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7250A1 -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7250A1
WO2023027250A1 PCT/KR2021/016529 KR2021016529W WO2023027250A1 WO 2023027250 A1 WO2023027250 A1 WO 2023027250A1 KR 2021016529 W KR2021016529 W KR 2021016529W WO 2023027250 A1 WO2023027250 A1 WO 20230272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sulin
blood sugar
main body
smar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5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석제
이동진
이원형
이유영
Original Assignee
이석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11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03796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석제 filed Critical 이석제
Publication of WO20230272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72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Definitions

  • a storage groove for storing the blood test strip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 the smart insulin injection device 1 capable of measuring blood sug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pass-through hole 2a through which a laser for blood collection passes and a blood test strip 100.
  • a main body 2 having a strip insertion hole 2b into which the strip is inserted, a display 3 disposed on the main body 2 and displaying the blood sugar level according to blood collection, and insulin injected from a cartridge coupled to the main body 2 and storing insulin.
  • It includes an insulin injection stick 4, and a manipulation unit 5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it. Accordingly, the smart insulin injection device 1 capable of measuring blood sug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 the display 3 may display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insulin injection amount, battery consumption amount, electric energy charge amount, and laser emission indication, in addition to blood sugar level.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abov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insulin infusion device 1 capable of measuring blood sug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insulin injected because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of insulin injected.
  • the control unit 5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As the control unit 5 is manipulate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insulin injection device 1 capable of measuring blood sug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 the symbols (S, M, C, +, -) of the operation unit 5 shown in this specification do not represent a specific meaning, but as an example, other variations may be included here.
  • the laser manipulation unit 51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2 to control a light source from which laser is generated.
  • the laser manipulation unit 51 may have a first aspect for radiating a laser beam from a light source and a second aspect for removing the generated laser beam.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laser manipulation unit 51 once, a laser may be generated and emitted from a light source. When the user presses the laser manipulation unit 51 once again, the laser is remov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blood sampling operation may be termin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채혈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하는 레이저 통과홀과, 혈액측정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홀이 형성된 본체, 본체에 배치되고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인슐린이 저장된 카트리지로부터 인슐린을 투입하는 인슐린 투입스틱, 및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의 외면에 배치된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본 발명은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습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켜 주고 사용상의 편의와 혈당 관리의 용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신체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이다. 당뇨병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억명 정도가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뇨병과 관련된 합병증 및 동반 질환은 인적,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수반하여 중요한 보건 문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당뇨병은 시야 이상, 피로감, 체중 감소 등의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하므로, 치료가 필수적이다.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슐린을 주기적으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안이 있다. 인슐린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여러가지 의료기기들이 이용되고 있다.
우선,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슐린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한 방안은 침습을 이용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비교적 심한 자극을 주고, 채혈을 위한 기구가 따로 구비되므로 사용에 관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슐린 펌프를 이용하여 인슐린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안이 있다. 인슐린 펌프는 췌장과 같은 구실을 하는 의료기기로 환자의 체외에 부착하여 인슐린을 적절히 공급해 정상혈당을 유지하고 그동안 췌장기능을 서서히 회복시키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슐린 펌프를 이용한 방안은 튜브(tube)연결형으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튜브가 꼬여 인슐린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당뇨환자에게 극한 상황을 초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켜주고, 사용상의 편의와 혈당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침습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켜 주고 사용상의 편의와 혈당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채혈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하는 레이저 통과홀과, 혈액측정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홀이 형성된 본체, 본체에 배치되고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인슐린이 저장된 카트리지로부터 인슐린을 투입하는 인슐린 투입스틱, 및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의 외면에 배치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혈당량, 인슐린 투입량, 배터리 소모량, 전기 에너지 충전, 및 레이저 발사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인슐린 투입스틱을 둘러싸도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슐린 투입스틱은 인슐린이 통과하는 인슐린 투입부, 및 인슐린 투입부를 둘러싸고 단부가 개방된 보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혈액측정 스트립이 보관되기 위한 보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통과홀 및 스트립 삽입홀은 본체의 동일한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혈액측정 스트립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을 판단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인슐린 투입량이 투입되도록 인슐린 투입스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혈액측정 스트립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을 판단하는 프로세서, 인슐린 투입스틱을 통해 투입된 인슐린 투입량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가 측정한 혈당에 관한 정보 및 메모리에 저장된 인슐린 투입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레이저 통과홀이 형성되고,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본체에 결합되어서 레이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레이저가 생성되는 레이저 광원을 조작하는 레이저 조작부, 인슐린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량 조작부, 인슐린 투입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조작부, 및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입량 조작부는 인슐린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제1 조작부, 및 인슐린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제2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부와 제2 조작부는 메모리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바늘 등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를 사용하여 채혈하고 혈당을 측정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침습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측정하는 작업과,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인슐린 투입 작업이 하나의 기구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에 관한 편리성을 도모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는 환자가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투여를 즉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혈당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기준으로 커버가 결합되지 않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2: 본체 2a : 레이저 통과홀
2b : 스트립 삽입홀 2c : 보관홈
20 : 가이드부 3 : 디스플레이
4 : 인슐린 투입스틱 5 : 조작부
6 : 커버 7 : 걸림부
10 : 프로세서 20 : 메모리
30 : 무선 통신부 41 : 인슐린 투입부
42 : 보호체 51 : 레이저 조작부
52 : 투입량 조작부 53 : 메모리 조작부
54 : 충전 조작부 100 : 혈액측정 스트립
200 : 서버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기준으로 커버가 결합되지 않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환자의 혈액을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환자에게 인슐린을 투여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본체(2), 디스플레이(3), 인슐린 투입스틱(4), 조작부(5), 커버(6), 및 걸림부(7)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의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채혈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하는 레이저 통과홀(2a)과 혈액측정 스트립(100, Strip)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홀(2b)이 형성된 본체(2), 본체(2)에 배치되고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 본체(2)에 결합되고 인슐린이 저장된 카트리지로부터 인슐린을 투입하는 인슐린 투입스틱(4), 및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2)의 외면에 배치된 조작부(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바늘 등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를 사용하여 채혈하고 혈당을 측정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침습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2)는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측정하는 작업과,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인슐린 투입 작업이 하나의 기구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사용에 관한 편리성을 도모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2)는 환자가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투여를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는 혈당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2), 디스플레이(3), 인슐린 투입스틱(4), 및 조작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체(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의 본체로 기능한다. 본체(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에는 레이저 통과홀(2a)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통과홀(2a)은 채혈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하기 위해 본체(2)에 마련된다. 광원(미도시)에서 발생된 레이저는 레이저 통과홀(2a)을 통과하여 환자의 피부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침습이 아닌 레이저로 채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저 통과홀(2a)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체(2)에는 스트립 삽입홀(2b)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 삽입홀(2b)은 혈액측정 스트립(100)이 삽입되기 위해 레이저 통과홀(2a)과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에 마련된다. 레이저에 의해 채혈된 혈액이 혈액측정 스트립(100)에 묻으면, 스트립 삽입홀(2b)에는 혈액측정 스트립(100)이 삽입되어 혈당량이 측정될 수 있다. 스트립 삽입홀(2b)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체(2)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레이저 통과홀(2a) 및 스트립 삽입홀(2b)은 본체(2)의 동일한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채혈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 즉시 혈당량을 측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데, 레이저 통과홀(2a) 및 스트립 삽입홀(2b)은 본체(2)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체(2)에는 보관홈(2c)이 형성될 수 있다. 보관홈(2c)은 혈액측정 스트립(100)을 보관하기 위해 레이저 통과홀(2a) 및 스트립 삽입홀(2b)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보관홈(2c)을 통해 혈액측정 스트립(10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혈액측정 스트립(100)을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도모할 수 있다. 예컨데, 보관홈(2c)은 본체(2)의 측면에 위치하여, 8개 이상의 혈액측정 스트립(100)을 보관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가이드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본체(2)로부터 돌출되도록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21)에는 레이저 통과홀(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에서 발생된 레이저는 가이드부(21)를 따라 안내되어 채혈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투과성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가이드부(21)는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 따르면, 가이드부(21)는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가 생성되도록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3)가 작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인슐린 투입스틱(4)이 인슐린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배터리는 프로세서(10, 도 7에 도시됨), 메모리(20, 도 7에 도시됨), 및 무선 통신부(30, 도 7에 도시됨)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일 예시로서, 배터리는 3.7V(Voltage)로 동작하는 Lithium Polymer Battery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3)는 본체(2)에 배치되고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표시한다. 혈액이 묻은 혈액측정 스트립(100)이 스트립 삽입홀(2b)에 삽입되면, 프로세서(10, 도 7에 도시됨)가 혈당량을 판단하게 되고, 디스플레이(3)는 프로세서(10)에 의해 판단된 혈당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는 혈당량 외에도, 인슐린 투입량, 배터리 소모량, 전기 에너지 충전량 및 레이저가 발사되고 있는지 여부인 레이저 발사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의 정보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슐린 투입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인슐린의 투입량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인슐린 투입스틱(4)은 인슐린이 저장된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인슐린을 투입하기 위해 본체(2)에 마련된다. 인슐린 투입스틱(4)은 레이저 통과홀(2a) 및 스트립 삽입홀(2b)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면에서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인슐린 투입스틱(4)은 본체(2)에 삽입됨으로써,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인슐린 투입스틱(4)은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슐린 투입스틱(4)은 전체적으로 팬(Pen)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슐린 투입스틱(4)은 인슐린 투입부(41) 및 보호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슐린 투입부(41)는 카트리지로부터 인슐린이 환자에게 투입되는 통로로 기능한다. 인슐린 투입부(41)의 일 단은 본체(2)에 배치된 카트리지에 결합되고, 인슐린 투입부(41)의 타 단은 마이크로 니들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체(42)는 인슐린 투입부(41)를 둘러싸도록 본체(2)에 결합된다. 보호체(42)의 일 단은 본체(2)에 결합되고, 보호체(42)의 타 단은 마이크로 니들이 통과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보호체(42)는 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조작부(5)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2)의 외면에 배치된다. 조작부(5)가 조작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표ㅕ시된 조작부(5)의 기호(S, M, C, +, -)는 특정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예시로서 여기에는 다른 변형이 포함될 수 있다.
조작부(5)는 레이저 조작부(51), 투입량 조작부(52), 메모리 조작부(53), 및 배터리 조작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조작부(51), 투입량 조작부(52), 메모리 조작부(53), 및 배터리 조작부(54)는 서로 이격되게 본체(2)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 조작부(51)는 레이저가 생성되는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2)에 마련된다. 레이저 조작부(51)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가 발사되기 위한 제1 태양과, 생성된 레이저를 제거하기 위한 제2 태양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레이저 조작부(51)를 1번 누르면, 광원으로부터 레이저가 생성되어 발사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이저 조작부(51)를 다시 1번 누르면, 광원으로부터 레이저가 제거되 어 채혈 작업이 종료될 수 있다.
투입량 조작부(52)는 인슐린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본체(2)에 마련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투입량 조작부(52)를 누르면, 카트리지에 저장된 인슐린이 인슐린 투입스틱(4)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투입될 수 있다.
투입량 조작부(52)는 인슐린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제1 조작부(521) 및 인슐린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제2 조작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조작부(521)를 조작함에 따라, 이전에 투입된 인슐린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이 사용자에게 투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부(522)를 조작함에 따라, 이전에 투입된 인슐린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의 인슐린이 사용자에게 투입될 수 있다.
제1 조작부(521) 및 제2 조작부(522)는 메모리 조작부(5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제1 조작부(521) 및 제2 조작부(522)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비교예에 대비하여 볼 때,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따른 제1 조작부(521) 및 제2 조작부(522)를 오조작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메모리 조작부(53)는 인슐린 투입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20)를 조작하기 위해 본체(2)에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모리 조작부(53)를 조작하면, 특정 혈당량을 조절하기 위해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슐린 필요량이 디스플레이(3)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에 표시된 인슐린 필요량에 근거하여 투입량 조작부(52)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인슐린을 투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모리 조작부(53)를 조작하면, 이 전에 투입된 인슐린의 양이 메모리(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메모리(20)에 저장된 기설정된 인슐린의 양이 후에 다시 투여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인슐린 투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터리 조작부(54)는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2)에 마련된다. 일 예시로서, 배터리 조작부(54)가 조작됨에 따라, 광원의 커패시터(Capacitor)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배터리 조작부(54)가 조작됨에 따라, 배터리는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커버(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6)는 인슐린 투입스틱(4)을 둘러싸도록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6)는 외부의 이물질이 인슐린 투입스틱(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슐린 투입스틱(4)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인슐린 투입스틱(4)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커버(6)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걸림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7)는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7)는 옷의 주머니 등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의 휴대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걸림부(7)는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7)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프로세서(10), 메모리(20), 및 무선 통신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혈액측정 스트립(100)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을 판단한다. 프로세서(10)는 판단한 혈당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메모리(20)에는 특정 혈당량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인슐린의 양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0)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혈당량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제1 인슐린 투입량이 메모리(20)에 기 저장되고, 제1 혈당량에 비해 높은 제2 혈당량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제2 인슐린 투입량이 메모리(2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20)에는 N(N은 2 이상의 정수) 인슐린 투입량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0)는 혈액측정 스트립(100)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을 판단하여 메모리(20)에 기 저장된 양으로 인슐린이 투입되도록 인슐린 투입스틱(4)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는 인슐린 투입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가 혈액측정 스트립(100)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에 표시된 혈당량을 보고 투입량 조작부(52)를 조작하여 직접 인슐린을 투여할 수도 있다.
메모리(20)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0)에는 인슐린 투입스틱(4)이 투입한 인슐린양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전에 투입된 인슐린의 양만큼 다시 후에 인슐린이 투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인슐린 투여량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는 프로세서(10)가 측정한 혈당에 관한 정보 및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슐린 투입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는 BLE 통신을 통해 프로세서(10)가 측정한 혈당에 관한 정보 및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슐린 투입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30)는 본체에 내장된 블루투스(Bluetooth)로 구현될 수 있고, 서버(20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IOT 기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1)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30)는 사용자의 혈당관리 스마트 앱과 연동될 수 있고, 담당의사의 컴퓨터로 환자의 혈당에 관한 정보 및 인슐린 투입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프로세서(10)가 측정한 혈당에 관한 정보 및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슐린 투입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서 저장하고 혈당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혈당 치수, 이전 혈당치수 대비 변화 정도, 목표 혈당 치수 등을 제시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도출된 값들을 이용하여 담당의사의 컴퓨터로 혈당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정보는 성별, 나이, 몸무게, 키와 같은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특히, 신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 정보의 최초 입력을 포함하여 사용자 정보의 추가/삭제/변경 등이 가능하다. 이렇게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여 혈당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DB는 일반적인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성별/나이/키/몸무게)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혈당 관련 정보(예를 들어 혈당 데이터, 목표 혈당수준, 혈당 변화 이력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용자의 혈당 관리에 관한 모든 정보들은 사용자의 담당의사 또는 담당병원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의사 및 병원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채혈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하는 레이저 통과홀과, 혈액측정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채혈에 따른 혈당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인슐린이 저장된 카트리지로부터 인슐린을 투입하는 인슐린 투입스틱, 및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의 외면에 배치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혈당량, 인슐린 투입량, 배터리 소모량, 전기 에너지 충전, 및 레이저 발사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투입스틱을 둘러싸도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투입스틱은,
    인슐린이 통과하는 인슐린 투입부; 및
    상기 인슐린 투입부를 둘러싸고 단부가 개방된 보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혈액측정 스트립이 보관되기 위한 보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통과홀 및 상기 스트립 삽입홀은 상기 본체의 동일한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측정 스트립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을 판단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인슐린 투입량이 투입되도록 상기 인슐린 투입스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측정 스트립에 채취된 혈액을 측정함에 따라 혈당량을 판단하는 프로세서;
    상기 인슐린 투입스틱을 통해 투입된 인슐린 투입량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가 측정한 혈당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슐린 투입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서 레이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레이저가 생성되는 레이저 광원을 조작하는 레이저 조작부;
    인슐린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량 조작부;
    인슐린 투입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조작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 조작부는,
    인슐린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제1 조작부; 및
    인슐린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제2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메모리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PCT/KR2021/016529 2021-08-23 2021-11-12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WO20230272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138 2021-08-23
KR1020210111138A KR102603796B1 (ko) 2021-08-20 2021-08-23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250A1 true WO2023027250A1 (ko) 2023-03-02

Family

ID=8532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529 WO2023027250A1 (ko) 2021-08-23 2021-11-12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2725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87A (ko) * 2005-04-08 2006-10-13 (주)아이소텍 무통 레이저 채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KR20090128499A (ko) * 2007-03-19 2009-12-15 인슐린 메디컬 엘티디 약물 전달 장치
US20130245545A1 (en) * 2011-09-20 2013-09-19 Medingo Ltd. Drug Inj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70039273A (ko) * 2014-08-01 2017-04-10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지속적인 포도당 모니터링 주입 디바이스
US20170189616A1 (en) * 2011-05-06 2017-07-06 Novo Nordisk A/S System for Optimizing a Drug Dosage Regimen Over Ti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87A (ko) * 2005-04-08 2006-10-13 (주)아이소텍 무통 레이저 채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KR20090128499A (ko) * 2007-03-19 2009-12-15 인슐린 메디컬 엘티디 약물 전달 장치
US20170189616A1 (en) * 2011-05-06 2017-07-06 Novo Nordisk A/S System for Optimizing a Drug Dosage Regimen Over Time
US20130245545A1 (en) * 2011-09-20 2013-09-19 Medingo Ltd. Drug Inj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70039273A (ko) * 2014-08-01 2017-04-10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지속적인 포도당 모니터링 주입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891B1 (en) Integrated system including medication delivery pen, blood monitoring device, and lancer
JP5404021B2 (ja) 時刻同期式血中グルコースシステム
EP0777123B1 (en) Medication delivery device with a microprocessor and characteristic monitor
US78444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ment and corrective action based on guidelines
TWI594777B (zh) 醫療注入系統
US20040162521A1 (en) Needle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needles
US20140200545A1 (en) System for optimizing a drug dosage regimen over time
JP2009183692A5 (ko)
JP2016514545A (ja) 医療用注入装置用流体カートリッジ
WO2023027250A1 (ko)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JP2023090894A (ja) 注射の間に加えられる力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WO2019009638A1 (ko) 펜형 주사장치의 범용 장착형 투입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WO2018124463A2 (ko) 펜형 주사장치의 범용 장착형 투입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WO2011139113A2 (ko) 약액 주입 이력 관리 방법
KR20230028079A (ko) 혈당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인슐린 투입장치
CN109999276A (zh) 一种注射设备及注射诊疗系统
US11497855B2 (en) Smart drug injection device
US20220160273A1 (en) Portable autonomous venipuncture device
WO2018147483A1 (ko) 연속 혈당 감지를 이용한 인슐린 투여 시스템
CN215915938U (zh) 一种新型便携式胰岛素注射收纳装置
WO2023234634A1 (ko) 인슐린펜 관리장치
WO2023234633A1 (ko) 인슐린펜 관리장치
WO2023234631A1 (ko) 인슐린펜 관리장치
CN108211052A (zh) 一种胰岛素注射器
WO2018147563A1 (ko) 펜 타입 주사기의 안전 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51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