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85776A1 -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85776A1
WO2023085776A1 PCT/KR2022/017560 KR2022017560W WO2023085776A1 WO 2023085776 A1 WO2023085776 A1 WO 2023085776A1 KR 2022017560 W KR2022017560 W KR 2022017560W WO 2023085776 A1 WO2023085776 A1 WO 20230857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aft
frame
fixing
exercise devic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5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ublication of WO20230857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857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muscles,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adjusted so that the leg muscles can be exercised while lying down, or the shoulder can be placed on the handle while standing and the back muscles of the leg can be trained. It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muscles that can be adjusted to the top to perform chin-ups.
  • the speed of the treadmill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one's fitness level, such as walking, jogging, or running,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oo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at an appropriate intensity suitable for himself/herself.
  • one's fitness level such as walking, jogging, or running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oo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at an appropriate intensity suitable for himself/herself.
  • Such a treadmill is usually exercised in an upright state with the user standing upright.
  • a device capable of exercising in various postures is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walking and running in a bent posture If you do 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ck of the lower body, that is, the back of the thigh or calf muscles can be effectively trained compared to the upright posture with the waist up.
  • the conventional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back muscles of the leg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4072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user is comfortable and comfortable with both shoulders supported by the upper body support, even if the user leans the upper body forward and the upper body pressure is directed forward. Since it can be stably suppor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excessive consumption of upper body muscle strength, and as both shoulders are straight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upper body support unit, a stable posture is maintained during exercise, which is useful for maintaining an inclined upper body posture. It is possible to stretch the legs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n upright posture without excessive muscle consumption, so that the muscles of the back of the thighs or calves can be effectively trained through repetitive stretching of the bent legs, but the overall structure is monotonous. There was a problem with being able to do only one exercise posture and one exercise move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ding a means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to the fixed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handle according to the exercise method or user's physical condition, thereby improving the method and posture of exercise It is to provide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that allows divers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pillars supporting both ends of a horizontal support of a predetermined width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and rear, and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are fixed to the upper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supports,
  • a frame in which auxiliary frames are connected between lower ends of both front pillars and lower ends of rear pillars, and a fixing plate having through-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ixing frame is provided so that a mounting rod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 a rotating shaf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fixed frame where the fixed plate is in contact,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crossing the side of the fixed plat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integrally, and a barbell mounting shaf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so that the barbell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on both sides a working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and the drive shaft is provided with a driving handle
  • the position of the driving handle can be adjusted in the ax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hand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xercise method or user's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exercise method and posture can be diversified.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s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mall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us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middle;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us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maximum.
  • a pair of pillars 11 supporting both ends of a horizontal support 16 of a predetermined width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supports 16 )
  • Both ends of the fixing frame 13 are fixed at the upper middle, and auxiliary frames 12 are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front pillars 11 and the lower ends of the rear pillars 11, respectively, and the fixed frame 13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rotating shaft 21 is rotatably provided by a bearing on the fixed frame 13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14,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crossing the side of the fixed plate 14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1 so as to rotate integrally.
  • the barbell mounting shaft 22 is provided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to enable the barbell 2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both sides;
  • the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th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the drive shaft 30 is provided with a drive handle 31 for operation laterally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 the operating shaft 20 and the driving shaft 30 integrally rotate around the rotating shaft 21, and when the mount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b, the mounting bar 1 ),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20 is caugh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is restricted, and the driving shaft 30 is moved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long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20 so that the extension length can be adjusted.
  • the fixed frame 13 of the frame 10 consists of two square shaft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top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support 1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two fixed frames 13
  • Each bearing 1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1 are rotatably equipped by the bearing 15, and each fixed plate is attached to the fixed frame 13 on both sides of the part where the bearing 15 is installed.
  • the upper end of (14) is fixed, and through-holes (b)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14)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xing frame (13)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to which the mounting bar (1) is inserted.
  • auxiliary frame 12 connec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illars 11 is provided with flanges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s of the shafts of the front and rear pillars 11 to fix the flanges to the pillars 11 by bolts.
  • flanges are provided on top of the pair of pillars 11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flanges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16 by bolts.
  • the operating shaft 2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1 between the two fixed frames 13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21, and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b of the fixed plate 14.
  •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ng shaft 20 is limited by the mounting bar 1 inserted therein.
  • the operating shaft 20 is formed as a hollow shaft with a square cross section, a through hole b into which the fixing pin 23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lower en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barbell mounting shaft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It is fixed so that the barbell 2 can be mounted on a part that protrude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 the driving shaft 30 is formed as a square shaft and is mov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0, and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pins 23 pas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 the middle portion of the driving handle 31 is integrally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drive shaft 30 from the operating shaft 20 according to the way the user wants to exercise and the physical condition by resett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fixing pin 23, and the barbell mounting shaft 22 ) is equipped with a barbell (2) of an appropriate weight, and in the case of leg exercise lying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7, an operation of pushing both sides of the driving handle 31 upward with both feet while lying on the floor. Repeat.
  •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stands in a slightly prone position and holds the drive handle 31 with both hands in a state in which both should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 handle 31 and pushes up
  • FIG. 9 shows that the angle is set to the maximum, and an exercise such as a chin-up can be performed while holding the driving handle 31 with both 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의 위치가 조절되도록하여 누워서 다리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서서 핸들에 어깨를 거치하고 다리의 뒷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 위치를 최상부로 조절하여 턱걸이를 할 수도 있도록 하는 근육강화용 운동장치로 소정 폭의 수평 지지대(16)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11)이 전방과 후방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전후의 수평 지지대(16) 중간 상부에 고정프레임(13)의 양단부가 고정되고, 양쪽 전방 기둥(11) 하단부와 후방 기둥(11) 하단부 사이에 각기 보조프레임(12)이 연결되며, 고정프레임(13)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구멍(b)들이 형성되는 고정판(14)이 구비되어 관통구멍(b)에 거치봉(1)을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되는 프레임(10)과; 고정판(14)이 접하는 부위의 고정프레임(13)에 회전축(2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판(14) 옆을 가로지르는 축의 상단부가 회전축(21)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축의 하단부에 바벨장착축(22)이 구비되어 바벨(2)을 양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20)과; 작동축(20)의 하단부에 축의 상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의 하단부에 조작용 구동핸들(31)이 구비되는 구동축(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본 발명은 근육강화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의 위치가 조절되도록하여 누워서 다리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서서 핸들에 어깨를 거치하고 다리의 뒷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 위치를 최상부로 조절하여 턱걸이를 할 수도 있도록 하는 근육강화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러닝머신은 걷기, 조깅, 달리기 등 자신의 체력수준에 따라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바닥 경사각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자신에게 알맞은 적절한 강도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러닝머신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허리를 세워 직립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는데, 운동의 효과를 보다 향상하기 위해 다양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허리를 굽힌 자세에서 걷기 및 달리기를 하면 허리를 세운 직립자세보다 하체 뒷부분, 즉 허벅지 뒷근육이나 종아리 근육이 효과적으로 단련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인이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제20-0494072호의 종래 다리 뒷근육 강화용 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전방으로 상체를 경사지게 기울여 상체 체압이 전방을 향하더라도 상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양 어깨로 상체 체압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과도한 상체 근력의 소모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상체 지지부에 의해 양 어깨가 수평방향으로 일자로 펴지게 되어 운동시 안정된 자세가 유지됨에 따라, 상체를 경사지게 기울이는 자세유지에 과도한 근력소모 없이 바른 자세로 유지한 채, 전방 사선방향으로 굽혀진 다리의 뻗기동작이 가능하여 굽혀진 다리의 반복적인 뻗침 동작으로 허벅지나 종아리 뒷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하지만, 그 전체 구조상 단조로운 운동자세와 하나의 운동 동작만 할 수 있도록 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프레임에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하여 운동방식이나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구동 핸들 위치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방식과 자세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는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폭의 수평 지지대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이 전방과 후방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전후의 수평 지지대 중간 상부에 고정프레임의 양단부가 고정되고, 양쪽 전방 기둥 하단부와 후방 기둥 하단부 사이에 각기 보조프레임이 연결되며, 고정프레임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구멍들이 형성되는 고정판이 구비되어 관통구멍에 거치봉을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되는 프레임과; 고정판이 접하는 부위의 고정프레임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판 옆을 가로지르는 축의 상단부가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축의 하단부에 바벨장착축이 구비되어 바벨을 양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과; 작동축의 하단부에 축의 상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의 하단부에 조작용 구동핸들이 구비되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핸들의 위치가 축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운동방식이나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구동핸들 위치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방식과 자세를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각도 조절부위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판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각도를 작게 설정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각도를 중간으로 설정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각도를 최대로 설정한 사용상태 단면도.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 폭의 수평 지지대(16)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11)이 전방과 후방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전후의 수평 지지대(16) 중간 상부에 고정프레임(13)의 양단부가 고정되고, 양쪽 전방 기둥(11) 하단부와 후방 기둥(11) 하단부 사이에 각기 보조프레임(12)이 연결되며, 고정프레임(13)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구멍(b)들이 형성되는 고정판(14)이 구비되어 관통구멍(b)에 거치봉(1)을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되는 프레임(10)과; 고정판(14)이 접하는 부위의 고정프레임(13)에 회전축(21)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판(14) 옆을 가로지르는 축의 상단부가 회전축(21)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축의 하단부에 바벨장착축(22)이 횡으로 구비되어 바벨(2)을 양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20)과; 작동축(20)의 하단부에 축의 상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의 하단부에 조작용 구동핸들(31)이 횡으로 구비되는 구동축(3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작동축(20)과 구동축(30)이 일체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관통구멍(b)에 거치봉(1)을 끼우면 거치봉(1)에 의해 작동축(20) 상단부가 걸려 회전 이동이 제한되게 되고, 구동축(30)이 작동축(20) 하단부를 따라 상하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프레임(10)의 고정프레임(13)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사각 축으로 이루어져 전후 수평 지지대(16) 상부에 양단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두 고정프레임(13)의 일측 상부에 각기 베어링(15)이 구비되어, 회전축(21)의 양단이 베어링(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며, 베어링(15)이 설치되는 부위의 양쪽 고정프레임(13)에 각기 고정판(14)의 상단부가 고정되며, 고정프레임(13)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판(14)의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거치봉(1)이 끼워지도록 되는 관통구멍(b)들이 형성된다.
또한, 전후 두 기둥(11)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프레임(12)은 전후 기둥(11)의 하단부를 축의 양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플랜지를 기둥(11)에 고정하도록 된다.
그리고 전방과 후방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된 한 쌍의 기둥(11) 상부에도 플랜지가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플랜지를 수평 지지대(16) 저면에 고정하도록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두 고정프레임(13) 사이에서 회전축(21)에 연결되는 작동축(20)이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고정판(14)의 관통구멍(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거치봉(1)에 의해 작동축(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또한, 작동축(20)은 사각 단면의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고정핀(23)이 끼워지는 관통구멍(b)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바벨장착축(22)의 중간부가 고정되어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되는 부위에 바벨(2)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구동축(30)은 사각 축으로 형성되어 작동축(20)의 하단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의 상단부에 고정핀(23)이 관통하는 체결구멍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단부에 구동핸들(31)의 중간부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핀(23)의 고정위치를 재설정함을 통해 사용자가 운동하려는 방식과 신체 조건에 따라 구동축(30)이 작동축(20)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고, 바벨장착축(22)에 적절한 중량의 바벨(2)을 장착하며, 바닥에 누워서 다리 운동을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두 발로 구동핸들(31)의 양쪽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도 8은 사용자가 약간 엎드린 자세로 서서 양쪽 어깨를 구동핸들(31)에 밀착한 상태에서 양손으로 구동핸들(31)을 잡고 밀어올리는 동작을 하는 상태로,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9는 각도를 최대로 설정한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구동핸들(31)을 양 손으로 잡고 턱걸이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1:기둥
12:보조프레임 13:고정프레임
14:고정판 15:베어링
16:수평 지지대 20:작동축
21:회전축 22:바벨장착축
23:고정핀 30:구동축
31:구동핸들 b:관통구멍

Claims (5)

  1. 소정 폭의 수평 지지대(16)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11)이 전방과 후방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전후의 수평 지지대(16) 중간 상부에 고정프레임(13)의 양단부가 고정되고, 양쪽 전방 기둥(11) 하단부와 후방 기둥(11) 하단부 사이에 각기 보조프레임(12)이 연결되며, 고정프레임(13)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구멍(b)들이 형성되는 고정판(14)이 구비되어 관통구멍(b)에 거치봉(1)을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되는 프레임(10)과; 고정판(14)이 접하는 부위의 고정프레임(13)에 회전축(2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판(14) 옆을 가로지르는 축의 상단부가 회전축(21)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축의 하단부에 바벨장착축(22)이 구비되어 바벨(2)을 양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20)과; 작동축(20)의 하단부에 축의 상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의 하단부에 조작용 구동핸들(31)이 구비되는 구동축(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1)이 설치되는 부위의 고정프레임(13)에 고정판(14)의 상단부가 고정되며, 고정프레임(13)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판(14)의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거치봉(1)이 끼워지도록 되는 관통구멍(b)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축(20)이 사각 단면의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고정핀(23)이 끼워지는 관통구멍(b)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동축(30)이 사각 축으로 형성되어 작동축(20)의 하단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의 상단부에 고정핀(23)이 관통하는 체결구멍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은 수평 지지대(16)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이 소정 간격을 이루는 두 개의 사각 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상부에 각기 베어링(15)이 구비되어, 회전축(21)의 양단이 베어링(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며, 두 고정프레임(13) 사이에서 작동축(20) 상단부가 회전축(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은 전후 두 기둥(11) 사이에서 기둥(1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2)이 구비되고, 보조프레임(12)의 양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플랜지가 기둥(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PCT/KR2022/017560 2021-11-10 2022-11-09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WO202308577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713 2021-11-10
KR1020210153713A KR20230067947A (ko) 2021-11-10 2021-11-10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776A1 true WO2023085776A1 (ko) 2023-05-19

Family

ID=8633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560 WO2023085776A1 (ko) 2021-11-10 2022-11-09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7947A (ko)
WO (1) WO202308577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00U (ko) * 2007-05-03 2008-11-06 (주)개선스포츠 운동기구용 이음 장치
KR101602603B1 (ko) * 2015-05-15 2016-03-10 김수현 목 운동기구
KR101637146B1 (ko) * 2016-02-25 2016-07-07 서정근 하체 운동기구의 가변 중량체
KR20200084522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물구나무서기 장치
KR20210001741U (ko) * 2020-01-20 2021-07-28 박진우 다리 뒷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00U (ko) * 2007-05-03 2008-11-06 (주)개선스포츠 운동기구용 이음 장치
KR101602603B1 (ko) * 2015-05-15 2016-03-10 김수현 목 운동기구
KR101637146B1 (ko) * 2016-02-25 2016-07-07 서정근 하체 운동기구의 가변 중량체
KR20200084522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물구나무서기 장치
KR20210001741U (ko) * 2020-01-20 2021-07-28 박진우 다리 뒷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947A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790B2 (en) Multi-sport training machine with inclined monorail and roller carriage
US3792860A (en) Pivotal platform train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connectible components
US5492518A (en) Exercise apparatus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US9283426B2 (en) Portable multi-purpose exercise unit
US4126308A (en) Combination pommel horse and rotatable wheel mounted leg support device
US5662555A (en) Aerial exercise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808152B1 (en) Exercise resistance machine
US5299990A (en) Tilting universal gym apparatus
US6547706B1 (en) Rack exercise system and method
CN208176809U (zh) 一种健身装置
WO2023085776A1 (ko)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WO1992018204A1 (en) Exercise device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US20230347204A1 (en) Hand grip exercise machine
WO2014037606A1 (en) Gym machine for dip exercises and twist workout
CN211611452U (zh) 箱体折叠锻炼器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KR200429304Y1 (ko) 복합 서킷 트레이닝 운동기구
CN219783700U (zh) 一种腿部训练器
CN209348029U (zh) 一种臀肌功能训练辅助设备
CN220860581U (zh) 一种硬拉训练器
CN218501205U (zh) 一种室内多功能健身器
CN214019090U (zh) 综合型飞鸟深蹲架
CN217908874U (zh) 一种滑雪骑马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3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