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3755A1 -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3755A1
WO2023063755A1 PCT/KR2022/015531 KR2022015531W WO2023063755A1 WO 2023063755 A1 WO2023063755 A1 WO 2023063755A1 KR 2022015531 W KR2022015531 W KR 2022015531W WO 2023063755 A1 WO2023063755 A1 WO 20230637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gnet
polarity
shielding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5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재
창곤희
채종현
최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랩스
Publication of WO20230637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37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Definitions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RF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ed state of an RF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2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RF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tructure mounted with a shi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magnet 240 having a secon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at a part of the end thereof. That is,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magnet 240 of a second structure at a part of an end where the polarity of the portion facing the magnet 140 of the first structure is opposite to each other.
  •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second signal conductor 210 penetrating the end face of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an insulating part 230 surrounding the second signal conductor 210, and an insulating part 23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 240 of a second structu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설비와 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결합력을 갖도록 구현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하며 차폐 기능을 갖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본 발명은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설비와 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목적에 부합하는 결합력을 갖도록 구현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하며 차폐 기능을 갖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통신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서, 기지국 및 중계기 등 상호간의 무선통신 및 그 통신기기의 내부에서의 유선통신과 같은 유무선이 활용되고 있으며, 유선의 경우에는 각 통신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파트나 빌딩 등에는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 이외의 다양한 통신케이블을 시공하고 있다.
최근의 홈 오토메이션 기술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각종 가전기기의 제어 및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늘어나는 통신케이블의 시공에 따라 차후의 점검이나 교체 변경을 용이하게 실행 가능하면서도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아울러, 갈수록 무선통신 기기들은 소형화 및 고성능화와 함께 점차 슬림화되면서 한정된 PCB 공간에 다수의 부품과 함께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는 신호의 반사와 왜곡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접속 부분을 차폐하여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유사시 전쟁 등의 환경에서는 통신장비를 이용하는 군인들이 다급한 상황에서 통신장비를 교체 변경할 경우,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탈착이 쉽고 빠른 구조가 요구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결합력을 갖도록 구현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하며 차폐 기능을 갖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는 말단의 일부에 제1 구조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말단의 일부에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대면하는 부위의 극성이 서로 반대로 대응하는 제2 구조의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 간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말단이 상기 제1 커넥터의 말단과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이 서로 부착되는 면 이외의 적어도 다른 한 면에 구비되는 차폐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는 탈부착 부재로서 마그넷을 채용하여 통신장비의 교체나 변경에 쉽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는 차폐 기능이 강화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설계자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마그넷의 개수 또는 마그넷을 커버하는 차폐 구조물의 커버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목적에 부합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폐 구조물을 탑재한 제1 커넥터의 측단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폐 구조물을 탑재한 제1 커넥터의 측단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이 탑재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측단면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활용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는 RF 케이블과 RF 케이블의 연결 또는 RF 케이블과 어댑터의 연결 등을 매개하는 커넥터를 의미한다.
제1 커넥터(100)는 말단의 일부에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200)는 말단의 일부에 제1 구조에 대응하는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을 포함한다. 즉, 제2 커넥터(200)는 말단의 일부에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대면하는 부위의 극성이 서로 반대로 대응하는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을 포함한다.
제1 구조의 마그넷(140)에 의한 극성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에 의한 극성 간에 발생하는 자력에 기초하여 제1 커넥터(100)의 말단과 제2 커넥터의 말단이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가 된다.
제1 커넥터(100)는 말단의 단면을 제1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시그널 컨덕터(110), 제1 시그널 컨덕터(110)를 에워싸는 절연부(130), 절연부(130) 일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 구조의 마그넷(140), 및 제1 커넥터(100)를 커버하는 하우징(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말단의 단면을 제2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시그널 컨덕터(210), 제2 시그널 컨덕터(210)를 에워싸는 절연부(230) 및 절연부(230) 일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의한 RF 커넥터는 제1 구조의 마그넷(140) 전체가 제1 극성으로 구비되고, 제2 구조의 마그넷(240) 전체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넥터(100)의 제1 구조는 단면 전체가 예를 들어, S극의 마그넷으로 구비되고, 제2 구조는 단면 전체가 N극의 마그넷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 및 제2 구조의 마그넷(24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됨에 따라,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가 서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도넛형의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의 홀 부분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인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기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자화의 방향 및 공간적 배치가 자기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된다.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의 재료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ferrite)계, 알니코(Alnico)계, 희토류계, 본드계 자석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석의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240) 극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단극 이상, 2극 이상, 4극 이상 또는 6극 이상일 수 있고, 16극 이하, 12극 이하, 10극 이하 또는 8극 이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극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자기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극의 개수가 너무 커지게 되면 제1 구조의 마그넷의 자기장 방향이 제2 구조의 마그넷에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고, (후술하는 실험 예에 의하면) 극의 개수가 커질수록 자기력 증가의 폭도 점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RF 커넥터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제1 구조의 마그넷(140) 및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의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그 구조와 역할들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1 커넥터(100)의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측면으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X축, 제2 방향은 Y축, 제3 방향은 Z축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의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제1 극성의 마그넷(241)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의 마그넷(243)이 측면으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극성의 마그넷(241)과 제2 극성의 마그넷(243)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성이 N극이면 제2 극성은 S극이 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극성이 S극이면 제2 극성은 N극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대면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하는 경우,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됨에 따라,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가 서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도넛형의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의 홀 부분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소정 각도로 비트는 외력이 발생하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변동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비트는 외력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동일한 극성의 마그넷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서로 미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폐 구조물을 탑재한 제1 커넥터의 측단면도와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RF 커넥터는 마찬가지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제1 구조의 마그넷(140) 및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의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그 구조와 역할들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제1 커넥터(100)는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의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복수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고, 제2 방향의 측면으로도 적어도 하나의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부착 구비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의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은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241)과 복수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243)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교번하여 배치되고, 제2 방향의 측면으로도 적어도 하나의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부착 구비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성이 N극이면 제2 극성은 S극이 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극성이 S극이면 제2 극성은 N극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커넥터당 4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과 4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을 채용한 일 예를 들었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대면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하는 경우,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됨에 따라,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가 전기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도넛형의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의 홀 부분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소정 각도로 비트는 외력이 발생하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변동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비트는 외력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동일한 극성의 마그넷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서로 미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자석 RF 커넥터에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힘은 극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결합된 상태의 기계식 자석 RF 커넥터는 제2 방향의 A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극이 8개인 경우이고, 동일한 조건에서 극이 4개인 경우와 단극인 경우에 대해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 간에 발생하는 인력을 실험적으로 측정해보면, 극의 개수가 많은 편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힘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F 커넥터의 설계자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마그넷의 개수를 조절하여 RF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력이 목적에 따라 적합한 RF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의 RF 커넥터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구조의 마그넷(140) 및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의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그 구조와 역할들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제1 커넥터(100)는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의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복수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고, 제3 방향의 측면으로도 적어도 하나의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부착되어 구비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의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은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241)과 복수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243)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하고, 제3 방향의 측면으로도 적어도 하나의 제1 극성의 마그넷(14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극성의 마그넷(143)이 부착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성이 N극이면 제2 극성은 S극이 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극성이 S극이면 제2 극성은 N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은 X축, 제2 방향은 Y축, 제3 방향은 Z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로 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커넥터당 4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과 4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을 채용한 일 예를 들었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제1 커넥터(100)보다 제1 방향 상에 더 많은 개수의 마그넷(141, 143)으로 구비된 제1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대면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하는 경우,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됨에 따라,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가 서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도넛형의 제1 구조의 마그넷(140)의 홀 부분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소정 각도로 비트는 외력이 발생하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변동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비트는 외력에 의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동일한 극성의 마그넷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서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1 시그널 컨덕터(110)와 제2 시그널 컨덕터(21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힘은 마그넷을 밀착 커버하는 차폐 구조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조의 마그넷(140)과 제2 구조의 마그넷(240)이 부착되는 면 이외의 적어도 다른 한 면에 차폐 구조물(160)을 구비하는 경우,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지 않았을 때보다 자성의 힘이 더 커질 수 있다.
일 예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탑재된 마그넷의 개수와 구조가 동일한 경우, 각 커넥터의 외곽 둘레에 차폐 구조물을 구비했을 때와, 구비하지 않았을 때에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 간에 발생하는 인력을 실험적으로 측정해보면, RF 커넥터의 외곽 둘레에 차폐 구조물을 구비한 경우가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대면하는 마그넷 간에 발생하는 자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F 커넥터의 설계자는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마그넷을 밀착 커버하는 차폐 구조물의 커버 정도를 조절하여 RF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결합력이 목적에 따라 적합한 RF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RF 커넥터 간의 탈부착 부위에 구비된 마그넷을 밀착 커버하는 차폐 구조물이 상기 마그넷을 밀착 커버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자성에 기초하여, 소정 범위의 결합력을 구현하는 RF 커넥터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폐 구조물은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 및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밀착 커버될 수 있다.
도 12는 차폐 구조물이 마그넷(140, 240)의 각 바닥면만 밀착 커버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차폐 구조물이 마그넷(140, 240)의 각 바닥면 및 내주면을 밀착 커버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차폐 구조물이 마그넷(140, 240)의 바닥면 및 외주면을 밀착 커버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차폐 구조물이 마그넷(140, 240)의 바닥면, 내주면 및 외주면을 밀착 커버한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차폐 구조물의 재료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투자율이 높은 자성 재료, 구체적으로 투자율이 높으면서 자석의 자기력선을 차폐, 반사시킬 수 있는 자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차폐 부재는 탄소강판(예, S45C 등), 스테인레스 스틸판(stainless steel sheet)(예, SUS430, SUS304 등), 쾌삭강판(예, SUM21, SUM22 등), 냉간압연 강판(cold rolled carbon steel sheet, SPCC), 열간압연강판(hot rolled carbon steel sheet), 규소 강판 등과 같은 강판이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을 니켈, 아연, 구리 등의 (준)금속 또는 합금으로 전해 도금하거나 또는 무전해 도금하여 얻은 도금 강판도 자기 차폐 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금 강판의 예로는 냉연아연도금 강판, 열연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 갈바늄 도금 강판(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sheets), 용융아연도금강판, 전해 니켈 도금 강판, 무전해 니켈 도금 강판, 구리 도금 강판 등이 있다. 상기 도금 강판의 도금층은 단층이거나 복수층일 수 있다.
또한, 차폐 구조물은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방법의 예로는 크로메이트(chromate) 처리, 인산염 피막 처리(예, 삼인산염 피막 처리), 인산크로메이트 처리 등과 같은 화성 처리; 조화(粗化) 처리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표면 처리된 차폐부는 표면 에너지의 증가로 열융착 접착층과의 접착력이 증가한다.
일례로, 자기 차폐 부재가 니켈 도금 강판, 전해 니켈 도금 강판 및 무전해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상기 강판의 표면은 크로메이트(chromate)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열융착 접착층과의 접착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내식성도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차폐 구조물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차폐 구조물은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의 바닥면 또는 윗면에만 배치되거나,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의 의 측면 및 바닥면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를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 최외곽 표면상에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자석 주위의 자기장을 차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자기력의 크기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의하면,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탈부착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제품 불량인 경우, 또는 결합력을 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구조의 마그넷 및 제2 구조의 마그넷 부분만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다. 즉, RF 케이블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제1 구조의 마그넷 및 제2 구조의 마그넷 부분만 제거하여 다른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탈부착 기능의 불량을 극복하거나, 커넥터 간의 결합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커넥터로부터 마그넷을 제거하고 다시 끼워넣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마그넷의 적어도 일면을 밀착 커버하는 차폐 구조물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제2 구조의 마그넷의 바닥면에만 차폐 구조물이 구비되었다면, RF 커넥터의 차폐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교체를 통해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제2 구조의 마그넷이 서로 부착되는 면 이외의 전면을 밀착 커버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활용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따르면, 유사시 전쟁 등의 환경에서 통신장비를 이용하는 군인들이 다급한 상황에서 통신장비를 교체하거나 변경해야 할 경우,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의 탈착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파트나 건물 등에 시공되는 통신케이블에 대해서는 차후 발생하는 케이블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 변경을 용이하게 실행 가능하면서도, 문제의 케이블을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RF 커넥터 단위로 해결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RF 커넥터를 탑재하고자 하는 통신설비와 장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목적에 부합하는 결합력을 갖도록 구현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하며 차폐 기능을 갖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말단의 일부에 제1 구조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말단의 일부에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대면하는 부위의 극성이 서로 반대로 대응하는 제2 구조의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 간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말단이 상기 제1 커넥터의 말단과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이 서로 부착되는 면 이외의 적어도 다른 한 면에 구비되는 차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말단의 단면을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시그널 컨덕터;
    상기 제1 시그널 컨덕터를 에워싸는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 일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말단의 단면을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시그널 컨덕터;
    상기 제2 시그널 컨덕터를 에워싸는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 일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이 인력에 의해 부착되면 상기 제1 시그널 컨덕터와 상기 제2 시그널 컨덕터가 서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컨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단면 전체가 제1 극성의 마그넷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구조는 단면 전체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의 마그넷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제1 극성의 마그넷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의 마그넷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제1 극성의 마그넷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의 마그넷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상기 제1 극성의 마그넷과 복수개의 상기 제2 극성의 마그넷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상기 제1 극성의 마그넷과 복수개의 상기 제2 극성의 마그넷이 제1 방향의 측면으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1 극성의 마그넷과 복수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이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에서 교번하여 배치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구조는 단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상기 제1 극성의 마그넷과 복수개의 제2 극성의 마그넷이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에서 교번하여 배치되어 다극착자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방향은 X축 방향, 상기 제2 방향은 Y축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Z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9. 제 6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과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의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인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변동함에 따라 발생된 척력에 의해 분리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탄소섬유(Carbon Fiber),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카본블랙 (Carbon Black), 그래핀(Graphene), 알루미늄, 티타늄, 아연, 철, 니켈, 크롬, 코발트, 구리, 은 및 금 중 어느 하나의 재료 또는 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상기 제1 구조의 마그넷 및 상기 제2 구조의 마그넷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밀착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PCT/KR2022/015531 2021-10-13 2022-10-13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WO20230637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97 2021-10-13
KR1020210135597A KR102592297B1 (ko) 2021-10-13 2021-10-13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755A1 true WO2023063755A1 (ko) 2023-04-20

Family

ID=8598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531 WO2023063755A1 (ko) 2021-10-13 2022-10-13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2297B1 (ko)
WO (1) WO202306375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354A (ja) * 1996-08-0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KR20070115619A (ko) * 2006-06-02 2007-12-06 빈센트 제이. 리 동축케이블용 자석식 커넥터
KR101412679B1 (ko) * 2013-11-08 2014-06-27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틱 커넥터를 구비한 전원공급시스템
KR101723045B1 (ko) * 2015-09-18 2017-04-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975674B1 (ko) * 2016-11-28 2019-05-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535B2 (en) 2015-12-31 2018-07-17 Catch Latch, Llc Mechanical magnetic connector structure
KR102247381B1 (ko) 2019-07-30 2021-05-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Rf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354A (ja) * 1996-08-0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KR20070115619A (ko) * 2006-06-02 2007-12-06 빈센트 제이. 리 동축케이블용 자석식 커넥터
KR101412679B1 (ko) * 2013-11-08 2014-06-27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틱 커넥터를 구비한 전원공급시스템
KR101723045B1 (ko) * 2015-09-18 2017-04-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975674B1 (ko) * 2016-11-28 2019-05-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297B1 (ko) 2023-10-20
KR20230052481A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5540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WO2012074224A1 (en) Camera module
WO2017150909A1 (ko)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16072779A1 (ko) 무선충전기용 송신장치
WO2018159928A1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A2714840A1 (en) Magnetically enhanced electrical signal con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WO2020013548A1 (ko) 케이블 전지를 구비한 데이터 케이블 장치
WO2017105074A1 (ko) 전자기기의 컨택터 결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WO2017086604A1 (ko) 분리형 변류기
WO2019045368A1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42350A1 (ko) 휴대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커버 일체형 안테나모듈
WO2020262976A2 (ko)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 이를 포함하는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
WO2023063755A1 (ko) 차폐 구조물을 구비하는 rf 커넥터
WO2019208983A1 (ko) 회전형 연결부용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WO2018097672A1 (ko) 회전이 가능한 커넥터
WO2020138938A1 (ko) 변압기
WO2023063756A1 (ko) 기계식 자석 rf 커넥터
WO2022169306A1 (ko) 안테나 모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휴대 단말용 케이스
WO2019027197A1 (ko) 단일 코일 고정체를 가지는 개량된 고전압 발전기
WO2023113506A1 (ko) 마그넷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rf 커넥터
WO2023113513A1 (ko) 코어 마그넷을 구비하는 마그넷 모듈 및 이를 채용하는 rf 커넥터
WO2021158041A1 (ko) 케이블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15111975A1 (ko) 전기장 흡입 효과를 가지는 다면체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WO2023211136A1 (ko) 전력변환장치용 계자 유니트
WO2020096344A1 (ko)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13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