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3620A1 -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3620A1
WO2023063620A1 PCT/KR2022/014321 KR2022014321W WO2023063620A1 WO 2023063620 A1 WO2023063620 A1 WO 2023063620A1 KR 2022014321 W KR2022014321 W KR 2022014321W WO 2023063620 A1 WO2023063620 A1 WO 20230636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ffle plate
flow
contaminated water
impeller
horizontal ba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43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기성
한상훈
최한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코
Publication of WO20230636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36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66C1/08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8Manually-movable jib cranes for use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loating layer of water surface such as oil.
  • An oil spill is the release of liquid petroleum hydrocarbons into the environment as a result of unintentional human activity.
  • 'Oil' may be refined oil, including crude oil, refined petroleum products (gasoline, diesel, etc.), or by-products, bunker oil from ships, and oily waste. Oil spills can take months or even years to clean up.
  • an emulsifier or absorbent is put into the sea, or a removal method using an absorbent cloth or an automated water dewatering device is used.
  • automated oil-water separation methods include weir skimmer, oleophilic skimmer, conveyor skimmer, centrifugal skimmer, and mobile skimmer. And fixed (ship-mounted) skimmers, vacuum skimmers, etc. are known, and all of these devices are installed and used on large ships.
  •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for efficiently responding to small-scale oil spill accidents.
  • a contaminated water inlet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ull to receive contaminated water
  •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 an anti-splashing film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n upstream portion of the impeller in the impeller housing
  • a discharge unit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torage unit, at a side opposite to the inlet of the contaminated water, or at a lower end opposite to the inlet of the contaminated water, and discharging the water separated down by the difference in density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 a buoyancy device connected to or part of the reservoir
  • the hull and buoyancy device have a buoyancy set so that the impeller is 40 to 60% submerged
  • a first flow separator plate installed between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and the storage unit and having a shape that is installed at a height of sea level, extends backward, and then extends downward again.
  •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loating surface layer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 an automated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for efficiently responding to small-scale oil spill acciden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abov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blique view from belo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vie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left side view of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A is a more simplified view of the inlet 20 compared to FIG. 1 .
  • FIG. 10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0A.
  • FIG. 11 is a top view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b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part.
  •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fluid inside the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low separator 1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16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pocket groove 3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it further includes a first vertical baffle plate installed rearward of the first flow separator plate, wherein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has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 an upper horizontal baffle having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oil is further included behind the first vertical baffle.
  •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ocket groove and flow in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and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The fluid is configured to flow upward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 a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having a second filter having a finer mesh than the first filter is further included below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and water flows to the bottom of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It is discharged.
  • the area of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is 1.5 times or more than the area of the fluid inlet in front of the flow separator plate.
  •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flow separator plate,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 a second flow separation plate extending rearwardly is further provided above the first flow separation plate.
  • a fluid movement path leading to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and a fluid movement path leading to the low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are separated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so that the upper opening
  • the flow path of fluid following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is configured to flow upwardly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and the fluid movement path leading to the lower opening passes through the pocket groove and flows downward to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above.
  • a contaminated water inlet (20; contaminated water recovery unit)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movable hull (10). Behind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20 is a storage unit 40 in which the introduced contaminated water is stored.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20 of the hull 10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40 are connected.
  • the wat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sean body 10 i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the water surface is within the height range of the inlet 21, so that contaminated water can flow in as the hull 10 advances, and this inlet 21 can float in the contaminated water.
  • a filtering means 22 is included to prevent the ingress of oversized solids.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blique view from belo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pellers 30-1 and 30-2 are means for moving the hull 10 of the device back and forth. Although two are shown, the number can be adjusted as needed.
  • the impellers 30-3 and 30-4 are means for moving the hull 10 of the device left and right. Also, although two are shown, the number can be adjusted as needed.
  • the outlet 50 (discharge unit) is a portion through which oil is separated from the introduced contaminated water and remaining water is discharged.
  • the discharge port 5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10, bu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side,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or at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if necessary.
  •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ltering means 22 is visible in the front and the impeller 31 behind it.
  • the entire surface of the impeller 31 is not visible, and the upper part is slightly covered with an anti-splash film 32.
  • the impeller 31 is exemplified as a means for inflow/recovery of flowing water (water and oil) from the inlet, but the use of the impeller 31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other methods using a pump or the like are not necessarily limited. yes it is possible
  •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20 (contaminated water recovery unit) is visible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since it is viewed from above, structures such as the filtering means 22, the inlet 21, and the impeller 31 are hard to see.
  • both outer walls (left and right of the hull) of the storage unit 40 may include buoyancy bodies that provide buoyancy. Buoyancy may be provid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rage unit 40 or may be provid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unit 40 . 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some buoyancy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reservoir 40.
  • the impeller 31 As for the degree of buoyancy, it is appropriate for the impeller 31 to be half submerged. Half doesn't mean exactly 50%, it could be 40-60%. In some cases, it may be 30-70% submerged. Thus, the contaminated water appropriately moves toward the storage unit 40 inside the hull 10 due to the action of the impeller 31 half submerged in water.
  • impellers 30-1, 30-2, 30-3, and 30-4 that exert propulsive force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ull are submerged in water. Only the inlet impeller 31 disposed near the inlet 20 is submerged in about half of the water surface.
  • FIG. 6 is a bottom vie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20 (contaminated water recovery unit)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impellers 30-1, 30-2, 30-3, and 30-4 can be confirmed.
  • Figure 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20 (contaminated water recovery unit)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sidewall of the storage unit 40 and the impellers 30-2, 30-3, and 30-4 can be confirmed.
  • FIG. 8 is a left side view of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20 (contaminated water recovery unit)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sidewall of the storage unit 40 and the impellers 30-1, 30-3, and 30-4 can be confirmed.
  • FIG. 9 a pipe 33 surrounding the impeller 31 is show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let 20 and the storage 40 are connected through the pipe 33 .
  • illustration of the filtering means 22 is omitted.
  • the impeller 31 is a structure for inflow (recovery) of contaminated water, which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motor 31M.
  • the position of the motor 31M shown in FIG. 9 is an example, and other positions are also possible.
  • the impeller 31 is to introduce (recover) contaminated water, but in other words,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oil on the sea level is pushed down and sent back. In this case, the closer the impeller 31 is to the recovery start point, the faster the contact between the effluent oil and the impeller 31 on the front of the hull 10 is possible and the recovery speed is improved.
  • FIG. 10A is a more simplified view of the inlet 20 compared to FIG. 1 .
  • the filtering means 22 is omitted compared to FIG. 1,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mpeller 31 is omitted only as a drawing in order to make it more visible, and if necessary, the filtering means 22 is actually It is okay to increase the inflow efficiency by not installing it.
  • an anti-splashing film 32 is installed at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impeller 31.
  • FIG. 10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0A.
  • the buoyancy of the hull 10 is adjust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water is about the middle of the impeller 31. That is, water is not submerged above the rotational axis of the impeller 31, and water is submerged below the rotational axis.
  • the impeller 31 introduces the contaminated water and sends it toward the storage unit 40, and the inflow water may splash out near the top of the water surface (ie, the upper half of the impeller).
  •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inlet side of the pipe 33 (impeller housing) in which the impeller 31 is installed is covered with an anti-splashing film 32.
  • This prevention film 32 serves to prevent the inflow water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housing 33 from being splashed outward (ie, in the +X direction) by the impeller 31 . Through this operation, the efficiency of inflow (recovery) of oil-water (contaminated water) can be increased.
  • FIG. 11 is a top view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peller housing 33 is also shown in a cross section cut in half, and the impeller 31 is accommodated therein. Two impellers 31 and two housings 33 are shown, the number of which can be changed as needed, bu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mpeller 31 and the housing 33 are each one, the case of two as shown in FIG. 11a will be more efficient in flow inflow.
  • Figure 1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b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part.
  • FIG. 12A From left to right in FIG. 12A, there are a flow separator 1000, a vertical baffle plate 2000, and an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A pocket groove 3000 connecting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and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is formed.
  •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refers to a wall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2000 (a front wall as a device) and a wall on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2000 (a rear wall as a device).
  • a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is formed below the flow separator 1000,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the pocket groove 3000, and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 the storage unit 40 shown in FIG. 1 roughly corresponds to are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2000, 3000, 4000, and 5000 in FIG. 12A (including the space above reference numeral 4000).
  • reference numeral 1000 and its vicinity may also be regarded as the storage unit 40 in a broad sense in the sense of the inside of th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b shows in detail the parts generally indicated in Figure 12a.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using FIG. 14 and the like.
  •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fluid inside the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low F0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evice.
  • the flow (F0) is introduced by the impeller according to FIG. 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mpeller, and other means may be used instead of the impeller, and the flow (F0) is only the flow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without any means ) can also be assumed.
  • flows F1 and F3 move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rear as a device) through the upper opening as flows F5 and flow F6 ) leads to Further, flow F4 moves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rearward as a device) through the opening in the lower portion, leading to flow F9.
  • a part of the flow F6 may become the flows F7 and F8 and linger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vertical baffle plate and the rear vertical baffle plate.
  • this eddy does not continue, and after some time, the oil will float up and the water will sink down. After that, it can be flow F10.
  • the flow F4 directed downward in the vicinity of the flow separator 1000 passes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vertical baffle plate and becomes a flow F9 and again passes through the pocket groove 3000 to become a flow F11.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area of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see Fig. 12A) continues as a flow F10 through the opening in the upper part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rear side of the device).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area of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see FIG. 12A) continues as a flow F11 through the pocket groove 3000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rear side of the device).
  • Flow F10 flows like flows F12 and F13 and enters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see FIG. 12A).
  • the flow F11 passing through the pocket groove 3000 also enters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After the streams F11 and F13 pass the upper horizontal baffle, they become streams F14 and flow downward.
  •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flows (F6, F7, F8, F9) and generally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device (right side of the drawing), but at the same time, running water (water mixed with oil) flows with oil. Separation is performed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in such a way that the oil floats on top and the water stays at the bottom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is a filter that primarily filters oil
  •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is a filter that additionally filters oil with a finer filter.
  • the flows F15, F16, F17, and F18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are water with almost no oil.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low separator 1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FIG. 14 shows two large fluid flows flowing through the inlet (circled part), and the upper flow (FU; red solid line) corresponds to 'F0 - F1 - F5 - F6' in FIG. 13 am.
  • the flow (FD; blue solid line) in the lower part is a flow corresponding to 'F0 - F2 - F3 - F5 - F6' in FIG. 13 .
  • the flow FD of the lower part represents the flow of fluid in general recovery (inflow), and when the apparatus moves forward and performs recovery (inflow), the flow of fluid in the upper part is added to increase oil inflow.
  • the first flow separator 1000-1 and the second flow separator 1000-2 that create the upper flow FU and the lower flow FD,
  • the upper flow (FU) and the lower flow (FD) are separat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first flow separator 1000-1 at the bottom.
  • the first flow separator 1000-1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aminated water inlet and the storage unit, and has a shape that is installed at the sea level, extends backward, and then extends downward again.
  • the height of sea level is shown in FIG. 13 .
  • it is said to be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t can be somewhat difficult to specify the exact location because the sea level is always fluctuating to some extent.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as approximately the height of sea level. Or, assuming a case where the sea level is still because it is very calm, it will be possible to think about the height of the sea level ⁇ 10 mm.
  • FIG. 13 it may be considered as an embodiment that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flow separator 1000-1 is located at about -10 mm to -20 mm from the sea level.
  •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of FIG. 12A is specifically composed of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1 and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2 of FIG. 15 .
  •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1 has openings at the top and bottom.
  • the upper opening may have a slit shape as shown in FIG. 15 .
  • the flow separator 1000 primarily lowers the fast flow rate, and also serves to filter out large garbage.
  • the flow passing through the slit-shaped upper opening shown in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1 is indicated as a flow F5 in FIG. 13, and the flow pass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shown in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1 is shown in FIG. It is marked F4 (exactly just before passing the lower opening).
  • the barrier rib 2000-3 is formed horizontally and serves to divide an upper region from a lower region. That is, the partition wall 2000-3 separates flows F7 and F8 from flows F9 in FIG. 13 .
  •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leading to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2000-1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leading to the low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2000-1 are divided into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2000-3 ) is separated by Accordingly, the flow path of fluid leading to the upper opening is configured to flow upwardly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and the moving path of fluid leading to the lower opening passes through the pocket groove 3000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It is configured to flow into
  • 16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pocket groove 3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16 shows a pocket groove 3000 and an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low separator plates 1000-1 and 1000-2 and vertical baffle plates 2000-1 and 2000-2 , The partition wall 2000-3 is not shown.
  • the equipment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ertain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water to flow into the storage unit and float horizontally on the sea level.
  • the pocket home 3000 is manufactured to shorten the time,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when equipment is withdrawn from the sea.
  • the distilled oil can move through the pocket groove 3000, and at this time, it is designed so that the oil can be filtered through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2000-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ocket groove 3000 and flow in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see FIGS. 17 and 13), It will be seen through FIGS. 13 and 17 that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vertical baffle plate 2000-1 is configured to flow upward into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see FIG. 13). .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lters 1 to 3 are overlapped in three layers, and the filter fixing plates 1 to 3 are sandwiched between them.
  •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is formed by covering the entirety of the lid 4000-1 and the filter storage container 4000-8.
  •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itself can be treated as a filter, and is the first filter to pass through when recovering oil. do.
  •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uses a mesh net having relatively large holes compared to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of FIG. 12A in more detail.
  •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is formed by covering the entire lower plate lid 5000-1 and the lower lower plate 5000-7.
  • the filter scale level of the filter 1 (4000-3), filter 2 (4000-5), and filter 3 (4000-7) of the upper horizontal baffle plate 4000 described in relation to FIG. 18 is related to FIG. 19.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les of the filters of the filters 5000-3 and 5000-5 of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described above are made finer (more dense). Among them, the filter 2 (5000-5) of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may be a finer (more dense) mesh than the filter 1 (5000-3).
  • the lower horizontal baffle 5000 itself can be treated as a filter, and is a section for filtering fine (small particle) oil layers that have not been filtered out by the upper horizontal baffle 4000. It is better to use a finer (more dense) mesh than in . As this is the finest filter, smooth water circulation may be difficult. Therefore, the lower horizontal baffle plate 5000 needs a filter area that is about 1.5 times greater than the flow area (inlet area) flowing in from the equipment.
  • the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S. 1 to 19, particularly FIGS. 12A to 19, is an oil-water separation storage solution that can separate oil and water from oil spilled into the sea in real time and collect only oil. provides
  • the storage unit may be supplied with oil and water through a pump.
  • the impeller 31 is exemplified as a means for inflow/recovery of running water (water and oil) from the inlet, but the use of the impeller 31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for example, a pump or the like Examples of using it are also possible.
  • a problem with existing skimmers is that the spilled oil generated in the ocean is not separated in real time and moved to the storage tank together with the seawater, so waste with a fairly high moisture content is generat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il-water separation rate Since this is high, the moisture content is also low, so the conventional problems can be solv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through which contaminants can ente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exits, and oil-water separation is possible without the need for complicated instruments and systems. .
  • the use of the flow separator 1000 enables smooth recovery when stopping and moving the equipment.
  • the inflow as shown in the flow (FD) of FIG. is added to increase the oil inflow.
  •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By using the vertical baffle plate 2000,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flow of garbage entering the inside is reduced.
  • the metal mesh mesh coupled to the horizontal baffle plates (4000, 5000) does not significantly disturb the overall flow inside the storage unit and can bounce off oil droplets of a certain size, allowing for real-time oil-water separation while sucking in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of an automated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device for efficiently responding to small-scale oil spill accid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오염수를 상기 선체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임펠러 하우징; 상기 임펠러 하우징 중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류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튀김 방지막; 상기 저장부에서 하단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저장부의 일부인 부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선체 및 부력 장치는 상기 임펠러가 40~60% 잠기도록 설정된 부력을 가진다.

Description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본 발명은 기름 등의 수면 부유층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나 호수 등의 수면에 오일(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방제 작업을 하여 오일이 넓게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기름 유출은 액체 석유탄화수소를 고의가 아닌 인간의 활동의 결과로 주변환경에 유출하는 것을 말한다. '기름'은 원유를 포함하여 정제된 기름,정제된 석유제품(가솔린,디젤 등),또는 부산물,배의 벙커유,유성의 폐기물이 될 수도 있다. 유출된 기름은 정화에 여러 달에서 여러 해가 걸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유화제나 흡습제가 해상에 투입되거나,흡착포를 이용한 제거 또는 자동화된 유수기를 이용한 제거 방법 등이 사용된다
일예로, 이러한 방제작업을 할 때는 오일이 유출된 부위의 둘레부에 오일펜스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오일펜스의 내부에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사각형의 흡착포를 던져서 흡착포가 오일을 흡수하도록 한 후, 수작업으로 흡착포를 수거하는 방법을 통해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방제작업을 할 경우, 오일이 유출된 부위에 정확히 흡착포를 던져 넣어야 함으로,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오일을 흡수한 흡착포를 작업자가 수거하여야 하므로, 수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와 같이, 작업자가 흡착포를 수작업으로 수거할 때, 작업자가 오일에 노출되며, 특히, 작업자가 오일에서 증발된 유증기를 흡입하여 건강에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양방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해양방제장치는 큰 선박에 설치되어 사용됨으로, 이동이 불편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해양방제장치는 선박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선박을 오일의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사람이 육안으로 멀리 떠있는 오일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제어하는 방제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육안으로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선박을 운전할 경우, 운전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됨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방제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흡착포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자동화된 유수 분리 방식은 위어식 유회수기(Weir Skimmer), 흡착식 유회수기(Oleophilic Skimmer), 컨베이어식 유회수기(Conveyor Skimmer), 원심력식 유회수기(Hydro-Dynamic Skimmer), 이동식 및 고정식(선박 장착형) 유회수기,진공식 유회수기(Vacuum Skimmer) 등이 알려져 있는데,이들 장치는 모두 대형 선박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국내에서의 기름 유출 사고는 연 평균 270여회 발생하고 유출되는 기름의 양은 70만L(리터)에 달한다. 대부분의 기름 유출은 100L 이하의 작은 규모 사고이며,이는 전체 사고의 빈도수의 70%를 차지한다. 문제는 기존의 자동화 장비들은모두 고가의 대형 장비로 기름 유종에 따라 다른 장비를 써야 한다는 이유로 대형 기름 유출 사고에 주로 사용되고 작은 규모의 사고는 모두 재래식 노동집약형 작업의 흡착포 작업이 다수를 이룬다.
그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제자들에게 기름냄새,두통,허리 통증 등의 산업재해가 발생되며 자연스럽게 노동시간은 늘어나 초동 대처가 힘들어지며 폐기물의 양은 늘어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나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규모 기름 유출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로서,
선체;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오염수를 상기 선체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임펠러 하우징;
상기 임펠러 하우징 중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류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튀김 방지막;
상기 저장부에서 하단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저장부의 일부인 부력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 및 부력 장치는 상기 임펠러가 40~60% 잠기도록 설정된 부력을 가지며,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해수면의 높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제1 흐름 분리판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규모 기름 유출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위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아래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전면에서 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후면에서 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아래에서 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우측에서 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좌측에서 본 것이다.
도 9는 유입부(20) 부근의 측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1에 비하여 유입부(20) 부분이 더 단순화되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의 단면도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2b는 동일한 부위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내부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a의 흐름 분리판(1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a의 수직 방해판(2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도 17은 도 12a의 포켓 홈(3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2a의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a의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흐름 분리판보다 후방에 설치된 제1 수직 방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은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직 방해판보다 후방에, 기름을 거르기 위한 제1 필터를 갖는 상부 수평 방해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하부 개구를 통해 흐른 유체는, 포켓 홈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의 측하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상부 개구를 통해 흐른 유체는,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상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하방에, 상기 제1 필터보다 더 촘촘한 메시망을 갖는 제2 필터를 갖는 하부 수평 방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의 하부로 물이 배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의 면적은, 상기 흐름 분리판 앞에 있는 유체 유입구 면적의 1.5배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은, 상기 제1 수직 방해판과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은, 상기 제1 흐름 분리판과 상기 제1 수직 방해판과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흐름 분리판의 상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흐름 분리판을 추가로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상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와,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하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가, 수평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상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상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는 포켓 홈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의 측하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위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에서 이동가능한 선체(10) 의 전면에는 오염수 유입부(20; 오염수 회수부)가 배치된다. 오염수 유입부(20)보다 뒤에는 유입된 오염수가 저장되는 저장부(40)가 존재한다. 선체(10)의 오염수 유입부(20)와 저장부(40)의 내부는 연결되어 있다.
션체(10)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은 유입구(21)의 높이 범위 내에 있게 되어 선체(10)의 전진에 따라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유입구(21)에는 오염수에 부유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고형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여과 수단(22)이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아래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임펠러(30-1, 30-2)는 장치의 선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2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임펠러(30-3, 30-4)는 장치의 선체(1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 또한, 2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배출구(50; 배출부)는, 유입된 오염수 중에서 기름이 분리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는 부분이다. 도 2에서는 배출구(50)가 선체(10)의 하부에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뒷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뒷면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하면의 뒷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전면에서 본 것이다.
전면에 여과 수단(22)이 보이고 그 뒤에 임펠러(31)가 보인다. 임펠러(31)는 그 전체면이 보이지는 않고 윗부분은 물튀김 방지막(32)으로 약간 가려져 있다.
그리고, 아래에는 전술한 전진 및 후진용의 임펠러(30-1, 3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유입부에서 유수(물과 기름)을 유입/회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임펠러(31)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임펠러(31)의 사용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펌프 등을 사용하는 다른 예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후면에서 본 것이다.
여기에서도, 도면의 아래에, 전술한 전진 및 후진용의 임펠러(30-1, 3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면의 우측에 오염수 유입부(20; 오염수 회수부)가 보이며, 위에서 본 것이어서 여과 수단(22)이나, 유입구(21), 임펠러(31) 등의 구조물은 잘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저장부(40)가 도시되어 있는데, 저장부(40)의 양쪽(선체의 좌우) 외벽은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은 저장부(40)의 좌우측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저장부(40)의 하부측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저장부(40)의 좌우측 및 하부측에서 모두 약간씩의 부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부력의 정도는 임펠러(31)가 절반 정도 잠기게 하는 것이 적당하다. 절반이 정확히 50%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40~60% 정도일 수 있다. 때에 따라서는 30~70% 정도 잠길 수도 있다. 그리하여, 물에 반쯤 잠긴 임펠러(31)의 작용으로 오염수가 적절히 선체(10) 내부의 저장부(40) 쪽으로 이동한다.
물론, 선체의 전후 좌우 이동을 위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임펠러(30-1, 30-2, 30-3, 30-4)는 전부 물에 잠겨 있다. 유입부(20) 근방에 배치된 유입용의 임펠러(31)만이 대략 수면에 절반 정도 잠기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아래에서 본 것이다.
오염수 유입부(20; 오염수 회수부)가 도면의 우측에 보이며, 임펠러(30-1, 30-2, 30-3, 30-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우측에서 본 것이다.
오염수 유입부(20; 오염수 회수부)가 도면의 우측에 보이며, 저장부(40)의 측벽, 임펠러(30-2, 30-3, 30-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를 좌측에서 본 것이다.
오염수 유입부(20; 오염수 회수부)가 도면의 좌측에 보이며, 저장부(40)의 측벽, 임펠러(30-1, 30-3, 30-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유입부(20) 부근의 측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임펠러(31)를 감싸고 있는 파이프(33)가 도시되어 있고, 이 파이프(33)를 통해 유입부(20)와 저장부(40)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여과 수단(22)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임펠러(31)는 오염수의 유입(회수)를 위한 구조물이며, 이는 모터(31M)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모터(31M)의 위치는 일예이며, 다른 위치도 가능하다.
임펠러(31)는, 오염수를 유입(회수)하는 것인데, 달리 말하면, 해수면에 있는 기름을 아래로 눌러 뒤로 보낸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수 시작 지점에 임펠러(31)가 가까울수록, 선체(10)의 전면부에 있는 유출유와 임펠러(31)가 더 빠르게 접촉이 가능하게 되면서 회수 속도가 향상된다.
즉, 선체(10)가 전진하면서 유출유(오염수)를 회수할 때, 임펠러 하우징(33; 파이프)에서의 유입물(즉, 바닷물+유출유)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임펠러(31) 및 임펠러 하우징(33)의 위치를 전진시키고 불필요한 전면부를 제거함으로써 정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1에 비하여 유입부(20) 부분이 더 단순화되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a는 도 1에 비해 여과 수단(22)이 생략되어 있는데, 임펠러(31)가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도시상으로만 생략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실제로 여과 수단(22)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유입 효율을 높이도록 해도 무방하다.
도 10a에서 임펠러(31)의 앞 상단부에는 물튀김 방지막(3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수면은 임펠러(31)의 중간 정도가 되도록 선체(10)의 부력이 조정된다. 즉, 대략 임펠러(31)의 회전축 위는 물이 잠겨 있지 않고, 회전축 아래는 물에 잠겨 있는 모습이 될 것이다.
이 때, 임펠러(31)는 오염수를 유입하여 저장부(40) 쪽으로 보내는데, 수면 위쪽(즉, 임펠러의 위쪽 절반) 부근으로 유입수가 튀겨 나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펠러(31)가 설치된 파이프(33; 임펠러 하우징)의 입구쪽 상단 일부가 물튀김 방지막(32)으로 가려져 있다. 이러한 방지막(32)은 임펠러 하우징(33) 쪽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임펠러(31)에 의해 바깥(즉, +X 방향)으로 튀겨져 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유수(oil-water; 오염수)를 유입(회수)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즉, 임펠러(31)의 회전시에 선체(10)의 전방으로 물이 튀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유출유가 밀려나는 문제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펠러(31) 입구 상단의 20~30% 정도에 물튀김 방지막(32)을 결합함으로써 선체(10)의 전방에 존재하는 유출유 확산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20~30%는 바람직한 일예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40~50%까지 막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치의 단면도를 위에서 본 것이다.
임펠러 하우징(33)도 반으로 잘린 단면으로 나타나 있으며, 그 안에 임펠러(31)가 수용되어 있다. 임펠러(31)와 하우징(33)이 각각 2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갯수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으나, 임펠러(31)와 하우징(33)이 각각 1개인 경우에 비하면 도 11a과 같이 2개인 경우가 더 유수 유입의 효율이 더 좋을 것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2b는 동일한 부위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2a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가면서 흐름 분리판(1000), 수직 방해판(2000),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이 존재한다. 수직 방해판(2000)과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연결하는 포켓 홈(3000)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방해판(2000)은 엄밀하게는, 도시된 2000 중에서 도면상의 좌측에 있는 벽(장치로서는 앞쪽벽)과 도시된 2000 중에서 도면상의 우측에 있는 벽(장치로서는 뒤쪽벽)을 말한다.
또한, 흐름 분리판(1000), 수직 방해판(2000), 포켓홈(3000),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하부에는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저장부(40)는, 대략적으로 도 12a의 도면부호 2000, 3000, 4000, 5000으로 표시된 영역에 해당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도면부호 4000 위의 공간도 포함). 물론, 도면부호 1000과 그 부근 영역도, 본 발명의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내부라는 의미에서, 넓게 보면 저장부(40)로 볼 수도 있다.
도 12b는 도 12a에서 개괄적으로 표시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등을 이용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내부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흐름(F0)와 같이, 장치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흐름(F0)는 도 1 등에 의하면 임펠러에 의해 유입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임펠러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임펠러 대신에 다른 수단이라도 좋고, 어떠한 수단도 없이 단지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진행에 따른 흐름만으로 흐름(F0)이 생성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흐름 분리판(1000; 도 12a 참조)에서는, 상부의 흐름(F1)은 곧바로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하부의 흐름(F2)은 일단 하부를 향했다가 그 중의 일부는 위(F3)로, 다른 일부는 아래(F4)로 이동한다.
또한, 수직 방해판(2000)으로의 유체 흐름 유입을 보면, 흐름(F1)과 흐름(F3)이 흐름(F5)로서 윗부분의 개구를 통해 도면의 우측(장치로서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흐름(F6)으로 이어진다. 또한, 흐름(F4)이 아래부분의 개구를 통해 도면의 우측(장치로서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흐름(F9)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흐름(F6)의 일부는 흐름(F7, F8)이 되어 앞쪽의 수직 방해판과 뒤쪽의 수직 방해판 사이의 공간에서 맴돌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맴돌이가 계속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기름은 위로 부상하고 물은 아래로 가라앉는 식으로 진행이 될 것이다. 그 후에 흐름(F10)이 될 수 있다.
흐름 분리판(1000) 부근에서 아래로 향한 흐름(F4)는 수직 방해판의 하부 개구를 거쳐서 흐름(F9)가 되고, 다시 포켓 홈(3000)을 거쳐서 흐름(F11)이 된다.
요컨대, 수직 방해판(2000; 도 12a 참조) 영역을 지난 유체는 윗부분의 개구를 통해 도면의 우측(장치의 후방측)으로 흐름(F10)으로서 이어진다. 또한, 수직 방해판(2000; 도 12a 참조) 영역을 지난 유체는 포켓 홈(3000)을 통해 도면의 우측(장치의 후방측)으로 흐름(F11)으로서 이어진다.
흐름(F10)은 흐름(F12, F13)와 같이 흘러서 상부 수평 방해판(4000; 도 12a 참조)으로 진입한다. 또한, 포켓 홈(3000)을 지난 흐름(F11)도 상부 수평 방해판(4000)에 진입한다. 흐름(F11, F13)이 상부 수평 방해판을 지난 후에는 흐름(F14)가 되어 하방을 향하는 흐름이 된다.
수직 방해판(2000) 영역에서 유체는 흐름(F6, F7, F8, F9)을 거치면서 대체로 장치의 후방측(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지만, 그와 동시에 유수(기름이 섞인 물)는 기름과 물의 비중차에 의해서 기름이 위로 뜨고 물이 아래에 있는 식으로 비중차에 의한 분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비중차 분리는 흐름(F12, F13)으로 표시된 영역(수직 방해판(2000)과 상부 수평 방해판(4000) 사이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계속 행해지고 있다.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은 일차로 기름을 걸러주는 필터이며, 하부 수평 방해판(5000; 도 12a 참조)은 더욱 미세한 필터로 추가로 기름을 걸러주는 필터이다.
그에 따라,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을 통과한 흐름(F15, F16, F17, F18)은 기름이 거의 없는 물이다.
이하, 도 14~도 19를 통해서, 전술한 흐름 분리판(1000), 수직 방해판(2000), 포켓 홈(3000), 상부 수평 방해판(4000), 하부 수평 방해판(50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도 12a의 흐름 분리판(1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는 입구(원 부분)를 통해 유입되는 2가지의 큰 유체 흐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윗부분의 흐름(FU; 빨간 실선)은 도 13에서의 'F0 - F1 - F5 - F6'에 해당하는 흐름이다. 또한, 아랫부분의 흐름(FD; 파란 실선)은 도 13에서의 'F0 - F2 - F3 - F5 - F6'에 해당하는 흐름이다.
즉, 아랫부분의 흐름(FD)은 일반적인 회수(유입)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며, 장치가 전진하면서 회수(유입)을 행하면 윗부분의 유체의 흐름이 추가되어 기름 유입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처럼 유입부(회수부) 근방에 있어서 윗부분의 흐름(FU)과 아랫부분의 흐름(FD)을 만드는 것은 제1 흐름 분리판(1000-1)과 제2 흐름 분리판(1000-2)이며, 특히 이 중에서도 하부에 있는 제1 흐름 분리판(1000-1)의 존재로 인하여 상부의 흐름(FU)과 하부의 흐름(FD)이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흐름 분리판(1000-1)은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해수면의 높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해수면의 높이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해수면의 높이라고는 하였으나, 해수면은 항상 어느 정도는 출렁이고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기가 다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대략 해수면의 높이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매우 잔잔하여 해수면이 정지된 경우를 상정해 본다면, 해수면의 높이 ±10mm 정도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의 높이에서 -10mm~-20mm 정도에 제1 흐름 분리판(1000-1)의 수평 부분이 위치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생각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2a의 수직 방해판(2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의 수직 방해판(2000)은 구체적으로는 도 15의 수직 방해판(2000-1)과 수직 방해판(2000-2)로 구성된다.
수직 방해판(2000-1)은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갖는다. 상부의 개구는 도 15에서 보듯이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흐름 분리판(1000)에서 넘어오는 빠른 유속을 1차로 낮춰주며, 또한 큰 쓰레기들을 걸러주는 역할도 한다.
수직 방해판(2000-1)에 나타난 슬릿 형상의 상부 개구를 지나는 흐름은 도 13에서는 흐름(F5)으로 표시되어 있고, 수직 방해판(2000-1)에 나타난 하부 개구를 지나는 흐름은 도 13에서는 F4로 표시되어 있다(정확히는 하부 개구를 지나기 직전).
참고로, 격벽(2000-3)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격벽(2000-3)은 도 13에서 흐름(F7, F8)과 흐름(F9)를 분리해 준다.
즉, 제1 수직 방해판(2000-1)의 상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와, 제1 수직 방해판(2000-1)의 하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가, 수평 격벽(2000-3)에 의해 분리된다. 그에 따라, 상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는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상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하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는 포켓 홈(3000)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의 측하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수평 격벽(2000-3)에 의한 분리의 장점은 이하와 같다.
가장 하단으로 향한 흐름(F4, F9)에는 기름이 없을 확률이 높은데, 만약 수평 격벽(2000-3)이 없다면, 이 흐름(F4, F9)이 다시 흐름(F6, F7, F8)가 섞인 후에 다시 시간을 두고 비중차 분리를 행하게 될 것이다. 이는 비효율적이므로, 기름이 혼입되어 있을 확률이 낮은 아래쪽 흐름(F4, F9)에 대해서는 위쪽 흐름(F5, F6, F7, F8)과 별개의 경로를 지나게 만드는 것이다. 물론, 흐름(F4, F9)에 기름이 없을 확률이 높을 것일 뿐, 전혀 없는 것은 아니므로, 결국은 포켓 홈(3000)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측하방으로 진행(F11)하여, 필터링을 거쳐서 하부로 이동(F14)한다.
도 16, 도 17은 도 12a의 포켓 홈(3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포켓 홈(3000)과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이 도시되어 있고, 설명의 편의상, 흐름 분리판(1000-1, 1000-2), 수직 방해판(2000-1, 2000-2), 격벽(2000-3)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6, 도 17에서, 흐름(F9)이 흐름(F11)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흐름(F11)이 통과하는 부분이 포켓 홈(3000)이다. 포켓 홈(3000)을 사용하여 유동 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장비(본 발명의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바다에 투입할 때, 보관부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해수면에 수평을 이루며 떠 있기 위해서는 일정시간이 필요하다. 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포켓 홈(3000)을 제작하여 그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며, 장비를 바다에서 철수시킬 때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염물 회수시에 포켓 홈(3000)을 통해 유출유가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지나서 기름이 걸러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수직 방해판(2000-1)의 하부 개구를 통해 흐른 유체는, 포켓 홈(3000)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측하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도 17, 도 13 참조), 제1 수직 방해판(2000-1)의 상부 개구를 통해 흐른 유체는,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상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됨(도 13 참조)을, 도 13, 도 17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도 12a의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분해 사시도이다.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면, 도 18과 같이, 뚜껑(4000-1), 필터 고정판 1(4000-2), 필터 1(4000-3), 필터 고정판 2(4000-4), 필터 2(4000-5), 필터 고정판 3(4000-6), 필터 3(4000-7), 필터 보관통(4000-8)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1~3가 3중으로 겹쳐져 있고, 그 사이에 필터 고정판 1~3이 끼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뚜껑(4000-1)과 필터 보관통(4000-8)이 전체를 감쌈으로써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이 형성된다.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은 그 자체가 하나의 필터로 취급할 수 있으며, 기름 회수시 거치는 첫번째 필터이며, 뭉쳐 있는 기름들을 1차로 부상시켜 주는 역할 및 하부 필터로 내려가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부 수평 방해판(4000)에서는 하부 수평 방해판(50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멍이 큰 메시망을 사용한다.
도 19는 도 12a의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분해 사시도이다.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면, 도 19와 같이, 하판 뚜껑(5000-1), 필터 고정대 1(5000-2), 필터 1(5000-3), 필터 고정대 2(5000-4), 필터 2(5000-5), 필터 고정대 3(5000-6), 하부 하판(5000-7)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1, 2가 2중으로 겹쳐져 있고, 그 사이에 필터 고정대 1~3이 끼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판 뚜껑(5000-1)과 하부 하판(5000-7)이 전체를 감쌈으로써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8과 관련하여 설명한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필터 1(4000-3), 필터 2(4000-5), 필터 3(4000-7)의 필터의 눈금 수준보다, 도 19와 관련하여 설명한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의 필터(5000-3, 5000-5)의 필터의 눈금이 더 곱게(더 촘촘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의 필터 2(5000-5)는 필터 1(5000-3)보다 더 고운(더 촘촘한) 메시망일 수 있다.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은 그 자체가 하나의 필터로 취급할 수 있으며, 상부 수평 방해판(4000)에서 걸러지지 못한 고운(입자가 작은) 기름층들을 필터링해 주는 구간이며, 상부 수평 방해판에서보다 더 고운(더 촘촘한) 메시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가장 고운 필터인 만큼, 원활한 물의 순환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은, 장비에서 유입되는 유량 면적(유입부 면적)의 약 1.5배 이상의 필터 면적이 필요하다.
도 12a, 도 12b, 도 13 등에서는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이 흐름 분리판(1000), 수직 방해판(2000),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모두에 걸쳐서 하부에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방해판(2000)과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의 하부에만 걸쳐 있어도 무방하다(단,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은, 장비에서 유입되는 유량 면적(유입부 면적)의 약 1.5배 이상의 필터 면적이라는 전제가 충족되는 경우).
전술한 도 1~도 19에 의한, 특히 도 12a~도 19에 의한 본 발명의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는, 바다에 유출된 기름을 실시간적으로 유수 분리하며 기름만 포집할 수 있는 유수 분리 보관부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관부는 펌프를 통해 기름과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유입부에서 유수(물과 기름)을 유입/회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임펠러(31)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임펠러(31)의 사용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펌프 등을 사용하는 예도 가능하다.
하단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존재하고. 내부에 수직 방해판(2000) 및 상부/하부 수평 방해판(4000, 5000)을 통해 98% 이상의 유수분리를 진행할 수 있다.
기존의 유회수기 문제점으로는, 해양에서 발생한 유출유를 실시간적으로 유수분리하지 않고 바닷물과 함께 보관통으로 이동하게 되게 되므로, 상당히 높은 함수율의 폐기물이 발생한다는 점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유수 분리율이 높으므로 함수율도 낮아,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2a~도 19를 통해서 이미 살펴보았으나,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내부에 오염물이 들어올 수 있는 유입구, 정화된 물이 나가는 배출구가 존재하며, 복잡한 기구물 및 시스템이 필요없이 유수분리가 가능하다.
흐름 분리판(1000)을 사용하여 장비의 정차 및 이동시 원활한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 장비가 멈춰 있으면서 유수를 회수(유입)하는 경우에는, 도 14의 흐름(FD)과 같은 유입이 행해지고, 장비가 이동하면서 유수를 회수(유입)하는 경우에는, 흐름(FD) 외에도 흐름(FU)가 추가로 생겨서 기름 유입을 증가시킨다.
수직 방해판(2000)을 사용하여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내부로 들어오는 쓰레기의 유입을 감소시킨다.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사용하여 95% 이상의 기름을 부상시키며, 상부 수평 방해판(4000)을 통과한 미세 기름들에 대해서는, 하부 수평 방해판(5000)을 사용하여 필터링을 행한다.
수평 방해판(4000, 5000)에 결합된 금속 메시망은 보관부 내부의 전체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기름방울을 튕겨낼 수 있어 많은 양의 오염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실시간 유수분리를 할 수 있다.
하부 수평 방해판(5000)에는 고운 메시 필터가 적용됨으로 인해 유체의 원활한 이동이 어렵다. 따라서 유체 유입구 면적의 1.5배 이상의 필터 면적을 적용하여 유체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구현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부호의 설명]
10: 선체
20: 유입부(회수부)
21: 유입구
22: 여과 수단
30-1, 30-2: (전후 이동용) 임펠러
30-3, 30-4: (좌우 이동용) 임펠러
31: (오염수 유입용) 임펠러
31M: 모터
32: 물튀김 방지막
33: 임펠러 하우징(파이프)
40: 저장부
1000: 흐름 분리판
1000-1: 제1 흐름 분리판
1000-2: 제2 흐름 분리판
2000: 수직 방해판
2000-1: 제1 수직 방해판
2000-2: 제2 수직 방해판
2000-3: 수평 격벽
3000: 포켓 홈
4000: 상부 수평 방해판
5000: 하부 수평 방해판
본 발명은, 소규모 기름 유출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의 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로서,
    선체;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오염수를 상기 선체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임펠러 하우징;
    상기 임펠러 하우징 중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류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튀김 방지막;
    상기 저장부에서 하단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저장부의 일부인 부력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 및 부력 장치는 상기 임펠러가 40~60% 잠기도록 설정된 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해수면의 높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제1 흐름 분리판; 및
    상기 제1 흐름 분리판보다 후방에 설치된 제1 수직 방해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은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방해판보다 후방에, 기름을 거르기 위한 제1 필터를 갖는 상부 수평 방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하부 개구를 통해 흐른 유체는, 포켓 홈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의 측하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상부 개구를 통해 흐른 유체는,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상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하방에, 상기 제1 필터보다 더 촘촘한 메시망을 갖는 제2 필터를 갖는 하부 수평 방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의 하부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의 면적은, 상기 흐름 분리판 앞에 있는 유체 유입구 면적의 1.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은, 상기 제1 수직 방해판과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방해판은, 상기 제1 흐름 분리판과 상기 제1 수직 방해판과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흐름 분리판의 상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흐름 분리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상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와, 상기 제1 수직 방해판의 하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가, 수평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상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방해판의 상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개구에 이어지는 유체의 이동 경로는 포켓 홈을 지나서 상부 수평 방해판의 측하방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PCT/KR2022/014321 2021-10-12 2022-09-26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WO20230636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5100 2021-10-12
KR10-2021-0135100 2021-10-12
KR1020210157392A KR102464417B1 (ko) 2021-10-12 2021-11-16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KR10-2021-0157392 202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620A1 true WO2023063620A1 (ko) 2023-04-20

Family

ID=8404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4321 WO2023063620A1 (ko) 2021-10-12 2022-09-26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64417B1 (ko)
WO (1) WO20230636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417A (ko) * 1992-11-11 1994-06-21 랑핑어, 슈타인호프 4-치환된 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카르보디이미드, 이것의 제조방법, 용도, 및 이것의 제조에 사용되는 4-치환된 2,6-디이소프로필페닐 이소시아네이트
KR19980063832U (ko) * 1997-04-16 1998-11-25 이복환 유출유회수장치
KR102036190B1 (ko) * 2018-12-24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출기름 회수용 부력체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유출기름 회수시스템
KR20200063394A (ko) *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CN211141596U (zh) * 2019-11-25 2020-07-31 唐军 一种油水过滤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417A (ko) * 1992-11-11 1994-06-21 랑핑어, 슈타인호프 4-치환된 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카르보디이미드, 이것의 제조방법, 용도, 및 이것의 제조에 사용되는 4-치환된 2,6-디이소프로필페닐 이소시아네이트
KR19980063832U (ko) * 1997-04-16 1998-11-25 이복환 유출유회수장치
KR20200063394A (ko) *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102036190B1 (ko) * 2018-12-24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출기름 회수용 부력체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유출기름 회수시스템
CN211141596U (zh) * 2019-11-25 2020-07-31 唐军 一种油水过滤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417B1 (ko) 2022-11-09
KR20230052189A (ko) 2023-04-19
KR102464417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76903A (en) Oil skimmer and separator vessel
WO2012026684A2 (ko) 유수분리장치
WO2000041970A8 (en) Apparatus for de-watering and purifying fuel oils and other liquids
WO2020005030A1 (ko)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9525B1 (ko) 유수분리기 일체형 절삭유 정제장치
WO2023063620A1 (ko)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WO2009006795A1 (fr) Séparateur d'huile usée pour cuisine
EP0035812B1 (en) Apparatus for the flotation of flocculated solid material in a liquid
JPH0725007B2 (ja) 工作機械の加工部位における切削屑及び粉塵の飛散防止装置
WO2021066461A2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GB2166044A (en) Tank cleaning method
GB2275210A (en) Regenerating of degreasing liquid
WO2015020350A1 (ko) 그리스트랩 청소기
JPH11293275A (ja) タービン油等のリサイクル方法
EP0054793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a fluid
FI68213C (fi) Avskiljare foer foeroreningar vilka flyter i vaetska
WO2023063624A1 (ko) 전자석을 이용한 진회수 시스템, 구조물 및 방제 장치
GB2165141A (en) Tank cleaning system
EP0427855A4 (en) Liquid processing apparatus,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method
WO2024063172A1 (ko) 원유탱크 청소 시스템
CN215627183U (zh) 一种环保工程中的油水分离设备
WO2016052903A1 (ko) 원유탱크 물 세정 방법 및 그 시스템
JP4187603B2 (ja) 塗料スラッジ分離装置
RU2206369C2 (ru) Напорный нефтеотделитель
ATE134897T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ink- und leichtstoffabscheiders und absche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1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