1-1에서 L1-2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LS)을 넘지 않는 선에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L2-1에서 L2-2로).
그런데, 상기 주변음이 더욱 커져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지면(L1-2에서 L1-3으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안전 레벨까지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이더라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LS)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NC 제어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저감될 수 있다(L1-3에서 L1-4로).
이상에서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레벨이 올라감에 따라,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한 다음에 필요에 따라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올라감에 따라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한 다음에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9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이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외부 마이크(260-1) 및 상기 내부 마이크(260-2)를 통해 외부 노이즈의 레벨과 사용자 귓속의 내부 노이즈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S91].
또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마이크(260-2)를 통해 사용자 귓속의 음원 사운드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S92].
상기 S91 단계 및 상기 S92 단계는 순서가 반대로 동작될 수도 있고, 사실상 동시에 동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3].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일 수 있겠으나,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 간의 SNR 값이 사전 설정된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9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94].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를 상기 스피커(25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낮추어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을 높임에 있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이 최대 허용치 또는 허용 레벨에 도달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S95]. 상기 최대 허용치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공장출하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이 상기 최대 허용치가 아닌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S91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ANC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이 상기 최대 허용치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더 이상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을 높이지 않는 선에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다[S96].
이하,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도9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0은 도 9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의 (10-1)은,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비교적 주변음이 조용한 공간에서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검출되는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도시하고 있다. 비교적 주변음이 조용한 곳이므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아무 것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음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커지면(L1-1에서 L1-2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먼저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NC 제어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저감될 수 있다(L1-2에서 L1-3으로).
그런데, 상기 주변음이 더욱 커져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지면(L1-3에서 L1-4으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최대 허용치까지 상기ANC 제어를 위한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을 높이더라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억제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LS)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LS)을 넘지 않는 선에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L2-1에서 L2-2로).
이상에서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레벨이 올라감에 따라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필요에 따라 나머지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수행할지가 정함에 있어 사용자가 선호도가 반영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1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이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외부 마이크(260-1) 및 상기 내부 마이크(260-2)를 통해 외부 노이즈의 레벨과 사용자 귓속의 내부 노이즈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S111].
또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마이크(260-2)를 통해 사용자 귓속의 음원 사운드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S112].
상기 S111 단계 및 상기 S112 단계는 순서가 반대로 동작될 수도 있고, 사실상 동시에 동작되어도 무방하다.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면 좋을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 방식에 대해 설정을 할 수 있다[S113].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대한 설정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한 설정 메뉴를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설정 메뉴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에서 하나를 본인이 희망하는 선호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운드 모드(예를 들면, 음악 청취 모드, 배경 음악 모드, 인터넷 강의 시청 모드 등등)를 설정하면 상기 설정된 사운드 모드에 따라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 선호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청취 모드로 설정되면 사운드 볼륨 제어가 선택되고, 배경 음악 모드 또는 인터넷 강의 시청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ANC 제어가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음원 정보 (예를 들면, 음악인지 또는 인터넷 강의 스트리밍인지)에 따라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 선호 방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누적된 사용자의 사운드 조절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 선호 방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S113 단계가 상기 S111 및 S112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S113 단계는 상기 S111 및 S112 단계와는 선후 관계에 있어 독립적일 수 있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4].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일 수 있겠으나,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 간의 SNR 값이 사전 설정된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11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115].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ANC 제어 방식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16].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를 상기 스피커(25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낮추어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을 높임에 있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이 최대 허용치에 도달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7]. 상기 최대 허용치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공장출하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이 상기 최대 허용치가 아닌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111 단계로 회귀하여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ANC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방식이거나 상기 S117 단계에서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이 상기 최대 허용치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현재의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8].
상기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미만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19].
상기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20]. 상기 소정 시간 제한은 앞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소정 시간 제한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공장출하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미만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19].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함에 있어, 그 전에 상기 S116 단계 및 상기 117 단계에 수행되었다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더 이상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을 높이지 않는 선에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청력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알리고/알리거나 주변음이 조용한 곳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얼러트(alert)를 출력할 수 있다[S121]. 또한, 상기 얼러트는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하기 전이였다면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얼러트는 경고음으로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출력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얼러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얼러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하기 전이였다면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인 것으로 모니터링되고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하기 전이였다면 사용자에게 ANC 제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함 없이 바로 상기 ANC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2는 도 11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의 변형예이다.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그 전에 상기 S116 단계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그 전에 상기 S116 단계를 수행하지 않았더라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S11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그 전에 상기 S116 단계를 수행하였더라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청력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알리고/알리거나 주변음이 조용한 곳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얼러트(alert)를 출력할 수 있다[S123].
이하, 도 13을 더욱 참조하여, 도12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3은 도 12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의 (1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검출하도록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주변음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커질 수 있다(L1-1에서 L1-2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115].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방식이면, 도 13의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일 수 있다(L2-1에서 L2-2로).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충분히 커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3의 (1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음이 더욱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질 수 있다(L1-2에서 L1-3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상기 안전 레벨 미만으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만으로는 상기 내부 노이즈 영향이 저감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3의 (1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 또는 볼륨은 높이지 않는 선에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내부 노이즈를 낮추어(L1-3에서 L1-4로)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ANC 제어 방식이면, 도 13의 (1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를 상기 스피커(25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낮추어(L1-2에서 L1-5로)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3의 (1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음이 더욱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질 수 있다(L1-5에서 L1-6으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을 상기 최대 허용치 미만으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ANC 제어만으로는 상기 내부 노이즈 영향이 저감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3의 (1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더 이상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을 높이지 않는 선에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임으로써(L2-1에서 L2-3으로)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필요에 따라 나머지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우선적으로 수행할 하나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더욱 고려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더욱 고려하여 살펴보겠다. 도 14는 도 12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의 변형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S113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4].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11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S124].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주기적이고/이거나 ANC에 적합한 주파수이여서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115].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ANC 제어 방식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S11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방식이면, 상기 S118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116 단계 및 상기 118 단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비주기적이고/이거나 ANC에 부적합한 주파수여서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S115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S118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더욱 참조하여, 도14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5은 도 14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5의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검출하도록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주변음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커질 수 있다(L1-1에서 L1-2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S124].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115].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따라 상기 S115 단계 이후의 도 15의 (15-2) 내지 (15-7)에 따른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동작은 앞서 도 13의 (13-2) 내지 (13-7)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S115 단계를 거치지 않고 도 15의 (15-2) 내지 (15-4)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의 (15-2) 내지 (15-4)에 따른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동작은 앞서 도 13의 (13-2) 내지 (13-4)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우선적으로 수행할 하나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더욱 고려될 수 있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우선적으로 수행할 하나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은 고려되지 않고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만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6을 더욱 고려하여 살펴보겠다. 도 16는 도 14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의 변형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S112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4]. 즉, 상기 S113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11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S124].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S11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S118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116 단계 및 상기 118 단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하, 도 17를 더욱 참조하여, 도16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7은 도 16의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7의 (1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검출하다록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주변음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커질 수 있다(L1-1에서 L1-2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S124].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7의 (17-2) 내지 (17-4)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의 (17-2) 내지 (17-4)에 따른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동작은 앞서 도 13의 (13-2) 내지 (13-4)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측정 결과, 예컨대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7의 (17-5) 내지 (17-7)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의 (17-5) 내지 (17-7)에 따른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동작은 앞서 도 13의 (13-5) 내지 (13-7)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상기 주변음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커질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주변음의 변화가 없더라도,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사운드 관련 모드(ANC 온 모드 / ANC 오프 모드 / 주변음 허용 모드) 간의 전환에 따라 상기 외부 노이즈가 변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행해질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ANC 온 모드, ANC 오프 모드, 및 주변음 허용 모드 간에 전환되면서 이들 중 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ANC 온 모드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ANC 제어가 동작하도록 모드이고, 상기 ANC 오프 모드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ANC 제어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주변음 허용 모드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상기 외부 마이크(260-1)이 상기 주변음을 픽업하여 이를 상기 스피커(250-3)을 통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착용에도 불구하고 상기 주변음을 잘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도 18의 (1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ANC 온 모드에서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ANC 온 모드가 상기 ANC 오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은, 예를 들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드 전환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조작과 상관 없이 발생되거나 센싱되는 이벤트(예를 들면, 노이즈 패턴 변화)에 반응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도 18의 (1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NC 제어가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질 수 있다(L1-1에서 L1-2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8의 (1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일 수 있다(L2-1에서 L2-2로).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충분히 커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의 (1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ANC 오프 모드에서 내부 노이즈 레벨(L1-1)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1)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ANC 오프 모드가 상기 주변음 허용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은, 예를 들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드 전환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조작과 상관 없이 발생되거나 센싱되는 이벤트(예를 들면, 노이즈 패턴 변화)에 반응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도 18의 (1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음 허용 모드가 됨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더욱 커질 수 있다(L1-1에서 L1-2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8의 (1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일 수 있다(L2-1에서 L2-2로).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충분히 커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압도하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변음 허용 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음이 더욱 잘 들리도록 상기 무선응향기기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낮출 수도 있다.
도 18의 (1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상기 주변음 허용 모드에서 내부 노이즈 레벨(L1-2) 및 음원 사운드 레벨(L2-2)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상기 주변음 허용 모드가 상기 ANC 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은, 예를 들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드 전환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조작과 상관 없이 발생되거나 센싱되는 이벤트(예를 들면, 노이즈 패턴 변화)에 반응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도 18의 (1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NC 온 모드가 됨에 따라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작아질 수 있다(L2-1에서 L1-1로). 그러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도 18의 (1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소정 SNR 레벨이 되도록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내릴 수 있다(L2-2에서 L2-1로).
도 11에서는 상기 검출된 음원 사운드 레벨 대비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것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음향기기(100)가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외부 노이즈 저감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상기 프로세스가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무선음향기기(100)가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9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볼륨 제어 프로세스이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 또는 이와 무선통신 중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125].
상기 입력된 볼륨 조절 명령에 반응하여,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115].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ANC 제어 방식이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16].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볼륨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운드 볼륨이 높아지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즉, 상기 음원 사운드가 좀더 잘 들리도록,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를 상기 스피커(25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을 낮추어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이 미미하도록 하여 상기 음원 사운드가 좀더 잘 들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을 높임에 있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이 최대 허용치에 도달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7].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이 상기 최대 허용치가 아닌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S125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방식이거나 상기 S117 단계에서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이 상기 최대 허용치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현재의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8].
상기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미만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19]. 즉,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레벨이 상기 안전 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20]. 상기 소정 시간 제한은 앞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소정 시간 제한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공장출하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미만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19].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함에 있어, 그 전에 상기 S116 단계 및 상기 117 단계에 수행되었다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더 이상 상기 반대 위상 음파 레벨을 높이지 않는 선에서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사운드 레벨에서의 사용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제한 이상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청력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알리고/알리거나 주변음이 조용한 곳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얼러트(alert)를 출력할 수 있다[S121]. 또한, 상기 얼러트는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하기 전이였다면 상기 ANC 제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얼러트는 경고음으로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출력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얼러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 11의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도 11의 프로세스의 변형예, 즉, 도 12, 14, 및 16의 프로세스가 도 19의 프로세스의 변형예로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 기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도 20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무선음향기기의 사용자 선호 방식이 자동으로 선정되는 순서도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 (즉, 음원 소스 디바이스)(100)은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과 무선통신 연결되어, 음원을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음원을 상기 음향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위치정보 모듈(115)를 통해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및/또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또는 움직임(예를 들면, 걷기 중, 뛰기 중, 차량탑승 중, 특정 장소에 머무르는 중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01].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음원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면, 상기 음원의 장르 등), 상기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앱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의 사운드 조절 히스토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01].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라고 하겠다.
또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무선음향기기(200)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체적 움직임(예를 들면, 앉은 자세, 누운 자세, 선 자세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02]. 이와 같이 상기 무선음향기기(200)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무선음향기기 데이터라고 하겠다.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무선음향기기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03].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 및 상기 무선음향기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S204]. 상기 상황의 예시로는, i) '야외'에서 '걸으면서' '팝 음악' 청취 (이하, 제1예시라 함), ii) '도서관'에서 '앉은 자세'로 '조용한 음악'을 청취(이하, 제2예시라 함), iii) '버스'에서 '학습 앱'의 '학습 강좌' 청취(이하, 제3예시라 함)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분석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판단(또는 추정)할 수 있다[S205].
예를 들면, 제1예시의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사용자 볼륨 제어 방식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예시 및 제 3 예시의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이 ANC 제어 방식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 선호 방식을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206].
상기 무선음향기기(200)는 상기 전송 받은 사용자 선호 방식을 상기 외부 노이즈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다[S207].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음원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음원 소스 다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음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주변음을 픽업하기 위한 외부 마이크; 및
    귓속의 음원 사운드 및 내부 노이즈를 픽업하기 위한 내부 마이크;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사운드 볼륨 제어 및 ANC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다른 하나를 더욱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중에 상기 픽업된 음원 사운드 레벨이 안전 임계 레벨에 도달함에도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NC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ANC 제어 중에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이 최대 허용 레벨에 도달함에도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전 설정된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에 더욱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운드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음원 정보, 및 사운드 조절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1. 음원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소스 다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음원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외부 마이크를 통해 주변음을 픽업하는 단계;
    내부 마이크를 통해 귓속의 음원 사운드 및 내부 노이즈를 픽업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사운드 볼륨 제어 및 ANC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된 다음에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다른 하나가 더욱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중에 상기 픽업된 음원 사운드 레벨이 안전 임계 레벨에 도달함에도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ANC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NC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ANC 제어 중에 상기 ANC 제어를 위한 반대 위상 음파의 레벨이 최대 허용 레벨에 도달함에도 상기 내부 노이즈의 저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이즈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전 설정된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에 더욱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부적합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이 상기 ANC 제어에 적합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이즈의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운드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볼륨 제어 및 상기 ANC 제어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 방식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음원 정보, 및 사운드 조절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의 제어 방법.
PCT/KR2021/018439 2021-12-07 2021-12-07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64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8439 WO2023106439A1 (ko) 2021-12-07 2021-12-07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8439 WO2023106439A1 (ko) 2021-12-07 2021-12-07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439A1 true WO2023106439A1 (ko) 2023-06-15

Family

ID=8673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439 WO2023106439A1 (ko) 2021-12-07 2021-12-07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064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1598A1 (en) * 2001-03-29 2002-10-03 Nokia Corporation Arrangement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utomatic noise cancellation (ANC) in a mobile station
CN105208477A (zh) * 2015-09-19 2015-12-30 中山阿迪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降噪入耳式耳机
US20160086592A1 (en) * 2014-09-19 2016-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ive active noise cancellation
KR20160140161A (ko) * 2015-05-29 2016-12-07 민훈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및 노이즈 제거 방법
KR20190140457A (ko) * 2017-04-24 2019-12-19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주파수 도메인 적응성 잡음 소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1598A1 (en) * 2001-03-29 2002-10-03 Nokia Corporation Arrangement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utomatic noise cancellation (ANC) in a mobile station
US20160086592A1 (en) * 2014-09-19 2016-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ive active noise cancellation
KR20160140161A (ko) * 2015-05-29 2016-12-07 민훈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및 노이즈 제거 방법
CN105208477A (zh) * 2015-09-19 2015-12-30 中山阿迪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降噪入耳式耳机
KR20190140457A (ko) * 2017-04-24 2019-12-19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주파수 도메인 적응성 잡음 소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04574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1516004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102464A1 (ko) 이어마이크로폰 및 이어마이크로폰용 전압 제어 장치
WO2020204611A1 (en) Method for detecting wearing of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6208797A1 (ko) 헤드셋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9118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for gestures thereof
WO2013147384A1 (ko)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WO202005504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earphone wearing stat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6035927A1 (en) Headset
WO2017043688A1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032011A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WO202011700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and microphone
WO2022080612A1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17142139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WO2015163544A1 (en) Mobile terminal
WO2022019577A1 (ko) 마이크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WO2021187752A1 (ko) 오디오용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전자 장치에서 전원 관리 방법
WO2015125993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WO2018129972A1 (zh) 充电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0032363A1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2154363A1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141634A1 (ko) 환경 변화 및 소음 변화에 따른 적응형 입체 히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14734A1 (ko)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23106439A1 (ko) 무선음향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20686A1 (ko)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73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